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괄요약본

Page 1

연구과제보고서 (총괄 요약본)

과 제 명 : 임상시험을 통한 한식우수성 구명

2010년


제 출 문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한식재단 이사장 귀하

본 보고서를 “임상시험을 통한 한식우수성 구명 사업”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0년 12월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자원센터


【연 구 진】 ◦ 책임연구원 : 채수완 /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책임연구원 및 연구원, 연구보조원 과제구분 직

책 임 연 구 원

제1-1과제

제1-2과제

제2-1과제

직위

성 명

비 고

이화여자대학교

수 조

전북대학교

수 차

배화여자대학교

수 최

안산1대학

수 정

이화여자대학교

원 오

이화여자대학교

원 이

이화여자대학교

원 배

책 임 연 구 원

국립암센터

책 임 연 구 원 김

전북대학교

수 차

국립암센터

원 윤

연 구 보 조 원

국립암센터

연 구 보 조 원 남

연 구 보 조 원

국립암센터

연 구 보 조 원 안

책 임 연 구 원

전북대학교

수 조

전북대학교

수 박

대구의료원

장 황

대구의료원

사 박

국립암센터

책 임 연 구 원 김

책 임 연 구 원

전북대학교

수 고

공 동 연 구 원

전북대학교

수 박

사 이

위 촉 김

수 최

제2-2과제 연

전북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센 터

책 임 연 구 원 제2-3과제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병원

사 황

전북대학교병원

사 전


〈위탁용역연구과제 보고서〉 국

문 임상시험을 통한 한식우수성 구명

문 Identification of Korean diet Superiority by clinical trials

과 제 명

소 속 기 관 전북대학교병원 책 임 자 (책임연구원) 성 명(한문)

직위

세부 전공

용역수행기간

2010년 7월~2010년 12월 (6개월)

과제 형태

참 여 자

책임연구원급 (총괄책임연구원 제외)

전공

FAX 063-250-2349

의학

임상약리 문헌( ○ ), 조사( ○ ), 실험( ○ ) 단독(

), 공동( ○ )

11명 연구보조원급

2011 년 연구진

별 첨 : 1.제1-1과제 2.제1-2과제 3.제2-1과제 4.제2-2과제 5.제2-3과제

전화 063-250-2348 번호

채 수 완(蔡 洙 完) 약리학, 기능성식품학

담당과목

기능성식품 임상시험지원센터장

38명

일 연구총괄책임자 제 1-1과제 책임자 제 1-2과제 책임자 제 2-1과제 책임자 제 2-2과제 책임자 제 2-3과제 책임자

채수완 조미숙 김미경 조백환 고재기 최종범

연구과제보고서 연구과제보고서 임상시험성적서 임상시험성적서 임상시험성적서

본 보고서를 임상시험을 통한 한식우수성 구명 연구용역의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1 년

소속기관장

전북대학교병원장 김 영 곤

한식재단 이사장 귀하


목 차

Ⅰ. 연구참여자 인적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총괄책임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과제별 책임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Ⅱ. 연구 분담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1. 추진 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2. 수행조직 및 참여연구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3. 참여연구원 업무분담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Ⅲ. 총괄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1. 한국인 식사유형 및 지수개발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2. 현재까지 진행된 한국인 식사유형 연구의 한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3. 한식의 식사유형 기준 마련 및 식사유형지수 정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4. 새로 개발된 KDPS/KDS 식사유형지수와 국민건강과의 관련성 조사 · · · · · · · · · · · · ·22 5. 개발된 KDPS/KDS를 이용한 임상시험용 식단 개발 시 검토사항 · · · · · · · · · · · · · · · · · · ·22 6. 제 2과제 임상시험용 식사의 식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7. 제 2과제 임상시험 결과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8. 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Ⅳ. 별 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1. 총괄요약 별첨 1. 제 1-2과제의 식사패턴 분석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별첨 2. 제 2-2과제의 임상시험용 식이의 식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별첨 3. 제 2-1과제의 식이중재 식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별첨 4.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2. 세부과제 보고서 및 인체시험성적서 별첨 1. 제 1-1과제 보고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별첨 2. 제 1-2과제 보고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별첨 3. 제 2-1과제 인체시험성적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별첨 4. 제 2-2과제 인체시험성적서 (부록 : 외국인 과제 인체시험성적서) · · · · · · · · ·000 별첨 5. 제 2-3과제 인체시험성적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Ⅰ. 연구 참여자 인적 사항 1. 연구총괄책임자 (1) 인적사항 소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약리학교실)

채 수 완 (蔡 洙 完)

주민등록번호 541123-1545916 기 학 력

경 력

센터장 (교수)

직 위

063-250-2348/063-270-2348

Fax

063-250-2349

학 교

전공

학위

1972

1978

전북대학교

의학과

학사

1978

1980

전북대학교

약리학

석사

1980

1984

전남대학교

약리학

박사

1987 기 1996. 09 2005. 03

현재 현재

2004. 10

현재

2009. 10

현재

2009. 10

2010. 04

2009. 2009. 2009. 2010. 2008. 2010. 2009. 2007 2002 2007. 2007. 2007. 2007. 2000. 1996. 1992. 1990. 1991. 1993. 1988. 1987. 1984. 1983. 1978.

2011 2009. 현재 현재 2010. 2012. 2010. 2013. 2002 2008 2007. 2008 2009 2002. 1999 1999. 2008 1996. 1993. 1991. 1989. 1987. 1988. 1983.

04 01 01 01 04 10. 10 01 01 01 06 03 01 06 11 01 11 07 04 11 03

1989 간

12

04 02 04 10

12

06 07 08 02 10 06 04 11 10

코넬대학교 생리학 기 관 전 북 대 학 교 의 학 전 문 대 학 원 전북대학교병원 지역임상시험지원센터 전 북 대 학 교 병 원 기 능성식 품임 상시 험지원 센터 전 주 비 빔 밥 세 계 화 추 진 단 보건복지부 HT(Health Technology)포럼 운 영위원회 신약․의료기기개발․임상시험 분과 농 림수산 식품 과학 기술위 원회 대 한 약 리 학 회 한 국 생 물 물 리 학 회 대 한 약 리 학 회 전 주 시 지 역 사 회 복 지 협 의 체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환경개선위원회 제주한라병원 수치료사업단 자문위원회 전북생물한업진흥원 운영위원회 한 일 공 동 약 리 학 회 한 국 생 물 물 리 학 회 이 온 통 로 연 구 회 대 한생리 약리 학회 지편집 위원 식 약 청 기 능 식 품 심 의 위 원 회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및 보건대학원 심 혈 관 연 구 소 이 온 통 로 회 자 연 탐 구 학 습 회 전 북 대 학 교 의 과 대 학 Chi cago Medical School 전 북 대 학 교 의 과 대 학 C o r n e l l U n i v . Me d i c a l S c h o o l 국군해양의학연구원 및 국군서울지구병원 전 북 대 학 교 의 과 대 학 전 북 대 학 교 의 과 대 학

- 1 -

비고

Postdoctoral 직 위 정 교 수 센 터 장 센

위 원 회 장 감 사 감 사 대표협의체 위원 위 원 위 원 위 원 위 원 장 회 장 회 장 간 행 이 사 위 원 학장, 원장 소 장 간 사 회 장 부 교 수 Visiting Fellow 조 교 수 Post Doc 연 구 부 장 전 임 강 사 조 교

비고


(2) 연구수혜 실적 총괄(최근 5년간) 연구비 수혜실적 62 건

수행중인 연구과제

26 과제

서 외

외국학술지

국내학회지

36 편

1 편

3 편

표 기

타 편

(3) 연구비 수혜실적 (최근 5년간) 연구비 역할

연구과제명

금 액 (단위: 천원)

지원기관

연구 기간

주관 전통식품과 한식의 우수성에 대한 임상시험 용역

680,000

농수산물 유통공사

2008.05 - 2008.09

책임 누에분말 및 누에그라의 건강기능식품 소재화

260,000

농진청

2009.01 - 2011.12

세부 고부가가치 기능성 혼합미 편의식품 개발

285,000

농림부

2009.01 - 2010.12

주관 무화과의 변비개선효과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383,000

Y사

2008.09 - 2010.12

책임 바이오산업화기술개발사업(지역임상시험센터)

3,974,000

보건복지부

2006.05 - 2011.03

책임 기능성식품 임상시험지원센터 설립

5,973,000

지식경제부 전라북도, 전주

2004.10 - 2009.09

책임

누에동결건조분말추출물의 식후 혈당상승 억제효과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100,000

J사

2007.07 - 2009.05

주관

Helicobacter pylori 균량 감소에 대한 미역 추출 후코 이단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102,810

H사

2007.07 - 2009.05

책임

흑효모배양액 분말(polycan)의 뼈건강 개선 효과에 대 한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110,975

G사

2008.09 - 2009.12

완료 책임

복분자 추출물의 성기능 개선효과에 대한 유효성 및 안 전성 평가

130,000

B사

2008.05 - 2009.04

공동

심장허혈시 K+통로의 활성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 동 정 및 그 단백질의 병태생리학적 역할규명

200,000

한국학술 진흥재단

2005.09 - 2006.08

23,191

식약청

2005.04 - 2005.11

책임 영양.기능정보 제공에 관한 연구 책임

KT&G 숙취개선제의 숙취 개선 효과 확인을 위한 이 중맹검 시험

95,000

K사

2006.10 - 2007.05

책임

심장허혈시 K+통로의 활성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 동 정 및 그 단백질의 병태생리학적 역할규명

107,000

한국학술 진흥재단

2004.09 - 2005.08

125,000

한국학술 진흥재단

2003.09 - 2004.09

23,000

지식 경제부

2003.04 - 2003.08

책임 심장의 내분비 기능연구

23,000

한국 과학재단

2003.01 - 2003.08

슬관절 골관절염 피험자에서 (주)싸이제닉 ‘GWB78' 적용군과 Placebo적용군간 8주간의 기능성 및 안전성 책임 비교평가를 위한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플라세보 비교 인체 시험

67,303

(주) 싸이제닉

2005.12 - 2006.12

책임 심장에서 ADP-ribosyl cyclase의 성상과 조절기전 공동

생물산업부문별 경쟁력 조사 및 경쟁력 화고방안에 관 한 연구

- 2 -

비고


갱년기장애 증상을 갖고 있는 여성에게 (주)렉스진 ‘렉스플라본’적용군과 ‘Placebo'적용군간 12주간의 공동 유효성 및 안전성 비교평가를 위한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플라세보 비교 인체시험

36,943

만성 간기능 저하자에서 장생도라지추출물의 안전성 및 공동 유효성 평가를 위한 이중맹검 무작위 배정 플라세보 대 조 인체시험

92,741

간기능장애 소견을 갖고 있는 자에서 (주)리즈바이오텍 ‘복분자추출물’적용군과 ‘Placebo' 적용군간 12주 공동 간의 유효성 및 안전성 비교평가를 위한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플라세보 비교 인체시험

46,000

(주)리즈 바이오텍

2007.07 - 2008.06

홍삼발효추출물의 공복혈당장애 개선 효과에 대한 안전 성 및 유효성 평가

66,815

(주)원광제약

2007.09 - 2008.12

9,700

전남대 미생물학교실

67,303

(주)싸이제닉

2005.12 - 2006.12

12,531

(주)장생 도라지

2006.08 - 2007.07

공동 갱년기장애 개선

56,950

렉스진 바이오텍

2006.06 - 2007,05

책임 토종민들레 추출물의 간보호

33,583

님마을 민들레

2007.09 - 2008.07

100,000

대한잠사회

2007.07 - 2008-06

공동 복분자 추출물

46,000

(주)리즈 바이오텍

2007.07 - 2007.12

공동 발효홍삼 FG7070

69,345

원광제약 (주)

2007.09 - 2009

책임 파이토솔트

14,950

(주) 파이토코

2007.11 - 2008.03

책임 테아닌 제품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18,000

동부정밀 화학(주)

2007.08 - 2007.12

공동 표준화된 전통장류(청국장)

62,635

전북대 식품영양학과

2008.05 - 2009.04

102,810

해림바이오

2008.05 - 2008.12

44,098

가보팜스

2008.09 - 2009.08

공동 흑효모 배양액 분말(POLYCAN)

110,975

(주)글루칸

2008.08 - 2009.12

책임 포도식초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

22,200

(주)넥스팜

2008.09 - 2009.07

책임 설치류 단회 경구투여 독성시험

6,600

(주)에버 미라클

2008.12 - 2009.01

63,370

골든빅상사

2009.06 - 2009.11

3.450

제일종묘

2010.03

공동

책임 구취제거 개선효과 공동 GWB78 챙

장생도라지추출물

책임 누에분말 항당뇨 효과

책임 미역추출 후코이단 책임 프로폴리스의 제2형 당뇨병에 대한 효과

책임 TONGKAT ALI의 성기능 효능평가 책임 당조고추의 알파-glucosidase inhibitor분석

- 3 -

(주)렉스진 바이오텍

2006.03 - 2007.08

임상시험 (주)장생도라지 승인일로부터 12개월


-2010.04 2009.08 - 2009.12

48,000

전라북도생물 산업진흥원

책임 기능성평가센터 운영방안 국제심포지엄

138,000

전라북도청

2010.04 -2010.08

책임 영암OOO의 건강증진효과 규명

383,000

Y사

2008.10 - 2011.09

책임 OO유래 혈행 개선의 인체 임상실험

210,000

OO농산영농 조합법인

2008.12 -2011.12

책임 대상별 혼합미의 임상적 기능성 확인

285,000

OO R.P.C.

2008.12 - 2010.12

책임 OOOO의 건강기능식품 적용 임상시험

120,000

국림농업과학원

2009.01 - 2011.12

책임 OOO미생물 기능성식품개발

100,000

(주) J사

2008.12 - 2010.09

221,400

(주) B제약사

2009.03 - 2009.04

책임 OOOOOO를 이용한 면역 증강용 기능성 소재

260,000

(주) W사

2009.04 - 2010.03

책임 OOOO추출물

114,80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2009.04 - 2010.03

책임 지니스 OOO

41,895

(주) J사

2009.06 - 2010.06

책임 2009년 식품아카데미운영

책임

탄수화물소화흡수 억제 OOOO의 효능 및 독성평가

수 행

공동 O펩타이드의 항당뇨효과

114,858

(주) N사

2009.06 - 2009.12

책임 OOO추출물의 체지방 및 복부지방 감소 효과

113,930

(주) T사

2009.07 - 2010.06

책임 OO발효 추출물

133,530

(주) M사

2009.11 - 2011.03

책임 OO효능연구용역

103,400

OO향토 산업사업단

2009.11 - 2010.11

책임 OOO 및 OOO 추출물

199,560

S연구소

2009.12 - 2011.05

책임 OO분말(성기능개선)

20,730

J연구소

2010.01 - 2010.12

책임 OOO 혈중지질개선

115,129

OO농산영농 조합법인

책임 인체적용시험을 통한 O소재의 기능성 확인

140,000

국립농업과학원

10,000

식품의약품 안전청

공동 OO추출액(인플루엔자)

144,255

J연구소

2010.07 -2011.12

총괄 임상시럼을 통한 한식 우수성 구명

925,000

한식재단

2010.8

건강기능식품의 인체적용시험

210,000

고려대학교

2010.04

책임

건강기능식품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호서지역 등 교육 운영

- 4 -

2009.12 - 2011.04 2010.01 - 2011.12 2010.0 - 2010.10


Global OO 시장형 차세대 기능성 OOO 생산 및 가공 기술 개발

117,600

(주) J사

혈중지질 개선을 위한 원료표준화 및 예비임상시험

220,000

K 연구소

69,110

(주) S사

OOO출물(혈당조절)

129,690

(주) T사

제주OO자원과 OOO을 활용한 기능성OO 상품화

200,000

(주) L사

책임 임상시험을 통한 밥중심 식사의 기능적 우수성 규명

210,000

한국식품연구원

책임 OOO열매추출, 관절 및 연골 건강

129,966

(주) Y사

공동 가공OO추출물(성기능 개선)

130,000

(주) L사

공동 OOOO캡슐(간기능 개선)

140,155

(주) I사

책임 인체적용시험을 통한 제주 OO의 건강증진효과 규명

100,000

OOOO재단

120,000

B대학교

45,000

B대학교

137,150

S연구소

280,000

(주) OO제약

140,000

(주) M사

책임 OO효능연구용역(2차년도)

163,000

(사)OOOO 향토산업사업단

공동 OO(체지방감소)

163,000

J대학교

책임 제주OOOO를 활용한 고부가 응용상품 개발

200,000

OO건설

O주정추출물의 임상적 유효성 및 안전성 인체적용시험

책임 O주정추출물(위손상 개선) 수행 예정 책임 OOO(OO추출물) 책임 건강기능성 개별인증 연구용역 조혈기능에 대한 OO추출물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임상연구 OO유래 기능성소재의 정제 및 제형기술 개발을 위한 책임 사업화 공동

- 2011.03 2010.07 - 2013.06 2010.08 -2011.02 2010.072011.06 2010.07 -2011.12 2009.10 -2012.04 2010.07 -2013.06 2010.07 -2011.12 2010.07 -2011.12 2010.07 -2011.12 2010.05 -2011.04 2010.08 -2011.08 2010.10 -2011.10 2010.11 -2011.10 2010.10 -2013.06 2010.11 -2012.10 2010.12 -2011.12 2010.12 -2011.12 2010.10 -2012.04

(4) 저서실적 (최근 5년간) 발행년도

저 서 명

츨 판 사

발 행 지 (국내, 국외)

2004 2005

최신 치과약리학 최신 치과약리학(개정판)

대학사 월드사이언스

국내 국내

채수완 외 2명 채수완 외 2명

2006

Katzung's 임상약리학 (역자)

도서출판 대한의학서적

국내

채수완 외 52명

- 5 -


(5) 연구논문 발표실적 (최근 5년간) 번 호

권,호 (쪽수)

발행 년도

Piao CS, Gao S, Lee GH, Kim do S, Park 1 BH, Chae SW, Chae HJ, Kim SH

61(4):342-8

2010

2

32(2):251-7

2010

34:350-358

2010

30:455-461

2010

62(2):197-204

2010

33(4):545-9

2010

30(7):1800-13

2010

12(1):R19

2010

29(14):2130-4 1

2010

32(3):376-86

2010

3

4

5

6

7

8

9

10

저자명

연구논문 발표지명

연구과제명

Sulforaphane protects ischemic injury of hearts through antioxidant Pharmacological pathway and mitochondrial K(ATP) research channels Metformin regulates Kim DS, Jeong SK, palmitate-induced apoptosis and ER Immunopharmacol Kim HR, Kim DS, Chae stress response in HepG2 liver Immunotoxicol SW, Chae HJ cells Young Ha Baek, Heung Yong Jin, Kyung Ae The correlation and accuaray of Lee, Seon Mee Kang, glucose levels between interstitial Woong Ji Kim, Min Gul fluid and venous plasma by Korean Diabetes J Kim, Ji Hyun Park, Soo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Wan Chae, Hong Sun system Baek, Tae Sun Park Yujin Kim, Young-Je Park, Seung-OK Yang, Hypoxanthine levels in human urine So-Hyun Kim, serve as a screening indicator for Sun-Hee Hyun Sayeon the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J Cho, Young-Suk Kim, low-density lipoprotein modulation Nutrition Research Dae Young Kwon, activities of fermented red pepper Youn-Soo Cha, Soowan paste Chae, Hyung-Kyoon Choi Kim DS, Kwon DY, The involvement of endoplasmic Kim MS, Kim HK, Lee reticulum stress in J YC, Park SJ, Yoo WH, flavonoid-induced protection on Pharm Pharmacol Chae SW, Chung MJ, cardiac cell death caused by Kim HR, Chae HJ ischaemia/reperfusion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m DS, Kim JH, Lee kinase is involved in endoplasmic GH, Kim HT, Lim JM, reticulum stress-induced cell death Biol Pharm Bull Chae SW, Chae HJ, and autophagy in human gingival Kim HR fibroblasts Lee GH, Ahn T, Kim DS, Park SJ, Lee YC, Bax inhibitor 1 increases cell Yoo WH, Jung SJ, Yang adhesion through actin Mol Cell Biol JS, Kim S, Muhlrad A, polymerization: involvement of Seo YR, Chae SW, Kim calcium and actin binding HR, Chae HJ Shin YJ, Han SH, Kim DS, Lee GH, Yoo WH, Autophagy induction and CHOP Kang YM, Choi JY, Lee under-expression promotes survival Arthritis YC, Park SJ Jeong SK, of fibroblasts from rheumatoid Res Ther Kim HT, Chae SW, arthritis patients under endoplasmic Jeong HJ, Kim HR, reticulum stress Chae HJ Lee GH, Yan C, Shin BAX inhibitor-1 enhances cancer SJ, Hong SC, Ahn T, metastasis by altering glucose Moon A, Park SJ, Lee metabolism and activating the Oncogene YC, Yoo WH, Kim HT, sodium-hydrogen exchanger: the Kim DS, Chae SW, Kim alteration of mitochondrial function HR, Chae HJ Cui Y, Piao CS, Ha KC, Measuring adriamycin-induced Kim DS, Lee GH, Kim Immunopharmacol cardiac hemodynamic dysfunction HK, Chae SW, Lee YC, Immunotoxicol with a proteomics approach Park SJ, Yoo WH, Kim

- 6 -

비고


HR, Chae HJ 11

Kim DS, Jeong SK, Kim HR, Kim DS, Chae SW, Chae HJ.

12

Piao CS, Gao S, Lee GH, Sulforaphane protects ischemic injury Kim DS, Park BH, Chae of hearts through antioxidant pathway SW, Chae HJ, Kim SH. and mitochondrial K(ATP) channels.

Yoon H, Kim DS, Lee GH, Kim JY, Kim DH, 13 Kim KW, Chae SW, You WH, Lee YC, Park SJ, Kim HR, Chae HJ.

Metformin regulates palmitate-induced apoptosis and ER stress response in HepG2 liver cells.

Protective effects of sodium para-amino salicylate on manganese-induced neuronal death: the involveme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009

Pharmacol Res.

2009

J Pharm Pharmacol.

61(11):1563-9.

2009

14

Kim HR, Lee GH, Cho EY, Chae SW, Ahn T, Chae HJ.

Bax inhibitor 1 regulates ER-stress-induced ROS accumula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cytochrome P450 2E1.

J Cell Sci.

122(Pt 8): 1126-33.

2009

15

Han SH, Chae SW, Choi JY, Kim EC, Chae HJ, Kim HR.

Acidic pH environments increase the expression of cathepsin B in osteoblasts: the significance of ER stress in bone physiology.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31(3): 428-31

2009

16

Bosellia serrata-induced apoptosis is Kim HR, Kim MS, Kwon related with ER stress and calcium DY, Chae SW, Chae HJ. release.

Genes Nutr.

2(4): 371-4.

2008

Protection of cardiomyocytes from ischemic/hypoxic cell death via Drbp1 and pMe2GlyDH in cardio-specific ARC transgenic mice.

J Biol Chem.

283(45): 30707-14.

2008

Pyo JO, Nah J, Kim HJ, Chang JW, Song YW, Yang DK, Jo DG, Kim 17 HR, Chae HJ, Chae SW, Hwang SY, Kim SJ, Kim HJ, Cho C, Oh CG, Park WJ, Jung YK. 18

Kim DS, Chae SW, Kim HR, Chae HJ.

CO and bilirubin inhibit doxorubicin-induced cardiac cell death.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31(1): 64-70.

2008

19

Kim HK, Woo ER, Lee HW, Park HR, Kim HN, Jung YK, Choi JY, Chae SW, Kim HR, Chae HJ.

The correlation of Salvia miltiorrhiza extract-induced regulation of osteoclastogenesis with the amount of components tanshinone I, tanshinone IIA, cryptotanshinone, and dihydrotanshinone.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30(2): 347-64.

2008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30(2): 333-45.

2008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30(2): 257-70.

2008

J Biol Chem.

Mar 31

2008

J Mol Cell Cardiol.

Feb 15

2008

Kim HR, Cui Y, Hong SJ, Shin SJ, Kim DS, Kim Effect of ginseng mixture on 20 NM, So SH, Lee SK,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Kim EC, Chae SW, Chae HJ. Kaempferol protects Kim DS, Ha KC, Kwon ischemia/reperfusion-induced cardiac 21 DY, Kim MS, Kim HR, damage through the regulation of Chae SW, Chae HJ.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Kim HR, Lee GH, Ha KC, Bax inhibitor-1 (BI-1) is a Ahn T, Lee BJ, Cho SG, pH-dependent regulator of Ca2+ 22 Kim S, Seo YR, Shin YJ, channel activity in the endoplasmic Chae SW, Reed JC, Chae reticulum. HJ. Hong CS, Kwon SJ, Cho Overexpression of junctate induces 23 MC, Kwak YG, Ha KC, cardiac hypertrophy and arrhythmia via

- 7 -


Hong B, Li H, Chae SW, Chai OH, Song CH, Li Y, Kim JC, Woo SH, Lee SY, Lee CO, Kim DH. Chae HJ, Lee GY, Yang SK, Kim DS, Yun KJ, 24 Kim EC, Kim HM, Chae SW, Kim HR. 25

Chae SU, Ha KC, Piao CS, Chae SW, Chae HJ.

26

Ha KC, Kwak YG, Piao CS, Chae HJ, Chae SW.

Kim DS, Jeong SK, Kim HR, Kim DS, Chae SW, Chae HJ. Chae HJ, Ha KC, Lee GY, Yang SK, Yun KJ, 28 Kim EC, Kim SH, Chae SW, Kim HR. 27

altered calcium handling. Effect of high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 on the trabecular bone and thickness in ovariectomized rats. Estrogen attenuates cardiac ischemia-reperfusion injury via inhibition of calpain-mediated bid cleavage. Differential effects of superoxide radical on the action potentials in ventricular muscles, Purkinje fibers and atrial muscles in the heart of different aged rats.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9(3-4): 439-49

2007

Arch Pharm Res.

30(10): 1225-35

2007

Arch Pharm Res.

30(9): 1088-95.

2007

Effects of triglyceride on ER stress and insulin resistance.

Biochem Biophys Res Commun.

363(1): 140-5

2007

Interleukin-6 and cyclic AMP stimulate release of cathepsin B in human osteoblasts.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9(2): 155-72

2007

Arch Pharm Res.

30(7): 905

2007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Kim YH, Ji HY, Park ES,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ic 29 Chae SW, Lee HS. determination of lornoxicam in human plasma. Moon Y, Kim SY, Ji HY, Kim YK, Chae HJ, Chae SW, Lee HS.

Characterization of cytochrome P450s mediating ipriflavone metabolism in human liver microsomes.

Xenobiotica.

37(3): 246-59

2007

Lee GH, Kim HK, Chae SW, Kim DS, Ha KC, 31 Cuddy M, Kress C, Reed JC, Kim HR, Chae HJ.

Bax inhibitor-1 regulates endoplasmic reticulum stress-associated reactive oxygen species and heme oxygenase-1 expression.

J Biol Chem.

282(30): 21618-28

2007

Acta Pharmacol Sin.

28(4): 503-10

2007

Plantainoside D protects adriamycin-induced apoptosis in H9c2 cardiac muscle cells via the inhibition of ROS generation and NF-kappaB activation.

Life Sci.

80(4): 314-23

2006

Protective effect of calceolarioside on adriamycin-induced cardiomyocyte toxicity.

Eur J Pharmacol.

541(1-2): 24-32

2006

J Dent Res.

85(6): 515-9

2006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8

2006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7(4): 631-46

2006

30

32

Kim CS, Lee N, Son SJ, Lee KS, Kim HS, Kwak YG, Chae SW, Lee SD, Jeon BH, Park JB.

Kim DS, Woo ER, Chae SW, Ha KC, Lee GH, Hong ST, Kwon DY, Kim 33 MS, Jung YK, Kim HM, Kim HK, Kim HR, Chae HJ.

Inhibitory effects of coronary vasodilator papaverine on heterologously-expressed HERG currents in Xenopus oocytes.

34

Kim DS, Kim HR, Woo ER, Kwon DY, Kim MS, Chae SW, Chae HJ.

35

Chae HJ, Ha MS, Yun DH, Pae HO, Chung HT, Mechanism of cyclosporine-induced Chae SW, Jung YK, Kim overgrowth in gingiva. HR.

Chae HJ, Choi KH, Chae SW, Kim HM, Shin TK, Placenta hominis protects osteoporosis 36 Lee GY, Jeong GS, Park in ovariectomized rats. HR, Choi HI, Kim SB, Yoo SK, Kim HR. 37

Chae HJ, Byun JO, Chae MAPK and NF-kappaB on IL-6 SW, Kim HM, Choi HI, release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 8 -


Pae HO, Chung HT, Kim HR. Chae HJ, Ha KC, Kim DS, Cheung GS, Kwak Catalase protects cardiomyocytes via 38 YG, Kim HM, Kim YM, its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Pae HO, Chung HT, Chae SW, Kim HR.

Nitric Oxide.

14(3): 189-99

2006

Dendroaspis natriuretic peptide protects the post-ischemic myocardial injury.

Regul Pept.

133(1-3): 13-9

2006

Clin Chim Acta.

365(1-2): 270-8

2005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7(2): 211-32

2005

Biochem Pharmacol.

70(7): 1066-78

2005

39

Ha KC, Piao CS, Chae HJ, Kim HR, Chae SW.

Carbon monoxide and nitric oxide Chae HJ, Chin HY, Lee protect against tumor necrosis GY, Park HR, Yang SK, 40 factor-alpha-induced apoptosis in Chung HT, Pae HO, Kim osteoblasts: HO-1 is necessary to HM, Chae SW, Kim HR. mediate the protection.

41

42

Chae HJ, Kim HR, Lee WG, Kwak YK, Kim WH, Radiation protects adriamycin-induced Hong ST, Cho GH, Kim apoptosis. JS, Chae SW.

Kim DS, Kim HR, Woo ER, Hong ST, Chae HJ, Chae SW.

Inhibitory effects of rosmarinic acid on adriamycin-induced apoptosis in H9c2 cardiac muscle cells by inhibiting reactive oxygen species and the activations of c-Jun N-terminal kinase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6) 특허실적 (최근 5년간) 특허등록명

등록번호(호)

등록/출원일

첼리도닌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0-2003-7014400

2003.11.05

심장근육세포의 세포독성 보호 기능을 갖는 생지황 추출물

10-2005-0077595

2005.08.24

비만치료 대상을 선별하는 방법 및 조성물

10-2010-0084030

2010.08.30

- 9 -

비고


1. 과제별책임자 사업총괄책임자 : 김영곤병원장 (전북대학교병원) 총괄 과제명

임상시험을 통한 한식 우수성 구명사업

연구총괄책임자 : 채수완센터장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 임상시험지원센터)

세부과제명

세부 과제 책임자

세부과제 제1-1과제

한식의 식이유형 기준 마련

조미숙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제1-2과제

한식의 식이유형기준 마련 및 식사유형 지수 정립

김미경 책임연구원 (국립암센터)

한국인 고혈압 환자에서 식이처방이 혈압 조절에

조백환 교수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관찰연구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고혈압 및 당뇨 치료 중인 환자에서 한식을 공급한 후 성인병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고재기 교수

제2-1과제

제2-2과제

임상시험 제2-3과제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심혈관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한식으로 식이 조절

최종범 교수

시 질병 개선 효과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 10 -


Ⅱ. 연구분담표 1. 추 진 체 계

- 11 -


2. 수행조직 및 참여 연구원(1) 분담 내용

책임연구원 및 연구원, 연구보조원 소

성 명

학위

전공

사업총괄 전 북 대 학 교 병 원

김영곤

사 의

전북대학교병원 연구총괄 기능성식품임상시험 지 원 센 터

센 터 장 ( 교 수 )

채수완

임 상 연 구 소 실 장 연 구 교 수 약 사 연 구 원 행 정 팀 장 전 문 의 연 구 원 서 울 사 무 소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기능식품개발지원부장(교수) 전략기획부장 (교수) 임상시험부장(교수) 연구개발부장 (교수) 임상시험부책임(교수) Q A ( 품 질 보 증 부 )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약 사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김정현 김민걸 황민호 임용진 최영미 최은경 정수진 박우형 최민준 김두겸 송윤찬 정혜연 박선이 한수미 신자현 조명진 이미자 이정현 노수미 이은실 이효정 채한정 박태선 박종관 김달식 차연수 이윤자 김선영 백향임 오미라 박수현 김윤정 전지영 양지영 최윤희 오경선 정진아 노순옥 김혜미 유일한 허민주 박성은 최유리 이화영 한송희

박사과정 박사수료 석 사 석 사 학 사 박사수료 박 사 학 사 석 사 학 사 학 사 학 사 전문학사 전문학사 학사과정 학 사 석 사 학 사 학 사 전문학사 전문학사 박 사 박 사 박 사 박 사 박 사 학 사 박사과정 박사괴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석 사 박사과정 학 사 전문학사 전문학사 전문학사 석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전북대학교병원 임 상 연 구 소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 지 원 센 터

사업지원

전북대학교병원 임 상 시 험 센 터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시험 기능성식품임상시험 지 원 센 터

- 12 -

세부업무 학 사 업 총 괄

의 학 연구총괄관리 ( 임상약리학 ) 보 건 학 임상약리학 약 학 의학통계학 원 예 학 의 학 식품영양학 사 학 생 물 학 수학통계학 멀티미디어학 신문방송학 관 광 학 간 호 학 간 호 학 간 호 학 간 호 학 간 호 학 간 호 학 임상병리학 임상병리학 약 학 의 학 의 학 의 학 영양생화학 간 호 학 의학영양치료학 의학영양치료학 식품영양학 식품영양학 화 학 약 학 임상병리학 임상병리학 임상병리학 임상병리학 의학영양치료학 의학영양치료학 의학영양치료학 의학영양치료학 의학영양치료학 의학영양치료학 의학영양치료학 약 리 학

연 구 지 원 임상시험총괄 관 리 약 사 통 계 분 석 행 정 지 원 임 상 연 구 지 원 사 업 지 원 행 정 연 구 지 원 다 큐 지 원 홍 보 행 정 C R C C R C C R C C R C C R C C R C C R C C R C 임상연구관리 임상연구지원 임상연구지원 임상연구지원 임상연구지원 품 질 보 증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식약품 분석 관 리 약 사 검 체 관 리 검 체 관 리 검 체 관 리 검 체 관 리 연구윤리심의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식약품 분석 식약품 분석 식약품 분석


2. 수행조직 및 참여 연구원 (2) 분담 내용

제1-1과제

제1-2과제

책임연구원 및 연구원, 연구보조원 소

성 명

학위

전공

세부업무

이화여자대학교

수 조 미 숙 박

사 식품영양학 책

전북대학교

수 차 연 수 박

사 영양생화학 공 동 연 구

배화여자대학교

수 최 남 순 박

사 식

안산1대학

수 정 진 은 박

사 영양통계학 공 동 연 구

이화여자대학교

원 오 지 은 박

사 식품영양학 참

이화여자대학교

원 이 경 원 박사과정

이화여자대학교

학 공동연구

식품영양학 참

원 배 성 은 석

사 식품영양학 참

국립암센터

책임연구원 김 미 경 박

사 영양역학 책

전북대학교

수 차 연 수 박

사 영

학 공동연구

국립암센터

원 윤 영 미 석

사 통

학 참

국립암센터

연 구 보 조 원 남궁경화

사 식품영양학 참

국립암센터

연구보조원 안 세 현 학

사 식품영양학 참

수 조 백 환 박

사 의

학 책

수 박 태 선 박

사 의

학 공동연구

장 황 성 수 박

사 의

학 공동연구

사 박 수 현 학

사 간

전북대학교 제2-1과제 대구의료원 간 국립암센터

학 참

책임연구원 김 미 경 박

사 영 양 역 학 공동연구

수 고 재 기 박

사 의

학 책

수 박 태 선 박

사 의

학 공동연구

임 상 의 사 이 선 화 박

사 의

학 참

사 김 설 애 학

사 간

학 참

수 최 종 범 박

사 의

학 책

전북대학교 제2-2과제 전북대학병원

전북대학교 제2-3과제

사 황 순 정 박

사 간

학 참

사 전 영 선 학

사 간

학 참

학 감

전북대학병원

내부감사

전북대학교병원

감사실 위촉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센 터 위 촉 소 병 옥 박사과정

- 13 -


3. 참여연구원 및 업무 분담표 사 업 총 괄 책 임 자( 주계약자) 김영곤 연구총괄책임자 채수완

1 과제 : 한식섭취 식이유형(Dietary Pattern)의 기준(Specific Standard)을 마련하고 이에 근거한 식이유형지수(Dietary Pattern Quantitative Score)정립

2 과제 : 한식 식이유형지수(Dietary Pattern Quantitative Score)에 근거한 한식 섭취가 고혈압, 당뇨병 등의 질병에 미치는 영향연구

1 - 1 과제 성명

직급

담당업무

조미숙 차연수 최남순 조우균 정진은 배성은 오지은 이경원

부교수 교 수 조교수 교 수 교 수 석사과정 박사과정 박사과정

책 임 공동연구 공동연구 공동연구 자료분석 자료분석 자료조사 자료분석

2 - 3 과제 투입 공수 (M/M)

성명

직급

담당업무

최종범 김민걸 최은경 임용진 정수진 전지영 김선영 백향임 오미라 김혜미 허민주 박수현 한수미 조명진 노수미 최윤희 양지영 황순정 전영선

교 수 연구교수 의 사 연구원 연구원 약 사 연구원 연구원 연구원 석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간호사 간호사 간호사 임상병리 임상병리 간호사 간호사

책 임 임상시험총괄 임 상 통계분석 연구지원 관리약사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C R C C R C C R C 검체관리 검체관리 모니터링 모니터링

1 - 2과제 성명

직급

담당업무

김미경 차연수 윤영미 남궁경화 안세현

교 수 교 수 연 구 원 연구보조원 연구보조원

책 임 공동연구 통계분석 자료조사 자료조사

2 - 2 과제 투입 공수 (M/M)

2 - 1과제 투입 공수 (M/M)

성명

직급

담당업무

조백환 황성수 박태선 김민걸 임용진 김미경 허민주 김혜미 박수현 이정현

교 수 과 장 교 수 연구교수 연 구 원 책임연구원 석사과정 석사과정 학 사 간 호 사

책 임 공동연구 공동연구 임상시험총괄 통계분석 공동연구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모니터링 C R C

- 14 -

투입 공수 (M/M)

성명 고 박 김 최 임 정 김 백 황 오 김 박 허 최 신 이 이 이 최 양 조 노 이 문 오

재 태 민 은 용 수 선 향 민 미 혜 성 민 유 자 미 정 은 윤 지 명 수 누 은 경

기 선 걸 경 진 진 영 임 호 라 미 은 주 리 현 자 현 실 희 영 진 미 리 실 선

직급

담당업무

교 수 교 수 연구교수 의 사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약 사 연 구 원 석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간 호 사 간 호 사 간 호 사 간 호 사 임상병리 임상병리 간 호 사 간 호 사 간 호 사 간 호 사 임상병리

책 임 공 동 연 구 임상시험총괄 임 상 통 계 분 석 연 구 지 원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관 리 약 사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임상시험지원 식약품 분석 C R C C R C C R C C R C 검 체 관 리 검 체 관 리 C R C C R C C R C C R C 검 체 관 리

이 효 정 임상병리 검 체 관 리 정 박 이 이

진 수 선 설

아 현 화 애

임상병리 연 구 원 연구교수 간 호 사

검 체 관 리 임상시험지원 임 상 모 니 터 링

투입 공수 (M/M)


Ⅲ. 총괄 요약 1. 한국인 식사유형 및 지수개발 필요성 ◯ 2010년 지중해식 식사가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지정되어 그 문화적, 건강학적 가치가 드높아졌다. 우리가 전통적으로 먹어온 한식 역시 지중해식 식사 못지않게 건 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요건이나 특성을 가졌다고 믿어지나 현재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가 거의 없다. ◯ 지중해식 식사가 관심을 끌고, 건강식으로써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비슷한 양의 지방을 섭취하는 미국인에 비해 지중해 부근 사람들의 심장병 발 생률이 현저히 낮은 점이 역학적으로 구명되었기 때문이다1)2). ◯ 수십 년에 걸쳐 지중해식 식사에 대한 여러 형태의 영양역학연구가 이루어짐에 따라 지중해식사유형이 체계적으로 정립되고, 풍부한 시리얼과 콩류, 신선한 과일과 채소, 올리브유, 저지방 우유와 발효 유제품, 적당량의 붉은 포도주, 적은 양의 붉은 고기 섭 취 등으로 특징지어진 전통적 식사유형 피라미드가 제시되었다3). 그 결과 피험자들이 장기간 섭취할 수 있는 임상시험용 식사유형을 제공 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임상시험 수행이 가능하였고 지중해식 식사가 건강식임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근거들이 마련되었다4)5). ◯ ‘임상시험을 통한 한식의 우수성을 구명’을 위해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임상시험 수 행에 앞서 한식 식사유형 기준을 우선 마련하여 피험자들에게 제공할 식단을 선정 할 수 있어야한다. ◯ 지금까지 많은 연구에서 식사와 질병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주로 단일 영양소 또는 단일 식품 섭취를 주로 이용하였는데, 이 경우 잘못된 연관성을 구명할 가능성이 있다⁶⁾. 그 이유는 영양소 사이의 높은 상관성을 반영할 수 없고 실제로 사람들은 일상 에서 단일 영양소나 단일 식품 형태가 아닌 다양한 식품으로 구성된 식단 개념의 조리 된 음식물을 섭취하기 때문이다. ◯ 또한 공중보건적 측면에서, 국민에게 특정 영양소 섭취를 권장하는 것보다 식사유형으 로 제시할 때 이해하기 쉽고 실생활에 적용하기 유리하며 식생활 개선 실천도 쉬워서 국민건강증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⁷⁾. ◯ 간장, 된장, 고추장, 국류 및 나물류 등은 한식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마찬가지로 임 상시험에서 이 식품 또는 음식들을 단일 영양소 또는 단일 식품 형태로 장기간 섭취하 게 한다면 부적절한 결과가 도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반드시 이들을 포함한 한 식 식사유형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겠다.

- 15 -


◯ 식사유형과 질병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세계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국내의 경우 단일 영양소 또는 단일식품에 대해서 해외에 견줄만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한식 식사유형을 이용한 전향적 의학적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2. 현재까지 진행된 한국인 식사유형 연구의 한계 ◯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대표적인 한국식 식사유형을 밥, 국 혹은 밥, 국, 김치 등의 형 8)9)10)

태로 보고하였다

. 하지만 밥, 국, 김치로 구성된 식사는 한국인 식사유형을 설명

하기에 부족한 점이 많다. ◯ 국내에 보고 된 한국인의 식사유형에 따른 질병과의 관련성 연구 결과에 의하면 쌀, 김 치, 콩, 해조류 및 채소류를 주로 섭취하는 곡류, 채소류 식사패턴을 가진 사람들에서 고혈압의 위험이 높았고, 라면, 빵류 등을 주로 섭취하는 식사패턴을 가진 사람들에서 복부비만 및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위험이 높았다11). 또한 녹황색 채소류, 해조류, 과일 류 및 유제품 등을 섭취하는 식사 패턴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고혈압의 위험이 감소하 였고 이 식사 패턴을 건강식으로 분류하였다12). ◯ 해외저널에 실린 우리나라 성인의 식사유형을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민건 강영양조사 자료를 군집분석하여 식사유형을 흰밥과 김치를 주로 섭취하는 ‘전통식 군’, 국과 김치 이외에 면류, 빵류, 계란과 우유 등의 다양한 식품을 함께 섭취하는 ‘건강식군’, ‘고기 및 알코올군’ 이라는 3가지로 분류하고 ‘전통식군’에서 ‘고 기 및 알코올군’보다 혈중 중성지방 및 혈압 상승 위험이 비록 적지만 동맥경화 억제 기능이 있는 HDL(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수치가 현저히 낮아서 ‘전통식군’이 13)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 ◯ 일본의 경우도 쌀밥과 미소국을 주로 섭취하는 군을 일본 ‘전통식’ 식사유형으로 분 류하여 비만 증가와 관련 있다고 보고하였고 채소와 생선을 섭취하는 군을 비만 위험 이 낮은 ‘건강식군’으로 분류하였다

14)15)

.

◯ 위와 같은 선행연구 결과는 밥, 국, 김치 중심의 식사를 하면 자칫 건강에 악영향을 끼 친다는 편견을 줄 수 있으며, 한식과 관련한 임상시험에서 부정적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 위험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임상시험을 통한 한식의 우수성을 구명’을 위한 임상시험 수행에 앞서 전통 한식 식사유형에 대한 정 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를 잘 설명하고 있다.

- 16 -


3. 한식의 식사유형 기준 마련 및 식사유형지수 정립 1) 제 1-1과제 : 한식식사유형기준과 식사유형지수(Korean Dietary Pattern Score ; KDPS 총점 100점) 개발 조리서와 사서 등의 고증을 통해 가장 한식의 원형에 가까운 상차림 모형을 선정한 후 한 식식사유형지수에 들어갈 총 8가지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 항목들은 우리의 음식 문화가 왜 곡되기 전인 정조시대의 검박한 3첩 반상차림을 기본으로 하여 구성 되었다.

그림 1. 개발된 한식 3첩반상 모형

1-7번 항목의 경우 권장 1인 1회 분량을 이용하여 기준 섭취량 대비 실제 섭취 분량을 비교 하여 섭취량에 따라 각 항목에 점수를 부과하였다. 1-7번까지의 모든 항목에는 권장 1인 1회 분 량 기준으로 섭취 부족 및 과잉 섭취인 경우 섭취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점수를 부과하도록 하였 다. 밥 점수(항목1)의 경우 한식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중요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주어 만점기 준을 충족하였을 때, 30점을 부여하였고, 나머지 항목들은 만점기준을 충족하였을 때 10점을 부 과하였다. 8번째 항목은 1-7번까지의 음식을 1일 3끼 중 몇 회 섭취하였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고려된 항목으로 10점 만점으로 하여 7개의 항목을 각각 3끼, 2끼, 1끼 섭취한 경우 점수를 달 리하여 주었다. 결과적으로 1번부터 8번까지의 항목의 점수가 100점 만점이 되도록 부과하였다.

그림 2. 한식식사유형지수(KDPS) 산출 방법

- 17 -


한식식사유형지수(KDPS) 총점에 따라 상위군(35-100점), 중위군(26-35점), 하위군 (0-26점)의 3군으로 나누었다. 개발된 한식식사유형지수의 적용은 2007년 국민건강영양 조사(KNHANES ;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2,278명)를 분석하여 한식식사유형지수 (KDPS)와 고혈압, 당뇨병 및 비만 등의 대사성질환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2) 1-2과제 : 한국인 식사유형 추출과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60점) 개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1기(1998년), 제2기(2001년), 3기(2005년) 및 4기(2007~2009년) 의 자료에서 요인분석법과 군집분석법 같은 통계적 접근 방법을 통해 한국인의 식사유형을 추출하여 식사의 질을 평가(별첨 1)하고 한국인식사유형지수를 개발하였다.

(1) 한국인 식사유형 추출 한국인의 식사유형을 추출하고자 식품섭취빈도조사법과 식품섭취량조사법 등 2가지 식이 섭취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및 군집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그림 3과 같은 식사유 형이 도출되었다. 식품섭취빈도조사법에 의해 추출된 식사유형 중 밥을 중심으로 국, 김치 등의 한국 전통식 식사유형으로 식사를 하는 경우 당뇨병, 비만 및 고혈압 등의 위험이 높은 것과 관계있고, 식품섭취량조사법에 의해 추출된 제 1기 자료 분석 결과에서 남․녀 대상자에게서 과체중 및 비만의 위험도를 상승시켰으나 최근 제 4기 자료 분석 결과에서는 여러 가지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균형잡힌 전통 한식 식사유형으로 식사를 하는 경우 남․녀 대상자에게서 고혈압의 위험도가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 18 -


1. 식 품 섭 취 빈 도 조 사

요인분석 1) 식 사 패 턴 분 석 (제 1 기 ~ 4기 국 민 건 강 영 양 조 사) : 2가지 식 사 유 형 도출 식사유형 1 : 주식인 밥을 중심으로 채소류/생선류/콩류/김치류/육류등을 골고루 섭취하는 한국 전통식사유형 식사유형 2 : 곡류 및 김치 등을 섭취하면서 빵류/면류/우유및 유제품류/패스트푸드,어육류 및 가공식품등을 섭취하는 서구식사유형

2가지 식사유형 요인점수에 따른 국민건강 관련성 제 1기 : 전통식사유형 요인점수 ↑ 당뇨병 ↓ (여성) 제 2기 : 전통식사유형 요인점수 ↑ 과체중/비만 ↑(여성) 제 3기 : 서구식사유형 요인점수 ↑ 고혈압 ↑(여성/남성) 제 4기 : 전통식사유형 요인점수 ↑ 고혈압 ↑(남성)

2. 식 품 섭 취 량 조 사

식사패턴 1) 요 인 분 석

2) 군 집 분 석

분석결과 식 사 패 턴 분 석 : 제 1기~4기 국 민 건 강 영 양 조 사 : 2가지 식사유형 도출

전 체 (제 1 기 ~ 4기 통 합) : 4 가 지 식 사 유 형 도 출

식사유형 1 : 밥을 중심으로 채소류/생선류/콩류/김치/육류등을 섭취하는 골고루 섭취하는 전통식사유형

식사유형 1 : 밥과 김치를 주로 섭취하는 식사유형군

식사유형 2 : 곡류 및 김치 등을 섭취하면서 빵류/면류/우유및 유제품류/패스트푸드 / 어육류가공식품등을 섭취하는 서구식사유형

식사유형 2 : 밥을 중심으로 여러가지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다양식(diverse) 식사유형군 식사유형 3 : 면류 및 난류를 섭취하는 식사유형군 식사유형 4 : 어육류가공품을 주로 섭취하는 식사유형군

식사유형 요인점수에 따른 국민건강 관련성 제 1기 : 전통식사유형 요인점수 ↑ 과체중/비만 ↑(여성 & 남성), 서양식사유형 요인점수 ↑ 당뇨병 ↑ 제 2기 : 서양식사유형 요인점수 ↑ 당뇨병↑ (남성) , 서양식사유형 요인점수 ↑ 과체중/비만 ↓(여성) 제 3기 : 서양식사유형 요인점수 ↓ 고혈압 ↑ 제 4기 : 밥을 중심으로 채소류/생선류/콩류/김치/육류등을 골고루 섭취하는 전통 식사유형 요인점수↑ 고혈압 ↓(남성&여성)

그림 3 . 한국인의 식사유형 추출

- 19 -


(2)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식사유형지수와 한국인 식이섭취와의 관련성 한국인의 식사를 평가하기 위해 변형 및 보정한 지중해식 식사유형지수(MSDPS)와 식사 질지수(DQI-I)를 정의하고. 제 1기~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식사유형지수 와 고혈압, 당뇨병 및 비만 등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① 지중해식 식사유형지수(Mediterranean Style Dietary Pattern Score ;MSDPS) ② 식사질지수(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1. 식품섭취빈도 조사

1) 지중해식 식사패턴점수(MSDPS)

제 1기~4기 조사대상자 MSDPS: 34.0~40.6점

MSDPS와 건강지표 관련성

제 1기~4기 조사대상자 DQI-I : 57.3~64.0점 DQI-I와 건강지표 관련성

제 1기 : 유의한 차이 없음

제 1기 : 유의한 차이 없음

제 2기 : 유의한 차이 없음

제 2기 : DQI-I ↑ 과체중 및 비만 위험 ↑

제 3기 : MSDPS점수↑ 고혈압 위험 ↓

제 3기 : DQI-I ↑ 고혈압 위험 ↓

. 제 4기 : 유의한 차이 없음

세계적 통용되는 식사패턴지수

2) 식사질지수(DQI-I)

제 4기 : 유의한 차이 없음

2. 식품섭취량 조사 1) 지중해식 식사패턴점수(MSDPS) 제 1기~4기 조사대상자 MSDPS: 10.9~12.4점

2) 식사질지수(DQI-I) 제 1기~4기 조사대상자 DQI-I : 50.7~53.1점 DQI-I와 건강지표 관련성

MSDPS와 건강지표 관련성 제 1기 : MSDPS점수↑ 고혈압 위험 ↓(남성) 제 2기 : MSDPS점수↑ 당뇨병 위험 ↓ 제 3기 : 유의한 차이 없음

제1기 : DQI-I ↑ 과체중 및 비만 위험 ↑ 제2기 : DQI-I ↑ 고혈압 위험 ↓ 제3기 : DQI-I ↑ 고혈압 위험 ↓

제 4기 : 유의한 차이 없음

제4기 : DQI-I ↑ 고혈압 위험 ↓(여성)

그림 4. 세계적 통용되는 식사패턴지수와 한국인 식이섭취와의 관련성

위의 2가지 지중해식 식사유형지수(MSDPS) 및 식사질지수(DQI-I)와 한국인 만성질환과 의 관련성을 연구한 결과 MSDPS와 DQI-I의 점수가 높을수록 고혈압, 당뇨병 및 비만의 위험도가 일부 감소됨을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들 식사유형지수와 식사질지수는 모두 외국 의 분석 방법들을 한국인 식사평가에 적용하였으며 한식의 대표성을 적절히 반영할 수 없는 평가항목들로 구성되어 한식 섭취와 건강과의 관련성을 연구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었다.

- 20 -


(3)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 총점 60점) 개발 한국영양학회16)에서 제시한 식품구성자전거 및 식사구성안은 식품을 곡류, 고기·생선· 계란·콩류, 채소류, 과일류, 우유·유제품류 및 유지·당류 총 6가지로 분류하여 균형된 식 사를 계획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1일 섭취 횟수와 대표 구성식품을 제시한 것이다.

그림 5. 식품구성자전거 및 식사구성안

각 항목에 대해 1일 권장 섭취횟수를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제시하고 있으며, 곡류는 1일 3-4회, 고기·생선·계란·콩류 2.5-5회, 채소류 5-7회, 과일류 1-3회, 우유·유제품류 1회, 유지·당류는 3-5회로 섭취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표 1).

표 1.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산출방법 여자 식품군

KDS

곡류 고기․생선․계란․콩류 채소류 과일류 우유․유제품류 유지․당류 총점 KDS

1O점 10점 10점 10점 10점 10점 60점

1600B ≥ 점수/ 65세 serving 3 3.33 2.5 4 5 2 1 10 1 10 3 3.33

1900B 점수/ 19-64세 serving 3 3.33 4 2.5 7 1.43 2 5 1 10 4 2.5

남자 2000B 2400B 점수/ 점수/ ≥ 65세 19-64세 serving serving 3.5 2.86 4 2.5 4 2.5 5 2 7 1.43 7 1.43 1 10 3 3.33 1 10 1 10 4 2.5 5 2

식품구성자전거 및 권장식사구성안을 이용하여 개발한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총점은 60점이다. 각 구성군에 대해 대상자의 섭취 횟수를 구하고 섭취 횟수에 따라 10점 만점으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단, 권장 섭취 횟수보다 적게 혹은 많이 섭취하였을 경우 1 serving당 해당 점수를 빼는 방법을 도입하여 산출하였다.

- 21 -


예를 들어, 65세 이상의 여성의 곡류 1일 섭취 횟수가 2회 일 경우, 각 serving당 점수 3.33을 빼고, 과잉 섭취하였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serving 당 점수를 빼도록 하여 각 식 품군별 점수를 구하고 합산을 하여 한국인식사유형지수를 구하였다.

4. 새로 개발된 KDPS/KDS 식사유형지수와 국민건강과의 관련성 조사 한국인 식사유형의 우수성을 구명하고자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제 1기~ 4기 ;1998 년~2009년)를 이용하여 새로 개발된 식사유형지수와의 건강인자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식사유형지수(KDPS/KDS)와 국민건강과의 관련성 식사유형지수 한식식사유형지수(KDPS) 개발내용

질병과의 관 계

결과

한국의 전통 기본상차림인 ‘3첩 반상’을 기준으로 하는 한식 식사유형을 지표화

제 4기 분석자료 (2007년) : 남녀대상 KDPS ↑ 질병 위험성 ↓ •비 만 : 0.66배 •복부비만 : 0.73배 •대사성증후군(고혈압/당뇨병 등) : 0.72배

한식을 균형 있고 적절하게 섭취하는 사람일수 록 질병의 위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한국영양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식품구성자전거와 권장식사패턴을 적용하여 한국인 식사유형을 지표화 1기

여 : KDS↑ 당뇨병 위험↓ 남 : 유의한 차이 없었음

2기

유의한 차이 없었음

3기

여 : 유의한 차이 없었음 남 : KDS↑ 당뇨병 위험↓

4기

여 : KDS↑ 고혈압 위험↓ 남 : 유의한 차이 없었음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와 질병과의 관련성 조사에서 여성의 경우 점수가 높을 때 고혈압, 당뇨병 등의 위험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음.

5. 개발된 KDPS/KDS를 이용한 임상시험용 식단 개발 시 검토사항 1) 한식식사유형지수(KDPS) ① 현대과학과 문명이 발달하기 훨씬 이전부터 오랜 전통과 역사를 가지고 인류의 식문화와 함께 한 3첩 반상에는 우리 선조들이 수많은 경험을 통해 만들어낸 우 수성이 담겨 있는 채 오늘날의 우리들에게 전해졌다. 성공적인 후대 종족보존으로 현재 7천만을 헤아리는 한민족이 바로 우수한 식문화에 대한 증거이다. ② 선행연구에서 밥과 김치를 주로 섭취하는 식사유형은 비만의 위험도가 높고, 국류 와 장류 위주의 식사는 고혈압의 위험도가 높았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3첩 반상을 기본으로 하는 밥 중심의 다양한 반찬으로 이루어진 한식 식사유형은 각 종 질병 특히 당뇨병과 고혈압 등의 대사성증후군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 22 -


되었다. ③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는 한국의 전통 반상차림 속성을 내포하면서 그 지수가 높을수록 질병 위험도가 낮아지는 비교적 일관된 긍정적 결과를 보여주어 ‘임상 시험을 통한 한식의 우수성 구명’을 위한 임상시험 수행에 적용할 식사유형으로 써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2)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①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를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분석 결과에 적용하면, 한국 인 식사유형지수가 높을수록 고혈압, 당뇨병의 위험도가 감소하는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한국인식사유형지수는 밥, 국, 김치, 장류, 나물류 등과 같은 한국인이 전 통적으로 먹어 온 한국 음식의 특성과 특질을 구별하여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의 접목에 대한 제한점이 있었으나, 건강한 한국인의 식사유형을 도출하는 것에 있 어서는 우수하였다. ②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와 질병과의 관련성 연구에서 여성의 경우 점수가 높을 때 고혈압, 당뇨병 등의 위험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③ 제 1-2세부과제에서 한국인 식사유형 연구 중 식품섭취량조사 자료를 이용한 요 인분석 결과, 제 4기 자료에서 밥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섭취하는 균형 잡힌 한국 전통식 식사유형이 고혈압 위험도의 유의한 감소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균형 잡힌 식사유형 또한 밥을 중심으로 다양한 반찬을 섭취함을 의미하므 로 전통적으로 내려온 3첩 반상이 건강에 좋은 식사임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 다.

6. 제 2과제 임상시험용 식사의 식단 1) 임상시험의 한식 식사유형 본 임상시험에서 제공한 임상시험용 식사의 식단은 제 1-1세부과제 연구에서 개발한 한식식 사유형을 기본 골격으로 하며, 제 1-2세부과제 연구 중 국민건강영양조사 4기에서 추출된 한 국인의 식사유형 중 쌀을 주식으로 하면서 ‘여러 가지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균형 잡힌 식 사’가 고혈압의 위험도가 낮았다는 결과를 접목되어 있다. 즉 식단 구성은 밥, 국, 김치, 장류 가 기본이 되고 그 외의 생채, 숙채, 구이 혹은 조림을 제공하기 위한 조리법을 이용하였다. 또 한 반찬의 수가 적을지라도 상에 올라가는 음식을 통해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얻을 수 있도록 기초 식품군이 모두 포함되게 구성하였다. ① 주 식 : 밥으로 하루 3회 제공 ② 부 식 : 김치류, 국류, 장류, 생채 혹은 숙채, 구이 혹은 조림으로 구성이 될 수

- 23 -


있는 조리법을 이용한 음식의 조합으로 구성하여 제공 채소류 반찬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채와 숙채를 각각 분리하여 제공하였고, 마른반찬은 3첩반상에 속하지 않은 음식이었기에 제공하지 않음. ③ 과일류 : 고문헌18)에서 식사 후 과반을 올렸다는 기록과 한국인 권장식사패턴16) 으로 제시한 1인 1회 분량 과일류를 제공하였음.

+

제1-1과제의 제안 한식 식사유형

제 2과제 임상시험용 식단의 한식 식사유형

그림 6. 제1-1과제의 제안 한식 식사유형과 제 2과제 임상시험용 식단의 한식 식사유형

2) 임상시험적용 식단의 열량 및 식품섭취 빈도 산출 근거 (1) 한국인 65세이상(남)기준 권장식사패턴 적용 권장식사패턴 곡 류 고기․생선․계란․콩류 채 소 류 과 일 류 우유․및 유제품류 유지․당류

남자 ≥ 65세 3 4 7 2 1 4

열량(kcal) (1,900) 900 400 105 100 125 180

산정 열량 (피험자 평균 연령 65세) ○ 남 : 2,100kcal (50~64yr :2,200, 65~74yr :2,000) ○ 여 : 1,700kcal (50~64yr :1,800, 65~74yr :1,600)

◯ 열량 산정 : 평균 1,900kcal ◯ 열량 비율 :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 65~70% : 15% : 15~20%

(2) 한국인 권장식사패턴에 근거한 식품군별 섭취 빈도 적용 ① 곡 류 : 전곡류를 사용하였고 주식은 밥 형태로 3회/일 제공 ② 국/찌개 : 3회/일 제공 ③ 고기/생선/계란/콩류 : 붉은색 육류는 되도록 사용을 줄임 콩류(검정콩/두부), 견과류 및 어패류는 4회/일 제공 ④ 채소류 : 채소류/ 해조류/버섯류를 이용하여 생채와 숙채, 조림 및 구이형태로

- 24 -


7회/일 제공 ⑤ 과일류 : 1~2회/일 제공 ⑥ 우유 및 유제품류 : 제공하지 않음 ⑦ 유지 및 당류 : 유지는 들기름/참기름/식용유 등을 제공하고 당류는 조청을 4회/일 제공 ⑧ 김치류 : 3회/일 제공 (3) 비 고 ① 우유 및 유제품류는 한식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판단 하에 제공하지 않았고 부 족한 열량 충족을 위해 간식류로 고구마/밤 등 1회 섭취 분량을 대치하여 제공 함. ② 고기/생선/계란/콩류의 식품군 제공에 있어서 가능하면 육류를 콩류 또는 해산물 로 대치하여 단백질 공급원을 충족시켰음. 이는 한국 성인의 대사성 질환 유병률 이 가장 낮았던 1970년대의 주단백질 급원식품을 조사한 결과 주로 식물성 단백 질 형태로 충원하였다는 조사 결과(국민건강영양조사 2005)17)를 근거로 함. ③ 한식 대표 음식인 김치를 충분히 제공하기 위해 채소류에 포함시키지 않고 하루 3회 매일 제공 함.

- 25 -


3) 임상시험에 사용된 음식 종류 3첩반상 구 분

음식 명

밥 류(10)

현미밥,흑미밥,백태콩밥,검정콩밥,보리밥,열무비빔밥,영양밥,햇강낭콩밥,팥찰밥,조밥 등

국 류(36)

다슬기얼갈이국,호박채건새우국,김치청국장국,김치콩나물국,시금치된장국,미역국,두부조치,호박 잎국,배추들깨국,보리새우고추장찌개,순두부찌개,북어채호박국,감자들깨국,근대국,북어포콩나물 국,조개미역국,두부양파된장국,호박감자맑은된장국,북어채무우국,매운콩나물국,감자된장국,아욱 국,동태매운탕,청국장두부찌개,두부김치국,호박감자새우젓국,오징어무국,배추된장국,시금치아욱 된장국,팽이멸치국,두부된장찌개,쇠고기무국,콩나물국,두부고추장찌개,김치국,조개국 등

김치류(5)

생배추김치,숙성배추김치,총각김치,갓김치,깍두기 등

장 류(3)

생 채(21)

숙 채(31)

구이나 조림 (43)

과일류 (5종) 기 타

된장쌈장, 초고추장, 양념장 등 실파무침,도토리묵채소무침,도라지생채,무파래초무침,상추겉절이,무미나리생채,오이지무침,도라지 미나리무침,오이부추생채,상추오이겉절이,오이선,오이생채,오이소박이,도라지오이생채,부추고추장 무침,무생채,미역오이초무침,얼갈이된장무침,상추깻잎겉절이,다시마쌈,각종채소쌈 등 숙주겨자나물,가지나물,고사리나물,김실파무침,시금치고추장무침,감자채볶음,콩나물무침,풋고추 밀가루찜무침,숙주당근채무침,쑥갓나물,취나물,미나리초무침,깐고구마순나물,단배추나물무침,고 사리들깨지짐,시금치나물,열무된장나물,미역줄기당근채볶음,근대된장나물,무우숙채나물,깐고구마 순된장지짐,참나물무침,가지찜양념장,무우채들깨나물,청포묵김가루무침,죽순새송이볶음,조선호박 새우지짐,양배추찜,깻잎찜,깨순나물,느타리버섯우렁살찜 등 두부구이,실치조림,우엉조림,잣꽈리고추조림,더덕(양념)구이,양파당근조림,두부고추장조림,표고 들깨지짐,풋고추땅콩실치조림,새송이볶음,감자풋고추조림,닭살양파장조림,삼치무조림,고등어조 림,잔멸치고추장조림,잣땅콩조림,꽈리고추호두조림,깻잎간장찜,호박전,가지전,깻잎전,고추완자전, 연근전,김치조림,마늘쫑건새우조림,가지양파조림,두부간장조림,호박표고채조림,표고새우볶음,풋 고추채실치호두조림,연근엿조림,김가루실치볶음,쇠고기새송이장조림,돈육팽이불고기구이,멸치양 파볶음,우엉잣조림,김치두부지짐,김자반,호박생새우조림,실치꽈리고추볶음,알감자실치조림,조개 살무침,계란찜 등 배, 포도, 사과, 단감, 귤 등 찐고구마, 찐밤, 찐단호박, 호두 등

4) 임상시험에 적용한 식단 완성 (별첨 2. 식단)

- 26 -


5) 개발된 식사유형지수로 제 2과제 임상시험용 식사 평가 식사유형지수 (평균±표준오차) KDPS(100점) KDS(60점)

과제 2-1 식이중재 식단 과제 열 량 ( K c a l )

비 고

한식군

일반식군

한식군

일반식군

54.9±9.6

-

23.9±5.9

-

1,573.9±342.3

1차(스크리닝)

39.0±10.6

38.4±11.7

28.3±7.7

27.8±9.3

2 차 방 문

58.4±7.5

38.6±10.6

28.1±5.0

28.2±8.1

2-2 3 차 방 문 과제 4 차 방 문

58.1±8.0

38.9±10.7

28.4±4.6

28.1±7.4

61.6±9.5

38.4±12.2

27.1±5.3

27.2±9.3

열 량 ( K c a l ) 1,883.1±15.9

1,547.9±41.9

임상시험용 44.7점 식단

29.9점

1차 방문(0주)

39.4±12.5

-

26.6±6.8

-

2차 방문(4주)

47.4±13.5

-

27.1±6.6

-

52.5±11.1

-

25.7±6.7

-

51.1±12.5

-

25.1±7.7

-

2-3 3차 방문(8주) 과제 4차 방문(12주) 열량(Kcal)

▪ KDPS :3분위수 -하위군 :0~26 -중위군 :26~35 -상위군 :35~100

▪ KDS :5분위수 한국인 성인평균 : 22.9±7.5 -1분위수 :<15.8 -2분위수 :15.8-20.5 -3분위수 :20.5-24.8 -4분위수 :24.8-29.6 -5분위수 :>29.6

교육 전 : 1,604.7±129.1 교육 후 : 1,490.1±96.4

(1) 한국인 고혈압 환자에서 식이처방이 혈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관찰 연구 (제 2-1과제)에서의 식사유형지수 160명의 조사 대상자들에게 대구의료원 입원기간 제공된 식사(별첨 3)의 한식식사유형지 수(KDPS)는 평균 54.9±9.6점으로써 한식식사유형지수 상위군에 해당하는 식단이었고, 한 국인식사유형지수(KDS)는 평균 23.9±5.9점으로 3분위수(5분위수 기준)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다. (2) 고혈압 및 당뇨 치료 중인 환자에서 한식을 공급한 후 성인병에 대한 기능 개선 효 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제2-2과제)에서의 식사유형지수 한식군 피험자에게 임상시험 기간에 제공한 임상시험용 식이는 한식식사유형지수(KDPS) 평균 44.7점,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평균 29.9점으로써 각각 상위군에 해당하는 식사이었다. 한식군과 일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에 섭취하던 식사의 한식식사유형지수는 두 군 모두 38.0점으로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임상시험 기간 동안 한식군피험자는 한식식사유형지 수 평균 58.0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고 일반식군피험자는 임상시험 기간 동안 평균 약

- 27 -


38.0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다. 제 1‐2세부 과제에서 개발된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를 적용하면, 한식군과 일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에 섭취하던 식사의 한국인식사유 형지수(KDS)는 각각 28.3점과 27.8점으로 군 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임상시험 참여 기간 에도 한식군과 일반식군 모두 평균 27.1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여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그림 7. 임상시험기간 동안 한식식사유형지수(KDPS)와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변화

(3) 심혈관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한식으로 식이조절 시 질병 개선효과 (제 2-3과제) 에서의 식사유형지수 대상 환자들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에 섭취하던 1차(0주)방문 식사의 한식식사유형지 수(KDPS)는 평균 39.4점이었고 임상시험 참여 후 한식 식이조절 교육을 받음에 따라 2차 (4주)방문 시 평균 47.4점, 3차(8주)방문 시 평균 52.5점, 4차(12주)방문 시 평균 51.1점 으로 한식식사유형지수가 높아졌다. 이는 한식 식이조절교육이 반복됨에 따라 대상자들의 한 식섭취 순응도가 높아지고 한식 식사유형지수도 높은 한식을 섭취함을 의미한다. 제 1‐2세부 과제에서 개발된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를 적용하면, 임상시험 참여 전, 평 소에 섭취하던 1차(0주)방문 식사의 한국인식사유형지수는 27.3점 이었고 임상시험 참여 후 한식 식이조절 교육을 받음에 따라 2차(4주)방문 시 평균 26.9점, 3차(8주)방문 시 평 균 25.7점, 4차(12주)방문 시 평균 25.1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여 임상시험 참여 전과 후 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 28 -


그림 8. 한식식사유형지수(KDPS) 및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변화

7. 제 2 과제 임상시험 결과 요약 1) 한국인 고혈압 환자에서 식이처방이 혈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관찰 연구 (제 2-1세부과제) 본 연구는 대구의료원 입원환자의 진료기록을 조사하는 후향적 관찰연구로써 고혈압과 당 뇨병을 진단받고 약물치료 중인 환자에게 철저한 식이중재를 시행할 때 안정적이며 지속적 인 혈압 및 혈당 강하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때 제공된 식사가 어떠한 종류의 한식 식 사유형이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림 9. 제 2-1과제 연구 내용

- 29 -


연구 결과 총 160명의 대상 환자들은 입원 당시 하루 평균 약 3.5개의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평균 입원기간은 43.5± 21.1일 이었다. 이들 중 식이중재 입원 치료 후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약물을 투약 중단할 수 있었던 환자는 전체의 86.2%에 해 당하는 138명이었고 이들이 약물 투약을 중단하기까지 평균 12.9± 15.6일이 걸렸다. 또한 전체 대상자 중 약 50%가 식이중재 입원치료 약 7일 경과 후에, 약 80% 정도가 약 14일 경과 후에 약물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다.

그림 10. 입원기간 중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 사용량의 변화

160명의 조사 대상자들에게 대구의료원에서 입원 기간 제공한 식사의 한식식사유형지수 (KDPS)는 평균 54.9점으로써 한식식사유형지수 상위군에,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는 평 균 23.9점으로 중위군에 해당하는 식단이었다. 하루 열량섭취는 평균 1,573Kcal 이었고 그 중 탄수화물로 섭취하는 열량 비율이 63%,

단백질과 지질로 섭취하는 열량 비율이 각

각 14%와 23% 이었다. 또한 당질 제한이 없고 현미밥과 같은 전곡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며 염분 섭취를 자유롭게 하였다. 동물성식품을 제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탄수화물, 단백 질 및 지질의 섭취 비율이 적정수준이었고 김치류와 장류는 한국영양학회와 대한지역사회영 양학회에서 권장한 1인 하루 섭취량보다 각각 1.3배와 4배 많았다. 식이섬유소 하루 섭취량 은 45.9±3.7g(23.69g/1,000kcal)으로 2010년 한국인영양섭취기준에서 제시한 식이섬유소 충분섭취량보다 약 2배가량 많았고 나트륨 하루 섭취량은 한국인 19세 이상 성인의 나트륨 하루섭취량보다 1.4배, WHO(2003)의 권고 섭취량보다 3.3배 정도 많았다. 대상 환자들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모두 입원치료를 하면서 유의하게 감소하고 투약 중단 이후에도 감소한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였다. 공복혈당과 식후혈당도 모두 투약중단 후 재증가 없이 감소 또는 유지 되었고 혈당 조절 지표인 당화혈색소(HbA1c) 또한 입원 시 에 비해 퇴원 시에 7.6%에서 7.2%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대상 환자들의 혈당조절이 유의하 게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체중과 체질량지수

- 30 -


도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의학적 개선 효과가 있었던 이유를 대상 환자들이 전곡류와 채소 를 충분히 섭취하고 식물성 식품을 통해 단백질과 지방을 섭취한 것에서 일부분 찾을 수 있다고 제안하고자 한다19)27). 즉 식품 속에 포함된 불포화지방, 식이섬유소, 마그네슘과 칼륨 같은 미량영양소의 익히 알려진 이득 작용과 전곡류에 함유된 식이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리그난(lignans), 기타 식물유래 화합물과 같은 여러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이러 한 작용이 나타났다고 판단하였다19)20). 또한 본 연구에서 염분을 자유롭게 섭취해도 혈 압 상승이 없고 오히려 약물 투약을 중단 할 수 있었는데 발효식품과 천일염 섭취를 그 이유의 하나로 들 수 있겠다. 천일염은 정제염에 비하여 염분 함유량이 적고 마그네슘, 칼륨과 칼슘 등의 각종 무기물이 포함되어 있어서31) 신장에서의 배설이 용이하고 따라서 체내에서 염분저류를 덜 일으킬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동안 발효식품의 과도한 염분 함유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서 충분히 섭취하는데 제한이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토대로 천일염으로 만든 발효식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요약하면, 총 160명의 대상 환자들은 하루 평균 섭취 열량 1,573Kcal, 한식식사유형 지수(KDPS) 평균 54.9±9.6점인 한식식사유형지수 상위군에 해당하는 식단으로 식이중 재 입원치료를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당질 및 염분 섭취 등을 제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 하고 혈압과 혈당 감소와 더불어 혈중 지질, 체중 등이 감소함에 따라 전체 대상 환자의 86.2%인 138명에서 투약을 중단 할 수 있었다. 이들은 투약을 중단한 상태에서도 혈압, 혈당이 투약 중일 때와 다름없이 유지됨을 관찰하여 식이중재도 약물치료만큼 강력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는 밥, 국, 김치 중심의 식사가 자칫 건 강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편견을 줄 수 있었던 선행연구22)23)28)29)들에 의한 잘못된 인식들 을 불식시키고, 밥을 규칙적으로 잘 먹는 식사유형이 당뇨병, 고혈압 등의 질환에서 오히 려 이로운 의학적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후향적 관찰연구 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추후 전향적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그 기전을 확인하는 것이 필 요하다.

2) 고혈압 및 당뇨 치료 중인 환자에서 한식을 공급한 후 성인병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제 2-2세부과제) 본 임상시험은 고혈압과 당뇨병을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로써, 한식군 21명은 본 센터에서 제공하는 한식을 하루 세끼 12주간 섭취하였고, 일반 식군 20명은 평소 섭취하던 식사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여 두 군 간의 혈압 및 혈당 조절 정 도, 기타 여러 건강지표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 31 -


그림 11. 제 2-2 과제 연구 내용

한식군 피험자에게 임상시험 기간에 제공한 임상시험용식이의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는 평균 44.7점으로써 한식식사유형지수 상위군에 해당하였다. 한식군과 일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에 섭취하던 식사의 한식식사유형지수는 각각 39.0점과 38.4점으로 군 간 차 이가 없었으나 임상시험 기간 한식군은 한식식사유형지수 평균 59.3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고 한식군의 임상시험용식이에 대한 순응도는 매우 우수하였다. 반면 일반식군은 임상시 험 기간 평균 약 38.6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다. 그러나 제1‐2과제에서 개발된 한국인 식사유형지수(KDS)를 적용하여 평가한 결과 한식군과 일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 에 섭취하던 식사의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는 각각 28.3점과 27.8점으로 군 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임상시험 참여기간 동안에도 한식군과 일반식군 모두 평균 27.1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여 군 간 차이가 없었다. 한식군은 당질 제한 없이 현미밥과 같은 전곡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하루 평균 총 1,883kcal 열량에 해당하는 음식을 섭취하였다. 이는 일반식군보다 약 335Kcal 많은 열량 이다. 또한 한식군에서 재래식 방법으로 만든 발효식품과 전통식품을 충분히 섭취함에 따라 염분 섭취량이 비교적 많아서 나트륨 섭취량이 일반식군보다 1.4배 많았다. 정리하면, 한식 군은 일반식군보다 전곡류인 현미밥과 나물류 등의 채소류, 김치류, 콩류 및 두류 식품 그리고 전 통발효식품 등을 많이 섭취하고, 빵류 및 면류, 동물성 식품인 육류와 난류, 그리고 과일류는 적 게 섭취하였다. 따라서 일반식군보다 당질 섭취량이 많고 열량 중 탄수화물 섭취율이 높았다. 단 백질과 지질은 열량 중의 섭취율만 고려하면 한식군의 지질 섭취율이 약간 높고 단백질 섭취율 은 약간 낮으나, 총 단백질량과 총지질량은 일반식군보다 많을 뿐 아니라 식물성 식품에서 기원 한 단백질과 지질이 주를 이루고 그 섭취량 또한 현저히 많았다. 반면 일반식군 피험자들은 하 루 평균 총 1547kcal의 열량을 섭취하고 동물성 단백질, 동물성 지질, 콜레스테롤, 동물성철 분, 레티놀 같은 동물성식품에서 기원한 영양소 섭취가 많았다. 즉 한식군에 비해 총열량, 당질, 염분과 식이섬유소 섭취량이 훨씬 적으면서 단백질과 지질이 대부분 동물성식품에서

- 32 -


기원하고 그 섭취량 또한 많았다. 유효성 평가 항목 중 한식군의 24시간 활동 중 및 안정 시 혈압과 맥박수, 부교감신경기 능,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및 혈중 지질 등에서 일반식군에 비하여 의미있는 개선 효과가 있 었으며, 신체계측 지표 중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체지방율 및 허리둘레에서도 일반식 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 효과가 있었다.

그림 12. 대상자의 맥박수 및 부교감신경 변화

그림 13. 대상자의 당화혈색소 변화

현재까지 단백질의 섭취가 증가할수록 복부 비만이 감소하며22), 탄수화물 섭취가 복부 비 만을 증가시키고22) 고단백질, 저탄수화물 식사가 체중감량과 혈당 조절에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린 연구들이 다수이다19)24)25). 그러나 본 임상시험 결과 밥을 규칙적으로 잘 먹는 탄수화물 식사가 당뇨병, 고혈압 및 비만 등의 질환에서 오히려 이로운 의학적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알았다.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의학적 개선 효과가 있었던 이유를 대상 환자들이 전곡류와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식물성 식품을 통해 단백질과 지방을 섭취한 것에서 일부분 찾을 수 있다

- 33 -


고 제안하고자 한다19)27). 즉 식품 속에 포함된 불포화지방, 식이섬유소, 마그네슘과 칼륨 같 은 미세영양소의 익히 알려진 이득 작용과 전곡류에 함유된 식이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리 그난(lignans), 기타 식물유래 화합물과 같은 여러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이러한 작용이 나 19)20)

타났다고 판단하였다

.

또한 전곡류 섭취를 통해 체내 혈당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는 26)30)

혈당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를 안정화시키는 역할33)도 하여 혈압과 맥박수

에 이로운 효과를 일으켰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염분을 자유롭게 섭취해도 혈압 상승 이 없었는데 그 이유의 하나로 발효식품과 천일염 섭취를 들 수 있겠다. 천일염은 정제염에 비하여 염분 함유량이 적고 마그네슘, 칼륨과 칼슘 등의 각종 무기물이 포함되어 있어서 21)31)

신장에서의 배설이 용이하고 따라서 체내에서 염분저류를 덜 일으킬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동안 발효식품의 과도한 염분 함유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서 충분히 섭취하는데 제한이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토대로 천일염으로 만든 발효식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근 거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요약하면, 한식 섭취는 환자의 순응도가 좋고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며 혈압과 맥박수 감 소, 자율신경기능 안정화, 혈당 및 지질 조절상태 개선, 그리고 체중 감량에 유효하였고, 고혈 압 및 당뇨병 환자가 의학적 치료, 운동 요법과 함께 한식 섭취를 규칙적으로 함으로써 생활 습관을 교정 할 때 장기적으로 질병과 관련한 예후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다만 본 연구에서 본 연구자들이 대조군에게 대조식을 직접 제공하지 않아서 대조군 피험자들의 식이섭취 보고에 의존한 분석결과를 한식군 임상시험용 식이와 비교 하였고, 한식군이 섭취한 식이는 친환경 국내산이였으나, 일반식군은 평상시 섭취한 음식은 잔류농 약 등의 노출위험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한식군은 매일 3차례 임상시험지원센터를 방문 하여 식사를 하였기 때문에 일반식군과 운동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선행 연구들의 보고 내용과 다르게 도출된 결과들을 해석하고 추정되 는 기전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향후 대조식을 직접 제공하는 등, 임상시험을 보다 정밀하게 계획하고 반복하여 수행 할 필요가 있겠다.

(제2-2 과제 외국인 임상시험) 외국인 비만 피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체지방과 복부지방 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한식의 우수성 구명을 위해 외국인 대상의 임상시험도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국내에 거주 하는 서양 백인을 대상으로 한식 선호도, 비만과 혈중 지질의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를 추가 진행하였다. 즉 비만한 외국인에게 한식을 규칙적으로 장기간 섭취하게 하여 한식 섭취의 가 능성 및 그에 따르는 문제점을 파악함과 더불어, 한식 섭취 전ᆞ후의 체지방 및 복부지방 변 화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임상시험용식이는 제 2-2세부과제 ‘고혈압 및 당 뇨병 치료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이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 시험’과 동일하게 8주 동안 제공하였다.

- 34 -


본 연구는 전형적인 통계적 가설 검정을 위한 시험과는 성격이 다르므로 피험자 수를 최 소한으로 설정하여 서양 백인 남성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시험 결과 피험자 KF01와 KF02은 한식을 8주 동안 섭취한 후, 1차 유효성평가 항목인 체지방 및 복부지방면적이 감 소하였고, 2차 유효성 평가 항목 중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피부두겹두께 등에서도 감 소 효과가 있었다. 또한 혈중 지질 및 아포지단백 B 농도에 있어서도 감소 효과 또는 감소 경향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임상시험기간 동안 평소 생활습관을 바꾸지 못하고 다양하 면서 많은 양의 간식 섭취 그리고 알코올 및 육류를 섭취 하였다. 또한 피험자들은 임상시험 용식이로 제공된 한식에 거부감은 없었으나 생선류, 해조류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낮았고, 비빔밥 형태의 식이섭취 기호도가 높았다. 전통식에 가까운 한식을 그대로 외국인에게 섭취 하게 하는 임상시험을 수행함에 있어 낮은 순응도를 비롯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지만 하루 세끼의 규칙적인 한식 섭취가 비만한 외국인의 체중, 복부지방 및 혈중 지질 개선 등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3) 심혈관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한식으로 식이 조절 시 질병 개선 효과 (제 2-3세부과제) 본 임상시험은 전향적 환자군 연구로써 고혈압 또는 당뇨병을 진단 받고 심혈관 질환 수 술을 받은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식 식이조절 교육을 12주간 시행하였다. 한식 식이조 절 교육만으로도 한식섭취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심혈관 질환의 위험 감소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약물 투여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림 14. 제 2-3과제 연구 내용

본 연구자들은 2주 간격으로 본 임상시험지원센터를 방문한 대상 환자들에게 한식섭취를

- 35 -


기본으로 한,

변형된 DASH식이교육 프로그램(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미국 합동위원회 2003)32)을 교육 한 후 이에 대한 순응도를 평가 하였다. 환자들의 식이기록지를 토대로 한식 식이조절 교육에 대한 순응도를 평가한 결과, 현미와 같은 전곡류 밥을 중심으로, 나물류 등의 채소류, 김치류 그리고 전통발효식품 등의 섭취가 증가하고 동물성식품 섭취는 감소하여, 교육 주차 별 순응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 차 증가함(p<.0001)과 동시에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도 높은 한식 섭취함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즉, 대상자들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에 섭취하던 식사 1차방문(0주)시의 한식식사유 형지수는 평균 39.4점이었고 임상시험 참여 후 한식 식이조절 교육을 받음에 따라 2차방문 (4주)시 평균 47.4점, 3차방문(8주)시 평균 52.5점, 4차방문(12주)시 평균 51.1점으로 한 식 식사유형지수가 높아졌다. 총 15명의 피험자에 대한 좌위 혈압과 24시간 활동 중 혈압을 한식 식이조절 교육에 따 라 평가한 결과 항고혈압 약제 사용량은 교육 0주째 2.1에서 교육 12주 후 1.7로 줄었고 그럼에도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은 정상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피험자 중 당뇨병을 가진 피험자는 9명으로 한식 식이조절 교육에 따른 공복혈 당,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지표에서 변화는 없었으나, 혈당조절 지표인 당화혈 색소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항당뇨병 약제의 안정된 복용량으로 적절한 혈당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한식 식이조절 교육이 진행 될수록 허리둘레 및 허리·엉덩이둘레비가 감소 하였으며, 체중과 체질량지수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 15. 한식 식이조절 교육 주차별 약제제 사용량 변화

본 연구 결과 한식섭취를 권장하고 지도하는 교육만으로도 실제 한식을 제공한 것처럼 혈 압 및 혈당 조절을 개선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서구화된 음식 섭취가 증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한식을 섭취하려는 노력과 실천은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식이인자인 동물성 지질, 동물성 단백질 및 콜레스테롤을 적게 섭취할 수 있게 하여 심혈관질환 위험인

- 36 -


자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하면, 본 연구의 대상 환자들은 한식 식이조절 교육을 반복하여 받음에 따라 한식 섭취 를 더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한식식사유형지수(KDPS)가 높은 식사를 하였다. 또한 항고혈압 약제 사용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오히려 혈압은 정상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당뇨병을 가진 환자들은 항당뇨병 약제 복용량이 안정된 상태로 적절한 혈당을 유지하였고 동시에 혈당 조절 지표인 당화혈색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혈당조 절이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및 허리·엉덩이둘레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적극적인 한식 섭취를 장려하는 식이조절교육 중재는 심혈관 질환 수술을 받은 환 자에서 순응도가 좋고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여 생활습관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고 장기 적으로 심혈관 질환의 예후를 향상시키며 고혈압 및 당뇨병의 안정적인 약물치료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8. 결 론 ‘임상시험을 통한 한식의 우수성 구명’과제를 위한 임상시험용식이 식단을 구성하고자 현 재 한국인들이 섭취하고 있는 식사유형을 확인하고, 이 식사유형과 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보 았다. 1-2세부과제 결과에서 1998년부터 2009년까지 시행된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통합․분석하여 도출된 한국인의 식사유형은 여러 가지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균형 잡힌 전 통식, 밥과 김치를 주로 섭취하는 불균형 전통식, 빵 및 유제품식사유형과 가공식품 식사유 형 섭취 등 총 4가지 식사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질병과의 관련성 분석 결과 여러 가지 식품 을 골고루 섭취하는 균형 잡힌 전통식사유형을 가진 여성그룹이 고혈압, 당뇨병 등의 질환 위험도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식사유형의 원형격인 3첩 반상을 기본으 로 하는 임상시험용식이 식단을 개발하였다. 그 식단은 밥, 국, 김치, 장류가 기본이 되어 구 성되고 그 외의 생채 및 숙채, 구이 혹은 조림 등을 제공 하므로 반찬의 수가 적을지라도 상 에 올라가는 음식을 통해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얻을 수 있는 상차림이었다. 개발된 한식 식사유형을 한식의 우수성 구명을 위한 임상시험에 적용하기에 앞서, 한국영 양학회16)가 추천하는 균형식 식품구성자전거 및 식사구성안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한국인식 사유형지수(KDS)와 3첩 반상을 기본 골격으로 만들어진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를 비교

- 37 -


하였다.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를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분석 결과에 적용하면, 한국인 식사유형지수가 높을수록 고혈압, 당뇨병의 위험도가 감소하는 관계가 있었다.

한국인식사

유형지수는 밥, 국, 김치, 장류, 나물류 등과 같은 한국인이 전통적으로 먹어 온 한국 음식 의 특성과 특질을 구별하여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의 접목에 대한 상대적으로 제한점이 있었 으나,

건강한 한국인의 식사유형을 도출하는 것에 있어서는 우수하였다. 반면, 한식식사유

형지수(KDPS)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결과에 적용할 경우, 지수가 높을수록 비만과 당뇨병 등의 대사성 질환의 위험도가 감소하였고 한국 음식의 특성 및 특질을 구별하여 평 가하고 반영할 수 있는 점수화 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임상시험을 통한 한식의 우수성 구 명’을 위한 임상시험 수행에 보다 적합하였다. 대구의료원에서는 지난 수년간 입원 후 철저한 식이중재를 단행하여 고혈압과 당뇨병 치 료 약물을 중단하는 치료를 하고 있었는데, 이와 유사한 치료 사례가 국내외에 아직 보고 된 바 없고, 대구의료원에서의 식사요법과 의학적 치료 결과에 대한 분석 또는 보고가 아직 이 루어지지 않았기에 본 연구자들이 후향적으로 관찰연구 하였다. 그 결과, 대상 환자들에게 제공한 식사는 한식식사유형지수(KDPS) 평균 54.9점으로써 지수의 상위군에 해당하는 한 식 식단이었다. 고혈압과 당뇨병으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치료받은 대상 환자 160명 중 138명이 평균 12.9일 만에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약물을 투약 중단하였다. 또한 이들의 혈 압과 혈당이 투약을 중단한 상태에서도 투약중일 때와 다름없이 유지됨을 관찰하였다. 당화 혈색소는 입원 시 7.6%에서 퇴원 시 7.2%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체중과 체질량지수 등이 감소하였다. 이는 전곡류로 만든 밥을 규칙적으로 잘 먹 는 식사유형이 당뇨병, 고혈압 등의 질환에서 의학적 효과가 낼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본 임상시험은 제 1과제에서 개발한 한식 식사유형을 고혈압과 당뇨병을 동시에 앓고 있 는 환자에게 섭취하게 한 후 질환의 개선을 관찰하는 연구이었다. 총 41명의 대상 환자 중 한식군 21명은 본 센터에서 제공하는 한식을 하루 세끼 12주간 섭취하였고, 일반식군 20명 은 평소 섭취하던 식사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한식군에게 제공한 임상시험용식이의 한식식사 유형지수(KDPS)는 평균 44.7점,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는 평균 29.9점으로써 모두 상 위군에 해당하였다. 임상시험 참여 전 피험자들이 섭취한 음식의 한식식사유형지수(KDPS) 는 두군 모두 38점으로 군 간 차이가 없었으나, 한식군이 섭취한 식사의 한식식사유형지수 는 임상시험 동안 평균 58.0점으로 증가하였고 일반식군의 경우는 임상시험 참여 전과 후에 변동이 없었다. 그러나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를 적용하면 한식군과 일반식군이 섭취한 식사의 한국인식사유형지수는 임상시험 참여 전과 임상시험 참여기간 모두에서 약 28점 정 도로 일치하여서 두 군 간 차이뿐만 아니라 임상시험 전․후에 따른 차이 또한 없었다. 영양 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임상시험 참여 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임상시험 기간에는 한식군이 섭취한 하루 평균 열량이 1883Kcal으로써, 일반식군의 하루 평균 섭취 열량 1547Kcal 보다 약 335Kcal 가 많았다. 또한 한식군의 소금 섭취량도 일반식군보다 하루

- 38 -


평균 1.4배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한식군에서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 감소 , 혈압과 맥박수 감소, 혈중 지질 개선 및 자율신경기능 안정화를 보이는 등, 중요한 생체표지자의 호전이 나 타났다. 고혈압 또는 당뇨병을 진단받고 심혈관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는 심혈관 질환이 재발할 확 률이 아주 높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또 다른 임상시험에서 이들 환자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한식섭취를 장려하는 식이조절 교육을 함으로써 실제 한식을 제공하는 수고로움 없이 교육 만으로도 대상 환자들이 섭취하는 식사의 한식식사유형지수(KDPS)가 증가하는지 확인하고 자 하였고, 한식 섭취 증가가 임상적 지표의 호전과 관계있는지 관찰하였다. 그 결과, 12주 동안의 적극적인 한식 식이조절 교육으로 대상 환자들이 섭취하는 식사의 한식 식사유형지 수가 평균 39.4점에서 평균 51.1점으로 증가 하였고, 한식 식이조절 교육을 반복하여 받음 에 따라 한식 섭취를 더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한식 식사유형지수가 높은 식사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상 환자들의 고혈압과 당뇨병이 안정적으로 조절되고, 치료 약물이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기에 적극적인 식사 교육만으로도 한식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생활습관병인 동시에 만성 질환인 고혈압과 당뇨병을 진단 받은 자에서 전 곡류로 만든 현미밥을 섭취하면 밥과 열량 섭취량이 많을지라도 밥량과 열량을 적게 섭취하 는 것보다 질환의 개선 효과가 뚜렷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곡류와 채소를 충분히 섭 취하는 경우, 소화흡수가 천천히 일어나 고혈당의 발생이 지연되고 공복감을 최소화하여 식 사 이외의 음식섭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식품 속에 포함된 불포화지방, 식이 섬유소, 마그네슘과 칼륨 같은 미량영양소의 익히 알려진 이득 작용과 전곡류에 함유된 식이 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리그난(lignans), 기타 식물유래 화합물과 같은 여러 생리활성 물질 에 의해 이러한 의학적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탄수화물 섭취가 많은 한국인의 식생활 특성상, 국민에게 밥량을 줄이는 식사 방법을 제시 하거나 특정 영양소 섭취를 권장하는 것보다는 주식인 밥을 전곡류로 짓고 국류, 김치류, 나 물류 및 발효식품 등의 다양한 음식을 포함한 한식 식사유형을 규칙적으로 섭취하도록 제시 한다면 실생활에서 적극 실천하고 유지하기에 유리하며 당뇨병, 고혈압과 같은 생활습관병을 예방 또는 개선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게 하는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우 리 땅에서 생산한 농산물로 만들어지고 한국인의 고유의 식생활에 적합한 식사유형을 찾는 노력이 계속 이루어지고 더불어 한식의 우수성을 입증 할 수 있는 좀 더 광범위하고 집중적 인 연구가 이어져야 하겠다.

- 39 -


Ⅳ. 별 첨

1. 총괄요약 별첨 1. 1-2과제의 식사패턴 분석 방법 별첨 2. 제 2-2과제의 임상시험용 식이 식단 별첨 3. 제 2-1과제의 식이중재 식단 별첨 4. 참고문헌

2. 세부과제 결과 보고서

1. 별첨 1. 제1-1과제 보고서 2. 별첨 2. 제1-2과제 보고서 3. 별첨 3. 제2-1과제 인체시험성적서 4. 별첨 4. 제2-2과제 인체시험성적서 (부록 : 외국인 과제 인체시험성적서) 5. 별첨 5. 제2-3과제 인체시험성적서


별첨 1. 1-2과제의 식사패턴 분석 방법

1. Data-driven methods 1) 요인분석 요인분석은 많은 변수의 상호관련성을 소수의 기본적인 요인으로 집약하는 방법이다. 대상자들에 대해 측정된 여러 개의 변수(식품)들의 내재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변수(식 품)들을 분류하고 적절한 의미를 부여하는 분석 방법이다.

조사된 여러 가지 식품들 중에서 비슷한 식품들을 묶어서 19개의 식품군으로 분류한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19개의 식품군을 2개의 요인으로 분류하고 각각 서양식, 전통식이라고 의미를 부여한다. 식품섭취빈도조사 18,322명과 식품섭취량조사 17,760명의 대상자들의 식이섭취를 조사 한 결과 서양식과 전통식이라는 두 가지의 식사패턴으로 추출되었다.

2) 군집분석 많은 개체(연구대상자)들을 일정한 속성에 따라 몇 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여, 같은 군집에 속한 객체들의 유사성과 서로 다른 군집에 속한 객체간의 상이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통계분 석방법이다. 동질적인 집단으로 군집화(clustering)하는 것이다.

- 41 -


군집분석에 의해 전체 3,904명을 대상으로 했을 때 서로 비슷한 속성을 가지는 3개의 군 집으로 분류가 된다. 군집 1에는 2,027명의 대상자가 포함되며 밥, 김치, 콩을 주로 섭취하 는 군집으로 명한다. 군집 2에는 1,242명의 대상자들이 포함되게 되며 밥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군집으로 명한다. 군집 3에는 635명의 대상자가 포함되며 술 과 육류를 주로 섭취하는 군집으로 명한다. 동질적인 집단으로 나누어진 군집들의 인구학적정보 등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질병과의 관 련성을 분석한다.

2. Score based methods Score based method는 조사되어진 여러 가지 식품에 점수를 부여하여 분석하는 방법이 다. 기존에 미국과 중국에서 개발된 지중해식 식사패턴 점수(MSDPS), 식사질 지수(DQI-I) 방법에 우리나라에서 조사되어진 국민건강영양자료를 적용시켜 점수화시켰다. 그리고 한국 영양학회의 식품구성 자전거의 항목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식품섭취빈도조 사지 자체의 한계도 있을 수 있으나 MSDPS와 DQI-I는 미국과 중국의 식사 질을 비교 평 가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로서 우리나라 대상자들에게 적용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MSDPS, DQI-I 그리고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방법에 적용시켜 식품에 대해 점수를 부여하고 점 수를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나누어 질병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MSDPS, DQI-I 그 리고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에 적용시켜 점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Mediterranean Style Dietary Pattern Score (MSDPS) Mediterranean diet pyramid의 13가지 식품군 (whole grain, 과일, 채소, 유제품, 와인, 생선, 콩, 육류, 가금류, 감자 및 전분류, 난류, 콩류, 올리브 오일)에 대해 1일 혹은 1주간의 권장 섭취 serving 단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한다. 권장 섭취 serving 단위 수만큼 섭취 시 10점을 부여하며, 이보다 작게 혹은 과잉 섭취 시 점수를 깎도록 함. 단 올리브 오일의 경우 올리브 오일만 섭취할 경우 10점을 부여하며, 다른 식물성 오일과 병행 사용 시 5점,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 0점을 부여하도록 하다(표4). 원래 지중해식 식사패턴 분석 시에는 총 13가지 식품군에 대해 점수를 부여하나 우리나라 식습관 특성상 와인의 섭취가 적고 올리브오일의 사용 빈도가 낮아 두 가지 항목을 제외한 11가지 항목에 대해 점수를 부여하여 총점을 계산한다.

- 42 -


표 1. 지중해식 식사패턴 분석 방법 Criteria for maximum score

Score

Servings/d 8

Points/serving 1.25

Fruits

3

3.33

Vegetables

6

1.67

Dairy products

2

5.0

3/1.5

3.33/6.67

Food group components Whole grain

Wine

Servings/wk Fish and other seafood

6

1.67

Poultry

4

2.5

Olives, legumes and nuts

4

2.5

Potatoes and other starchy roots

3

3.33

Eggs

3

3.33

Sweets

3

3.33

Meat

1

10

Use only

10

Olive Oil Total score

130

2)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중국과 미국의 식사의 질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지수로서 다양성 지수 (20점), 적 정성(40점), 절제성 (30점), 균형성 (10점)으로 총 4가지 항목 (총 100점)으로 구성이 되 어 있으며 총 점수 100점 만점에 가까울수록 식사의 질이 높다고 평가한다. 다양성 항목에서는 식품군별 (육류/가금류/생선류/난류/우유류/두류/곡류/과일류/채소류) 및 단백질 급원별(육류/가금류/생선류/난류/우유류/두류) 섭취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섭취할 수록 점수를 부여한다. 적정성 항목에서는 채소류, 과일류, 곡류, 식이섬유소, 단백질, 철, 칼슘, 비타민 C를 일정 serving 단위 이상 섭취하거나, 권장 섭취량 대비 섭취율에 따라 연속변수로 설정하여 점수 를 부여한다. 절제성 항목에서는 총지방, 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 나트륨 및 empty calorie food 항목 에 대해 일정량 이상 섭취하거나 전체 에너지 섭취량으로부터의 섭취 비율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으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포화지방산 및 콜레스테롤의 자료가 없어 두 항목에 대한 점수를 제외한 점수를 부여한다. 균형성 항목에서는 3대 열량 영양소의 섭취비율 및 지방산 (PUFA:MUFA:SFA)의 섭취 비율에 따라 점수를 부여도록 되어 있으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지방산 섭취비율이 포 함되어 있지 않아 지방산 섭취 비율 항목을 제외한 점수를 부여한다.

- 43 -


표 2. 식사 질 지수 계산 방법 DQI, total Variety

0-100 points 0-20

Ref

0-15

≥ 1 Any Any Any Any Any

Within-group variety for protein source (meat, poultry, fish, dairy, beans, eggs)

0-5

≥ 3 different sources/d =15 2 different sources/d=12 From 1 source/d=1 None=0

Adequacy

0-40

Vegetable group

0-5

≥ 5-7 serving/d=5, 0 servings/d=0

Fruit group

0-5

≥ 1-3 serving/d=5, 0 servings/d=0

Grain group

0-5

≥ 3-4 serving/d=5, 0 servings/d=0

Fiber

0-5

≥ 20 g/d=5, 0 g/d=0

Protein

0-5

≥ 10% of energy/d=5, servings/d=0 0% of energy/d=0

Iron

0-5

≥ 8-14 mg/d=5, 0 mg/d=0

Calcium

0-5

≥ 650-750 mg/d=5, 0 mg/d=0

Vitamin C

0-5

≥ 100% RDA mg/d=5 0% RDA mg/d=0

Moderation

0-30

Total fat

0-6

≤ 20% of total energy/d=6 > 20-30% of total energy/d=3 >30% of total energy/d=0

Sodium

0-6

≤ 2400mg/d=6 >2400-3400 mg/d=3 >3400 mg/d=0

Empty calorie foods

0-6

≤ 3% of total energy/d=6 > 3-10% of total energy/d=3 > 10% of total energy/d=0

Saturated fat

0-6

Cholesterol

0-6

Overall balance

0-10

Overall food group variety (meat/poultry/fish/eggs; dairy/beans; grains; fruit; vegetable)

Macronutrient ratio (carbohydrate:protein:fat)

0-6

Fatty acid ratio (PUFA:MUFA:SFA)

0-4

serving from 1 food group 1 food group 1 food group 1 food group 1 food group

each food group/d =15 missing/d=12 missing/d=9 missing/d=6 missing/d=3 missing/d=0

55-65:10-25:15-20=6 52-68:8-21:13-23=4 50-70:7-22:12-25=2 otherwise=0

- 44 -


별첨 2. 제 2-2과제의 임상시험용 식이의 식단

한식 13일 식단 (1) 일짜

1일

끼니

음식1

음식2

음식3

음식4

음식5

음식6

조식

현미밥

다슬기 얼갈이국

두부구이

숙주겨자나물

실파무침

배추김치

중식

흑미밥

호박채 건새우국

실치조림

도토리묵 채소무침

가지나물

숙성배추김치 (채소쌈)

간식

찐고구마

석식

검정콩밥

김치청국장국

고사리나물

도라지생채

우엉조림

배추김치/ 김구이

조식

흑미밥

시금치된장국

닭살양파장조림

표고들깨지짐

상추겉절이

숙성배추김치

중식

보리밥

순두부찌개

삼치무조림

풋고추밀가루찜

새송이볶음

갓김치 (깻잎간장찜)

간식

호두2개+ 고구마 반개

석식

백태콩밥

미역국

마늘쫑건새우 조림

감자채볶음

열무된장무침

배추김치

조식

검정콩밥

쇠고기무국

쑥갓나물

김자반

연근조림

배추김치

중식

보리밥

김치콩나물국

잔멸치조림

조선호박새우 지짐

얼갈이된장나물

총각김치 (채소쌈)

간식

사과

찐밤

석식

검정콩밥

두부조치

잣꽈리고추조림

고구마순나물

양배추찜양념장

배추김치

조식

검정콩밥

감자들깨국

취나물

더덕구이

콩나물무침

배추김치

중식

현미밥

근대국

미나리 무침

가지전/애호박전

단배추나물무침

숙성김치 (쌈다시마+ 초장)

간식

찐고구마

석식

흑미밥

조개미역국

시금치나물

고사리들깨지짐

무생채

배추김치/ 김구이

조식

검정콩밥

콩나물국

우엉조림

청포묵김가루 무침

김치지짐

갓김치

중식

현미밥

청국장찌개

오이부추생채

마늘쫑간장무침

양파당근조림

배추김치 (채소쌈)

간식

포도

찐밤

석식

현미밥

보리새우 고추장찌개

두부간장조림

얼갈이무침

죽순새송이볶음

배추김치

2일

3일

4일

5일

- 45 -


한식 13일 식단 (2) 일짜

끼니

음식1

음식2

음식3

음식4

음식5

음식6

조식

현미밥

미역국

미나리초무침

시금치나물

호박표고 채조림

배추김치

중식

검정콩밥

매운 콩나물국

풋고추채실치 조림

깻잎전

근대된장무침

숙성배추김치 (양배추찜쌈)

간식

사과

단호박찜

석식

열무비빔밥

감자된장국

연근엿조림

김자반볶음

무생채

총각김치

조식

검정콩밥

아욱국

쇠고기새송이 장조림

실파부침

건새우 고추장볶음

숙성배추김치

중식

보리밥

순두부찌개

가지양파볶음

얼갈이무침나 물

고사리나물

배추김치 (깻잎간장찜)

간식

찐밤

석식

현미밥

동태매운탕

오이소박이

깐고구마순 된장조림

취나물

배추김치

조식

검정콩밥

청국장 두부찌개

실멸치 풋고추조림

숙주나물

무파래초무침

배추김치

중식

영양밥 (대추,밤, 은행)

호박채 북어국

꽁치(중1) 무찜

느타리버섯 나물

우엉잣조림

숙성배추김치 (채소쌈)

간식

사과

찐고구마

석식

현미밥

시금치국

풋고추 새우조림

표고들깨탕

얼갈이겉절이

총각김치

조식

흑미밥

배추된장국

미역줄기 당근채볶음

김치조림

시금치 고추장나물

배추김치

중식

백태콩밥

콩나물 김치국

도라지 양파무침

가지전/ 애호박전

무우숙채나물

갓김치 (채소쌈)

간식

찐밤

석식

검정콩밥

조개미역국

오이생채

도토리묵 야채무침

숙주당근 무침나물

배추김치

조식

흑미밥

오징어무국

김가루 실치볶음

고사리나물

부추 고추장무침

깍두기

중식

보리밥

호박감자새 우젓국

상치겉절이

계란야채찜

땅콩잣조림

숙성배추김치 (양배추찜쌈)

간식

포도

찐고구마

석식

검정콩밥

김치국

깨순나물

연근전

표고새우볶음

배추김치

6일

7일

8일

9일

10일

- 46 -


한식 13일 식단 (3) 일짜

끼니

음식1

음식2

음식3

음식4

음식5

음식6

조식

현미밥

북어채무국

두부 고추장양념 조림

깐고구마순 된장지짐

콩나물 당근채무침

숙성배추김치 /김구이

중식

검정콩밥

미역국

참나물 무침

더덕양념구이

가지찜양념장

숙성배추김치 (채소쌈)

간식

단감

미숫가루

석식

조밥

시금치아욱 된장국

닭살양파 장조림

감자곤약찜

무생채

배추김치

조식

검정콩밥

멸치팽이국

무채 들깨나물

조개살찜

미역오이초 무침

배추김치

중식

보리밥

조개국

알감자실치 조림

동태살전

도라지생채

숙성배추김치 (양배추찜쌈)

간식

찐단호박

석식

햇강낭콩밥

청국장찌개

녹두묵양념장

돈육팽이 불고기구이

숙주나물

총각김치

조식

검정콩밥

배추들깨국

상추깻잎 겉절이

시금치된장나 물

애호박 생새우볶음

숙성배추김치

중식

팥찰밥

김치국

새송이땅콩 조림

취나물

오이선

배추김치 (다시마쌈장)

간식

사과

찐밤

석식

검정콩밥

매운 콩나물국

고추완자전

느타리버섯 우렁살찜

무미나리생채

숙성배추김치

11일

12일

13일

- 47 -


별첨 3. 제 2-1과제의 식이중재 식단

식이중재 식단 일

1 현미밥

현미밥

현미밥

깻잎순

들깨무채국

양송이볶음

호박젓새우볶음

열무무침

미나리숙주무침

파래김자반

콩나물무침

김치

김치

새송이볶음

현미밥

현미밥

비빔밥

부추전

도라지오이무침

아욱국

단배추된장무침

브로콜리초

팽이버섯야채전

고추잎

상추쌈

애기고추찜

콘샐러드

부추콩가루무침

김치

현미밥

콩나물무국

두부김치

무우찜

미역줄기볶음

고구마줄기

상추오이겉절이

오이고추된장무침

자두

깍두기

콩나물무침 마늘지 김치

현미밥

저녁

수박 일

5 현미밥 배추겉절이 오이지

아침

근대무침 김치볶음

점심

6 현미밥 미역국 표고볶음 건새우조림 김치 단배추무침

현미밥 양송이버섯국 양배추단배추쌈 감자채볶음 브로콜리무침 콩나물찜

현미밥

현미밥

탕평채

쌈다시마

해초무침

오이냉채

양배추깻잎무침

콩자반

김치

무말랭이

참외

복숭아(백도)

7

8

현미밥 더덕무침 양배추오이무침 가지볶음 김치

현미밥 된장찌개 파래김오이무침 고추지 우엉조림 김치 현미밥

현미밥

콩나물비빔밥

현미밥

미역초무침

호박고추장찌개

참나물무침

양파초절임

비름나물

알감자조림

콩잎지

채식까스

단무지무침

김치

김치

물김치

현미밥

현미밥

현미밥

부추콩가루국

들깨무채국

된장찌개

도라지무침

숙주깐잔파무침

잡채

김치

깻잎전

호박잎

카레라이스 감자국 파프리카(쌈장) 저녁

4

현미밥

감자채볶음

점심

3

호두땅콩조림

들깨무채국

아침

2

오이된장무침 알타리 포도

밀수제비 새송이버섯볶음 시금치나물 다시마튀각 김치

장떡

무절임

오이김치

두부구이

김치

고들빼기김치

참외

수박

포도

- 48 -


별첨 4.

참 고 문 헌 1. Keys A, Brozek J, Henschel A, Mickelsen O, Taylor HL: The biology of human starvatio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50. 2. Keys A. Mediterranean diet and public health: personal reflections. Am J Clin Nutr. 1995 Jun;61(6 Suppl):1321S-1323S. 3. Moschandreas J, Kafatos A.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Greek (Cretin) adults. Recent data for food-based dietary guidelines in Greece. Br J Nutr. 1999 Apr;81 Suppl 2:S71-6. 4. Salas-Salvad J, Fern ndez-Ballart J, Ros E, Mart nez-Gonz lez MA, Fit M, Estruch R, Corella D, Fiol M, G mez-Gracia E, Ar s F, Flores G, Lapetra J, Effect of a Mediterranean diet supplemented with nuts on metabolic syndrome status: one-year results of the PREDIMED randomized trial. Arch Intern Med. 2008 Dec 8;168(22):2449-58. 5. Corbal n MD, Morales EM, Canteras M, Espallardo A, Hern ndez T, Garaulet M.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based on the Mediterranean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Nutrition. 2009 Jul-Aug;25(7-8):861-9. 6. Hu FB. Dietary pattern analysis: A new direction in nutritional epidemiology. 2002. Curr Opin Lipidol. 13:3-9. 7. Committee on Diet and Health, Food and Nutrition Board. 1989. 『Diet and health: implications for reducing chronic disease.』 Washington, DC: National Research Council. 8. 문현경, 이삼순, 김정윤, 박송이, 한귀정, 유춘희, 백희영, 정금주.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메뉴패턴에 관한 연구. 2001. 한국영양학회지. 34(8) : 936-945 9. 최지현, 문현경. 한국인의 성별 및 연령별 메뉴패턴 비교 -1998, 2001 국민건강영양조 사 자료 분석-. 2008.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3(3) : 346-358 10. 문현경, 정해랑, 조은영. 1990년도 국민영양조사에 따른 한국인의 사용식단 분석. 1994.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9(3) : 241-250

- 49 -


11. Lee JE, Kim JH, Son SJ, Ahn Y, Lee J, Park C, Lee L, Erickson KL, Jung IK. Dietary pattern classifications with nutrient intake and health-risk factors in Korean men. Nutrition. 2011 Jan;27(1):26-33. Epub 2010 Feb 19. 12. Cho ER, Shin A, Lim SY, Kim J. Dietary patter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health behaviours in Korea. Public Health Nutr. 2011 Feb;14(2):356-64. Epub 2010 Oct 19. 13. Song Y, Joung H. A traditional Korean dietary pattern and metabolic syndrome abnormalities.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1 Jan 5. [Epub ahead of print] 14. Okubo H, Murakami K, Sasaki S, Kim MK, Hirota N, Notsu A, Fukui M, Date c. Relative validity of dietary patterns derived from a self-administered diet history qeustionarie using factor analysis among Japanese adults. Public Health Nutr 2010 ; 13: 1080-9 . 15. Satoshi Sasaki, Japanese dietary pattern and it's implication to health. “식사패 턴과 식이지수“국제심포지엄 발표 내용 2010. 12. 03 16. 2010 한국인영양섭취기준. 한국영양학회/보건복지부 식품의약안전청 1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6). 국민건강영양조사 3기 (2005) : 영양조사(1) 18. 서울대학교규장각본 원행을묘정리의궤 역주. 1996. 수원시. 19. Fung TT, van Dam RM, Hankinson SE, Stampfer M, Willett WC, Hu FB. Low-carbohydrate diets and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two cohort studies. 2010. Ann Intern Med. 2010 Sep 7;153(5):289-98. 20. Hu FB, Willett WC. Optimal diets for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JAMA. 2002 Nov 27;288(20):2569-78. 21. Kong, C.S., Bak, S.S., Jung, K.O., Kil, J.H., Lim, S.Y. and Park, K.Y. (2005)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salted mackerel with various kinds of salts.J. Kor. Fish. Soc., 38, 281-285 22. Halkjaer J, Tjønneland A, Thomsen BL, Overvad K, Sørensen TI. Intake of

- 50 -


macronutrients as predictors of 5-y changes in waist circumference. Am J Clin Nutr. 2006 Oct;84(4):789-97. 23. 윤영숙, 여성의 비만: Background of Epidemiology, 2004.대한비만학회2004 춘계학 술대회, Vol.0, No.0,

Startpage 211, Endpage 224, Totalpage 14

24. Samaha FF, Iqbal N, Seshadri P, Chicano KL, Daily DA, McGrory J, Williams T, Williams M, Gracely EJ, Stern L. A low-carbohydrate as compared with a low-fat diet in severe obesity. N Engl J Med. 2003 May 22;348(21):2074-81. 25. Skov AR, Toubro S, Rønn B, Holm L, Astrup A. Randomized trial on protein vs carbohydrate in ad libitum fat reduced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9 May;23(5):528-36. 26.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rker HM, Fielden H, Gassull MA. Lack of effect of refining on the glycemic response to cereals. Diabetes Care. 1981 Sep-Oct;4(5):509-13. 27. de Munter JS, Hu FB, Spiegelman D, Franz M, van Dam RM. Whole grain, bran, and germ intake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and systematic review. PLoS Med. 2007 Aug;4(8):e261. 28. Coulston AM, Hollenbeck CB, Swislocki AL, Chen YD, Reaven GM. Deleterious metabolic effects of high-carbohydrate, sucrose-containing diets in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m J Med. 1987 Feb;82(2):213-20. 29. Garg A, Grundy SM, Koffler M. Effect of high carbohydrate intake on hyperglycemia, islet function, and plasma lipoproteins in NIDDM. Diabetes Care. 1992 Nov;15(11):1572-80. 30. Schulze MB, Schulz M, Heidemann C, Schienkiewitz A, Hoffmann K, Boeing H. Fiber and magnesium intak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study and meta-analysis. Arch Intern Med. 2007 May 14;167(9):956-65. 31. 박정욱,김선재,김설희,김보희,강성국,남상호,정순택. 연구노트 / 소금의 종류별 무기질 및 중금속 함량.2000. 한국식품과학회지. 32(6) 1442~1445

- 51 -


32.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2003,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33. Takei Y, Tomiyama H, Tanaka N, Yamashin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ympathetic activation and coronary microvascular dysfunction during acute hyperglycemia in subjects with atherosclerotic risk factors. A. Circ J. 2007 Feb;71(2):202-6.

- 52 -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