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 학개론 기본서 미리보기

Page 1

차례

1편 : 부동산학 총론

제1장

제2장

제3장

부동산학 기초이론

18

01 부동산학의 이해

18

02 부동산학의 연구대상

23

부동산의 의의

34

01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34

02 부동산의 속성(본질, 존재가치)

48

부동산의 특성

60

01 토지의 자연적 특성

61

02 토지의 인문적 특성

64

2편 : 부동산 경제론 제1장

12

부동산의 수요·공급이론

70

01 부동산의 수요

70

02 부동산의 공급

79

03 부동산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90

04 부동산가격 결정

100


2017 공 인 중 개 사 기 본 서

부동산학개론

차례

제2장

부동산 경기 변동

110

01 경기변동의 의의 및 유형

110

02 부동산경기

112

03 부동산경기와 거미집이론

120

3편 : 부동산 시장론 제1장

제2장

부동산 시장

126

01 부동산시장의 개념 및 특성

126

02 부동산시장의 단기·장기균형

132

03 주택시장분석

135

04 주택시장의 여과과정

140

05 부동산시장의 효율성과 균형

146

입지 및 공간구조론

152

01 입지와 입지선정의 의의

152

02 농업지의 입지선정

155

03 주거지의 입지선정

159

04 상업지의 입지선정

164

05 공업지의 입지선정

186

06 도시구조와 지대

194

13


차례

4편 : 부동산 정책론 제1장

제2장

제3장

부동산 문제

210

01 토지문제

210

02 주택문제

214

03 부동산문제의 특징

216

부동산 정책

218

01 정부의 부동산시장 개입

218

02 토지정책

230

03 주택정책

238

부동산 조세정책

247

01 부동산조세의 의의 및 기능

247

02 부동산조세의 전가와 귀착

248

5편 : 부동산 투자론 제1장

14

부동산투자이론

256

01 부동산투자이론

256

02 부동산투자의 위험과 수익

261

03 포트폴리오 이론

280

04 재산 3분법

289


2017 공 인 중 개 사 기 본 서

부동산학개론

차례

제2장

부동산 투자분석 01 부동산투자의 결정과정

291

02 부동산투자분석을 위한 수학적 기초

294

03 현금흐름 측정방법

304

04 부동산투자분석의 기법

311

6편 : 부동산 금융론 제1장

제2장

부동산 금융

326

01 부동산금융의 기초

326

02 지분금융과 부채금융

339

03 대부금상환방법

346

저당시장 및 부동산 증권

357

01 저당시장

357

02 부동산투자회사제도(REIT`s)

380

03 프로젝트 파이낸싱

398

7편 :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제1장

부동산 이용과 관리

408

01 부동산 이용

408

02 부동산 관리

414

15


차례

제2장

부동산 개발과 마케팅

429

01 부동산개발의 의의와 주체

429

02 개발형태와 단계

431

03 개발의 위험 및 타당성 분석

437

04 토지개발방식

448

05 부동산의 유효활용방식

458

06 개발권양도제도

461

07 부동산마케팅

464

08 부동산광고

472

8편 : 부동산 감정평가론 제1장

제2장

16

부동산평가의 이해

480

01 부동산평가의 기본이해

480

02 부동산의 가치(가격)이론

486

감정평가 방법 및 적용

520

01 감정평가의 3방식

520

02 감정평가의 활동

579

03 부동산가격공시제도

593


2 0 1 7 공 인 중 개 사 기 본 서 | 부 동 산 학 개 론

1편

부동산학 총론 제 1 장 부동산학 기초이론 제 2 장 부동산의 의의 제 3 장 부동산의 특성


2 0 1 7 년 공 인 중 개 사 기 본 서

1

제 장

부동산학 기초이론

부동산학을 잘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원리와 개념을 학습한다. 따라서 가장 일반화되어 있는 부동산학의 정의에 대한 기본개념 및 정의의 전개과정에서 도출되는 부동산학의 연구목적 및 성 격, 그리고 부동산학의 접근방법, 연구대상, 연구분야에 대한 기본원리의 이해가 요구된다.

01 부동산학의 이해 1. 부동산학의 정의 (1) 정의의 전개 ① 부동산학의 정의는 여러 학자들마다 견해를 달리하고 있으며 아울러 학문의 발달 과 사회 변화에 따라서 달라져 왔고 달라질 수 있다. ② 김영진 교수는 부동산과 인간의 관계를 중시하여 부동산학은 “부동산활동의 능 률화의 원리 및 그 응용기술을 개척하는 종합응용과학이다.”라고 정의하였는가

하면 미국의 링과 다소(Alfred A. Ring & Dasso)는 부동산학은 ‘토지와 토지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는 여러 가지 항구적인 토지개량물에 관하여 그것과 관련되어 있는 직업적·물적·법적·금융적 제 측면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학문연 구의 한 분야’라고 정의하였다.

③ 부동산학은 부동산의 가치증진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부동산에 대해 법적·경제적·기술적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하는 종합응용 사회과학이다 (조주현 교수).

18

제1편 부동산학 총론


(2) 부동산학의 주변과학

1편

① 일반적 주변과학:부동산학의 기초지식만을 제공하여 주는 분야로서 부동산활동 의 개념 및 그 독립성을 거의 의식하지 않는다. . 경제학, 경영학, 회계학, 법학, 지적학, 사회학, 심리학, 공학

② 중점적 주변과학:독립성을 조금 의식하지만 범위가 좁고 부동산학의 수준에는 미달되는 분야이다. . 토지경제학, 인간생태학, 도시학, 도시계획학 ③ 필요에 따라 협조를 구하는 주변과학 . 토양학, 지질학, 기상학, 농학, 임학, 행정학

2. 부동산학의 성격 (1) 부동산학은 응용과학이다 부동산학은 부동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인 실천방법을 제시하고, 그 유용성 을 검증할 수 있으며, 다시 능률적인 부동산활동의 처방을 제시하는 응용과학이면 서, 실천과학으로서의 성격이 있다.

(2) 부동산학은 경험과학이다 부동산학은 수학이나 철학처럼 비현실적인 사고방식에 중점을 둔 추상적인 학문이 아니라 현실적인 부동산활동을 대상으로 하는 구체적인 경험과학이다.

(3) 부동산학은 종합과학이다 부동산학의 연구대상이 인간, 부동산 및 부동산활동과 현상의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있기 때문에 법학·행정학·경제학·경영학·사회학·심리학·건축학·공학 등 여러 분야 학문의 지원을 받아야 하는 측면에서 종합학문적 성격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4) 부동산학은 규범과학이다 규범의 형태 중 부동산학의 규범은 부동산문제 해결을 위한 정언적(定言的) 규범이 어야 한다. 즉, 부동산행위가 사회에서 바람직한 것인가를 밝히고 바람직한 부동산 활동을 판단하고 실현하려는 규범이어야 한다.

제1장 부동산학 기초이론

19


2 0 1 7 년 공 인 중 개 사 기 본 서

(5) 부동산학은 사회과학이다 부동산학은 자연현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이 아닌 사회과학이다. 즉, 부동산학의 연구 대상은 자연물로서 부동산이 아니라 인간과 부동산의 상호작용인 부동산활동 과 부동산현상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성격이 있다.

3. 부동산학의 접근방법 (1) 부동산학 접근방법의 다양성 ① 부동산현상을 연구할 때 어느 분야에 중점을 두고 어떤 시각으로 보느냐에 따라 연구방법이 다르므로 어느 하나의 연구방법으로는 부동산현상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 ② 따라서 부동산학의 연구방법도 다른 학문들 못지않게 다양하며, 이 다양한 연구 방법은 각각의 특징을 상호 보완하여 발전되어 왔다.

(2) 부동산학 접근방법의 분류 및 변화 ① 분산식 접근방법 ㉠ 분산식(分散式) 접근방법은 일반주변과학인 경제학, 법학, 공학 등에 의하여 각 학문분야별로 개별적 또는 부분적으로 부동산을 다루려는 접근방법이다. ㉡ 부분적인 논점 파악이 비교적 명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학문 간의 연계가 단 절되어 연구의 종합기능이 결여되어 있고, 부동산학의 체계화가 어렵다는 단점 이 있다. ② 중점식 접근방법 ㉠ 부동산 및 부동산활동의 특정 측면(경제적 접근, 법률적 접근, 기술적 접근 등)에만 중점을 두어 부동산연구를 행하는 방법이다.

㉡ 특정한 부동산활동의 능률화에 기여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특정한 부동산활동 에만 응용되고, 지역에 따른 특성을 간과하기 쉬우며, 전체적인 인식수단이 결 여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③ 종합식 접근방법 ㉠ 부동산의 한 측면만을 중요시하는 접근방법이 아니라 부동산학 이론을 법

20

제1편 부동산학 총론


률·경제·물리적 기술 등의 복합개념으로 이해하고 그러한 측면의 이론을

1편

토대로 부동산학 이론을 구축하는 입장이다. ㉡ 부동산활동과 직간접으로 관련 있는 주변의 여러 과학의 연구결과를 시스템화 (체계화)하여 부동산학의 응용 제 분야의 개발 및 실무활동의 능률화에 대비

하려는 접근방법으로 부동산활동과 현상을 종합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④ 법·제도적 접근방법 ㉠ 부동산관련 법률과 정책 및 조직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한 접근방법이다. ㉡ 부동산시장에 대한 광범위한 공적 개입을 전제로 하여 부동산관련 법률, 정책, 조직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접근방법이다.

⑤ 행태과학적 접근방법 ㉠ 부동산활동에 내재하는 인간 요인에 착안하여 부동산 행태를 중심으로 부동산활 동의 본질을 규명하려는 방법이다. ㉡ 즉, 의사결정주체의 개인적인 욕구나 동기 등을 사회·심리학적으로 분석하려 는 접근방법으로 부동산중개, 마케팅, 경영분야에 주로 적용된다. ⑥ 의사결정 접근방법 ㉠ 의사결정(意思決定) 접근방법은 인간은 자기 이익의 극대화를 목표로 논리적이 고 합리적으로 행동하는 합리적 존재라는 가정에서 출발하는 이론으로 합리적 인 의사결정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부동산시장의 자율성을 전제로 하는 부동산

투자, 개발, 금융분야에 주로 적용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부동산시장에 대해 다양한 규제들의 시행으로 제도 적인 접근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부동산시장에 대한 규제완화, 국제화와 개방 화의 진전으로 최근의 흐름은 점차적으로 의사결정과정을 중심으로 한 접근방법 이 학자들 사이에 호응을 얻고 있다.

4. 부동산학의 연구분야 (1) 부동산학과 부동산환경 ① 부동산환경이란 부동산을 에워싸고 있는 자연적·사회적·경제적·물리적 제 상 황과 제 조건을 말한다. 제1장 부동산학 기초이론

21


2 0 1 7 년 공 인 중 개 사 기 본 서

② 부동산학은 부동산을 에워싸고 있는 부동산환경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 으며, 부동산환경은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분야의 공통적인 기능과 역할에 따 라 부동산학의 기초분야·부동산 결정분야·부동산 결정지원분야로 나누어져 있 고, 부동산 결정분야·부동산 결정지원분야는 부동산 실무분야를, 부동산 기초분 야는 부동산 이론분야를 나타낸다.

(2) 부동산결정과 부동산환경 ① 부동산활동을 하는 데 직·간접으로 관련되는 투자·금융·개발(결정분야), 마케팅·관 리·상담·평가(결정지원분야), 특성·시장·세금(기초분야) 등을 부동산환경이라고 표현 할 수 있다. ② 부동산 결정분야는 부동산의 행위를 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하는 분야로 가 장 중요한 부분이고, 이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정지원 분야,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기초분야가 서로 밀접하게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분야가 상호 보완적·의존적이 되고 있다.

22

제1편 부동산학 총론


확인학습

1편

부동산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제26회 공인중개사

① 과학을 순수과학과 응용과학으로 구분할 때, 부동산학은 응용과학에 속한다. ② 부동산학의 연구대상은 부동산활동 및 부동산현상을 포함한다. ③ 부동산학의 접근방법 중 종합식접근방법은 부동산을 기술적·경제적·법률적 측면 등의 복합개념으로 이해하여, 이를 종합해서 이론을 구축하는 방법이다. ④ 부동산학은 다양한 학문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합학문적 성격을 지닌다. ⑤ 부동산학의 일반원칙으로서 안전성의 원칙은 소유활동에 있어서 최유효이용을 지 도원리로 삼고 있다. 정답 ⑤ 소유활동에 있어서 최유효이용을 지도원리로 삼고 있는 것은 능률성의 원칙이며, 거래활동에 있어서 거래질서 확립을 지도이념으로 삼고 있는 것이 안전성의 원칙이다.

02 부동산학의 연구대상 1. 의 의 부동산학은 부동산을 연구하는 학문이므로 부동산학의 연구대상은 부동산이 되는 데, 여기에서의 부동산은 단순히 토지와 건물 등과 같은 무생물로서의 부동산이 아닌 오히려 살아서 움직이는 유기체로서의 부동산이 부동산학의 연구대상이다. 부 동산학의 연구대상은 크게 부동산활동과 부동산 현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 부동산활동 (1) 부동산활동의 의의 부동산활동이란 인간이 부동산을 대상으로 전개하는 관리적 측면에서의 여러 가지 행 위 또는 태도를 말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관리는 물건을 유지하고 지

배하는 활동과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어진 수단을 효과적으로 사용하 는 기술 및 제 활동의 궁극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원리로 해석된다. 따라서 부동산활동도 부동산을 대상으로 하는 관리로서의 다양한 행위개념을 내포 하고 있다. 제1장 부동산학 기초이론

23


2 0 1 7 년 공 인 중 개 사 기 본 서

(2) 부동산활동의 주체 부동산활동은 활동주체에 따라 정부 부문의 활동, 사적 부문의 활동 그리고 전문 협회의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1) 정부 부문의 활동(공적 주체) - 국가, 지방자치단체,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① 관리(management):국·공유지, 국·공유림, 국·공유하천, 각종 문화재나 유적지, 국·공립공원, 관광휴양시설, 공업단지, 각종 시설 등은 주요한 관리대상이 된다. ② 규제(control):정부는 지역·지구제(zoning), 토지이용규제, 건축규제, 환경규제, 생태규제 등 여러 가지 법적 장치를 통하여 부동산활동을 규제하고 있다. ③ 보조(assistance):공공주택의 공급과 주택보조금의 지급 등은 정부의 부동산보조 활동의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정부는 지역단위의 각종 개발사업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④ 과세(taxation):정부는 과세기능을 통하여 부동산활동을 간접적으로 규제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조장하기도 한다.

2) 사적 부문의 활동 ① 대표적 활동:부문별 부동산활동 중에서 가장 활발한 것은 역시 사적 부문(private sector)의 활동이다. 부동산개발업, 평가업, 중개업, 금융업, 관리업 등은 사적 부문의

대표적인 부동산활동들이다. 우리나라 표준산업분류(SIC;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에서는 부동산업을 자기소유 또는 임차한 건물, 토지 및 기타 부동산 (묘지 제외)의 운영 및 임대·구매·판매 등에 관련되는 산업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2007년에 개정된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는 부동산업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② 한국표준산업분류상의 부동산업의 분류 대분류

부동산업

24

제1편 부동산학 총론

중분류 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소분류

세분류

부동산임대업

∙ 주거용 건물임대업 ∙ 비주거용 건물임대업 ∙ 기타 부동산임대업

부동산개발 및 공급업

∙ 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 비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 기타 부동산개발 및 공급업


부동산업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

부동산관리업

∙ 주거용 부동산관리업 ∙ 비주거용 부동산관리업

부동산중개 및 감정평가업

∙ 부동산자문 및 중개업 ∙ 부동산감정평가업

1편

3) 전문협회의 활동 ① 부동산분야에는 공인중개사협회, 감정평가사협회, 주택관리사협회 등 수많은 전 문협회(trade association)가 있다. 부동산활동이 고도로 전문화된 조직을 통하여 제공된다는 것도 부동산산업의 큰 특징 중의 하나이다. ② 각종 전문협회는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정보의 교환, 연구의 수행, 출판물의 간 행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회원들의 자질향상과 권익옹호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3) 부동산활동의 속성

부동산활동 의 속성

과 학 성 및 기 술 성

사 회 성 · 공 공 성 · 사 익 성

전 문 성

윤 리 성 ︿ 부 동 산 윤 리 ﹀

정 보 활 동 성

대 인 활 동 성 · 대 물 활 동 성

임 장 활 동 성

배 려 의 장 기 성

공 간 활 동 성

복 합 개 념 성

부동산활동의 속성(屬性)으로는 과학성 및 기술성, 사회성과 공공성 및 사익성, 전 문성과 윤리성, 정보활동성, 대인활동성 및 대물활동성, 임장활동성, 배려장기성, 공간활동성 등을 들 수 있다. 제1장 부동산학 기초이론

25


2 0 1 7 년 공 인 중 개 사 기 본 서

1) 과학성 및 기술성 부동산활동은 과학성 및 기술성의 양면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으며, 이 두 성질은 상호 불가분의 관계가 성립한다. ① 과학성 부동산학은 부동산과 관련한 인간사회의 여러 현상을 과학적·체계적으로 연구하 는 경험과학이라는 점에서 부동산활동은 과학성(科學性)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부동산활동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부동산이론을 잘 활용할 수밖에 없으며 상당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요구한다. ② 기술성 부동산활동은 부동산 관련 전문지식을 실무활동에 활용한다는 점에서 숙련된 기교 를 요구함으로써 부동산활동은 기술성(技術性)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사회성과 공공성 및 사익성 ① 부동산활동의 사회성·공공성 많은 부동산활동이 공익상의 관점에서 조장·지도·규제됨으로써 오늘날 사회 성·공공성이 높게 인식되기에 이르게 되었으며, 부동산활동 또는 부동산의 종류 가 무엇인가에 따라 부동산의 사회성·공공성의 정도 또는 부동산활동에 대한 규 제 등의 내용에 차이가 있다.

부동산의 사회성 및 공공성이 제기되는 근거 1. 토지는 국토공간이다. 2. 부동산 특히 주택에는 환경성이 있다. 3. 부동산은 경제적 비중이 큰 경제재이다. 4. 부동산의 용도는 모든 주거지와 산업용지·공공용지 등이고 국가의 존립을 위해서는 어 느 하나라도 필요불가결하다는 것 등이다.

② 부동산의 사익성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공익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유재산과 개인의 영리활 동이 보장된다. 26

제1편 부동산학 총론


3) 전문성

1편

① 부동산활동의 전문성 오늘날의 사회현상은 점점 복잡해지고 다양화됨에 따라 이에 관련한 부동산활동도 고도의 학문적 지식과 연구 및 경험 등 높은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부동산활동의 전문성에 따라 부동산활동도 부동산중개업, 부동산감정평가업, 부 동산관리업, 부동산권리분석업 및 이행대행업(에스크로우) 등으로 세분화되고 이에 따른 공인중개사, 감정평가사, 부동산관리사, 부동산권리분석사 등의 다양한 전문 자격제도가 도입되고 있다. ② 전문성의 수준별 구분 부동산활동은 전문성의 수준에 따라 1차 수준의 활동, 2차 수준의 활동, 3차 수준 의 활동으로 구별되는데 이러한 구별은 신뢰도·주의의무·부동산활동의 이론적 수준, 부동산윤리의 수준 차이 등에 실익이 있다. ㉠ 1차 수준의 활동:비전문가가 행하는 자신을 위한 부동산활동을 말하며, 활동 의 빈도는 높지만 전문성이 낮고 사고도 많다. ㉡ 2차 수준의 활동:부동산을 일상의 업무로 다루는 사람에 의한 활동이기는 하 지만 그 활동에 전문가가 아닌 경우를 말한다. 예컨대 중개업자의 평가활동, 세 무공무원의 평가활동 등을 들 수 있다. ㉢ 3차 수준의 활동:전문가에 의한 부동산활동을 말하며 가장 전문성이 높다. 예 컨대 공인중개사에 의한 중개활동, 감정평가사에 의한 평가활동, 권리분석사에 의한 권리분석활동 등이 그것이다.

4) 윤리성 ① 윤리성 일반 ㉠ 부동산업은 높은 사회성·공공성·사익성이 강조되고 있는 전문직업의 하나이므 로 그 직업을 다루는 부동산 및 부동산활동에는 직업윤리가 중요시되고 있다. ㉡ 부동산활동이 날로 복잡하고 다양화되는 추세로 형식적인 법 규정만으로는 한 계가 있어 각각의 사업자 단체로 하여금 윤리강령을 만들어 단체 스스로 지켜 나가도록 하고 있다.

제1장 부동산학 기초이론

27


2 0 1 7 년 공 인 중 개 사 기 본 서

② 부동산업자로서의 기본윤리 ㉠ 공공성의 윤리:부동산은 사회성과 공공성이 강한 물건이므로 부동산활동의 주체인 부동산업자는 시민의 참여와 의사를 존중하고 가능하면 다수의 시민에 게 이익이 되어야 한다는 윤리이다. ㉡ 창조성의 윤리:부동산업자는 부동산활동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성실하고도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며 혁신적 아이디어의 제시와 모험적 개척정신이 존중 되어야 한다는 원리이다. ㉢ 업무수행상의 윤리:부동산업자는 부동산업무의 수행시 성실하고 공정한 자세 로 직무에 임해야 할 윤리이다. ㉣ 중립성의 윤리:부동산업자는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이익에 치우치지 않고 공 익을 기준으로 하여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해야 한다. ③ 부동산윤리의 유형 미국의 부동산협회는 윤리헌장에서 고용윤리·조직윤리·서비스윤리·공중윤리로 분 류한다. ㉠ 고용윤리:부동산업자는 종업원들이 법규나 윤리규정 등 제반 업무규정을 잘 준수하도록 감독하며 일반적 교육지식의 향상에 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종업 원과의 관계에서 지켜져야 할 부동산윤리이다. ㉡ 조직윤리:동업자와의 관계 또는 동업자 단체와 이의 구성원 간에 요구되는 것 으로 동업자 간에 지켜야 할 도리이다. ㉢ 서비스윤리:고객과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윤리로서 업자와 의뢰인의 관계에 서 의뢰인과 비의뢰인의 이익을 옹호하고 아울러 중개업자의 사적 이해관계를 배제하는 윤리이다. ㉣ 공중윤리:일반공중의 복리증진을 위하여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직업윤리가 요 구된다.

5) 정보활동성 부동산은 부동성이라는 자연적 특징이 있고 부동산활동은 국지성으로 이루어지며 부동산현상의 주변에는 통제불가능한 요인이 많기 때문에 부동산활동을 정보활동 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성공적인 부동산활동은 정보의 효과적인 수 집·이용·관리에 달려 있다고 할 만큼 정보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28

제1편 부동산학 총론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