유근택 : 시간의 피부 (Layered Time)

Page 1


YOO, GEUN-TAEK 시간의 피부 Layered Time 2021. 2. 24 - 4. 18

1


Contents

4

Foreword 유근택 전을 열며 이명옥, 사비나미술관 관장

Presenting Layered Time, a solo exhibition of Yoo Geun-Taek Lee MyungOk, Director of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Plates 7

어떤 파도

Some Waves

12

탁자

The Table

15

아침

Morning

22

시간

The Time

33

봄날의 산책

A Spring Walk

36

아주 오랜 기다림Ⅱ A Very Long WateⅡ

40

끝에 서 있는

48

Interview

59

당신의 마음

Your Mind

65

생·장

Groth and Developmen

71

어떤 만찬

Some Dinner

74

어떤 경계

Some Boundaries

80

매향리의 밀물

The Tide of Maehyang-Ri

86

Essay

Standing at the Edge

유별난 시간에 두께를 더하는 일 - 유근택의 근작에 대해 고원석, 서울시립미술관 전시과장

Adding depth to a peculiar time – on Yoo Geun-Taek’s recent works Wonseok Koh, Chief curator and Head of Exhibition Division, Seoul Museum of Art

93

2

Biography


Presenting Layered Time, a solo exhibition of Yoo Geun-Taek

유근택 전을 열며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presents the solo exhibition of Yoo Geun-Taek as its first

사비나미술관은 2021년 첫 번째 전시로 유근택 작가의 개인전을 개최합니다.

show in 2021. 이번 전시는 그가 오랜 시간 탐구한 시간과 공간이라는 주제의식을 심화, 확장시킨 사유의 결과물이자 This exhibition is the fruit of the artist’s spirit who experimented with various formative languages; and also an outcome of thought process on deepening and expanding the artist’s consciousness on the subject matter of time and space which he has explored for a long time. The artist observes natural phenomena and everyday objects – such as land, sea, weeds,

다양한 조형어법을 실험한 작가 정신의 결정체입니다. 작가는 땅, 바다, 잡초, 철책, 신문, 빨래 등 자연현상과 일상적 사물을 섬세하고 깊이 있는 시선으로 관찰하면서 존재의 본질과 사물의 본성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이미지로 구현하는

barrier fences, newspapers, laundry, etc. – with a delicate and in-depth gaze, and asks

방식에 대해 심오한 질문을 던집니다. 아울러 격변의 시기를 겪는 한반도의 시대적 상황에 따르는

profound questions on the ways of recognizing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the nature of

갈등과 혼란, 변화의 원인을 통찰하고 그와 관련된 여러 문제들이 정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어떤

objects in a new light, and on the ways of presenting them into images. Furthermore, he

의미를 갖는지도 다각도로 탐색합니다.

contemplates on the cause of the conflict, confusion and transformation following the state of affairs in Korean peninsula which is undergoing a time of upheaval, and explores its problems

프랑스 철학자 시릴 모라나(CYRIL MORANA)와 에릭 우댕(ERIC OUDIN)은 공동저서 <(L'')art : de

in a various angle within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French philosopher Cyril

Platon a Deleuze>의 메를로 퐁티 편에서 ‘그림은 단순히 예측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보게 하지 않고, 보

Morana and Éric Oudin wrote in the chapter on Merleau-Ponty in L'art: De Platon à Deleuze

는 것 너머의 보이지 않는 것, 다르게 말하면 존재를 탐구할 수 있게 한다. 보이는 것 너머, 보이지 않

which they co-authored, ‘paintings are not simply viewed in a predictable way, but it allows us to explore the invisible beyond the visible, in other words, it allows the exploration of existence. The magic of art lies in the ability of making what exists beyond the visible – the invisible – perceptible.’ I hope the viewers will find an opportunity to recognize a true world in seeing the

은 것을 보이도록 가능하게 하는 능력의 이면에 예술의 마술이 있다’ 라고 적었습니다. 시간과 공간, 현실과 비현실, 물질과 정신, 가시적 세계와 비가시적 세계의 융합을 시도하는 유근택의 작품이 감상 자에게 진실된 세계를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attempts in Yoo Geun-Taek’s works to unite time and space, reality and unreality, material and spirit, and the visible and invisible world.

4

2021. 02.

2021. 2.

Lee MyungOk

이명옥

Director of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사비나미술관 관장

5


해변 Beach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73×103cm, 2020 6

7


파도 Wave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50×207cm, 2020 8

9


파도 2 Wave 2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50×207cm, 2020 10

11


탁자, 마른석류 The Table - Dry Pomegranate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49×72, 2019 12

탁자, 석류 The Table - Pomegranate

탁자, 사과 The Table, Apple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72×100cm, 2017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73×103cm, 2019 13


탁자-어떤 만찬 The Table- Some Dinner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50×207cm, 2019 14

아침 Morning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50×207cm, 2020 15


아침 Morning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5×223cm, 2020 16

17


아침 Morning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07×100cm, 2018 18

19


아침 아직 어둠이 가시지 않은 거실에 긴 탁자가 어스름 속에 누워 있다. 그 위로 긴 밤을 지센 사물들이 하나 둘씩 물끄러미 눈을 뜨고 의자에 걸친 스웨터가 아직 졸고 있다. 불을 켜면 하얗게 놀랜 사물들이 어디론가 사라진다. 텅 빈 탁자에 사과와 잼과 토스트가 올려 지면 사물들이 하나씩 제자리로 돌아가 앉는다. 창밖으론 밤새 지키고 있던 불빛들이 어디론가 사라지고 있다. 포크, 스푼, 커피로스팅의 부산한 소리들, 지금은 다시 깊은 정적속에 문득 문득 신문넘기는 소리가 이 고요를 증폭시키고 있다. 어느새 먹다 남은 빵과 식기들 사이로 탁자위에 흐르는 물결위에 배 한척이 노를 젖고 있다. 다시 찬란한 아침을 맞고 있는 것이다.

신문 식사를 마치면 나는 신문속으로 들어간다. 매일 매일의 글자들이 아침의 정적을 꾸역 꾸역 채워 넣고 있는 것이다. 오늘은 신문을 드는 순간 백지를 들고 있다. 탁자에 글자들이 우수수 떨어진 것이다. 트럼•코로•영업•소상공인•사교•양극•노동 고발•고용•방호•사법•주거•바이•푸틴• 맹신 ••••

경계선 나는 간혹, 아직 아물지 않은 몸의 한 구석을 자각이라도 하듯이 불현듯 내가 태어나기 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던 남과 북의 경계지점에 서 있곤 했다. 세상 어디에도 없을 것 같은, 마치 회화의 끝에서나 만날 것 같은 이 세계. 그 곳엔 철책사이로 끊임없이 굴절되어 무너지고 있는 파도의 아우성들이 있고, 먼지처럼 긴 시간을 감내하고 있는 어딘가 마모되고 있는 반쪽 사물들이 나를 바라보고 있다. 이것이 무엇인가? 새삼 던지는 이 질문은 한동안 나의 그림 안으로 들어오길 원했다. 그것은 그림에 대한 윤리적이거나 소명의식에 대한반응이라기 보다는 이 질문은 어쩌면 우리 삶의 깊숙한 부분에서 이미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서 문득 문득 실존의 한 형식이었음을 깨닫곤 하기 때문이다. 2021. 2. 유근택

아침 신문 Morning Newspaper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72×49cm, 2019 20

21


시간 2 The Time 2

Black Ink and Powder of White Gouache Korean Paper 103×150cm, 2020 22

시간 1 The Time 1

Black Ink and Powder of White Gouache Korean Paper 103×150cm, 2020 23


시간 4 The Time 4

Black Ink and Powder of White Gouache Korean Paper 103×150cm, 2020 24

시간 3 The Time 3

Black Ink and Powder of White Gouache Korean Paper 103×150cm, 2020 25


시간 5 The Time 5

Black Ink and Powder of White Gouache Korean Paper 103×150cm, 2020 26

시간 4-1 The Time 4-1

Black Ink and Powder of White Gouache Korean Paper 103×150cm, 2020 27


시간 6 The Time 6

Black Ink and Powder of White Gouache Korean Paper 103×150cm, 2020 28

29


30

31


Morning In a living room where darkness remains, a long table lies in the daybreak. One by one, objects which have stayed up through the long night slowly opens their eyes, with sweater hung over a chair still dozing. As lights turn on, white with surprise, objects disappears into nowhere, on the empty table, when apple, jam, and toast is laid out, objects return one by one, back to their positions. Outside the window, lights which guarded the night are disappearing. The bustling sounds of fork, spoon, coffee roasting, then once again in a deep stillness, sounds of turning pages of newspaper amplifies the silence. Amongst the half-eaten bread and cutleries, a boat sails its way on a flowing stream on the table. Once again, all welcome a bright morning.

Newspaper After finishing a meal, I go into the newspapers. Words of everyday life fill up the morning silence. Today as I open the newspapers, I see a blank paper. Words have rumbled down on to the table. Trum• Coron• Opening hou• Micro-enterp• private educat• polarizat• labor accusat• unemploym• protective su• judicial ref• housing short• Bide• Puti• Blind f • • •

Border line Sometimes I, as if I had recognized a corner of my body where it is yet healed, have stood on the borders of South and North which existed before my birth. An impossible place, the world which may only exist in the very end of a painting. There echo the cries of waves continuously bent between the barrier fence, breaking down enduring long time like a dust, being worn away, half objects are watching me. What is this? The question I abruptly ask has awaited to enter my paintings for a while. It is not a reaction to ethics or a calling towards painting, but this question, perhaps by a chance, had been a form of existence, deep within our lives, already in between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2021. 2. Yoo Geun-Taek

케이지 Cage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48×101cm, 2019 32

33


봄날의 산책 A Spring Walk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48×101cm, 2018 34

봄날의 산책 3 A Spring Walk 3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48×101cm, 2018 35


아주 오랜 기다림 Ⅱ A Very Long Wait Ⅱ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6×181cm, 2021 36

아주 오랜 기다림 Ⅱ A Very Long Wait Ⅱ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7×182cm, 2021 37


아주 오랜 기다림 Ⅱ A Very Long Wait Ⅱ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5×178cm, 2021 38

39


끝에 서 있는 1-4 Standing at The Edge 1-4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48×162cm, 2018 40

41


끝에 서 있는 Standing at The Edge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48×162cm, 2018

42

43


끝에 서 있는 3 Standing at The Edge 3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48×162cm, 2018 44

끝에 서 있는 4 Standing at The Edge 4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48×162cm, 2018 45


탁자, 끝에 놓인 The Table, At the Edge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45×150cm, 2018 46

47


Interview with the curator of the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 Artist Yoo Geun Taek

1. 지난 2009년에 사비나미술관 전시 후 11년 만에 전시를 갖게 되어서 뜻 깊습니다. 그리고 2017년 개인전 이후 3년 만에 하시는 전시이죠? 이번 전시의 제목을 ‘시간의 피부-Layered Time’라고 했는데 어떤 내용인가요? 그동안 제가 작업을 해오면서 내가 서 있는 땅을 포 함해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시간들에 대한 미학에 대단히 흥미를 갖고 있었던 것 같아요. 물론 이런 지 점들은 이전 전시에서도 단편적으로는 중요한 부분 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3년 전 갤러리현대 전시 이후 사회적, 정치적인 격변의 시기와 특히 세계적인 팬 데믹을 거치면서 내가 혹은 우리가 감내하고 있었 던 시간과 공간들을 좀 더 내 화면, 혹은 이 전시 속 으로 끌고 와야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그래선지 작 업의 시선을 안으로부터 좀 더 바깥으로 시선을 옮 기면서 땅이라는 대상과 시간에 대한 키워드를 조금 더 이끌어내게 되었습니다. 이번 전시의 타이틀을 ‘시간의 피부’로 정하게 된 것도 결국 우리가 감내하 고 있는 시간들에 대한 단층들을 들춰냄으로서 어떤 우리 시간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의도 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1. It has been eleven years since your last exhibition at the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2009. We are very honored to present your works once again at the museum. I believe it has been three years since your last solo exhibition in 2017? Entitled ‘Layered Time’ - what is this exhibition about? In my practice I have had interest in the aesthetics of the land we stand on, as well as the time we face. Of course, such points were an important element in my past exhibitions, however after my last exhibition at Gallery Hyundai three years back, going through the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along with the pandemic which affected the world, I have wanted to bring the time and space which I or we were enduring in to the canvas, and into this exhibition. Therefore, I have put focus on my point of view from inside to outside, and have sought to dig up keywords of ‘land’ and ‘time.’ I have set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as ‘layered time,’ which is a connotation of the efforts to bring some sort of introspection on our time, by opening up the layers of time which we are enduring.

2. 작가님의 작품은 일상에서 일어나는 평범한, 어 찌 보면 소소한 사건이나 장면이라고도 할 수 있 는 소재에서 강렬한 에너지를 이끌어내는 것 같 아요. 그 일상이 최근엔 위에 말씀하셨듯이 범상 치 않은 사건들이 많아 더욱 특별하셨을 것 같은 데 이번 전시는 이전 전시에 비해 어떠한 변화가 있을까요?

2. Your works seem to draw up powerful energy from everyday life, from a somewhat trivial event or a scene. With unusual events, everyday life may have been more special to you recently. Is there a difference to everyday life portrayed in this exhibition compared to your previous works?

조금 더 범주가 넓어졌다고 볼 수가 있겠지요. 어떤 서사의 구조를 그림 안으로 끌어들이고 싶었다고 할 까요. 전에 했던 작업들도 단지 사적인 영역을 다루 기보다는 일상과 세계가 교차하거나 거시적인 담론 과 미시적인 담론이 교차하는 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고 생각해요. 그러나 이번 작업은 조금 더 시 간의 격변을 더 격렬하게 받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

Its boundaries have expanded. I wanted to bring in some kind of narrative structure into the canvas. My past works have not only dealt with a private domain, but have focused on where daily life and the world intersect, or where the macro- and micro- discourse intersects. As my recent practice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an intense change of time, therefore it may

48

문인지 어쩌면 좀 더 거시적인 관점으로 확장되었다 고 볼 수 있겠지요.

have expanded to a more macroscopic perspective.

3. 이번 전시에는 유독 눈에 띠는 연작들이 있습니 다. 특히 <The Time> 연작은 신문이 타들어가는 시간성을 기록한 듯 보이는데요. 재로 남아버린 신문 형상이 인상적입니다.

3. In this exhibition, there are a series of works which catch one’s eyes. The Time series seem to record temporality through the burning newspaper. The presentation of newspapers in ashes is very striking.

저는 내가 봤던 장소를 계속 관찰하는 것을 좋아합 니다. 그래서 인지 연속선상 위에 연작의 개념으로 완성된 작업들이 꽤 있지요. 하나의 사물에 대해서 이야기하면 그 사물에서 파생된 여러 다른 이야기들 을 발견하기도 하고 또한 프리즘처럼 계속적인 생성 을 통해 확대되고 극대화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부 분을 저는 매력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이번에 발표하는 ‘The Time’ 시리즈 작업은 흥미로 웠던 시도였다고 생각해요. 작년에 프랑스 노르망 디지역의 레지던시에 참여하는 시기가 공교롭게도 한국에서는 대구 신천지 사태 등으로 인해 코로나 가 한참 심할 때 출발해야 했고, 파리는 비교적 안전 한 지대로 인식되는 곳이었어요. 그러데 도착해 보 니 프랑스의 코로나가 확산되고 악화되는 속도가 엄 청나더라고요. 30명이 채 안되던 확진자가 도착해서 10일이 채 안되어 3000명 가까이 확진되고, 12일 정 도 되니 5,000명까지 늘어나더군요. 레지던시에 도 착하자마자 통행 금지령이 내려질 정도였습니다. 먼 외지에서의 그런 불안감은 어떤 출구 없는 절대적 불안을 느끼게 하더군요. 이 가운데 내가 할 수 있 는 것은 작업뿐이었어요. 그 당시 한국에서 대구 신 천지를 보도했던 신문을 가지고 갔었는데 작업실에 서 이를 태우기 시작했습니다. 불안 때문인지 뭔가 집중해야 하는 대상이 필요했는지도 몰라요. 하지만 신문이 타는 그림을 그리면서 느낀 것은 대단히 흥 미로운 조형적 부분을 발견하게 된다는 거였어요. 연일 놀라운 사건들로 얼룩진 신문이 타들어가는 것 과 팬데믹의 상황이 오버랩되는 다의적 코드도 흥미 로웠지만 신문이 타면서 나오는 재를 그리다 보니 그 표정이 놀랍더군요. 마치 이름모를 뼈들같기도 하고, 어떤 기괴한 형태의 사물들 같기도 하고... 평 소에는 무심하게 보였을 것들이 그림을 그리다보니 드라마틱하게 다가온 것입니다. 커다란 의미가 있어 서라기보다는 그림 자체가 흥미로워진 것입니다. 그 렇게 해서 프랑스에서 3점을 완성하였고 귀국 후 4 점을 더 그려 연작 7점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시계

I like to make continuous observation of acquainted places. It may be the reason I have completed works of continued series. When I speak about one object, I find various stories which derived from that object, which expand and maximize through continued formation, just like a prism. I find such characters interesting. In that sense, it was an interesting attempt to deliver The Time series. Last year, I participated in the residency in Normandy, France, when Korea was going through the crisis of COVID-19 due to mass coronavirus outbreak at Shincheonji Church of Jesus in Daegu, whereas at the time Paris was considered a safe zone. However, when I arrived in Paris, the coronavirus was spreading rapidly in France, with fatalities rising. Numbers of confirmed cases went from thirty to three thousand, just after ten days I had landed in France. After twelve days the numbers rose up to five thousand. As soon as I arrived at the residency, curfew orders were issued. Being anxious in a land far away from home, I felt an absolute anxiety which I could not run away from. All I could do was work. At the time, I had brought a newspaper from Korea that reported on the coronavirus outbreaks of Shincheonji Church of Jesus in Daegu, which I started burning in my studio. Because of anxiety, I needed something to focus on. However, by drawing the burning newspaper, I made interesting discovery of forms. I liked the polysemous codes which derived from how the situation of the pandemic and the newspaperfilled with surprising events of the day- overlapped, but what I found most interest was the expressions which the forms of newspaper ashes took. Resembling unidentified bones, or some sort of monstrous object… Something which I would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became dramatic as I drew it. It was not a big significance that made the changes, but the drawing itself got interesting. I finished three pieces in France, 49


방향으로 타들어가듯이 시간이 가진 절대적 운명성, 시간이 가진 극적인 순간의 연속성을 드러내는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다른 작업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여 기 출품하는 ‘당신의 마음’ 연작이나 ‘끝에 서 있는’ 자화상도 연속적으로 완성하면서 화면의 리듬이 교 묘하게 읽히는 상황이 연출된 것입니다. 4. 불에 태우는 이미지는 이전 작업에서도 보여주 셨는데 일반적으로 태우는 것은 사라지고 소멸 되는 것 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이잖아요. 말씀을 듣고 보니 새삼 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어 매우 흥미로운데요, 언제부터 불에 대한 작 업을 하셨나요? 아침에 신문을 받아보게 되면 가끔 대단히 놀라운 뉴스들과 만나잖아요. 그럴 때보면 글자에서 불이 나 는 듯 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어요. 간혹 우리는 아 주 평범한 일상 속에서 이와 같은 일들과 함께 살아 가고 있다는 것이지요. 그러고 보니 불은 이번 전시 에서 서로 다른 개념으로 종종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불은 초기에 모필 소묘로 ‘들불’을 그리긴 했지만 본 격적으로 회화적인 완성을 본 계기는 2000년에 어 머니 돌아가신 후 옷들을 태울 때 나타났던 연기와 불을 힘들게 작업하여 발표하면서 처음 저의 작업으 로 들어왔습니다. 이후로도 종종 쓰이고 있습니다. 5. <바다> 연작도 이번 전시에 중요한 작품 중 하나 인데요. 이전에 작가님께서 여행에서 촬영한 수 없이 많은 바다 영상을 본적이 있습니다. 전시에 등장하는 바다 연작은 철책과 만찬과 일상의 오 브제가 교차하면서 소용돌이치는 것으로 읽히는 데요. 현실에서 경험한 바다에 어떤 시대상이 담 겨 있는 건가요? 이번 작업엔 유독 바다가 많이 보입니다. 누구나 그 렇겠지만 바다를 통해서 어떤 사람은 치유를 받기도 하고 누군가는 여러 자신의 감정을 되돌아보기도 합 니다. 가끔 바다에서 불어오는 에너지와 바람, 기운 들이 굉장히 추상적인 힘을 느끼게 합니다. 새로운 기운이 다가오는 것 같기도 하고 내 피부에 부딪히 는 공기의 힘들이 굉장히 추상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느낌으로 다가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당신의 마음’이란 연작의 형태로 발표할 예정입니다. ‘어떤 50

and have worked on four more pieces back home to complete the series of seven pieces. Burning clockwise, it portrayed the absolute destiny and the seriality of the dramatic moment which the time holds. It is the same with other works. Your Mind series, or the self-portrait Standing at The Edge series in this exhibition has been finished in sequence, in which one can read a subtle rhythm of the screens. 4. Images of burning have also existed in your previous works. Generally, when something is burnt, it disappears and ceases to exist. It is interesting to have a new perspective on fire, when did you start working with fires in your practice? When you see a newspaper in the morning sometime you are met with very shocking news. At such times I feel like the words are on fire. Amongst our plain daily life, we are also living with such events. Therefore, Fire has appeared in this exhibition as various concepts. In my early days I have drawn Wildfire, however I have brought fire into my practice after my mother’s death in 2000, when I worked on the fire and smoke which occurred whilst burning my mother’s clothes. It is now often used within my practice. 5. There are ebb and flood in your series depicting sea, as well as the drawings. I have seen the video of countless seas you have filmed. The sea in this exhibition seems to be whirling with the barrier fence, dinner, and daily life intersecting, what spirits of time do you wish to present in the sea you have experienced in real life? There are many seas in this exhibition. As for everyone, through the sea, some people are healed, and others look back on their feelings. There is abstract power in the energy, wind and vitality that blow from the sea. Like a novel energy approaching, the forces of air hitting my skin felt very abstract yet concrete. It will be presented in the series entitled Your Heart. In Some Dinner, Dinner is set like an ironic and dramatic theater

만찬’에서는 만찬이 가진 아이러니한, 극적인 연극 무대처럼 설정함으로서 우리 시대의 정치적인 게임, 화해의 장소지만 어딘지 모르게 페이소스적인 정서 가 있다고 해야 할까? 여러 감정들이 안에서 움직이 고 있는 ‘만찬’이라는 장소가 언제고 새로운 기운이 몰려올 것 같은 바다를 배경으로 펼쳐지고 있습니 다. 또 다른 경우에는 ‘분홍 파도’가 일직선으로 오다 가 철책에 의해 굴절되어 무너지는 것 같은 방식으 로 작업하기도 했습니다. 6. 이번에는 땅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시겠어요? 황 무지 같은 벌판 작품 <어떤 땅>과 거친 풀이 우 거진 작업 <생.장>은 모두 버려진 땅의 형태로 닮아 보이면서도 상반되어 보이는데요. 어떤 작 품인가요? 제가 땅이라고 하는 테마를 그려야 되겠다고 생각했 던 것은 예전부터 생각해오던 테마였어요. 이를테면 갑자기 멀쩡한 산이 어느 날 갑자기 포크레인에 의 해서 파헤쳐지고 아파트가 만들어지는 등 놀라운 광 경을 우리는 아무렇지도 않게 흔히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이예요. 이처럼 폭력적이고 놀라운 회화가 어디 있을까요? 경기도 어느 지역을 운전하다 차를 세우고 그런 광경에 대한 드로잉을 많이 했습니다. 문제는 이를 작업화 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 인가를 그리며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이를테면 새삼 무참히 자연을 훼손시키는 인간의 폭력성을 말하려 는 것이 아니었고 제가 궁극적으로 표현하고 싶었던 것은 그 ‘놀라움’과 ‘새로움’의 에너지였습니다. 드로잉은 많이 했지만 완성된 작업이 없었지요. 그 와중에 한반도에 일어난 여러 격변들을 목격하면서 그런 상황들이, 또는 그런 언어들이 나의 작업으로 들어오면서 완성하게 된 것입니다. 노란 땅인 배경 자체는 경기도 어딘가의 파헤쳐진 땅이었으나 그 텅 빈 땅에 38선의 경계선이 보이지 않는 도상처럼 끼 워 넣어 낯선 아이러니를 만들면서 나의 회화에 개 입하는 식이지요. ‘생,장’ 시리즈 작업은 프랑스 다녀온 이후 칩거하 다시피 작업하다가 아들과 장마철에 스케치 겸 차 를 타고 인천 영종도 방향으로 갔던 적이 있어요. 초 입에 해안도로로 향할 겸 예단포로 빠져서 가게 되 었는데 낯설고 인적도 드문 해안가에 깔려 있는 보

stage, which is like the political game of our time, a place of reconciliation but with pathos. The backdrop is set to sea, a place where novel energy may appear at any time. I have also depicted ‘pink waves’ coming in a straight line, then which bends and collapses at the barrier fence. 6. Could you tell us about the land? Your works are alike yet contradictory in depicting a deserted land- Some Land, a land alike wasteland, and Growth and Development, which is lush with rough grass. Please tell us more about the works. I have always wanted to work with the theme of land. For example, it is our usual landscape where a mountain is suddenly dug up by a crane to build an apartment. How violent and startling are such landscapes? When I was driving in Gyeonggi-do Province, I often stopped my car to make drawings on such scenes. However, I only realized how difficult it was to put into practice as I started working on the subject. What I wanted to discuss was not the violence of human beings in destroying nature, but ultimately the energy of ‘surprise’ and ‘novelty.’ I made a lot of drawings but none were finished. Then I have witnessed the drastic changes in Korea, and such situations, and such language came into my practice and finished the series. The backdrop of yellow ground is a dug-up ground somewhere in Gyeonggi-do Province, which I intervened by adding the border line of 38th parallel to the empty land like an invisible icon to create unacquainted irony. Growth and Development series was produced after returning from France when I almost locked myself in to working. One day I went for a drive to Incheon Yeongjongdo Island with my son in the monsoon season to sketch. I drove to Yedanpo to head towards the coastal road, where I came across the weeds growing through the sidewalk blocks on an unfamiliar and desolate shore. With no presence of people, through the gaps in the sidewalk blocks the weeds grew as tall as people. Perhaps it was more impressive 51


프란시스 고야 Francisco Goya 전쟁의 참화 39번, The Disasters of War, No39 13.8×18.7cm, 1863

도블럭 사이로 잡초들이 자라고 있었어요. 사람들이 다니지 않는 길이라 잡초들이 보도블럭 틈새로 사람 키만큼 잡초가 자라 있는 거예요. 코로나로 인해서 모든 것이 정지되어 있는 것 같은 시점이어서 더 그 랬는지 모르지만 보도블럭이란 제약조건이 오히려 상대적으로 잡초의 생명력을 부채질했던 것 같아 매 우 인상적이었어요. 거기서 드로잉을 많이 했고 잡 초가 가진 생명력과 보도블럭 격자 사이로 뚫고 나 오는 에너지를 어떻게 표현할 수 없을까 고민을 많 이 했지요. 결국은 거창할지도 모르나 우리가 산다 는 것이 얼마나 수고로운 일이었는지, 청춘의 터널 을 지나는 과정이나 50대 중반을 지나고 있는 제가 투영되기도 하고 저의 아버지, 어머니 사이에서 태 어난 탄생에 대한 어떤 연민에 대한 생각으로 여러 이야기들을 불러온 작업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어느 날 거실에 빨래가 아무렇게나 널려 있는 빨래걸이에 서 교묘하게도 고야의 ‘전쟁의 참화’ 드로잉이 오버 랩 되는 경험을 했어요. 이 경험은 결국 ‘아주 오랜 기다림Ⅱ’라는 타이틀로 3부작으로 완성하게 되었어 요. 태어날 때부터 분단이었던 상황이 말하듯이 그 앞에서 끊임없이 시간을 감당하고 있는 존재들에 대 한 이야기입니다. 낯설게 마모되거나 기형적인 상황 들을 표현한 것입니다. 7. 기법적으로 달라진 새로운 시도나 변화가 있으 신가요? 어떻게 보면 2017년 갤러리현대 전시에서 종이를 철 솔로 긁어서 화면에 물성을 극대화 시키는 작업을

52

아주 오랜 기다림 Ⅱ A Very Long Wait Ⅱ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50×207cm, 2021

to me than usual because we were facing a time of coronavirus at the time, when everything seemed to have come to a halt, but the condition of sidewalk blocks seemed to have relatively fueled the vitality of the weeds. I have made many sketches there and have pondered on how to deliver the vitality of the weeds, and the energy of it sprouting out of the grids of sidewalk blocks. Though it may be grandiose, the work reflects various stories; on how it is painstaking to live,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tunnel of youth, a projection of myself passing mid-fifties, and the feeling of compassion for the birth born between my father and mother. And one day, on a laundry rack where laundry was randomly scattered, there overlapped Goya’s drawing of The Disasters of War. It was completed into the trilogy with the title of A long Waiting II. Born into the national division, it is about the beings who constantly endure time within the situation. It presents strangely worn or deformed situations. 7. Are there any new attempts or changes made regarding your techniques? In 2017 at Gallery Hyundai, I first presented the works which maximized the physicality of the screen by scratching paper with wire brush, which was a very satisfactory exhibition however which left me difficulties on how to work with details.

처음 발표했었는데, 제 개인적으로는 만족스러운 전 시였지만 한편으로는 디테일에 대한 문제를 어떻게 할 것인가가 저에게 주어진 숙제였어요. 결과적으로 표면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에 있어서는 성공적이었으나 자칫 표면 자체가 목적이 될 수도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사물의 둘레를 구성하 고 있는 디테일들을 유지해야 하는 난제를 안게 되 었지요. 그렇다보니 새삼스럽게 정물화도 그려보게 되고, 인물이나 풍경으로 확대 하면서 나름 표현의 카테고리에 갇히지 않으려고 노력하였지요. 어쩌면 표현의 방식을 좀 더 확장시키려 했다는 점에서 이 전과 차이가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8. 작품에 드러나는 화면의 거친 질감은 작가의 몸 의 에너지가 고스라니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는 데, 마띠에르가 가지고 있는 기법적 효과가 종이 에 스며드는 수묵과 어떤 지점에서 특별한 다른 개념을 전달할 수 있을까요? 그렇지요. 일단 여러 가지 실험 중에서 철솔로 종이 를 세우고 그 위에 호분을 바르고 드로잉 하는 과정 에서 어떤 경우에는 딱딱한 나무물질로 드로잉의 효 과를 내기도 했습니다. 마치 일필처럼. 경우에 따라 서는 이를 반복하면서 화면의 층위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는걸 알았지요. 작업을 하다 보니 그전에 했던 작업보다는 표면에 비비거나 딱딱한 물질로 화면을 긁는 횟수가 많아졌 어요. 이로 인해 물성의 변화를 만들어내고 붓이 아 닌 나무 등으로 계속적으로 긋기를 반복 하면서 숨 을 죽이고 그 위에 드로잉을 하고 이어서 요철을 만 들면서 마치 빗살을 긋듯이 작업을 반복했어요. 화 면이 떠있는 것이 아니라 천착해가는 과정을 만들어 내면서 디테일을 끌어낼 수 있는 부분들을 시도했습 니다. 그러다보니 간혹 물질과 내용 어딘가에서 ‘반 투명’하게 견디고 있는 화면을 발견할 때가 매우 흥 미로웠습니다. 9. 그간의 작품을 보면 삶속에 밀착되어 있지만 우 리가 미처 깨닫지 못하는 시점, 상황, 에너지가 충돌하는 긴장감을 느끼게 합니다. 이러한 작업 을 이어갈 수 있는 작가만의 철학, 세계관이 있 다면 말씀해 주세요.

I was successful in making the surface stand out, but with the danger of making the surface itself as the purpose, I needed to keep the details that make up the perimeter of the object. As a result, I studied still life and expanded into portraits and landscapes to not be limited in the category of expression. Compared to previous works, there lies a difference in expanding the way of depiction. 8. The rough details on the canvas seems to have solely reflected the artist’s physical energy. How does matière differ from the ink seeping into paper in its techniques as well as the concept it delivers? Yes, I underwent various experiments, in one I used hard wooden material for drawing on a paper prepared by scrubbing wire brush on paper with white wash on top, to five effects of drawing, as if I used one stroke of brush. I have also realized that repeating the process forms layers upon the canvas. The number of times I was rubbing the surface or scratching the screen with a hard substance increased as I continued working. I repeated the practice of holding my breath, drawing on top, then making rugged surface as if drawing the patterns of comb, not with brush but with trees which made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Drawings were not floating on the screen, but through a process of puncturing and carving in I aimed to strengthen its details. As a result, screens often existed ‘translucent’ between physicality and contents, which interested me very much. 9. Your previous works present tensions of the time, event and energy colliding which are closely attached within our lives but ones we are often unaware of. Please tell us about your philosophy, or an outlook on the world which allows you to continue such practice. There is not a specific point, however, the advantage of painting is it allows for various layers to be compressed

53


신문이 타는 ‘The Time’작업도 있지만 마치 고야의 ‘전쟁의 참화’가 오버랩 된 빨래널이의 형상성과 기 묘하게 기형적으로 존재하는 사물들 간의 관계를 통 해 시대가 감내하고 있는 시간성을 깨워내고 싶은 것인지도 모를 일입니다. 10. 사비나미술관에서의 이번 전시는 작가님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피터 브뤼겔 Pieter Bruegel The Blind leading the blind, 86×154cm, 1568

맹인을 이끄는 맹인 The Blind Leading the Blind 348×1030cm, 1999

구체적인 지점이 있다기보다는 회화가 가지고 있는 장점은 여러 레이어가 화면 안에 압축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영상, 영화와는 다른 부분입니다. 양 파껍질처럼 벗겨낼 때마다 또 다른 언어가 탄생하고 시간과 공간, 나의 심리, 사회적, 시대적 중층이 화 면 안에 쌓여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런 부분이 매 력적입니다. 명확한 답을 설정하고 작업한다고 생각 해본 적은 없으나 질문을 확장시켜 나간다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그렇게 보면 나의 작업은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보면 시간을 살고 있는 내 몸의 기록 같은 느낌을 받을 때가 있어요.

into a canvas. That is what makes it different to images and films. Like an onion, peeling its skin gives birth to another language, and time, space, personal psychology, social and periodic layers are deposited in the screen. I find such points interesting. I have not sought for a definite answer in my practice, but I have always strived to expand my questions. Looking back at my practice from the beginning up until now, it almost feels like a record of my body living the time.

제 작업에 있어서 일상성을 다루기도 하지만 시대를 반영하는 작업들이 1990년 첫 번째 개인전부터 일관 되게 이어지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첫 번째 개인전 에서 40m대작 ‘유적-토카타, 질주’도 그랬고, 1999 년 원서갤러리에서 발표했던 ‘맹인을 이끄는 맹인’ 시리즈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는 피터 브뤼겔의 맹 인을 이끄는 맹인으로부터 힌트를 얻은 작품이었지 요. 2014년 OCI미술관 개인전에서의 충무호산수 연 작에선 세월호 사건이 나의 그림의 여러 부분에서 깊숙이 개입하게 되었지요. 그러고 보면 각 시대마 다의 사건들은 간혹 내게 회화적인 질문을 하게 되 는 계기를 가져다주기도 했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I work with daily life, but have also continuously presented works which reflect the contemporary since my first solo exhibition in 1990; Remains-Tokata, running’ in my first exhibition, a forty meter blockbuster, and also the series ‘The Blind Leading the Blind’ first showcased at Wonseo Gallery in 1999 has reflected the era. It was a work inspired by Pieter Bruegel’s The Blind Leading the Blind. In the solo exhibition at OCI Museum of Art in 2014, the sinking of the MV Sewol disaster was embedded into the Landscape series depicting Chungju Lake. Events of the era have given me an opportunity to throw pictorial questions. Of course, there is the series of The Time with newspaper burning, but perhaps, just as how The Disasters of War

저는 개인적으로 은평구로 신축해서 이전한 사비나 미술관의 삼각형이라고 하는 공간에 매력을 갖습니 다. 삼각형의 공간이 가진 긴장감, 동선이 오는 일반 적인 사각형 화이트 큐브에서 나오는 인상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구상했던 대지, 시간에 대한 문제의 상상력은 일반 화이트 큐브 보다는 이 러한 공간 속에서 긴장감 있게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11. 마지막으로 학교에서 학생을 가르치면서 작업에 매진하기 어려운 환경일텐데 작업량이 무척 많 으세요. 어떻게 작업시간을 확보하고 어떤 작가 로 기억되고 싶은가요? 그런 질문을 가끔 받긴 하는데, 시간 나는 대로 작업 해요. 학교에선 선생으로서 집에선 남편으로서, 아빠 로서 여러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작업 시간을 가질 수 있지 않아요. 고무줄처럼 시간이 날 때마다 작업하는 수밖에 없어요. 그리고 저는 작가 로서 욕심 같아서는 시대가 지나도 나의 작업이 그 시대에 영감을 주는 작업이기를 희망합니다.

by Goya awakens the temporality endured by the times through overlapping the shape of the clothespin with the strangely deformed objects, focusing on their relationship. 10. How do you find your exhibition at the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I personally find the newly-built architecture of the Savina Museum in Eunpyeong-gu – especially its triangular space – very attractive. Triangular space holds a different tension to the typical rectangular white cube, and also makes the flow of human traffic inside the space very different. The space seemed to amplify the tensions of my imaginations on the issues of land and time which I have portrayed in my works. 11. You are a prolific artist despite your teaching position at school which would not allow you to solely focus on your works. How do you schedule time for your work, and how would you like to be remembered as an artist? I often receive those questions; I work whenever there is time. As a teacher at school, a husband and father at home, the various roles which I hold leaves my schedule very tight. I work whenever I can, as time is to me like a rubber band. As an artist, I hope my works will continue to inspire the times after mine.

유적-토카타, 질주 Remains-Toccata, Running Black-ink and coloer on Korean paper, 265×3923cm, 1991

54

55


Sea,낙산에서 Sea, At the Naksan Black Ink on Korean Paper 38×52cm, 2014 56

니가타 해변의 비 Rain on the Niigata Sea

Black ink on Korean paper 40×73cm, 2017 57


당신의 마음 1 Your Mind 1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4×148cm, 2018 58


당신의 마음 2 Your Mind 2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4×148cm, 2018 60

당신의 마음 3 Your Mind 3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4×148cm, 2018 61


당신의 마음 4 Your Mind 4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4×148cm, 2018 62

당신의 마음 5 Your Mind 5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4×148cm, 2018 63


생.장 - 청춘 Growth and Development - Youth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7×220cm, 2020 64

65


생.장 Growth and Development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5×223cm, 2020 66

생.장 - 나 Growth and Development - Me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5×223cm, 2020 67


예단포에서 On the Yedanpo Black Ink on Korean Paper 38×54cm, 2020 68

생.장 - 나의 탄생 Growth and Development - My Birth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84×206cm, 2020 69


어떤 만찬 Some Dinner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7×150cm, 2018 70

71


어떤 만찬 Some Dinner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4×295cm, 2019 72

73


어떤 경계 Some Boundaries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50×160cm, 2018 74

어떤 경계 Some Boundaries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4×295cm, 2019 75


어떤 경계 - 뉴욕타임즈 Some Boundaries - New York Times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48×270cm, 2019

76

77


어떤 경계 Some Boundaries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48×270cm, 2018 78

79


매향리의 밀물을 위한 For The Tide of Maehyang-ri Black Ink on Korean Paper 26×37cm, 2019 80

매향리의 밀물 The Tide of Maehyang-ri Ink and Color on Korean Paper 205×325cm, 2019 81


82

83


자화상 Self-Portrait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72×49cm, 2019 84

85


유별난 시간에 두께를 더하는 일 -

Adding depth to a peculiar time –

유근택의 근작에 대해

on Yoo Geun-Taek’s recent works

고원석 서울시립미술관 전시과장

Wonseok Koh

유근택의 작품에 대한 글은 장르와 형식상의 특성을

Yoo Geun-Taek’s works have often been reviewed in focus of genre and formal qualities. Ryu Cheolha’s description – ‘crossing the boundaries of ink and color, the daring brushstrokes and bold composition maximizes the power of the medium’ – effectively summarizes Yoo GeunTaek’s oeuvre from a formalist perspective. Toshiaki MINEMURA’s vital description of Yoo’s works – ‘his works always hold an unusual energy, which is alike the wriggling of an insect, sprawling and going about amid the normal living space,’ – approached the images highlighting the poetic elements within the form of his works, and has staged his oeuvre on an interesting level. Such modifiers have impact, as Yoo’s practice is based on the traditional medium of ink, yet surpasses its formal traditions to present aesthetics of everyday life and acquired new pictoriality, and thus have left a clear trajectory in the currents of contemporary Korean art.

중심으로 하는 것이 많았다. ‘수묵과 채색을 넘나들 며 강력한 필선과 대담한 구성으로 매체의 힘을 극 대화시킨다’는 류철하의 설명은 그런 형식적 관점 에서 유근택의 작품세계를 효율적으로 요약하고 있 다. ‘평범한 생활공간의 한복판으로부터 뒤흔들고 일 어나 기어다니는 곤충의 꿈틀거림 같은, 평범하지 않은 생기가 그의 작품에 항상 머무른다’는 미네무 라 도시아키의 생동감 넘치는 묘사는 작품의 형식에 내재한 시학적 특징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전제하 며 이미지에 접근함으로써 그의 작품세계를 흥미로 운 층위로 위치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수식이 무게 를 갖는 것은 수묵이라는 전통매체를 기반으로 하되 형식적 전통성을 초월하여 일상의 미학을 전유하며 새로운 회화성을 획득해 온 유근택의 작품세계가 동 시대 한국 미술의 흐름에서 분명한 궤적을 남겨왔기 때문일 것이다. 사실 미네무라 도시아키의 글은 그러한 형식적 묘사 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용이하지 않은 언 어적 소통에도 불구하고 작가의 깊은 내면 속 회화 적 태도를 언급하고 있다. 그는 (그 그림자를 과도하 게 드리우지 말 것을 경고하며) 조르조 데 키리코의 미학을 거론하면서 그의 그림에 드리운, 현실 세계 에 오버랩되는 초현실주의적 특징을 언급한다. 유근택이 ‘징글징글하다’고 말하는 현실은 유근택의 수많은 회화의 그림자들이다. 그의 회화가 오랜 시

Chief curator and Head of Exhibition Division, Seoul Museum of Art

MINEMURA’s words are not only limited to formal descriptions. Despite the language barriers, he touches upon the painterly-attitude core to the artist. He (he warns not to over-draw the shadow) mentions Giorgio de Chirico’s aesthetics and speaks of the surrealistic characteristics shadowing his work which overlaps with the real world.

할 영역이다. 그 관계라는 것은 유근택의 표현이 암

86

14 Beginning of the World

Black ink and powder of white on Korean paper 200×212cm, 2009

말하는 벽 Speaking Wall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0×180cm, 2014

시하듯 항상 녹록한 것만은 아니었으며 쟁투와 화해 가 반복되는, 말 그대로 징글징글한 무엇이었을 것 이다. 이번 개인전에서 유근택은 최근 3년여간 창작한 작 품들을 집중적으로 선보인다. 3년이라는 시간 자체 는 그다지 특별할 것이 없지만 이 전시의 출품작들

간 현실과 맺어온 관계는 그의 형식적 특징에 대한 분석에 비해 앞으로 더 많이 연구되고 해석되어야

his numerous paintings. The long relationship between his paintings and reality is an area which needs to be further studied and interpreted in the future compared to the studies of his formal characteristics. As Yoo implies, the relationship was not always an easy thing; a repetition of strife and reconciliation, it would literally make one ‘fed-up.’

The reality which Yoo Geun-Taek notes as ‘fedup’ is equivalent to the numerous shadows of

이 걸쳐 있는 3년은 전혀 다른 시간이다. 이 시간은 남북 분단의 역사 중 이례적으로 자주 열린 정상회

This solo exhibition presents new works by Yoo Geun-Taek, especially those created within the past three years. There is no significance to the number of years, however the times of the past three years have been very different, which the works in this exhibition span across. It was an unusual time when the summit held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Korea had been the most frequent since the national division, spouting political expectations and old hopes only to have them subsided to a disappointment; subsequently, it was a time interspersed with the COVID 19 pandemic which created a surreal landscape where daily movements were restricted and all the people on the street wore masks. Perhaps, as the artist is accustomed to finding the themes of his works from an ordinary reality, would it not have triggered his sensitivity differently towards absorbing this transcendental reality? For him, who seems to have preferred layered and recursive temporality, the sensation of current time may have been completely different. Among the new works presented in this exhibition, the first to catch one’s eyes are the newspaper series laid out on the table, either partly or fully burnt. Yoo has not preferred using materials which could limit the layered attributes inherent to his works. Therefore, the

87


담이 내뿜은 전시적 효과와 묵혀 두었던 기대가 분 출되었다가 실망으로 가라앉은 시간이며, 뒤이어 일 상적 이동이 금지되고 거리의 모든 사람들이 마스크 를 쓰고 있는 초현실적 풍경을 만들어 낸 코로나 19 팬데믹 현상으로 점철된 시간이었던 것이다. 일상적 현실에서 작품의 주제를 찾아내는 것에 익숙 한 작가라면 이러한 초현실적 상황을 받아들이는 예 민함이 평소와 다르게 작동하지 않았을까? 특히 중 층적이고 순환적인 시간성을 선호해온 것으로 보이 는 그에게 이 시간의 감각은 완전히 다른 것은 아니 었을까? 이번 전시에 선보인 신작들 중 먼저 눈에 들어오 는 것은 탁자 위에 놓인, 일부 혹은 전부가 불에 탄 신문 연작이다. 사실 유근택은 그의 작품에 내재하 는 중층적 속성에 제약을 가할 수 있는 소재를 선호 하지 않았었다. 때문에 이렇게 상징성이 강한 대상 을 제재로 한 연작의 탄생은 그에게는 상당히 새로 운 이미지 실험의 결과인 셈이다. 코로나 19가 급속 도로 전세계로 확산되며 해외 이동이 금지되기 시작 하던 기묘한 시점에 프랑스의 작가 레지던시 프로그 램에 참여하게 된 유근택은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국내외 뉴스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 에 없었다. 매일 쏟아지는 새로운 소식이 지속적인 기대를 배반하며 마치 들불처럼 전세계로 번지는 것 같았다고 기억하는 당시의 상황과 심상이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몇 종의 신문들이 타들어가는 이미지 로 표현되었다. 직사각형의 테이블 위에 비슷한 비

birth of a series which utilizes medium with a strong symbolism, is the result of a fairly new image experiment for him. Invited to participate in a residency in France at the peculiar time when COVID 19 began rapidly spreading throughout the world, Yoo had to pay attention to national and international news to keep up to date with the fluctuating situations. It was like a wildfire burning across the world – new updates showering day by day deceiving the hopes continuously – which Yoo expressed with images bur ning newspapers, those commonly encountered, to present the state of affairs and the state of one’s mind which he remembered. On a square table, the ashes of newspaper which are aligned in the rectangle of similar proportion seem to directly present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disaster, at the same time, it also seems to be a metaphor of the reality; the brilliant civilization of mankind which has been built up through long history but has fallen swiftly and disastrously in the rise of epidemic. The form of fire, unrealistically burning away aligned, burns the traces of the text at first glance and replaces the properties of words as symbols to nonsens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the form of a newspaper that has been burned down to ashes shows the process and speed of transition from a familiar reality to a surreal landscape that has been completely removed.

럼 보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오랜 역사를 통해 쌓아 온 인류의 찬란한 문명이 전염병의 유행 앞에서 신 속하고 처참하게 실패하고 있는 현실을 은유하고 있 는 것 같기도 하다. 일정한 줄을 이루며 비현실적으 로 타들어가고 있는 불의 형태는 언뜻언뜻 보이는 텍스트의 흔적들을 고르게 태워버리면서 기호로서 의 문자의 속성을 무의미한 형식의 물성으로 치환시 킨다. 특히 전소되어 재만 남은 신문의 형태는 익숙 한 현실로부터 완벽하게 탈각된 초현실적 풍경으로 전환되는 과정과 그 속도를 보여준다. 88

책이 보이는 넓은 땅 위에 놓여 있는 신문을 그린 작

Depictions of burning newspapers on the table hold a different atmosphere to Some Border – New York Times (2019), which depicts newspaper on a vast ground where barrier fences are seen afar. Former presents the unusual and helpless situation of pandemic which the artist witnessed in a straightforward symbolic system, and the latter – a burning New York Times laid on a rough ground – seems to imply the time where personal thoughts have overlapped, whose emotional states have fluctuated by the reality

of national division, delivered in the language of various media.

품 <어떤 경계-뉴욕타임즈, 2019>와는 사뭇 다른 느 낌을 준다. 전자가 팬데믹이라는 특수하고 무력한 상황에 대한 작가의 목도를 다분히 직설적인 상징체 계로 보여준다면, 타들어가고 있는 실제 뉴욕타임즈 가 거친 대지 위에 놓인 후자는 분단이라는 현실이 전파되는 수많은 매체의 언어들과, 그것에 의해 어 떤 식으로든 출렁이는 감정적 상태를 겪을 수밖에 없었던 개인의 상념들이 중첩된 시간을 암시하는 듯 하다. 유근택이 그리는 많은 풍경화들은 다분히 감정 과 태도가 두드러진 풍경들이다. <매향리의 밀물> (2019)에서 밀려들어오는 바닷물결이 마치 거친 돌로 가득 찬 황무지가 융기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 이나, <당신의 마음>(2018) 연작에서 낮과 밤의 구분 이 안되는 어두운 해변에서 좌우 대비 매우 길게 펼 쳐지는 공간의 상하비례를 취하는 것은 익숙한 장소 에서 생경한 풍경을 잡아낸 작가의 예리한 시선을 드러낸다. 한편 <파도>(2020) 연작이나 <어떤 경계> (2018) 연작 일부에서는 아득한 풍경의 끝자락에 가 로로 드리워진 철책선이 보이는데, 이는 거의 유일 한 분단국가에 살고 있는 한국인에게 이러한 철책이 하나의 상징이자 기호로 작동하는 현실에 대한 작가 의 복잡한 감정을 표현한다. 최근 종종 망각한 채 살 아가게 되는 분단의 현실 하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복잡한 감정의 축적을 다시 느끼게 하는 자 극적인 일들이 많았다. 유근택은 분단이라는 한반도 의 현실이 일상에 행사하는 구체적인 영향력을 자기

례의 직사각형으로 깔려 있는 신문의 재는 재앙이라 는 동시대적 상황을 즉물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처

타고 있는 신문이 탁자 위에 놓여있는 작품들은 철

자신도 늘 구체적으로 느끼고 있었지만 그것을 쉽 게 회화로 표현하는 것은 주저했다고 말한다. 특정 한 기호가 회화의 다층적인 해석의 층위를 협소하게 만들어버리는 것을 늘 경계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Many landscape paintings by Yoo Geuntaek present landscapes where emotions and attitudes are prominent. Yoo captures the unfamiliar landscape in a familiar place with his sharp gaze; in The Tide of Maehyang-ri (2019) he portrays the waves of the sea appear as if a wasteland filled with coarse stones is rising in; in the series Your Mind (2018), he depicts a dark beach where day and night cannot be distinguished, which is vertically elongated yet proportional. On the other hand, barrier fences are hung horizontally at the end of distant landscapes in some of the Wave (2020) series or the Some Boundaries (2018) series; such expresses artist’s complicated feelings towards the reality of Korea as the only divided nation, where barrier fence act as a symbol and sign.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provocative events that brought up the complicated layers of feeling on the surface, which has formed for a long period of time under the reality of often forgotten division. Yoo has always felt the specific influence which the reality of the division of Korea has on daily life, however he has hesitated to present them simply through painting. This is because he has always been wary of narrowing down the layers of multi-layered interpretations in the use of a particular symbol. However, in this exhibition, he presented the barrier fences on the sides of the open ground, and presented the reality of the division which triggered political incidents in the past few years.

이번 전시에서 그는 넓게 펼쳐진 대지의 한편에 철 책선들 그리면서 지난 몇 년간 여러가지 감정을 안 겨준 정치적 사건과 그것이 가능했던 근거지로서의 분단의 현실을 표현했다.

Yoo’s sketches which capture landscapes are casual and persistent at the same time. From unfamiliar depictions of everyday spaces, and to a scale of land in view in the angle of drone footage, his sketch encompasses a variety of

89


풍경을 포착하기 위한 유근택의 사생은 일상적이 면서도 집요하다. 그의 사생은 익숙한 일상의 공간 주위를 생경하게 구현한 것들부터 드론을 띄워 보 는 것 같은 앵글과 스케일의 대지까지 다양한 장소 를 거침없이 포괄한다. 보도블럭 사이를 뚫고 자라 는 잡초가 무성한 도시의 어느 구성을 배경으로 하 는 <생.장>연작은 장소의 속성이 거의 제거되어 있는 공간이다. 이번 전시에 처음 선보이는 이 연작은 화 면을 빽빽하게 채운 잡초들이 불편한 배경을 이루고 있고, 그 가운데 인물이나 정물이 등장한다. 쓰러져 있는 자신과 서 있는 자신이 동시에 등장하고, 오래 된 흑백사진 속 가족이 우거진 풀 사이에 놓여있기 도 하며, 불타는 책이 놓인 나무탁자가 놓여있기도 하다. 버려진 땅 위의 잡초들과 같이 지극히 일상적 인 현실과, 그것을 초월하는 초현실적 요소들이 공 존하고 있는 것이다. 화면을 가득 채운 탁자 위에서 여러 상황이 연출되 는 연작은 이전 전시에서도 종종 등장했던 작품들이 다. 널찍한 탁자 위에 만찬을 위한 그릇과 술잔 등이 번잡하게 놓여있는 <어떤 만찬> 연작에서 현실은 전 혀 이질적인 배경의 장소에 놓여있는데, 특히 어느 한 구석에 비현실적 스케일로 변형된 일상의 오브 제는 지금의 이 순간을 초현실의 상황으로 변모시킨 다. 또한 탁자 위 나무의 물결이 실제 물결로 오버랩 되고 그 위를 유유히 지나는 나룻배와 그 배에 축소 된 코끼리 등이 타고 있는 <아침> 연작의 상황 또한 탁자 위에 놓인 가장 일상적인 오브제들이 항변하는 현실성과, 그러한 현실성을 무화시키는 비현실성이 중첩된 것이다. 그 외에도 탁자 위에서는 다양한 상 황들이 펼쳐지는데, 이는 탁자라는 현실적 토대 위 에서 존재하고 사라져간 수많은 시간이나 기억, 감 정, 언어 등을 상상하게 한다. 여기에 최근의 현실이 라는 맥락이 더해지면서 이미지는 증폭된 감정의 파 장을 경험하게 한다. 중첩된 시간성은 전시된 다른 작품들이 발산하는 동시대적 현실의 느낌들과 공명 하면서 지금 우리가 처한 현실의 속성들을 자연스럽

spaces. Growth and Development series, set in the backdrops of a city where weeds have overgrown through the sidewalk blocks, presents a space where the attributes of a place are almost removed. The series is first shown in this exhibition, which presents a person or still life amongst the weeds which fill the canvas; there exists the fallen self and the standing self; family photograph of black and white laying amongst the lush grass; a wooden table with a burning book on top. Plain everyday reality just like weeds on abandoned land, and the surreal elements which transcend it coexist. The series, in which various situations are set onto a table which fills the whole canvas, are reminiscent of Yoo’s previous works. In Some Dinner series, in which the dishes and glasses for diner are crowded on a spacious table, reality lies in a very disparate background; in the corner of the canvas, the object of everyday life is distorted into an impossible scale, and turns the moment into a surreal situation. Also, in the series of Morning, in which the waves of trees on table overlap with actual waves, along with a downsized elephant riding the boat on those waves, again presents the reality which most ordinary objects appeal against, and overlaps unreality that negates reality. Furthermore, a set of circumstances unfold on the table, which is reminiscent of time, memory, feeling, language which has existed on the basis of reality, the table. With the context of recent reality added, the image invites one to experience an amplified wave of feelings. The overlapped temporality echoes with the concurrent spirits of other exhibited works, to make us naturally ponder on the qualities of reality.

이번 전시에 등장하는 유근택의 작품들은 실재하는 장소지만 장소성이 제거되어 일종의 초현실적 배경 처럼 보이거나, 장소성을 원래 갖지 않는 중립적 공 간이 어떤 장소의 속성을 부여받은 배경으로 기능하 는 것들로 구분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한 배경적 맥락은 현실을 초현실처럼, 관념을 실재처럼 구성하 는 유근택 작품의 교차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유근택의 작품은 일상적 풍경 속에 개인의 서사들이 중첩되어 있고, 그 서사 속에 역사나 사상, 혹은 거 대한 흐림의 단편들이 불쑥불쑥 튀어나오거나 은밀 하게 드러나는 것들이 많았다. 이번 전시의 작품들 은 그러한 특징을 일관되게 유지하지만 동시에 매우 특별한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에 이전과는 다 른 밀도가 존재한다. 특히 이번 전시의 작품들에서 현실과 초현실이 교차하는 맥락이 유난히 두드러지 는 것은 결국 특별한 상황들이 유독 많았던 지난 수 년의 시간과 경험이 강렬하게 투영되어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유근택의 회화는 결론을 정의하지 않는다. 그의 회 화에는 일상에 가해지는 알 수 없는 조건들에 대한 대답을 찾기 보다 그 모름을 있는 그대로 수용함으 로써 삶의 복잡성을 포용하려는 작가의 태도가 잘 드러난다. 시간이 순환하고 상념과 감정이 더해져 만들어낸 이 초현실의 장면들은 강박적으로 해답을 모색하는 동시대에 새로운 사유의 층위를 더한다. 그의 작품이 이 번잡한 시대에 더 깊은 정동을 이끌 어내는 것은 그가 제시하는 태도와 의미가 부박한 시대를 좀 더 풍부하고 두꺼운 것으로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Yoo’s works in this exhibition either presents a surreal backdrop, which is a place existent in reality removed of its sense of place, or a backdrop of a neutral space – originally without a sense of place – given a property of a place. Such context of backdrops features how Yoo crossovers reality as surreal, and idea as existent being. Individual narratives are overlapped within a daily scene, and in the narratives appear history, ideology, or fragments of huge currents, which would either pop up or be covertly revealed in Yoo’s works. The works in this exhibition consistently maintain such nature, however having set in a very special time, there exists a different density. The intersecting context of reality and surreal is evident in this exhibition, as the works embrace the times and experiences of the last few years met with peculiar situations. Yoo Geun-Taek’s paintings do not outline conclusions. His paintings do not seek answers to unknown conditions in reality, but by embracing the unknown, the artist aims to tolerate the complexity of life. The surreal scenes which were made with ideas and emotions amongst the time circulating, adds a new layer of reason to the present-day which compulsively seeks for answers. His works are deeply moving within these intricate times as the attitude and meaning which he puts forward makes the frivolous era into something richer and thicker.

게 생각해보게 하는 것이다.

90

91


유근택 학력

1997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1988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현재

성신여대 교수

개인전

1997 당신이 있는 이곳에서,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2021 시간의 피부, 사비나미술관, 서울

2017 시간을 걷다, 성곡미술관, 서울

1994 금호갤러리, 서울

어떤 산책, 갤러리현대, 서울

유근택: Recent Works, 금호미술관, 서울

1991 관훈갤러리, 서울

2016 The Whole Gravity of Painting, Summoned, 타마미술대학교 미술관, 도쿄, 일본

주요 기획전

Breath of Life, 코리아 소사이어티 갤러리, 뉴욕, 미국

2020 오감도, 한국미술의 다섯풍경, 에이 라운지·Manarat Al

LIFE ON THE CORNER,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부산

Saadiyat, 아랍

2015 Everlasting Tomorrow, 포스갤러리, 베이징, 중국

뜻밖의 발견-세렌디피티, 사비나미술관, 서울

A Passage-창문 밖을 나선 풍경, 봉산문화회관, 대구

똥이 꽃이 되는 세상, 자하미술관, 서울

2014 끝없는 내일, OCI미술관, 서울

A Very Long wate, New Child Gallery, 벨기에

2013 풍·경, 두가헌갤러리, 서울

한양천도, 청주교대 미술관, 청주

2012 하루, 갤러리현대, 서울

강홍구&유근택-풍경산책, 누크갤러리, 서울

성장, 포스갤러리, 베이징, 중국

2010 갤러리분도, 대구

시대를 보는 눈,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9 바람의 향기, 매향리 스튜디오, 화성

Depiction of the Universe, 아트사이드 갤러리, 베이징, 중국

2009 만유사생(萬有寫生), 사비나미술관, 서울

시지프스의 땅, 에이 라운지, 서울

LA ArtCore Gallery, 캘리포니아, 미국

신소장품 2017-2018,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하늘∙사람∙땅, 해든뮤지움, 인천

2008 21+YO 갤러리, 도쿄, 일본

한국화, 新-와유기,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2007 삶의 피부, 동산방화랑, 서울

Disturbing Narrative, 싱가포르파크뷰미술관, 싱가포르

2005 21+YO 갤러리, 도쿄, 일본

2018 누크갤러리 살롱전, 누크갤러리, 서울

2004 장면과 사건 사이, 일상 너머 일탈의 서사,

니가타, 일본

Trahere 화가의 자화상,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파주

사비나미술관, 서울

2003 A Sence, 아트포럼 뉴게이트, 서울

풍경의 속도, 관훈갤러리, 서울

MEGA BRIDGE, 니가타 반다이지마구 해안가,

청람, 성북구립미술관, 서울

2002 동산방화랑, 서울

낙원의 이편, 안양박물관 특별 전시관, 안양

유유산수-서울을 노닐다, 세종문화회관, 서울

동풍, 관훈갤러리, 서울

2001 21+YO 갤러리, 도쿄, 일본

92

2017 그 집, OCI미술관, 서울

2000 제 19회 석남미술상 수상작가전, 모란갤러리, 서울

코리아 투모로우 2017: 해석된 풍경, 성곡미술관, 서울

1999 원서갤러리, 서울

페인팅쇼, 고양아름누리 아람미술관, 고양

93


Isualizing Today,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정물들의 변종,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성남을 걷다, 성남아트센타 큐브미술관, 성남

창원 아시아미술제, 셀프 카메라: 근대적 자아 자리 바꿔 보기,

2004 한국모더니즘 미술, 금호미술관, 서울

수상

성산아트홀, 창원

화가와 여행, 서울대학교박물관, 서울

2017 제1회 광주화루 작가상, 광주은행,

삶과 풍토, 대구미술관, 대구

울림, 학고재갤러리, 서울

운정의 향기,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

2009 제9회 하종현 미술상, 하종현 미술상운영위원회, 서울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16 유근택&이진원-자연을 바라보는 시선, 누크갤러리, 서울

2010 한국 드로잉 30년 1970-2000, 소마미술관, 서울

화향만리, 리빈갤러리, 부산

21 & THEIR TIMES, 금호미술관, 서울

작업실 리포트, 사비나미술관, 서울

2003 2003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연과 연 사이, 필갤러리, 서울

젊은 모색 삼십,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Mapp-Media Workshop, 모란갤러리, 서울

2000 제19회 석남미술상, 석남미술문화재단, 서울

자연, 그안에 있다, 뮤지엄산, 원주

Free Style: A Dialogue Between Art and Design, 홍익대학교

2003 진경-그 새로운 제안,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별별수저, 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 서울

현대미술관, 서울

서울, 생활의 발견: 삶의 사각지대를 보라, 쌈지스페이스, 서울

주요 소장처

사람과 사람 사이,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강진에서 청자를 만나다, 강진청자박물관, 강진

청계천 프로젝트-물 위를 걷는 사람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경기도미술관, 안산

Korea Now, 주헝가리 한국문화원, 부다페스트, 헝가리

한국현대미술의 역사의식 : 영원한 깜빡임, 하와이대학교미술관,

얼굴, 표정,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하와이, 미국

기운나는 이름-어머니, 문화일보 갤러리, 서울

금호미술관, 서울

집, 가갤러리, 서울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Contemporary East Asian Ink Painting, 타이베이시립미술관,

환경미술-물,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리움 삼성미술관, 서울

타이베이, 대만

동양화 파라디소, 포스코미술관, 서울

모란미술관, 남양주

2015 나는 불꽃이다, 서울首尔, 63아트 미술관, 서울

STOP, and SEE,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9 신호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봄·여름·가을·겨울을 걷다, 서울미술관, 서울

표정과 몸짓-소마미술관 소장품전, 소마미술관, 서울

몽중애상-삼색도, 자하미술관, 서울

My Way, My Work, 빛 갤러리, 서울

2002 여기, 있음, 인사미술공간, 서울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한국화의 경계, 한국화의 확장, 문화역서울 284, 서울

Korea on The Rocks, 아트 시즌 갤러리, 취리히, 스위스

사비나미술관, 서울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Ⅱ, 사비나미술관, 서울

Cross Animate, 코리아나미술관, 서울

2014 우리가 경탄하는 순간들, 산샹당대미술관, 항조우, 중국

개, 사비나미술관, 서울

2001 창원 오딧세이, 성산아트홀, 창원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8 정형에 도전한다, 인터알리아, 서울

수묵의 향기, 수묵의 조형: 한·중·일 현대수묵화전,

성곡미술관, 서울

East Bridge, 798아트팩토리, 베이징, 중국

그림의 대면, 소마미술관, 서울

수묵의 조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

정원,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아트인부산 2008 : 돌아와요 부산항에,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내가 만난 사람들, 금산갤러리, 서울

소마미술관, 서울

사유로서의 형식-드로잉의 재발견, 뮤지엄산, 원주

봄날은 간다,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외 다수

전등사, 인천

2013 한국미술 대항해의 시대를 열다!,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2007 Hommage 100, 코리아아트갤러리, 부산

중국서안외교관, 중국

House & Home,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제3회 청두비엔날레, 청두현대미술관, 쓰촨성, 중국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신 몽롱주의, 동경화랑, 베이징, 중국

비욘드 아트 페스티벌: 미술의 생존과 실존,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청두현대미술관, 청두, 중국

Awful Landscape, Force Gallery, 베이징, 중국

그림 보는 법, 사비나미술관, 서울

화이트 래빗 컬렉션, 호주

진경, 眞鏡, OCI미술관, 서울

아시아 현대미술 프로젝트: City-Net Asia,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OCI미술관, 서울

한국화 1953 - 2007,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2 한국의 그림-매너에 관하여, 하이트 컬렉션, 서울

코리아 투모로우 2012, 한가람미술관, 서울

2006 잘 긋기, 소마미술관, 서울

미술의 생기,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GROWTH, Force Gallery, 베이징, 중국

2005 한-중 현대수묵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풍경의 발견, 신세계갤러리, 서울

일상의 울림, 박수근미술관, 양구

순간의 꽃, OCI미술관, 서울

먹의 바람, 경기도미술관, 안산

2011 서울, 도시탐색,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자연을 담은 풍경, 충무아트센터 갤러리, 서울

94

한-중 현대수묵, 의재미술관, 광주

95


YOO GEUN-TAEK EDUCATION

1997 M.F.A. Hong-ik University 1988 B.F.A. Hong-ik University Professor of Painting Department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LECTED SOLO EXHIBITIONS

2003 A Scene, Artforum Newgate, Seoul, Korea

2021 Layered Time,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2002 Figure – The Internal Reason: Drawing for

Art, Seoul, Korea

Velocity of Landscape, Kwanhoon Gallery, Seoul, Korea

Promenade, Gallery Hyundai, Seoul, Korea

The Blue,Seong Buk Museum of Art, Seoul

East Wind, Kwanhoon Gallery, Seoul, Korea

This Side of Paradisem, Special Exhibition Hall,

2016 Yoo Geun-Taek, 21yo-j gallery, Tokyo, Japan

The Whole Gravity of Painting, Summoned,

2000 Yoo Geun-Taek, The 19th Suk Nam Arts Award

Tama Art University Museum, Tokyo, Japan

Exhibition, Moran Gallery, Seoul, Korea

Breath of Life, The Korea Society Gallery,

1999 Yoo Geun-Taek, Wonseo Gallery, Seoul, Korea

New York, USA

1997 Yoo Geun-Taek: Recent Works, Kumho Museum of

2014 Everlasting Tomorrow, OCI Museum of Art, Seoul,

2012 The One Day, Gallery Hyundai, Seoul, Korea

The Moment, We Awe: Korean Contemporary Art, Sanshang Contemporary Art Museum, Hangzhou, China

Reading, 798 Art Factory, Beijing, China 2013 We, Now Here: Today’s Korean Painting_Selfreflection and Self-awareness, Gallery Santorini Seoul, Seoul, Korea

Variants of Objects, Daejeon Museum of Art

2020 Ogamdo:5 Scenes of Korean Art, A-Lounge·Manarat

Eating Tools, Nam-Seoul Living Arts Museum, Seoul,

Serendipity,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Art, Seoul, Korea

2005 Yoo Geun-Taek, Millennium Gallery, Beijing, China

Artists in Their Times,National Museum of

Singapore

Jeju, Korea

KOREA TOMORROW 2012, Hangaram Art Museum,

Land of Sisyphus, A-Lounge, Seoul, Korea

Same Difference, Yoo Geun-Taek & Lee Kwang-Ho, STOP, and SE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Seoul, Korea

Flower in the Moment, OCI Museum of Art, Seoul, Korea

Discovery of Landscape, Shinsegae Gallery, Seoul, Korea

Walking in the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GROWTH, Force Gallery, Beijing, China

Seoul Museum, Seoul, Korea

Manner in Korean Paintings, HITE Collection, Seoul,

Beyond the Borders, Culture Station Seoul 284, Seoul, Korea

2019 Disturbing Narratives,The Parkview Museum,

2004 Between Scenes and Events, A Deviation Beyond

Daegu Art Factory, Daegu, Korea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Korean Art: An Age of Grand Navigation, Busan Museum of Art, Busan, Korea

Space BM, Seoul, Korea

Modern and Contemporary Art(MMCA), Gwacheon, Korea

Zaha Museum, Korea

Gallery, Seoul, Korea

2007 Skin of Life – Drawings on the Diagonal Lines that

Jeju, Korea

2012 Manner and Landscape – The Vitality of Art,

Kang Hong Ku,Yoo Geun Taek ‘A Scenic Walk’ Nook

house & home: Finding Myself, Jeju Museum of Art,

Between People and People, Jeju Museum of Art,

2015 The Flame of Seoul, 63 Art Museum, Seoul, Korea

Real Landscape, True Reflection, OCI Museum of

Korea

A World in Which Poop Becomes a Flower, A Very Long wate, New Child Gallery, Belgium

Awful landscape, Force Gallery, Beijing, China

Neo-Mōrōism, Tokyo Gallery + BTAP, Beijing, China

Museum, Seoul, Korea

Al Saadiyat, Arap

The East Bridge: In the Absence of Avant-Garde

Korea Tomorrow, Narrative Landscape, Sungkok Art

Being in Nature, Museum SAN, Wonju, Korea

2008 Yoo Geun-Taek, 21+Yo Gallery, Tokyo, Japan

the Routine,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Isualizing Today, Hongik Museum of Art, Seoul, Korea

Yoo Geun-Taek, LA Artcore Gallery, Los Angeles,

Yoo Geun-Taek, 21+Yo Gallery, Tokyo, Japan

Korea

USA

Museum SAN, Wonju, Korea

The Red Brick House, OCI Museum of Art, Seoul,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09 Depiction of the Universe, Savina Museum of

Sustain Me, Dongsanbang Gallery, Seoul, Korea

A Form of Thinking – Rediscovery of Drawing,

2016 Ways of Seeing Nature, nook gallery, Seoul, Korea

China

1991 Yoo Geun-Taek, Kwanhoon Gallery, Seoul, Korea

Depiction of the Universe, Artside Gallery, Beijing,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Goyang, Korea

1994 Yoo Geun-Taek, Kumho Gallery, Seoul, Korea

2010 Yoo Geun-Taek, Gallery Bundo, Daegu, Korea

2017 The Painting Show, Goyang Aram Nuri Arts Center,

Kwanhoon Gallery, Seoul, Korea

Korea 2013 風·景, Gallery Dugahun, Seoul, Korea

2014 Garden, MMCA, Seoul, Korea

Trahere, Art Center White Block, Paju

1996 The Power of Everyday Life, Reform an Experience,

A Passage – The Scenery outside the Window, Bongsan Cultural Center, Daegu, Korea

Anyang Museum, Anyang, Korea

Art, Seoul, Korea

Life on the Corner, Shinsegae Gallery, Busan, Korea

2015 Everlasting Tomorrow, Force Gallery, Beijing, China

Museum, Niigata, Japan

Yoo Geun-Taek, Dongsanbang Gallery, Seoul, Korea

2001 Yoo Geun-Taek, 21+Yo Gallery, Tokyo, Japan

of Art, Daejeon, Korea 2018 Water and Land Niigata Art Festival, Northern Cultule

Grandmother, Gallery Doll, Seoul, Korea

2017 A Walk Through Time, Sungkok Art Museum, Seoul, Korea

Hanguk-Hwa,Mindful Landscape, Daejeon Museum

Korea 2011 The Harmony – The More, The Better, Gallery Maum,

Artist’s Portfolio 2,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New York, USA

Seoul, Korea 96

97


Nature, Life, Human, Daegu Art Museum,

Daegu, Korea

Seoul, City Exploration, Seoul Museum of Art,

2007 Beyond Art Festival,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Korea

Seoul, Korea

Self Camera: Repositioning Modern-Self, Sungsan

Korean Avant-Garde Drawing: 1970-2000, Seoul

Gangjin Celadon Art Project 2010_Meeting

Celadon at Gangjin, Gangjin Celadon Museum, Gangjin, Korea

Hongik Museum of Art, Seoul, Korea

Form, Idea, Essence and Rhythm: Contemporary

Taipei, Taiwan

One Fine Spring Day,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Korea

Inter_viewing Paintings, Seoul Olympic Museum of

Art Prize Committee, Seoul, Korea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jong, Korea Cultural Foundation, Seoul, Korea

Seoul, Korea

PUBLIC COLLECTIONS

Invigorating Name - Mother, Munhwa Ilbo Gallery,

Busan Museum of Art, Busan, Korea

Seoul, Korea

Chengdu Contemporary Art Museum, Chengdu, China

Face, Expression,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Korea

Daejeon, Korea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Korea

Environmental Art – Water, Seoul Museum of Art,

Jeju Museum of Art, Jeju, Korea

Seoul, Korea

Jeon Deung Sa, Incheon, Korea Kumho Museum of Art, Seoul, Korea

Seoul, Korea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Korea

Here, Is, Insa Art space, Seoul, Korea

Moran Museum of Art, Namyangju, Korea

Yanggul, Korea

Landscape Full of Nature, Chungmu Arts Center

2001 The Scent and Shape of Ink: Contemporary Ink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Painting of China, Japan and Korea, MMCA,

Korea, Seoul, Korea

Gwacheon, Korea

OCI Museum of Art, Seoul, Korea

of Art, Seoul, Korea

People I’ve Met, Keumsan Gallery, Seoul, Korea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New Trends in Traditional Paintings, Gyeonggi

2001 Odyssey, Sungsan Art Hall, Changwon,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Korea

Seoul Olympic Museum of Art, Korea

Ink Paintings of Korea and China, Seoul Museum

2004 Modernism Art in Korea, Kumho Museum of Art,

2002 The Dog,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Echo of Daily Life, Park Soo Keun Museum,

Museum of Art, Ansan, Korea

Art in Busan 2008: Welcome to Busan, Busan Museum of Art, Busan, Korea

Gallery, Seoul, Korea

East Asian Ink Painting, Taipei Fine Arts Museum,

Korea and China Ink Paintings Exchange Exhibition,

Korea

2008 Beyond Definition, Interalia Gallery, Seoul, Korea

Oriental Painting Paradiso, POSCO Art Museum,

Uijae Museum of Korean Art, Gwangju, Korea

Cross Animate, Coreana Museum of Art, Seoul, Korea

The House, Ga Gallery, Seoul, Korea

2005 Feng shui, Sungshin University Museum, Seoul,

Korea on the Rocks, Art Seasons Gallery, Zurich, Switzerland

2009 The 9th Ha Chong-Hyun Art Prize, Ha Chong-Hyun

2000 The 19th Suk Nam Arts Award, Suk Nam Arts and

Seoul, Korea

Korean Paintings 1953-2007, Seoul Museum of

Bank, Asia Culture Center, Gwangju, Korea

2003 2003 Today's Young Artist Award, Ministry of

Seoul, Korea People Who Walk on Water, Seoul Museum of Art,

2007, Korea Art Center, Seoul, Korea

Seoul, Korea

2009 Flare: A Brand New Start in Art, MMCA, Seoul, Korea

Life, Ssamzie Space, Alternative Space Loop,

2006 Drawn to Drawing, Seoul Olympic Museum of Art,

30th Anniversary of the Young Korean Artists, MMCA, Gwacheon, Korea

Discovery of Seoul Life – See the Dead Zone of

Hommage 100: Korean Contemporary Art 1970-

Art, Seoul, Korea

Free Style: A Dialogue between Art and Design,

2017 The 1st Gwangju Hwaru Artist Award, Gwangju

Contemporary Art Museum, Chengdu, China

Olympic Museum of Art, Seoul, Korea

Art, Seoul, Korea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The 3rd Chengdu Biennale, Chengdu

Korea

AWARD

2003 Real-scape Revisited, MMCA, Gwacheon, Korea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Atelier Report,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The Way of Seeing Art, Savina Museum of Asia Modern Art Project – City_net Asia 2007,

Art Hall, Changwon, Korea 2010 21 & Their Times, Kumho Museum of Art, Seoul,

Sungkok Art Museum, Seoul, Korea

Seoul, Korea

Sungshin University Museum, Seoul, Korea

Resonance: Aesthetics of Korea, Hakgojae Gallery,

White Rabbit Collection, Sydney, Australia

Seoul, Korea

Xian Diplomat, Xian, China

Artists on Journey,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Seoul, Korea

Art, Seoul, Korea

98

99


이 책은 아래 전시에 맞추어 출판되었습니다. This book was published on the occasion of the exhibition.

유근택

YOO, GEUN-TAEK 시간의 피부 Layered Time

2021. 2. 24 - 4. 18

Lee MyungOk

관장

이명옥

Director

학예실장

강재현

Chief Curator

Kang JaeHyun

객원 큐레이터

김명희

Guest Curator

Kim MyungHee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김승현

Assistant Curator Kim SeungHyun

한상익

인턴 큐레이터

고은상

Intern Curator

김형식

이경희

테크니션

박노춘

Technician

디자인

그루아트 이수현

Catalogue Design G-RU Art Lee Suhyun

번역

성지연

Translation

발행처

사비나미술관

Published by

발행인

이명옥

Publisher

Han SangIk

Ko EungSang Kim HyungSik Lee KyongHee

Park RohChoon Seong JiYeon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Lee MyungOk

이 책은 2021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창작산실의 지원을 받아 발간되었습니다.

This book was published with the support of “2021 ARKO Selection Visual Art”

이 책에 실린 글과 도판은 작가와 사비나미술관 동의 없이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not be reproduced or transmitted in any forms by any manners without prior permission from the Artist and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Sungshin Women's University Research Grant of 2020.

03310 서울시 은평구 진관1로 93 93, Jingwan 1-ro, Eunpye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03310 Tel. +82 2 736-4371 Fax. +82 2 436-4372 www.savinamuseum.com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