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1
31 31
De c De c De c
19 73 19 71 19 66
19 64 19 58
19 54
Ma r
Fe b
30 3 28 Ma r
공 학 부 로
신 설 인 가
개 칭 ,건 축 건 미 축 술 공 과 학 를 과 로 건 대 축 개 학 공 편 원 학 박 과 사 로 과 개 정 편 설 치 인 가 이 공 대 학
건 축 학 부 를
건 축 과 설 치
설 립
석 사 과 정
건 축 학 부 대 학 원 건 축 미 술 학 과
0.1
history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1
se ur Co al or nd Re a ct , e Do gy nc of lo ie e t no . ch r u S en ch pt ct hm Te g D of te i is of rin t. ch bl Dp Ar ta t. ee Es Dp in of of g re En on t. nt tu o ti Dp me ec t za g rt it t. ni in pa ch Dp ga er De Ar rt or ne re o Re i A g u t t En e of ec ol t tl n i ho ti io ch t Sc Ar l ge za t oo an ni Ar of ch Ch ga e n S or th io te at of ua iz ad t. or Gr Dp th Au of re t tu en ec hm it is ch bl Ar ta of Es t en hm is bl ta Es
Ma y Ja n
19 97
19 97 건 축 학 과 로
준 공 ,건 축 학 과
건 축 공 학 과 를
와 우 관
개 편
건 건 축 물 학 로 과 사 주 AA 용 최 IIT Sc 로 Ma (Il 오 ho r lin 스 ol 20 oi 트 s 과 02 In 리 교 st 아 itu 류 te 건 협 of 축 약 Te 전 c 체 hn 개 1 결 ol 건 최 Ma og 축 y) r 학 와 과 20 자 5년 06 매 결 제 연 시 행 건 축 대 학 발 족 10 19 85
19 78
Ma y
13 1 De c
History | Introduction
re tu ec it ch Ar of ol ho Sc of T t II en hm th is e wi bl rs s u re ta ie co tu t Es ec or a up it i el t ch tr ch Se Ar us ba A , e l of ur ar of oo ct ye t. n ch e S 5 Dp io it t AA ch to bi Ar g hi th f in Ex wi o er l e t. ne ra ng Dp gi tu ha En ec rc g, it te in re ch In ld tu i Ar ec Bu it ld L ch He of Ar on of ti t. uc Dp tr ns of Co on ti za ni ga or Re
2|3
0.1 contents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1
■
Architectural Design Geometry in Nature Artificial Objects
1.0 year
Space Installation 1:1 Pavilion Small House ■
Art Technique
■
ㅡㅡㅡ 18
Architectural Design Cultural Facility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4
ㅡㅡㅡㅡㅡ 22
Flagship Store + Eco-friendly Office Program
ㅡㅡㅡㅡ 26 ㅡㅡㅡㅡㅡㅡ 30 ㅡㅡㅡㅡㅡ 36
■
ㅡㅡㅡㅡ 40
■
Digital Design Digital Presentation
■
Interior Architecture
3.0 year
ㅡ 112
ㅡㅡㅡㅡㅡㅡㅡㅡ 124 ㅡㅡㅡㅡㅡ 125
Boutique Hotel Renovation ㅡㅡㅡㅡ 126 Old Facility Renovation ㅡㅡㅡㅡㅡㅡㅡ 129 ■
Furniture Design
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4
0.1
introduction ■ ■ ■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History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 Contents ㅡ ㅡ ㅡ ㅡ 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 SPC ㅡ ㅡ 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 Faculty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 Dean’s Letter ㅡㅡㅡㅡㅡ 14 Director of Architecture Director of Interior Architecture ㅡ 15
2.0
■
Architectural Design Rooftop House ㅡㅡㅡㅡㅡㅡㅡㅡ 44 Residence for Parents
year
ㅡㅡㅡ 48 ㅡㅡㅡㅡ 62
Hongik Playground
Small-scale Theater ㅡㅡㅡㅡㅡ 68 ■
Architectural Form and Shape
■
Interior Architecture House Renovation
ㅡㅡㅡㅡㅡ 82
ㅡㅡㅡㅡㅡㅡ 84
Boutique Renovation ㅡㅡㅡㅡㅡ 87 Mullae-dong Re-livening Ambiguous state ■ ■
ㅡ 92
ㅡㅡㅡㅡㅡㅡㅡ 94
Lighting Design ㅡㅡㅡㅡㅡㅡ 98 Space and Modern Art ㅡ 99
Contents | Introduction
5.0 year
■
Architectural Design : Graduate Studio ㅡㅡㅡㅡㅡㅡ 212
0.3 epilogue
0.2
4.0
interview
■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ㅡㅡㅡ 138
Landmark Remake Utopia
ㅡㅡㅡㅡㅡ 170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76
Extreme Architecture Ideal Residence
ㅡㅡㅡ 178
■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e Studio
■
ㅡㅡ 300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Seunghyun Woo
ㅡㅡㅡㅡㅡㅡㅡㅡ 186 ■
ㅡㅡㅡㅡㅡㅡ 208
ㅡㅡㅡ 298
ㅡㅡㅡㅡㅡㅡㅡ 270 Alumni Representative of HSA
Hyunjoon Mihn
Landscape and Environmental Design
Student List Editor`s Note
A Conversation with Senior
Hahn Joh ■
Sustainable Transformation ㅡ 164
■
Chulhee Kang
year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74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80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84
Comment from Interns ㅡㅡㅡㅡㅡㅡㅡ 290 Kohn Pedersen Fox Architects
Soyoung Kim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94 École Spéciale d’Architecture
Hyojin Lee
ㅡㅡㅡㅡㅡㅡㅡ 180
Finding Micro City in Macro City ㅡㅡㅡㅡㅡㅡㅡㅡㅡ 184
4|5
0.1 Introduction of spc
STUDENT PERFORMANCE CRITERIA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1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교육목표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은 단일 건축학부 내에 5년제 건축학전공과 4년제 실내건축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자인 분야로 특화된 단과대학이다. 건축대학의 목적은 미래 국가의 디자인 육성책 실현과 홍익대학교의 디자인 전통을 기반으로 한 미래지향적인 전문교육과정을 구축하여 국제화, 정보화 시대에서 요구하는 창의적인 실험정신과 합리적인 실무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국제건축분야의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건축대학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대학교의 건학목표인 홍익정신을 받아들여 전인적인 인격성장에 필요한 전공 관련 교양교육을 실시하여 합리적 사고와 사회적 책임을 갖춘 교양인의 양성한다. • 논리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21세기 지식기반사회 리더 배양한다. • 미래지향적인 전문교육과 함께 산학연 일체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래지향적이고 창의적인 건축가 배양한다. 위와 같은 건축대학의 목적을 통하여 본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는 “Excellence in Design”이다.
프로그램의 목표달성을 위한 추진전략 • 폭 넓은 지식과 윤리적 인성을 배양하기 위한 기본 교양교육을 강화한다. • 기초 디자인 능력 배양을 위하여 디자인 관련 실기과목 강화한다. • 논리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설계 프로세스 교육 지향한다. • 체계적인 전공교육을 위하여 전체 교과과정을 3단계 과정으로 구분하여 시행한다. - 1단계 기초과정: 건축학 입문으로 사고체계, 표현기법, 설계요소 및 방법, 구조 및 건축개론을 통해 포괄적인 기초와 창의적인 소양을 배양한다. 건축가가 사용하는 Tool에 대한 이해, 3차원적 구상능력, 설계프로세스의 이해를 통하여 건축가로 성장하기 위한 기초를 습득하고, 최대한의 상상력을 끌어낼 수 있는 표현방법과 방법론의 학습을 하게 된다. 특히 홍대의 미술 전통을 이어 미술실기과목을 통해 소묘와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2단계 일반과정: 필수적인 기술, 문화행태, 도면기법, 시공 및 재료 등의 건축 전문교육과정으로 전공지식과 능력을 배양한다. 기술 분야에서는 구조와 환경시스템을 이해하고 이를 설계에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하며, 문화적 맥락 분야에서는 한국과 세계건축사의 균형 잡힌 시각을 습득하여, 건축가로써 성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지식과 지성인으로써 필요한 소양을 갖추도록 한다. - 3단계 심화과정: 자신의 전문영역 및 건축철학을 구축하는 동시에 종합적인 설계능력과 실무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스튜디오에서 선택하는 선택스튜디오 체계와 졸업설계를 통하여 ‘Excellence’와 ‘Professionalism’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특히 건축이론 및 역사, 구조, 환경, 실무, BIM 등 다양한 과목을 제공하여 졸업 후 건축 설계 분야 외에도 다양한 건축 분야에 대한 적성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건축설계와 이론의 통합적 교육을 지향함으로서 창의적인 사고와 표현의 지속적 탐구 능력개발을 한다. • 설계분야 이외의 관련 전문 영역에서 활동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공선택과목 개설한다.
SPC | Introduction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교육인증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사 학위는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AAB)이 제시하는 인증기준을 준수하는 건축학교육 전문학위 인증 을 취득한 과정이다. 캔버라협약(Canberra Accord) 인증기관들과 유네스코 세계건축가연맹(UNESCO-UIA) 건축학교육인증기구(UVCAE) 가 동시 에 인정하는 전문학위 프로그램이다. 학생들은 졸업 후 건축사 시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필수적인 건축학 학사(Bachelor of Architecture: B.Arch) 학위를 부여 받는다.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AAB)은 대학의 건축학 학위 교육프로그램의 규준과 지침을 제시하고, 인증 및 자문을 시행하는 기관 으로서, 우리나라의 건축학 학위가 유사한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는 다른 국가에서도 상호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건축학 교육의 국제적 상호 인정을 위해 설립됐다. 2011년 5월 공포한 ‘건축사법’ 개정안이 공포되면서 오는 2020년부터는 건축학 교육인증을 획득한 대학 및 대학원에서 교육과정 을 이수한 후 건축사사무소에서 3년 이상 실무수련을 받은 사람만이 건축사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게 됐다. 국내 건축학교육 전문학위 과정은 교 육기관의 선택에 의해 5년제 전문학위 학부과정 또는 2년제 이상의 전문학위 석사과정으로 운영되며, 지속적 인증유지를 위해 정기적으로 인증심 사를 받아야 한다.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은 인증기준을 바탕으로 정기적 인증심사를 수행하며, 결과에 따라 5년 인증, 3년 인증, 조건부 2년 인증, 인증 유예 및 거 부 판정을 받을 수 있다. 홍익대학교의 건축학사 학위의 다음 인증심사는 2012년도 4월에 실시될 예정이다. (http://www.kaab.or.kr/ 참조)
6|7
0.1
인증기준분야별 교과 목표 및 내용 현 운영 중인 교과과정은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의 인증기준을 충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기초과정, 일반과정, 심화과정 3단계로 나누어 창의적인 교육부터 실무적인 교육까지 순차적으로 심화하는 과정이다. 총 170학점을 이수하는 전공교과과정은 학년/학기별로 체계적으로 짜여진 전공필수과목(총 105학점)을 기본으로 구성되어 모든 학생들이 기본적인 건축교육을 필수적으로 이수토록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교과영역별로 다양한 21개(44학점)의 전공선택과목들을 개설하였으며, 이 가운데 25학점은 의무적으로 이수를 하도록 하여 학생들에게 폭넓은 교과목 선택권을 제공 하면서 각 교과영역별로 심화된 전공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에서 제시하는 다섯 개(커뮤니케이션, 문화적 맥락, 설계, 기술, 실무) 부문의 학생수행평가기준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커뮤니케이션 부문 건축이라는 분야는 종합예술이라고 일컬어지듯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구현과정을 거치면서 이러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잠재적 접촉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든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시각적 언어로서 명확하게 자신의 의사와 의도를 전달 할 수 있는 능력이 겸비되어 있어야만 한다. 본 대학의 교과과정은 전통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표현방법을 학습하도록 한다. 또한 건축가와 의뢰인, 건축가와 건축가, 기타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의나 토론을 할 시에도 원활하게 비평과 토론이 행해질 수 있도록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건축실무자와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의 도면과 의사소통방식을 특별히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종적으로는 자신의 의도를 정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방식을 구사하며 더 나아가 의도를 관철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자신만의 기법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스스로 찾아내는 단계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커뮤니케이션 과목뿐만 아니라 설계 및 이론과목에서도 커뮤니케이션 수행평가기준이 적용되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나) 문화적 맥락 부문 문화적 맥락 부문은 건축역사 및 건축이론, 도시발전사, 예술사 등의 관련 학문, 그리고 건축계획 및 환경 등의 많은 학문들을 접하여 기본적인 도시나 건축역사 등을 바라보는 나름의 안목을 갖고 설계과정에 자신의 건축 관을 설계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교과 과정의 문화적 맥락 부문은 크게 역사 이론 분야와 도시 행태 분야로 나누어진다. 다) 설계 부문 건축학 과정에서의 설계과목은 궁극적으로 모든 이론과목의 지식을 적용해 볼 수 있는 실습 과목이면서 종합적으로 설계 관련 철학과 개념들을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수업이다. 건축 관련 교과과정에서 익힌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동시대에 맞는 건축 어휘와 역사성을 가미한 건축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계과정의 프로세스를 이해함과 동시에 아울러 자신의 유연한 설계개념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수반되어야 할 요소들, 즉 재료의 물성에 대한 이해와 구조의 원리 이해, 시공단계의 이해 등이 종합적으로 검토되는 설계과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설계교육이 단계별로 추진되어야 한다. 라) 기술부문 기술 분야는 건물을 설계하여 구축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공학적 요소들을 포함한다. 교과과정 개정에서 인간과 건물의 안전을 위하여 절대적으로 필요한 구조 · 시공 기술부분들과 쾌적성과 편리성을 위한 건물 내외부 환경을 조절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환경 기술부분들로 크게 나누어, 설계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구조와 시공, 환경 등의 이론적 학습을 통하여 설계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능력을 배양한다. 마) 실무부문 산업구조에서 건설 산업이 차지하는 제도 · 경제 · 사회적 측면에 대한 이해를 기본으로 하여 실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각자의 이해관계 속에서 리더십을 발휘하여 업무를 합리적이고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최종적으로는 계획단계에서부터 완공과 그 이후 사용에 이르기까지 각종의 역학관계를 이해하고 미래의 상황까지도 예측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에 대한 조건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SPC | Introduction
전공필수 과목 이수 체계표 (기존 과정)
전공선택 과목 이수 체계표(기존 과정)
전공필수 과목 이수 체계표
전공선택 과목 이수 체계표
(2011년도 신입생 적용 개편 교육과정)
(2011년도 신입생 적용 개편 교과과정)
기존 교과과정 과목 연관계통도
2011년도 개정 교과개정 과목 연관계통도 (2011년도 신입생부터 적용)
8|9
0.1 FACULTY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1
Dean
Professor
Gisuop Hong Structural Engineering
Uk Kim Architectural Planning / CAD
B.S. Seoul National Univ. M.S. Seoul National Univ. PhD. Seoul National Univ.
B.S. Seoul National Univ. M.Arch. Ohio State Univ. PhD. University of Michigan
Director of Architecture Major
Professor
Hyunjoon Yoo Architectural Design
Youngsoo Lee Architectural Design / Planning
B.S. Yonsei Univ. M.Arch. MIT M.Arch. with Distinction. Harvard Univ. Architect AlA
B.S. Hongik Univ. M.Arch. Paris La Villette PhD. Hongik Univ. Architect D.P.L.G
Director of Interior Architecture Major
Professor
Hyunho Lee Interior Design
Juyeon Kim Interior Design
B.S. Seoul National Univ. M.Arch University of Michigan Architect AlA
B.S. Hongik Univ. M.Art. Cornell Univ. PhD. Kookmin Univ.
Emeritus Professor
associate professor
Dokeun Yoon Architectural Design
Jaeyong Chung Architectural & Urban Design
M.S. Hongik Univ. PhD. Hongik Univ. Architect KIRA
B.Arch. Univ. of Liverpool Dip. TRP Univ. of Liverpool PhD. Univ. of Liverpool
Emeritus Professor
Assistant Professor
Myunghyun Jeon
Hahn Joh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al Design
PhD. Hongik Univ.
B.S. Hongik Univ. M.Arch. Yale University Architect AlA
Emeritus Professor
Assistant Professor
M.S. Hongik Univ.
Kunhee Kang Architectural Design
Hyunjoon Mihn Architectural Design
H.PhD. Sukmeung W. U.
B.S. Seoul National Univ. M.S. Seoul National Univ. M.Arch. UC Berkeley Architect AlA
Emeritus Professor
Assistant Professor
M.S. Hongik Univ.
Eonkon Park History of Architecture M.S. Waseda Univ.. PhD. Waseda Univ.
Younghwan Lim Architectural Design
B.S. Hongik Univ. M.Arch. Univ. of Pennsylvania PhD. Seoul National Univ. Architect AlA
Faculty | Introduction
Assistant Professor
Kyuman Song Digital Architecture / Architectural Management
Adjunct Professor Haecheon Seo Architectural Design
B.S. Hongik Univ. M.Arch. Univ. of Pennsylvania M.Des. Havard University Doctor of Design, Havard University
B.S. Keimyung Univ. M.S. Hongik Univ. Architect KIRA
Assistant Professor
Adjunct Professor
Heakyung Yoon Architectural Environment
Youngkeun Han Architectural Design
B.S. Hongik Univ. M.Arch. Michigan Univ. PhD. Carnegie Mellon Univ.
B.S. Hongik Univ. M.Arch. ENSA PARIS(3eme Cycle) Architect D.P.L.G. France
Assistant Professor
Adjunct Professor
Kyungsun Lee Architectural Design / Sustainable Design
Beomsik Na Architectural Design
B.S. Hongik Univ. M.Arch. U.C.L.A Doctor of Design, Harvard University Architect AlA
M.S. Hongik Univ. Architect KIRA
Assistant Professor
Adjunct Professor
Juwon Kim Architectural Design
Junghyun Hwang Architectural Design
B.S. Hongik Univ. AA Dipl. AA School RIBA
M.S. AA School
Assistant Professor
Adjunct Professor
Seunghyun Woo Interior Design
Hee Moon Architectural Design
B.S. Hongik Univ. M.Arch. University of Michigan Architect AlA
PhD. Université Paris 1 Panthéon-Sorbonne
Assistant Professor
Adjunct Professor
Yongsoon Chang Architectural Theory / History
B.S. Seoul National Univ.a M.S. Seoul National Univ. Ecole d’architecture versailles, France St. Denis University, Paris 8
Assistant Professor Sungik Cho Architectural / Interior Design
B.S. Seoul National Univ. M.S. Seoul National Univ. M.Arch. Yale School of Architecture Architect AlA, KIRA
Hyosik Choi Architectural Design PhD. Hongik Univ.
Adjunct Professor Kyung A Kim Architectural Design M.S. Hongik Univ.
Adjunct Professor
Adjunct Professor
Junghyun Park Architectural Design
Seungyoon Lee Interior Design
PhD. Hongik Univ.
M.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10 | 11
0
Dean’s Letter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1
20대의 이상을 가진 학생들에게.
매년 밀물처럼 들어오는 신입생들과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To students with young dreams.
Every year I see students come and go as if they were tides
졸업생들을 봅니다. 여러분의 존재는 아름다운 모래톱과 그 가운데
on seashore. You are seen to me as glittering sand with several
빛나는 조개껍데기 몇 개로 기억됩니다. 20대의 자아를 만드는 가장
seashells within. I believe university is where one’s personality
중요한 시기에 여러분의 무대가 되는 곳이 대학이라 생각하며, 사뭇
forms, thus I feel great responsibility of my position. Architecture
무거운 책임감을 느낍니다. 건축을 공부하는 것은 현상을 이해하는
is about understanding phenomena, studying to propose the best
것이고, 최선의 해결방법을 끊임없이 탐구하는 것이며, 방법을
solution, and expressing such thoughts with beauty. Therefore
아름답게 표현하는 자기와의 투쟁입니다. 그렇기에 결코 쉽게 얻을
it cannot be obtained easily, and must be approached with total
수는 없으며, 다양한 경험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통찰해 다가가야
self-studying in all directions. I may say encountering such process
합니다. 이 시기에 만나는 건축이라는 학문, 건축대학이라는 집단은 더
during the twenties is a priceless experience. Students should be
없는 축복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여러분은 이 시기 동안 울고 웃으며
proud since the architecture education process is attractive and
어느 집단과 견주어도 매력적이고 쓸모 있는 인간으로 성장해왔다는
useful compared to any other group in society.
것에 자신감을 가져도 좋을 것입니다.
우리 건축대학 교육의 목적은 단지 건축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Our school does not simply exist for training architecture
것만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건축미술관련 교육을 기반으로 사회적
professional. Our goal is to enhance one’s social creativity and
상상력과 예술적 심미안을 높여 그 나름대로 사회에 기여하는 인재를
artistic vision to become an effective member of society in any
배출하는 것입니다. 학생들은 5년간의 교육기간을 거치면서 장인적
field. During the five years of education, students will master
기술과 함께 예술과 인문학을 이해하는 정서와 감각을 두루 익히게
their production skills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in literae
될 것입니다. 알찬 학창 시절을 보내며 이에 도달하는 학생들은 자기
humaniores. Successful students through this process will skillfully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체득하게 될 것이며, 이는 졸업 후에 이어지는
be able to express themselves, which will be useful in one’s future
개개인의 삶에 있어 큰 선물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life.
이 책에 담긴 것은 단지 한 해 동안의 과제물을 모아둔 것이라기보다,
This annual publication is not simply a collection of works.
그 것을 통해서 자기를 표현하고자 한 시도들이라고 생각하며, 격려를
However it contains the youth’s attempts of expression, which I
보냅니다. 우리 학생들이 이러한 작품집을 통해 반성하고, 서로의
approve greatly. I wish our students will learn from themselves and
모습을 확인하며 끊임없이 배워 나가기를 바랍니다.
endlessly develop through this publication.
2012년 1월
January, 2012
홍익대학교 학장
Dean of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홍기섭
Giseop Hong
12 | 13
0.1 Director of Architecture Major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1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전공 교육의 목표를 몇 자로 줄여
The motto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is “Excellence
표현한다면 “Excellence in Design” 입니다. 이는 단순히 아름다운
in Design.” This not only refers to beauty, but also contains a
디자인을 하자는 말이 아닙니다. 이러한 교육목표는 사람과 사회를 더
humanitarian idea of training students who could build a better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어주는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자는
world; it is an architectural reinterpretation of “Hongikingan”,the
취지에 있습니다. 이는 또한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한다.”는
origin of Hongik University.
홍익대학교의 교육목표인 “홍익인간”을 건축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서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To achieve such purpose, students learn basic design methods
건축학전공은 1,2,3학년에서는 디자인의 기초를 다지기 위해서 공통의
within the same curriculum for the first three years. Students from
커리큘럼을 가진 설계 스튜디오 체제를 유지하고, 4학년에 진학해서는
fourth grade may choose their studio after a presentation of each
학생들이 각기 다른 주제의 스튜디오 프레젠테이션을 들은 후 자신이
studio’s theme. In the last year, students work on their graduation
관심을 가지는 스튜디오를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되어있습니다.
piece which finalizes one’s architectural philosophy. During these
마지막으로 5학년에서는 지난 4년간의 배움을 토대로 자신만의
five years, the school assists students’ independence in the field of
건축관을 정립하도록 준비된 졸업설계가 진행됩니다. 이러한 5년의
architecture and provides them the ability to learn more even after
과정을 통해서 학교는 학생이 건축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graduation.
졸업 후에도 스스로 배울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켜주고자 합니다. 이 작품집의 건축학전공 부분은 홍익대학교 건축학전공
This annual workbook introduces the current works of
프로그램에서 진행중인 스튜디오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students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Such pieces are pure
여기에 소개된 작품들은 학생들과 지도교수님들의 깜과 노력의
representations of the students and professor’s pondering of life
흔적들과 건축설계라는 매개체를 가지고 인생과 세상에 대한 학생들의
and world, as well as their endeavor. Architecture is a sequence of
고민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결정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processes that ties and unties the complexity between elements
건축물을 디자인한다는 것은 인간 내면에 대한 성찰, 사람과 사람간의
such as human study, relationship, technology, economy and law
관계, 당대의 기술수준, 경제적인 조건, 법규적인 규제 등 이루 헤아리기
etc. The infinite decisions during the numerous processes are what
힘든 복잡한 실타래를 때로는 풀어나가고 때로는 이어주며, 때로는
determine one’s architectural philosophy.
잘라내야 하는 과정들의 연속입니다. 이 과정들 중에 있을 무수한 의사결정의 순간들에 설계자의 가치관이 반영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따라서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은 홍익대학교 건축교육에서 가장 근본입니다. 건축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한 사람의 성숙한 인격체로서
Since the first year, Students may start their development to
성장하는 과정은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1학년 때 시작하지만, 단지 5
a mature man, however after graduation they must go through
년의 기간 중에 될 일은 아닐 것이며 졸업 후에 본격적인 과정이 있을
a much difficult course. The first steps of a life-long process of
것입니다. 앞으로 평생 하게 될 자아성숙의 노력의 첫 걸음의 흔적이
self-realization are within this book. Please cheer their endeavor and
이 책에 담겨있습니다. 보시면서 이들의 노력과 헌신을 마음속으로
passion inwardly.
응원해주시기 바랍니다.
2012년 1월
January, 2012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학과장
Director of Architecture Major
유현준
Hyunjoon Yoo
Director of Interior Architecture Major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1
3기 실내건축전공 졸업을 축하하며,
쉽게 잊혀지고 있지만 2011년은 일본을 덮친 지진과 쓰나미의
Congratulations for the third graduation of interior design majors.
The year 2011 started from the Japanese earthquake and
기억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건축이 사람을 살릴 수도, 죽일수도 있다는
tsunami, which has sent us an unforgettable message; Architecture
것을 살에 와닿게 경험하였다.
may easily kill or protect mankind.
몇 년전 중국 스촨의 대지진에 무너진 학교에서 수많은 어린이가
Several years ago, numerous children died during the Sìchuan
죽었지만, 올해 일본 대지진의 경우 쓰나미에 의한 피해를 제외하고
Sheng earthquake. However, there was almost no news about
건물이 무너져 사람이 죽었다는 뉴스는 듣기 힘들었다. 안 무너졌으니
death from collapsing buildings in Japan. In other words, the
건축가가 많은 사람을 살린 거다. 또 얼마전엔 한강 가의 높은
architects saved the victims.
쇼핑건물이 진동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불안해 했던 일도 있었다.
더 나은 환경을 만들고, 유토피아를 가르치는 건축가로서, 눈으로
As an architect striving to discover better environment, and
아름다운 것을 만드는 것만 이야기 하지 않았나, 나를 뽐내기 앞서
a professor looking for utopia, I look back to myself. “Wasn’t I
주변과 환경을 고려하고, 조금이라도 에너지를 덜 쓰고, 따뜻하고,
concentrating too much on beauty?” Before showing off oneself,
시원하고, 안전하고, 편안한 것이 진정 아름다운 것임을 가르치고
true beauty comes from considering the environment, using less
있는가 반성하게 하는 한 해다.
energy, and constructing comfortable spaces.
실내 건축학과 졸업전 세번째 이야기는 IN-OUT이 였다. 바깥을
The third graduation exhibition of interior design majors had a
안처럼 편안하게, 안에는 바깥의 많은 이야기를 담고, 도시와 자연과
theme of IN-OUT. Outer space as much as comfortable as the
사랑과 사람의 이야기를 이때까지 생각해 보지 못한 방식으로 안과
inside, the inside having rich contents as much as the outside,
밖을 뒤집어 보여주는 것, 진짜 남을 위한 건축을 하고 싶은 나의 안을
and obtaining this goal by creative studying, all of these activities
보여주고 싶다.
overall contain the fundamental value of architecture for others. On a personal scale, I would like to show my inner ideas of caring the world, or others.
2012년 1월
January, 2012
홍익대학교 실내건축학과 학과장
Director of Interior Architecture Major
이현호
Hyunho Lee
14 | 15
Introduction of First year
1학년 설계는 학습범위에 있어 단순한 기술숙련에서 벗어나 건축적 사고능력 향상을 목표로 각 과제 별 연계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학 습 주제어, “재창조(re-creation)”를 설정하였다. “재창조(re-creation)”는 건축가의 창작행위가 세상에 이미 존재하는 무언가에 대한 관찰과 영감에서 비롯된다라는 점에서 착안하였으 며 표본으로 이태리 르네상스시대의 예술가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삼았다. 그는 자연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 예술, 기술 각 분야 의 지식을 수립, 창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건축이라는 종합예술을 지향하였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학생들은 예를 들어 1학기 첫 과제를 맞아 기존 교육에서 주입된 간접지식에 의존하지 않고 다빈치와 같이 스스로의 관찰력과 분석력에 의존, 자연에 존재하는 기하학 적 형태를 “재발견”하였다. 이 후 치수 및 황금비율에 입각한 기하형태로 추상화된 결과물을 다시 관찰, 나름대로의 건축개념에 적합하도록 “재조합”하였는데 이 후 반부 과정은 표현범위나 형식의 자유로움에 있어 실용성이나 미학적 완성도를 목표하였던 다빈치의 작업보다 과학적 방법이나 도구를 사용 하였으나 자신의 창작욕망에 보다 충실하였던 중세의 연금술사 또는 프랑켄슈타인 박사와 같은 근대 초 영화나 소설 속의 ‘mad scientist’에 더 가까웠다. 이러한 “재창조”작업은 1학기 중 세 차례 반복과정을 거치며 방법론적으로 심화되었으며 2학기에 들어서는 보다 실질적인 용도(예: 비를 막는 지붕외피, 자중을 지지하는 목구조체, 단독주거 사례분석 및 설계변경)와 공간설계를 목표로 전문화되었다. 정규과제 외 1학기 단체답사와 2학기 반 별 답사를 통해 학생들은 엄선된 전통건축 및 현대 건축물들을 경험하였다. 1학기 답사엔 선운 사, 내소사, 천안 갤러리아 센터시티를 다녀왔고 2학기 답사엔 각 조별로 광주어반폴리, 정읍 김동수가옥, 안동 병산서원, 봉정사, 영주 부석 사, 담양 소쇄원, 안양예술공원, 예산 추사고택, 완주 화암사, 구례 화엄사를 다녀왔다.
In the first year, all the projects were preconceived in sequential relation to build-up the architectural thinking process. To achieve that, we put a study title as “Re-creation”. The title implies that all the creation architects achieves stem from his/her studies and inspirations of things already exist in this world and we referred to the practice of the great Renaissance master, Leonardo da Vinci of Italy. Da Vinci established immense knowledge of science, art and engineering via examination and analysis, which were combined all in one in his works of architecture. Students of today, for example, “re-discovered” the geometric forms of nature through the direct examination and analysis as Da Vinci did without relying on the pre-established knowledge found in media. Students also “re-configured” their re-discoveries to “re-create” objects to their individual concept, the process of which resembles more of mad-scientists or alchemists who were after their own desire in its width of methods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than Da Vinci who were after the practicality or the artistic perfection. During the first term, there were 3 projects which were escalated in methodology in. During the second term, we focused on more functional aspects (e.g. rainscreening materials, timber structure, small house) and the spatial design skills. The course included a 2-day study trip participated by all 8 studios in the 1st term and a 1-day study trip by 16 student groups in the 2nd term. The first destinations included Galleria Center-city Department Store by UN Studio in Chon-An, Seonwoonsa, Naeso-sa and the second destinations included Urban Follies in Gwangju-Si, Buseok-sa, Sosoe-won, Anyang Art Park, Byungsan-Seowon and etc.
16 | 17
1.1
Architectural Design
year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Geometry in Nature 자연의 비례분석과 재조합 동식물 등에 대한 실측 도면 작도를 통해 함축된 기하형태와 비례를 재발견하고 작가적 해석을 더해 이를 건축오브제로 재조합한다. 건축작도 의 기본이되는 평입단면도의 원리를 이해하고 기초적인 제도용구 사용법, 선의 종류, 기하작도, 레터링을 익힌다. 또한 복합재료를 사용해 모형을 제 작한다. The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embedded geometry of nature via direct examination and to record it on scaled drawings, which then need to be re-configured as architectural objects to the individual concept. Basic understanding about the architectural 2D drawings in relation to Cartesian Space and the manual draftsmanship are taught.
1.2
1.1
1.3
1 Seokeon Kang
1.4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Geometry in Nature
1.1
1.2
2
3.1
3.2
4.1
5.1
5.2
4.2
6.1
6.2
1 2 3 4 5 6
Sangkeun Park Juhee Lee Hongkyu Moon Minouk Kang Dakyung Kim Daeshin Kang
18 | 19
1.1
Architectural Design
year
1.2
1.1
2
3
4.1
4.2 1 2 3 4
Jaeyoung Koo Sangkeun Park Jisu Lee Seongjin An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Geometry in Nature
1.1
1.2
1.3
2 1 Minuk Kang 2 Kyunghwa Jung 3 Taedong Kim
3
20 | 21
1.2
Architectural Design
year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Artificial Objects 인공물의 분석 및 재조합 1단계 작업에선 10개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된 인공물을 선택, 해체 및 절개를 통해 분석하고 평입단면도 및 액소노매트릭 도면으로 표현한다. 2 단계 작업에선 해체된 오브제의 부품과 원리를 이용, 다른 부품들을 추가하여 자신의 건축개념에 맞도록 제 2의 오브제로 재조합한다. 입체적 형태 를 표현하는 액소노매트릭의 원리를 이해하고 자신의 의도에 적합하도록 작도할 줄 안다. The study first aims to re-examine the structure and the idea behind the artificial objects via decomposition and to record it on sequential sections and the exploded axonometric. In the latter half stage, the students are asked to re-configure the parts of the original object and one additional object to create architectural objects to their individual concept.
1.1
1.2
2.1
2.2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Artificial Objects
1.3
1.4
1.5
3
1 2 3 4
Dongchan Kim Seoyong Yang Kihoon Kang Seokeon Kang
4
22 | 23
1.2
Architectural Design
year
2.1
2.2
1
4
3.1
3.2
5
1 2 3 4 5
Byungjoon Kim Seokeon Kang Taeksoo Kim Hyesoo Song Jihyeon Song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Artificial Objects
1 2
3
4
6
5
1 2 3 4 5 6
Seongjin An Kyunghwa Jung Danlong Wu Seunghoon Lee Seoyong Yang Taiyu An
24 | 25
1.3
Architectural Design
year
Space Installation
오브제 공간설치
반 별로 2개 팀을 구성한 후 각 팀 별로 1개안을 선정, 공간설치를 목적으로 공동작업을 한다. 오브제를 설치할 공간은 자신이 속한 반이나 인접 한 공용공간 중 다른 팀과 중복되지 않도록 선정하고 1:10 실측도면과 1:4 공간모형을 만들어 스터디한다. 평입단면도 및 투시도의 작도를 통해 실 내공간에 대한 이해와 분석능력을 키우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에 대한 재발견이 가능한 설치오브제를 스터디한다. 일소점, 다소점 투시도의 원리를 이해하고 작도할 줄 안다. Students from each studio are to be divided into 2 groups and to produce the measured drawings of their chosen interior space in 1:10 and a model in 1:5 for study purpose. The course requires various perspective drawing techniques to represent the 3 dimensional composition of interior space. The aim of installation is to re-discover the hidden qualities of space via group work.
1
2
3 1 studio 1; group A 2 studio 1; group B 3 studio 2; group A
Space Installation
1.1
1.2
2.1
2.2
3.1
3.2
3.3
1 studio 2; group A 2 studio 2; group B 3 studio 3; group B
26 | 27
1.3
Architectural Design
year
1
2
3.1
4
3.2
5
1 2 3 4 5
studio 1; group A studio 8; group A studio 1; group B studio 2; group A studio 2; group B
Space Installation
2
1
3
4
6
5
7
1 2 3 4 5 6 7
studio 3; group B studio 3; group A studio 5; group A studio 8; group B studio 4; group A studio 6; group A studio 7; group B
28 | 29
1.4
Architectural Design
year
1:1 Pavilion
1:1 파빌리온
재활용소재나 목조 결구를 스터디하여 파빌리온 구조체를 만들고 이에 비, 바람 등 간소한 내후성의 외피를 일체화시키는 작업으로 처음 4주 간 학생 1인당 1작품을 1:10 스케일의 도면, 모형으로 발전시켜 중간평가를 하고 이 후 1개 안을 반별로 선정, 나머지 4.5주간 지붕외피 mock-up, 1:5 제작도면, 1:2 상세도면 및 스터디모형작업을 거쳐 학교 교정에 1:1로 설치한다. 파빌리온의 크기는 2.4x3.6미터 평면에 2.4미터 이하 높이로 한 정되었다. At the first 4-week phase, the students are to produce drawings and models of pavilion structure in 1:10 scale to the individual concept. Usually, 1 work would be selected in each studio and developed via group study at the 2nd 4.5-week phase for the outdoor construction on university premis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aterialities of component and its relation to the whole structure are required for the study. The size of pavilion is limited to 2.4m in width, 3.6m in length and 2.4m in height. The material is limited to the re-cycled or the timber based ones for use.
1.1
1.2
1 2 3 4 5
1.3
2
3
4
5
Joonwoo Cho Dongchan Kim Jihyeon Song Yoeun Jung Taeksoo Kim
1:1 Pavilion
1.1
1.2
2
1.3
3.1
3.2
4
5
6.1 1 2 3 4 5 6
6.2
Kyunghwa Jung Kungwoong Kim Minjung Kwon Minseo Kim Hoseon Hwang Seoyong Yang
30 | 31
1.5
Architectural Design
year
1.1 1.4 1.2
1
studio 1 axonometric elevation detail drawing 1:1 pavilion 2 studio 7 .1 detail drawing .2 1:1 pavilion .1 .2 .3 .4
1.3
1.4
2.1
2.2
2.1
2.2
1:1 Pavilion
3.2
3.1
3.3
4.2
4.3
3 4.1
4.4
studio 3 .1 1:1 pavilion .2 roof plan .3 axonometric 4 studio 2 .1 drawing .2 roof plan .3 1:10 model .4 1:1 pavilion
32 | 33
1.5
Architectural Design
year
1.1
1 .1 .2 .3 .4 .5
studio 8 1:1 pavilion detail drawing 1:10 model module component plan
1.2
1.2
1.2
1.4
1.5
1.3
1:1 Pavilion
1.1
1.2
1.2
1.3 1
2
3
studio 4 .1 1:1 pavilion .2 elevation .3 photo 2 studio 5 3 studio 6
34 | 35
1.6
Architectural Design
year
Small House
단독주거
기본적인 평입단면이 실린 소형단독주거 10선 중 택1한 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문헌조사와 1:50 도면세트, 모형제작을 통하여 입체적인 공간구 성, 기본계획각론치수, 그 밖에 기본적 구조 및 설비, 단열, 방수, 자연채광, 자연환기를 이해한다. 그 다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자신의 개념에 따라 설계변형 스터디를 하고 이를 1:50 도면세트 및 모형으로 제작한다. 계획각론치수에 대한 33문제 객관식 필기시험을 중간에 치루며 표현에 있어 단 면재질, 평입단면 기호표시, 공간분석에 대한 해체액소노메트릭 및 투시도를 작도할 줄 안다. Students are first to choose 1 out of 10 selected small houses designed by well known architects and to examine it via documentary survey for the production of general drawings and a model in 1:50 scale. At the later stage, they are asked to revise the original design to the individual concept for the production of drawings and models. The course includes a written exam of the basic knowledge about the building elements, graphic standards, material sizes and etc.
1.1
1.2
1 Joonwoo Cho 2 Byungho Shin
2.1
2.2
Small House
1
2
4.1
3
4.2
5
6
7
1 2 3 4 5 6 7
Hyeonbae Jee Saerom Han Seojung Kwak Jaeyoung Koo Huigoo Yang Seongjin An Miji Kim
36 | 37
1.6
Architectural Design
year
1.1
1.2
2.1 1 Yeonsub Kang 2 Sangwoun Park 3 Taewan Kim
2.2
3
Small House
3 1 4
2
6
5
7
8
1 2 3 4 5 6 7 8
Kyeoghwa Jung Kyeongmin Jo Hyeonjoon Park Hyungseok Yoon Daeshin Kang Taeksoo Kim Minjung Kwon Byeongjoon Kim
38 | 39
1.0
Architectural Design
Studies
year
Art Technique
미술실기
건축에 있어서 미술은 가장 기본적으로 미적 감각과 감성의 표현방법 등을 표출하기 위해 갖 추어야 하는 부분이다. 건축 드로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술실기의 다양한 분야를 경험해 봄으 로써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미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실습을 통해 기술을 습 득하는 것과 동시에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자유로운 사고와 사생의 기본을 익히는데 이 강 의의 목적이 있다. Art is the basic techniques an architect must obtain to express his sense and emotion. To improve architectural drawing, students who do not major in art will experience various fields of artwork to generally understand free thinking and the basic techniques of drawing. 1 Kyeonghwa Jeong 2 Kyeongmin Jo 3 Seojeong Kwak
1
2
2
Art Technique | 미술실기
3
3
3
3
40 | 41
Architectural Design Curriculum The land starts to become an important context from 2nd year. Not only will be the human body and organized space according to such scale be studied, but als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moisture, temperature, scenery, social relation, and urban context as well. The studio projects’ will deal with small functions. The first semester mainly is about natural environment and housings, while the second is about urban publicity and small spaces based on issues of community. The first project of the first semester is a planning of rooftop housing for a student. On top of a 30-year-old, brick finished, concrete building, a new floor is added on top containing housing for a single person. From such study, students will underst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ccess, view, ventilation, and basic structural details. In addition, space planning carefully approached from human scale is another goal of this project. The first project of the second semester is proposing a new entrance of Hongdae playground approaching from Wau Mt. St., and utility spaces along with it. Such utility refers to bathrooms, elevators, and an exterior stairway. These architectural factors are developed spatially, and in form to become a symbolic entrance of the playground. Since there is a 5 meter level height difference, a three dimensional planning is required. The elevator must contain at least 17 people, including handicapped. It is required to plan an underground parking space, however drawings are not required. The second is a proposal of a small theater that contains viewers about 100. The functions of the theater as well as its utility programs such as practice room, dressing room, lighting, ticket booth, lobby, and etc. should be well considered. A theater is a singular space where people gather under a single purpose, which represents aspects of activity/passivity, and subject/object. A specific genre should be selected, and a creative program is the starting point of designing. Interior Design Curriculum A house is “a type of architecture enabling people to enjoy their personal lives under protection from natural, social invasion”. Corbusier believed in a house’s function by saying “house is a machine for life.” Thus, houses started to have a fundamental order of having less decoration with fully functionality, furthermore being developed into the international style. Such international style succeeded in generalizing minimal architecture, overall protecting mankind from “natural, social invasion.” However such housings never considered the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nfinitely copied itself. The theme of this semester is renovation. During the 70’s and 80’s, when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took place, the houses from this timing are to be renovated to contain something more +α. The important factor of this project is “specific living style”, which represents the user’s cultural background, special behavior of family members, unique lifestyle, and etc; it will overall be spatially functional, but contain a special functionality “α”.
Introduction of Second year
Architectural Design Curriculum 2학년 설계부터는 구체적인 대지가 주요 텍스트가 된다. 인간의 바디 척도 등 단위공간과 삶의 행태로부터 건축적 개념들을 만들어감에 더하여, 빛, 습도, 온도, 조망, 등 대지의 자연적 환경과 이웃, 가로, 도시 등 문화적 환경이 독해의 대상이 된다. 스튜디오 프로젝트는 소규모 기 능을 대상으로 한다. 1학기는 자연환경과 주거공간의 문제를 주로 다루고 2학기에는 도시의 공공환경과 공동체의 이슈를 소규모 건축 공간 안에 담고 배열한다. 1학기 첫 번째 프로젝트는 1인 학생을 위한 옥탑공간 설계이다. 30년전 준공된 치장벽돌 콘크리트 건물 옥상에 1개층을 증축하여 1인주 거를 계획하려 한다. 이를 통해 접근, 조망, 채광, 통풍 등 환경의 이해와 간단한 구조체와 연결된 증축방식과 구법에 대한 이해를 하고 전체적 으로 주거공간에 대한 인체단위와 생활을 위한 기초 요구공간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자녀들이 출가하고 주말에 방문하는 것을 고려한 25년 후 부모님을 위한 주거 계획이다. 도면 수준의 판넬과 외벽 단 면 스터디를 통해 구조와 건축디테일의 기초적인 이해를 목표로 한다. 2학기 첫 번째 프로젝트는 와우산길에서 홍대놀이터로 진입하는 새로운 입구와 부대시설 계획이다. 부대시설에는 남녀 장애인 화장실과 엘리베이터 그리고 외부계단이 포함된다. 이들 건축요소들을 계획하고 공간 및 조형적으로 발전시켜 홍대놀이터를 상징할 만한 입구를 계획 한다. 와우산길과 홍대놀이터는 5미터 정도 높이차가 있으므로 입체적인 단면계획이 중요하다. 엘리베이터는 지정된 17인승 장애인 엘리베 이터를 설치한다. 장애인 화장실은 장애인과 일반인이 같이 사용하는 장소로 기타 필요 용도를 제안할수 있다. 지하에 주차장 설치를 전재로 하되 지하층 도면은 작성하지 않는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100석 규모의 소규모 연극 공연장 계획이다. 공연장은 무대와 객석을 중심으로 티켓부스, 로비, 라운지, 카페 및 객석 으로 연결되는 방문자를 위한 기능과 무대, 연습실, 분장실, 조명실, 사무실 등 공연자 시설의 연결이 기능적으로 원활해야 한다. 공연장은 대표적인 하나의 목적으로 모인 사람들의 공간이다. 능동과 수동, 혹은 주체와 객체간의 관계의 공간이기도 하다. 보여짐과 보 는 것의 공간이기도 하고 서로 섞이기도 한다. 특정적인 공연 형식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그 공간적인 관계에서부터 디자인을 시 작한다. 공연의 형식에 건축이 어떻게 대응하는지 혹은 의장적으로 공연의 특징이 어떻게 건축으로 표상되는지 고민한다. Interior Design Curriculum 주택은 “자연적·사회적 침해로부터 인간을 보호하여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건축”이다. 르 코르뷔제는 “주택은 생활을 위한 기계”라고 주거의 기능화를 주장했다. 따라서 기능적·합리적이며 단순한 것과 장식을 적게 하는 것을 원칙으로 주택이 건축되었고, 이와 같은 경향은 국제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국제주의 양식의 건축은 보편적 동의를 이끌어 내어 최소한의 주거를 성립시켜 인간을 소위 “자연적, 사회적 침해로부터 보호” 하여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주택은 지역적, 문화적 특정을 지워버리고 획일적 주거형식을 범람시키는 결과를 만들었다. 이번학기의 주제는 주택 리노베이션이다. 도시주거의 급격한 증가시기에 수요충족을 위해 대량생산의 관점에서 만들어진 70~80년대에 지어진 단독 주택을 선택하여 특정한 주거형식(주택+α)에 적합하도록 리노베이션하는 것이다. 이 작업에서 중요한 것은 “특정한 주거형식” 이다. 이는 주거인의 성장 문화적 배경, 가족성원의 특이성, 생활양식의 개성 등을 포괄하는 말이며, 공간적으로는 B+LDK로 상징되는 보편적 주거의 기능에 더하여 그 주택만의 특수한 기능 공간인 “α”를 포함하는 것이다.
42 | 43
1 2.1 year
Architectural Design
Rooftop House
year
P/P Viewfinder
Six Wall House
Jeongkwang Hwang
Wonjoong Lee
Prof. Hyeonjoon Min, Soonyong Choi
Prof. Haecheon Seo, Jeonghun Lee
홍대 거리의 중심에 위치한 대지는 주변의 높은 건물들과 소음으로
30제곱미터의 제한된 작은 면적안에 주택이랍시고 벽으로 공간을
인해 사생활을 침해 받을 수 있는 여지를 갖고있다. 대지가 될 옥상 전체
구획하는것은 무리가 있었다. 그래서 하나의 큰 공간에 반쯤 가로막힌
를 크게 양분하고 공적인 성격과 사적인 성격을 각각 부여하여, 사생활
벽들을 놓아 동선과 공간들을 만들면서도 그 공간이 잘리지 않게하였
을 침해 받지 않으면서 홍대 앞의 문화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옥탑방 설
다. 또한 사이트에 외부 마당면적이 많다. 때문에 내부에 있을 벽들을 건
계를 목표로 하였다. 옥상을 가로질러 배치된 큰 벽을 통해 전체 공간의
물밖으로 연장하여 마치 벽이 밖에서 안으로 관통하는것처럼 만들었다.
공적·사적인 특성이 구분되며, 주거 공간 내에서도 이러한 구분이 유지 된다. 또한, 벽을 중심으로 따라 돌아가는 동선을 통해 시야의 전환이 극
It is simply impossible to divide spaces within a 30 square me-
적을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주거공간은 복층형식으로 배치하여 협
ter area for a house. Thus, a single, half-heighted wall is placed just
소한 면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to control the movement, which does not fully divide the space. In addition, inner walls are expanded to the courtyard as if the outer space is a part of the inner; in result being recognizable as if the wall
The site located within streets of Hongdae has a possibility
is penetrating the space inwards.
of being violated from the surrounding high buildings and noises. The entire rooftop is divided in public, and private zones, enabling the user to experience the active culture of Hongdae, as well as his privacy being perfectly protected. According to the large wall privacy/publicity is divided, which expands within the house as well. Furthermore, the movement following the wall is carefully planned for a dramatic view to be provided. Lastly, to solve the area limit, the house consist a double floor.
1
2
1
2
1
1 Jeongkwang Hwang 2 Wonjoong Lee
Two DifferentYard
Elevated Life
Soojeong Yoon
Changwon Jeong
Prof. Hyeonjoon Min, Soonyong Choi
Prof. Yeongsoo Lee, Kitaek Lim
옥탑방이 놓이게 될 건물의 사이트 조사 결과 건물을 기준으로 앞
보통 옥탑 방들은 공간이 좁으며 창문이 제한되어 있어 막혀 있는
쪽(서향)과 뒤쪽(동향)의 분위기가 매우 상반되었다. 앞쪽에는 도로와 클
형식이다. 또한 각 공간간의 경계가 모호하다. 이번 설계 목표에서 기
럽, record forum 등과 같은 상업시설이 있어 홍대의 활기찬 분위기를
존 옥탑 방의 형식을 벗어나되 그 장점은 수용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
띄는 반면, 뒤쪽은 근경에는 주택과 원경에는 홍익대학교 등이 위치해
다. 이 옥탑방은 단순한 휴식의 기능을 넘어서 클라이언트의 생활 패
있어 상대적으로 조용하고 한적했다. 이러한 상방되는 성격을 설계에
턴에 변화를 유도하고자 한다. 클라이언트에게 건강하고 새로운 생활을
반영하고자 두 개의 마당을 갖는 옥탑방을 제안하여 옥상이라는 한정된
되찾게 해주어 생활의 가치를 높여준다는 점에서 Elevated Life라는 컨
공간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앞쪽 마당은 낮은 담으로 홍대의 활기찬 분
셉이 결정 되었다.
위기를 느낄 수 있는 마당, 뒤쪽 마당은 조용하고 한적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마당으로 이 곳에선 담을 2m 높이로 올려 뒤로 물러나서 상대
Usual rooftop housings have small spaces with limited openings. In addition, the division between spaces is vague. The goal
적으로 좋은 뷰인 원경을 볼 수 있게 하였다.
of this project is to remove such general manner and emphasize Two zones of the rooftop, the front (west) and rear (east), had
its location. In addition, the spaces fully react toward the user’s
significant difference of atmosphere. The front faces commercial
lifestyle; represented in a word “elevated life”,this space will be able
facilities such as a club and a record forum, having a very active
to remedy the client’s lifestyle and enjoy a more valuable one.
environment, while the rear was comparably quiet. This project attempted to accept such difference within the house utilizing two courtyards. The front has a low wall, open toward the activeness, while the rear has a two meter wall for the user to enjoy the far scenery within a quiet environment.
1
2
1
2
1 Soojeong Yoon 2 Changwon Jeong
44 | 45
1 2.1 year
Architectural Design
Rooftop House
year
Open toThe Sky
198.84.268.01
Sungmoon Wi
Jinhwan Lee
Prof. Kyoohwan Bae, Yeongseok Kwon
Prof. Yongwoo Park, Kyeongseo Park
옥상에서의 긍정적인 기억에서 출발했던 과제로 열린 장소에서 햇
매스와 매스 사이에서 공간이 하늘로 열려있는 확트인 시야를 가지
빛, 경관, 소리 등의 요소가 최대한 개방되어 활용될 수 있어 옥탑에서만
면서 분할된것처럼 보이지만, 하나된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배치와
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것이 목표였다. 옥상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옥
형태개념을 이끌어 나갔으며 건물에 진입시부터 느껴지는 공간감도 어
탑의 배치를 한쪽에 몰아놓았다. 이런 배치과정에서 만들어진 1자형 동
떻게 해야할 지 고민하였다. 옥상위에 개인공간, 즉 놀이터의 개념도 생
선을 활용하여 옥탑에서 갤러리로까지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각해 보았고 하나의 전망대역할을 하는 개인주거공간을 case study 하 여 단순하면서도 내부의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하여 단지 주거공간으로
The goal was to fully open towards the unique positivity of
만의 역할을 한정짓지 않는 스페이스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a rooftop, which are sunlight, scenery, and sound. To emphasize these factors, the plan is to move all spaces on one edge, utilizing a single line movement as an entrance as well as a gallery.
I pondered upon how to control the sensation of space starting from the separation of masses. Case studies were practiced to construct a strongly personal space such as a playground, as well as forming a unique space program.
1 Sungmoon Wi 2 Jinhwan Lee
1
1
2
1 2
2
Directional Active Space
C-House
Seonwoong Choi
Kyoohyeong Cho
Prof. Myeonghong Kim, Jaehyeon Cho
Prof. Myeonghong Kim, Jaehyeon Cho
밤낮의 이미지가 바뀌는 홍대의 한 가운데에 사이트가 위치하여 있 다. 사이트의 특성상 특정한 분위기가 흐름의 터닝 포인트에 위치한다
사이트 주변의 건물들은 대부분 상업적인 건물이며 직사각형의 딱 딱한 건물이다. 이러한 주변 환경에서 사용자 자신의 세계로 빠져드는
고 생각하였다. 양의 기운이 낮에는 상대적으로 캠퍼스를 향하는 방향
듯한 유아독존의 공간을 만들고 싶었고, 그를 담기 위해 정원 형태의 평
으로, 밤에는 반대로 상업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환이 된다. 이 방향성
면으로 계획하였다.
을 하나로 연결하여 사이트에 적용하고, 흐름위에 공간을 배치함으로 서 기본 틀을 잡았다. 세부적으로 시간에 따른 공간의 분위기 반전을 의
Most surrounding buildings are commercial and in a rectangular
도하였고 공간의 분배는 단의 차이로서 이루어지게 하며 조경계획은 건
form. Within such context, I attempted to create an ultimate private
물의 강조를 위해 단순한 Module로 Sequence를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space, which resulted in a court yard plan.
Hongdae is distinct for its dramatic change between night and day. I planned the spaces to face different directions depending on time. Starting from planning spaces according to time line and its direction, the spatial changes and time-related details were developed into level deviation to form an overall sequence.
2
1
2
1
1
1 Seonwoong Choi 2 Kyoohyeong Cho
46 | 47
1 2.2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ce for Parents
year
Stretch-Attract
Sujeong Yoon
Prof. Hyunjoon Min, Sunyong Choi
1 1F plan 2 concept diagram
1
외부 공간과 여러가지 환경등에 대하여 축을 직접 정하고 그 축에 의해 생성된 공간들을 각각 의 용도에 맞게 구획해 나가는 방법으로 설계를 제안해 보았다. 축에 의해서 나누어진 공간의 힘을 더 크게 연장시키는 벽을 이용하여 실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며 외부인들이 원래 공원이 던 공간안에서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계획했다. I propose a planning based on exterior environments and their axis. Walls along such axis emphasize privacy, as well as strengthening each space that can reduce the alienation from the existing park.
2
Three
Jisuk Choi
Prof. Hyunjoon Min, Sunyong Choi 이 주택에선 대지에서 발견한 주변의 세가지 특성을 레벨의 차이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다 는 것을 발견하여 컨셉에 적용시켰다. 세가지의 각각 목적에 따라 직접적인 출구를 달리하여 거주 자로서 이용 목적에 따라 선택 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house was developed from discovering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nd representing them in different height levels. Each character has their own entrance, which can be chosen by the user.
1 plan drawing
1
48 | 49
1 2.2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ce for Parents
year
Divide & Weave
Jeonggwang Hwang
Prof. Hyunjoon Min, Sunyong Choi
자연의 시작점이라는 컨셉을 바탕으로 대지에서 찾을 수 있는 자연적 요소와 인공적 요소를 정리하여 요소들이 나누어 질 수 있는 가상의 선을 찾아내었다. 대지 전체를 하나의 매스로 두고 찾아낸 선을 통해 세부 매스로 분할하고 재구성하여 주택을 디자인 하였다. 주택내부에서 도시에 서 자연으로의 환경 변화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고 대지의 급한 경사에 자연스럽게 묻히는 디자인 을 통해 도시와 자연을 이어주는 새로운 관계를 도모하였다. 이러한 관계는 1층과 2층 매스의 접 합으로도 드러나며, 단절되지 않고 실내 계단 동선을 통해 연결된 매스는 주택에 거주하게 될 부모 세대와 자식 세대 간의 간극을 없애줄 수 있는 새로운 관계의 기회를 제공해준다. A conceptual line was discovered by categorizing the artificial and natural factors within the site. The entire land, first a single mass, is divided into several masses be lines. The inner space concentrates on the changing of space from nature to artificial. In addition, ramp designs is an attempt to propose a new relation between city and nature, which is shown by the meeting zone of the masses, and movement within the house.
숲흘림
Seonmin Lee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대지는 현재 주민들이 산책하거나 휴식을 위해 머무르는 공원의 일부로, 이런 공원 부지에 살게 될 건축주의 입장에서는 ‘산책과 휴식’의 공간을 집 내부로 확장하여서 사생 활을 보호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주거공간과 공적 공간의 분 리를 하되 내부로 산책로를 끌어들여 산책로를 살리는 주택을 계획하였다. A part of the site is a park, which is expanded within the house; a resting park enters the house but added with privacy. Thus, privacy and publicity is divided but the nature is preserved. 1 1 2F plan
50 | 51
1 2.2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ce for Parents
year
Scenic House
Daeun Joe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내부로 풍경을 빌려오다.’ 단순히 건물 안 에서 바깥의 풍경을 바라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풍경을 적극적으로 내부로 끌어 들이는 주택을 계획하였다. 좋은 풍경 뿐만 아니라 주택 내부 의 생활과 어우러지는 풍경이 더 나은 풍경이라 생각한다. 각각의 주택 공간마다 어울리는 조망 을 선택 배치하고 이와 함께 대지와 소통한다. Enjoying the scenery is not enough for housings; a inner space which is appropriately planned according to the scene is more appropriate. Each space is given a matching scenery.
Floating Void House
Mingu Kang
Prof. Haecheon Seo, Jeonghun Lee 주거를 대지에서 위로 들어올림으로써 아 래쪽 경사지의 자연을 살리고, 앞쪽과 뒤쪽 도 시, 자연의 뷰를 생성하였다. 또한 보이드 공간 을 내 줌으로써 보이드를 통한 남향의 햇빛의 유입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론 앞의 8m 콘크리트 옹벽을 피해 뷰를 생성하기 위해 주거를 View Axis로 약간 틀었다. The house is lifted to preserve the natural slope, creating a natural view. In addition, a void is inserted for natural lighting. Lastly, the 8 meter wall in front is tilted to control the view toward the stone wall.
1
52 | 53
1 2.2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ce for Parents
year
Urban & Nature
Changwon Jeong
Prof. Haecheon Seo, Jeonghun Lee 대지의 특성상 사이트는 북서쪽으로 도시 를, 남동쪽으로 와우산 즉 자연이 있다. 또한 클 라이언트가 되는 이 노부부는 언제나 자연속에 서의 삶을 지향하지만 오랜 세월을 도시에서 살 아온 사람들이기 때문에 도시의 삶에 매우 익숙 하다. 따라서 도시에 어울리는 집, 자연에 어울 리는 집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이 두가지를 하 나의 집으로 엮어나가는 것을 설계의 주 방향으 로 설정하였다. A city to the northeast and nature to the southeast exists. The clients have lived their lives within the city but admire nature. Thus, I pondered the requirements of a house associated with nature and vice versa, ultimately finding the appropriate medium.
1
2
3 1 2 3 4
4
2F plan 1F plan perspective drawing 3D drawing
Twisted Mountain / Fitness House
Yunsu Kim
Prof. Yeongsu Lee, Gitaek Lim
1
2
운동량이 부족한 노부부를 위해 일상적인 생활 안에서 조금이라도 더 운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첫번째 목표였다. 그리고 주변 자연환경과 공원 시설을 보면서 주택 안의 사람을 어떻게 밖으로 끌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서 생각하며 외부 작업실, 중정의 개방성등으로 외부로 사 람을 이끄는 주택을 계획했다. The first purpose was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the clients to move as much as possible. Additionally the mechanism of leading the people inside outward was another aspect I concentrated for planning the exterior workshop and courtyard. 3
1 3F plan 2 2F plan 3 1F plan
54 | 55
1 2.2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ce for Parents
year
House in Classic
Seongmun Wi
Prof. Yeongsu Lee, Gitaek Lim 내가 생각하는 노인주거와 어울리는 음악 의 장르는 행복하고 여유가 넘치는 노부부와 그 배경이 될 수 있는 클래식. 이러한 리듬감을 가 시적으로 보여주는 악보를 활용하여 음악에서 의 리듬감을 건축화하였다. 활력적일 수 있게하 는 방법 중 하나로 리듬감을 선택하였다. 클라 이언트가 스스로 활력을 일으키는 것 외에도 주 변의 활력적인 환경을 끌어들이고 잘 죄화될 수 있는 주택, 활력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집 을 만들자하였다. Classical music fits well with the lifestyle of an elderly couple. Such rhythm, visualized in notes, are developed into space. Overall the space is planned to not only represent classical rhythm, but also to become the cause of a rhythmical life.
1
1 2F plan 2 1F plan
2
Flexible Space on the Edge
Jinhwan Lee
Prof. Gyuhwan Bae, Yeongseok Kwon
1
2
자연근린공원과 주택지역의 경계점에 놓여져 있는 대지는 마치 2개의 상반된 흐름이 마주치 는 경계점에 비유될 수 있는데, 보통 이러한 서로 다른 방향의 흐름은 서로의 힘을 이기지 못하여 왜곡되거나, 서로를 간섭하게 되어 경계를 중심으로 자연스러운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같은 과정에서 주변의 지리적인 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형태논리를 찾아보았다. The site located on the boundary of a local park and housing has two opposite flows. Generally, such forces with different directions tilt each other or form a natural modification. Such process is collaborated with the surrounding context to discover logical space.
1 site plan 2 1F plan
56 | 57
1 2.2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ce for Parents
year
Accompany
Jeonghwa Du
Prof. Yongu Park, Gyeongseo Park
1 site plan 2 3F plan 3 2F plan
자연과 사람이 유기적으로 만나는 공간이 되며 대지와 조화되는 공간을 계획한다. 경사지 의 경사들을 그대로 주택에 적용시키고 원형의 중심매스는 유기적인 형태를 나타내게 되어 자 연과 실거주자 사이의 갈등을 해소해준다.
1 HONG IK SCHOOL OF ARCHITECTURE
HOUSE FOR PARENT AFTER 20YEARS 26200
2000
8100
DRAWING
배치도
STUDENT ID
B012027
SCALE
1 : 200
NAME
두정화
7500
8600
GL +6000
2000
2360
The planning is based on the meeting
3375
4375 SL + 3400
2000
between human and nature. The existing
2970
3535 2250
SL + 1900
4975
SL + 2900 (GL + 6500)
UP
DN
2000
1000
2000
00
and the circular, central mass removes the
DN
일광욕
안방
1000
18245
SL + 1900
욕 실3
R40
natural slope is preserved within the interior
UP
2100
UP
GL + 0
2
GL - 2500 GL - 2500
HONG IK SCHOOL OF ARCHITECTURE 2100
4500
1500
DRAWING
HOUSE FOR PARENT 7500 AFTER 20YEARS
3500
2000
4500
8500
SCALE
3000
3층 평면도
STUDENT ID
B012027
1 : 100
NAME
두정화
5500
3000
GL + 2450
후정1
응접실
SL + 500
UP
3000
DN
서재 UP
후정2
SL + 0
GL + 3350
GL + 4500
GL + 2350
GL + 3350
1500
DN
SL -1000
욕실1
욕실2
1000
2500
1500
UP
DECK
6500
DECK
거실
2585
SL + 0 (GL + 3400)
손님방
R4
00
SL -1000 GL + 2350
GL + 2800
0
UP
4000
conflict between nature and users.
DN
DECK SL + 0 (GL + 3400)
1500
1500
1200
4200
UP
GL + 500
GL + 0
3
GL - 2500 GL - 2500
HONG IK SCHOOL OF ARCHITECTURE
HOUSE FOR PARENT AFTER 20YEARS
DRAWING
2층 평면도
STUDENT ID
B012027
SCALE
1 : 100
NAME
두정화
In Utero
Taeyun Kim
Prof. Yongu Park, Gyeongseo Park 자연으로의 회귀. 대지여신의 품으로 태아가 되어 다시 돌아간다를 컨셉으로 주변의 원치 않 는 시선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창문이 크게 필요하지 않는 공간들을 외부 쪽으로, 프라이버시 의 침해를 받을 수 있는 개인적 생활 공간들을 내부에 배치하는 공간 배치를 고안하였다. In a concept returning to mother nature, spaces with unnecessary exterior relations are moved outwards. Private spaces which may be violated by exterior factors are moved inward.
1
2
1 2F plan 2 1F plan
58 | 59
1 2.2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ce for Parents
year
休
Gyuhyeong Jo
Prof. Myeonghong Kim, Jaehyeon Jo
1 site plan 2 1F plan 3 2F plan
1
건축주인 부모님이 생활할 주택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자연과 함께하는 삶이다. 삶과 공간을 연결시키는 방법에 집중했다. 자연의 축소판인 나 무를 각 실과 공간과 상호관계를 맺도록하여 집속에서 살아가는 모든 시간을 자연과 함께하도록 하였다.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constructing a house is the association with nature, which causes the study of life and space. The mechanism of a tree is utilized to explain the inter relation between spaces that the behavior could be natural.
2
3
Wau Mountain House
Haerang Jeong
Prof. Myeonghong Kim, Jaehyeon Jo
1
2
3
건축주인 부모님의 의견을 반영한 설계를 진행하며 도시적 느낌을 원하시는 어머니와 시골 의 느낌을 원하시는 아버지 사이의 갈등을 풀어나가는 해법을 주택속에서 제시하기로 한다. 수많 은 루버들은 목재로 제작 되어 자연적인 느낌을 강화시키며 유기적인 강낭콩 모양의 평면은 도시 속에서 시골의 느낌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다. The client: parents, had different opinions of a house, one demanded an urban one, while another demanded a house within nature. I attempted to plan a space that could have both aspects; numerous louvers with wood emphasize a natural atmosphere, as well as the 4
bean-shaped plan.
5
6 1 2 3 4 5 6
1F plan 2F plan 3F plan site plan north elevation B-B’section
60 | 61
1 2.3 year
Architectural Design
Hongik Playground
year
Smash!
Playground
Jongyoung Park
Hyundong Kim
Prof. Hyunjoon Min, Soonyong Choi
Prof. Hyeongjonn Kim, Hanseong Kang
시각적, 청각적으로 외부와 분리시키면서 동시에 입구의 역할이 필
사이트의 가려짐이라는 특성을 미로의 벽과 연결시키고 벽의 높이
요하다. 하나의 큰 대공간인 시청 앞 광장과 비교했을때, 공간을 적절히
를 0m에서부터 2m의 차이가 나도록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함으로써
나눔으로써 더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 질 것이다. 공원의 사선벽으로 공
미로가 가진 답답할 수 있는 느낌을 덜고, 계획안이 보일 수 있음을 전제
간을 분할하고 공원으로 동선을 유도한다. 분할된 공간마다 레벨이 차
로 하는 가려진다는 특성에 더 부합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차 높아지며, 레벨 사이의 계단에서는 앉거나 공연을 감상할 수 있다. Visual blockade is developed to form a type of a maze with An entrance that divides exterior and interior is required.
various height, relieving the blocked atmosphere which a maze
Considering that the Seoul square in front of the city hall is mostly
may have. In result, the entire plan is visible, as well as providing
inactive, appropriate division is can actually be beneficial for activity.
appropriate blockage.
Diagonal walls divide the park and movement within the park. Each divided space ascends, which provides steps for viewing.
1
1
1
2
1 Jongyoung Park 2 Hyundong Kim
1
2
2
2
1
1
1
2
1
1
Sunken Playground
Gateway to Neverland
Wonjoong Lee
Ilbeom Seo
Prof. Haecheon Seo, Jeonghun Lee
Prof. Kyoohwan Bae, Yeongseok Kwon
2
2
1 Wonjoong Lee 2 Ilbeom Seo 1
홍대를 찾아오는 보행자들이 대중성 혹은 상업성과 연관되지 않은
홍대지역 대표 오픈스페이스라서 지금보다 더 개방성과 흡인력을 부여하고 싶었다. 그래서 전체 사이트의 대부분을 4미터정도 가라앉혀
때가 묻지 않은 순수한 문화를 즐기기 위한 공간인 놀이터는 마치 어린
시선을 끌고 공간감을 더 확보하면서 형태컨셉도 갖추도록 하였다.
아이가 놀이공원의 입구에 도달한 것 처럼 두근두근한 공간이 되기를 바랐다. 이에 컨셉을 ‘Gateway to Neverland’로 설정한 뒤 놀이터 내 주
The playground is the main open space in the Hongdae area.
요 시설물인 엘리베이터를 이용, 보행자의 흥미를 유도한 뒤 그 엘리베
I attempted to enhance its accessibility by lowering the level by 4
이터를 타고 올라가면 즐길 수 있을 그들의 놀이를 기대하며 두근거리
meters, which strengthens the area and ultimately constructing the
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form. The playground is changed into an exciting, pure space for enjoying culture for pedestrians. The elevator is utilized to maximize the user’s expectation. 1
2
1
2 1
1
2
62 | 63
1 2.3 year
Architectural Design
Hongik Playground
year
Activity Pump!!
Indigo’s Step-Flow
Haesu Lee
Hyungjun Shin
Prof. Kyoohwan Bae, Yeongseok Kwon
Prof. Kyoohwan Bae, Yeongseok Kwon
메인 입구를 중심으로 사람들이 모여들고 퍼져나감으로써 사라져
흔히 지금의 홍대는 예술의 위기라 불린다. 이는 상업화와 경제논리
가는 홍대거리에 홍대문화를 확산시킨다.
에 순수 예술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진정성을
1. 기존의 공원 주변 동선을 공원내로 끌어 들여 사람들이 자연스럽
가지고 홍대 문화를 지지하고자 한다. 이로인해 랜드마크적인 입구성과
게 공원을 지나가도록 만들어 다양한 activity가 일어날수있도록 함.
홍대어린이 공원 활성화 두 가지를 상생시키고자 한다.
2. 주변이웃과의 관계와 기존 program을 기준으로 하여 끌어들인
진정성 있는 진심은 언젠가 통할 것이라는 원칙아래, 청출어람의
동선으로 공원을 세부분으로 나누어 다양한 activity 유도. (stay/pass/
개념을 사용하고자 한다. 입구라는 상징적인 랜드마크가 아닌, 놀이
connection)
터 문화를 강력하게 지탱하면서 함께 상생하는 랜드마크의 성격을 띠 고자 한다.
Hongdae culture is expanded by people’s gathering at the main entrance.
Generally, the current Hongdae is referred as the fall of art due
1. The previous paths are moved toward the inside for various
to the effect of commercialization and economy. For solution, the
activities.
Hongdae culture must be supported, which could be practiced by a
2. Relation between others and the existing program are fac-
symbolic entrance and revitalization of the playground.
tors for dividing the park in three parts for guiding various activities (Stay/pass/connection)
2 1
1
1 Haesu Lee 2 Hyungjun Shin
2
2
Open Park
Slide-view
Soyeon Kim
Seonmin Lee
Prof. Kyoohwan Bae, Yeongseok Kwon
Prof. Kyoohwan Bae, Yeongseok Kwon
홍대거리 내의 유일한 열린 공간이다 보니 다양한 사람들에게 쉼터
어떻게 하면 사람들을 공원으로 ‘올라가고’ 싶게 할 수 있을까? 어
이자 만남의 장소, 지리적 특성상 두 길을 이어주는 통로,이벤트가 열리
린 시절 놀이터에서 미끄럼틀을 타기 위해 신나게 계단을 오르던 추억
는 공간, 또 주말에는 프리마켓이 열리는 장소로 쓰인다. 특히 홍대라는
에서 영감받은 이 작품의 개념은 ‘재미 요소가 있어 흥미를 자극하는 부
위치적 특성상 저녁에는 열기 넘치는 젊은이들의 유흥의 장소가 되며,
대시설’이다. 이 개념과 입구·상부라인·전망대라는 필요기능을 결합하
열정적인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가 되기도 한다. 현재 높은 담과 관목으
기 위해 ‘조합 놀이대’라는 모티프를 가져왔고 여기서 순환·시퀀스·소통
로 둘러싸여 접근성이 떨어지므로, 담을 허물고 단차를 주어 계단형 광
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추출하여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장을 이룸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은 물론, landmark적인 기능과, 계단 형 광장 사이의 여러 공간들을 통해 사람들의 활동을 유도하는 건축적
How does one ‘want to go up’ a park? This project, inspired
산책로의 기능을 한다.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인 만큼, 용도는 사
from the sequence of using a slide, is a facility for stimulating peo-
용자들에 따라 유연하게 쓰일 수 있다.
ple’s attraction. To attach this sensation with aspects of entrance, movement, and view, a total playground is designed.
Since it is the single open space within the Hongdae district, various people gather to rest and meet each other. In addition flea markets are held weekly. Especially, due to its location, many people gather for night life, as well as exterior performances. The current high walls and trees are not helpful for accessibility, being changed into different levels and a stair-square. The shape itself will function as a landmark, as well as providing free movement and containing various activities.
1 Soyeon Kim 2 Seonmin Lee
2
1
2
1
2
1
1
64 | 65
1 2.3 year
Architectural Design
Hongik Playground
year
Pattern in Playground
3-Grading Stages
Sumi Yu
Jinhwan Lee
Prof. Taewoo Kim, Nakkyung Lee
Prof. Taewoo Kim, Nakkyung Lee
사람의 밀도 정도를 4단계로 나누고 프리마켓과 공연때의 인구밀
기존 놀이터가 갖고 있는 무언의 경계에 의해 이용자들의 활동 및
도를 조사하고, 4단계를 수치화 하여 사람이 많이 몰리는 부분의 레벨
동선이 제한을 받고 있다는 점에 착안. 남동측면의 답답한 입면을 열고
을 낮춰서 그 곳에서 이루어지는 행사를 즐길 사람들은 그 곳으로 내려
닫힘이라는 개념을 끌어와 지역의 구분을 없애고, 궁극적인 경계흐리
가서 행사를 즐기고 행사를 즐기지 않을 사람들은 내려가지 않음으로써
기를 시도한다.
사람들로 인해 통행에 불편이 가지 않게 하였다. The previous playground had an invisible boundary that limited Categorizing the people’s density in four, and reacting the land according to such density is planned; it can maximize the function
the people’s movement. The southeast is opened to remove such boundary.
of the playground by providing choices to the random visitors.
1
2
1 Sumi Yu 2 Jinhwan Lee
2
1
2
Hongik Harmony Hall;Triple H
Culture Bowl
Gijun Han
Jeongkwang Hwang
Prof. Myeonghong Kim, Jaehyeon Cho
Prof. Myeonghong Kim, Jaehyeon Cho 통행로를 통해 다니는 사람들을 자연스럽 게 놀이터로 유도할 수 있도록 흥미를 유발하며, 새로 만들 입구 공간에 위치해 있던 소공연장의 장소성과 새로 만들어질 동선 계획을 복합적으 로 고려하여 입구를 디자인하였다. 새로이 만들 어진 홍대 놀이터의 입구는 다양한 동선과 레벨 차이를 통해 공연관람과 녹지를 접하는 데에 있 어서도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게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An attraction for pedestrians to naturally 1
enter the playground, the uniqueness of public performance, and movement are totally considered for designing an entrance. The new entrance has various pathways and levels that provides visitors a new experience.
1
1 Gijun Han 2 Jeongkwang Hwang
Twist를 사용하여 입구성을 강조하고 매스 내, 위의 공간 활용으로 훼손된 사이트에 대한 활동을 보장함으로써 공간활용문제를 해결한다. 동시에 Landmark로서의 역할을 하고 월활한 동선을 확보한다. The entrance is emphasized by a twist, and the space on and in the mass guarantees activity, which maintains the pedestrian’s movement
1
2
2
2
2
66 | 67
1 2.4 year
Architectural Design
Small-scaleTheater
year
Performance Hall
Hyungi Jung
Prof. Hyunjoon Mihn, Soonyong Choi
주어진 대지의 문화적 도시적 분석을 통해 공연장의 형태와 접근을 설정하고 TAP DANCING 전용극장이라는 주제로 디자인한다. 시각적, 청각적 자극이 강한 TAP DANCING의 성질보다는 그것의 역사나 고유 성질을 토대로 디자인한다. 매주 공연장 매스의 발전과 공연장이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해결한다. 보행자들은 주요 OPENSPACE로 진입하여 공연장의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 고 차량들은 차도쪽 입면을 통해 파악하도록 유도한다. 매스와 매스의 충돌이나 볼륨안에 볼륨들 로 이용자들이 색다른 공간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Analysis of the given land and its urban context became the basis of developing the shape of theater, containing the genre of tap dancing. Instead of the visual, audio character of tap dancing, I attempted to concentrate on the social aspects of the genre. Pedestrians enter through the open space to recognize the identity of the theater, and cars may acknowledge the building passing by the façade. People will have a new experience from the formation of spaces within spaces.
Performance Hall | Hyungi Jung
68 | 69
1 2.4 year
Architectural Design
Small-scaleTheater
year
컬투홀_수다의 언덕
Hyunmi Kang
Prof. Hyungjoon Kim, Hansung Kang
건물의 옥상을 인도와 인접한 낮은 레벨의 잔디 지붕으로 만들어서 접근성이 좋은 조경 공간 을 만든다. 적정한 무게의 삶의 이야기를 담은 컬투홀을 통해 개그투나잇과 무명 개그맨의 시사개 그 소극장으로 만든다. 특별한 날에는 공연장을 열어서 컬투쇼 대 공연장으로 만든다. 이를 통해 소극장을 관람하러오는 사람, 언덕 고기집을 이용하는 주민 그리고 그 곳에서 삶과 정치 다양한 얘기를 나누는 사람들이 새로이 유입된다. 그로 인해, 젊은이들과 관광객의 공간으로 인식되었던 홍대가 주민과 어른들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의 가능성이 생긴다. The roof of the theater is lowered and matched with the boundary with grass for accessibility. The Cultwo show, which talks about quite heavy aspects of life with comedy, will be held. For special activities, the space could be changed for larger population. People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uld naturally join within the building.
Alley
Hyundong Kim
Prof. Hyungjoon Kim, Hansung Kang
공연장은 배우 입장에서 하나의 집, 주택이다. 관람객 입장에서는 잠깐 공연을 즐기러 오는 일회성 공간일 수 있지만 배우들은 아침부터 연습하며, 쉬기도 하고, 식사하는 등 하루의 대부분을 지내는 공간이다. 이들에게 공연장은 회사와는 다른, 집과 가까운 느낌이 있다. 그래서 골목을 만들면서 배우들의 공간이 뒤쪽의 기존 골 목과 이곳의 주택들과 함께 하는 집이 되었으면 했다. 배우들의 휴게 공간 및 연습 실이 있는 오른쪽 가장자리 메스로 향하는 길이 좁은 길이고, 메스 옆에 마당처럼 작은 공간이 있고, 그 앞에 바로 골목길과 주택이 있는 이유가 그 때문이다. A theater can be interpreted as another house for actors. In the viewer’s point of view, a theater may be a one-used space, but actors constantly stay for practice, which has a closer atmosphere to a house rather than a workplace. I attempted the spaces to be formed along an alley as if it was a village. The road toward the rightmost mass, resting and practice space is the narrowest. In addition, a small yard is in front of the mass.
1 B-B’section 2 2F plan
1
2
70 | 71
1 2.4 year
Architectural Design
Small-scaleTheater
year
Cubic
Sungmoon Wi
Prof. Hyungjoon Kim, Hansung Kang
연극 ‘큐브’ : 사람들은 자신이 매 순간 다른 공간에 있다고 생각하고 살지만 항상 큐브의 틀에 갇혀 산다는 것 을 보여주는 극 이때 사람들이 큐브 속으로 들어간다는 공간감을 형 태적으로, 경험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3개의 큐브가 놓여지면서 3개의 동이 생기는데 이때의 비율, 배 치에 관한 기준을 만들었다. 큐브가 놓여진 자리 외의 공 간을 로비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옥외 공간으로 계획하면서 동선을 조정하였다. 기본적으로 큐브라는 공간을 정의하 고 어떻게 받아들이고 보여줄 것이냐에 관한 정의를 내리 는 것을 우선으로 하였다. Cube: a play that emphasizes people live in a same routine of a cube, despite the characters believes they are in a different space. I attempted the spaces to strengthen the sensation of entering a cube. Three cubes become three buildings having orders of ratio and planning. Other spaces serve as utility, all under a singular movement that ends on the rooftop.
들춰보다
Kyungyeon Lee
Prof. Haechun Seo, Junghoon Lee
현재 홍대 인디밴드 공연장들은 주로 건물지하에서 이루어진다, 이런 이휴로 인해 홍대를 찾는 사람들은 그들의 존재를 쉽사리 알 수 없다. 현재 지하에 박혀있는 공연장을 사람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공연장 위를 들어올렸다. 그리하여 지나는 사람들은 공연모습을 보고 관심을 가지게 된다. 공 연 목격 즉시 표를 사서 관람하지 않더라도, 그 장소에 인디밴드 공연장이 있다는 기억을 가지고 간다는 것만으로도 인디밴드들을 알리는 데에 큰 몫 을 할 것이다. The current indie music performances in Hongdae are held in basements. Due to such location, visitors have difficulty in acknowledging such activity. The theater is lifted so that such activity is clearly visible for the pedestrians. Despite immediate ticketing is not always possible, just by marking the existence of such program within the mind of pedestrians will be beneficial for the indie industry.
1 site plan 2 concept diagram
1
2
72 | 73
1 2.4 year
Architectural Design
Small-scaleTheater
year
Space for Publicism
Wonjoong Lee
Prof. Haechun Seo, Junghoon Lee
락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의 ‘아무나’의 개념을 건축화하여 길을 걷거나 지나갈 때의 심정으로 공연장을 드나들고 이용하 게 하였다. ‘아무나’의 개념은 공공성을 띈 공간으로 해석하였다. 공연장의 기본 스토리와 ‘아무나’개념의 스토리와 사이트 조 건에 의한 스토리를 소통(공간 연결)을 함으로 표현하였다. Through conceptualizing the rock musical “Amuna”,I planned the space to be felt not much special, but just like an ordinary road. The idea of the play is interpreted to a space for publicity. The basic story of the theater and play are expressed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site.
String Forest
Haesu Lee
Prof. Hyungsoo Lee, Kitaek Lim
마리오네트(인형극) 전용극장으로서 극장건물자체가 마리오네트가 되어 극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색다로운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다양한 string과 어우러진 정원을 걸음으로써 숲속에서 산책하는 경 험을 할 수 있게 한다. The entire building is under the same mechanism the play Marionette has, which provides the users with unique spatial experience. In addition, parks associated with various strings will give a sensation as if walking through a forest.
74 | 75
1 2.4 year
Architectural Design
Small-scaleTheater
year
Medi+ater
Hyungjun Shin
Prof. Yeongsu Lee, Kitaek Lim
내가 지을 공연장이 어떤 성격과 목표를 지향하는 지를 분명히 하고자 했다. 그래서 선택한 단어는 Hegemony라는 경제용어이다. 파급력이라 는 의미로도 비슷한 느낌을 얻을 수 있는데, 새로 건축될 공연장은 새로운 문화예술을 주도해야만 했다. 모든 사회성을 갖는 분야가 그러하지만 특히 공연 예술문화는 상업화의 논리가 지배하는 부분이 상당하다. 이로인해 예술의 본질을 잊은 상업 가속화가 진행되기 마련이다. 이것을 해결하는 구 심점의 역할을 하는 공연장이 되기를 바란다. 기본적인 대지의 조건들 중에 빛에 집중을 하려한다. 빛이 떨어지는 각도에 준하여 소통을 시킬 수 있 는 중재의 길을 만들고자 한다. 중재의 개념을 개그콘서트의 코너인 두분토론으로 컨셉적 부분을 매치하여, 공연장을 꾸며보고자 한다. I believe this project must need to have a clear character, which could be represented in a single word: Hegemony. The new theater must be the lead of expanding culture. Theater art, generally related with economy, easily loses its artistic character. This theater will provide a solution for such phenomena. Sun light is the most concentrated factor of the site. A corner of Gag Concert is utilized for representing the concept of mediation, providing logics for forming the space.
Medi+ater | Hyungjun Shin
76 | 77
1 2.4 year
Architectural Design
Small-scaleTheater
year
Hongdae Experiment ArtTheater
Seonmin Lee
Prof. Kyuhwan Bae, Hyeongseok Kwon
기존의 극장이 건물 안의 일정한 동선을 따라 들어가 공연을 보고 다시 같은 경로로 되돌아오는, 일방향적이고 명백히 실내인 공간이라면 ‘홍대’라는 위치와 ‘ 실험극’이라는 테마에 맞는 극장은 그와는 다른 것이라 생각하였다. 이 두 조건에 서 내가 공통으로 추출한 요소는 ‘열린 공간’과 ‘다방향성’이다. Current theaters receive people through a single path, and leads them back out through the exact same path, which is completely inappropriate in Hongdae, and as a theater of holding experimental plays. Under these two qualifications, I discovered commonness of open space and multi-direction.
Between Light and Darkness
Wooseok Jung
Prof. Kyuhwan Bae, Hyeongseok Kwon
공연장이라는 허구성을 띈 공간과 나머지 현실이라는 의미를 가진 공간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이러한 공간의 구 분은 빛에 의해 나누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 빛에 의해 공간이 나누어지지만, 많은 빛 하나만으로 현실을 말할 수 없 고, 어두움만으로 허구를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공간이 가진 분위기(공간의 형태, 깊이감, 빛, 높이 등)에 의해 그러 한 느낌이 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Sequence에 의해 공간이 분류되는 것이다. A theater could have its space divided in fictional space and reality. Such division can be driven by lighting. However, despite light could change the character of space, more light does not mean reality, just how extreme darkness does not represent fiction. The overall atmosphere is what causes such sensation, in result dividing the space by sequence.
78 | 79
1 2.4 year
Architectural Design
Small-scaleTheater
year
The Undergrounders
Geunyong Park
Prof. Myoungho Kim, Jaeho Jo
극의 배경이 되는 지하세계를 건축화 시킴으로써, 추상적인 극적 요소를 현실화시키고 그 공간을 극의 성격과 매치시키고 형식상에서의 역할 을 부여하는 과정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즉, 극의 시작과 끝이 이루어지는 외부 공간을 지하 공간과 결합하여 극적 시퀀스를 형성하기로 하였다.극의 여운과 의미를 강화시켜주는 공간이고, 깨달음을 줌과 동시에 이 전용극장의 중심적 공간이 되도록 역할을 부여하기로 하였다. 또한, 이 지하 공간 의 관념적 의미를 다시 분석하고, 이와 더불어 극의 형식적 특성인 허물어진 경계를 디자인에 접목시키기로 했다. 즉, 결론은 UNDER GROUND적 요소도 GROUND가 변하면 ON THE GROUND가 될 수 있고, GROUND도 ON THE GROUND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UNDER GROUND와 ON THE GROUND는 하나 인 것이며, 가변적인 모호한 개념인 것이다. The underground background of the play is architecturally expressed, matching the building with the play’s fictional environment. The exterior spaces are associated with underground spaces to form a dramatic space, which lingers the sensation of the play and provides realization of the play’s theme: the main space. The character of underground changes as the ground changes: underground to on the ground, represent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ground and underground is a simple matter.
The Undergrounders | Geunyong Park
80 | 81
1 2.0 year
Architectural Design
Studies
year
Architectural Form and Shape
건축조형론
Prof. Younghwan Lim 건축조형론은 이론과 실습의 중간적인 수업이다. 교과과정 상에는 엄연히 이론수업으로 구분되지만 과목명에서부터 풍기는 노동집약적인 냄 새는 학생들로 하여금 ‘창의성’이라는 명목 하에 요구되는 온갖 심리적 압박과 설계 못지않은 과중한 작업량과 위험한 모형제작실 사용 의무까지도 순순히 받아들이게 만든다. 건축은 태생적으로 노동집약적인 학문이다. 건축조형수업이 담당해야할 기본적인 항목 중에 새내기 건축학도들에게 ‘ 허용오차(tolerance)’의 정의를 몸소 체험하게 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건축이 가지는 무수한 조건들과 제약들에 구애받지 않고 아직은 오염되지 않은 자유스러운 사고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갈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증의 틀 안에 갇혀있는 설계수업보다는 조금은 실험적인 과제들을 수행할 수 있다. 수업의 몇 가지 예를 살펴보았다. 실습 I Image making 이 수업의 실습은 Perception-exploration-structuration의 연결고리 속에서 조형원리에 대한 사고과정과 표현방법의 숙련을 목표로 한다. 주위 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나 장면에서 그 안에 숨겨진 구조와 내부의 위계질서, 재료의 조직 구성 등을 분석하고 그 이면을 읽어내는 능력을 키우 고 이를 간결화, 추상화 할 수 있는 표현방법을 익힌다. 마지막으로 자신만의 구축의 논리를 만들어 3차원 형태의 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에 1차 실습 과제의 목표를 둔다. 1st phase: Image recording ‘The camera is not merely a device for survey but also for interpretation.’ 학생 개개인은 3장의 사진을 촬영한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을 찍을 수도 있고 의도적으로 세팅할 수도 있다. 촬영대상, 촬영방법, 노 출방법, 선명도, 스케일, 현상방법 등은 모두 자유이며 아래의 실습과정을 진행시키기에 적합한 대상을 스스로 찾아 A3크기로 출력해온다. 3장중 1 장을 선택해 2, 3단계의 과정을 진행한다. 2nd phase: Image analysis & Drawing 관찰을 통해 얻어진 자신의 해석을 체계화시키는 동시에 다이어그램화 하는 작업이다. 사진속의 이미지를 읽어내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관찰과 해석의 툴이 필요하다. 이미지를 다이어그램화/ 도형화/ 패턴화 하기위해 어떠한 분석방법을 동원하느냐가 이단계의 핵심이다. A3 사진위에 트레이 싱지를 겹쳐가면서 최종 도면을 완성시킨다. 초반에는 Freehand, 마지막에는 작도 혹은 2D/3D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3rd phase: Modeling 건축 모형재료는 건축물을 가장 잘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됨은 물론 건축물의 형태를 결정하는 데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자신의 모형재 료가 건축 형태 디자인에 제한요소가 되지는 않는지 한번 생각해 본다. A3 도면위에 1:1 스케일로 모형을 제작하며 재료, 부재의 모양과 크기, 조합 의 방법이 자신의 조형원리(Formative process)에 부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재료의 물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부재를 조립하는 디테일을 개발해야 하며 ‘허용오차(tolerance)’를 이해한다. 실습 II Workshop One-Sheet Structure 본 과제는 900x900 사이즈 한 장의 제한된 재료를 가지고 구조체 혹은 가구를 만드는 실습과정이다. 학생들이 처음으로 CNC기계를 이용하여 모델을 만들어 볼 수 있으며 정교한 전개도를 그려야 부재간의 간섭 없이 조립이 가능한 구조체를 완성시킬 수 있다. 작업은 4주간의 워크숍으로 진 행되며 가구디자이너인 외부강사와 공동으로 가르친다. 실습 III furniture design without conservative model materials 기존 가구의 일반적인 재료를 사용할 수 없으며 재활용 제품 사용을 권장한다. 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창의적인 응용 은 필수이다. 2개의 학생작품은 모두 의자이다. 첫 번째 작품은 투명한 튜브를 이용해 만든 커플 의자이며 펌프를 이용해 내부 액체의 칼라를 원하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30M의 호스를 하나의 조형방법으로 엮어 만들었으며 생각보다 착석감이 뛰어났다. 두 번째 작품은 폐자재를 이용해 만든 의자이 다. 자전거 바퀴를 튜브와 살로 분리해 각각 다리와 몸체를 만들었으며 핸들은 균형을 잡는 다리역할을 한다. 건축 조형론은 앞서 보여준 실습과제와 함께 이론 수업이 격주로 진행된다. 윌리엄 미첼이 형태문법을 통해 말하듯 건축의 조형을 공식처럼 해 체할 수는 없겠지만 인터넷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쏟아지는 건축정보의 홍수 속에서 학생들에게 역사 속 조형언어의 변천사와 동시대 건축가들의 경 향을 함께 가르치면서 건축과 조형의 첫 매듭을 견고하고 엮는다.
Architectural Form and Shape | 건축조형론 Architecture form study requires both theory and practice. Officially it is a theoretical class; however the laboring sensation starting from the class name cannot be neglected. This aspect is what brings the students to constantly work in dangerous environments without rejection. The basic element that this class attempts to teach to students is tolerance during the process of creating something. Since second year students are taking the class, they should freely attempt to create forms that are not limited within common restrictions. Image Making This lesson is for practicing the thinking process of form and its technical expression in three steps of perception-exploration-structuration. Phenomena easily discovered within life are used to discover the hidden structure, hierarchy, and material, which are ultimately expressed in simple, abstract drawings. Lastly, the constructed logic is created to a 3 dimensional model. 1st phase: Image recording ‘The camera is not merely a device for survey but also for interpretation.’ Each student takes three images that can be easily discovered in daily life. The photo should be printed on A3. Out of three, a final photo is selected to proceed further. 2nd phase: Image analysis & Drawing This phase is systemizing one’s logic and simultaneously constructing diagrams. To read the image a creative view and logic is required. The key to this phase is the process of how to create a diagram/image/pattern. On the a3 image, the final plan is created by layering tracing paper. At first by freehand, in the end 2d/3d tools may be utilized. 3rd phase: Modeling Modeling material is the best method of describing architecture, and also becomes the cause of form. Students must ponder whether the material is appropriate for design. On an a3 plan, the model should fit the student’s formative proces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material, the model should be constructed without glue, ultimately learning the tolerance during construction. Workshop One-Sheet Structure This process is constructing a structure or furniture with a 900*900 sheet of any material. Students will use the CNC machine to build their model. A detailed folding plan is required to construct a complete structure. This work lasts for about 4 weeks along with a furniture designer. Furniture design without conservative model materials Usual materials for furniture are not allowed, while recyclable material is advised. Despite the material may be easy to find, creative apply is necessary. Two examples are both chairs. The first utilized a rubber hose to form a couple chair. Its color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water color. A single 30 meter hose was utilized, and it was amazingly comfortable. The second is a chair made by used materials. A bicycle wheel was disassembled to form the chair, while the handle is used for balance. Along with the practical assignments, theoretical lessons are given as well. Just like William Mitchell spoke with his formative grammar, architecture cannot be disassembled like math formulas. However, within the massive architectural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students will be able to stabilize their ability of reading form during this class.
82 | 83
1 2.1 year
Interior Architecture
House Renovation
year
通하다
Haeun Lim
Prof. Seungyoon Lee, Jeongwoo Choi
산 중턱에 위치한 이 주택은 앞으로는 하늘을 바라보며 뒤로는 산을 품고 있다. 하늘과 산을 단절시키고 있는 주택의 앞뒤를 적극적으로 통하도록 리노베이션하여 바람이 통하고 빛이 통하고 시선이 통하는 곳을 만들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곳에는 목판을 다루는데에 통한 장인이 이곳을 통 해가는 손님들과 마음을 통하고 뜻을 통한다. This house placed on middle mountain side views the sky. The house divides the sky and mountain, which is strongly renovated that wind, light, and vision go through. Furthermore, it will provide communication between visitors and the wood meister.
Alonetogether
Jinsan Sung
Prof. Seungyoon Lee, Jeongwoo Choi
최근 급증하는 1-2인 주거에 대응하는 가변적인 다세대 주택을 선택했다. 주요 내력벽과 증축 부분을 기준으로 세 개의 박스로 분절하고 각 공간의 사이에 외부공간을 삽입하여 입주하는 가족 구성원의 수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였다. 진입 부분의 바닥 패턴의 변화 와 벽들로 각 세대의 진입동선을 나누고, 공간의 가변적 활용을 위해 내부 이동식 벽체가 아닌 외 부 정원공간에 마련된 두 개의 벽체의 차폐 변화로서 구획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1층 중앙부분 의 외부공간은 각 세대의 커뮤니티 형성공간이 되기도 하고, 벽체의 움직임에 따라 한 세대에 귀 속된 정원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획되는 공간은 어떠한 일정한 룰에 의해 제한된 가변 성이 아닌, 사용자의 기호와 구성원의 수, 각 세대간의 친밀도 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되는 폭 넓 은 가능성을 가진다.
I planned a changeable multi-housing that reacts to the currently increasing housings of one or two users. Three masses are formed according to structural inner walls and extensions. Between each space, exterior is inserted to be utilized in variety by the family members. The floor pattern of the entrance divides the movement paths, and the exterior wall changes its opening depending on the division of space. The exterior of the first floor can be a communicational for families, as well as a private yard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walls. Such spaces are formed not by a specific order, but from the demands of the users.
84 | 85
1 2.1 year
Interior Architecture
House Renovation
year
Public Slab
Mijin Jeon
prof. Seungyoon Lee, Jeongwoo Choi 상명대학교 인근 주택단지의 가장 위쪽, 인왕산 기슭의 주택을 헌책방으로 리노베이션 한다. 주민들 은 함께 책 읽고 토론하며 인근 대학의 학생들까지 더 해져 작은 복합문화공간이 형성된다. 차를 마시며 작 품을 전시하고 소규모 공연을 한다. 공간 이용은 상황 에 따라 유동적이므로 공간의 분화가 무의미하다. 구 획은 슬라브로만 이루어지며 skip floor로 공간을 구 성하고 일부는 외부로 확장하여 대지와 만나게 한다. 이로써 내부의 소통, 내외부의 소통은 극대화된다. 여 러 번 증축되며 주택에 남은 다양한 마감재는 당시 건 축의 역사를 살려 그대로 이용한다. 새롭게 생긴 벽체 에만 새로운 마감을 덧붙여 리노베이션된 주택은 자 신의 역사를 이어가게 된다. The renovation is held on the highest edge of the residential district near Snagmyong University. A small cultural space with locals, students gather together for reading. Small exhibitions and readings are held. The space can be divided, but the division is meaningless. The division is only formed by slabs and skip floors, which some of them expand outside to meet with exterior land. Thus, inner communication and outer communication is realized. The remaining finishing materials left from numerous renovations are left to indicate the history of building. Only newly constructed walls have a new finishing for the house to keep on continuing its history.
1 2.2 year
Interior Design
Boutique Renovation
year
Young Hongik Artists
Hyunseok Kim
Prof. Seongik Cho, Sojeong Lee
이 작품은 대지의 분석과 리모델링을 통하여 진정한 카페의 모습을 찾는 것이다. 홍대 앞을 생각해보면서 키워드를 탐색했고, 그로 인해 나타난 단어는 홍익 예술 대학이다. 이 공간은 무료로 젊은 홍대 예술가들에게 빌려지고 작품을 파는데 사용될 것이다. 대지는 본래 영화를 통해서 소통하던 공간이었는데, 영화의 요소와 예술의 만남을 시도하였다. 가변적인 공간이 필요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학생들의 작품을 전시하기에 고정하기에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그 해결책으로 와이어를 창안했고, 그것들은 어느 위치에서나 구획이 가능하다. This project was ‘Find real Cafe, Survey the site and redesign it.’ I thought about Hong-dae and started fiding keywords of here. Keywords I focused on is ‘Hongik Art College’. Lend free space for young Hongik artists and sell their works. This site is originally the space that communicates with Movie. It is replaced the theme -movie- with the arts. Space for communication with YHAs and visitors of Hong-dae. this place needs the flexibility. Cause ‘many students’ many works. Solid wall can’t afford it. So I choose ‘WIRE’. Anywhere it can make a partition.
86 | 87
1 2.2 year
Interior Architecture
Boutique Renovation
year
Dionysos of Esthetics
Yehyun Jung
Prof. Seongik Cho, Sojeong Lee
최근 대형 브랜드를 대표하는 작은 상업공간들은 micro-trend를 대변하며 젊은이와 노인들까지의 다양 한 관심을 요구한다. 이 작품은 이런 micro-trend를 가진 작은 상업 공간들의 내부, 외부 디자인은 미학의 디 오니소스를 표현해야 한다. 공간은 그리드를 가진 판과 삽입, 그리고 철로 이루어진다. 갤러리, 중심 공간, 만 남의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Recently a small commercial space that corresponds to the big brands it reflects micro-trend divided into various interests and requires of the teen, silver generation. This project applies these micro-trends, small commercial space in the internal, external design should aim to dionysos of eshtetics. It is cut into a grid form bord and insert. then iron make a space. This model has three space: gallery, center of concentration, meeting room.
Furry Grotto
Hyunsun Kim
Prof. Uiyeob Jeong, Taekyeong Lee
이 작품은 길거리에서 판매되는 과자의 불규칙적 쌓임에서 시작된다. 이 값싼 물질은 불규칙 적인 굴들을 생성하며 빛을 분산하는데, 부띠크 프로젝트를 형성하는 시작점이다. 빛을 분산 시키 는 불규칙적인 구멍들의 그로테스크한 성격은 녹색의 펠트로 덮인다. 이 펠트는 쌓여진 유닛들의 관절 역할을 하여 힘을 버티고, 전체적으로 예상 불가능한 형태를 야기한다. 가계는 4개의 실과 그 사이공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공간들은 정의되어 있긴 하지만 분명하게 나누어져 있진 않다. 이 실들은 전시용 선반, 벤치, 그리고 천장의 조명으로 그 형태가 바뀐다. The project started from stacking irregular shape cookies that are commonly sold on the treets. This cheap material turned into an amorphous grotto like light diffuser which became a seed for the boutique project. The boutique design reflected the amorphous cave like form of the light diffuser and enhanced the grotesque quality of it by wrapping the units with green felt. The green felt acts as a joint between the stacked units allowing a range of tolerance, which creates this unexpected form. The shop is composed of four rooms and the in between space. The rooms are defined but do not accrately draw their bondaries. Furthermore, the units are programmed as they change their form from display racks, sitting benches, to the lighting devices on the ceiling.
88 | 89
1 2.2 year
Interior Architecture
Boutique Renovation
year
Woven Space
Seungyup Song
Prof. Uiyeob Jeong, Taekyeong Lee
이 부띠크는 삼청동의 주 축에 위치한다. 삼청동은 항상 외부인들로 가득 차 있는데, 이들은 분명한 목적은 없지만 항상 주변을 떠돌아 다닌다. 그들이 우연히 이 부띠크를 입장했을 때 어디에서도 느낄 수 없는 감성을 경험했으면 한다. 옷은 패션 디자이너의 예술이며, 사람들의 관심이 그 옷 에 있기를 바란다. 공간들은 특수한 건축적 용어로 나뉘어 진다. 외부 램프는 갤러리의 기능을 가지며, 제품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사람들에게서 동경 을 자아낸다. 내부 공간은 서비스를 받는 공간으로서 옷을 갈아입고, 지불하고, 일하는 실질적인 행위가 행해지는 곳이다. My Boutique store is located on the main commercial axis in Samchungdong. Samchungdong is always crowded with shoppers, walkers, and tourists. They don’t have any clear destination, yet they like to wander around the area. I want the visitors to experience a unique sensation as they walk into the boutique by chance. Clothing is a work of art for a fashion designer. The designer wants customers to concentrate on his clothings. So I divided spaces by special architectural elements. The outer ramped space is like gallery, creating a space for admiring the products on display. The inner space is the served area where the real activity of changing, paying, and working happens.
Light, Fog, and Hope
Hanna Lee
Prof. Uiyeob Jeong, Taekyeong Lee
이 장치로 안개 속의 빛을 표현하고자 한다. 안개 속에서 사람은 아무것도 볼 수 없고, 거기서부터 불안감을 가진다. 이런 안개 속에 비춰진 빛은 그 불안함을 없앤다. 이 장치는 우울함, 또는 불안함을 가진 이들에게 희망을 불어 넣어주는 역할을 하고, 그 희망을 시작으로 계속 앞으로 나아가기 를 바란다. 종이컵으로 이루어졌으며, 6개의 컵이 하나의 모듈로써 돌아가면서 연결되어있다. I want to express light in the fog with my light diffuser. In the thick fog, one cannot see anything. One feels fear when one does not see anything. When the light falls on the fog, one’s fear disappears. I want my light diffuser to be a hope when people are depressed. And with that hope, people keep go after their dream. The light diffuser is composed of paper cups. Six paper cups become one module and the modules are then linked creating a single line that is twirled.
90 | 91
1 2.3 year
Interior Architecture
Mullae-dong Re-livening
year
비움
Seongjin Han
Prof. Seunghyeon Woo, Hyosik Choi
The past that we remember are a sectional formation of recognizable images. Furthermore, history is the trace of time where its value comes from. Re-livening of Mullae starts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 district. Mullae contains a harsh history, and constantly connects it toward the future. As time flows, Mullae finds its own way to change within such traces. Such constant changes results from a modest attitude. Its own existence is a timeless inheritance, and creative progress. Mullae’s Re-livening is architecturally developing the current traces and its images, and emphasizing the history it contains. Simultaneously, a space for a constructed prologue with today’s potential and future is required.
Recycled in Mullae
Seungyeop Song
Prof. Seunghyeon Woo, Hyunjin Park
문래 철공소 단지는 이 곳만의 분명한 장소성을 지닌다. 이 곳은 현존하는 몇 안 되는 서울의 근대를 기억하는 한 장소이며, 이곳의 철공 장인들의 생활상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곳이다. 세월의 흔적이 축적되어 만들어진 장소. 철공 장인들의 생활상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장소. 이 곳만이 지니는 이러한 장소의 힘으로 재생시킨 공간에서 예술가들과 철공 장인들이 함께 공존 하도록 한다. 이로써 장소의 변화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시간의 흐름의 연장선상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 지는 것이며, 어느 누구도 소외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Mullae has a definite spatial value, which is one of the not many remains of modern Seoul, maintaining the lifestyles of iron workers. Currently, this district is in crisis of disappearing due to development issues, however artists who entered this district showed a new possibility. Space formed by time and its traces containing a unique lifestyle, such space should be maintained by the coexistence between artists and iron workers. Thus, a change of space is formed naturally on a timeline, reminding us that nobody is left out.
92 | 93
1 2.4 year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Ambiguous State
year
Rock House
Mijin Jeon
Prof. Uiyeob Jeong, Taekyeong Lee
오브제의 선적인 유닛을 덩어리로 바꾸고 덩어리가 쌓이며 자연스레 생기는 틈으로 모호한 경계를 만든다. 하나의 유닛은 하나의 공간이 되고 유닛과 유닛이 중첩되고 삽입되며 내부공간을 연결시킨다. 이 주택에서 가장 Soft한 공간은 내부가 아니라 외부이다. Hard한 느낌이 강한 매스와 는 달리 덩어리로 둘러쌓인 반외부 공간은 주변 대지와의 경계를 희미하게 만든다. The linear objects are transformed is masses, which are stacked to form natural crevices and vague boundaries. Each unit become single space, connected where units intersect. The softest part of this house is the exterior. Despite the hard looking shape, the half exterior space removes the boundary between the surrounding.
Distored House
Chanho Kim
Prof. Uiyeob Jeong, Taekyeong Lee
David Hockney의 Mother의 사진에서 느낀 경계의 모호함은 본래의 형체가 할머니라는 것을 알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그 것이 무엇 인지는 알수 없었다. 그러한 원인을 꼴라쥬된 사진 하나하나를 하나의 유닛이라 생각하고, 그 사진 하나하나를 ‘확대’, ‘축소’, ‘회전’, ‘위치조정’해서 만들어 진 것이라 생각하였다. 구라는 본래의 형체에서 분할을 통해서 유닛을 생성한 뒤에, 그 유닛 하나하나를 ‘확대’, ‘축소’, ‘회전’, ‘위치조정’을 하여 본래의 형체가 구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 그 형체가 무엇인지를 잘 알 수 없도록 하였다. 이러한 것에서 외부에서의 모호함을 찾았다면, 내부에 서의 모호함은 위치조정을 통하여 생긴 틈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번짐으로써 경계의 모호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정 을 통해서 생긴 레벨의 차이를 통해서 만들어진 재미있는 경험을 통해서 내부의 모호함을 느끼게 한다. The picture of Mother by David Hockney shows that the origin of vagueness is an old woman, however when viewed totally, it is impossible to recognize its true form. The cause is due to the utilization of collage, distorting and gathering numerous units of pictures. A single object is divided to form numerous units, and each unit is distorted and relocated for its true form to be invisible. While in vagueness exists in total, the interior has its vagueness from lighting entering from the naturally formed crevices. Additionally, the relocating of spaces constructs differences of height levels, which is another factor of creating inner vagueness.
94 | 95
1 2.4 year
Interior Architecture
Ambiguous State
year
Over the Boundary
Eunhye Shin
Prof. Uiyeob Jeong, Taekyeong Lee
이질적인 두 Mass의 극적인 만남, 그 위로 형태의 경계를 넘어 또다른 경계를 만드는 Material들. 이 두가지 개념을 바탕으로 구현된 건축물인 Artist Studio에서는 두 Mass 중 비정형적인 구의 형태를 지닌 공간에선 외향적인 활동이, 정형적인 육면체의 형태를 지닌 공간에선 개인적 인 생활이, 두 Mass가 만나는 교집합적 공간인 라운지에서는 주인과 방문자간의 교류가 이루어 지는 식의 공간이 계획되었다. 또한 모호한 경계를 만드는 핵심 역할을 하는 Material들은 건물내 에서 바닥, 천장 등의 경계에 국한되지 않고 기능에 따라 공간의 형태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공간 간 경계를 허물며, 그 과정에서 내부에서 유영하던 Material이 외부로 나오는 지점에는 Aperture 가 생성된다.
Two ideas were used to form this studio: dramatic association of different masses, and materials that construct another boundary. Outgoing activities are held within the spherical space, private activities are in the cubical, and the meeting space of the two masses are where the common programs such as a lounge is placed. Material, which is the major factor of creating vagueness is not limited from the physical boundaries of floor and ceiling, but is freely formed depending on its function to break the boundaries. In such process, the inner Material is moved outwards forming an aperture in its location.
1 2.4 year
Interior Design
Residence
year
House for Prophyria Patients
Hanna Lee
Prof. Seunghyeon Woo, Hyunjin Park 이 주택의 클라이언트는 직사광선을 맞으 면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데 그것을 고려하여 큰 창을 북쪽에 내고 빛의 유입을 직사광선이 아 니라 부드럽게 들어올 수 있도록 창을 안쪽 깊 게 배치하였다. 매쉬의 사용으로 빛 그림자를 나타내고 창 앞에 작은 판을 둬서 빛 띠가 생기 게 유도하였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천체사진작가임을 고 려하여 옥상 전체를 천체 관측에 사용하고 그 에 따라 1층과 2층에 들어가는 상업시설에는 천체영상을 보는 카페와 천체사진갤러리를 배 치하였다.
The client has a sunlight allergy, which is the reason for a large window to face north with a large set back; light will break and spread smoothly due to this language. Utilization of mesh displays the shadows and small plates form lines of light. Considering the client’s occupation of a space photographer, the entire rooftop is used for observation, while the first and second level are associating programs such as an exhibition café and gallery.
96 | 97
1 2.0 year
Interior Architecture
Studies
year
Lighting Design
조명 디자인
Prof. Hyekyung Song 이 수업의 기본 목표는 빛과 조명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건축과 인테리어 공간과의 연계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램 프를 사용하여 직접 조명기구와 오브제를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Hands-on 경험을 갖게 된다. The Fundamental goal of this class is learning basic knowledge of lighting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interior space.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lighting object by using lamp, students will learn hands-on experience.
2
2
1
1. Younggon Kim, Youkyung Kim, Minkyung Shin 2. Sanghyuk Park, Kitae Shin, Wonjoong Lee, Juhyung Lee
2
Space and Modern Art
공간과 현대미술
Prof. Hongpil Park ‘개념 잡기와 표현’ 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실기 수업이다. 자신이 표현하고자하는 것을 하나의 작업으로 표현해내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 작업이 어떻게 관객과 소통하는 가를 알아본다.현대 미술에서 중요한 요소인 ‘재료’를 실험할 수 있다. 몇몇 작가를 통하여 미술에서 ‘공간’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알아 본다. This study focuses on ‘forming a concept and expression.’ Its goal is to express one’s will, and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ork and viewers. In addition, material can be experimented. Through practicing artists, the definition of space in terms of art will be learned as well.
1 2
3 1. Hyunsun Kim 2. Joohyun Kim 3. Sehee Ryu 4. Sinwoo Lee
4
98 | 99
100 | 101
Architectural Design Curriculum Studios in 3rd grade is the last phase of basic architecture, requiring the proposal of an appropriate architectural plan that satisfies social, cultural needs as well as limitation. Not only will students study formation of public spaces, but will obtain the ability to control the relations between contexts and programs. In addition,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building systems, structural mechanism, architecture law, safety, material, details, as well as communication skills. The first semester project is divided in two, however the location are closely together and requires a functional bond. The first project is building a new gallery, while the second is a remodeling of an existing building, which may contain any type of program that ultimately has its goal to vitalize artistic activities, create local communities, and function as a new community center. The second semester proceeds on a larger scale. The building and site is larger that students must grow their vision on an urban scale, considering the publicity of a building. To give students an opportunity to work together, students will work in three as well as maximizing their computer graphic skills obtained through the Summer Computer Graphic workshop.
Interior Design Curriculum The first semester is remodeling a multi-functional building in Seoul to a Boutique hotel or guesthouse with its unique brand. Within minimal boundaries the building design and brand concepts were freely composed to proceed a project that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architectural details and artistic sensation. This studio not only requires students to have creativity in forming spaces, but also designing it on a human-scale, as well as details such as materials, finishing, and etc. To complete this semester, model-skills and 3d related computer programming for space expression is required. The second semester has a short three week program of utilizing unique material and ideas of creating a space of no possession. The basic limits were to use material that are easily collectable in general life, or use the cheapest possible one. The location is not fixed. After the short project, the main one is proposing the utilization of non-using spaces by analyzing the aspects of utilization. The early classes start from searching non-utilized spaces in the city, analyzing it, and proposing a possible solution. After this process, students should develop their designs with mass studying and interior planning.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io is to give students a new vision towards the world.
Introduction of Third year
Architectural Design Curriculum 3학년 설계 스튜디오는 기본적인 설계수업의 마지막 과정으로 지역적 사회적 문화적 요구와 제약에 적합한 건축적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공공성을 가진 건축 기능을 다루기 시작하며 일반적인 분석 및 실현 작업을 넘어 콘텍스트와 프로그램간의 관계를 설계에 응용할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디지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빌딩 시스템, 구조체계, 법규, 방재, 재료와 디테일 등을 이해하고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1학기 프로젝트는 둘로 구분되어 진행되지만 대지가 인접되어 있고 기능상 연계가 필요한 하나의 과정이다. 1차 과제는 미술관 신축, 2차는 1차 대지의 서쪽에 인접한 기존 4층 건물의 증개축 프로젝트로 미술관과 연계될 수 있는 어떠한 프로그램의 제안도 가능하며 궁극적으로 쇠락해가는 철공소 밀집단지에서 예술가들의 활동을 활성화 시키고 방치된 빈공간들의 재활용을 통해 작업공간의 재생, 주변의 커뮤니티 재형성등의 새로운 문화시설군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학기는 1학기 보다 도시적 영향력이 큰 프로젝트로 진행한다. 대지와 건물규모가 커지므로 자연스럽게 주변 대지 분석을 넘어 도시를 읽어나가는 방법을 익히게 되며 건축의 ‘공공성’에 대해 재고해야 한다. 예년의 공동작품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는 아니지만 협업의 의미를 실질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개별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Summer Computer Graphic 워크숍에서 익혔던 다양한 그래픽 툴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결과물의 조건을 제시한다. Interior Design Curriculum 1학기 스튜디오에서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복합시설 건물의 일부를 독특한 브랜드를 가진 부티끄 호텔 또는 게스트하우스로 레노베이션하도록 한다. 주어진 범위와 프로그램 안에서 부티끄호텔의 디자인과 브랜드 컨셉을 자유롭게 정하여 작업하며 기능은 물론 건축 각론과 예술적인 면을 모두 다루는 총체적인 디자인 작업을 해나가도록 한다. 본 스튜디오에서는 공간의 획기적인 디자인 컨셉에 대한 제안은 물론 실내건축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할 휴먼스케일을 고려한 공간디자인, 마감재, 주요 디테일까지 다루도록 한다. 본 스튜디오에서는 성공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얻기 위하여 자신이 디자인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모형제작 능력과 3D 관련 Computer Tool을 자유롭게 다룰 줄 아는 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합리적인 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와 교수님의 조언을 받아 구조, 설비 등의 기술적인 부분의 문제도 해결하도록 한다. 2학기는 본 프로젝트를 시작하기에 앞서 3주간에 걸쳐 독특한 재료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한 무소유의 공간을 만들어 보도록 한다. 기본방향은 재료를 구입하는 것이 아닌 일상의 재료들을 수집하여 작업하는 것으로 하되, 부득이하게 재료를 구입해야 한다면 가장 저렴하고,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한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두도록 한다. 사이트는 고정된 것이 아닌, 장소에 따라 자유자재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것을 방향으로 하며, 학생들의 자유로운 상상력과 기발한 창의력을 보는 것이 이번 워크샵의 주된 목적이다. 본 스튜디오는 유휴공간 개념과 그 유형 및 기타 사례를 살펴보고 분석하고, 유휴공간의 한 유형인 “비활용공간”을 활용한 문화 및 상업공간을 디자인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 초반에는 도심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비활용 공간을 찾아보고, 직접 대상지를 선정, 분석을 통해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디자인 하도록 한다. 수업 중, 후반에는 다양한 매스 스터디와 실내계획에 전략을 두어 디자인을 발전시키도록 한다. 이 스튜디오의 가장 큰 목적은 일상의 모든 것들(일상의 재료, 공간, 그리고 우리의 사고)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하는데 주안을 두도록 한다.
102 | 103
1 2 3.1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Cultural Facility
year
Light of Maze
Sohui Oh
Prof. Yongman Kim, Jihak Hong
1
2
문래동 예술 단지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숨겨져 있는 작업실 영역을 미로의 요소라고 생각하 고, LIGHT BOX나 MASS로 그것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작업실에서 이루어진 작품들이 대부 분 지하나 옥상에서 보여진다는 점을 이번 프로젝트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Artist 경계라인과 철공소의 경계라인이 단순히 평면적으로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단면적으로 존재 하기에 이를 문 래예술단지의 특성으로 보았다. 단면으로는 단절되어 있는 작업실 영역과 작업실에서 이루어진 작품들이 보여지는 영역을 대지의 흐름을 따라서 자연스럽게 시각적 공간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 였다. 가고자 하는 곳이 벽이나 미술작품에 가려져서 희미하게 보이지만,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결 국 LIGHT BOX, MASS들이 있는 공간에서 예술을 만나게 된다. The hidden workshop areas within the Mullae district struck me as an image of a maze. Such workshops are leaded by light boxes and masses. Utilizing that the workshops exhibit their work on rooftops, the gallery also uses this technique. The boundary between artists and iron workshops are not only planned horizontally, but also vertically; I planned the gallery to have natural, visual, and special changes in vertical directions. Eventually, the movement will be lead to a space where light, boxes, and masses meet together with art. 3
4
5 1 2 3 4 5
final model mass & context context diagram program diagram contour diagram
Hand in Hand in Mullae
Jungsoo Sun
Prof. Younghwan Lim, Changhoon Shin
1
2
문래동 예술단지가 활성화 되지 못하는 이유는 주변 주민들과의 마찰이다. 위험하고 기피시 되고 있는 철공단지로 인하여 그 대립이 점점더 심화되고 있다. 이런 마찰을 줄이기 위해선 서로 에 대해 제대로 마주 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미술관은 그들의 작업에 대해 설명할 자리를 제공하고 사람들 역시 관심을 가지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준다. 서로 알아 갈 수 있는 환경으로 인해 그들의 관계 역시 좀더 친밀해 질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주민 들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미술관에 공공적 성격의 갤러리와 야외 미술단지를 조성하며 이 야외 미술단지는 문래동의 성격을 대변함으로서 둘간의 소통이 원만해 지길 바란다. The reason Mullae art district cannot be vitalized is due to conflicts with locals, which is
3
gaining velocity due to the defecting image of the iron workshops. The planning must have a space where such conflicts be solved. The gallery will provide spaces where explanations can be given as well as easy access. This space will eventually form an atmosphere for people to get closer.
4
1 2 3 4 5
final model diagram 1F flan A-A’section elevation
5
104 | 105 6
1 2 3.1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Cultural Facility
year
Encounter by Alley
Yeonjae Jung
Prof. Jongdae Kim, Sungwook Cho
1
Mullae had various histories from iron workshops to an art village. Starting from the 1970’s the heavy industry had took place. From the 1990’s, such iron workshops started to move away and the artists filled that space up; the empty spaces had comparably cheaper rent due to the noises. The Seoul council has changed the land usage that the district be developed for residential usage up to 80%, causing the area’s price to soar. Now even the artists are forced to leave and a ghost town left in Mullae.
2
Encounter by Alley | Yeonjae Jung
3
문래동은 방직공장과 철공소 예술촌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제시대에는 경성, 동양방직공장들이 들어서며 방직산업의 중 심지로 자리잡았다. 1970년대에 들어 중공업이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철공소들이 들어섰다. 이후 중공업의 발달과 함께 “한국의 모든 철제는 문래 동으로 통한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번성했다. 1990년대 철제공장이 쇠퇴기에 접어들며 하나 둘 자리를 비우기 시작했다. 그러자 철공소의 소음 으로 값싼 임대료에 예술가들이 철공소를 대신해 자리를 메우기 시작했다. 작업실과 철공소는 함께 공존하며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2007년 문래 동에는 100여 개의 작업공간이 있고 1백 70여 명의 예술가들이 활동하고 있었다. 하지만 현재 철공소는 전성기 때와 비교해 1/5수준으로 그 중 절반 이 1인 사업장이다. 2008년 서울시의회가 준 공업지역 공장부지에 최대 80%까지 아파트를 건립할 수 있도록 조례를 개정하였고, 그 후 재개발 소 식으로 인해 땅값이 2배로 뛰었고 예술가들도 떠나기 시작했다. 그 결과 타임스퀘어로 대표되는 거대한 상권과 최신 오피스 건물, 아파트 틈에서 이 질적인 장소로 남아 낙후된 지역이라는 오명과 개발의 압력에 밀려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1 2 3 4 5 6
birdeye view perspective concept & design process model develope plan drawing interior perspective section drawing
4
5
6
106 | 107
1 2 3.1 year
year
Ga//ery
Architectural Design
Cultural Facility
year
Hojae Lee
Prof. Taegwon Yoon, Yoonha Lee
1
2
3
이 과제의 이슈는 크게 두가지로 생각하고 있다. 미술관람하는 적절한 공간, 그리고 문래동 아티스트들에게 부족한 전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Ga//ery는 문래동 대지에 직접적인 동선을 유도 하면서도 그 선을 통해 내부의 관람하는데에 집중되어지는 효과를 준다. 그리고 지속적인 투 시 연구를 통해서 형태에서 나타나는 감성과 공간감을 극대화 하고자 했다. The two main issues of this project is providing appropriate space for art displaying and exterior exhibition space for the Mullae artists. The Ga//ery not only directly receives people but utilizes such line for inner displaying. Additionally, by constant perspective studies I attempted to maximize the emotional and spacial effect by its form.
4
1 2 3 4 5
5
main perspective site plan 1F plan interior perspective section drawing
V Gallery
Jaeyoung Jo
Prof. Taegwon Yoon, Yoonha Lee 미술관이란 무엇일까? 무엇을 보는 장소일 것이다. 이번 미술관 설계는 무엇을 본다는 것에서 시작됐고, 그 본다는 것을 집중시키고 싶어서 여 러가지 방법중 원근법을 토대로 작업을 진행 하였고, 미술 작품을 제대로 볼수있도록 실의 형태와 동선을 계획함으로서 내부적인 공간을 계획했다. 이런 공간을 통해서 각 작품에 맞는 공간을 형성하였고 그것을 하나의 동선으로 묶어줌으로서 관람객들의 관람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요소를 최소한 으로 하였다. 외부적으로 문래동이라는 철공소들이 예전부터 터를잡고 형성한 이 곳에 하나 둘 씩 모인 예술인들로 조금씩 밝은 모습을 볼수있었고, 그 것을 확장 시킬 수 있는 구실점으로서의 건물이 되기 위해 형태적으로도 좀더 자유로운 모습으로 그대로 표현하였다. 더불어 낮과 밤의 모습이 확 연히 다른 이 곳에 맞추어 계획함으로 이 곳을 배제하는것이 아닌 있는 그대로를 받아 들이는데 노력했다. What is a gallery? It must be a space to view something. This gallery project started from the simple idea of viewing, and the special design was based on perspective; each room was designed for a perfect view of an art piece, with a surrounding, single pathway that reduces passenger defection to the least. The overall form tended to express its gathering center of artists, and as well an expansion of art. In addition, the gallery has features considering the characters of Mullae having completely different atmospheres in night and day.
1 2 3 4 5 6 7
5
birdeye view perspective 2F plan A-A’section B-B’section interior perspective exterior perspective model photo
1
2
3
4
6
7
108 | 109
1 2 3.1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Cultural Facility
year
Children Playground
Jinho Lee
Prof. Sunkyung Lee, Jaeha Lee 1 2 3 4 5 6 7
1
concept model concept diagram facade detail detail diagram B-B’section plan facade detail model final model
2
어른의 시선과 스케일에 맞는 정형화된 크기의 공간에 어린이라는 새로운 대상이 만날때 어 떠한 반응이 가능할지에 대한 고민에 집중하였다. 어린이의 시선과 특성을 기준으로 새로운 방식 을 만들고 이것이 기존 건물의 구조 틀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하였다. This project concentrated on how a child would perceive new spaces based on the adult’s scale. Such spaces are formed on a new scale that naturally bonds into the existing structure.
3
4
5
6
7
When Art MeetTheir Daily Life
Hanwook Kim
Prof. Sunkyung Lee, Jaeha Lee
2
1
3
4
5
Iron and art workshops coexist in Mullae, each having their own mechanism of production. However, the dense spaces and strong closure caused a cultural, social blockage. This is the starting point where a re-distribution is to be made for the Mullae district. The gallery will cause natural come-and-go sequences for general life to meet art work easily. The two phases of the designing of the gallery creates an unexpected meeting within the inner space. The movements within spaces are not based on the program, but from the publicity required in the district’s perspective. This movement leading people to cross through the land will naturally cause cultural events, and become the seed of growing Mullae back. The remodeling focuses on utilizing the existing spaces rather that creation; curtain walls and different finishing is mostly used for minimizing structural change. However to improve the closed façade of the existing building, the lower spaces were opened with active yards, still utilizing the pre-existing slabs.
7
6
1 2 3 4 5 6 7
final model site plan 2F plan concept sketch concept diagram interior perspective concept diagram
110 | 111
1 2 3.2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Flagship Store
year
Piling Landscape
Hyunsuk Lee
Prof. Yeonghwan Lim, Changhoon Shin
1
3
2 1 2 3 4
birdeye view perspective concept diagram concept image main section
3-Pointed shape resembling mountains, have disadvantage of wind. Winds go upward in parallelled direction of diagonal lines. Winds get stronger as it go upward. And in 2nd high from bottom up outdoor space gets very strong wind so that people can’t actually go outside. In next step, there planned a little slacks so that it can break winds from lower levels. Because of mountain-like structures, it might be fine to stand still but still it is not the best way of let winds pass their way. Third of all, divided masses can let winds pass through the masses. It has huge advantage of outdoor space, in both levels. Studying masses, piling landscape gets very clear themes of “piling�.First diagram on left hand side, it is the first way, or step to make masses in landscape architecture. Second diagram shows little more close to concept. It has motions of the landscpae piled. The last one on right hand side in dark colored category, has strong form of landscape piling. Just like the wind in diagrams, third mass has advantage in hear protecting. In common sense, reducing surface area is more energy prooved. But in this building, reduced surface have disadvantage of energy saving. Because outdoor space have more thick slabs, sands, and also green grasses it has disadvantage in reduced surface. Left diagram has lowest surface area, rather than right cubes. Right cubes having 6-areas has more area than pyramids in same length to the cubes. Although it has high reduce in energy which means heat, in case of covered with green surface, it is more energy saving to get surface larger. 4
Nokia Office
Geewon Oh
Prof. Yeonghwan Lim, Changhoon Shin
1
3 1 main perspective 2 master plan
2
3 interior perspective 4 diagram
5 section diagram
노키아의 기업이념인 Connecting People을 컨셉으로 곡선을 활용해 연속적인 공간분할을 하 여 위계질서가 없고 원하는 정보를 어디서든 공유할 수 있는 오피스를 구성하였다. 또한 친환경 브 랜드 이미지가 오피스 외관에서도 녹지와 곡선의 조형성으로 형상화 되도록 하였고 실질적으로도 루버와 공기의 순환, 녹지 등을이용한 친환경 디자인을 하였다. Nokia’s brand idea of connecting people is the main concept, realized by utilizing curves and continuity of space; no hierarchy exists that any information can be accessed and shared within the office. In addition, green formed along the curved façade displays the ecological nature of the company, which functionally acts as a louver and ventilation device.
4 5
112 | 113
1 2 3.2 year
year
Frame
Architectural Design
Flagship Store
year
Shinjong Kim
Prof. Taekwon Yoon, Yoonha Lee
1
기존의 오피스는 그리드 중심의 정형화된 공간 으로 구성원들의 계급이나 역할에 의해 공간이 구분된다. 반면 새롭게 제시한 오피스는 곡선 의 프레임을 적용하여 안과 밖의 영역을 구분하 고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2
3 1 2 3 4
main perspective office diagram area division perspective
4
FujiFilm
Beomhui Ji
Prof. Yeonghwan Lim, Changhoon Shin
1
2
좁은 평면을 높게 쌓아 올려 코어를 제외하 면 실사용 면적이 적은 오피스를 옆으로 길게 배 치하여 넓은 공간을 제공한다. 코어를 중심으로 Open Space를 분리하기보다 코어를 분리하여 Open Space 를 합쳐준다. 넓게 만든 평면을 느 끼기 힘들만한 완만한 경사의 공간으로 연결하 여 각 층의 Collaboration을 증대시킨다. 필요에 따라 오피스 코어를 제외한 저층부를 공공의 공 간으로 넓게 제공하고 상층부로 올라갈수록 오 피스를 계획한다. The narrow plans were stacked up in a formation that usable space become 3
arranged in a long formation. Instead of separating open spaces from cores, the cores were separated that the open spaces to become one. From this process, the broadness of the plan is emphasized even more by adding a slight slope that additionally increases the collaboration between floors.
4 1 2 3 4 5
main perspective concept diagram system diagram office plan A-A’section
114 | 115 5
1 2 3.2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Flagship Store
year
Vitra Office
Seunghyun Lee
Prof. Seonhwa Song, Dongwoo Woo 대지가 선정되고 우리는 홍대의 놀이터와 상상마당이라는 두 문 화공간을 생각했고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놀이터와 같은 대지 를 만들려고 했다. 이 곳을 찾는 누구에게나 개방된 새로운 대지는 Folding을 이용해 방향성, 다양한 행위들을 제안했다. “To discover and develop the potential for inspiration and aesthetic enjoyment in everyday lift” Rolf Fehlbaum, Chairman Vitra
Vitra Office는 대지의 성격을 반영해 내부에서 다양한 시선의 변화가 일어나며 Vitra Office의 사원들은 매일 다양한 행위가 일어나는 새로 운 대지, 자신을 제외한 모든 사원들의 행동을 관찰해 새로운 영감을 얻는다. Hongdae’s playground and Sangsang-madang immediately came up to us when being introduced the site, thus focusing on creating easy accessible, open spaces. Such openness was developed by using folding techniques, controlling the direction and utilization of land. The Vitra Office reacts to the site that provides the inner space to have various views; the workers of Vitra office will constantly view the land containing different behavior through time, as well as the different behavior of their coworkers; this 1
1 main perspective 2 concept diagram 3 interior perspective
vision can continuously inspire them.
2
3
Oettinger Beer Office
Taehwan Kim
Prof. Seonhwa Song, Dongwoo Woo
1
고된 하루를 마치고 시원한 맥주 한 잔을 들이킬때 온 몸으로 전해지는 그 느낌. 그 Relax하고 Fresh한 느낌을 고층 빌딩으로 둘러싸인 사이트에 주고자 하였다. 겉에서 볼 때는 여타 다른 고층 건물들과 구분이 안가지만, 자연스레 걷다보면 어느새 자신도 모르게 녹지에 사방이 둘러싸인 숲 속으로 들어오게 된다. 또한 오피스에서 일하는 회사원들도 매 층마다 녹지 테라스를 획보하여 좀 더 쾌적한 업무환경이 조성되고, 건물 전체를 관통하는 Ventilation Tower로 자연 통풍이 잘 되게 하여 좀 더 사용자가 쾌적하게 건물을 사용할 수 있게 배려하였다. 2
I attempted to express the relaxing and refreshing sensation of drinking beer on the building as well as its surrounding. In visual,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when following the space, the user will soon realize he has reached a huge forest. Additionally, workers of the office are provided with green terraces for a more comfortable working space. The penetrating ventilation tower causes natural ventilation. 3
1 2 3 4 5 6
4
5
main perspective concept diagram mass process final model master plan site plan
6
116 | 117
1 2 3.2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Flagship Store
year
Sexy Cookie Office
Jinho Lee
Prof. Sunkyung Lee, Jaeha Lee
2
1
3
건물과 건물 사이의 공간을 보는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 수 있었던 매스 스터디를 통해 브랜드가 갖는 이미지가 드러날 수 있는 형태를 만들었다. 디테일한 구조 계산을 통해 하중의 흐름에 필요한 최소한 의 구조체로 입면의 큰 면을 분할하고, 조각난 면에 다양한 각도의 커튼월로 주변 도시 반사의 변화를 만 들었다. The mass studying focused on the perspectives of viewing the in-between space, as well as expressing the brand images. From calculating the structure to detail, the mass is divided into large faces. Each faces have their unique angle that uses its curtain walls to reflect the surrounding urban.
4
5
6
1 2 3 4 5 6
main perspective facade design perspective space detail structure system section drawing
Absolute Office
JoonYoung Yi
Prof. Sunkyung Lee, Jaeha Lee
1
약병모양의 술병이라는 특징 안에서 다양한 작품활동을 하고, Plane 맛을 기본 으로 다양한 맛의 보드카가 존재하는 엡솔루트의 특징에서 ‘같지만 다른’이라는 키 워드를 찾아내었다. 사람이 가장 많은 홍대입구역 방향을 기준으로 사람의 시선을 따라 셋백을 시킨후 다양한 입면을 느낄수 있게 홍대입구역쪽을 다시한번 셋백시 켰다. 또한 오피스 내부, 외부의 경계를 최대한 없애고 오피스를 관통하는 자연길을 2
만들어 내외부 공간구획에 모호함과 공간의 확장가능성을 느낄수 있게 하였다. Absolute has produced numerous art projects within the boundary of their bottle design, and their alcohol products are famous for its variety of tastes. The façade is set backed towards the subway station direction. The office inner space has the minimal space divisions, with a penetrating green path to cause vagueness and expansion.
WATER TANK
PRESIDENT ROOM
OFFICE TYPE A
OFFICE TYPE A
OFFICE TYPE A
OFFICE TYPE A
OFFICE TYPE A
OFFICE TYPE C
OFFICE TYPE C
OFFICE TYPE A
6
OFFICE TYPE A
1 2 3 4 5 6
OFFICE TYPE B
GYM
RESTAURANT
RESTAURANT
CAFE
LIBRARY
GALLERY GALLERY LOBBY
SHOP
REPORTER ROOM
FLAGSHIP STORE
INTERVIEW ROOM
PARKING
main perspective mass diagram section drawing eco - system office plan facade detail
PARKING
MACHINERY ROOM
3
4
5
118 | 119
1 2 3.2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Flagship Store
year
Facebook Office
Hansol Kang
Prof. Hyungho Woo, Yeonchul Ryu 현재의 사이트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소이다. 이 장 소를 찾는 사람들은 새로운 문화를 즐기고 다양한 경험을 하기를 원 하며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써의 역할이 요구된 다. 현 사이트에 존재하고 있는 정보의 흐름을 마스터플랜 내로 자 연스럽게 흘러들어오게 함으로써 사람들은 축적된 정보를 얻고 서 로간의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마스터플랜에 들어오게 되는 세 브랜 드 (CJ E&M, FACEBOOK, VOGUE)는 각각 정보의 제공자, 연결자, 수용자로서 원하는 정보를 다양한 접근을 통해 전달하며 상호 보완 적 작용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People who visit the site demands to experience different social cultures. Thu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rrounding context, the master-plan focuses on naturally receiving people and causing them to react. Each brand within the project can have synergetic aftereffects when sharing their customers and visitors. The Facebook office, located in the center, directly receives the flow from the master-plan, forming a community space within. 1
2
3
4
5
6 1 2 3 4 6 7
7
main perspective mass diagram section diagram final model section plan elevation & section
Jeonju Paper Office
Youngdong Cho
Prof. Hyungho Woo, Yeonchul Ryu ‘외발뜨기’를 통한 井형태의 섬유질과 그것을 여러겹 겹쳐서 만드는 전통한지만의 제지과정을 컨셉으로 제조 되는 과정 중 요구되는 다양한 환경을 조성해주고 제작과 정을 기업홍보에 적극 활용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또한 외부판을 설치해서 외부공간의 관입 및 확장과 더불어 빛 의 유입량을 조절하였다. The unique process of creating traditional paper of utilizing the figure of # constructs various environments, which can also act as a promotion method of the space itself. Additionally, the outer plates are installed to control the expansion of inner spaces as well as sun light.
2
1
4
3 1 2 3 4 5 6
5
perspective main perspective concept diagram mass diagram final model section drawing
6
120 | 121
1 2 3.2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Flagship Store
year
Youtube Office
Jameon Kim
Prof. Yongman Kim, Jihak Hong
1
3 1 2 3 4 5
section drawing main perspective skin design elevation persepective
2
4
5
Youtube 는 창의적이고, 모험적인 정신을 기반으로하여 동영상 기법을 제작하는 미디어 회사이다. 소비자는 유튜브의 기술을 이용하여 완성되고 정제된 미디어가 아닌 다양하고 날것의 미디어를 만들거나 볼 수 있게 된다. 사옥의 저층부는 홍대만의 독특하고 다양한 문화 생활이 피어나는 공간인 동시에 창조성을 기반으로 하는 Youtube 에겐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내 부 공간은 홍대 문화가 가진 독특한 창조성이 업무 공간과 연계되도록하여 창조성을 기반으로 하는 Youtube 브랜드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사옥의 스킨은 미디어 월과 유리재질이 교차하며 구성되는데 이는 다양한 파사드를 연출함과 동시에 창 작하는 날것의 과정이 외부로 보여질 수 있게 한다 Youtube is a media company that creates video based on creativity and entrepreneurship. Customers can directly view the raw footage of media. The lower floors contain Hongdae’s unique character, which simultaneously provides the corporation with new ideas. The inner space focuses on the brand to constantly develop as a creative company. The skin is a collaboration of media walls and glass to create various effects and showing direct footage of the inside.
Jungle Entertainment Office
Jaehoon Lee
Prof. Yongman Kim, Jihak Hong
1
2 1 2 3 4 5
3
main perspective section & concept diagram concept sketch perspective master plan
4
홍대를 대표하던 언더문화는 획일화 되고 있는 매스미디어 영향으로 점점 설자리를 잃어 가고 있다. 하지만 언더문화의 특성상 유통망, 홍보 및 공연시설은 항상 부족하고 이런 상황은 언더문화를 더욱 더 침체 시키고 있다. 이런 현상을 역전하기 위해 정글엔터테인먼트가 홍대에 들어섬으로 써 홍대를 다시 창조의 메카로 돌아가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정글엔터테인먼트에 필요한 프로그램은 Office, Training, Residence로 볼수있다. 이 프로그램을 한 건물에 배치하면서 그 접점에 접하는 프로그램을 지원해 주는 Sub Program이 들어서며, 세개의 각 프로그램이 들어가는 각각의 매스는 그 프로그램이 원하는 공간을 최적의 공간을 만들어 주려 하였다. Underground music industry, a symbol of Hongdae’s culture, is losing its position due to the growth of Korean mass media. Production, promotion, and performances are in immediate need. Jungle Entertainment within Hongdae can be a solution of this phenomenon. The office contains three sub-programs of office, training, and residence. Each meeting point of these programs a different reaction occurs, and each mass concentrates on creating appropriate spaces of its need.
5
122 | 123
1 2 3.0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Studies
year
Digital Design
디지털 디자인
Prof. Kyuman Song 공간설계에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이용목적은 Design Computerization과 Design Computation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설계도서를 디지털화함으로써 설계업무를 효율적으로 할수 있는 Tool로써의 Design Computerization이 있고, 인간 두뇌의 한계를 넘어서 건축 설계의 창의적 도구로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발전시킬 수 있는 Design Computation이 있다. 본 수업은 Design Computation에 초점을 맞 추어, 현대 디지털 건축의 특징과 기법을 이해하고 건축 설계의 창의적 도구로서 다양한 디지털 툴(2D/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영상편집, 등)을 이용 하여 설계 개념과 형태를 발전시키는 기법을 습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digital technology in architectural design can be defined as Design Computerization and Design Computation. Digital Computerization digitalizes architectural book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architectural work, and Design Computation assists the designer to express his imagination to the extreme. This class focuses on Design Computation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echniques of today’s digital designing, and to utilize it for their architectural development.
Digital Presentation
디지털 프리젠테이션
Prof. Uk Kim, Seokwon Kim 이 과목은 어떠한 지식을 얻도록 정보를 전하는 창조적인 방식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그 이론적 토대는 커뮤니케이션으로 가장 침투력이 강하고 중요하며 복잡한 행위의 복합체이며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능력을 갖도록하며 디자인도구인 도식 전달방식을 제대로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정보디자인을 이해하는 기반의 역할로 문화는 인간의 모든 행위와 생각이 포함되는 광범위한 영역으로 문화의 발전은 인간의 창의성으로 인해 서 주도된다. 행동/인지과학으로부터 정보Processing은 코치, 목표설정, 능력, 학습,작업능력,프로젝트 수행능력 등 인간의 수행(humanperformance)에 대 한 관심에서 정보처리과정을 추상적으로 분석하는 방법과 언어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발전되어왔다. 기억은 선호와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새로 운 정보도 또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메시지 텍스트와 디자인은 인지적, 정신적, 신체적 측면에서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언어 및 시각 기호들의 패턴이 메시 지이다. 텍스트, 그림, 다이어그램, 챠트, 그래프, 도해에서 상호 의사소통의 문제로부터 출발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분석과 종합의 의도적 과정을 다룬다. This class is creating a new mechanism of delivering information; its theoretical fundamental comes from communication, which is the strongest compound of human actions to inform another. One must fully understand the usage of diagrams. Th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al design is culture, which its development is mainly lead by human creativity. Information processing starts from human performance such as coaching, goal, ability, learning, working, and finishing a project, which develops into abstract, linguistic analysis. Message text and design are patterns of symbol and language made from a purpose to change one’s recognition. Text, drawings, diagrams, charts, and graphs all starts from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and attempts to solve it in a annalistic manner.
디지털 디자인 스튜디오는 설계프로세스 단계에 따라 디지털 프레젼테이션 방법을 5단계로 진행한다. 각 단계별로 이론적인 강의와 예제를 통 해 실습을 하고 디지털 프레젼테이션 방법을 익히고 창의적인 결과물을 제출한다. 1) Digital Image Design and Representation 이미지를 통한 개념의 시각화 2) Design Computing 대지 및 주변환경분석 3) 창의적 형태 만들기 정형 - Shape Grammar 4) 창의적 형태 만들기 비정형 - 디지털 언어를 이용한 건축가 작품 구현 5) 공간 탐구 영화 장면 만들기 - 실내 공간 Digital design studio proceeds digital presentation in 5 phases. Each phase contains theoretical studies and practical studies to learn digital presentation methods and propose creative objects. 1.Digital Image Design and Representation 2.Design Computing 3.Shape Grammar 4.Free Shape 5.Interior sequence study
124 | 125
1 2 3.1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Boutique Hotel Renovation
year
Flower by Kenzo
Hyemin Cha
Prof. Sunkyung Lee, Jaeha Lee
회색 빛 도시에 전하는 아름답고 강인한 꽃 한 송이를 통한 휴식을 주고 싶다던 겐조의 바람처럼 Kenzo의 브랜드 키워드를 여성성 동양성 자연친화 세련미 4가지로 나눈 뒤 로비에는 여성성과 세련미의 이미지를 F&B에는 동양성과 자연의 이미지를 부여하여 디자인 하였으며 객실에 는 겐조가 가지고 있는 모든 이미지가 드러나게 디자인 하였다. As Kenzo’s idea of providing rest in an urban environment like a flower, four keywords can be found such as feminine, Orient, ecofriendly, and beauty can be discovered. The lobby contains feminine and beauty, the F&B contains nature and Orient; the inner rooms completely contains the images of Kenzo.
Alice Hotel
Darae Kang
Prof. Sunkyung Lee, Jaeha Lee
126 | 127
1 2 3.1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Boutique Hotel Renovation
year
수묵화 그리고 쉼
Taewook Yoo
Prof. Sunkyung Lee, Jaeha Lee
‘쉼’ 즉, 쉬어갈 수 있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과 한국적 정서에 친숙한 ‘수묵화’를 3차원적으로 구현하여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계획하였다. 메인 공간인 리셉션은 수묵화 그 자체를 표현하여 강한 인상을 주고자 하였다. 수묵화를 ‘평면에 포함된 원근감’, ‘모노톤의 명암조절’, ‘ 레이어의 중첩’이라 분석하여 이를 나타내었다. 메인 데스크는 뒷 벽면을 아트월로 꾸며 산의 레이아웃을 따 조명으로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F&B는 수묵화 중에서도 매난국죽을 모티브로 하여 공간을 형상화 하였다. Space where rest could be experienced and Korean traditional drawings is interpreted in three dimensions for experience. The main reception directly expresses traditional drawings for a strong image. Such traditional drawings are interpreted in values of deepness in plane, monotone, and stacking of layers. The wall behind the main desk is designed as an art wall with mountain formed layers, which are emphasized by lighting. The main topics drawn in traditional Korean drawings are the motifs of F&B.
1 2 3.2 year
year
Interior Design
Old Facility Renovation
year
골목길 속의 테트리스
Soo-ok Im
Prof. Sunkyung Lee, Jaeha Lee
128 | 129
1 2 3.2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Old Facility Renovation
year
충정아파트, 미술관 속 미술관
Sang-a Lee
Prof. Yongman Kim, Jihak Hong
가장 오래된 아파트. 충정 아파트 역사성, 물리적 특이성을 지닌 지금의 모습 그대로 작품(전 시물)으로 해석하였다. 경계로 인해 단절된 공간인 충정 아파트를 단절된 공간안에서 만날 수 있는 시간의 정체, 낮선 구조를 전시하기 위해 외부의 시선을 끌어들이도록 리노베이션 한다. The oldest apartment, Chungjeong apartments, is interpreted as a piece of work with physical uniqueness. Meeting areas within the closed boundaries, and exhibition of the unique structure are renovated to easily receive visitors.
충정아파트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Hyemin Cha
Prof. Yongman Kim, Jihak Hong
130 | 131
1 2 3.2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Old Facility Renovation
year
구 양천향교 배수펌프장 리노베이션
Geun Kim
Prof. Yongman Kim, Jihak Hong 과거 이곳의 건물 특성을 잘 보여주기 위 해 하천을 비롯한 자연과의 관계를 고려했고, 이곳이 문화재임을 고려해 변형을 최소화 하였 다. 미술관 내부는 다양한 레벨, 다양한 성격의 자연과 접하며, 판과 지면사이의 공간은 창이 되어 형상을 최소화하고 미술관 내부로 빛을 유 입하게 된다. To focus on the character of the previous building, environmental factors were considered. Minimal change was made due to its tradition. Interior contains various levels and atmosphere that connects with nature. Crevices within floors function as windows which minimizes form as well as entering sunlight.
Art Museum for Resident
Minji Bang
Prof. Yongman Kim, Jihak Hong
종로도서관은 자연(인왕산, 사직공원)과 접해있지만 어색하게 남겨진 공간에 의해 단절이 생 겼다. 이 버려진 공간들은 휴식공간으로 쓰기에 적합하고 이 휴식공간은 주민들을 미술관으로 끌 어들이는 집객시설이된다. DECK를 사용한 외부와 내부 재질의 연속성으로 경계가 흐려지고 지층 을 비워 자연과 연결한다. 이로써 외부와 내부가 자연스레 연결이 되고 이로인해 인왕산의 등산객 이나 사직공원에 휴식온 주민들이 자연스레 미술관의 관람객이된다. Jongno library is near nature, however the vague spaces between causes enclosure. Such dead spaces are appropriate for resting purposes, which are receiving factors of visitors. The continuity of inner and outer material creates vagueness, naturally connecting with nature. Thus, the exterior and interior are naturally connected for hikers, locals, and visitors can visit the museum in a one, smooth, sequence.
남녀노소 모든 주민을 위한 공간으로써 도서관에서 운영했던 주민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전시 공간과 휴식공간을 더해 각 층마다, 공간마다 미술관람, 교육, 독서, 음악공연, 휴식 등 다양한 활 동이 이루어진다.
The space is for all people: previous library programs are maintained and each space contains programs of exhibition, education, reading, performance, resting, and etc.
132 | 133
1 2 3.0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Studies
year
Furniture Design
가구 디자인
Prof. Bumki Park 건축을 공간과 오브제의 관계로 볼 때, 오브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구가 인류의 생활양식의 변모에 따라 어떻게 변천하여 왔는지를 가구사 로서 또 각론적으로 살펴보고, 근현대에 와서는 어떤 사조가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 통해 공간에 맞는 가구를 디자인하는 실무자로서의 소양을 갖추 고 가구가 만들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습득한다. 수업은 가구사조와 작가에 대한 발표와 가구 프로토타입 디자인 실습으로 진행된다. 특히 실습은 가구의 기획에서부터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프 로세스를 가상의 커스터머를 대상으로 진행해 예상 시판가까지 책정된 프로토타입을 제출하게 되며 결과물은 교내외 전시에 보여질 수 있다. When interpreting architecture as the relation between space and objects, most objects are furniture. As the main representation of human lifestyle, furniture history and its details are studies, as well as the modern movements of furniture design. Through such process, students can gain the basics of a furniture designer, as well as acknowledging the production of furniture. The class consist studies of theory, artist research, and practicing prototype designs. Especially, the prototype design section is conducted under a fictional customer to estimate the final cost, which is held in exhibition.
Darae Kang
Furniture Design | 가구 디자인
Hyemin Cha
134 | 135
Introduction of Fourth year
Architectural Design Curriculum 4학년 설계 스튜디오는 복합 건물의 설계, 도시 설계 기법의 도입 및 빌딩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학생들은 자신의 성향과 진 로에 맞게 스튜디오를 선택하고 차별화된 커리큘럼에 의해 디자인을 발전시킨다. 1학기에는 ‘도심형 집합주거’의 공통 주제 아래 각 스튜디오가 개성있는 소주제를 제시했다. 스튜디오 1반은 방배천로 일대에 거주민의 요구에 주목한 새로운 도시 주거의 대안을 탐색한다. 스튜디오 2반은 주거 유닛과 그것들의 새로운 조합을 연구하고, 스튜디오 3반은 성수동 대지에 타워형 공동 주거의 대안을 모색했다. 학생들은 아파트 중심의 주거생활에 대한 대안을 찾는데 주력하였으며, 미래의 삶을 담는 유니 트의 개발부터 도시 활성화를 위한 주거 블록의 연구까지 다양하고 심도있는 프로젝트로 발전시켰다. 2학기는 스튜디오 별 자유주제로 진행되었다. 스튜디오 1반은 현대 건축의 시대적 요구에 대한 탐색의 일환으로, 근대 건축 거장의 건물 을 친환경적 관점에서 변형, 재구성했다. 스튜디오 2반은 현존하는 서울의 랜드마크를 리메이크하여 현대의 가치를 부여하는 프로젝트를 진 행했으며, 스튜디오 3반은 사회와 도시의 질서를 새롭게 조직하는 방법을 실험하기 위해 유토피아 도시의 시나리오를 실험했다. 그 외, 극단 적인 대지를 선택하고 이를 극복하는 건물, 이상주거의 계획, 대량 도시 속 소량 구조를 만드는 등 개성있는 결과물로 진행되었다. Architectural Design Curriculum Studio aims to achieve the multiple subjects including multi-functional building design, urban planning and building system. Students can select their own design studio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s in the curriculum. In the first semester, seven studios showed various design subjects under a major design issue: ‘New Urban Housing’. Studio 1 has searched the scenario of dwellers’ need to develop the new housing blocks. Studio 2 started the research from the unit to the whole and Studio 3 looked at the alternative tower housing. Students have been looking for the new answers to the ‘apartment living’ and the projects have embodied the various ideas from the new unit type to the urban housing blocks for the future lifestyle. The second semester had the various design goals according to the six studios. Studio 1 transformed the modern architecture masterpieces into the sustainable building for the current use. Studio 2 remade the landmark buildings in Seoul to meet the new spirit of the times. Studio 3 carried out the experiments for the Utopian city planning mentioning the criticism on the society. Other studios were looking for the buildings on the extreme sites, utopian housing and minimal structures in the city, which were concluded as diversified comments on our living environment.
136 | 137
1 2 3 4.1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Conditioned Module
Unnim Koh
Prof. Hyunjoon Yoo, Seongseok Ko
1
Sadang-Isu Station Housing Project 이 작품은 2011 초반학기의 공동주택 작품이다. 이수역 주변에 위치한 이 건물은 항상 사람들로 북적 인다. 나는 새로운 일인용 주택을 제공하고자 했다. This project was about building new housing on spring semester of 2011. The site was located between and Isu subway stations in Seoul which was so crowded with commuters everyday. I tried
2
to suggest new style for single-person household on this project.
3 1 2 3 4
4
main perspective site condition diagram space composition
Conditioned Module | Unnim Koh
1
2 1 2 3 4
plan drawing perspective site plan A-A’section
3
4
138 | 139
1 2 3 4.1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NewType of Density Housing by Color
Seungjun Kim
Prof. Hyunjoon Yoo, Seongseok Ko
1
매우 좁은 대지속에서 도심지 집합주거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것을 주고 싶었다. 비거주공간이 었던 무채색의 지역이 주거공간으로 바뀌면서 다양하고 활력넘치는 “색” 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메인 아이디어다. 대지 양쪽, 각기 다른 도로의 크기, 스케일과 속도감에 맞춰 매스를 구성하였다. 매스 속에선 10개의 다양한 유닛이 하나의 클러스터가 되며, 각각의 유닛은 넓은 테라스를 가질 뿐 아니라 최대한의 채광과 통풍을 누릴 수 있다. 그 다양성은 내부공간까지 이어지는데, 가변형 벽 그리고 가구를 통한 공간분할 은 사용자의 개성과 요구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a very small land, I strived to contain everything housing could obtain. The main idea is imbuing the local area with color by residence, which is does not exist today. The mass is formed considering the shape of land, size of roads, scale and sensibility. Within the mass 10 units become a cluster, each unit having a terrace and comfortable lighting and ventilation. The variety of spaces expands towards the inside; spatial division by changeable walls and furniture maximizes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2
New Type of Density Housing by Color | Seungjun Kim
1 2 3 4
main perspective color analysis of site concept diagram mass development process
3
4
140 | 141
1 2 3 4.1 year
year
year
Tree House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Kyungha Song
Prof. Hyunjoon Yoo, Seongseok Ko
1
도시에서의 집, 특히 대로에 인접한 집합적 건물군은 경관적 요소로서 뿐만 아니라, 그 볼륨이 가진 ‘영역성’에 따른 의미와 기능을 갖는다. 이 에 따라 ‘영역성’의 관점에서 집합주거와 도시공공영역의 접점에 대해 탐구해 보고자 한다. 도시 내에 심어진 가로수에서 첫 번째 가능성을 발견했 다.또한 도시의 대로가 보행자들에 의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인간적척도의 회복’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상지로 지정한 방 배천로 일대는 70 - 80년대 이후로 지어져온 조적마감의 단독주택군이 보존되어있다. 이는 우리 삶의 흔적이 새겨진 자생적 공간이다. 이중에서 겉 으로 드러난 계단, 반지층, 대문과 담장등의 요소를 차용하여 저층부에서 인간적 척도를 회복한 한국적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Housing in a city, especially one that meets the road not only acts as scenery, but also inevitably has its unique domain. In perspective of this ‘domain’, I attempted to study housings on the verge between the housing itself and urban publicity. I believe for urban roads to be revitalized the human scale must be considered, which I have found hints from road side trees. The site contains independent housings with stacking structure and finishing, which are vitalized spaces. The exposed stairs, half-underground spaces, entrances, and walls are utilized to create a human scaled atmosphere on the lower level; ultimately reproducing a unique style of a Korean city.
2
4
3
건강하게, 혼자만의 삶을 즐기며, be not lonely , be more charming. 외롭지 않게, 보다 매력적으로
Roof Level
Tree House | Kyungha Song
Bath
Kitchen
relaxing reading watching TV
cooking or eating meeting party - drink / dance / playing cards/movie / music
Residencial Level 3 (5F,8F)
Space Program Unit Type 1
Unit Type 2
Kitchen Screen
Residencial Level 2 (4F,7F) Bath
Unit Type 3 Kitchen
Kitchen
B’
A
Dining Bath
Residencial Level 1 (3F,6F)
Unit Type 4 5 Dance Floor Kitchen
A’
Bed, Bath
B
Commercial Level 2 (2F)
Bath
Terrace (Fire Escape)
Commercial Level 1 (1F)
Ground Level
6
8 1 2 3 4 5 6 7 8
main perspective concept model perspective site analysis space program unit1,2,3 plan&section unit4 plan&section model photo
7
142 | 143
1 2 3 4.1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반포 주공 1단지 재건축 집합주거 프로젝트 설계설명서
Youngdoo Choi
Prof. Younggeun Hahn, Jaemin Yoon
1
집합주거를 계획하는데 있어서 먼저 오늘날 집합주거가 무엇인지에 대 한 의미를 먼저 생각해 보고 ‘매듭’이라는 단어로 결론을 지을 수 있었다. 가 족 구성원과의 매듭, 서로 다른 가족들과의 매듭, Unit간의 매듭이라는 것이 다. 아울러 집합주거의 ‘매듭’이라는 것은 이중적인 의미로 단지 연결로서의 의미만 가지는 것이 아니라, 불특정 다수와 다양한 매듭을 만들며 사는 세상 에서 그것들이 이완되는 역할을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긴장과 이완이 적절히 조화된, 그리고 그것들이 공간과 형태에서 함께 느껴지도록 디자인 하 는 것이 목표였다. 2
After pondering of the social position of housing, I concluded as a bond: the bond between family members, families, and units. The so-called bond is not a simple connection, but also a potential unit of connecting housings. The design goal is to combine tension and relaxation, and a space to fully experience it.
3
4
e traditional
Tension
e profit of con-
Yard, Garden, Community space Core, Corrider, Passage - Keyword : Opened, Wide, Sunlight - Keyword : Closed, Narrow, Shadows
buy new
Terrace, Living room, Individual Spac - Keyword : Opened, Wide, Sunlight
Relaxation
creasingly
Relaxation
1. 기본 Unit의 구성
반포 주공 1단지 재건축 집합주거 프로젝트 설계설명서 | Youngdoo Choi
al space and hope, My
성)
를 함께 분양
여의도에 이어 3번째로 강변에
에 마련된 최초의 아파트단지
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였으나
요가 몰리며 투기의 대상이 되어
됨
단지는 한강변의 기적으로 불리며
어려울 만큼 화려했음
서구사회에서 도입된 배달만능의
제도가 된 반면 이러한 점들은
차의 심화된 단층으로 비춰짐
분이 중산층
화 형성의 메카
1 2 3 4 5 6 7
산층 대상 고급 주거 형태의 상징
해 그 위치를 형성하기를 기대
The 1st Floor Plan (Scale 1/200)
지 못한 단점을 보완함
final model model photo site plan concept diagram unit composition mass diagram A-A’section
성함으로 활용성이 거주자만의 공원을
한 한강의 두 남쪽을
My Site Analysis (SPC16 대지분석 및 대지조성 & SPC21 주거지 계획 및 도시설계) N
Mass Study (SPC12 형태
The Park of Han river
비해 보행자에게
Step 1 For Sight & Directivity
한강공원 - 한강공원 반포지구의 연결로 올림픽대로 입구 - 왕복 4차선 주차량 동선 -유동차량은 많으나 인구는 적음
W
E
기존의 가로환경을 개선 보행자 전용 도로로 사용 소방도로이용가능
Shopping & Public Area
S Public Transportation Skylight B
A 구반포역 및 대중교통 - 인구의 주 이동동선 - 단지의 첫 출입구
Low
High
Community
Shop
Human Density
차량의 단지진입 자전거 도로 함께 구성
Program Dark
Bright Illumination inside
Bright
Dark A
B
5
Illumination outside
6
7
144 | 145
Horizontal Connection by Prominent Terrace
1 2 3 4.1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Relaxation Bridge
Wontae Choi
Prof. Younggeun Hahn, Jaemin Yoon
1
2
도시 속 집은 ‘휴식’을 제공해야 한다. 도시 주거는 일과 휴식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집’이라는 곳이 ‘휴식’하는 공간이기를 바란다. 편안한 휴식을 위해 자연과의 연계를 제안한다. 낮과 밤, 사계절이 달라서 시간의 흐름을 느끼게 하는 한강으로의 조망권을 가지고 있는 대지의 특성 을 최대한 이용하여 시야를 확보해 준다. 자연과의 연계란 자연을 바라보는 것, 자연 속에서 산책하는 것, 자연 속에 앉아 있는 것, 자연 속에서 가족 과 노는 것, 이웃과 이야기 하는 것을 포함한다. A house within a city must provide comfort. Since urban housing is separated from work space, people demand their houses to be a resting space. To achieve such comfort, a connection with nature is proposed. Maximizing the view of Han-river, people will fully view the changing nature. The connection with nature contains viewing, walking, sitting, playing, and talking.
3
Relaxation Bridge | Wontae Choi
1 2 3 4 5
birdeye view perspective final model photo master plan unit plan diagram unit plan drawing
4
5
146 | 147
1 2 3 4.1 year
year
H = MT2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Hyungmin Lee
Prof. Yongsoon Chang, Kyunghee Kim
도시형 집합주거는 도심의 팽창을 수용하는 동시에 주거의 프라이버시를 만족하는 구조로서의 매트형 집합주거와 최소한의 밀도를 위한 타워 형 집합주거 사이의 어떤 것이여야 했다. 유닛의 조합을 넘어서 매트형 테라스형 타워형의 세가지 유형의 조합은 도심형 집합주거에 적합한 곡선형 단면을 만들어 낸다. 상대적으로 상업적 성격이 강한 동쪽과 주거의 성격이 강한 넘서방향에 곡선형 단면의 일부를 삽입 시킴으로서 형태를 완성 시 킨다. 이러한 형태는 유닛들의 개인적인 조망을 갖게 하며 사이트 동쪽 면에 위치한 1~2층의 상가가 독립된 매트형 주거로의 침투를 가능하게 한다. 유닛은 타워형은 3개, 테라스형은 2개로 조합되며 통풍을 위해 3개층마다 존재하는 타워형의 편복도는 유형의 혼합으로 인해 테라스형의 중복도와 매트형의 미로형 복도와 만난다. Urban social housing should be something in between a matt-structure for privacy and tower-structure for maximum density. A curved section was created to satisfy three types of housings, matt, terrace, and tower. The relatively more commercial side on the east and the residential side of the south west are inserted within the curved section to complete the form. Such figure provides private view for each unit, as well as an individual commercial space in the lower level. Three units for the tower, two units for terraces are mixed. Pathways for ventilation in every 3 floors meet with the terrace mid-pathway, and the matt’s labyrinth-pathway.
H = MT2 | Hyungmin Lee
148 | 149
1 2 3 4.1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Microcosm in Community
Dohyun Kim
Prof. Yongsoon Chang, Kyunghee Kim
1
토지 개발 계획 덕분에 도심지 내에 많은 인구를 수용할 수 있었지만, 근대 도시적인 개념이 반영된 아파트는 가로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다. 때문에 ‘인 간성의 상실’의 대명사가 되었다. 때문에 현재 대지의 상황에서 가로의 영향을 간과하지 않고 블럭 내에 거주자들의 소우주를 만들어야 한다. 현재 대지는 밤과 낮의 성격이 급변하고 홍대 일대의 주민들은 마치 둥지 를 빼앗긴 새와같이 삶의 터전을 잃어버렸다. 동시에 그들의 삶을 지원해줄 주 거에 관련된 서비스 프로그램들은 사라졌다. 대지 지하1층에는 서교재래시장 이 있엇는데, 이 역시 지하에 묻혀 제 역할을 하지 못했고, 그 외 많은 프로그램 들이 사라지며 홍대의 원래 주민들의 삶은 점점 더 사라지고 있었다. 2
Due to the development of urban planning, Seoul could contain its massive population. However, the modern apartments did not consider the atmosphere of the streets, which eventually symbolizes ‘lost of humanity’ of today’s society. Thus, the site must consider the surrounding streets, as well as creating an inner society. The location goes through dramatic change during night and day, and the locals of Hongdae lose their homes. Simultaneously, community services that assist them are diminishing. The market located in the basement of the site is not serving its purpose, and additional programs are 3
disappearing with the locals.
4
Microcosm in Community | Dohyun Kim
5
1 2 3 4 5 6
main perspective typeA diagram&drawing typeB diagram&drawing perspective mass design birdeye view perspective
이러한 배경에서 대지 내의 재래시장을 오픈할 필요가 있었고, 단순히 시장이라는 프로그램 만 넣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생활 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환 경을 주거의 주민들이 향유하게 된다. 이젠 홍대의 원 주민들이 진정한 주인이 되는 것이다. 외부 인들이 쉽게 들어오지 못하는 폐쇄형의 매스를 취하고 상가를 통해서만 시장 및 대지 내로 진입할 수 있게 하는 등의 계획은 그들의 privacy를 더욱 지켜줄 것이다. 블록안에서는 마치 인사동의 쌈짓길과 같은 상가 및 시장 길을 주민들이 향유하고, 삽입된 곡 면판 위의 데크를 거닐며 산책도 한다. 유닛 내부에는 최대한 일조에 유리하도록 계획하였는데, 각 각의 주거는 거실 및 중정 또는 테라스가 중심이 된다. 식당이나 거실이 중정 또는 테라스로 확장 되기도 하며, 중정이나 테라스를 통해서 주거 내의 가족들끼리 마주볼 수 있어, 가족이라는 공동체 의 만남의 장이되고, 그들의 삶의 터전인 또 하나의 우주가 된다. The market must needed to be opened, and also re-planned to have comfortable space, which could naturally cause the gathering of locals; the true owners of Hongdae will return. The mass is closed from the outside, and the entrance must be obtained through the lower building, which would maximize privacy. Within the block, a small road with markets and commercials exist, as well as a round deck that serves as a passage for walking. Each unit is planned to have maximum lighting with a central terrace or void. This void can be utilized in various functions for a family. 6
150 | 151
1 2 3 4.1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Distribution Method
Wanki Kim
Prof. Sungik Cho, Ho Lee
1
2
이제 한강은 서울 시내 주거민들에게는 바라볼 곳을 만들어주는 조망 포인트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하며, 시민들의 휴식처, 놀이터가 되기도 한 다. 최근에는 한강 르네상스 사업의 시작으로 더욱더 한강 주변의 가치가 올라가는 현실이다. 사이트인 성수동은 한강에 접해있을 뿐 아니라 한강 르 네상스 사업 대상지의 일부로써 과거와 현재의 한강의 모습을 충분히 반영하고 고려한 설계가 되어야 겠다. 단지의 바운더리 내에서 건폐율을 만족하는 MASS를 세운 후 도시 분석을 바탕으로 도시적 URBAN CORRIDOR를 뚫어 주었고 한강과 서울숲 조망을 두개의 동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MASS의 높이를 조절했다. 정확한 건축선을 결정한 후 최대한 많은 조망과 향, 뷰를 확보하기 위한 매스의 형태 변화를 시도했다. 결국 커다란 MASS의 두개의 L자 형태가 입면적으로 보았을 때 하나는 ㅅ모양 다른 하나는 V모양을 갖는 형태를 만들게 되 었다. 그 과정에서 상 하부로 리테일과 주거동을 분리함과 동시에 그 중간에 주민만을 위한 DECK LAYER를 추가하였다. 리테일 MASS의 형태는 이 용자의 동선을 생각하여 이동자가 움직이면서 마주칠 수 있는 배치를 계획하였다. Han-river is not only a strong viewing point for Seoul, but also a resting area as well as an urban playground. Due to the Han-river renaissance the potential of Han-river is increasing. The site, Seongsu-dong, is a part of this project which has rich remaining of the past. A mass satisfying the coverage is consecutively developed for aspects such as movement, vision, and etc. Eventually, the mass turned out to become an L shape, which by façade could be recognized as the alphabet V and an upside down V. Commercial and residence are distributed by level with a deck layer for the residents. Lastly, the commercial mass is planned for the residents to constantly meet each other. 3
Distribution Method | Wanki Kim
4
1 2 3 4 5
mass diagram unit plan site plan final model perspective
5
152 | 153
1 2 3 4.1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Green Network
Jonghoon Kim
Prof. Sungik Cho, Ho Lee 채소밭이던 성수동은 1960년 이후 중소기업들이 많이 입주해 준 공업지대를 형성하였다. 한강과 중랑천이 합쳐지는 지리적 특성과 중 소기업들이 밀집되어 있는 이점으로 성수 지역은 도심 속 산업단지로 서 새롭게 도약하고 있다. 한강변에 면하여 현재 저층주거가 밀집되어 있지만 개발계획에 따라 초고층 주거로 바뀔 예정이며 그 외 지역의 주 거는 중층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서울숲과 가까운 곳에서는 초고층 주 거가 들어서면서 성수동은 초고층 위주의 도시로 바뀌려는 모습을 보 이고 있다. Seongsu-dong used to be a factory district in the 1960’s due to its unique character of meeting the river. Despite the current housings’ concentration toward the river, they will be rebuilt to high rises.
2
3
1
4
Green Network | Jonghoon Kim
1 2 3 4 5 6 7 8
urban process case study mass process concept diagram final model photo site plan special plan perspective
5
6
판상형 유닛에서의 빈공간은 가변형 공간으로 이 주거만의 넙은 테라스형 정원을 제공하는 타입, 주거와 별채의 형식으로 독립된 방을 제공하는 타입, 넙을 주거와 작은 정원으로 대가족 에게 알맞은 타입으로 구성된다. In flat units the empty spaces are dynamic that could change depending on the usage of the user. 7
8
154 | 155
1 2 3 4.1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Community Roof
Sunghoon Bae
Prof. Sungik Cho, Ho Lee 현대 사회의 가족 구성원은 다양하며 라이프 스타일 역시 다양해졌다. 이를 충족시 키기 위해 각 세대별로 다양한 공간과 단지 내에서 모두가 함께 사용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수직적인 고층 주거동은 좋은 전망과 넓은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전망이 좋지 못한 저층 주거동은 녹지와 테라스를 제공하였으며 한 세대에 두 가구가 함께 지내 도 불편함 없이 생활 할 수 있도록 HOUSE IN HOUSE 개념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Nowadays family members have various lifestyles. To satisfy such variety, each unit requires spaces for each individual, as well as altogether. The higher units have a better view, while the lower ones have their outer space and terrace. A house in house idea is applied for two families being able to live together with no privacy issues.
1
2
3
Community Roof | Sunghoon Bae
4
주거 유닛을 배치하는 단지계획에 앞서, 진입부에서 마주치는 동선이 한강을 조망 할 수 있는 위치로 유도하고 그 곳에서 주민들 의 커뮤니티와 여가, 휴식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상상해 보았다. 이 동선은 결과적으로 대지를 휘감는 서킷이 되었고 단지를 하나로 엮 어주는 지붕이 된다. 이 지붕은 마치 공원의 트랙과 같아서 주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하고 커뮤니티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된다.
5 1 2 3 4 5
final model diagram urban plan process perspective ground level plan
Before planning the units, the entrance and passages are first planned for a comfortable open area. This passage eventually became a circuit going around the site becoming a connected rooftop. This roof will serve as a community space for the residents.
156 | 157
1 2 3 4.1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City on the City
Yoonjeong Park
Prof. Sungik Cho, Ho Lee
1
2
3 1 2 3 4 5 6 7 8 9 10 11 12
4
final model concept diagram birdeye view perspective section drawing site plan B2 plan typical plan unitA plan unitB plan unitC plan unitD plan concept model
City on the City | Yoonjeong Park
6
7
5
8
9
10
11
서울 시민 대부분은 주5일제 이상 일을 하며 주말에 휴식을 취한다. 시민들은 주말의 짧은 시간동안 충분한 휴식을 취하기 위해 외부로 멀리 나 가지 않고 집 근처에서 휴일을 보내고자 한다. 그러나 아파트 저층부의 근린생활시설은 도로에 접해있기 때문에 단지주민들 뿐만 아니라 보행자나 단지 외부의 사람들까지 이용하게 되어 단지 입주민들은 온전히 자신들을 위한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층부의 근린생활 시설중에서 저층부를 단지내 주민들 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이용할 수있는 공간으로 제공하고, 상층부에는 단지주민들만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 을 제공한다. 테라스와 상층부의 주거공간중 일부공간을 야외공간으로 조성하여 단순한 상가시설 뿐 아니라 바베큐 파티, 공연 등 레져와 문화생활 을 향유하고 녹지 공간을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단순히 의식주만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내에서 모든 생활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를 계획한 작품이다. Most citizens of Seoul work on a 5 day week, which usually does not go far away but stays home for their leisure. However, the lower levels of apartments face large roads that are open to public; the residents do not have their own space with service of their own. The lower space will be fully open to public and residents, while the upper residents have their private area. Some of the terraces and residential spaces of the upper levels are planned to be opened for parties, theaters, and leisure activities with green. This project is not simply providing housings, but constructing a city for every life based activity possible.
12
158 | 159
1 2 3 4.1 year
year
year
The Bridge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Sanghun Yang
Prof. Dongho Lee, Nohyun Park
1
수변지역의 공동주택이라는 주제로 시작할 때부터 나는 가볍게 목표를 정하고 시작했는데 이 는 나의 마지막까지 지표가 되었다. 내가 정한 목표 두가지는 첫째, 너무 뻔한 아파트 형태에서 탈피 할 것. 두 번째, 그 형태가 평면이 아닌 외형적인 요소에서 나타나 전체적으로 랜드스케이프적 건축 이 될 것 이었다. 평면이 아닌 외형적인 요소에서 아파트의 형태를 탈피하는 것은 어찌보면 너무 외적인 것에 치 중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긴 했지만 실제로 공동주택에 사는 사람들은 그 환경에 금방 적응하기 때 문에 그러한 단점을 무릅쓰고 진행하였다. 500m가 넘는 이 건축물은 한강 야경의 중심이 될 수 있 을 것이라 생각한다. House of Commons on the subject of the waterfront area from the start, I began to lightly set goals to which the indicator was my last. The goal I set two things first, this sounds all too familiar in the form of apartments that frees. Second, it forms a non-planar shape factor appeared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as a whole was going to be. Non-planar shape of elements in the form of escape from the apartment to look at How can so pin-pointing outward things, but in fact there’s at a disadvantage for people living in public housing to adapt to its environment because it quickly was performed in spite of such drawbacks. More than 500m, the building will be the center of the river at night should expect to be.
2
3
The Bridge | Sanghun Yang
1 2 3 4 5 6 7 8
main perspective site analysis & process perspective block A section block B section block C section unit plan elevation
4
5
6
7
8
160 | 161
1 2 3 4.1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year
Nouvelle Vague
Youjung Lee
Prof. Dongho Lee, Nohyun Park
1
나의 사이트는 수변문화공원의 바로 옆에 위치해있다. 그래서 그 흐름을 이어 상수사거리 바로 옆으로 기부채납을 하여 합정부터 이어져 오는 공원을 끌고왔다. 당인리 발전소 부지 계획들은 주민들의 반발을 사고있다. 충분히 주민들에게 대안을 제시하면서 서울에게, 또 마포구에게 지속가 능한 공원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강변을 따라 여러단면을 끊어서 한강과 대지와의 레벨차와 도로로 막혀있는 통행에 대해 고찰하고 그것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떤 프로그램과 어떠한 방법으로 연결해주어야 하는지 대지분석을 통해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The site is located next to the cultural waterside park. The park is expanded to Sangsu crossroads by donation. The Dangin-ri power plant has been constantly in conflict with the locals; a solution is needed to satisfy them as well as the Mapo government. I studied exclusively the sections of the Han River to solve the level different between the river and roads.
1 2 3 4 5 6 7
2
main perspective site analysis site context unit plan plan drawing elevation section
3
Nouvelle Vague | Youjung Lee
Type A
매스 스터디를 바탕으로 복층의, 엇갈린 형태의 유닛을 만드
는 것을 시작으로 하였다. 윗층은 남쪽으로 조금이라도 뺄 수 있도록 복도 의 폭 만큼 빼었고 그로인해 내력벽 형태의 유닛은 다양하게 나뉠 수 있었다. 입면에서도 들쑥날쑥 엇갈린 테라스가 보여 경관에 경쾌함을 준다. Type A 는 단층으로 되어진 4가구가 모인것으로 배치에서 볼 수 있듯이 복도의 중 간에 대부분 위치해있다. 이 집합주거 가구 대부분이 복층이지만 장애인이 나 노약자등 복층이 불편한 세대를 위해 단층가구를 넣어 다양한 계층이 사 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Type A starts from constructing crossed masses with double floors. The upper mass extends to the south giving a possibility to divide the inner space. This language gives the façade a rhythmical pattern. Four, single level housings are gathered in the center of the hallway. While most units are double leveled, several single leveled units exist for handicapped or elderly users
4
Type B
가장 여러세대가 혼합된 타입으로서 이 집합주거에서 주
를 이루는 4인가족을 위한 주거가 아닌 신혼부부, 젊은 부부를 위한 적 은 면적의 세대도 함께있어 Social Mix를 유도하였다. Type B is the most collaborated type which is not for typical 4-member family, but for small families such as newlyweds or young couples. 5
6
7
8
162 | 163
1 2 3 4.2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SustainableTransformation
year
Sustainable; Contextual Architecture
Jaewon Kang
Prof. Hyeonjoon Yoo
우리가 생각하는 지속가능함은 사실 지속가능하지 않다. 우리가 지속가능하다고 말하는 모든 것 또한 소모품이며 단지 그것이 우리가 지속되기를 바라는 것이어서 우리 스스로가 지속하기를 위한 노력 을 멈추지 않을 때에만 존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지속가능한 것은 결국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고 사람들 또한 그 영향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들을 프로그램에 따라 구획하고 그 안에서 이루어질 activity들을 고려하면서 설계를 한다는 것은 그 안에 서 사용자들이 느끼는 느낌과 생각들을 염두에 둔다는 것이므로, 자연스럽게 현대의 지속가능한 건축이라는 분야를 포함한다. 작업공방에서 가장 적합한 자연채광을 고려한다는 것은 일조량에 대한 고민이고 그 공방에서 생겨나게 될 공해들을 어떻게 처리할 지에 따라 개구부가 뚫리면서 ventilation에 대한 생각을 다시금 하게 된 것이 그 큰 예이다. 정말로 좋은 환경이란 어떤 것이고, 지속가능한 것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 가에 대한 고민은 거창하고 놀라운솔루션이 있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 라 그 기능에 적합하게 작동하고 사람들에게 즐겁고 편리하게 이용되어 그것이 지속가능하기를 바라게 하는 것에서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다.
Sustainable; Contextual Architecture l Jaewon Kang
What we think is sustainable isn’t really sustainable. The objects we currently believe as sustainable are what we believe to be sustainable; they will not maintain its character without constant care. This overall indicates that people needs to recognize the positivity of sustainability for it to be active. Planning each rooms according to their programs and activities is considering the sensations and thoughts to be held in those spaces, which is a modern interpretation of sustainability. Considering natural lighting in workshops, its waste disposal, and ventilation is overall an explanation of how the above sustainability can be created. A big, fancy solution of creating an appropriate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is not necessary. A true, working, modest solution can be found just by considering how the people will recognize its planned function.
164 | 165
1 2 3 4.2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SustainableTransformation
year
The Vertical Art Village
Seungjun Kim
Prof. Hyeonjoon Yoo
예일대학교의 클래식함과 건축&미술 학도들의 무한한 상상력을 함께 공존시키고자 하였다. 구조적 역할을 함께하는 두꺼운 콘크리트의 고전 적이고 정형적인 외벽이라는 틀 속에서 마치 영화속에서나 볼 수 있던 내부공간을 만들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하나의 “집”의 개념으로 생각하여 각기 맞는 크기의 공간을 주었다. 이 ‘집’들은 마을의 개념과 함께 맞물려 작동한다. 입구와 지상층 부분은 마을의 초입부와 광장 및 시장 등의 공공 공간이며, 수평-수직을 이동하는 ‘길’을 통해 자신의 ‘집’까지 이동한다. ‘집’은 ‘마당’이라는 공간을 가지고 이 곳에서 학생들은 또 다른 무한한 상상 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작품이 입구회랑 속 명예의 전당에 걸려 있고 그곳을 거니는 것을 상상해보라. This project attempted to gather the Yale’s classical style and architecture/art students’ imagination. The thick concrete walls creates a classical space through its weight resisting structure. I imagined each programs as a single house, and planned according to this idea, which each house reacts together to become a village. The entrance and lower level are public spaces such as village squares and markets, while horizontal and vertical ‘roads’ exist for people to transport. The ‘house’ has its own courtyard where infinite imagination can be opened. Imagine such a corridor containing your works on its walls and walking through it.
The Vertical Art Village l Seungjun Kim
+6000 plan
scale 1:200
+10800 plan
scale 1:200
inner section planar figure
sequence
+16800 plan
scale 1:200
section perspective
a-a’ section
scale 1:100
south elevation
scale 1:100
north elevation
scale 1:100
166 | 167
1 2 3 4.2 year
year
year
Serial Sight
Architectural Design
SustainableTransformation
year
Unpyo Kim
Prof. Hyeonjoon Yoo
본 프로젝트는 아돌프로스의 밀러하우스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해보는 것이었다. 기존의 프로 그램, 동선, 규모와 밀러하우스의 특징인 라움플랜, 레벨에 따른 위계 등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이 며 친환경적으로 변화, 재구성해보았다. This project is reinterpreting Adolf Roos’s Miller House. The existing program, movement, size, Raum plan, hierarchy, are preserved, while subtle changes are made for ecological, modern reasons.
Serial Sight l Unpyo Kim
168 | 169
1 2 3 4.2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Landmark Remake
year
Seoul NTower Remake - Wedding Ring
Junu Lee, Junggeun Kim
Prof. Seongik Cho, Ho Lee 서울의 도심전망대로서 30년이 넘도록 서울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서울N타워. 하지만 그 전망 방식과 구조는 빠르게 변화하는 21세기 서울의 Active Landmark 에 대한 요구 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서 발상은 시작하였다. 또한 전망 뿐만아니라, 서울시민들의 공통 오브제가 되는 서울N타워는 조형적인 의미에서도 흥미를 넘어 서울의 제 1 랜드마크로서 특별함 을 담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현재 서울N타워의 단순한 ‘먹고 전망하는’ 이용방식을 탈피하고 싶었다. 서울N타워에 직접 가보면 단순히 먹고 보기 보다, 서울의 랜드마크에 자물쇠나 낙서들, 사진들과 같이 자신의 특별 한 의미를 이 곳에 남기고 싶어함을 보며, 서울 N타워의 특별함을 형태와 프로그램 모두 담아내 고 싶었다. 그리하여 서울N타워가 가지는 시민들의 추억과 특별한 의미부여를 상징화 할 수 있는 프로그 램으로 ‘결혼식’을 선택하고, 그 의미를 단순하게 서울 시민 누구나가 알아볼수 있는 Ring과 Cake 의 형태로 결론지었다. Ring은 단순히 타워를 타고 상승할 뿐만 아니라, 서울 야경을 360도 천천히 회전하며 감상 할 수 있는 구조로 고안하였다. 이제 서울에서 하루에 한 커플이 탄생한다. 결혼식은 일몰 시각 1시간 전에 시작, Wedding Ring은 타워를 천천히 타고 올라가, 결혼식이 끝날즈음 최상층에 도달한다. 이 Ring이 꼭대기에 다 다르면, 서울N타워의 등이 켜지며, 오늘의 결혼식이 성사되었음을 선언하는 동시에, 서울 야경의 시작을 알린다. 매일 서울의 모든 사람들이 지켜보는 서울N타워에서 결혼식이 열린다면, 서울은 조금 더 낭만적인 랜드마크를 가지게 되는것이 아닐까? The Seoul N Tower has been the major landmark of Seoul for more than 30 years. However its viewing mechanism and structure does not fulfill the current demand of an active landmark, which is where this project has started. We believe the tower should not only contain its symbolism from form, but also must have some kind of specialty as the 1st landmark of Seoul. This project attempted to escape the usual ‘eat & view’ mechanism of sightseeing. From viewing the small, extra activities around the N tower such as locks with messages, and writings on walls, it can be concluded that people desires to leave a personal meaning in public. The N tower needs to receive such activity in form and program. Thus, a program that could maximize the memories and personal specialty was chosen as ‘marriage’, which was expressed in easy languages as a ring and cake. The ring not only rides along the tower, but also slowly rotates 360 degrees for better viewing structure. The marriage ceremony starts an hour before sunset. The wedding ring slowly ascends the tower, reaching the top about the time the marriage ends. Then the tower lights up, declaring the marriage as well as Seoul’s night view. Having a marriage opened every day; Seoul would have a more romantic.
Seoul N Tower Remake - Wedding Ring l Junu Lee, Junggeun Kim
170 | 171
1 2 3 4.2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Landmark Remake
year
the NEW 63
Seul Lee, Yujeong Lee
Prof. Seongik Cho, Ho Lee
우리는 기존의 서울의 자랑이었던 63빌딩을 없애고 새로운 렌드마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사랑하는 63빌딩을 리메이크 하여 예전의 명성을 되찾게 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 방법은 크게 두가진인데, 첫 번째는 상징성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낮에는 예전과 달리 딱딱 함과 달리 한강과 어우러지는 모습을 많은 시민들이 사용하는 곳이며 밤에는 등불이 되어 여의도 를 비춰주며 표대와 같은 역할을 하는 랜드마크로서 거듭나게 계획하였다. 두 번째 방법은 환경의 기술력이다. 친환경이 자랑인 지금 높이로서 경쟁하는 63빌딩이 아닌 새로운 가치를 도입하여 변화되며 자랑이 되는 랜드마크를 만들어 주려 했다. 자세히 들어가자면 저희가 넣고자 한 상징성 강화나 친환경이라는 요소를 넣을 때 기존에 추가한 것이 아니라 내부 프 로그램을 변형하며 함께 발전시켰는데, 이는 63빌딩이 초고층으로서 넓은 면적의 도시가 담겨져 야 하는데, 크기에 비해 대부분이 업무시설 밖에 없어 이를 함께 개선시켜보았다. 그러면서 우리는 어떻게 우리의 호텔을 차별화 할까 생각하다 이렇게 휴먼스케일을 반영한 호텔을 계획하기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remodel the 63 building and obtain a stronger symbolism. Its symbolism can be obtained by removing its strong visual mass and rearranging its form to associate with the Han River, while at night the building lights up like a lighthouse. The second is ecological technology. The 63 tower requires a new aspect to become a stronger landmark. To describe in detail, the ecological aspects developed along the inner planning; this was naturally required to contain a wide variety of programs into a tower. Considering all of above, we attempted to plan a human-scaled hotel within.
the NEW 63 l Seul Lee, Yujeong Lee
172 | 173
1 2 3 4.2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Landmark Remake
year
Link up with City - Olympic Stadium Remake Huiseop Jeong, Ganghyeon Lee
Prof. Seongik Cho, Ho Lee
2002년 한일 월드컵 이후 서울의 스포츠 메카는 더이상 잠실운 동장이 아닌 상암경기장이 되었다. 매년 감소하는 사용추이에 의해 2010년에는 경기장 연 손실이 100억원을 넘어섯고, 1년에 단 15일 만 사용하는 처지에 이르렀다. 또한 경기장 주변에는 대부분 주거 시설이 위치하고 있어 경기장과에 스케일의 이질성을 띄며, 업무 상 업시설과의 거리 또한 멀어 도시의 섬이 되어 버렸다. LANDMARK 로서의 역할을 위해서는 인지성, 사용성, 대중성을 확보해야 하지 만 갈수록 감소하는 사용성 문제와 Wide type form에 의한 인지 성 부족은 잠실경기장이 LANDMARK인가 라는 질문에 선뜻 답하 기 어렵게 한다. 잠실경기장은 몇 개의 진입로에 따라 인지성의 차 이를 보인다. 그중 가장 인지성이 높은 부분은 봉은교 방향의 진 입로로, 경기장의 인지성이 가장 높은 부분인 이 방향을 개선하여 LANDMARK로서의 경기장의 가치를 높여줄 수 있다. Since the 2002 world cup, the Jamsil stadium is no longer the main Mecca of sports activity in Seoul. Every year activities in Jamsil has reduced that currently the financial loss is about a thousand million KRW, only having fifteen days of activities in a single year. Additionally, the stadium is surrounded with residential buildings that have dysentery in program and scale, ultimately becoming an urban island. To provide the stadium with a landmark character, it must have a stronger functionality and recognition. The wide form shape of the stadium is naturally a defect in this cause. The stadium shows some difference in acknowledgement depending to its approach. The highest route is when approaching from Bongeun Bridge, which becomes the main axis of remodeling.
Link up with City - Olympic Stadium Remake l Huiseop Jeong, Ganghyeon Lee
174 | 175
1 2 3 4.2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Utopia
year
Green Core City
Jonghoon Kim
Prof. Yongsoon Chang, Jaehoon Jung
1
원형으로 된 순환형 도시는 많은 연구와 사례가 있는데 대부분은 전체적인 도시적 스케일의 관점에서는 위계가 없는 균형적인 도시이지만 주거환경에 있어서는 휴먼스케일이 고려되지 않은 도시가 된다. 그래서 컴팩트 시티의 이론을 바탕으로 생활권의 거리를 블록 구성의 기준으로 삼아 서 근린주구 스케일에 입각한 새로운 도시 블록 모형을 제시한다. Many studies exist of a circular city, which most have a balanced scale with no hierarchy, which results in residential units that have no consideration of human scale. Thus, according to the compact city theory, the city block units are reconstructed in result proposing a new city block module.
2
3
4
도시의 확장은 같은 형식의 블록이 붙어나가면서 형성 이 되는데 블록간의 만나는 지점은 네트워크를 만들어 전 체적인 도시 블록간의 소통이 가능하게하고 블록사이에 생기는 결절점은 상업의 중심지, 커뮤니티의 중심지로 발 전을 하게되어 도시의 필요한 주요기능을 담당하는 역할 을 하게된다. The expansion of the city is by attaching such units, while the attaching points become networking points for communication. These points become the center of 5
commercial center that provides essential function for the city.
Green Core City | Jonghoon Kim
1 2 3 4 5 6 7 8 9
main perspective urban process circulation city green space diagram infrastructure nodes transportation transport system
6
7
8
9
176 | 177
1 2 3 4.2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Extreme Architecture
year
Extreme Architecture for Unusual Site
Caroline Mariet
Prof. Younggeun Hahn, Jaemin Yoon
1 2 3 4 5 6 7
idea image idea drawing site analysis section of study solar exposition void analysis idea sketch
1
3
2
4
7
Extreme Architecture for Unusual Site | Caroline Mariet
5
6
7
178 | 179
1 2 3 4.2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Ideal Residence
year
Surfing in the Houses
Chaehyung Lee
Prof. Sangmin Hyun, Jongseo Lee
1
내가 생각하는 이상주거는 “서핑”이다. 서핑은 외부에 자극에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모 습을 보여준다. 자연환경과 주변요서에 적응 하는 것은 극복할 대상에 대한 극복이라 할 수 있다. 외부에 대응하는 방식은 채광이나 사람들의 동선방향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일괄적이지 않은 다양한 방향의 복도와 채광을 위한 채광정을 계획한다. 다양한 유닛의 배치속에 서 뒤섞인 공간이 생성되고 그 사잇공간은 테라스, 가든의 역할을 하며 복도공간 혹은 공중가로로 서 커뮤니티의 역할 또한 하게 된다.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된 평면은 기존 주거가 가지고 있던 기 본적인 고정관념을 깨줄 수 있다.
3
My ideal housing is surfing. Surfing is a natural action that reacts from the exterior. Such organist movement can be acknowledged as an action of subjugation, which could be started from natural lighting and movement. From this unnatural corridors and lighting windows come up. Mixed spaces with terraces and gardens in between spaces function as public community areas. Planning formed in various methods can break the general idea of current housings.
4
5
2
6
Surfing in the Houses | Chaehyung Lee
8
7 1 2 3 4 5 6 7 8 9 10 11 12
9
main perspective perspective concept image ideal house unit diagram final model photo develop unit elevation process mass diagram arrangement diagram plan composition final model
10
11
12
180 | 181
1 2 3 4.2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Ideal Residence
year
Living in Naturez
Wontae Choi
Prof. Sangmin Hyun, Jongseo Lee
1
이상주거 계획안으로 자연 속에 사는 삶을 꿈꾼다. 여기서의 자연은 숲으로 대표된다. 우거진 나무와 풀, 경계 및 공간의 모호합, 투과 및 산란되는 빛등의 특징을 중심으로 4~5명의 핵가족을 위한 유닛을 계획한다. 조합에서는 복도라는 공용공간을 재조명하여 새로운 커뮤니티 공간으로 탈바꿈시켜 다양한 프로그램을 유도한다. Ideal housings are living in nature. The so called nature can be represented as a forest. A unit of four to five families is formed with unclear special divisions, scattered lighting. The collaborated corridors are rearranged to become a new community space for various programs. 2
3
1 2 3 4 4
perspective view concept image concept diagram final model photo
Living in Naturez | Wontae Choi
182 | 183
1 2 3 4.2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Finding Micro City in Macro City
year
Sa-dang Pottery Culture Center / Weaving City
Kwangbon Gu
Prof. Sanghoon Lee, Sun Hur
2
3
1
도시속에 갇혀있는 자연이자, 미발굴 유적지인 백제 도자 요지를 중심으로하여 서울의 도시화로 인해 생겨난 부작용들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 는 사당역 인근 남현동 일대를 문화적, 도시적차원으로 재생시키고자 한 프로젝트이다. 자연과 도시 그리고 인간의 각 영역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서로 엮어 하나의 개체로 설정함으로써 남현동에서 발견한 도시화의 부작용을 해결하 고자 하였다. 설정된 하나의 개체는 도자기를 중심으로 한 문화거리가 될 것이며, 이것은 남현동일대를 재생시키는 도시생명체로서 기능할 것이다. This project is to revitalize the Namhyun-dong district, which is characterized by its nature within the Seoul urban environment, and its numerous artifacts of ancient pottery. The boundaries of nature, city, and human are removed for these aspects to become one, providing a solution of rapid urbanization. Each unit will be a center of pottery culture, which can be a major program for the district’s revitalization.
4
5 1 2 3 4 5 6 7
6
7
birdeye view perspective main perspective perspective interior perspective plan urban structure diagram
Sa-dang Pottery Culture Center | Kwangbon Gu
184 | 185
1 2 3 4.0 year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Graduate Studio
year
逸脫 in to the Ravine of the City
Narae Yang
Prof. Sungik Cho, Taehee Lim
고향인 부산으로 가는 KTX 차 안. 나는 일상을 벗어나 일탈을 하고 있었다. 이 것에서부터 나 의 디자인은 시작되었다. 일탈 逸脫 [명사] 1. 정하여진 영역 또는 본디의 목적이나 길, 사상, 규범, 조직 따위로부터 빠져 벗어남. 2. 사회적인 규범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일반적인 일탈의 정의는 위와 같다. 하지만 나에게 있어서 일탈이란 우리의 일상에서 부서지 고 조각난 파편들을 다시 재조명하고 그것들을 다시 맞추어 가는 치유의 과정으로 나는 서울의 도 심 한 복판에 이러한 일탈의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Within the car heading to Busan, I’m escaping my usual life; a starting point of my project. Escape [noun] 1.
the act of escaping physically
2.
an inclination to retreat from unpleasant realities through diversion or fantasy
逸脫 in to the Ravine of the City | Narae Yang
3. 일상에서 부서지고 조각난 파편들을 다시 맞추어 가는 치유의 과정. 이 공간은 지금의 청계천 광장의 위치에 놓인다. 주변의 차가운 고층빌딩들 사이로 자연의 형 상을 닮은 세개의 벽이 선다. 이 벽을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할 때 기울어진 벽면을 통해 도시 가 걸러지고 일상에서 스쳐지나간 파편들, 즉 자연과 타인 그리고 나를 대면한다. X자 형태로 교차 하는 두 축의 가운데 지점에 서게되면 도시는 완전히 사라지게 되고 위로는 하늘, 앞으로는 청계천 이 펼쳐지는 찰나의 일탈을 경험하게 된다. 3. Process of remedy from recollecting broken parts of normality. The space is placed on the Chunggae-chun square. Between the cold sky rises, three walls are placed. When entering these diagonal walls, the city is filtered, and one meets the parts of normality: nature, others, and oneself. The middle are where the two axis meet, the city is all disappeared; a moment of escape occurs where the sky and Chunggae-chun is only visible.
186 | 187
1 2 3 4.0 year
year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Graduate Studio
逸脫 in to the Ravine of the City | Narae Yang
기울어진 벽을 따라간 시선은 잘린 도시를 보고, 잘린 자연을 보고, 타인의 잘린 단면을 보며 새로운 각도에서 현실을 재조명하게된다. 그리고 빛으로 가득찬 지하 공간에서 나를 되돌아본다. 하나의 벽을 두가지의 레이어로 처리하여 밖에서 보는 면과 안에서 보는 면의 오프닝을 달리한다. 밀접한 두가지의 다른 오프닝을 통하여 걸어가는 관람자의 시선에 따라 입면의 오프닝에 걸리는 타겟의 모습이 다양하게 변화한다. Through the sliced visions of the surrounding city, nature, and activity, a new perspective of reality is provided. And an underground space full of light shows nothing but the view of oneself. A single wall is processed through two layers that have different openings depending on the visible face. Through the different openings, a pedestrian views the target in various perspectives.
188 | 189
1 2 3 4.0 year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Graduate Studio
year
현재의 유산 Urban Franchise
Joonyoung Jang
Prof. Sungik Cho, Taehee Lim 종로와는 다른 인사동거리, 압구정과는 다른 신사동 가로수길, 신촌과는 다른 홍대 앞 풍경 그 리고 용산구 일대와는 다른 이태원동 등, 획일적이며 몰개성적이라는 한국 도시 풍경에 대한 비 판 속에서도 위 사례들은 뚜렷한 정체성을 보이며 성장하고 있다. ‘그 원인은 무엇이며, 그러한 공 간에 걸맞은 건축의 모습은 어떠해야 할까’라는 물음으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수많은 방문객과 임차자 그리고 다양한 프로그램. 그 개성의 용광로(Personality Melting Pot)는 필연적으 로 공간이용의 불확정성을 가져온다. ‘예측불가능한 불확정성이, 오히려 비슷한 성격을 지니며 곧 지역의 정체성으로 연결되는 모순’에 적응하고 그것을 증폭시켜주는 공간설계를 위해, 기존의 건 물을 그대로 입면으로 이용하는 공간을 삽입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물리적으로 제한된 부피를 병렬적으로 확장시키되 공간정체성을 수용/증폭시켜줄 수 있는 Generation Infra-system : Urban Franchise를 제안해보았다. Despite the criticism of Seoul’s straightforward development, several districts succeed in preserving their identity while having economic development, such as insa-dong, sinsa-dong, hongdae, and yongsan. This project starts from pondering the cause of such phenomenon, ultimately attempting to figure an appropriate space for such area. The numerous visitors, rentals, and programs form a personality melting pot, constructing spatial indeterminacy within the area. The previous facades are preserved to express the paradoxical character of these districts; spatial indeterminacy transforms into a common character that defines the area. By such façade, the limited volume can be expanded parallel, that reacts to the urban needs.
현재의 유산 Urban Franchise | Joonyoung Jang
190 | 191
1 2 3 4.0 year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Graduate Studio
year
Light,To the Light
Yunjeong Seomun
Prof. Sungik Cho, Taehee Lim
노을이 지는 저녁, 물에 비치는 노을 빛을 보면서 가슴에 뭉쳤던 감정을 한 순간에 느낄 수 있을까. 내면의 감정을 외부로 끌어내는 것은 어쩌면 공간안에서 외부를 바라보는 마음과 같을지도 모른다. 빛을 보면서 외부로 이끌리고, 다시 내부로 향하는 빛은 공간을 변화시킨다. 빛으로 시작해 빛이 변화하는 그 순간의 과정을 공간에 담아내고 싶다. Will it be possible to experience the total sensation when viewing the sunset and its reflection on water? Possibly the erection of inner sentiment is similar as that of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 exterior from the interior. The light following from inside to outside and vice versa, it changes the space. Such changing sequence through lighting is contained.
Concept Story 땅에서부터 올라온 나무 조각들 사이로 빛이 흐르기 시작하면 아침이다. 사람들은 점차 몰려 들고, 빛의 방향에 따라 이동한다. 때로는 흐르는 빛을 보면서 쉬기도 하고 차도 마신다. 해가 지는 시간이 되면, 내부의 빛들은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한다. In& Out은 빛의 과정이다. 빛의 흐름이 안과 밖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보인다. 그날, 내부로 유입되는 빛은 흐른다. 외부 에서 바라보는 빛은 나누어지고, 점차 빛이 스며들어 온다. 땅의 양각과 음각들은 빛의 양을 조절 한다. When light breaks through the wooden pieces, it is morning. People naturally gather according the light direction, maybe resting or drinking tea watching the lights. As the sun descends, the light slowly diminishes, which is process of IN&OUT. The flow of light and the changing of space are visible through this process.
Light, To the Light | Yunjeong Seomun
192 | 193
1 2 3 4.0 year
year
year
In & Out
Interior Architecture
Graduate Studio
year
Songhee Lee
Prof. Sungik Cho, Taehee Lim
우리는 집에서 안정과 휴식을 원한다. 집이란 항상 그 곳에 머물러 있는 공간이면서 정적인 어떠한 곳으로 생각한다. 주택은 고정된 어떠한 성격 을 가진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것이 매일 변한다고 느끼면 어떠할까? 우리가 집에서 찾는 것은 안정과 휴식일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관념적으로 가 지고 있는 집의 형태에서 오는것일까? 만일 그렇다면 우리는 그런 공간이나 형태에서 안정을 느낄것이다. 하지만 형태공간이 안정을 주지는 않는다. 인간이 가장 안정감을 느낀다는 자궁처럼 집을 만들고 우리가 생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집이 주는 안정감이라는 이야기는 아주 개인적이고 자의적인 해석일 수도 있다. 이것은 내가 스스로 안정감이나 휴식을 만족할 때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집이란 그 공간 자체가 적적하거나 비싸거나 좁은 디자인이라기 보다는 함께 사는 사람과의 공감에서 근본적인 치유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집이란 본질적인 나의 모습을 찾아가는 길? 나와 타자 간의 공감을 통해 성장해 나가는 모습을 만들것이다. in&out을 나와 공간이라고 보고 나, 공간의 공감 형성 과정이 이 프로젝트를 만들 것이다. We demand comfort and rest in our houses, which is a settled space that always stays in its fixed location. People usually recognize a house as an unchangeable object, but what if it changed every day? Does the form of house come from this sense of comfort? If it does, we must feel comfortable in similar spaces or forms, which clearly do not. Comfort is a very personal aspect. I believe that such aspect should not be found in form but its remedial character of living together with someone; a space where one could discover oneself through communicating with others. The concept of IN&OUT is processed as me and space, which is the initiation of this project.
여기에서 내가 말하는 타자는 위에서 말한 가족의 개념이 아닌 나를 분리해서 보는 다른 혹은 비슷하거나 같은 모습이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 타 인이 인식하는 나의 모습을 인정하고 나에게 눈을 돌려보아야 할 것이다. 장자의 호접지몽처럼 물아의 구별이 흐려짐은 나와 공간 즉, 나와 타자간의 공감이 내가 공간이 되는지 공간이 내가 되는지를 잊음으로써 공간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한다.
In & Out | Songhee Lee
이 것은 기존의 삶의 방식과 가치관을 변화시켜 나가는 힘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공간은 매번 나를 다르게 해석하고 이것 은 다르게 보임으로써 그곳에서의 매번 다양하 게 보게된다. What I call as others is not family members but simply is similar forms of myself. We all admit the exterior visions of oneself, but should attempt to view one. This project provides a space that is me and I am the space. In other words, one forgets of the relation between others or space, ultimately recognizing only oneself. This will ultimately change the lifestyle and aspect of life.
만져지고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곳이 진짜일까? 이것이 오히려 가짜가 아닐까? 보이는 것이 비추어진 것이라면, 그림자가 오히려 진짜이고 그림 자를 만들어 내는 피사체가 가짜라면 우리는 지금 그림자 세계에 살고 있는걸까? in의 공간은 관계가 이루어지는 그림자를 만드는 공간이면 out은 그림자의 공간으로 내가 말하는 진실한 공간이다. out은 내가 타자가 되어 나를 돌아보는 곳으로 위의 경험을 풀고 새로 만들어내는 공간이다. 내가 타자화 된다는 것은 in의 세상에서 out의 세상으로의 이탈과 분리이며 in의 세상에서의 분리는 out으로 가고 다시 in으로 돌아간다. 이것은 여러 겹의 겹쳐짐이 계속해서 반복되며 in과 out의 이러한 반복의 과정이다. Is space true? What if it is not? If vision is what is being seen, could the shadows be the true form of its object? A space of IN is a space creating the shadow of relation, while OUT is the true space. OUT is where I view myself. Viewing myself is an experience of separating IN & OUT, each of them changing to each other. These changes stack as layers constantly.
194 | 195
1 2 3 4.0 year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Graduate Studio
year
環 카메라를 위한 건축적 파노라마
Sanghwa Lee
Prof. Sungik Cho, Taehee Lim
사진의 심도 인간이 인식하고 있는 영역, 혹은 의도하는 무엇을 IN, 인 식하지 못하거나 부정하는 영역을 OUT이라고 정의한다. 사 진에서는 이 인식이 형상화된다. 사진 렌즈로 어떤 거리의 피 사체에 초점을 맞추면 그 지점의 앞쪽과 뒤쪽의 일정한 영역 은 선명하게 보인다. 현실의 일부를 순간적으로 잡아내서 연 출하는 것이 사진의 특성이라고 한다면, 사진의 초점과 심도 는 촬영자가 순간적으로 자신의 눈 앞에 펼쳐진 시각적 현실 을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보여주는 단서가 된다. Deepness of photo I defined the area of recognition as IN, and the impossible or defying of such recognition as OUT. Photos reverse this process. If the character of photography is trapping the moment of reality, then the deepness and concentration gives a clue of how the viewer recognizes reality. 2차원 평면인 사진에 나타난 심도를 통해 본래의 피사체와는 다른 3차원 형 상을 조형 CONCEPT MODEL Construction of a different three dimension object that has the same two dimensional recognition.
環 카메라를 위한 건축적 파노라마 | Sanghwa Lee
그러므로 2차원의 평면 속에서도 IN과 OUT의 개념을 인식할 수 있는데, 3차원적인 안과 밖의 개념과는 다른 개념이 된다. 경계라는 점을 생각 해볼 때, IN의 중심에 초점이 완벽하게 맞는 초점면(Focal Plane)이 형성되고, 그 지점을 기준으로 심도 영역이 만들어지고(IN), 연속하여 점차 초점이 흐려지는 부분(OUT)이 나타난다. 따라서 사진의 심도를 IN과 OUT의 개념으로 생각해 본다면 그 구분이 모호해진다. Thus the plan contains the concept of IN & OUT, but the three dimensional space has a different aspect. A focal plane is formed in the IN’s point of view, which forms a deepening space around it, and slowly focuses out. Thus this process removes the boundaries of space.
196 | 197
1 2 3 4.0 year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Graduate Studio
year
IN / OUT의 공간적 해석 IN은 의도된 공간적 효과이다. 끌어들이는 (seduction)공간과 일어내는 공간, 빛, 상승과 하강, 공간에 이르는 과정, 직선과 곡선, 속도감 (시각적인 베르누이 효과), 모호함과 분명함 등 의 건축표현 기법으로 이루어지며 계획적인 동 선으로 공간의 전이 과정을 만들어낸다. 반면에 OUT은 무의식적인 심상을 표현한다. OUT은 의 도되지 않았으나, IN이 만들어짐으로써 공존할 수 밖에 없는 IN의 의도가 담겨있는 그릇이다. IN is a planned spatial effect.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space of seduction, light, ascent, descent, straightness, curviness, velocity (visual Bernoulli’s theorem), and etc. are used to control the pathway. On the other hand OUT describes the unconsciousness. OUT is not planned, but coexists inevitably by IN.
環 카메라를 위한 건축적 파노라마 | Sanghwa Lee
198 | 199
1 2 3 4.0 year
year
year
Fog House
Interior Architecture
Graduate Studio
year
Jisu Kim
Prof. Sungik Cho, Taehee Lim
‘대자연’보다 자연스럽고 더 깊은 감명과 감동을 주는 건축을 어떻게 할 수 있을 것인가가 이 프로젝트의 시작이다. 가벼운 안개가 낀 언덕이라 는 씬과 그 언덕을 걸어다니는 행위에 대한 시퀀스는 다른 모든 자연의 모습보다 특별한 경험일 것이다. 한 발자국에 한 겹씩 안개의 레이어를 벗기 다 보면 마침내 건축과 맞딱뜨리게 된다. 안개의 레이어 말고도 이 건축에는 많은 ‘겹’들이 있다. 그저 감싸주는 겹 말고도 동시에 오히려 공간을 노 출시키는 겹도 있다. 공간도 쌓이게 된다. 공간 속 머리 위로는 훤히 비춰보이는 깊은 풀의 공간이 존재하는데, 이 레이어는 공간에 블러의 효과를 준 다. 이 모든 공간과 면의 겹들은 공간을 더욱 깊고 풍부하게 만들어, 사용자에게 자연속에서도 느껴보지 못한 신비한 자연에 대한 경험을 제공한다. How make architecture, to be more natural and bring deeper impression than ‘THE GREAT NATURE’? Walking through the hill lightly covered with fog. Take the fog layer off one by one with all steps, finally reach the house. In the space also there are several layers ;not just surround but also expose you at the same time -glass patterns. Spaces are layered. Over the head there is transparent pool which also make space blurred.
Fog House | Jisu Kim
200 | 201
1 2 3 4.0 year
year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Graduate Studio
Fog House | Jisu Kim
202 | 203
1 2 3 4.0 year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Graduate Studio
year
Marginal Housing
Soyeon Jeon
Prof. Seongik jo, Taehui Lim
도시라는 한정된 공간 안에 많은 사람이 거주해야 하는 상황 속에서 우리는 전혀 아무렇지 않 게 벽과 벽을, 바닥과 천장을 맞대고 살아가고 있다. 개인의 거주공간에도 버블과 같은 지켜져야 할 영역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면, 단지 도시에 산다는 이유로 우리들의 영역은 너무나 당연히 무 시되어 온 것이 아닐까? 집합주택에서 쓸모없는 것으로만 여겨졌던 ‘빈틈’이라는 요소를 재고해 보고자 한다. 도시공간에서 빈틈이라 우리가 누리기 주장하려는 부분들과 다른 이를 위해 물러나 는 부분을 조정하는 가운데 생겨나는 것으로 보았다. 우선 도시공간 내의 개인들은 최소한의 공 간을 점유함으로써 남은 공간에 여백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비켜섬으로써 여백을 만들어 낼 수 있 는 것이다. Within limited space called city, we face our walls, floors, and ceilings without thinking. When considering one’s life space as a bubble to be preserved, is not the city neglecting such spaces so easily? I attempted to apply crevices within a social housing, which is commonly interpreted as a defect. The crevice is the boundary space between claimed space and yielded space.
Marginal Housing | Soyeon Jeon
5개의 유닛이 한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대지로의 진입은 성곽을 따라 난 높은 길과 한성대 입구역 방향으로부터 진입하는 아래쪽으로부터 올라 오는 길로 가능하다. 따라서 높은 길은 건물 위 옥상정원과 다리를 놓아 연결하였고, 아래로부터 올라오는 길은 차량진입이 가능하므로 주차공간을 두었다. 각 세대로 진입하는 길은 유닛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진입로는 옥상정원을 거치기도 하고 공공공간으로 구성된 홀을 지나치기도 한다. 각 유닛 근처를 지나며 열린 공간을 통해 사용자들은 예전의 골목길을 지나듯 이웃의 자취를 느낄 수 있다. Five units form a single building. The entrance follows the old fortress. Thus the rooftops are connected by bridges with the high level paths. And the lower pathways are emptied for parking. Entrances for each units are placed between them. Overall, the entrances may pass the rooftops or the hallways which are used for communities. Such open spaces provide the identical experience as people used to pass by old alleys.
각 방은 녹지에 면해 있으며 녹지가 있는 공간에는 천창을 내어 빛을 들였다. 루버로 처리된 창은 바람을 들여 공기를 순환하게 한다. 계단은 바닥면의 단차를 생성해 사용자의 다양한 행동을 유발한다. 각 공간은 거실과 같은 하나의 중심이 되는 방을 향해 열려있지 않다. 이러한 배치를 통 해 각 공간은 독립성을 갖게 될 것이다. Each room has its own green space, which receives sunlight through glass ceilings. Louvered windows ventilate the room. The stairways create various levels that create various activities. Each room is not open towards the central living room. By such planning, each room may have their own independency.
204 | 205
1 2 3 4.0 year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Graduate Studio
year
Sorah by Sorah
Sorah Oh
Prof. Seongik jo, Taehui Lim
OUT : 붉은 버블은 인지 가능한 공간을 표현하지만 실재 하진 않는다. 이 도식은 인간은 내부적으로 자신의 주변환경을 완전히 무시한다는 것을 나타낸 다. 그러므로 그러한 공간은 OUT으로 정의 할 수 있다. 버블 외부에서는 인지가 약해서 OUT에 가까워 진다. 버블이 증가 할수록 IN이 증가한다. OUT : The red bubble shows the extent of perceptible space. Here it does net not exist. Which means that the human inside is completely pgnorant of the space surrounding him. And so the space can be defined as OUT. Within the red bubble_IN Outside the bubble_space perception fades and so it gets closer to OUT. Red bubble has been expanded to cover more area and so the sense of IN increses.
뫼비우스의 띠는 여러 개 의 띠로 만들 수 있다. 서로의 띠들은 다른 지점에서 연결 되며, 전체적으로 큰 뒤틀림 을 이룬다. A mobius band may be composed of multiple mobius bands. And each band twists at diffrent points that put together, they make one big movement of twist.
Sorah by Sorah | Sorah Oh
원들을 공간으로 구획했다. 한 원이 다른 곳으로 움직일 때, 사람은 중심에서 비틀림을 경험한다. Applied the circles to space. As one moves from an end of the circles to the other end, one experiences the ‘twist’ at the center.
선들의 끝을 중심에 연결해서 그것들로 원들을 형성했다. 각 개체들과의 각도로 연결했다. Connected the center of the whole line to the ends of each lines and made circles out of it. Applied the angles of each unit to lines then connected them.
뫼비우스 띠들은 기본적인 유닛들로 나뉘어 진다. 각 유닛은 사람이 공간에 진입할 때의 기본적 인 단계가 된다. A mobius band is divided into basic units. Each unit stands for one step which is a basic unit when one moves in a space.
공간적 인지를 뒤틀리는 방법은 물질을 뒤틀리는 것이다. 여기 굉장히 가벼운 재질에 올려 진 육중한 바위들이 있다. 다른 쪽에는 바위들이 하강하여 바닥을 이루고, 가벼운 재질이 되려 천 장이 된다. 상반되는 두 물질을 이용한 최종 디자인이 위에, 반대쪽엔 콘크리트로 만든 형태이며, 반대쪽 은 가벼운 아크릴 프레임을 보여준다. One way of twisting a space perception is twisting materials. Here one has a overwhelmingly heavy stones overhead while standing on a very fregile material. On the other side, the stone overhead comes down to the ground and the fragile material goes up to the celing. The final design in two contrasting materials overhead. One(on the opposite side) in heavy concrete solid form and the other (on the right) in light acrylic frames.
206 | 207
1 2 3 4.0 year
year
year
Interior Architecture
Studies
year
Landscape and Environmental Design
조경 및 환경디자인
Prof. Hongsun Lee 본 강의의 목적은 실제적인 스튜디오 방식을 통해 조경 및 환경 디자인을 이해하고 체험하며, 학생들이 좀 더 폭 넓은 사고와 창의성을 배양하고자 하는데에 있다. This studio tends to increase the student’s acknowledgement and creativity by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lighting and environmental design.
Hyunjin Kim
Landscape and Environmental Design | 조경 및 환경디자인
Sang-a Lee
Hyemin Cha
208 | 209
Introduction of Fifth year
5학년 설계는 5년제 건축학전공 교과과정의 최종 단계로써, 설계의 모든 단계에 걸쳐 필요한 요소들을 포괄하여 종합적으로 설계하는 능 력을 배양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특히 5학년 설계는 1년 과정으로써 기획/계획/기본 설계의 1단계(1학기)와 실시설계/졸업논문의 2단계 (2학기)로 진행된다. 1단계(1학기) 과정은 9월 초순 졸업전시회에 맞춰 자신이 선택한 주제를 자율적으로 발전시켜, 5학년 수준에 맞는 종합적인 설계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도면과 모형 등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완성도 높은 작품을 제안해야 한다. 1단계 평가는 최종결과물/중간과정/포트폴리 오로 구성된다. 2단계(2학기) 과정은 실시설계 단계로써 계획/구조/설비 교수 및 다양한 건축분야 전문가들과의 크리틱/자문/협업을 통해 1단계 과정의 건축 계획을 더욱 심화하여, 구조/설비/기술 등 다양한 건축적 요소를 전체적인 주제와 개념에 맞춰 종합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특히 12월 초 졸업심사에 맞춰 적절한 수준의 도면과 논문, 포트폴리오가 준비되어야 한다. The fifth grade is the final year of the architecture major, where its purpose is to grow one’s talent of total design. The last year is especially a one year process that its first semester is fully concentrated on planning, and second on architectural detail and graduation thesis. The first semester is the time to develop one’s graduation work with its dead line in September. Drawings and modeling appropriate for fifth year quality is required with mixed media. The first evaluation is based on exhibition, middle evaluation, and portfolio. The second semester focuses on architectural detail of structure and utilities that professors of various fields provide feedback. Each field of structure, utility, and technology must be cooperated with the overall theme proposed in the first semester. Especially, plans, papers, and a portfolio must be prepared for the final evaluation in December.
210 | 211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Differentiation
Jonghoon An
Prof. Hahn Joh, Kyungran Kim, Kanghyuk Son
‘홍대에는 홍대가 없다’ 자기발생적 지역정체성을 가졌던 홍대앞에 더이상 홍대는 없다고 야단이다. 홍대의 지역정체성의 생산주체인 예술가가 홍대의 개방성을 담당 하는 상업에 밀려난 결과이다. 그러나 홍대에는 아직 회생의 희망이 있다. 상업화로 지역문화를 잃어왔던 우리들은 이제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에 공 간적, 제도적 지원이 요구된다. 홍대 지역문화의 발생과정과 홍대의 도시공간의 구조를 분석, 적용하여 홍대앞의 정체성과 개방성을 내포한 문화상 업 시설을 제안한다. ‘There is no Hongdae in Hongdae’ People are whining about Hongdae losing its self-occurred identity. The major culture creators of this district, artists, have been pushed off due to commercial needs. However, Hongdae still has its possibility to regain its character; to obtain this; spatial, systematical support is required. I propose a cultural-commercial facility from analyzing the urban spaces of Hongdae.
Differentiation | Jonghoon An
1
2
3 1 2 3 4
final model site analysis plan drawing final model photo
4
212 | 213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Re + Cognition Strata of Seochon
Bora Lee
Prof. Hahn Joh, Kyungran Kim, Kanghyuk Son
서촌의 한옥 처마/기와들이 사람들에게 그 ‘서촌’의 고유함을 인식하게끔 해준다. ‘서촌’에 소외된 한옥 공간과 현존하고 있는 현대식 건물의 접 목과 재해석을 통해 전통의 물성뿐만 아니라 시각적/촉각적 자극으로의 한국적 공간과 이런 공간의 체험을 통해 전혀 낯설지 않고 집같이 편안한 공 간으로서 ‘서촌’을 인식하게끔 하고자한다. (사람, 건물, 재료, 기억의 코딩을 통한 ‘서촌’의 재인식) 즉, 서촌의 ‘Re + cognition’(‘재인식’)이라는 컨셉 으로 잊혀지고 소멸해가는 ‘서촌’을 다시 인식시킴으로써 사람들의 기억과 역사속에 오래도록 남게 하고자한다. The traditional roof structures of Seochon are what people recognizes of its traditional character. The isolated traditional spaces of Seochon and its reinterpretation with surrounding modern buildings will provide a comforting, and natural space which can be recognized visually and in tentacle means. Thus, Re + cognition is the concept of revitalizing Seochon to make it last in people’s memories.
무차별적 개발과 급속한 변화로 획일화 되 어가는 도심이 점차 확장해 나갈수록 기존 땅들 은 고유한 성격과 전통, 본질을 잃어가고 있다. 그 도심 속에서 아직까지도 그 땅만의 고유성을 간간히 고수하는 소수의 영역들이 존재하고 있 으나, 주변과 이질적 성격으로 인해 도시 안의 도시섬처럼 고립되어 점차 소멸하게 되었다. 이 런 현상이 현저히 나타나는 역사 공간이다. As the unified urban is rapidly expanding, the existing lands are losing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There are only several districts where they still maintain such character, but are completely isolated within the city as urban islands. These phenomena are especially found in traditional spaces.
Re + Cognition Strata of Seochon | Bora Lee
CONCEPT
DESIGN ELEMENTS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 멀어진다.’ 높은 빌딩 사이에 파묻혀 점점 가리워져서 소멸 되어가는 공간들이 늘어나고있다. 시야에 서 멀어지면서 사람들이 인식하기 어려워지고, 그러면서 점점 그 장소에 대한 향수와 추억마저 잊어버리게된다. 차츰 우리의 기억속에, 그리고 흔적없이 그 장소는 사라져 없어진다. ‘Lost in vision, lost in mind’ Invisible spaces stuck between high rises are dying. Due to its invisibility, people are forgetting about such spaces, as well as its spatial character and memories.
214 | 215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Revitalization of SiteThrough Spacial Recognition 시간 변화에 따른 서촌의 도시화. 그리고 도시화가 되면서 잊혀지고 묻히는 서촌. 서촌의 도시화로 인해 현재 서촌의 묻히는 경관 스터디.
1. Current Skyline Statis 2. Elimiation of Buildings 3. Flat Photography 4. Recognition of Further Space
7. Boundary of Building-layer 8. openning of space 11. blocked view of buildings 12. open view
‘흔적’ 존재하는 현대식 건물의 형태도 역사로서 비중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 공간의 흔적들 을 디자인적 요소로 이용하여 사람들에게 공간 을 인식시키고 기억에 남도록했다. 아직까지도 남아있는 역사지의 터의 흔적에서 영감을 받았 다. 이를 이용하기 위해 현대 건축물의 기둥을 프레임으로 구축하였으며 현대 건축물들의 터 를 그대로 두어 수공간과 매스를 디자인했다. - 공간/골목길의 연장 ; 공간감, 재질, 폭, 성질 등 ‘Traces’ I believe modern buildings have their history due to their forms. Thus the spatial traces are used for designing aspects for recognition, which were inspired from historical remains. To use these traces, the framings of existing structure were utilized for construction, on the historical sites to create the masses. -Extension of space/alleys ; space, material, width, character, and etc.
13. Unpredicable Space 14. showing of han-ok 15. site perspective 16. anticipated view
Re + Cognition Strata of Seochon | Bora Lee
Memorial Wall 1 서촌의 중요 역사축을 구축하여 세운 역사벽을 통해 서촌 전반 의 문화와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Entrance Wall. A history wall along the historical axis of Seochon will be an entrance wall where the general history and culture could be experienced. Art Studio & Gallery 옛 서촌 중인 마을의 전통을 이어, 기성세대 예술가들의 작업공 간을 조성하고 역사/문화적인 맥락을 이어가고자했다. 낮에는 솔리 드한 매스감과 밤에는 (엇갈리게 설치한) 벽돌 사이로 빛이 투과되 는 성질을 이용하여 경계건축공간을 더 인식시킴으로써 경계를 허 물고 활성화함. Studios for historical art are formed to extend the tradition. Solid masses in day time, and light breaking through the brick walls are utilized for recognizing the spatial boundaries.
Madang Plaza 2 L1층은 주거민들의 부족했던 OPEN SPACE와 방문객들을 위한 전통 문화 놀이 광장 The ground level is open space for public.
216 | 217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Fermantation Storage + Memorial Waterscape 3 B1층은 장독대 보관장소로 주거민들이 필요로했던 공공 보관소 겸 외국인들의 관광을 위한 문화체험공간. The basement is for preserving fermentation storage, as well as providing cultural experience for foreigners. Axis-Gallery 5 서촌의 역사축을 따라 방향성을 제시해 준 매스로써 OBSERVATION DECK, MEDIA ROOM, GALLERY가 있다. 그중 AXIS-GALLERY는 FACADE와 OPENNING을 의도된 방향을 향해 보게끔하여 서촌내에서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인지 할 수 없는 모든 공간들을 이 공간을 통해 인지하게끔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The mass is placed along the historical axis of Seochon with an observation deck, media room, and gallery. The Axis-Gallery has openings in its façade to control the view of the users so that the invisible spaces can be directly viewed. Seochon History Museum 4 MEMORIAL WALL - MEMORIAL WATERSCAPE까지 이어지는 역사 흐름을 이어 뮤지엄 을 디자인했다. 서촌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였다. - 지하층 DESIGN ; 역사와 전통흐름 - 지상층 DESIGN ; 역사의 현대적 해석과 흐름 The flow of space from the Memorial wall to the Memorial waterscape is the main design for the museum, which is the total space for experiencing the traditional values of Seochon. -Basement design: tradition and culture -Ground level design: modern interpretation of tradition
Re + Cognition Strata of Seochon | Bora Lee
218 | 219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異taewon, Behind Story
Ilhong Baek
Prof. Hahn Joh, Kyungran Kim, Kanghyuk Son 도시의 개방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길을 뚫고 눈에 보기 좋은 것들이 들어온다. 사람들은 처음에 이러한 경관들에 열광하지만 결국에는 이 것들이 모여 무미건조한 도시들을 만들어낸다. 지금의 서울 재개발 논리도 이과 다르지 않다. 이런 삭막한 도시에서 사람들을 잃어버린 무언가를 찾 으려 도시를 헤멘다. The opening pace of the city is accelerating. Roads are opening with endless attractive are entering. People at first enjoy this phenomena but ultimately is what constructs a meaningless urban, which is the same logic of the current Seoul’s development project. In such city, people wander searching for something that is lost.
열림만을 추구하는 도시는 오히려 균질한 도시가 되어 버린다. 이러 한 도시에서 재미를 찾기란 어려우며, 다양성 또한 찾기 어렵다. 이에 이 태원 중에서도 개발 논리가 아직 닿지 않은 이태원의 과거 역사를 담고 있는 공간에서 그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A city only for opening is ironic due to its repeated order. In such city, attractiveness and variety does not exist. Thus, a district where such development has not been made, Itaewon has its potential.
異taewon, Behind Story | Ilhong Baek
220 | 221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이태원의 외부공간은 흐름만 있고 정주공간이 없다. 이에 사이트 주변에 시간별 이용자들이 쉬어 갈 수 있는 정주공간을 제시한다. 사이트 내에 있는 주거공간은 더이상 바라만 보는 공간이 아니다. 공간들이 가지고 있는 과거의 FOOT PRINT는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이태원을 이용하는 사람 들과 거주민들의 적극적인 교류형성을 하는 공간으로 재탄생된다. This project is intended to suggest future direction of design in both external and internal way in Itaewon area by changing retarded image of the place in a aesthetical perspective and considering the place-identity which will activate the real community and be able to make living and work environment better.
異taewon, Behind Story | Ilhong Baek
도시재생에서 공간만의 재생이 아닌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 및 도시의 이미지 증진에 염두를 둔 진정한 도시재생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간 중 심의 사회·문화적 환경의 구축뿐 아니라 지속적인 삶, 커뮤니티의 보존, 그리고 지역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한다. 또한 세계화라는 제 한된 조건과 시간 속에서 무리하게 큰 계획을 세울 것이 아니라 기존의 주변을 지속적으로 재생하고 지역 커뮤니티의 간극에 연속적으로 간섭함으 로써 새롭게 형성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수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A study of community identity is necessary when revitalizing its local urban environment, which not only constructs distinct environment but also sustainable life. In addition, in a time of globalization, rapid development is not the solution but a slow and constant preservation of that area is one.
222 | 223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Imploving Heterogeneous Environment in Donui-dong 103 Seungwoon Baek Kim
Prof. Uk Kim, Hyun-a Kuk, Kanghyuk Son
도시와 그 주변의 지역은 서로 다른 오더와 형태로 생성되고 발전되어왔다. 오더는 근본적으로 도시를 변형시키는 규칙이지만,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상태에 따라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이다. 도시와 그 주변 지역의 발전은 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던 것이 아니라 다양한 주변환경 속 에서 복잡하게 발전되어 왔던 것이다. 그 주변환경이랑 지역 자치 정부일수도 있고, 그 지역 사람들의 삶, 또는 도시 내부에서의 상대적인 크기일수 도 있다. 다른 방면으로, 우리는 한 지역에 새로운 요소들을 대입하고자 한다. 하지만 도시는 이미 자연스럽게 여러 요소들에 반응하여 발전되어 왔었지 만, 쉽게 없어지곤 하였다. 이 사진은 여러 규칙들 속에서 존재하는 공간을 명백히 보여주는 공간이다. 이런 파생은 도시의 과거에서 파생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의 목표는 위와 같은 공간들을 발견 하는 것 과 재해석적인 건축을 통해서 주변과의 어울림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City and development of local area have been created and developed by different kinds of orders. Orders that could change the city weren’t immutable conditions; it`s sort of relative conditions that had been changed as it’s character and certain period. City and development of local area haven’t been settling one way. It has been developed by various conditions complicatedly. It could be settled giving environment and could be settled life pattern or scale of city. On the other hand, we actively could make new factors for certain local area. City has been developed on their way as those factors have been adapted to city naturally. Characteristic of city that has been formed would be holding out for a long time but it would be disappeared easiliy. Image of this picture is the represent example of desperate space that has been existed by different rules. This differentiation could be interpreted as background of city’s formation proces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discovery of desperate space and suggest reinterpreting architecture that could be associated with surroundings image.
Imploving Heterogeneous Environment in Donui-dong 103 | Seungwoon Baek Kim
224 | 225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Composition Process
Recomposition
Reclassification
Harmony
Concept Diagram Composition Process AND Model Photo
Imploving Heterogeneous Environment in Donui-dong 103 | Seungwoon Baek Kim
226 | 227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Progressive sequence
Composition Rule
Program Diagram
Imploving Heterogeneous Environment in Donui-dong 103 | Seungwoon Baek Kim
Room
Kitchen + Bath
Open space
유닛 연구 사용자는 일반 구역 (부엌, 화장실, 등)을 도달하는데 가장 개인적인 공간들을 지나야 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Type A-1
Type B
공동적인 공간속에서 외부인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우연 이 아닌 선택에 의해 주어 질 수 있다. Unit Study
Type A--2
The occupant would reach the comon areas(kitchen, bathroom) after pasing thru the most private area, ones room. By doing so, the occupant is able to meet strangers inside the common areas through choice rather than inevitability
228 | 229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A New Water Line
Kibum Song
Prof. Uk Kim, Hyun-a Kuk, Kanghyuk Son
21세기 말까지 인간의 활동에 의한 지구 온난화로 지구 평균기온이 최대 5.8℃, 해수면은 최대 120cm 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많은 국가들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의 영향의 자국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예상되는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을 사 전에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방안 수립에 많은 노력을 경주해 오고 있다. 기후변화는 산업 활동의 제약 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존 형태 자체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향후 적절한 대응이 매우 중요한 과제일 수 밖에 없다.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이라는 추상적 관념을 구체적인 사이트를 통 해 우리의 인식 안으로 가져오려는 노력을 하고자 한다. 해수면 상승 영향에 대한 적응을 고려하는 경우 먼저 적응이 필요한 장소 및 대상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과거 수운의 중심지였던 장항이 금강 하구둑의 건설(육로의 발달)로 잃어 버린 역사적 위치를 찾는다. -금강 하구와 충남의 edge에 위치한 장항은 20년 뒤 새만금 간척지의 발전에 대하여 균형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생태계를 연구, 복원하여 기존에 가지고 있던 생태계의 질서를 되찾는다. 온실가스 감축의 어려움과 해양의 관성으로 인하여 21세기 해수면 상승은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면 상승에 대한 적절한 대응은 도 시의 활력을 불어넣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필연적으로 무너지는 토지와 물의 경계에서 기존의 대지(site)를 재정의 (redefine) 하고 재계획 (redesign) 하여 대지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다. During the 21st century the average temperature of Earth has increased 5.8 degrees Celsius, and the sea level has risen for more than 120 centimeters. Numerous countries recognize the potenti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re supporting its proposals of to stop global warming. Such climate change not only diminishes industrial development, but directly changes human lifestyle, which is inevitable of being an important task of mankind. This study utilizes the aspects of climate changing and rise of sea level corresponding with a detailed location, thus attempting to inform people of the problem. An evaluation is first required for an appropriate location which could be affected by increase of sea level. A study to discover the lost historical status of Jang-hang, a past central of water exchange, due to the development of roads. -Jang-hang is located on the edge of the lower end of Geum River and the boundary of Chungnam district, which needs to be developed in balance with the Saemangeum reclaiming land. -A thorough study of local nature should be held to rediscover the ecology. It is inevitable that the sea level will rise due in the 21st century. When utilizing this increase of level appropriately, a new opportunity can be discovered in cities. The existing sites should be redefined depending on the different levels and should be redesigned for new values.
A New Water Line | Kibum Song
Waterfill = Future
Based on conservative projections, an increase of sea level by 60cm is anticipated by 2080, covering apploximately 50% of the Janghang port under water at low tide.
Taking into consideration Rapid Ice Melt Scenario projections, a rise of 120cm in sea level is anticipated by 2080, covering 30% of the city at high tide.
Flood levels for 100 years storms will generate a 240cm rise in sea level by 2080, these storms will come over 50% of the city and it will disrupt almost every facilities
230 | 231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Green Space Concept
Legend
Salt marshes create soil stability.
Natural Green areas
Mud flat
Agricultural Green areas
Sandy areas
Grassy areas
Caracteristic Single trees
Wetlands
As sea levels rise plant zones will shift accordingly
Flood Protection Concept
Legend Existing buildings
Fire brigade access
Proposed buildings
Existed main dyke line
Potential building areas Height = +2.40m above normal water level Tidal areas
A New Water Line | Kibum Song
Spatial Distribution of Type
Legend Residential
Preserve
Recreation
Port
Agricultural
Core area
Research
Aquacultural Community services / sports fields
Traffic Concept
Legend Main connecting road
Water circulation
Tram stop
Primary passage and cycle path
Water side walk
Bus stop
Foot path connection
Tram line
Docking for harbour ferries Catchment radius bus r=300m Catchment radius tram r=250m
232 | 233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Intergrowth; 合生_연속적 삶과 불연속적 건축의 조화
Kyungsik Kim
Prof. Youngsoo Lee, Il Cho, Younggil An
‘합생’은 건축물의 자기 완결성에 대한 의심에서 출발한다. 우리가 주변에서 보고 있는 대부분의 건물들은 하나의 완결된 개체로서 존재하며, 건 축된 시점 그 이후의 시간에 대한 대응 방식은 진지한 고민의 대상이 아니었다. 그 결과, 건축은 그 안에 포함되는 삶과 그것의 지속적 변화를 수용하 지 못하고, 삶과 건축 사이의 간극과 괴리는 심화된다. 그러한 괴리의 양상은 대부분 건물의 철거와 신축으로 이어지거나, 건물 자체가 빈 채로 버려지 는 결말로 나타난다. 또한, 기존 건물에서 이탈한 용도가 새로운 건물로 옮겨가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들 모두 기존 도시적 맥락과의 단절 및 불연속을 초래하며 컨텍스트의 안정화를 저해한다. 결과적으로 도시가 갖는 지역적 특성은 상실되고 모든 도시들이 점차 동질화되는 현상이 가속화되어 왔다.
Intergrowth; 合生_연속적 삶과 불연속적 건축의 조화 | Kyungsik Kim
‘Intergrowth’ starts from doubts of completeness. Most buildings around us exist as self-completed objects, not considering its utilization after construction and its reaction between each other. In result, buildings have failed to contain the constantly changing activities, creating alienation between life and structure. This alienation does not diminish after reconstruction of destroying of a building, but moves on to the new one or other buildings. In such cases, it strongly disturbs the urban context by its barricading of spaces. In result, local identity is lost and the entire city is becoming united unattractively.
234 | 235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utiliza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
site specification
제거되어질 건물 중 구조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건물. 기존 건물의 구조는 이후 지어질 몇 채의 건물에 사용될 수 있다. 프로그램상 부조화와 건 물의 노후도 빈건물을 토대로 정해진 ‘솎아낼 영역’ 각각의 영역들은 주변상황에 따라 몇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removed buildings could be utilized. According to the programs, utilization of buildings, and emptiness of buildings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usage.
Intergrowth; 合生_연속적 삶과 불연속적 건축의 조화 | Kyungsik Kim
236 | 237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Intergrowth; 合生_연속적 삶과 불연속적 건축의 조화 | Kyungsik Kim
반면, 건축이 연속적 삶의 변화에 대응하는 점진적이며 적절한 방식을 찾았을 때 건축과 그 안의 삶은 도시적 맥락 속에서 조화롭게 성장하며, 나 아가 그 건축이 속한 도시의 전반적 가치도 함께 성장할 수 있다. 건축이 땅을 점진적으로 점유해 나가거나 혹은 도시의 모습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 는 방식을 취했을 때 건축은 삶에 있어 배경으로서 존재하게 될 것이며, 이는 바로 건축이 존재하는 본질적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시간성에 대응한 이 러한 점진적 접근 방식은 우선, 도시의 컨텍스트를 연속해 나간다는 측면에서 사회, 문화적인 지속가능성을 의미한다. 안정된 환경 속에서 인간은 편 안함을 느끼며, 이웃과의 소통을 지속해 나갈 수 있다. 점진적 방식은 한편,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에 대응하여 유동성을 부여한다는 차원에서 매우 실제적, 실용적이며 경제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삶은 본질적으로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하며, 건축과 도시는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해 적 절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 When architecture discovers an appropriate method of reacting to changing lifestyle, the city can cooperatively grow with its people. As architecture slowly consumes land or changes accordingly to change it can become the background of people’s lives, which is the true value of architecture. Such approach method of time means the social, cultural sustainability. This approach method is economical since it guarantees its ability to contain despite the unexpected changes in the future.
238 | 239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Urban Cloiste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Sehee Lee
Prof. Younggun Park, Sungjun Lee, Junghyun Park
현대 교회의 예배에 대한 개방성과, 사회를 향한 확장적 기능은 건축적 공간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 “WORSHIP REFORM >>> ARCHITECTURAL RENOVATION” 오늘날 현대 교회 건축에서는 개인과 교회 공동체 내부, 외부 지역사회의 3가지 소통관계 측면에서 공간적 관계의 회복이 필요하다. 1. 외부로부터 배타적 경계요소를 회복하는 외부공간과 교회 공간의 관계 2. 내부의 지역사회 커뮤니티 프로그램과 예배공간의 이질적 프로그램간 공간의 관계 3. 신과 인간의 예배의 본질 회복과, 능동적 예배 참여를 위한 예배공간의 초월적 관계 Modern churches require spatial changes due to the changes of worshiping. “WORSHIP REFORM >>> ARCHITECTURAL RENOVATION” Modern Churches requires spatial changes based on three communicational aspects. 1.Public spaces that remove isolating character of religion. 2.Relation study between inner community and worshiping. 3.Restoration of God-Human relation and its relation between superficial worshiping spaces.
Urban Cloister | Sehee Lee
“선형 중심축”- 도시공공공간의 일상생활 공간화 목동 신시가지는 주거지 전체를 관통하는 선형적 중심축을 정점으로 각 가구를 순환해 나가는 보행공간 및 보행광장이 주어져 있다. 신시가지 를 관통하는 목동중심축 도로가 전부 일방통행으로 설계되었고, 보행로를 구축하게 된 것이다. 현재는 자전거전용도로 또한 선형축을 따라 구비되 어 있다. 또한 중심의 선형축에는 상가시설과 공원이 들어서 있으며 이들은 각각의 단지와 보행로를 통하여 루프형식으로 연계되어 있다. 이 축은 주 거지 전체의 중심적 생활공간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각 가구의 구심적 공간으로서가 아니라 연계 및 중첩의 공간으로 작용하여 주거지 전체를 묶어 낸다. “Linear Axis” – Urban public transformed to normality Mok-dong district have linear axis that circulates the numerous residential buildings by providing pedestrian movement and squares. The central road is completely planned in one-ways. Currently, even bicycle roads are constructed along these roads. This axis is not only functioning as a major living space, but also connection and stacking of different spaces.
240 | 241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수공간, 나무그늘과 함께 대예배당까지 미로적 여정을 통한 점진적 진입을 하게 하여, ‘순례’행위를 통해 예배공간까지 오는 여정에서 예배에 참 여하는 의미를 주고, 개별자의 예배행위를 확대하고자 한다. 지하 선큰레벨부터 지붕에 까지 위계적 마당과 경사로를 통한 수직 동선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예배공간과 커뮤니티 공간(도서관, 메모리얼홀, 친교실) 사이를 전이시켜 주었으며, 내 외부 공간의 연속적 경험을 통해 다양한 공간의 서 사성을 주고자 하였다. 예배공간과 커뮤니티공간은 수직적 빛을 통해 시각적, 심리적 연결성(phycological connection)을 갖게 되며, 지역주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묵상, 사색, 순례, 학습, 기억, 친교 등 예배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회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
Urban Cloister | Sehee Lee
Water landscaping, tree shading, and the main chapel are connected in a labyrinth method for steady entering, which emphasizes the act of pilgrimage. From the lower sunken to the hierarchical ramps are utilized for vertical movement for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programs, which provides sequential experience. The worshiping space and community space are closely related, as well as containing the various activities of churches.
242 | 243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Vegetation + Integration
Daehee Cho
Prof. Hyunjoon Mihn, Soonsup Choi, Taehyung Lee
사이트 옆 미군기지는 일제시대때 일제 병참기지로 사용되어왔다. 1899년 경인선이 개통되 고 이곳은 서울로 군수품을 나르던 기지로 활용되었다. 6.25이후 미군과 국군의 병참부대로 사용 되면서 군수품을 운반하기 위한 철로가 생기고 이 곳을 주변으로 무허가 판자촌이 형성되었다. 그 러나 군사시설에 맞닿아있는 대지는 출입이 통제되어 사람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던 중 에 80년대 부평역 일대가 개발되면서 이 주변으로 아파트가 건설되었고 학교도 생겼다. 하지만 군사시설인 철로로 인해 사이트 주변은 개발이 제한되었고 대지는 도심속의 섬처럼 남게되었다. 2002년 미군기지 일부가 부영공원으로 바뀌었고 2016년까지 미군기지 전체가 공원화 될 예정이 다. 미군기지의 이전 후 주민들의 공동체기관으로서 사용될 산곡동 일대의 대지가 지닐 수 있는 역 할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The American military base next to the site has been used for military usage since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has been used for a supply base since 1899. After the civil war, a railroad has been constructed and along it an illegal ghetto has formed. During the 80’s a train station and residential buildings were constructed in the local area, but the site was left isolated until 2002, when its program was designated as a park with a plan to be redesigned for the American troops by 2016. This study focuses on the potential of the site after the American troops move out.
Vegetation + Integration | Daehee Cho
Concept
Design Concept
Seasonal Image
Mass Design
Site Collage
사이트의 가장 오른쪽은 통근자들이 생필품을 살 수 있는 매점공간이 위치하여 하나의 매스 안에 포켓형식으로 들어가는 매스를 구상하였다. 왼편으로 텃밭을 일구는 사람들이 텃밭에서 나 온 작물들을 팔 수 있는 마켓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오픈된 공간이 위 치해있다. 사이트의 중앙에 위치한 보육원과 노인정 공간은 중심적인 공간으로써 어린이들을 보 며 어른들이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공원으로 바뀌는 곳과 가장 가까이 위 치한 카페, 자전거 보관소의 매스는 새로운 곳으로 들어가기 쉽게하기 위하여 방향성을 띄는 매스 를 구상하였다. The most right corner of the site has commercial facilities, which are represented as pockets in a mass. The left contains a market for farming locals with easy access. The center has education centers for elders and children could gather together. The closest area to the park has cafes and bicycle storage masses that has directional value.
244 | 245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User Path + Sequence Diagram
Process
크게 이 곳을 사용하는 계층은 동서로 이동하는 출퇴근자와 남북 방향으로 이동하며 사용 하는 어린이 계층이있다. 따라서 계획을 할 때 어른들과 어린이들을 9가지의 서로 다른 계층으 로 분류하여 이들이 주로 이용할 수 있는 동선을 계획하였다. Most users will pass this site in a North-South direction, who is children. Thus the planning is based on dividing the people in nine classes and their movements.
Before & After Image
Vegetation + Integration | Daehee Cho
Section Plan
Landscape Concept
246 | 247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A. Ramp to Roof
B. Pocket Space
C. Entrance
D. Alley
F. Walking View by Linear Patterns
North Elevation
E. Market Street
Vegetation + Integration | Daehee Cho
I. Seasonal Change
H. Children’s Garden
G. Vegetation Plan
248 | 249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Ahyeon Bazar_the Renaissance Prof. Juwon Kim, Hyunee Kim, Junghyun Park
Hyunyong Park
Ahyeon Bazar_the Renaissance | Hyunyong Park
재개발 사업의 가장 큰 문제는 낙후 주거지에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위치한 재래시장이 많기 때문에 주택 재개발 사업과 재래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이 연계되어 상호 보완적으로 계획이 수립, 시행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서 많은 재래시장들이 뉴타운 사업지구의 주상복합, 상가 등으 로 대체되고 있다. 서울시의 재래시장 활성화 계획안으로 인한 시설 개선이 아직 되지 못한 재래시장 중 우선적으로 뉴타운 사업지구에 포함되어 주 택재개발 사업과 함께 전면 철거의 위기에 놓인 서울시 마포구 아현동 소재 아현시장을 대상으로 시장을 포함하여 그 인근 주거지의 재생을 목표로 하였다. 대상지를 아현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특징과 문제과 특징으로 구분하여 상품 유형, 물류 수송, 유동 인구, 가로 공간 등 다양한 항목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는 지역을 4개의 블록으로 구분 가능하였으며, 각 지역별로 대표 유형을 선정하여 구체적으로 각 지역 이 가진 특징을 반영하여 재래 시장 및 도시 재생 계획을 수립하였다. Remodeling projects has its utmost problem from lacking interacting planning of the traditional, existing markets. In result, numerous markets are forced to be transformed into compact, commercial buildings in a Newtown redevelopment. The market of Ahyun, which was first selected as Seoul’s market preservation project, is as well included in a Newtown redevelopment project in its local area. This study is to revitalize this market. Analyzing the pros and cons of the Ahyun market, its products, circulation, population, roads, and etc. the site is divided in four blocks; each having their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250 | 251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네 개의 유형이 공통적으로 추구한 재래 시장의 활성화 방안은 시장 가로 중 심의 동선 배치, 직주 일체의 유형 제시, 물류 수송 서비스 가로의 재배치. 가변형 shop front 계획, 주거 공간 설계, 상품 유형의 재배치, 차양 구조 및 경관 설계이 다. 이러한 요소들이 재래시장 일대의 건물들에 반영되어 신축, 리모델링 됨에 따 라 재래시장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원주민 재정착, 유출 인구 차단 등의 효과를 통해 낙후주거지 전반의 도시 재생이 가능하리라 생각 된다. The common factors between these blocks is the central movement, linear display of products, reconsideration of service routes, planning kinetic shop fronts, residential spaces, categorization of products, and roof structure. Such aspects are fully represented in the remodeled building to revitalize not only the market itself, but also its surrounding local community.
Ahyeon Bazar_the Renaissance | Hyunyong Park
Type 설계 Type 2 Section Perspective
아현시장 재생을 통한 구도심 재래시장 활성화 계획안
Type 설계
아현시장 재생을 통한 구도심 재래시장 활성화 계획안
Type 3 Section Perspective
252 | 253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Minji Park
Prof. Juwon Kim, Hyunee Kim, Junghyun Park
조선시대부터 수도로써의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는 서울은 현재 기능별로 도시를 구획하여 중심지에 업무지구를 배치하고 주거지역은 지대 경쟁의 결과로 외곽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직,주 분리현상이 생기고 도심 교통난이 악화되었으며 중심 업무지구에는 도심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결국 외곽지역과의 양극화현상이 두드러지게되었고, 도심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아 도심 재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렇기 때문에 도심 공동화 현상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직,주 근접한 도심형 주거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도심 교통난과 동시에 주택난, 도심 슬럼화 현 상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심형 주거는 상가 아파트를 제시하고, 대상지의 기존 도심의 맥락을 고려한 계획안을 세워 역사가 축적되는 진 정한 도심 재생의 의미를 되살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대상지로는 도심공동화 현상이 가장 심한 중구와 종로구 일대에 걸쳐있는 우리나라 최초 의 상가 아파트인 세운상가로 선정했다. Seoul, a traditional capital of Korea, is divided depending on business. In result the residential areas are being pushed back to the outer region. This phenomenon causes the division of living and working, severe traffic congestion, and extreme publicity of the central area. Thus, the outer region suffers from the development of social polarization, and urban slums. For solution, urban housings are provided in forms of apartments, planned in purpose to solve the problems all of above. The sites are chosen as the most centralized areas of Seoul, which are Jung-gu and Jongro-gu district, as well as the first apartment building, Saeun-sangga.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 Minji Park
현재 신성, 진양상가가 주변 인쇄골목의 이동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양쪽을 이어주는 통로를 1층에 내어준다. Currently the publishing alley along Shinsung and Jinyang commercial buildings are barricades for movement, thus a road on ground level is planned.
254 | 255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창고로 쓰이는 4,5층의 상가 지붕을 주민들 이 이용할 수 있는 완충시설로 바꿨다. 4층의 커 뮤니티시설은 상가와 주거 사이의 완충공간 역 할을 하며 주거가 상가와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한다. 또 저층 상가 부분의 채광을 위해 4 층과 5층에 보이드 공간이 생기며, 이는 커뮤니 티 공간의 질을 높이는 역할도 한다. The 4th, 5th floor which is currently used as storage are reconstructed to be used as buffering, commercial spaces. The 4th floor acts as a medium space between commercial and residential programs. In addition, for lighting, voids are made in these levels.
1,2층의 채광을 막고, 지상레벨에서 3층으 로 계단을 이용하게하는 불합리했던 보행데크 를 건물 내부를 각각 연결하는 역할로 변형했다 The inappropriate walking deck’s purpose is changed to become a inner corridor.
주거는 기본적으로 가변 시스템을 가진다. 설비시스템만 고정적이고 방과 베란다의 평면 구성은 가족수나 경제적인 이유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채광을 위해서 건물에 2층짜리 테라스 를 두었다. 이로써 야외 서비스 공간 부족을 완 화하여 주거의 질도 높일 수 있다. Residential planning is ultimately changeable. Only the utilities are fixed, while spatial division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conomical reasons. Double floored terraces are provided which supply the lack of outer space of the building.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 Minji Park
256 | 257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Seoul Olympic 1988 ‘Re-issue/Re-edit’
Joonsu Lee
Prof. Jongman Na, Jongcheon Choi, Younggil An 근대 이후 우리나라 도시는 공공영역보다는 주거와 같은 사적영역의 구축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또한 지금까지 우리가 이 도시에서 행해온 구 축방식은 기존의 흔적이나 맥락, 질서를 무시한 채 도시 속에 깊게 뿌리내리지 못한 고립된 오브제만을 찍어내고, 도시와 함께 숨 쉬는 사람을 배제 한 건조한 공간만을 만들어내는 방식이었다. 사람과 다양한 경험으로 채워졌던 길이나 광장 등의 공공영역의 부재는 우리 도시를 더욱 건조하게 하 였으며, 기억과 흔적이 담긴 ‘장소’도 점점 사라져갔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대적 의미의 장소와 공공영역의 재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이러한 공공영역의 구축방식을 주변도시의 맥락에서 이끌어내고, 도시의 다양한 모습들 속에서 찾으려 하였다. 또한 현재 남겨진 근현대적 관점에서 올림 픽개최한 경기장으로서 역사적,상징적 가치가 큰 올림픽주경기장을 새롭게 탈바꿈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제안하고 한다. Currently, Korean cities are focusing on private spaces such as housings. In addition, the building mechanisms neglect the existing order, condition, and context, which results in simply mass producing meaningless objects. The lack of alleys, squares filled with personal experience is what accelerates the urban dehumanization. In such terms, a modern interpretation and redefinition of space and publicity is required; the process is based on brought from local contexts, and the various sceneries located within the city. Furthermore, the remaining of the modern development, the Olympic stadium, was chosen as a detailed redevelopment goal.
Seoul Olympic 1988 ‘Re-issue/Re-edit’ | Joonsu Lee
Structure
Publicness
Bussiness Hotel
The outer structure expresses
The entire roof structure is in a
The location of the stadium
The public residential provides
the curves of traditional housing
deck form, which is accessible
connects Gangnam and Songpa
urban leisure for short-term
of Korea in a dynamic form.
from anywhere. The lower deck
district, which is perfect for a
users.
has a completely different spatial
business hotel for businessmen,
atmosphere due to the compact
tourists, and locals.
Public Residential / Guest House
structure.
Axis Of Radial Structure
Green Space
Stadium Stand / Track
Facility Of Health / Wellbing
The radial structure is appropri-
The void, which used to be a
The track has lost its former
This facility may contain athletic
ate for a stadium.
soccer field, can be changed to
function, which is relocated
activities for local health.
a park for natural receiving of
between the buildings.
people to nature.
258 | 259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Seoul Olympic 1988 ‘Re-issue/Re-edit’ | Joonsu Lee
260 | 261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Memories ForThe Future
Seho Ahn
Prof. Euiman Hwang, Segu Kim, Junghyun Park
서대문 형무소는 대한민국의 근·현대사와 선얼들의 자주독립 정신을 배울 수 있는 역사 교육의 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제 치하에 우리 민족이 인권을 유린당한 채 겪은 고통의 표현보다는 맹목적 반일 감정을 키우는 역할을 하는데 치우치고 있을 뿐 서대문 형무소가 가지고 있는 역사 적 의미는 퇴색되어져 가고 있다. 두번 다시는 이땅에 이러한 가슴아픈 역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라져 가는 서대문 형무소의 기억들을 끄집어 내어 기억하고 우리 아이들의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 다시 기억하자는 의미로 서대문 형무소가 지닌 역사적 특석을 공간적으로 재현해 보았다. Seodaemun prison is now being used as a museum to experience the harsh history of colonized Korea. However, its direct display of pain and torture only results in growing anti-Japan attitude, which is mislead from the museum’s purpose. The memories of the prison should be modestly reviewed, which is spatially remodeled for our future generations.
Memories for the Future | Seho Ahn
Trauma History Park
Self-disclosure is both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act of revealing more about oneself to others.
The victim’s felt not only frustrated through the walls but also they saw a future of hope.
262 | 263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Comfort Women Memorial
기울어진 블랙박스로 가슴 속 깊이 박힌 상처와 그들의 상처를 바라보는 우리들의 왜곡된 시선을, 경사진 대지로 위안부 역사가 일본에 의해 왜 곡되어진 지금의 현실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지하공간을 통해 위안부 할머니들의 상처를 이해하기 위해 상처 안으로 들어가게끔 하였다. 첫번째 전 시장에는 상처에대한 text가 적힌 벽화가 있다. 두번째 전시장은 일본군의 억압과 감시속에서의 위안부할머니들의 삶을 상징하는 쇠사슬로 구성된 다. 세번째 전시장은 49개의 기둥으로 전시관이 빛으로 가득찬 그날, 즉 위안부 할머니들의 역사에 대한 새로운 탄생을 의미한다. The tilted black box represents the historical scars and our mislead vision toward them, while the ramps express the biased history lead by Japan. The ascending space into the space directly expresses of the user entering the scars of the comfort women during colonization. The first exhibition contains walls with text about the incidents. The second has metal marbles that represent the lives of the comfort women. The third consists 49 columns, when illuminated fully, that displays their rebirth.
Memories for the Future | Seho Ahn
1st exhibition
3rd exhibition
the bean of life
2nd exhibition
the face of victiom
sanding glass
264 | 265
1 2 3 4 5.0 year
year
year
yea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year
Seodaemun Prison
Atrium
서대문 형무소의 존재론적 의미 부각 Focus of existential meaning of Seodaemun prison the light of hope for the future
reminiscence
feedback
the truth and distortion
희망의 빛을따라 미래의 역
자신을 투영시켜 역
서대문 형무소의 역사적
사를 본다.
사적 책임을 생각한
의미를 되돌아 본다.
위안부·민주화 운동에 대한 왜곡된 역사를 전시하여 올바른 역사인식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한다.
See the light of future by
다.Ponder historical
Review the historical
Display of biased history of comfort women and
following the light of hope
responsibility by re-
value of Seodaemun
democracy movement provides a chance to
flecting oneself
prison.
rethink about the truth.
Memories for the Future | Seho Ahn
Democratization Movement Memorial
black grantie the history of the past
the history of the future
memorial → democratization
library for children glass
seodaemun prison
library for children
Solid
Penetration
exhibition
seodaemun prison
짊어지고 가야 할 역사
library
memorial park
The scene beyond the wall
266 | 267
Epilogue
268 | 269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선배님과의 대화
year
nterview
강철희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동문회장
선배님, 소개 부탁 드립니다.
저는 1976년에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에 입학하여 학부를 마치고, 1980년부터 82년까지 석사과정을, 1987년부터 90년까지 박사과정을 하였습니다. 현재 홍익건축대학원 교수로 있고 종합건축사사무소 ‘이상’을 1984년부터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홍대 건축 동문회에서는 주로 연간 어떤 행사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생소할 수도 있는 재학생들을 위해서 간략한 소개 부탁 드립니다.
동문회의 활동은 크게 재학생을 위한 활동과 졸업생을 위한 활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겠습니다.
우선 학교에서 학생들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 장학 기금을 전달합니다. 학교 행사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참여하고 돕는 일을 하고, 또한 취직이 잘 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요구하는 자질을 기르기 위해서 학교에선 어떤 식으로 지도하는 게 좋을지 교수님께 말씀 드리기도 하지요, 이건 동문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본교 출신 사람들의 장점과 단점, 현장에서 어떤 유형의 인재들이 필요할지 의견을 모은 것을 바탕으로 합니다.
두 번째로 졸업생을 위한 활동으로는 친목 도모, 정보 전달, 신인 발굴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등반 대회를 하여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경조사 등 동문들의 각종 소식들을 전달합니다. 특징적인 것은 신인을 발굴하는 일인데, 분기별로 2팀, 1년에 총 8팀을 선정해서 미술관 ‘이루’에서 전시를 엽니다. 작년 10월엔 이진오, 정현아씨가 그 주인공이었습니다. 잠재력이 큰 사람들을 좀 더 한 단계 높은 건축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회장님께서 앞으로 이끄실 2012 동문회에 대해선 어떤 특별한 계획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저의 역할은 교수로서 학교에서의 역할, 건축가협회의 기획위원장으로서의 사회적인 역할 이렇게 두 가지가 되겠습니다,
우선 교수로서 올해는 60주년을 맞이하여 하는 행사를 지원하는 역할을 할 계획입니다. 또 올해에 있을 재인증을 잘 받을 수 있도록 인증원의 이사회 이사로서 방향 지도를 해드리려고 합니다. 세종캠퍼스도 이번에 처음 5년 인증을 신청하였습니다.
사회 활동으로는 건축가협회의 기획위원장으로서 대한 건축학회에 이번에 부회장으로 나가시는 우리 학교의 이영수교수님께서 당선될 수 있도록 힘을 쓰고 있습니다. 산업계, 디자인계 등 주요 분야에 홍대가 두루 진출하여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힘쓰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학교측과 동문회가 합쳐서 사회 봉사활동도 적극 장려할 계획입니다. 홍대가 디자인 능력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비타트, 봉사활동 등 여러 사회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는 것을 홍보하려고 합니다. 예전에 모두 손으로 작업했을 때 다른 학교들과 독보적으로 드러났던 홍대의 능력이 오늘날 컴퓨터화로 바뀌면서 그 차별성이 눈에 잘 띄지 않고 있기에 다른 특별한 면을 강조하려고 합니다.
A Conversation with Senior
Chulhee Kang
Alumni Representative of HSA
Sir, please introduce yourself.
I entered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in the year 1976, obtained my masters degree from 1980 to 1982, and doctor’s degree from 1987 to 1990. Currently I am a professor of the Hongik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and have managed an architecture design studio “Ideal” from 1984.
We would like to know the detailed activities of the Hongik Architecture Alumni. Please give a short introduction for the students.
The alumni activities can be sectioned in two. One for current students and another for graduates.
First of all, a scholarship is given to students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tudents. We also give advice to current professors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teaching students more appropriate for working after graduation. Such advice is based on surveys to actual graduates, searching for a detailed model.
Secondly, the alumni provide programs for the graduate’s fellowship, communication, and discovering new talents. For example, hiking parties are the major programs to gain stronger fellowship between graduates. In addition, the alumni send information to the members about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The strongest is discovering new talents; 8 teams in a year are chosen to give an exhibition in an art gallery “Iroo”.Last year in October, Jin Oh Lee and Hyun Ah Jung were the two. This activity will be a grand step for potential architects to have a stronger career.
Are there any special activities that the alumni will hold during the year of 2012?
I am in two positions as a professor and a chief of recording in the Korean Architect Association.
As a professor, I would promote some activities for the 60th anniversary of Hongik University. In addition, I am planning to concentrate on the school’s re-inspection of architecture school certification. The Sejong campus will also have its first inspection this year.
For social activities, I am supporting Professor Yong Soo Lee to become the vice-president of the Architect Association. In addition, social services provided by the school and alumni will be held. Hongik University is strong with its design education, but its social services is not promoted as much as the former. The works of Hongik University used to exceed the general quality of other design schools in the past. Nowadays, such quality is not easily visible due to the works of computers. I am considering a promotion strategy that could emphasize the superior aspects of Hongik University design education.
270 | 271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year
nterview
실제로 홍대 건축 동문회가 회사 내에서 서로서로 이끌어주고 도와주는 그런 역할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사회에서의 홍대 건축만의 특유의 분위기나 장점 혹은 단점 같은 게 있는지 듣고 싶습니다. 이와 연관되어 선배님께서 궁극적으로 생각하시는 바람직한 동문회의 역할은 무엇인지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홍대의 장점은 건축을 제대로 배우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학교만이 가진 전통의 힘, 즉 앞서 한 선배들의 작품을 보면서 배우는 것만큼 큰 효과는 없습니다. 다른 학교 졸업생들과 비교했을 때 그 차이는 실지로 엄청나게 큽니다. 또한 교수님들의 지도 방법이나 전체 학풍의 분위기에서 차별성을 지니기에 홍대 학생들의 잠재력은 무지 큽니다.
반면에 단점은 단합이 잘 안 된다는 것입니다. 건축은 혼자 하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인데 특히 능력이 있는 사람들은 자기 혼자 잘 하면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다 같이 모여서 하나의 큰 파워를 내는 일은 잘 안되고 있습니다. 교육 과정에서는 공동 작품전이 이를 체득하고 부딪혀보며 공동 작업이란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인데, 홍대만의 독특한 커리큘럼이 없어진 것이 저는 참 안타깝습니다. 두 번째 단점은 자기 자신의 능력을 마케팅을 하는 데에는 소극적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쉽게 눈에 띄거나 드러나지 않는 것 같아요.
우선 올해는 대외적으로 다른 대학들의 동문회장과 교류를 더 적극적으로 하여 홍대의 입지를 높일 생각입니다. 이영수교수님께서 대한 건축학회 부회장이 되실 수 있도록 힘쓰는 것도 그런 맥락에서 입니다. 그래서 저의 이번 슬로건은 뛰자, 뜨자, 날자 입니다.
재학생들에게 한마디 말씀 부탁 드립니다.
힘든 상황인 만큼 역경으로 나아가는 학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첫째로 내가 건축 설계를 왜 해야 하는지 자신만의 답을 저학년 때부터 찾으라는 것입니다. 건축 설계를 다른 일반적인 직업들처럼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건축을 즐겁게 하려면 밥 먹기보다 좋아하고 철저해야만 합니다. 그게 아니라면 건축계에 다른 다양한 진로가 있다는 것을 미리 알고, 어떤 것을 할지 빨리 선택하여 그 분야의 스페셜리스트가 되라는 것입니다. 넓게 보면 꼭 설계가 아니어도 이론, 구조, 재료, 행정 등 분야는 아주 많습니다. 4년제에서 5년제로 바뀌면서 가장 큰 차이점은 전문성을 갖고 졸업 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건물로 따지면 컨벤션 센터, 주유소, 도서관 등과 같이 하나의 자신만의 전문 분야를 졸업과 동시에 가져야 합니다.
A Conversation with Senior | Chulhee Kang
We are curious if the alumni are actually helping each other for providing jobs for students. In addition, is there a special atmosphere in society just how Hongik University has its own? We would like to know if there are any pros/cons of such character. In relation, what do you think is the ideal position of alumni?
The ultimate advantage of Hongik’s design education is learning architecture thoroughly. There is no stronger method of constantly viewing senior works, which is the fundamental, traditional practice that gives a unique strength in students. When comparing the graduate’s works in other schools, the difference is clearly visible. In addition, the curriculum has its unique character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schools, which gives the students a strong potential.
However the defect of our graduates is that they don’t gather together that well. Architecture is not a work which could be done by one, but graduates have too much pride in themselves that they believe they could work by themselves. In result, there are not many activities done together. Personally, the collaborative project of the Hongik curriculum was a good opportunity to learn the aspect of working together; it is a great loss to not have that project anymore.
The secondary defect is that people are passive in promoting themselves, which is why the works are not well-known.
My goal is to have contact with other alumni groups in other schools, which could promote Hongik’s statu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In addition, this communication will also be a supportive activity for promoting Professor Yong Soo Lee’s election. Therefore this year alumni’s slogan is Run, Jump, and Fly.
Do you have anything to say to the current students?
The first is to find your own answer for studying architecture in such tough social environment. Architecture design work is not like others; one must enjoy such work and should be perfect. If not, quickly search for other directions and become a specialist in whatever field. Architecture design is not the only way; theoretical studies, construction, mechanics, managements, etc. By the curriculum change from 4 years to 5 years is that students can graduate with a professional status. You should have a professional in designing a type of building such as convention centers, gas stations, libraries and etc.
272 | 273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교수님과의 대화
year
nterview
조한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조교수
교수님께서 생각하시는 건축가로서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입니까?
제일 중요한 것은 물리적인 매체를 가지고 소통을 유발하거나 소통하도록 도와주는 매개자로서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건축가는 공간을 다루도록 교육 받는데, 꼭 물리적으로 무언가를 만드는 문제라기 보다는 더 나은 사회를 위해서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게 모든 건축가가 공유하고 있는 믿음이자 책임일 것 입니다. 다만 이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는지는 건축가마다, 또 시대에서 요구하는 의무나 역할에 따라서 다 다르겠지요.
교수님만의 지향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제일 피하고자 하는 건 건축을 위한 건축입니다. 모든 직업 군이나 학문은 학문 내에서의 아름다움에 빠져서 너무 탐미적으로 우리가 해야 할 역할을 망각할 때가 많습니다. 건축의 경우를 작품집에 실린 사진에 사람이 한 명도 없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작품보다는 사용하는 사람이 더 중요한 건데, 예를 들면 광화문 광장 같은 경우 수 만 명 수십 만 명에게 영향을 주는 건데, 우리가 너무 건축이라는 영역 자체에 함몰이 돼서 정말 중요한 사람 자체를 잊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이런 교수님의 철학이 교수님께서 맡으신 강의에도 녹아있을 것이라 생각이 드는데 학생들에게 교수님의 수업을 통해서 가장 근본적으로 어떤 가르침을 주고 싶으신지, 수업을 통해서 건축학과 학생들이 핵심적으로 얻어갔으면 하는 게 무엇인지 듣고 싶습니다.
건축 교육엔 크게 두 가지 목적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첫째로 건축적으로는 자신만의 철학, 생각을 가지고 주체적으로 개선된 환경을 제안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입니다.
학생들이 이론 수업과 설계 스튜디오를 매 학기마다 동시에 수강하고 있지만 이론은 이론대로 머릿속에 남고, 설계는 따로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이론의 연장선에서 설계 작품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은데요. 교수님께서 생각하시기에, 건축 철학을 공부하는 것이 이론과 설계를 연결하는 하나의 매개체가 될 수 있을까요? 건축 철학 공부의 중요성, 그 의의에 대해서 말씀 부탁 드립니다.
철학은 그냥 기본적인 소양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날 우리는 이미지로 포화된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20년 전만해도 시각적인 건 굉장히 귀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엔 인터넷에서 환상적인 사진들, 다이어그램들, 건축 이미지들을 무궁무진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심지어 소위 말하는 아이돌은 음악뿐 아니라 이미지로 다가오고, 사회의 많은 것들이 이미지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런 사회에 살면서 우리는 자본주의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야만 합니다. 자본주의는 기본적으로 원래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가치를 수치적으로 환산합니다. 이는 모두 시각적인 사유에 의해서 촉발됩니다. 즉, 자본주의 사회는 시각적인 경험을 통해 시각적인 사유를 야기합니다. 즉 언어나 생각이 그 결과물입니다. 우리는 이미지에 함몰 되지 않고 이미지의 한계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시각적인 게 중요하지 않을 수는 없지만 이미지는 내가 그것을 바라보는 관계에서 이분화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Hahn Joh
Assistant Professor of Architectural Design
Professor, what do you think the social position of an architect?
The most important job of an architect is promoting communication through physical means. Architects are educated to create spaces; however his work should not be limited in space, but its social effect for a better society, this is the unchangeable belief and faith of architects. But depending on whom, how, and when is what differentiates the process.
What are your goals in architecture?
The most I try to avoid is architecture for architecture. All fields of studies and jobs tend to fall in its beauty that they easily forget their basic roles. In architecture, photos with no people are a perfect example. No matter what kind of building is constructed, the users are always more important than the building itself. Sometimes people forget about the purpose of architecture.
Such ideas of your architectural works must be expressed by your lectures. Fundamentally, what do you want to teach to students? And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that students should learn?
I believe there are two goals in architecture study. First, a personal thesis should be built to construct an improved environment and the ability to propose a solution. Secondly, students should be able to provid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Students are constantly tak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lectures every semester, but mostly the theories stay in the head, and the projects are conducted independently. Do you believe architectural theories are the connection between ideas and work? What is the fundamental purpose of architectural theories?
Philosophy is simply personal attainment. Nowadays, we live in a society of images, which were rare 20 years ago. Breath-taking images and diagrams are easily visible on the internet. Even music is presented to us as images of so-called idols. In such society, we must think of the defects of capitalism. Capitalism has its nature of conversing values to numbers, and presents it in visual methods. Thus, a capitalist society is based on visual pondering through visual experience, which fruited visual technologies of writing and linguistic thinking. People should not be limited within images, and must clearly know its limits. Visual is definitely important; however it automatically divides the relation in two due to the structure of image-viewer.
To escape this relation is non-visual practice. Most of us dreams of becoming famous architects. And to become one a process of expressing one’s inner creativity is important, which requires independent thinking. I believe the easiest method of promoting independent pondering is text. From reading text, people can independently draw what they think, which is the ultimate potential of books. When mentioning books, it does mean philosophy, but in easy terms I mean humane studies and art studies.
Also as an extension of non-visual education, there should be various opportunities where people can non-visually experience in terms of audio, olfactory, and tactile. For instance, sketching is a completely different experience compared to drawing by a mouse. This can be seen in current architects who use plaster, clay, or drawings in their work such as Steven Holl.
274 | 275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year
nterview
이를 탈피하기 위해서 비시각적인 훈련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대부분 유명한 건축가가 되고 싶어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 안에 있는 자신만의 창의성을 찾아서 끌어내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항상 주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이것의 가장 쉽고 유일한 탈출구를 저는 텍스트라고 생각합니다. 책을 읽으면서는 이미지를 보면서 할 수 없는 것, 즉 우리가 주체적으로 그리는 일을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책의 창의적인 잠재성인 것이지요. 책이라고 하면 거창하게는 철학이지만, 꼭 철학이 중요하다기 보다는 저는 인문학적인 공부나 미학을 말합니다. 조금 더 연장해서 생각해보면, 주체적으로 생각하기 위한 모든 비시각적인 경험, 즉 청각, 촉각, 미각, 후각적인 경험들을 충만하게 느낄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 자신의 잠재력을 키우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스케치를 하는 것은 마우스를 쓰는 것과는 다른 차원의 촉각적인 자극입니다. 석고나 찰흙을 많이 쓰는 건축가들이나 수채화를 그리는 스티븐 홀 등이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또 한가지 덧붙이고 싶은 것은 완벽한 개념이 디자인의 필수적인 전제조건이 아니란 것을 얘기해주고 싶습니다. 개념에 의해서 디자인이 마치 논리적으로 풀려나갈 수 있다는 것도 환상입니다. 철학적 공부를 통해서 작품을 진행할 수도 있고, 스케치로 진행하다가 인문학적 책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고 설계 과정을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루프가 있어야 합니다.
더 큰 그림을 보면 유명한 건축가보단 사회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모형 잘 만들고, 3D 잘 돌리는 것 보다 자신만의 바른 생각을 가지는 게 더욱 중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인문학적 소양이 필수적입니다.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취지인 것이지요.
앞으로 교육 과정이 크게 개편된다고 들었어요. 기존과 비교해서 특히 어떤 부분이 달라지는지 커리큘럼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 부탁 드립니다.
선택의 폭을 넓히고, 이 선택과정을 전문화 했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 건축 이론, 건축 환경, 디지털 디자인 이 세 부분이 전체적인 커리큘럼에서 좀더 균형을 잡도록 하였습니다. 각각을 1, 2로 나누어 수업의 연계도를 높여서 연속적으로 다루게 됩니다. 또 과목들을 2학년부터 5 학년까지 순차적인 흐름 아래에서 1학기에 필수, 2학기에 선택과목을 개설하여 자신이 좀 더 적성에 맞거나 흥미를 느끼는 과목들을 지속적으로 선택해서 들을 수 있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기술, 도시, 역사 등 선택과목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전체 학문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조금 더 신경을 쓴 부분은 디자인이 아닌 다른 쪽에 적성이 있는 학생들을 위해서 기존에 5학년에만 개설되었던 건축 실무, 건설 관리, BIM 을 포괄하는 수업을 ‘건축 경영’ 이라는 큰 이름 아래에서 4학년 때 공부를 할 수 있게 하고, 원하면 5학년 때 또 선택할 수 있게 하였는데, 건축의 넓은 영역을 잘 살리는 쪽으로 바뀐 것 같습니다.
또 이 개편된 교육과정 중에서도 홍대 건축학과만의 독자적인 교육방법이나 중점적으로 강조하는 부분이 분명히 여전히 있을 것 같은데요, 저희 학교만의 특징이나 자랑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은 어떤 것 일까요?
가장 특이한 점은 미술실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미술이라는 기예를 익히느냐의 문제보다는 다른 미디엄을 손에 데 볼 기회를 가지는 데에 더 큰 의의가 있는 것 같습니다. 건축의 정도가 정해져 있어 그걸 타고 가야 하는 타 대학들과는 달리, 홍대의 장점은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인증을 받기 위한 제약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미디엄에 손을 델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4학년 2학기 경우 인증에 구속을 받지 않고 스튜디오 별로 자유로운 주제를 다룰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둘째로는 공동작업입니다. 학년 공동작업은 사라졌지만, 해마다 프로젝트 성격에 맞추어 2~3인, 5~6인, 한 스튜디오 전체 등 다양한 규모의 공동 작업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짜여 있습니다. 이건 홍대의 작업실 문화와도 맥락을 같이하는데, 타 대학에 비해 동료, 학우, 선후배가 가족 같은 분위기로 교육환경이 만들어지는 것이 큰 특징인 것 같습니다.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Hahn Joh
Additionally, a perfect idea is not a must for designing. Design solved by idea and logics is an illusion itself. Philosophical studies, books of humane studies can assist the design development.
In a grand perspective, becoming a helpful designer is much more important than becoming a famous one. Thus, talents of making models, constructing 3d images is not that important than having righteous ideas, which is another reason for humane studying.
We have heard that the education curriculum will change dramatically. How will they change?
I may say that students will have a wider range of choices, and this choice process will be more professional. Especially, architecture theory, architecture environment, and digital design will have a much more balanced curriculum. Each class will have two sections of consecutive classes. Additionally, from the second to fifth year, students will take the necessary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and during the second, students will have a free choice of selectable classes. Additionally, classes that treat technology, city, history, and etc. will be distributed appropriately to balance out the student’s choices. In addition, for students who are searching for other profession than design will be able to take classes such as architecture business, management, and BIM since the fourth year; these classes were only possible to take during the fifth year. This selection will expand the field of architecture education.
Despite this change of curriculum, there should still be a unique style of Hongik’s education.What points do you think are there that could be promoted as Hongik’s unique education?
The most unique one is art practice class. This class is meaningful that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tend with other measures. Since architecture has its process quite fixed in most schools, but Hongik provides variety. In the limits of school certification, we are striving to provide various medium to students. For example, the second semester of fourth year, students have a choice to choose their own architectural studio after being presented with the themes. Secondly, the collaborative work will start again. Despite a whole grade will not to be able to work together, but a small group of 2~3 or 5~6 will be assigned. This shares the same purpose of with student workshops. I believe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 of architectural education is a grouping atmosphere.
As the world economy has fallen, many students are giving up joining the field of architecture design. Do you have any solutions for this, and is there a direction the field of architecture must go?
Since the economy crisis is not limited within this country, I do not agree that the field of architecture is the only area suffering. Of course architecture cannot be spoken with politics and society, there is a limit. The field of architecture cannot be active that easily, so naive beliefs that the economy will turn good again are inappropriate.
Oppositely, when thinking why the field of architecture designing is tough an answer can be found. We tend to focus too much only on design. For example, when graduating from architecture school, students believe that their only path is designing, which leads to a solution of working in a completely different field, a negative solution that is a waste of time. But when thinking of the position of architecture in society, there should be a vision. Students should less be focused on gaining their architect degree, but look around of what one could do. When viewing architecture on a macro-scale, there are various directions. Soo in Yang proposed new spaces in the field of public arts,
276 | 277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year
nterview
최근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건축으로 진로를 결심하는 학생들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여기에서 어떻게 돌파구를 찾아야 할지, 건축계가 발전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교수님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우리 경제 자체가 힘들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전체의 경제가 힘든 것이기 때문에 건축이 특별이 힘든 상황이라는 말은 공감하기 어렵습니다. 물론 건축이 정치 사회와 연관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한계는 분명 있을 것입니다. 건축 경기 자체가 쉽게 활성화 될 수 있는 건 아니기에 몇 년 후 좋아질 거란 순진한 기대는 하지 않는 게 좋다고 봅니다.
반대로 건축이 왜 이렇게 힘든가를 고민하면 거기에서 자연스럽게 답이 나올 것 같습니다. 우리는 지나치게 건축을 협의로 보는 것 같습니다. 가장 극단적인 예로 건축학을 전공하면 건축 설계만 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이는 경기가 안 좋아지면 건축을 탈출하는 것만이 답이 되는 부정적인 생각이지요. 하지만 건축을 통해서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능동적으로 생각하면 오히려 비전이 있올 것 같습니다. 건축사가 되어야겠다는 집착보다는 둘러보는 여유가 필요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건축을 광의로 보면 건축인지 아닌지 애매한 부분에 관심이 가게 될 것입니다. 양수인 씨는 시야를 넓혀 공공미술 분야에 조형적이 아닌 공간적으로 푼 작품으로 새로움을 던져 주었고, 와이즈 건축의 장영철, 전숙희 씨가 포이동에 공부방을 만든 것도 너무 돈이 되는 경제적인 영역에서 보았던 건축을 탈피하여 사회적인 소명과 책임감을 실현한 예입니다. 가온 건축의 임형남 씨는 자신이 한 아주 작은 작업들도 항상 글로 쓰고, 건물뿐 아니라 사람 사는 모습을 스케치하고 수채화를 그려 책을 만듭니다. 이런 책은 건축보다 사람들에 더 한 감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데, 이 분 역시 건축을 광의로 보고 자신 만의 영역을 구축한 것입니다.
우리는 스스로 만든 선입관이나 교육이 강요하는 선입관에 갇혀서 나만의 역할과 위치를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는 건 아닌지 생각해야 합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스스로 건축 외 다양한 공부를 찾아서 하고, 마치 새로운 언어를 배우면 새로운 세상이 보이듯 미술과 같은 새로운 미디엄을 통해서 세상을 보는 시야를 넓히고, 책을 통해서 인문학적인 소양을 기르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제 곧 사회에 나가는 졸업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씀 부탁 드립니다.
바른 사람으로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감옥 앞에 ‘바르게 살자’라고 적혀 있잖아요. 불의를 보고 방조하지 않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도와주며 살면 건축적으로도 바른 건축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우리는 너무 결과 지상주의에 살고 있고 그러면서 희생당하는 건 매번 사람입니다. 학생 때 하는 것은 공부지만, 사회에 나가면 곧 건축 행위가 됩니다. 건축의 본질은 작품이 아니라 사람이라는 걸 잊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공간에 사는 사람뿐만 아니라, 만들어 내는 사람의 가치와 소중함을 알고 행동하길 바랍니다.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Hahn Joh
and the studio Wise Architects’ study room in Poi-dong proposed spaces satisfying social purposes. Lim Hyung Nam from GAON Studio always presents his work in text and drawings by publishing. Such books can easily appeal one’s sensation, which is another method of constructing one’s own language. I believe that people are constricting themselves within self-made limits. To exceed such boundaries, one must study non-architecture fields and gain a new vision of the world as if learning another language.
Is there anything to say for current students?
I hope they would live honestly. Today’s society is too concentrated on outcomes that many people are sacrificed during its process. As soon as entering the society, one’s thoughts and studies directly becomes architectural work; students must not forget that the fundament of architecture is human. Please have in mind of the humane values of a designer.
278 | 279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year
교수님과의 대화
nterview
민현준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조교수
교수님의 주요 관심 분야는 무엇인가요?
저의 관심 분야는 공간의 문제, 건축뿐 아니라 조경 토목 도시환경 및 자연 모두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상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다시 건축의 문제로 들어가보면 보다 합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대안들을 만들어내기 쉽습니다. 즉 적절하게 줌 아웃하고 줌 인하는 지혜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 중에서 특히 사회적 문화적 공간에 관심이 많습니다. 사람들이 어떻게 모이고, 흩어지고, 노출되고 고립되는지, 혹은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공간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건축이 사회적 화합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그리고 현재는 문화적 공간 쪽으로 관심이 많습니다. 건축은 9시뉴스처럼 쉽게 이야기 해야 합니다. 작업은 어렵습니다. 다만 설명은 쉽게 정리되어야 합니다. 어려운 말로 현혹하는 것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사회적, 문화적 공간에 관심이 많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건축의 ‘공공성’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지, 또 어떤 작업들을 하셨는지 구체적인 설명 부탁 드립니다.
우리는 초기작업으로 다양한 분야의 도시의 오픈 스페이스에 대한 작업들을 해 왔습니다. 공원, 교량, 포켓공원 가로설계, 간판설계, 환경조각 등의 작업을 통하여 누구에게나 열린 공간, 기능이 고정되기 보다는 가변적으로 작동하는 공간, 비워가면서 기능을 부여하는 공간배열 등을 탐구했습니다. 최근은 건축 작업들은 유사건축 즉 환경디자인의 기초 작업으로부터 얻은 경험을 토대로 자연스럽게 건축에 적용한 결과입니다.
건축이란 공원과도 같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거리로 열리고, 거리에서 머물고 싶은 건축, 거리와 관계하며 소통하는 건축, 들어가기 쉬운 건축.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교류하는 공간. 건축이 새로 들어서면 주변에서 긴장하지만 공원이 들어서면 모두가 환영합니다. 또한 건축은 준공 이후 점점 노후화가 진행되지만 공원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윽하게 익어갑니다. 건물이 들어설 자리 이전에 마당이 들어설 자리를 먼저 생각하고 강조함은 이러한 평등과 상생의 도시, 오래될수록 좋아지는 공원 같은 건축을 위함입니다.
이와 더불어 교수님의 사무소도 궁금합니다. 주로 직원들의 디자인이나 작업 진행방식을 어떻게 이끄는지, 교수님 사무소의 특징은 무엇인지 설명 부탁 드립니다.
저희 사무소의 조직력이고 그 힘은 특히 수평조직과 실험성을 바탕으로 한 협업입니다. 수직적 조직체계에서는 창조적인 힘이 나올 수 없습니다. 일반 건축사무소들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알바생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고 모두가 하나의 유기체처럼 움직이기도 하는 아메바와 같은 조직입니다. 그때 그때 다르고 누가 관여하느냐에 따라서도 다릅니다. 모두가 자신의 설계라고 생각하고 우리는 우리의 설계라고 얘기합니다. 건축 작업은 팀워크 입니다. 마치 히딩크의 축구와도 같습니다. 선후배 위계 없고 모두 공격 모두 수비 누가 퇴장 당하면 다른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메우고 등등 누구 하나 뛰어난 스타 플레이어 없어도 조직력은 우수한 결과물을 만들어 냅니다. 그것이 제가 외국 사무소 경험을 통해 배운 것들이고 우리 사무소에서 실천합니다. 건축은 한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합니다.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Hyunjoon Mihn
Assistant Professor of Architectural Design
What are your current personal interests?
I consider architecture not only about space but also in landscape, technology, urban, and natural environment. Such method increases my sight, and has much potential in creating rational, persuasive mediums. Thus, an appropriate wisdom to zoom in and out is important. Especially, I am into community spaces that matter with social issues. Such issues are about how people gather, disperse, are exposed, and isolated as well as such artificial spaces could be utilized in social association. Architecture must be easily spoken as if it was a television news show, difficult language does not last long.
You have mentioned about social, community spaces; what are your thoughts of publicity, and how is it expressed in your architecture?
My studio constantly studied of a variety of open spaces in an urban environment. Parks, bridges, tree designs of pocket parks, signs, art objects, and etc. has a variety of functionality depending on its design, or by its existence. My recent architecture works are from natural reactions due to my personal experience of environmental design.
Architecture should be planned as a park. It should open towards streets, stop people from walking, have constant relation with streets, have easy access, and contain various relations between people. People are constrained when a building is built, but look forward to it when a park is in construction. Before a building, I think of a yard and try to attempt it to be a space for an equal, coexisting city.
We are curious about your studio. How are the works developed? And what is your studio’s strength?
Our studio’s structure is due to its horizontal social structure. In a vertical one, creativity cannot exist, which is the problem of most current architecture studios. Even an intern can have the most important status; all of us work as a form of an ameba. Its total form always differs depending on who is in task. Everyone believes the works as their work. Architecture work is like teamwork is a soccer team. Equality between players with no hierarchy will naturally make good result without a star player. This is what I have learned from foreign studios. We do architecture, not me.
Your interest may have close relation with your class management. How do you maintain your class studio?
No it is not. I try not to relate my interests at least in my studio. I am simply a tutor that assists students to realize their ideas.
When digging into successful architect’s pasts, most of their ideas originate from young experience, traveling, or from inner self. One’s surrounding and experience is an infinite source for an architect. My class focuses on how to bring out such potential. Every person has their strengths depending on their past and experience, which is remembered within his head, heart, tongue, and skin. The only problem is how to beautifully express these ideas.
280 | 281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year
nterview
교수님의 관심사는 설계 스튜디오를 이끄시는 것과도 별개일 수 없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교수님의 설계 스튜디오에서는 주로 학생들을 어떻게 지도하고자 하시나요?
아니요 그렇지 않습니다. 가능하면 저의 관심사와 설계 스튜디오는 별개로 유지하려 노력합니다. 그러니 제 스튜디오에서 제 경향을 흉내내지 마세요. 설계 스튜디오는 학생이 주인이고 저는 학생의 아이디어를 실현되도록 도와주는 튜터입니다. 튜터는 건축적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감각을 깨워주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건축가들을 추적해보면 어릴 적 경험, 여행 등 자신 내부에서부터 아이디어들을 발전시킨 경우가 많습니다. 건축가에게 자신의 경험과 자라온 환경은 보물입니다. 저의 스튜디오는 이 경험의 잠재력을 어떻게 창조적으로 깨워내느냐가 핵심입니다. 도시 혹은 시골에서 자란 사람 다르고, 부자 집 학생 다르고 가난한 집 학생 다릅니다. 활발할 사람 다르고 내성적인 사람 다릅니다. 각자 다른 경험들이 있고 그 장단점이 있습니다. 이 경험들은 뇌 속에 있을 수도 있지만 귀속에도 혀 속에도 있고, 피부에도 기억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어떻게 근사하게 형상화의 소재로 사용하는가 입니다. 학교 때 발굴 못하면 평생 묻혀버리게 될 수 있는 가장 소중한 것들입니다.
교수님께서는 미국에서 오랫동안 공부를 하셨는데 미국과 한국의 교육에 대해서 말씀해 주세요. 한국 교육 과정이 미국 교육을 따라가고 있는 것 같은데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혹은 이런 교육의 한계점이라 생각하시는 게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학생들이 학교에서의 수업 외에 어떤 공부나 활동을 하며 자신의 역량을 키워나가야 할까요?
수업은 큰 차이가 없어지고 있는 듯 합니다. 다만 차이는 우리는 학교에 학생들이 끌려 다니는 느낌이 강하지만 미국은 학생 중심입니다. 물론 대학원과 학부를 직접 비교할 수는 없지만 미국은 제가 하고 싶은 것들을 학교가 도와준다는 느낌 이였습니다. 모든 학생들의 시간표는 다 다르고 하고 싶지 않은 과목은 정당한 이유와 열정만 보이면 면제해주고 하고 싶은 분야는 어드바이져가 찾아주고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우리는 건축과 수업과 학점 안에 매몰된 경우가 많은 듯합니다. 다른 또 하나는 상당히 자극적인 환경 안에 있습니다. 유명 건축가도 쉽게 볼 수 있고 문화적 행사도 많고 이런 환경들이 더 쉽게 의욕을 만들어주고 작업의 단초가 됩니다. 지금은 우리나라에도 많은 자극들이 있습니다. 이것들을 잘 찾아 보러 다니고 한다면 유학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학점은 생각보다 안 중요합니다. 계속 강조하지만 경험이 중요합니다. 몸으로 경험하는 것 몸 안에 기억되어 있는 것들을 중심으로 자신의 것들을 찾아 발전시켜야지요.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 하시고 싶으신 말씀 해주세요.
디자이너로서 제가 인터뷰 내내 반대하는 것은 맹목적으로 기성 건축가 흉내 내는 것입니다. 자신을 잃어버리는 지름길 입니다. 평생 자신의 것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게 됩니다. 자신의 소박하고 촌스러울지라도 자신의 소중한 내적인 것들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제 개인적으로 소중한 보물은 학생 때 스케치하고 제 느낌을 기록했던 그림일기 같은 것입니다. 그림을 잘 그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느낌이었는지 그것을 표현해 보는 것입니다. 제가 대학교 2학년때 무슨 생각을 했던가 무엇에 관심이 있었던가는 지금도 중요한 것들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인터넷은 조심해야 합니다. 인터넷은 세상의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무엇이 좋은지 나쁜지 소문도 아주 빠릅니다. 좋다 하면 소질과 관계없이 모두가 하려 하고 어렵다 하면 모두가 꺼립니다. 인터넷 뒤져서 불루 오션이 무엇인지 찾지 마세요. 십 년 전 불루 오션이 십 년 후에는 피바다가 됩니다. 모두가 꺼린 곳이 십 년 후 불루 오션이 됩니다. 우선 필요한 것은 자신을 소중히 생각하고 믿으셔요. 중심을 잡고, 너무 먼 미래에 방황하지 말고 하루하루 충실하게 미래를 준비하시면 좋은 날이 올 겁니다. 먼 미래를 생각하면 누구나 답답합니다. 누구나 경험했던 것들입니다.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Hyunjoon Mihn
You have studied quite a long time in the United States.Tell us about the difference in education.The Korean system tends to follow that of the States, but what do you think are the differences and limits? How should Korean students study or behave to strengthen his potential?
There seems to be not much difference in the education system. However, students in Korea tend to follow the professors, while in America the class is more based on students. Of course I could not directly compare the graduate schools, but my impression in the States was that the school assisted of what I wanted to do. All students have their different schedule, and with an appropriate reason it is possible to not take a class as well. Additionally, in all kinds of fields of study, there is always an advisor for help. Korean schools tend to be limited within architecture class and GPA. Another difference is that the school environment is very stimulating. Famous architects are easily seen with numerous cultural events, which provide inspiration for one’s work. Korea as well has numerous stimulations, if one could discover such inspirations; there is no reason for him to study abroad. The grades is not as important as you may think, but experience is.
Lastly, what would you like to say for students?
As a designer, I have constantly emphasized not to imitate existing architects. It is the shortcut of losing oneself. Despite now you may be small and ugly, there is always something valuable to find. For me, it was my sketches during my student years. Drawing well is not the importance, but it is how well it expresses. What I have thought during my college years is still important today.
In such terms, the internet is quite dangerous. The internet changed everything, without telling us whether the information is beneficial or not. People gather too easily on good sources, while none gather on difficult ones. Do not try to find a blue ocean within the internet. Believe what you think is right with a strong posture, and prepare for it carefully and slowly. Everyone is uneasy of their future, I’ve been through it too.
282 | 283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year
교수님과의 대화
nterview
우승현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조교수
우리학교 실내 건축학전공은 건축학 전공과는 어떤 점에서 가장 크게 차별되고, 어떤 점에 중점을 두시고 커리큘럼을 구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앞으로 개편되는 교육과정에서는 어떤 것이 바뀌는지 설명 부탁 드립니다. 궁극적으로 홍대 실내 건축과에서 학생들이 어떻게 성장하기를 기대하시나요?
차별화된다기 보단 유일하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습니다. 건축대학 안에 있기 때문에 건축 색깔이 강한 바탕 위에 실내건축이 추가된 것이기에 건축과보다 더 많이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건축과는 더 깊게 공부를 하겠지만요. 우리의 궁극적 목표는 다분야로 학생들이 진출하는 것입니다. 즉, 광고, 디자인, 조명, 부동산, 브랜딩, CM등 다양한 분야로 나아가서 10년, 15년 후에는 서로 경쟁자가 아니라 각 전문 분야에서 리더로 활약하며 서로 서로를 도울 수 있는 구조가 됐으면 합니다. 그러면 굉장히 독특한 동문이 결성될 것입니다.
이번 개편된 교육과정에 다양한 과목들이 더 생겼습니다. 5년제 건축학과의 경우 인증을 받기 위해 인증원이 요구하는 학점을 만족시키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필수로 지정된 과목들을 제외하면 여유 학점이 많지 않기 때문에 조명, 시설 관리 등 어쩔 수 없이 개설하지 못하는 과목들이 있습니다. 이런 부족한 점을 실내건축학과에서는 채워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들도 다양한 분야로 접근 가능한 것이지요. 이것이 우리만의 특성이자 강점입니다.
교수님께서 생각하시는 실내건축분야의 독자성이나 전망에 대한 견해를 듣고 싶습니다. 지금 한국의 실내건축 분야의 실정은 어떠한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떻게 발전하는 게 바람직할지 해외의 실정과 비교해주시면 더욱 이해가 쉬울 것 같아요.
해외에서 일을 오래한 저로서는 해외와 국내를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아예 상황이 다르다는 표현이 적절할 것 같습니다. 디자인을 지적 재산으로 보고 이에 대해서 돈을 지불하겠다는 클라이언트의 자세가 미미합니다. 마치 포토샵, 캐드 등의 프로그램들이 불법으로 쓰이는 것이 만연한 모습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머리를 써서 만들어 낸 결과물에 대해서 제대로 돈을 받지 못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입니다. 더불어 일하는 사람들은 자기 자신과 작품의 가치에 대해서 슬플 정도로 모르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주 서서히 고급 프로젝트에서는 일부 클라이언트들이 그런 인식을 갖기 시작했어요. 10년, 15년 후에는 클라이언트의 수준이 좀 더 높아지고, 이를 받치는 건축가들의 수준도 같이 올라간다면 더 좋은 상황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국내 실내 건축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이 사회에 나가서 독자적이고 전문적인 영역을 구축하려면 어떤 것에 힘써야 하는지 등에 관한 얘기를 부탁 드립니다.
자신의 적성에 맞는 분야를 찾는 게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저의 경우 서른 셋, 넷이 되기 전까지 정말 즐겁게, 잘 하면서 돈을 벌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몰랐던 것 같습니다. 자신이 편안하게 잘 할 수 있는 것이 정말 잘하는 것입니다. 너무 걱정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그건 자기분야가 아닙니다. 천재는 스스로 잘하려고 노력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자신이 편하게 하는데 사람들이 잘한다고 알아볼 뿐인 것처럼 말이죠. 모두가 그런 일을 찾아내야 합니다. 다행히도 건축은 나아갈 수 있는 분야가 구조, 디자인, CM, PM, 기술 등 여러 가지입니다. 그러니까 다양한 경험을 해보고, 충분한 시간을 들여서 방향을 정했으면 좋겠습니다. 그 분야에서 일을 하면 자신도 모르게 어느 순간 자기 이름 뒤에 ‘전문가’가 붙게 될 것입니다.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Seunghyun Woo
Assistant Professor of Interior Architecture
What are the strengths of interior design major that differ from that of architecture design? How is the curriculum planned? And how will they change?
It would be more accurate to describe the interior design major as “the only”,than “different”.Since the interior design major has been added on the basis of architecture design, interior designing students must know more than that of architecture major. The ultimate goal is for students to be able to work in any field of profession. Thus, students from interior design should not be in competition, but cooperating with each other as leaders in industries of advertising, design, lighting, real estate, branding, CM, and etc, which could be a very productive alumnus in the future.
Various classes will be added. The architecture major, due to its certification process, has a limited number of changeable classes that could matter with lighting, building systems, and etc. Such limitation does not exist within the interior major, which is our strength in curriculum.
What is your personal interpretation of the uniqueness of interior design major?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in Korea, and in what direction does it needs to be developed?
I could say that the situation in Korea is much different than in foreign. There is a lack of attitude from clients that would pay for design, acknowledging it as intellectual property; kind of like people generally using illegal copies of computer programs such as photoshop, cad, and etc. It is difficult to be paid for intellectual work. In addition, the artists themselves do not recognize the value of their work. However, slowly in big projects clients with such acknowledgment are being discovered, so that in ten to fifteen years, the clients’ and architects’ standards will increase together.
What should students focus on to become leaders as you mentioned?
It is discovering one’s aptitude. For my example, I did not realize that work could provide joy and money simultaneously. If you are stressed from work that is probably not what you are fit to do. Just like how a genius’s is simply a result of his enjoy, not majorly by effort. Everybody should find a field that fits to them. Luckily, there are many directions for students to proceed such as structure, design, CM, PM, technology, and etc. Thus, having various experiences with enough time is an appropriate method that students should take; sooner or later one will realize as being called as a ‘professional’.
What do you think is the responsibility of architecture? And how are your works connected to such ideas?
I ask to students ‘what is architecture?’ first in my class, Practical business management. According to books, the ultimate goal of architecture is social welfare, a device that provides welfare, protection, and service for public, which is why a national degree is required just like doctors or lawyers.
But in my personal view, I believe architecture should have space that its users could enjoy. I do not demand to be a star architect; instead I prefer to be recognized by my work. People should be comfortable, and be satisfied with the space they are using. This idea is quite
284 | 285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year
nterview
교수님께서는 건축가는 사회적으로 어떤 책임을 갖고 어떤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또 이런 것들이 교수님의 작품 활동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듣고 싶습니다.
내가 맡고 있는 수업 ‘실무 경영’ 첫 시간에 하는 게 ‘건축가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입니다. 책에서 나온 대로 말하자면 건축가의 최종 목표는 공공복리입니다. 공공의 이익, 안전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이죠. 공공의 안전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의사나 변호사처럼 자격증이 필요한 것입니다. 저에게 개인적으로 묻는다면, 저는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만족하는 건축을 하고자 합니다. 저는 소위 말하는 스타건축가를 지향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저의 이름이 아닌 프로젝트만을 기억해줬으면 좋겠습니다.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정말 편하다고 느끼고, 자신이 바라고 그리던 건축물이라고 만족하기를 바랍니다. 그건 굉장히 복합적인 것일 것입니다. 기능적으로도 만족해야 하고, 투자 대비해서도 만족 해야 하고, 상업시설의 경우 매출액의 차이가 눈에 띄어야 하겠죠. 그런 여러 가지를 만족시킬 수 있는 건축가가 가장 좋은 건축가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그 부분을 담당한다면 전 굉장히 보람을 느낄 것 같습니다. 실제로도 그렇게 하고 있고요. 종종 클라이언트의 바람과는 상관 없이 자신의 스타일을 고집하는 건축가들이 있습니다. 자기 이름을 걸고 유명해지는 건축가들을 보면 어떨 땐 존경스럽기도 합니다. 하지만 전 ‘내가 과연 그런 주제가 되는 가’란 생각을 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없으면 프로젝트가 없고, 프로젝트가 없으면 건축가, 즉 저도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의 작품은 각각의 프로젝트와 클라이언트의 성격에 맞춰져 각각이 완전히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니까 저는 건축가로서 디자인을 안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디자인을 하는 사람은 클라이언트이고, 저는 이를 받아서 제 전문지식으로 실현 시켜주는 일을 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내 색깔이 너무 강하게 들어가면 안 된다는 생각입니다. 저 같은 경우 사회에서 필요한 걸 해결해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해요. 문제가 주어지면 조건과 상황에 맞추어서 가장 합리적으로 해결을 하는 걸 저는 참 잘 합니다. 제가 이 분야의 전문가라면, 또 다른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팀을 이뤄서 다같이 퍼즐 끼워 맞추듯이 완성해나가는 일이 즐겁습니다. 전 이런 팀 작업이 건축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미국 큰 사무실에서 몸담고 프로젝트 메니져(이하 PM)로 활동하셨기에 실무에서 PM으로서 가져야 하는 역량들에 대해서 특히나 잘 알고 계실 거 같습니다. 이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첫째로 팀원들을 위해서 PM으로서 해줄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해줘야 합니다. 팀원들의 공로를 충분히 위로 전달해주어 팀원들이 인정받고 보람을 느끼며 일할 수 있게 해줘야 하지요. 또한 팀원들을 100프로 믿고 일을 맡기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때로는 팀 내의 갈등을 잘 조정해야 하고, 대외적으로는 팀을 외부로부터 전적으로 보호해야 합니다. 이렇게 지원해주고, 대접해주고, 보호해 주었을 때 성과가 올라가고, 그 팀원이 다른 팀으로 옮겨 갔다가도 다음에 다시 돌아옵니다. 둘째로는 디자인 컨트롤을 잘해야 합니다. 어느 방향으로 갈지를 정한 후 팀원들을 이끌어야 합니다. 하다가 방향을 잘못 잡았음을 알았을 땐 실수를 인정하고 과감히 키를 트는 일도 PM만이 할 수 있는 역할입니다. 세 번째로 PM은 스폰지 같아야 합니다. 가끔은 디자인에 대해서 혹평을 하는 클라이언트들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화가 나면 이를 스폰지처럼 다 받아줘야 합니다. 이에 대해 같이 감정적으로 맞서거나 깔때기처럼 팀원들에게 그 감정을 그대로 전달해서는 안됩니다. 어떻게 좋은 말로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나쁜 결과가 나오면 그건 전적으로 자신의 책임이란 생각을 가져야 하고, 또 반대로 성공적이면 그 공로를 전적으로 팀에게 돌려야 합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게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하여 10개를 요구했을 때 10개를 조금씩 다 하는 게 좋을지, 5개만 선택해서 5개를 완벽하게 하는 게 좋을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최고의 전략은 약속은 적게 하고 줄 때는 약속한 것보다 많이 주는 것입니다. 이건 설계 시간에 디자인을 진행할 때 학생과 교수 사이에서도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Seunghyun Woo
complicated to achieve. The space should be functional, economically appropriate, and have future incomes. I believe a successful architect is who designs spaces that fit all of the above.
There are architects who adhere to his ideas no matter what the client wants. I sometimes admire them, but simultaneously think ‘is an architect in a position to do so?’ Without a client, there is no project, and without a project, there is no architect. Therefore my projects react to the different clients and situations that are totally different in result. In extreme terms, the client is the one who designs and gives ideas, while the architect simply realizes it with his personal knowledge; an architect should not have a too strong idea.
I believe an architect is a person who solves the social needs. When facing a problem, I am quite confident in finding a rational solution depending on the solution. There are also other professionals in other fields, who could all work together like matching up a puzzle; this is how overall architecture teamwork is done.
Since you have worked in a foreign studio as a project manager, or P.M., what personal values does one must have to become a P.M.?
First, a P.M. should do everything he can to do for his teammates, who should be comfortable in their working environment. Also, a P.M. should believe his teammates by a 100%. Sometimes the P.M. should well mediate the conflicts within the team, as well as providing protection from outer conflicts. By supporting and protecting the team, it could produce well-made designs and not lose its teammates. Secondly, the P.M. should control the design, basically deciding which direction the team should go. Even if a mistake is made, the P.M. should daringly admit his mistake and lead the team to the right path, which is only a task that a P.M. could do. Third, the P.M. should be like a sponge. Not always is the client positive about the design, which is the P.M. should receive all criticism, but not interpret it personally or deliver it to the teammates as it is. He should transfer such information under great thought and consideration, with an attitude that every negative reaction is due to oneself, while success is from the team. Another decision to make is how to develop the project by analyzing the client’s demand. Ten light studies could be made, or five deep studies could b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e best strategy is to make fewer promises and giving more than agreed, this is the same between the professor, student relation.
Such ideas should be expressed in your classes. How do you manage your class?
I believe meeting a dead line must be the priority. Students should always be in class, and have a strong belief in his project that gives strength in presentation. Students usually whine about having not enough time of sleeping, but this is just not being trained enough. Managing time should be learned naturally by responsibility.
Is there anything to say for students?
I would say to travel a lot. All architecture is based on land, and land exists in so many forms like a human fingerprint. For example, A Starbucks coffee shop may have the same style and program, but depending where it’s placed, the entrance, stairway, queing are all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l climate, culture, economy, and law. Thus, traveling can provide information of such characteristics of land, which will give rich experience of different locations.
286 | 287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year
nterview
이런 면들이 교수님의 수업과도 연관될 것 같은데요. 수업에선 학생들에게 주로 어떤 가르침을 주려고 하시나요?
저는 스케줄을 맞추는 것은 기본으로 지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출석을 잘하고, 마감시간을 잘 키고, 자신이 내 놓는 프로젝트에 대해 확신과 자신감을 가지고 발표를 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자 합니다. 학생들이 가끔 밤을 새고 나온 게 없다고 괴로워하는데, 이는 능력이 없다기보다는 훈련이 안 된 것입니다. 시간을 관리 하는 것을 자꾸 몸에 익혀야 합니다. 저는 이를 책임감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임감 있게 자기 인생과 진로를 차곡차곡 만들어 갔으면 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 꼭 해주고 싶으신 말씀 부탁 드립니다.
여행을 많이 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모든 건축은 대지가 있어야만 지을 수 있는데, 대지는 가진 조건과 특성이 마치 사람의 지문에 비유할 수 있을 만큼 유일무이합니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 매장은 건물 스타일이 같기에 어딜 가든 똑같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매장마다 입구의 위치, 계단의 높이, 큐잉(queing: 대기 줄의 순환)이 달라지는 건 기본이고, 지역의 기후, 문화, 시장, 법규에 따라서 전혀 다른 건물이 나옵니다. 따라서 여행을 많이 해야만 이런 대지의 특성을 이해하는 눈을 키울 수 있고, 대지에 적합한 건물을 설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행을 하면 안목을 넓힐 수 있습니다. 문화적인 접촉을 많이 한 사람들은 똑같은걸 봐도 훨씬 풍부하게 느낍니다. 왜냐하면 개인의 감성은 개인의 경험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와인의 향을 맡고 ‘무슨 냄새 같다’ 라고 하는 표현은 100프로 다 개인의 경험의 기억으로부터 비롯된 것입니다. 내가 직접 부딪히고 피부로 체험하고 느끼면 어렴풋이 여긴 어떤 공간이 맞겠다라는 그림이 그려질 거에요. 이렇게 여행을 통해서 다져지고, 영화, 책 등으로 탄탄해진 풍부한 감성을 갖고 있을수록 어떤 클라이언트를 만나든 그가 말하는 감성을 공감할 수 있을 것 입니다. 특히 “ 여기 가보셨어요?” “이거 드셔보셨어요?” 라며 ‘거기 그 느낌’을 원한다고 하는 말을 이해하려면 여행을 통해 안목을 높이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더불어 여행도 늘 조금씩 업그레이드 해야 합니다. 조금 더 색다른 경험, 조금 더 좋은 동네를 가봤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여학생들에게는 꼭 40이 넘어서까지 오랫동안 일을 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나이를 먹을수록 여자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의 잠재력이 상당히 커집니다. 더욱 여성스러워지고, 고급스러워 지고, 자신감에 충만해진다면 말이죠. 또 여자는 자신을 그렇게 가꾸어야만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런 연륜이 있는 여자는 남자들과는 다르게 꿈 꾸는 클라이언트의 감성을 이해할 수 있는 포용력이 있고, 남자들 사이의 삭막한 분위기를 보들보들하게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전 그런 사람이 정말 유능한 여자 건축가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사람들은 어마어마한 경쟁력을 갖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남자가 하는 말보다 더 신뢰하게 되지요. 그러니 꼭 많은 여자들이 오래 일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Seunghyun Woo
One’s sight is increased by traveling. A person with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has a much more deep sensation when viewing a same object than another who has none; this is because emotion comes from experience. For example, when smelling a cup of wine the description of “it smells like something” is based on the person’s experience. When one experiences much, realizing the spatial image during a project will be much easier and persuasive. In addition, the traveling itself should be improved everytime; have more unique experiences and visit better places. Lastly, for female students, I should say keep working in the same field at least until their forties. There are unique strengths a women can take when getting older. A more feminine, luxurious, confident self could be discovered. Such chronicle experience of a woman can interpret the client’s need in an emotional aspect, which is what men cannot do. I believe that kind of emotional softness is what a female architect should have her strength in.
288 | 289
1 2 3 4 5 i year
year
year
인턴 후기
year
year
nterview
김소영
Interned at Kohn Pedersen Fox Architects
KPF는 Kohn, Pederson, Fox 세 명이 1976년에 설립, 30년의 단기간에 초고층 빌딩 전문으로 눈부신 성장을 이룬 설계사무소입니다. 뉴욕 맨 하탄에 약 300명 규모의 본사를 두고 있고, 런던, 상하이엔 지사를, 홍콩과 서울에는 작은 오피스를 두고 있습니다. 회사가 상하이, 홍콩 등 아시아 에 주로 위치해 있는 데서도 알 수 있듯이 KPF는 건설 수요가 많은 성장국들을 겨냥한 아시아 프로젝트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며 Shanghai World Financial Tower와 같은 랜드마크 빌딩을 세우고 있습니다. 우리 학교와는 2005년부터 교류 협정이 체결되어 매년 1명~5명이 꾸준히 파견되는데 성 실하고 일 잘하는 인턴으로 그 평판이 좋습니다. 이는 홍대만의 가장 큰 자랑이기도 합니다.
제가 회사에서 근무하며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미국의 업무 문화입니다. 이른 아침에 출근하여 정해진 시간에 다 같이 점심을 먹고, 11시 12시 까지 남아 일하는 한국 대형 사무소와는 달리 KPF는 퇴근 후 여가활동과 같은 개인생활이 우선시되는 곳이었습니다. 자신이 맡은 일만 스케줄에 맞 춰서 하면 가고 싶을 때 퇴근하는 것이 당연한 이 회사에서는 8시 정도만 지나면 당장 마감이 있는 몇몇 팀을 제외하고는 모두 자신의 생활을 즐기러 이미 떠난 모습이었습니다.
컨셉 디자인을 진행하는 데에도, 전체적인 방향 설정이나 최종적 결정은 물론 상사에게 있지만, 그 진행과정 속에서는 모두가 자신만의 옵션을 하나씩 맡아 스터디하고 토의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중 몇 몇은 현실화될 수 있는데, 놀라운 점은 이런 기회가 인턴에게도 돌아온다는 것이었습니 다. 잠시의 적응과정이 지나면 인턴도 한 명의 팀원이 되어 정직원과 비슷한 기회와 책임이 주어집니다. 팀원의 수가 적을수록 맡을 수 있는 범위와 역할이 더 커지고 팀원들과 소통할 가능성 또한 열리게 되는 것이지요. 물론 인턴에게 아주 중대한 임무가 주어지진 않지만, 내가 맡은 부분이 그대 로 최종 마감에 제출되기에 팀에서 제 자신의 역할을 최대한으로 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있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팀에 누가되지 않도록 마감시간을 칼 같이 지켜야 하는 긴장감을 이겨내는 경험을 할수록 저는 한 단계 성장하는 것을 느꼈습니다.
‘뉴욕은 미국이 아니다’라는 말이 있듯이 뉴욕은 제 3의 나라였습니다. 순수 미국인이자 뉴요커인 사람은 실제로 그 비율이 높지 않습니다. 서로 다른 피부색을 갖고,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새로운 사회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제가 회사에서 만난 사람들의 국가만 해 도 그리스, 이집트, 이스라엘, 칠레, 대만, 중국, 일본, 캐나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 인도, 필리핀 등 그 종류가 무궁무진 했습니다. 이들은 뉴욕 내에 서 서로서로 타운을 이루어 모여 살면서도(리틀 이탈리, 차이나 타운 등) 서로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교류하면서 새로운 사회적인 약속 즉 문화적 특 징을 만드는 것 같았습니다. 예컨대 같은 영어라는 언어로 소통을 하되, 각각 그들 나라만의 억양이 담기며 저마다 다른 영어를 사용합니다. 그 다양 한 영어에 담겨 나오는 독특한 그들만의 생각들, 이런 다양성이 존재하고 포용되며, 또 이 다양성들이 만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는 모습이 바로 뉴욕을 매력적인 도시로 이끈 듯 합니다.
Comment from Intern
Soyoung Kim
Interned at Kohn Pedersen Fox Architects
KPF was founded by three members of Kohn, Pederson, and Fox in 1976, which gained its career from designing high rises for the past thirty years. The central head quarters holding about 300 workers is in Manhattan, New York, and has several global offices. As we can see, KPF mainly does projects in the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including the Shanghai World Financial Tower. Our school started an internship program since 2005, and has a good reputation for the hard-working students. This program is what our school should be proud of.
What I was most impressed during my internship was the working culture of America. People come to work very early, and get off early, which is much different than Korean workers who stay until night. Once one finishes his appointed amount of work, one is free to leave at anytime. Most workers leave around eight o’clock, except some teams who are facing their dead line.
During the concept designing process, obviously the boss has the final decision, but all workers have a chance to propose their personal options and study it. Several of these proposals may be realized. But the surprising thing is that such chance comes to the interns as well. As soon as the intern finishes his initial period, he is treated as a co-worker and can propose his concept. The smaller the team is, the intern has a larger proportion of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I was appointed into a finishing team which had a larger responsibility to finish a project. It was an important experience that I had to overcome the strong tension of meeting dead-lines.
New York was almost another country. There were not much pure Americans. Many members of different skin color had their own community. People who I met there had different nations such as Greece, Egypt, Israel, Chile, Taiwan, China, Japan, Canada, England, France, Russia, India, Philippine, and etc. These people all had their own community such as Little Italy, Chinatown, and etc. but fully understood each other’s character and uniqueness. For example, everybody spoke English but in their own unique accent. Such different accents coming out from the same accent distinctly shows the how a new culture comes from communication.
People in America are mostly active. I once had an ‘instant lunch’ with random friends of my co-workers; there were no communication barriers. Such open community could be seen in a weekly program of KPF called “Show&Tell”. This program, sponsored by other companies, gathers coworkers to view each others’ works and give short presentations. It not only provides a promoting opportunity of KPF, but also a great meeting chance between the workers.
For some working details, workers in a team are divided into two of main designers and project managers. Such division is not always held, but always one works in his profession. The designing team works on modeling and rendering, while the managing team constantly communicates with exterior consultants considering problems related with electricity, structure, lighting, and etc. Project manager, PM, represents the team as a leader who not only expresses the team opinion, but also the main decision maker for the entire team. The design process, like our school curriculum, designs goes through processes of feedbacks and requires clear expression through sketching or modeling. But this process goes in an amazingly fast pace. Especially projects held in Korea or China, the pace are faster than those in America or Europe. The important fact is that working in a studio requires not only designing but so many other talents. Even though one may be not talented in design, there are other ways for one to open his professionalism.
No matter how large a studio is, they still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 The projects tend to have a constant philosophy of creating spaces,
290 | 291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year
nterview
누구에게나 말을 잘 붙이는 자유로운 이들에겐 주변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친구입니다. 한번은 회사 앞 공원에서 저마다 아는 친구들을 데리고 와서 “즉흥점심식사”를 하였는데, 처음 만났어도 자신들의 나라와 문화 이야기를 나누며 ‘KPF’라는 공감대로 소통하는 것이 더 없이 새로운 즐거움 이었습니다. 이러한 개방적인 분위기는 매주 목요일 저녁마다 열리는 KPF의 ‘show&tell’이라 불리는 행사에서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참 재미있는 행사인데, 외부업체를 초청해 간단히 와인과 치즈를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나누어먹으며 돌아다니면서 그들의 작품을 감상하거나 가끔은 프레젠 테이션을 듣는 시간을 갖습니다. 이는 외부 업체에게는 홍보의 기회가 되고, KPF직원에게는 식견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며, 무엇보다도 사내의 여러 사람을 만나서 인사하고 얘기를 나눌 수 있는 일석 삼조의 파티가 되는 것이지요.
이제 조금 더 실질적인 회사이야기로 들어가보려고 합니다. KPF에서는 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크게는 디자인을 하는 사람들과,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사람들로 그 역할이 나뉘게 됩니다. 항상 역할이 분리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의 전문 분야는 가지게 됩니다. 모델링과 렌더링 등은 주 로 디자인 팀에서 맡게 되고 전기, 구조, 조명, 설비 등과 같은 컨설턴트들과의 의견 조율, 스케줄 조율, 도면 관리 등의 일들은 메니징 팀에서 진행하 게 됩니다. 프로젝트 메니져, 즉 PM에게는 협력 업체에게 팀의 입장을 명확히 표명하거나 팀 내의 의견을 잘 조율하는 능력, 스케줄을 잘 조절하고 팀의 인력을 관리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능력, 도면을 읽어내고 표현하는 능력 등이 요구됩니다. 디자인에 있어서는 마치 학교에서 교수님들과 매주 크리틱을 진행하듯이 자신이 디자인 한 것을 명료하게 설명하거나 위에서 그린 스케치를 잘 이해하여 모델로 표현하고 디자인을 발전시키는 능력이 요구되지요. 다만 이 모든 것이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진행됩니다. 특히나 중국과 한국 프로젝트의 경우 그 속도는 미국이나 유럽 프로젝트의 2배, 3 배는 되는 것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설계 사무소에서 일하는데 디자인 감각 외에도 갖추어야 할 자질은 너무나 많다는 것입니다. 디자인 능력이 뛰 어나지 않더라도, 자신만의 강점이 무엇 인지만 잘 알고 이를 키워간다면, 이를 발휘할 수 있는 직책은 대형 사무소에서는 많을 것입니다.
설계 사무소 자체도 아무리 커도 저마다의 특징이 있습니다. 설계 과정의 어떤 부분을 강조하는지 그 철학이 곧 설계 사무소의 특색이 되는데요, 이는 아마 사장이 지속적으로 그런 성향을 가진 인재를 개발하고 키우기에 오랜 시간이 지나도 그 것이 강화되며 회사만의 설계 스타일을 만들어내 는 것 같습니다. KPF같은 경우, 그 동안 수많은 건물을 해오면서 평면이나 코어 계획, 입면 디자인 등에 대한 원칙을 축적해온 것 같았습니다. 오래 일한 직원들은 설계에 있어서 작은 부분, 부분에 어떤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 KPF스러운 것인지 어느 정도 답을 알고 있는 듯 했습니다. 다만 전체 적인 형태, 파사드 디자인 등에 대한 옵션 스터디를 심도 있게 진행합니다. 여러 번의 사장들과의 미팅, 클라이언트 미팅을 거치며 여러 안들을 조합 하거나 추려나가며 발전시킵니다. 그렇기에 멋있는 디자인 형태의 KPF스타일 건물이 탄생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반면 평면의 구성 방법이나 프 로그램 자체에 대한 사회적인 고민 등에 대해선 거의 시간을 쓰지 않는 것 같았습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그런 설계사무소마다의 뚜렷한 특색들을 잘 알고, 꼭 설계 사무소가 아니더라도 내가 하고 싶고, 내가 잘 할 수 있는 회사나 부 서를 선택하는 것이 그 곳에서도 잘 성장할 수 있고, 나 스스로가 행복한 일일 것이란 것을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경기가 어려운 요즘 어디에 취직이 되든 감지덕지한 상황에선 배부른 소리이겠지만, 마음 속 소리에 귀 기울여 이를 향해 늘 움직이고자 하면 궁극적으로는 늦건, 빠르건 그 곳에 도달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Comment from Intern | Soyoung Kim
which is probably how the main designers are chosen; such constant direction is strengthened through time that creates this characteristic. For KPF, it seems that invisible rules of general planning, core planning, elevation designing, and etc seem to exist. Experienced workers seemed to know how to finish the details in a KPF style. However, the projects did not linger long enough when considering social issues.
Knowing these styles of architectural studios, and realizing that one’s talents can be blossomed in other offices is important. Nowadays where simply being working is grateful such words may be too luxurious, but listening to myself and realizing what I really want to do is what most depends no matter how long it may take.
292 | 293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교환학생 후기
year
nterview
이효진
École Spéciale d’Architecture
4년 간 건축을 공부하면서, 어떤 경험보다도 스스로를 채워갈 수 있었던 것은 방학 때마다 틈틈이 떠나던 여행이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유럽은 풍부한 문화와 다양한 체험들을 제공하는 가장 값진 여행지였고, 잡지에서나 보던 현대 건축들을 둘러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긴 여행을 떠나기에는 심적인 부담이 컸고, 짧은 여행이나 워크샵 기간 동안 저 스스로가 수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항상 느껴왔습니다. 그러던 와중 학교에서 프랑스 교환학생이라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기본적인 프랑스어와 포트폴리오 준비 끝에 6개월 간 유럽의 학생이 될 수 있었습니다.
제가 다닌 École Spéciale d’Architecture는 파리에 위치한 사립 건축학교로써, 홍익대학교를 비롯하여 5개 대륙에 34개의 교류학교를 두고, 교환학생을 포함한 외국인 학생의 비율이 30%에 달하는 국제적인 학교입니다. 한 학기에 한번씩 초대된 유명 건축가의 지도 아래 1주일 가량 국제 워크샵을 진행하고, 일주일에 한번은 학생들을 위한 영화 상영이나 특강이 있었고, 설계 스튜디오 역시 유럽 각 나라에서 초빙된 건축가들이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스튜디오 이외의 수업 역시 대체로 강의와 토론이 같은 비율로 진행되기에,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과 생각을 공유하는 것 만으로도 새로운 문화를 경험하고 생각의 폭을 넓혀갈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이곳에서도 학교 생활은 설계수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설명회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스튜디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제가 선택했던 스튜디오는 로마의 건축가가 진행하는 스튜디오로써,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의 노동의 종말(The End of Work)를 토대로 현대 사회의 레져 타임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첫 프로젝트는 한달 동안 각자가 생각하는 개념적인 레져 공간을 20m x 20m 의 규격 안에서 자유롭게 제안하는 도면과 모형 작업이었고, 그 이후 두 달은 로마의 유적지를 사이트로 삼고, 그곳에 레져 공간을 디자인하는 프로젝트로 진행되었습니다. 사이트 답사를 위해 학교의 지원 아래 1주일간 로마에서 머물렀고, 교수님의 초빙으로 두 명의 로마 건축가로부터 로마의 역사와 로마의 건축에 대한 강연을 들을 기회도 있었습니다.
저희 스튜디오의 경우 마지막 결과물을 책 두 권으로 엮었는데, 같은 스튜디오에서 진행한 프로젝트지만, 최종 전시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Comment from Abroad
Hyojin Lee
École Spéciale d’Architecture
During my four years of architectural study, the most precious experiences were the foreign trips I took during vacations. Especially Europe was the most valuable destination with various cultures and modern architecture. However, a long-term vacation is quite a burden, and workshops seemed to be too difficult to attend. Meanwhile, I found about the French exchange student program, and after preparing French and a personal portfolio, I soon found myself as an exchange student for six months.
The school I went to, Ecole Speciale d’Architecture, is a private architecture school located within Paris, that has exchange student programs with 34 architecture schools around the world, with a 30% ratio of foreign students. A weekly global workshop under a famous architect is held, as well as special lectures for foreign students. Architecture studios are also held as much as these lectures, which are great opportunities to meet different people and share thoughts.
The school is based on these architectural studios, which are selectable depending on their themes. The studio I chose was managed by an Italian architect, and the theme was studying about leisure time based on Jeremy Rifkin’s book called The End of Work. The first project was to plan a space of leisure in a 20 by 20m boundary, and later developing it in to be in Rome. For site exploration, under school financial, the studio went on a short trip to Rome, with constant lectures of the history of Rome and its architecture.
The works of our studio was published in a book, and the results were dramatically various. The numerous environments from each member were what the fundament of such variety became. The finishing quality may not be as much as other schools, but the fact that each project clearly showed different ideas was what interesting. In addition, the three mentors concentrated for the students not to lose their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school, the endless opportunities of cultural experience were priceless. The numerous exhibitions of galleries and museums in Paris constantly inspired me, and the historical streets with parks, and closely located cities were all such a valuable experience that expanded my limits of thoughts.
Six months may be a short time to fully understand a city, but for students who desire to work or study in Europe, the exchange student program is definitely a good chance.
294 | 295
1 2 3 4 5 i year
year
year
year
year
nterview
작품은 굉장히 자유롭고 다양한 결과물을 보여주었습니다. 학생들이 자라온 각기 다른 풍부한 환경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개별성을 당연하게 인정하는 인식이 그 원동력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결과물의 완성도 면에는 그것이 어떻게 보일지는 모르겠지만, 하나 하나의 프로젝트 분명한 생각이 읽힌다는 점은 저에게 있어 매우 흥미로운 점이었습니다. 세 분의 스튜디오 튜터들은 학생으로써 자신의 건축적 주관을 다져가는 과정을 돕는 조언자로 우리가 처음의 생각을 잃지 않고 이끌고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요.
학교생활 외에도, 유러피안 학생의 자격 아래 끊임없이 주어졌던 문화적 혜택과 경험의 기회는 저에게 가장 값진 자양분이 되었습니다. 이제 제법 둘러봤다 싶을 때쯤이면 새로운 전시를 열며 저를 자극하던 수많은 파리의 미술관, 박물관들과 언제든지 마음의 여유를 찾아갈 수 있게 해주었던 공원들, 역사의 흐름을 그대로 간직한 거리는 저의 일상을 다채롭게 채워주는 요소들이었고, 기차나 항공으로 몇 시간이면 도착하던 이웃 도시들로의 짧은 여행들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뿐 아니라 저의 사고의 폭을 넓혀주는 훌륭한 자극제가 되었습니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한 학기라는 시간은 한 도시를 충분히 이해하기에는 다소 짧은 시간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유럽의 문화나 향후 유학에 관심을 두고 있는 학생이라면 파리로 떠나는 교환학생의 기회는 더없이 큰 메리트가 될 것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파리에서 만난 인연들과 경험들은 스스로를 돌아보고, 나아갈 방향을 결정하는데 있어 큰 도움이 되었던 듯합니다.
Comment from Abroad | Hyojin Lee
296 | 297
1 2 3 4 5 E year
year
year
year
year
Students list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1
School of Architecture
Major in Architecture
1st year
2nd year
강기훈 강대신 강민식 강민욱 강서건
강민구 강신영 강지현 강창웅 강현미
강용석 강창성 강한솔 고덕현 기창호
강성순 강정환 곽서정 구재영 권민정
김동규 김소연 김승택 김연태 김용태
김 관 김기욱 김민철 김성균 김승혜
권진혁 길준후 김건웅 김다경 김미지
김용현 김윤수 김재현 김제호 김지은
김원석 김유을 김잠언 김종화 김주희
김민서 김병준 김병준 김상환 김성준
김지훈 김태윤 김현동 김현수 김현이
김태환 김태훈 김한욱 김해종 김현숙
김수빈 김정민 김종기 김중희 김태완
노현수 두정화 류다영 민정택 박근용
김혜경 김효석 남강우 남윤하 노동연
김태욱 김태현 김택수 김한빛 노룡민
박용범 박장현 박종영 박진선 박진오
류공진 문재영 박종한 박주현 박준수
노희광 맹주용 모기훈 문홍규 박병호
배영균 백지현 서일범 성민주 송보경
박준용 박진한 박해성 박현배 배문영
박상근 박상언 박상운 박재우 박정은
신세열 신형준 오승민 위성문 유수미
서정윤 선정수 송창훈 신동준 신영철
박준서 박현준 박혜원 서다은 서수지
유용호 윤 솔 윤수정 윤지영 이경연
양기란 양승겸 엄재하 오기원 오소희
송성회 송지현 송혜수 신동성 신동해
이상협 이선민 이세원 이영진 이예나
우종호 윤은진 이기학 이문영 이병철
신병호 심언관 안성진 안태유 양서용
이용희 이원중 이정호 이정환 이주호
이상민 이승현 이원규 이원우 이재상
양인환 양희구 엄기현 엄민식 엽 준
이진환 이해수 이혜림 전병진 정승환
이재설 이재훈 이준영 이진호 이현석
오구영 오규현 오성훈 오형빈 오단룡
정우석 정창원 정해랑 정현기 조규형
이현승 이호재 임미르 임하형 장우진
유대근 윤승조 윤진우 윤형석 이병탁
조다은 조영찬 조효진 주형호 최선웅
장윤정 전종준 전진민 정미희 정연재
이석열 이성원 이승훈 이일재 이주희
최지숙 한기준 황성민 황성빈 황일현
정진주 제정웅 조영동 조유환 조재영
이지수 이지현 이진수 이찬용 이창욱
황정광 황정서
지범희 진민우 진성열 최원석 최윤주
3rd year
이호윤 임채현 장해용 정경화 정요은
최인녕 최정환 최호준 최효은 한경원
정원용 정준호 정희홍 조문경 조준우
황규현 황남희
지대성 지현배 최성현 최슬건 최아영 최영한 최인준 최해빈 하태우 한새롬 한용환 허동호 현홍은 황호선
Major in Interior Architecture
4th year
5th year
2nd year
강수진 강재원 고운님 곽수찬 구광본
강수헌 강승주 강은성 고수현 공선주
금찬미 김민호 김선정 김영곤 김유경
권수영 김도연 김도현 김민주 김상현
곽중원 국영근 권세훈 권현철 김건우
김주현 김찬호 김현석 김현선 김호영
김선엽 김소영 김승준 김영준 김완기
김경식 김광주 김근희 김대근 김대성
나경원 남현우 류세희 박상혁 박현오
김인영 김정하 김정희 김종훈 김중근
김대진 김덕우 김도연 김명신 김미소
손예선 송승엽 신기태 신민경 윤지영
김지수 김태광 김현아 김효은 민경은
김병철 김보경 김봉식 김세현 김수민
윤태준 이경호 이세윤 이신우 이주형
박성욱 박유정 박윤정 박인호 박정곤
김신종 김언표 김영식 김영휘 김우진
이주형 이중훈 이한나 임하은 전미진
배성훈 서세희 서종효 손동원 손성원
김정화 김주영 김초롱 김태원 김해령
정예현 차준수 한성진 Erdenekhuu Khongorzul
송경하 신준영 안재현 양상훈 양유경
김형균 김혜림 김혜진 김효진 나세진
오화성 위정연 윤은지 이강현 이경민
담문승 도일석 문정욱 박관호 박민지
이규철 이민호 이성필 이수정 이 슬
박석범 박슬기 박시영 박정규 박종현
이연복 이윤재 이재만 이준우 이지영
박준희 박현용 배옥진 백문정 백승운
이채형 이효진 장원석 전승철 전재형
백일홍 변아영 소지혜 손동석 송기범
정희섭 조진경 조현섭 진솔비 최영두
송동현 송창근 신예영 신재필 신현민
최원태 최은규 하상락 한규영 허 성
안광일 안도경 안병선 안세호 안종훈
허재원 황우상
양세영 양시찬 양지웅 염지영 오수하
3rd year 강다래 계월화 김 근 김지훈 마혜영 성진산 신동아 오유경 이상아 이슬옹 이지은 이후곤 임수옥 장건준 정창균 차혜민 한금전 홍인화 OCHIRPUREV
오준명 온건웅 원은경 유규상 유민재 유일선 유지은 윤아영 윤자영 윤지선
4th year
이규정 이근복 이기현 이동주 이만희 이보라 이보배 이선주 이성진 이세희
김지수 김태환 김현진 남우리 방민지
이승희 이용성 이웅재 이유정 이유진
방석걸 양나래 염보라 오소라 이상화
이의범 이인엽 이재경 이정은 이종화
임태호 장준영 조현정 한준겸 허택수
이준수 이지문 이한승 이현석 이형민 이호창 임이랑 임장현 전지연 전채은 정성윤 정성재 정수이 정연달 정의석 조대희 조선오 조영진 조용원 조정필 조한민 조항식 주지혜 차승헌 최민지 최석우 최은주 최지안 한동의 한은주 홍윤형 홍인석 홍정희
298 | 299
1 2 3 4 5 E year
year
year
year
year
editor’s note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1
송유섭
3년 전 처음 작품집을 출간할 때를 돌이켜 생각해보면서 ‘학생들이 만드는 홍대 건축 작품집’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겨 보았습니다. 간혹 ‘작품집을 맡게 되어 고생이겠구나’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우리에게 한 해의 마침표를 찍는다는 의미는 말로 형용할 수 없을 정도로 컸고 그 무게 또한 다른 어떠한 것들 보다 무겁기까지 했습니다. 그 의미를 함께 알고 그 무게를 함께 짊어지고 와 준 모든 이들에게 모든 노고에 대한 감사 말씀을 드리며 언젠가 낯선 곳의 책꽂이에서 이 책을 만났을때 홍익대학교 건축의 모든 동문분들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작품집’이 계속 이어져 갔으면 좋겠습니다.
방민지
졸업을 앞둔 마지막 방학을 전부 작품집에 쏟아야 하는 부담이 있었지만, 작품집 제작에 참여한 것을 후회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작품집을 만들면서 선배님, 동기, 후배들의 작업 과정을 본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년 출간된 작품집에 실린 작품들의 퀄리티가 점점 높아지는 것을 봐왔는데 올 해도 역시 멋진 작품들이 많았습니다. 그 작품들을 싣는 데 부끄럽지 않을 멋진 작품집을 만들기 위해 팀원들이 밤낮으로 고생했습니다. 부디 이 작품집이 여러분의 책장 한 켠에 자리잡고, 저에게도 그러했던 것처럼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작품집 기획팀 10명을 비롯해 도와주신 모든 분들 정말정말 수고 많았어요!
임하은
종강을 했지만 종강을 하지못한 L502호의 철야작업. 전기방석과 손에는 장갑 그리고 라디에이터 하나에 의존한채 추위에 시달렸던 우리. 생일선물로 받은 하루 휴가로 간 스키장의 눈을 바라보며 레이아웃 구상. 매일 3번씩은 다시깔던 인디자인과의 사투. 서투르고 모자란 능력으로 열심히 발버둥치며 만들어냈지만 모든 디자인이 다 그렇듯 계속 손봐도 아쉽고 또 아쉽기만한 작품집. 유섭엄마와 민지아빠와 준우랑 막내서정이 싸랑하는 홍보팀 가족 그리고 꼬임에 넘어와 함께 고생한 윤수랑 정민이, 바쁘신 와중에도 많이 신경써주신 도현오빠, 하루만에 슝슝 번역의 신 호재오빠, 인터뷰 따느라 고생하신 소영언니 모두모두 수고많으셨습니다.
조준우
시간이 너무 촉박해서 좀 아쉬움이 남지만 나름 재미있었고 그래도 학교에 와서 내가 뭔가 흔적은 남겼다는 생각에 굉장히 보람찬 방학이었습니다. 선배님들 작품 레이아웃 짜면서 배운 것도 많고 인디자인도 쓸 수 있게 됐습니다. 우리 홍보부랑 자봉단 다들 너무너무 수고하셨습니다.
곽서정
포토샵 하나 밖에 다룰 줄 몰랐는데 작품집 만들면서 인디자인도 배우고 좋은 추억 만든 것 같아요. 책 한권이 완성되니까 생각보다 엄청 뿌듯하네요. 저보다도 훨씬 많이 고생하셨던 홍보팀 선배님들, 자봉단 윤수오빠랑 정민이, 떡튀순 사다주신 민경언니, 틈틈이 도와주셨던 도현오빠, 그리고 작품 모으느라 고생하셨던 분들 모두모두 수고 많으셨습니다!
김도현
우선 학생들을 물심양면 이끌어주신 교수님들께 감사드리며, 힘들고 고된 작품집 제작에 함께 해준 친구들에게도 고마움을 표 하고 싶습니다. 뒤돌아보면 아쉽기만 하지만, 2011년 한해동안 학생들의 열정과 노고를 담는 작품집 작업에 참여 할 수 있어 영광이 었고,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보다 많은 작품들을, 그리고 학우들의 뜨거운 열정들을 모두 담지 못한 것 같아 미안한 마음이 큽니다. 비록 실리지 못한 작품일지라도, 주머니속에 감춰진 송곳처럼 언젠가 꼭 빛을 발하리라 믿습니다. 마지막으로 선배님들의 지난 노고가 지금 우리에게 든든한 초석이 된 것처럼, 이 작품집 역시 동기 후배들의 성장에 촉매제가 되길 바랍니다.
김소영
평소에 존경하던 분들과 가까이에서 얘기할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값진 그분들의 이야기가 생생히 전달되기를 바랍 니다. 홍대 건축이 늘 발전하길 바라며 본교를 널리 알릴 수 있는 일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어서 기쁩니다.
이호재
학년이 지날수록 건축 작품의 완성도는 피드백에서부터 비롯된다는 생각이 점점듭니다. 물론 교수님과 학생간의 피드백도 중 요하지만 지속적으로 대화가 가능한 친구들과 선,후배들간의 의견은 전자보다도 더욱 더 소중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 서 이 작품집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고, 이 책을 읽게될 모든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김윤수
우연한 계기로 시작하게 된 작품집 제작. 짧은 기한 내에 외적으로 양질의 작품집을 만들기 위해, 설계를 진행한 학생 분들께 자 신의 작품이 어떻게, 작품의 어떤 부분이 부각되어 실렸으면 좋겠는지, 작품을 진행할 때 어떤 생각을 가지고 설계를 진행해 왔는지 에 대해 정확한 이해 없이 작업을 진행하게 되어 한편으로는 아쉬운 부분이 없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런 부분을 메워 넣기 위해 한 작품, 한 작품 다시 돌아보고 이해하기 위해 자료들을 검토하고 학생들의 생각을 추축해가는 작업이 나름 보람찬 작업이면서 저에 게도 많은 생각을 해보게 한 작업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짧은 기간 속에 작업할 수밖에 없었던 이번 작품집에 아쉬움을 가지고 다음 작품집을 위해 좀 더 양질의 자료 수집을 위해 노력하는 한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김정민
학생회를 하고 싶었지만 개인적인 사정으로 신청조차 못한것이 미련으로 남았었는데 작품집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자봉단으로 작품집 제작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모두 우리가 직접 디자인하는 것이라 머리를 짜내느라 힘 들기도 했지만 그 과정속에서 서로를 향한 사랑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직접 한땀한땀 만든 책이 나온다고 생각하니 벌써부 터 눈물이.. 또한 작품집 작업을 하며 저에게 생긴 능력은 인디자인을 다루는 능력, 슬픈소식은 앞으로 과연 쓸까하는 생각. 3주라는 기간동안 열심히 만들었어요. 이 책 냄비 받침대나 책상 흔들림 방지용으로 쓰지 말아주세요!
300 | 301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1 2012년 4월 13일 초판인쇄 2012년 4월 18일 초판발행 인쇄 : 상진문화인쇄사
Hongik University 72-1 Sangsoo-dong, Mapo-gu, Seoul, Korea 121-791 School of Architecture http://arch.hongik.ac.kr http://www.facebook.com/hsarchitecture arch1106@hongik.ac.kr tel. +82-2-320-1106 fax. +82-2-32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