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Project Review Annual 2014

Page 1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2014 Annual Book


Architectural Design

History

4

History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1954

건축미술학과 설립 Establishment of Architecture Dpt. of Arts

1958

대학원 석사과정 설치 인가 Establishment of Graduate School

1964

건축학부 건축과 신설 Authorization of Architecture Department

1966

건축학부를 공학부로 개칭, 건축미술과를 건축공학과로 개편 Change title to Architecture Dpt. of Technology, Reorganization of Art Dpt. to Engineering Dpt.

1971

이공대학 건축공학과로 개편 Reorganization of Dpt. of Schience and Engineering Dpt. of Archi-

Mar

28 Mar

3 Feb

30 Dec

31 Dec

tecture

1973

대학원 박사과정 설치 인가 Establishment of Doctoral Course

1978

건축공학과를 건축학과로 개편 Reorganization of Dp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to Dpt. of Architecture

1985

와우관 준공, 건축학과 건물로 사용 Construction of L Bldg, Dpt. of Architecture

31 Dec

Dec

1 May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5

1997

건축학과 주최로 오스트리아 건축전 개최 Held Exhibition of Austria Architecture

1997

AA School과 교류 협약 체결 / IIT(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와 자매 결연 Establishment of Exchange Program with AA School Set up ties with IIT

2002

건축학과 5년제 시행 Apply 5 Year Undergradutate Course

2006

건축대학 발족 / 실내건축학전공(4년제) 신설 Establishment of School of Architecture & Interior Design

2007

건축학 인증 최초 취득 (2007~2012) Achieve Accredition from KAAB (2007~2012)

2010

대학원 실내건축학과 신설 Establishment of Graduate School in Interior Design

2012

건축학 인증 재인증 (2012~2017) Achieve Extension of Accredition from KAAB (2012~2017)

13 Jan

10 May

Mar

1 Mar

13 Jul

1 Mar

31 Jul


Architectural Design

Contents

6

Contents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01

02

03

Introduction

Graduation Exhibition

60th Anniversary Exhibition

History

Architectural Design

4th Year Architectural Design

Contents

Interior Architectual Design

3rd Year Architectural Design

Introduction of HSA ANNUAL Faculty Dean's Letter Letter from the Chair of Architecture Letter from the Chair of Interior Architecture Letter from the Chief Editor Letter from the President of Student Council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04

7

05

06

Architectural Design

Other Design Class

Epilogue

4th Year Architectural Design

Art Techniques

Interivew with Professor

3rd Year Architectural Design

Digital Design

Hyunjoon Yoo

3rd Year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Digital Architecture

Interivew with Alumnus Architect

2nd Year Architectural Design

Furniture Design

Interview with Graduate Exhibitioner

2nd Year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Lighting Design

Comment from Abroad and Interns

1st Year Architectural Design

Spatial Composition

Student Atelier & Group Activity

Hyunjun Mihn

Student List Editor's Note


Architectural Design

Introduction to HSA ANNUAL

8

Introduction to HSA ANNUAL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BOOK STORY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은 한국건축의 선두주자로서 흐름을 주도하여왔다. 하지만 결과물에 대한 PRESENTATION에 있어서 소홀했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졸업 및 과제작품집을 만들게 되었다. 이 책의 구성은 현재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orea Architectual Accrediting Board)의 인증을 받은 현재 홍익대 학교 건축대학 커리큘럼을 각 학년 및 스튜디오 별 프로젝트를 순차적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설계 이외 의 과목들에 대한 소개와 교수, 동문들의 인터뷰를 실어 다양성을 더하고자 하였다.

SPECIALITY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60주년을 맞아 '통일'이라는 주제로 공동 설계작업 전시가 열렸으며 동시에 58회 졸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올 한해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을 빛낸 전시자들의 작품이 HSA ANNUAL 2014에서 또한 빛나길 기대하며 전시자와 고학년부터 작품을 공개하는 순서를 기획했다. 또한 홍익대 학교 건축대학 60주년에 대한 건축가와 에디터들의 인터뷰를 실어 컨텐츠의 다양함을 확대했다.

A YEAR IN REVIEW HSA ANNUAL 2014는 단순히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작품들을 모아놓은 책이 아니라 2014년 한 해 동안 있었던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학술, 복지, 기타)을 담았다. 또한 홍익대학교 건축대학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인 '미술실기'와 디지털 디자인 분야, 비 설계 과목 등이 담겨있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9

Introduction to HSA ANNUAL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BOOK STORY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has led the flow of Korean architecture as the leader. This book is composed of the curriculum of HSA, which is certified by KAAB (Korea Architectural Accrediting Board), and classified in the order of each grade and projects of studios. Also, this book is made with more practicality, by including various contents such as introduction of professors, alumni and other subjects.

SPECIALITY

The exhibition of collaborative architectural projects on the theme of UNIFICATION, celebrating the 60th anniversary of HSA, and the 58th graduation exhibition were held successfully. HSA ANNUAL 2014 is published in the order of projects of exhibitors and seniors, hoping projects of exhibitors and seniors, whose works took a significant role in the exhibitions, make this book shine.In addition, the diversity of contents is expanded by putting interviews of the editors and architects regarding the 60th anniversary of HSA.

A YEAR IN REVIEW

HSA ANNUAL 2014 is not just a book that has collected the works of HSA, it gathers the various activities(scholar, welfare and etc) that has happened around the students the year 2014. The characteristics of HSA such as 'art techniques' and 'digital design' and pictures of the editors are shown in the covers.


Architectural Design

10

Faculty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DEAN Jaeyong Chung Architectural & Urban Design B.Arch. Univ. of Liverpool Dip. TRP Univ. of Liverpool PhD. Univ. of Liverpool RIBA

Dept. CHAIR OF ARCHITECTURE

Dept. CHAIR OF INTERIOR ARCHITECTURE

Hahn Joh

Hyunho Lee

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Design

B.S Hongik Unv.

B.S. Seoul National Univ.

M.Arch. Yale University

M.Arch. University of Michigan

Architect AIA

Architect AIA

Uk Kim

Youngsoo Lee Architectural Design/Planning

PROFESSOR Architectural Planning/CAD B.S. Seoul National Univ. M.Arch. Ohio State Univ. PhD. University of Michigan

B.S. Hongik Univ. M.Arch. Paris La Villette PhD. Hongik Univ. Architect D.P.L.G.

Gisuop Hong Structural Engineering B.S. Seoul National Univ. M.S. Seoul National Univ. PhD. Seoul National Univ.

ASSOCIATE PROFESSOR Hyunjoon Yoo Architectural Design

Hyunjun Mihn Architectural Design

B.S. Yonsei Univ. M.Arch. MIT M.Arch. with Distinction. Harvard Univ. Architect AIA

B.S. Seoul National Univ. M.S. Seoul National Univ. M.Arch. UC Berkeley Architect AIA, KIRA

Yeonghwan Lim Architectural Design & Sustainable Architecture

Heakyung Yoon

B.S. Hongik University M.Arch. Univ. of Pennsylvania PhD. Seoul National Univ. Architect AIA

B.S. Hongik Univ.

Architectural Environment

M.Arch. Michigan Univ. PhD. Carnegie Mellon Unv.

Kyuman Song Digital Architecture / Architectural management B.S. Hongik Univ. M.Arch. Univ. of Pennsylvania M.Des. Harvard University Doctor of Design, Harvard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Juwon Kim

Seunghyun Woo

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Design

B.S Hongik Unv.

B.S. Hongik Univ.

AA Dipl. AA School

M.Arch. University of Michigan

RIBA

Architect AIA

Kyung-Sun Lee Architectural Design / Sustainable Design

Yongsoon Chang Architectural theory / history

B.S. Hongik Univ. M.Arch. U.C.L.A Doctor of Design, Harvard University Architect AIA

B.S. Seoul National Univ. M.S. Seoul National Univ. Ecole d’architecture Versailles, France St. Denis University, Paris 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1

Sungik Cho Architectural/Interior Design

Jieheerah Yun Architectural history/theory

B.S. Seoul National Univ. M.S. Seoul National Univ. M.Arch. Yale School of Architecture Architect AIA, KIRA

B.A.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M. Arch,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h.D.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Youngsun Ko Architectural / Interior Design B.S. Korea Univ. M.Arch, Yale School of Architecture AIA, Architect

EMERITUS PROFESSOR Dokeun Yoon

Kunhee Kang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al Design

M.S. Hongik Univ. PhD. Hongik Univ.

M.S. Hongik Univ.

Architect KIRA

H.PhD. Sukmeung W. U.

Myunghyun Jeon

Eonkon Park

Architectural Design

History of Architecture

M.S. Hongik Univ.

M.S. Waseda University

PhD. Hongik Univ.

PhD. Waseda University

ADJUNCT PROFESSOR

Yeongmun Lee Architect KIRA Beomsik Na Steven Chang

Siyeon Min

Beomsub Uhm

Jongwook Park

Seonghan Kim

Jonghwan Ahn Architect KIRA

Seohong Min Taekbin Kim Architect KIRA

Soeun Cho Architect AIA

Hyungho Woo Jeonghun Lee

Heekyu Kim

Hyungseung Min

Byeongchan Choi

Jeonghyun Park

Kwangho Cha

Joohyun Park

Myeonghong Kim

VISITING PROFESSOR

Youngwoo Park Architect KIRA, AIA

Yunho Song


Architectural Design

12

Dean's Letter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2014년 갑오년은 홍익대학교 건축학과가 60주년을 맞이한 해 입니다. 우리 건축학과 개설 60주년을 맞이하여 건축대학 60주년 주제를 ‘통일’으로 선정하였습니다. 60주년을 60간지의 의미를 두고, 다시 새 시작을 하는 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하여 과거 60년을 돌아보고, 미래 60년을 계획하는 계기로 삼았습니다. 과거 60년은 6.25 전쟁 이후 산업과 도시개발시대로 우리나라 건축은 국내 건축시장의 양적 발전을 추구했습니다. 그리하여 현재 모습으로 우리의 도시환경이 지어졌습니다. 어떤 면으로는 국제적으로 손색이 없을 정도 입니다.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졸업생들이 이에 일조를 했다고 봅니다. 현대건축으로 한국의 독창적인 건축문화를 탄생시켰습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경제가 침체를 겪는 것과 같이 건축도 침체기에 있습니다. 이는 결코 세계경제 성장둔화 때문이라고 할 수 없고, 한국의 구조적 원인이 더 클 수도 있습니다.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와 세월호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사회 전반적으로 비리와 도덕적 해의 그리고 안전 불감증이 만연한 그런 사회가 되었습니다. 남남 갈등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이념적 갈등도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일이란 개념은 새로운 건축 발전의 기회뿐만 아니라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고자 하는 소원입니다. 또한 현재 북한과 남한의 현 대립적 체제의 극복뿐만 아니라 남한의 사회적 갈등을 극복하여 평화와 소통 그리고 정의가 있는 새 사회를 만들며 국제화와 사회소통을 담은 건축비젼을 제시 할 수 있는 테마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번 작품집은 60주년 주제 작품들과 졸업작품들을 수록한 것으로 의미가 깊습니다. 특히, 4학년과 3학년 작품은 통일 후 시나리오를 대비한 공동작품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우리 건축학과의 교육은 건축기술의 습득을 넘어서 건축을 통한 건축미래를 창조하는 리더 배양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나날이 발전하는 우리 건축학과 학생들의 작품을 담은 이 책자는 학생들의 열정 결실입니다. 건축대학 교수진도 열정을 다하여 학생들이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과 지도했습니다. 이 작품집에 참여한 학생들과 교수진 모두에게 칭찬과 박수를 보냅니다. 앞으로 더욱 발전하기를 기원합니다.

2015년 1월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학장 정 재용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3

2014 is the year to celebrate its 60th anniversary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The theme of ‘UNIFICATION’ is selected to celebrate our 60th anniversary of establishment of HSA. Applying the meaning of the 60 zodiac in to 60th anniversary, we thought it is the year to make a new beginning. So we thought it is the opportunity to look back the last 60 years and make the plan for the upcoming 60 years. Past 60 years, Korea focused on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f domestic architectural market after 6.25 Korean War and industrialization era. So, our urban environment has been built into the current form. In some parts, it is not internationally comparable. I think many of the graduates of HSA have hugely contributed to this development. They have made a unique Korean architectural culture with modern architecture. However, as the economy of Korea is in depression, architectural market is also in recession. This might have more serious with Korean structure, not the recession of global economy As we can see from collapse of Kyeongjoo Mauna Resort and the sinking of the Sewol, Korean society became full of injustice, moral malice and safety frigidity. Ideological conflicts are also in serious situation, as the word ‘South-south conflict’ came out. In this situation, the concept of unification is not only the desire to make new Korea but also the opportunity to make new architectural development. Also, we thought it is the theme that can suggest numerous architectural visions that contains social communication and globalization as the ideology conflict of North and South Korea is solved and a new society is formed. This annual project book has a more profound meaning since the projects based on the theme of the 6th anniversary are contained. Especially, works of the junior and senior studio are done in teams based on the scenario of after unification. The goal of HSA is to foster a leader that creates the future of the architecture beyond the acquisition of architectural techniques. This project annual book is the result of students’ passions. Faculty members also have supported with enthusiasm so that students can follow their dreams. I’d like to give a round of applause to all the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is. I wish for further progress in the future.

2015 January

Dean,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Jaeyong Chung


Architectural Design

14

Letter from the Chair of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건축은 감동입니다. 사람과 사람 간의 감동이 있고, 살아 움직이는 자연의 감동이 있고, 수많은 역사가 쌓여있는 시간의 감동이 있습니다. 건축가는 그런 감동을 주는 사람입니다.

지난 5년간 오고간 수많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이야기... 수많은 낮과 밤, 그리고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의 순환 속에서... 쌓인 소중한 시간들이... 이렇게 여러분 앞에 펼쳐집니다.

모형 속의 작은 계단에서, 도면 위의 미묘한 선굵기 차이에서, 스케치 속의 살짝 뭉게진 터치에서, 사람과 자연과 시간의 감동을...함께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2015년 1월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과장 조한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5

Letter from the Chair of Interior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실내건축 여섯번째 졸업전시의 주제는 예술이다. 예술하는 마음과 자세를 배우고자하는 바램이었다. 예술은 완전한 자유로움, 남의 시선과 인식으로부터의 완전한 자유로부터 시작한다고 아그네스 마틴은 이야기한다. 기억하기를, 루빈스타인은 94세가 되던해 인터뷰에서 예술가는 다름, 즉, 자신만의 세상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자신의 삶과 세상을 자신의 눈으로 바라보고 그의 손으로 만들어가는 게 예술하는 자세일테다. 하지만 더 중요한것은, 자신만의 세상, 예술적인 삶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세상 또한 타인의 눈으로 볼수 있어야하지 않을까? 자신의 자유를 이야기할 수 있는 모습은 타인의 삶과 자유를 품어내는 모습으로부터 시작되어야하지 않을까? 타인의 다름을 인정하는 세상이 성숙한 사회이고, 교양인의 자세이고, 수많은 삶이 어우러지는 가장 아름다운 세상이고, 올해 건축대학 60주년의 주제 또한 통일이기도 하지만, 우리 민족 분단의 아픈 고리를 끊어내는 근본이기도 할것같다. 우리가 생각하는 통일은 하나의 자유가 아닌 수많은 자유가 어우러지는 모습이고, 그러한 통일된 세상에서 모두가 가장 자유롭게, 예술적인 삶을 살아가기를 바래본다.

2015년 1월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실내건축학과장 이 현호


Architectural Design

16

Letter from the chief editor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1학년으로 처음 작품집을 받아보았던 날이 생각납니다. 신입생의 눈으로 보았던 작품집은 대학생 활에 대한 의지와 포부를 다잡게 만들어준 책이었으며 한 학년씩 성장면서 작품집에 작품이 실릴 때 마다 한 해의 노력 과 열정을 보상받았습니다. 또한 어떤 프로젝트가 실려있느냐에 집중해서 백과사전 뒤지듯 펼쳐보던 작품집을 이제는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보며 감탄하기도 하고 생각에 빠지기도 합니다. 제게 작품집이란 작품이 실려있는 책 이상의 의미 로, 지난 한 해를 마무리이자 다가올 한 해에 대한 영감이었습니다. 이 책을 펼쳐보는 모든 이들의 책꽂이에서 해가 지 날수록 더 가치있는 책으로 남아있길 바라며 2014년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작품집의 첫 페이지를 열어봅니다. 지난 해에는 학생들이 건축대학 설립 6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와 58회 졸업전시를 통해 2014년을 빛내주었습니다. 그 어느 해보다도 학생들의 열정이 빛났던만큼 2014년 작품집 또한 그 결과물을 뒷받침하기를 바랐습니다. 따라서 홍익대 학교 건축대학을 빛낸 전시자들의 작품이 HSA ANNUAL 2014에서 또한 빛나길 기대하며 전시자와 고학년부터 작품을 공개하는 순서를 기획했습니다. 졸업전시와 60주년 전시 챕터로 가장 먼저 책을 시작하며 각 챕터의 마지막 부분에서 는 전시 우수자들의 인터뷰 페이지를 통해 전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알차게 담았습니다. 뒤이어 4학년부터 1학년 순서로 설계 스튜디오 작품들이 등장하며 학생 개개인의 작품이 백과사전처럼 등장하기보다는 프로젝트별 카테고리를 통해 여러 학생들의 작품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또한 해외 인턴쉽, 교환학생을 경험하고 돌아온 학생들의 진솔한 후기를 인터뷰로 구성하면서 재미를 더했습니다. 이 책을 기획하기에 앞서 보다 읽을 거리가 많은 작품집, 학생들의 작품 하나하나가 빛나는 작품집을 만드는 것을 목표 로 삼았습니다. 다양한 인터뷰 페이지 기획을 처음 시도해보았고 개개인의 작품이 무작위로 빼곡히 채워지는 것을 탈 피하여 각 페이지, 작품마다의 개성을 집중해서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에 의미가 남달랐던 2014년인 만큼 조심스럽지만 새로운 시도에, 따뜻한 눈길을 기대해봅니다. 2015년 1월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2014 작품집 편집장 곽서정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7

Letter from the president of student council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홍익대 건축대학에서 보낸 2014년은 학우들에게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고 열정적이었던 한 해로 기억에 남을 듯 싶다. 졸업 작품을 하며 끝없이 자신을 담금질했던 졸업생들, 건축대학 60주년을 기념해 서로의 머리를 맞대며 고민해 공동작품을 한 4학년과 3학년, 그에 발맞춰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낸 학우들을 비롯해 건축대학 모두가 자신들만의 방 식으로 달려온 1년이었다. 건축을 배워가며 건축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쉼없이 탐구했고, 정치, 사회, 경제, 이데올로기적 문제를 담고 있는 ‘통일’을 바라보면서 건축을 생각했다. 이번 60주년 주제전시를 경험한 모두가 크고 작은 한 발을 앞으로 내딛을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이렇게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모습들을 바라보고 거기에서 생겨나는 일들에 대해 탐구하고 고민하는 것이 건축을 하는 시 발점이라고 생각한다. 주위의 친구들을 보면서 자신의 것을 찾으려 하기보다는 단순한 시각적인 자극을 찾다보니 유명 건축가의 생각이나 시각적 표현을 쓰더라도 정작 체화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을 느꼈다. 건축을 예술이나 그래픽 디자인과 다르다고 배우는 것처럼 조그마한 부분이라도 자신의 것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할 시간을 가지고 나아가 다양 한 사회적 주제를 가진 건축 활동에 대해 고민하는 학우들이 많아지고 작게나마 도움을 줄 수 있길 바라는 마음으로 작 품집을 시작했다. 학우들의 작품 사진이나 글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닌 그 안에서 사회적인 문제 혹은 건축 자체에 대해 공부하 고 고민한 흔적들이 담기기를 바랐다. 그러면서 궁금함으로 남아있던 이야기들을 교수님, 선, 후배들의 입을 통해 많은 학우들에게 전해주고 싶었다. 기획자의 자리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것을 하고 싶었지만 그 바람들이 다 이루어지기엔 내 자신이 부족했던 것 같다. 그래도 하나, 이번 작품집이 과거에 진행되어왔던 어떤 ‘흐름’을 넘어섰다고 생각한다. 이것이 또 다른 ‘흐름’을 가져오길 바라며 내년 작품집을 기획하는 학생회장과 함께할 친구들이 내 부족함을 채워 아 쉬운 마음을 달래주길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60주년 작품집을 함께 펼쳐낸 제9대 학생회 학술부원들과 편집자들, 그리고 2008년도부터 2013년도 작품집까지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작품집을 기획하고 이끌고 온 건축대학 회장단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2015년 2월 6일 홍익대학교 와우관 501호에서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제 9대 학생회장 강민구







58th GRADUATE EXHIBITION 건축학전공의 경우, 5년제 건축학전공 교과과정의 최종 단계로써, 6월말 졸업전시회 에 맞춰 자신이 선택한 주제를 자율적으로 발전시켜, 종합적인 설계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완성도 높은 작품을 제안해야 한다. 실내건축학전공의 경우, 주제는 ARTS로 제시되며, 미술 또는 공예 등 하나의 장르를 선택하여 그 표현 기법을 체득하고, 자신의 내적 의지를 표현하는 예술작품을 제작 한다. 이후 자신의 주제를 정하고 건축공간 구성을 위한 설계작업을 진행한다.

Professor in Charg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 Juwon Kim Interior Architectual Design Studio : Hyunho Lee

Studio Professors

Architectual Design Studio Juwon Kim Hyuni Kim Uk Kim Sangjun Kwak Youngsu Lee Il cho Hahn Joh Kyungran Kim Kyungsun Lee Sungseok Lee Hyunjoon Yoo Hyunah Kim Youngmun Lee Jicheol Kim Siyeon Min Hwasook Lee Youngwoo Park Sojeong Lee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Hyunho Lee Okhyun Kim Yoonjung Choi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MEGA-JIRO Architectural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 Professor Juwon Kim & Hyuni Kim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김주원 김현이 이 호 재 Hojae Lee

24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5

급격한 근대화는 어떻게 현대 서울의 도시문제를 야기 시켰을까? 복합적 활동이 혼재된‘건강한’도시 조직의 구성은 무엇일까? 서울 도심의 산업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복합성을 부여할 수 있는가?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26

phasing diagram PERSPECTIVE A: Inner Block View

PERSPECTIVE B: Street View

PERSPECTIVE A: Inner Block View

PERSPECTIVE B: Street View

PERSPECTIVE A: Inner Block View

PERSPECTIVE B: Street View

PERSPECTIVE A: Inner Block View

PERSPECTIVE B: Street View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7

급격한 경제발전과 자본축척을 감당하기 위해 서울은 공간의 효율적인 양적 충족을 위해서 근대적인 도 시계획 아래에 성장해왔지만, 경제구조의 변화와 질적 충족을 요구하는 대중과 정부에 의하여 재도시화 (도시내 지역이 복합적 활동들로 다시 섞이는 상태)를 추구하고 있다. 근대적 개발(단일 필지의 단일한 기능의 부여)로 인한 도심 공동화와 같이 비효율적이고 비인간적인 도 시현상은 서울시에서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이미 도심에 토착화 되어버린 산업 군과의 마찰로 쉽게 구조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조금씩 단일 건물들의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는 잠시 깨끗한 새 건물을 제시하는 것일 뿐, 근 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는 빛 좋은 개살구 일 뿐이다.

재도시화된 일현동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현존하는 맥락에 최소한의 제제를 가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수 복형 재개발로 기존의 가로체계는 변형하지 않는 선에서, 극단적으로 밀집된 공간만을 제거한다. 가장 노후한 건축물들을 분포-선정하고 이들은 약간 더 높은 용적으로 신축한다. 이들은 지역 산업과 연계될 수 있는 프로그램(북카페, 책공방, 도서관)들을 고정 배치하여 블럭의 산업적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지만 개입하진 않는다. 재도시화의 이상적 프로그램 분포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주거, 편익 시설의 추가가 필수적인데, 이를 지 면의 동일한 평면보다 공중에서 이루는 시나리오를 예측한다. 지면과 채광을 공유하고 구조적으로 효율적이며 개발 기간으로 증축 될 수 있는 시스템을 을지로 일현 동에제안함으로 재도시화된 ‘건강한’구조물을 구축해 보고자 한다.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partial floor plan 4F, EL +39,880

2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9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30

Throughout the past century, Seoul has grown based on modern urban planning to satisfy its quantitative demands. However, today’s Korean societies have started to demand qualitative sufficiency, resulting the city to enter a re-urbanizing stage (a phase of revitalizing the inner city, mostly by government). The Seoul government is publishing various initiatives to solve the declining inner city usage. However such movements have been constantly barricaded due to conflicts with the existing industries. Development is only being done in negotiated lands, resulting in independent buildings that have no relation with its context. Such change is simply renewing architecture, unable to provide a sustainable urban structure for future uses.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The development proposal starts by minimally planning the existing context. Several buildings that are too concentrated are eliminated on a degree that does not change the urban fabric. Very old buildings within the district are selected to be rebuilt with a larger FAR. Additive related programs such as libraries, workshops are inserted to enhance the area’s economy. Based on the ideal composition from above, housing and amenities are necessary to be added, but cannot be done on ground level due to the extreme density. A mid-air structure is derived that stands based on the rebuilt structures, which can ‘grow’ by its structural system to ultimately have an ideal program composition in whole. Factors such as structure, lighting, and interior possibilities were considered in discovering the final form.

31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32

The 2.499999999 Way Architectural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 Professor Juwon Kim & Hyuni Kim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김주원 김현이 조 영 동 Yeongdong Cho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3

종로 3가의 귀금속 단지 한 블럭을 선정하여 마스터플랜 및 가로정비 한 후에 블럭 재활성화를 위한 프 로젝트이다. 기존의 공동화 현상 및 제품과 맞지 않는 낙후된 이미지를 마스터플랜을 통해 두개의 메 인 가로인 상업가로와 생활가로를 형성하고 그 중심에 복합용도 건물을 만들어 제조과정부터 판매까지 one-stop 공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새로운 귀금속 시장으로 탈바꿈 하려는 것이 가장 큰 의도이다. 또한 카페, 전시, 강의실 등 필요한 복리시설을 제공함으로써 블록 내로 인근의 유동인구를 유입하고 주 거시설을 제공함으로써 공동화 현상을 해결하고자 한다.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34

masterplan

가로체계

마스터플랜 컨셉

두개의 메인가로

재조닝

Site 선정

가로형 주거

복리시설 제공

after masterplan

GL 프로그램 연계

중정 프로그램 연계

타워형 주거

레이어 중첩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기존 통계

용광로 단면

통계치 재조정

35

기존 타임테이블

단면 재배치

재조닝 후 타임테이블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Design Architectural

axonometric

3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7

1F plan

2F plan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38

Memorial Scape : Seosomun Architectural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 Professor Uk Kim & Sangjun Kwak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김억 곽상준 박 근 용 Keunyong Park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9

한국의 수도, 서울은 600년의 역사적 층위를 갖는 도시이다. 그에 비해 물리적, 경험적 과거에 대한 고 려는 너무 취약한 도시이기도 하다. 도시공간이 다양한 변화를 겪으면서 새로운 구조와 형태로 변화하는 과정을 반복한다고 볼 때, 서울은 급격한 도시 개발로 역사적 보존과 양적 개발 사이에서 접점을 찾지 못하고, 맹목적인 성장에만 집중해왔다. 하지만 도시의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해서, 도시의 기억을 보존 하기 위한 건축적 제안은 필수적인 과정이다. 이를 위해 서울이라는 포화상태의 도시 안에서 과거의 역 사적 층위를 어떻게 시민들과 소통시킬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현재 서울은 이러한 역사적 층위를 보존, 복원하기 위해 많은 대안을 시행중이다. 서울 성곽길 복원 사업은 이러한 대안의 중심에 있는 사업이다. 하지만 물리적 과거의 복원이 도시의 역사적 층위를 전적으로 대변할 수는 없다 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공간과 형태로서 과거를 기억시키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경험적 과거와의 소통 이다. 그 한 예로, 서울 성곽길 복원 사업 중 남대문과 서대문 사이에 위치한 서소문은 과거 천주교 최대 의 처형장이었다는 아픈 기억을 갖는 역사적 공간이지만 지금은 도시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을 뿐이다.


Graduation Exhibition

the whole view of site

program diagram

Architecture

4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site analysis

41

strategy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42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다양한 도시 구조가 중첩되고 역사적 층위를 갖는 서소문 지역의 경험적, 물리 적 과거를 도시와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새로운 메모리얼 설계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서소문 지역은 역사적으로 죄인들을 처형하는 행형장이었던 지역으로, 천주교 박해 시기를 거치면서 한국에 서 가장 많은 순교자를 배출한 순교성지라는 장소적 의미를 갖는다. 현재 서울 성곽 복원이라는 물리 적 과거의 복원과 함께, 서소문 지역의 경험적 과거를 복원하는 역사 공원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 다. 즉, 종교라는 특정한 기억을 위한 메모리얼 시설이 도시공간의 일부로서 어떻게 참여를 이끌 수 있을지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 구조와의 대응, 대상지의 성격, 기억의 특수성에 대해 분석 하고 새로운 메모리얼 공간을 제시한다. 도시적 측면에서, 대상지는 업무지구와 주거지역의 사이에 서 매개 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공원이다. 자연스럽게 도시를 받아들이면서 메모리얼 행위를 이 끌 수 있는 제안이 되어야 한다. 역사적 측면에서는 특정 형태로서 직접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방법 보다는 경험적인 상황을 만들어 줄 수 있는 방법이 되어야 한다. 기억의 측면에서는 종교라는 특수한 기억을 도시와 소통시키기 위해 보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공간 해석이 필요하다. 이 세 가지를 종 합했을 때, 서소문 공원을 위한 메모리얼 시설은 도시와 함께 공존하는 일상적인 성격의 메모리얼이 되어야 하며, 본 연구를 통해 그 잠재력과 실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43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44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45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INFARASTRUCTURE FOR LINEAR PARK - MODULE’D EXPANSION

Architectural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 Professor Youngsoo Lee & Il Cho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이영수 조일 김 성 균 Seongkyun Kim

4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만들고자 하는 인프라스트럭쳐는 기본적으로 수 평의 레이어들과 수직의 레이어들을 기본 골격으 로 갖는다. 주변의 땅들이 저층 위주의 주택가이 기 때문에 공원 옆에 보조역할을 하는 인프라스트 럭쳐 역시도 작은 스케일로 접근해야된다고 생각 하였다. 그래서 주변 블록의 단면레이어들을 분 석하였다. 저층주거지의 단면레이어들은 보이드 와 솔리드가 다양한 층위와 위계를 가지고 나타난 다. 그런 다양한 레이어들을 집합시켜놓으면 솔리 드와 솔리드, 솔리드와 보이드, 보이드와 보이드 들이 여러 형태를 띄면서 하나의 시퀀스를 만들어 낸다.

47

이런 시퀀스들은 휴먼 스케일에서 가로환경의 다 양한 리듬감을 부여하여 걷는 즐거움을 주며, 이 것이 공원과 연계가 된다면 커다란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였다. 기존의 인프라스트럭 쳐인 도로나 이형필지위에 있는 담장같은 건물들 은 리듬감있는 시퀀스를 끊기게 하였다. 이런 시 퀀스를 인프라스트럭쳐를 통하여 공원까지 연계 시키고선형공원을 면적으로 확장시키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주요과제였다.

또한 인프라스트럭쳐는 단순히 주변과의 연계를 위한 소통물의 역할을 넘어서 주변의 주민들이 원 하는 프로그램을 가져다가 끼워서 또 다른 시퀀 스의 확장을 만들려고 하였다, 이러한 프로젝트 의 시작은 당장은 하나의 필지에 불과하지만, 점 점 인프라스트럭쳐가 증식해 나가면서 이형필지 위에 있는 건물들을 잠식해나가서 궁극적으로는 6.7KM에 이르는 경의선 철로 전체를 아우르는 것 이 이 프로젝트의 진정한 목표이며, 하나의 개념 아래에서 다양한 모습을 시간의 변화와 함께 그 모습을 점차적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다.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48

Site Diagram Program Diagram

경의선 지하화 사업에 따라, 용산 공원에서 가좌역에 이르는 6.3KM 구간에 철도 지상부분 활용이 가능 한 유휴철도부지가 발생하였다. 서울시에는 이곳을 공원화 할 것으로 계획하고 현재 공사가 진행중이다. 경의선 철도공원이 도시에 녹지공간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는 고무적이나, 철도공원의 역할이 단순히 녹지와 휴식이라는 공원의 기본적 역할에 머무는 것은 아쉬운 점이다. 따라서 기존 공원의 역할에 커뮤 니티의 공간과 더불어 문화적 공간의 측면에서 접근을 하여 새로운 역할을 부여해 줘야한다고 생각하였 다. 주변은 주택가, 상업가, 대학가 등 다양한 생활권과 각각의 문화적 특색을 가지고 있으며, 경의선 철 도 공원은 조성 이후 각각 커뮤니티의 생활 문화 거점 및 나아가서는 여러 커뮤니티를 아우르는 생활 문 화의 축이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49

Perspective Plan

따라서 경의선 철도공원에 녹지와 휴식이라는 공원의 기본적 역할을 넘어 새로운 역할을 부여되어야 하며, 그 역할을 보조, 지원 할 수 있는 시설이나 공간이 필요하다. 이런 보조, 지원 시설은 기존에 이루 어졌던 하나의 거대한 시설물이나 공간의 개념으로 접근해서는 안되며, 작은 규모의 접근에서부터 시작 해서 단순히 시설과 공간의 제공을 넘어서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파생하여야 하며 유도해야 한다고 판 단했다. 그래서 주목한 곳이 경의선 주변에 존재하고 있는 이형 필지들이었다. 이형 필지들과 그 필지에 서 있는 건물들은 과거 경의선이 물자와 사람들을 실어 나를 때는 문제가 되지 않았던 곳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경의선이 지하화 되고 지상부가 공원화 됨에 따라 과거 철도가 가지고 있던 주변과의 단절 의 의미가 이형필지와 그 위에 서 있는 건물에게 이전 되기 시작하였다.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50

즉, 경의선은 공원이 되면서 도시 내에서 소통과 쉼터의 역할을 하게 되었지만 막상 주변의 이형필지와 건물들은 변하는 상황에 대응하지 못하고 그대로 남아 있어 주변과 공원의 직접적 소통을 막는 역할을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생기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의선 공원에 없는 새로운 역할 부여와 더불 어 이형필지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해 나가는 것을 주요 쟁점으로 삼으며 진행하였다. 시작 은 하나의 필지와 작은 프로그램들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그램들과 시설들이 증식해 나가 궁극 적으로는 6.3km 구간의 경의선 주변을 아우를 수 있는 프로그램적 인프라스트럭쳐를 제안하고자 한다. 주변과의 연계를 위하여 선형 공원을 주변과의 소통을 시켜서 이형필지들이 가지고 있는 단절을 없애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51

그러기 위해서 제안하는 것은 선형공원의 면적확장이다. 선형공원의 면적확장은 새로히 제안하는 인프 라스트럭쳐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인프라스트럭쳐는 주변에 계획 중인 다른 공원 대지, 이형필지, 경의선 철도공원을 아우르면서 연결한다. 연결 방법은 인프라스트럭쳐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다. 인프라스 트럭쳐가 들어설 이형필지의 주변부는 저층 주택위주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인프라스트럭쳐는 저층 주 택 주거지의 맥락에 따라 대응을 하여야 한다. 대응 하는 방식에 있어서 인프라스트럭쳐의 구성은 수평 적 레이어와 수직적 레이어들의 집합이었다. 저층 주거지의 전체를 단면적 시퀀스로 잘라보면 필지와 필 지 사이의 작은 보이드공간과 필지들에 서 있는 건물들의 솔리드 공간의 집합으로 보인다. 인프로스트럭 스 또한 이러한 주변맥락을 받아들여 수직적 레이어들은 주변과 주변은 연결해주며 수평적 레이어들은 수직적 레이어와 만나 작은 보이드 공간과 솔리드 공간을 만들어 내며 그 사이들로 공원이 흘러들어 다 양한 경험들과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할 것이다.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SUPRA SCHOOL Architectural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 Professor Youngsoo Lee & Il Cho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이영수 조일 이 상 민 Sangmin Lee

52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53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54

이 프로젝트는 오늘날 서울이라는 거대도시 (megapolis)에 대한 관찰에서 시작되었다. 앨빈 토플러가 내다본 바와 같이, 제 3의 물결로 인한 국민국가의 붕괴와 초국가적 기업의 출현 등은 도 시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국가의 경계를 뛰어 넘는 거대 자본의 흐름은 도시 풍경을 바꿔놓는 가장 강력한 요인 중 하나이며 서울 또한 이에 노 출되어 있다. 주택의 주차장까지 밀고 들어온 자 본의 힘은 서울시 곳곳을 휩쓸며 과도한 상업화를 촉진시켜 사람들에게 더 많은 소비를 강요하고, 이러한 급류 속의 서울에서 건물은 무방비하게 그 내/외부를 내주고 있다. 이와 같이 포화상태에 다다른 서울은 주거문제, 주차문제 그리고 공공공간의 부재와 같은 문제점 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와중에 ‘초등학교’라는 공간에 주목해 보기 시작했다. 근린주구 이론에 따라 일정 주거 단지별로 균일하게 들어서는 초등학교의 입지조 건은 지역사회를 위한 커뮤니티 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고, 넓은 운동장 과 체육시설을 갖추고 있어 도심 속의 공원과도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소이다. 서울시민이 도 보로 접근 가능한 생활권 공원이 턱없이 부족한 현 상황에서, 초등학교의 운동장은 지역주민을 위 한 체육공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

School - Urban Void or Isolated Island Prototype Composition standard type condense type tower typ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55

Mixed Use Diagram (24h)


Graduation Exhibition

Exploded Axonometric

Architecture

5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하지만 ‘초등학교’라는 공간의 특성상 그 활용 은 방과 후에 한정될 수밖에 없었고 학생 보호를 위한 울타리로 둘러싸인, 폐쇄적인 입장을 취하 고 있었다. 이러한 ‘폐쇄적 학교’는 도심 속 고 립된 섬과 같아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주변상황과 다르게 정체될 수밖에 없었으며 주변 이웃과의 단 절도 가져왔다. 또한 해방 이후 제정된 교육과정 은 1~7차,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변화된 것에 비해, 초등학교 건축은 80년대 교사 표준 설계방 침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 던바, 건축이 개입할 여지를 발견하고 건축적 논 의를 이끌어 낼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Section Perspective Agora Model Picture

57

기존의 학교가 교실, 복도, 운동장의 단순 구성은 획일적 교육을 통한 평균적 국민을 만드는 것이었 다면, 현재는 시간이 지나면서 개인이 배움에 대 해 주체적으로 탐구하고 배워나가는 수요자 중심 의 학교로 변화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달라진 교육의 내용, 아이들의 생활 패턴과 사고에 대응 하는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많은 잠재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정체된 공간이었던 이 ‘초등학교’라는 공간을 재조명 하여, 변화하는 교육과정과 미래의 교수-학습 방 법에 적합한 유연성 있는 학습 공간을 제시하고, 지역주민들에게 도심 속 여유를 찾을 수 있는 공 공공간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프로토타 입(prototype)을 제안하고자 한다.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58

학교는 이 시대의 국민이 가져야 할 정신적·도 덕적인 삶을 가르치고 논하는 곳이다. 이 모델은 학교라는 공간의 원형(archetype)에 가까우며, 교 육기관으로서 그리고 지역사회의 인프라시설로서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도시조직 과 단절되어 있던 학교를 다시 지역주민의 품으로 돌려보내고, 그 안에서 여러 작은 활동들 그리고 세대 간 소통이 이뤄지길 기대해 본다.

"

This is the initial form of a school - an educational facility and infrastructure for society.

"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59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60

Architectural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 Professor Hahn Joh & Kyungran Kim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조한 김경란 황 정 광 Jeongkwang Hwang

고유의 특색을 간직하던 서울 안의 동네들이 무분별하고 폭력적인 개발 계획들로 인해 점점 지워져가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성수동 준공업지역 곳곳에 쌓여있는 폐자재를 수거하고 재활용하는 시설에 대한 계획이며, 이를 통해 지역성의 부각을 활용한 지역 재생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61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Design Architectural

62

성수동은 1963년에 준공업지역으로 지정된 후 꾸준히 성장하다, 80년대에 들어서면서 성수동에 위치해 있던 큰 공장들이 반월공단 및 지방으로 이전하게 되면서 타 공업지역으로 이전하지 못한 소규모 중소업체들만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주요산업은 제조업이며, 금속제조업, 기계 및 장비, 섬유제품제조, 출판인쇄 순의 비율로 산업군이 형성되어 있다. 서울시에서는 성수동의 수제화 산업 육성과 부흥을 위해 제화 거리를 지정하고, 수제화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수제화 공동 매장 및 구두 테마역(성수역)을 오픈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준공업지역의 특성 상 아침부터 동네의 분위기가 굉장히 분주하다. 커다란 트럭이 좁은 길을 오고 가며 자재를 나르고, 곳곳에서 철을 가공하는 소리와 육중한 장비들이 움직이는 소리가 귀를 자극한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63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64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65

제조업 분야로의 취업 기피 현상으로 인해 인력난을 겪는 성수동의 소규모 공장들이 하나 둘 문을 닫음과 동시에 대형 마트와 고층 빌딩들이 옛 공장들이 남아있던 자리를 잠식하고 있다. 원래의 모습을 점점 잃어 가는 성수동의 정체성을 지키고 싶다는 생각에서, 성수동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창고 중 하나인 대림창고의 리노베이션을 통한 성수 산업 협동조합을 계획하게 되었다.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6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67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Design Architectural

6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69

동네 곳곳에 모여있는 폐자재들을 수거하여 협동조합의 폐자재 하역장에 모으고, 주민과 예술가, 디자이너들이 성수동에 남아있는 공장과 공방들의 스케일과 비슷하게 계획된 공방에 모여 이 폐자재를 업사이클해 새로운 가치를 갖는 상품 또는 작품으로 탈바꿈시킨다. 큰 길을 향해 개방된 장터에서는 이렇게 만들어진 상품들이 가판대에서 팔리고 디자이너 샵이 입점하며 쓰다 남은 폐자재들이 다시 거래되기도 한다. 또한 모아진 폐자재는 협동 조합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주민들과 취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한 직업 교육에 활용한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으로 모아진 수익은 다시 지역주민과 공공을 위해 배분되게 되며, 성수동의 정체성을 지킬 수 있는 자생적이고 건강한 흐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High-Tech Incubato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 Professor Hahn Joh & Kyungran Kim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조한 김경란 송 승 훈 Seunghun Song

용산 전자상가는 도시적으로 기능적 치환)이 이루어졌던 곳으로 2000년대 초 컴퓨터 산업의 붐으로 활 성화에 성공했었다. 하지만 전자기기의 구매 시스템의 변화로 직접 가서 만져보고 체험 해 볼 필요가 없 어졌다. 온라인 구매를 통한 최저가 시스템이 구비되면서 오프라인 매장들은 점차 손님들의 발길이 끊 겼고 현재 용산전자상가 거리는 이미 거대한 물류창고화가 되어버렸다. 이로 인해 판매자는 굳이 용산 전자상가거리에 있지 않아도 되는 현상이 벌어지고, 용산전자상가는 절반 정도가 빈 상가거리가 되었 다. 우리나라의 ‘전자’ 라고 하면 ‘용산’이 떠오르는 이런 기억을 지우지 않으면서 새로운 시대에 맞춰나갈 수 있지 않을까? 전자의 미래를 보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점진적으로 변화 되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미래 전자 산업, 첨단 미래의 기술력을 보여줄 수 있는 미래 첨단산업으로 재구성 하고자 한다.

7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71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72

Inserting Units Diagram

역사적으로 용산전자상가는 도시로부터 단절, 분리되며 격리된 하나의 작은 도시가 되고 있다. 이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서울시 내외 각지에 살며 놀이문화 또한 다른 지역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보인다. 이 러한 분리는 활성화를 퇴보시키고 일정시간(저녁)이 되면 유령의 도시가 된다. 이러한 분리를 막으며 과 거 전자상가를 대체해 일과 삶 놀이와 문화를 함께 할 수 있는 첨단산업 프로그램은 로봇 첨단기술 산 업이라고 예측했다. 로봇은 인간의 하나의 대용품이며 로봇첨단산업은 로봇의 인간과의 공존을 꿈꾼다. 이러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 대용품과 함께 지내며 지속적인 연구를 요구한다. 이 러한 대용품에도 하나의 삶이 있을 것이고 이 대용품들을 컨트롤 해나가는 것이 하나의 삶이 될 수 있 다. 즉, 일/연구 자체가 삶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을 볼 때 이곳에서 연구를 하는 ‘그들’의 생활은 분리 될 수 없다. 그들은 함께 지내며 어디서나 일을 할 수 있고 컨트롤 하며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이 를 통해 용산은 첨단로봇산업의 라이프스타일을 홍보하는 중요한 장소가 될 것이다.

Mass Developing Diagram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73

Exterior Render Image

이에 그들의 삶은 놀이, 문화와 연결되어 문화 복합시설이 갖춰지게 될 것이다. 또한 외부인들은 그 삶 을 체험하고 볼 수 있는 인큐베이터와 전시장이 함께 구성된다. 이 디자인에서 제안하는 프로그램은 지 식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산업이므로 온라인뿐만 아니라, 실제 삶의 공간과 더불어 소셜 네트워크를 필요로 할 것이다. 더불어 live/work station 의 일과 놀이의 연결은 젊은 창의적인 전문가들의 깊은 생각 을 촉진하기 위한 우수한 촉매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Interior Render Image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74

Pla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75


Graduation Exhibition

"

Architecture

76

용산 전자상가의 경쟁력을 위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며 용산이라는 작은 하나의 도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계획한 이 첨단산업 인큐베이터 시설디자인은 지속적으로 서로에 도전하고 혁신을 자극하는 하이테크 신생기업을 위한 live/work station이 될 것이다.

"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77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78

장소성의 회복을 통한 도심재생방안 연구 -충무로 인쇄거리를 중심으로 Architectural Design Graudation Exhibition | Professor Kyungsun Lee & Seongsuk Lee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이경선 이성석 김 한 욱 Hanwook Kim

급속한 발전과정 속에서 나타난 산업구조와 도심지의 변화는 기존 도시조직의 쇠퇴와 노후화를 불러 일으켜 왔다. 이러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재개발사업은 도심의 불균형 해소를 목표로 기존 도심 내 대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이는 기존의 도시조직이 가지고 있던 공간구조와 지역적 정체성 을 무시한 채 전면철거 후 별개의 새로운 컨텍스트를 이식하는 방식을 취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급진적인 재개발 방식은 도시를 획일화된 모습 으로 재단함으로써 기존 도시공간이 가지고 있던 다양한 변화가능성과 지역성을 상실케 한다. 또한 과거로부터 누적된 기존의 도시환경이 파괴됨에 따라 그 와 연관된 거주민의 다양한 삶의 풍경과 행위도 사라져 버리는 결과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시재생은 단순히 물리적인 변화에 국한되어서는 안되 며, 도시환경에서 일어나는 행위와 장소성과 같은 내적인 요소를 고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한다. 특히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쇠퇴한 구도심지의 경우 시간 과 함께 누적된 지역적 특징과 거주민들의 도시공간에 대한 개별적인 행위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구도심 중 쇠퇴하고 있는 충무로 인 쇄골목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에 대한 새로운 대안제시와 기존 도시환경 보전을 통한 지속가능하고 점진적인 개발방식을 모색하고자 한다.

site pla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79


Graduation Exhibition

topology diagram change strategy diagram

Architecture

8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81

1F plan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82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83

elevation&section


Graduation Exhibition

Bangsan Market

Architecture Design Architectural

84

동대문 시장은 우라나라의 70년대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함께 해 온 장소이다. 그러나 다른 시장과 마찬가지로 현재 쇠퇴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방안 들이 제안되었으나 각 지역의 특색을 고려하지 않는 계획은 실질적 결과를 내지 못하 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산시장의 특색인 공업사를 활용한 문화 ,워크샵 프로그램을 제 안한다.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한 분석 결과 이러한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각 지자체 에서 시행한 통계 분석을 통해 현재 방산시장과 주변상권들의 변화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 분석을 통해서 방산시장에 공방이 생겨나고 있는 추세인 것을 파악했고 이를 뒷받침할 공간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판단했다. 이를 위해 현재 대부 분이 공실로 남아 있는 방산시장 내의 방산종합시장 A,B 동 건물을 이용하여 방산시장 의 공업사와 협력할 수 있는 워크샵, 문화시설을 계획하기로 하였다. 공간 구성에 있어 앞서 시행된 통계조사와 방산시장 공업사 간의 공정 상관관계를 분석, 공업사와 문화 시설이 엇갈리게 적층되고 램프로 이어지게 되는 공간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공업 사와 문화시설은 각각 평면적으로 분리되지만 단면적으로는 긴밀하게 연결되는 공간 구성을 하였다.

Architectural Design Graudation Exhibition | Professor Kyungsun Lee & Seongsuk Lee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이경선 이성석 박 준 수 Junsu Park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85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Design Architectural

8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87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8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89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망자의 함 망자의 시계 Architectural Design Graudation Exhibition | Professor Hyunjoon Yoo & Hyuna Kim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유현준 김현아 이 현 승 Hyunseung Lee

현대 도시는 급격한 산업구조의 변화를 겪으면서 도시 발전에 큰 역할을 했던 많은 산업시설들이 과거 의 영광을 뒤로한 채 한순간에 도시의 이질적 존재로 전락하고 있다. 많은 산업시설들이 근대 건축물 중 에서도 넓은 대지를 차지하고 있어 산업의 전환은 도시 구조로서도 골칫거리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 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생각하여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여 성공한 사례가 유럽에서부터 시작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산업유산 재활용에 관한 이론적 개념과 그 형성에서부터 시작하여 그 당위성 과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특화된 전략으로의 재활용은 죽어가는 산업시설물을 재탄생시킴과 동시 에 도시의 소중한 존재로 남을 수 있음을 몇 가지 사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도 산업의 변화 를 거치며 점점 더 많은 종류와 수의 산업시설물이 쓰임을 다하고 버려지게 될텐데 이를 대비하는 차원 에서의 산업유산 재활용에 관한 논의가 현 시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앞선 이론적 고찰을 배경으 로 연구자의 연구가 가능한 물리적인 범위를 선정하였고, 그 범위 안에서의 가치 있는 산업시설물을 몇 가지 선정하여 답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최종적으로 서울 월드컵 경기장 인근에 위치한 마포 석유 비축 기지를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게 되었다. 대상지의 지리적 특이성과 접근성의 이점, 주변 도시조직 맥락의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공원의 형태를 취하긴 하되 단순한 공원이 아닌 사회, 문화 현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특화된 공원으로 재활용 된다면 마포석유비축기지는 다시 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 다. 이에 연구자는 Memorial Park로의 재활용을 통해서 서울시민의 영원한 안식처를 제공하고자 한다. 원래 석유비축기지가 가지는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납골의 기능을 충족시키고 또한 미래세대에 변화할 수 있는 장례문화를 대비하는 공원의 성격을 가지는 공공문화 공원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대상지 가 가지는 힘을 우선적으로 수용하고 난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게끔 부분별 개발계획을 통하여 산업유산 재활용이라는 취지에 맞게 Memorial Park 건축의 방향성을 제시해 보았다.

9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91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92

전체 배치도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93

납골당 운영 다이어그램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94

망자의 시계

model rendered imag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95

2번 탱크

model section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3번 탱크

96

4번 탱크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97 3번 탱크 단면도

4번 탱크 단면도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Untitled

Architectural Design Graudation Exhibition | Professor Hyunjoon Yoo & Hyuna Kim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유현준 김현아 현 지 훈 Jihun Hyun

9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99

본래 자연광은 하늘에서 대지로 수직적인 방향이다. 역사적으로도 건축에서 사용된 빛의 방향은 수직성 이 강조되었고, 이를 통해 피마리트, 판테온, 고딕양식의 대성당에서 신성한 분위기를 만들었다. 빛은 하 늘의 신과 대지의 사람을 연결하는 중재자 역할을 하였고 그 공간 안에서 사람은 절대적인 신의 존재와 교감할 수 있다고 느꼈다. 하지만 자연광이 종교적으로 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역할 뿐 아니라 비종교저 그로 사람들이 공통된 가치에 공감을 느끼고 회합하는 장을 만들 수 있다. 자연광으로 충분히 채워진 공 간이 사람들에게 화합을 제시할 수 있다. 빛으로 채워진 공간은 그 빛의 양의 문제가 아닌 빛의 질의 차 이에 있다. 모서리에 정확히 같은 세기의 빛이 비추어졌을 때 사람들은 모서리 공간을 인지할 수 없다. 하지만 각각의 모서리에 적은 양의 빛 세기 차이를 준다면 극명하게 그 공간을 사람들이 인지할 수 있 다. 그러나 건설기술의 발달과 재료의 발전으로 인해 구조적인 제약이 대부분 없어지고 유리창의 사용에 의해 보편적인 공간의 공급이 자유로워지고 인공조명의 발달로 우리는 빛의 양을 가지는데 더 이상 아 무런 제약을 받지 않게 되었다. 이로 인해 빛으로 채워져 그 빛을 바라볼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게 되었 다. 사람들은 오직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측광만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공광이 주어주는 빛 은 그 빛의 양과 조도가 일정해서 모든 건축공간을 균질화한다. 이로 인해 각각의 공간이 가지고 있던 고유의 정체성과 장소성은 사라졌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자연의 빛이 가지고 있던 성질이 건축공간 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 알아보고 자연광 본래의 방향과 그 빛으로 채워진 공간을 회복하여 사람들이 경 험가능한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른 어떤 건축적 요소보다 공간 그 자체에 주목하고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이 아닌 볼 수 없는 것이 만드는 장소, 분위기를 구현하고자 한다. 숲 속에서 나뭇잎 사이 로 들어오는 빛이 비추는 곳과 그로 인해 동시에 만들어지는 주변의 어둠을 우리는 균질화된 도시에서 경험할 수 없다. 건축이 다시 빛을 가질 수 있도록 회복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건축공간이 정체성을 가 지며 고유의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안했다.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10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01

plan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102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03

section perspective section perspective

sequence perspectives section perspective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104

Sogong Park of Culture Access to the City Underground

Architectural Design Graudation Exhibition | Professor Yeongmun Lee & Jicheol Kim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이영문 김지철 김 경 제 Gyeongje Kim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05

서울 도심내 광장이 문화소통 및 오픈스페이스로서 공공성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역할 하고 있는지 광화문, 서울시청 광장들을 통해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프로젝트이 다. 단순한 열린 공간으로서의 광장이 아닌, 서울에서 생활하는 현대 도시인들의 문화생활 패턴 변화에 서 광장이 제공해야 할 새로운 프로그램들을 고민하고 어떻게 적극 활용 되어 질 수 있을지에 중점을 두 고 대지의 컨텍스트에 초점을 많이 맞추었다. 거기서 찾은 것이 바로 지하 상가로, 서울 중심지를 잇는, 보행자 전용 통로와 상가들의 결점에 광장을 계획하여,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고 수직동선 체계와 층구분 을 모호하게 하여 지상 지하간의 위계와 단절을 최소화 시켰다. 그래서 이 공간의 특징은 단면상에서의 층 개념이 존재 하지 않고 다양한 레벨의 공간이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공간을 순환한다.그러한 특징은 평면상에서 반호의 형태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레벨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며, 상업공간과, 문 화공간, 녹지공간으로 연결되어진다. 기존의 컨텍스트 지하 상가와 공간가의 연결에 있어서 생기는 레 벨차를 최소화 시키는 과정다양한 동선체계가 제시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지금의 조형적인 형태와 공 간이 형성 되었는데, 평면 공간과 단면을 통해 찾아 볼 수 있는 특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성 때문 에 공간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프로그램 또한 구속되어있지 않다, 이러한 공간구성은 “광장” 사용 자에 의해 공간이 하나의 장소로서 의미를 가지게 할 수 있어 또 다른 하나의 특징이 될 수 있다.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10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07

section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10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09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Reverse the Infrastructure Architectural Design Graudation Exhibition | Professor Yongwoo Park & Sojung Lee 건축학과 5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박용우 이소정 박 진 선 Jinsun Park

11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11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도시의 주요한 특징은 도시 내 자원들을 더 멀리 유통시키고 연결시키기 위한 물 리적 기반 시설 그 자체라 볼 수 있다. 인간 또한 도시 공간 속에서 이곳 저곳을 이동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이렇듯 현대 도시는 물자와 사람들의 이동이 만들어내는 수없이 많은, 서로 다른 흐름들의 집합체 로서 이해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현대 도시의 상황 속에서 인프라스트럭처가 도시의 흐름을 담고, 조직 하는 장치 그 자체라는 측면에서 인프라스트럭처는 도시 행위의 시간을 통제하는 동시에 지금의 도시 공간에 대한 물적 구조를 구성할 가장 중요한 인자일 것이다.도시적 스케일의 인프라스트럭처들은 산업 이 발달하고 그 구조가 고도와 될수록, 효율성의 측면과 정치적인 이유로 인하여 그 역할이 커지고 있 다. 실제로 현대 산업 사회에서 인프라스트럭쳐는 그 역할을 충실히 담당하면서도 도시의 구조와 기능 을 떠받치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이러한 인프라스트럭처는 거대한 규모의 하부 구조를 만들어낸다. 이 렇게 생겨난 하부 구조들로 인하여 유휴 공간이 만들어지거나 두 공간의 단절과 고립이 만들어진다. 도 시의 기능과 요구로 인해서 만들어진 인프라스트럭처의 구조물들로 인해 동시에 공공영역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이질적인 특성들로 인해서 생성되는 낙후된 공간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대안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인프라스트럭처로 인한 유휴 공지 중 자본의 요구에서 인간 삶 중심으로 수요가 변해가는 공간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도시적 접근과 건축적 접근을 통해서 다양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112

전자상가의 물류를 담당하였던 욱천 고가도로와 경의선 공원조성 계획 중 유일하게 지상 철로화됨에 따 라 두 거대한 인프라가 충돌하는 용산 문배지구 사이트를 중심으로 산업화를 담당하였던 교통인프라가 변해가는 도시 환경 속에서, 어떤 식으로 변화하고 적응해나 갈 수 있는지 주거, 용산 전자상사, 공원화, 용산역, 용산 업무지구와 같은 광범위한의 도시적 분석을 이용하여 마스터플랜을 제안하고, 도시에서의 장소성과 프로그램의 방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인프라스트럭처의 구조와 유휴 공간 개념과 발생원인에 대해서 몇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용산역 인근지역의 주 거, 경의선 공원 및 용산공원, 용산 전자상가, 용산 민자역사의 변천사에 대해서 현재와 앞으로의 문제 점을 분석, 도출하여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해서 알아본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도시 인프라스트럭처 를 활용한 사례들을 분석하여 이 사이트에 적절한 사례를 이용하고자 한다. 위의 이론적 고찰과 사이트 분석, 사례의 통합적인 분석을 통해서 인프라스트럭처로 인해 고립, 단절된 문배지구 대상지에 자본 중 심에서 인간중심으로 변화한 도시적 특성을 반영하는 마스터플랜을 제안하고, 이와 연속된 디자인 어휘 속에서 그 자체로 변화한 장소성이 드러나는 형태의 복합 문화시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13

Masterplan Diagram

Future Demand Analysis Diagram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114

The site was accessed from an urban macro perspective. Housing, transportation, electronics stores history, geography and history results rise apartment outdated facilities surveyed the site from the parks, Gyeongui by factors such as the destination because of a new park along the under-grounding is where the growing demand of the people.tion, and there were literally railway is that the state, showed very low recycling potential. Were unlikely to urban regeneration in a simple way, and to suggest a rather higher layer concept of 'human infrastructure' in the existing infrastructure and offer new cultural facility with a versatile place gender at the same time. After configuring the new human person to an existing site infrastructure must present a spacecar trains with a variety of flow given the rank of the element named. The building is a simple form of proposed buildings showing the city of New hierarchy changes to the existing railway and flyover land.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15

Main Render Image

Approach to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Architecture

116

Suggest programs and forms that show us new urbanism.

Interior Render Image Sectio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17


Graduation Exhibition

Interior Architecture

Club Lunade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 Professor Hyunho Lee & Okhyun Kim 실내건축학과 4학년 졸업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이현호 김옥현 곽 서 정 Seojung Kwak | 졸업설계전시 동문회장상 수상작

젊음의 거리, 인디클럽의 입지를 굳건히 지키고 있던 홍대 클럽거리는 강남과 이태원에 점점 밀리면서 상권은 물론, 특색마저 잃고있는 상황이다. 홍대 클럽거리의 가장 중심부에 위치해 있는 삼거리포차. 이 곳에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클럽이 들어섬으로 홍대 클럽거리가 활기를 되찾길 기대한다.

11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19


Graduation Exhibition

Interior Architecture

12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21

Something 1168 x 727, Oil & Acrylic on canvas, Collage, 2014

컨셉아트웍은 콜라주로 완성했다. 디지털 콜라주와 핸드웍을 한 캔버스 안에 같이 표현하면서 색다른 느낌을 주려고 했다. 핸드웍에서 또한 유화물감과 아크릴물감을 섞어쓰면서 콜라주 안의 콜라주를 표현하길 원했다. 일반적인 클럽에서 보여지는 사람들의 모습은 남성은 여성들을 유혹하기 위해 달려들고 여성들은 그에비해 약자의 모습을 띄지만 아트웍을 통해 정반대의 스토리를 보여주고자 했다. 클럽에서의 아름다운 여성들은 각 자의 매력을 한껏 발산하며 더욱더 화려한 이미지를 갖추어 여성의 이미지와 잘 어울리는 동물들로 표현했 다. 그와 반대로 맹수같이 달려들던 남성들은 작은 물고기로 표현하면서 그 화려함 주변을 맴돌기만 하는 이 야기로 표현해보았다.


Graduation Exhibition

Interior Architecture

122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23

본 클럽은 in과 out의 뒤바뀜을 컨셉으로 한다. in의 프로그램, 다시말해 춤을추고 술을 마시는 등의 프로그램 이 겉으로 드러나고 out의 프로그램을 안으로 끌여들이면서 친구들을 기다리고 주차를 하는 외부 프로그램이 클럽 내부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클럽이라는 공간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행위들이 한데 모이게 된다. 더불어 지하에서춤을 추던 사람들이 거리로 드러나게 되면서 홍대 클럽거리 전체를 배경으로 삼으며 그 에너지를 거리 전체에 발산시킨다. 홍대, 강남, 이태원 등 클럽들이 즐비해 있는 곳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 인 클럽과는 다른 컨셉을 가지고 있는 만큼 건물의 형태, 인테리어 또한 특색을 갖길 기대했다. 운석이 떨어 져 박힌듯한 형태와 초승달 모양의 비정형 매스 사이에 단순한 슬라브가 무심하게 꽂힌다. 큰 운석 덩어리들 은 콘크리트, 매쉬, 유리 등의 다양한 재질로 표현하며 내외부의 경계를 흐트러뜨리고 비정형의 거대한 매스 와 심플한 슬라브는 비일상적인 외부 공간을 형성한다. 클럽의 in과 out의 뒤바뀜은 인테리어에 또한 극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 생각했다. 실내공간에서만 볼 법 한 디테일한 난간과 에스컬레이터, 계단 등의 수직이동동선이 외부로 드러남을 적극적으로 표현했다. 또한 외부에서만 볼 수 있는 아스팔트 도로, 가로등 등의 아이템을 실내공간에 과감하게 사용하면서 외부와 실내 의 경계를 허무는 것을 감각적으로 표현했다. 비정형의 매스는 조금이나마 현실적일 수 있도록 조각을 나누 어 외피를 형성했으며 운석모양의 큰 덩어리의 경우 조각들간의 연결을 경첩으로 마무리 하면서 디테일에 집 중했다. 볼트너트 등의 작은 철물들로 테이블과 의자, 조명, 난간 등의 가구를 만들어 모형 전체의 색감에 어 울리게 조합했다.


Graduation Exhibition

경리단 미술관길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Professor Hyunho Lee & Okhyun Kim 실내건축학과 4학년 졸업설계스튜디오 지도교수 이현호 김옥현 전 예 슬 Yeseul Jeon

골목길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적층되 는 시대의 결과물로서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문 화이기도 하다. 이런 골목길들이 가지는 독특함들 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유입되고 주거 지역 내부로까지 급속도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 다. 상권이 형성되며 부작용으로 도시의 골목길들 은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소멸되고 있다. 이에 골목 길을 보존하는 적극적인 방안으로 주거지역과 상 업지역을 연결하는 공간으로서, 동선을 따라 복합 문화공간을 계획하여 완충공간이자 문화공간으로 역할하는 미술관 길을 계획하였다.

Interior Architecture

124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25


Graduation Exhibition

Interior Architecture

12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27

이태원 경리단길에서 회나무로35길, 39길은 대로 를 경계로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급격하게 나뉘 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다. 길의 갈래들에 서 노드를 설정하고, 이를 연결하는 동선의 시작 과 끝을 갤러리의 경계로 삼았다. 갤러리와 골목 길로 구성된 복합문화 공간에서 골목길은 중심얼 개의 역할을 한다.

즉, 독립적인 갤러리들은 경리단길에서 퍼져나오 는 두 가지 골목길 동선을 따라 곳곳에서 유기적 으로 연결된다. 골목길은 교차하기도 하고 굽어있 기도 하면서 경관의 변화를 다양하게 만드는 장치 가 되고, 이러한 골목길을 따라 프로그램들은 자 연히 교차되며 새로운 이야기와 상황을 만들어낸 다.


Graduation Exhibition

Interior Architecture

128

" 스쳐 지나갔던 골목길에 주목하고 골목길 곳곳에서 실내공간의 요소를 발견한다 "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29

도시의 외부공간이면서 내부공간이기도 한 골목 길의 특성을 살려 갤러리의 전시 공간들을 활용가 능한 기존의 건물과 길 곳곳에 배치하였고, 그에 따라 내외부의 경계가 모호한 상황들을 연출한다.

또한 주거와 상업시설이 혼재하는 골목길의 특성 처럼 동선 내에 이질적인 프로그램을 곳곳에 배치 하여 서로 다른 상황들이 교차됨을 보여준다.


Graduation Exhibition

Interior Architecture

당인리 발전소 리노베이션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 Professor Hyunho Lee & Okhyun Kim 실내건축학과 4학년 졸업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이현호 김옥현 오 지 훈 Jihoon Oh

13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31

졸업설계 스튜디오로서, 학기말 졸업전시를 위한

최종 전시 방식은 아트를 통하여 전체 건축설계를

자신만의 최종 설계작품을 수행한다. 전체적인 주

표현한다. 나는 아트의 종류중에 흑과 백만으로

제는 가창 아트로 제시되며, 첫 6주 동안 미술 또

공간을 표현하는 목탄화를 선택하였고 이를 3주

는 공예의 하나의 장르를 선택하여 그 표현기법을

에 걸쳐 목탄화를 그리며 목탄의 특성을 익혔다.

체득하고 자신의 내적 의지를 표현하는 예술작품

이를 통해 사이트를 당인리 발전소로 정하고 목탄

을 제작한다. 이후 자신의 주제를 정하고 건축 공

적 특성이 묻어나는 공간을 만들고자 하였다.

간 구성을 위한 설계작업을 진행한다.


Graduation Exhibition

Interior Architecture

목탄의 물성을 연습하며 이해하기 위하여 자 연물을 대상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파도, 구름, 코뿔소, 코끼리, 자갈밭, 들판 등등의 작업물이 있다. 목탄화의 특성은 경계가 흑과백으로 명확해 보이면서도 자 세히 들여다보면 굉장히 불분 명하다는데 있다. 기억의 재구성시리즈에서 는 아트워크시리즈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나 는 이러한 목탄의 재료적 불분명성과 기억의 인지적 불분명성을 연결하여 주제로 잡았다. 그리고 나의 기억을 목탄의 재료적 물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재구성하여 그렸다.

132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33

<아트 워크 No.07 > 시리즈 54 x 39, 판화지에 목탄, 콩테, 2014 <기억의 재구성 > 시리즈 54 x 39, 판화지에 목탄, 콩테, 2014 <기억의 재구성 > 시리즈 111.8 x 76.2, 판화지에 목탄, 콩테, 2014


Graduation Exhibition

Interior Architecture

134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35


Graduation Exhibition

Interior Architecture

The city factory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 Professor Hyunho Lee 실내건축학과 4학년 졸업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이현호 박 재 현 Jaehyun Park

13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37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사회의 복잡도가 올라감

또 도시의 생태계를 담는다는 느낌보다는 프로그

에 따라 한 사람이 하는 일의 복잡도도 올라가게

램들을 기능별로 나누고 다시 모아서 재분배하는

되었고 또 건물들 또한 점점 고층화되고 있다. 이

인위적인 느낌이 좀 더 강했다. 그리고 워홀이 그

렇게 현대의 사람들은 이전의 사람들보다 더 많은

리드를 나누고 장면하나하나를 찍어냈던 것처럼

것들을 같은 시간 내에 처리해야만 하게 됨으로써

입면의 파사드를 하나하나 찍어낸 듯한 느낌을 보

도시의 프로그램들은, 거리상의 문제와는 별개로,

여주고 싶었다. 그렇게 해서 도시의 프로그램들이

점점 더 긴밀한 관계를 갖게 되었다. 바로 여기서

실제의 도시의 모습처럼 어느 정도의 무질서함을

도시의 각기 다른 프로그램들을 건축물에 담아내

가지고 랜덤하게 입면의 파사드에 배치되는 그러

는 방법을 고안하려 한다. 사실 저러한 시도들은

한 큰 그림이 그려졌다.

기존에 존재하기도 했고,


Graduation Exhibition

Interior Architecture

13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39

워홀이 그랬던 것처럼 그리드를 나누고 그 그리드에 도시의 프로그램들의 장면 혹은 이미지가 찍혀있는 파사 드를 만들어보고 싶었다. 우선 파사드는 앞면에 하나 뒷면에 하나 크게 2개의 파사드를 구성해볼 수 있었는 데 먼저 앞면에는 워홀의 켐벨수프 작품처럼 무표정한 정사각형의 유리창들로 파사드를 채우고 싶었다. 하지 만 그와 동시에 같은 무표정한 유리창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내부에서는 다른 프로그램들이 벌어지고 있 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 그래서 그렇게 하기 위해서 건물의 깊이는 최소한으로 주었다. 이와 정반대로 뒷 면에는 정말 직관적으로 프로그램들이 보이기를 원했다. 키치한 방식으로 이렇게 함으로써 전혀 다른 성격의 두개의 파사다를 보여줌으로써 도시의 양면성을 담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Graduation Exhibition

Interior Architecture

14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41







60th ANNIVERSARY EXHIBITION 4th Year 가까운 미래에 다가올 남북한 통일을 대비하고 통일을 앞당기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이제 만들어진지 60년이 된 DMZ에 DMZ평화공원을 만들겠다고 발표를 하였고, 현 재까지 중앙정부의 DMZ 관련계획들은 접경지역에 산재해 있는 통일, 안보, 역사, 문 화, 생태자원을 활용한 동서축 중심의 연계관광코스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통 일에 대비한 국가발전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남북한 연계개발에 주안점을 두고 그에 상응한 비젼을 가져야 할 시기이다. 홍익건축대학 60주년을 맞이하여 건축대학에서 는 “통일”이라는 주제로 전 학년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으며, 4학년은 가칭“통일을 대비한 DMZ 평화공간계획”이라는 주제로 공동작품을 진행한다.

Professor in Charge Jaeyong Chung

Studio Professors

Kyungsun Lee / Steven Jang Kyuman Song / Soeun Cho Sunghan Kim / Yongsoon Chang Bumsik Na / Jinpyo Eun Hoon Park / Beomsub Uhm Jongwook Park / Seohong Min

Exhibition planners

Byungho Shin / Kyungmin Cho Yoohan Lee / Moonchan Kim Seonhwan Kang / Subin Kim Hangsoo Jeong / Yoonsu Kim Beomjun Jeon / Kooyoung Oh Hogeun Cho / Sunyoung Yoo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e 4th Architecture 4thYear Grade

148

DMZ : De-Militarized Zone

SCENARIO

2020년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이 이루어진다는 가정 하에 이번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통일은 이 루어지지만 남-북 간 극심한 경제적, 정치적, 사 회적, 문화적, 이데올로기적 격차 뿐만 아니라 남남 갈등과 북한의 난개발을 우려하여 경계를 급격 하게 없앨 수 없는 상황으로 남북한의 경계를 유 지하고, 인구 이동을 제한적으로 허용한다. DMZ는 정치적, 경제적 버퍼존(buffer zone)으로 작동하며, 점차적으로 사회적인 격차를 줄여나간다는 가정이 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49

대한민국은 분단 60년을 맞이하고 있으며 DMZ

DMZ평화공원은 248km 서해부터 동해까지 이어

이 프로젝트의 더 넓은 의미는 자연과 인간의 소

는 군사적인 이유로 발길이 끊어졌지만, 그런 이유

지는 세계최장공원으로 조성된다. 이 공원은 지

통을 도모하여, 통일 이후 개발의 전제가 이윤 추

로 해서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천혜의 자연 생

리적, 역사적, 생태적 특성이 다르므로 지역 특성

구가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그리고 공공적 목적

태 공원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위에서 언급한대

을 반영하여 6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관리한다.

으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에 있다.

로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전

DMZ 주변의 전략적이고 핵심적인 6개 장소(서

세계 최후의 대립과 긴장의 장소라는 상징적인 의

부 도라산역과 판문점, 중부 궁예 도성과 제 3땅

미와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는 세계적인 규모의

굴, 동부 평화의 댐과 양구 펀치볼)를 선정하여 정

자연 공원이라는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지역

치적, 경제적 완충 지대로서와 생태적 장소로서의

으로서 UNESCO는 DMZ를 세계자연문화유산으로

DMZ 평화공원을 접근하고 관광할 수 있는 주요

인정한다. DMZ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됨과 동

센터로서 창의적인 공간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남

시에 정부는 국제평화생태공원으로 조성하고, 많

측 요충지들에 계획되는 이런 시설들은 시범 단지

은 해외 인구와 국내 인구가 이곳을 방문할 것으

로 계획되고, 이를 토대로 북측의 중요 지점에서도

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자연생태계를 보전하며 관

DMZ 평화 공원을 지원하는 시설들이 개발될 것이

광산업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국제수준의 공원지

다. 이 장소들은 공원 공간 개발 계획의 중요한 거

원시설뿐만 아니라 분단 60년의 역사를 알리는 공

점으로서 작용할 것이다. 이런 평화의 공간들은 방

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문객들의 편리를 도모하고 자연 생태 지역을 보존 하면서, 분단의 역사를 느낄 수 있는 역사적이고 세계적인 장소로 자리매김을 하게 될 것이다.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e 4th Architecture 4thYear Grade

150

DMZ : De-Militarized Zone

STUDIO 1

전세계 유일한 분단국의 경계였던 지역의 상징적인 의미로 이곳에서 통일 이후 2025년 평화 엑스포가 개최된다는 가정 하에 계획을 진행한다. 평화 엑스포는 6개월이란 시간동안 일시적으로 이루어지는 행 사이지만, 전 세계의 축제로 파급력이 크다는 엑스포 프로그램의 특성을 갖으며, DMZ 생태 공원을 인접 한 지역에서 개최된다는 점에서 정치적이면서 생태적인 의미를 갖는다. 엑스포 당시에는 평화와 관련된 여러 가지 주제로 전시와 행사를 개최하며, 엑스포 이후에는 엑스포를 개최하면서 형성된 인프라를 바탕 으로 대학 및 연구시설로 전환한다. 이 대학 및 연구시설을 이러한 DMZ 에 대한 연구를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집적 단지로서 평화 생태 공원의 지원시설이 될 것이다. 이 장소는 전시장으로서 평화와 이데올 로기 등에 대해서 고민하고 경험해 볼 수 있는 장소가 되며, 연구소로서 생태의 가치에 대해서 연구하고 인식을 높여줄 수 있는 장소가 될 것이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51

PEACE EXPO 2025 EXPO THEME HARMONY

LOVE

HAPPINESS

LIBERTY

EQUALITY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e 4th Year DMZ : De-Militarized Zone

152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53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e 4th Architecture 4thYear Grade DMZ : De-Militarized Zone

STUDIO 2

154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The

155

POINT became sence of place 판문점은 6.25전쟁 당시 휴전과 협정을 위한 대화

도 있지만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 이상 기후, 온

의 장소였으며, 정전 이후에도 현재까지 남북분단

실 가스 등과 관련한 환경 문제도 그 원인으로 대

상황하의 다양한 문제를 다자간 대화를 통해 문

두되고 있다. 이에 6.25 발발 이후 대화의 장소로

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소로 쓰이고 있다. 따라서

역할을 하던 판문점 일대의 역사적인 맥락을 되새

근 미래 한반도가 통일을 이룬다면 판문점은 필연

겨 세계 평화와 인류환경보존을 위한 대화와 연구

적으로 과거 남북분단을 상징하는 장소로서 이러

의 장을 제공하여 그 장소성과 역사성을 잇는 것

한 역사적인 기능을 부여 받을 것임이 자명하다.현

을 주된 목표로 삼는다. 우리는 이러한 목표를 수

시대의 국제분쟁은 민족, 종교, 영유권 등의 이유

행할 구체적인 프로그램으로 국제평화를 위한 대 화와 교류의 장소인 국제컨벤션센터, 환경문제로 비롯되는 다양한 국제 분쟁의 원인을 연구하는 국 제 생태 연구센터를 제안하고, 이 둘을 아우르며 DMZ 생태공원의 출발점으로 기능하게 될 판문점 을 포함한 메모리얼 생태공원과 이들 시설 지원 을 위한 기념관, 호텔, 상업시설, 방문자센터, 역사 등의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또한 DMZ생태공원이 라는 위상에 맞게 사이트 내의 지형적, 자연적 조 건들을 최대한 이용하여 가장 근본적인 DMZ 생태 공원이라는 계획에 부합하는 단지가 되도록 할 것 이다.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e 4th Year DMZ : De-Militarized Zone

15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57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e 4th Architecture 4thYear Grade DMZ : De-Militarized Zone

STUDIO 3

15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59

WALL WAR IS OVER : redefine line, wall

‘벽’ 의 재해석 :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로써 재해석하고 벽이 더 이상 경계의 벽이 아닌

국제연합군 총사령관과 북한군 최고사령관이 그

연결의 요소가 되는 벽으로 재탄생 시키고자 하였

은 선이 남방한계선이 되었다. 다른 사이트와는 달

다. 이를 위해 건축에서 ‘벽’이라는 요소가 만

리 평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철원은 탱크가

들 수 있는 공간과 심리적 환경을 분석하고 벽을

밀고 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지형적 특수성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는 “허물다.”, “뚫다.”,

과 방어적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의 철창을 사용하

“넘다.”, “바라보다.”, “옮기다.”, “느끼

지 못 하고 1975년 그 선을 따라 전차방어를 위한

다.”, “걷다.”, “통과하다.”등의 행위를 건

거대한 콘크리트 방벽이 세워졌다. 40년이 지난

축적 어휘를 통하여 구현하고자 하였다. 마스터플

지금까지 높이 5m, 깊이 15m의 거대 콘크리트 구

랜 디자인에서는 기본적으로 철원의 철새도래지

조물의 대전차 방벽은 과거의 남북을 나누는 ‘단

를 보존하는 최소한의 개발을 전제로 각각의 프로

절’, ‘막힘’의 분단의 상징물과 남북을 갈라놓

그램들이 벽과 직접적으로 또는 상징적으로 관계

던 요소로 DMZ의 자연과 발전 된 도시가 만나는

를 맺는 선적인 형태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으로

경계가 되어왔다. 본 철원 DMZ 스튜디오에서는 이

는 철원의 역사, 생태, 산업, 교통 등의 지역적 특

러한 벽을 새로운 소통을 의미하는 건축적 수단으

성과 사이트 컨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다양하고 유 니크한 공원지원시설로 구성하였다. 궁극적으로는 DMZ 생태공원과의 관계 및 연결성에 대한 고민을 통하여 벽을 건축적으로 재조명하고 건축적 대안 을 제시하고자 한다.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e 4th Year DMZ : De-Militarized Zone

16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61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e 4th Architecture 4thYear Grade DMZ : De-Militarized Zone

STUDIO 4

162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63

해로 : 解路

대상지는 DMZ구간과 제2 땅굴을 포함하는 철원의 이길리 · 정연리 일대로 역사적 갈등과 이데올로기 의 차이를 상징하는 제2땅굴과 철책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DMZ구간 내 멸종위기동식물이 가장 많이 서 식하고 있는 곳으로 높은 생태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또한 남북 대립으로 생겨난 한반도 내 9개의 민북 마을들 중 가장 많은 곳을 포함하고 있으며 독특한 지역문화를 보여주는 곳으로, DMZ의 전반적인 특성 을 고루 갖춘 지역이다. 본 스튜디오에서는 DMZ의 역사적·자연적·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며 그동안의 갈등과 오해를 해소하고 화해할 수 있는 평화루트를 조성하고자 한다. 미워하기만 했던 과거에서 벗어나 서로를 역지사지로 이해할 수 있는 역사와의 화해, 그리고 인간중심의 사고가 아닌 동등한 위치에서 공 존한다는 자세로서의 자연과의 화해, 마지막으로 소외되고 단절되었던 민북마을과 외부와의 소통을 통 한 문화와의 화해를 전체 평화루트의 개념으로 한다.그리고 이러한 역사·자연·문화와의 화해를 이루 기 위해 인간과 인간의 화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정단계를 적용한다. 즉, 흥분으로 시작되어 갈등을 겪 지만, 서로를 이해하고 반성하면서 역지사지의 깨달음을 갖게 되고, 결국 감정이 누그러져 평화를 이루 는 일련의 시퀀스를 전체 마스터플랜의 루트에 대입한다. 화해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승하고 하강하 는 감정의 정도가 반영된 각각의 루트를 통해, 최종적으로 역사·자연·문화와의 화해가 이루어지는 것 을 목표로 한다.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e 4th Year DMZ : De-Militarized Zone

164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65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4th 4thYear Grade Architectue DMZ : De-Militarized Zone

STUDIO 5 평화의 댐

남북 간의 이념대립과 소통의 부재로 생겨난 평화의 댐은 남측의 이념적, 정치적 안정이란 목적아래 그 명분(존재의 이유)을 유지하며, 자연과 융합되지 못하는 거대한 인공 구조물로 존재하여 왔다. 평화통일 이 이루어지는 2030년, 평화의 댐은 그 이념적 기능을 상실하고 분단의 뼈 아픈 기억만을 담은 채 자연 과 어우러지지 못하는 흉물스러운 거대 인공 구조물로 방치되어질 것이다.본 스튜디오에서는 이 거대 인 공구조물을 인공물이 아닌 하나의 자연대지로 바라보고 적극 활용하여, 자연과 이질적으로 존재하는 댐 이 아닌 자연과 어우러진 녹지 및 하나의 단지로 계획하는 것이 목표이다.댐을 기준으로 양 단에 선착장 을 두고, 이곳을 찾거나 배의 환승을 위한 사람들 그리고 DMZ 평화공원에서 배를 타고 내려와 쉬는 사 람들을 지원해주는 단지로 계획한다. 남측과 북측의 선착장이 댐에 의해 단절되어있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댐의 2차 준공부분의 일부를 걷어내어 그 부분에 DMZ 프리뷰와 편의시설을 배치하여 양단을 연계 시키고 댐 양단 대지로부터 숙박 단지가 댐으로 스며들어오는 것처럼 페이드 아웃 되게 매스를 디자인하 여 단절을 완화시킨다. 그 스며드는 패턴이 결국 녹지 패턴으로 바뀌어 댐의 일부를 녹화시키도록 계획 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댐은 결국 자연스럽게 녹화될 것을 기대한다.

16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67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e 4th Year DMZ : De-Militarized Zone

16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69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e 4th Architecture 4thYear Grade DMZ : De-Militarized Zone

STUDIO 6

17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71

UNDERGROUND ON THE GROUND 대상지는 양구군 해안면 접경 지역의 제4 땅굴로,

게 활용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지리적으로는 태백산맥 서쪽 경사면에 위치하며

또한 이지역의 지형적적 요소 및 자연 경관을 살

현재강원도 군사분계선과 맞닿아 있다. 북쪽으로

릴 수 있는 자연림 휴양 단지로써, 화강암 암반 지

금강산, 동쪽으로 태백산, 남쪽으로 설악산에 둘러

역임을 적극 활용 하는 차별성을 지닌 단지를 계

싸여 있는 산악지역으로 자연 경관이 뛰어난 장소

획을 한다. 역사성 지니는 제 4땅굴을 적극 활용

이다. 60년 이라는 긴 시간 동안 남한과 북한이

재개발 하여 지하 공간들을 연결하여 지하공간에

대치하면서 조성된 제4 땅굴은, 분단된 국가가 통

서 느낄 수 있는 공간감을 극대화 하고 이를 통해

일하고자 하는 바람이 일그러진 형태로 표출된 것

서 지상의 공간은 기하학적인 요소와 자연적 요소

으로, 겉으로는 분단과 대립을 의미하지만 속으로

가 공존하는 공간으로서 방문자들에게 색다른 경

는 두 나라를 연결하는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

험을 제공 할 수 있는 단지조성을 목표로 한다. 제

다. 이에 본 스튜디오에서는 통일 이후에 분단의

4땅굴은 역사적 상징을 지니면서 동시에 단지를

역사의 단편으로 기억될 땅굴을 사람들이 평화롭

방문하는 관광객을 위한 인프라 시설로 활용하여 자연 휴양림의 공간을 더욱 풍요롭게 할 것이다.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e 4th Year DMZ : De-Militarized Zone

172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73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Cultural Complex

174

60th ANNIVERSARY EXHIBITION 3rd Year 통일이라는 60주년 주제에 맞춰 도시적 환경 속에서 재조명이 필요한 사이트를 적합한 프 로그램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Professor in Charge Youngsun Ko

Studio Professors

Seungkwon Jeong Kyuman Song / Taekbin Kim Yunho Song / Yunha Lee Hyungseung Min / Dongwoo Wu Hyungho Woo / Kwangho Cha Jeonghyun Hwang / Seongwook Cho Janghwan Lee / Jeonghun Lee

Masterplanners

Seongmin Park Geuni Park / Wonjeong Kim / Taeyoon Kim Haerang Jeong / Hyuns Kwon / Kwonhee Lee / Minyoung Kim Yoonseon Lee Mingoo Kang / Changwon Jung Seyeol Shin Yongsun Le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75

cultural complex 통일복합문화시설 renovation regeneration remodeling

KEYWORDs

context-friendly cultural creativity

data/scale + form materiality + formation digital/physical communication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176

Cultural Complex

STUDIO 1

현재의 을지로 그리고, 통일 후 을지로 시나리오 을지로는 세계에서도 유래가 드물게, 광범위한 산업 분야가 한 자리에 모여있는 곳이다. 이는 공정 과정 에 따라 서로 협업하며, 을지로 일대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공장처럼 작동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을지로 가 보유한 기술력과 산업기반은 통일 후 북에서 내려올 많은 사람들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잠재력으 로 작동할 것이다. 하지만 을지로의 인적 네트워크는 외부인에게는 보이지 않는 소위‘그들만의 리그’ 이기 때문에 외부인을 수용하는데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비워지는 미군부대 대지가 통일 이후 북한사 람들과 을지로의 네트워크, 을지로와 일반인들의 네트워크, 그리고 나아가 남과 북의 정서 및 산업적 네 트워크를 이루는 데 이바지할 수 있는 기회의 땅으로 생각하고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 즉, 보이지 않는 네트워크를 가시화 하고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축해나가는 을지로 센터를 이 땅에 새롭게 제안하고 자 한다. 따라서 우리는 분단으로 인해 담장으로 닫혀있던 땅이 열리면서 주변 도시 조직과 관계 맺는 방 식에 주목하였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77

Invisible Network

도시조직의 반영 주어진 대지를 둘러싼 다양한 재래 시장과 새로운 변화를 맞이한 동대문 일대의 중심 길은 미군 공병단 담장으로 인해 단절되거나 우회하는 방식으로 동선이 형성되어 있다. 만약 담장이 허물어질 경우 기존 도시 조직에 활기를 불어 넣어 줄 기회의 땅이 열릴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도시가 내재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또 하나의 노드점(node point)이 삽입됨으로 인하여 새로운 관계를 맺는 것과 상응하는 이치 이다. 이러한 개념으로 도시 컨텍스트(context)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주변 조직과 연결을 시도하 였다. 청계천 및 지하 쇼핑센터 등 주변이 입체적인 가로 공간으로 둘려 쌓여 있는데, 이러한 도시요소를 다양한 레벨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으로 보고 주변과 연결하는 과정에서 디자인 과정에 적극 반영하였 다. 또한 미군 공병단 내부가 지니고 있는 땅의 흔적을 하나의 레퍼런스(reference)로 보고 외부의 단절 된 길을 내부로 자연스럽게 끌어들이고 확장하고자 하였다. 계획을 바탕으로 공장, 주문제작 및 판매센 터, 통일 기념관, 박람회, 타워, 숙박시설, 인포메이션 센터 등의 프로그램이 삽입하였는데, 이는 대지 내 부뿐만 아니라 을지로 전체가 네트워크를 이루는 거대한 시스템으로 작동하도록 기획하였다.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178

Cultural Complex

1. Site Pla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79

2. Zoning Diagram

3. Strategies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Cultural Complex

STUDIO 2

18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81

Cloud 5 Fair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182

Cultural Complex

1. Site Plan

통일 후, 공산주의였던 이북5도 지역에서 나온 다양한 컨텐츠가 하나가 된 한반도에서 디딤돌이 되어 줄 시스템이 필요하 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방안으로 ‘CLOUD 5 FAIR’를 제안한다. ‘CLOUD 5 FAIR’는 통일 전 공산주의의 사상과 사 회주의 사상에 지배를 받았던 지역인 이북5도의 여러 컨텐츠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에 흡수통일 된 후 경쟁력을 잃게 되 는 것을 막아준다. 그 방법으로 ‘CLOUD SYSTEM’을 도입했다. ‘CLOUD SYSTEM’은 각각의 이북5도의 컨텐츠를 하 나의 CLOUD OFFICE에서 각종 지원을 통하여 컨텐츠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그것들은 기능적으로 뿐만 아니라 물리적으로도 연결 돼 있어 즉각적인 feed-back이 가능하다. 이러한 것들이 이루어지는 장소는 을지로의 미군 공 병단 터인데 이곳은 각종 시장과 패션타운,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에 이르기까지 관광객을 이끄는 각종시설들이 위치해있 다. 이곳에서 이러한 관광유동인구들을 끌어들여 EXPERIENCE와 EXHIBITION 프로그램과 판매를 결합해 FAIR의 개념으로 관광객들의 이목을 끈다. ‘CLOUD 5 FAIR’에서는 단지 업무지원이나 판매만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경쟁력 지원을 통한 홍보와 이미지 개선, 판매 촉진뿐만 아니라 홍보와 판매에 따른 즉각적인 feed-back이 FAIR와 CLOUD OFFICE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 Exterior Render Image 3. Interior Render Image

4. Interior Render Image

183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184

Cultural Complex

STUDIO 3

1948년 남북의 분단은 서로의 사상, 생각과 행동에 큰 차이를 야기시켰고, 70년이 흘러 그 것은 더욱 심화되었다. 그래서 같은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서로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워졌다. 이러한 상황에 서 통일이 이루어진다면, 국가 간에는 통일이 될 지라도 사람과 사람간의 통일은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 다. 서로가 얘기를 하고, 같이 생활하며, 서로의 행동을 보는 것 만으로도 문화를 익힐 수는 있다. 하지 만, 70년이라는 커다란 분단의 시간은 우리의 차이를 너무나 크게 벌려 놓았고, 자연스럽게 이해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문화를 교육하고자 복합문화학교를 제안한다. 지금도 심각하게 낙후된 을지로에 통일후에는 일자리가 필요한 북한사람들까지 물려올 것으로 예상한다. 그 공간에 문화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85

Unification Art School

와 디자인, 예술을 교육하는 시설이 들어옴으로써 문화차이를 없애고 남한의 경제체계에 잘 정착하도록 도와주고 젊음과 활기를 불어 넣어준다면 을지로는 문화력으로 재탄생하게 될 것이다. 현재의 사이트는 주변 시장네트워크 동선의 한가운데에 위치하여 물리적으로 이동과 시야를 가로막고 있다. 그래서 주변 도로망을 연결시켜주고 녹지를 확장시키며 새로운 layer를 생성함으로써 상인, 학생, 관광객들이 충돌하 지 않고 자연스럽게 섞일 수 있도록 하였다.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186

Cultural Complex

1. Zoning Diagram

마스터플랜의 조닝은 주변 가로환경을 고려하여 주축main axis를 두어 영역을 나누고 영역마다 특성을 조사 하여 컬러링을 하였다. 여러 특성의 컬러가 겹치며 결과적으로 크게 4개의 영역이 도출되었고, 성격에 맞도 록 각각 campus zone, campus core, culture complex, cheonggye lounge를 배치하였다. 이로써 합리적이 고 효율적으로 배치를 할 수 있었고 큰 대지의 공간구획을 할 수 있었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87

2. Render Image 3. Render Image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188

Cultural Complex

STUDIO 4

통일 이후 남한에는 북한의 공간을 북한에는 남한의 공간을 넣어 정신적으로 진정한 통일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것으로 인해 남한에 오는 북한 사람들의 경제적인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바로 앞에 흐르는 청계천은 서울을 대표하는 하나 의 관광지적 요소가 되며 이를 저희 사이트 내부와 연결시켜 사람들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하였다. 바로 앞에 있는 평화 시장은 과거의 한국전쟁 이후 월남한 사람들이 남한에 정착하는 하나의 방법이었다. 청계천을 따라 자신의 거처를 만들게 되고 이곳에서 사업을 하며 경제적인 기반을 다진 이 성공사례는 평화시장이라는 을지로의 거대한 사업을 만들게 되었다. 이 성공 사례를 사이트에도 적용하고자 하였다. 남한에 들어오게 될 북한 프로그램으로써 먼저 북한의 시장문화를 생각하 게 되었다. 이는 현재 수십년간 안정화 되어온 을지로의 여러시장들과의 경쟁성도 가지며 그 특성에 맞게 자신만의 고유 한 특징을 가지는 시장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좌측의 오래된 을지로 시장문화와 우측에 최근에 생긴 신흥상권 을 연결하는 하나의 거대한 축으로 잡고 이 두 가지를 이어주는 시장이 되고자 하였다. 앞서 말한 청계천을 끌어들이고 하 단부에 있는 공원과의 자연적이 연결을 이루고자 세로의 축을 잡게 되었고 이 두 거대한 축을 시작으로 저희의 시장을 만 들게 되었다. 청계천을 좀 더 효과적으로 끌어들이기 위하여 평화시장의 지하를 뚫어 사람들이 청계천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중앙의 지하 광장을 통해 세 개의 건물이 소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앙의 지하 광장에 청계천의 물 또한 끌어들여 청계천과의 연계성을 높이면서도 광장 냅의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배치하였다. 그리고 매스들이 그 들 가운 데에 각자의 광장을 각각 가짐으로써 그들의 특색이 더욱 잘 드러날 수 있도록 하였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89

Cultural Circle Complex

첫 번째 매스, 북한 특산품 시장의 경우 많은 면적이 필요하다보니 전체적으로 매스가 커져 이용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위 압감을 받을 수 있었다. 이를 막기 위하여 계단식으로 뒤쪽 매스가 점점 높아지는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남쪽에 위 치한 와이너리와의 연계성을 위해 그 사이에 쿠킹 스튜디오라는 새로운 참여 공간을 설계하였으며 어떠한 판으로 이러한 여러 가지의 프로그램을 연결시키면서도 외부 다른 매스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동선을 생각하였다. 두 번째 매스, 아트 앤 크래프트 시장의 경우 첫 번째 매스와 0레벨에서 이어져 사람들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생각하였으며 내부에서 여러 공 방들이 운영됨에 있어서 그들의 효과적 홍보와 사람들의 접근을 고려하여 한 쪽 벽을 전체 유리로 만들게 되었다. 이어 지 형에 맞게 스케일 조정을 함으로써 매스가 생겨나게 되었다. 마지막 와이너리 건물은 중앙 지하 레벨의 광장과 훈련원 공 원의 0레벨을 이어주는 역할을 해야했다. 그에 따라 건물 자체가 레벨의 중간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계되었다. 또한 두 개의 시장 건물에서 벗어나 사람들에게 오락적인 요소를 제공할 수 있는 건물이다.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190

Cultural Complex

1. Site Plan

3. Sectio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91

2. Program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192

Cultural Complex

STUDIO 5

우리는 통일이 되었을 때 남한과 북한이라는 이질적인 집단이 만나 발생하는 창조적인 에너지에 초점을 두었다. 사 실 경제적으로, 정치적으로,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많이 초래될 수 있다는것이 현실이지만 우리는 그것을 떠 나서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두 집단이 만났을 때 생겨나는 창조성을 주제로 삼았다. 그 중 우리는 예술문화에 초점 을 두었다. 대중문화를 이끌어가는 지점에는 언제나 예술성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남한과 북한이 문화적으로 충돌했을 때, 그 충돌의 지점에서 생겨나는 변화를 긍정적으로 조성해나가고 대중문화를 이끌어나가는 예술가들을 주인공으로 한 건축을 구상하였다. 때문에 예술의 분야에 있어서 크게 순수예술, 미디어, 그리고 공연을 축으로 삼고, 이에 따라 예술학교, 공연장, 그리고 마케팅 서비스라는 세개의 프로그램을 정하였다. 예술과 대중을 이어주는데에는 상업성이 꼭 들어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93

Creative Net-Scape

그리고 무엇보다 이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고 대중에게 열리도록 하기 위하여 세개의 프로그램을 열린 광 장을 중심으로 둘러쌓았다. 중앙 광장은 계단과 램프가 뒤섞여서 누구나 중심으로 접근하도록하였다. 중 심으로 향할수록 레벨이 점차 낮아져서 가장 가운데 지점에서는 계단과 주변 건물들에 둘러 쌓여서 위로 는 하늘만 보이도록 하였다. 바깥으로는 세개의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연결되어있지 않도록하여 각각 의 상징성을 강조하였다. 그것들을 연결하는 지점은 지하에 묻어두어 광장을 주변으로 지하 순환 형식의 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 그리하여 광장에 있는 사람들이 지하의 편의시설에 쉽게 접근하도록 하고 이어 서 세개의 프로그램으로 자연스레 유입되도록 하였다.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Grade Year Cultural Complex

194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95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Cultural Complex

STUDIO 6

19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97

Pixelated Network

주어진 대지는 을지로에 위치해 있으며 역사성과 상업시설이 공존하는 곳이지만, 현재는 미군부대로 사용 중이기 때문에 극 소수의 제한 된 인원들만 출입할 수 있는 곳이다. 종로와 을지로의 역사는 조선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수 있으며,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땅답게 다양한 컨텍스트가 이 일대에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군부대로 이용되고 있는 사이트는 을지로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가로막고 있는 물 리적-정신적요소이며, 대지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가장 우선순위로 삼은 것은 끊겨 버린 흐름을 다시 연결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흐름의 연결은 단순히 끊긴 길을 잇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스케일이나 공간의 구성을 통해서 회복하고자 했던 을지로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그에 대한 방법으로 픽셀과 랜드스케이프를 이용하였고, 평화시장과 미군부대 본부, 막사건물은 유지하여 역사성 을 보존하면서 픽셀화 시킨 본 대지의 중심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였다. 픽셀들은 기본 6m×6m의 평행사변형이며 필요에 맞게 더 쪼개 지고 합쳐져서 길이 되고 건물이 된다. 또한 안과 밖의 경계가 모호해져 길이면서 동시에 건물의 옥상이 되기도 하며, 내부와 외부가 구분 이 어려운곳도 있다. 이러한 결과로 다양한 동선들이 생겨나며, 이는 을지로의 규칙을 중심으로 불규칙한 특성들이 나열되어 있는것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건물들에 들어갈 프로그램으로는 을지로의 기술들을 배우는 노동교육센터가 중심이 되어 그 물건들을 팔고, 전시관 및 북한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시설들을 배치하였고, 사이사이에 광장과 녹지를 추가하여 을지로에 필요한 오픈스페이스의 역할까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Cultural Complex

19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99

1. Render Image

2. Diagram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200

Cultural Complex

STUDIO 7

우리의 프로젝트는 통일이후 서울의 모습이 어떻게 될까? 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했다. 과연 서울이 통일 이후에도 현재와 같이 문화, 경제, 정치의 중심지로서 존재할 것인지에 대해 몇차례의 이야기가 오고가며 내린 결론은 ‘정치적 중심지는 서울과 평양 이외의 제 3의 지역을 새로이 정하게 된다 하더라도, 서울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구심점의 역할을 대체할 지역을 새롭게 만든다는 것은 힘들 것이다’라는 것이었다. 때문에 북한 사람들 역시 서울로 일자리를 찾아 모여들 것이라 생각햇다. 또한, 우리의 사이트인 동대문 평 화시장 일대는 이미 서울 시민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몰려든 관광객들이 붐비는 곳이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01

Void as a Democratic Monument

동대문은 아직도 서울내 에서는 제조업에 대한 수요가 적지 않은 편에 속 하기 때문에 북한 사람들의 선택지에서 우위에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여기에 동대문일대가 가지는 물리적인 배경으로 전통의류부터 캐주얼, 정 장, 신발 등등 패션에 관한 모든 것을 갖추고 있는 다양한 시장들이 있다 는 점에 주목하였다.


60th Anniversary exhibition

Architecture 3rd Year

202

Cultural Complex

이미 상업적인 컨텍스트의 홍수에 있는 이 지역 일대에 오랜기간 높은 담벼락에 막혀있었던 이 넒은 땅에 새로운 건 물로 가득 채우는 것은 오히려 이 넓은 땅의 용도를 제한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땅 만큼은 빽빽 하게 들어선 건물사이에 사람들이 모여들 수 있는 커다란 광장이 되어 주변의 다양한 컨텍스트가 자유롭게 넘나들며 언제나 새로운 모습의 사람과 이벤트가 넘치는 광장이 생기면 도심속의 용광로가 되어 동대문의 이야기가 한차원 더 다양해 질것이라 생각했다. 특히 광장의 경우 예전 동대문에 있었던 동대문 운동장이 보여주었던 수많은 사람들이 모 이는 장소인 동시에 그 사람들이 동대문 각지로 뻗어나가는 중심지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광장 주변에는 동대문의 의류상가와 연결 될 수 있는 스튜디오와 산업전시관이 있고, 관광객들을 위한 시설로 극장과 도서관이 들어서고, 동대 문일대의 역사를 보여줄 수 있는 박물관이 되어 이 땅이 가지고 있는 동대문의 이야기와 현재를 동시에 보여준다.

1. Axonometric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03

2. Site Plan

3. Diagram


60th Anniversary exhibition

204

Comment from 4th Grade Exhibition planners

1.

Studio 1. 신 병 호

공동작업은 혼자서 하는 작업이 아니었기에 작업 과정에 있어서 시행착오가 참 많았다. 설계과정에 있어서는 여러 사람들의 생각과 의견을 들어보고 치열한 토의를 거쳐서 한 가지 안으로 정한다는 것 자체가 힘들었다. 설계 자체의 우열을 가리기 는 참으로 힘든 일이었고, 그것도 학생들의 능력으 로 가려내기란 참 어려웠다. 그리고 설계가 진행되 면서는 각자 자신의 일이 맡겨지는데 그동안 서로 진행하는 방식이 달랐기 때문에 처음에는 의견 충 돌도 생기고 했다. 열명의 학생들이 모여서 하나의 작품을 진행한다는 것은 서로를 이해하려고 하는 마음이 바탕이 되었을 때 가능한 일이라고 느껴졌 다. 기획조에서의 작업은 비록 힘들었지만 설계과 정부터 전시 그리고 철거까지의 과정을 경험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좋은 일이었다고 생각된다. 전 시를 함에 있어 교수님들과 회의를 하면서 전시장 구성 모형 패널의 구성을 하나하나씩 결정해 나가 는 과정은 비록 힘들긴 했지만 좋은 경험이었다. 하지만 공동작업의 과정에서 일정의 진행이 초기 에 정해지지 않아서 갈피를 잡지 못했던 것은 고 쳐야 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일이 진행되면서 일정 이 급하게 수정되고 공지되면서 설계과정과 특히 전시에 있어서 어려운 점들이 많이 발생하였다. 그 래도 힘들고 촉박한 일정에서도 좋은 전시를 위해 서 최선을 다해준 스튜디오 친구들과 교수님께 감 사드린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

205

Studio 3. 강 성 환

이번 DMZ 프로젝트에서 우리반의 사이트는 대부분의 반들과 다르게 평지여서 경사지형에 대한 고민은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2.6km의 긴 방벽을 가진 선형적 공간이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이 방벽을 이용하여 ‘DMZ평화공원 지원시설’을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으며, 한 학기 작업의 많은 부분이 이 문제에 대한 회의였다. 단순히 벽 주변으로 다양한 시설들이 들어와 이곳을 사람들이 편히 이용할 수 있도록 세련되게 개발시키는 것은 방벽에 대한 역사적 의 미를 현대적 시각에 맞춰 깊이 있게 생각하지 않은 것이 돼버렸다. 또한 이곳이 천연기념물인 철새도래지 이기 때문에 화려하고 세련된 개발은 사이트의 성격 과 맞지 않았다. 그래서 우리는 ‘벽’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과, 사이트의 특성을 고려한 친환경적 개발 이 두 가지를 중점으로 마스터플랜을 만들었다. 이 번 공동작업을 하며 느낀 것은 함께 한다는 점이 그간 해온 설계와 가장 다른 점이니만큼 한 학기 동안 반 사람들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마스터플랜에 대해 각자가 생각하고 있는 서로 다른 의견을 조율해야 하며, 작업 스타일의 차이를 어느 정도 맞춰가야 한다. 고맙게도 우리반은 이런 문제 등 으로 인한 큰 갈등 없이 한 학기를 잘 보내주어 많은 고생 속에서도 전시를 마무리하는 순간까지 모두 웃으며 끝낼 수 있었고, 덕분에 좋은 결과도 받을 수 있 었다. 공동작업에 대한 단점으로 많은 학생들이 얘기하는 것이, 개인이 표현하고 싶은 생각을 마음껏 표현하지 못하고 작업시간도 맞춰서 해야 하기 때문에 개인적인 시간이 별로 없다는 것 등이 있는데 모두 맞는 말이다. 하지만 학교생활 중 매학기 하는 것이 아닌 한 번 하는 공동작업을 통해 설계는 혼자 하는 것 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회에 나가서 설계를 비롯한 어떤 일을 하던 겪게 될 협업에 대한 적절한 훈련을 받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3.

Studio 4. 정 항 수

60주년을 계기로 진행된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공동작업은 우려와는 달리 대체로 성공적이었고 관 련 전시회도 성황리에 마쳤다고 생각한다. 특히, 4학년 공동 설계 작업은 그 동안 학생들의 편의와 기 타 여건들 때문에 중단되어 왔지만, 이번 작업을 통해 홍익대학교 건축대학만의 색깔 중 하나를 다시 금 되찾은 것 같아 건축을 배우는 학생이자 기획조 일원으로서 감회가 남달랐다. 이번 공동 작업은 교 수님들 그리고 선배님들의 조언과 함께 다양한 경험들을 할 수 있어서 뜻 깊었던 순간들이었다. 그렇 지만 무엇보다도 학우들과 많은 시간을 함께 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 의미가 컸다고 생각한다. 학업 과 바쁜 일상에서 앞 다투어 경쟁하기에 급급했던 우리들이 조금 더 여유를 가지고 가까워 질 수 있 는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어렵게만 느껴지던 선후배 관계에도 이번 작업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 었다고 생각한다. 분명 서툴고 미숙한 부분이 없지는 않았겠지만, 오랜 기간 동안 중단되어왔던 공동 설계 작업의 재개(再開)라는 부분과,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60주년이라는 역사를 함께하며 학생들의 결속력을 다졌다는 점에서 이번 공동 작업은 성공적이었다고 본다.


60th Anniversary exhibition

4.

206

Studio 4. 김 윤 수

공동작업을 하면서 한 교수님이 하셨던 말이 계속해서 생각났다. 교수님 께서는 ma 한명의 설계를 10명이 따라오는 개념으로 설계를 하는 것이 모두가 ma역할을 하며 일하는 co-work의 개념보다 일처리나 모든 면에 서 효율적이며 좋은 방식이며 지금의 방식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 셨다. 결과적으로 그 말이 맞았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우리 반은 어쨋 든 객관적으로 평가가 좋지 않았으며 잘 마무리가 되지 않은것 같았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토론을 계속했던 것이 더 도움이 되 었다고 생각한다. 함께 작은 문제들에 대해 토론하다 보면 서로 틀렸다 는 점을 계속 알게 되었고 그런 모습들을 서로 보면서 더 친해지기도 하 고 서로에게 도움이 되었다. 한 사람의 생각에서 나온 설계는 단기간에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줄지는 몰라도 더 깊은 생각을 할 시간과 의문을 확인 할 시간을 앗아간다는 점에서 아쉬운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것을 깨달을 수 있는 경험은 학생 때가 아니면 진정 해볼 수 없었던 경험 이었다고 생각하고 이런 경험을 할 수 있게 좋은 커리큘럼을 부활시켜주 신 교수님들께 진심으로! 진심으로! 감사하며 이후로 이 전통이 없어지지 않고 모든 후배들이 이 경험을 겪어봤으면 하고 바란다.

5.

Studio 5. 김 병 훈

학생간의 협업방식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된 공동작업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누구나 느끼는 것이 많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20:80 법칙이 적용되는 것 같기도 하고, 무엇이 나머지 80을 움직이게 하는지에 대한 고민도 많이 했던 작업이었다. 매 달 한번씩 전체 크리틱이 있었고 매 크리틱이 기억에 많이 남는 작업 이었다. 매달 결과물을 만들었던 마감은 디벨롭이 아닌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느낌의 진행이었고 8명 의 의견을 모아야 하는 공동작업에서 가장 힘든 작업이었다. 댐을 두고 상반된 의견의 크리틱으로 매번 우리를 혼동 시켰고 크리틱 이후 다수의 의견을 모으는 작업은 더 좋은 안을 제시하는 작업보다 더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마지막의 결과물은 결국 모든 작업의 절충안이었다. 결과적으로 최종 크리틱에서 학 생답지 못하다는 소리를 들었다. 외부 크리틱을 받으며 발표자로서 해야 할 부가설명과 반박을 할 수 없 었고, 발표 후에 한 학기 동안 고생한 교수님과 반 동료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하나의 작품을 하 기 위해 들인 수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입하여 만든 결과물이 발표자로 인해 한순간에 휴지조각이 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배우게 된 학기로 실패로 인해 깨닫는 점이 많은 스튜디오였다. 모든 스튜디오가 그렇 다. 아쉬움이 없는 학기였다면 열심히 하지 않았다는 뜻일지도 모른다. STUDIO 5의 평화의 댐은 앞으로 두고두고 생각나는 작업이 될 것이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07

Comment from 3rd Grade Masterplanners 4개월이라는 시간을 정신 없이 달려왔다.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로 학기말에는 지쳐있었지만 우리가 얻 고자 했던 결과물을 눈으로 확인하고 촉각으로 느끼면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뿌듯함을 맛보았다. 그리 고 다시 7개월이 지났다.우리가 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매일 스스로에게 묻던 그 질문을 다시 허공에 던져본다. 그것은 멋진 결과물도, 경쟁에서의 승리도 아니었다. 우리의 의식과 정신, 그리고 땅과 시대에 대한 생각을 끝까지 밀어붙이는 과정에 대한 학습. 포기하지 않는 자세, 협업에 대한 이해가 무엇 보다 중요했다는 생각을 한다. 그만큼 서로 다른 9명의 팀원이 하나의 생각을 공유한다는 것은 쉬운 일 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다양한 관점을 하나로 합친다기 보다는, ‘한 곳에’ 모은다는 마음 가짐으로 임했던 것 같다. 생각의 교집합을 골라내 는 것이 아니라 융합하고 새로운 생각이 탄생하길 기대했었다. 그랬기 때문에 시간도 오래 걸렸고 작업 의 양도 많았지만 우리 9명 모두 서로를 배려하고 격려해가며 즐겁게 작업했다고 생각한다.우리는 비젼 과 방향성을 함께했다. 끝까지 탐구했고 포기하지 않았으며, 엄격하면서도 융통성 있는 프로세스를 만들 기 위해 애썼다. 이러한 원칙 (혹은 마스터 플랜)을 바탕으로 서로 배려하며 작업한 우리 팀원 모두(이충

1.

인, 오병욱, 김민정, 도운비, 나윤주, 이건희, 이후석, 조승은)와 한 학기 동안 열정적으로 가르쳐 주신 고 Studio 1. 박 성 민

영선, 정승권 교수님께 감사 드린다.

4. 2.

Studio 2. 김 태 윤

우리 스튜디오의 작업에 굉장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송규만 교수님과 김택빈 교수님께서는 옆

Studio 2. 박 근 이

에서 디테일하게 지도 해주시면서도 늘 스튜디오

설계 단체 과제를 하면서 어려운 점이 많았다. 각

의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풀어나가도

자의 몫을 나누는 것부터 시작해서 근본적인 건축

록 이끌어 주셨다. 그리고 교수님이 기대해주신 만

에 대한 토론까지.. 팀 프로젝트가 배우기 위한 프

큼 우리 스튜디오의 모든 학생들이 전시하는 당일

로젝트인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프로젝트인가라

까지 한명도 빠짐없이 주도적으로 멋진 전시를 위

큼 다양한 건축관, 상대방에 대한 배려, 책임감, 내

3.

가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들, 등 다양한 것들을 알

‘CLOUD 5 FAIR’는 시작부터 하나의 큰 아이디

보인다. 10명의 열정이 담겨있는 작품이었기에 그

고 이해할 수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에 MA로서 그

어라기보다는 작은 아이디어들이 차곡차곡 쌓여

어떤 작품보다도 뿌듯하고 자랑스러웠다. 설계를

리고 CLOUD OFFICE 담당 설계자로서 내가 할 수

만들어진 설계이다. 그러다보니 중간에 버려지는

모두가 같이하기는 처음이었기에 의견을 조율하는

있는 만큼 노력했지만 아쉬움이 남는다. 스튜디오

아이디어들도 종종 있었고 그것 때문에 설계가 바

것은 어려운 작업이었다. 하지만 디테일 하나에도

학생들과 두 분의 교수님께 제 역할을 다하지 못

뀌는 친구들도 있어 소소한 갈등이 있었다. 그렇지

열띤 토론을 할 만큼 열정도 대단했고, 처음부터

한 것 같아 죄송한 마음이 든다. 이 프로젝트를 발

만 서로서로 맞춰가면서 괜찮은 그림이 나왔을 때

끝까지 '우리의'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멋지게 완

판 삼아 책임감 있는 건축가가 되도록 노력할 것

다함께 기뻐하는 것이 팀플의 매력이라고 생각된

성해냈다. 교수님들의 전폭적인 신뢰와 지지에 감

이다.

다.

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는 생각까지 들 정도였다. 하지만 이렇게 힘든 만

Studio 2. 김 원 정

해 힘썼다. 지금도 전시 작업 중 찍은 사진을 보면 한 명 한 명의 얼굴에 피곤이 짙게 묻어있는 것이


60th Anniversary exhibition

5.

208

Studio 3. 정 해 랑

1차과제 이후 우수한 팀을 선정하여 스튜디오의 마스터플랜을 꾸려야했으나 담당 교수님들께서 뛰어난 팀이 없다고 판단하여 다시 아이디어를 계속 내야했다. 이런 과정에서 진행이 더뎌져 2차마감에서 좋지 않은 평을 받았다. 한명의 개인이 적극적으로 하려한다고 해도 모두의 의견을 하나의 결과물로 만드는 건 역시 어려웠다. 결과적으로 설계프로세스 상에서는 결정권자의 판단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 다.

6.

Studio 3. 권 현 수

공동작업에서 팀의 개개인 인원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MA의 설계에 대한 깊이가 그 팀의 결 과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런 상황은 한명의 MA로써 모두를 만족시킬만할 결과물을 만들 어야한다는 책임감에 짓눌리게 하였다. 하지만 공동작업이 다 끝난 지금, 학생들과의 논쟁을 통한 어려 움들이 최근 진행중인 인턴생활과 비교해 보아, 학생 때 경험할 수 있는 실무와 가장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는 경험이 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7.

Studio 3. 김 민 영

갑자기 큰 프로젝트를 해서 처음에 뭐부터 시작해야할지 몰랐다. 한 건물을 하는 것보다 외부에서 일어 날 동선들을 고려했어야 했다. 작은 규모일 때와는 접근방식이 달랐고 건물과 건물을 짜임새 있게 엮는 다는 게 제일 어려웠다. 내부에서 일어날 동선을 생각하기 전에 건물사이의 관계에서 사람이 어떻게 움 직일지에 대한 스토리가 가장 중요한 것 같다

8.

Studio 3. 이 권 희

단순히 한 건물의 외부, 내부를 생각하고 디자인 하는 것을 넘어서 건물들 사이의 유기적 관계와 배치에 관한 논리를 정립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었다. 하나의 마스터플랜이라는 인상을 주기 위해서 각자의 디 자인 언어를 통합시키려고 노력했으며 난관에 봉착할 때 마다 개념은 가져가되 설계를 수정해나가며 완 성시켜나갔다. 끝마무리에서 아쉬움이 남았지만 팀원들과 설계에 대해 서로 소통하며 진행하여 즐거웠 던 기억으로 남았다.

처음으로 반 전체가 참여하는 공동작품을 작업하는 것과 더불어 60주년, 통일이라는 주제를 함께 다루 는 것이 너무 어렵게 느껴졌다. 반 전체를 이끌어 나가야 한다는 부담감이 한 학기 내내 따라다녔던 것 같다. 또한 한 학기 내내 하나의 프로젝트를 하는 것도 처음이다보니 더욱 힘들게 느껴졌다. 그러나 한 학기가 끝나고 그 이후의 60주년 전시를 하고 나니 뿌듯함이 다른 프로젝트들보다 크게 느껴졌다. 오랜

9.

시간동안 고민하고 설계했던 것이 드디어 끝났다는 후련함과 동시에 아쉬움도 조금은 남았다. 다른 학기 Studio 4. 이 윤 선

들보다 한 달은 더 길게 갔던 학기였던 만큼 기억에도 많이 남고 생각나는 학기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0.

Studio 5. 강 민 구 & 정 창 원

209

이 프로젝트는 통일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건축에 담아내려는 아주 어려운 시도였다. 따라서 10명이 하 나의 프로젝트에 달라붙어도 모자라다고 할수 있을정도로 매우 힘든 작업이였다. 그러나 사람이 많아질 수록 이해관계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오히려 혼자나 둘이서하는게 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모두들 알다시피 공동작업을 좋아하는 사람은 아마 100명중에 5명은 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체력과 돈 등 여러가지를 낭비했다 생각할지라도 시간은 절대 낭비했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설계를 배우는 학생으로써는 이러한 과정도 당연히 거쳐가야 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설계에 대한 직접적인 부분 은 많이 배우지 못했을지라도 협업을 하면서 갖추어야 할 마인드와 작업방식에 대한 교훈을 많이 얻었 을거라 생각한다. 아쉬운 것은 이번 프로젝트가 3학년 1학기였다는 것이다. 3학년학생이 하기에는 조금 무리였던 주제와 규모가 아닌가 싶다. 2학년때 설계를 해본 것이 고작 자그마한 주택이었는데, 3학년에 겐 너무나 큰 땅에 마스터플랜을 하려다 보니 감이 안 잡히고 막막하였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하기 전에 기본적인 설계 지식부터 갖추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설계에 대한 기본 지식 도 없이 무턱대고 마스터플랜을 하게 된 우리는 결국 한학기 동안 이도 저도 아닌 결과를 만들어냈다.또 한 각 반들이 마스터플랜과 설계적인 내용보다는 이미지와 프레젠테이션, 그래픽 등으로 경쟁을 하는 쪽 으로 되어 버린게 아닌가 싶다. 이에 말린 우린 결국 설계도 잘 할 줄 모르는 상태에서 학기 막판에는 분 위기에 휩쓸려 무턱대고 서투른 실력으로 컴퓨터 툴을 다루어 볼려하다가 이도 저도아닌 상태에서 마감 을 하였다. 하지만 결과가 어찌되었든 우리는 한학기를 통해 많은 교훈을 얻었다.

이글을 적는 지금은 이 프로젝트가 끝난지 반년 이 넘은 시점이며, 그동안 다른 프로젝트를 두 개 를 더 진행하였고, 그때의 감정은 오롯이 기억나지 는 않는다. 복학 후 첫 번째 프로젝트라 열정은 넘 쳤으나, 방법은 잘 몰랐고, 뜻대로 되지 않음에 몸 보다 마음이 더 아픈적이 많았다. 한 학기라는 짧 은 기간이었지만 잠시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을 끊 은적도 있었으나, 선배이자 반을 대표하는 사람으 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남은 기간 내내 프로젝트 생각으로 하루하루를 지냈던 것 같다. 다 같은 생 각을 가지고 있겠지만 프로젝트의 진행의 어려움 은 공동작업이라 배가 되었다. 생각을 관철시키기 위해서 몇 시간이고 한자리에서 같은 반 친구들과 얘기를 했고, 비록 이해가 되진 않았지만 양보하 는 부분도 적지 않았던 것 같다. 그렇게 정신적, 물 리적 에너지를 모두 쏟아부어 발표를 하고나면, 그 날 만큼은 편안하게 잠을 청했던 것 같다. 프로젝 트를 힘들어했던 이유는 그 난이도나 접근 방식이 기존에 했던 것과는 많이 달랐고 마치 처음 건축 을 공부하는 학생처럼 하나 하나 다시 배웠기 때

12.

Studio 7. 이 용 선

문인 것 같다. 모든 사람이 똑같이 작업을 하진 않

광장이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비워진 공간이기 때문에 커지면 커질수록 건물이 들어설 공간은 줄어들어

았고, 팀플이다 보니 거기서 오는 불평등에 저뿐만

갔고, 다른 반에 비해서 땅에 빈 공간이 많아 진행이 더딘 것처럼 보이기도 해서 더 걱정이 되었다. 그렇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상처 받고 지쳤겠지만, 그

지만 서로를 믿고 맡은 부분에 있어서 최선을 다했던 반 학우들의 도움이 있었기에 훌륭한 결과물로서

끝이 보일 때쯤엔 모두들 열심히 하는 모습에, 프

마무리 할 수 있었다고 생각했다.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모두가 같은 방향을 바라보기 위한 타협점을 찾

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배운 학문적 지식보다, 협업

는데 소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만족하는 방향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모두가 서로를

을 하면서 배운 다양한 경험이 더 가치있게 느껴

믿고 밤을 설쳐가며 최선을 다했던 동생들에게 감사하고 싶다. 툴을 잘하는 사람이 별로 없어서 우리 스

졌다. 결과물도 많이 미흡하고, 시간이 지난 지금

튜디오의 손이 되어주었던 윤아, 진희, 덕이. 모델을 잘만들어 군대도 목공병을 갔지만 시설공병이 된 용

그때의 기억들은 추억으로 미화되어 이 글에 표현

기. 하루 하루 바뀌는 설계 때문에 쉴 틈 없던 종훈이, 아르바이트를 하며 마감까지 하면서도 굳건히 버

되었겠지만, 스스로에게 수고했다는 한마디와 함

티던 호준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나를 도와줬던 수훈이와 용범이. 언제나 화기애애하며 웃음꽃을 피울

께 마음한구석 남아 있는 감정은 ‘이 프로젝트를

수만은 없던 한 학기 였지만 한 학기 간의 고생은 우리 모두에게 커자란 자산이 되어 기억을 돌이켜볼

하길 잘했어‘ 라는 말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때마다 가슴이 먹먹해진다. 끝으로 갈팡질팡하며 갈곳을 잃고 허우적거리던 저를 때로는 호된 꾸짖음과

11.

유쾌하고도 명쾌한 대화로 이끌어주신 이정훈 교수님, 이장환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Studio 6. 신 세 열







ARCHITECTURAL DESIGN WORKS 4th Year 홍익대학교 60주년 주제인 “통일”로 2학기 설계스튜디오의 전체테마를 “통일이 후”로 한다. 통일한국 20년 후에는 남북한의 경제,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물리 적환경이 크게 변화될 것이다. 또한 사회주의 경제를 자본주의 경제로 전환하는 작 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주택 및 사회간접자본시설은 확대 될 것이다. 그러나 자본주 의 시장 경제가 발전하면서 다양한 사회문제 불평등과 빈부격차, 환경파괴 등 많은 문제점들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이번 4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는 통일이 후 통합과 소통을 통해 진정한 통일을 뒷받침하기 위한 건축적, 도시적 비전 제시를 목표로 삼고자 한다.

3rd Yea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nd Yea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st Year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4th Year

Responsive Linkage

216

매개변수 기반의 친환경 디자인 스튜디오 (Sustainable Parametric Design) 본 스튜디오 에서는 디자인 방법으로는 디지털을 이용한 과학적인 방법의 친환경 파라메트릭 디자인 스튜디오를 진행하고자 한다. 궁극적인 목표는 친환경 건축설계가 디자인 초기 단계에 서부터 병행되고 파라메트릭기술과 친환경 디자인을 접목하여 설계과정에서 보다 적극 적이며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친환경 설계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는 파라메트 릭 디자인을 이용한 알고리즘 프로세스 및 파라메트릭 모델링이 친환경 디자인에 접목 되고 보다 자유롭고 다양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학생들은 설계프로세스 상에 서 적절한 환경에 연관된 매개 변수를 이용하여 도시와 건축 환경의 파라메트릭 모델을 구축하고 비판적으로 테스트하는 방법을 습득할 것이다. 또한 외부 디자인과 데이터베 이스의 환경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기하학적 요소를 연결하는 방법과 다양한 디지털 설 계 및 분석 방법이 디자인에 적용될 것이다. 이를 위해 짧지만 한 학기 동안 친환경 설 계의 원리를 이해하고 라이노의 Grasshopper와 DIVA 와 같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도구 의 사용도 습득해야 한다.

This studio tries to progress sustainable parametric design studio, by using scientific method like digital tool. The ultimate objective is more active, effective, and scientific realization of sustainable design, through combination of parametric technology with sustainable design. The algorithm process with parametric design and parametric modeling will make designs unconstrained and diverse. Students will learn how to build and test parametric model of urban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using proper parameters related with environment in design process. In addition, means of connecting geometric factors with environmental parameter of database and external design, and a lot of digital tools and analysis will be applied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th Grade | Professor Kyunsun Lee & Yongjoo Lee to design. Students need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sustainable design and use 건축학과 4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이경선 이용주 computer simulation tools such as Grasshopper and DIVA.

3 4

1

150m

5

1. 중앙 로비 2. 도서관 3. 미디어 전시장 4. 전시장 5. 공업 교류원

2

1B PLAN

1.

건축학과 4학년 위 성 문 EDDY between city and park

용산은 서울 중심지에 위치해있어 남쪽으로는 주거지역, 북쪽으로는 남산, 동쪽의

SACLE 1 : 1000 50m

30m

10m

0m

고밀업무지역과 서쪽의 외국인특화지역이 각각 특성을 갖고 활발하게 기능하고 있 는 도시이다. 통일 후 북한사람이 당장 주거의 형태로 진입하기엔 한계가 있다. 하지만 교외에 자리를 잡고 직업을 통해 서울로 유입되는 경우 대중교통을 활용하여 도시생활을

6 5

하게될 북한사람들은 분명 있을 것이다. 이들은 통일 후 공동화가 일어난 업의 틈 EN

T

을 매워주고 기술을 배워갈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9

EN

T

2B PLAN

ENT

3 50m

2

8

30m

10m

0m

1. 홀 (도서관) 2. 홀 (갤러리) 3. 갤러리 4. 도서관 5. 미디어 홀 6. 미디어 전시관 7. 복층 객석 8. 리테일 9. 카페

황이다. 현재 유통, 서비스 중심의 용산 산업은 통일 후 생산, 공업 산업으로 변화 하게 될 것이다. 이 때 새로운 흐름을 이어갈 기술력은 북한에서 내려온 노동력을 통해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ENT

1

현재 이미 신뢰를 잃고 기반을 빼앗긴 용산 전자상가의 미래가 고민되고 있는 상

SACLE 1 : 1000

도시와 공원의 연결

7 4

용산은 통일 이후 북한사람들의 일터로서, 여러 외국인들의 업무단지로 기능할 것 이다. 이 때 고가차도를 따라서 형성되는 유동인구(산업, 유통 업무)는 이 정보센터 3B PLAN SACLE 1 : 1000 50m

30m

10m

0m

ENT

1. 중앙 홀 2. 카페 3. 리테일 4. 도서관 5. 수장고 (도서관) 6. 홀 (컨벤션) 7. 대형 무대 8. 중형 무대 9. 하역장

9

의 중요한 흐름이 될 것이다. 본 프로그램을 관통하는 흐름은 크게 공원과 연계된 흐름과, 프로그램 자체를 이 용하는 흐름으로 이분화될 수 있을 것이다. 지하도 계획이 공원 프로그램과 관련이 깊다면 대지 내 landscape에 관해선 두 흐

EN T

름을 이어주면서 동시에 분리해주는데 목적이 있고, 기본적인 비례와 규모는 마찬 가지로 주변 연면적 분석을 통해 기본값을 산출하게 된다.

2

1 EN

T

8

3

6

7

4

5

1. 1F Plan 2. 2F Plan 3. 3F Pla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17

건물 내부 환경 각각 배치된 프로그램은 각각 다른 환경에서 다른 요구조건을 갖는다. 프로그램은 메스의 위치에 따라 크게 전시관, 컨벤션, 도서관, 정보센터로 구 분할 수 있다. 요구조건들을 빛, 환기, 차음, 뷰의 큰 4개의 주재로 정리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그램에 중점이 되는 환경요소를 우선순위로 나열한다. 각 순위는 4. Site Plan

현재 단면상 개선을 하기 이전에 필요한 환경요소로서 프로그램 만의 영향에 의한 순위는 아니다. 전시관 : 차음 - 환기- 빛 - 뷰 컨벤션 : 환기 - 차음- 빛 - 뷰 도서관 : 환기 - 빛 - 차음 - 뷰 정보센터 : 뷰 - 빛 - 환기 - 차음 앞에 선정한 우선순위를 근거하여 지하에서 각 공간이 어떻게 필요 요소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여 단면을 구성한다.

배치도 100m

용적을 이용한 도시와의 연결로 계획 대지에서 서쪽 고가철교를 넘어엔 소형주택과 고층 주상복합건물이 위치하고 있다. 고가철교를 넘어 용산공원과 용산 50m 0m 주거지역을 이어주는 필요가 절실한 상황에서 캠프킴부지는 유일하게 용산공원

과 고가철교를 이어주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만 하다. 또한, 주변에 고층 상 업, 주상복합 건물들이 들어서있고 앞으로도 고층, 고밀의 도시로 발전할 가능성을 가지고있다. 따라서 도 시와 공원의 가운데 놓인 해당부지의 역할 중 하나는 주변 도시의 열기를 식혀주고 주민, 주변 사용자들의 길을 만들어 주는 일이 될 것이다. 이에 서쪽의 고가철도 넘어의 주거지역과 캠프킴부지, 용산공원을 이어주는 지하공간을 계획하게 된다.

5. Render Image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4th Year

2.

218

건축학과 4학년 송 유 현 LINK HOLE

남산대림아파트가 위치했던 사이트에 온 가족이 또는 남한과 북한주민들이 쉽게 접근가능하고 함께 즐길 수 있는 스포츠 센터를 설계하고자 한다. 경리단길과 해방촌에 나아 있는 기존의 길을 그대로 연결한 선 4개와, 사이트 내에 내가 따로 주고 싶은 동선으로 대각선 의 선 2개를 생성한다. 그 다음 기존에 있던 도로의 넓이, 차가 다닐 수 있는 주 도로와, 사람이 주로 다니는 도로, 다른 지 역으로의 접근성에 따라서 각각의 선에 가중치를 다루게 주었고, 그 가중치에 따라서 선을 분할해 점으로 표현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점들을 연결하는 또 다른 동선의 가능성이 있는 선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 선들의 시작점에서 사람들이 진입하기 시작을 하는 것처럼, 선들을 조정한다. 그리고 각각의 선들이 점들이 많은 쪽으로 이동하도록 했다. 이것은 사람 들의 이동이 최단거리만을 가지 않고, 어떠한 포인트를 향해 가고 싶어하거나, 예외적인 동선을 알아낼 수 있었다. 가장 많은 선들(동선)이 모여있는 포인트들을 광장의 될 가능성이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고, 조금 더 광장의 가능성이 있는 포인트들로 선들이 붙을 수 있도록 조정함으로써, 전체 운동공간의 중심점이 될 수 있는 광장이나, 센터의 장소로의 가능 성을 높였다. 선들이 지나가지 않는 빈 부분들은, 사람들이 자연스러운 동선으로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장소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소에 스포츠를 하는 프로그램들을 넣음으로써 자연스러운 동선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오히려 더욱 연결을 원활 하게 하는 역할을 하도록 했다. 경리단길과 해방촌으로의 연결, 그리고 남산과 용산공원의 연결을 통해 나타난 동선의 기 본 모형에서는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동선들이 나타난다. 이런 새로운 동선들은 기존에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중심점들 을 찾아내고,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일 수 있는 광장의 위치를 잡을 수 있었다. 또한 광장의 주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있는 가장 작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구멍들을 각각의 판들을 이어주는 수직동선인 코어가 될 것이다. 북쪽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지형으로 인해 2D로 표현되었던 동선체계를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봐야 할 필요성이 생 겼다. 따라서 각각의 대지에 닿아있는 동선체계에서 각각의 동선에 위계를 부여하였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높이의 판들 에서 사람들이 주로 이용할 동선을 선택했다. 대지면에서 스포츠센터로 바로 진입 할 수 있는 부분들을 진입광장으로 두었 고, 경리단길과 해방촌을 이어주는 큰 수평의 VOID한 공간을 만들었다. 또한 판으로만 형성되어있던 공간들에 가장 큰 위 계를 줄 MASS의 공간을 찾았다.

GRASSHOPER

Link

1. Diagram

2. Section

Point

Flow

Complicated Flow

Contact

Circulation

Void

Spac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 Render Image

4. Process Diagram

219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4th Year

220

이 건물은 기존 골목의 출입구로 진입할 수있고 그 외부 공간에 도심농장을 두어 노인과 어린이가 어울릴 수있는 프로그램을 생각 한다. 농사를 짓기 위해 땅을 일구어 내듯이 필지를 디자인 하게 된 것다. 재배식물에 대한 적정럭스를 분석하여 양지 식물과 음지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또한 식물의 세포 단면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건물 의 각 입면이 숨쉬고 우수를 머금어 재활용 할 수 있는 형태로 제안해 보았다. 표면에 드러나 있는 구조물이 외부 공기와 만날시 전류를 흘리고 방전 에 의한 이온화 방식을 이용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내부환경에 맑은 공기를 제공하게 되는 형태와 그 공기 청정 구조물 사이에 상부에 우수를 담는 장 치를 두어 건물 입면에 저장되었다가 더운 여름에 는 아래의 스프링쿨러로 배출되어 콜링효과도 얻 고 농수로도 이용되도록 계획했다.

1. Render Image 2. Render Image 3. Sectio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21

3.

건축학과 4학년 김 병 훈 CITY WEAVE PROJECT

해방촌이라는 공간에 통일 후 후손들의 엮임, 용산공원과 남산 그리고 계획된 그린웨이의 자연과 빽빽히 들어서있는 인공물의 엮임등 두 문화, 요소들의 엮임이 이 경계에서 일어나야 한다고 생 각했다. 다양한 층이 어울릴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도심농장과 커뮤니티 센터를 제안했고, 엮임에 연장선에서 fiber조직을 분석하게 되었다. 무엇이 그들을 더 강하게 붙드는 가에 대한 분석으로 실크,면, 종이, 선인장, 목재 순으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는 방향성과 관련있다. 즉, 방향성을 잃을수록 강해지지만 그 불규칙성 속에서 규칙이 있다.

빽빽히 들어선 주택사이의 courtyard는 일정의 방향성을 띄는 경사를 지닌다. 후에 기존 골목들 의 입구로 사람들이 지나가는 시뮬레이션을 해보 았다. 두점의 가장 짧은 거리는 일직선이지만 기 존의 경사로인해 일방향이 아니다. 따라서 가상의 그리드를 두고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길에 인장력 이 점점 강해진다는 생각으로 그리드를 깨기 시작 했다. 커브의 곡률이 심한지역이 사람이 많이 다 닌는 곳이고 성글성글한 곳이 머물거나 지나지 않 4. Grasshopper Logic

는 곳이 된다. 그래서 그 불규칙성이 생긴곳에 평 지와 경사를 따로 주고 평지는 사람들이 어울릴 수 있는 외부공간을 경사진 곳에는 좀더 용이하게 지날 수있는 매스를 둔다. 여기서 매스의 형태를 Erwin Hauer의 패턴의 엮임 형태에 영감을 얻고 적용 시켜 보았다.

5. Model Picture


Architectural Design

4.

Architecture 4th Year

222

건축학과 4학년 송 지 현 FOREST MUSEUM

Haebangchon Forest Museum은 void 공간과 녹지가 부족한 해방촌에 숨구멍을 제공하면서 용산공원과 남 산공원이 이어지는 greenway를 연결해주며 예술 마을로 발전 중인 해방촌의 부족한 공방 장소를 제공해준 다. 일반적으로 기둥은 구조적인 기능만 하는데 Forest Museum의 기둥은 나무가 에너지를 끌어들이고 물을 순환시키면서 숲에 자생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모방하여 미술관에 지속가능성을 제공한다.

1. Axonometric 2. Main Render Imag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23

3. Exploded Axonometric / 4. Model Picture

5. Site Plan Process Diagram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4th Year

gate : sustainable desig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th Grade | Professor Jongwook Park & Soeun Cho 건축학과 4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박종욱 조소은

1.

건축학과 4학년 한 찬 희 LOUNGE IN VILLAGE

서로가 자연스럽게 부대끼며 공감할 수 있는 요소 를 공유하는 것이 선행되기 위한 건축적 대안으로 통 일 직후시기 접경지역에서의 구 남북 주민을 위한 체 육시설을 계획했다. 기존의 체육시설이 일행과 즐기는 체육공간 위주라면, 새로운 사람들이 모이고 만날 수 있는 해프닝의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라운지라는 커뮤니티공간의 개념을 접목한 체육시설을 스포츠라 운지라고 새롭게 제시하고 라운지개념을 확장했다.

224

본 스튜디오에서는 통일 이후 남북한이 그 동안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의 5개 분야에서 그 다름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건축적 프로그램들을 추출하여 진정한 통일로 가는 GATE 적인 건축물의 설계를 통해 건축가들이 통일에 이바지하는 계기를 삼고자하 며 디자인 방법으로는 각종 기후 및 환경 데이타 자료를 통한 친환경 디자인 스튜디오 를 진행하고자 한다. 궁극적인 목표는 친환경 건축설계가 디자인 초기 단계에서부터 프 로그래밍과 병행되어 설계과정에서 보다 적극적이며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친 환경 설계를 구현하고자 한다. 학생들은 설계프로세스 상에서 적절한 환경에 연관된 데 이타 및 이를 다이아그램화 시켜 도시와 건축 환경의 환경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기하 학적 요소를 연결하는 방법과 다양한 설계 및 분석 방법이 디자인에 적용될 것이다. This studio extracts architectural programs understanding the politic,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differenc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fter unification to serve as a momentum of how architects support the unification, by designing structures which can be the gate through the method of using climate and environmental data. The ultimate objective is more active, effective, and scientific realization of sustainable design, through combination of programming with sustainable design. In design process, students need to do diagramming of proper data related with environment, and means of connecting geometric factors by using parameter of architectural and urban environment, and a lot of analysis will be applied to design.

Courtyard Roofgarden

1. Light&Ventilation Diagram 2. Model Pictur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 Model Picture

225

Wind Road

4. Sustainability Diagram

Wind Road Light Reflection

공간 위계를 인버트해서 오히려 코트를 찢고 주민들의 공간을 집중시켜 여러 코트들이 커뮤니티 공간을 공유하도 록 구성한다. 결과적으로 라운지들은 모여 하나의 마을을 이루며, 이러한 구성을 수직적으로 뒤틀어 각각의 코트와 라운지간의 뷰와 진입관계를 만든다. 구조월은 공간 자체가 동선의 기능을 겸하면서도 활용모듈공간에 대한 더블 Double Skin Facade했다. 스킨 파사드로서 작용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이점을 가져가고자 이런 내용들을 바탕으로 해서 지상층의 평면은 야외 경기장의 크기와 사이트 네 방향에서의 진입을 고려하여 배치 하였고, 떠있는 매스들은 아래 야외경기장들과의 높이적인 면과 시선 그리고 매스들간의 동선과 기준이 되는 라운 지모듈들의 위치 설정을 통한 진입을 고려해서 배치했다. 파사드는 남향에 면한 구조월 자체를 헥사그리드의 구조 모듈로 기능하게 하고 그 내부에 원형 창을 내서 그 자체가 파사드를 이루게 했는데, 이 창들의 크기는 그 월 안쪽 의 프로그램의 기능과 퍼블릭한 정도에 따른 밀도를 판단해서, 이에 따라 시선과 채광량을 조절하고자 디자인 했다.

Light Reflection

Double Skin Facade

5. Flexibility Diagram

Module Flexibility

Filtered Solar and Natural Ventilation

Wall Flexibility

Filtered Solar and Natural Ventilation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4th Year

2.

226

건축학과 4학년 전 범 준 Untitled

남북 경제협력의 기념비적인 장소인 개성공단은 2050년 통일 후에는 그동안 가지고 있던 북한의 1,2, 차 산업의 중심역할이 다른지역으로 옮겨가게 될 것이고, 그로인해 더 이상 1,2차 산업의 역할을 하지 못할것이라고 예상된다. 이에 개성공단은 3차 산업을 홍보하고 북한주민에게 남한의 자유경제, 시장경제 를 배워 그들이 앞으로 창업을 하거나 기타 경제활동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종합경제연구소가 될 것이 다. 개성공단 1차시범단지중 구 개성공단홍보를 위한 가설건물자리에 모의투자시설, 창업홍보관, 세미나실, 커뮤니티공간, 경매장, 그리고 개성공단이 가지고 있던 경제협력의 메모리얼적 특성을 말해주는 박물관 을 계획한다. 3차산업을 홍보하기 위한 건물의 내부공간은 정적이고 프로그램이 명확한 공간이어야 하 는가에서 시작한 공간의 컨셉은 POP-UP SPACE 즉 커다란 아트리움내에 공간이 생겼다가 없어지기도 하고 그 크기가 확장, 축소 되는 가변적인 공간을 생각했다. 2층 로비 또한 5개의 코어가 지지하는 대공 간 내에서 자유롭게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였다.

2. Section volume of space

5x5 grid

user flows

zero flows zone

solar control device (open&closed)

SECTION

Scale 1/10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27

1. Render Image

TRIAL-INVEST

consult

CONSULTANT

2,500M2(19.2%)

CONFERENCE &RESEARCH

450M2(3.4%)

MUSEUM

900M2(6.9%)

LOBBY

500M2(3.8%)

REST

600M2(4.6%)

CORE

600M2(4.5%) 1,600M2(12.3%)

FLEA-MARKET

BID

1,100M2(8.4%)

3,000M2

PARKING

PR. SPACE

430M2(3.3%)

3. Zoning Diagram

Binary cycle Geothermal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4th Year

cultural space plan for overcome dichotomy in United Korea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th Grade | Professor Beomsub Uhm & Steven Chang 건축학과 4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엄범섭 스티븐장

228

북한의 경제적 어려움에 의한 정권 몰락으로 점진적 평화 흡수통일 됨을 가정한다. 남한의 경제력으로는 통독과 같은 즉각적인 통합 통일이 어렵기 때문에 남한의 경제 력과 북한의 지하자원, 값싼 노동력을 활용한 장기적 흡수통일이 이루어진다. 정치, 경제, 사회 분야의 제도적 통합과 더불어 내적 통일을 위한 문화적 심리적 통일이 수 반되어져야 한다.본 스튜디오는 남북 간 문화(예술)가치의 차이를 어떠한 관점으로 바 라보고 이해하여야 하는 지를 조사 연구하고, 학생각자가 해석한 차이에 대한 관점 을 어떤 방법으로 건축공간에 반영시켜 차이에 대한 극복이 가능할지를 복합문화 (예술) 공간계획을 통해 실험하고자 한다.한국과 북한의 통일후 우리는 같은 민족이지 만 다른 사상을 가지고 있는 민족이다. 우리는 건축에서 DICHOTOMY, 이분법이란 주 제를 토론한다. 두 사상의 예술가들이(ex. 남측-김환기, 북측-이건) 한곳에서 모여 토 론하고, 전시하고 어떻게 시대를 반영하여 갈지와 세계속의 예술에서 이제 우린 어떻 게 독특한 우리 예술을 발전시킬지를 고민한다. Assume gradual peaceful absorbing unification due to government collapse caused by economic difficulties in North Korea. The economic power in South Korea makes it hard to prompt absorbing unification like East Germany, so that long-term absorbing unification with using economic power in South Korea and underground resources and labor in North Korea is made.Not only the institutional combination in politic, economic, and social parts, but also cultural and psychological unification needs to attend for internal unification. This studio tries to do an experiment through public art and culture space plan by studying how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about cultural valu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how to apply it to architectural space for overcoming difference. After unificatio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s same ethnicity, but different thought. They discuss about dichotomy in architecture. Artists with different thought gather, discuss, and display, and think about how to reflect ages, and how to develop their unique and special arts.

1. Main Render Image

1.

건축학과 4학년 강 성 환 CULTURAL GLUE

문화적 통일은 정치, 경제 분야의 통일 못지않게 중요하다. 통일 후 20년, 서서히 남과 북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지고 남북한 사람들은 서로 교류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60여 년 간 의 분단의 역사를 겪어오면서 우리는 너무도 달라져있다. 정치, 경제분야의 기능적인 통일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만큼 이제는 사회 문화 분야의 감정적인 통일이 이루어져야 할 때이다. 프로젝트의 주제는 DICHOTOMY 즉, 이분법으로서 분단 이전에 함께했지만 분단 이후 60여 년 간 서로 다른 길을 걸어 온 요소를 조사하고 이것을 이분법의 개념으로 정의해 컨셉을 도 출한 후 통일 이후 두 요소가 어떻게 다시 만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여 건축으로 발전시 키는 과정이다. 최근까지의 북한에서 발표되는 논설문을 분석하면 우리에게 보여지는 것과 는 달리 북한에서도 반동예술의 존재를 짐작할 수 있다. 예술가들은 자신의 이념에 맞는 환 경을 찾아간다. 때문에 이러한 반동예술의 존재는 통일 이후 남한으로 내려와 문화적 통일의 구심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창작의 자유를 찾아 내려온 이들을 위 한 인프라가 부족하다. 또한 문화적 통일의 구심점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미술관보 다 좀 더 직접적인 소통의 공간이 필요하다.

3. Elevatio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29

2. Concept Model Picture

이 모델이 안으로 들어가 보이는가 밖으로 돌출되

한 쪽이 들어가면 그것과 똑같은 모양으로 반대쪽

같은 형태의 큐브들을 한 쪽 면에는 양각으로, 다

어 보이는가? 같은 그림이지만 보는 이에 생각에

이 돌출되는 이 모형에서 어떠한 모형을 표현한다

른 쪽 면에는 음각으로 표현한 두 요소가 합쳐진

따라 다르게 보이는 이 그림은 어느 한 쪽이 옳다

면 그 모형은 음각적 표현인가, 양각적 표현인가?

모양에서 솔리드한 큐브들이 보이는가, 보이드의

고 할 수 없다

공간들이 보이는가?

서로 이해해야 한다. 이해하려면 대화 해야한다. 대화하려면 공통의 관심사가 필요하다. 공통의 관 심사를 공유하고, 이에 대해 대화하고 서로 이해하 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것이 문화적 통일의 시발 점이다. 남북한 작가들을 위한 레지던스 작업 공 간, 그리고 대중과 작가와의 소통을 유도할 수 있 는 전시공간을 통해 남북한 문화의 접착제(Cultural Glue)로서 작용하는 미술관을 계획한다.

4.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4th Year

NEW CITIES: Towards One United Na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th Grade | Professor Seohong Min & Heon Yang 건축학과 4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민서홍 양헌

230

1970년대부터 가속화된 경제개발 계획은 서울의 극심한 인구집중 현상을 불러 일으켰 다. 막대한 인적자원과 재원을 바탕으로 신 자유주의 물결 속에 20세기 후반과 21세기 까지 진행된 서울의 초고속 양적 성장은 이제 균형을 잃고 양적으로 그 포화점에 이르 러 극단적인 사회 양극화와 세대간의 갈등, 청년실업, 가계부채, 전/월세 난과 같은 다양 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더욱이 최근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는 한반도 통일이 현실화되어 북한주민들이 남한으로 유입된다면 이러한 인구집중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 어 현재 서울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은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 에 통일 대한민국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균형 있는 수도권 개 발정책과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마스터플랜이 반드시 필요하다. The Capital of United country: The City for Sustainable growthEconomic development plan accelerated from 1970s caused intens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Seoul. Rapid growth of Seoul, based on huge human capital and finances with neoliberalism, and progressed from late 20th century to 21st century, lost its balance, reached the saturation point, and caused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extreme social polarization, generational conflict, youth employment, household debt, and lack of house. Moreover, if people in North Korea come to South Korea after unification which is mentioned cautiously nowadays, this population concentration will be more accelerated, so that problems Seoul will conflict can cause serious crisis. Therefore, for sustainable growth of United Korea, balanced development policy in capital area and master plan to achieve it are inevitable.

1.

건축학과 4학년 박 정 호 KTX COMPLEX TRANSFER CENTER

통일 후 남북을 잇는 철도의 회복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한반도 종단철도 TKR의 형성이 이루어지고, 모든 철도의 고속철도화와 더불어 주요 거점도시를 배경으로 한 KTX역사의 개발이 이루어 질것이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한반도 종단철도 TKR은 고속철도화됨에 더불어 기존의 주요거점도시를 배경으로 한 KTX역사의 개발이 이루어질것이다. 1990년대 이후 팽창하는 경제구모와 인구규모를 반 영하면서 새로운 철도 교통수단을 수용하는 역사의 현대화 요구가 증대되었다. 그러나 철도청의 재원부족 으로 대규모 역사 신설에는 한계가 있었고, 민간투자 유치를 바탕으로 철도 이용객들을 수용할 수 있는 역 사 건축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러한 민자역사는 기본 적으로 역무기능과 상업기능이 복합되어있는 복합개 발공간으로 현재 18개소가 있으며 늘어나는 추세이 다. 기존의 복합민자역사의 경우 역무시설의 비율이 현 저하게 낮게 나타나 역을 이용하러 오는 승객들에게 있어서 불편함을 초래했다. 통일 후 KTX역사로 탈바 꿈하게 될 의정부민자역사는 주변의 경전철, 시외버 스, 대중교통을 아우르는 종합환승센터로의 계획을 추 진한다. 교통혼잡을 완화시키며 지역사회의 공공성 증 1. Prediction Map

진부분에도 기여할 수 있는 복합환승센터는 의정부시

2. Model Picture

의 경제발전에 있어 큰 역할을 한다.

3. Diagram

철도를 경계로하여 교통 인프라의 성격이 두 종류로 나뉜다. 경전철과의 연계가 되는 북쪽, 그리고 시외버 스터미널과 연계가 되는 남쪽이 그러하다. KTX역사는 물리적 여건상 선로의 위에 필로티 형식으로 수직적 인 동선을 가지게 되며, 사이트를 경계로한 양쪽의 경 전철, 버스터미널과 연계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볼륨 을 계획한다. 그리고 승객위주의 동선 상하로 상업시 설, 렌트카시설, 모유수유실, 역무시설과 같은 프로그 램이 연계되도록 한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31

철도로 인해 양분화되는 두 지역을 연결시켜주기 위해 철도를 경계로한 남북을 잇는 공중 브릿지를 계획 한다. 브릿지를 경계로하여 하부에는 교통인프라시설 및 역무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교통환승체계 프로 그램을 계획한다. 브릿지를 경계로하여 상부는 서비스시설 및 상업시설을 계획하여 브릿지를 경계로 상 4. Interior Render Image 5. Diagram 6. Exterior Render Image

부와 하부의 프로그램이 성격적으로 구분되도록 계획하였다.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4th Year

New Housing Plan for Social Integration in United Korea

통일 후 한국의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예측이 공존하고 있지만, 통일 한국의 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던 간에, 풀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이 생겨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통일은 초기에 남쪽 사람들에겐 경제적 희생을, 북쪽 사람들에 겐 차별을 감내해야 하는 정신적 희생을 요구한다. 통일시대에는 미래에 대한 비전 을 공유하고 함께 인내하고 결집해야 한다.이질화된 사회의 통합을 위해 주거계획 프 로그램에 의한 사회의 통합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이번 프로젝트는 통일한국의 사 회통합을 위한 집합주거계획으로 한다.

Although positive and negative forecast about the situation after unification in Korea coexists, it’s obvious that a lot of problem arises, no matter how the situation goes in United Korea. At the early stage, unification demands economical sacrifice to people in South Korea, and psychological sacrifice about enduring discrimination to people in North Korea.After unification, the vision about future must be shared, and people should be gathered and endure together. To overcome social heterogeneity, this project is collective housing plan for social integration in United Korea, targeting social integration by housing plan progra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th Grade | Professor Seonghan Kim & Jonghwan Ahn 건축학과 4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김성한 안종환

통일 후 남북한의 가장 큰 문제는 남북의 경제적 차 이에 기인한 문화적 차이이며 통일 후에는 개발이 아 닌 특히 서울은 난개발로 인해 망가져 있는 도시의 재 생이 화두일 것이다. 이러한 차이를 효과적으로 극복 하기 위해 공동주거의 주타겟을 남북의 예술가로 두

1.

건축학과 4학년 이 영 동 ARTIST HOUSING

어 문화적 교류를 활성화하고 외부인들의 유입을 자 유롭게 해 더 많은 남북한의 사람들에게 서로의 문화 를 체험하게 해준다. 이로인해 기존 공동주거가 도시 내에서 폐쇄적인 성격을 띄던 문제를 극복하고 예술 가라는 작업적 공통점으로 인해 커뮤니티 형성이 용 이할것이다.

4. Plan Type C

232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33

1. Render Image

2. Diagram

각 입지가 갖는 특성에 적합한 프로그램들을 단지 내부로 끌어들여 섞이게 하고 개발단위의 cluster를 나누어 단지내부를 보행자 중심도로로 사용하고 주차는 밖으로 면한 도로에서 진입하게 한다. 단지내에 조경을 다양한 외부공간을 이어주는 요소로 사용한다.

3. Section

입지에 맞게 저층부에 프로그램들이 배치되고 각기 다른 type의 주동 들은 건물의 높이가 달라 단지의 skyline을 형성한다. cluster위주로 외 부공간을 가지며 각각 type의 건물들이 서로 다른 외부공간을 가지고 이것들이 겹쳐지면서 다양한 외부공간이 형성된다.

5. Site Diagram


Architectural Design

2.

Architecture 4th Year

234

건축학과 4학년 문 경 호 ABOVE MEMORY

현재 개성공단은 주로 섬유나 의복, 신발과 같이 노동 집약적 성격을 보이는 1차 제조 산업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당국에서는 남북 관계가 더 개선되 면 점차 IT산업과 같은 첨단 산업으로 옮겨갈 계획 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 이는 통일 전후 공장의

2Generation

1Person

양태가 한번쯤은 변화할 것을 예고하는 것이라 해 도 무방하다. 그러니 그 시점에 낙후되어있을 현재 의 공단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1Generation

1Person Worker

생각해볼 필요성이 있다.

Worker > Resident Worker

1단계 공단 공동화

Resident

NS-Worker

N-Worker

S-Worker

1단계 1단계, 2단계, 개성시가지 개발

2단계, 3단계, 확장구역, 개성 신 시가지 개발

현 공단의 이전과 함께 개성공단의 역사적, 문화적 측면을 보존하는 쪽에 초점을 맞춰 ‘개성공단의 보 존’에 대해 이야기하려 한다. 남북관계가 호전되어 통일의 조짐이 보이면 정부주관 하에 점진적으로 1, 2, 3단계 지역과 확장구역, 개성시가지를 포함한 총 2천만평의 대지가 개발될것이다. 경제적 실효성을 중시하는 남한의, 혹은 해외의 기업들이 더 많이 진출할것이고, 그에 따라 북한측 공단 근로자와 교류를 원하는 남측 인원도 늘어나 공단 주변에 주거단지를 조성하고 시가지를 발전시키는 쪽으로 개발이 이루 어질것이다. 이는 무엇보다, 통일 이후 북한의 주민들이 자립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는 계기가 될 것이 다. 이 과정에서, 개성공단 조성 초기부터 당대까지 명맥을 이어오되 노후화된 1단계 공단지역이 공동화 1. Prediction Diagram 2. Exterior Render Image

되고 빈 공장이 생겨날것이기에 이 지역을 주택단지로 리노베이션하고자 한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CORE 31.92m2

HOUSING 52.92m2 1 BED SINGLEor COUPLE

HOUSING 75.06m2 1 BED or 2BED SINGLEor COUPLE

HOUSING 98.1m2 1 BED, 2BED or 3BED COUPLE or FAMILIES

235

3. Interior Render Image

HOUSING 98.1m2 1 BED, 2BED or 3BED FAMILIES

4. Unit Plan & Elevation

5. Concept Diagram

6. Section

공업단지

주거 공업 지역

주거 지역

UNIT PLAN (SCALE 1:200)

PULL DOWN

PULL DOWN

HOUSING HOUSING

HOUSING HOUSING

MAKE SUNKEN

HOUSING HOUSING

HOUSING HOUSING

MAKE SUNKEN

INSERT PROGRAM

INSERT PROGRAM

COMMUNITY HALL

COMMUNITY HALL

HOUSING HOUSING

HOUSING HOUSING

UNIT ELEVATION - B (SCALE 1:200)

EXPAND

COMMERCIAL

WATER SPACE

FARM


Architectural Design

HAN RIVER : Connect and Place

Architecture 3rd Year

첫 번째 프로젝트는 한강에서 일어나는 행위를 관찰하고 이를 위한 최소한의 장소와 시설을 제안 하는 것이다. 특히 도시, 토목 및 건축 시설의 경계를 연결하는 곳을 주 대상으로 하며, 다시 제안 된 장소로부터 만남이 이루어지도록 조형적으로 주소를 부여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이는 새로운 건축 유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건축 유형은 내외부가 구별되는 건축이기 보단, 장소를 정의하고 사람들의 유사한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기능을 발생시키는 관점에서의 건축이 될 것이 다. The first project is to analyze user behavior in Han River and to suggest a place and facility for this purpose of action. It’s mainly on the place that connects the boundaries of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al facilities. Students are given to explore ways to give formal place a new address formatively as a meeting spot. It is to suggest a new type of architecture. However, this type of architecture is suggested by defining the place and generating functions that it leads people into similar behaviors, rather than distinguished by inside and outsid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rd Grade 건축학과 3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민현준 신윤정 고영선 정승권 장용순 김택빈 민형승 우동우 우형호 차광호 이정훈 이장환

1.

Studio 1 정 해 랑 선유도 선착장 - 3개의 그릇

원래 선유도 선착장은 이용객이 없어 폐쇄되었는데 이를 새롭게 디자인하여 선 유도 방문객들과 양화대교를 지나는 사람들이 찾아오게 만들려고 한다. 3개의 큰 레이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각각 하늘과 사람 그리고 한강을 담는 그릇 의 역할을 하게 된다. 움푹파인 공간은 사람들이 모여들게 만들고 머무르거나 흐 르게 하는 성격을 가지며 자연스럽게 시야는 반대편에 있는 사람과 하늘에 닿게 된다. 램프를 따라 흘러가면 한강물이 흐르는 소리를 듣고 내려가 중간에 한강 위를 걷는 체험을 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선착장에 다다라 자연스럽게 유람선 이 용을 유도한다.

1. Model Picture

2. Model Picture

236

3. Render Imag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37

1. Model Picture

2.

Studio 1 송 혜 수 come on, Pavilion

한강은, 서울에서 유일하게 물을 접할 수 있는 곳

수평 연속적으로 흐르고 있는 한강산책로에서 사

이다. 또한, 가장 밀집되고 발달된 도시의 사이를

람들은 대게 그 흐름을 따라 이동하고 있다. 반포

가로질러서 답답한 도시 속의 숨구멍 같은 곳이기

대교 밑을 들어가기전, 보이는 대지에 강력한 수

도 하다. 하여, 많은 사람들이 탁 트인 경치를 바라

직적인 흐름으로 동선을 바꿔 주면서 방향을 틀어

보며 산책을 하고자 많이 찾고 있는 곳으로 여가

서, 한강을 정면으로 바라보며 잠시 멈추어 쉴 수

시간의 활동지에서 빠지지 않는 곳으로서의 역할

있게 해주고, 다양한 시공간적 경험이 함께 일어날

을 하고 있다.

수 있는 재미있는 파빌리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파빌리온은 한강산책로의 주소로써도 기 능하게 된다.

2. Model Picture


Architectural Design

3.

Architecture 3rd Year

238

Studio 2 강 민 구 Weaving Water

서울은 급격한 성장과 발달을 감당해야 했다. 그러는 동안 한강은 자연의 모습에서 인공적인 구조물들의 향연으로 변모하여 갔다. 이렇게 새로 조성된 강변의 경직된 분위기는 한때 한강과 시민이 함께 공유했 던 역사를 무의식적으로 단절시킨다. 한강변에 시민들이 공유했던 역사를 현대적으로 되돌려주고 그에 대한 활동이 많아지면 비로소 한강변이 단순한 경계지점이나 교차지점이 아닌 참여와 활동의 장소로 제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강변을 복구해 다시 한번 한강과 함께 도시의 변화되는 라이프스타일 을 공유하게 될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과거의 한강에서 일어났던 활동 중 ‘물’을 중요한 요소로 생 각하고, 과거로부터 변하지 않은 한강 ‘물’을 한강변 제방에 삽입하려 한다. 한강변 제방의 단면의 높 이차를 이용하여 새롭게 꼬여진 랜드스케이프를 제안하고 강변 위에 무분별하게 올라가있는 시설을 삽 입한 뒤, 한강물을 유입해서 과거의 한강변을 시민들에게 돌려주고 여유를 만끽할 수 있는 곳이 되길 기 대한다.

3. Process Sketch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39

1. Concept Artwork 2. Concept Artwork

4. Concept Sketch

5. Section Model Picture 6. Section Model Picture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3rd Year

240

1. Render Image 3. Render Image

2. Render Imag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41

한강 자전거 길은 매우 잘 연결 되어있다. 그러나 한강을 둘러싼 도시와의 연결성은 미흡하다고 분석하

4.

Studio 3 박 성 민 Linkscape : intercity

였다. 따라서 자연(한강)과 도시(서울)의 접점을 찾아 link 시키겠다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목적이다. 연결 point는 한강변에 인접한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 역을 중심으로 연결의 당위성을 확보하였고, 그 중 지 하철역, 보행자 및 차량 나들목 주차장 등 기본적인 인프라가 잘 구축된 당산역을 center로 하는 샤워 인 프라를 구축하고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도시 교통 시스템과 한강 자전거 길의 연결점을 찾으려 하였다.

4. Site Plan


Architectural Design

1. Model Picture

Architecture 3rd Year

242

2. Model Picture

3. Model Picture

5.

Studio 3 오 병 욱 중간 : 휴식

2000년대 전·후로 수 많은 사람들이 한강을 찾

고자 한다. 장애인과 자전거, 일반인이 위·아래로

아 오고 있다. 사람들은 한강에 놀러나와 경치를

편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이들 동선이 평면상 겹치

즐기고 산책하며, 자전거 타기, 간단한 운동, 피크

지 않는 동시에 같은 평면 위에 위치하고, 많은 사

닉 등을 하며 시간을 보낸다. 그 중 양화대교 남

람들이 그 위에서 머무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종

단 부근은 여의도와 한강 전역이 보이는 명소인

이 가운데 자르기를 모티브로 하여 발전시켜, 이러

동시에 당산동과 선유도·합정을 이어주는 길목

한 형태가 가진 특성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자

이며 교통편이 좋아 수 많은 자전거 여행객·산

전거 동선과 사람 동선을 분리시켜 장애인·일반

책객·연인들이 찾는 곳이다. 하지만 편협한 다리

인이 이용함에 있어서 안전하고 불편함이 없게 한

위 도보 폭과 다리 아래·위 연결 시설의 부재로

다. 일반인 뿐만 아니라 장애인도 편하게 이용하

장애인은 이용할 수가 없고 일반인의 경우에도 이

게 하기 위하여 계단 대신 긴 램프를 사용한다. 램

용하기가 너무 힘들다. 이 문제점과 동시에 다리

프의 기울기는 1/18 이상으로 하여 기울기를 거의

위·아래에서 머물며 쉬고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못 느끼게 한다. 긴 램프 중간중간에 옆으로 나가

충분한 규모의 시설이 없어, 양화대교 남단이 가지

는 판을 만들어서 올라가다 잠시동안 쉴 수 있고,

고 있는 명소적 가치를 한껏 발휘하지 못하고 있

이 곳에서 경치를 보며 머무를 수 있게 한다. 이러

다. 이에 양화대교 남단부분에‘선유도까지 가는

한 시설은 한강 둔치 바깥까지 뻗어나가 한강 바

많은 사람들을 수용하며 동시에 사람들이 여기에

깥에서도 누구나 접근가능하게 한다.

머물며 한강의 경치를 즐길 수 있는 시설’,‘기 존 불편사항을 해소시켜 일반인은 물론이고 장애 인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하는 시설’을 계획하 여 이 곳이 가진 명소적 가치를 한껏 발휘하게 하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6.

243

Studio 5 김 요 엘 BMX Track 1. Model Picture 2. Model Picture

Bike shelter가 있는 양재천과 한강이 합류되는 지 점으로 가족 단위의 사람들과 라이딩을 즐기는 사 람, 낚시를 하는 사람, 보드를 타는 사람 등 굉장히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이다.사이트 단면에서 나 오는 예각의 공간에서는 다양한 활동들이 일어날 수 있는데, 공공 시설로서 BMX 트랙을 제안한다. BMX 트랙은 총 세가지 요소(활동, 관람, 산책)로 사람들을 끌어들여 BMX를 즐기는 사람, 그것을 관 람하는 사람, 물가로의 산책을 원하는 사람들을 모 이게 함으로써 공공 시설로의 역할을 한다.

단면상 총 두 개의 레이어로 이루어진 이 트랙 은, 물과 가까운 쪽이 산책로, 그 위 레이어가 트 랙이며, 보이드 공간을 활용해 관람석을 배치하였 다. 트랙을 받치기 위한 기둥은 산책로를 방해하 는 요인으로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cable-stayed system (사장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3rd Year

244

한강공원의 길들은 ‘가는길’이 아니며 한강공원은 목적성이 없는 여가를 즐기는 공간이다. 그런데도 길들은 도시고속도로와 같이 강변을 따라 직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조로운 한강변의 산책로들의 변용

7.

을 통해서 공원을 찾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갖게 해주고 싶었다. 언덕을 통해서 그 새로운 경험을 Studio 5 배 홍 철 Four Kinds of Hills

줄 방법을 모색했다. 63빌딩 방향으로 뻗어있는 한강으로 둘러쌓인 평면적인 언덕, 계단식으로 되어있는 거리의 공연이 일어날수 있는 자연형상의 언덕, 한강에 놀러온 사람들이 각자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는 쪼개진 언덕 등 4가지의 서로 다른 언덕으로 구성하였다.

1. Model Picture 2. Model Pictur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45

3. Concept Collage 4. Concept Artwork


Architectural Design

1. Model Picture

2. Model Picture

Architecture 3rd Year

24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47

8.

Studio 6 최 선 웅 개화(開花)

한강 첫 번째 철교인 한강철교 하단에 근대 문명의 상징인 기차의 소리를 전시하는 ‘개화의 소 리 전시관’을 제안한다. 소음을 소리로 바꾸는 과정에서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여 한강의 자연환 경을 보존하는 데에 의의를 두었다. 전시관 내부에서는 다양한 깊이와 크기를 가진 소리 구멍으로 소리의 다양성을 극대화 시켰고, 교각의 sequence를 그대로 확장시킨 벽으로 전시동선을 구성하 였다.

3. Model Picture 5. Site Plan

4. Render Image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3rd Year

9.

Studio 7 Untitled

248

김태완

사이트 분석을 통해, 양화대교~원효대교 사이 공간에 화장실과 편의점등의 시설이 부재함을 알 고, 공원의 폭이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좁은 지역임을 알게되었다. 이 구간에 폭이 좁은 이유는, 단면 다이어그램에서 보이는것 처럼 경사로 이루어진 뚝(제방) 때문이었다. 뚝(제방) 공간을 활용하여 폭이 좁은 공원에 편의점과 화장실을 제공하고, 이 편의점과 화장실은 바로 앞에 존재하는 한강대교를 피해서, 다양한 한강의 모습을 각각 보여준다.

1. Model Picture 2. Model Picture

3. Model Pictur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0.

249

Studio 7 김 민 주 Under the Scape

‘한강 공공시설물 설계’프로젝트는 망원지구

내부에 청각적인 요소는 크게 3가지가 들어간

를 사이트로 선정하여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망원

다. 첫 번째는 샤워장 중심에 위치하는 중앙폭포

지구의 특징 중 레저형 수상스포츠를 중요한 특징

로 각각의 샤워부스에서 들리는 샤워소리를 마스

으로 잡아 관련된 시설물인 ‘샤워시설’을 설계

킹(Masking)하는 효과를 주어 ‘샤워’라는 사적

하였다. 위치는 수상스포츠 센터의 옆에 위치하며,

인 행동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망원지구의 중요한 나들목 입구의 직선상에 위치

물이 떨어지는 소리가 시설물 전체에 갖혀 울리

한 곳이다. 따라서 나들목에서 망원지구의 첫 인상

기 때문에 양쪽으로 방을 두어 울리는 소리를 피

이 되는 뷰를 가지는 곳이다. 또한 이곳의 원래 목

할 수 있는 곳을 만들었다. 평면상 왼쪽에 위치한

적은 요트의 선착을 위한 곳으로 경사지이다. 한편

방은 야외로 공간이 오픈되고 층고가 낮아져 울림

으론 한강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특징 때문에 한강

소리가 적고 소리가 작아진다. 그리고 오른쪽 방은

이용객들이 한강의 경치를 구경하기 위해 이용하

진입 시 물이 바닥에 깔려 있어 울림이 더 커지지

는 곳이다. 이러한 3가지의 특징을 그대로 살리기

만, 아랫부분이 약간 떠있는 안쪽 벽을 향해 계단

위해 시설물은 경사지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고 내

을 내려가면 물속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물로 인해

부와 연계되어 경사면 위에 사람이 앉아 쉴 수 있

귀가 막히게 되고, 소리가 일시적으로 들리지 않게

는 평평한 곳이 생성되게 하였다. 물을 계속 사용

된다.

하는 샤워실이라는 프로그램적 특징과 지하라는 특징에서 청각이라는 요소를 컨셉으로 내부 설계 를 진행하였다. 1. Model Picture 2. Render Image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3rd Year

public facilities

250

각 반별 공공 건축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전체적인 일정과 절차에 맞추어 학생 독자적으 로 사이트와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진행한다. Each studio proposes public architectural programs and then students precede the project by setting programs and analyzing the sit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rd Grade 건축학과 3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민현준 신윤정 고영선 정승권 장용순 김택빈 민형승 우동우 우형호 차광호 이정훈 이장환

이 프로젝트는 식물원과 미술관을 합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botanic museum을 제시하려 한다. 어떤

1.

Studio 1 정 해 랑 Botanic Museum of Fine Art

미술작품들은 인위적인 백색의 공간이 아닌 자연을 배경으로 할 때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를 위하여 식물원을 아래에 위치시키고 미술관을 상부에 두어 식물의 수직성을 바탕으로 slope를 이 용하여 두가지 프로그램을 융합시키려 한다. 기존의 전통적인 식물원들은 '자연'을 전시하면서도 너무나 도 인위적인 공간을 지니고 있다는 생각에서 식물원에 landscape을 적용하여 더 자연적인 공간을 만들 고 식물원에서 시작된 slope는 미술관까지 타고 올라가 두 mass의 융합과 동시에 green요소들을 미술 관까지 침투시켰다.

2. Sectio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51

1. Main Render Image

3. Axonometric

4. Model Picture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3rd Year

2.

252

Studio 1 송 혜 수 Coexistence of Museum with Studios

성수동의 신분당선의 서울숲역, 2호선의 뚝섬역과 성수역으로 둘러쌓여있는 사이트에 위치한 이 건물 은, 크게 STUDIO동, MUSEUM동, CO-ZONE동과 AMENITY시설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STUDIO동은 성 수동만의 개성있는 지역성을 잘 나타내는 작지만 작업하기 좋은 공간의 직각의 매스로 되어있으며 여 러 종류의 공방들이 들어가있어, 앞으로 서울숲을 가려고 또는 전시를 보러 오려고 여기 미술관을 방문 하려는 사람들을 끊임없이 맞이하며 성수동의 수제화 거리까지 사람들을 깊숙이 이어준다. MUSEUM 동은 성수동의 정체성과 지역적 특성, 예술정신 등이 담겨서 전시되는 상설 전시관과, 미디어전시관, 등 의 총 6개의 전시실로 이루어져 있고, 이 MUSEUM동을 AMENITY시설이 겉을 감싸며 둘러싸고 있다. 마 켓, 카페, 프리마켓, 만들기체험공간, 전망대, 쉼터, 강연장 등의 재미있는 시설들이 들어간 CO-ZONE 동과 AMENITY동은 사람들이 항상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밤,낮 할 것 없이 오픈됨으로써 COEXISTENCE 마을에서 말 그대로 공방과 미술관을 긴밀하게 연결시켜주면서 공존시켜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주된 입면을 형성하고 있다. 사람들은 공방동의 주된 입면 재료인 나무와, CO-ZONE의 유리, 미 술관동의 노란색의 페인트를 보고,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어떤 공간들이 어떻게 이어지고 섞이는지를 보며 공존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느낀다.

1. Model Picture 2. B1 Plan 3. 2F Pla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4. Model Picture 5. Section 6. East Elevation

253


Architectural Design

3.

Architecture 3rd Year

254

Studio 2 강 민 구 Reaxisizing Cultural Centre

사이트 근처의 주민들은 비행기 소음에 시달리고 있는 문제로 법적인 근거를 내세워 사 이트 내에 교육시설을 건립 해줄 것을 서울시에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건축은 사회적 책임이 뒤따르는 것이라고 생각했기에 이러한 지역사회의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결정했다. 즉, 양천구라는 교육 특성화 구에 목동에 집중된 교육복지를 신월동과 신정 동에도 다른 방법으로라도 돌려주기 위해서 이미 격차가 심한 지식 위주의 교육 보다는 목동에도 부족한 예술 교육 분야를 특성화해 프로그램으로 고민한 뒤 이 지역으로 집중 하여 교육격차를 해소하려는데 목적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예술 교육을 통한 교육 복지 를 실현하는 문화복지센터가 프로그램으로 정해졌다. 사이트 내에 있는 김포가압장 부 지는 강한 직선형 축을 가지고 있는 형태이다. 교육에서, 특히 예술교육분야에서는 정해 진 틀을 깨는 것을 학습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사이트에 있는 강한 축 을 RE-AXISIZING 하여 기존 축 방향의 시간성이 있는 텍스쳐와 동시에 새로운 축방향 의 공간이 만나 다양한 사이공간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기존의 사이트의 건물의 기둥들 과 슬래브, 그리고 벽을 남긴 후 그 방향성을 중심으로 동선을 배치하였다. 동시에 새로 운 축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엔 프로그램을 삽입하여 머물 수 있는 공간이 되게 하였다. 또한 기존 구조체와 새로운 구조가 반복되며 사용자들로 하여금 신선한 경험을 할 수 있길 기대했다. 기존 건물을 최대한으로 남기고 새로운 변화, 다시 말해 축의 재 방향화 를 통해 기존 부지를 UP-CYCLING 하면서 지역 주민들에게도 꼭 필요한 프로그램을 통 해 공공을 위한 건축을 하는것이 이 프로젝트의 제안이다.

1. Main Render Image

2. Mass Process Diagram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55

사이트를 경계로 양 방향에 주거지와 공원이 있는데, 주거지역 주민들이 더욱 쉽 게 공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주거지역 방향으로는 주거민을 받아들이는게 목표였 고, 공원 방향으로는 공원을 사이트까지 끌어들이는게 목적이었다. 따라서 REAXISIZING 된 축의 방향성에 주거지역 쪽의 매스를 들어올려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고 그에 따라 나머지 공원의 한쪽은 그대로 있으며 그 경사로 공원을 받아들이는 형태를 띄게 하였다. 내부에서는 외부의 공공성을 내부까지 끌어들일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설계하는것이 주 목적중 하나였는데, 프로그램화가 되지 않 은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공성을 내부까지로 끌어들이는 방법을 사용해 외부를 내 부화, 내부를 외부화 하게 되었다.

3. Section Perspective

4. Plan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3rd Year

256

1. Main Render Image

West Lake Park was established in 1959 as a water treatment plant, and supplied 120.000 tons of water a day to the city from 1979 to 2003, where it was closed down and reclaimed back to the public. But one old structure still stands in the north-east end of the park as an inaccessible lot, just on the edge between the park and the urban environment. The project is therefore to renovate this

4.

old structure and convert it into a public domain, which is useful and accessible for the neighborhood

Studio 2 Thor Nielsen Youth and ChiIdrens Library

and the city. Site analysis’ concluded that there where a lot of school and kindergartens in the area, but not alot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children. Therefore the main concept is to renovate the old structure and convert it into a Youth and Children’s Library that will provide public facilities for the young residents of the neighborhood. The old building will be renovated into a child and staff area and a new building will be erected in the northern end of the lot providing amenity for the youth. The underground pool will be covered and contain the main library with the main functions and materials. Furthermore will the renovation provide a new and more accessible entranceway from the city to the park. The buildings and the concrete deck over the pools will create sightlines and a direct pathway between the two environments, and thereby make the new programs and buildings integrate into the urban setting.

2. Site Pla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57

6. Boxes

3. B1 Plan 4. East Elevation 5. North Elevation 6. South Elevation

7. North-South Section 8. East-West Section 1

9. East-West Section 1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3rd Year

258

5.

Studio 3 박 성 민 Energyzing a Ground

향후 당인리 발전소 주변이 문화 상업 지역으로 발전할 것을 겨냥하여 절두산 성지와 한강, 당인리 문화 발전소, 카페 지역을 아우르는 복합 문화시설 을 설계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목적이다. 우리나 라 근대산업 발전의 원동력이자 최초의 화력발전 소가 지하화 되고 문화 공간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서 신 재생 에너지 연구 관련 시설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이를 통해 장소적 맥락을 연장하고자 하였다. 에너지 관련 프로그램과 전시, 도서관을 복합한 문화 시설을 계획하였고 7m 정도의 레벨 차이를 갖는 대지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레벨에 서 동선을 대지 내부로 끌어들이면서 내부 동선이 외부로 자연스럽게 순환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1. Model Picture 2. Interior Render Image

3. Interior Render Imag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59

4. Site Plan 5. Section

6. Model Picture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3rd Year

260

6.

Studio 3 Library

오병욱

1. Main Render Image

합정동 당인리 일대는 다세대주택과 단독주택이 주를 이루는 주거 지역이다. 현재 합정역과 연계 되는 몇몇 길목에는 상업시설-카페, 옷가게 등-이 침투하고 있는 중이다. 최근에 당인리 발전소를 당 인리 발전소 문화공원으로 만드는 계획으로, 이 추 세는 더 강하게 일어나고 있다. 당인리 발전소는, 남아 있는 시설을 문화 발전소로 탈바꿈시키고, 나 머지 부분은 지상은 공원, 지하는 발전소로 쓸 예 정이다. 또한 홍대의 걷고싶은거리를 당인리 발전 소까지 연결하여, 예술지구를 계획하고 있는 중이 다.

2. Process Diagram 3. Program Diagram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61

4. Model Picture

당인리 발전소가 문화창작 예술공원으로 변화하

한편, 주민 뿐만 아니라 놀러온 사람들도 자유롭게

고, 이에 힙입어 이와 관련된 상업시설들이 들어서

들락날락 거리는 시설이로 계획하기 위하여 형태

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문화 공원으로 주민들의 여

적으로 공간 속 공간을 컨셉으로 하였다. Public한

가 생활이 좋아지지만, 더 많은 상업시설의 침투로

공간 속에 도서관 공간과 다른 Semi-public한 공

이들에게 초점이 맞춰진 문화복지시설은 자연스럽

간들을 위치시켜서 도서관이 아니라 Public한 공

게 부족하게 되게 된다. 이에 문화복지시설이 부

간에 들어온 후, 여기서 도서관이나 Semi-public

족해지는 환경에 대비하고, 주민들과 문화지구가

한 공간들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생할 수 있도록 주민들이 평소에 찾아와 여가를 즐기며 디자인 거리의 돈없는 초임 디자이너도 찾 아와 자기를 홍보하고, 돈을 벌수 있는 ‘대안문 화복지공간 도서관’을 계획하고자 한다.

5. Model Picture


Architectural Design

7.

Architecture 3rd Year

262

Studio 5 고 진 혁 작은 박물관, 삼청동에서

삼청동을 거닐다보면 쉽게 ‘북촌지도’를 찾을 수 있다. 북촌 지도를 살펴보면 특이한 점을 발견 할 수 있는데, 바로 ‘작은 박물관’들이다. 삼청 동과 가회동일대에 부엉이박물관, 북촌생활사 박 물관, 세계장신구 박물관 등등 작지만 독특한 박 물관들이 존재하고 있었기에 이러한 작은 박물관 들을 하나로 이어주는 박물관 단지를 조성해주고 싶었다. 삼청동을, 삼청동의, 삼청동만이 갖고있는 작고 아담한 그 무언가를 이 작은 박물관들을 통 해 보여주고자 했다. 각각의 박물관을 가기위해서 는 골목길을 거닐고 작은 중정에서 잠시 쉬었다가 콘서트도 즐길 수 있는 삼청동의‘작은박물관 단 지’이길 바랐다.

1. Model Picture 2. Model Picture 3. Concept Sketch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63

8.

Studio 5 김 요 엘 Market for....

1. Model Picture

주민, 관광객, 학생들을 위해 문화를 파는 시장을

지하에 새롭게 생성된 남북을 가로지르는 골목을

제안한다. 이 시장은 생필품을 사고파는 본래의 시

따라 또 다른 상권이 형성되며, 골목 양 옆에 펼쳐

장은 물론 공예품과 사람의 지식을 공유할 수 있

지는 기존의 집 터들은 작은 공원, 버스킹 무대, 프

는 장을 포함한다. 삼청동 사이트에 있었던 작은

리마켓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어느 순간 사

스케일의 골목과 집들을 재해석하기 위해 양 옆에

람들은 건물로 들어오게 되지만, 다양한 수직동선

건물이 들어서서 생겼던 골목을, 반대로 집 터들

과 보이드, 연장된 상권과 골목으로 인해 내부지

을 이용하여 새로운 골목의 느낌을 들게 하였는데,

만 외부인 듯한 착각을 들게 한다. 총 3개의 주요

이는 본래에 있었던 자그마한 골목과 집들의 터를

프로그램에 따라 크게 세 매스로 이루어 지며 육

알 수 있는 메모리얼 역할까지 소화한다.

중함을 피하고 채광을 극대화 하기 위해 최대한의 창을 두어 디자인 하였다.

2. Model Picture


Architectural Design

9.

Studio 6 한식원

Architecture 3rd Year

264

이충인

경복궁 앞은 한국을 대표하는 곳이다.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사진을 찍는 건 외국인, 일반시민 할 것 없이 필수코스가 되었다. 이곳에서 본 것들은 다녀간 이들의 머리속에 한국의 이미지로 남게 된다. 그만큼 중요 한 곳에 복합문화시설이 들어가야 한다면 한국이 내세울 수 있는 가장 자랑스러운 문화가 들어가야 할 것이 다. 그러나 이곳은 외국인 관광객들만을 위한 곳은 아니다. 각종 정치적 시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는 행 사, 경복궁 나들이족, 삼청동 나들이족, 교보문고 방문객, 직장인까지. 조금 아래에는 서울시청이 있고, 그 위에는 청계천이 있는 등 셀 수 없이 다양한 사용자들이 이곳을 방문한다. 그렇다면 이 시설 안에 들어가야 하는 문화는 한국을 대표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일반시민에게 가장 친숙한 문화여야 하고, 누구나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는 분야여야 한다. 그렇다면 문화란 무엇일까? 문화의 정의는 사전에 자세히 나와있지만, 쉽게 1. Model Picture

말해 어떤 나라 하면 떠오르는게 그 나라의 문화가 아닐까 생각한다. 프랑스, 이태리, 베트남, 일본을 떠올렸

2. Model Picture

을 때 아마 음식이 큰 비율을 차지할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의식주라는 단어만 봐도 사람이 사는데 필요한 것 중에 1/3이 바로 식(음식)이다. 우리는 아침식사, 점심식사, 저녁식사를 할 때마다 1년 365일 음식과 함 께 한다. 또 음식은 미각을 포함한 사람의 오감을 모두 자극한다. 그래서 음식이야말로 우리 피부에 가장 와 닿는 즐거운 문화가 아닐까. 흔히 외국에 장기간 나갔을 때 먼저 그리운 것이 우리나라 음식이라고 말한다. 그만큼 외국에서 근접한 것도 찾을 수 없는 것이 곧 우리나라 음식이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65

3. Plan 4. Model Picture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음식을 먹고 즐기는 방식 또한 독특하다. 불에 바로 구워먹는 삼겹살, 채소에 싸 먹는 쌈, 갖가지 재료를 즉석에서 비벼먹는 비빔밥 등 수없이 많고 뚜렷한 정체성을 가진 것이 우리나 라 식문화이다. ‘한식원’은 그러한 음식의 즐거움을 대표하는 한국식문화 체험관이다. 박물관에서 고 전한국의 궁중음식예절에서 현대한국의 길거리음식까지 모두 관람을 하고, 체험관에서는 직접 떡을 찧 거나 김치를 담궈볼 수 있다. ‘밥술차’는 한국의 음식을 다양하게 맛 볼 수 있는 꼭대기층의 전문식당 가로 광화문의 야경을 보며 한국의 식문화를 실제로 맛볼 수 있다. 그리고 지하에서는 음식과 관련된 포 럼이나 TV프로그램 등 다양한 행사를 열릴 수 있도록 다목적홀이 마련되어 있다. 한식원은 내외국민에 게 가장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한국을 대표하는 복합문화공간이 될 것이다.

5. Model Picture


Architectural Design

10.

Studio 6 최 선 웅 Traditional Korean Musical Yard

경복궁 고유 ‘역사의 축’에서부터 ‘변형된 축’ 상에 위치한 대지에서, 주변에 위치한 광화 문과 광화문 광장, 세종문화회관의 특수성을 흡수 하여 기존 서양식 음악당과 한국식 마당의 공간체 계가 재해석, 재결합되어 적용된 공공을 위한 국악 마당을 제안한다. 공공시설물로서 인접한 광장을 흡수한 Open Space를 조성하고 야외 국악마당과 결합한다. 실내국악마당은 ‘마당의 실내화’의 과도기적인 공간으로서 실외와 실내의 모호한 경 계를 만들고자 하였다.

Architecture 3rd Year

26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67

1. Main Render Image 2. Site Plan

3. Model Picture

4. Model Picture

5. Elevation &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3rd Year

268

1. Concept Sketch 2. Model Picture

다양한 문화가 섞이는 대표적인 공간인 이태원에서, 물리적으로는 14m의 높 이차를 가진 땅에 공공의 건물을 짓는다. 사이트가 접하는 각각의 도로가 이태

11.

Studio 7 김 태 완 Road into the Site

원의 다양한 문화를 대변한다고 분석, 판단하여 그 도로들이 사이트로 관입 되 는 것을 컨셉으로 하였으며, 공공건축물의 프로그램은 주민들을 위한 커뮤니티 프로그램과 작은 도서관이 있고, 이태원을 찾아오는 관광객들을 위한 갤러리와 카페가 층 구분을 통해 공존한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69

1. Model Picture

12.

Studio 7 김 민 주 Personal Library

‘이태원 공공시설물 설계’프로젝트는 이태원 중 가장 많은 유동인구가 다니는 이태원 대로에 접한 사이트가 주어졌다. Personal library는 이태원의 많은 유동인구를 위한 쉴 수 있는 장소임과 동시에 주민들을 위한 공공 도서관이다. 이태원 은 거리문화가 발달된 곳으로 차를 이용하기보다 이태원대로, 가구거리, 우사단로 등 걸어 다니면서 문화를 체험하는 곳 이다. 이에 비해 유동인구를 위한 휴식시설은 존재하지 않아 계단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혹은 유료시설을 이용하여야 한 다. 따라서 유동인구를 위한 휴식시설이 필요하다. 또한 이태원은 거리에서 한 블록만 들어가면 주택가들이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시설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두 집단을 위해 존재해야 하는 공공시설은 유동인구들 은 다리를 쭉 뻗고 눕거나 앉아서 편안하게 쉴 수 있고 주민들에게는 공부나 책을 조용히 읽을 수 있는 곳인 ‘사적인 공 간’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를 위해 기존에 사적으로 이용하던 도서관이라는 프로그램의 특징을 이용하였다. 또 한 유동인구의 쉬운 유입을 위해 공연장이라는 프로그램을 더하게 되었다. 이 도서관은 두 개의 광장을 중심으로 접근하 게 된다. 주민은 지하의 광장을 통해 유입하여 1-2층을 주로 이용하게 되고, 이들을 위해 각자가 독서를 할 수 있는 ‘개 인 가구’를 배치하여 사적인 공간형성을 하였다. 그리고 유동인구는 지상 광장을 통해 도서관에 유입되어 3-4층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3-4층은 개인 가구보다 ‘방’을 중심으로 한 사적인 공간의 배치로 층이 이루어져 있다.

2. Render Image


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3rd Year

270

Urban Regeneration And Communicatio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rd Grade | Professor Yoonju Seo & Sara Kim 실내건축학과 3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서윤주 김사라

스튜디오의 주제는 '도심 재생과 소통'이다. 도시 속에서 건축물은 도시의 문화 및 시대의 변화와 경제상황 및 지역의 발전 혹은 퇴보 등에 따라 건 물의 프로그램의 생애 주기 불일치를 가져 오게 된다. 그로 인하여 건물의 생애주기를 다하지 못 하고 철거되거나 도시의 흉물로 남기도 한다. 우리 스튜디오는 이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Remodeling' 과 'Adaptive reuse'에 대한 작업을 학습하도록 한 다. 이를 위해 본 설계 스튜디오에서는 서울 도 심 내 프로그램의 변화가 필요한 건물 혹은 단지 를 찾아 그 지역과 컨셉에 적합한 호텔 또는 게스 트하우스로 레노베이션을 진행하도록 한다. 주어 진 범위와 프로그램 안에서 호텔(숙박시설)의 컨 셉, 브랜드, 디자인을 자유롭게 정하여 작업하며 호텔 기능 및 건축 각론과 예술적인 면을 다루는 디자인 작업을 해나가도록 한다.

The subject of design studio in this semester is ‘Urban Regeneration and Communication.’ Structure in city causes lifecycle’s discordance of structure program due to the change of time and urban culture, and progression or regression of area. So it is demolished before lifecycle finished or left as a city’s horrid thing. Students learn ‘Remodeling’ and ‘Adaptive Reuse’ as a solution. To achieve it, this studio finds complex or structure need to change the program in downtown of Seoul, and renovate it to hotel or guesthouse that suits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 of the area. Within a range and program, concept, brand, and design of hotel (accommodation) will be chosen freely, and design procedure deals with the function of hotel, architecture particulars and artistic aspect.

1. Interior Render Image

2. Interior Render Imag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71

2. Interior Render Image

4. Plan Drawing

1.

실내건축학과 3학년 서 유 진 책장을 넘기다

이번 프로젝트는 '머무르다' 라는 단어에서 출발하

사람들은 책을 읽으면서 책 속의 시간과 공간의

사이트는 상수동 와우산로 39-7이다. 이곳은 홍

여 '머무르고 싶은' 곳에 stay 공간을 만들고자 하

사유를 통해 일상 속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책

대의 다른 곳과 달리 주택가와 주택을 개조한 식

였다. 사람들은 도시를 떠나 자연 속에 머물며 휴

장을 한 장 한 장 넘기고, 그것들이 이어져 하나의

당 카페가 모여있다. 사이트 우측으로는 비교적 가

식을 취하고 싶어 하지만 멀리 떠나는 것 자체가

이야기가 되듯이, 하나의 공간에 연속되는 벽을 이

파른 언덕길이 있고 이 길을 따라 벽돌담이 이어

쉽지 않다. 그래서 도시의 특징적인 공간 중 사람

용해 공간을 나누고 새로운 공간을 구성하였다. 벽

져 서정적인 분위기가 연출된다. 또한 주변 건물

들이 휴식을 취하며 머물고 싶어 하는 곳을 찾았

의 배치, 길이, 높이를 조절하고 가구와 슬래브까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채광과 전망 확보

고. 도서관에 stay 공간을 만들었다.

지 연결해 다양한 공간감을 연출하고자 했다.

가 수월하다.


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3rd Year

2.

실내건축학과 3학년 신 동 해 EDGY

272

골목길에 또 이어지는 골목길, 자그마한 규모의 상 점들이 속속들이 숨어있는 홍대의 첫 느낌을 떠올 려본다. 홍대를 찾아온 여행자들이 이 곳에서 하고 싶은 여행은 무엇일까. 호텔 프로젝트이지만 게스 트하우스의 문화를 가진 호텔을 표현하고 싶었다.

2. Interior Render Image

LOCAL들이 직원으로 있고 아침을 먹으며 오늘은 어느 곳을 구경하며 어떤 음식을 먹을까에 대해 친구처럼 소소한 이야기가 오가는 식의 호텔. 그 모습은 홍대와 닮아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73

4. Interior Render Image

서교 365나 홍대 흔한 상점들이 그렇듯 시간의 누 적에 따라 분할되고 개조되며 다시 병합되는 모 습을 가져 내부에 들어와서도 그 지역성이 이질 감 없이 흐르도록 구상하였다. 또한 홍대 거리에 서 일어나는 ‘관음’ 이 호텔의 파사드의 ‘V 자 계단’ 이나 코어를 중심으로 시선이 교차하 1. Main Render Image

는 것을 통해 일어나도록 하였다. 호텔의 저층부 에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CAFE와 GALLERY, RESTAURANT가 있고, 그 상층부에는 ROOM들을 배치하였다.

3. Interior Render Image


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3rd Year

sea food market complex

274

사이트를 둘러싼 지리, 역사, 지역, 기능성을 고려한 수산물시장의 재구성과 현대화를 통해 전통 문화의 재 디자인 및 복합상업공간의 설계능력을 배양한다. 상업공간과 마켓 의 시스템을 분석하고, 상인과 상인간의 유통, 상인과 소비자를 위한 효율적인 공간구성 을 찾아야 하며, 소비자가 수산물을 매개로 한 다양한 공간의 경험을 할 수 있는 창의적 인 아트웍을 목표로 한다. 국내외의 마켓과 외식문화의 트랜드를 파악해, 현재의 문제점 을 개선하고 수산물 소비문화를 선도해 나가는 미래의 지역 랜드마크로서의 futuristic& New style of market complex 설계를 제안한다. Cultivating the ability to design complex commercial space and redesigning traditional culture via modernization and re-composition of seafood market considering geography, history, area and function around the site.Analyzing the commercial space and the system of market. Searching for a spatial organization which will lead an efficient circulation among merchants, retailers and consumers. Aiming at the creative artwork which let consumers experience various spaces by marine products. Understanding trend of not only dining culture but domestic and foreigner market. Ultimately, suggesting design of ‘Futuristic & New style of Market Complex’ as a local landmark that leading new consumption culture of marine products and compensating current defects.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rd Grade | Professor Nomura Chika & Myeon Kim 실내건축학과 3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노무라치카 김면

1.

실내건축학과 3학년 우 주 성 FLOWer SEAFOOD CENTER

수질오염과 바쁜 생활로 인해 발달한 패스트푸 드 문화, 그로인해 손질이 어려운 수산물의 기피 와 같이 현재의 노량진 수산시장이 처해있는 사 람들의 발길이 줄어든 문제는 단순히 내부에만 있는 것은 아니였다. 이러한 사회 인식의 재고 와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시장에 'COOKING CLASS,SEAFOOD LIBRARY' 라는 두가지 현대적 인 프로그램을 더해 시장이 하나의 음식 문화생활 을 이루는 공간으로 인식되기를 기대했다.

1. Seafood Library Render Image 2. Basement Entrance Render Image 3. Grocery Render Imag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75

4. Plan Drawing

4. Main Render Image

5. Diagram

공간의 구성은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수산물을 사

내부 공간의 구성은 앞서 말한 방향성을 지닌 '흐

고 부재료를 사며 책을 보며 요리를 하는 곳으로

름'들이 프로그램에 도달했을 때 공간의 기능에 맞

향하는 동선과 시장을 구경하며 레스토랑으로 향

는 사람의 행동을 유도(affordance) 하는 형태로

하는 두가지의 예측가능한 시나리오를 풀어주는

변화하여 공간마다 정체성을 강하게 만들며 전체

동선이 교차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수평적

적인 Tone & Manner를 유지하되 그 안에서 오는

인 동선을 수직적으로 이어지게 하는 바닥과 동선

지루함과 단조로움을 재료의 변주로 탈피하고자

을 오리엔테이션하는 곡면의 벽과 가구를 이용하

하였다.

여 일련의 '흐름'과 '시퀀스'를 형성했으며


Architectural Design

Memorial design in seonyudo

Interior Architecture 3rd Year

이번 설계 스튜디오에서는 전쟁이나 대규모 사고로 희생된 희생자들을 애도하고 기념하 는 공간(Memorial)을 디자인하며 학생들은 선유도 안에서 자유롭게 사이트를 정하여 건 축 각론과 예술적인 면을 모두 다루는 총체적인 디자인 작업을 해나가도록 한다. 구체적 인 규모와 프로그램은 개강 후 오리엔테이션에서 주어질 예정이며 선유도 답사를 통해 주변환경을 익히고 추상적인 개념을 공간으로 구현하는 방법 및 과정에 대해 배우도록 한다. This studio aims to design memorial place where people could mourn and commemorate the victims of war or accident. Students set their own sites within Sunyoudo freely and proceed with comprehensive designs dealing with architecture particulars and artistic aspect.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rd Grade 실내건축학과 3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우승현 김택빈 이지은 고영선 곽대원

1.

Studio 1. 김 현 석 Untitiled

1. Concept Image

276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 Final Perspective View Image

2. Sun Move Image

277


Architectural Design

1. Section

Interior Architecture 3rd Year

2.

278

Studio 3. 우 주 성 Remember 3.1

만약 정선화백이 살아있어 21세기의 '선유봉'을

평면상에서 원형의 공간이 밀집해 있지만 벽이 둘

그린다면? 그림에는 일제강점기를 겪은 후 잘려나

러싸거나 혹은 레벨의 차이로 공간의 성격이 구분

간 선유도와 그럼에도 불구 자유를 되찾은 국민의

되는 특이한 CONTEXT를 취하고 있다. 입구-출구'

모습이 그려져 있을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지금

라는 방향성이 없는 원형의 공간은 다방향에서 오

이 곳' 현재의 우리를 있게 해준, 과거의 3.1 독립

는 관람객의 접근을 담아내고 다른 위치에 있어도

열사의 뜻을 기리는 기념관이다. 사이트는 선유도

같은 성격의 공간을 내준다. 또한 원형의 중심으로

의 강력한 주제정원을 지나 관람동선이 끝나는 곳,

들어갈수록 공간의 프로그램이 공동의 공간에서

선유교를 지나 관람이 시작되기도 한 장소이다.

개인적인 추모공간으로 전이되는데 이것은 3.1운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79

2. Section with Light 3. Bird Eye View Image

동의 '집단-응집'의 뉘앙스를 취하며 주제를 강력 히 하였다. 공간을 만들어 내는 원형의 켜들은 사 용자의 이동에 따라 바닥-벽-천정으로 역할이 변 하며 상호작용하고 이것들은 외부-반외부-내부 공간의 느껴지는 형태와 빛, 공기감을 조절하며 한 정된 공간안에서 여러가지의 기념비적인 스토리텔 링을 시도하였다.


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3rd Year

280

한강에 위치하고 있는 선유도에 접근 하는 사람들 의 관심사와 장소성을 고려할 때, 한강에서 일어나 고 선유도가 정수시설로 사용될 때의 시대적인 배 경을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1970년대에 지어 져서 사용되다가 사고가 난 성수대교 붕괴사건을 모티브로 삼았다. 사고를 당한 그들은 그 어떤 공동체에 각각 소속 G.L - 3600

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들이 하루 아침에 사고를 당하게 되면서 각각이 소속되어 있던 가족, 학교,

G.L - 4200

CONCRETE ALUMINUM PANEL

직장 등의 공동체에서 생기게 된 그들의 공백은 누구도 채울 수 없다고 생각하였고, 그 공백을 공 GLASS

간으로 옮기고 싶었다. 공간으로 표현된 그들의 공 백은 방문자로 하여금 공간으로 들어오는 빛, 하

BASALT

늘, 바람 그리고 물과 메탈을 통해 반사되는 하늘 과 자기 자신을 보며, 자연스럽게 그들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고 싶었다. CONCRETE

G.L - 4200

3.

Studio 1. 이 재 호 HOUSE GARDEN HOSPITAL

따라서 기존에 높이 차이가 있는 대지를 선정하여 인위적으로 지반에 변화를 최소화하여 설계를 하

1. Main Render Image

였고, 그러므로써 사람들이 두 레벨에서 모두 공간

2. Plan Drawing

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81

3. Final Model Front View

재료로는 외벽에 반사도가 70%정도인 메탈을 사

4. Section Drawing

용하여, 주변의 환경과 대조되게 하여 두드러지게 하였고, 바닥은 현무암을 사용하여 방문자들이 걸 으면서 거칠은 텍스쳐를 느끼면서 추모공간에서는 엄숙해지기를 바랬다.


18200

10700

1930

22200

Interior InteriorArchitecture Architectural3rd Design Year Grade2

8150

9570

8000

282

B’

D’

C’

A’

Architectural Design

15800

화장실 INFO.

B

D

C

A

CAFE / 편의점

1. Plan Drawing MEMORIAL DESIGN IN SUNYUDO

4.

Studio 2. 구 재 영 Re-line Memorial

프로젝트를 시작하기에 앞서 메모리얼에 대한 본 인의 생각을 정의 내려보았다. 메모리얼은 특정 사 건/인물을 추모하는 공간이지만 더 확대 가능하다 고 생각하고 특정한 시공간을 표현하고 그곳을 찾 는 관람객들이 서로 다른 개인의 기억과 생각, 감 정을 가지고 특정 시공간을 기억하는 것도 메모리 얼이라 정의 내렸다. 또한 메모리얼은 장소성이 굉 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사이트인 선유 도의 역사를 먼저 조사하여 선유도의 역사를 통해 서 변해버린 선유도의 강안 라인, 모습과 물놀이를 하고 물을 길어 먹고 이동수단의 역할을 하고 예 술활동의 영감을 주는 등 사람과 함께였지만 이제 콘크리트의 제방에 의해 물길과 접근이 단절되어 버린 한강의 수변공간을 연결하여 개발 이전의 한 강을 기억하고 정취와 향수를 느낄 수 있는 메모 리얼을 설계했다

2. Site Plan Drawing 3. Final Model RE-LINE MEMORIAL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83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2nd Year

60㎡ HOUS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nd Grade 건축학과 2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조성익 이승현 이영수 노은주 유현준 김명홍 서해천 김시원 박영우 스티븐장 김시원 최재문 정재용 양헌

1.

284

2학년1학기 과정은 건축공간을 결정하는 인간과 자연환경을 검토하여, 개념설정, 공간 프로그래밍 및 건축 공간화하는 일련의 능력을 배양한다. 첫째, 주거공간에 대한 인체단 위와 생활을 위한 기초 요구공간의 프로그래밍하고 설계에 반영한다. 둘째, 대지의 조건 이해: 접근, 조망, 채광, 통풍 등 환경을 이해하고 설계에 반영한다. 셋째, 간단한 구조체 와 연결된 증축방식과 구법에 대한 이해하고 설계에 반영한다. 넷째, 자신의 의도를 도 면화, 다이어그램화 하여 설명하고 도록을 작성한다. The course of the first semester develops the ability to create space, spatial programs, and concept through the evalu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Firstly, programs considering human scale and living space satisfying requiremen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sign. Secondly, the condition of the site, such as approach, ventilation, lighting and view, should be understood and be applied to the project. Thirdly, the understating of how the way of expansion and simple structure is required. Lastly, students’ purpose of design should be explained in diagrams and plans.

Studio 1. 홍 영 민 Untitled

공동주택이니만큼 두 세대를 좀 더 조화롭게 엮고 싶었다. 외부에서 봤을때는 마치 하나의 흐름안에 놓여있는 두 세대이길 원했다. 각 세대에 1층,2층 도 아닌 1.5층처럼 애매한 층을 사용해서, 외부에 서 봤을때 마치 하나의 지붕 (ONE ROOF) 아래에 두 세대 (TWO HOUSE)가 있는것처럼 했다.

1. Render Imag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85

1. Model Picture

2.

Studio 1. 조 상 원 UNITY HOUSE

유닛이 반복되어 주택단지를 형성하고 주택단지

1층과 2층의 실들을 mass로 한 후 계단실의

가 하나의 푸드타운으로 만들어지게끔 설계하였

mass를 1층과 2층을 묶어주는 형태로 만들어냈

다. 주방과 거실공간을 합쳐 식당공간으로 사용할

고, 계단실에는 짧은 간격으로 반복되는 위로 길고

수 있는 것이 컨셉이다. 주방과 거실의 통합으로

옆으로 짧은 창을 두어 mass로만 이루어진 전체

store공간이 형성되고, 한 사적공간이 다른 주택의

적인 형태를 풀어주는 디테일을 살렸다.

store와 한 슬라브와 외벽을 공유하여 주택이 하나 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1.5F Plan

3. Render Image

창문을 디벨롭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남쪽에 창을 최대한 크게 내었고, 서쪽이나 북쪽에는 창을 최소 로 하였다. 하지만 남쪽에 면해있더라도 침실, 화 장실, 공부방 등등 사적인 공간에는 창문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생활을 보호할수 있도록 했다.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2nd Year

286

3.

Studio 2. 이 한 별 갈葛 등藤 서로 다르지만 반대방향으로 얽히면서 함께 성장 하는 칡과 등나무. 서로가 없으면 무너지는 상생광 계를 컨셉으로 한다. 교수 부부로 이루어진 남한의 2인가구와 직장인부부와 고등학생으로 이루어진 북한의 3인가구를 클라이언트로 설계를 진행했다. 1. Diagram

2. Section 3. Section

4.

Studio 3. 김 도 연 HERZ + HAUS 사람의 몸에는 다른 두가지 피가 흐른다. 깨끗한 피와 더러운 피. 하지만 두종류의 피 모두 심장이 란 공통된 공간을 지난다. 이와 같이 HERZ HAUS 에도 심장같은 공유공간을 둔채 서로 다른 두 가 구가 살게 된다. 심장이 두 종류의 피를 펌프질해 서 몸 구석구석으로 보내는 것에 착안하여 코어를 세웠다. 두 가구의 동선은 코어에서부터 시작된다. 코어의 원형계단을 통해서 입구에서 바로 2층으로 진입하는데, 2층에서 Left Wing, Right Wing으로 두 가구는 나뉘게 된다.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 해서 두 가구는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다. 공유공간 으로의 진입은 코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계단을 통한다. 공유공간은 공간의 효율성과 두 가구의 교 류를 위해서 소셜키친, 다이닝 그리고 리빙으로 이 루어져있다. 테라스의 경우 공유공간에도 존재하 지만 두 가구만의 테라스 역시 양쪽 Wing에 자리 잡고 있다. 두 가구의 셰어하우스를 설계하며 가장 집중적으로 포커스를 맞춘것은 ‘프라이버시와 공 유’이다. 심장에서 볼 수 있듯이 두 종류의 피는 다른 혈관을 흐르지만 심장에서 뒤섞이게 되기 때 문이다. 심장에서 나가는 피는 몸밖과 접촉하지 않 고 몸 구석구석을 돌지만 심장으로 들어오는 피는 바깥공기를 폐에서 만나게 된다. 각 가구가 자리잡 고 있는 2층은 자연광을 위한 최소한의 창문을 제 외하고는 벽으로 막혀있고 그와 반대로 두 가구가 섞이는 공유공간은 밖에서 실내가 훤히 들여다 보 일 정도로 개방적이다.

4. 1F Pla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87

1. Render Image

2. Diagram 3. Diagram 5. 2F Plan


Architectural Design

5.

Studio 3. 이 조 은 BOOK HOUSE

집에 책이 많아 정리를 해 둘 자리가 부족하다고 투덜대시는 어머니의 모습을 보며 자란 입장에서 공유 주거라고했을 때 제일 먼저 떠오른 것은 집 속 도서관이라는 컨셉이었다. 두 가구의 필수적인 부분이 아닌 서재를 공유함으로서 각자의 생활을 침해하지 않고 서로에게 없는 책을 나눠 볼 수 있 는 공용 도서관. 그 부분에서 확장된 느낌의 각 집 의 거실 공간이 있고, 도서관의 큰 계단식 배치는 걸터앉아 책을 읽거나 아이들의 놀이터가 될 수 있다. A가구는 1층에서, B가구는 2층에서 각각 서 재로 접근 가능하다. 공용 공간인 서재를 강조하기 위한 정돈된 평면을 구성하였다.

1. Model Picture

Architecture 2nd Year

28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89

1. Render Image

6.

Studio 4. 강 서 건 소통 그리고 ROTATION

소통 부재의 문제가 심각한 현대사회에 새로운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 가정과 다른 한 가정 의 소통. 가정 안에서 부모님과 자녀의 소통. 가족 구성원의 생활 특성에 따라 두 주택에 각각 주방과 거 실을 향한 void를 구성해 가족간 소통이 가능하게 하였다. 자녀들의 쾌적한 생활조건을 위해서 해가 잘 들고 조명이 좋은 남향을 향해 침실을 구성하였다. 집과 집의 소통을 위하여 중앙에 소통공간을 제공하 고 rotation을 통하여 ‘특별함’을 부여하였다. 주택 내부에서도 각각의 특성에 맞게 void를 구성해 소 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2. Diagram

3. Plan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2nd Year

290

7.

Studio 4 . 손 다 연 공명

공명:어느 진동체가 다른 진동체의 진동에 유도되 어서 다른 진동과 같은 진동수로 진동하는 현상. 공명이라는 컨셉을 기반으로 하여 void를 통한 공 유공간들의 연계와 동선축을 기준으로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을 나누었다

1. Render Image

2. Site Plan

8.

Studio 5. Untitled

3. 2F Plan

3. Elevation

남궁훈

1. Render Image

2. Render Image

3. Render Imag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91

1. Diagram

9.

Studio 5. 장 재 희 IN & OUT _ MID STOP

밖에서 안으로 다시 안에서 밖으로, 안과 밖의 중간지점을 만나다. 두 채의 최소한의 집으로 최대의 공간을 만드는것 이 이번 과제의 포인트다. 작은 공간을 보다 넓게 이용하기 위해 안과 밖의 모호함을 이용했다. 내부 의 공간을 외부의 공간으로 나눔으로써 공간은 둘 로 나누어 지고, 또다른 공간이 생기게된다. 이 공 간은 외부에서 사용하는 외부공간 일수도, 내부에 서 사용하는 내부공간이 될수도 있다. 또, 내부의 공간이 외부로 나가 두채의 집을 이어줌으로써 공 용으로 사용하는 외부공간이자, 두채의 집을 이동 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된다. 이렇게 안과밖의 모 호함을 통해 정해진 내부면적과는 별개로 외부의 면적이 더해져 보다 넓은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2. Interior Render Image 3. Interior Render Image

4. Render Image


Architectural Design

10.

Architecture 2nd Year

292

Studio 6. 김 혜 원 BOUNDARY OVERLAP

서로 다름을 인정하지만, 그 다름을 이유로 소통하 지 않는 사람들. 너무나 견고한 각자의 경계로 우 리 사회는 불통의 사회가 되었다. 우리가 처음으로 관계와 소통을 시작하는 가장 작은 사회인 가족으 로부터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분리시키는 경 계가 아닌 서로 겹쳐지는 경계를 통해 사람들을 소통하고 성장하게 하는 집을 그려본다. 친척관계인 A, B가족. 두 가족 모두 책에 관심이 많다. 각 가정의 사적인 공간은 분리시키되, 뜰을 연결하고 서재를 공유하게 하여 경계의 겹쳐짐이 이루어지게 한다. 겹쳐진 공간에서 두 가족은 자주

1. Interior Render Image

접촉하고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것으로 시작 해 더 크고 깊은 소통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11. 1. Diagram

Studio 6. 임 치 무 SILHOUETTE

공간의 share가 될 수도 있고 휴식을, 이야기를, 감정, 시간을 share할 수도 있는 공간. 중앙 외부 공간을 중심으로 그들은 특정한 이벤트를 계획하 며 함께 활동하고 서로의 취미를 알아가기 위한 간접적인, 혹은 직접적인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줄 수도 있다. 기대수명이 늘어나 면서 제2의 인생을 계획하는 황혼커플이 예전과 다르게 많아졌다. 인생. 한 번만 사랑하기엔 너무 길다. 몸은 늙어도 사랑은 늙지 않는다.

6. Mass & Space Diagram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 Interior Render Image

293

3. Interior Render Image

4. Interior Render Image 5. Interior Render Image

도시 외곽의 직사각형 사이트에서 내부대지가 도 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고, 이런 지형을 이용해 개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동시에 집이 내외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했 다. 4명 모두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은 개인 일 수도, 커플일 수도. 혹은 함께 서로 다른 목적의 공간을 join하고 120sqm안에서 여러가지 헤프닝 이 일어나는 공간. 그들은 서로 대비되지만 서로를 알아가고 싶었다. 간접적으로, 혹은 직접적으로 취 미를 공유하고 생활을 공유하는 동시에 우연이라 는 장치는 그렇게 곳곳에 심어져 있다. 7. Plan

8. Diagram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2nd Year

light and bathroom

294

화장실은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이다. 이 공간을 빛으로 디자인 하는 것이 첫 번째 워밍업 프로젝트이다. 대지는 홍대앞 놀이터로 지정한다. 기존에 있는 화장실과 동일한 숫자의 변기수를 집어넣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주어진 조건은 반드시 장애인이 엘리베이터의 도 움 없이 편하게 접근 가능하도록 한다. 화장실의 위치는 지상이던 지하이던 상관하지 않는 다. 다만 자연채광과 적절한 건축재료를 이용하여 아름다운 화장실을 디자인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목표이다.

Bathroom is the most personal place. Designing this place with light is the first warming up project. The site of this project is Hongdae playground.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disabled, approaching conveniently without elevators, is necessary. Students are asked to make it a rule to put the same number of toilets that the existing bathroom has. The location of bathroom, being underground of nor, is up to students. However, designing a beautiful bathroom that uses natural sunlight and materials is the final goa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nd Grade 건축학과 2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조성익 이승현 이영수 노은주 유현준 김명홍 서해천 김시원 박영우 스티븐장 김시원 최재문 정재용 양헌

1. Model Picture

1.

Studio 1. 하 태 우 Untitled

1. Model Picture 2. Model Picture

번잡한 홍대 문화의 입구에 위치한 공터에 그런 북적거림과 완전히 격리된 공간을 만드는 것을 목 표로 삼았다. 바깥의 자유로운 분위기와 상반된 반 듯한 상자로 깨끗한 자연이 있는 단정된 공간에서 공간 사이로 들어오는 빛으로 새로워지는 느낌을 받게 하였다. 막혀있는 박스에 빛을 끌어들이기 위 한 ‘덜어내기’라는 느낌으로 두면을 차지하게 꺾인 창을 넣었고, 가운데의 작은 정원으로 통로를

2. Studio 2. 이 조 은 Refresh!

통해 들어오는 빛을 오가는 사람들이 느낄 수 있 게 하였다. 각 화장실 내부의 동선은 3가지로 분리 해 겹쳐지지 않게 정리했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

295

홍대 놀이터는 플리마켓의 장, 약속의 장소, 쉼터가 되기도 하며 훌륭한 공연장이 되기도 한다. 현재 놀

Studio 2. 강 서 건

이터는 영역 Zoning을 통해 이러한 문화복합적인 Event를 위한 활동 영역, 동선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

Rezoning

만 화장실 앞은 Zoning이 명확하지 않아 여러 가지 활동들이 이루어짐에 따라 주요 동선을 막거나, 화장 실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용자들의 동선, 활동 영역을 분석하여 화장실 앞을 Rezoning하였다. Rezoning을 통해 새로우며 명확한 영역을 제공하고, 주변 동선에 방해를 주지 않 으며, 화장실로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1. Model Picture 2. Model Picture


Architectural Design

1. Interior Render Image

4.

Architecture 2nd Year

296

2. Exterior Render Image

Studio 3. 장 재 희 Untitled

1. Render Image 2. Model Picture

5.

Studio 5. 손 성 식 Untitled

이 화장실의 계획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화장실이 단순히 화장실로써의 기능만 하는 것이 아 니라 사이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래서 홍대 놀이터의 복합 문화 공간을 만들며 동시 에 사람들을 끌어 모으는 역할을 수행하는 화장실을 만들기로 계획했다. 동시에 이번 과제의 주제인 빛 또한 고려하는 방향을 고민하여 두 개의 빛을 모으는 기둥에 화장실 메스를 띄우는 형태를 디자인하게 된 것이다. 두 개의 빛 기둥은 낮에는 햇빛을 담아서 화장실을 밝게 하고 밤에는 인공 광으로 빛나게 설 계하며 재질 또한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 빛이 잘 투과되며 동시에 화장실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또 화장실 주변을 계단식으로 성큰을 만들어 계단에 앉아서 사람들이 공연을 볼 수 있게 계획했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97

6.

Studio 6. 기 호 석 Untitled

1,2. Render Image 1,2. Render Image

7.

Studio 6. 박 슬 비 Prism

홍대 안 놀이터 화장실은 여러가지 다양한 문화가 섞여 평범한 사람, 특색 있는 사람, 모두 다 홍대만의 자기만의 색깔을 갖게 된다. 이러한 사람들이 모여 하나의 프리즘을 통해 한 광선에서 여러가지 색으로 퍼져나가는 모양을 화장실로 표현화했다. 입면에 보이는 슬릿창으로 인해 화장실 내부로 들어가면서 산 란되는 빛을 감상하게 된다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2nd Year

298

8.

Studio 7. 조 상 원 빛의 화장실

빛이 중간에 모여 퍼져서 들어가는 형식으로 직접 광을 받지 않고 간접광으로 빛이 들어가는 화장실 이다. 입면을 루버형식으로 해서 직접적으로는 빛 이 들어가지 않고 두 번 튕겨서 들어가도록 하였 고 겉과 중간을 이질적으로 하여 새로운 공간에 들어가는 느낌이 들게 하였다. 이는 밤에 성격이 다른 공간의 연결통로 역할을 한다.

1-4. Model Pictur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 Concept Image

9.

Studio 7. Lin Chimao 빛의 화장실

홍대놀이터라는 공간을 사람들이 인식을 할 때 떠 오르는 이미지를 만들어 주고 싶었다. 때문에 화장 실이라는 건물을 설계할 때 필요한 프로그램은 기 본적으로 화장실로써 역할을 하는 기능과 이 건물 이 사이트에서 오브제로써 하는 역할, 그리고 주변 에서 일어나는 헤프닝을 support해주며 사람들로 하여금 다시 기억하며 되새기는 공간으로 만들어 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이러한 생각들이 적용된 화장실은, 화장실로 그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파급효과 또한 있을 것이라 고 기대한다.

2-4. Model Picture

299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2nd Year

Design Gallery of Hongik Univ.

300

다른 미술관과는 다르게 디자인작품 (건축도면, 모형, 산업디자인 작품, 그래픽디자인 작 품)을 전시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을 디자인한다. 동시에 홍익대학교 디자인 작품을 세상 에 알릴 수 있는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기존의 갤러리 아닌 새로운 개념의 갤러 리 제안하도록 한다. 주차는 전시장 화물하역 및 주차 두 대만 고려한다. 방문자 측 동선 은 무장애 코드에 적합해야 하고 면적, 층수 및 피난 등은 기본적인 건축계획은 현행법에 적합해야 한다. Apart from common galleries, a special place to display design artworks such as architectural plan, models, industrial design art pieces and graphic design works should be designed. Simultaneously, a new idea of gallery that has a creative program which makes the artworks renowned is to be suggested. In terms of parking, students are asked to consider a loaded truck for exhibition and only 2 cars. The flow of visitors should be fit with the barrier free code and the general architectural plans that are about the number of floors, evacuation and area should be entirely compatible with current law.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nd Grade 건축학과 2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조성익 이승현 이영수 노은주 유현준 김명홍 서해천 김시원 박영우 스티븐장 김시원 최재문 정재용 양헌

1.

Studio 1. 하 태 우 Untitled

동굴 같은 광장을 가지는 갤러리라는 컨셉으로 진 행하였다. 홍대에서 공터 공간이 홍대입구역과 홍 대 정문 방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합정과 상수 방 면에서 사람들이 모여서 자유롭게 쉴 수 있는 공 간이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플라자 공간 과 갤러리 공간을 결합을 통해 합정과 상수 방면 을 찾는 사람들에게는 쉴 수 있는 광장 공간을 만 들어 주고, 갤러리는 플라자 공간을 찾는 사람들을 끌어들여 더 많이 찾아 올 수 있도록 계획했다. 매 스는 동굴과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해 하나의 덩어 리를 파내는 형식으로 만들어 나갔다. 내부 공간에 서도 큰 공간에 천장에 큰 보이드를 내면서 플라 자 공간을 끌어올 수 있도록 계획했다.

1. Model Picture 2. Site Plan 3. Render Imag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2.

301

Studio 1. 김 도 연 LGBD

홍대에 오는 사람들 중 과반수 이상은 음주가무 즉, 술을 찾아온다. 술을 찾으러 온 곳에 술과 함 께 할 수 있는 갤러리가 있다면 완벽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후기 인상주의의 대표적 화가인 빈센트 반 고흐 역시 압생트라는 독주를 옆에 끼고 작업 을 했듯이 바(bar)와 갤러리 또한 홍대에서라면 자 연스럽게 섞일 수 있을것이다. 모든 층에는 갤러리 와 바가 공존해 있다. 외형적으로도 재료적으로도 바와 갤러리는 큰 차이를 보인다. 각층의 바는 더 넓은 전망과 시야확보를 위해 절벽모양으로 되어 있고 갤러리 부분은 작품감상과 공간확보에 포커 스를 맞춰 심플한 화이트큐브로 되어있다. 개방적 이고 화려한 홍대에 맞게 바의 벽은 커튼월로 이 루어져 있고 갤러리의벽은 투명해 보이는 바와 반 대로 거칠고 둔탁한 느낌을 준다. 갤러리에서 바로 또는 바에서 갤러리로의 이동은 모든 층에서 가능 하고 가운데 코어 엘리베이터를 통해 각 층의 갤 러리 또는 바에 접근할 수 있다. 이중나선의 원래 구조가 두 나선이 만나지 않는다는 것이 착안해 바를 거치지 않고 1층부터 4층까지 갤러리만 이용 하는것 (또는 바만 이용하고자 하는것) 역시 가능 하다. 1,2. Model Picture

1. Circulation Diagram

3.

Studio 2. 강 서 건 See Through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2nd Year

2. Section Perspective

302

3,4. Model Picture

갤러리는 미술관과는 다르게 작품을 거래할 수 있는 상업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갤러리가 활 성화 되어있지 않은 사이트를 고려하여, 이미 기존에 있던 카페, 음식점, 의류점을 이용하기 위해 온 사 용자들도 적극적으로 관람을 가능케 해야 한다. 갤러리를 다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전시실의 일부분을 노출하여 사용자들은 전시내용의 일부를 인식하게 된다. 공간을 통하여 보이는 앞서 관람을 하는 사용자 들은 다음 사용자들에게 호기심을 주어 능동성을 주기도 하고, 안내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또한, 다양 한 전시 공간들을 제공함으로써 관람자들에게 충분한 흥미를 유발하고, 다양한 전시를 수용 가능케 하 였다.

1. Model Picture

4.

Studio 2. 이 조 은 끼어있다!

빛을 받아들이는 방향으로의 사선을 건물 전체를 이루는 큰 축으로 잡고 옆 건물과 띄워놓은 오픈 스페 이스를 건물이 품는 배치로 디자인을 시작했다. 사선이 건물을 갈라놓는 부분에 2-3층에 걸쳐 있는 독 립적인 갤러리를 놓음으로서 빛을 받는 제일 적합한 곳이자 또 다른 전시 공간으로 느낄 수 있는 통로의 역할도 같이 수행한다. 3층으로 끼어들어있는 부분은 높은 창으로 내어 전시 벽면으로 영향을 주지않게 하였다. 이 부분의 양 옆으로는 빛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갤러리와 차단하는 갤러리로 나눠 뒤쪽 정원 에서 바라봤을 때 특징이 확연히 다름이 드러난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03

2,3. Render Image

4,5. Model Picture

5.

1,2. Render Image

많은 유명한 거리가 있다. 인사동길, 홍대 등, 그 중 홍대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중 하나가 20-30대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것이다. 문화의 거리였던 홍대에 상업적인 공간이 주를 이루다보니 아이들이나, 노인 들을 위한 공간보다 먹고 즐기는공간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나는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수 있는 복합 문 화공간 역할을 하는 갤러리를 만들고자한다. 컨셉은 '마주잡다'이다. '마주잡다'라는 뜻에는 젊은 사람들 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들 노인들 까지 함께 '마주잡다', 상업적인 공간에 문화적인 공간이 함께 '마주잡다' 마지막으로 비장애인들과 장애인들이 서로 '마주잡다'라는 뜻이 있다. 깍지를 끼고있는 손가락으로 매스 스터디를 한 이유가 또한 그것이다. 겉으로 봤을 때는 하나이지만 속은 두 개의 손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래서 건물이 상업, 사무공간과 전시공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로 인해 수동적인 동선이 만들어 지는 데 수동적인 동선으로 장애인들 또한 불편없이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Studio 3. 장 재 희 Untitled


Architectural Design

6.

Architecture 2nd Year

304

Studio 4. 조 주 영 Untitled

사이트 특성상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이 많다는 것에서 착안, 갤러리 자체가 돌아다니면서 쉴 수 있는 산책로가 되었으면 하였다. 그러면서 산책로의 특성을 홍익대 부속 갤러리인 만큼 홍익대 건물들이 이어 진 것처럼 전시실들이 이어지며 산책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계획했다. 따라서, 실내와 야외의 구분과 층 의 구분을 없애고 길들을 교차시키고 사용자들을 주변 거주자 및 홍대 학생으로 두고 일회적인 건물이 아닌 자주 갈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기에 길의 위계를 뚜렷이 두기보다는 자주 오며 길을 익히는 방향으로 건물을 계획하여, 일부러 길을 잃게 하며 자신이 자신만의 산책로를 만들 수 있는 건물로 유도 하였다. 전시실의 경우, 전시의 특성에 따라 빛의 양을 고려하여 배치해 사이트의 북동쪽에는 도예유리 전시를 하여, 빛의 양은 적으며 작은 전시실을 계획하고 남동쪽에는 시각디자인, 패션 디자인 전시실을 두어 천창을 통해 전시실 역시 시각적으로 재미난 공간을 만들고자 했으며, 남서쪽에는 산업디자인이나 공간디자인 전시실을 두며 큰 규모의 전시실을 계획하였다.

1. Model Picture 3. Circulation Diagram

2. Model Pictur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05

7.

Studio 5. 손 성 식 Untitled

1. Render Image 3. Render Image

갤러리라는 공간이 처음 만들어진 목적에 대해서 정리를 하며 컨셉의 기본적인 아웃라인을 구상해 나가 기 시작했다. 갤러리는 결국 상업적인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것이다. 이 곳에 전시되는 작품을 팔고 후 원자를 만나서 갤러리에서 직접 서포트 해주고 있는 작가들을 키워내고 발굴하는 것이 갤러리의 가장 큰 목적이다. 그렇다면 기존의 박물관이나 뮤지엄과 다를 바 없는 홀 형식의 전시 공간이 과연 갤러리의 특성에 맞는가? 작품을 잘 팔고 작가의 특성을 어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전시공간이 한 명의 작가의 특징을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홀 공간에 가벽을 세워 만들어지는 전시공간은 그런 역할을 완벽 하게 수행해 낼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모듈화를 통해 더 다양하고 각각이 특성이 부여된 새로운 전시 공간을 만들기로 했다.

8.

Studio 5. 채 승 빈 Green Cube

1. Model Picture 2. Model Picture

2. Model Picture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2nd Year

306

9.

Studio 7. 조 상 원 Untitled

1980년대 이후로 홍대가 상업화 됨에 따라 홍대 주변의 작업실들은 거대 상업자본의 유입에 의해 홍대와는 점점 멀리 위치하게 되었다. 거대 프랜차 이즈점과 상업자본에 의해 홍대의 성격이 변화되 고 있는 지금, 본 프로젝트는 홍대 주변의 작업실 들을 하나로 묶을 예술문화의 소통의 장, 중심지를 만들어 내려고 한다. 이 갤러리에는 7개의 작업실, 공방, 갤러리 들이 모여 있으며 낮에는 그 공간들 이 각각의 갤러리로써 밤에는 작가들의 생활공간 혹은 예술인들의 파티공간으로 쓰여지길 원한다.

1. Model Picture 2. Model Picture 3. Model Pictur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07

“홍대”라는 변화 속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이 변화에 대한 결과를 달리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지역적 본

10.

질을 되찾는 동시에 예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갤러리를 상수동에 제안하게 된다. 학교 안에

Studio 7. Lin Chimao

서만 갤러리가 존재하는 것이 아닌, 학교 밖으로 갤러리를 끌고 오는 동시에 예술인과 일반인 사이에서

Untitled

의 교류를 발생시켜 암묵적으로 그 지역의 문화수준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함께 기대한다. 갤러리와 작 가, 학생, 일반인, 이 4가지 대상 사이에서 일어날 교류를 통해 이야기가 생기고 이야기는 예술의 활성을, 더 나아가 예술의 다양성을 생성시키게 될 것이다.

gallery

gallery office gallery lift

gallery

archive

lift

lift

lift

meeting room

gallery lift

archive gallery

lift

lift

office meeting room

gallery lift

gallery lift

janitor’s room

education room

information

toilet

toilet

lift

lift

lecture room

gallery

archive

gallery gallery

storage

reference room

lecture room

storage

archive

archive

gallery

office gallery

reference room

lift

reference room gallery

education room

gallery

education room

lecture room

lift

toilet

gallery janitor’s room information lift

lift storage

janitor’s room

toilet

information

storage

gallery

meeting room

lift

archive

lift

axis 1

janitor’s room

gallery

information

lecture room

archive office

reference room

bridge

storage janitor’s room information

meeting room

toilet

toilet

lift

gallery

axis 2

education room

reference room

lecture room

office

education room

meeting room

axis 3

axis 3_ for gallery

1. Render Image 2. Concept Image 3. Space Program


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2nd Year

308

Itaewon Retail Shop Renovatio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nd Grade | Professor Hyunho Lee 실내건축학과 2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고영선 곽대원

1.

실내건축학과 2학년 최 재 희 AMBIG BOARD

2. Render Image

1. Main Render Imag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09

1. Main Render Image

2.

실내건축학과 2학년 허 동 호 INSIDE OF ITAEWON OUTSIDE OF KOREA

이태원의 상권분석에서 부터 시작한 이 과제의 제 목은 한국에 있지만 한국 밖에 있는 또 다른 국가 처럼 느껴지는 이태원의 특징을 잡아 Outside of KOREA Inside of ITAEWON으로 잡았다. 최초 상 권분석에서 각종 다양한 세계의 음식점이 있지만 정작 한식당은 몇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외국인이 가장 익숙하고 좋아하는 종류의 한식인 "고기"를

2. Diagram 3. Render Image

4. Render Image

주로 파는 식당을 만들기로 했다. 식당 내부에 갇 혀 답답한 느낌이 들지 않고 거리의 행인들을 지 켜볼 수 있게 전면 폴딩도어를 사용하여 시야를 확보했고, 식당 내부의 길을 모두 완만한 경사로로 처리하여 걸어올라가면서 마치 숲길을 따라 올라 가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내부를 구성했다.


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2nd Year

Analysis of Human Body and Concrete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nd Grade | Professor Hyunho Lee & Suran Kim 실내건축학과 2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이현호 김수란

주제는 사람이며, 안으로부터 시작하여 밖으로 향 하는 실내건축의 주제에 대한 실험을 한다. 실제의 재료를 만지고, 발견되는 새로운 공간을 찾아내고, 건축가로서 자신의 행위의 의미를 되짚어가는 시 간을 갖는다. 건축가로서의 삶은 끊임없는 한계를 부여 받고, 그에 대한 해결과, 창의적인 극복을 요 구 받는 과정이다. The subject is human, and it does experiment about subject of interior architecture which heads for outside from inside. Students will meditate the meaning of their acts as an architect by touching real material, and discovering new space. Life as an architect is a procedure of being assigned endless limit, resolving it, and demanding creative conquest.

1.

실내건축학과 2학년 이 동 후 CRACKED

신체의 중심부인 척추와 등 근육을 모티브로 제작 하였다. 높이로 척추의 길이와 곧음을 표현했고 중 간에 한지를 말아 넣어서 척추의 곡선을 표현했다. 한지를 태운 자리를 척추라 생각하고 남은 콘크리 트를 척추를 감싸는 등 근육으로 표현했다.

31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11

2.

실내건축학과 2학년 노 한 수 시작 : 視作 ( Masion de 70 )

70년대로 돌아가 당시 40대셨던 할아버지, 할머니를 위해 지은 주택이다. 서로 묵묵히 바깥일과 자식농사만 지어오신 두 분을 위해 개인적인 용도로 쓸 수 있는 공간을 두었 다. 각자의 공간에서 열린 문과 창은 거실이나 식당, 마당 같은 가족을 위한 공간이나 배우자의 공간으로 향해 뚫려있다. 이를 통해 시야 안에서 상대방의 모습이 자연스레 풍경처럼 느껴지도록 하였다. 자꾸 바라보면 정이 든다는 말처럼 서로가 마주치거나 바라볼수록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 낼 것이다.

1. 노한수 3. 신채연

3.

실내건축학과 2학년 신 채 연 UNTITLED

4개의 곡선형 덩어리와 그 사이의 직선적인 공간의 조화와 연결를 가장 중요시하고 만 들어진 주택이다. 인체해부도를 그렸을 때 중앙을 가로지르는 혈관 주위를 근육이 둘 러싸고 있는 점에 주목했었고, 그리드를 추가해 재해석할 때에도 곡선의 근육들과 그 안쪽의 직선의 그리드들의 연결에 집중했었다. 그래서 콘크리트와 주택의 형태에도 네 개의 곡선형 근육 덩어리의 형태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2. 노한수


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Architecture 2nd Year

312

erlp structuring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nd Grade | Professor Nomura Chika & Myeon Kim 실내건축학과 2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노무라 치카 김면

1. Main Render Image

고령화, 핵 가족화, 커뮤니티, 문화적 성숙도, 에코 로지, 과학기술의 발전 등의 요소는 우리의 「삶 live」의 형태를 조금씩 바꾸어 가고 있다. 사회적 구조가 달라지면서 「가족의 형태」에도 많은 변 화가 생겨났다. 우리가 거주하는 집은 이런 변화를 받아 들일 수 있어야 하고, 우리는 우리가 살아갈 시대의 거주지의 형태와 가치에 대해 질문을 던져 보아야 한다. 그런 과정속에서 우리의 삶은 더 풍 요로워 지고 , 진화하고 성장해간다. 사회의 변화, 다양한 직업, 개인의 취향, 문화적 현상, 공간의 기 능성을 고려해 각자 시나리오를 설정한다. 클라이 언트의 가족구성원을 구체적으로 설정한다. <나이, 직업, 성별, 취미, 음악과 예술의 취향, 소유한 예 술 작품, 라이프 스타일, 스포츠, 삶의 가치관>을 치밀하게 분석한다. 시나리오에 따라 클라이언트 의 조건을 분석하여 기타 프로그램을 주택과 연계 한다. Elderly Society, nuclear family, cultural growth, ecology, developing science technology changes our lives. The form of family has changed a lot because of changing social structure. Houses we live could accept these changes, we should ask the shape and value of residence in our lives. Our lives can evolve, grow, and rich through this process.Each student establishes their scenario considering social change, various job, personal preference, cultural phenomenon, and functionality of space. And analyzing age, job, sex, hobby, music and art preference, pieces people own, lifestyle, sports, and values of each life. Also, students make a connection of housing with program, considering the condition of client with their scenario.

2. Final Model Top View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13

4. Plan Drawing

1.

3. Final Model Front View

실내건축학과 2학년 김 보 미 HOUSE GARDEN HOSPITAL

심리치료사상담사 폴은 현재 아내와 딸과 행복하

그들만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만들고 치료해주

게 살고있지만 과거의 집이 무너져 부모님을 잃고

는 심리 상담 병원을 운영하게 되었다. 그는 자신

집에 대한 안전성과 복층에 대한 두려움의 트라우

의 병원과 집이 정원을 중심으로 설계된 집을 의

마를 가지고 살아간다. 그는 나무, 자연의 치유 속

뢰하였다. 단층으로 이루어진 공간들, 그리고 집의

에서 자신의 트라우마를 극복하게 되었고, 자신과

PRIVATE, 병원의 퍼블릭한 동선과 공간배치 그리

비슷한 아픔을 가진 사람들을 모아

고 자연을 통해 병원과 집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1st Year

rediscovery and reapplication 건축학부 1학년 1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조한 양원모 홍기섭 김현주 윤혜경 송선화 김주원 강정훈 윤지희라 천경환 박호견 전필준 송윤호 박은주 민시연 민현승 이영문 전상규 전성은 민서홍

314

우리 주변의 오브제와 공간의 관찰을 통해 건축적 분석능력을 키우고, 개념적 사고를 바탕으로 건축 공간을 구현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기본적인 2,3차원 건축표현능 력을 습득한다

The project aims to develop the architectural analysis ability by the observation of space and object around us. Also, students acquire the skill of basic 2, 3 dimensional expressions by various mediums.

1.

건축학부 1학년 최 종 오 Untitled

인공물인 휴대용 가스렌지의 평면도, 입면도를 제도하였고 휴 대용 가스렌지를 켜고 끄는 과정 안에서 불꽃의 크기변화를 분 석해 그래프로 나타낸 뒤 그것을 바탕으로 모델을 만들었다. 그 후 가스렌지 해체를 통해 단면도와 엑소노메트릭 제도하였 고 해체 과정에서 추출한 가스렌지의 규칙적인 기하 구성(다양 한 크기의 원들)을 바탕으로 공간을 구성하였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15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1st Year

316

2.

건축학부 1학년 강 신 Metronome Forest

메트로놈의 주요 부품들이 유기적인 삼각형으로 연결된 것 을 모티브삼아 만든 작품이다. "부품이 공간을 구획하듯, 하나 의 요소가 공간을 분리하고, 그 공간 안에 고정된 세 점을 형 상화한 모듈을 배치하는 동시에 메트로놈의 호 운동을 사용 한다.” 라는 컨셉 하에 메트로놈의 시각적, 청각적 특징들을 나무 기둥으로 생겨난 공간 안에서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

건축학부 1학년 문 재 경 Untitled

인공물 해체를 통해 재봉틀 작동의 핵심부품이라 생각되는 것을 찾았다. 바로 U자 형태의 부품인데, 그 부품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재봉틀의 모든 작동 을 담당하고 있었다. 회전운동이 주된 운동이라고 생각했지만 해체를 하고 보니 왕복운동이 주된 운 동이었다. 1차 모형 때와 같이 재봉틀은 반복운동 을 통한 작동이기에 이번에도 부품을 유닛화 시키 고 이 유닛들의 조합을 통해 반복된 형태의 공간 을 만들었다. 모형에서 흰색의 유닛들이 천을 뜻 하고 검은색 유닛들이 실을 뜻하고 빨간 유닛들이 바늘을 뜻한다. 그래서 모형을 그렇게 생각하고 보 면 천과 실과 바늘로 보일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 진 공간은 실제로는 막혀있는 공간이 아니지만 사 람이 안에 들어갔을 때 공간이라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317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1st Year

318

2. 박세영 4. 김상준

1. 전려진 3. 전려진 5. 김상준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19

6. 심현수 7. 민성혁 8. 한상곤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1st Year

320

1. 이상석 2. 김준 3. 김준 4. 김준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21


Architectural Design

light and space

Architecture 1st Year

322

빛과 공간'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건축거장의 작품을 탐구해보고, 이를 바 탕으로 실제 공간에 '빛과 공간'을 구현해보고자 한다. 1차 과제(개인) 건축 거장의 작품을 통해 '빛과 공간'의 관계를 모형과 도면(단면/엑소노메트릭) 을 통해 탐구한다. 2차 과제(개인/팀) 1차 과제에서 습득한 '빛과 공간'을 바탕으로 건축대학 내 공간에 1:1 구조물을 구현해본다. Case study with the theme named ‘light and space’ and realize ‘light and space’ in the real space. First Project (individual): Students research for the relations between light and space with the models and record it on section and the axonometric of master architects’ work. Second Project (individual/group): Based on the ‘light and space’ studied from the first project, students produce 1:1 scale structures in any space of Wau Building.

건축학부 1학년 2학기 설계스튜디오 | 지도교수 조한 양원모 홍기섭 김현주 윤혜경 양혜숙 김주원 강정훈 윤지희라 박훈 박호견 전필준 송윤호 박은주 송규만 전상규 민시연 민형승 전성은 민서홍

1. Exploded Axonometric

1.

건축학부 1학년 문 재 경 Alvaro Siza_Mimesis art museum

내외부적인 느낌에 알바로시자의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을 선정했다. 직사광선의 유입에 있어서 제한을 받는 미술관의 내부를 간접광을 통해 밝히고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심지 어 낮에는 자연광만으로 내부를 밝힌다. 시자의 미메시스는, 빛을 요리한 건축물이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23

2. Model Picture 3. Model Picture

4.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2.

Architecture 1st Year

324

건축학부 1학년 김 성 준 Peter Zumthor_Therme Vals 1. Model Picture 4. Model Pictur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25

2. Axonometric 3. Axonometric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1st Year

326

3.

건축학부 1학년 윤 지 호 Mario botta_Cymbalista synagogue

마리오보타는 원, 실린더, 사각형 등 원초적인 형 태를 선호기 때문이라는 점과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형태구성 원리로서 원 과 반원형을 즐겨 사용한다. 그는 ‘빛에 대한 갈 증’ 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빛을 건축적 요소 에 많이 이용하고있다. 자신의 건축적 재능의 모 체로서 장소성과 대지의 개념을 강조했으며, 강력 한 기하학적 형태와 홈이 파인 띠로 구성되는 파 사드, 철저하고도 환상적인 디테일, 대칭성, 그리 고 건축재료로서의 붉은벽돌을 선호했다. 1. Exploded Axonometric 2. Sectio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27

3-5. Model Picture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1st Year

328

1. 김건우 2. 최종오 3. 이상석 5. 허주혜

4. 조준석 6. 허주혜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1. 강신 2. 강신 3. 김예나 4. 최종오

329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1st Year

330

1. 정세미 2. 정세미 3. 김균철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4. 전려진 5. 홍소희 6. 강대민

331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e 1st Year

332

1. Studio 3 3. Studio 2

2. Studio 5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33

4. Studio 5

5. Studio 5 6. Studio 6 7. Studio 6


Architectural Design

1. Studio 7

Architecture 1st Year

2. Studio 7 3. Studio 9

334






OTHER DESIGN CLASS

Art Techinique Digital Design Digital Architecture Theory Furniture Design Lighting Design Spatial Composition


Other Design Class

Art Technique

340

Art Technique

건축에 있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미적 감각과 표현능력을 위하여, 미술실기의 다양한 실습을 경험시키 므로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자유로운 사고와 사생의 기본을 익히는데 강의의 목적이 있다. 또한, 건 축과 미술관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미술분야의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함으로 기본적 미적 감각을 높이고자 한다. This class aims to learn the basic sketching and think freely about objects by experiencing various practices of fine art, for ability to express and aesthetic sense, basically needs for architectur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Art Technique

341


Other Design Class

Digital Design

342

digital design

본 과목은 3차원 모델링 어플리케이션과 다양한 그래픽 도구를 효과적으로 응용, 활용하여, 기존에 구현 이 어려웠던 Complex form을 디자인하는 기법을 익히고, 비정형적 형태/공간의 디자인 프로세스와 원리 를 이해하는 과정이다. 주요 활용도구는 라이노이며, Grasshopper scripting 과정이 포함된다. This class is a course that students learn the skills to design complex form, which have rarely been realized so far, by applying and utilizing various graphic methods and 3D modeling applications effectively. Also, students understand principle and design process of free-form space. The main tool of this class is Rhino and Grasshopper is also included in the curriculum.

1. 강서건

2. 이혜나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Digital Architecture Theory

digital architecture theory

343

디지털 건축의 그 역사적 발달과정의 개요적 소개를 통해 그 의미와 새로운 가치를 다양 한 각도에서 생각해 본다. 디지털 디자인 스튜디오는 최근 들어 디자인 툴로써 다양한 실 제 프로젝트에의 적용으로 폭발적인 빠른 발전과 그 무한한 잠재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는 Parametric Design 툴을 소개하고, 이의 활용 가능성을 개인 weekly assignment 와 그룹작 업을 통해 연구한다. Thinking differently about significance and value of digital architecture through the brief introduction of its historical development. Introducing parametric design tools, having been developed rapidly in these days and proved its infinite potential by used in various projects, and studying its applicability through weekly personal assignment and group work.

1. Team2 Installation

2. Team7&8 Grasshopper Logic 3. Team7&8 Installation


Other Design Class

Furniture Design

344

furniture design

가구디자인 수업은 가구 및 오브제의 컨셉, 디자인, 그리고 조립 및 제작을 통해 예술적 사고발달 및 디 자인 철학의 명확한 표현력 향상을 주된 목표로 한다.재료에 대한 접근법으로 수업시간 및 개인 시간을 이용한 탐색, 또는 직접적인 실험을 통한 제안을 권장한다.깊이 있는 개념적 사고와 숙고된 미학적 요소 에 대한 아이디어 및 다양한 제작 방법 연구를 통해 자신만의 가구 및 오브제를 만들 것을 권장한다. When interpreting architecture as the relation between space and objects, most objects are furniture. As the main representation of human life style, furniture history and its details are studies, as well as the modern movements of furniture design. Through such process students can gain the basics of a furniture designer as well as acknowledging the production of furniture.The ultimate goal of the class is to understand the practical and overall processes considering the correlations among designing, producing and marketing as well as to develop practical skills through suitable outputs from the processes.

1. 권재현 김민지 김보미 김진원 신채연 Render Image 2. 장용주 지대성 김민서 신동해 허동호 1:1 Model Picture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Lighting Design

345

lighting design

이 수업의 목표는 빛을 경험적으로 느끼고 이론적으로 이해하여 건축과 공간 안에서 빛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광범위하게 공부하는 것에 있다. 실제 건축 조명 설계 과정을 간접적으로 경험해 가면서 건축과 인테리어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컨셉 초기 단계부터 빛과 공간의 연계성을 가지고 조명을 계획하는 방법 을 배운다. 일반적인 조명에서부터 감성적인 조명까지 아우르며 앞으로의 미래의 빛 환경이 어떻게 달라 질 수 있는지 고민하면서 새로운 빛과 공간에 대한 비전을 알아본다 This class aims at experiencing the light and understanding it theoretically to grasp the role of the light in the architecture and space. As students go through the real light-designing process indirectly, they learn from the point of an interior designer and an architect, how to design the light from the basic concept level. Covering from the general light to the emotional light, students think of the future of light environment and the new vision of light and space.

1. 김정은 박세원 윤영권 Model Picture

2. 전예슬 정애솔 황호선 Model Picture


Other Design Class

Spatial Composition

spatial composition

346

본 수업은 공간을 디자인하는 기본 원칙들을 건물들의 사례를 통해 발견하는 것이 목표이다. 동서양의 고건축과 현대건축을 분석하여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새롭고 독특 한 공간의 아이디어를 3차원의 형태로 표현하는 능력을 배운다.매주 진행하는 주제별 분석 강 의를 바탕으로, 학생들은 핸드드로잉과 컴퓨터 드로잉을 통해 그 건축의 조형 구조와 원리를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물의 내부공간을 유추하여 공간으로 만든다. The goal of this class is to find out the basic rules of buildings in space designing process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By the process of analyzing ancient and modern buildings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expressing them in diagrams, students learn the ability to express the idea of fresh and unusual spaces in 3D shape. Based on the subject lectures every week, students research for the structure and the principle of the building and through hand-drawing and 3D modeling. Also, students make inference of interior space and create it.

1. 우주성 Booklet Cover Image






EPILOGUE

Interview with Professor Hyunjun Mihn Hyunjoon Yoo

Interview with Alumnus Architects Interview with Graduate Exhibitioner Comment from Abroad & Intern Student Atelier & Group Activity Student List Editor's Note


Epilogue

Interview with Professor

352

hyunjUn mihn

Interview with Professor Editor Mingoo Kang Hansu Noh Photo Lin Chimao 교수님과의 대화 에디터 강민구 노한수 사진제공 임치무

Q. 건축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혹시 어릴 때부터 '나는 건축가가

Q. 그럼 학생들이 어떤 생각이나 태도를 가지고 건축을 해야 할까요?

꿈이야!' 라는 생각을 가지고 계셨나요?

지금은 신념이나 소신을 가지고 가는 것이 중요한 시대입니다. 먼저 주위에

사실 아주 어릴 때부터 건축가를 하겠다는 꿈이 있던 것은 아닙니다. 그냥 그

서 왈가왈부하는 것에 끌려가지 말고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찾았으면 좋겠

때는 그리고 만드는 것을 좋아했어요. 무언가를 계속 했지만 그것이 그림이

습니다. 그 일이 설계라면 인내심을 가지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사실 저도 그

될지 조각이 될지 몰랐고, 만들어진 것이 발전소의 터빈이 될지, 교량이 될지

랬지만 건축은 묵묵히 익혀야 하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10년 정도는 해야

는 큰 문제는 아니었죠. 그러다가 대학교에 들어가면서 건축을 좋아하게 만

가시적인 성과가 어느 정도 보이기 시작해요. 그래서 처음엔 힘들 수밖에 없

들어준 선생님이 계셨습니다. 첫 수업에서 미국에서 창고를 개조한 사례들을

죠. 하지만 인생을 길게 본다면 아니, 평생을 걸쳐 할 수 있는 것이 건축입니

슬라이드를 통해 보여주셨는데 우리가 쓰는 창고의 모습과는 전혀 달랐습니

다.

다. 그것들이 인상깊이 다가왔고 그 때부터 건축이 좋아지기 시작했죠. 학과 에 들어가고 나서야 적성에 맞는지 알게 됐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굉장히 운

Q. 요즘은 제 2의 인생이란 말처럼 노후직장을 찾는 경우도 많은데 그런 면

이 좋은 케이스라고 생각합니다.

에서 평생 직업이란 말은 정말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설계 가 아닌 다른 분야로 나가려는 학생들도 많은데요.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적성에 맞지 않거나 건축을 베이스로 다른 분야로 나

Q. 그러고 보면 건축과에 들어와 자신의 길을 확실히 찾은 친구들이 있는 반

가려고 합니다. 물론 건축이 다방면으로 맞닿아 있고 그 프로세스 또한 다양

면, 들어오긴 했지만 적성에 맞지 않아 고민하는 친구들도 주위에 있습니다.

한 분야에 유효한 것이 사실입니다. 몇몇은 다른 분야를 선택해 자신의 적성

먼저 건축을 걸어야 할 길로 정한 친구들에게 어떤 말은 해주고 싶으신가요?

을 찾기도 합니다. 다만 조언을 하고 싶은 것은 '오토캐드를 쓰지 않는' 곳을

우리나라에서 건축설계는 유럽과 같이 건축의 양이 줄어들면서 하향산업이

가라는 거죠. 건축설계만큼 오토캐드를 중요하게 다루는 곳은 없습니다.

될 수밖에 없어요. 이 같은 상황에서 건축가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중국 같 은 수요가 많은 나라로 진출을 하거나 질적인 면에서 보다 수준 높은 모색을

건축설계 외에 쓰는 분야가 있더라도 그건 보조적인 수단이나 편의성을 위한

통해 그 길을 찾아야만 합니다.

것이라 대부분 중요한 직책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건설회사라면 시공이 중 심일테고 개발업체라면 자금의 흐름이나 투자가 그 자리를 차지합니다. 그렇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블루오션을 찾으려고 합니다. 하지만 안타까운 것은 '블

기 때문에 설령 다른 분야를 가더라도 그곳이 갑보다는 을이 중요하고 자신

루오션을 찾으면 된다.'는 생각이 대부분의 학생들을 피바다에 빠지게 한다는

의 실력을 쌓는 보람을 얻을 수 있는 곳이길 바랍니다.

것입니다. 인터넷이나 대중매체에서 '전망이 좋다', '블루오션이다'라고 말하는 것들은 금세 피바다가 되기 마련입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누구나 쉽게 접 근할 수 있으면서 누구나 좋다고 생각하는 정보기 때문입니다. 이런 면에서

Q.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교수님께서 이야기하는 '공원같은 건축'은 어떤 것

뉴스에서 건축설계 경기가 좋지 않다고 보도되는 것을 보면서 천만다행이라

인가요?

고 생각해요.

병원이나 학교를 생각해보면 치료와 교육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람들이 들 어오는 게 어색합니다. 명확한 기능이 있는 건물은 그 기능과 무관한 사람에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53

게는 배타적인 되기 쉽죠. 지금 시대는 소통하고 열어주는 기능이 중요합니

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정보가 넘쳐흐르다 보니 입학하자마자 유명 건축가들

다. 저는 그 기능에 가장 적합한 것이 공원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구에게나 열

과 작품들을 접할 수밖에 없는데 이것이 자칫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왜냐

린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명확히 규정되지 않는 기능의 공간이기도 합

하면 유명 건축가의 작업은 이미 세련되게 포장된 것이기 때문에 비교대상이

니다.

되는 자신의 것을 쉽게 포기하고 본인도 흔들리게 됩니다.

실제로 국립현대미술관의 경우에도 개방형 건물을 만들어 관람 목적이 아닌

그래서 저는 학생들이 세련되고 유행하는 건축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진솔

다양한 이유로 방문하도록 계획했습니다. 관람을 목적으로 온 경우도 있겠지

함이 담긴 일기와 같은 자신의 건축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소박하더라도 스

만 다른 목적으로 근처에 왔다가 우연하게 들어오거나, 주민들은 마을길처럼

스로의 내면에서 만들어진 아이디어들. 가령 어린 시절 우리 집, 이웃집에 대

자연스레 지나다니길 바랐습니다.

한 기억이나 그 안에서 겪었던 경험들, 여행을 하면 느낀 것들은 누가 대신 말해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내 안의 것들이 언젠가는 세련된 모습으로 나 타나 자신을 빛나게 할 겁니다.

Q. 이런 생각에 대한 정리가 언제부터 이루어진 것인가요? 혹시 학창시절에 도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계셨는지 궁금합니다. 학창시절을 떠올려 보면 저는 건축보다 조경을 좋아하는 학생이었습니다. 건

Q. 마지막으로 선배 건축가의 입장으로써 학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해주시

물 자체에 대한 고민보다 건물 밖에 있는 주변 마당에 무엇을 심을까 고민했

기 바랍니다.

습니다. 그렇다고 조경에서 하는 일을 한 것은 아닙니다. 건물이 세워지기 전

사실 학교 수업의 많은 부분은 나중에도 배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대에만

에 주변을 생각하거나 조경과 건축을 같이 생각하는 것은 (조경에서는 보기

지닐 수 있는 감성을 그 무엇으로도 보상받을 수가 없죠. 그래서 저는 1, 2학

힘든) 건축에서 가능한 프로세스입니다.

년의 작업이 4, 5학년 작업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학 졸업 후, 미국 유학 당시, 지도교수가 사회학전공을 했던 분이었습니다.

저도 대학교 2학년에 했던 버스정류장 설계는 아직도 중요하게 간직하고 있

교수님 밑에서 공부를 하다 보니 자연스레 사회학적인 관점으로 건축을 바라

습니다. 그 때 나온 정류장의 모습은 어디서 보고 그린 것이 아니라 아직 내

보게 됐습니다. 어려거나 복잡한 것이 아닌 쉽게 공공의 이야기에 접근을 하

가 유명 건축가들을 잘 모를 때, 내 안에서 많은 시간을 고민하며 나온 마치

면서 공간의 인문학적 가치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됐습니다. 공원 같은 건축

일기와 같은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도 이 때부터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그 외에도 학창시절 설계들을 보면 마치 일기장을 보는 느낌을 받는데 그 때 공원이나 마당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다니고 있을 수 있지만 건물은 목적성을

와 비교해 새로 나온 아이디어는 별로 없습니다. 다만 그 때부터 생각했던 것

가지고 들어가야 합니다. 바깥은 차별이 없지만 건물은 그 기능과 목적성 때

들이 조금 세련되게 다듬어져 있다고 느끼게 됩니다. 감성이란 것은 일생동

문에 차별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조경을 생각한다는 것은 사람들이 목적

안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좋아하는 것도 변하지 않을 겁니다. 그러

없이 들어와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니 지금 좋다고 느끼는 것을 꾸준히 남겨갔으면 좋겠습니다.

그런 면에서 홍대 캠퍼스도 굉장히 좋은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와우 관이 그렇다고 보는데 건축대 학생뿐만 아니라 다른 과 학생들도 있고 심지 어 마을 사람들도 스스럼없이 지나다닙니다. 건물 자체에 컨디션은 열악하지 만, 지어질 당시에 한 건물의 1층으로 들어가서 8층으로 나오는 건물을 생각 했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비교를 하자면 서울대는 완만한 산을 평지로 깎아 건물은 편하게 들어서지만 그 사이에는 계단이 들어서 사람들은 불편하게 다 닐 수밖에 없습니다. 반대로 홍대는 경사지 위에 그대로 지어져 오히려 건물 사이에 자연스레 평지가 들어섰습니다. 그 때문에 휠체어나 카트도 쉽게 다 닐 수 있고 학생들도 편히 다니는 걸 보면 지금 시대에 맞는 캠퍼스고, 그 당 시엔 시대를 앞서 간 캠퍼스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이 자유로이 다니다보니 과의 아이덴티티보다 다른 분야와의 교류가 원활히 이루어진다고 생각합니 다.

Q. 그런 관점에서 보니 학교 캠퍼스가 굉장히 멋있게 느껴지네요. 그렇다면 이번엔 교수님께서 학생들을 가르치실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학생들이 하길 바라는 것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교수의 역할은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 속에 있는 것을 끄집어 내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그것을 남에 게 설득시키는 방법을 터득하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요즘 학생들을 보면서 안타까운 것이 있다면 너무 일찍 유명 건축가의 영향


Epilogue

354

Interview with Professor

hyunjoon yoo

Interview with Professor Editor Mingoo Kang Hansu Noh Photo Lin Chimao 교수님과의 대화 에디터 강민구 노한수 사진제공 임치무

Q.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Q. 프로젝트를 통해 많은 학생들이 '통일'에 대해 생각할 시간을 가졌습니다.

저는 항상 자기소개를 할 때 먼저 최윤아씨 남편, 선재와 승재의 아빠, 소망

이와 관련해 학생들이 통일 바라보아야할 태도 혹은 주의해야할 점이 있다

교회 고등부 교사라고 자신을 소개합니다. 어떻게 보면 가정적인 면만 강조

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하는 것 같지만 그러면서도 하고 싶은 건 다하는 사람입니다. 홍익대학교 교

통일은 안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버렸으면 좋겠어요. 이 생각을 유지한다

수로 있으면서 작은 사무실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면 대한민국 경제는 내리막길로 갈 확률이 높을테니까요. 어떻게 보면 통일 은 우리가 잘 살기 위해서 해야 하는 것입니다. 제가 건축적인 면에서 우려 되는 것은 과거와 같은 답을 찾지 않을까하는 것입니다. 현재 건축분야는 양

Q. 이번에 건축대학에서 60주년을 맞이해서 '통일'을 주제로 'DMZ 평화공간

(Quantity)보다는 질(Quality)로 전환되는 시점이어서 좋은 작품을 내는 소규

계획'프로젝트가 진행되었습니다. 공동작업을 지켜보시면서 어떤 생각을 하

모 사무소도 나오고 자기 디자인으로 성공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

셨나요?

니다. 그런데 통일이 되면 7080년대와 유사한 상황이 될 확률도 높다는 거

사실 '통일과 DMZ' 라는 주제는 제가 학과장으로 있을 때 처음 제의했던 주

죠. 저는 통일을 맞는 세대가 아버지 세대와는 다른 답을 찾기를 바라고 있습

제였는데요, 원래 계획은 1학년부터 5학년까지 전체가 통일에 관련된 주제

니다. 아파트 위주의 개발이 아닌 건축계가 긍정적으로 발전 될 수 있는 다른

다루는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2학년은 북한난민에 관한 주택설계를 한다

답을 내놓기 바랍니다.

면 1학년은 통일에 맞춰서 DMZ 내에 파빌리온을 구상하는 식으로요. 이 계 획이 처음 구상과는 다르게 전 학년으로 실현되지 못하고 3, 4학년 공동작업 으로 진행된 것은 아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전시 자체를 보면 전체적

Q. 교수님의 건축 방향이나 최우선으로 삼고 있는 목표에 대해 듣고 싶습니

인 진행과정도 좋았고 전시진행도 잘 됐다고 생각합니다.

다. 제가 건축을 할 때 벤치마킹하는 사람은 루이스 칸 (Louis Kahn) 입니다. 건 축가들 중에 안도 다다오나, 루이스 칸처럼 시대와 장소를 초월한 영적인 수

Q. 그렇다면 통일 이후에 교수님이 진행하고 싶은 프로젝트가 있으신가요?

준의 건축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제 친구들에게 물어봐도 다다오의 물

DMZ를 보존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습니다. DMZ는 어떻게 보면 한반도

의 교회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었던 것처럼, 누구와도 이야기할 수 있는 그런

의 센트럴파크잖아요? 저는 뉴욕이 발전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건물을 남기는 것이 목표입니다. 루이스 칸은 건축뿐만 아니라 대학(UPenn)

센트럴파크의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센트럴파크 주위로 사람들이 모이게 됐

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기 때문에 교수라는 입장에서도 좋은 롤모델이라고 생

고 그 주변은 뉴욕에서 가장 비싼 지역 중 하나가 됐죠. 이러한 모습을 한반

각해요. 가르친다는 것은 학생들의 생각만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도 함께 발

도에 대입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DMZ를 남북한이 함께 보존을 한다면 자

전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하고 삶을 이끌어가는 원동력이 되기도 하죠.

연스레 엣지(edge)부분이 발전할 겁니다. 동쪽에서 서쪽까지 이르는 라인을 따라 디자인 된 선형(linear) 도시를 만들었으면 한다는 생각이죠.

궁극적인 목표는 프리츠커상을 받는 겁니다. 현재 생각하는 경쟁자는 45살의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55

Tadao나 45살의 Rem Koolhass, 45살의 Louis Kahn이에요. 45살의 Kahn

히 들을 수 있는 수업이라 그런 것 같아요(웃음), 그리고 여학우들이 많은 건

보다는 나은 것 같지만 45살의 Tadao에는 한참 못 미치는 것 같아요(웃음).

미대학생들 중 여학우들이 많아서 그럴 겁니다. 제가 이 수업에 애착을 가

그런 면에서 갈 길이 멀다고 생각됩니다. 건축이라는 것은 혼자 할 수 있는

지는 것은 건축이 좋아지려면 건축주가 좋아져야한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건

것은 아니고 사무실 인원들과의 팀워크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대리에게

축가는 누구에게 배우는 것이 아닌 스스로 공부하는 것이고 오히려 잠재적인

'Tadao 사무실 대리나 sou fujimoto 사무실의 대리 수준으로 해야 따라갈 수

건축주를 교육하는데 관심을 쏟아야 합니다. 모든 국민이 건축주가 될 수도

있지 않겠느냐, 하물며 매스스터디 대리 정도는 해야지!' 라고 얘기한 적이 있

있는 것이잖아요? 왜냐하면 내 집을 짓는 사람도 건축주지만 카페를 고를 때

어요. 자기의 잠재력을 끌어낼 수 있는 사무실이 되게끔 하고 싶고, 저 스스

에도 정책을 보고 투표를 할 때도 건축주의 사고방식을 가지게 됩니다. 그래

로도 그러고 싶습니다.

서 설계수업이상으로 애착을 갖는 수업입니다.

Q. 블로그나 페이스북을 보면 영화나 재미있는 기사에 대한 코멘트가 있는데

Q. 마지막으로 선생님으로써 어떤 모습으로 학생들에게 기억되길 바라는지

평상시에 관심을 두고 계신 것이 있으시거나 건축 이외에 흥미를 가지고 계

듣고 싶습니다.

신 것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어려운 질문인 거 같은데, 선생님으로서는 자극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

영화도 좋아해서 건축가가 아니라면 영화감독 했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건축

나도 저 사람처럼 되고 싶다'는 생각을 들게 만드는 것입니다. 제가 따뜻한

을 해보니 영화보다 건축이 10배 나은 거 같아요. 건축에 이토록 매력을 느

교수님이 되기는 어려울 것 같고 그것보다도 친구 같고 동료 같고 학생들이

끼는 건 제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관심이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건축

가야할 길을 먼저 간 사람인 입장으로써 선배 같은 교수가 되고 싶어요.

은 눈에 보이는 걸 만들고 추상적인 개념을 시각화시키는 과정을 겪지만, 실 제로는 그 안에 담겨진 보이지 않는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주택

그래도 학생들이 자기 자신을 높게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요. BIG나 UID

을 지을 때는 좋은 집이 짓는 것이 아닌 좋은 가정을 만들고 싶은 것이 목표

를 보면 어리지만 대단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데, 특히나 UID는 젊은

가 되는 것처럼 말이죠.

그룹인데도 전에 보지 못한 퀼리티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을 보면 갈 길이 멀다고 느낍니다.

요즘 신문(매일경제)에 매주 글을 쓰다 보니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드 는데 글도 건축만큼이나 훌륭하다고 생각돼요. 글 잘 쓰는 사람들은 랩탑 같 은 도구만 있으면 전 세계 어디서든지 글을 쓸 수 있고, 번역만 된다면 누구

Q. 신년계획 & 인터뷰 마무리

나 즐길 수 있어요, 역사로도 볼 수 있듯이 글은 인류가 멸망하기 전까지 남

올해는 학교에 어떻게 잘 적응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아 있을테고, 상대적으로 돈이 적게 들기도 하죠. 자신을 드러낸다는 면에서

큰 목표이고, 허리가 안 좋아서 쉬었던 것인데 오히려 수술 전보다 좋아진 것

는 오히려 건축보다도 좋은 매체라고 생각해요.

같네요!

Q. 학생들을 가르치실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학생들이 대학시절에 했으 면 좋을 것들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제 입장에서는 교수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제 대학시절 에는 지금처럼 인증 커리큘럼이 아니어서 어느 정도 자유로움이 있었는데 그 게 좋았습니다. 읽고 싶은 책을 읽으며 하고 싶은 공부를 하는 거죠, 시간이 오래 걸리긴 해도 독창적인 생각을 만들 수 있는 기회였다고 생각해요. 그래 서 수업시간에 크리틱을 짧게 하는 것을 선호하고 나머지 시간에 본인이 고 민할 수 있게 풀어놓는 스타일이지만 그만큼 학생들 스스로 완성시켜야 하는 부분에는 바라는 것이 많습니다. 가급적이면 학부시절에는 건축 관련 책을 안 읽었으면 좋겠어요. 자신의 생 각을 깔대기로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어떤 사람에게 너무 많은 것 을 배우면 그 사람을 뛰어넘기 힘듭니다. 예를 들어 렘 쿨하스를 뛰어넘으려 면 그의 책을 다 읽는 것이 아니라 그가 오리진 소스로 삼았던 책들을 읽고 그것에 대한 해석이 다르게 나와야 하죠. 더불어 학생들에게 강조해 말하고 싶은 건 젊었을 때 꼭 해봐야 할 것 중 하나가 사랑의 큰 아픔을 겪어보는 것 이고 한 명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면 여러 명의 사람을 만나보라는 겁니다.

Q. 건축대 수업외에도 교양수업으로 '현대 건축의 흐름'을 강의하고 계시는데 이 수업을 들은 미대 여학우들의 찬사 끊이질 않습니다. 혹시 특별한 방법이 있으신 건가요? 학생들이 이 수업을 좋아하는 이유는 노트필기가 없고 사진자료가 많아서 편


Epilogue

Interview with Alumnus Architects

356

su:mvie architects Interview with Older Alumnus Architect Editor Hansu Noh Photo Lin Chimao 선배건축가와의 대화 에디터 노한수 사진제공 임치무

Q.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결과물들은 지금도 생각이 날 정도입니다.

안녕하세요. SU:MVIE (숨비) 건축 대표 김수영 입니다.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를 91학번으로 졸업하고, 경기대 건축대학원을 마친 뒤 지금까지 꾸준히 실

생각보다 '잘했구나' 하는 일이 많아서 다행이네요. 조금 후회하거나 아쉬운

무를 해왔습니다. 2010년에 독립하여 SU:MVIE (숨비) 건축을 운영하고 있습

것은 위에서 말한 것처럼 여러 사람들과 교류하지 않은 점이에요. 실제로 대

니다.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긴 하지만, 대학교 때처럼 사람과 친해지고 진실된 교류를 할 기회가 많지 않았습니다.

Q. 숨비가 갖고 있는 의미(아이덴티티)는 무엇입니까? 숨비는 제주도 방언에서 가져왔어요. 해녀들이 물속에서 있다가 올라올 때

Q. 저희보다 선배이시지만 건축계에서는 젊은 나이에 속한편인데, 스스로가

압력차가 생기는데 폐에서 그걸 완화하려고 휘파람 같은 소리가 나는데 이걸

발전을 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이나 노력하는 것들이 있다면?

숨비소리라고 합니다. 어감도 좋지만 의미를 곰곰이 생각해보면 더 좋은 것

젊은 건축가상을 받기는 했지만 '나이든 젊은' 이라고 다른 인터뷰에서 말했

같아요. 숨을 참고 바다에 들어갔다가 물 밖으로 나오면서 숨을 내쉴 때 나는

던 것처럼 딱히 젊은 나이는 아니에요. 예전과는 다르게 젊은 건축가들이 이

소리, 어떻게 보면 이 과정들이 건축과 비슷하다고 느껴져요. 건축은 매체에

른 나이에 데뷔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요. 그런 면에서 젊은 건축가는 꾸

서 포장되는 것과 다르게 사람들 간의 마찰도 생기고 쉽지 않을뿐더러 어느

준히 나올 수밖에 없는데 오히려 제가 걱정되는 부분은 나이든 건축가들의

때는 묵묵히 참아내는 것도 필요하죠.

자리가 없어진다는 거에요. 특히나 우리나라는 70 ~ 80대가 돼서 활동하는 경우가 극히 드뭅니다. 일반적으로 60대만 되어도 맡게 되는 프로젝트의 수

(의미를 잘 모르더라도) 외국어가 흔히 쓰이는 요즘에 순 우리말로 지어진 이

자체가 달라집니다. 건축가는 경험과 시간이 필요한데 외국처럼 노장건축가

름이어서 그런지 더 돋보이는 면도 있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들어본 말이 아

들이 환영받지 못하고 빨리 늙어가게 되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니어서 가끔 되묻기도 하지만 쓰면 쓸수록 좋아지는 이름인 것 같아요. 발전을 하기 위해 항상 공부하죠. 건축에서 저의 관심사는, 조금 보수적으로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빛과 공간입니다. 사람들이 바라보는 건물의 이미지나 Q. 학교에서 마스터-시다, 작업실 등 선후배간 교류가 있습니다. 학교에서의

표피보다 훨씬 중요한 것들입니다. 원하는 공간과 빛의 효과를 구현하기 위

교류가 사회에서도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해서는 수치적으로 매우 정확한 치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저희 사무실에

사실 학교 다닐 때는 친하게 지내는 선후배가 많이 없었어요. 작업실을 하면

서는 끊임없이 이 치수에 대한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도면을 통한 스

서 알게 된 몇몇하고만 친했었죠. 학생회 학술부장을 했었지만 주어진 일과

터디를 할 때에는 반드시 치수가 기입된 도면을 활용하고, 또 작업을 진행할

는 별도로 학생회행사에 참여도 잘하지 않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때에도 2100mm 인지, 2400mm 인지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려고 노력합니

MT나 OT도 잘 가지 않았어요. 그래서 넓지는 않지만 자연스레 사람들을 깊

다.

게 사귈 수 있었죠. 그 때 친했던 동기들이나 작업실 사람들과는 지금도 친하 게 지내요. Q. 얼마 전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협력적 주거 공동체> 전시를 하셨는 오히려 학교 선후배라면 요새 더 잘 알게 되었어요. 사회에 나가서 같은 출

데, 이러한 전시가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합니

신, 같은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몇 분 만나게 될 기회가 생기더군요. 어

다.

쨌든 사회생활을 하면서 느낀 것 중 하나는 대학생 때가 좋고 즐거운 시기라

제가 했던 전시에 대해 간략히 소개드리면, '공유'라는 소주제를 가지고 아파

는 거 에요. 그래서 다시 돌아가고 싶단 생각이 들어요. 대학생시절 만큼 하

트라는 주거 형태를 통해서 협력적인 주거 공동체를 구현하자는 것이었어요.

고 싶은 것을 다 할 수 있는 시기가 없거든요.

아파트 3개 층을 단위로 하여, 각 층의 아파트들이 3분의 1에 해당하는 공간 을 수직으로 공유하고, 이 공간에 달빛을 끌어들여 3개 층 모두에 풍요로움 을 만들어주고자 했습니다.

Q. 학생 때 후회했던 일이나, '아! 내가 이걸 하길 정말 잘했구나' 라는 경험 이나 기억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번 전시를 하기 1년 전부터 아파트에 관한 연구와 실험을 지속적으로 해오

굳이 몇 가지를 말하자면, 학생 때 수업을 꾸준히 나가면서 열심히 듣지는 않

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관심을 그대로 전시에 녹여보자는 취지에서 여러 주

았어요. 대신에 도서관을 자주 다녔었죠. 그 당시에 홍익대학교 도서관은 다

거 형태 중 아파트를 선택하였습니다. 저도 지금 아파트에 살고 있지만, '옆집

른 학교에 비해서 미술과 건축에 관한 서적의 보유량이 엄청났고, 정기간행

이나 윗집과 협력적인 공동체를 형성할 필요가 있을까?' 라는 고민을 했습니

물도 많았습니다. 도서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책을 읽은 경험들은 현재

다. 하지만 우리의 현재 생활태도(앞집에 누가 사는 지도 모르는 현실)를 돌

까지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또, 도서관에서 책을 보는 것 이외에

아보면, 분명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했고, 각 세대주가 자기 집의 3분의 1을

소장하고 싶은 책들은 꼭 사서 모아두었죠. 이때의 습관이 지금까지도 이어

공유하게 되면서 지금보다 훨씬 풍요로운 삶이 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져, 지금의 저를 만드는 기초가 된 것 같아요. 그리고 과 사람들 끼리 여러 종

러한 제안이 얼마 만큼의 지속가능성과 실현가능성이 있는지는 미지수 이지

류의 스터디를 많이 했어요. 서양사에 관한 스터디와 거장들의 작품을 파헤

만, 젊은 건축가들이 '협력'과 '공유'라는 주제에 점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

쳐보는 스터디 등 학생들 끼리 준비를 해 와서 공유하고 탐구하는 과정들과

기에 긍정적인 미래가 기대됩니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57


Epilogue

Interview with Graduate Exhibitioner

358

Sungkyun Kim Interview with Graduation Exhibitioner Editor Mingoo Kang Hansu Noh Photo Sungkyun Kim 졸업전시우수자 인터뷰 에디터 강민구 노한수 사진제공 김성균

건축학전공 07 김성균 Education & Activities

14 MAR - JUN Chairperson of 58th graduation exhibition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12 SEP - DEC 09-11

Junior Student Representative Military Sevice

08 SEP - DEC

Chairperson of Hongik univ.

Film club ' Sound of Light '

07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Admissions

Awards

14 JUN Outstanding works in the 58th graduation exhibition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Experience 15 JAN

-D.I.A.N.

14 SEP - DEC Internship : D.I.A.N.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59

Q. 안녕하세요. 홍익대학교 건축학부입니다. 먼저, 이 글을 보시는 분들께 자

이 어떤지 아무도 모르는거죠. 이미 졸업하고 다른 길로 걸어 나가 즐거운 삶

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을 살고 있는 친구들을 보면, 5년이라는 시간이 길긴 하지만 스스로 위축되

안녕하세요. 제 자기소개를 어떤 분들이 읽어 주실지 궁금하네요. 저는 좋았

고 과소평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던 20대의 대부분을 우중충하고 좁은 설계실에서 보내다가 지금은 설계사무 실을 다니고 있는 홍대 건축학부 07학번 김성균이라고 합니다. Q. 그렇군요. 이 글을 읽고 있는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 다. 학창시절에 대한 말씀을 좀 들었는데 혹시 학교를 다니면서 보람찼던 일 Q. 네 반갑습니다. 김성균씨의 설계실에서의 모습이 어땠는지 궁금한데요,

과 후회되는일, 학교생활과 관련되어 후배들에게 조언하고 싶은 것이 있으신

신입생때의 나와 지금의 나는 어떻게 다른지, 또 10년 뒤 나는 어떤 모습일

가요?

지 듣고 싶습니다.

보람찼던 일이라 하면 아무래도 졸준위원장을 한 것입니다. 그리고 가장 후

신입생 때면 벌써 7~8년 전이네요. 그때는 정말 열정이 가득했습니다. 아마

회하는 것도 줄준위원장을 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4개월을 고생하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렇듯 모든 것을 할 수 있을 것 같았고, 뭐든지 배우려

며 준비한 전시를 많은 사람들이 찾아주고 좋아해줘서 고생한 시간을 보상

고 했습니다. 논스톱과 같은 낭만적인 대학생활을 하게 될 것이라는 꿈에 부

받는 기분이었습니다. 반면 그 고생한 시간들이 너무 힘들었기 때문에 당시

푼 시기였죠. 그 시기에는 교수님들 한마디 한마디에 울고 웃었으며, 책에서

에는 수십번이나 후회하기도 했어요. 지금에야 다 추억이라 웃고 얘기하지만

본 어쭙잖은 건축지식을 가지고 밤새 이야기를 하며 시간을 보냈습니다. 사

그때는 잠을 잘 못 잘 정도였고, 전시 2주 전에는 개인 전시를 준비할 시간이

실, 그때나 7~8년이 지난 지금이나 별반 달라진 것은 없는 것 같아요. 여전

없어 마음만 조급해 매우 큰 스트레스로 다가왔었죠.

히 건축을 하고 싶다는 열정은 그대로이며, 지금도 마음 맞는 친구와 건축지 식으로(예전보다는 덜 어쭙잖은) 이야기를 많이 나눕니다. 달라진 것이라고

학교생활 중에 후배들에게 추천할 만한 일이 있다면 이 또한 졸준위원장 자

하면 나이 앞에 붙은 숫자가 2에서 3으로 변했다는 것과, 이제는 학생이 아

리입니다. 물론 전시 전까지 후회의 연속이지만, 언제 100여명을 데리고 전

니라는 것? 인턴을 포함해 네달 정도 밖에 일을 안했지만 벌써 학생이라는

시를 해보겠어요? 이런 기회는 두 번 다시 없을 지도 모르는거죠. 더구나 졸

신분이 정말 좋다는 느낌이 많이 들어요. 그리고 슬프게도 이제는 체력이 달

준위원장 자리는 경쟁률도 적어서 4년간 무난히 학교생활을 했다면, 손쉽게

려서 밤을 잘 못 샌다는 점뿐입니다.

얻을 수 있는 자리에요. 혜택도 좋아서 거액의 장학금을 현금으로 줍니다. 이 장학금은 졸업전시 자금으로 매우 유용해요. 장난 반 진담 반으로 하는 이야

10년 뒤라... 솔직히 잘 상상이 안가네요. 신입생때만 해도 제가 졸업준비위

기지만 이 자리는 졸업전에 꼭 해 볼 만한 경헙입니다. 모둔게 끝나면 추억이

원장이 되어서 졸업전시를 기획하게 될 줄 몰랐고, 그때는 정말 설계를 못했

고 좋은 일들 밖에 없어요. 이걸 해 보면 나 자신이 어떻게 학교생활을 해왔

기에 졸업설계 우수자로 뽑히게 될 줄 몰랐습니다. 지금도 그때와 마찬가지

는지 알 수 있음과 동시에 큰 보람을 느끼게 될 거에요.

로 10년 뒤의 모습이 상상이 안돼요. 다만 이제껏 그래왔듯이 묵묵히 건축을 계속할 것이라는 점만 알 뿐이죠. 5년동안 배워 왔어도 아직 건축이 뭔지 잘 모르니 어떤 건축을 하고 싶은지 또한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롤모델로 삼는

Q. 인터뷰자가 학생회장인데, 학생회장이랑 같은 반 했던 2011-1학기 생각

건축가들이 몇 분 있기 때문에 그분들과 비슷해지려고 노력하지 않을까 싶습

나는지요?

니다.

당연히 기억한다. 막 복학해서 어리버리하고 있을 때 학생회장이 많은 도움 을 주었다. 저녁 늦게 전화해 설계수업을 어떻게 따라가야하는지 물고 또 물 어보았을 때 친절히 알려 준 걸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 그 당시의 기억 때문

Q. 네. 잘 들었습니다. 김성균씨처럼 꿈에 부푼 대학생활을 하는 후배들이 많

에 설계를 계속하는 것 같다.

을텐데요, 혹시 졸업생으로써 후배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나요? 아 이런 질문들이 가장 난감합니다... 사실 몇 달 전까지만 해도 같은 공간에 서 과제를 하기 급급하다가 이제 막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이 해줄 수 있는

Q. 졸업설계 우수자로써, 졸업설계 외의 다른 설계들 중에서 가장 기억 남는

말이 뭐가 있을까 싶습니다.

것이 있나요? 딱히 가장 기억나는 설계는 없어요. 졸업을 하는 이 순간까지도 매 설계시간

굳이 하나 이야기를 하자면, 자신을 과대평가도, 과소평가도 하지 않았으면

마다 교수님들께 혼났던 기억이 많고, 설계수업자체가 힘들었어요. 그래서 설

좋겠다는 것입니다. 둘 중 하나를 택하자면 정말 과소평가를 하지 말라고 하

계는 내 뜻대로 되었던 적이 많이 없었고, 그래서 딱히 기억에 남는다고 자

고 싶어요. 분명 설계수업을 듣다보면, 자신보다 뛰어난 친구들에게 자격지심

부할만한 설계가 없는 것 같아요. 하지만 기억에 남는 설계반은 하나 있습니

을 느끼게 되기도 하고, 여러 교수님들께 혼나면서 위축되기도 합니다. 우선

다. 3학년 2학기 때 운생동(?)의 신창훈 교수님 수업을 들을 때였습니다. 그

제 자신이 그랬습니다. 그래서 설계수업을 듣는 것이 매번 고역이었고, 다음

때 이상하게도 그 반에는 소위 설계를 잘 한다는 친구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날 있을 설계수업이 걱정돼 잠을 잘 자지 못할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럴

그런 친구들과 같이 수업을 듣는다는 것이 즐거웠고, 그 반의 소속이라는 것

때마다 스스로를 과소평가하지 않으면서 의식적으로 위축되지 않으려고 노

도 좋았습니다. (슬프게도) 남자밖에 없는 반이라 단합이 잘되어 이것저것 많

력했습니다. ( 사실 버틴다는 말이 맞을지도 모른다. 정말 5년동안 버티고 버

이 하면서 좋은 기억들만 남은 것 같기도 하네요. 그 반이 뇌리에 박힌 또 다

텨냈던 것 같다.) 아마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건축을 하고 설계를 한다는 것

른 이유는 처음으로 설계 수업을 들으면서 누굴 부러워 해 봐서 인 것 같습

에 대한 즐거움을 찾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사회에 나가 설계

니다. 그 반을 하기 전까지는 학생들은 다 고만고만하다고 생각했어요. 비록

회사에서 일을 하는 사람이 이런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 우스울지 몰라도 저

내가 잘 못하더라도 그건 약간의 노력 차이나 관점의 차이라고만 생각했습니

스스로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어요. 물론 설계에 뜻이 없는 사람 또한 마찬가

다. 하지만 다른 친구들의 감각과 기발한 아이디어, 여러 표현능력과 생각 등

지에요. 건축대학이라는 틀 안에서만 위축될 뿐이지, 다른 틀에서는 그 사람

은 제가 가지지 못한 것이었고, 몇 주도 체 지나지 않아 그 친구들이 부러워


Epilogue

36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61

졌어요. 지금 생각해봐도 역시 그 친구들의 장점들은 부럽네요. 그래서 5년이

Q. 후배들에게 진정한 꿀팁이네요. 아까 졸준위원장에 대한 말을 많이 해주

란 시간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반으로 꼽을 수 있어요.

셨는데, 졸준위원장 경험이 어떤식으로 도움이 되고 보람찼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까요? 졸준위원장의 가장 큰 매력은 전시를 주도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많게는

Q. 와.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말처럼, 항상 겸손한 모습을 보여주

100여명의 학생들이 저와 졸준위가 기획한 컨셉에 맞춰 전시를 하는 모습을

시는군요. 다시 졸업작품에 대해 질문할게요. 졸업작품을 할 때 힘들었던 점

볼때의 벅찬 감정은 말로 표현을 못하죠. 그리고 또 다른 매력은 많은 사람들

이 있다면 무엇이었나요? 매우 큰 작업인데, 금액이라던가 일손 부족이라던

을 알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것저것 기획하다 보면 평소에는 알지도 못했을

가... 혹시 학생회장인 제가 도와주러가지 못했는데 삐지신건 아니죠?

친구들과 교수님들을 알 수 있게 되며, 특히 교수님이나 졸업한 선배들과의

어떻게 아셨죠?^^ 농담이고요, 졸업작품 할 때는 역시 금전적인 부분이 힘

만남은 앞으로의 진로에 큰 도움이 될 겁니다. 그냥 풍문으로 들었던 졸업 수

든 것 같아요. 평생에 몇 번 없닌 기회이기 때문에 많은 친구들이 욕심을 냅

의 일들을 자세히 알 수 있으며, 실제로 저같은 경우에도 잘 알지 못했던 선

니다. 저 또한 무리를 해 평소 마감할 때 쓰는 금액의 다섯배 정도를 쏟은 것

배와의 만남으로 지금의 직장에서 일을 할 수 있게 되었죠.

같습니다. 이제야 생각해보면 그때 돈을 좀 모아둘 걸 하고 후회도 합니다. 그러니 기회가 있을 때 술 값좀 아껴서 돈을 모아놓으라고 후배들에게 일러

그러나 한기자 하고 싶은 말이 있습니다. 지금에야 다 지나고 작년 졸업전시

주고 싶네요. 그리고 졸업전시가 다가오면 아무래도 도와줄 사람이 부족해요.

도 잘 되어서 좋은 추억으로 기억되지만, 졸준위원장은 정말 힘들어요. 여러

평소에 친구관계도 소홀히 하지 말고 잘 해주길 바래요. 그리고 한가지 팁이

사람들과 시간에 쫓겨 자기 일도 제대로 못하는게 다반사입니다. 그러니 다

라면 휴학생이나 군대갔다 온 친구들은 한 학기 전에 미리 섭외해놓으면 졸

음 졸준위원장에게 잘 대해주세요. 누가 될지 모르겠지만 글로나마 위로를

업전시 오프닝에 본인의 모델이 없는 불상사를 면할 수 있을 겁니다.

보냅니다.

건축학전공 07 김성균 fnzod2@naver.com


Epilogue

362

Interview with Graduation Exhibitioner

HOjAE LEE Interview with Graduation Exhibitioner

건축학전공 07 이호재

Editor Mingoo Kang Hansu Noh Photo Yousub Song

졸업전시우수자 인터뷰 에디터 강민구 노한수 사진제공 송유섭

Education & Activities

12-13 Student Presedent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11-12 Junior Student Representative 08-10 Military Sevice (Public service personnel) 07-08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rchitecture Major 06-07 Whimoon High School, Seoul, Korea 03-05 McLean High School, Virginia, USA

Awards

14 JUN Graduation thesis : Honorary Selection 12 OCT Space Prize : Honorary Mention 12 FEB Gulup Island International Architecture Competition Top5 selection

Experience

15 JAN - Internship : Hyunjoon Yoo Architects 14 JUN - SEP Internship : OBBA, Seoul 13 MAR-14 JAN Intership : KPF NewYork 12 NOV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11 JUL-SEP Seoinn Design - Architecture Model for Competition 11 MAY English Translation of Graduation Theses of Yonsei University Collage of Nursing 08 JUN-SEP House Construction Volunteer : Goesan County, ChungCheongbuk-do, Korea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63

Q. 자기소개!

결국 자신이 관심이 있는 것에 프로가 되어 있는 친구들은 어디론가 갈 곳이

안녕하세요, 07학번 이호재입니다. 입학 한지가 엊그제 같았는데, 어느새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사회가 주어주는 과제들을 따르지 말고, 자신이 원하는

마지막 학년을 마치고 졸업을 앞두고 있네요. 와우관 만큼 편하면서 괴로

목표를 알고 그것에 열정적으로 따라가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점인 듯싶습니

운 곳은 없었는데, 이제는 학교를 들러도 예전 같은 편안함이 없어져서 많

다.

이 아쉽습니다. Q. 학교 다니면서 보람찼던 일과 후회되는 일, 학교생활 중에 후배들에게 이 Q. 신입생 때의 나와 지금의 나는 어떻게 다른지, 10년 뒤엔 어떤 모습을

것만큼은 꼭 했으면 좋겠다는 것이 있다면? (KPF 경험)

꿈꾸시나요? (건축을 계속 한다면 어떤 건축을 하고 싶은지, 다른 분야라

학교를 다니면서 가장 후회된 것은 여행을 많이 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이

면 어떤 모습일지)

번 방학엔 봉사활동을 해보고, 그 다음엔 공모전을 해보고 싶고, 그다음 어쩌

신입생 때는 목적 없이, 철없이 놀았습니다. 학교는 친구들을 만나고 노는

고 하면서 계속 적당한 기회를 만들지 못했던 것이 가장 아쉽습니다. 시기적

곳으로 더 가까웠었고, 성인이 된 자유를 만끽하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수

으로나 금전적으로 부담스러운 여행임은 분명하지만, 이제 와서 보면 6개월

업은 언제나 뒷전 이었습니다. 지금도 많이 달라진 것 같진 않지만 (듣기

과 5백만 원은 그렇게 큰 시간이나 돈이 아닌데 왜 그때는 고작 그것 때문에

싫은 수업은 통과할 정도만 했었어요...), 그래도 이제는 제가 무엇에 관심

망설였는지 한탄스럽습니다.

이 있는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조금 더 명확해진 것 같습니다. 꼭 했으면 좋겠는 것은 KPF 인턴입니다. 제가 지원했었을 때도 그랬고, 그 이상적으로 생각한다면, 10년 뒤의 저는 막 사무실을 개장 하지 않을까 싶

다음에 간 친구들 얘기를 들었을 때도 비슷했던 것이, 아무도 지원을 하지 않

습니다. 제 목표가 사무실을 차리는 것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지만, 손발이

는다는 것입니다. 2명을 뽑는 자리에 평균적으로 4~5명이 지원하는 꼴이니,

잘 맞는 파트너와 함께 한국이든 아니든 어디선가는 분명히 독립을 준비

밑져야 본전인데 왜 안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하고 있을 것입니다. KPF는 저조한 경기 속에서도 그 규모를 거의 유지하고 있는 회사 중 하나입 어떤 건축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는 예측하기가 어려운데, 그래도 제가 관 심이 있는 부분은 도시 현상을 계속 관찰하고 데이터를 축척하는 것이 가 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자료가 많을수록 보이는 것이 많아지기도 하고, 영감을 줄 수 있는 부분인 듯싶습니다. 흔히 사전연구, 사전조사라고 하면 대체로 많은 노동을 요구하고 지루한 작업으로 생각하는데, 이런 작업이 선행되어야 과감한 디자인이나 혁신적인 생각에 설득력을 더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미친척하며 기괴한 형태를 만들거나, 꼼꼼하게 다듬어 세련 된 비율을 찾아내는 작업은 누구나 할 순 있지만, 그 작업이 자신만의 만 족을 넘어서 후대에게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단순한 ‘만들기’만으로는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결론 적으로는 책을 지속적으로 쓰는 건축가가 되고 싶습니다. 그 책들은 대중이나 비전공자를 위해서 쉽게 풀어쓴 책들이 아니라, 건축이나 도시 에 관한 제 생각들을 개연성 있게 강력히 주장하는 서적들이었으면 합니 다. 다시 말하면, 완성된 제 작품들보다 다른 이들에게도 영감을 줄 수 있 는 드로잉, 모형, 콜라주, 그리고 자료들이 집대성 되어 있는 서적이었으면 합니다. Q. 후배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 있다면? 관심이 있는 분야에는 깊이 파고 들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가장 중 요한 것 같습니다. 각기 다른 길들로 가는 친구들을 보면서 들었던 생각은

니다. 그들이 하고 있는 디자인에는 제가 코멘트 달 순 없겠지만, 회사가 어


Epilogue

364

떻게 운영되고 있는 지나, 어떻게 효율적으로 디자인 과정을 이끌어 나가는

기를 하면서 읽혀지는 주제들을 찾아나가는 작업을 했었습니다. 그렇게 사전

지를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우리가 학교에서 설계를 열정적으로 하

조사를 한 이후에 본격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물리적인 공간을 디자인

는 만큼 일을 열심히 하면서 동시에 야근을 강요 하지 않는 회사를 상상해

했었습니다. 셋의 관심사가 전혀 달라서 읽는 책도 다르고, 거기서 읽어내는

보십시오. 이는 물론 문화적 차이도 있겠지만, 적어도 제가 경험해 보거나 지

것도 달랐지만, 모두 열정적으로 임하고 팀플레이를 성숙하게 했던 것이 가

인들에게 들어본 어떤 사무소보다도 효율적으로 일하고 있는 것은 분명했습

장 큰 원동력이었던 것 같습니다. 어느 누구도 대충 하지 않았고, 말 그대로

니다. 설계를 꿈꾸고 있는 학생들이라면, 자신의 사무소를 운영하는데 KPF에

계급장 떼고 싸울 수 있었고, 패배를 인정하고 지원 해줄 수 있는 마음가짐으

서 인턴 하는 것은 분명히 이득이고 휴학을 수반할 가치가 있음은 분명한 일

로 디자인 했었습니다.

입니다. 결과적으로는 입선하는 결과로 끝마쳤지만, 그 과정이 제가 했던 어떤 작업 더하여 뉴욕에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생활이나, 너무나 수월해지는 여행 기

보다도 이상적으로 이루어졌었고 앞으로도 계속 추구하고자 하는 작업 방식

회는 두말할 것도 없습니다. 가는데 돈이 부담스럽다고 하는 경우도 봤는데,

인 듯싶습니다. 아무래도 학교 작업은 학점 때문에 대범하게 생각하기 어려

비행기 표 값이나 정착 비용 정도는 한두 달 일하면 금방 갚습니다. 꼭 쓰고

울 뿐만 아니라, 설계에만 집중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더욱이 기억에 남았던

두 번 쓰시고 졸업하기 전까지 쓰세요.

것 같습니다.

Q. 인터뷰자가 학생회장인데, 학생회장 경험자로써 어떠셨는지 !

Q. 졸업작품 할 때 힘들었던 점? (금액이라던가, 시다 인원이라던가)

저는 2012년에 건축학과회장으로 당선되어 학과회장 활동을 했었습니다. 대

졸업 작품을 준비 했을 때 가장 힘들었던 점은 제 자신이었습니다. 조금 오

학 회장하고 긴밀하게 협업하면서 학교 행사들을 치르기도 하고, UAUS나 미

글거리는 표현이기는 하지만, 진짜 저 말이 무슨 말인지 알겠더랍니다. 제 인

대교류와 같은 활동들도 구상하고 실행해보기도 하면서 전반적으로 힘들었

생의 역대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 마감일이 다가오는데, 몸은 너무 피곤하고,

지만, 그만큼 보람찬 활동들을 했습니다. 사실 학생회장을 했다고 하면 운동

과연 내가 꿈꾸었던 대로 마감을 할 수 있을까 하는 불안함을 이겨내는 것이

권이냐며 색안경을 끼고 보는 분들도 있고, 그렇게 남들이 알아주는 이력은

가장 힘들었습니다. 하지만 그럴 때에 같이 도와주는 든든한 시다들과 친구

아닙니다. 하지만 리더의 입지에서 행사를 기획하고 여러 인원들과 함께 하

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면서 실행 시켜 볼 수 있다는 데에 의미가 깊었던 것 같습니다. 학생회를 해 보는 것은 매우 좋은 취지이나, 누구보다도 학교를 위해서 하는 일이기에 단

멘붕이 닥쳐오면 같이 힘들어해주고, 서로 돌아가지 않는 정신을 모아서 해

순히 자신을 위해서 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결책을 고민하면서 큰 추억으로 남았던 것 같습니다. 그때 당시에 J동 204 호에서 친한 친구들과 작업을 했었는데, 1학년 때부터 같이 설계를 해왔었던

Q. 자기가 했던 설계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설계가 있다면? (졸업설계빼고)

친한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서로의 약한 모습을 알 고 있었기 때문에 이것이

2012년도 여름에 공간 공모전에 출품을 했었습니다. 친한 동생 두 명과 함께

가능했던 것 같습니다. 극한의 똥줄 속에서 아마 저 혼자서 작업했다면 그때

작업 했었는데, 사이트도 없었고 주제가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었습니다. 학

당시의 완성도로 마감하지 못했었을 겁니다.

기를 마치자마자 관련 서적들을 셋이서 읽을 수 있는 만큼 읽고, 중간에 이야

건축학전공 07 이호재 hagisgold@gmail.com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65


SEOJUNG KWAK Epilogue

Interview with Graduation Exhibitioner

366

Interview of Graduation Exhibitioner

Interview with Graduation Exhibitioner

Editor Mingoo Kang Hansu Noh Photo Yousub Song 졸업전시우수자 인터뷰 에디터 강민구 노한수 사진제공 송유섭

실내건축학전공 11 곽서정 Education & Activities 15-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Project Review Annual 2014, Chief Editor

12-14 Tool Tutoring Workshop in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Tutor 12-13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Project Review Annual 2011&2012, Design Editor 11-13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Student Council, Design Team, Cheif Designer 11-15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Interior Architecture Major 06-11 International School of Tianjin, Tianjin, China

Award

13 May UAUS : Union on Architecture University in Seoul 2013 Exhibition 2ND Place (team) 14 Jun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Prize For the Best Graduate Project

Experience 15 Feb-

DYNAGRAM Atlier, Intern

13 Jul-Aug

THE PLACE Architecture Atlier, Intern

13 Mar-May UAUS : Union on Architecture University in Seoul 2013 Exhibition (team) 13 Mar-Apr UAUS : Union on Architecture University in Seoul Planning Group Design Team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67

Q.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실내건축학과 11학번 곽서정이라고 합니다. 교과과정은 끝났지 만 잠시 졸업을 미루고 현재는 프리로 시각디자인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Q. 졸업전시를 마쳤는데 11학번이면 정말 쉬지 않고 온 거니 대단하네요, 짧 긴 하지만 신입생 때와 지금 다른 점이 있을까요? 짧은 기간이었지만 1학년때는 알지 못했던, 제가 즐거움을 느끼고 잘할 수 있는 분야를 파악하게 된 것이 가장 큰 다른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디자인 에 대한 시각이 점점 넓어지게 되면서, 3학년을 기점으로 내 설계를 다른사 람에게 설득시킬 수 있는 표현력이 굉장히 중요한 분야구나 하는 것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Q. 그러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갈 예정이고 가까운 미래에는 어떤 일을 하고 싶은가요? 공부를 더 하고 싶어서 유학을 가려고 하는데 시각디자인 - 미대로 석사를 가고 싶습니다. 사실 졸업이 다가오면서 공부를 더 하고는 싶지만 막상 어느 분야를 선택해 공부를 해야 할지 고민했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우승현 교 수님과 이와 관련된 이야기를 했었는데, 미술을 베이스로 하고 설계를 하는 사람은 너무 넘쳐나지만, 건축을 베이스로 하고 디자인을 하는 사람은 많지 않고 오히려 후자가 더 깊은 개념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조언 이 큰 힘이 되었습니다. 10년 뒤엔 한창 신예 아티스트로 무언가를 하고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 고 있습니다.(웃음) 지금은 이 분야에서는 신생아지만, 다른 일이 아닌 계속 디자인을 할 생각이고, 당분간 일과 학업을 동시에 할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Q. 학교생활을 하면서 기억에 남는 활동이나 보람 있는 일이 있다면? 보람있던 건 아무래도 인턴이에요. 인턴을 해야겠다는 확고한 생각은 없던 와중에 아뜰리에에서 책을 만들어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평상시에도 편집 작업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인턴지원을 했고 3학년 여름방학 때 일을 시작했습니다. 실제로 사무실에 가서는 프로젝트가 너무 바빠서 책을 만들지는 못했지만, 아뜰리에에서 인턴을 하면서 느낀 것은 대기업이랑은 다르게 한 명, 한 명 직 원의 집중력이 굉장히 높고 자기 이름을 걸고 책임감을 가지고 일을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제 손길이 닿은 도면과 직접 고른 재료로 오픈이 된 청담동 부 띠끄를 보면서 실무를 뛰면서 느끼는 남다른 성취감을 미리 맛볼 수 있었습 니다. 학교생활을 하면서 보람찼던 것 중 하나가 학생회를 꾸준히 했던 것입니다. 저는 1, 2, 3학년 동안 학생회를 하며 홍보팀원과 홍보팀장이라는 직책을 맡 았었는데 학생들을 위한 인쇄물 디자인 일을 꾸준히 했습니다. 관심이 많았 던 편집디자인과 인쇄물 디자인 분야에 대한 시도를 학생회 홍보팀을 통해 도전하면서 즐거움과 보람을 느꼈습니다. 동시에 학생회 자체의 단결력을 느 낄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습니다. 그리고 정말 빼놓을 수 없는 활동 중 하나가 바로 작품집입니다. 최근에서야 안 사실인데 다른 학교에서 우리 학교 작품집을 찾아보기 위해 정말 많이 노 력한다고 합니다. 사실 건축대 학생 모두가 받아서 우리는 잘 모르지만 작품


Epilogue

Interview of Graduation Exhibitor

368

집이 그만큼 귀한 책이고 학교를 대표한다는 것을 새삼 느꼈습니다. 그래서

었던 경험은 포트폴리오 제작에, 그리고 패키지디자인과 브랜딩, 영상제작 등

이런 작업에 참여하고 에디터 리스트에 제 이름이 써있다는 거에 희열을 느

의 모든 시도들은 졸업전시 기획에 좋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끼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올해는 치프에디터로 승진을 하니 기분이 더욱 좋 습니다. Q. 졸업작품에 대해 졸업설계를 처음 시작할 때부터 부지계획이나 건물만이 아니라 인테리어, 브 Q. 그것 말고도 학생들 반응이 좋았던 툴 강의에 대해선?

랜딩, 영상, 실제로 완공되었음을 가정하고 필요로 할 패키지 디자인에 이르

툴 강의를 처음시작한건 2학년 때 인데, 선배들과 함께 작업하는 기회가 온

기까지 모든 걸 다 기획해서 할 생각이었습니다. 제가 홍대에 산지 4년이 넘

것 자체가 신기했습니다. 재능을 인정받고 그것을 누구한테 보여줘서 도움이

었는데, 항상 지나다닐 때마다 보고 생각을 한 것이, 강남, 이태원은 프랜차이

된다는 것이 큰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처음 강의를 진행하면서 ‘이런 스킬

즈가 아닌 새로운 상점이 계속해서 생기고 뜨고 활성화가 되고 있는데, 홍대

이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돼서 좋은 효과를 발휘 할 수도 있구나.’라는 생

는 그와 반대로 대기업들이 들어서면서 주변 상권은 죽어가고 예술가나 대학

각이 들었고 이후 학기들은 그 이상의 의욕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기

생들이 아닌 고등학생들이나 외국인들이 놀러오는 곳이 되어버렸다는 것입

획이나 진행을 하는데 많이 욕심을 냈는데 그래서인지 포토샵 강의는 다른

니다. 예전 홍대는 강남이나 이태원 못지않게 개성 있는 클럽들이 많았는데

강의에 비해 수강생이 많았고 반응도 좋았습니다!

하나 둘 씩 사라져갔고 특히 클럽 스트리트의 메인이자 소위 말하는 핫플레 이스인 자리(현 삼거리포차)에는 술집과 미용실이 들어섰습니다. 망가진 홍대 클럽들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현재와는 다른 프로그램이 들어서야 한다고 생

Q. 가장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각했고 홍대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건물을 지으면서 동시에 중심이 될 수

졸전이 제일 기억에 남지만 그걸 제외한다면 3학년 1학기설계가 가장 기억

있는 클럽을 프로그램으로 넣어보자고 생각했습니다.

에 남습니다. 조성익 교수님과 함께한 학기였는데 프로젝트를 과제로서가 아 닌 처음으로 실무자의 관점에서 설계를 배워본 학기였습니다. 단순히 공간에 대한 분석이나 아름답고 그렇지 않은 것이 중심이 아닌 실제 계획한 인테리

Q. 클럽?!

어부터 시작해 경영까지 할 수 있게끔 프로세스가 진행됐습니다. 인테리어의

가장 해보고싶고 재미있을것 같은 프로그램으로 클럽을 고른 것은 사실입니

마감재를 전부 다 고르는 것은 물론 조명의 종류도 세세하게 고르면서, 시공

다. 클럽 프로젝트를 졸전으로 했다고 하면 클럽 좀 다녀보고 재밌어서 했을

에 들어갈 수 있는 전 단계까지 완료가 될 수 있도록 작업을 했었습니다.

거라고 생각 할 수도 있지만, 그런 편견도 깨고 싶고 하나에 꽂히면 끝을 보 려는 성격이어서 클럽에 대해 더 많이 공부하고 연구를 하면서 졸업논문까지

뒤이어 진행했던 3학년 2학기 설계에서는 시각적인 표현력 향상에 집중했습

쓰게 됐습니다. 발로 뛰면서 그 배경에 조사를 했고 오픈하기 전에도 들어가

니다. 처음으로 스토리북과 패키지디자인, 브랜딩과 영상을 모두 시도해 보았

보면서 열심히 프로그램 조사를 하면서 생각이상으로 많은 걸 표현하게 된

던 학기였기때문에 그 어느때보다도 즐겁게 작업했습니다. 스토리북을 만들

프로젝트가 됐습니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69

Q. 졸업작품을 앞둔 친구들에게 졸업 작품에 이전 학년에 했던 것 이상으로 집중을 했기 때문에 자연스레 좋 은 퀼리티가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끝까지 집중을 할 수 있었던 건 도와준 파 트너들 덕분입니다. 5명의 친구가 각자의 파트를 맡아서 스케쥴에 맞게 움직 였는데 아마 이 친구들이 없었다면 졸업전시를 못했을 거 같아요. 하면서 팀 워크가 중요하다는 걸 새삼 느꼈고 이 지면을 빌어서 다시 한 번 고맙다고 말하고 싶어요. 그리고 전시를 준비하면서 중요하게 느꼈던 건 하나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볼 줄 알아야 된다는 거에요. 저 같은 경우에는 모델, 판넬, 도면 등 기본적인 부분에도 노력을 쏟았지만 이것이 전시되는 부스를 생각하며 그 전 체가 주는 느낌은 어떨까라는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작품 자체의 디자인만 고민하는 것이 아닌 그것이 놓이는 공간도 디자인을 하면서 전시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습니다. 앞으로 전시를 하게 될 학생들에게 이 이야기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Q. 에필로그 제가 가장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는 것은 꾸준히! 저는 시각적인 표현력에 대 한 시도와 노력을 꾸준히 해왔고 앞으로도 학업과 일을 통해 계속해서 향상 시키려 합니다. '꾸준히'가 주는 엄청난 결과는 때가되면 보상 받을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에 그 때의 제 모습을 상상하며 노력하고 있습니다.

실내건축학전공 11 곽서정 seojungkwak@naver.com


Epilogue

Comment from Intern

Kuma Kengo &

Jinhyuk Lee

& Dominique Perrault Comment from Intern Editor Hansu Noh Photo Jinhyuk Lee 해외인턴 후기 에디터 노한수 사진제공 이진혁

370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71

안녕하세요, 건축학과 09학번 이진혁입니다. 60주년 작품집에 인턴 수기를 쓸 수 있게 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이 지면을 빌려서 제가 휴학 중에 인턴으로 일했던 경험에 대해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저는 3학년을 마치고 휴학하여 도쿄 켄고쿠마 사무실(KKAA)에서 3개월동안 실무를 도왔었고, 현재 파리 도미니크 페로 사무실(DPA)에서 6개월 인턴 과정에 있습니다. 제 9개월의 시간이 해외 인턴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있는 학우 분들에게 조금 이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저는 3학년 2학기를 교환학생 프로그램으로 파리 소재 건축대학 ESA에서 한 학기 수강했었습니다. 그 때 설계수업은 제가 이제껏 듣던 설계 스튜디오와 는 다르게 컨셉츄얼하게 진행되었는데 그것이 탁상공론같이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같은 시기에 건축학부 07학번 진호형이 페로 사무실에서 인턴하고 있 었던 터라 여러 번 같이 만나면서 사무실의 이야기를 들었었습니다. 지어질 건물을 설계하는 이야기가 재미있어 보여 저도 건물이 지어지는 과정을 경험 해 보고 싶은 마음에 포트폴리오를 서둘러서 만들어서 제가 관심 있었던 약 50개의 사무실에 지원했었습니다. 이후 기다려도 답장이 오지 않았고 포트 폴리오를 혼자 훑어보면서 좌절하곤 했는데 고맙게도 멀지 않은 일본에서 한 달 후 답장이 와서 도쿄에서 일을 시작했습니다.


Epilogue

Comment from Intern

372

Dominique Perrault , Paris Jinhyuk Lee

2월 중순부터 켄고쿠마 사무실에서 일을 시작했는데 아침 10시 출근해서 밤

이후 잊고 있었던 도미니크 페로 사무실에 보냈던 인턴문의 메일이 3달 만

11시경 퇴근하는 고된 나날들이었습니다. 호텔 리노베이션을 진행할 때는 3

에 답장이 왔었습니다. 다른 환경이 걱정이 되기도 했지만 좋은 기회라 생각

명의 직원들과 2명의 인턴들이 지붕, 동선, 인테리어 등의 파트로 나누어서

해서 파리에서 8월부터 일을 시작했고 건축물 안의 가구나 조명을 디자인하

하루 2, 3번씩의 설계 크리틱 같은 미팅을 통해 프로젝트가 진행됐었고 일정

는 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페로 사무실에서는 일본의 사무실과는 다르게 6

이 촉박했던 탓에 법정 공휴일에도 사무실에 나와야 하는 때가 있었습니다.

시에서 7시 사이에 퇴근을 하는데 일본 사무실에의 경험 때문에 그런지 처음

이 시기에 저를 담당했던 우메자와상은 사무실에서도 일을 열심히 하기로 소

엔 해가 떠 있을 때 퇴근한다는 것이 정말 감사했습니다. 사무실에 도착하자

문이 나서 사무실의 유령이라는 별명까지 있었습니다. 한 번은 막차시간 때

마자 롱샹 경마장의 다섯 번의 실시설계 마감 중 마지막 두 번의 마감을 했

문에 11시 10분 즘 사무실을 나가려고 엘리베이터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밤

고 덕분에 조명과 핸드레일 등의 실시설계의 도면을 그리는 기회도 주어졌었

을 새기 위해 편한 추리닝 바지로 갈아입은 제 담당자와 마주치고는 어색한

습니다. 모든 도면을 시공사로 넘기는 단계였기 때문에 모든 팀이 도면에 특

인사를 나누고 빨리 사무실을 빠져 나왔던 적도 있었고 아침에 사무실에 나

히 신중을 기했고 이전엔 이런 작업을 해보지 못한 저로서는 어려움이 많았

와보니 빨갛게 충혈된 눈으로 홀로 인턴 자리에서 모델을 만들고 있던 제 담

습니다. 더욱이 이전엔 대수롭게 생각하지 않았던 일 처리에 꼼꼼하지 못했

당자와 눈이 마주치고는 얼른 자리에 앉아서 일을 도와줬었던 적도 있었습니

던 제 버릇이 꽤나 저를 괴롭혔습니다. 미생의 장그래가 처음 사무실에 처음

다. 이 때 제 담당자는 밤에 늦게 퇴근하고서 아기를 돌보느라 이른 아침까지

들어갔을 때가 생각날 만큼 상사와의 관계에서 서러웠을 때도 있었지만 이후

잠을 자지 못했던 적도 있었다고 말을 했었는데 건축하는 사람이 좋은 남편

어느 정도 일이 익숙해지고 상사와의 오해도 풀리고 나니 이 또한 좋은 경험

혹은 아내가 될 수 있을까 하는 괜한 앞선 걱정을 하기도 했었습니다.

이라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숨 쉬는 것도 조심스러운 시기도 있었습니다. 이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73

후 크리스마스 바캉스가 다가올 때 즈음 룩셈부르크 프로젝트의 레스토랑 조

기에 턱없이 적습니다. 일본, 스페인, 이탈리아 등은 인턴의 보수가 없는 곳이

명을 혼자 디자인 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며칠의 준비 끝에 모델과 도면을 페

대부분입니다. 페로, 켄고쿠마 사무실의 보수는 생활비로 썼고 집세는 부모님

로와 파트너에게 보여주었는데 다행히 잘 끝났던 것도 기억에 남는 순간이었

께 지원을 받아야 했었습니다. 돈을 아끼기 위해서 시내에서 조금 떨어진 곳

습니다.

에 집을 구했고 파리에서는 저녁을 집에서 먹었습니다. 처음 인턴을 하고자 할 때는 깊게 고려되지 못한 부분이었는데 아슬아슬한 통장잔고가 저를 지치

인턴 지원은 대부분 건축사무소 홈페이지에 공지되어 있는 이메일 주소로 이

게 만들 때도 있었습니다.

력서, 포트폴리오가 첨부된 메일을 보내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 인턴 뽑는

인턴 하면서 만났던 사람들은 모두 제게 좋은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일이

공지가 올라오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의 경우 상시 모집이고, 건축사무실에

바쁠 때는 어울릴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지만 일이 끝난 후에 여러 명이

서는 3개월에서 6개월 이전에 인턴을 먼저 뽑는 식으로 진행이 됩니다. 또한

모여서 이야기를 나눌 때는 쌓였던 스트레스가 날아갔었습니다. 켄고쿠마

외국의 회사일 경우 체류 시 비자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비자를 제공할 수

사무실에서 일하고 있는 07학번 재영이 형과 같이 인턴으로 있었던 동기 태

있는 사무실은 규모가 큰 사무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주로 규모가 큰 사무

욱이 형은 제가 지쳐 있을 때 옆에서 친형같이 다독여 주고 늦게까지 작업할

실에서 다국적 인턴들을 고용합니다

때 같이 있는 것만으로도 큰 힘이었습니다. 페로 사무실에서도 20 명 정도의

인턴이 사무실 내에서 하는 일은 다양합니다. 모형을 만들기도 하고 설계에

인턴들이 있습니다. 유럽 친구들이 대부분이어서 처음에는 낯설었지만 매일

필요한 부수적인 반복작업을 맡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직원들이 하는 일

마다 얼굴을 마주치고 같이 점심을 먹으면서 많은 힘을 받고 있습니다.

과 다름 없이 같이 의견을 내고 도면을 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배정된 팀 이 요구하는 부분, 혹은 인턴의 소통능력이나 프로그램 능력에 따라 일의 종

제가 좋아하는 설계사무소에서 설계된 건축물들은 저에게 선망의 대상이었

류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디자인 과정에서 재미있었던 점은 아무리 빼어난

고 지금도 가슴을 뛰게 합니다. 그 중에서 한 곳에서 인턴으로 일할 수 있다

디자인이라고 해도 그 사무실의 스타일과 다른 디자인이라면 제외되고는 했

는 것을 듣고 지원을 해서 운 좋게 9개월의 시간 동안 사무실 안팎에서 다양

는데 각 사무실의 색을 가진 디자인 포인트들을 하나 하나 알아가는 것 또한

한 경험을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작업에 열중했을 때

재미있었습니다.

도 있었고 인턴이 가질 수 밖에 없었던 한계에 대해서 한탄하기도 했었습니 다. 혹여 해외 사무실 인턴에 관심이 있었던 학우가 있었다면 제 글이 그 분

도쿄에서의 3개월, 파리에서의 6개월 동안의 인턴생활은 저에게 생활비와의

에게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게 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싸움이기도 했습니다. 대부분의 일본, 파리의 건축사무소 인턴월급은 생활하

건축학전공 09 이진혁 jinhyuk0306@gmail.com

Kengo Kuma , Tokyo Jinhyuk Lee


Epilogue

Comment from Abroad

Minwook Kang in Paris & Tokyo Comment from Abroad Editor Minwook Kang Photo Minwook Kang 교환학생 및 해외인턴 후기 글 강민욱 사진제공 강민욱

374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75

군대도 안가고, 휴학도 없이 5학년이다. 방학인데도 타지에서 인턴을 하느라 책을 손에 잡기가 힘들고 학기 중에는 필요에 맞춰 읽기 때문에 흡수가 잘 되지 않는다. 제대로 된 글을 읽은 지 너무 오래되어서 제대로 된 글을 쓸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저 가볍게 생각을 정리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 다. 외국에서의 삶이 궁금했다. 4살 때까지 프랑스에서 살아온 것 말고는 해외를 나갈 일이 거의 없었다. 학생 때 아니면 여행갈 시간이 없다. 부당하지만 많 은 대학생들이 받아들이는 그런 사실을 명분 삼아 부모님께 여행 보내 달라 고 할 만큼 철부지는 아니었고, 딱히 여행을 위해서 비용을 마련하는 자수성 가 스타일 최저임금의 노예가 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공부라는 명분으로 부모님께 의지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준비하기 시작했다. 불어 문법은 방학 때 혼자 책 한번 보고, 회화도 그냥 책 한번 봤다. 혼자 대충 공부해서 그런지 현지 가니까 생활불어 빼고는 하나도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더라, 정말 불어로 대화를 할 작정이라면 무조건 듣는 귀를 만들어야 한다. 2학년 여름부터 슬슬 준비하고 4학년 1학기에 갔으니, 제법 질질 끌었다. 2학년 여름, 미술을 좋아해서 정기용 선생님이 설계한 코 리아나 미술관에서 도슨트, 전시관련 인턴을 하면서 영어 점수 마련하기 위 해, 한달 학원 다니면서 공부했다. 수학, 물리만 죽어라 좋아했던 이과학생이 라 처음 토플이라는 걸 봤는데, 혹시 두려워하는 친구들, 나도 했으니 그냥 한달 끊어서 점수 받으면 된다고 말해주고 싶다. 준비를 계기로 내가 해왔던 작업들도 살펴보기 시작했다. 교환학생을 준비하 면 포트폴리오에 대해서 처음으로 고민한다. 캐드를 접한 시기가 2학년 1학 기 조한 교수님 반이었을 때 주택 설계한 당시인데, 그 이외의 소위 툴이라 부르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들 특히 포토샵은 그저 포토와 샵이 합쳐진 단어에 불가했다.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면서 툴을 혼자 익혔는데 좋은 구실이었다. 집 구석에 있는 것 빼고는 딱히 흥미로울 것이 없는 한국의 겨울방학에, 아침에 는 책 읽고 점심 나절에는 전시회 갔다가 해질 때쯤에는 노트북 들고 카페에 서 포트폴리오 작업했다. 교환학생을 가는 것은 모두를 위한 특권이 아니다. 다시 말하면, 돈 없으면 못 간다. 나도 못 갈 뻔 했다. 그런데, 절실한 친구들이 꼭 한번 경험해 봤으 면 좋겠다. 그나마 적은 예산으로 어린 나이에 해외 경험 할 수 있는 좋은 기 회라고 생각한다. 여담으로, 교환학생 가려고 돈 모은답시고 인생에 도움 안 되는 아르바이트 하는 친구는 없길 바란다. 사실 난 인생에 도움 안 되는 아 르바이트를 제법 했다. 실제, 파리 생활비 한 달에 150만원 정도가 든다. 식 료품을 제외한 것들의 가격들이 다 비싸다. 너무 비싸서 파리 학생들도 펍 에 가서 수다를 떨며 맥주를 먹는 펍문화를 즐기지 않는 편이고 친한 친구들 끼리 돌아가면서 자신들의 집에서 수아레(파티)를 주로 연다. 4개월 생활비 600에, 여행 조금 다니면 1000만원인데 시급 5000원으로 1000만원 못 모 은다. 차라리 학자금 대출, 한 학기에 150씩 할 수 있는 것을 조금씩 모아서 쓰는 게 낫다. 외국학생들도 학자금 대출을 이런 식으로 활용한다는 것을 많 이 들어왔다. 사실 돈 문제는, 평생 나와 함께할 문제니까 너무 깊이 생각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 같다. 가장 중요한 것은 파리에서 있을 법한 판타지들을 밝히는 것이지 않을까? 내가 가기 전에 가지고 있었을 법한 환상들을 추적해 보는 것이 개인적으로 즐거울 것 같다. 파리에 가기 전에 내가 가지고 있었던 신화 화된 프랑스 건축의 어떤 것들과 내가 원했던 것들 등등을 경험에 근거해서 말해 주고 싶다.


Epilogue

376

나는 유럽 건축교육과 미국 건축교육의 차이가 궁금했다. 우리학교 교수님들

인 작업은 거의 하지 않았다. 아니 못 했다. 모델 재료를 사려면 지하철을 타

의 대부분 미국대학에서의 석사 이상의 교육과정을 거친 것이 사실이고 그

고 왔다 갔다 해야 하고 재료를 사도 학교에 놓을 곳이 없다. 집중해서 설계

교육의 영향을 많이 받은 나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내가 프랑스라는 나

를 하기 힘들다. 나는 혼자 갔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작은 집을 구했지만, 만

라에 갖게 된 신화는 프랑스는 역사와 이론의 메카일 것이라는 점이다. 이것

약 둘이 간다면 사전정보를 구해서 침실을 공유하더라도 살롱이 있는 집을

은 철저히 사실이었다. 다만, 사실이라는 점은 항상 흑과 백으로 묘사될 수

얻어서 생활하는 것을 추천한다.

있는 것이다. 또한 살롱이 없으면 수아레(파티)를 통해서 친구들과 얘기를 나누는 것이 정 학교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교환학생을 가기 전에도 사전 수강과목을

말 힘들다. 프랑스는 주로 어울리는 친구들끼리 지속적으로 친목을 다지는

조사해서 이러저러한 절차를 밟지만, 다 아무런 필요가 없다. 가게 되면, 교환

폐쇄적인 친구관계가 기본이고 그 관계는 유년기에서부터 지속되는 경우가

학생 OT때 수강신청 날짜와 개설과목 주고 이건 매 학기 변동되기도 하니 소

많다. 이방인인 한국인으로서 학문의 공간에서 영어라는 타언어로 서로가 공

신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흥미로운 세미나들이 많지만, 영어로 진행되는 과

감하고 만족할만한 토론이나 대화를 열기 힘들다. 그것도 3개월 머무는, 어디

목은 한정되어 있다. 세미나는 이론과목을 수강하는 것을 추천한다. 특히 건

서 온 한 명의 외국인이라는 자신의 처지라면 그것은 더욱 힘들다. 제법 운이

축에서 이데올로기를 한번쯤 겉핥기 식으로라도 맛보는 것이 좋은 것 같다.

좋았던 나는 음악적 취향이 비슷한 친구를 여럿 만났다. 제일 친했던 친구는

한국에서 대학생활 5년 중에 이데올로기를 전공한 교수님에게 꼭 읽어야 될

파리 토박이 인데 아버지 어머니 두분 모두 건축가이시고, 친한 친구들이 한

서적 목록을 받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기회인 것 같다. 또한 이 책을 굳이

명은 엔지니어, 한 명은 산업디자이너이다. 유년기에서부터 지속된 관계이고,

사지 않아도 한번쯤 훑어볼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파리에는 아주 훌륭한 건축

그 관계의 틀이 과거와 미래를 모두 담을 수 있다는 게 너무 부러웠다.

도서관이 있다. 친구의 별장에서 일주일 동안 머물며 프랑스 지방의 와인과 치즈, 가정식을 내가 가장 좋아했던 공간은 Cite de l’Architecture이다. 에펠탑에서 센느강

맛보고 같이 주변의 건축물을 구경한 것은 잊을 수 없는 추억이다. 특히, 그

을 바라보면 좌우 대칭의 신고전주의 건물이 하나 있는데 샤이오궁이다. 근

친구의 아버지가 오래된 별장을 손수 고치셨던 흔적들이 입면에 고스란히 남

대에 지어진 것이지만, 도시에서 중심성으로 따지면 광화문에 가깝다. 센느강

겨져 있었는데, 그 시기의 가족의 추억과 함께 건물에 대해 설명해 주었을 때

에서 바라본 우측건물은 건축박물관과 건축도서관이 있는데, 내 아지트였다.

의 감동은 나에게 또 다른 인생의 목표를 주었다. 새로운 경험은 언제나 좋

건축도서관은 정말 최고다. 일주일에 한번 이상은 꼭 갔었고, 영어로 우리나

다. 나는 교환학생을 가는 많은 친구들이 짧지만 많은 것을 얻기를 바란다.

라에 관련된 책을 찾으면 새로운 시각으로 우리나라를 볼 만한 책들도 많다. 건축, 도시, 이데올로기에 관한 것들이 정말 많다. 프랑스가 왜 역사와 이론의

작업공간이 없어서 작업하면서 서로가 친해지기 힘들다. 이 밖에 자연스럽게

메카인가는 도시의 중심에 무엇이 있는지 그냥 물음표 한번만 찍어주면 된

친해질 수 있는 문화가 펍, 파티문화인데 대부분의 학생들이 금전적으로 부

다.

담이 되기 때문에 아주 소수만, 펍에가서 맥주를 먹고 파티를 즐긴다. 나 또 한 외식하는 것이 정말 두려웠다. 주체적으로 교류의 장을 마련하려면 살롱

ESA같은 경우는 설계를 할 수 있는 자신만의 공간이 주어지지 않는다. 내가

이 있는 것이 좋다. 물론 금요일이면 학교 마당에서 맥주를 사놓고 교실에 있

정말 가기 전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정보인데, 이 덕분에 3개월 동안 물리적

던 의자와 작업실 테이블을 끌고 나와서 교수님들과 함께 맥주를 먹기도 한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77

다. 그러나, 아무래도 불어로 대화를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영어를 제법 하

내가 하고자 했던 것들에 대한 질문의 폭을 좁히고, 하나씩 진행하기 힘들어

는 친구들과 어울리기 마련이고 그것이 자연스럽다. 다양한 경험을 주체적으

지자 대안으로 해외사무소에 인턴을 지원하기 위해서 준비했다. 내가 알고

로 유도하려면 살롱이 있는 집을 구했으면 좋겠다.

있던 것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켄고 쿠마 사무실에서 인턴을 하고 있던 진혁 이 형에게 정보를 물어보고 나서, 알만한 건축가를 다 지원했다. 여담으로, 귀

내가 세 문단에 걸쳐 살롱을 강조한 것은 교환학생을 가는 가장 큰 이유가

찮게 해서 미안해요 진혁이 형. 그리고 추가로 내가 관심이 있던 분야에서 많

교류하기 위해서이기 때문이다. 가기 전에 나는 작업공간을 공유하면서 서로

은 작업을 해온 사무실을 찾아서 지원했다. 운이 좋게 관심 있던 건축가인 시

의 작업에 대해서 토론할 기회가 충분히 있을 줄 알았다. 그런데 그런 것이

게루 반 사무실에서 일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학기 도중에 와 달라고 하는

전무하다. 자칫 잘못하면 파리에 가서 한국인 친구들과만 얘기를 나누다 올

것을 학기가 끝나고 바로 가는 것으로 미룰 수 있었고, 한국에 온 뒤 급하게

수가 있다. 첫날 교환학생들끼리 모이는 자리를 갖게 되는데, 그때 친구를 미

한 학기를 끝내고 방학 동안 3개월 인턴을 하는 중이다.

리 알아놓고 연락처도 공유해서 어떤 설계스튜디오를 들을지 서로 상의하면 서 친분을 쌓는 것이 바람직한 것 같다. 아무래도 영어를 기본으로 소통을 하

한정된 4쪽의 마지막 문단이라 간추려야 할 것 같다. 많은 해외사무소들은

게 되는데 이 부분을 두려워하지는 말되 염두하고 있으면 많은 도움이 되지

다양한 교류경험을 한 사람들은 위주로 인턴을 뽑는다. 여기 사무소의 인턴

않을까 싶다.

들도 다들 다양한 나라에서의 교류경험을 가지고 있다. 작업능력이 그다지 뛰어나지 않은 친구들도 제법 많다. 기회는 경험이 풍부한 사람에게 찾아오

학기 중에도 사이트답사의 일환으로 여행을 많이 가지만, 학기가 끝나고 여

는 것 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 계기인 것 같다. 같이 일하는 다양한

행을 다니는 친구들이 많다. 나는 갑자기 돈이 생겨서 여행을 급하게 떠났다.

경험을 가진 친구들과의 매일매일 작업은 정말 즐겁다. 각자 이 사무실을 지

일단 예산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파리에 있는 집을 비우고 프랑스 친구 집

원한 이유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미래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이야기 할 기

에 짐을 다 맡긴 후에 배낭 하나와 모자, 유레일패스 2개월치를 들고 시작했

회도 많다. 건축교육 시스템의 차이로 나를 제외한 모든 인턴들은 석사과정

다. 첫날에 프랑스 기차노조 파업 때문에 롱샹 성당 앞마당에서 별보면서 밤

을 끝내거나 석사중인 친구, 석사 준비중인 친구였다.

새고, 히치하이킹 했는데 그때부터 그냥 몸과 마음을 놓고 편하게 다녔다. 인턴 3개월이라는 시간은 한학기와 똑같다. 스태프가 아닌 인턴으로 오랜 시 유레일 패스를 쓰기에 가장 좋은 나라는 스위스, 스위스를 중심으로 아래에

간 일하는 것을 추천하진 않는다. 3개월은 짧지만, 시간활용을 잘 하면 방학

있는 나라들은 그냥 비행기를 추천한다. 유레일 패스를 이용하면, 야간 열차

도중에 교환학생을 한번 더 하는 샘이라고 볼 수도 있다. 주체적으로 앞날에

타고 자면서 갈 수 도 있고 들렸던 도시에 더 보고 싶은 게 있으면 하루쯤 미

대해서 질문을 던지는 친구들이 생각의 폭을 넓히고 동시에 좁히는 좋은 기

루는 것은 일도 아니다. 그리고 사실 공항을 경유하는 동선이 너무 귀찮았다.

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나도 했다. 너도 할 수 있다. 재미있으니

유럽의 철도시스템은 도시랑 조화가 잘 되어 있어서 조금씩 이동하면서 도시

누구나 다 한번쯤 해봤으면 좋겠다.

분위기가 서서히 변하는 것을 음미하는 재미도 있다. 또한 완벽한 유레일 기 차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 데이터가 없어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말 좋았다. 교환학생을 지원한 또 하나의 이유는 미래에 대한 질문들을 조금씩 간추리고 싶었기 때문이다. 내가 원했던 것들을 한국에서는 체계적으로 배울 기회가 없다고 생각했다. 다양성이 부족한 대학 내의 교육환경이라는 주제는 앞으로 우리세대의 건축학도들이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보완해야 할 숙제라고 생각 한다. 어쩌면, 우리 학교가 개성이 뚜렷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나, 대내외적으 로 학문적인 성과를 낼 만한 투자나 교육이 전무하기 때문에 학교의 한계라 고 말하는 것이 적합할 수도 있다. 사실, 좋은 대학의 척도는 얼마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가, 학문적 교류의 기회가 많은가라고 생각한다. 우 리학교의 경우 많은 미국의 좋은 학교에서 우수한 교육을 받고 오신 교수님 들이 많지만, 학교 자체에서 미국의 유명한 학교나 설계사무소와의 교류프로 그램은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3년 동안, 새로운 정보들의 부족을 절박하게 느꼈다. 교수님들과 개인적인 친 분을 쌓아서 정보를 얻을 만큼 열린 성격은 아니기에, 학교 내에 체계적인 시 스템이 있었으면 하는 바램도 있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프랑스에 가 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 라는 신화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대답은 부정적이었다. ESA는 매우 작은 규모의 학교이다. 내가 가진 질 문들을 간추리거나 명확하게 하기가 힘들었다. 이것 때문에 이 학교에 대해 서 매우 회의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여담이지만, 프랑스 친구들이 학교의 학장이 피터쿡 이었을 때는 스튜디오 다양성의 폭이 좀 더 넓었고, 다양한 정 보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건축학전공 11 강민욱 kmu973@naver.com


Epilogue

Comment from Abroad

Jihyun Baek in Paris Comment from Abroad Editor Jihyun Baek Photo Jihyun Baek 교환학생 후기 글 백지현 사진제공 백지현

378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79

벌써 1년도 더 지났지만, 지금도 교환학생 시절을 떠올릴때면 하루종일 설

리에를 선택하게 됩니다. 매력적인 프로젝트들이 많았지만, 저는 동쪽 끝에

렙니다. 처음 떠날 때 처럼요! 사실 ESA라는 학교보다 오랜기간 파리에 머무

있는 Görlitz라는 작은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프로젝트를 진행하

를 수 있다는 점에 매료되어 교환학생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여행을 떠나

는 OSA studio에 참여했습니다. 파리라는 먼 곳에 가서도 또 다른 지역을 접

오면 기간이 짧아 마음이 급해지기도 하고 정착지로 어서 돌아가고 싶은 바

해본다는 것에 대한 낯설음이 주는 호기심에 끌렸던것 같아요.수업을 시작하

람이 생기기도하는데, 어딘가로 잠시 왔다간다는 것보다 일상이 되어 진득하

기 전에 이 도시를 좀 더 직접적으로 알기 위해 교수님과 학생들 모두 3박 4

게 보고싶다는 바람이 컸어요. 프랑스에. 처음에는 단순한 바람이었지만 곧

일간 사이트조사 겸 세미나를 떠났습니다. 난생 처음 듣고 와본 도시를 걸어

졸업을 앞두고 곱씹어보니 대학생활을 하면서 가장 잘했다고 생각하는 경험

다니면서 느껴보고, 시장님으로부터 도시의 역사와 현황도 듣고, 독일의 다른

이에요.저는 어느하나 강점이 없어서 지원하기 전엔 두렵기도 하고 걱정이

학교와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내가 한 학기 동안 참여하는 프로젝트가

많았었는데요. 어학성적과 학점, 포트폴리오, 면접까지 모든 준비사항이 부담

현실로 구현될수 있겠구나 싶어 의욕도 넘쳤습니다. 저희 스튜디오에는 여러

되었지만 면접 때, 불문과 부전공을 하며 프랑스로의 교환학생에 대한 의지

교류학생들이 모여, 같은 사이트를 놓고도 각자 성장해온 배경에 따라 처음

와 강인한 적응력을 내세워 어필했던 덕분에 이런 기회를 얻을 수 있었던 것

부터 접근방식이 판이해서 흥미로웠습니다.이 도시에 더 강한 색을 주는 방

같아요. 점점 교류 국가와 학교들도 많아지는 것으로 알고 있으니 이 기회를

법이 두 도시를 잇는 다리일 수도 있고(원래는 하나의 도시였던 곳이 지금은

활용하여 많은 학생들이 교환학생에 적극적으로 참여해봤으면 합니다. 지레

전후 개천을 경계로 동독과 폴란드의 두 도시로 나뉘게 됨), 전통 건물양식

겁먹고 시도해 보지 않는 친구들이 있을까봐 응원해주고 싶어요. 많은 학생

의 리노베이션일 수 있고, 지속되는 인구감소로 오랫동안 비워진 죽은 건물

들이 다양한 경험을 와서 각자의 기억들을 공유하면 얼마나 재밌겠어요! 저

이 새로 태어나는 오브제가 될 수 있고, 광장에서의 푸드마켓일 수 있고.. 정

는 2013년도 가을학기에 다녀왔는데요. 학기시작은 9월이었지만 설레는 마

말 한명한명마다 각자 프로젝트의 개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느꼈던 인상들

음으로 일찍이 7월 중순에 파리에 가서 이듬해 1월까지 교환학생+여행자 생

을 기점으로 시작하여 진행방향도 표현방식도 모두 달랐기에 마감날마다 두

활을 했습니다. 학기가 시작될 때, 메자닌 홀에서 교수님들이 각 스튜디오에

려움반 기대반으로 다른 친구들을 보는 재미도 쏠쏠했어요. 서로의 프로젝트

서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할지 설명해주시는데 주제, 사이트, 스타일이 아주

를 위해 같이 모여 고민하고 생각들을 주고 받고.. 한 학기 동안 매 순간이 즐

제각각이기 때문에 충분히 설명을 듣고(이미 그 학교에 재학 중인 친구들에

거웠습니다. 이러한 친구들로인해 당연하게 생각해오던 혹은 깊게 생각해보

게 교수님들의 성향을 물어보는것도 좋다) 팸플릿을 잘 살펴본 다음에 아뜰

지 않았던 것, 사소한것이라 넘겨짚고 지나친 것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Epilogue

Comment from Abroad

380

되기도하고 무던했던 감각을 일깨워 줄 수 있는 계기를 얻었습니다. 얼마 전 영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이 개봉했을 땐 얼마나 신기했는 지..! 유령도시로만 보이던 곳이 영상미가 아름다운 영화의 배경이 되어 한국 에서 다시 보게될거라곤 생각도 못했는데. 덕분에 평생 모르고 살 수도 있던 아름다운 한 도시를 알게 되어 정말 고마운 프로젝트였습니다. ESA는 건축학교이기 때문에 타전공 수업을 들어볼 수는 없지만 재미난 수업 이 많아요. 그 중 실제 활동하고 계신 작가분이 선생님으로 오셔서 일상에서 주제를 찾아(건축과 전혀 무관한) 매 수업마다 편지, 시나리오 등 다른 형식 의 글을 자유롭게 쓰고 서로 토론하며 공유하는 작문수업이 있는데요. 직접 적으로 관련이 없어보이지만 글을 쓰면서 좀 더 감성적으로 접근하게 되면서 스토리를 구상하는 훈련도 되고 틀을 깨고 접근하는 것이었죠. 불어를 하지 못해도 큰 지장은 없지만(영어로 진행되는 수업은 제한적), 선택해서 들을 수 있는 수업의 스펙트럼이 넓어지기 때문에 언어를 충분히 준비하고 온다면 아 쉬움도 적을 것 같아요. 제가 느낀 ESA에서 수업들의 공통점은 정해진 답이 나 경직된 형식이 없다는 것이었어요. 파리에서 생활하면서 학교에서의 경험은 한 부분인데요! 오랑쥬리, 오르셰, 퐁피두! Palais de Tokyo!! 그리고 학교 바로 건너편에 있는 Fondation Cartier 까지(그랑팔레, 루브르, 피카소미술관 등 너무 많지만).. 너무 재미나고 기깔 난 미술관, 전시들이 많습니다. 시간과 날짜의 제약없이, 아무런 부담없이 틈 날때면 언제든 드나들 수 있다는점도 파리에서의 교환학생으로 얻을 수 있는 어마어마한 혜택입니다. 학기가 시작되면 학교에서 국제학생증을 나눠주는데 이것만 있으면 모든 미술관 프리패스가 가능하거든요. 생제르망데프레, 마레 곳곳의 갤러리에서도 우연찮게 재미난것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는데요. 극히 가볍게보거나 딱딱하게만 보던 매쉬로 부드러운 인체의 형상을 표현한 조각 품과 또 그것이 만들어내던 입체감이 느껴지는 그림자. 신기한 충격들을 다 른 학생들도 경험해보았으면 하고 바랍니다. 파리는 서울에 비하면 아주 작은 도시이기 때문에, 자전거 한대면 웬만한 곳 은 다 갈 수있어요(Velib!) 벨리브타고 수업에서 배웠던 혹은 이미지로만 봐왔 던 건축물들을 찾아다니는 재미도 쏠쏠했습니다. 눈으로 글을 읽어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직접 둘러보면서 미처 알지 못했던 작은 부분들을 찾는 쾌감도

있구요. 땅밑으로 지하철이 지나가는 소리, 때때로 거리로 쏟아져 나와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 식사시간 때면 골목사이로 풍기는 빵냄새, 지하철역에선 사람의 것인지 개의 것인지 모를 오줌냄새, 공원마다 아이들이 뛰노는 소리. 제가 경험한 파리는 이 모든 것들이 오롯이 느껴지는, 오감이 살아있는 곳이었어요. 저는 6구와 14구 경계에 살았는데(교환학생 선배들로부터 대대손손 물러내려오던) 멀지 않은 곳에 뤽상부르공원이 있어서 날이 좋을 때면 샌드위치 먹으면서 사람구경하는 즐거움도 있었어요. 파리를 부유하다보면 다양한 사건들을 마주치게 되는데, 이 도시에서 행하는 이벤트들도 아주 많아요. 여름엔 Paris Plage 라고하여 미처 바캉스를 가지 못한 시민들을 위해 센 강변에 모래를 깔아놓고 선베드, 파라솔, 의자 등 누구든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주기도 하구요. 10월엔 'La Nuit Blanche'가 있는데 1년에 단 하루. 파리 시내가 밤새도록 미술관이 되기도 하구요. 파리에선 거리낌없이 걸어다니며 정말 다양한 것들을 보고 경험할 수 있었어요. ESA에는 설계수업 외에도 교환학생들의 필수과목으로 파리의역사 수업과 프랑스어 수업이 있는데요. 아마 저는 이 두 수업은 가지 못한 날이 더 많을거에요. 한학기라는 교환학생 기간이 짧다보니 저는 그동안 다양한 도시를 보고 싶어 개강 전에 미리 시험과 마감기간을 피해서 여행을 계획해 놓았거든요. 조금의 위 험을 감수하고, 주말을요 끼고 이삼일을 더해 트립을 떠났었는데, 학교생활만큼이나 이 여행기간도 즐거운 경험들로 남아있어요. 맑은 여름날에 굉장한 친구들 이랑 독일 쾰른에 갔을 때가 가장 좋았는데요! 여행을 하게 된다면 Kolumba Museum과 Bruder Klaus Kapelle 꼭 꼭 가보시길. 창 액자로 보이는 쾰른대성당 과 바닥에 아른아른 반사되는 모습은 정말 잊을 수가 없어요.. 1층 유적이 보존된 곳에서 벽돌사이로 들어온 빛이 천정에 일렁이는 빛무늬들도.. 숨은그림 찾 기 하듯이 하나하나 생각지도 못한 감동의 포인트들을 찾으실 수 있을거에요. 어떻게 묘사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미테랑 도서관 앞 다리없는 다리, 사람들이 그 득 모여있는 공원, 거대한 나무그늘 아래..등 멀리 떠나지 않아도 파리 시내에도 소소하게 재미난 것들이 많으니 눈에 다 담고 오세요. 저는 권태감을 느낄 즈음 떠나서 더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는 것 같아요. 저처럼 많은 친구들이 짧은 학부시절 동안 아름다운 경험할 수 있길 바랍니다. 교환학 생을 가면서 고마운 사람들도 많이 만나게 되었고, 특히 녹록지 않던 교환학생 생활에 단비같은 은총을 내려주시던 진호오빠(제가 갔을 때 도미니크 페로 사 무실에서 인턴을 하고 계셨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좀 더 많은 친구들이 교환학생의 기회를 잘 활용해서 야무진 한학기 보내길 바라며 마무리 짓겠습니 다. 건축학전공 10 백지현 jihyun1181@gmail.com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81


Epilogue

Comment from Abroad

382

Hyunlee Kim Comment from Abroad Editor Hyunlee Kim Photo Hyunlee Kim 해외인턴 후기 글 김현이 사진제공 김현이

이제 인턴 생활을 반정도 한 상태이고 5개월 남짓 남겨놓은 시점에서 글을

식에 당황스럽기도 했습니다. 지금 속한 팀의 경우, 수직적 구조보다는 수평

쓰게 되니 아직 이글에 쓴 것보다 배우고 느낄게 많을 것 같습니다. KPF 인

적 구조로 일을 하고 인턴이라도 주요 미팅에 참여해서 전체적인 흐름을 익

턴을 하면 여러가지 부족한 툴실력도 늘고 세계적인 회사라 큰 프로젝트를

혀 능동적으로 참여하기를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프레젠테이션이 있을 경우

접할 수 있는 장점은 다들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사실 KPF에 와서 가

한 부분을 나눠주고 레이아웃 부터 어떤 샷을 넣어야 클라이언트가 잘 이해

장 많이 느낀점은 회사의 분위기가 한국과 많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기본 적

할 지까지 '생각' 을 하면서 일을 하길 원합니다. 되도록 한가지보다 여러가지

으로 회사 내의 시설, 소셜 이벤트, 공개 프레젠테이션, 툴강의 등등 KPF는

일을 해볼 수 있게 해 주고, 가끔은 디자인 결정을 할 때도 제 의견을 물어봐

사원의 입장에서 좋은 환경이 되어 있습니다.

서 놀라면서도 참 고맙습니다. 1년이라는 한정된 기간동안 하는 인턴쉽인걸 감안하면 자신이 경험하고 얻고 싶은 것은 요청을 해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

저의 경우, 첫 두달은 한국인들이 모인 팀에서 일을 했었고 다른 팀에서 일을

합니다.

해보고 싶다고 요청한 결과, 더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있는 팀에 가게 되었 습니다. 시키는 것 그대로 해가는 방식이 익숙했던 저는 처음에는 이 팀의 방

또다른 소중한 얻음은 같이 지내는 인턴 친구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83

한국에서 다른학교 건축과 친구들을 깊게 사귀고 싶지만 그렇게 쉽지 않습

기도 하지만 사회에 나가기 전에 진로에 대해 깊게 생각 할 수 있는 좋은 기

니다. 여기에 와서 같은 홍대지만 몰랐던 선배님들, 연대/서울대에서 온 친구

회라고 생각합니다. 건축, 회사 생활을 떠나서 일생에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

들은 몇 일이 아닌 몇 달동안 기쁘고 힘든 일을 공유하면서 홍건 동기친구들

에 1년 쯤 살아본다는 것은 자신의 틀을 깰 수 있고 자립심을 가지는 값진 경

처럼 가까워 지게 되었습니다. 외국인 친구/정직원들도 물론 사귈 수 있지만,

험이라고 생각합니다. 꽤 많은 분들이 지원을 하려는 생각에 종종 물어보곤

한국에서 온 비슷한 나이 친구들이 같은 인턴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이 큰

했는데, 결국 인터뷰 기준이나 회사생활에 대한 두려움 등의 이유로 포기를

위안이 되고 뭔가 든든한 느낌이 들게 만듭니다. 아마도 이 친구들이 제가 뉴

하는 것 같았습니다. 오히려 부족하니깐 KPF에서 배우고 발전할 수 있단 생

욕에서 외롭지 않은 가장 큰 이유인 것 같습니다.

각으로 더 많은 분들이 도전하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감동이었던 순간은, 하루는 KPF사장님께서 뉴욕 뿐만이 아 니라 런던,상하이 직원들도 다 모이라고 하셨습니다. 모든 직원이 신년 인사 쯤일 거라고 생각했지만, 충격적이게도 회사에 폴이라는 사람이 암으로 별세 를 했단 소식을 들었습니다. "폴은 암을 안지는 3주가 됐었고 그 3주도 런던 출장을 다녀오고 회의에 참석해서 화장실 디테일을 챙길 정도로 일에 집중하 고 열정적인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아마 지금 하늘나라에서도 집을 짓고 있 을 겁니다. 폴의 죽음으로 슬퍼만 하지말고 우리는 생각을 해야합니다. 우리 가 어떻게 살아야하고, 지금 우리는 어디에 앉아 있는지,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떤 임무가 있는 것인지, 왜 이 일을 하는지, 나와 함께 일하는 동료는 어떤 사람인지…오늘 하루는 그런 생각을 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폴을 애도하는 의미로 다음주 하루는 회의실에 맛있는 음식과 함께 애도의 방을 마련하고 쉬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우리가 이렇게 그를 핑계로 쉰다는 걸 알면 아마 그는 화를 낼걸요? 하하하" 사장님의 말씀은 애도를 넘어서 인생 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슬프면서도 위트있는 송사 였습니다. 그분을 만난적도 없던 저도 눈물이 날 정도로 다들 슬픈 애도의 순간을 가 졌고 며칠 뒤 그분의 명언, 동영상, 사진등이 전시 된 애도의 방이 마련되었 습니다. 물론 서양인들이 개인주의라고 느끼는 순간이 많긴 하지만 이 추모 방식은 의례적인 장례식장 방문, 부조금이 아닌 마음이 따뜻해지는 순간이었 습니다. 인생에서 이렇게 긴 회사 생활은 처음이라 학교와는 좀 다른 스트레스를 받

건축학전공 10 김현이 kimhappy41@naver.com


Epilogue

Comment from Abroad

384

Juhee Kim

Comment from Abroad Editor Juhee Kim Photo Juhee Kim 해외인턴 후기 글 김주희 사진제공 김주희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85

시작되는 한국과는 전혀 다른 기업문화를 배워온 것은 예상하지 못한 정말 값진 경험이었습니다. 적극적인 태도는 생활 전반적으로 적용됩니다. 회사엔 하버드, 예일, 콜럼비 아, 코넬 등을 졸업한 전 세계 각지에서 온 동료들이 앞뒤 양옆으로 매일 앉 아있습니다. 멘토를 멀리서 찾지 않아도 유학에 대한 이야기나 회사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언제든 상의 할 수 있고, 진로에 대한 이야기도 나눌 수 있습 니다. 먼저 다가가서 이야기 하고 싶은 의사를 밝히면 누구든 흔쾌히 자신의 시간을 내어 조언 해주기를 아끼지 않습니다. job offer도 마찬가지로 기다리 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졸업 후에 일하고 싶은 의사를 밝히면 됩 니다. 이러한 마음가짐을 미리 준비하고 간다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KPF에서 인턴생활이 즐겁고 유쾌하지만은 않습니다. 잦은 야근과 높은 업무 강도를 가진 팀에 들어가게 될 수도 있습니다. 제가 그랬고 체력적으로도 정 신적으로도 많이 힘든 시간도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지금 고 민하고 계시는 분이 있다면 지원해보시기를 권장해드립니다. 인턴쉽을 떨어 제가 KPF에 지원한 이유는 5학년 1학기 졸업전시를 마치고 사회로 나가기

진다고 하더라도 열심히 만든 포트폴리오는 남을 것이며 만약 가게 된다면

전에 진로를 선택함에 있어서 계속 설계를 하고 싶은가에 대한 대답을 찾고

제 이야기와는 또 다른 본인만의 추억과 경험을 만들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

싶어서였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모두들 그렇듯 막연히 '뉴욕이라는 도시에

다.

살아보고 싶다' 였습니다. 이 두 가지 이유가 합쳐져서 "아, 뉴욕에서 인턴을 해보자" 가 되었습니다. 다른 분들도 이왕이면 5학년 1학기를 마치고 지원 하

또 한 가지 말씀드리고 싶은 점은 해외 인턴쉽이 꼭 KPF일 필요는 없다는 것

시는걸 추천해드립니다. KPF에서의 생활이 자신이 원하는 것이고, 인턴중 자

입니다. 함께 인턴쉽을 했던 캐나다에서 온 친구들은 방학마다 인턴쉽을 하

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면 충분히 job offer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는 것이 의무 수료과정이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 매학기 포트폴리오를 업데이트하고 세계 각지 50여 곳에 달하는 곳에 직접 지원하여 매번 방학마

회사에서의 생활은 어느 팀에 들어가느냐에 따라 같은 term에 인턴으로 입사

다 다른 국가에서 일을 하는 경험을 쌓고 있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설계사

한다고 하더라도 주어지는 역할은 전혀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 하여 설명 드

무소에서 세계 각국의 대학생들을 인턴으로 채용하고 있으며 벽이 높지 않다

리긴 어렵습니다. 멍하니 책상 앞을 지키게 될 수도, 팀원들과 거의 밤샘을

는 것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해가며 공모전을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 회사의 행사나 활동들은 이 전 작품집에 잘 소개되어 있으므로 저는 좀 더 일상적이고 회사생활에 도움

글을 이어가자면 한참이나 더 남았지만 급히 글을 맺으며 마지막으로 무

이 될 만한 이야기를 해드리고 싶습니다. 뉴욕이라는 도시를 가기 이전에 저

슨 이야기를 해야 할지 곰곰이 생각해보다 KPF에서 Urban and Regional

는 많은 나라들을 여행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외국인 친구도 다양한 나라에

planer로 있는 Jennifer가 해줬던 이야기를 나누며 글을 마칩니다.

많기 때문에 문화적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생각도 못했었는데 도착해서 가 장 힘들었던 것은 밤샘이 아닌 문화적 차이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어른이 말

'무엇을 하고 싶은지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은 하고 싶지 아는 것도 중요

하면 공손하게 네네 하던 버릇들이 미국에서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해석되었

한데 그건 해봐야지만 알 수 있다. 무언가를 지원했을 때 돌아올 수 있는 최

습니다. 물론 부정적인 방향으로입니다. 그런 태도는 너무 수줍어서 말을 못

악이 대답은 NO밖에 없다." 뉴욕에서의 인턴쉽은 제가 했던 여러 도전 중 무

하는 팀원, 별다른 의견이 없는 팀원 정도로 인식이 됩니다. 오히려 적극적이

엇보다 많은 생각과 교훈을 준 경험이었습니다. 지금 고민하고 있는 것이 무

고 주도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상사의 지시가 있더라도 더 좋은 의

엇이든 시간 내어 읽어 주신 제 글이 아주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감히

견이 있으면 즉각 제안하는 태도가 긍정적으로 비춰집니다. 이런 차이에서

바래봅니다.

건축학전공 08 김주희 topazjuhee@naver.com


Epilogue

386

Jinho Lee

Comment from Abroad Editor Jinho Lee Photo Jinho Lee 해외인턴 후기 글 이진호 사진제공 이진호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87

Dominique Perrault Architecture

Bjarke Ingels Group

대학 입학 후 대부분의 방학에 한국의 여러 사무실들에 인턴을 경험하면

파리에서의 인턴생활 이후 재계약과 새로운 인턴쉽을 고민하던 중 BIG에서

서 항상 흔히 말하는 해외의 탑클래스 사무실은 무엇이 다를지 궁금했습니

일할 기회가 생겨 비자 준비를 하고 코펜하겐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BIG에서

다. 그런 기회를 더 가까이서 찾고 싶어서 파리의 교환학생을 지원했고, 마침

의 인턴은 건축 커뮤니티에서도 가장 인기 있고 좋은 후기들로 유명하여, 많

설계 스튜디오에 DPA(Dominique Perrault Architecture)에 Chief Architect로

은 두려움이 있었지만 적응하는 것은 DPA보다 훨씬 쉬웠습니다. DPA는 프

있는 Richard Nguyen이 크리틱을 오면서 대화를 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최

랑스인들이 만든 사무실에 외국인들이 섞이는 것이었다면, BIG는 덴마크인은

종 크리틱 후, 포트폴리오와 CV를 준비해서 오라는 이야기를 듣고 급하게 준

거의 없고 대부분이 전세계에서 모여든 사람이었습니다. 더 많은 젊은 에너

비하여 지원하게 되었고, DPA에 인턴으로 일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지들과 다양한 문화들이 사무실에 모여있는 곳입니다.

DPA는 건축, 인테리어, 도시계획 등 총 100명 가량의 사람들이 일하고 있습

BIG는 코펜하겐에 헤드쿼터를 두고 150명 가량의 디자이너들이 있습니다.

니다. 프로젝트에 따라 4~10명 단위의 팀들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사무실이 시작한지 아직 10년이 안되는 시점이다 보니 몇몇 시니어 건축가

공모전, CP, DD등 다루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제가 있

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20~30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부분 4~6명

던 팀은 공모전 프로젝트를 주로 진행하였습니다. 프로젝트 초반에는 2~3명

단위의 팀으로 프로젝트의 절반 이상이 공모전 프로젝트입니다. 매번 프로젝

에서 시작하여, 프로젝트의 규모와 진행상황에 따라 8~10명까지 늘어나기

트마다 새로운 팀이 구성되고, 인턴과 건축가는 직급이나 역할에 차이가 거

도 합니다. 인턴의 역할은 팀장의 성향에 따라, 어떤 경우는 모델이나 3D만

의 없고 대부분이 개인의 성과와 능력으로 평가됩니다. 좋은 성과가 있는 경

다루는 경우 또는 계약직과 구분 없이 팀 내 프로젝트를 소화하는 경우도 있

우 인턴이 프로젝트 리더를 맡고, 건축가가 서포트 하는 경우도 자주 있습

습니다. 경우에 따라 본인의 능력과 성실도를 인정받고 인턴이 직접 부팀장

니다. 또 특이한 점은 특정 역할이 정해져 있지 않고 대부분의 디자이너들

의 역할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직접 디자인한 사무실은 페로에서 많이 다루

이 멀티플레이어처럼 모든 것을 합니다. 대부분의 사무실들이 3D Graphist나

는 재료와 디테일들로 구성되어 클라이언트들의 방문시 바로 페로의 디자인

Presentation 팀이 별도로 있어 마감의 역할을 분담하는데, BIG에서는 팀내

들을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사무실내의 시스템은 여러 사무실과 비교

구성원이 디자인 스케치 단계에서부터 최종 마감의 모든 것을 직접 진행합니

해서도 가장 완벽했습니다. 디테일한 프로그램 정리 방식부터 프로젝트의 모

다. 실제로도 프로젝트의 메인 이미지 1~2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인턴

든 자료를 구성하는 방식도 매우 합리적이고, 효율적이었습니다. 처음 인턴으

들의 작품입니다. 그러다보니 사무실 내에서는 자발적인 자기 개발이 끊임없

로 들어오면 2주 가량 기본 교육과 함께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하는 기간이

이 이루어집니다. 더 많은 역할과 중요도를 얻기 위해 자연스러운 스터디도

있는데, 건축 사무실에서 필요한 기본기를 가장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이었

생기고 일이 없어도 밤이나 주말에 남아서 자신의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합니

습니다.

다. 가장 특별한 점은 이러한 젊은 디자이너들을 잘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이 정말 완벽하게 갖추어져 있습니다. 작업 방식과 진행은 매우 자유

프로젝트 진행은 주로 팀이 분석과 스터디를 진행하는 동안 페로가 주기적

롭지만, 주기적인 팀별 교차 크리틱, 파트너 미팅, 회사 내부 공개PT등의 단

으로 회의를 참여하면서 의견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경우에 따라

계들을 통해서 모든 프로젝트의 퀄리티들이 유지될 수 있도록 많은 시스템들

페로가 직접 스터디를 주도 하면서 적극적으로 참여 하기도 하지만, 더 많은

이 잡혀 있습니다.

경우 팀의 디자인 방향만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결정은 팀 리더가 갖는 경우 가 많습니다. 페로는 매우 유머러스하고 장난기 많기로 유명하여, 쉽게 친해

젊은 디자이너들이 꿈꾸는 가장 이상적인 모습의 스튜디오가 BIG이었던 것

질 수 있고, 언제든지 여러 가지 대화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특히 한국에 대

같습니다. 비야케 부터 신입 인턴까지 모두가 수평적인 구조에서 본인이 부

한 관심이 많아 개인적으로 이야기를 하며 친해질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 몇

딪히는 만큼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와 구조가 갖춰져 있어 일하는 시간

번의 공모전 PT에도 참석 할 수 있는 기회도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페로

이 가장 즐거울 수 있었습니다. 아쉬운 점은,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공모전이

의 생각들을 많이 이해하고 배울 수 있고, 또 한국의 상황에 대해서도 여러

다 보니 실제 구축되어지는 프로세스와 디테일,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스터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어 가장 흥분되는 시간들이었습니다. 그 외에도 완성

디를 경험하고 배울 기회가 없습니다. 실제로 그런 갈증으로 인해서 2~3년

도 높은 디테일과 실험적인 재료를 다루는 방법 등은 찾아 다니는 만큼 배울

의 기간 이후 많은 디자이너들이 다른 사무실을 찾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 있는 기회들이 열려 있었습니다. 세계적인 건축 사무실 중 OMA와 몇몇 미국 스튜디오를 제외하고는 출신학 DPA의 인턴생활을 통해서 건축 사무실이 구성되는 효율적인 방법과 시스템

교 보다는 출신지역과 경력을 더 중요시하는 것 같습니다. 본인의 장점을 부

에 대해 많이 생각할 수 있었고, 한국에서 경험했던 것과는 다른 관점에서의

각시킬수 있는 포트폴리오와 기본적인 CV만 준비되어있다면, 꿈꾸던 사무

접근과 프로젝트 진행의 다양한 균형과 관리방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현

실에 지원해서 기회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처음 생각처럼 불가능한 벽은 아닌

재는 끊임없이 한국인 인턴을 고용하고 있으며 매번 홍대 학생들이 기회를

것 같습니다. 또 유독 아시아 국가 중에서도 한국의 학생들이 이러한 지원 비

얻고 있습니다. 더 많은 분들이 좋은 사무실에서의 경험을 가질 수 있기를 바

율아 매우 낮아 오히려 한 두명의 좋은 선례가 있는 스튜디오의 경우 쉽게

랍니다.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학교나 국내에서의 경험도 충분한 가치가 있지만, 해외에서의 생활과 새로운 환경에서의 작업 기회를 더 많은 분이 가지면 좋 을 것같습니다.

건축학전공 07 이진호 jjinppanglee@gmail.com


Epilogue

Comment from Abroad

388

Yoongi Jung in NewYork

Comment from Abroad Editor Yoongi Jung Photo Yoongi Jung 해외인턴 후기 글 정윤기 사진제공 정윤기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89

KPF 인턴십은 현재 홍익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제공하는 유일한 해외 인턴십

KPF는 초고층 빌딩 디자인에 특화된 회사이지만 동시에 매우 다양한 종류와

프로그램입니다. 동시에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학생으로서 얻을 수 있는 최고

규모의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의 규모와 종류를 막론하

의 기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학생들에게 인턴십의 좋은 경험이

고 대부분의 경우 디테일 디자인까지 하기 때문에 건축적으로 많은 것을 배

건축설계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분야에 도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밑거름이 되

울 수 있습니다. 특히 Plaza 66는 인테리어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재질과 디

고 있습니다. 또한 KPF에 남아 뉴욕에서 커리어를 시작하는 기회를 얻기도

테일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수 많은 종류의 라임스톤 중에서

합니다. 그에 비해 지난 3년간의 KPF 인턴십 선발 면접은 평균 5~7명이 지

쇼핑몰 바닥에 깔릴 돌의 색감과 텍스쳐를 고민하고, 실제 납품하는 업체를

원해서 2명씩 선발되고 있습니다. 인턴십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경험

방문해서 샘플을 확인하고, 이것을 이미지로 표현해서 클라이언트를 설득하

에 비해 낮은 경쟁률이라고 생각합니다. 좀 더 많은 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는 과정은 완전히 새로운 경험이었습니다. 건축에서 컨셉이 가장 중요하지만,

도전하여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그간 KPF에서 배우고

건물의 인상은 핸드레일의 작은 디테일 하나에도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배

느낀 것을 전하고자 합니다.

운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9개월의 인턴십 기간 동안 Plaza 66 레노베이션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

스케치를 제외하면 모든 디자인을 컴퓨터 안에서 해결한다는 것 또한 흥미

습니다. Plaza 66는 오피스 타워와 쇼핑몰로 구성된 복합건축물로1990년대

로웠습니다. 모든 팀에서 거의 같은 방식으로 디자인 스터디를 진행하며 디

중반에 설계된 KPF 최초의 중국 상해 프로젝트이며, 동시에 상해 최초의 럭

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기술적인 면을 모두 공유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팀

셔리 쇼핑몰 입니다. 팀에서의 역할은 시니어 디자이너 아래에서 실측 도면

원 중 누군가가 빠지거나 다른 팀에서 새로운 팀원이 투입되는 경우에도 프

과 디자이너의 컨셉 스케치를 바탕으로 Rhino모델링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로젝트는 문제없이 진행되었습니다. 새롭고 창의적인 건축을 위한 과정은 아

3ds Max와 Photoshop 등을 통해 디자인 스터디와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이

닐지 모르지만 상당히 효율적인 시스템이었습니다. 정해진 기간 안에 주어진

미지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평균적인 KPF의 프로젝트에 비해 규모가 작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직원들의 야근 없이 해결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생각합니

레노베이션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적은 팀원으로 짧은 일정을 소화해야 했습

다. 비록 큰 사무실의 특성상 개개인의 역할이 분담되어 있지만 한 팀이 처음

니다. 자연스럽게 많은 업무량을 수행해야 했고 어려운 점도 많았습니다. 하

부터 끝까지 프로젝트를 담당하기 때문에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처음 실무

지만 덕분에 빠르게 실무를 익히고 필요한 기술들을 배우는 데 많은 도움이

를 시작하는 입장에서 많은 것을 경험하고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되었습니다. 자유롭게 접속 가능한 KPF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프로젝트에 서 참고할 만한 정보들을 찾아보고, 팀원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KPF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배웠습니다.

건축학전공 08 정윤기 kynic79@gmail.com


Epilogue

Comment from Abroad

390

Jeongkwang Hwang

Comment from Abroad Editor Jeongkwang Hwang Photo Jeongkwang Hwang 해외인턴 후기 글 황정광 사진제공 황정광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91

안녕하세요. 저는 2014년 9월부터 KPF 뉴욕 본사에서 인턴을 하고 있습니

합격하게 되면 KPF 뉴욕 본사의 HR 부서로부터 메일을 받게 되고, 이 후

다. 홍익대학교 건축학과에서 매년 두 차례씩 선발하는 해외 인턴에 대한 정

KPF와 비자 준비 업체 모두와 동시에 메일을 주고 받으며 J1 비자를 얻기 위

보와 소감을 후배 여러분들께 전달해 드리고자 이렇게 후기를 작성하게 되었

한 준비를 합니다. 비자 취득의 마지막 관문인 대사관 면접에 필요한 많은 서

습니다.

류를 준비하게 되는데, 인터넷 상에 나와있는 정보도 준비하는 데에 충분히 도움이 되지만 해외 인턴 경험이 있는 선배들께 개인적으로 연락을 하여 정

3학년 2학기 즈음부터 해외 인턴에 대한 주변의 정보를 접하게 되면서, 막연

보를 얻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입니다.

하게 실무와 뉴욕 생활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점에서 아주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이 후 4학년을 보내고 5학년 1학기 개강을 앞두었을 때 본격

KPF는 전세계에 여섯 개 지부를 운영하는 대형 건축 설계 사무소입니다. 뉴

적으로 해외 인턴을 목표로 정하게 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을 것이

욕 본사와 런던에서만 디자인 업무를 하며, 상하이, 홍콩, 서울, 아부다비 지

라고 생각해서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부에서는 주로 현지 프로젝트에 대한 코디네이션 업무를 합니다. 뉴욕에서만 340명 정도가 근무하며, 세계 각지의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팀 단위로 진행합

해외 인턴은 특별히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장기간 외국 생활을 하며 다양

니다. 대부분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초고층 건물>을 설계하는 일이며, 아시

한 경험과 영어 실력을 늘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이며, 그리고 진로를 건축 설

아 특히 중국에서 많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학교나 한국

계 분야로 확정하지 않았지만 외국 대형 설계 사무소의 경험이 진로를 결정

의 소규모 아뜰리에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와는 거리가 있으며, 3학년 설계

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프로젝트 중 오피스 설계와 4학년 구조시스템 과목에서 배우는 초고층 건물 에 대한 내용이 KPF에서 하게 될 프로젝트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고

인턴 생활을 위해 문화 교류 비자(J1)을 받아 미국에 입국하는 과정은 복잡하

볼 수 있습니다.

고 준비할 것도 많으며, 각 준비 단계마다 시간도 많이 걸리기 때문에 부지런 히 움직여야 합니다.

프로젝트는 보통 건축 설계 단계에서 SD(Schematic Design)와 DD(Design Development)단계까지 진행되며 드물게 CD(Construction Documents)단계

일단 해외 인턴 자격을 얻는 것이 우선입니다. 매 학기 종강 후 1~2주가 지

까지 가기도 합니다.

나면 건축대학 웹사이트에 올라오는 해외 인턴 모집 공지를 확인한 후 제출 물을 준비하여 면접에 임하게 됩니다. 제출물로는 영문 성적표와 이력서, 포

인턴의 주요 업무는 이러한 각 설계 단계 별로 필요한 작업물 들을 만들어

트폴리오 등이 있으며 면접은 조한 교수님과 영어로 대화하는 형식으로 이루

내는 것입니다. SD 단계 에서는 컨셉, 매스 스터디, 건물의 주요 형태가 표현

어집니다.

된 렌더링 이미지, 프로그램이 고려된 개략적인 도면을 주로 작업하고, DD


Epilogue

Comment from Abroad

392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93

단계에서는 건물의 각 부분 별로 심화된 스터디를 진행하며 이에 따른 렌더

남아있지만,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확실한 장점이 될 수 있을

링 이미지, 구조가 고려된 상세한 주요 도면과 디테일 도면, 면적 계산 등의

것입니다.

작업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대부분의 인턴과 주니어 직원들은 각 단계 별로 필요한 도면과 각종 그래픽, 3D 모델링, 그리고 렌더링과 이미지 리터칭 작

다른 관점에서 봤을 때 이 장점은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위의 장점은 진로

업을 주로 하게 되며, 이렇게 완성된 작업물들을 모아 주기적으로 클라이언

를 건축 설계로 확정한 사람에게는 장점이 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는

트에게 할 프레젠테이션을 준비합니다. 모형 작업은 하지 않으며 디자인을

고민해야 할 가능성이 하나 더 생기게 됩니다. 또한 한 두 달 일을 하는 것이

위한 스터디 모형은 3D 프린터로, 프레젠테이션용 모형은 외주 업체에 맡겨

아니라 짧게는 6개월 정도의 시간을 인턴 생활에 투자하게 되기 때문에, 진

제작합니다. 다만 급한 프레젠테이션이 잡히는 등 상황에 따라 드물게 손으

로에 대해 고민하다 후회하는 상황이 생긴다면 짧지 않은 시간을 허비했다고

로 모형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생각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입니다.

인턴이라고 해서 컴퓨터 앞에서만 일하지는 않습니다. 거의 매일 이루어지는

물론 위에서 제가 지원하게 된 이유로 들었던, 일과 뉴욕 생활을 동시에 할

팀 회의에 같이 참여하여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자신이 맡게 될 작업에 대한

수 있다는 장점은 이러한 단점을 덮을 수 있을 정도로 크다고 개인적으로 생

설명을 듣고 질문을 하며 팀원들과 소통합니다. 또한 다른 나라에 있는 클라

각합니다. 다만 만족스럽고 후회 없는 인턴 생활을 위해서는 지원 동기와 진

이언트, 컨설턴트들 과의 지속적인 코디네이션을 위해 2주 정도에 한번씩 원

로에 대한 고민을 좀 더 확실히 하고 지원을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격으로 회의를 가지며 이 자리에도 같이 참여하여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상 호 간의 조율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게 됩니다. 저는 영어를 거의 못하는 상태에서 오게 되어 스스로 많이 걱정하였는데, 완 기본적으로 KPF에서는 인턴을 교육의 대상으로 생각하여, 인턴의 작업물에

벽하진 못하지만 어설프게 나마 기본적인 의사소통은 할 수 있는 정도가 되

대한 큰 기대는 하지 않습니다. 일의 성취와 노력을 통해 인정받는 부분은 개

었습니다. 영어에 자신이 없는 후배님들께서도 자신의 길이 아니라고 여겨

인이 하기 나름이기 때문에, KPF라는 큰 그룹 안에서 인정받고 싶은 욕심이

쉽게 포기하지 마시고, 자신의 미래에 좀 더 많은 가능성을 갖고 싶다면 주저

있다면 건축 설계에 대한 기본적인 관심과 작업에 활용되는 기본적인 툴은

말고 준비하여 지원하셨으면 합니다. 물론 지원하고자 한다면 되도록 영어는

충분히 숙련된 상태로 오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KPF에서는 우리

미리 준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가 흔히 사용하는 AutoCAD로 도면 작업을 합니다. 형태 스터디와 렌더링을 위한 3D 모델링은 모두 Rhinoceros로 하며 모델링 데이터를 3dsMAX로 가

끝으로 보잘 것 없는 후기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지고 와 V-Ray를 통해 렌더링 이미지를 만들고, 이 후 Photoshop 에서 리터

아직 인턴 기간이 절반이나 남았기 때문에 진정한 후기라고 볼 수는 없겠지

칭을 하여 이미지를 완성합니다. 기본적으로 위에 나열한 툴을 숙지하여 온

만, 제가 할 수 있을 때 후배님들께 많은 정보를 전해 주고 싶다는 생각에 이

다면 업무에 큰 지장은 없습니다. 또한 위의 툴들을 다 다루지 못하여도 필요

렇게 후기 아닌 후기를 쓰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궁금한 점이나 더 알고

에 따라 조금씩 가르쳐 주기도 합니다.

싶은 정보가 있다면 언제든지 메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또한 다양한 국적의 사람과 함께 일을 하게 되며 많은 한국인 선배분들도 일 을 하고 있습니다. 같은 팀원 외의 사람들과도 KPF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체 적으로 이루어지는 공모전, 전시회, 프레젠테이션 등의 이벤트 들을 통해 친 해질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있습니다. KPF에서의 업무 강도는 자신이 어느 팀에 배정 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데, 팀의 분위기와 업무 강도가 바로 뉴욕 생활을 어떻게 보낼 수 있는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인턴은 급여를 시급으로 받기 때문에, 추가 근무 시간 은 수입과 비례하고 여유 시간과 반비례하는 관계를 가집니다. 보통 평일에 일 하고 주말에는 뉴욕 이곳저곳을 구경하는 생활을 하게 되며, 인턴은 기간 이 길기 때문에 여행을 통해 구경 왔다면 몇 시간 안보고 지나갈 곳도 천천 히 느긋하게 구경할 수 있다는 점은 굉장히 큰 매력입니다. 또한 맨해튼 32 가와 플러싱 등 한인 타운이 굉장히 잘 이루어져 있고 한인 마트도 뉴욕 곳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생활하는 데에 큰 불편함 없이 지낼 수 있습니다. 해외 인턴의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은 KPF에서 정직원으로 일을 계속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는 것입니다. 어려운 국내 취업 시장에서 고전하는 것 보다 비교적 좋은 조건을 누리며 외국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노려볼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한 장점입니다. 물론 무작정 일만 열심히 한다고 취업 제의 를 받을 수는 없습니다. 취업을 위해서는 일을 통해 좋은 성과를 내는 것은 기본이며, 새로운 대형 프로젝트가 시작한다던지, 상사가 나를 좋게 보았다던 지 등의 외적인 요인도 작용해야 인턴에서 정직원으로 가는 다리가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물론 정직원이 된다고 하더라도 비자 문제 등 여러 관문이 더

건축학전공 06 황정광 shoegazernotdead@gmail.com


Epilogue

394

Taewook Kang

Comment from Abroad Editor Taewook Kang Photo Taewook Kang 해외인턴 후기 글 강태욱 사진제공 강태욱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95

안녕하세요, 저는 실내건축학전공 09학번의 강태욱이라고 합니다. 해외인턴

개인적 소감을 뒤로하고 3개월 동안의 생활을 말해보고자 합니다. 저는

수기라는 거창한 이름으로 여러분과 만나게 된 것이 조금은 낯부끄럽습니다.

KKAA에서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조그마한 shop을 디자인 하는 프로젝트에

하지만 저의 선배들이 그러하였듯 저의 전혀 거창하지 않은 말들이 여러분께

참여하였습니다. 그리고 팀에 소속된 인턴으로 쿠마상과 함께하는 쿠마체크

조금 더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으로 제 경험을 밝히고자 합니다.

(Kuma Check)에도 참여하며 디자인에 대한 옵션 제안, 수많은 모형 제작, 도 면 작업 등을 했습니다. 그리고 남는 시간에는 다른 인턴 친구들과의 모임,

이 글을 쓰는 현재의 저는 3학년을 마친 후 1년 휴학 후 3월에서 5월까지

그리고 도쿄 건축물 탐방 등 3개월의 주어진 시간을 한 순간도 허투루 보내

일본 동경에 위치한 쿠마켄고 건축사무소 Kengo Kuma And Associate(이

지 않으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참 신기하게도 저와 KKAA와의 인연은 그

하 KKAA)에서 3개월 동안 인턴을 하였습니다. 그 후 대략 50일동안의 유럽

렇게 끝나지 않았습니다.

여행을 다녀온 후 11월부터 한국 서울에 위치한 황두진 건축사무소 DooJin Hwang Architect(이하 DJHA)에서 3개월동안 인턴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

앞서 밝혔듯이 휴학과 동시에 생각해두었던 유럽여행에서 인연이 계속 되었

외인턴 수기라는 글 안에 저의 다른 이력사항을 넣는 이유는 다름이 아닌

던 것입니다. 지난 3개월 동안 참여했던 프로젝트의 파리 현장에 가서 제가

KKAA에서의 해외인턴이라는 경험이 다른 두 시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만든 모형으로 회의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같이 일하

여러분과 함께 이야기 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던 유럽 친구와 함께 밀라노에 새로 생긴 KKAA에서 디자인한 Camper 매장 을 함께 가기도 했습니다. 또한 일본에 있는 동안 디자인 단계에 있던 반 고

제가 KKAA에 인턴쉽을 지원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다름 아닌 현재에도 KKAA

흐 특별전 전시 디자인을 직접 관람하기도 했습니다.

에서 직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06학번 주재영 선배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입 니다. 작년 겨울 휴가차 한국에 들어온 주재영 선배는 저에게 “해외인턴이

그렇게 즐거웠던 시간을 뒤로한 채 한국으로 돌아온 후 해외인턴에 다시 도

라는 것이 흔히 생각하는 것 만큼 큰 산이 아니다. 만약 네가 의지가 있다면

전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보다 항상 선배들과

함께 이야기 해보자”라는 말을 건네었고 그 이후에 저는 큰 용기를 내어 포

친구들에게 듣기만 했던 한국 건축의 현장에도 학생의 신분으로 함께해보고

트폴리오를 준비하고 선배와 함께 이야기를 하며 공식적으로 회사 측에 메

싶었습니다. 그리하여 때마침 좋은 기회에 연이 닿아 DJHA에서 인턴쉽을 진

일을 보내어 지원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후 회사에서는 저에게 3월부터 일

행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한국과 일본에서 국제주의 건축이 아닌 각 나라의

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답장을 보내왔고 그렇게 저는 설렘 그리고 걱정이라

요소를 담은 디자인을 하기로 유명한 DJHA와 KKAA이었기에 더욱 더 즐거

는 상반된 감정과 함께 일본으로 향하는 비행기에 몸을 실었습니다. 사실 미

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저의 기대는 현실이 되었

리 밝혀두자면 개인적으로 해외인턴은 해외 생활 전무, 실무 경험 전무인 저

고 지금도 굉장히 즐겁게 서울에서 일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에게는 굉장히 무모한 도전이었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한국과 일본의 건축 환경에 대한 차이, 그리고 미약하나 그렇게 많은 것이 부족했지만 3개월 동안 정말 꽤 열심히 생활했습니다. 아

마 직접적으로 경험한 두 회사에 대한 개인적 차원의 분석은 분명 제가 학교

침 10시에 출근하여 거의 매일 밤 10시~11시에 퇴근(일요일 제외)해가며

에서 경험할 수 없는 너무나도 값진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러한 경

배당받은 팀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려고 노력했습니다. 프로의식이 굉

험이 제가 졸업 후에도 건축을 해나가는데 있어 굉장히 고마운 시간이 될 것

장히 강했던 일본인 슈퍼바이저(일명 직장상사)와 세계 각국에서 모여든 수

이라 예상합니다. 두서 없는 글을 마무리하며 후배 분들에게 당부드리고 싶

많은 인턴들 그리고 항상 옆에서 모국어로 외로움을 달래주었던 한국인 직원

은 말이 있다면, 기회가 된다면 직접 도전해 보시라는 말입니다. 세계의 여러

분들, 09학번 동기 이진혁 군까지. 저를 포함한 수많은 사람들이 건축이라는

크고 작은 사무실들은 항상 학생인턴에 대해 열려있습니다. 그 문을 두드리

공통분모 아래 그리고 KKAA라는 소속감으로 정말 열심이었습니다. 사실 저

신 분들에게 또 다른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기를 고대하고 있겠습

의 부족한 영어실력과 사람을 지치게 만들 수 밖에 없는 작업 일정은 가끔씩

니다.

왜 이렇게 멀리까지 와서 고생을 하는가 하는 고민을 하게도 했지만 “잘하 고 있다”라는 직장상사의 말 한마디에 3개월을 버틸 수 있던 것 같습니다.

실내건축학전공 09 강태욱 m0001246@naver.com


Epilogue

Student Atlier & Activity Group

396

student Atelier

ATELIER

STUDIO AXIS 1986

TERRA

Atelier NEO

Atelier Terra

Atelier Axis

Contact

Contact 마포구 서교동 400-11 3층 010-7225-9153 김윤수

Contact

마포구 창전동 6-13 010-6878-6619 이용선

마포구 서교동 363-15번지 6층 B호 남자 신동성 010-4622-6297 여자 서수지 010-3862-1571

Atelier Archihong

Atelier Cubic

Atelier Jonathan

Contact

Contact 마포구 상수동 72-26 지층 010-4505-4595 김요엘

Contact

마포구 서교동 358-101번지 101호 010-2477-9029 이정호

Atelier Crossheir Contact 010-6568-0504 배홍철

마포구 서교동 369-21번지 201호 010-6208-3582 허동호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97

activity group

Kinoeye

눈깔

Archi-Art

Contact

Contact

Contact

010-4100-3193 노종화

010-7120-7380 임상하

010-8697-7047 이태양

Studio A

ICF

Redo

Contact

Contact

Contact

010-4190-3254 문재경

010-4195-4095 김활기

010-2614-2358 박상근


Epilogue

Student List

398

student list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MAJOR IN ARCHITECTURE 1st year

2nd year

3rd year

강대민 강 신 고기훈 구교성 김건우 김성준

강기훈 강대신 강서건 강정환 권진혁 기호석

강민구 강재욱 고진혁 권현수 김민영 김민정

김 준 김진수 김진우 김현조 김희원 노종화

김건웅 김도연 김도환 김동찬 김무연 김새미

김민주 김승근 김연태 김요엘 김용태 김욱재

문재경 박건우 박동균 박세영 박시중 박현진

김소명 김수홍 김영건 김예은 김재웅 김정윤

김진희 김태완 김태윤 김현동 김혜은 나윤주

백홍선 변상일 서원학 성솔누리 신 진 심현수

김종후 김태윤 김형곤 김혜원 남궁훈 류동오

도운비 문창민 박성민 박용범 박정호 박지훈

양수빈 양이진 양준모 양채원 연자기 오민석

민지홍 박관우 박상현 박슬비 배혜민 백장현

배홍철 서수지 송혜수 송효준 신동성 신세열

오성택 오수연 원경연 윤상철 윤지호 윤형두

손다연 손성식 송세웅 심언관 안성진 양서용

엄현지 여환호 오병욱 오승민 유하늬 윤희정

이건영 이도환 이두행 이상석 이승민 이찬용

오성훈 오연하 오형빈 위수현 유영욱 유영현

이권희 이영진 이용선 이원중 이유나 이윤선

이태양 이후성 임상하 임재환 장경천 장은기

유예지 이대혁 이석열 이정민 이정서 이정석

이윤아 이정호 이종학 이종훈 이주희 이지은

전려진 정가별 정세미 정주희 조준석 조창우

이제백 이조은 이한별 이혜나 이호윤 임상우

이충인 임지현 장 개 장 엽 정창원 정해랑

주지홍 최용현 최원영 한상곤 허주혜 홍소희

임채현 전소이 전여은 전홍빈 정원용 정희홍

조승은 지현배 최명제 최선웅 최재훈 함상준

황건하

조명준 조상원 조우제 조주영 조형우 채승빈 채호영 최수영 최인준 최지수 최해빈 하동현 하태우 하현우 홍영민 황인정 Linchimao

MAJOR IN INTERIOR ARCHITECTURE 1st year

2nd year

3rd year

고희원 국효설 권혁찬 김균철 김남언 김동욱

강예찬 김민지 김백준 김보미 김소연 김주현

구재영 권민정 김민서 김민석 김영곤 김유미

김예나 김용현 김유승 노 모 류민주 박재현

김태욱 김현주 노경환 노한수 맹주용 명재호

김정은 김현석 김호영 김활기 나경원 노지수

배예은 배한조 신수정 신혜조 심대현 엄준형

서승희 송성회 신채연 엄민식 이로아 이성원

민성휘 박상혁 박성호 박세원 박종휘 신기태

윤어진 이기용 이예림 이윤지 이찬희 장준현

이수재 이현석 장해용 장훈창 전혜빈 정우진

신동해 우주성 유신우 유지성 윤영권 이경호

주홍린 최규성 최시헌 최재혁 최종오 최하늘

조상욱 조종태 최재희 최진규 허동호 홍제복

이재호 이주형 이지현 이혜재 임병수 정성웅

홍성이 황희원 zhaosiwen zhuangnan

quxiaowei yangshuran

정 파 지대성 한새롬 한진모 허성호 황호선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399

4th year

5th year

강민욱 강성환 강지현 고낙기 고종욱 기연석

강승진 강신영 강용석 강창웅 강한솔 고대은

이성찬 이수경 이수연 이승환 이용희 이웅재

김대년 김동현 김문찬 김민규 김민기 김병준

고덕현 권하영 권혜원 기창호 김경제 김기욱

이재호 이정원 이정환 이종훈 이준영 이진호

김병훈 김수빈 김용엽 김용현 김윤수 김 은

김도연 김동규 김동욱 김명신 김민철 김성균

이창원 이현승 이형민 이호재 임하형 장한솔

김재현 김준련 김지은 김지훈 김진영 김청산

김소연 김소현 김송이 김수민 김승욱 김승택

전종준 정소현 정연재 정종욱 정준석 정현기

박일우 박정호 박종호 박준혁 석재민 송보경

김승혜 김영준 김유현 김응찬 김인영 김잠언

제정웅 조상준 조영동 조유환 조재영 조효진

송유현 송지현 신병호 신장효 신찬문 오구영

김정희 김제호 김종화 김주희 김태훈 김한욱

지혁철 진민우 진성열 진솔비 진용조 진태욱

위성문 유수미 이경연 이선민 이성현 이승진

김해종 김현규 김현수 김현숙 김현우 김혜경

최예규 최윤주 최효은 하상락 한경원 한은주

이영동 이예나 이원우 이유한 이지수 이해수

김혜수 김효석 남윤하 남지호 노동연 류공진

허재원 현지훈

이환희 임미르 임제균 장재희 전범준 전병진

류다영 문경호 문예준 문지훈 민정택 박경태

전성훈 정요은 정용민 정항수 조경민 조문경

박근용 박기진 박보미 박영묵 박윤정 박장현

조호근 최서윤 최지숙 한찬희 홍승균 홍찬의

박종한 박준수 박진선 박진한 박현배 박희동 배영균 서대범 서일범 송승훈 송창훈 신동준 신형준 안해찬 양승겸 양신욱 엄재준 엄재하 여현동 오단룡 오상민 오소희 오승무 오화성 온건웅 우종호 위정연 유용호 유준하 윤성훈 이강현 이기학 이문영 이민호 이범용 이상민

4th year 강동수 강종우 곽서정 김경범 김다경 김두희 김명진 김민호 김선정 김슬비 김종기 김주현 김지훈 김찬호 남현우 남 휘 류세희 박재현 손예선 송승엽 양인환 오지은 오지훈 유재민 유태욱 윤정옥 윤지영 윤태준 이용진 이주형 이중한 이중훈 이한나 이한별 이현재 임동재 임하은 장용주 전미진 정경호 정예현 최슬건 현홍은


Epilogue

Editor's Note

400

editor's Note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강민구

작품집을 총괄하며 진심으로 느낀 점은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힘이 바로 우리 학우들이라는 것입니다. 많 은 학우들의 다양한 생각이 있었기에 우리는 더욱 고민하고 탐구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구성에 있어 약 간은 조심스러운 새로운 시도를 하며 2008년도에 작품집을 기획하신 신성욱 회장과 작년 문경호 회장까 지의 고민을 공유하며 공감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곽서정

작품집 편집팀의 일원으로 두 권의 책을 만들때와는 사뭇 다른 느낌이었습니다. 치프에디터로서 이 책의 틀 부터 아주 섬세한 부분까지 많은 고민을 하고 만들었던만큼 남다른 애착을 가졌습니다. 도움을 주신 모 든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책장 어딘가에서 해가 지날수록, 여러차례 읽을수록 가치를 더해가는 책 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지수

작품집 참여는 이번이 두 번째입니다. 처음 참여할 때는 그저 '참여'만 했다면 이번에는 욕심내어 '편집'을 한 기분입니다. 아직도 많이 미숙하지만 이 책이 앞으로 작품집을 만드실 분들에게 좋은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노한수

남의 일기장을 훔쳐본다거나, 거리에서 싸우는 연인들의 사랑싸움을 엿듣는다거나, 유명인의 가십을 읽는 것처럼 사람들은 누군가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접했을 때 재미있어 합니다. 이 책을 넘기면서 만나는 작품 과 인터뷰, 글들도 그런 이야기를 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작품집을 보시는 여러분이 그저 재미있 게 느끼시면 좋겠습니다.

김태완

한 권의 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직접적인 디자인은 관여하지 않았지만, 그 이 외에 교수님의 인터뷰와 선배님의 인터뷰 등 평소에 할 수 없었던 의미 있는 일들을 직접 진행하면서 많은 것을 얻었다. 또 책의 디자인보다 그 외의 일들도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임치무

HSA 작품집은 건축대학 전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와 수고를 바탕으로 만들어집니다.모두 감사합니다.


HSA 2014 Annual works - 60th ver.

김미지

401

복학을 앞두고 이렇게 의미있는 일에 동참하게 되어 기쁩니다. 언제나 그렇듯 많은 학생들의 결과물들을 보 는 것만으로도 설레고 가슴이 뜁니다. 부족한 제가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어서 참 다행입니다. 이 작품 집이 모두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새로운 한 해에도 각자의 자리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홍건인들을 기대합 니다!

이혜나

렌더 한 장, 모델사진 한장, 도면 한 장, 다이어그램 한 개가 나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고민과 노력이 있었는 지 느껴지는 작품들이었습니다. 비록 힘들고 긴 밤들이었지만, 작품집을 통해 그간의 노력을 조금이나마 보 상받으시길 바랍니다

송유섭

매년 후배여러분들의 고생끝에 나오는 작품집을 보며 한때 작품집의 편집을 이끌었던 선배로서 고생을 덜어 줄 수 없는 미안함과 더불어 완성도 있는 결과물에 뿌듯해왔습니다. 올해 역시 수준급의 작품집이 완성되기 까지 고생한 후배들에게 수고했다는 말과 함께 이렇게나마 도움이 될 수 있어 고맙단 말을 글로나마 대신하 고 싶습니다.

신세열

다른 사람의 모델을 이렇게 유심히 살펴 본 적은 처음이었습니다. 별거 아닐 거라 생각했던 사진 작업은 꽤 나 어려웠지만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습니다. 선배, 동기, 후배들의 설계 결과물을 유심히 살펴보면서 이제까 지 타인의 작업에 대해 피상적으로만 살펴본 것이 아니었나 생각하게 됩니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황희원

안녕하세요. 2015 작품집에 참여한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14학번 황희원이에요. 학생회 학술부원으로 작품 집 제작에 참여했는데, 저에게는 정말 유익하고 좋은 기회였어요. 작품집은 작년 60주년 기념 전시에 맞춘 컨셉으로 진행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교수님들과 인터뷰도 해보고 건축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해 본 것 같아요.

김정은

갑작스럽게 작품집에 참여하게 되었네요! 번역을 하면서 작품을 다시 자세히 읽어보게 돼서 너무 좋았습니 다. 2014년 한 해 동안 다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2015년도 다 같이 파이팅해요.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4

2015년 2월 10일 초판인쇄 2015년 2월 23일 초판발행

인쇄 : 상진문화인쇄사

Hongik University 72-1 Sangsoo-dong, Mapo-gu, Seoul, Korea 121-791

School of Architecture http://arch.hongik.ac.kr http://intarch.hongik.ac.kr http://www.facebook.com/hongikarchi arch1106@hongik.ac.kr tel. +82-2-320-1106 fax. +82-2-322-1105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