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영역
개선 과제명
부서명
개선사업계획 개선사업명
개선내용
기대효과
개선실적 ■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기존 복수전공, 부전공, 심화전공 이외에 융합전공운영을 위하여 융합 대학을 설립하였으며 공연예술 HUB, 미디어 융합, 4차 산업혁명 융합, 뷰티 융합의 4개 분야를 중 심으로 창의·융합형 실용 인재 양성을 위해운영 하였음
■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급변하는 사회수요에 대응하여 미래 ■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진 자기 주도적인 인재
개설 교과목의 다양성
융합전공 활성화
에 필요한 전공역량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됨
양성을 목표로 하며, 현장 중심의 체험형 교육과정을 통
■ 사회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유연한 교육체계 구축을
해서 문제 발견부터 기획, 설계, 제작, 문제해결까지 일
위하여 모집단위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나 2개 이상의 학과
련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함
(부)가 연계하여 개설 운영하는 융합전공 교육과정을 운영
■이론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겸비하고 주도적으로 목
■ 융합대학 신설(19년 8월) - 융복합 프로그램을 일관된 Theme로 통합관리하고, 문제해결형 교과목 운영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가상대학 형태의 독립적인 기관으로 신설 ■ 융합전공 운영(19년 신설) - 7개 전공, 120개 과목, 433명 이수
■ 융합전공 운영 활성화를 위하여 2019학년도에 융합대학 설 표를 설정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갈 인재를 양성할 수 있 립(2019.8.1)
으며 재학생에게 기존의 소속 학과 중심의 전공에서 벗 어나 폭넓은 전공 선택의 기회를 제공
■ 부·복수·다전공 제도 운영 현황 - 전공교육과정은 단일전공, 심화전공, 복수전공, 부전공, 융합전공, 연계전공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 되고 있음 - 최근 3년간 전공교육과정의 학생선택권 확대와 복수전공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통하여 부·복수· 다전공 이수 학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도록 노력하고 있음
■ 전공과목의 최저이수학점은 48학점으로 하나, 복수전공 이 교육
복수전공 이수 활성화
있으며, 복수전공 이수에 대한 기회 확대
과정 및
■ 복수전공 참여를 장려하기 위하여 이수 학점을 하향
복수전공 이수 활성화 수시 전공최저이수학점을 36학점으로 기준 완화하여 운영하고 조정을 함으로써 복수전공 참여애 대한 부담이 감소되 어, 복수전공 참여 확대 기대
교무과
학사 제도
■ 글로벌 관련 교양비율 16.5%
■ 외국어 능력 함양을 위해 교내 모의토익 시험 실시 - 정기 모의토익 시험 현황
■ 영어권 대학으로의 교류(방문)학생 파견 - 학점교류 협약 체결에 의해서 본교와 외국대학 모두에 등록하 글로벌 역량 교육 강화
영어권 대학으로의 교 류(방문)학생 활성화
고 외국대학에서 학점을 취득하는 방문학생 제도를 도입하였 음. 방문학생은 본교에서 일방 파견하며, 본교와 외국대학 간 상호 파견인원을 1:1로 조율하는 교환학생에 비해서 파견 인원 설정이 자유로우므로, 영어권 대학으로의 파견인원이 활성화
■ 외국대학과의 교류학생 확대 ■ 영어권 교류 활성화 ■ 국제교류 현황
될 것을 기대함.
■ Global Entrepreneurship 프로그램: 해외창업 사례학습 - 19년, 75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