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L MARKET REPORT
Ⅰ. NEWS
1. 중국, 성장의 양대 축 제조업·부동산 흔들린다
중국 경제가 5%의 성장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제조업 부진과 부동산 침체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골드만삭스 경제학자들은 1 일(이하 현지시각) 발표한 메모에서 중국의 재정 상태를 조사한 결과 연간
데이터가 올해 세금과 토지 판매 수익이 예산 규모에 미치지 못할 위험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들은 "약 5%라는 연간 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완화가 필요하다고 믿는다"라고
밝혔다 그들은 적자 목표의 상향 조정이 없고 정부 채권 발행을 위한 추가 예산이 없는 경우 정부
지출에 부담을 줄 것이라고 메모에서 주장했다
중국은 부진한 부동산 시장으로 인한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 제조업과 수출 엔진에 의존해 왔다.
하지만 구매자 관리지수(PMI)는 4 개월 연속 위축 국면을 보였다.
지난달 31 일 발표된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제조업 구매자 관리지수는 7 월 49.4 에서 49.1 로
하락했다 이는 경제학자들의 중간 예상치인 49.5 를 밑돈 수치다
이 지수는 2023 년 4 월 이후 3 개월을 제외하고는 계속해서 50 을 밑돌고 있다 이는 성장을 나타내는
50 과 수축을 나타내는 기준점 사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 최근 주택 판매 수치는 신축 주택 가격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인해 주거 침체가 심화되고 있음을 드러냈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는 17 조 달러(약 2 경 2763 조 원) 규모의 중국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최근 정부의 노력도 상황을 반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UBS 그룹과 JP 모건을 포함한 은행의 경제학자들은 올 해 중국이 5% 성장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며, 일부 전문가들은 경기 부양을 통해 시장 심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의 경제학자 창 수와 에릭 주는 메모에서 “중국 경제가 장기간의
Ⅰ. NEWS
골드만삭스 그룹의 경제학자들인 양 위팅과 앤드류 틸튼은 입력 비용과 출력 가격의 하위 지수가 8 월에 하락했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국가통계국 제조업 조사에서의 가격 지표는 디플레이션 압력이 상당히 증가했음을 시사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국가통계국의 분석가인 자오 칭허는 PMI 데이터에 동반된 성명에서 최근의 수축을 높은 온도, 강한 강우, 일부 산업의 계절적 생산 둔화로 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2. 원전 사고 딛고 'LNG
일본이 액화천연가스(LNG) 제국을 건설하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글로벌 LNG 선적의 4 분의 1 을 일본 해운사들이 장악했고, 일본
자국 금융사들의 지원을 등에 업고
동남아시아 등 세계 곳곳에 LNG 발전소와 항만 가스 인프라 등을 짓고 있다
2011 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탈원전과 함께 국가 차원에서 LNG 산업을 육성한 결과다.
일본이 2015 년 원전을 재가동하면서 자국 내 수요가 줄어들자 적극적으로 해외로 진출해 동남아시아
시장을 장악했다. 2022 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파이프라인 가스 비중이 줄고 LNG 시장이
급격하게 커지면서 일본의 LNG 생태계는 또 한번 크게 도약했다
한국이 원전 생태계를 되살려 체코에서 총계약 규모 24 조원의 원전 수주에 주력하는 동안 일본 기업들은 매출이 아닌 순이익으로 한 해 10 조원 이상을 벌어들이고 있다.
'LNG 왕국' 건설한 일본
2 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일본 주요 기업들은 천연가스 관련 산업에서 지난 3 월로 끝난 2024 년 회계연도에 최소 140 억달러(약 18 조 7000 억원)의 순이익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 미쓰이물산과
미쓰비시상사 등이 LNG 재수출과 트레이딩으로 약 46 억달러의 수익을 냈다. 현재 일본은 수입한
LNG 의 약 3 분의 2 가량을 소비하고 나머지 3 분의 1 이상은 해외에 재판매한다. 석유 시장에서
미국·유럽의 메이저 기업과 자원 중개기업이 하는 일을 LNG 시장에서 일본이 하고 있다는 얘기다. 직접 자원 개발과 투자에 나선 일본국제석유개발(INPEX)도 적지 않은 이익을 냈다
천연가스 개발과 트레이딩으로만 이익을 내는 게 아니다 일본 기업들은 LNG 선박 건조를 제외한 LNG 생태계 전반을 장악했다. LNG 운반선을 가장 많이 운영하는 해운사는 NYK 라인을 비롯한 일본 기업들이다. 일본 해운사들은 총 134 척(실질 소유권 기준)의 LNG 운반선을 확보해 중국(103 척)이나
Ⅰ. NEWS
그리스(87 척)를 따돌리고 최대 규모 선단을 운영하고 있다 글로벌 해운사 중 LNG 운반선을 가장 많이
보유한 곳은 미쓰이 OSK 라인이다 세계 LNG 플랜트 수주 1 위 역시 일본 지요다화공건설이며, LNG
발전소의 가스터빈 최대 공급업체는 미쓰비시중공업이다. 대우건설이 나이지리아에서 LNG 플랜트를
수주했고, SK E&S 가 호주 가스전에 참여하는 등 선전하고 있지만 LNG 업계에서만큼은 일본과의 격차가
크다
금융 부문에서도 공공에선 일본국제협력은행(JBIC)이, 민간 상업은행 중엔 미즈호파이낸셜이 LNG
업계의 가장 큰 자금 공급자로 지목된다 물론 이 때문에 주요 환경단체 등의 표적이 되고 있기는 하다
일본 없었다면 지금의 LNG 시장 규모 불가능
영토 내에 천연가스가 거의 없는 일본이 LNG 공급망의 허브가 된 데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결정적
계기가 됐다 일본은 국내 54 개 원자로를 전부 폐쇄하기로 한 뒤 사활을 걸고 미국, 호주, 중동을 돌며
가스전 지분을 확보하고 공급 계약을 따냈다. LNG 발전소를 짓고 항만 인프라도 확충했다. 2012 년부터
JBIC 등 공공기관이 LNG 시설에 약 400 억달러(약 53 조 5000 억원)의 대출을 지원했다
일본 정부가 예상보다 빠른 2015 년에 전격적으로 원전 재가동을 결정하면서 LNG 산업이 위기에
빠지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와 기업은 굴하지 않고 합심해 동남아시아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동남아시아 각국에 LNG 수입 터미널을 짓고, 민자 발전사업을 벌이는 등의 선제적 투자 사업을 벌였다 기반 시설을 한 번 건설해 놓으면 지속해서 이익을 낼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렸다 자원 개발권·인프라 등
지분도 닥치는 대로 매입했다 일본 정부는 공기업 석유천연가스·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가 일본
내 공급과 무관한 프로젝트에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신흥국 정부 관계자를 초청해 정보를 제공하고 관광도 시켜주는 등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일본의 시장 확대 전략은 때마침 미국의 천연가스 수출 드라이브와 맞물려 글로벌 LNG 시장이 빠르게 팽창했다 피터 콜먼 호주 우드사이드에너지 전 대표는 블룸버그통신에 "일본은 끊임없이 시장을 다각화하고 확대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일본이 없었다면 LNG 산업은 지금과 같은 위치에 있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에너지경제재정분석연구소(IEEFA)에 따르면 일본 기업들은 현재 대만을
비롯해 방글라데시,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태국, 베트남 등에서 30 개 이상의
당분간 LNG 시장 더욱 확대될 전망
배출 저감을 위해 전 세계가 노력하고 있지만 LNG 발전은 당분간 확대될 전망이다 가장 많은 오염원을 내뿜는 석탄 화력 발전소를 대체하는 게 시급하며, 천연가스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기
Ⅰ. NEWS
때문이다 세계 최대 LNG 공급국인 미국은 이번 10 년 동안 LNG 수출을 두 배로 늘릴 예정이다 독일은
탈원전 정책으로 더 많은 가스 발전소를 건설하고 있고 중국과 인도 역시 석탄발전소 대신 천연가스
발전소를 짓고 있다.
일본의 LNG 생태계 지배는 중국과의 경쟁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LNG 수입국으로
떠올랐고, 올해 처음으로 중국 수입업체가 일본보다 장기 LNG 공급계약을 더 많이 체결했다
페트로차이나에 따르면 중국의 LNG 수입량은 올해 전년 대비 12% 증가해 8000 만 T 에 이를 전망이며, LNG 의 제 3 국 재수출도 늘리고 있다 중국 본토의 조선소는 빠르게 새 LNG 운반선 주문을 받아 건조에
나서고 있다
한국도 건설사 한양이 건설 중인 전남 여수시 묘도의 '동북아 LNG 허브터미널' 등 현재 건설 중이거나
계획된 LNG 수입·저장 인프라 투자액이 약 11 조 3000 억원 규모에 달한다 다만 IEEFA 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탄소중립 목표에 따라 예상되는 천연가스 수요와 LNG 터미널 시설 규모 간 불일치가 점점
심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3. ‘SAF 혼합 사용 의무화’…항공 운임 인상 불가피
정부가 2027 년부터 국내에서 출발하는 국제선 모든 항공편에 지속가능항공유(SAF) 혼합 사용을
의무화하기로 하면서 항공 운임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1 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30 일 인천국제공항에서 ‘SAF 확산 전략’을 공동 발표했다 이에 따라 2027 년부터 국내 출발 국제선의 모든 항공편은 기존 항공유에 SAF 1%를 의무 혼합해 사용해야 한다 이는 세계적인 탄소 감축 노력에 발 맞춘 조치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권고사항을 반영한 것이다
SAF 는 바이오연료나 폐식용유 등을 활용해 만드는 대체 항공유로, 기존 항공유보다 탄소배출량을 최대 8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정부는 이번 조치로 연간 약 16 만 T 의 탄소배출 감축
Ⅰ. NEWS
이에 따라 정부는 항공 운임 상승에 대비, 국제항공 운수권 배분 방식 개선과 항공 탄소마일리지제도
도입 검토 추진을 비롯해서 SAF 생산 확대를 위해 투자세액공제를 확대와 바이오 기반 폐기물을 SAF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SAF 생산 비용을 낮추고 항공사의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국내 SAF 산업 육성을 도모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SAF 의무화는 국제 경쟁력 확보와 환경 보호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정부와
업계가 협력해서 SAF 생산 및 공급 체계를 구축하고, 관련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Ⅱ. BULK CARRIER
BC 연평균 선가
STL MARKET REPORT No.519
Ⅱ. BULK CARRIER
Ⅱ. BULK CARRIER
Kamsarmax
STL MARKET REPORT No.519
Ⅱ. BULK CARRIER
Bulk Carrier Sales Report
STL MARKET REPORT No.519
Ⅲ. TANKER
TANKER 연평균 선가
STL MARKET REPORT No.519
Ⅲ. TANKER
VLCC-310K
Ⅲ. TANKER
SUEZMAX-160K
AFRAMAX-105K
MR-51K
STL MARKET REPORT No.519
Ⅲ. TANKER
Tanker Sales Report
Ⅲ. TANKER
CONTAINER, REEFER, ETC.
Ⅳ. DEMOLITION
1) 해체선가
Ⅳ. DEMOLITION
2) 해체선 누적현황
*BC incl. General cargo vessel
3) 해체선 총량 (MILLION DWT)
Ⅳ. DEMOLITION
Demolition Sales Report
Ⅴ. KEY INDICATORS
1) Baltic Index
Ⅴ. KEY INDICATORS
2) Bunker Price
3) Exchange Rate
Ⅵ. ISSUE & TREND
[시사 상식] 스톨아웃(Stall-out)
◆스톨아웃(Stall-out)이란 서핑에서 유래한 말로 파도가 지나칠 때까지 보드 타기를 지연시키는 것을 말한다
파도가 너무 크거나 위험할 경우 그 파도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쓰이는 기술을 일컫기도 한다
항공업계에서는 비행기의 엔진이 갑자기 꺼지는 경우로 비행기가 갑자기 사고나 내부의 기계적 결합으로 인해
갑자기 양력을 잃고 균형을 잃거나 갑자기 밑으로 추락하는 상황을 뜻한다
비즈니스 업계에서
경우다
기업의 총수익과 이익의 성장이 큰 폭으로 떨어지거나 한때는 높은 수준이던 주주수익이 자본비용을 한참 밑도는 수준으로 폭락하는 상황을 말한다
주요 글로벌 기업 중에 스톨아웃에 직면했던 대표적인 예로는 파나소닉, 타임워너, 카르푸, 브리스톨 마이어 스퀴브, 알카텔 루슨트, 필립스, 소니, 마쓰다, 홈 디포 등이 포함된다 주택용품 판매 기업 홈 디포의 경우 창사 이래 20 년 동안 급성장했으나 2000 년 12 월 처음으로 수익 목표를 밑돌았다.
스톨아웃의 원인으로는 사업 모델의 실패도 있지만 조직 운영의 복잡함과 관료주의에 따른 낮은 효율성 등도 꼽힌다. 이는 경영진 교체와 직원 서비스 교육 강화 등으로 탈출할 수 있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
STL MARKET REPORT No.519
Ⅶ. CONTACT DETAILS
STL GLOBAL CO., LTD.
Marino Hwang(황 재 웅)
President T. 070-7771-6400
Sancho Kim(김 현 진) Managing Director T. 070-7771-6404
H.S. Lee(이 현 성)
Fleet & Chartering Operation biz@stlkorea.com
Agency Operation operation@stlkorea.com
Ferroalloy Logistics & Warehouse Management ops@stlkorea.com
Sale and Purchase Broking snp@stlkorea.com
Director T. 070-7771-6412
Henry S.H. Oh(오 수 현)
Deputy General Manager
T. 070-7771-6402
Anna Lee(이 혜 란) Deputy General Manager T. 070-7771-6403
Jennifer Park(박 영 단)
Deputy General Manager T. 070-7771-6407
Jena Ahn(안 지 영) Deputy General Manager
T. 070-7771-6405
STL SHIPPING CO., LTD.
Neal S.I. Kwon(권 순 일) President T. 070-7771-6410
Jack Kim(김 종 수) Director T. 070-7771-6411
Mike Hong(홍 창 목)
Director T 070-7771-6417
Victor Song(송 은 석) Deputy General Manager T. 070-7771-6414
Joovi Park(박 주 비) Assistant Manager T. 070-7771-6419
Hayden Son(손 호 영) Assistant Manager T. 070-7771-6401
Joanne Jin(진 정 식) Deputy General Manager T. 070-7771-6406
Nova Cha(차 혜 정) Assistant Manager T. 070-7771-6409
T. 02-776-0840(Rep.) | E. seoul@stlkorea.com | W. www.stlkorea.com | (04146) 101-1301/14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Korea STL G-TOUR
T. 1661-8388
T. 070-4800-0151
W. www.stlgtour.com
E. tour@stlgtour.com
Jeonnam Yacht Academy
T. 061-247-0331
T. 010-2777-4027
W. www.stlyacht.com
E. academy@stlyach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