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주 택 관 리 사 기 본 서
관리실무
차례
1편
2편
행정실무
13
제1장 주택관리제도 및 주택관리이론
14
▪연습문제
73
제2장 입주자관리
88
▪연습문제
102
제3장 회계관리 및 사무인사관리
110
▪연습문제
158
제4장 리모델링 및 행위허가신고 등
182
▪연습문제
200
기술실무
207
제1장 시설관리제도
208
▪연습문제
273
제2장 각종시설관리
280
▪연습문제
392
제3장 환경관리
414
▪연습문제
427
제4장 안전관리
431
▪연습문제
439
11
2 0 1 7 주 택 관 리 사 기 본 서 | 관 리 실 무
제1편
행정실무 제 1 장 주택관리제도 및 주택관리이론 제 2 장 입주자관리 제 3 장 회계관리 및 사무인사관리 제 4 장 리모델링 및 행위허가신고 등
노 량 진 법 학 원 |기 본 서
1
제 장
주택관리제도 및 주택관리이론
01 주택법 용어 정리 ① “주택”이란 세대(世帶)의 구성원이 장기간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 로 된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 및 그 부속토지를 말하며, 단독주택과 공동주 택으로 구분한다. ② “단독주택”이란 1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하며, 건축법 시행령 별표1의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 주택이 있다. ③ “공동주택”이란 건축물의 벽⋅복도⋅계단이나 그 밖의 설비 등의 전부 또는 일 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각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각 독립된 주거생 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하며, 건축법 시행령 별표1의 아파트, 연 립주택, 다세대주택이 있다. 건축법 시행령 별표1 주택의 분류 1. 단독주택[단독주택의 형태를 갖춘 가정어린이집⋅공동생활가정⋅지역아동센터 및 노인복지시 설(노인복지주택은 제외한다)을 포함한다] 가. 단독주택 나. 다중주택: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춘 주택을 말한다. 1)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 2)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시설은 설치하지 아니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3)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30제곱미터 이하이고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한다) 가 3개 층 이하일 것 다. 다가구주택: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춘 주택으로서 공동주택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을 말한다. 1)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한다)가 3개 층 이하일 것. 다만, 1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을 주택 외의 용도로 쓰는 경우에는 해당 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한다. 2)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부설 주차장 면적은 제외한다. 이하 같다)의
14
제 1 편 행정실무
관 리 실 무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일 것 3) 19세대(대지 내 동별 세대수를 합한 세대를 말한다) 이하가 거주할 수 있을 것 라. 공관(公館) 2. 공동주택[공동주택의 형태를 갖춘 가정어린이집⋅공동생활가정⋅지역아동센터⋅노인복지시 설(노인복지주택은 제외한다) 및 「주택법 시행령」 제3조제①항에 따른 원룸형 주택을 포함한 다]. 다만, 가목이나 나목에서 층수를 산정할 때 1층 전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로티 부분을 층수에서 제외하고, 다목에서 층수를 산정할 때 1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을 주택 외의 용도로 쓰는 경우에는 해당 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하며, 가목부터 라목까지의 규정에서 층수를 산정할 때 지하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한다. 가. 아파트: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 나. 연립주택: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2개 이상의 동을 지하주차장으로 연결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으로 본다) 합계가 660제곱미터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다. 다세대주택: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이고, 층수 가 4개 층 이하인 주택(2개 이상의 동을 지하주차장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으로 본다) 라. 기숙사: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을 위하여 쓰는 것으로서 1개 동의 공동취사시설 이용 세대 수가 전체의 50퍼센트 이상인 것(「교육기본법」 제27조 제2항에 따른 학생복지주택을 포함한다)
주택법상의 주택의 분류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 (다중주택은 층)
주택으로쓰이는 한개 동의 바닥면적합계 (다중주택은 연면적)
다중주택
3층 이하
330m² 이하
다가구주택
3개층 이하
660m² 이하
아파트
5개층 이상
연립주택
4개층 이하
660m² 초과
다세대주택
4개층 이하
660m² 이하
구분
기타
단독주택 단독주택
공동주택
19세대 이하
④ “준주택”이란 주택 외의 건축물과 그 부속토지로서 주거시설로 이용가능한 시 설 등을 말하며, 종류는 아래와 같다
제 1 장 주택관리제도 및 주택관리이론
15
노 량 진 법 학 원 |기 본 서
1. 기숙사 2. 다중생활시설 3. 노인복지시설 중 노인복지주택 4. 오피스텔
⑤ “국민주택”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주택으로서 국민주택규모 이하인 주택을 말한다. 가. 국가⋅지방자치단체, 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지방공사가 건설하는 주택 나.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또는 주택도시기금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건설되거나 개량되는 주택 ⑥ “국민주택규모”란 주거의 용도로만 쓰이는 면적이 1호(戶) 또는 1세대당 85제곱 미터 이하인 주택(수도권을 제외한 도시지역이 아닌 읍 또는 면 지역은 1호 또 는 1세대당 주거전용면적이 100제곱미터 이하인 주택을 말한다)을 말한다. 이 경우 주거전용면적의 산정방법은 아래의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1. 단독주택의 경우:그 바닥면적에서 지하실(거실로 사용되는 면적은 제외한다), 본 건축물과 분리된 창고⋅차고 및 화장실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 2. 공동주택의 경우:외벽의 내부선을 기준으로 산정한 면적. 다만, 2세대 이상이 공 동으로 사용하는 부분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용면적은 제외 하며, 이 경우 바닥면적에서 주거전용면적을 제외하고 남는 외벽면적은 공용면적 에 가산한다. 가. 복도, 계단, 현관 등 공동주택의 지상층에 있는 공용면적 나. 가목의 공용면적을 제외한 지하층, 관리사무소 등 그 밖의 공용면적
⑦ “민영주택”이란 국민주택을 제외한 주택을 말한다. ⑧ “임대주택”이란 임대를 목적으로 하는 주택으로서,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 택으로 구분한다. ⑨ “사업주체”란 주택건설사업계획 또는 대지조성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아 그 사업 을 시행하는 다음 각 목의 자를 말한다. 가. 국가⋅지방자치단체 나. 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지방공사 다. 등록한 주택건설사업자 또는 대지조성사업자 라.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주택건설사업 또는 대지조성사업을 시행하는 자 ⑩ “주택조합”이란 많은 수의 구성원이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아 주택을 마련하거 16
제 1 편 행정실무
관 리 실 무
나 리모델링하기 위하여 결성하는 다음 각 목의 조합을 말한다. 가. 지역주택조합:다음 구분에 따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이 주택을 마련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합 1)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2) 대전광역시⋅충청남도 및 세종특별자치시 3) 충청북도 4)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5) 전라북도 6)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7)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 및 경상남도 8) 강원도 9) 제주특별자치도 나. 직장주택조합:같은 직장의 근로자가 주택을 마련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합 다. 리모델링주택조합:공동주택의 소유자가 그 주택을 리모델링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합 ⑪ “주택단지”란 주택건설사업계획 또는 대지조성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아 주택과 그 부대시설 및 복리시설을 건설하거나 대지를 조성하는 데 사용되는 일단(一 團)의 토지를 말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시설로 분리된 토지는 각각 별개의 주택단지로 본다. 가. 철도⋅고속도로⋅자동차전용도로 나. 폭 20미터 이상인 일반도로 다. 폭 8미터 이상인 도시계획예정도로 라. 가목부터 다목까지의 시설에 준하는 것으로서 아래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1. 도시⋅군계획시설인 도로로서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로(集散道路) 및 폭 8미터 이상인 국지도로를 말한다. 2. 일반국도⋅특별시도⋅광역시도 또는 지방도 3. 그 밖에 관계 법령에 따라 설치된 도로로서 제1호 및 제2호에 준하는 도로
⑫ “부대시설”이란 주택에 딸린 다음 각 목의 시설 또는 설비를 말한다. 가. 주차장, 관리사무소, 담장 및 주택단지 안의 도로
제 1 장 주택관리제도 및 주택관리이론
17
노 량 진 법 학 원 |기 본 서
나. 건축법에 따른 건축설비 “건축설비”란 건축물에 설치하는 전기⋅전화 설비, 초고속 정보통신 설비, 지능형 홈 네트워크 설비, 가스⋅급수⋅배수(配水)⋅배수(排水)⋅환기⋅난방⋅냉방⋅소화(消 火)⋅배연(排煙) 및 오물처리의 설비, 굴뚝, 승강기, 피뢰침, 국기 게양대, 공동시청 안테나, 유선방송 수신시설, 우편함, 저수조(貯水槽), 방범시설, 그 밖에 국토교통부 령으로 정하는 설비를 말한다.
다. 가목 및 나목의 시설⋅설비에 준하는 것으로서 아래의 대통령령으로 정하 는 시설 또는 설비 1. 보안등, 대문, 경비실 및 자전거보관소 2. 조경시설, 옹벽 및 축대 3. 안내표지판 및 공중화장실 4. 저수시설, 지하양수시설 및 대피시설 5. 쓰레기 수거 및 처리시설, 오수처리시설, 정화조 6. 소방시설, 냉난방공급시설(지역난방공급시설은 제외한다) 및 방범설비 7. 전기자동차에 전기를 충전하여 공급하는 시설 8. 그 밖에 제1호부터 제7호까지의 시설 또는 설비와 비슷한 것으로서 국토교통부령 으로 정하는 시설 또는 설비
⑬ “복리시설”이란 주택단지의 입주자 등의 생활복리를 위한 어린이놀이터, 경로 당, 어린이집, 작은도서관, 주민운동시설 등 주민공동시설, 근린생활시설, 유치 원 등. <주민공동시설> 가. 경로당 나. 어린이놀이터 다. 어린이집 라. 주민운동시설 마. 도서실(작은도서관을 포함한다) 바. 주민교육시설(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고 공동주택의 거주자를 위한 교육장 소를 말한다) 사. 청소년 수련시설 아. 주민휴게시설 자. 독서실 차. 입주자집회소 카. 공용취사장 타. 공용세탁실 파. 공공주택의 단지 내에 설치하는 사회복지시설
18
제 1 편 행정실무
관 리 실 무
⑭ “기반시설”이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6호에 따른 기반 시설을 말한다. “기반시설”이란 다음 각 목의 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가. 도로⋅철도⋅항만⋅공항⋅주차장 등 교통시설 나. 광장⋅공원⋅녹지 등 공간시설 다. 유통업무설비, 수도⋅전기⋅가스공급설비, 방송⋅통신시설, 공동구 등 유통⋅공 급시설 라. 학교⋅운동장⋅공공청사⋅문화시설 및 공공필요성이 인정되는 체육시설 등 공공 ⋅문화체육시설 마. 하천⋅유수지(遊水池)⋅방화설비 등 방재시설 바. 화장시설⋅공동묘지⋅봉안시설 등 보건위생시설 사. 하수도⋅폐기물처리시설 등 환경기초시설
⑮ “기간시설”(基幹施設)이란 도로⋅상하수도⋅전기시설⋅가스시설⋅통신시설⋅지 역난방시설 등을 말한다. ⑯ “간선시설”(幹線施設)이란 도로⋅상하수도⋅전기시설⋅가스시설⋅통신시설 및 지역난방시설 등 주택단지(둘 이상의 주택단지를 동시에 개발하는 경우에는 각 각의 주택단지를 말한다) 안의 기간시설을 그 주택단지 밖에 있는 같은 종류의 기간시설에 연결시키는 시설을 말한다. 다만, 가스시설⋅통신시설 및 지역난방 시설의 경우에는 주택단지 안의 기간시설을 포함한다. ⑰. “공구”란 하나의 주택단지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둘 이상으로 구분되는 일단의 구역으로, 착공신고 및 사용검사를 별도로 수행할 수 있는 구 역을 말한다. 법 제2조제18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이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 하는 것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공간을 조성하여 6미터 이 상의 너비로 공구 간 경계를 설정할 것 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26조에 따른 주택단지 안의 도로 나. 주택단지 안의 지상에 설치되는 부설주차장 다. 주택단지 안의 옹벽 또는 축대 라. 식재⋅조경이 된 녹지 마. 그 밖에 어린이놀이터 등 부대시설이나 복리시설로서 사업계획 승인권자가 적합 하다고 인정하는 시설 2. 공구별 세대수는 300세대 이상으로 할 것
제 1 장 주택관리제도 및 주택관리이론
19
노 량 진 법 학 원 |기 본 서
⑱ “세대구분형 공동주택”이란 공동주택의 주택 내부 공간의 일부를 세대별로 구 분하여 생활이 가능한 구조로 하되, 그 구분된 공간의 일부를 구분소유 할 수 없는 주택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설기준, 면적기준 등에 적합하게 건설 된 주택을 말한다. 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설기준, 면적기준 등에 적합하게 건설된 주택”이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추어 건설된 공동주택을 말한다. 1. 세대별로 구분된 각각의 공간마다 별도의 욕실, 부엌과 현관을 설치할 것 2. 하나의 세대가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세대 간에 연결문 또는 경량구조의 경계벽 등을 설치할 것 3. 세대구분형 공동주택의 세대수가 해당 주택단지 안의 공동주택 전체 세대수의 3분의 1을 넘지 아니할 것 4. 세대별로 구분된 각각의 공간의 주거전용면적(주거의 용도로만 쓰이는 면적으로 서 법 제2조제6호 후단에 따른 방법으로 산정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합계가 해당 주택단지 전체 주거전용면적 합계의 3분의 1을 넘지 아니하는 등 국토교통 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주거전용면적의 비율에 관한 기준을 충족할 것 ② 세대구분형 공동주택의 건설과 관련하여 법 제35조에 따른 주택건설기준 등을 적 용하는 경우 세대구분형 공동주택의 세대수는 그 구분된 공간의 세대수에 관계없 이 하나의 세대로 산정한다.
⑲ “도시형 생활주택”이란 300세대 미만의 국민주택규모에 해당하는 주택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택을 말한다. 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택”이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도시 지역에 건설하는 다음 각 호의 주택을 말한다. 1. 원룸형 주택: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갖춘 공동주택 가. 세대별 주거전용면적은 50제곱미터 이하일 것 나. 세대별로 독립된 주거가 가능하도록 욕실 및 부엌을 설치할 것 다. 욕실 및 보일러실을 제외한 부분을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할 것. 다만, 주거전 용면적이 3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다. 라. 지하층에는 세대를 설치하지 아니할 것 2. 단지형 연립주택:원룸형 주택이 아닌 연립주택. 다만, 「건축법」 제5조제2항에 따라 같은 법 제4조에 따른 건축위원회의 심의를 받은 경우에는 주택으로 쓰는 층수를 5개층까지 건축할 수 있다. 3. 단지형 다세대주택:원룸형 주택이 아닌 다세대주택. 다만, 「건축법」 제5조제2 항에 따라 같은 법 제4조에 따른 건축위원회의 심의를 받은 경우에는 주택으로 쓰는 층수를 5개층까지 건축할 수 있다.
20
제 1 편 행정실무
관 리 실 무
② 하나의 건축물에는 도시형 생활주택과 그 밖의 주택을 함께 건축할 수 없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1. 원룸형 주택과 주거전용면적이 85제곱미터를 초과하는 주택 1세대를 함께 건축 하는 경우 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0조제1호다목에 따른 준주거지역 또는 같은 조 제2호에 따른 상업지역에서 원룸형 주택과 도시형 생활주택 외의 주택을 함께 건축하는 경우 ③ 하나의 건축물에는 단지형 연립주택 또는 단지형 다세대주택과 원룸형 주택을 함 께 건축할 수 없다.
⑳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이란 저에너지 건물 조성기술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 는 기술을 이용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거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건설된 주택을 말하며, 그 종류와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주택법」에 따른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 이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주택의 총 에너지사용량 또는 총 이산화탄소배출 량을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절약형 친환경 주택으로 건설하여야 한다. 1. 고단열⋅고기능 외피구조, 기밀설계, 일조확보 및 친환경자재 사용 등 저에너지 건 물 조성기술 2. 고효율 열원설비, 제어설비 및 고효율 환기설비 등 에너지 고효율 설비기술 3. 태양열, 태양광, 지열 및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이용기술 4. 자연지반의 보존, 생태면적율의 확보 및 빗물의 순환 등 생태적 순환기능 확보를 위한 외부환경 조성기술 5. 건물에너지 정보화 기술, 자동제어장치 및 지능형전력망 등 에너지 이용효율을 극 대화하는 기술
㉑ “건강친화형 주택”이란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의 조성을 위하여 실내공기의 오염물질 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건설된 주택을 말한다.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고려하여 세대 내 의 실내공기 오염물질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강친화형 주택으로 건설하여야 한다. 1. 오염물질을 적게 방출하거나 오염물질의 발생을 억제 또는 저감시키는 건축자재 (붙박이 가구 및 붙박이 가전제품을 포함한다)의 사용에 관한 사항 2. 청정한 실내환경 확보를 위한 마감공사의 시공관리에 관한 사항 3. 실내공기의 원활한 환기를 위한 환기설비의 설치, 성능검증 및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4. 환기설비 등을 이용하여 신선한 바깥의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환기의 시행에 관한 사항
제 1 장 주택관리제도 및 주택관리이론
21
노 량 진 법 학 원 |기 본 서
㉒ “장수명 주택”이란 구조적으로 오랫동안 유지⋅관리될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추 고, 입주자의 필요에 따라 내부 구조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가변성과 수리 용 이성 등이 우수한 주택을 말한다. ㉓ “입주자”란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자를 말한다. 가. 주택을 공급받는 자 나. 주택의 소유자 또는 그 소유자를 대리하는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㉔ “사용자”란 공동주택을 임차하여 사용하는 사람(임대주택의 임차인은 제외한다) 등을 말한다.
02 공동주거관리이론 최근의 공동주택 관리는 법적 기술적 관리를 포함하여 정서적인 측면이 중요시 되 고 있다. 아무리 외관이 훌륭하고 법적, 기술적 문제가 없더라도 주민들간의 불화 가 있거나 환경이 오염되었거나 에너지 소비가 많은 공동주택이라면 살기 좋은 공 동주택이라고 보기 어렵다. 고로 현재의 공동주거 개념은 편리성, 쾌적성, 안전성, 경제성 등 삶의 질적인 측면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공동주 거관리 이론이다.
(1) 공동주택관리와 공동주거관리의 개념을 비교하자면 아래와 같다. 공동주택관리
공동주거관리
공동주거관리란 공동주택관리 개념을 포함하며, 공동주택관리란 물리적 공간인 주택을 법적, 기 건전한 공동체 형성, 자원과 에너지 절약, 환경보 술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존까지 생각하는 광범위한 내용을 포함한다.
(2) 공동주거관리의 필요성 ① 주택의 물리적 노후화에 대비한 관리행위를 통해 주택이 적절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생활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② 설비운전 및 보수, 각종시설관리관리, 에너지관리, 환경안전관리 등을 위해 ③ 입주자 간에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충분한 의사소통과 합의를 위해 22
제 1 편 행정실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