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차이나 마켓 네비게이션
2014.12.12
경제 최홍매 02-768-3439
hongmei.cui@dwsec.com
중앙경제공작회의, 성장률보다 개혁정책 중국의 가장 중요한 이벤트인 중앙경제공작회의가 마감되었다. 아직 회의 내용이 공 포되지 않았지만 앞서 진행된 중공중앙정치국회의에서 기본적인 기조가 확인 되었다. 중국은 “뉴 노멀”시대를 맞아 경제성장률을 합리적인 구간에서 유지시키는 동시에 향 후 구조전환과 개혁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 3월 양회에서 발표 예정이지만, GDP 목표치는 7% 초반이 될 가능성이 높다. 중요한 것은 GDP목표치보다 개혁 정책이다. 2015년 중국은 보다 광범위한 금융개혁 을 포함해 호적제도, 국유기업, 자원가격, “일대일로” 프로젝트 등을 추진할 것이다. 중앙경제공작회의는 증시에도 긍정적이다. 통상 폐막 이후 증시는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기존의 패턴을 감안하면 2015년 연초까지 증시는 상승을 유지할 것이다.
중국/홍콩 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3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중 한 때 3,000pt를 상회하기도 하기도 하였다. 상하이종합 지수가 3,000pt를 기록한 것은 2011년 4월이후 처음이다. 홍콩증시는 글로벌 증시 부진의 영향으로 하락 하였다. 악재가 없지는 않았다. 9일 중국증권등기결산유한공사가 RP거래 담보대상인 회사채의 등급을 상향조정, 회사채 금리가 급등하였다. 그 여파로 증시는 2008년 3월이후 최대의 하락률을 기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시가 상승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① 11월 중국의 무역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고 디플레 우려가 증대되면서 금리인하 기대감 이 오히려 증가되었다. ② 중국사회과학원에서 2015년 증시를 4,000pt~5,000pt로 전망 하면서 투자 심리를 자극하였다. ③ 유동성 개선 기대감으로 은행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전망과 전략 다음주 중국 증시는 상승을 예상한다. 주말에 경제지표 발표가 예상되어 있지만 영향은 중립적일 것이다. 완화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유지되면서 증시를 끌어올릴 것이다. 표 1. 중화권 증시 동향 (12월 11일 11일 기준) 기준) 지수 (pt)
등락률 (%)
거래량 (백만 주)
거래대금 (백만 달러)
상승종목 수 (개)
하락종목 수 (개)
시가총액 (백만 달러)
PE (x)
SHCOMP Index
2,630.49
7.25
33,802
51,716
394
487
3,181,891
12.5
SHASHR Index
2,754.54
7.26
33,715
51,638
372
470
46
12.5
상해 B
SHBSHR Index
278.46
5.46
87
78
22
17
13,603
17.1
심천종합지수
SZCOMP Index
1,416.18
5.33
11,698
19,135
482
839
804,980
34.2
심천 A
SZASHR Index
1,479.90
5.34
11,630
19,087
468
811
791,609
34.3
심천 B
SZBSHR Index
986.60
2.58
68
49
14
28
13,372
11.4
홍콩항셍
HSI Index
24,004.28
2.80
1,814
9,402
10
35
3,303,107
10.4
홍콩 H
HSCEI Index
11,013.87
6.11
2,869
2,798
18
19
571,458
7.6
대만가권
TWSE Index
9,165.31
0.95
5,379
2,688
585
147
848,812
15.2
지수
티커
상해종합지수 상해 A
주1: PE는 Trailing EPS 기준, 주2: 홍콩항셍, 홍콩H주의 상승 및 하락 종목 수는 지수편입 종목기준,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주간 차이나 마켓 네비게이션
2014.12.12
중앙경제공작회의 마무리 중국 증시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올해 연말의 가장 중요한 이벤트 인 중앙경제공작회의가 마무리 되었다. 회의는 예상대로 9일~11일까지 진행, 2014년 한 해의 상황을 정리하고 2015년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회의이다. 표 2. 경제공작회의 정의 경제공작회의 정의 개최기간 참석자 개최 형식 주제 2014 년 관전 포인트
내용 현시점의 경제상황을 판단하고, 그 다음해의 경제 정책을 결정하는 최고권위의 회의 연 1 회, 11 월 혹은 12 월에 개최, 간은 2~3 일 2014 년은 12 월 9 일~11 일, 베이징에서 개최 당중앙, 국무원지도자; 전국인대, 정협의 지도자; 각 성, 자치구, 직할시 당위원회 주요 책임자; 중앙과 국가기관 부서의 주요 책임자; 군의 주요 지도자, 중앙직속기관(중앙국유기업)의 주요 책임자 지도자보고 + 팀별 토의 회의 의제는 추후의 토의/연구를 거친 뒤 2015 냔 전인대의 정책보고서에 포함 평가: 지난 1 년 동안의 경제공작회의; 확정: 그 다음해의 경제목표, 정책기조 주안점: 중점영역의 개혁 ①"뉴 노멀"에서의 정책, ②"안정속에서의 발전"기조, ③GDP 목표치 조정, ④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안정적인 화폐정책 지속 여부
자료: 중국언론보도,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GDP 목표치 보다 중요한 것은 개혁 정책 올해 중앙경제공작회의 키워드는 “뉴 노멀”이 었다. 경제공작회의 직전인 12월 5일 개최 되었던 중공중앙정치국회의에서도 2015년은 지속적이고 건강한 경제발전을 위한 “뉴 노 멀”시대의 개막이라고 강조하였다. 또한 중국의 경제성장은 합리적인 구간에서 유지할 것이고, “경제발전의 뉴노멀에 적극적으로 적응해야 한다”라고 언급하였다. 최고 지도자인 시진핑이 수 차례 “뉴노멀”을 강조했고 중국 언론들도 충분한 홍보전(?) 을 펼쳤다. 예컨대 중국 공산당의 공식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중앙경제공작회의 개최 하 루 전인 12월 8일 1면에 “뉴 노멀의 2014년(경제상황 평가)” 기사를 실었다. 기사의 요 지는 경제성장률 하락 자체보다는, 과거와 같은 고속성장이 불가능해 진 현시점에서의 구조전환과 개혁의 필요성과 정당성을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이런 분위기들을 감안하면 중국의 2015년 GDP 목표치는 7% 초반에서 형성될 가능성 이 높다. 사실 7%대의 성장률 목표치는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이미 2012년 말 18차 당대회에서 단순히 고속성장을 추구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바가 있다.
5대 예상 개혁 및 과제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2015년은 정부가 개혁을 좀 더 적극적으로 밀어 붙일 것으로 예 상된다. 지도부는 중앙 경제공작회의 직전에 저우융캉의 당적을 박탈, 기소를 밀어 붙였 다. 부패척결이라는 명분을 내세운 시진핑의 정적 제거라는 주장도 있지만, 지도부 입장 에서는 기존 세력이 약화시켜 개혁을 진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진 것이다. 또한 “석유방” 대부인 저우융캉이 구속됨에 따라 “국유기업 공룡”을 개혁함에 있어서 장애물 도 많이 약화되었다.
주간 차이나 마켓 네비게이션
2014.12.12
2015년 예상되는 5대 개혁은 다음과 같다. 금융개혁: 금융개혁: 가장 중요한 개혁이다. 금융안정이 사회·경제안정으로 직결될 수 있기 때문이 다. 정부는 최종 목적인 금리자율화를 위한 단계를 차근차근 밟아 갈 것으로 예상된다. 11월 금리인하로 이미 예금금리 상한선을 기존의 1.1배에서 1.2배로 확대하였다. 2015년 예금자보호제도가 실질적으로 실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금자 보호제도는 본질 적으로 은행의 파산이 허용될 수 있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은행의 예금을 정부가 암묵 적으로 보증해 준다는 인식이 바뀌게 되면서 예금 유치를 위한 은행의 경쟁이 확대되고 금융기관의 옥석 가리기가 시작될 것이다. 장기적으로 산업의 건전성은 제고될 것이다. 호적제도개혁: 호적제도개혁: 부동산 경기 안정을 위해서도 호적제도 개혁이 가속화 될 것이다. 특히 2~3선 도시들의 호적제도가 추가로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호적제도 개혁은 단 순히 거주 자격을 부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회보장의 지역적 차별화를 줄이는 정책 도 수반될 것이다. 국유기업개혁: 국유기업개혁: 2014년 처음으로 시도되었던 국유기업의 혼합소유제 정책이 그 시행범위 를 넓혀갈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의 중앙정부관리가 국유기업 CEO를 연임하던 관례를 깨고 전문경영인/사회이사 제도 등을 확대할 것이다. 또한 민간자본에 대한 국유기업의 지분개방도 확대 될 것이다. 자원 가격개혁: 가격개혁: 가스에 이어 공공자원에 대한 가격 개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대일로” 일대일로”(실크로드) 실크로드)프로젝트: 프로젝트: One Belt One Road의 약칭으로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21세기 해상실 크로드”의 약칭이다. 즉 육상과 해상이 무역 통로이다. 최근 중국이 주 변국으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다. 과거 실크로드의 영화를 재현 하고, 유럽에 이르는 경제벨트를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신쟝과 중앙아세아를 걸치는 인 프라 투자가 선행될 것이다. 한편으로는 중국의 철강/화학/시멘트 등 과인 산업을 해소하 려는 목적도 있다. 그림 1. 3중전회에서 정한 중국의 2020년까지 2020년까지 경제성장 목표치 (조 위안,중국 GDP)
그림 2. 중국의 경제성장률 목표치는 10년만에 10년만에 최저수준 기록 예상
80조 위안
80 단순평균 7.2% 가중평균 6.8%
(%, 전년동기비) 16 중국 경제성장률 중국 정부 목표 14
60 12
40조 위안 40
성장률 목표치 10년래 최저수준
10
20
8
0 00
05
10
자료: 중국정부사이트,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5
20
6 99
02
05
자료: 중국정부사이트,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08
11
14
주간 차이나 마켓 네비게이션
2014.12.12
그 외 토지개혁, 재정세제 개혁, 위안화 환율 변동성 증가 등 여러 가지 정책들도 추진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2015년 중국경제는 안정성장을 구가하면서 개혁이 심화되는 한 해 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3. 실크로드 벨트와 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
자료: 중국 언론 보도,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회의 이후 주가흐름은 대개 긍정적 중앙경제공작회의 폐막 이후 증시 흐름도 대체적으로 긍정적이다. 2005년부터 20013년 의 9년간 데이터를 정리하면 중앙경제공작회의 마감 이후 한달 동안 상하이종합지수는 2.76%, 홍콩의 H지수는 1.37%의 평균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정책이 확정되면서 시장심 리가 안정된 것이 주 요인이라고 판단된다. 올해에도 기존의 패턴을 지속한다면 2015년 연초까지 중국의 증시흐름은 긍정적일 것으 로 판단된다. 그림 4. 중앙경제공작회의 이후 주가흐름은 대체적으로 상승 (%, 상승률)
상하이종합지수
30
H지수
20
10
0
-10 05~13년 평균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주: 경제공작회의 폐막이후 4 주간의 등락률을 집계. 자료: 중국언론보도, WIND,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2012년
2013년
주간 차이나 마켓 네비게이션
2014.12.12
주요 섹터별 흐름: 금융이 지수 대비 강세 그림 5. CSI 300지수 300지수 주간 섹터별 등락률
그림 6. MSCI China 주간 섹터별 등락률
(주간 등락률,%) 15.0 14.0
(주간 등락률,%) 9
7.8
12.0 9.0
6.5 6
8.6 6.9
6.3
6.2
6.0
5.7 4.4
4.2
4.8
4.6
4.5
2.7
3
3.7
3.3
4.3 2.4 1.6
3.2
0.6
3.0 0
0.0
자료: Bloomberg,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표 3. 주간, 주간, 월간 홍콩H 홍콩H 편입종목 중 상승률/ 상승률/하락률 상위 10대 10대 종목 Rank 1 2 3 4 5 6 7 8 9 10
종목 중국생명보험 광주부력부동산 PICC 자산상해보험 중국 평안보험 상해전기 중국교통건설 위교방직 신화에너지 China Molybdenum 강서동업
티커 2628 HK Equity 2777 HK Equity 2328 HK Equity 2318 HK Equity 2727 HK Equity 1800 HK Equity 2698 HK Equity 1088 HK Equity 3993 HK Equity 358 HK Equity
업종 보험 부동산 보험 보험 전기 인프라 의류 석탄 광업 금속
5D 18.4 14.7 11.5 10.3 10.1 9.9 8.9 8.5 8.4 6.7
1M 20.8 12.9 13.8 5.3 28.7 33.2 19.8 2.6 11.8 8.7
(%) Rank 1 2 3 4 5 6 7 8 9 10
종목 중국해운개발 중국해운컨테이너(CSCL) 차이나 텔레콤 CNOOC 유전서비스 COSCO 절강호항용고속도로 청도맥주 중국석유 중국 알루미늄 다당국제전력
1138 HK Equity 2866 HK Equity 728 HK Equity 2883 HK Equity 1919 HK Equity 576 HK Equity 168 HK Equity 857 HK Equity 2600 HK Equity 991 HK Equity
업종 운송 운송 통신 정유 운송 인프라 맥주 정유 금속 전력
5D -2.5 -1.8 -0.8 -0.3 1.1 1.2 1.7 1.9 2.1 2.6
1M -1.0 1.4 -4.7 -17.0 13.0 10.8 -1.9 -9.1 3.1 16.7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표 4. 중국 원자재/ 원자재/금리/ 금리/환율 동향 항목구분 석탄
상품 티커 친황다오 석탄 가격 CLSPCHQI Index 중국 철광석 수입 가격 CIOWQIND Index 중국 Rebar Spot 가격 cdspdrav index 상해 선물 구리 선물 cu3 comdty 알루미늄 선물 AA3 comdty 이형봉강 선물 RBT3 Comdty 금 선물 AUA3 comdty 연료유 선물 FO3 Comdty 대련 선물 옥수수 선물 AC3 Comdty 대두 선물 AK3 Comdty 폴리에틸렌 pol3 Comdty 정주 선물 백색 원당 cb3 Comdty 소맥(강력분) vn3 Comdty 금리 PBOC 3 개월 금리 pboc3m index PBOC 1 년물 금리 pboc1yr index 은행간 Repo 1 일물 rp01 index 은행간 Repo 7 일물 rp07 index 환율 USD/RMB Spot usdcny curncy USD/RMB 12 개월 NDF ccn+12M curncy 주: 선물은 3개월 기준, 금리는 %p,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 P) P) 5D% 0.0 -1.9 -0.9 -1.0 0.5 1.4 1.1 1.1 -0.1 -0.1 -0.5 -0.4 0.3 0.00 0.00 -0.15 0.72 0.20 0.02
1M% 2.6 -8.6 -2.5 -1.6 -0.1 -4.6 -2.4 14.0 2.3 -3.5 -3.4 0.8 -3.7 0.00 0.00 0.33 1.08 0.40 0.33
3M% 6.4 -14.5 -3.5 -5.8 -4.4 -12.4 -6.8 8.8 1.3 -6.8 -11.1 4.1 -5.4 0.00 0.00 -0.26 0.34 -0.08 0.41
12M -6.7 -43.3 -16.5 -7.8 -2.0 -28.0 -4.7 -16.3 1.9 -3.3 -15.9 -6.5 -10.2 0.00 0.00 -0.95 -0.77 0.75 1.64
YTD% -35.8 -49.0 -30.6 -15.2 -12.9 -41.2 -26.1 -32.5 6.8 -0.4 4.6 -21.7 9.0 -0.25 0.00 -2.19 -2.38 -2.56 -2.27
52 주 고가% 고가% -15.1 -43.3 -17.2 -11.2 -7.4 -29.1 -12.9 -22.6 -0.2 -9.1 -20.2 -5.8 -10.2 0.00 0.00 -4.15 -4.90 -1.94 -0.28
52 주 저가% 저가% 6.6 0.0 1.5 5.0 8.4 1.4 5.5 16.2 5.2 0.6 1.1 9.4 0.3 0.00 0.00 1.25 2.00 1.62 2.59
주간 차이나 마켓 네비게이션
2014.12.12
표 5. 주요종목 (12월 11일 11일 기준) 기준) Sector
에너지
소재
산업재
경기소비재
필수소비재
의료제약
금융
기술
통신
전력
(%)
종목
티커
5D%
1M%
3M%
6M%
YTD% 52 주 고가% 고가% 52 주 저가% 저가%
CSI 에너지 패트로차이나 시노펙 중국선화에너지 중국석탄에너지 연주광업 CSI 소재 중국알루미늄 바오산 철강 자금광업 안강스틸 강서동업 CSI 산업재 다친철도 중국철도그룹 중국코스코 홀딩스 중국국제항공 중국해운컨테이너(CSCL) CSI 경기소비재 동풍자동차 상해차 쑤닝가전 GD 미디어 CSI 필수소비재 귀주모태 칭타오맥주 브라이트 유업 CSI 의료제약 윈난바이야오 지린아오둥 제약산업 CSI 금융 중국공상은행 중국건설은행 중국생명보험 중국핑안보험 CITIC 증권 해통증권 중국만과 보리부동산 CSI 기술 뉴소프트 레노보 CSI 통신 중국유나이티드통신 차이나 텔레콤 차이나모바일 CSI 전력
SH000908 Index 601857 CH Equity 600028 CH Equity 601088 CH Equity 601898 CH Equity 600188 CH Equity SH000909 Index 601600 CH Equity 600019 CH Equity 601899 CH Equity 000898 CH Equity 600362 CH Equity SH000910 Index 601006 CH Equity 601390 CH Equity 601919 CH Equity 601111 CH Equity 601866 CH Equity SH000911 Index 600006 CH Equity 600104 CH Equity 002024 CH Equity 000527 ch equity SH000912 Index 600519 CH Equity 600600 CH Equity 600597 CH Equity SH000913 Index 000538 CH Equity 000623 CH Equity SH000914 Index 601398 CH Equity 601939 CH Equity 601628 CH Equity 601318 CH Equity 600030 CH Equity 600837 CH Equity 000002 CH Equity 600048 CH Equity SH000915 Index 600718 CH Equity 992 HK Equity SH000916 Index 600050 CH Equity 728 HK Equity 941 HK Equity SH000917 Index
6.2 3.6 3.7 7.1 5.5 15.3 6.9 7.8 5.7 7.7 5.0 10.6 6.3 6.9 11.5 4.9 7.4 1.5 5.7 1.3 3.3 3.2 0.0 3.3 4.0 2.2 3.9 3.2 5.2 22.7 14.0 4.1 5.3 31.9 11.5 19.9 27.0 11.1 17.5 3.7 3.3 -1.5 4.1 4.2 5.3 3.5 -0.8
7.6 4.6 3.7 9.5 11.1 21.7 11.4 14.6 13.5 12.0 9.6 15.8 11.7 26.4 36.0 27.1 21.7 11.3 8.9 -0.4 13.8 1.9 0.0 3.3 -1.3 3.7 3.4 3.1 4.0 34.0 23.7 8.8 8.7 46.1 13.8 37.7 48.5 13.9 22.2 3.6 6.6 15.6 -5.9 6.8 9.0 3.3 -4.7
4.4 1.3 -4.5 6.1 17.8 33.3 13.9 15.6 8.1 22.4 25.5 15.6 26.5 30.0 72.2 46.1 43.1 25.8 11.5 30.3 15.8 9.2 0.0 1.7 -1.0 -0.7 -2.1 13.9 11.9 69.7 24.4 10.7 9.2 46.9 22.7 35.8 50.6 12.6 19.6 6.5 12.7 17.2 -9.0 12.6 9.0 11.0 -2.3
8.1 -0.6 1.0 5.4 16.7 39.5 16.3 14.9 10.9 24.0 26.3 12.5 30.2 36.5 69.2 49.2 41.9 34.9 14.3 75.4 21.3 14.9 0.0 3.8 -1.2 -6.7 -0.8 12.6 3.3 71.0 21.2 7.3 6.8 46.9 23.6 34.5 48.0 6.6 15.1 14.3 20.1 35.0 2.3 12.5 6.5 12.4 8.1
-35.5 -18.0 -26.5 -37.0 -44.3 -54.4 -10.7 -35.2 -1.2 -27.0 -7.0 -29.7 11.4 29.0 92.1 4.3 -19.8 38.3 43.3 79.3 38.6 -4.3 14.5 -8.0 -18.9 17.7 77.5 38.4 5.7 40.3 38.7 -9.7 -3.3 24.6 -55.9 80.3 99.6 37.5 -32.2 39.2 88.9 40.3 108.1 -4.8 -28.1 -8.3 5.9
-8.6 -3.4 -8.0 -7.5 -7.6 0.0 0.0 0.0 -1.6 -1.1 -2.5 -1.0 0.0 -0.9 -0.8 -3.6 0.0 -3.4 -0.4 -7.7 -2.7 -28.9 0.0 -2.6 -6.5 -20.9 -33.0 0.0 -20.6 0.0 0.0 -1.0 -2.0 0.0 0.0 0.0 0.0 0.0 0.0 -3.2 -14.6 -3.1 -14.6 -0.6 -1.6 -7.9 -9.5
20.0 7.0 20.5 24.1 28.4 71.7 32.9 40.1 34.6 32.2 52.7 30.5 43.3 54.2 108.6 67.1 58.2 61.5 24.7 108.5 59.0 30.5 0.0 14.8 45.1 5.3 10.7 21.0 16.7 91.2 42.8 18.6 16.1 68.2 60.8 74.2 67.5 56.3 54.5 21.5 38.2 60.2 39.6 26.2 26.5 28.1 48.6
다탕국제발전
601991 CH Equity
1.3
3.8
-1.5
10.3
25.1
-6.6
47.2
GD 전력
600795 CH Equity
4.4
13.3
23.4
30.1
22.7
-0.6
48.8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