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2
re tu ec it ch Ar re of tu ec t. it e Dp ch ur , Ar ct dg te re Bl of hi tu L c c t. Ar te of Dp i g of rch on in ti t. A er uc Dp of ne se tr gi ur of t. ns En Co n Dp Co o d Re al ti to an , or za g gy ce ct ni in lo en Do ga er no . hi or ne of ch pt Sc Re gi Te g D nt En of e of in hm t. . er is Dp pt ne bl D of gi ta re En n Es u o nt ct o ti t me te . za rt hi pt ni pa rc D ga De A or rt re to A Re tu e of ec tl n it ti tio ch ge za ol Ar an ni ho f ts o Ch rga Sc Ar e o on t i of ua at t. ad iz Dp Gr or f th re o Au tu t ec en it hm ch is Ar bl ta of Es t en hm is bl ta Es
2
1
Ma y
19 85 19 66
19 71
19 73
19 78 De c
De c
De c 31 31 De c 19 64 19 58
19 54
Ma r
Fe b
30 3 28 Ma r
공 학 부 로
신 설 인 가
개 칭 ,건 건 축 축 미 공 술 학 과 대 과 를 학 로 건 원 개 축 박 편 공 사 학 과 과 정 로 설 개 건 치 편 축 인 공 가 학 과 를 건 축 학 와 과 우 로 관 개 준 편 공 ,건 축 학 과 건 물 로 사 용 이 공 대 학
건 축 학 부 를 건 축 과 설 치
설 립
석 사 과 정
건 축 학 부 대 학 원 건 축 미 술 학 과
i
ntroduction
HISTORY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2
on ti bi hi Ex
gn si De ) or 17 ri 20 te 2~ 01 In (2 in of B n AA ol io K ho ns om Sc te fr te Ex ) n 12 ua e io 20 ad ev it 7~ Gr hi ed 00 (2 Ac ccr of B A A t KA en T hm II re om is tu fr th c bl wi te on ta i ti Es es ch i ti Ar ed cr up of Ac t ol e Se ho ev , e Sc hi ol rs Ac ho ou of n C Sc t ig te en es AA ta hm D th du is or wi ra bl ri m rg ta te ra de Es In og Un & Pr ar ge Ye re an 5 tu ch y ec Ex pl it f Ap ch o Ar t a en ri hm st is Au bl ta of Es
ld He
3 IIT
s
oi
lin
(Il
AA
In
과
ol
주 최 로
Sc ho
건 축 학 과
건 축 전
(2 01 2~ 20 17 )
오 스 트 리 아
교 개 st 류 itu 최 te 협 건 of 약 Ma Te 축 체 r ch 학 결 no 20 과 lo 06 5년 gy )와 제 자 시 매 행 13 결 건 연 Ju 축 대 실 l 학 내 20 건 발 07 축 족 학 전 공 1 (4 건 Ma 년 축 제 r 학 )신 20 인 설 10 증 최 초 취 31 득 대 (2 Ju 학 00 원 7~ l 20 실 20 12 내 12 ) 건 축 학 과 건 신 축 설 학 인 증 재 인 증 1 19 97
19 97
20 02
Ja n
Ma y
Ma r 10 13
i
ntroduction
CONTENTS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2
■ Architectural Design
Hongik Girl`s Middle School ㅡㅡㅡㅡ 90 Renovation
■ Architectural Design
Geometry in Nature
1.0
ㅡㅡㅡㅡㅡ 20
Space Installation
ㅡㅡㅡㅡ 24
1:1 Pavilion
year
ㅡㅡㅡ 16
Artificial Objects
Flagship Store + Eco-friendly Office Program ■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ㅡㅡㅡㅡㅡㅡ 28
Single-Family Housing
ㅡ 96
Commercial Renovation
ㅡ 32
3.0 year
ㅡㅡㅡㅡ 114
Space in Space
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6
Hotel Renovation
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7
Commercial Renovation ㅡㅡㅡㅡㅡㅡ 120 홍문관 Rooftop Renovation ㅡㅡㅡㅡ 124 ■ Furniture Design
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6
0.1
introduction ■ History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 Contents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
■ Introduction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
■ Faculty ■ Dean’s Letter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 ㅡㅡㅡㅡㅡㅡㅡ 10
Letter from the Chair of Architecture
ㅡㅡㅡㅡ 12
Letter from the Chair of Interior Architecture
ㅡㅡㅡㅡ 13
2.0 year
■ Architectural Design
Rooftop House ㅡㅡㅡㅡㅡㅡㅡㅡ 36 Residence for Parents
ㅡㅡㅡ 42
Hongik Playground
ㅡㅡㅡㅡ 54
Museum
ㅡㅡㅡㅡㅡ 60
■ Architectural
Form and Shape
ㅡㅡㅡㅡㅡ 70
■ Digital Design 1
ㅡㅡㅡㅡㅡㅡ 71
■ Digital Design 2
ㅡㅡㅡㅡㅡㅡ 72
■ Interior Architecture
Retail Shop
ㅡㅡㅡㅡㅡㅡㅡ 74
Urban Style Housing
ㅡㅡㅡ 79
Concrete Study
ㅡㅡㅡㅡㅡㅡ 81
Artist`s House
ㅡㅡㅡㅡㅡㅡㅡ 84
Urban Style Housing 2
4
ㅡㅡㅡ 86
G
■ Architectural Design
year
: Graduate Studio
ㅡㅡㅡㅡㅡㅡ 188
■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 Graduate Studio
0.2
4.0
epilogue
■ Daily
ㅡㅡㅡㅡㅡㅡ 252
■ Circles
ㅡㅡㅡㅡㅡ 278
■ Student List
ㅡㅡㅡ 334
■ Editor`s Note
ㅡㅡ 336
■ A Conversation with Senior
ㅡㅡㅡㅡㅡㅡㅡ 286 Hangsub Park Alumni Representative of HSA
interview ■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Uk Kim
year
■ Architectural Design
Residential Complex
ㅡㅡㅡㅡㅡ 130
Utopia and Distopia
ㅡㅡㅡ 154
Nagasaki Condo & Marina Skin Studio
ㅡㅡㅡㅡㅡㅡ 238
0.3
ㅡㅡ 158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62
Dynamic Architecture
ㅡㅡㅡㅡ 168
Architectural Experiments ㅡㅡㅡㅡㅡ 174 for Unusual Site Designing for the Inventive Economy Urban Livingroom Project ■ Landscape Architecture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94
Youngsoo Lee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00
Hyunho Lee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06
Yongsoon Chan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14
■ Comment from Abroad and Interns
Kyuhyun Hwang Jinho Lee
École Spéciale d’Architecture
ㅡㅡㅡㅡㅡㅡㅡ 324 ㅡㅡㅡㅡㅡㅡㅡㅡㅡ 326
Jinkyung Cho Unnim Koh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28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30 Kohn Pedersen Fox Architects
ㅡㅡㅡㅡㅡㅡ 176 ㅡㅡㅡㅡ 178 ㅡㅡㅡㅡㅡ 182
5
i
ntroduction
Introduction of HSA ANNUAL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2
BOOK STORY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은 한국건축의 선두주자로서 흐름을 주도하여왔다. 하지만 결과물에 대한 PRESENTATION에 있 어서 소홀했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졸업 및 과제작품집을 만들게 되었다. 이 책의 구성은 현재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orea Architectural Accrediting Board)의 인증을 받은 현재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커리큘럼을 각 학년 및 스튜디오 별 프로젝트를 순차적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1년 동안 진행된 체육대회, 종강파티 등의 행사와 더불어 일상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사진들을 모 아 편집하였고 설계 이외의 과목들에 대한 소개와 교수, 동문들의 인터뷰를 실어 다양성을 더하고자 하였다.
A YEAR IN REVIEW HSA ANNUAL 2012은 단순히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작품들을 모아놓은 책이 아니라 2012년 한 해 동안 있었던 학생회 의 다양한 활동(학술, 복지, 기타)을 담았다. 또한 홍익대학교 건축대학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인 '미술실기'와 디지털 디자인 분 야, 비 설계 과목, 일상 등이 담겨있다.
PROJECT ICON 각 프로젝트의 성격을 각각 도시 / 공공 / 주거 / 문화 / 상업 / 설치와 같이 6종류로 나누어 프로젝트명과 함께 표기하였다.
MULTILINGUAL IN KOREAN AND ENGLISH 이 책은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세계 각국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모든 지문을 영어로 번역하였으며 한영 공동표기를 하였다.
6
BOOK STORY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has been the frontrunner in Korean Architecture. But their has been opinions on the lack of our presentation to our works, so we have established this annual and project review. Also pictures from sports festivals, graduation parties, and other festivals held during the year were edited and collected into this book, while the introduction on other lectures, interviews on professors, and alumni were added for diversity.
A YEAR IN REVIEW HSA ANNUAL 2012 is not just a book that has collected the works of HSA, it gathers the various activities(scholar, welfare and etc.) that has happened around the students during the year 2012. The characteristics of HSA such as ‘art techniques’ and digital design and pictures of the editors are shown in the covers.
PROJECT ICON Each of projects has an icon categorized by six types: Urban, Public, Dwelling, Culture, Commercial, Installation.
MULTILINGUAL IN KOREAN AND ENGLISH For Koreans and for international users to understand this book, all writings are translated in Korean and English.
7
i
ntroduction
FACULTY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2
DEAN
Gisuop Hong Structural Engineering B.S. Seoul National Univ. M.S. Seoul National Univ. PhD. Seoul National Univ.
DEPARTMENT CHAIR OF ARCHITECTURE
DEPARTMENT CHAIR OF INTERIOR ARCHITECTURE
B.S. Yonsei Univ. M.Arch. MIT M.Arch. with Distinction. Harvard Univ. Architect AIA
B.S. Seoul National Univ. M.Arch. University of Michigan Architect AIA
EMRITUS PROFESSOR
EMRITUS PROFESSOR
Hyunjoon Yoo Architectural Design
Dokeun Yoon Architectural Design
Myunghyun Jeon Architectural Design
M.S. Hongik Univ. PhD. Hongik Univ. Architect KIRA
M.S. Hongik Univ. PhD. Hongik Univ.
EMRITUS PROFESSOR
EMRITUS PROFESSOR
Kunhee Kang Architectural Design
Eonkon Park History of Architecture
M.S. Hongik Univ. H.PhD. Sukmeung W. U.
M.S. Waseda University PhD. Waseda University
PROFESSOR
PROFESSOR
B.S. Seoul National Univ. M.Arch. Ohio State Univ. PhD. University of Michigan
B.S. Hongik Univ. M.Arch. Paris La Villette PhD. Hongik Univ. Architect D.P.L.G.
ASSISTANT PROFESSOR
ASSISTANT PROFESSOR
B.Arch. Univ. of Liverpool Dip. TRP Univ. of Liverpool PhD. Univ. of Liverpool RIBA
B.S Hongik Unv. M.Arch. Yale University Architect AIA
ASSISTANT PROFESSOR
ASSISTANT PROFESSOR
B.S. Seoul National Univ. M.S. Seoul National Univ. M.Arch. UC Berkeley Architect AIA, KIRA
B.S. Hongik University M.Arch. Univ. of Pennsylvania PhD. Seoul National Univ. Architect AIA
ASSISTANT PROFESSOR
ASSISTANT PROFESSOR
B.S. Hongik Univ. M.Arch. Univ. of Pennsylvania M.Des. Harvard University Doctor of Design, Harvard University
B.S. Hongik Univ. M.Arch. Michigan Univ. PhD. Carnegie Mellon Unv.
Uk Kim Architectural Planning/CAD
Jaeyong Chung Architectural & Urban Design
Hyunjun Mihn Architectural Design
Kyuman Song Digital Architecture / Architectural management
8
Hyunho Lee Interior Design
Youngsoo Lee Architectural Design/Planning
Hahn Joh Architectural Design
Yeonghwan Lim Architectural Design & Sustainable Architecture
Heakyung Yoon Architectural Environment
ASSISTANT PROFESSOR
ASSISTANT PROFESSOR
B.S Hongik Unv. AA Dipl. AA School RIBA
B.S. Hongik Univ. M.Arch. University of Michigan Architect AIA
ASSISTANT PROFESSOR
ASSISTANT PROFESSOR
B.S. Seoul National Univ. M.S. Seoul National Univ. Ecole d’architecture Versailles, France St. Denis University, Paris 8
B.S. Hongik Univ. M.Arch. U.C.L.A Doctor of Design, Harvard University Architect AIA
ASSISTANT PROFESSOR
ASSISTANT PROFESSOR
B.S. Seoul National Univ. M.S. Seoul National Univ. M.Arch. Yale School of Architecture Architect AIA, KIRA
B.S. Hongik Univ. MID,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M.Arch I. Harvard University Licensed Architect (Massachusetts)
ASSISTANT PROFESSOR
ASSISTANT PROFESSOR
B.A.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M. Arch,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h.D.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B.S. Korea Univ. M.Arch, Yale School of Architecture AIA, Architect
Juwon Kim Architectural Design
Seunghyun Woo Interior Design
Yongsoon Chang Architectural theory / history
Sungik Cho Architectural/Interior Design
Jieheerah Yun Architectural history/theory
Kyung-Sun Lee Architectural Design / Sustainable Design
Chaelyun Lee Interior Design
Youngsun Ko Architectural / Interior Design
ADJUNCT PROFESSOR Haecheon Seo Architecture Design
Youngkeun Han Architecture Design
Junghyun Park Architecture Design
B.S. Keimyung Univ. M.S. Hongik Univ. Architect KIRA
B.S. Hongik Univ. M.Arch. ENSA PARIS(3eme Cycle) Architect D.P.L.G. France
PhD. Hongik Univ.
Sangkil Kim Architecture Design
Hyosik Choi Architecture Design
Beomsik Na Architecture Design
B.S. Univ. of Seoul M.S. Hongik Univ.
PhD. Hongik Univ.
M.S. Hongik Univ. Architect KIRA
Junghyun Hwang Architecture Design
Myeonghong Kim Architecture Design
Hee Moon Architecture Design
M.S. AA School
B.S. Seoul National Univ. M.S. Seoul National Univ.
M.Arch. Ecole d’;Architecture Paris-Belleville M.S. Université Paris1 Panthéon-Sorbonne Architect D.P.L.G. FRANCE
VISITING PROFESSOR Seungyoon Lee Interior Design
Wonjong Kim Structural Engineering
Yunho Song Architecture Design
M.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B.S. Kangwon Univ. M.S. Kwangwoon Univ. PhD. Kwangwoon Univ.
B.S. Hongik Univ. M.S. Hongik Univ. M.S. Aachen Univ. of Technology.
9
i
ntroduction
Dean’s Letter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2
새로운 출발점에 선 학생들에게.
매년 한없이 어린 눈빛으로 올려다보던 신입생들과 성숙하고 깊은 눈빛으로 자라난 졸업생들을 봅니다. 여러분들을 하나하나 기억하지는 못해도 건축이라는 울타리 안에 우리는 같은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간다고 생각합니다. 20대의 자아를 만드는 가장 중요한 시기에 여러분의 무대가 되는 곳이 대학이라 생각하며, 사뭇 무거운 책임감을 느낍니다. 건축을 공부한다는 것은 주어진 환경을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되어, 최선의 해결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끊임없이 사고하는 것이며, 자신이 찾아낸 방법을 아름답게 그려내기 위해 스케치를 쌓아가는 과정입니다. 그렇기에 결코 쉽게 얻을 수는 없으며, 다양한 경험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통찰해 다가가야 합니다. 이 시기에 만나는 건축이라는 학문, 건축대학이라는 집단은 더 없는 축복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주어진 과제를 해나가며 많은 고난과 역경에 부딪히겠지만 함께라는 가치를 찾을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집단이 이곳이라고 자신 있게 말하고 싶습니다.
우리 건축대학의 교육 목표는 단지 건축 관련 지식을 이수시키는 것만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건축미술이라는 자산을 바탕으로 건축적 상상력과 예술적 심미안으로 사회적 접목능력을 높여 사회전반에 걸친 문제를 이해하고 대의적 차원에서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배양하는 것입니다. 학생들은 5년간의 교육기간을 거치면서 장인적 기술과 함께 예술과 인문학을 이해하는 정서와 감각을 두루 익히게 될 것입니다. 누구보다도 바쁘고 벅찬 학창 시절을 보내며 자기 자신의 한계에 도전하는 학생들은 자아를 표현하는 방법을 체득하게 될 것이며, 이는 졸업 후에 이어지는 개개인의 삶에 있어 큰 재산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이 책은 학생들의 이름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작은 이름 하나하나가 모여서 이 작품들을 만들어내고 홍대건축이라는 색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작품 하나하나에 담긴 생각과 열정들 모두를 칭찬해주고 싶습니다. 결과물을 통해 성큼 성장한 서로의 모습을 보며 더욱 더 발전해 나가기를 바랍니다.
2013년 1월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학장 홍기섭 gshong@hongik.ac.kr
10
To students standing in front of the starting line.
Every year, I see new students with twinkling eyes, and graduating students with mature eyes. Even though I cannot memorize every single students, we live with a same identity in the boundary of architecture. I feel quite heavy responsibility in the fact that university is where it becomes your stage in your 20’, most crucial time in forming ego. Studying architecture starts from understanding given environment, and is a process of ceaselessly thinking to draw out the best solution and sketching to beautifully express your solution. Therefore, you cannot easily achieve it. You should approach with insight through various of experiences and self-initiated studies. It is a blessing to meet study of architecture, school of architecture in your age. Though you might have many troubles throughout given projects, you will find the value of ‘togetherness’
Our school’s aim of education is not just to complete knowledge of architecture. Rather, it is to foster talented students who understand matters of society at large through architectural imagination and esthetic sense based on assets of architectural art. Through 5 years of education, students will learn skills of craftmanship and will obtain sense of understanding art and humanities. Students who challenge against personal limit throughout busy school life will learn to express themselves and that will become a great asset in proceeding years of life.
This book starts from students’ name. Names gathered and created projects, and gathered projects created a color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I would like to praise thoughts and passion in every works. I hope you to step up further seeing one another’s growth though each outputs.
January, 2013
Dean of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Gisuop Hong gshong@hongik.ac.kr
11
i
ntroduction
Letter from the Chair of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2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전공 교육의 목표를 몇 자로 줄여
The motto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is
표현한다면 “Excellence in Design” 입니다. 이는 단순히 아름다운
“Excellence in Design.” This not only refers to beauty,
디자인을 하자는 말이 아닙니다. 이러한 교육목표는 사람과 사회를 더
but also contains a humanitarian idea of training students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어주는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자는
who could build a better world; it is an architectural
취지에 있습니다. 이는 또한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한다.”는
reinterpretation of “Hongikingan”, the origin of Hongik
홍익대학교의 교육목표인 “홍익인간”을 건축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라
University.
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서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To achieve such purpose, students learn basic design
건축학전공은 1,2,3학년에서는 디자인의 기초를 다지기 위해서 공통의
methods within the same curriculum for the first three
커리큘럼을 가진 설계 스튜디오 체제를 유지하고, 4학년에 진학해서는
years. Students from fourth grade may choose their studio
학생들이 각기 다른 주제의 스튜디오 프레젠테이션을 들은 후 자신이
after a presentation of each studio’s theme. In the last year,
관심을 가지는 스튜디오를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되어있습니다.
students work on their graduation piece which finalizes
마지막으로 5학년에서는 지난 4년간의 배움을 토대로 자신만의
one’s architectural philosophy. During these five years,
건축관을 정립하도록 준비된 졸업설계가 진행됩니다. 이러한 5년의
the school assists students’ independence in the field of
과정을 통해서 학교는 학생이 건축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architecture and provides them the ability to learn more
졸업 후에도 스스로 배울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켜주고자 합니다.
even after graduation.
이 작품집의 건축학전공 부분은 홍익대학교 건축학전공
This annual workbook introduces the current works of
프로그램에서 진행중인 스튜디오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students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Such pieces
하나의 건축물을 디자인한다는 것은 인간 내면에 대한 성찰, 사람과
are pure representations of the students and professor’s
사람간의 관계, 당대의 기술수준, 경제적인 조건, 법규적인 규제 등 이루
pondering of life and world, as well as their endeavor.
헤아리기 힘든 복잡한 실타래를 때로는 풀어나가고 때로는 이어주며,
Architecture is a sequence of processes that ties and
때로는 잘라내야 하는 과정들의 연속입니다. 이 과정들 중에 있을
unties the complexity between elements such as human
무수한 의사결정의 순간들에 설계자의 가치관이 반영되는 것은 당연한
study, relationship, technology, economy and law etc. The
일일 것입니다. 따라서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은 홍익대학교
infinite decisions during the numerous processes are what
건축교육에서 가장 근본입니다.
determine one’s architectural philosophy.
건축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한 사람의 성숙한 인격체로서
Since the first year, Students may start their
성장하는 과정은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1학년 때 시작하지만, 단지 5
development to a mature man, however after graduation
년의 기간 중에 될 일은 아닐 것이며 졸업 후에 본격적인 과정이 있을
they must go through a much difficult course. The first steps
것입니다. 앞으로 평생 하게 될 자아성숙의 노력의 첫 걸음의 흔적이
of a life-long process of self-realization are within this book.
이 책에 담겨있습니다. 보시면서 이들의 노력과 헌신을 마음속으로
Please cheer their endeavor and passion inwardly.
응원해주시기 바랍니다.
12
2013년 1월
January, 2013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학과장
Department Chair of Architecture
유현준
Hyunjoon Yoo
hyunjoonyoo@hotmail.com
hyunjoonyoo@hotmail.com
Letter from the Chair of Interior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2
실내건축학이라는 명칭에는 실내와 건축과 대학이라는 다른
Interior Architecture is composed of 3 different words,
의미의 단어들이 결합되어 있다. 학과가 만들어 질 무렵에는 실내가
interior, architecture and university. About the time when
무엇일까 고민하였고, 몇년이 지난후 건축이 무엇이어야 하나를 생각을
this major was create, I though of what interior is. After
했었고, 요즘에는 대학이 무엇일까가 내게 더 중요한 의미로 다가오고
several years, I thought of what an architecture should be.
있다. 실내건축가에서 실내나 건축의 형용사에 생각을 머무르지 않고
These days, identity of university comes to me as more
그러한 형용사로 형성이 되는 사람이 더 궁금해 진다.
important matter. Above interior architects, I get more interested in people created with an adjective interior and architecture, not restricted within it.
여러분들이 사오년 머물러 간 대학은 실내를 또는 건축을 가르친
As a professor, I look back whether the university has
곳이기 전에, 한 사회에서 대학이 차지하는 사회적 가치의 축적과
fulfilled its duty to create a member of society, cultured
교육의 최종단계로서 한 사회인을, 교양인을, 사람을 만들어내는
person and a human as a final destination of education.
역할을 충실히 했는가 교수로서 돌아보게 되고, 또한 여러분들
University is a period that keeps going just before the
개개인의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봉우리가 영글어져 피기 직전까지의
blooming of the most beautiful flower in individual life. I
과정인 대학생활이 학생들의 삶의 기억에 아로새겨질 아름다운
am worried whether this university life will be engraved up
꽃봉우리의 기억들로 가득할까 걱정이 된다.
students as a beautiful bud.
한가지 졸업하여 나아가는 여러분들께 드리고 싶은 선물은
I promise the graduates that Interior Architecture of
여러분의 홍익대학교 실내건축학과는 여러분들이 돌아봐 고향의
Hongik University will be beacon of you safe harbour, thus
항구같고, 내다봐 등대같은, 그래서 항상 여러분들을 기다리고,
waiting for you all-time and also request you to lead the
여러분들이 이끌어주어야 할 고향집이라는 것을 당부하고 약속하고
hometown.
싶다.
2013년 1월
January, 2013
홍익대학교 실내건축학과 학과장
Department Chair of Architecture
이현호
Hyunho Lee
hlee70@gmail.com
hlee70@gmail.com
13
14
INTRODUCTION OF FIRST YEAR
1 year
1학년 전체 설계는 학습범위에 있어 단순한 기술숙련에서 벗어나 건축적 사고능력 향상을 목표로 각 과제 별 연계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 주제어, “재창조(re-creation)”를 설정하였다. 이번 1학년 수업이 예년과 다른 점은 2학기 파빌리온이 남양주시 호평동 호만천 인근 산책로에 대명종합건설 후원으로 영구설치 된 것이다.
“재창조(re-creation)”는 건축가의 창작행위가 세상에 이미 존재하는 무언가에 대한 관찰과 영감에서 비롯된다라는 점에서 착안하였으며 표본으로 이태리 르네상스시대의 예술가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삼았다. 그는 자연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 예술, 기술 각 분야의 지식을 수립, 창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건축이라는 종합예술을 지향하였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학생들은 예를 들어 1학기 첫 과제를 맞아 기존 교육에서 주입된 간접지식에 의존하지 않고 다빈치와 같이 스스로의 관찰력과 분석력에 의존, 자연에 존재하는 기하학적 형태를 “재발견”하였다. 이 후 치수 및 황금비율에 입각한 기하형태로 추상화된 결과물을 다시 관찰, 나름대로의 건축개념에 적합하도록 “재조합” 하였는데 이 후반부 과정은 표현범위나 형식의 자유로움에 있어 실용성이나 미학적 완성도를 목표하였던 다빈치의 작업보다 과학적 방법이나 도구를 사용하였으나 자신의 창작욕망에 보다 충실하였던 중세의 연금술사 또는 프랑켄슈타인 박사와 같은 근대 초 영화나 소설 속의 ‘mad scientist’에 더 가까웠다.
이러한 “재창조”작업은 1학기 중 세 차례 반복과정을 거치며 방법론적으로 심화되었으며 2학기에 들어서는 보다 실질적인 용도(예: 비를 막는 지붕외피, 자중을 지지하는 목구조체, 단독주거 사례분석 및 설계변경)와 공간설계를 목표로 전문화되었다. 2학기 파빌리온은 1학년 설계 8개 반들이 각각의 다른 파빌리온들을 남양주시 호만천에 영구 설치하였다. 설계수업의 과제가 학교 수업에서 끝난 것이 아니라 지역 발전에 공적인 기여를 하는 작품으로 지역주민의 편의를 도모하여 공간 향상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정규과제 외 1학기 단체답사와 2학기 반 별 답사를 통해 학생들은 엄선된 전통건축 및 현대 건축물들을 경험하였다. 1 학기 답사엔 선운사, 내소사, 천안 갤러리아 센터시티를 다녀왔고 2학기 답사엔 각 조별로 광주어반폴리, 정읍 김동수가옥, 안동 병산서원, 봉정사, 영주 부석사, 담양 소쇄원, 안양예술공원, 예산 추사고택, 완주 화암사, 구례 화엄사를 다녀왔다.
15
1.1 year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Geometry in Nature 자연의 비례분석과 재조합 동식물 등에 대한 실측 도면 작도를 통해 함축된 기하형태와 비례를 재발견하고 작가적 해석을 더해 이를 건축오브제로 재조합한다. 건축작도의 기본이 되는 평입단면도의 원리를 이해하고 기초적인 제도용구 사용법, 선의 종류, 기하작도, 테더링을 익힌다. 또한 복합재료를 사용해 모형을 제작한다. The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embedded geometry of nature via direct examination and to record it on scaled drawings, which then need to be re-configured as architectural objects to the individual concept. Basic understanding about the architectural 2D drawings in relation ot Cartesian Space and the manual draftsmanship are taught. 1
3
2
16
4
5
6
7
1, 2. 김혜원 3. 최유승 4, 5, 6. 김진욱 7. 김준우
8
10
9
9, 10, 11. 이건희 12. 박세원 13, 14, 15 . 손영우
11
12
13
14
17
1.1 year
17
16
18
19
20
21
18
22
23
16, 17. 김민정 18, 19, 20, 21, 22, 23. 권대영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GEOMETRY IN NATURE
24
26
25
27
29
24, 25. 정송아 26. 김혜원 27, 28, 29 . 손영우
28
19
1.2 year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Artificial Objects 인공물의 분석 및 재조합 인공물 등에 대한 실측 도면 작도를 통해 함축된 기하형태와 비례를 재발견하고 작가적 해석을 더해 이를 건축오브제로 재조합한다. 건축작도의 기본이 되는 평입단면도의 원리를 이해하고 기초적인 제도용구 사용법, 선의 종류, 기하작도, 테더링을 익힌다. 또한 복합재료를 사용해 모형을 제작한다. The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embedded geometry of nature via direct examination and to record it on scaled drawings, which then need to be re-configured as architectural objects to the individual concept. Basic understanding about the architectural 2D drawings in relation ot Cartesian Space and the manual drafrsmanship are taught.
20
1
2
3
4
5
6
7
8
1, 2. 윤혜민 3, 4. 고주휘 5. 권대영 6. 김혜원 7. 송효준 8. 남진슬
9. 윤혜민 10, 11. 김혜원 12. 고주휘 13, 14. 이건희 15. 정송아 16. 송효준
9
10
11
12
13
14
16
15
21
1.2 year
17
18
19
20
21
17, 18. 김혜원 19, 20. 윤혜민 21. 고주휘
22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ARTIFICIAL OBJECTS
22
22. 손영우 23, 24. 이건희 25. 고주휘 26. 이윤아
23
24
25
26
23
1.3 year
Space Installation 오브제 공간설치 반 별로 2개 팀을 구성한 후 각 팀 별로 1개안을 선정, 공간설치를 목적을 공동작업을 한다. 오브제를 설치할 공간은 자신이 속한 반이나 인접한 공용공간 중 다른 팀과 중복되지 않도록 선정하고, 1:10 실측도면과 1:4 공간모형을 만들어 스터디한다. 평입단면도 및 투시도의 작도를 통해 실내공간에 대한 이해와 분석능력을 키우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에 대한 재발견이 가능한 설치 오브제를 스터디한다. 일소점, 다소점 투시도의 원리를 이해하고 작도할 줄 안다. Students from each studio are to be divided into 2 groups and to produce the measured drawings of their chosen interior space in 1:10 and a model in 1:5 for study purpose. The course requires various perspective drawing techniques to represent the 3 dimensional composition of interior space. The aim of installation is to re-discover the hidden qualities of space via group work. 1
2
1, 2. STUDIO 1
24
3
4
5
3, 4, 5, 6. STUDIO 1
6
25
1.3 year
7
8
98
7. STUDIO 3 8, 9. STUDIO 8
26
SPACE INSTALLATION
10
11
10. STUDIO 7 11. STUDIO 1 12. STUDIO 5 13. STUDIO 1 14. STUDIO 2 15. STUDIO 6 16. STUDIO 5
12
13
14
15
16
27
1.4 year
1:1 Pavilion 1:1 파빌리온 실질적인 용도와 공간설계를 목표로 전문화된 과정을 통해 건축을 피부로 느껴보는 과제이다. 처음 4주간 학생 1인당 1 작품을 1:10스케일의 도면, 모형으로 발전시켜 중간평가를 하고 이 후 1개 안을 반별로 선정하여, 나머지 4.5주간 지붕외피 mock-up, 1:5제작도면, 1:2 상세도면 및 스터디모형작업을 거쳐 1학년 설계 8개 반들이 각각의 다른 파빌리온들을 남양주시 호만천에 영구 설치하였다. 설계수업의 과제가 학교 수업에서 끝난 것이 아니라 지역 발전에 공적인 기여를 하는 작품으로 지역주민의 편의를 도모하여 공간 향상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This project is to get the sense of architecture through specialized process aimed for practical use and space plan. For first 4 weeks, students individually design their pavilion with the results of 1:10 scale plan and model. After the mid-critique, one piece from each studio are chosen, and for the rest period, roof material mock-up, 1:5 scale plan, 1:2 detail plan and study model works are done. 8 studio installed each different permanent pavilion beside Hochunman of Namyangju. Not just ending in school project, but by making piece that could be of help to society, students worked to improve the given space. 1
2
3
4
5
28
1, 2, 3. 최진석 4. 박민혜 5. 박지훈
6
7
8
6. 석홍지 7. 김혜원 8, 9. 김준우 10. 원예린
9
10
29
1.4 year
10
11
13
14
15
16
30
10, 11, 13, 15. STUDIO 2 14, 16. STUDIO 6
1:1 PAVILION
17
18
19
17, 20, 22, 23. STUDIO 3 18, 19, 21, 24. STUDIO 8
20
21
22
24
23
31
1.5 year
Single-Family Housing 단독 주거 주거, 집은 사람이 정주를 목적으로 머무는 공간으로 생활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장소이다. 문명의 발달에 따라 폭넓은 삶의 요소들을 담게 되었고, 집주인의 삶을 면밀히 반영하며 개인의 정체성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유명 건축가의 주거를 모작하는 과제는 설계 초년생들에게 용도를 충족시키는 설계능력과 단계별 설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능력을 기르기에 적합하다. 또한 이 과제를 통해 채광, 환기, 구조 등의 설계 기본 요소와 인체 치수에 대한 기본 각론을 이해하는 능력을 기른다. Residence, house is a space people stay for a purpose of living, and where people satisfy their basic need for living. As being civilized, residence contains various aspects of living, thus reflecting the life of its resident. Imitating the house of a known architect will be of help to students better understand sequential house planning meeting the basic needs. Additionally, throughout this project, students figure out basic elements such as natural lighting, ventilation and structure as well as human scale.
2
1
1. 고주휘 2. 강한빛 3, 4. 김재유
3
32
4
5
6
9
7
5, 6, 9. 김원정 7. 최민희 8. 김진성 10. 금관호 11, 12. 김재유
8
10
11
12
33
34
INTRODUCTION OF SECOND YEAR
2 year
ARCHITECTURAL DESIGN CURRICULUM 2학년 설계부터는 구체적인 대지가 주요 텍스트가 된다. 인간의 바디 척도 등 단위공간과 삶의 행태로부터 건축적 개념들 을 만들어감에 더하여, 빛, 습도, 온도, 조망, 등 대지의 자연적 환경과 이웃, 가로, 도시 등 문화적 환경이 독해의 대상이 된다. 스튜디오 프로젝트는 소규모 기능을 대상으로 한다. 1학기는 자연환경과 주거공간의 문제를 주로 다루고 2학기에는 도시의 공공환경과 공동체의 이슈를 소규모 건축 공간 안에 담고 배열한다. 1학기 프로젝트인 ‘1인 학생을 위한 옥탑공간 설계’는 접근, 조망, 채광, 통풍 등 환경의 이해와 간단한 구조체와 연결된 증 축방식과 구법에 대한 이해를 하고 전체적으로 주거공간에 대한 인체단위와 생활을 위한 기초 요구공간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자녀들이 출가하고 주말에 방문하는 것을 고려한 ‘25년 후 부모님을 위한 주거 계획’에서는 도면 수준의 판넬과 외벽 단 면 스터디를 통해 구조와 건축디테일의 기초적인 이해를 목표로 한다. 2학기에는 와우산길에서 홍대놀이터로 진입하는 새로운 입구와 부대시설 들을 계획하고 공간 및 조형적으로 발전시켜 홍 대놀이터를 상징할 만한 입구를 계획한다. 와우산길과 홍대놀이터는 5미터 정도 높이차가 있으므로 입체적인 단면계획이 중 요하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연면적 800㎡의 소규모 갤러리 계획이다. 전시의 대상을 개략적으로 고려하여 전시를 위한 공간, 볼륨, 동선 등을 이해하고 전시공간의 제안을 우선으로 한다. 둘째로 전시의 진입과 흐름이 원활할 수 있도록 전시와 도시공간 사이의 부대 공간들의 제안과 배열을 같이 고려하게 된다.
INTERIOR DESIGN CURRICULUM '예술가의 집'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의 문으로 들어가려 한다. 미술, 영화, 무용, 문학이 그들의 정신적 모험을 통해 이루어낸 예술적 성취는 건축가들을 자극하고 용기를 주었으며 건축의 정신과 작품으로 이어졌다. 이 연결됨은 흔히 거론되는 영감과 힌트 등의 표현이 주는 기회주의적이고 순간적인 이미지 이상의 것으로 동시대가 겪고 있는 문제와 가능성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하며 구체적 예술적 경험이 우리 안에 간직되어 창조의 힘으로 발휘되는 과정이다. 이제 학생들의 머리는 예술가의 정신이 되고 학생들의 손은 예술가의 손이 되어 집을 만들며, 이 복합적이고 흥미로운 접촉을 시도한다. ‘가족의 탄생' 프로젝트의 주제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에게 관습적이고 유형적인 '몇개의 방+거실+주방)의 주거형식이 더 이상 유효한가?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한다. 물론 이 질문은 전면적 부정을 전재하거나 당위적 긍정을 전재한 것이 아니라 결론을 유보한, 한계와 유효점을 동시에 전재한 질문이다. 동시에 프로젝트의 특성상 실내건축행위의 기본언어인 도면에 대한 이해와 작동의 중요성을 습득하고 익힌다.
35
1 2.1 Rooftop House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시선의 교차 Sanggeun Park Prof. Hyeonjoon Min, Sunyong Choi Being on the roof floor, site is open to all sides. This aspect can violate ones privacy, but on the same time, inhabitant can obtain a good view. To consider those two aspects, view of two-way, between the site and the outside, were made into a diagram. Based on the diagram, space were planned to its hierarchy.
1.1
1.2
Stage House Jihyeon Song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People filtered throughout the site is obvious. Client, a would-be actor gets his own stage just for himself and his friends.
2.1
2.2
36
2.3
1.1-1.2. Sanggeun Park 2.1-2.3. Jihyeon Song
Stream of Time Juhee Lee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1.1-1.2. Juhee Lee 2.1-2.3. Jisu Lee
Given that the client is in his 20's, focus was to make the client feel the flow of time, and be precious of it. Three features of time, continuity, sequence and moment were adapted in planning space. First, every space is planed continuously centering the tree in the middle. Level of the ceiling is different in sequence. Windows are to the east and west to feel the moment of time. Finishing material is copperplate, which contains the flow of time.
1.1
1.2
H House Jisu Lee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Client is a timid person who needs time for a healing. Combining with the fact that client likes to enjoy tea, space that one could enjoy tea while looking back his day was planned.
2.1 2.3
2.2
37
1 2.1 Rooftop House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Chameleon Seongjun Kim Prof. Haecheon Seo, Jeonghun Lee Hongdae is an attractive place, musicians, artists and dancers gathered together. LDK are flexible
1.1-1.2. Seongjun Kim
to satisfy the client who enjoy various activities. Placing folding door to the east, and glass to the west, client can selectively enjoy each different atmosphere.
1.1
1.2
Trainer's Rooftop House Hwanhee Lee Prof. Yeongsoo Lee, YeongSeok Gwon Client is majoring in athletic. Space for a brief stretching is planned, and at night, the client could do the running machine with a open view of Hongdae.
2.3
2.1
38
2.2
2.1-2.3. Hwanhee Lee
VIP Booth Kyunghwa Jeong Prof. Yeongsoo Lee, Yeongseok Gwon 1.1-1.4.Kyunghwa Jeong 2.1-2.3. Joonwoo Cho
Client is an outgoing cook. Thus he enjoys inviting people and sharing his dishes. Reflecting his characters, his rooftop house bears Hongdae, being a place for fellowship.
1.2
1.3
1.4
1.1
Nest House Joonwoo Cho Prof. Yeongsoo Lee, Yeongseok Gwon Rooftop house is built on existing building as nest are in the tree. Harmony of the nest and the tree is expressed through each rooms and personal garden. Effect of light through those space were mainly studied.
2.1
2.2
2.3
39
1 2.1 Rooftop House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듣는 건축을 해볼까? Minwook Kang Prof. Hahn Joh, Wonmo Yang Peculiar thing of this site is that various sounds coexist around this place. With music coming out from the record shop in the evening, noise from clubs during night, the site is finally in calmness as sunrise. through architectural factors, shielding of view wer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line. People will concentrate to the sound at the dark, and be impressed at the scene in silence.
1.1
1.3
1.2
House of, by, for the Music Jeongmin Kim Prof. Hahn Joh, Wonmo Yang Located near clubs, the site is in the range of club musics. On the other hand, Record forum on the opposite side is the only place near the site where people can enjoy jazz musics. I intende d to give a place for the client to enjoy jazz.
2.1
2.2
2.3
2.4
40
1.1-1.3. Minwook Kang 2.1.-2.4. Jeongmin Kim
Persona - Show Who I Am Byungho Shin Prof. Myeonghong Kim, Jaehyun Cho 1.1-1.2. Byungho Shin 2.1.-2.3. Yeonghan Choi
People wears masks. I anticipated to show the real face of people. By placing working space in the front, I can show myself to others. Though movement line, connected from the living room to the outside, and to the rooftop, is short, the client can get the best of it.
1.1
1.2
기울임 Yeonghan Choi Prof. Myeonghong Kim, Jaehyun Cho School and street of Hongdae are both meaningful to the client. However, characters of those two are totally different. By looking 'up' the school, space for learning and by looking 'down' Hongdae, space for entertainment, the client would think of what to pursuit and what to control. And through that, he would think of what place he should put effort on.
2.1
2.2
2.3
41
1 2.2 Residence for Parents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마당 Sanggeun Park Prof. Hyeonjoon Min, Sunyong Choi
1
사이트가 위치한 곳은 남산의 경사가 뻗어져 내려오는 한남동 일대로, 이곳의 흥미로운 점은 이 경사로 인하여 공간들이 분할된다는 것 이였다. 이러한 도시적 맥락을 끌어들여서 사이트를 경사에 따라 크게 3개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각 레벨에 공 간의 성격이 다른 독립적인 메스를 놓아 분할로 생긴 마당들에 성격을 부여하였다. 또한 이 독립적인 메스를 이어주는 상부의 메스를 구성하여 분할된 마당들을 모두 느낄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거주자는 성격이 다른 다양한 마당을 거닐며 공 간들을 느낄 수 있다. Site is placed on Hanamdong, on a slope of Namsan. Interesting thing of this place is that space are divided by this slope. Based on that features, site is divided to 3 parts, and three different space are placed on each parts. Gardens created between thos e space have different characters. By creating a mass that connects these mass, the client can fully enjoy those different gardens.
2
42
3
1-3. Model picture
보다 Daeun Seo Prof. Hyeonjoon Min, Sunyong Choi
1
1-4. Model picture
클라이언트인 부모님께서 하루의 대부분을 보낼 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보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처음 사이트에 갔을 때 조망이 가장 좋은 쪽을 조사하였고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게 될 2층에서의 조망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전체 매스에서 매스가 따로 돌출되도록 했다.
Client, who is my parent, thought ‘seeing’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le spending time at home. Mass of the second is protruded to the side of best view, so that the client can have a good view while spending most of their time on the second floor.
2
3
4
43
1 2.2 Residence for Parents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보물찾기 Juhee Lee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1
클라이언트는 요구한 작은 보물 요소들을 집안 곳곳에 숨겨두어서 보물을 찾을 수 있는 보물찾기를 motive로 삼았다. 어 떠한 요소를 숨겨놓았을 때 약간의 힌트를 주고 궁금증을 유발시켜서 그곳으로 동선을 유도하였다. 또한 작은 보물 요소를 찾 으면서 또다른 추억을 쌓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과거의 추억을 찾으면서 현재의 추억이 함께 쌓여지는 공간이 되게끔 하 였다. I aimed for the client to enjoy finding treasures hidden on various place of the house. By leading the movement to hidden places, the client can rediscover the memories of past, and simultaneously, make new menories of the place.
2
4
3
44
1,3. Model picture 2. Site plan 4. 보물찾기의 요소
음양의 조화 Hyuna Do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1
1-2. Model picture 3. Site plan
구와 신, 동양식과 서양식, 음과 양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특성과 사고방식의 두 세대가 하나의 공간에서 각각의 생활 을 존중받되, 공존하며 조화를 이루어나가야 했다. 각 세대를 상징하며 반영하는 MASS 1과 MASS 2는 하나의 공간에서 교차 한다. 그 공간은 조화와 공존의 의미이며 세대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음의 공간은 곧 땅을 의미하며 양의 공간은 하늘을 의미함에서 입면의 각 층을 배치했고 천 ·지 ·인 즉 양·음·조화를 시각화한 도형 형태들을 활용해 평면 다이어그램을 만들었다. 구체적 평면형태는 음과 양 모두를 품고 있는 한옥의 평면배치를 활용했다. 한옥에서 양을 의미하는 공적 공간인 사랑채, 사랑 마당과 음을 의미하는 사적 공간인 안채, 안마당 그리고 각 마당을 분리하는 담과 그것을 또다시 연결하며 흐르는 수공간을 통 해 '음과 양의 조화'라는 기본 컨셉을 담고자 했다. Two generation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value should have their private space but on the same time, live in harmony in the same place. Mass 1 and mass 2, which represents each generations intercross and one point. On that point, two generations interact. Elevation shows the location of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Plan was made based on the harmony of each different figures. Plan of Korean traditional plan was adapted in detail. Through sarangchae, sarang madang, the positives, and anchae and an madang, the negatives, ‘harmony of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were expressed.
2
3
45
1 2.2 Residence for Parents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Grape House Seongjun Kim Prof. Haecheon Seo, Jeonghun Lee
1
현재의 아파트는 거실을 중심으로 실들이 붙어 있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동선이지만 나이가 들면 반복되는 동선이 지 루하고 공허할 수 있다. 이 주택에서는 각 실들이 모여 있지 않고 중간 통로를 중심으로 포도알처럼 뿔뿔이 흩어져 있어 주거 인은 독립된 각 공간 안에서 공허함 대신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각 실들이 분할되어 있다는 것을 인지함에 따라 역 동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실들의 중심이자 전이 공간인 중간 통로로 각 실들 사이로 들어오는 빛은 시간을 느낄 수 있 게 하였다. Rooms are placed around the living room in most of the apartment these days, thus being stable and effective in movement. But as people get older, they get bored of this repeated movement. In this house, each rooms are fallen apart with corridor in the middle. By recognizing the division, client can feel the activeness, but on the same time, can feel comfort in its own room. Through lights coming in to the corridor between each rooms, client get conscious of time.
2
46
3
4
1. Render image 2. Space separation and Integration diagram 3. Model picture 4. Section
Crossing Another Kyungmin Cho Prof. Haecheon Seo, Jeonghun Lee
1
1,5. Render image 2. Axonometric 3-4. Model picture
25년 후의 부모님은 직장생활을 하시지 않기에, 지금보다 보다 많은 활동들이 집에서 이루어 질 것이다. 그러나 결혼을 하 고 몇십년 동안은 아침서부터 저녁시간까지는 각자의 생활을 즐기시던 분들이다. 또한 그러하기에 생활 패턴이나 즐기는 활동 에 있어서도 공통될 수 없는 영역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들을 존중하기 위해여 두 개의 띠가 교차하는 식으로 공간 계획을 하 였다. As my parent won't have a job 25 years later, many of the activities would be held at home. However, they both had their respective life for some years after the marriage. Therefore, there are things that can not be in common. To respect their own life, space were planed in a form of two band crossing another.
4
2
3
5
47
1 2.2 Residence for Parents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Garden House Hwanhee Lee Prof. Yeongsoo Lee, YeongSeok Gwon
1
미래에 부모님과 함께 지낼 집으로 노년기에 접어든 부모님이 불편함 없이 지내기 위해 기능적인 측면 위주로 설계를 하
1-2. Model picture
였다. 그리고 화초를 기르시는 부모님을 위해 집안으로 정원을 끌어들임으로써 실내 어디에서도 정원을 느낄수 있도록 했다.
4. 2nd Floor plan
As parent will spend their old age at this house, functional aspect was the most priority. By drawing the garden into the house, the client could enjoy the nature wherever they are.
3
4
2
48
3. 1st Floor plan
배려 Kyunghwa Jung Prof. Yeongsoo Lee, YeongSeok Gwon
1
1-3. Model picture 4. Mass plan from site context
노인 주택이라는 점과 열악한 자연 환경을 고려할 때, 경사를 최소화하고 자연 요소의 유입을 최대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sunken을 이용해 경사를 최소화하고 sunken에 의해 생겨난 공간을 다양한 성격의 정원으로 적 극 활용하였다. Given that the house is for the elderly and has poor natural environment, minimizing the slope, and maximizing the inflow of nature was the most important task. Minimizing the slope was done through sunken, and space created by sunken was used in various types of garden.
3
2
49
4
1 2.2 Residence for Parents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Time House Joonwoo Cho Prof. Yeongsoo Lee, Yeongseok Gwon 1-3. Model Picture 4-5. Rendering 6. Diagram 7. 1F Plan
1
부모님에게 시간이란 되돌릴수없고, 빨리 지나가는 요소라고 생 각하여 시간이 머무는 집이라는 컨셉으로 설계를 진행하였다. 가운 데 수공간을 중심으로 계속 변화하는 자연을 통해 시간을 느끼고 수 공간은 다시 봄,여름,가을,겨울의 중정을 가짐으로써 시간을 담는 그 릇이 되게 하였다. 2
As to the parents, time flows rapidly and can’t get back. Therefore, concept was a house that time remains. Water in the center give off the smell of time, and the courtyard contains the time.
3 6
4
7 5
50
다원(茶院) 주택 Minwook Kang Prof. Hahn Joh, Wonmo Yang
1
1-4. Model picture 5. Mass study
나는 부모님이 이웃들과 소통하면서 건강하게 사시기를 원한다. 그래서 일종의 문화 공간으로서의 카페가 있는 집을 만들 고자 하였다. 레벨차이가 큰 대지에 배치를 하는데 있어서 일관된 논리는 주출입구에서 집의 사적인 공간으로 들어갈수록 레 벨이 점점 낮아진다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전통 가옥에서 사랑채와 안채, 사랑마당과 안마당의 구성을 사용했다. 마당자체의 다양한 활용가능성에 집중했으며, 이의 일환으로 주차장과 마당의 연결이 자연스럽다. 전통가옥에서 안마당의 시각적 프라이 버시를 보장하는 담과 같은 건축요소는 카페와 주택을 오고가는 동선의 복도로 치환했다. I hope my parents to communicate with the neighbors. Thus, I created a cafe in the house as a sort of cultural space. Planning a house in a site with great level gap, I made it a rule that as more private space it is, floor level gets lower. At the same time,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e was applied. Various utilization of the garden was considered, and on that context, connection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garden is natural. Fence, which keeps visual privacy of anchae in traditional house was replaced by the corridor connecting cafe and the house.
4
3
2
51
1 2.2 Residence for Parents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Let’s take a walk Byungho Shin Prof. Myeonghong Kim, Jaehyun Cho
1
나이가 드신 부모님을 위해서 평소 생활에서 꾸준한 산책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고 싶었다. 대지의 모습을 따라 길게 구 성된 주택은 평소 꾸준한 걸음을 유도하고, 집안 곳곳에서 외부로 나갈 수 있는 툇마루나 거실은 일상에서 늘 외부의 변화를 접
I intended to create a walk in daily life for old parents. House laid responding to a lengthy site, movement throughout the house requires continuous walk. Veranda and living room are in touch with the outside, thus making it available to encounter the change of the outside all the time.
2
52
2. Concept diagram 3. Mass study 4. Render image
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외부와의 소통을 만든다.
3
1. Model picture
4
돌아가다 Yeonghan Choi Prof. Myeonghong Kim, Jaehyun Cho
1
1-3. Model picture
사람들은 돌아가고자 하는 특성을 가진다. 시골에서 살다가 도시에서 일하고 다시 시골로 돌아가는 것, 집에서 휴식을 취 하고 직장에서 일을 한 후 다시 집으로 돌아와 휴식을 취하는 것, 어린 상태에서 나이가 들어 성숙해지고 더욱 나이가 들면 다 시 어려지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돌아가는’ 현상은 마치 연어가 자신의 태어난 물로 돌아가는 생태적 특성처럼 사람의 생태적인 특성을 대변한다고 생각했다. ‘돌아가다’ 는 말은 하루의 사이클, 더 나아가 일생의 사이클을 표현할 수 있는 말이다. 또한 이런 ‘돌아가다’는 단어에서 형태를 연상할 수 있는 도형인 '원'을 주택에 적용시켰다. Human have the nature to regress. Going back to the rural after a city life, seeking home after work, being childish after some time are examples of it. 'Regression' represents ecological feature of human. It's cycle may be a day, an year or even one life. Circle was adapted to reflect these features.
2
3
53
1 2.3 Playground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Passable Kooyoung Oh Prof. Hyeonjoon Min, Sunyong Choi As the entry of north and east is inconvenient, and there aren't any consideration for the disabled, easy passing through while overcoming 5m level gap was the main concern.
T.O.P Dongseong Shin Prof. Hyeonjoon Min, Sunyong Choi Change in ground level occurred by adjusting the level of the site and promenade. Combination of these two becomes a stage for performance and a park in downtown.
54
Valley Gate Seongjoon Kim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Aim was to design a entrance that could appeal the nature of the site. 'Gorge' was deducted in consequence of entrance that utilizes the slope and through this concept, people can enjoy the green which they did not recognize in the past.
Diffuse Keehyun Eum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Relieving a dense population of north access road was the goal. Judging that occurrence of events is crucial to draw people to the newly created entrance, space was planed with volumes taking the advantage of various levels.
55
1 2.3 Playground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In Site, Insight Kyungmin Cho Prof. Haecheon Seo, Jeonghun Lee Due to the great gap of level, people cannot fully enjoy the events occurred at the site. Therefore, based on the usage and its frequency, levels were readjusted. Additionally, new path penetrates the site, thus providing the possibilities to enjoy various activities held at the site.
시간의 재해석 Kyunghwa Jung Prof. Haecheon Seo, Jeonghun Lee Space that could connect the present to the past, site which represents the history of Hongdae was required. Through design that embodies the existing retaining wall, the site embraces the new and tries to minimize the sense of difference.
56
Hongik Playground Minwook Kang Prof. Yeongsoo Lee, Yeongseok Gwon By placing an elevator at the prominent position, it works as a landmark. With steps approachable from both sides and level distinction, stage many people can view is created.
Make Slow Byeongho Shin Prof. Yeongsoo Lee, Yeongseok Gwon Opposing to a rapid development of Hongdae, I intended to provide a space people can relax. Round ramp placed at the entrance becomes a passage way and encountering place, and at the same time, a landmark of Hogndae playground.
57
1 2.3 Playground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The Freemarket Hangsoo Jeong Prof. Hahn Joh, Wonmo Yang At the thought that practical owner of the playground is flea market, project was progressed preserving the existing land at the most, and burrowing the ground.
Hongik Playground Donghyun Kim Prof. Hahn Joh, Wonmo Yang Diverse activities occur at the playground. Sculture is planted to connect the areas blocked by exterior elements.
58
Hong-ik Park_Puzzle Juhee Lee Prof. Myeonghong Kim, Jeahyun Cho Hongdae playground resembles a puzzle in that various people gather and becomes one. As different pieces make one picture, people of different individuality makes one picture gathered at the playground.
Circle Heegwang Roh Prof. Myeonghong Kim, Jeahyun Cho Hongdae playground is a hub of Hongdae street culture. Street culture has a character that border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s ambiguous. Similarly, new playground has no separation of stage and seat, and used in flexible way.
59
1 2.4 Museum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벽돌장(場) Dongseong Shin Prof. Hyeonjoon Min, Sunyong Choi 1
미술관을 단일의 건물로 여기기 보다는 주변의 건물과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주는 하나의 장(場) 으로 생각하였다. 지금의 주변맥락보다는 앞으로 지어질 미래의 맥락에 맞추어가며 생각했고 사용되는 공간들의 관계를 새롭게 재설정하는 과정을 저 치며 설계했다. I thought a gallery as a place for a new relationship interacting with surrounding buildings, instead of making one whole building. Focusing on the changement to come, plan was progressed resetting the relations of space being used.
1. Process & Diagram 2. Model Picture 3. Section
2
3
60
Link Gallery Yoeun Chung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1
홍대에서 열리는 공연이나 이벤트는 점점 외부인들을 위한 축제의 장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새로이 철길공원이 생 기고 기존의 홍대 문화를 대표하는 걷고 싶은 거리의 축이 만나는 곳에 미술관이 생긴다면 그 미술관은 좀 더 주민들을 위하고 주민들과 외부인, 홍대문화와 상업적 흐름을 묶어줄 수 있는 LINK가 되었으면 했다. 1. Rendering 2. Plan 3-4. Model Picture
Performance and events held in Hongdae is becoming a festival for people from other than Hongdae. I anticipate that gallery located in the crossing point of 'want-to-walk street' and railway park be more of the inhabitants, and a link between the inhabitants and outsiders.
2
3
4
61
1 2.4 Museum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Balance Gallary Hyesoo Song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1
자연과 예술이 서로 더 부각되고 뽐낼수 있게 조화된 갤러리를 계획하였다. 자연스레 예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 축이 그대로 갤러리로 유입되는데, 공원의 연장선상인 언덕이 자연스레 올라오면서 갤러리를 덮고 그 갤러리는 다시 언덕을 덮고 있는 관계를 만들었다. Gallery that nature and art can show off in harmony was planned. Extended axis of art and hill as an
1. Rendering 2-4. Model Picture
extension of the park covers and envelopes one another.
2
5. Section
3
4
5
62
벽, 그 사이 길 따라 Kyungmin Cho Prof. Haecheon Seo, Jeonghun Lee
1
2
3
사이트는 100년간 있었던 용산선에 바로 접해있다. 철도는 이 곳의 주민이나 땅에 있어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땅에 생기는 미 술관은 철길에 사람들이 벽을 세우고 그 벽들 사이사이에 행동이 담 겼던 것처럼, 매스가 아닌 벽을 세우는 것에서 시작하여 wall의 느낌 을 살리고자 하였다. Yongsan railroad had existed for a hundred year, just beside the site. Its meaning to the inhabitants and the land itself is great. Gallery is as if it is composed of walls, just as people had reacted to the railway. 1. Concept 2-3. Railway Image
4
4. Process 5. Facade Design 6-8. Rendering
5
7
6
8
63
1 2.4 Museum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Active Museum Kyunghwa Jung Prof. Haecheon Seo, Jeonghun Lee
홍대의 다양한 문화 예술활동을 수용하고 또 거리의 예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액티브 한미술관을 짓고 싶었 다. 액티브한 미술관을 만들기 위해 예술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것, 역동적 형태를 취하는 것, 동선을 통해 미술관의 기능충족 및 전이공간을 통한 외부를 조망할 수 있게 하였다. I anticipated to plan a museum that could accept diverse cultural activities of Hongdae and could actively participate in street art activities. The museum stands in a dynamic formation and through its circulation, observation of art works and the outside are done.
1
3
4
1. Elevation 2. Section 3. Movement Diagram
2
4. Diagram 5-7. Model Picture
5
6
7
64
들춰보다 Sangkeun Park Prof. Haecheon Seo, Jeonghun Lee
1
옛 흔적이 많은 사이트에서 묻혀있는 과거를 들춰보고 그 과거가 현재 그리고 미래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건축적 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과거가 과거로서만 존재하지 않고 현재 그리고 미래에 영향을 주고 있는데 이는 과거 속에 현재 미래가 1-5. Model Picture
포함된 관계이며 과거, 현재, 미래는 시간의 축에 꽃혀있다. Expressing how the history of this site is related to the present and to the future in architectural factor was aimed. The past doesn't exist itself. Past is in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teracting in a sequential axis.
2
3
4
5
65
1 2.4 Museum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Bloom Museum Daeun Seo Prof. Yeongsoo Lee, Yeongseok Gwon
1
사이트를 중심으로 새로운 예술성이 퍼져나가는, 레이 1. Model Picture
어링 되는 것에 대해 생각했고 그에 따라 ‘피어남’이라는 컨
2. Rendering
셉이 도출되었다. 꽃의 피어남은 상승감과 확장감을 가졌다
3. Diagram 4. Elevation
고 해석하여 원뿔대로 표현하였고 컨셉적인 매스와 기능적
5. Plan
인 매스를 조합하여 설계를 진행하였다. I hoped the gallery to be the center of blooming art with piled layer. Blooming of a
2
flower has sense of ascent and extension. There features were adapted to a circular cone, and programs were planned combining the conceptual mass and the functional mass.
3
4
66
5
어린이 미술관 Hangsoo Jeong Prof. Hahn Joh, Wonmo Yang 신촌과 홍대 그리고 철길공원이라는 번화가 사이에 둘러싸인 외딴섬 같은 주택밀집지역인 사 이트 특성상 어린자녀를 둔 가족들을 위한 미술관 을 제시한다. 개비온의 사용과 흐르는 공간을 계획 하여 쉴수있는 자연공간을 계획하였다. As this site is a residential area surrounded by flourished areas such as Shinchon and Hongdae, I suggest a gallery for families with children. Relaxable gallery with gabion and sequential space were planned.
1
1-4. Model Picture
2
3
4
67
1 2.4 Museum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Blended Museum Jihyeon Song Prof. Myeonghong Kim, Jeahyun Cho
1. Rendering 2-3. Plan 4-5. Diagram 1
Blend(mix+harmony)는 조화롭게 섞는다는 뜻으로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네개의 context가 만나는 사이트의 특성을 고 려해 1층엔 공원과 전시, 그리고 2층엔 홍대와 근린, 두개의 다른 축 방향으로 흘러 들어오고 그와 수직인 방향의 spine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행위가 가능한 미술관이다. Blend means to mix in harmony. Regarding that four different context encounters, park and exhibition is placed on the 1st floor. 2nd floor contains the context of Hongdae and the neighbor. They reach out from two axis, and through spine vertical to it, various activities and experience get possible.
4 2
3
68
5
M.O.A Joonwoo Cho Prof. Myeonghong Kim, Jeahyun Cho 미술관에서 전시는 어떻게 일어나야 할까? 라는 질문 으로 과제를 시작하였다. 공간에 의해 작품의 성격이 결정되 고, 변화할 수 있다 라고 보았고 그경우 관람자는 더욱 풍부 한 예술적 경험이 가능하다. 그래서 작품을 감상한후 얻어진 1
정보를 가지고 다시 재관람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하 는바이며 램프와 재관람 동선을 이용하여 관람과 재관람사 이의 상호작용이 끊임없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How should the exhibition happen in the
2
gallery? Character of the artwork is determined or can be changed by the space and in that case, viewer can experience further more abundant artistic experience. I suggest a new program, which people can re-observe the exhibition with the obtained information after the first view.
3
With ramp and re-observation route, interaction between observation and re-observation occurs
1. Sketch
continuously.
2-6. Process & Diagram 7. Model Picture 4
5
6
7
69
1 2.0 Studies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Architectural Form and Shape 건축 조형론 Prof. Younghwan Lim, Beomgi Park 건축조형론은 이론과 실습의 중간적인 수업이다. 교과과정 상에는 엄연히 이론수업으로 구분되지만 과목명에서 부터 풍 기는 노동집약적인 냄새는 학생들로 하여금 ‘창의성‘ 이라는 명목 하에 요구되는 온갖 심리적 압박과 설계 못지않은 과중한 작 업량과 위험한 모형제작실 사용 의무까지도 순순히 받아들이게 만든다. 건축은 태생적으로 노동집약적인 학문이다. 건축조형 수업이 담당해야할 기본적인 항목 중에 새내기 건축학도들에게 ‘허용오차(tolerance)‘ 의 정의를 몸소 체험하게 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건축이 가지는 무수한 조건들과 제약들에 구애받지 않고 아 직은 오염되지 않은 자유스러운 사고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갈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증의 틀 안에 갇혀있 는 설계수업보다는 조금은 실험적인 과제들을 수행할 수 있다.
1. Joonwoo Cho 2. Hyesoo Song
2
1
1
70
1
Digital Design 1 디지털 디자인 1 Prof. Kyuman Song, Jaemin Choi, Jiwon Yoon 본 수업은 디지털 디자인의 기초과정으로서, 전통적인 디자인 방법을 보완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 설계도구 인 디지털 디 자인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2차원 그래픽과 모션그래픽 도구를 익히고 종합적인 활용을 통해 건축적 다이아그 램, 정보표현기법,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기법을 익히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수업은 그래픽 이론 강의와 Adobe Photoshop, Adobe Illustrator, MS Visio, Adobe Aftereffect의 tutorial로 구성된다.
1
1
2
1. Jeongmin KIm 2. Seojung Kuak
2
2
2
2
71
1 2.0 Studies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Digital Design 2 디지털 디자인 2 Prof. Kyuman Song, Jaemin Choi, Jiwon Yoon 전통적인 디자인방법을 보완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 설계도구인 디지털디자인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2차원 드 로잉 시스템과 3차원 비정형모델링 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사용법을 익히고 정형적인 형태에서 부정형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 양한 모델링 연습을 통하여 창조적인 디자인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미지의 표현 시각화에 대하여 다양한 연 습을 통하여 표현기법에 대한 방법을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디자인 발전을 위해 효과적인 디자인 툴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1. Joonwoo Cho, Jeongmin Kim
1
72
1
1
1
73
1 2.1 Retail Shop from Illumination Desig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Lunar Recovery Yongju Jang Prof. Hyosik Choi, Seongheon Ryu
2.1 1
클럽을 가기전 헤어나 의상을 준비해 주는 샵이다. 전체
It is a shop that provides hair and garments
적으로 자유분방한 느낌을 주기 위해 입면이나 평면이 자유
that go with club. Elevation and plan is composed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준비가 끝난 뒤 마지막 출
of free curves to give an opened feeling. Way
구로 향하는 길은 런웨이를 연상시키는 다리로 구성되었다.
out to the entrance is a bridge that remind of the runway.
2
3
1. Illumination Model 2. Site Plan 3. A-A’ Section 4. Final Model 4
74
5
5. Final Interior Model
Verde Festejo Hongkyu Moon Prof. Hyosik Choi, Seongheon Ryu
1
파사드부터 평면구획, 동선, 가구에 이르기까지 모두 나무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나무사이로 햇살이 쏟아져 내리는 모습 을 패턴화하여 파사드에 나타냈다. 그리고 나무에서 가지가 뻗어나가는 형태와, 입면에서 나무를 바라보았을 때 상대적이고 열림 닫힘을 정의하여 평면에 적용시켰다. Design of facade, plan, moving line and furniture was inspired by tree. Sunshine falling through leaves was expressed on the facade. Forms branches put out and relativ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ree seen from the front were defined and adapted to the plan.
2
1. Final Model Elevation 2. Interior Model Image 3. Interior Model Image 4. Interior Model Image
3
4
75
1 2.1 Retail Shop from Illumination Desig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Untitled Miji Kim Prof. Hyosik Choi, Seongheon Ryu
2.11
21세기 말까지 인간의 활동에 의한 지구 온난화로 지구 평균기온이 최대 5.8℃, 해수면은 최대 120cm 까지 상승할 것으 로 예측하고 있다. 많은 국가들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의 영향의 자국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인 식하고 예상되는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방안 수립에 많은 노력을 경주해 오고 있다. 기후변화 는 산업 활동의 제약 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존 형태 자체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향후 적절한 대응이 매우 중요한 과제일 수 밖에 없다.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이라는 추상적 관념을 구체적인 사이트를 통해 우리의 인식 안으로 가져오려 는 노력을 하고자 한다. Due to global warming, average temperature is expected to increase maximum 5.8℃, surface of the sea to 120cm, by the end of 21 century. Many countries has realized its seriousness, and are putting great effort to prepare in advance. As climate change not only affects industrial activities but even to basic form of human survival, proper response is crucial. Through this study, adapting abstract concept as rise of surface level to the actual site was attem pted.
1. Illumination Model 2. Site Plan 3. A-A’ Section 2
76
3
4
4. Final Model
Verde Festejo Hong-eun Hyun Prof. Seunghyun Woo, Hyunjin Park
1
2012년 현재 '홍대 앞'의 Identity는 유흥이다. 하지만, 거리공연이나 프리마켓 등 홍대 앞의 예술에 대한 관심은 여전하다. 거리의 예술가은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고 '홍대 앞'을 즐기러 온 사람들은 그들의 예술을 즐길 안정적인 장소가 하나쯤은 필요 하다는 생각을 하게되어 소규모 갤러리를 제안하였다. 다양한 규모의 작품들을 전시하기 위해서는 분명 경계가 필요하다 생각 했고, 30평 남짓의 작은 공간에 전시벽이 세워질 때의 답답함에 대한 고민에 대한 해결책으로 'Level 차이'에 의한 공간 분할을 시도하였다. 계단을 오르며 전시의 Identity의 변화를 느끼게 되고, 모든 전시를 관람한 후 중앙에 위치한 가장 높은 곳의 로비 로 향하게 된다. 중앙의 높은 로비는 작품을 다 감상한 후 전시를 다시 보며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하였다. Identity of 'Hongdae' today, in 2012, is entertainment. Though, interest of Hongdae art such as flea market and street performance still remains. I suggest a gallery where street artists can exhibit their works and people coming over Hongdae can enjoy seeing those works. It was obvious that borders are needed to accept artworks of various size. However, since the space isn't big enough, division through 'difference in level' was attempted. Going up and down the stairs, people feel the change in exhibition's identity. After viewing the exhibition, the viewer finally arrives at the lobby, center place with the highest ground level, where people can have a 1. Interior Rendering Image 2. Illumination Model
little talk. 2
77
1 2.1 Retail Shop from Illumination Desig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낯을 가리다; Lingerie Shop Seojung Kwak Prof. Seunghyun Woo, Hyunjin Park
낯을 가려 부끄러워하고 천천히 무언가를 보여주는 모습을 티백의 은은한 투과성을 이용한 조명으로 표현했다. 티백 천 속에 숨겨진 차잎들은 선명히 보이지 않지만 따뜻한 물로 감싼 후에는 서서히 색과 맛을 보여주기 시작한다. 이러한 의미를 공 간에서는 란제리를 판매하는 리테일 샵으로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보일 듯 말 듯함을 곡선 벽으로 구성한다. Attitude of being shy and showing something slowly was expressed into a light with dim permeation of light through tea bags. Tea bags don't show themselves in dry condition, but when warm water flows in, they slowly reveal their color and taste. This features are expressed as curve walls of a lingerie shop.
2
3
4
5
1. Final Model 2. Concept 3. Rendering Image 4. Rendering Image 5. Rendering Image
78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Urban Style Housing ; Single Resident
The Twin Houses of Library Darae Kang Prof. Chaeyeon Lee, Sojeong Lee
1
2
‘Twin House Library’는 현대인의 소통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웃 간에 소통이 부재하는 현실 을 주거형태를 디자인함으로써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두 채의 1인 주택 사이에 공동으로 쓸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이웃 이 함께 하는 공간을 만들었다. 여러 형태의 프로그램을 넣을 수 있는 그 공간에 ‘책’이라는 매개체를 연결시켰다. 책은 보편적 인 문화적 매개체일 뿐만 아니라 토론과 대화를 이끌어 내며 서로의 관심사까지도 엿볼 수 있는 소통의 좋은 도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웃이 함께하는 공간으로 공용도서관을 만들었다. ‘Twin House Library’는 바쁜 삶을 살아가는 두 명의 이 웃이 소통할 수 있는, 작은 공용 도서관이 있는 컨셉 주택이다.
3
1. Rendering Image 2. Rendering Image 3. Concept Diagram 4. Concept Diagram 5. Section
4
5
79
1 2.1 Urban Style Housing ; Single Resident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Secret Garden Minjung Kwon Prof. Chaeyeon Lee, Sojung Lee
1
타 대도시들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서울의 1인당 녹지면적이었다. 도시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사라져버린 녹지를 되살 리고 싶었다. 녹지는 환경적으로 우리 사회에 대두되는 지구 온난화 문제를 완화시켜주고 동시에 바쁜 현대인들에게 정서적인 도움을 주어 현대인들의 불안한 정서를 안정시켜준다. 그렇다면 현대 도시에 정원을 부활시키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나는 그 방법으로 프라이버시 존중을 선택했다. 정원을 만들되, 그 정원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극히 개인적인 사생활로 보호해준다. 그 방법이 현대사회에 정원을 되살릴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그로 인해 통로화된 집의 형태를 비교적 효율적이게 쓰기 위해 가장 효율이 높은 각형의 형태로 만든다. Area of green per person is greatly low in Seoul. Greens ease the matter of global warming, and also ease the stress of nowadays people. There for, I hoped to revive the greens, all gone with rapid development of the city. What way would it be to re vive the green in this city? As a way, respect of privacy were focused. Activities performed as the garden are kept secret to others. Form with angles of highest efficiencyis used.
1. Rendering Image 2. Rendering Image 3. Rendering Image 4. Concept Sketch
4
2
80
3
2.2 Concrete Study from Human Body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시간의 흔적 Minjeong Kwon Prof. Hyunho Lee, Ok-hyun Kim 시간의 흔적이라는 프로젝트는 웅크린 인체 단면에 긴 장감이라는 감정을 부여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공간의 질감 을 통해 긴장감을 콘크리트로, 또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 발전시켰다. Project 'trace of time' was started by creating tension in section of a crouching human. Through quality of space, tension was expressed to a concrete, and developed to a space.
1
3
+
2
4
1. Concrete Model 2. Diagram 3. Elevation 4. Final Model 5. Section
81 5
1 2.2 Concrete Study from Human Body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비익연리 Daegeun Yoo Prof. Hyunho Lee, Ok-hyun Kim
1
콘크리트 모델의 사진에서 가운데로 집중되는 모습을 담은 사진 두 장을 컨셉으로 집을 디자인하기로 하였다. 두 장의 사 진에서 가운데 떨어지는 빛이 어딘가로 연결되는 암시를 주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가운데 매스가 박혀있다고 생각되 었다. 이 두가지를 가지고 매스 스터디를 진행시켰고, 똑같은 두덩이의 직사각형 매스를 중첩시켰는데, 한 덩이는 약간 변형하 여 차이를 주었다. 두 개의 매스가 중첩되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틈에 의해 빛이 떨어지면서 콘크리트에서 표현했던 빛의 이 야기를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프로젝트를 진행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기본적인 주거라는 틀을 만들기 위해 두 개의 매스 가 부딪힌 부분에 하나의 매스를 추가하여 기본적인 기능을 하는 공간으로 만들었다. 추가된 이 매스가 안방과 자녀의 방으로 쓰게 되었고, 이 공간으로 "집중"되는 모습을 빛을 이용하여 표현하려고 하였다. Two photo of a concrete model that shows the concentration to the center inspired the house plan. Light falling in to the center of the model gave a feeling of being connected to somewhere else. It looks as mass is stuck in the center. By overlapping those two masses, naturally lights permeated through cracks, as it did with the concrete. To satisfy the basic needs of living, mass was added where the other two collides. Living room and children’s room were placed in the additional mass, and concentration to this space is shown through light.
2
3 4
1. Human Section Drawing 2. Concrete Model 3. Concrete Model 4. Section
82
Bon Voyage Heegu Yang Prof. Hyunho Lee, Ok-hyun Kim
1
콘크리트에서 느껴졌던 공간들의 느낌들을 살리자는 것이었다. 빛이 창문 틈으로 새어 나와 벽에 부딪치면 그 빛을 기둥 사이의 공간들이 조각 내어 빛에 grid를 친듯한 느낌. 외부에서 빛을 받았을 때 외벽의 곡선들이 내부의 기둥들을 부드럽게 감 싸는 느낌 등 사진에 나와 있는 것이 그것이다. Reviving the feeling of space felt with the concrete was aimed at this project. Space between the posts splintering lights coming from the crevice of windows makes a feeling as if grid was drawn to the light. Curves of an outer wall softly enclose the pillars of the inside as light pervades. 2
3
4
1. Concrete Model 2. Concrete Model 3. Final Model 4. Rendering Image
83
1 2.2 Artist’s House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분출 Seojung Kwak Prof. Sunghee Choi, Sangha Suh
1
2
중국인 화가 쩡판즈의 작품 '무제' 에서 작가가 표현하 고자 하는 바와 내가 느끼는 감정의 공통점으로부터 컨셉 모 델을 만들었다. 탈선의 욕구를 선재와 그 틈새로 뻗어나오는 빛으로 표현하고 더 나아가 공간으로 구성했다. '욕구'라는 감추어져 있는 공간과 외부와의 연결을 수직으로 올라가는 벽체가 아닌 사선으로 뻗은 벽체를 사용해 및이 벽을 타고 떨어지게 하며 높은 틈 사이로 보는 천창의 효과를 부각시킨 3
다.
4
1. Final Model 2. Concept Model 3. Concept Diagram 4. Process Developement 5. Section A 5
84
6
6. Elevation
Hitchcock's House Iljae Lee Prof. Sunghee Choi, Sangha Suh
2
1
3
히치콕의 현기증은 냉전 이후 복잡한 사회상을 강박관념, 집착, 혼란과 같은 인간의 복잡한 심리와 연관시켜 표현한 작품 이다. 이 영화에는 대칭적 사건들이 주기적으로 나타나고, 시간이 흐를수록 갈등 및 혼란 상태가 심화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그 래서 이 영화에서 ‘변화가 있는 반복’, ‘주기성’, ‘패턴’ 이라는 3가지 특징들을 찾을 수 있었다. 'Vertigo' of Hitchcock shows complicated social aspect involving humans indefinable sensations. Symmetric happenings occur periodically, chaotic situation intensifying as time flows. 'Altered repetition', 'periodicity' and 'pattern' are the feature of this movie.
4
6
5
7
1. Concept Model 2. Concept Model 3. Diagram 4. Rendering Image 5. Interior Rendering Image 6. A-A’ Section 7. B-B’ Section
85
1 2.2 Urban Style Housing; Single Resident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가족의 탄생 Jaeyoung Koo Prof. Seungyoon Lee, Jungwoo Choi
목재 루버
목재널
목재 루버
목재 루버 석재판
목재널
콘크리트
1
.본 프로젝트의 목적은 두 가구 이상의 가족이 각자의 공간과 함께 사용 가능한 공용공간을 가지는 주택을 설계하는 것이 다. 공용공간의 설정을 위해 '모이는 : 거실'의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가족 2012. 구성원이 모이는 공간을 공용공간으1/100 PROJECT TITLE c᳔ᮻ ┧ᕀ STUDIO (3) 공간 B11009 KOO Jae Young 다시DATE 12. 14 늘상SCALE
DRAWING NAME
AXONOMETRIC
로 표현하기 위해 따로 만들어지는 공간이 아닌 자연스럽게 모든 구성원들이 모일 수 있는 공통적으로 가질 수 있는 공간:거실 과 주방을 공용공간으로 사용하여 2가구 이상이 자신들의 원할 때마다 공간을 취할 수 있게 하였다. 2가구 이상이 함께 모여사 는 주택에서 모든 구성원들이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면 좋을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주택이 지어지는 site의 모습에서 찾아보았 다. 집들이 올망졸망 모여 있는 모습, 동네를 가로지르는 시장 지붕으로 내리 쬐는 햇살, 시장입구의 정자, 큰길을 따라 줄지어 있는 상점 앞에서 만나 담소를 나누는 동네 주민들. 이러한 모습 하나하나를 포착하여 주택 내부에 표현하였다. Aim of this project is to plan a house of more than two households. Meaning of a 'Living room: gathering space' was redone. Living room and kitchen, where people can naturally gather, were planed for residents to be in reach whenever they need.
1. Axonometric 2
86
3
2. Interior Rendering Image 3. Interior Rendering Image
서로의 공간을 공유하는 집 Yeseul Jeon Prof. Seungyoon Lee, Jungwoo Choi
1
2
각 가족의 구성원, 성격이 다르듯 공간의 형태와 사용도 다르다.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공간이 확장되고 공유가 일어난다. 내 가족의 공간을 공용공간과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고, 다른 가족들과도 공유할 수 있도록 가변적인 공간을 구성하였다. Form and usage of spaces are different as members, characters of each families are. With public space as the center, space expands. My family can utilize the public space as well as the other families, thus sharing with other families. Image of this site, such as house gathered in cluster, sunlight shining on the roof of the market, inhabitants having talks in front of the markets, were expressed through the house.
1. Concept Image (Day) 2. Concept Image (Night) 3. Concept Diagram 4. Final Model
3
4
87
88
INTRODUCTION OF THIRD YEAR
3 year
ARCHITECTURAL DESIGN CURRICULUM 3학년 설계 스튜디오는 기본적인 설계수업의 마지막 과정으로 지역적 사회적 문화적 요구와 제약에 적합한 건축적 대안 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공공성을 가진 건축 기능을 다루기 시작하며 일반적인 분석 및 실현 작업을 넘어 콘텍스 트와 프로그램간의 관계를 설계에 응용할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디지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빌딩 시스템, 구조체계, 법규, 방재, 재료와 디테일 등을 이해하고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1학기에는 지속가능한 건축환경 조성을 위한 기본적인 이해와 테크놀로지를 습득하며 친환경 디자인의 궁극적인 사회 문 화적인 역할과 의미를 되새겨 보게 되며 2학기는 1학기보다 도시적 영향력이 큰 프로젝트로 진행하여 대지와 건물규모가 커 지며 자연스럽게 주변 대지 분석을 넘어 도시를 읽어나가는 방법을 익혀 건축의 '공공성'에 대해 재고하게 된다. 예년의 공동 작품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는 아니지만 협업의 의미를 실질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개별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Summer Computer Graphic 워크숍에서 익혔던 다양한 그래픽 툴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결과물의 조건을 제시한다.
INTERIOR DESIGN CURRICULUM 3학년 실내 스튜디오는 첫번째 프로젝트로 '공간 속의 공간'을 계획한다. 학교내에 스튜디오 별로 주어진 설계실 속에 '무 엇?'을 하는 시스템 박스. 조형적인 관점을 넘어 어떤 프로그램을 적용한 시스템과 작은 스케일에 맞게 사람의 행동반경의 구 체적인 치수들에 대한 재설정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공간을 구성하는 다양한 건축요소들과 생활습관 혹은 문화에 대한 이해 와 재고를 해본다. 그리고 거대 재개발 프로젝트로 생겨나는 Mega Structure, 그런 상업적 공간 속 '소셜라이징 공간'을 설계 한다. 일률적으로 구획된 실이 아닌 오픈스페이스 혹은 공용공간을 찾아서 300m²의 소셜라이징 프로그램을 상상하고 그에 맞 는 공간과 공간에 필요한 건축요소들을 적용한다. 두번째 학기에서는 '브랜드와 상업건축' 과목과 연계하여 파워풀한 브랜드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의 고민을 통해, 공간적 컨셉과 동시에 이를 Enforce할 Logo, Package, Signage, Environmental Graphics를 통해 디자이너로써 반드시 갖추어야할 그래픽적 훈련을 하게된다. 그리고 한 사이트에 성격이 다른 두 상업공간을 디자인함에 있어 이를 이용하는 여러 방법등을 생 각해봄과 동시에 이를 Exterior/Interior적으로 확장, 연결하는 디자인 방법을 찾아본다. 또한 보다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숙박시설의 유형과 디자인을 요구하는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환경과 공공성에 대한 인식, 문화와 사회적 수준의 향상등에 맞추어 기존 건물의 위치, 건물의 내외부의 관계, 관련 법규등을 조사하고, 사회, 문 화, 소비, 경제적 트렌드 등의 분석을 통해 주어진 사이트에 적합한 진보적이며 창의적인 디자인을 제시한다.
89
1 2 3.1 Hongik Girl’s Middle School Renovation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Make It Yourself Hyeongi Jung Prof. Yeonghwan Lim, Taegwon Yoon 1,4. Model Picture 2. Site Analysis Diagram 3. Moving Walls Diagram
1
Through renovation, present prison-like space is altered to studios divided by movable walls which occurs various activities. Students pin-up their own work on the wall. Those walls moves freely following the rails installed in original building's beam. Wide corridor and lobby becomes an exhibition place of students work at anytime. Every walls move to the facade and blocks strong west light, creating the buildings face at the same time. By accumulation of this process, elevation of the building is composed student's work. Elevation shows the ego of the building and through flow of time, it becomes history.
2
3
4
90
Vine Gallery Yoonsoo Kim Prof. Sunkyung Lee, Dongwoo Woo 1. Render Image
1
2-4. Model Picture
기숙사 신축과 초중고 이전으로 남측 동선이 활성화 될 것이다. 24시간 개방 엘리베이터를 놓고 돌출부와 연계하여 건물의 적은 입구성을 확대하고 부족한 커뮤니티 공간을 확 보한다. 실내건축을 위한 공간이다. 그들의 작업을 쉽게 접 하고 영감을 받을 수 있는 공간, 그들이 작업하기 편한 공간 이 되었으면 한다.
Due to construction of dormitory and relocation of attached schools, nothern movement line will be vitalized. By placing 24hour operation elevator and connecting with the protruded area, character of the entrance is expanded and community space is created. It is a space for Interior Architecture major. I hope it becomes a space they can work comfortably and thus giving inspiration to other students. 2
3
4
91
1 2 3.1 Hongik Girl’s Middle School Renovation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Luminescence Park Beomyong Lee Prof. Kyungsun Lee, Changhoon Shin 1. Render Image 2. Level and Plan 3. Site Plan 4. Section
1
3
상부 부분은 공원화하여 홍익대의 landmark와 main circulation으로의 기능을 하도록 하였으며 계단의 밑부분과 내부, remodeling되는 강당은 공간을 이용하여 건축과의 공 간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건물의 많은 틈을 이용하여 채광과 환기부분을 해결하였고 야간에는 빛을 발산하여 밤에도 계 속 활동하는 건축과를 상징하도록했다. 또한 remodeling이 므로 현재의 구조물들을 최대한 유지하고 공간들이 떠다니 2
는 듯한 모습이 건축과 학생들에게 좀더 자유롭게 공간을 구 성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Newly created park at upper side works as a landmark of Hongik University and simultaneously the main circulation. Through space below the stairs, inner part and assembly hall, we satisfy the need for more space. Lighting and ventilation is solved through crevice of the building, which at night becomes a symbol of an architecture school by emitting lights. Since it is a remodeling project, structures of the original building are kept to the most. Images of hovering space becomes an inspiration to create space with an open mind.
4
92
Sculpture of Light Jinsun Park Prof. Kyungsun Lee, Changhoon Shin 1. Concept Image
홍익여중 신관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2030년 건축
2. Mass Process
을 전제로 시작하였다. 2030년 건축은 sustainable과 개성 있는
3. Facade Diagram 4-5. Sketch
form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기존 사이트 분석 시에 큰 특징
6. Render Image
이었던 오후의 서향만 받아들이는 공간, 건물의 부분으로 인식되 지 않던 동그랑땡이라고 불리는 특징을 빛의 여러 분석을 통해서 identity를 갖는 form과 그것 자체가 자연채광과 환기를 할 수 있 는 공간을 만들었다. 1
This project is based upon the premise that it is an architecture of year 2030. Keyword of 2030 architecture is 'sustainable' and 'unique form'. Space is created based on the original building's characters, that it only accepts western light, and DongTtang which isn't perceived as part of the building. Its form achieves identity through various analysis of light, a form which
2
itself could be a lighting and ventilation. 4
3
FINAL DIAGRAM
5 Daylight
Ventilation
LIGHT & VENTILATION DIAGRAM
TEMPORARY EXHIBITION
PRIVATE EXHIBITION PERMANENT EXHIBITION
LIGHT & PROGRAM DIAGRAM
6
93
1 2 3.1 Hongik Girl’s Middle School Renovation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Think Station Bogyeong Song Prof. Jeonghyeon Hwang, Jaehui Kwon 3
1
2
평단면적 중심이라는 위치적 특성과 건축이라는 종합적인 학문을 공부하는 건축학과 학생들이 다른 과 학생들과 교류가 어려운 점을 집어 다른 과의 생각이 흐르고 머무는 건축대학으로 제안하였다. Site is the center of Hongik University campus. Based on the site's strength, I suggest a building where students of other major can come by and remain thus promoting interchange between architecture students who learn overall studies and other major students.
1-2. Circulation Diagram 3. Program Diagram 4-6. Model Picture
5
4
94
Trace of Interval Seungwook Kim Prof. Jaewon Lee, Huiseong Kim 1, 4. Model 2-3. Program Diagram 5. Drawings
1
2
건축가 정인국, 그의 생각을 남기고 싶었다. 여고에서 홍대캠퍼스로, 그리고 건축대학으로. 그 변화에 맞춰 그의 생각을 반영하려 했다. 이곳에서는 과거의 흔적과 새로운 것들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을 추구한다. 두 건물은 하나로 보여지고 그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 그래서 다른 mass 두 개를 하 나의 스킨, 루버로 감싸려 한다. 프로그램에 따라서 루버의 형태와 간격이 결정되고 동선의 흐름이 같이 어우러지면서 다양한 공간을 만들어낸다.
I wanted to leave the thought of an architect, Jung In-kook. From Girl's Middle School to Hongik Campus, and than to an architecture major building. His thoughts were reflected matching to the change. This place pursues coexistance of the old and new. Two buildings are seen as one, and they are correlated. Therefore, different
3
two masses are enveloped with one skin and louver. Factors of the louver depend on the program, and create various space in harmony with the flow of movement.
4 5
95 95
1 2 3.2 Flagship Store and Office Masterplan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Ford Mustang Headquarter Office Jeonggwang Hwang Prof. Yeonghwan Lim, Taegwon Yoon
프로젝트는 한정된 필지 내에 세 개 회사의 사옥이 들어감을 목표로 한다. 제 한적인 규모의 필지 안에서 세 사옥을 어떻게 수직적으로 올릴지 고민하기 보다 는, 하나의 사옥은 수평적으로 확장시켜 나머지 두 사옥의 인동거리와 일조권, 조 망권을 향상시키고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며 업무공간에 연결된 오픈 스페이스의 면적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이 들어 설 FORD사의 MUSTANG 브랜드 사옥은 차량이 실제로 생산되는 공장의 평면에 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지상과 사무 공간 내에 자연채광을 제공하는 거대한 중정 에 각 층을 오고갈 수 있는 동선이 둘러져 있다. 이 동선은 건물의 수평적 코어 역 할을 하여 전체 사옥을 연결하고 수평 코어의 바깥에 각 업무공간이 배치되는 형 식을 가진다. 또한 각 부서 당 하나의 층을 개별적으로 사용함으로서, 같은 부서가 다른 층에 배치되어 소통 효율이 떨어지는 수직적 오피스의 단점을 보완하고 원활 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한다.
96
Project's aim is to construct three company's office in restricted area. Rather than thinking how to build up three buildings vertically, I suggest to expand one office horizontally. As distance between other two buildings increases, quality of light and view is improved. As well, by naturally connecting the city's skyline, area of open space connected to workspace is maximized. Office of Ford Mustang is inspired by the plan of manufacturing factory. Movement between floors happens at the massive court which provides natural light to inner space. This movement line acts as horizontal core, connecting the whole building, and office space is placed outside the core. By placing one department at one floor, inefficiency of communication in vertical office is complemented.
97
1 2 3.2 Flagship Store and Office Masterplan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엮임 Seungwook Kim, Kyeongho Moon Prof. Sunkyung Lee, Dongwoo Woo
교보타워 사거리에 입지한 대지는 유동인구가 많으며 강남역-논현역 까지 이어지는 젊음과 패션의 중심지 이다. 이 대지 에 BMW와 SEIKO 공동작업을 통해 신사옥을 설계하게 되었다. 세가지 엮임이 존재하는 두사옥은 저층부의 주변 맥락과의 엮 임, 중충부에 브랜드 이미지를 위한 엮임, 고층부의 사원의 복지를 위한 브랜드 가치의 3번의 엮임을 만들었다. 저층부의 개발 에 따라 BMW는 대공간을 필요로 하는 디자인 오피스와 저층부의 개방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서 구조적인 접근을 시도 하였다. 건물 전체를 트러스에 매담으로서 오피스 공간의 대공간을 만들며 동시에 저층부의 개방감을 도모하였다. 이에 반해 SEIKO 사옥은 형태적인 세련미를 추구하였다. 엮인 매스가 수평적으로 두드러지기 때문에 이에따라 사옥은 수직적인 느낌을 강조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Site located at Kyobo tower intersection has great floating population and hub of youth and fashion. As this site, office of BMW and SEIKO are constructed through co-work. Weaving of lower part and surrounding context, weaving for image of the brand at middle part and weaving for welfare of workers at upper part. Three weaving happens throughout the building. Structural approach were tried to satisfy BMW's need for large space of design office and openness of lower level. By hanging the whole building on the truss, large area is created and openness of lower part is promoted. On the other hand, office of SEIKO aimed beauty of morphological refinement. As weaved mass emphasized horizontal existence, office buildings were designed to give vertical existence.
1.Model Picture 1
98
2. Site plan
3.Re-Programing
2
3
저층부는 패션과 휴식의 엮임으로 성큰 상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으며 중층부는 두 브랜드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메스로서 체험 전시 휴게 플래그쉽 스토어 세미나 실, 소극장 등이 들어가며 두 브랜드의 시 너지 효과를 줄수 있는 프로그램드이 배
4
치되었다. 고층부는 사원의 복지를위한 공간으로 식당, 회의실, 미팅룸, 접견실,
5
카페테리아, 휴게실 등이 위치하게된다.
4,5. Render Image
6.Section 7.Structure Modeling
6
7
8.Ground Level Mater Plan
8
99
1 2 3.2 Flagship Store and Office Masterplan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Flagshipstore and Office of Kickstarter Geunyong Park Prof. Sunkyung Lee, Dongwoo Woo
1
‘KICKSTARTER’는 미국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CROWD FUNDING회사이다. 군중을 뜻하는 ‘CROWD’와 투자를 뜻하는
1. Render Image
‘FUNDING’의 합성어로 SOCIAL FUNDING으로도 불리고 있다. 온라인 기반의 이 산업은 꿈과 아이디어가 있지만 자금의 문 제로 실행시키지 못하고 있는 창업자를 대상으로 한다. 본인의 아이디어와 제품을 홍보하고 프레젠테이션을 하면 불특정 다수 의 군중들이 이를 보고 투자하는 형식이다. 투자를 한 후에 창업자가 일정 수익을 내면 수익의 일부를 돌려받는 일상적 형태의 FUND라고 보면 된다. 이는 세계적으로 많은 이들의 꿈을 이루어 주었고, 아이디어와 FUND를 이어주는 매개적 역할을 한다. 이 기업의 플래그십 스토어를 계획할 때 고려했던 것은 강남의 부족한 녹지를 충족하면서도 낮은 밀도로 사람을 유인할 수 있 는 광장형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무언가 특별하고 인위적으로 사람의 시선을 끌고 모으기 보다는 녹지, 공원을 찾아온 사람 들이 와서 즐기고 휴식하며 공간을 느끼고 플래그십스토어라는 걸 알게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플래그십 스토어 처럼 보이지 않는 플래그십 스토어를 계획하기로 했다.
2. Mass Process
2 3,6. Model Picture 4. Sketch 5. Section
4 3 5
6
100
7. Program Diagram
7
이용자의 분류, 녹지의 확장 등을 포함 한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
8. Concept Image
'KICKSTARTER' is the very first founded crowd
8
funding company in United States. As a compound of crowd and fund, it is also called social funding. Online based company is aiming at founders who have dream and idea but cannot carry out because of the cost. To-be-founder gives a presentation of one's idea and unspecified people invest to it. It is a casual form of fund in that the investors get back certain part of the profit. Social funding has given hope to many people world wide, being a mediator between idea and fund. Flagship store of this company should attract people in low density with square form. Rather than drawing people in
10
artificial way, I hope people to come by the park and enjoy the space, thus naturally recognizing this company. Therefore, I plan a flagship store which doesn't look like a flagship store.
9. Perspective 10. Plan
9
101
1 2 3.2 Flagship Store and Office Masterplan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Flagship Store and Office of FRIETAG Hyungi Jung Prof. Kyungsun Lee, Changhoon Shin FREITAG은 트럭방수포와 안전벨트, 자전거튜브 등 폐 1. Mass Process
기물을 이용하여 가방을 만드는 기업이다. 재료의 특성을
송전탑이 가지는 매스와 구조물의 분
이용한 선택과 디자인을 통해 패션을 위한 재활용을 한다.
리, 결합을 통하여 형태를 결정.
1 FLAGSHIP STORE OF FREITAG 환경폐기물로 치부되는 송전탑이 가지는 매스와 구 조물로서의 가능성을 통해 FREI TAG을 나타낼 수 있는 FLAGSHIP STORE를 제안한다. 자전거 보관소와 제품 샵, 카페 등이 송전탑이 가지는 형태적 특징과 연결되어 도시에 브랜드의 특징을 나타낸다.
2 MASTER PLAN FOR 3 OFFICES 강남대로를 마주한 사이트를 극도의 소비적인 도시공 간으로 정의하고 그에 따른 새 로운 URBAN BAZZAR를 제 안한다. 이는 한 필지에 세가지 기업의 저층부가 세가지 B AZZAR CLUSTER를 통해 형성하여 경직된 형태의 도시소 비공간에 새로운 형식을 제안 한다.
3 OFFICE OF FREITAG FLAGSHIP STORE의 디자인 컨셉과 송전탑의 구조적 한계를 고려하여 일반적인 오 피스 건물에 송전탑이 지닐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커튼월 시스템의 프레임, 공간 을 구획하는 가벽, 펜스, 사무공간의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등 송전탑은 오피스 건물에 침투하여 공간을 만들고 브랜드의 이미지를 표현한다.
2. Model Picture
1
102
2
3. Model Picture 4. Model Interior Picture 5. Circulation Axonometric 소비 동선, 주차 동선, 오피스 동선을 각각 엑소노메트릭으로 표현.
3
6. Render Image
4
5
6
103
1 2 3.2 Flagship Store and Office Masterplan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Uhan Kimberly’s The Twined Farm Yoongi Jeong Prof. Kyungsun Lee, Changhoon Shin
Gangnam where at night, is full of neon signs and staggering drunken people. Green farm purifies Gangnam, where is at the ending point of commercialization.
Uhan Kimberly whose slogan is 'greener greener our lands' builds an office in Gangnam.
Paddy rice field form starting from Shin-non-hyun station intersection is inserted and twined up through out the building. Vertical farm of lower part provides fresh vegetables to office workers and the residents. Facade collects solar energy which is used to nourish plants. Interval spaces provide various open space used as an abundant resting place, thus giving creativity in performing works.
3
6. Flagshipstore Model Image 7. Mass Process
4
2
104
5.1
5.2.
5. Concept 5.1. Diagram 빌딩 사이에 자연을 담음 flagship store
5.3
를 넣어보고자 함
5.2. Image 자연의 곡선 형태를 차용
5.3. Sketch 자연의 곡선 형태를 담은 컨셉 스케치
5
1. Perspective 2. Plan 3. Section 4. Office Model Image
6 7
105
1 2 3.2 Flagship Store and Office Masterplan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Space for Space Gyuhyung Cho Prof. Kyungsun Lee, Changhoon Shin
toms는 미니멀한 디자인, 친환경적 재료, 무엇보다 ‘기
1. Concept Diagram TOMS가 갖는 성격을 따라 만든 동
부’로 유명한 브랜드이다. toms의 스토어라면 그것의 자세
산의 이미지
를 낮추어 시민들에게 스스로의 등을 내어주어야 마땅하다 생각했다. 벽과 지붕의 경계를 없애는 동시에 하나의 건물을 두 개의 레이어로 나누어 건물을 감싸는 구조와 외피가 매장 밖의 시민들에겐 아담한 동산이 되도록 했다. TOMS is a famous brand for minimal design,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and above all, for 'donation'. Store of toms should lower its posture toward people. By removing the border between wall and roof, building is composed of two layer. Thus, structure and skin becomes a petite hill for people outside the building.
1
2. Flagshipstore Model Image 3. Mass Process
2
106
3
4. Office Model Image
4
LTC(Low Technical Constructing) toms의 가장 큰 가치는 캔버스 천 한 장으로 발을 감싸는 것으로 디자인을 끝낸 low-technic함이다. 이에 모티브를 얻어 office란 큰 덩어리를 구축함에 있어 건축의 가장 기본요소인 육면체의 box들을 직관적으로 쌓아 나가기로 했다. 빛 환경, 마스 터 플랜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며 box의 길이를 조절하며 전체적인 모습을 갖춰나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가장 쉽고 기본적 인 box들이 직관적으로 쌓여있는 모습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이 office의 가장 큰 가치다.
LTC(Low Technical Constructing)
5. Concept Diagram 큰 광장이 아닌 작은 광장의 개념을 담
The uppermost value of toms is low-technic,
고 있는 다이어그램
enclosing the foot with one piece of canvas.
6
Inspired from this fact, cube is intuitively piled to create a big mass of the office. Size of each box is altered considering light factor and relation with the masterplan. The uppermost value of the office is that it is created with intuitively looking boxes, the most basic form. 5 6. Mass Process
107
1 2 3.2 Flagship Store and Office Masterplan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why Tall? - Vertical Office Soohyun Choo Prof. Yoonha Lee, Seongwook Cho
전체주의적 공간이 형성된 도시인 강남에 아나키스트의 감성을 부여한다. 건폐율 39%, 용적률 910%의 공간은 기존의 공간 수요를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부족한 녹지를 충족시킨다. 녹화되는 옥상의 공간까지 고려한다면 기존 녹지공간의 6.5배 의 녹지를 확보할 수 있어 회색의 도시를 완화시킨다. 본래 3개의 OFFICE BUILDING의 수직적 나열은 세 MASS의 독립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진행된다. 고전적이고 전체주의적인 한 건물로의 마천루에서 벗어나 새로운 강남의 지표로 작용하는 건축을 지향한다.
Sense of anarchist is blown into totalitarianism space of Gangnam. 39% floor-area ratio and 910%
1. Three Office Buildings’ Connection
capacity ratio satisfy the needs for present space
수직적 나열을 통한 공간의 수요 만족
supply and lacking green. 6.5 times larger greenery
및 Mass의 독립성 확보
than the original place is retained when rooftop is included. Vertical arrangement of 3 office building is progressed with each masses having their own independence. Getting out of classical and totalitarianism skyscrapers, I pursuit architecture that would work as an indicator of Gangam.
1
2
3
108
2. Mass Perspectives 3. Master Plan
4. American Apparel’s ads 인체의 곡선을 강조한 광고들
5. Mass Process 인체의 곡선을 강조한 매스 프로세스
5
4 6. Deatail Render Image
6
109
1 2 3.2 Flagship Store and Office Masterplan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Omnibus Place Hyungjoon Shin Prof. Jeonghyeon Hwang, Hajeong Lee
기업 Kolon Sports를 선정하고 컨셉의 키워드는 Omnibus place로 명명하였다. 사이트 내부를 이용할 사람들의 목적들을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분류한다. 각 구성원들은 이용 가능한 프로그램들을 품어 내는 공간들을 거쳐 가게 되며, 이 공간들을 묶어주는 큰 흐름들을 설정한다. 이로써 여정의 출발점이 다른 그룹끼리 만나고 헤 어지며 공간을 경유하고 시야를 공유하게 되는데, 그 프로그램과 공간의 접점, 그리고 패스의 설정을 통해 공간의 성격을 규정 한다. 각 공간은 그러한 흐름을 수용할 수 있는 성격을 가지게 되며, 이것은 공간을 디자인하는 또 하나의 방법으로써 접근한 다. 1
2
3
4
6
5
110
7
I chose Kolon Sports and named design keyword as Omnibus place. Users of the space i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purpose. Each members pass through spaces of usable programs, and I set up approximate flow that binds those spaces. Different groups with different starting points meet and part, and share sights. Character of the space is defined by setting paths and contact points of spaces and programs. Each space is able to accept those flow, and this becomes another method for designing spaces. 10
8
9
111
1 2 3.2 Flagship Store and Office Masterplan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Flagship Store and Office of ECOVER Junghwan Lee Prof. Jeonghyeon Hwang, Hajeong Lee
선정 브랜드인 ECOVER의 기업 이미지에 맞게 친환경적인 제품제작과정과 실제 제품을 디자인 해볼 수 있는 D.I.Y관을 디자인하였다. 플래그쉽 스토어 전체공간을 실제 ECOVER 공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폐수정화과정 파이프를 설치하여 고객 들이 플래그쉽 스토어를 돌아다니면서 실제 친환경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체험할 수 있게 디자인하였다. 그리고 옥 상에는 수영장과 하천 분수 등을 설치하여 실제 정화된 물을 이용한 옥상 수변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다.
Coping to the ECOVER Company's image, D.I..Y center to watch manufacturing process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 and to design a real product. By installing purification facilities of the real factory, customers can watch the process by going around the flagship store. Customers can utilize swimming pool and fountain on the rooftop, facilities using the purified water.
1-3. Flagship Store Model Picture
1
2
3
112
4
5
3개의 브랜드의 오피스 설계 프로젝트인 2차 과제에서는 세 브랜드의 공통적인 특징과 차이를 잘 융화시키는데 마스터 플 4. Zoning Diagram 5-6. Render Image
랜 형성에 중점을 두었다. 강남의 녹지 공간 부족에 착안하여서 사이트를 강남의 그린코어라는 타이틀로 디자인을 시작하였 다. 법적인 기준을 이용하여 우리가 필요로 하는 녹지공간을 사이트에 넣기 위해서 주름이라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풀어나갔 다. 오피스의 입면에서도 각 브랜드의 역동성에 맞춰서 주름을 잡고 기능적인 요소들을 부합하여 최종적인 3개의 오피스가 나 올 수 있었다.
On the proceeding project, focus was to plan a master plan that well harmonize the features and difference of 3 different brands. Based on the fact that Gangnam lacks greenery, our design aim was green core of Gangnam. We got the characteristics of 'crease' to fit in greenery using legal standards. On the facade, creases were formed according to each brand's dynamicity and own functional needs , thus ultimately creating three office buildings. 6
113
1 2 3.1 Commercial Renovatio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Moss Gallery Chanho Kim Prof. Sunghee Choi, Sangha Suh
1
Inspiration of this project is huddling, survival behavior of penguins in the South Pole. Given project was to renovate cafe MayB. This place is located beside a broad way where lots of people pass by, and there aren't any greens except the buffer zone. Therefore, my aim was to give a little rest as an extended space of the greens of buffer zone. Mass that actively attracts people penetrates the space, making it a moss 2
gallery consisting of cafe and the greens. Overall space is composed of layered space adapted from huddling, putting external, internal space in sequential order. With this concept, 5 exhibition space allows only partial sense making exhibition efficient.
3
4
1. Slope Rendering Image 2. Site Analysis 3. Cafe Rendering Image 4. Final Section
114
Faith Hanna Lee Prof. Sunghee Choi, Sangha Suh
1
This place has inner space which can move whenever customer want. Customer can make their own cafe space by pushing and turning the cube. When the concert begin, cubes are moved and make seats for concert. There are big cube which only can turning, it will be a point when small cubes are making concert seat. Second floor is for someone who want to enjoy cafe with 2
viewing outside or don’t want to join concert.
1. Concept Model 2. Cafe & Concert Hall 3. Diagram
3
115
1 2 3.1 Space in Space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Socializing Space in MEGA Structure Yongheon Choi Prof. Seungyun Lee, Yeojin Lim
1
‘Convenience and Service’ was the main concern fitting socializing space in commerce area. Site is width 6m, length 120m, height 8m corridor of ‘Goyang agricultural and fishery market’. Aim was to create service space by site research. To talk of programs, firstly, storage and wrapping corner in irrational place were drawn out. Next, by reviving baby care lounge, housewives get convenient. As well, displaying space for seasonal items in front of the cashier will draw intention of the users. Coping to the information age, digital display space will give information of the center. Individual programs are rationally located considering problems of privacy, bottleneck phenomenon etc.
2
1. Diagram 2. Interior Detail Model 3
116
3. Final Site Model
3.2 Hotel Renovatio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Hotel Renovation Yongheon Choi Prof. Yeongseon Go, Sojeong Lee
1
2
Foreign tourist has reached 10 million per year. However, half of those people feel the lack of Korean unique cultural contents. This hotel’s aim is to satisfy those needs by Korean programs and space created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Korean house. Traditional Korean house has horizontal structure with entrance, yard, inner yard surrounded by block and backyard with nature by side. In this hotel, public space, courtyard surrounded by rooms and terrace of each room are ranged in vertical structure.
3
1. Final Model 2. Interior detail Model 3. Concept Model 4. Final Model
4
117
1 2 3.2 Hotel Renovatio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Hospitality Design - Accommodation Minjun Kim Prof. Yeongseon Go, Sojeong Lee 1. Rendering Image 2. Lobby Perspective 3. Backyard Perspective 4. Zoning 5. Final Model
2
1
3
4
Suggestion of business hotel in Dosandaero. Enforcement of ‘Special law for expansion of tourist facilities’ has loosen the regulat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Therefore, I suggest business hotel in existing office building. Differentiated from present business hotel, this hotel offers subsidiary facilities combining business and hotel. Private room and public facilities are gathered in harmony of solid and void. Each space gives unique experience and view, this also being the identity of this hotel in its facade.
118
5
DSA Orginal HOTEL Yehyeon Jeong Prof. Yeongseon Go, Sojeong Lee
1
2
Dosandaero of Nonhyundong, Gangnam is a high street. This place is a typical modern society. Straight road, only with starting and destination point in sight. This isn’t attractive to passer-by. Garosu-gil nearby, however, appeals to people for a street to hang around. Both sides at one sight, lower buildings and mostly, people hanging by,
3
taking a look at small shops are the factor that makes this road attractive. (Space considering human-scale, pace, relative space) As hotel aims to be a place for staying, application of attractive factors of Garosu-gil will make a hotel better place.
4 5 1. Concept Model 2. Final Model 3. Final Model Detail 4. Logo & Diagram 5. Case Study
119
1 2 3.2 Commercial Renovatio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Sprout Our Seeds Dongjae Lim Prof. Chaeyeon Lee, Seongheon Ryu
1
2
3
Main goal was to make a new icon in HongDae with an organic life style store. The basic keyword is Sprout and used the word ‘Sprout’ as spreading seeds in commercial ways. By placing ‘Kitchen’ on the front, cooking area acts as a show window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The organic idea can be delivered to customers by this cooking action.
1. Final Model 2. Cafeteria Perspective 4
120
3. Second Floor R.C.P 4. Section
Facade In Splitting Beans Jaemin Yoo Prof. Chaeyeon Lee, Seongheon Ryu
1
Inception(2012)_ Way to show dream and reality is to show the border of two. Drooped city reflects the reality of dream. Hongik Univ_ Hongdae is always crowded. What are they thinking? What are their dreams? Dreamlike image of dream and reality are shown from the outside, with two different programs.
1. Detail Design Plan 2. Concept Diagram 3. Rendering Image
2
3
121
1 2 3.2 Commercial Renovatio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Seongjin Han Prof. Chaeyeon Lee, Seongheon Ryu
1
2
3
자전거가 가지는 역동성과 주변을 스치며 지나가는 모습은 나 자신이 주변을 바라보는 것 뿐만 아니라 하나의 시퀀스처럼 함께 움직인다. 상업적인 자전거 리테일 스토어를 설계하는 홍대라는 사이트가 지니는 젊음과 열기, 그러나 그것을 받아주지 못하는 좁은 도로와 자전거 주차시설에서 시작된다. 홍대에 오픈스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본 사이트에서는 도로와 지하를 이어 주는 Extreme Gathering Space를 관통하는 또다른 길로써 제안하면서 24시간동안 바이크매니아들의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제안한다. 그와 동시에 수직적으로 이동하는 2층~4층의 Commercial Space는 자전거를 지닌 체 즐길 수 있는 쇼핑공간과 더 불어 Community Gathering의 중정스페이스를 이어줌으로써 복합적인 시설들이 동선에 따라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홍대 라는 거리와 직면하게 되는 1:1의 정면성을 지니고 있는 입면은 과감하게 9개의 부품이 전시되는 공간을 직설적으로 보여줌으 로써 그곳에서 일어나는 행위와 홍대의 관계를 더욱 가깝게 한다.
1. Rendering Image 2. Basement Perspective 3. Third Floor Perspective 4. Section
122
4
Gogoong Taeuk Yoo Prof. Chaeyeon Lee, Seongheon Ryu
1
Hongdae of today is full of fatigue with spoiled culture, growth of population, monopoly of major firms and excessive rivalry of commerce. Futhermore, newly launching commerce has the obsession that it has to be unique and magnificent. Every place is elated, crowded and noisy. This is the start of this project. I suggest spa with linked body shop opposed to Hongdae of nowadays. Body shop of Korea are suggested instead of main foreign shops with retail shops through brand positioning. With the concept of ‘texture of fabric’, feeling of slowness and relaxation are made into space.
2 3
1. Concept Image & Logo 2. Main Shop Perspective 3. Section
123
1 2 3.2 홍문관 16th & Rooftop Renovatio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The Voidume Suhyeon Jeon Prof. Hyeonjin Park, Buyeong Go
This project is conference center and lounge as brunch restaurant located in 16,17th floor of Hongmoon-kwan, Hongik University. Every conference room on 16th floor is available to have brunch meeting, and there are restaurant and lounge for a party. 17th floor, with ‘multi-purpose private zone’, is anticipated to used in various attractive sense. Design concept ‘voidume’ is the compound of void and volume. Ample volume of void had been tried to be expressed through space. Rendered image and specific information of each space shown on panel will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space.
3
1. Program 2. Rendering Image 2
124
4
3. Main Lounge 4. Mini Lounge
CONFUNNY Sehui Ryu Prof. Hyeonjin Park, Buyeong Go
1
2
3
4
1. Rendering Image 2. Staircase 3. 16th Floor Plan 4. 17th Floor Plan 5. Lounge Elevation
The site which located in streets of Hongik University is notable for fashion, music, art, club etc. The project considered this cultural context of the site. Also the fact that the site is rooftop which has great scene make the program in the site more active.
125 5
1 2 3.0 Studies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Furniture Design 가구 디자인 Prof. Hyunjin Park 가구디자인 수업은 가구 및 오브제의 컨셉, 디자인, 그리고 조립 및 제작을 통해 각 학생의 예술적 사고발달 및 디자인 철 학의 명확한 표현력 향상을 주된 목표로 한다. 재료에 대한 접근법으로는 수업시간 및 그외 개인시간의 탐색, 또는 직접적인 다 양한 실험제작등을 권장한다. 깊이있는 개념적 사고와 숙고된 미학적 요소에 대한 생각 및 다양한 제작방법연구를 통해 자신 만의 가구 및 오브제를 만들것을 권장한다.
When interpreting architecture as the relation between space and objects, most objects are furniture. As the main representation of human lifestyle, furniture history and its details are studies, as well as the modern movements of furniture design. Through such process, students can gain the basics of a furniture designer, as well as acknowledging the production of furniture. The class consist studies of theory, artist research, and practicing prototype designs. Especially, the prototype design section is conducted under a fictional customer to estimate the final cost, which is held in exhibition.
126
1. Sungjin Han, Jaemin Yoo, Joonghun Lee, Hongeun Hyun, Seojung Kwak 2. Joohyun Kim, Hyunsun Kim Minho Kim, Yeahyun Jung, Saehee Ryu
1
1
2
127
128
INTRODUCTION OF FOURTH YEAR
4 year
4학년 설계 스튜디오는 복합 건물의 설계, 도시 설계 기법의 도입 및 빌딩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학생들은 자 신의 성향과 진로에 맞게 스튜디오를 선택하고 차별화된 커리큘럼에 의해 디자인을 발전시킨다. 1학기에는 ‘도심형 집합주거’의 공통 주제 아래 각 스튜디오가 개성있는 소주제를 제시했다. 스튜디오는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이 되었다. 1단계에서는 계층별로 도시민의 주거에 대한 요구를 이해하고 이러한 다양한 요구가 건축적 공간으로 어떻게 투영될 수 있는지 다이어그램화 해보며, 2단계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생각들을 정리하고 다양한 설계 방법론을 통하여 건축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도심집합주거형태를 찾아본다. 2학기는 스튜디오 별 자유주제로 진행되었다. 미래를 구상하고, 미래의 도시와 건축에 대한 비전을 추구해 보는 'Utopia and Distopia', 일본 나가사키현의 마리나와 콘도를 설계하는 'Nagasaki Condo & Marina', 건물의 피부가 가진 새로운 가능성 에 대한 연구를 하는 'Skin Studio', 디지털 디자인 기법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기존의 정적이고 정형적인 건축에서 탈피 하여 시각적 환영효과를 부여하여 동적이고 변화하는 건축을 제안해보는 'Dynamic Architecture', 이론적이고 현실적, 제한적 인 일반 건축 교육과정에서 잃어가는 학생들의 상상력을 증대시키고 억압된 잠재력을 일깨워 기존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사물 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통찰력으로 건축에 대한 새로운 비전과 도전 정신을 주는 'Architectural experiments for unusual site' 등을 통해 건축의 안목을 넓힌다.
129
1 2 3 4.1 Residential Complex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Fractal House Changhun Song Prof. Hyunjoon Yoo, Seongseok Ko
1
이번 프로젝트는 사당과 이수역 사이에 위치하는 폭이 18m인 가느다란 대지위에 도시형 생활 주택을 짓는 것이다.
1. Render Image 2. Potential Residence
서쪽으로는 8차선의 동작대로가 있으며 동쪽으로는 과거에
3. Mass Development
흐르는 천을 덮어 현재 약 30m 폭의 주차장이 위치하고 있 다. 18m 밖에 안되는 좁고 긴 대지에 중정과 각 유닛들이 가 진 빈공간과 그렇지 않은 공간과의 결합을 가지고 빛, 통풍, 뷰, 사생활에 대하여 최상의 컨디션을 가질수 있도록 설계를 제안하였다. This project is to design urban type housing in 18m wide site located between Sadang station and Isoo station. To the west is eightlane Dongjak road, and to the east is a parking lot 30m wide which was created by covering a stream. I suggest design that offers best condition in light, ventilation, and privacy protection with composition of court, each units and void spaces.
3
2
130
4 5
8
4. Elevation 5. Site Analysis 6. Unit Diagram 7. Diagram 8. Collage
6
7
9 9. Transfer Development 10-11. Render Image 12. Section
10
11
131
1 2 3 4.1 Residential Complex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URBAN TROPISM Kiran Yang Prof. Hyunjoon Yoo, Seongseok Ko
이수역과 사당역 연결하는 동작대로와 복개된 방배천, 저층주거지가 있는 방배동에 위치한 도심형 집합주거이다. 녹지와 주변 이웃들과 연결되는 보행생활축, 대로변의 속도의 컨텍스트를 반영한 건물의 형태는 저층부에 공공공간을 제공해주면서 남북방향으로 좁고 긴 대지에서 모든 가구에 남향의 자연광이 들어오게 한다. 주거 유닛은 테라스나 앞마당 혹은 중정을 가진 1인주거와 2인주거가 조합되어 총 5가지 타입이 있고, 각 유닛의 야외공간은 녹지 언덕과 한쪽으로는 도시의 풍경을, 다른 한 쪽으로는 다시 흐르는 방배천과 저층주거지의 이웃들을 바라볼 수 있다. Site for urban type housing is Bangbaedong, where covered Bangbae stream, low-rise residences and Dongjak road connecting Isoo station and Sadang station exists. Building's form reflects context of roads speed and walking axis which connects greenery and surrounding neighbor, thus providing public space in the lower part and simultaneously providing natural light to all houses in north-south direction of narrow site. Housing unit has 5 types, with combination of one person, two person that has terrace, front yard of court. Open space of each units faces either green slop and city's scenery or Bangbae stream and neighborhoods.
1. Site Analysis 2. Program 3. Program 4-5. Study Model Picture
1 2
3
132
4
5
6. Design Development 7-9. Model Picture
7 8
9
6
10-12. Render Image
10
13. Unit Plan
13
14. Elevation
11
12
14
133
1 2 3 4.1 Residential Complex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Linear Housing Hyeonseok Lee Prof. Younggeun Han, Sunghan Kim
1. Render Image 2. Site Plan 3. Section Diagram 4. Site Analysis
1
이 동네의 블럭을 형성하는 규율을 먼저 제시하는 것이 설계의 기본 컨셉이다. 이에 자연적으로 발생한 도로를 포함한 인 도를 중심으로 단위블럭 형성을 제안한다. 건축물이 주가되어 틀에 필연적으로 생긴 길이 다시금 단지계획의 중심선이 되어 길의 양쪽 부지를 하나의 단지로 구성하는 방안이다. 이는 기존에 있던 이화동 달동네의 길의 흔적을 지우지 않고 개발하는 축 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순히 주거인의 통행용만으로 쓰이는 길을 공간으로 될 수 있다. 길을 축으로 생긴 단지에 공개공 지를 길과 맞닿게 하여 조망을 얻을 수 있으며, 채광에 유리하다. 달동네 특유의 조망을 살릴 수 있는 방법으로는 단차를 이용 해 공개공지, 즉 마당을 모두 조망에 대해 유리하게 배치하는 방법과, 매스의 각도를 꺽어 주거동과 마당모두에 채광과 조망을 주며 semi-private한 마당과 길을(public) 이어주는 배치가 있다. Basic concept of this project is to propose a regulation that forms a block. I suggest formation of unit block with spontaneously generated road and sidewalk as the center. Road which was created as a belonging of a building becomes a centerline of complex plan, and site of both sides becomes one unit. This could be an axis for developing Ewhadong keeping the trace of roads of poor hillside village. It also promotes road that were used as 'passageway' to a space. By placing open space adjacent to the road, condition of view and natural light gets better. Placing every open space to get good view using the site's level gap and changing the angle of mass to connect semi-private space and public space are ways that could make use of the site's peculiar scenery. 2
4
134
3
5
5.Mass Study 6.Unit Plan 7. Plan 8-10. Render Image
6
8
7
9
10
135
1 2 3 4.1 Residential Complex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Reflection of the Story in HONGDAE Joonyoung Lee Prof. Younggeun Han, Sunghan Kim
1. Site Plan 2. Mass Process 1
2
대지에 기존에 존재하던 건물은 홍익 대학교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임대형 원룸 주택이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주 거에서 1인주거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이 추세를 받아들여 기존의 사용자인 홍익 대학교 학생과 좀더 세분화를 시켜예술쪽 즉 미술, 건축을 전공으로 하는 대학생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 그리고 홍익 대학교 주변에서 개인적으로 작업을하 며 예술에 종사하는 작가들을 위한 원룸형집합주거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Existing building was one room lease-apartment usually rented by students of Hongik University. Percentage of one person residence is increasing these days. Coping to this phenomenon, users are subdivided into students of art major, architecture major, and other study major and artists.
3 3. Elevation Diagram 4. Elevation 5. Section
4
136
6
7
8
6. Render Image 7. Develope Process 8.Before 9.After 10. Unit Plan 11. Program Zoning
9
10
11
5
137
1 2 3 4.1 Residential Complex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Generating Generations Sohyun Cheung Prof. Jaeyong Chung, Dongho Lee
합정동 사이트가 여러가지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만큼 그 곳에 여러 세대들이 함께 살 가능성이 높다는 전제하에 핵가족 이 늘어나고 있는 요즘 사회의 문제도 함께 해결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여러 세대의 여러 핵가족들이 모여 새로운 대가족을 이 루는 타운하우스를 제안한다. 클러스터 형식으로 되어있는 타운하우스는 한 클러스터에 1-2인 3-4인 5-6인 이 살 수 있는 타운 하우스들이 연결되어 있고 각 타운하우스의 후정은 하나의 공동 정원으로 연결되게 설계하였다. 그리고 각 후정들과 각 타운 하우스들의 매스들은 향과 통풍을 고려하여 계획하였고 가운데 공동 정원에는 수공간을 두어 친환경 적인 요소로 작용되게 하 였다. As Hapjeongdong is exposed to various environment, there are high possibilities that various generation will live together. To simultaneously solve the problem of increase in nuclear families, I suggest townhouse where nuclear families of various generation forms a new big family. In one cluster, houses for 1-2 people, 3-4 people, 5-6 people are connected and backyard of each houses are connected to sharing garden. Mass and back yard of individual townhouse are planed considering its direction and ventilation. Water space in the center garden works as environment-friendly factor.
1
2
1-3. Concept 4. Townhouse Mass Process 5. Townhouse Plan
3
4
5
6. Elevation 7. Section
6
138
7
8. Site Plan 9.Site Plan Factor 10. Mass Process
8 9
11. Unit Plan 12. Main Axis 13. Site Plan Process
10
11
12
13
139
1 2 3 4.1 Residential Complex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Hapjeong-dong Housing District Juhee Kim Prof. Jaeyong Chung, Dongho Lee
1
도시형 타운하우스는 단독주택의 장점을 살려 1~2층의 단독추택이 10~100가구씩 모여 정원과 담을 공유하는 단독주택 군으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방범,방재 등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 주거형태다. 하지만 도심형 타운하우스 가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공공기반 시설 마련을 위한 행정적 지원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공공기반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탓에 입지를 정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도 또다른 원인으로 지적된다. 또 학교 등 도시 인프라가 취약한 곳에는 타운하우스 수요가 없는 것도 문제점이다. 오늘날 도심형 타운하우스가 들어서기에 적합한 입지선정을 시작으로 도심형타운하우스 단지 개발계획을 시작하였다. Urban type town house is a complex of 10~100 detached house of 1~2 level. It is a form efficient in protecting privacy, crime and disaster prevention. However, the first reason for poor outcome of townhouse is picked as lacking administrative support for urban infrastructure. As urban infrastructure isn’t arranged properly, location becomes impossible. Its low profitability is pointed out as other reason. The fact that demand for townhouse is absent where infrastructure such as school is weak also matters. Starting from selecting a proper place for urban type house, development of townhouse complex was planned.
2
140
1. Model Picture 2. Concept Sketch 3. Site Plan
3
141
1 2 3 4.1 Residential Complex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Immerse into Flow Jieun Lee Prof. Beomsik Na, Heeryoung Park
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동 성미산 일대에 위치한 사이트로, 대지를 중심으로 우측엔 약 50m 가량의 분절되지 않은 매스가 산의 흐름을 차단, 앞쪽으로는 약 8m의 옹벽으로 인해 아랫대지와의 단절, 이로인해 산으로 흘러 들어오고 나가는 동선 및 대
1. Site Analysis 2. Site Plan 3. Study Model
지 안에서의 동선이 일방향화 되어있다. 이에 대지 전체를 Landscape를 이용하여 이 대지가 가져야 할 본래의 역할을 찾아주 고 집합주거내/성미산으로 향하는 게이트로서의 연결/ 좌측과 앞쪽에 위치한 대지와의 소통을 이어주어 연결고리점이 되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Site is located near Seongmisan of Seongsandong, Seodaemun-gu, Seoul. To the right, 50 meterslong mass blocks the flow of mountain, and 8m wall in the front causes severance. Therefore, movement line going in out of the mountain, and in the site is form into one way. Thus, by using the site's landscape, the site recovers its original duty. I propose a plan for this site to work as a link, inside the residence, to Seongmisan and connector of right and left, back and forth.
2
1
3
4
4. Concept Sketch 5
142
5. Elevation
6-8. Render Image
9
9. Plan
6
7
8
10
10. Unit Plan + Zoning 11. Space Diagram 12. Section
11
12
143
1 2 3 4.1 Residential Complex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Recombination of Desire Jaesang Lee Prof. Yongsoon Chang, Taekbin Kim
1. Perspective
1
한 장소에서 다양한 목적의 행위들이 요구된다. 전원의 삶을 원하는 사람, 최저의 비용과 고효율의 시스템으로 구축된 도 시형삶을 원하는사람, 자신의 생활을 영위하면서 필요에따라서는 외부인에게 자신의 소장품을 공개하고 교류를 원하는 사람, 이처럼 다양한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점점더 복합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따라서 집합주거의 시스 템을 통해 이들의 필요한 공간을 서로 조율함으로써 각자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계획을 하고자하였다. Actions of various purposes is required in one place. One who hopes rural life, one who wants urban life constructed by system of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one who wants to show his collection and have exchange. To meets the needs of this various people, more and more complex development is needed. Thus, I make a plan to achieve individual's need by mediating one another's required space through system of collective housing. 3
2. Concept
2
3-4. Mass Study 5. Section
4
5
144
6
6-7. Scene 8. Site Plan 8
9. Lower Floor Plan
7
9
10
11
10. Unit Plan 11-12. Unit Diagram 13. Render Image
12
13
145
1 2 3 4.1 Residential Complex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V HOUSING Geewon Oh Prof. Yongsoon Chang, Taekbin Kim
1
집합주거의 공동체적 요소를 저층부에 배치하고 대지의 다양한 레벨을 소화하는 공간을 만들어 접근성을 강화하는 동시 의 주거로서의 프라이버시와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할 수 있는 공간을 접목시켰다. 주거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응 하기 위해 적용된 FREE ROOM은 계속해서 변화하는 프로그램에 입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이는 집합주거의 지속가능성 과도 연관이 있다. 입면 상에서도 다양한 주거의 유형이 드러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매스로 통일감을 유지하며 이 는 하나의 트러스 구조를 이루어 저층부의 기둥을 공간활용을 극대화 시킨다. Communal factor of collective housing is places in the lower part, accessibility is reinforced through spaces accepting various levels. At the same time, spaces dealing with privacy as a residence and various lifestyle are grafted. FREE ROOM, space to cope with various lifestyle, can effectively respond to changeable programs and is also related to sustainability of the housing. Various housing type is also shown through the elevation. However, in whole, unification as one mass is kept, forming a truss structure. This maximizes the use of column space in lower part. 2
4
1. Render Image 2. Concept 3. Site Analysis 4. Free Room Diagram 5. Section
3
5
146
6
7 8 6. Unit Composition 7. Free Room Utilization 8. Unit Plan
9
10
9. Section 10. Site Plan 11. Structure Section 12. Elevation 11
12
147
1 2 3 4.1 Residential Complex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Urban Fabric Hanwook Kim Prof. Beomseop Eom, Jonghwan Ahn
1
용산 공원이 다른 곳과 가장 다른 점은 주변 도시구조와의 이질감이다. 특히 그 중에서도 인근 해방촌지역은 1960년대 부 터 이어지는 특별하고 가치있는 도시조직을 가졌음에도 자칫 용산 공원의 개발로 인하여 이가 와해되고 기존 거주민이 흩어질 위험에 처해 있다. 이에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점에 둔 것은 큰 오브제로 읽히는 용산공원과 해방촌의 도시조직을 서로의 이 질감 없이 엮어나가고 나아가 해방촌 전체와 용산공원을 연계시키는 것이다.
1. Render Image 2. Mass Study 3-5. Study Model
The most peculiar thing of Yongsan Park the sense of difference from the city structure. Above all,
6-7. Section
Haebangchon, inspite of the valuable structure it has from 1960's, is in danger of being collapsed. This project aims to weave the structure of Yongsan Park and Haebangchon and making a link between them, relieving the difference.
2
3
4
5
6
148
8. Toll for Trail
8
9. Site Plan 10. Site Analysis
9
10 11
13
12
11-12. Render Image 13. Unit Composition 14. Unit Plan
14
7
149
1 2 3 4.1 Residential Complex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Interweaved House Jaehwee Lim Prof. Sungik Cho, Hyejung Kim
합정전략정비구역은 한강공원, 합정역, 홍익대 및 홍대 앞 문화, 양화진 유적지, 월드컵경기장, 공원화 예정인 당인리발 전소 및 성산중, 중층형 단독 및 연립주택 및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등의 다양한 주거/상업/업무/문화/여가 등의 프로그램이 있는 지역이다. 이중 계획대지는 정비구역 블록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사이트의 4면은 각각 생활 편의시설 및 상업/주상복 합 및 업무/학교 및 커뮤니티 시설/단독 및 연립주택의 주거로서 서로 다른 프로그램이 면한다. 프로그램, 가로, 학교, 주거 및 사례조사의 5가지 키워드를 디자인 도구로써 사용하여 합정역 및 대로의 상업가로의 연 속적 흐름으로부터 기존의 단독/집합주택의 주거를 보호하고 내부의 커뮤니티를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학교와 면한 접지층의 활용이 가능한 저층 주거와 한강으로의 좋은 조망과 남향을 지닌 고층주거를 배치하 고, 이 둘을 상호 직조하는 내부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주거의 연속성 및 커뮤니티성을 강화하고 기존의 정주환경 을 보다 나은 방향으로 제시한다.
Hapjeong redevelopment district is a place where any programs exist, such as Hangang park, Hongdae culture, World Cup stadium, Danganri power plant, multi family housing, high-rise housings. Site is located in the inner part of the district, and 4 sides faces different programs, accommodations, complex apartment, community facilities and residential area. Based on 5 keywords, program, street, school, residence and case study, existing residence is protected, and inner community is vitalized by the continuous flow of Hapjeong station and commercials on the street. To achtieve this, low-rise residence utilizing school facing area and high-rise residence that has a good view is placed and inner community space created by the interweaving of those two buildings strengthens the community and gives better living environment.
1
2
3
4
5
150
6
7
8
9
11
1-4. Model Picture 5. Section 6. Program Diagram 7. Mass Development 8. Unit Diagram 9.Facade 10. Unit Plan 11. Prevention 12. Program
10
12
151
1 2 3 4.1 Residential Complex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Urban Pixel Mixer Jinho Lee Prof. Sungik Cho, Hyejung Kim
1
City people's life cycles are mostly decided by the standardized system. We wake up to go to work, eat lunch at the regular lunch time, go home when the system allow, sleep to prepare for the nex day's cycle. People of the City are loosing their identity and early dream they have dreamed. Housing system are becoming standardized just like the system of the City. Our project is designing a "Social Housing" in the middle of the City. The main idea about process to solve the problems about the allelorphism between city's rigid grid system and human's dream of house.
1. Model Picture 2. Unit Logic 3. Facade Logic
2
3
152
4 4. Study Model
5
5. Unit Plan
153
1 2 3 4.2 Utopia and Distopia; Architecture for the Future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Re-Innovation 2100 Songdo Doyeun Kim, Jeongyoon Seo Prof. Jaeyong Chung, Dongho Lee
1
People of these days dream of utopia as living in comfortable nature. However, true utopia comes when basic life of human is improved, not by physical environment. We reject elusive utopia to nature, and hope utopia based on city environment. Through studies materials of quality of human life and happiness, factor of happiness is drawn out. Direction for utopia architecture that we should pursuit is settled by defining the factors to three key words. 2
154
3. Site Analysis 4. Scenario
3
5. Masterplan Concept 6. Public Program Zonning 7. Axonometric Diagram 8. Section + Apartment Renovation
4
5
1. 3D Modeling 2. Definition of Utopia 6
7 8
155
1 2 3 4.2 Utopia and Distopia; Architecture for the Future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Ecosphere Jeonghui Kim Prof. Jaeyong Chung, Dongho Lee
1
새로이 건설하게 될 유토피아의 컨셉은 외부의 자연과 인간의 내적 자연인 본능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여러 유토피아적 이 상과 세계관으로부터 공통적으로 얻은 요소는 크게 3가지로 보인다. 첫번째로, 에덴 동산의 인간과 같이 자연적 한계로부터 자유로운, 자연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인간의 모습, 두번째로 생존에 유리하게끔 높은 기술력을 갖 췄으나 윤리적, 도덕적으로 절제가 가능한 성숙한 인간의 모습, 세번째로 자신 의 존재 근거인 외적 자연과 공생하기 위해 자연에 최소한의 영향만 미치는 에 2
코토피아의 모습이었다. 이 컨셉 다이어그램 형태는 인간이 이기적으로 자신 만을 위한 영역을 점유하는 것이 아닌, 주변과 공생하면서도 자신의 생존을 안 전하게 확보하는 자연 내에서의 인간의 위치를 보여준다. 반대로, 디스토피아 적 다이어그램은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오른쪽은 이 시스템이 이상적으로 이 뤄지기 위한 유토피아의 생활상과, 그 구조를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 작업이 다.
3
Concept of newly constructed utopia is equilibrium of external nature and instinct, an inner nature of human. Commonly found factors in many utopian ideal and world view is roughly arranged into 3 points. First, power to control nature like human in the garden of Ethan, and secondly, maturity to morally self-control though possession of high technology, and lastly, form of ecotopia,
4
minimizing the influence on nature to coexist with the nature. Concept diagram shows the position of human in nature, coexisting while securing his own survival. On the other hand, diagram of distopia is expressed as below. On the right is a life for this system to run properly, and algorithm work to draw out that structure.
156
1. 3D Rendering 2-3. Concept Diagram 4. Underground Cave Network
5
6
7
5. Concept Diagram 6. Connection Diagram 7. Section Plan + Dome Structure ETFE를 활용한 MAMBRANE 구조는 세포막 처럼 그 기능이 더해짐에 따라 외부의 화학, 공 해물질을 차단할 수 있게 하고 산성화 된 빗물 과 접촉되어 중성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157
1 2 3 4.2 Nagasaki Condo & Marina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Be-in Shinjong Kim Prof. Hyunjoon Yoo, Steven Chang Starting from surface, not mass not volume, Nagasaki project starts by defining surface. Originally, surface is used to divide spaces as wall, fence, roof. In designing a new surface to overcome the limit as a decorative factor, I focused on the space hidden by the surface. I thought real surface is not what is in front of me, but what is behind the surface. Starting from that premise, project was progressed by designing a surface, and adapting by making the holding device with real materials. By founding out how it is adapted when it is shown through space, they compose character of the building and become concept of the project.
CONCEPT STEP 1 Real Surface 100% =
Surface is designed on the premise that covered scene is the real surface. To bring in the real surface, folding method is used to make whole surface open. It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pening that volume is one hundred percent open. STEP 2 Space Inside Semi
Outside
Shut wall is easily opened by people. 2 dimensional surface becomes 3 dimensional space of same
1
volume, connecting scene on the back side. It becomes spa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
SURFACE People can easily open of deform surface. When it is pulled below, it becomes poly or passage way. When pulled upward, it is used as eaves or roof. Installing device to hold the surface, when it is hidden on the wall, surface is opened and deformed by making the surrounding into glass. Wall inside the concrete wall is deformed to opening or space on people's need.
158
1. Concept Image 2. Model Picture
PROCESS STEP 1 Mechanism
Various folding method is used on composing space. Various form of jammed space is crea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folding line, and each space is separated in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STEP 2 Space Division
Outside
Inside
STEP 3 Scale
Space created by surface is expandedly adapted to window, room, shelf and passage way according to their scale.
2
159
1 2 3 4.2 Nagasaki Condo & Marina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PHOTIC LAYER Jihoon Hyun Prof. Hyunjoon Yoo, Steven Jang
160
161
1 2 3 4.2 Skin Studio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RE.SKIN.ING Moonyoung Lee, Geewon Oh Prof. Sungik Cho, Ho Lee
건축물의 입면은 얇고 규칙적일수록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따라서 획일적인 입면계획이 자주 등장하게 된다. 따라서 얇고 모듈이 반복되는 입면에서도 깊이감 또는 착시 효과 등을 실현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보는데 의의가 있다. 기존 하야트 호텔의 경우는 남쪽과 북쪽의 파사드가 면하는 상황이 전혀 다름에도 불구하고 두개의 면이 모두 같은 구성 방식의 커튼월 시스템으로 되어있다. 우리는 이러한 점에 의문을 갖고 남쪽 파사드와 PATTERNIZING방식은 같으나 새로운 시나리오와 프로그램, 적용 방식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상황에 다양한 공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남산 뷰를 가진 하얏트 북측 입면은 남측과는 다른 방식의 구성을 필요로 한다. 남측입면은 빛이 많이 들어오며 한강과 도 시의 좋은 뷰를 가진 반면, 북측은 빛이 적게 들어오고 상대적으로 남측면에 비해 좋지 않은 뷰를 가져 방의 가격도 남측보다 저렴한 것이 현실이다 남측과 패턴의 맥락을 일치시키면서 산에면한 북측면만의 장점을 살리기 위한 제안이 필요하다. As skin of the building gets thin and regular, it becomes economically favorable. Thus, we can frequently see uniform elevation plan. This project has a meaning in founding a way to realize depth and illusion in thin, module pattern elevation. Hyatt hotel has curtain wall system of same composing in both sides, even though each facade faces totally different situation. Posing question in this point, we designed a facade that could cope with different situation through different space by using new scenario, program, adapting method, while having the same patternizing method as south facade. North elevation facing Namsan requires composition of different method. While south elevation has good condition in lighting and view, north side has relatively bad lighting and view condition. In fact, room facing north side is relatively cheaper. Suggestion to achieve feature of northern facade, while being in same context with south facade's pattern is required.
162
163
1 2 3 4.2 Skin Studio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Nine Flat Louvers Yousub Song, Juhee Kim Prof. Sungik Cho, Ho Lee To borrow the expression of writer, Lee Oisoo, elevation of present 'officetel' (residence for one person) resembles ' human keeping concrete cabinet'. Desire to create highest value through dense residence on limited area with low cost has caused minimizing of space, and disappearance of facade design. Consequently, it is springing up everywhere in same form with no identity. This also harms urban landscape. In the situation of city becoming more and more dense, individual identity is required, getting away from simple form of stacked residence.
2 1
Until now, typical window were used for viewing and lighting. However, narrower in pith of building has made people use curtain to prevent sights from facing building, thus making window invaluable. Resident have to choose between privacy and lighting. Consequently, detachment of viewing and lighting in window have become inevitable.
3
164
4
5
6
7
1. 3D Rendering 2. Changing Function of Window 3. Exploded Axonometric 4. Interior View 5. Variety Ways of Opening Window 6. Effecient Space Using 7. Making Curved Rail 8. Model Pictures
8
165
1 2 3 4.2 Skin Studio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Organic Skin Deockhyeon Ko, Jaisang Lee Prof. Sungik Cho, Ho Lee
1
우리는 콘크리트 덩어리보다 흔들리는 나뭇잎 밑에서 휴식을 취하고,기계들의 굉음이 요란한 공장보다 파도치는 바닷가 를 좋아한다. 본능적으로 자연의 요소에서 시각적인 편안함과 친근함을 느끼는 것이다. 인간이 인공적인 조형물을 만들어내기 시작한 이래로 더 높이 올라가고, 자연의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 주위에 공간들은 딱딱하고 경직된 인공물 들로 채워져왔 고, 우리의 감성까지도 무디게하고 있는지 모른다. 이제는 자연이 단순히 극복의 대상아니라 이용하며 공존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환경과 반응하여 숨쉬고, 에 너지를 생산하는 기능을 포함하려는 시도로 등장한 입면 시스템은 대표적으로 Double-Skin Facade가 있다. 그러나 이 또한 그 형상 자체에서는 기성의 모습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우리는 이런 기능과 더불어 자연을 모티브로하는 오퍼레이션을 통 해 건물뿐만 아니라 우리의 감성에서도 다시 생명력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1. Rendering Image 2
166
3
2. Skin Design 3. Exploded Axonometric
4. Immediate Space 5. Connection Detail 6. Variation of Rotation 7. Section Diagram 8. Detail Section
4
6
5
7
We would rather rest under wavering leaves than concrete mass. We prefer waving sea than noisy factories. We instantly feel intimate with nature factors. Since, human started creating shapes, it began to get higher, and space is filled with artifical works to overcome nature. This might have made our emotions blunt. Nowadays, efforts to coexist with nature is being made. Double-skin facade represents a facade system made in an effort to cope with environment, and produce energy. However, this system resembles the original facade in its form itself. We suggest system that has similar function along with operation with nature motif.
8
167
1 2 3 4.2 Dynamic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Pulsatory Envelope Jeongro Choi Prof. Kyuman Song, Ken Min
Architecture of new age is not any more an icy, functional architecture, rather a flexible, changing architecture. Its form will change depending on resident's will, partially or generally. Based on fluid civilization, architecture, at least for the first time, well become a experiment method, modifying life with thousands of methods. It is a future Gilles Ivain predicted 50 years ago. As he predicted, things are accelerated and fragmented, work and leisure mixed, various programs are being required in flexible ways. In modern architecture, Dynamic, Flexible, Interative have been a topic for a long time. However, until now, only efforts to express variability in stopped passive design has been made. Factors to create activeness had come close to architects in a way of mixing various tool programs. 1
1. STABLE In stable situation, fixed image is perceived as one dot. Each dots are waiting for movement on the next frame.
2. ACTIVE As movement occurs, displacement of each dots is recorded. For this, moving path of pointer is traced, or notice change in color condition.
3. CALCULATED When movements are perceived, it is recorded and the record chould be used as a design factor. Through center point of displacement, tracing mover's place gets possible, or directly respond on individual points.
2
3
1. Rendering Image 2. Tensegrity Deformability 3. Triangle Tension Network 4. Section Plan
4
168
SCRIPT1. CAM TO CIRCLE 인식한 변위의 크기를 원의 지름으로 가시화 한다. 상업 시설의 MEDIA WALL등에서 사용가능하다. SCRIPT2. CAM TO SURFACE 측정한 변위의 값을 서페이스로 전환한다. 관찰대상의 움직임에 물결치듯 반응한다.
SCRIPT3. RESPONSIVE FACADE 사각형의 무게중심점에서 만나는 4면의 패널을 작동가 능한 유닛으로 만들어 환경에 반응하는 파사드를 실험하였 다. 간단한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파사드들의 나열을 통해 다양한 입면패턴이 나타남과 동시에 이 패턴은 기능에 충실 하다.
SCRIPT4. BIOMIMETIC FACADE 기공의 형상과 텐세그리티 구조를 접목시켜 추가되는 동력 없이 환경에 반응하는 파사드이다. 중립상태에서는 항 상 바깥쪽으로 인장을 받아 열려있는 상태이며 태양빛으로 동력을 얻었을 때 작동되어 닫히게 된다. 이 역시 생체모방 을 통해 형태와 기능을 일치시킨 디자인이다. 5 5. Interacting Method 6. Axonometric System 6
169
1 2 3 4.2 Dynamic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Atypical Void Jonghan Park Prof. Kyuman Song, Ken Min
1
최근 디지털 건축 분야에서 컴퓨터의 응용은 건축 형상의 시각화를 위한 재현도구로써의 역할보다는 건축가가 의도하 거나 혹은 의도하지 않은 새로운 형태를 창조하고 변형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창출하는 생성의 도구로써 활용되 고 있다. 특히 Frank Ghery, Zaha Hadid, Norman Foaster와 같은 건축가들은 이러한 디지털 형태형성기법을 건축적인 규모 로 적용시킨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디지털 건축의 패러다임 안에서 한국적인 Identity가 있는 새로운 형태&공간의 형성 (Forming)과 이에 적용 가능한 한국적 재료의 물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2
3
Three exhibition space revolved variable program space and can make complex mixed program as a sucessicive flow.
Contemporary atypical shaped buildings such as those of Frank Ghery or Zaha Hadid are perceived as a 'Huge Object'. The internal space of the non-uniform mass, however, is seperated perpendicularly, resulting in a series of vertically arrayed linear slabs. The project focuses on a spaced perceived, rather than shown a s external shape, as atypical space.
170
1. 3D Modeling 2. Ideal Concept Image 3. Make Linear Exhibition Course from Sucessicive Ramp
4. Vertical Parametric Shape & Media Wall 4.1. Interactive Media Wall 4.2. Surrounding Internal Space 5. Horizontal Parametric Shape & Media Wall 5.1. Successive Ramp 5.2. Circulated by Programs 5.3. Combining Two Organic Flow 5.4. Space Complexity & Variation
4
5
6
7
171
1 2 3 4.2 Dynamic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Definite Form in the Atypical Joonyoung Yi Prof. Kyuman Song, Ken Min
1
Flagship Store는 Brand 각각의 Brand Identity를 표현하고 보여주는 공간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건축적으로 가장 자유
1. 3D Modeling
롭고 적극적일 수 있는 공간이지만, 실제로는 장식적인 측면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이러한 점을 보다 건축적으로 해결해 보
2. Voronoi Diagram
고자 하였다. 건축적으로 Brand Identity가 표현이 되고, 건물의 외부, 내부에서 모두 그 Brand를 느낄 수 있는 Flagship Store
4. Space Organization
3. Develop Process 5. Program Zoning & Space Guide
를 제안하고자 한다. Flagship store both expresses and shows brand identity. Therefore, it is a place where it could be most free and active architecturally, but in fact, it only lasts in decorating factors. I suggest flagship store where brand identity architecturally becomes an expression, and place people could feel the 2
brand both inside and out.
3
4
172
5
6
7
6. Concept Image 7. Model Picture 8. Appearance of Night 9. Color Layer
8
10. GL +1,500 Plan 11. GL +9,500 Plan 12. Axonometric
9
12
10
11
173
1 2 3 4.2 Architectural Experiments for Unusual Site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Inter Urban-structure Change Community Jaehwee Lim Prof. Younggeun Hahn, Sunghan Kim
Seoul is a city of inter-change. Interchange created through many roads and bridges forms megastructure in city's context. Above those, Seongsan bridge nothern interchange forms one structure composed of Seongsanro, Gangbyeon Expressway and Naebu Expressway. This place has various programs and open space such as World Cup Park, camping, Hangang Park, playground, residences, thus imposing a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inhabitants and visitors. However, interchange as a massive structure hinders the communication. Approach to Seongsan bridge northern interchange is made based on socila issue such as park open to people, reserving/reusing paradigm of Cheongyechon, Seonyudo recovery, potential as a green ara of traffic island and Hangang, changing Gangbyeon Expressway to underground. In city's context, urbanstructure that forms possibility for communication with various program and open space and could change existing community is suggested.
1
1. Site Condition 2. Defining Site 3. 3D Modeling
2
3
174
4
5
6
7
8
4. Car Circulation Logic 5. Design Process 6. Concept Design 7. Program 8. Mass Process 9. Section Diagram
9
175
1 2 3 4.2 Designing for the Inventive Economy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Apple Platform Jinhan Park Prof. Beomsik Na, Heeryoung Park
페이스북, 위키피디아와 같은 web2.0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사회가 변화하고 있다. 그에따라 기존의 기업들의 역할 또한 변하게 되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런 기업의 변화를 예측하고 그에 맞는 새로운 오피스의 형태를 제안하는 프로젝트 이었다. web2.0시대가 오면서 회의가 아닌 대화에서 기업의 아이디어가 생겨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수직적인 형태의 오피스 건물들 이 수평적으로 바뀌게 되었다. 오피스 내부 또한 회사원들이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복지 시설이 잘 되어 있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페이스북이나 구글의 본사를 찾아 볼 수가 있었다. 내가 선정한 브랜드는 외국의 선진 기업 중 하나인 애플이었다. 아이폰과 맥북의 미래는 iLife가 될 것이다. 폰과 컴퓨터 뿐 만아니라 집과 자동차도 연결, 관리되는 세상이 올것이고 그것을 iLife라고 이름 붙였다. 제가 Apple에 제안하고자 하는 새로운 오피스는 iLife를 가능케 하는 오피스이다. 하나의 플랫폼을 제공하고 그 곳에 필요 한 공간들을 플러그인 시킬 수 있다.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애플 플랫폼에서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애플의 제품들을 직접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해보게 함으로써 제품 홍보효과를 줄 수 있고 직접 사용하는 것을 보면서 애플 또한 보안, 수정할 부 분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격자형의 그리드 플랫폼 안에 건물의 모든 설비시설이 포함되어 새로운 프로그램에 필요한 공간 을 설치하는데 효과적이다. 사회의 변화에 대응 할 수 있는 공간이나 프로그램이 정해져 있지 않은 유동적인 오피스. 이것이 제 가 애플에게 제안하고자 하는 미래의 애플의 오피스 애플 플랫폼이다. Society is changing with the appearance of web2.0 like facebook and wikipedia. It also affected roles of companies. This project is to suggest new form of office, predicting the company's change. Idea of company pops up in conversation, and this fact has changed office to have horizontal form, rather than vertical form. Welfare facilities are well created for workers to utilize. Representing samples are headquater of Facebook or Google. I chose Apple, advanced corporation of foreign country. Future of iphone and Mac will be iLife. Time when not just phone and computer, but also houses and cars are connected and controlled will come, and I named it iLife. I suggest office that enables iLife. One platform is given, and needed space could be plugged in to that space. Consumers can use Apple products in needed space in Apple platform. Thus, it gains advertisement effect, and can easily found things to modify or enhance. Every facilities are included in grid pattern which is effective when installing new programs. Flexible office coping to changement of society. Apple platform is what I suggest to Apple.
176
177
1 2 3 4.2 Urban Livingroom Project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Urban Library Yuul Kim Prof. Sanggil Kim, Jonghwan Ahn
1
커뮤니티의 교류를 활성시키는 공간인 Public Space는 도심 속 곳곳에 분포해 개인의 공간이 아닌 공용의 공간으로서 존 재한다면 공동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개인의 요구를 펼칠 수 있는 공간으로써 Living Room이 존재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도심 속의 Public Space는 다양한 크기로 분포되어 있고 그 공간을 활용하는 사람들은 그 공간이 허용 가능한 프로그램 한에서 이용 되고 있다. 그에 반해 주거 내 Living Room은 본인이 원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으로서 만들어진다. Urban Living Room이라는 도심속의 거실은 단순히 다양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간이 아닌, 더 나아가 개인의 Needs에 따라 필요한 공간을 만들 수 있게 그 조건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최소한의 공간의 정의만 존재하고 그 공간의 가능성은 계속 만들어져 가는 공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If public space vitalizing community interchange exists in distributed form in cities, living room might exist to satisfy personal desire, apart from restriction of common use. Public space in city is distributed in various size, and is used by acceptable programs. On the other hand, living room is a free space that could be used depending on user's will. Urban living room isn't simply a space utilized by various people, but further, should offer conditions to create various spaces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Minimum definition of space should exist and the rest should be the possibility to create a new space. 1. Urban Living Room 2. 3D Rendering 3. Elevation 4. Section
2 3
178
4
5
6
7
8
9 11
10 12
사 실
10 +10
무
0
5. Space Composition
3층 평면도
6. Mass Development
scale 1/200
0
2500 5000
10000
0
2500 5000
10000
7. Program Diagram 8. Bookshelf Arrangement
13
9. Personal Reading Space
북 라운지 +6100
10. Picture Frame Windows 11. Space Division 강
12. 3rd Floor Plan
의 실
일반 열람실
13. 2nd Floor Plan 14. 1st Floor Plan 15. Basement Floor Plan
2층 평면도 scale 1/200
14
SUNKEN
코너 테마 0000 -2
인터넷 라운지
SUNKEN
메인 홀
일반 열람실
북 카페
-1000 SUN
KEN
1층 평면도 scale 1/200
0
2500 5000
10000
15 교실A
-200
교실B
서고
0
-4000
어린이 열람실 -4000
도서 하역장
지하1층 평면도 scale 1/200
0
2500 5000
10000
179
1 2 3 4.2 Urban Livingroom Project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Stroller in Urban Ally Hanwook Kim Prof. Sanggil Kim, Jonghwan Ahn
황학동은 단순히 시장이 아니라 취락에서 발달하여 아직도 다수의 주거지가 형성되어있다. 그러나 개발 과정에서 이러한 기존 도시조직과 거주민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기존과 상반된 거대한 스케일의 주상복합지구가 들어섬에 따라 기존 거주민과의 갈등과 소외가 심회되고 있다. 이에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점에 둔 것은 '도시의 거실'로서 도서관이 다양한 주체들과 기존의 지역민을 매개하는 것이었다. Hwang-hak-dong isn't simply a market. It was developed from residence and still many residences are formed. However, in process of development, consideration for present city organization and inhabitants were ignored. and multi purpose complex of massive scale were built in, deepening confliction and alienation of original inhabitants. Aim of this project is to connect various subjects and inhabitants through library as an urban ally.
황학동은 가로마다 각기 다른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으 며, 대상 부지는 큰 공간적 스케일을 가지고 있는 고층 주상 복합과 세밀한 휴먼 스케일을 갖고 있는 시장의 사이에 위치 한다. 이러한 스케일의 차이는 개발로 인한 것으로 이는 도 시의 거실로서 도서관이 중재적 역할을 해야함을 보여준다.
황학동 시장이 다른 지역과 가장 구분되는 점은 주거와 일터 그리고 여가공간의 근접성이었다. 이러한 특징은 시장 내 특별한 영역성을 가진 커뮤니티공간이 없음에도 불구하 고 같은 길을 공유하는 주거 블럭내의 지역적 커뮤니티를 다 양하게 형성하고 있다.
황학동의 도시적 거실의 역할을 맡아내는 곳의 특징은 길의 변주에 의한 공간형성이었다. 지적도의 길에서는 일관 된 너비와 폭의 길일지라도 황학동의 노점과 상점의 밀도에 의해 길은 다른 너비와 폭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공간들 은 레벨의 차이나 길들간의 결절점 등으로 더욱 강화되며, 황학동의 거실은 영역성을 지닌 공간이 아니라 길로서 얽히 는 공간이었다.
180
181
1 2 3 4.0 Studies
Architectural Design
year
year
year
year
Landscape Architecture 건축 조경 Prof. Byungeun Lee 사람과 더불어 생명을 가진 건축물로서 '시간'이라는 측면과 프로그램 구현을 위한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건축물을 넘어 선 다양한 시공간 전략 설계를 도모한다. 삶의 방식과 도시의 질서를 새롭게 조직하는 방법을 실험하고 환경, 교통, 주거/상업/업무, 노동/여가, 개인/공동체, 생산/소 비 등 다양한 관점에서 우리의 공간을 바라보고 비판하며 구체적인 시스템과 매커니즘을 알아본다. 상업적 생태주의를 지양하 고 기술적인 측면보다는 Openspace와 건축물을 통해서 자연과 소통할 수 있는 전략적인 프로세스를 알아본다. 다양한 장르의 자연관을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과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보고, 또 그로 인해 재정립된 자연과 인간의 관계 를 통해서 사회와 도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당연하게 생각해오던 가치와 프로그램에 대한 의심을 통해서 조경을 학습한다.
1, 2, 4. Jeongyoon Seo Geewon Oh Joonyoung Yi 3. Sinmin Wang Kyusang Lyu Sooyean Lee
1
2
3
4
182
We aim tactic design of space time as an architecture retaining life, in an aspect of 'time', and 'strategy' to realize programs. We experiment new organizing method of way of life and city's order, and criticize by looking at our space with various perspective, as environment, traffic, residence/commercial/work, labor/leisure, individual/community, producing/consuming, and find out specific system and mechanism. Rejecting commercial ecology, we look for tactic process to communicate with nature through open space and buildings, rather than technological aspect. Each student plan design and program to realize various view of nature, and through reestablished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students study landscape by questioning programs and values we accepted with no doubt based on critical view of society and city.
183
184
185
186
INTRODUCTION OF GRADUATE YEAR
g
raduate
실내 4학년과 건축 5학년 설계는 각각 4년제 실내건축학전공과 5년제 건축학전공 교과과정의 최종 단계로써, 설계의 모 든 단계에 걸쳐 필요한 요소들을 포괄하여 종합적으로 설계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특히 건축학전공 5학 년 설계는 1년 과정으로써 기획/계획/기본 설계의 1단계(1학기)와 실시설계/졸업논문의 2단계(2학기)로 진행된다.
1단계(1학기) 과정은 9월 초순 졸업전시회에 맞춰 자신이 선택한 주제를 자율적으로 발전시켜, 5학년 수준에 맞는 종합적 인 설계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도면과 모형 등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완성도 높은 작품을 제안해야 한다. 1단계 평가는 최 종결과물/중간과정/포트폴리오로 구성된다. 또한 스스로 실내 디자인의 주제를 정하고 발전시키며 최종 결과물을 전시한다. 공간의 프로그램, 대지의 조건, 사회적 이슈, 새로운 공간의 발견 등 소주제 속에서 본인이 3년간 발견한 관심사를 한 학기 동 안 프로젝트로 수행하게 된다.
2단계(2학기) 과정은 실시설계 단계로써 계획/구조/설비 교수 및 다양한 건축분야 전문가들과의 크리틱/자문/협업을 통해 1단계 과정의 건축 계획을 더욱 심화하여, 구조/설비/기술 등 다양한 건축적 요소를 전체적인 주제와 개념에 맞춰 종합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특히 12월 초 졸업심사에 맞춰 적절한 수준의 도면과 논문, 포트폴리오가 준비되어야 한다.
187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Revitalizing thru Adjoining the Heterogeneties Soyoung Kim Prof. Hahn Joh, Kyungran Kim, Junghyun Park
1960~70년대 민간에 의해 지어진 중소규모 집합주거는 오늘날의 정형화된 모습의 아파트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있 다. 하지만 대부분의 건물들은 오늘날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철거 대상으로만 인식되고 있다. 기존의 건물의 모습을 말 끔히 지워버리고, 주변의 도시 구조를 고려하지 않는 재개발의 방법으로 많은 산업화 시대의 건물들이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 다. 서울은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므로 다양한 시대들이 충돌하는 모습이 서울의 가장 대표적인 단편이지만, 이런 가치를 인 정하지 않고, 이전의 것들은 낡고, 지워버리고 싶은 것으로 여기고 새로운 재료와 건축 방법으로 그 자리를 채워나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대규모 필지의 획일적인 재개발 방식은 도시가 갖고 있는 시간의 연속성을 지켜내지 못한다. 현재 이 런 재개발 방식을 비판하고, 특히 산업화 시대의 주거공간이 갖는 가치를 조명해보며 이것이 도시에서 시간의 연속성을 가지 고 재사용되며 도시 조직의 다양성으로 존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Medium sized apartment built by private company in 1960’s through 1979’s is to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today. However, those old buildings are being perceived to be demolished for reasons of harming the city’s scenery. Many architectures of modern industry are disappearing at the brutality of redevelopment method. With rapid changement, collision of various generation is representative aspect of Seoul. Apart from this particular aspect, previous things are considered to be worn out and new materials and architectural method come up to replace the old one. Therefore, uniform redevelopment method of largesized site ceases the continuity of time. Opposing to this method, I resurfaced the value residence of industrialization period had, and seek ways to be used keeping the continuity of time and remain as one form of diverse city organization.
1. Site Context 2. Site Section 3. Model Picture
1
188
2
3
189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4. Site Model 5. View from the back of the site 6. View walking along the site
4
5
6
190
REVITALIZING THRU ADJOINING THE HETEROGENETIES | Soyoung Kim
7
7. Site Analysis
현재 이 아파트는 성당을 뒤로 두고 벽 같이 서 있는 경계를 조금은 허물어주고, 성당과 도시가 면하고 있는 관계를 다시
8. Site Condition
유연하게 설정해 줄 필요성이 있다. 이 선형 아파트가 갖고 있는 가치인 자연스럽게 고유의 필지를 유지하며 기존 도시구조를 해치지 않고 서있는 도시 조직이라는 점 등을 인정하고, 지형 순응적인 건물의 구조와 형태를 상당부분 유지하여 나가기로 한 다. 또, 이 지역의 삶을 유지시켜주며, 길을 따라 연속성을 갖고 이 지역을 연결시켜주었다는 점에서 지난 40년간 쌓인 이 대 지의 소중한 시간과 삶의 기억을 유지 시킨다. 그 방법으로는 특히 입면의 질감을 살리는 방법, 또 많은 사람들의 사용 흔적이 남겨진 계단을 그대로 두는 방법이 있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자본의 논리에도 꿋꿋이 이 삼각형 블록에서 갖고 있었던 예전과 같은 길의 기능과 성격 유지시켜주되, 설립 이후에 많은 변화가 있는 주변의 상황들로부터 역사적 유물처럼 고립되어 존재하 는 것이 아니라, 주변 지역 여러 다른 성격의 이용자들로 인해서 더욱 활력을 갖게 되며, 따라서 지역 전체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길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 아파트가 주변 도시 맥락과 갖는 경계를 유동적으로 열어서 지역의 새로운 공공 공간 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이런 다양한 시간과, 다른 삶의 방식을 살고 있는 사람들의 파편이 어떤 건 각각의 독 립성을 갖고 존재하고 있기도 하고, 또 그것들이 연결되고 합쳐지는 공간이 생겨나 시너지효과를 내기도 하고, 서로 다른 도시 의 파편들이 이 길과 건물에선 긍정적으로 경험될 수 있는 계획안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렘 쿨하스의 생각처럼 어떤 공간은 불 확정적으로 비워진 상태로 각기 다른 사용자들이 그들의 목적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기도 하고, 츄미의 이벤트처럼 동선 상에 서 그때그때 이용하는 사람들에 따라서 다르게 경험되는 움직임들은 다른 이벤트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렇게 길이 활력을 갖 도록 구상한다. 8
191
1 2 3 4 g year
9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Currently, this apartment has the need to loosen the border facing the catholic church. making 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city flexible. This linear apartment stands on its unique land, unharming the city’s organization. Respecting this fact, I made it a rule to maintain considerable amount of its structure and form. History of the sites precious time and life of past 40 years is kept since this site maintained the life of this area, connecting this area through continuity of roads. The way would be by making use of elevation’s texture, or by leaving stairs that has the traces of peoples use. In functional aspect, though maintaining the original use of the road, I anticipated it to be more positive, vitalized by its use, different from how it used to be isolated in the past. Therefore, this apartment will play a role as a public space by flexibly opening the border facing the surrounding areas. Fragments of peoples various time and way of life sometimes stand independently, sometimes get together or sometimes meet fragments of elsewhere and experienced positively. Like the idea of Rem Koolhaas, some places are leaved vacant to be used by any other users in their own need. Like the event of Tschumi, differently experienced movement according to users occurs different events.
9. Schematic Design Process 10. Elevation Sketch
10
192
REVITALIZING THRU ADJOINING THE HETEROGENETIES | Soyoung Kim
11
12
13 14
11. 2F Plan 12. Breaking the Wall_Re-defining the relationship 13. Activities & Program Combination 14. Elevation Design 15. Elevation 15
193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Cheolsan Culture & Education Center Kwangbon Ku Prof. Uk Kim, Hee Moon, Junghyun Park
1
재개발에 따른 기존의 도시조직의 파괴는 아이들이 놀
Destruction of existing urban structure
고 공부하고 자라날 장소의 파괴와 직결된다. 그렇기에 본
caused by redevelopment is directly connected
계획안에서는 도시 활성화적인 측면과 주 사용자가 될 아이
to destruction of place for kids to play around.
들의 관점에서 기존의 도시조직을 보호하고 기억을 담을 수
Therefore, in this study, I looked for methods to
있는 방안을 살펴볼 것이다. 어린이 시설의 문제를 광명시의
protect existing structure and to store memories
특수한 상황에 맞추어 도서관 기능 중심의 문화 복합 시설을
to it at the viewpoint of children who are the main
계획해 보았고 이를 통해 장소가 가지고 있는 가능성을 최대
factors in the aspect of city vitalization. First task
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볼 것이다.
is to plan a cultural complex whose main program is library. The site is Gwang-myung and the plan is progressed set on the site’s particular situation so to maximize the possibility of the site.
194
1. Rendering Image
2. Site plan 3. Program 4. Diagram 5. Diagram
2
3
4
5
195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6. Model Picture 7. Mass Study 8. Plan 9. Elevation 10,11. Section
6
PROCESS
PROCESS
Step 1. 전체적인 이용객을 아이, 어른, 그리고 노인의
Step 1. I divided the users to three groups
세그룹으로 나누어 주중과 주말에 따른 행동패턴, 오전과 오
(children, adults and the elderly) and sur vey
후중의 행동패턴, 그리고 목적동선과 비목적동선의 분포를
action patterns of week, weekends and morning,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통해 Site에 각각의 그룹에 맞는 노드를
afternoon and distribution of aimed movement,
정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노드의 위치는 기
non-aimed movement. With the results, I placed
존의 조밀한 주거지역에서 유추해낸 그리드의 연장선을 Site
nodes of each group. This nodes are placed on grid
까지 이어 계획대지 위에 만든 새로운 그리드 위에 위치시킨
created form the extension of lines extracted from
다.
dense residence area. Step 2. Site경계선과 그리드가 만나는 점에 만들어진
Step 2. Nodes created where border of
노드는 아이, 어른, 노인의 세가지 그룹으로 나뉘어 지며 Site
the site and grid meets is grouped iton three,
에 그려진 그리드가 기존에 있는 골목길의 연장이라고 가정
and continued my study by drawing expected
한 후 예상되는 동선을 그려가며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movement line in the assumption that grid on the
Step 3. 세가지 그룹에 의해 가상으로 생성된 노드와 동
site is the extension of the street.
선이 만나는 지점에서는 각각의 그룹이 모였을 때 같이 행
Step 3. Programs occur that can be done
위 되어질 수 있거나 같은 공간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프로
together where two different nodes intersect.
그램들이 인위적인 방법이 아닌 길을 따라 걷다 우연히 또는
These programs does not happen in an artificial
자연스럽게 마주쳐서 행위가 일어나는 방식으로 수행될 가
way, but in accidental or natural while walking
능성을 가진다.
through the street.
10
196
CHEOLSAN CULTURE & EDUCATION CENTER | Kwangbon Ku
7
8
9
11
197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MASS STUDY 노드와 동선을 이어 만드는 과정에서의 서로간의 접점들을 공간화하여 매스화하였다. 단순한 프로그램의 적층이 아닌 프로그램이 길과 같이 연결되어 길을 따라 가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로의 분기 점이 발생하고 선택적으로 원하는 공간으로 찾아 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아이, 어른, 노인의 동선이 가장 많이 겹치는 곳에 가족단위로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배치하고 주로 아이들의 동선이 많이 발생하는 곳에는 교육시설을 배치하 였다. 중앙부에서는 동선이 한곳에 치중하지 않고 겹치게 되는데 이곳은 중심지 역할을 하는 보이드 공간이 되어 이용자들을 품었다 시설 곳곳의 프로그램으로 이동시키는 전이 공간의 역할을 하게 된다.
12
12. Trafficline 13. Mass Study
MASS STUDY Contact points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nodes and movement lines are defined as space, and masses are created. Not just stacking layers, but by connecting programs with roads, I made it possible for people to selectively go for the space they want. Place where movement lines of three groups overlaps the most has cultural programs family units can enjoy. Education programs are placed where children's movement mostly occurs. As movement lines aren't focused to the center, central part becomes a void space, playing a role as a transitional space for people around the programs.
13
198
CHEOLSAN CULTURE & EDUCATION CENTER | Kwangbon Ku
14
14,15. Rendering Image
15
199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시간의 축적; 담과 벽, 그 사이 Jaewon Kang Prof.Youngsoo Lee, Il Cho, Heekyu Kim
1
서울에서 현대화의 성장과 더불어 사회적/문화적/경제적으로 급격하게 변화해 온 과정을 현재에 와서도 단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곳으로는 역사고적의 경계부를 들 수 있다. 주로 우리가 ‘담 길’이라 부르는 이러한 구역들은 대부분 고적의 성격이나 정치/경제적 중요성으로 인해 가장 먼저 발달이 시작되어 다양한 프로그램의 변화를 겪기 시작한 곳이다. 그러나 개발의 압력 이 거센 것에 반해 보존의 논리로 개발은 점차 침체되고, 따라서 담 길은 순차적인 발전 과정의 각 단계의 흔적을 고스란히 가 진 채로 서서히 낙후되는 실정이다. 본 계획에서는 근대 서울의 도시구조가 변화하는 방향이 주로 자본적 요인을 따라 흐르고 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그 것에서 발생하는 ‘건축공간의 Mall화’와 보다 거시적인 배경을 짚음과 동시에 ‘담 길’이라는 도 시와 역사고적의 경계에서의 새로운 ‘장소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한 지역의 공간구조는 오랜 기간에 걸쳐 역사적/문화적/경제 적/정치적 요인들이 축적되면서 형성되는데, 특히 담 길의 경우에는 대다수의 지역이 극단적으로 철저히 보존된 것과 아닌 것 사이의 충돌을 단적으로 볼 수 있는 도시 구조를 지니고 있다.
2
200
1. Model Picture 2. ‘Seosula-gil' Collage
3. 서울 내 역사고적 4. Perspective
3
4
Borders of historical remains in Seoul directly shows rapid growth in social, cultural, economical matters. What we call 'dam-gil' is usually a place with a history of ceaseless changes in programs because of the historical remains' political, economical importance. Though the pressure for development is fierce, its progress is getting dull because of a demands for preservation. Sequence of this phenomenon is entirely shown in 'dam-gil'. This study interprets 'placeness' of dam-gil, border of historical remains and the city, focusing on that change in city structure of modern Seoul is after flow of the capital. Ones spatial structure is created by accumulation of historical, cultural, economical, political factors for a long time. In particular, 'dam-gil' is where the extremely preserved and those not collides distinctly.
201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5
그 중에서도 특히 종묘의 주변은 종묘와는 전혀 상관없는 시설과 공간으로 둘러싸여 있다. 종묘는 동측으로는 동순라길, 서측으로는 서순라길, 남측으로 종묘 시민광장, 북측으로 율곡로로 도시와의 확연한 경계가 존재한다. 특히 서순라길의 경우 는 500년간 종묘가 자리를 지켜오면서 함께 수많은 역사적 환경을 만들어온 종묘에게는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배경공간임 에도 불구하고, 그 위계가 무너지면서 주차거리 혹은 통과 도로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Jongmyo is surrounded by facilities of no relations. Dongsula-gil to the east, Seosula-gil to the west, Citizen square to the South and Youlgok-ro to the North. These makes the boundary even more clear. Being in its place for 500 years, Seosula-gil is where numerous historical events has happened. Though having an importance, nowadays, it is used as no more than a parking street or just passing by road.
6
7
5. Model Picture, Detail 6. Before 7. After 8. Elevation
8
202
시간의 축적; 담과 벽, 그 사이 | Jaewon Kang
9. Design Purpose 10. Regranting Identity
9
11. 경계의 변화
10
11
12. Elevation
12
203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13. Site Plan 14. Model Picture, Site Plan 15. Site Plan
13
14
15
204
시간의 축적; 담과 벽, 그 사이 | Jaewon Kang
16. Concept Model
16
205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달동네프로젝트 Suhyeon Kim Prof. Kyungsun Lee, Segu Kim, Heekyu Kim
해방 이후 서울로 급속히 인구가 집중하였고 그러한 인구를 효과적으로 수용하지 못한 결과 서울에는 많은 불량 주택(판 자촌, 달동네, 동굴 등)이 생겨났다. 국공유지나 방치된 사유지 등의 구릉지에 자생적으로 생겨난 마을들은 주거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하였다. 그 후 90년대 말부터,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불량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개발 사 업이 추진되었다. 이러한 재개발 사업은 그 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주민들의 삶의 터전을 빼앗고 결국 불량 주택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도시빈민노후지역의 자생적 마을 형성 방식과 공동체 의식은 공간적 문제와는 별개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들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해결 방안으로 크게 노인과 어린이의 관계 형성을 통한 지역 사회 발전과, 주민들에 의한 자생적 마을 발전을 유도하는 건축적 틀 마련을 제시한다. 이러한 건축 계획으로 그 지역들은 지역성을 잃지 않되 주민들 의 삶의 질을 개선되는 것을 기대해 볼 수 있다.
206
This project is an architectural design reflecting spontaneou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slum areas on hilly locations, in particular the Gae-mi town at Hongjae-dong, Seoul. Rapid urbanization and migration of people into Seoul after the 1945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caused serious housing shortages in this area. The lack of effective housing policies caused many poor houses such as makeshift huts and shacks to sprout around the hilly areas owned by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se areas did not function adequately and redevelopment of these areas to improve poor living conditions were pushed forward by the government since the late 1990’s. However, the redevelopment project of one area often pushed the residents out to other areas which had the effect of creating new slum areas. Despite all of the problems that these slum areas have, they still have two strengths; spontaneous development to meet the needs of the residents, and a sense of community belonging among the residents. I believe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se slum areas while preserving these strengths. In this plan, an architectural framework is presented that encourages community development by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s and children and enabling spontaneou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y applying this design, the area can maintain its special positive community characteristics while also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of the local residents.
207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1. Model Picture 2. 'Daldongne' Occurred Process 3. 'Daldongne'`s Feature 불량 주거지는 공간이 협소하여 생활의 공간과 일의 공간이 구별되지 않는다. 이를 분리하여 각 공간이 기능을 다하되 서로 연계 되도록 계획하고 자 한다.
4. Site Plan 5. Elevation
1
2
3
208
달동네 프로젝트 | Suhyeon Kim
4
달동네 주민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마을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 또 이주하기 보다는 주택을 점차 넓혀가면서 머무르기를 원한다는 것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단지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건축가는 그러한 단지가 효과적으로, 또 긍정적으 로 발전할 수 있도록 틀을 마련해 주기만 하면, 주민들이 스스로 주택과 커뮤니티들을 필요에 따라 더하기도 빼기도 하면서 단 지를 완성해 나간다는 개념으로 접근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배치가 가능한 요소들(주택, 용도에 따른 공용 공간 등)과 그 것들을 배치할 수 있는 체계를 형성해 주는 것 이 이 프로젝트의 핵심이 될 것이라 생각하였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완성되어 가면서 그 단지내의 사람들을 수용하면서 그들을 표현하기도 하는 마을을 가장 최종 단계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5
209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6. Perspective Drawing 대지의 형태에 따라 나올 수 있는 다양한 공간들 에서 다양한 커뮤니티가 생기도록 계획하였다.
7. After school Education 7-1. Perspective Drawing 7-2. Sketch 각 세대가 다른 세대를 서포트 하고 재능을 나우 어서 서로 배우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지역 어린 이 놀이 시설을 독거 노인 주거 단지에 계획한다.
6
6
8. Vegetable Garden
6
7-1
단지 내 노인들과 어린이들이 함께 텃밭을 일구 고, 그 수확물을 지역 주민들에게 판매하여, 지역 내 교류를 증진시킨다.
6
7-2 8
이렇게 선택의 여지가 있는 모듈과 틀을 제시하여 그것을 통해 주민들이 스스로의 커뮤니티를 새로 형성해 나가는 프로토 타입으로의 건축이 개발과 보존의 대립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마을은 비록 모듈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다고 하여도 그곳에 살고있는 사람들을 닮았을 것이다.
210
달동네 프로젝트 | Suhyeon Kim
달동네 프로젝트| Suhyeon Kim
9 10 9. Sketch & Collage 10. Unit Plan 가장 기본이 되는 4m x 10m 유닛과 함 께 그 유닛들이 확장 될 수 있는 형태들 을 함께 제안한다.
11. Community Plan 커뮤니티 공간은 마을 내 텃밭에서 재 배한 수확물들을 사고 팔기도 하며 단지 내 사람들이 모이게 한다.
12. Children Facilities Plan 어린이 스케일의 리듬감을 준 공간과 노인들을 위한 램프로 계획하였다.
11
12
211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Scenerize Iggon Kim Prof. Hyunjun Mihn.Soonsup Choi, Jungyeon Kim 1. History of 'Dangin-ri' 2. History of 'Steel' 3. Collage
철은 언제나 변화를 주도해왔다. 철기시대와 산업혁명, 그리고 지금은 초고층의 모습으로 세상의 변화에 앞장을 서고 있 다. 하지만 최전선에 있는 철의 모습은 항상 화려하지만 시대를 지나쳐버린 철의 모습은 어떠한가. 근대 산업 유산이라고도 불 리는 이러한 시설들은 우리들에게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온다. 우리는 근대의 산업 유산을 이 시대의 새로운 풍경이라 정의하 고 그 풍경을 향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Steel has always been at the head of change. At the moment, it is craving for more skyscrapers. Steel that's in lead is splendid, but how about those outdate. Facilities called inheritance of modern industries approaches us as a new meaning. We should define those facilities as a new scenery of these days, that find out a way to share those sceneries.
212
1
2
3
213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4
당인리 발전소는 우리나라 최초의 화력 발전소로써 화려했던 예전의 모습을 이제는 잃어가고 있다. Site로 정한 대지는 당 인리 발전소와 한강 사이에 위치해 자연경관과 한강 너머의 화려한 도시의 모습, 그리고 당인리의 기괴한 모습을 한번에 담고 있는 곳이다. 이 곳에 다시금 중요시 되어져가는 육체적 요소 - 노동이 아닌 운동 - 와 당인리 발전소의 열병합 시설을 이용한 SPA시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주 5일제로 인해 주말 여가생활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기존의 발전소 사택을 리모델링 한 게스트 하우스를 함께 제안한다. 풍경이되어버린 근대 산업 유물과 한강을 함께 즐기며 다양한연령대가 함께 땀을 흘릴 수 있는 공간은 도시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도시속 철의 숲일 것이다. Danginri power plant, the very first thermoelectric power plant is losing its splendor. Site is between the power plant and Han river, where view of nature, glamorous city and weird power plant are all at sight. I suggest SPA facility combining physical factor and cogeneration plant system. And for those coming to
4. Render Image
enjoy leisure activity at weekends, remodeling the present plant company housing to a guest house would
6. Pipe System
5. Sense of Steel
be an idea. Place where people of all age can hang around enjoying sceneries of river and inheritance of power plant, will become a forest of steel at the city center.
5
214
6
SCENERIZE | Iggon Kim
7
7. Site View 8. Program & Material 8
215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9. Plant Analysis 10. Leisurization
9
당인리 발전소는 다양한 요소들이 집합적으로 모여있는 형상이다. 각각의 요소들은 자기만의 특질을 가지고 있으며, 3가 지 요소가 모두 모여서 당인리 발전소의 도특한 모습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기하학적 형태는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기 위해 탄생한 형태지만 발전소의 기능이 점점 쇠퇴해 감에 따라 그 형태는 하나의 조형물로서 우리에게 다가온다. 근대 문화유산의 철은 도시속의 풍경이자 하나의 조형물로서 우리에게 대화를 건낸다. Danginri is a clustered form of various factors. Each factor has its own features, and those combined together, creates unique form. That geometric form was at first born to fully meet the need of power plant, but as its uses decline, it is shown as a structure. Like this, inheritance of modern industries comes to us as a scenery of urban area.
10
216
SCENERIZE | Iggon Kim
11-13. Model Picture 14. Study Model (Process)
11
12
13
14
217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신림동 실험주거계획안 Dohyun Kim Prof. Yougnhwan Lim, Yongman Kim, Younggu Kim
Dwelling is how human exist on this Earth. Therefore, residence captures how we live on this Earth, and an architect should suggest an image of how we should live. ‘The house we live at the moment, the way we live. Does it really have to be that way?’ This is the point I started this project.
We greet people at cafe instead of greeting them at our home. We do the laundry at the laundry center near home rather than using our own home. We prefer going to cafe or study room to do our work than doing it at home. We no more demand service function to our home. Instead, the city takes charge of that service function. Residence is no more private, and the city is no more public.
At the age of youth, we are required to achieve economical independence by getting employed, emotional independence by marriage and to support those two, spatial independence by gaining our own home. However, after the economic crisis, weakening in recruiting system and deregulation in employment protection has made our youth to hover at the labor market wandering somewhere at an unemployment, finding a job, and a part-time job for a living. We call it ‘post-adolescence’ in sociology terminology.
1
218
1. Model Picture
2. 타당성 검토 3. 사회, 가족 공동체, 개인의 위상변화 Diagram
Silim-dong of Gwanak-gu has a history of
2
invasion. In the 1960’s, this place becomes a village for the poor by people evicted from there residence because of the inner-city redevelopment. In the 1970’s, it becomes an area of university as a resul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relocation. In the 1980’s, gathering of students preparing national examination has made this place a ‘examination village’. Recently, as national
3
examinations are getting abolished, students are moving out and new invasion are happening. This new migrants are finding this place at the merit of cheap price and traffic improvement plan and these are ‘post-adolescence’. This people are flexible group who reside at the residence temporarily and satisfy their requirement for service at the city. They are like city’s floaters.
219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4
4. Site Plan
For those type of people, LDK has no meaning as a unit of residence. This is because their way of living has changed. I suggest three activities that could replace the LDK. Convenience space for residence’s service function, multi-function space that has their own uses and has resemblence of our country’s room-culture, and lastly, leisure space. There ared three activity’s that I suggest. Adding to these space, minimum private space which has a bedroom and a bathroom is where they get to live, which is called a ‘chamber’. 5
220
5. Activity Diagram
신림동 실험주거계획안 | Dohyun Kim
6. Process & Diagram
6
People live in a one-room. They own their private space, a little room, that could satisty their living. Therefore, from time to time, they eat in front of the bathroom, and get to study beside the television. I suggest them to live in a better environment, with more abundance in life by changing their idea of 'possession'.
7-9. Model Study
7
8
9
10
11
12
10,11. Chamber Circulation 12. Vierendeel Truss Model
221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13
14
17
222
15
16
18
13-18. Rendering
신림동 실험주거계획안 | Dohyun Kim
19-20. Model Picture
19
20
223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Urban Diversity Rehabilitation, Market as a Life Space Hyojin Lee Prof. Juwon Kim, Hyunyi Kim, Seonju Koo
1
서울에 존재하는 도시적 다양성의 회복을 위한 연구를 위해 대상지로 정한 마포구 청파동 만리시장 일대에는 서울의 전통 과 근대, 현대의 파편이 공존한다. 조선시대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서울역과 마포나루의 가운데에 자리하여 꾸준한 변화를 보였고, 서울의 누적된 시간층을 가장 잘 담고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지역 일대의 주거와 도심상공업, 그리고 생활 상업인 만 리시장이 단순 병렬을 이루고 있다. 또한, 주거지임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상공인들이 청파동 건물들의 1층을 메우고 있다. 이 들은 주로 인쇄업과 봉제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다. 이러한 도심 상공업 지역은 산업 집적지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역사 적으로 남대문, 동대문 그리고 출판 인쇄 밀집 지역들과 관계를 맺으며 축적시켜온 장소이자 배후 생산지로서의 역할에 부합 하는 공간적, 사회·경제적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급진적인 개발을 통해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도시 개발의 방법으로, 이곳은 역사적으로 축적하고 점진적 으로 조성해온 장소적 특성이 파괴된 전혀 새로운 모습의 장소가 되어 가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주거 생활의 구심점을 이루는 구매 시설인 동시에 도시의 공공공간인 시장을 이 지역 다양성의 회복을 이루게 할 구심점으로 보고, 주거와 상업,산업 시설들 이 활발한 조화를 이루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지금의 시장건물의 부정이 아닌, 리노베이션을 통한 시장영역과 공장의 재구성은 도시의 엉킨 시간의 레이어와 이질적인 프로그램 레이어를 동시에 정돈할 수 있는 키워드가 될 것이다. 재래시장은 사람들이 자신의 지역사회를 직접적으로 의식하게 하고, 또한 지역사회의 상징적인 의미를 주는 지각환경이 그 안에 있다. 이에 경제적인 용도의 집합체인 만리시장이 혼란스러 운 시간의 흐름이 내재된 청파동의 강력한 촉매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건축의 재정비를 통해 지역의 장소성과 프로그 램 질서 정리에 기여하고자 의도하였다.
224
1. Model Picture
Manli Market of Chungpadong, Mapogu, site that I chose for study of rehabilitation of urban diversity, is a place where fragments of Seoul’s tradition and modernity coexist. Located at the middle of Seoul station and Mapo port since Joseon Dynasty, it has constantly changed, being the place of accumulated time. Residence, commerce and livelihood markets are arranged on rows. Though it is a residence, ground floor of Chungpadong are filled with small-sized commerce, whose main works are printing or sewing. This place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industrial cluster. Historically, it has its own spatial, social, economical features as an area of production, connecting with Namdaemun, Dongdaemun and printing clustered area. However, because of urban’s rapid development to enhance physical environment, this place is becoming a total different place, with historical features destroyed. In this study, I found the market as a pivot to rehabilitate diversity, and anticipate residence, commerce and industry to be in harmony. Reconstitution of market area and factories through renovation would be a keyword to rearrange mixed layers of time and heterogeneous programs. Inhabitants become conscious of their society through traditional markets, and traditional market itself has the surroundings containing symbolic meaning of the society. I hope Manli Market boosts Chugpa area, full of chaotic layers of time. Through reorganizing architectures, regionality and order.
2. 작은 단위의 필지들 사이에서 만리
2
시장 건물은 거대한 존재감을 지닌다. 우 리가 만리시장에 느끼는 공간적 불쾌함과 위압감은 매스의 절대적인 길이에서 오는 것이다. 그러나 건너편 시장일대를 미러 링하여 내부 구조로 인한 공간구획과 비 교해 보았을 때 하나의 공간단위들은 작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Front Elevation
3
225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4
이 곳 거대한 매스들 사이에 낀 비좁은 도로는 아이들의 등하굣길이 되기도 하지만 인쇄업과 봉제업 종사자들의 오토바이 가 달리는 위험한 도로이기도 하다. 차량 동선은 뒷길로, 기존의 좁은 가운데 길은 ‘광장’으로 넓혀 시장이 원래 지니던 ‘도시의 공공공간’으로의 역할을 되찾아주고자 한다. 또한, 기존 시장 건물의 거대한 박공지붕을 제거하고, 꽉막힌 내부가로를 외부 공 용공간으로 회기시킨다. Narrow roads squeezed between big masses are children’s school zone, abut at the same time a road for busily moving motorcycles of printing and sewing industry. By removing traffic roads to the back street and widening the original narrow road to a square, markets original meaning as a ‘public space’ would
4. Street Level Plan 5. Site Picture, 20120330
revive. Plus, by taking gable roof off, return the clogged area to an outer common space. 5
226
URBAN DIVERSITY REHABILITATION, MARKET AS A LIFE SPACE | Hyojin Lee
6
6. Model Picture
1970년도 부터 지역과 함께 해온 만리시장의 기다란 벽돌 입면은 지역민에게 특별한 기억이자 당연한 일상의 요소이다.
7. Detail Partial Section & Elevation
기존의 건물이 지니는 미학적인 매력과 강력한 시간성을 존중해주고자, 기존의 외장재인 적벽돌에 주목하였다. 서로 다른 시 간의 흐름을 보여줄 ‘벽돌’이라는 재료를 통해 도시 구역 속에 흩어진 시간들을 경험하면서 사람들은 스스로 건축이 담고있는 내용을 간추리며, 새로운 의미를 발견한다. Endless brick walls of the road has been there since 1979’s, and now an embodied factor to inhabitants. To remain an esthetic attraction and strong temporal sense, I focused on the original material, brick. Through the ‘brick’s containing each different time, people experience each pieces of time, finding out new meanings that architecture contain.
7
8. 건물들의 사이를 가로막고 있던 거
8
대한 박공지붕을 제거하고, 꽉막힌 내부 가로를 외부의 공용공간으로 회귀시킨다.
227
1 2 3 4 g year
228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URBAN DIVERSITY REHABILITATION, MARKET AS A LIFE SPACE | Hyojin Lee
만리시장의 옥상층을 무단으로 점거하여 설치되어있던 상공인들의 간이 농장은 최상층에 투명매스로 추가되어 그 이야기를 이어간다. 꽉 막혀있던 두 건물 사이에 새로이 형성되는 Void 공간 은 드디어 외기에 면할 수 있게 되어, 열악한 현황의 공장 노 동자들에게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한다. 동시에 생겨난 마 당은 그들의 커뮤니티 스페이스가 되기도, 시각적 소통의 공 간이 되기도 한다. Rooftop of Manli market, where people of commerce occupied to use as a small plantation, is converted to a glass mass and continues its work. Newly created void between dense buildings finally meets the open air, creating a better environment for the workers. At the same 9. Roof Top Garden 10. Collage Image
time, newly created yard becomes a space for community and visual communication.
9
10
229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맞벽식 도시형 생활주택에 관한 연구 Kyungha Song Prof. Juwon Kim, Hyunyi Kim, Seonju Koo
1
230
1. 3D Rendering
서울은 급속한 근대화과정을 겪으며 도시주거에 대한 충분한 실험과 시행착오를 가지지 못했다. 따라서 무계획적 혹은 무 분별한 해외사례의 차용으로 지어진 주거들은 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철거되거나 불편한 상태로 남아 도시의 사회적 문제를 야 기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서 현재 서울의 필지 및 여타 조건들에 적합한 새로운 도시주거의 형태를 찾아보고자 했다. 연구의 대상지로 지정된 곳은 서강대 앞 신수동 93번지로서, 노후화된 다가구 주택단지에 지역주민들과 하숙생들이 함께 거주하고 있다. 건물의 노후화 뿐만 아니라 각 필지간의 무계획한 개발이 남긴 열악한 환경을 잘 드러내는 이 지역은, 2012년 현재 재개발을 공고한 상황에 놓여있다. 이 곳의 필지형태는 양쪽으로 4m 도로를 접하는 2열 배치로서, 각 필지의 크기는 서 울 강북지역 다가구주택의 평균 필지규모와 비슷하여 일반화된 결론을 내리기에 적합할 것이라 판단했다. 나는 본 연구를 통 해서 현 상태의 필지단위 개발과 필지경계가 사라지는 고층아파트식 개발의 단점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맞벽식 도시형 생활주택을 제안했다. 이는 블록 단위의 합의 개발을 전제로 하여 지하주차공간을 해결하고 각 동의 맞벽식 배치와 함 께 중정을 공유함으로써 공지의 기능을 극대화하는 방식이다. 대학교에 가까운 대상지의 입지상 현재의 거주자들 혹은 동일한 성격의 집단의 입주를 고려한 상황에서 진행되었으며, 이에 적합한 공용공간을 계획함에 있어 '도시형 생활주택' 의 주민공동 시설에 대한 법규적 면제혜택을 활용했다. 결과적으로 법규를 근거로 한 최대용적률, 건폐율, 사선제한 등에 따른 최대 볼륨을 가진 상징적인 형태의 도시주거가 계 획되었으며, 이는 서울의 주거지 풍경을 만드는 하나의 틀로서 작용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해 본다.
2. Site Image
2
231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현재 (다가구 주택 / 단독 주택)
232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재개발 방안1 (아파트)
맞벽식 도시형 생활주택
맞벽식 도시형 생활주택에 관한 연구 | Kyungha Song
Due to rapid modernization, we haven't had enough experiment nor trial and errors about urban residence of Seoul. Accordingly residences built without plans or by applying other country's thoughtlessly are being demolished before their lifespan or are left in an unpleasant way causing social problems. Therefore, throughout this study, I tried to find out a new form of urban residence proper to present lot of Seoul and other conditions. Target site for this study is 93, Shinsudong in front of Sugang University where old multi-family housings for local residents and students are placed. This place, which well shows not only the deterioration but also inadequate environment caused by planless development of each lot, is presently at a state to be redeveloped. Placed in two rows bordering 4m roads to each side, and each lot being the average size of lots for multi-family housings in Gangbuk, I considered adequate to make generalized decision. I suggest two-layer wall urban housing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odds of present lotunit development and high-rise apartment development which fades out the border of lots. It is a way of solving underground parking space agreeing to development in block units and maximizing the function of open area by sharing courtyard with each buildings place in a two-layer wall way. Because this site is placed near University, I considered present residents or similar group as an occupants. And as planing a proper common place, I made use of the denefits of law exemption about public facilities at urban housings. Consequently, symbolic form of urban residence has been planned with maximum volume following the law of maximizing floor area ratio, building-to-land ratio, and setback regulation etc. I hope this plan to work as one formation that creates scenery of Seoul's dwelling.
3. Model Picture
3
233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4
4. 지하 공용주차장 설치 5-6. 공지를 확보하는 개발 7. 도로사선 제한 규제 내 건축가능 영역 8. 추가로 건축가능한 주민공동시설
5
6
7
234
8
맞벽식 도시형 생활주택에 관한 연구 | Kyungha Song
9
10
9. 주민공동시설의 분산배치 10. 공유하는 중정의 개발
각 필지의 경계를 지키는 각각의 건물은 건물주가 원하는 건물로서 개별적으로 존속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기는 변화에 대응하기에도 편리하다. 이는 주변의 도시조직과 연계를 가지며, 지역의 풍경을 만드는 도구로서 작용할 것이다.
235
1 2 3 4 g year
236
year
year
year
raduate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맞벽식 도시형 생활주택에 관한 연구 | Kyungha Song
237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The Dramatic Landscape Minji Bang Prof. Hyosik Choi, Seongheon Ryu
2.1
클럽을 가기전 헤어나 의상을 준비해 주는 샵이다. 전체 적으로 자유분방한 느낌을 주기 위해 입면이나 평면이 자유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준비가 끝난 뒤 마지막 출 구로 향하는 길은 런웨이를 연상시키는 다리로 구성되었다.
1
1. Render Image
건축과 조경의 관계에 대해 생각을 해보았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이 둘의 관계는 건축이 생기고 남은 빈 자리에 조경을 채우던가 하는 조금은 위계적인 관계이다. 이러한 보편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실내건축에서 건축과 조경이 어떤식으로 위계없이 1:1 대응하며 공존할 수 있는가를 고 민했다. 조경과 건축을 동시에 담는 새로운 공간을 제안하였는데 이는 종지접기 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된다. 평면인 종이가 입 체적인 공간으로 접혀가면서 공간 전체에 cell 이 만들어진다. 이 전체적인 공간은 벽과 천장이 되고, cell은 뚫림으로써 문과 창 이 되는 건축적인 요소인 동시에 비어있는 cell 은 조경공간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경의 두드러짐을 강조하기 위해 반전효과를 사용하였다. 건물의 외관은 흰색의 반투명한 유리재질로 되 어 있으며 외관은 흰색의 반투명한 유리재질로 되어 있으며 주변 건물들과 다르지 않은 mass형태이지만, 내부는 곡선형의 내 병과 유기적인 두 공간이 나타난다.
238
2
3
I though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gardening. What we usually see is a hierarchical relation, first architecture being there and filling up the left space with gardening. I thought of how an architecture and gardening could exist in harmony with same hierachy. I suggest a new space that simultaneously contains architecture and gardening, and this is built by the method of folding. Cell is created throughout the whole space as flat paper is folded into three-dimensional space. This whole space becomes wall and ceiling. Hole of the cell becomes an architectural factor as door and window, and empty cells become space for gardening. To emphasize the gardening, reversal effect is used. Exterior of the building is composed of white translucent glass material and has a similar mass with the surrounding buildings. However, interior is composed of curved walls and organic space.
2. Concept Image 3-5. Concept Sketch
4
5
239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6
7
8
6. Study Model 7. Render Image (Shop) 8. Render Image (Counter) 9. Daytime Section
9
240
THE DRAMATIC LANDSCAPE | Minji Bang
10
10-11. Model Picture 12. Night Section
11 12
241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Multi Visual Space Juhae Lee Prof. Seunghyun Woo, Hyunjin Park
2.1
1
건축 공간이란 타 장르와는 달리 인간의 삶이 직접적으로 관계되므로 한 번에 하나의 이미지로 결정지어 질 수 없는 영역 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는 다원화된 사회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축공간은 여전히 단일적이고 획일적이다. 이에 큐비즘 에 사용된 다시점 기법을 도입해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른 시각적 변화를 창출, 역동적인 공간을 계획하고자 한다. 건축에서의 다시점은 관찰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사람들의 움직임이 활발한 소래포구에 ‘전망대’를 제안한 다. 소래어시장과 아파트 단지의 경계에 위치한 이 전망대는 사람들의 수평 동선을 수직 동선으로 이끌어 아름다운 경치를 보 여주는 동시에 카페, 레스토랑, 바와 같은 편의 시설을 제공한다. 또한, 다시점 기법을 활용한 공간을 통해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한다.
Unlike other fields, architectural space is directly connected to human's life, it cannot be judged by one image. But although we are living in diversifying society, it is still standardized. For this reason, using multi-visual expression, I suggested dynamic space. Multi-visual expression in architecture is based on human's movement. On this, I suggested 'observatory' in Sorae port, has an active movement of people. Located between Sorae fish market and apartment complex, this observatory makes people's horizontal flows into vertical flows. It shows beautiful scenery and provides convenient facilities like cafe, restaurant, bar. Also, through multi-visu al space, it gives visual delight.
242
1. Render Image
2
3
파사드부터 평면구획, 동선, 가구에 이르기까지 모두 나무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나무사이로 햇살이 쏟아져 내리는 모습 을 패턴화하여 파사드에 나타냈다. 그리고 나무에서 가지가 뻗어나가는 형태와, 입면에서 나무를 바라보았을 때 상대적이고 열림 닫힘을 정의하여 평면에 적용시켰다.
From facade to plan, movement route and furniture, everything is inspired by tree. Sunbeams filtering through the leaves were expressed through facade. Form branches stretch out of the tree and relative openness when seeing in front were adapted in plan.
2. Concept Image 3. Final Shape Study 4. Interior Image 5. Section
4
5
243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Kindergarten Focused Housing for Single Parent Family Sulwong Lee Prof. Seunghyun Woo, Hyunjin Park
1
1. Model Picture 2. Concept Image
As modern society changes rapidly, various forms of family are appearing. Above those, single parents are rapidly increasing because of individualism, change in women's role and many other reasons. Though single parent rate is increasing, there are various problems as economical problem, social prejudice, loneliness, lack in child caring and sociality etc. Providing indiscriminate environment and righteous education will give them a chance to create much more intimate form of family and would give both the child and parent a emotional stability. Thus, I suggest a housing for single parent family.
2
244
3
3. Model Picture 4. Section Process 매트빌딩의 다양한 평면적 특징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모양으로 만들어진 다 섯개의 형태가 섹션으로 이어져서 하나 의 매트빌딩의 형태를 하고있다 .
5. Program Diagram 주거와 공용공간이 유치원을 둘러싸고 있는형태로 중심에 유치원이 있고 각각 의 프로그램이 만나는 위치에 커뮤니티 공간이 배치되어있다.
4
Residence complex is formed with residences and community spaces between residence. Those complexes form a bigger community and kindergarten is placed in the center. This kindergarten take care of children and keeps relation with the residence providing facilities such as library, hall, cafe and shops.
5
245
1 2 3 4 g year
year
year
year
raduate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안개 빛 둥둥섬 Hugon Lee Prof. Euiyeob Jeong, Taegyung Lee
1
1. Main Image
246
1. Concept Image 2. Final Shape Study 3. Section 21세기 말까지 인간의 활동에 의한 지구 온난화로 지구 평균기온이 최대 5.8℃, 해수면은 최대 120cm 까지 상승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건축 공간이란 타 장르와는 달리 인간의 삶이 직접적으로 관계되므로 한 번에 하나의 이미지로 결정지어 질 수 없는 영역 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는 다원화된 사회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축공간은 여전히 단일적이고 획일적이다. 이에 큐비즘 에 사용된 다시점 기법을 도입해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른 시각적 변화를 창출, 역동적인 공간을 계획하고자 한다. 건축에서의 다시점은 관찰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사람들의 움직임이 활발한 소래포구에 ‘전망대’를 제안한 다. 소래어시장과 아파트 단지의 경계에 위치한 이 전망대는 사람들의 수평 동선을 수직 동선으로 이끌어 아름다운 경치를 보 여주는 동시에 카페, 레스토랑, 바와 같은 편의 시설을 제공한다. 또한, 다시점 기법을 활용한 공간을 통해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한다. Unlike other fields, architectural space is directly connected to human's life, it cannot be judged by one image. But although we are living in diversifying society, it is still standardized. For this reason, using multi-visual expression, I suggested dynamic space. Multi-visual expression in architecture is based on human's movement. On this, I suggested 'observatory' in Sorae port, has an active movement of people. Located between Sorae fish market and apartment complex, this observatory makes people's horizontal flows into vertical flows. It shows beautiful scenery and provides convenient facilities like cafe, restaurant, bar. Also, through multi-visu al space, it gives visual delight.
247
1 2 3 4 g year
248
year
year
year
raduate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Graduate Studio
249
250
EPILOGUE
e
pilogue
251
1 2 3 4 g d year
252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53
1 2 3 4 g d year
254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55
1 2 3 4 g d year
256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57
1 2 3 4 g d year
258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59
1 2 3 4 g d year
260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61
1 2 3 4 g d year
262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63
1 2 3 4 g d year
264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65
1 2 3 4 g d year
266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67
1 2 3 4 g d year
268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69
1 2 3 4 g d year
270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71
1 2 3 4 g d year
272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73
1 2 3 4 g d year
274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75
1 2 3 4 g d year
276
year
year
year
raduate
aily
277
1 2 3 4 g c year
278
year
year
year
raduate
ircles
건축대학 소모임
ARCHI-ART 예술 소모임
아키아트는 2004년에 만들어져서 지금까지 스케치, 답사를 중심으로 한 소모임으로 계속 이어져 왔습니다. 아키아트의 가장 큰 목적이자 취지는 Architecture and Art입니다. 말 그대로 예술로서의 건축을 이해 하는 곳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예술과 건축은 그 구분이 무색할 정도로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예술로서의 건축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시 된다고 생각하는 일련의 활동들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스케치 출사, 건축 및 미술작품 전시회 관람, 설치미술 및 파빌리온과 같은 건축적 작품으로 거리미술전 참가, 벽화미술 등등 여러 활동을 통하여 신입생 분들께는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교육 목표인 ‘Excellence in Design’ 에 흥미를 가지고 부담 없이 다가가는 계기를 만들 것이며, 재학생들에게는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고, 예술적 체험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또 점진적으로 제공하고자 합니다. 예술적 느낌이 물씬 풍기는 홍대 주변 공간들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다른 타 대학이 가질 수 없는 미적 경험을 최대한 많이 시도하고 도전할 것입니다. 더 나아가 미술대학 소모임과의 교류를 통하여 좀 더 깊이 있고 실전적인 예술에 대하여 체험하고 건축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279
1 2 3 4 g c year
year
year
year
raduate
ircles
눈깔 사진 소모임
‘눈깔’은 2006년에 만들어진 소모임으로 사진을 사랑하는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생들로 이루어진 모임입니다. 사진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과 아마추어 급 실력을 지닌 선배들이 함께 어울려 사진 실력을 늘리고, 사진으로 소통하며 배움을 나누고 있습니다. 사진을 통해서 서로에게 도움의 밑거름이 되어주는 소모임입니다. 취미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소모임이니 만큼 선후배, 동기들과 함께 어우러져 친목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소모임 활동을 통해 사진을 찍히기 좋아하는 학생, 카메라를 가지고 있지 않은 학생들도 다른 학생을 통해 사진에 대해 배울 기회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눈깔’은 매 학기마다 사진을 찍기 좋은 날에는 다함께 출사를 나갑니다. 대부분 1,2학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학교 인근 장소로 가게 됩니다. 출사를 통해 정말 좋은 작품사진을 찍는 것뿐만 아니라 소모임 사람들과 함께 학교를 벗어나 더 재미있고 유익한 시간을 갖는 것에 그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각자의 사진에 대해 지식을 공유하고 발전시켜 나가며 함께 사진에 대해 공부하고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보냅니다. 또한, 선후배간의 MT를 통해 색다른 장소에서의 사진을 통해 순간을 포착하며 여러 사람들과 함께 추억을 공유합니다. 연말에는 한 해 동안 소모임을 통해 한 활동을 정리하는 의미로 전시회를 열 예정입니다.
280
호올스 어쿠스틱 소모임
2012년 신설된 어쿠스틱 소모임 호올스입니다. 취미로 개인적인 악기를 다루고 있는 친구들, 악기를 가지고 있는데 다루지 못하는 친구들과 모여 서로 공유하고 다양한 음악 공연을 관람하는 동아리입니다. 통기타, 젬베, 하모니카 등 악기의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음악을 즐길 준비가 되어있는 친구들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팀을 정해 정기적인 모임을 가져 합주 연습을 하며 길거리 공연, 축제 공연 등 여러 종류의 공연을 계획 중이며, 여러 장르의 노래를 가지고 어쿠스틱 버전으로 편곡하여 호올스 만의 특색 있는 분위기를 만들려 노력중입니다. 기타가 장식품이 되어가고 계신 분, 혼자 연주하기 심심했다 하시는 분, 가벼운 마음으로 모여서 서로서로 도와가며 학기 중 스트레스를 시원하게 날렸으면 좋겠습니다.
281
1 2 3 4 g c year
year
year
year
raduate
ircles
STUDIO A 밴드 공연 소모임
97년도부터 시작된 건축대학 유일의 밴드 공연 소모임 Studio-A입니다. 지도 교수님은 건축대학 학장님이신 홍기섭 교수님께서 맡고 계십니다. 과제로 인한 압박에도 불구하고 건축대학 학우 여러분들과 함께 즐기기 위해 오랜 시간동안 유지되어 왔습니다. 모두 함께 즐기고 노는 것이 목표이며, 누구나 배워 공연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속해 있는 많은 멤버들은 선후배를 떠나 서로서로 배우고, 조언을 해주며 더 신나는 공연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기공연으로 건축대학 오리엔테이션 공연, 대동제 K동 공연, 중앙무대 공연, 그리고 건축인의 밤 공연을 하고 있으며 비정기 공연으로 클럽공연도 겸하고 있습니다. 매년 신입생 팀을 끌어내기 위한, 선배들의 오리엔테이션 공연을 진행하는데, 이는 겨울 방학 중에 꾸준히 만나서 준비를 합니다. 홍기섭 교수님과 함께 합주를 하고, 공연을 준비합니다.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공연이 끝나고, 함께 즐긴 신입생들의 의지에 따라서, 매년 3월 신입생 오디션을 시작으로 신입생 팀이 결성이 됩니다. 새로운 멤버들과 함께 기존 멤버들은 다음 공연인 대동제, 그리고 다음에 있는 공연을 준비하곤 합니다. 단순히 기존 대중적인 곡들만 공연하지 않으려, 독특한 퍼포먼스를 위해 아이디어를 짜기도 합니다. 공연 한 번 한 번이 모든 멤버들에게는 값진 경험이고 추억이 됩니다. 매년 몇 몇 멤버들의 그만둠으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도 겪고 있지만, 모든 공연을 위해 꾸준히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 후에도 계속 노력하며 신나는 공연을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282
REDO 농구 소모임
REDO는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농구 동아리입니다. 본래 ‘ICF(I Can Fly)’라는 농구 동아리로 활동하였으나, ICF가 축구동아리로 되면서 새로운 이름 ‘REDO’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농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한, 농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에 의한, 농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소모임이며, 농구는 집단 스포츠로써 한 팀으로써 존재하기 때문에 선후배들의 관계가 매우 돈독합니다. 또한 REDO는 홍익대학교의 중앙 농구 동아리인 JUMP가 진행하는 대회와 공대리그에 매년 참가하고 있으며, 우수한 성적을 내고 있습니다. 대회에서는 팀 분포를 고학년부터 저학년까지 고르게 선별하여 모두가 대회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REDO도 또한 학교에서 대회를 개최하기도 합니다. 한 학과를 대표하는 다른 농구 소모임들과 달리 REDO는 건축대학을 대표하는 소모임으로써 더 큰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현란한 드리블, 정확한 슛, 폭발적인 돌파, 총알 같은 패스 능력을 가진 선배들이 한 단계 한 단계 가르쳐주기 때문에 농구를 단 한번도 해보지 않은 학생이라도 누구나 함께할 수 있습니다. 매주 진행되는 타 학과와의 친선경기과 주중에 선택적으로 진행되는 농구 연습을 통하여 실력을 점차 키워나가고 우리들 간의 호흡을 맞추고 있습니다.
283
1 2 3 4 g c year
year
year
year
raduate
ircles
I.C.F 축구 소모임
I.C.F는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대표 축구 소모임으로 1999년 창단되어 현재 홍익대 건축대학 소모임 중 가장 오래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습니다. 매주 토요일 자체 연습 및 타 축구 소모임들과 친선 경기등을 갖고 있으며, 연습과 훈련 등을 통해 홍익대학교 대표 축구 대회인 와우컵 과 공대리그 등 각종 대회에서 순위권에 입상하고 대회 우승 등을 차지하는 등 발군의 실력을 발휘 하고 있습니다. 현재 소모임 활동 회원은 약 30명이며 I.C.F 싸이월드 클럽 회원수는 156명. 페이스북 회원수는 80명이며, 매주 토요일 오후에 홍익대학교 운동장에서 I.C.F 자체연습 및 친선경기를 갖고 있습니다. 2013년도에는 건축대학 학생회장의 든든한 지원으로 [홍익대 총장배 축구 대회],[공대리그],[건축학과 축구대회] 등 여러 대회 및 행사에 참여 할 예정입니다. 또, 건축 각 분야에서 열심히 일 하고 계시는 I.C.F 졸업 선배님들을 초청하여 재학생들과 선배님들의 교류 및 친선 경기를 할 예정입니다.
284
KINO-EYE 영화 소모임
키노아이에서 ‘키노(Kino)’ 는 원래 ‘운동(movement)’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의 ‘κνημα’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프랑스어로는 ‘시네마 (cinema)’ 라고 하죠. ‘키노아이’에는 두가지 의미가 있는데, ‘아이’를 우리말 아이(child)로 해석하여 Kino + 아이(child)로 ‘영화를 보고 자라나 영화를 즐기는 사람’으로 해석이 가능하며 보편적 의미로는 Kino + eye로 ‘영화를 보는 눈’을 말합니다. 키노아이는 영화 감상, 비평, 제작을 하는 건축대학 내 소모임입니다. 매주 요일을 정해 정해진 상영자가 고른 영화를 함께 감상합니다. 감상 이후엔 상영자가 영화를 고른 이유나 목적을 듣고, 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나 영화를 보며 생각한 점 등을 자유롭게 이야기합니다. 평소에 문득 든 영화에 대한 생각을 적고, 보고, 공유하고 싶다면 페이스북 그룹과 싸이월드 클럽도 활성화 되어있으니 그러한 것들을 언제든 함께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학기 중에 2~3회 가량 모여, 영화 제작에 필요한 장비기술을 교류하고 방학 때 단편 영화를 제작합니다. 소모임이 개설된 지 이제 갓 3년차로 접어들었기 때문에 아직은 서투르지만 매 방학마다 함께 모여 시나리오를 쓰고 영화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3월 중에 키노아이 개강총회를 통해 2013년 1월 현재 제작중인 영화를 함께 보면서, 굉장히 부끄럽고 손발이 오그라드는 재미를 느끼며 싱그러운 신입생 여러분들을 키노아이에 초대하겠습니다.
285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선배님과의 대화
박항섭 교수님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동문회장
박항섭 동문회장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75학번이고 석·박사 역시 동대학원에서 밟은 홍대맨입니다. 학부시절에 친구들과 처음으로 스튜디오 타입인 작업실을 만 들어 주로 친목을 도모하며 작품들을 했고 그 외에도 원서 번역, 과제 토론회를 가졌습니다. 작업실 이름은 108로 75학번부터 83학번까지 약 8기수 정도 지속되다가 끊어졌지만 지금도 모임은 지속되고 있어요. 학부 때 주로 공모전 참가를 많이 했습니다.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에서 20대부터 30 대까지 지속적으로 수상했고 건축대전 2회 때 대상을 받았어요. 공모전을 왜 그렇게 많이 했냐하면 나의 건축행위가 우리나라에서 어느 위치에 있 는지와 평가하는 잣대를 알고 싶어서였어요. 대학원을 다니면서 관심이 있었던 것은 ‘요즘 지어지고 있는 건축물들은 우리나라 이외에 어떻게 되어 가고 있나’, 트렌드에 관한 것이었어요. 그래서 1981년 석사 학위 논문을 20세기 건축조류에 대해서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썼습니다. 그것이 당시 현대건축 책 텍스트가 되기도 하였죠. 그 후 설계사무소를 3년 다니고 대기업 그룹사에 있는 설계사무소를 4년 정도 다녔어요. 설계사 무소에서는 소장이나 사장의 생각을 잘 읽어서 충실하게 표현해내야 했고 그러다보니까 본인 것에 대한 아이덴티티가 걱정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근무할 당시에도 저녁에는 작업실에서 후배들과 모여 공모전을 했죠. 그 작품은 우리들의 것이니까 우리들의 건축적 사고를 넓혀나가는 계 기가 되었습니다. 그 후 경원대학교(현 가천대학교)에 건축학과가 생기면서 교수로 들어와서 지금까지 30년간 근무하고 있어요. 학생들의 설계지도 를 위하여 현실적인 설계감각을 놓치지 않으려고 다양한 프로젝트에 설계참여를 하고 다수의 현상설계에도 참여하여 당선되었으며 그로인해 건축 가협회상, 학회작품상, 서울시건축상을 수상하였지요. 사회활동은 건축가협회 부회장, 건축학회 이사, 국토해양부, 서울시 및 지방자치단체 건축심 의위원 등 이것저것 많이 했어요. 대충 이렇고 착하고 좋은 아내와 건강한 사고를 가진 예쁜 딸이 둘 있습니다.
286
2013년 홍대 건축 동문회 회장이 되셨습니다. 동문회에서는 어떤 단체인가요?
동문회는 협회나 회사가 아닌 친목단체로서 12개의 위원회로 이루어져 있고 동문회원들의 활동을 독려하고 도와주는 곳입니다. 홍대 건축을 졸 업하면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동문회원이 됩니다. 동문회는 현재 학부 졸업생 4500명에 건도시 대학원, 일반대학원 졸업생을 포함해서 회원수가 7000명 정도가 되는 규모에요. 올해로 55주년이 되고 나는 20대 회장으로 추대됐어요. 동문회 행사는 특별행사와 정례적인 행사로 이루어져 있습 니다. 특별행사로는 동문 중에 본인의 색깔이 뚜렷하고 진정성이 있는 건축가를 발굴해서 젊은 건축가전을 갖는 것이 있고 동문회지 발간, 장학사업 및 수상제도, 학술세미나, 홈커밍데이, 동문등산대회, 답사 등이 있으며, 정기적으로 홍익대학교 교수들과의 모임 등이 있어요. 20대 동문회 슬로건 은 소통·변화·화합입니다. 변화하는 시대에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그를 통해 화합하고 그래서 동문들이 서로 발전하는 것이 목표이죠.
동문회에 연락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그리고 동문회를 통해 선배들에게 진로에 대해서 여쭈어 볼 수 있을까요?
홈페이지 http://www.hiarch.org/를 통해서 홍대건축 동문회 소식을 접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말했듯이 동문회는 건축가, 건축사, 교수들, 시공 회사, 공직, 개발업, 실내건축 모임 등 직능별 모임과 12개의 위원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모임을 활용하면 구체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모임에 대한 소개와 활동들 또한 앞으로 홈페이지를 통해서 알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현재 홍대 건축이 가야 할 방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예전에 홍대 출신하면 재주가 많았습니다. 모형제작, 도면, 투시도 그리기, 잉킹 등 주로 손으로 하는 작업들을 잘했고 표현하는데 뛰어났죠. 그 것이 곧 디자인을 잘 하는 것이었습니다. 다음에는 건축 이론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을 가졌고 설계를 하는 데 표현보다는 내용에 의미를 찾는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 다음 시기는 입학 성적이 훨씬 올라간 반면에 건축에 대한 진지함이나 표현력은 다소 떨어졌어요. 게다가 인터넷이 발달되면서 컴퓨 터 작업을 활용하게 되고 건축학과가 5년제 수업을 하게 되니 다른 대학교와 차별화되는 점이 없어졌죠. 무엇을 뚜렷하게 잘한다는 것이 없었고 포 트폴리오를 봐도 어느 학교 학생이 한 것인지 알 수가 없어졌습니다. 그럼 우리가 가질 수 있는 특징은 무엇이냐? 내가 생각하는 아이템은 바로 진정 성이에요. 요즘에는 설계가 아닌 편집을 합니다. 정보의 큰 바다에서 아주 작고 예쁜 물고기를 찾아내서 조금 변형하고 거기에 의미를 부여한 후 평 입단면도를 그리고 자기만족을 하죠. 자신은 노력을 하지 않고 복사와 편집을 할 뿐입니다. 도면에는 디테일이 있지만 온통 짜깁기입니다. 30년 동 안 교육을 해와서 아는데, 학생들에게 ‘그려봐’ 하면 하나도 제대로 그릴 줄 몰라요. 벽돌의 두께, 줄눈 간격이 도면에는 그럴 듯 하지만 실제로 알고 있지 않는거죠. 있는 것에서 단지 치장하고 변형한 것은 자기 것이 아니에요. 우리는 사각형을 변형시키는 일을 하고 있는데 그것을 애초에 만드는 것은 굉장히 힘듭니다. 21세기에는 우리가 이 사각형, 오리지날리티를 만들어야 합니다. 아직 그것을 명확하게 짚어내는 잣대조차 존재하지 않지만 진정한 사각형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는 학교, 진정성 있는 학교가 돼야하지 않겠냐는 생각을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것의 필요성을 홍대 건 축, 동문회, 학생들이 자각해야하고 노력해야 합니다. 이제는 머리나 손으로 하는 건축이 아니라 가슴으로 하는 건축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야 합 니다. 내가 홍대건축의 특별한 점을 못보고 있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안이 아니라 바깥에서 객관적인 입장으로 볼 때 예전만큼 특징이 있지 않고 색 이 옅어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특색 있는 것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옛것을 알아야 새것을 한다고 과거 홍대건축의 장점은 무엇인지, 무엇이 부족한 지에 대해 냉정하게 비판을 해야 발전이 있을 것입니다.
동문회장님의 취미 활동은 무엇인가요?
여행을 좋아합니다. 여행은 우리에게 꿈과 희망을 주며 여유와 기다림의 지혜를 터득하게 합니다. 30년 전부터 꾸준히 여행을 다녀 전 세계 도
287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시는 거의 다 가봤어요. 세계일주를 한 번 했고 유럽전역은 약 네 번 정도 갔습니다. 그 외에도 중국, 일본을 무수히 다녔죠. 지금까지 필름 사진을 찍 어놓은 것들이 7~8만장(잔뜩 쌓인 박스를 가리키시며) 되는데 디지털로 저장하려니 너무 많아서 엄두를 못내고 있어요.
동문회장님과 마찬가지로 여행을 좋아하는 학생들이 많은데요, 여행 베테랑으로서 조언해주세요.
여행은 기회를 만들어서 가는 것이 훨씬 좋아요. 그리고 가기 전에 장소에 대한 역사, 문화, 건축물 등에 대한 전반적인 공부를 하는 것이 큰 도움 이 됩니다. 르누아르, 인상파, 고흐 등 예전 그림을 보면 아름답다고 느끼고 가슴에 와 닿아요. 하지만 산업혁명 이후에는 추상, 비구상으로 전개되 면서 예술작품들이 낙서 같고 쉬워 보여요. 학습하지 않으면 전혀 이해할 수 없죠. 현대 건축도 마찬가지입니다. 내가 화가, 경제학자, 법학자, 역사 학자와 같이 유럽을 간 적이 있었어요.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에서 가우디 건축물을 보고는 모두 놀라워했습니다. 반면에 빌라 사보아에 갔을 때 건축 하는 사람들은 근대건축 5원칙을 떠올리며 지적 유희를 즐겼지만, 나머지 전문가들은 시큰둥해 했어요. 바로크까지의 예전 건축물은 가서 보면 느 껴지는 것이 있지만 그로피우스, 미스 등의 현대 건축가들의 건물은 직접적으로 감동을 주지 않아요. 먼저 학습이 필요합니다. 고전 건축물도 학습이 필요한 건 마찬가지이지만. 유럽여행을 할 때 로마는 나중에 보는 것을 권합니다. 로마를 먼저 보면 공간의 힘이 각인되어 다른 곳의 건축물은 그저 재주부리는 것처럼 보 이거든요. 네덜란드는 현대건축의 메카이고, 스페인은 정말 재밌고 의미가 있는 장소와 건축물들이 산재해 있어 꼭 가보길 추천합니다. 일본의 현대 건축중 일부는 기존의 건축과 완전 다른 방향으로 새로운 건축을 하고 있어요. 일련의 작품을 보면 건축이 상당히 다른 방면으로 바뀔 가능성이 보이 죠. 그래서 일본 젊은 건축가 생각들과 건축물을 주의해서 볼만합니다. 과거 인력거꾼이 언덕을 오를 때 발, 손 어느 부분에 어떻게 힘을 줘야 최소한의 힘을 들이는지 연구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가 나타나고 다 소 용이 없는 기술이 되었죠. 건축은 교통수단처럼 기존의 시스템이 순식간에 바뀌는 분야는 아닐지라도 과학, 시대정신과 함께 끊임없이 진화되고 있 습니다. 기존의 것을 타파하는 새로운 것, 그것을 위한 새로운 실험-설비, 구조, 환경에 대한 재해석-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런 움직임 을 여행을 통해 잘 파악해야합니다.
일본에서 작품과 연구 활동을 하셨습니다.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그리고 유학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말씀해주세요.
일본에서 연구 활동을 한 것은 교수가 되고 나서의 일이라 학부생의 입장과는 다릅니다. 하지만 해외로 유학을 가는 것에 대해서는 해 줄 말이 있어요. 외국에 가서 과연 무엇을 배우나? 친환경, 구조공학, 이론 등 우리나라보다 발전한 건축 분야를 공부하러 가는 것은 필요합니다. 뿐만 아니 라 외국어를 배우거나 생각을 교류를 하는데도 좋습니다. 하지만 유학이 건축을 잘하기 위한 필수조건은 아닙니다. 일본을 예로 들면 유명한 건축가 인 이토 도요, 안도 타다오와 그 이후의 4세대 5세대 등 대부분 자국에서 큰 사람들입니다. 니시자와 류는 요코하마 대학을 나오고 세지마도 일본 여 자 대학에서 공부를 하고 세계적인 건축가가 되었어요. 오히려 해외에서 초청받아서 강연을 하러갑니다. 중국에서 처음으로 프리츠커 상을 받은 왕 수 또한 중국 내에서 교육을 받고 건축을 했어요. 그래서 유학이 건축을 잘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기 보다 아쉬운 점 부족한 점을 채우기 위한 자기만 족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한국에서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환경이라고 할 수 있어요. 동양의 베니스라고 불리는 소주(Suzhou, 중국)는 2500년 된 도시로 길, 건축, 자연 모두가 텍스트에요. 마차가 다니던 길에 현재는 차가 다니고 흰 벽과 검은 기와로 된 전통가옥은 여전히 도시 전체의 컬러를 이뤄요. 참 아름 답죠. 집 밖을 나가면 수 백년된 삶의 모습이 있어요. 그것이 문화적인 힘이고 살아있는 건축이에요. 우리나라에는 불행히도 과거 도시들의 느낌들, 600년의 흔적이 거의 없어요. 삶의 흔적들 보다 박제화 된 고궁들이 있을 뿐입니다. 새롭게 개발되는 곳은 강남보다 더 강남이구요. 유럽이나 중국 등에서는 그 역사의 흔적을 삶에서 체험을 하게 되니까 우리나라 환경보다는 좋다고 할 수 있죠. 일본에 있을 때 부러운 것이 있었다면 자국의 건축가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것이었습니다. 보호자 격인 이토 구니아께 교수 아틀리에에 짧게 있 을 때 였어요. 그 당시 사무소의 환경은 열악했고 일본의 비싼 교통비 때문에 집에 안가고 제도판 밑에서 먹고 자고했지요. 그런 와중에 교수가 사무 소를 나가면 교수 욕을 막 해요, 지독하게 시킨다고. 그럼 건축가 중에 누굴 좋아하는지 궁금해서 친구한테 물어보았어요. 그러자 첫 번째 대답이 이
288
A CONVERSATION WITH SENIOR | Hangsub Park
토 구니아께이고 그 다음이 렘 쿨하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등 국제적 건축가들이었어요. 욕을 하면서도 이 친구들은 자기가 모시는 사람을 첫째로 존경하고 좋아한다는 것이 상당히 부러웠죠. 우리나라는 내세우는 것을 창피하게 생각하고 다른 나라 건축가들을 더 좋아한다고 하는데 비해서요.
마지막으로 신입생들을 위한 책을 추천해주세요.
책은 하나를 선정하기가 어렵네요. 말해주고 싶은 건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인문사회에 대한 소양과 건축가들과 건축 역사에 대한 관심을 가져 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 건축, 좋아하는 건축에 따라 취사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작정 대세를 따르려는 태도는 좋지 않아요. 이것의 전제는 건축가들은 죽을 때까지 자화상을 그리다 죽는다는 것이지요.
289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A Conversation with Senior
Hangsub Park Alumni Representative of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Please introduce yourself.
I entered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in 1975 and received master's and doctor's degree in same school. In undergraduate school, I made studio with friends and have done many various activities. Its name was 108, which continued from year 75' to 83'. Though it lasted about 8 years, we still have gatherings. In undergraduate school, I participated lots of competitions. I was continuously awarded in my 20's and 30's in Korea Art Exhibition and was awarded the grand prize in the 2nd Korea Architecture Fair. I wanted to know my position in our country's architecture through participating competitions. In graduate school, I was interested in trend, how architecture is being progressed in other countries. I chose 20th century's current of architecture as my master's thesis in 1981. That thesis sometimes became a text of books about modern architecture. Afterward, I worked at a design firm for 3 years and then at architecture department of major company for 4 years. In firm, I have to read the mind of the head and express it. This work made me worry about my own identity. So, even when I was working at firm, at night, I've done competition works with my junior colleagues. After that, since the foundation of Kachon University, I have worked as a professor or 30 years. I have also done social activities as ministry of land, vice president in Korea Institute of Architects. And to add, I am married and have two daughters.
You have become the president of year 2013 alumni association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Could you explain about the association?
It is a social gathering composed of 12 groups. We encourage and help activities of the alumni. When you graduate HSA, you become a member of the association regardless of your will. With 4500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of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 Urban design,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approximately 9600 alumni are currently listed in the association. This year is 59th year and I'm the 20th president. Events are composed of special events and routine events. As special events, there are young architect exhibition, publication of alumni bulletin, school supporting, homecoming day, mountain climbing and many others. As routine events, there are meetings with professors of Hongik University. Slogan of 20th alumni association is communication, change, harmony. Communicating in changing times and achieving harmony is our aim.
How can we contact the alumni association? Could we ask the seniors about our career through the association?
You could reach news of the association through http://www.hiarch.org/. As I have mentioned before, the association is composed of 12 groups according to jobs, architects, professors, construction for example. You could get specific help if you make good use of this groups. I'm planning to let people know these groups and their activities through our homepage.
290
A CONVERSATION WITH SENIOR | Hangsub Park
What do think should be the direction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In the past, students of Hongik has gifted talents. They were excellent at thing doing with hands such as making models, drawing perspectives and inking. This meant they were good at designing. Then later, interest in architectural theory was raised and required honesty in doing architecture. Though, this change raised the entrance grade, ability to design wasn't good as it used to be. Development of Internet has changed working style to a computer work and architecture major has become 5 year system. Uniqueness our students used to have had faded out. Then, what character could we get? I think 'sincerity' is the answer. These days, people do editing instead of designing. They feel self-satisfaction by altering a small part and giving a meaning to a pretty fish caught in a vast sea of information. In my 30 years as a professor, I have never seen a student who could draw it properly when I ask them to. One that you've decorated and altered doesn't become yours. We are doing a deformation of a square but initially to make the square is very difficult. In 21st century, we have make a 'square', the originality. Even if there aren't any criterion of that originality, pursuit of the 'square' is needed for our school. Students should be aware of the need for it. I might be missing the peculiarity of HSA but it is true that uniqueness is fading out seen from the external perspective. Figure out the strength of the past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and self-criticize of what you lack. That way you will grow up.
What is your hobby?
I love traveling. I constantly traveled around for 30 years and visited all the cities. I have once traveled around the world, and about 4 times of Europe alone. I've countlessly visited China and Japan. Film photos I took reach about 7 to 8 million that I could hardly save in digital files.
Many students like traveling like you do. Could you give an advice as a veteran?
It's much better to make a opportunity to go traveling. Studying about the place in advance is also a great help. Works of Renoir, impressionist, van Gogh is beautiful. However,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bstract art and nonrepresentationalism have produced works that seems like a scribble. You cannot understand unless you study in advance. I've once visited Europe with an artist, economist, a legal scholar and a historian. Everybody were amazed at Gaudi's work in Barcelona of Spain. On the other hand, while architects enjoyed Villa Savoye recalling 5 principles of modern architecture, other experts were indifferent. Though works of baroque and beforehand give us some sense of impression, works of modern architects like Gropius and Mies doesn't impress us directly. You have to study it. Though it is same for classical architecture. I recommend you to visit Rome. When you visit Rome, power of space is imprint so strongly that other works seems like performing ones talent. Netherlands is a mecca of architecture, Spain has much meaning and is really interesting. Japan is trying new ways of architecture. Possibility of alteration in architecture is imposed in series of works. In the past, rickshaw men researched how they could save their energy. But it was all meaningless when car was invented. Architecture isn't a field where present systems change instantly. However, it ceaselessly evolve in harmony with science and spirit of the time. You should catch out this change through traveling.
291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You have done research works in Japan for a year. How were you influenced, and what do you think of studying abroad?
Research work in Japan is after I became a professor so it is quite different from a student perspective. But I have a word to say about studying abroad. What do you obtain from studying abroad? Learning advanced area like environmentfriendly, structure, and theory is essential. But, going abroad isn't a prerequisite for being a good architect. Japan for instance, Toyo Ito, Tadao Ando and other talented architects has grown up in their own land. Ryue Nishizawa graduated Yokohama University and Kazuyo Sejima studied in Japan Women's University. First laureate for Pritzker Prize in China, Wang Shu studied in his country. Studying in foreign country is to self-satisfy by filling in lacking points rather than a requirement to do architecture well. If I would choose one lacking point of Korean architecture, it is environment. Suzhou of China, called Venice of the Orient, is a city of 2500-years history. Road, architecture and nature, it all is a text. Road that carriage used to go is now replaced with cars. White wall and black roof tile of traditional houses still goes along with the city. It is amazing. One step out of the house, we face the lives of hundreds of years. That is cultural strength and living architecture. Unfortunately, in our country, there aren't such features. There are just taxidermized ancient palaces left. Newly developed place is more bustling than Gangnam. Since you get to experience the traces of history in China or Europe countries, you can say they have better environment than Korea. One thing I envied of Japan is that they pay attention to architects of their own country. I shortly worked in professor Ito Bunza-aki's atelier. Condition of the atelier was poor and because of expensive transportation costs, people slept under the drawing board. In the meantime, when the professor goes out, people swore of how he awfully puts them to work. So I once asked a friend which architect he likes. The first answer was Ito Bunza-aki and next comes famous architects such as Rem Koolhaas and Frank Lloyd Wright. It was enviable that though they swore, they respect and like their professor the most, compared to the fact that Korean feel mean for putting up and likes architects of foreign country.
Lastly, would you recommend a book for freshmen?
It is hard to pick one book. I'd like to say student should know history of architecture. And students should choose their own way according to their taste. Following the general trend thoughtlessly isn't recommended. Premise of this is that an architect draws a self-portrait through his life.
292
A CONVERSATION WITH SENIOR | Hangsub Park
293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교수님과의 대화
김 억 교수님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교수
교수님의 이력이나 현재 하시는 수업의 내용이 대체로 새로운 기술과 디자인의 접목에 있는 것 같습니다. 항상 이러한 분야에 관심 있으신 이유 가 무엇인가요? 혹은 그 당시 시대의 분위기가 그러하였는지 아니면 앞으로의 미래를 예측하신 것인지 알려주세요.
한국의 건축 교육과 실무를 보면 그림 그리는 쪽으로 많이 치우쳐 있지 않나 싶습니다. 여러분들이 학교에서 건축이라는 것은 구조도 중요하고 미학적인 것도 중요하므로 즉 종합적인 예술이라고 교육 받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보면 약간의 철학과 그 다음부터는 미적인 디자인을 위주로 하고 실제로 기성건축가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건축이 정말 세계적인 수준으로 올라가려면 종합적으로 공학과 예술이 합쳐져야 하는데 그런 점에서 아쉽습니다. 그래서 좀 더 실현되기 위해 공학으로부터 나오는 기술과 디자인을 한번 경험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실제로 훌륭한 건축가들을 보면 그 시대의 새로운 기술을 건축에 반영했던 사람들입니다. 예를 들어 팔라디오는 곡선의 지붕을 만들기 위해서 배 건조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지붕을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말하면 건축가는 발명가이여야 합니다. 자기가 직접 발명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 을 섞어서 뭔가를 만드는 것으로 새로운 것을 사람들에게 보여줘야 합니다.
작년에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수업에서 한 학기 동안 툴 다루는 능력, 디자인, 제작, 프레젠테이션 등 모든 과정을 거쳤습니다. 그 과정과 결과물 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또한 좋았던 점과 아쉬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전체적으로 매우 만족스러웠고 나만이 아니라 학생들이 매우 만족스러워 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만족스러웠던 이유는 학생들이 주어진 문제 를 이해하고 구체적인 결과가 바로 나왔고, 그 결과가 디자인에 상당한 성과를 보여줬기에 만족스럽고 매우 즐거웠습니다.
294
특히 여러분이 직접 제작을 했다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실제로 외국의 학생들은 직접 콘크리트도 타설해보고 벽도 계단도 만들어 보며 실질 적인 건축의 디테일을 만들어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큰 문제는 일학년부터 종이에서 시작해서 종이로 만든 모형으로 끝납니다. 큰 건 물은 못 짓는다 하더라도 그 일부는 실제로 해봐야 하는데, 그것을 유일하게 할 수 있었던 것이 ‘디지털 프리젠테이션’입니다. 또한 ‘디지털 프리젠테 이션’이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하지만 한 학기에 모두 하려다보니 디테일함과 구체화에 부족해서 아쉬웠습니다.
요즘 시대의 스마트기술이 화두가 되었지만 아직 건축적 디자인에는 실질적으로 적용될 기회는 적어 생소한 것 같습니다. 그것에 대한 설명과 도시나 건축에 어떻게 적용이 되고 있는지 알려주세요.
스마트기술이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될까? 좋은 질문입니다. 현실적이고 체감을 하듯이 스마트기술도 분야가 매우 다양합니다. 모든 분야에 걸 쳐서 스마트 기술이 적용 될 수 있습니다. 스마트도 기술이므로 새로운 기술이 우리가 추구하는 인류와 환경에 목적에 부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면 디 자인이 융합되어야 합니다.
앞으로의 시대에 있어서 한 단계 더 나아갈 기술의 발전방향과 그에 따른 디자인의 변화에 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또한 교수님께서는 보 편성과 개별성의 비중에 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알려주세요.
보편성과 개별성이라는 말은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입니다. 즉 홀로 존재하므로 발명이다. 인간은 건축이나 디자인에 새로움을 추구합니다. 모 두 새로운 것을 쫓아가기 때문에 영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개별성이라는 새로움이 있어야 하지만, 우리가 공통적으로 좋아하는 보편성 또한 있어 야 합니다. 다시한번 말해 보편적으로 좋아하면서 새로움을 줘야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을 많이 알고 디자인에 접목시켜야 합니다. 여러 분들도 앞으로 이런 것을 생각해야합니다.
절대적인 아름다움이라는 것이 존재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교수님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아름다움에 덕목이나 혹은 방법론이 메타포인 지 구체적으로 정의해 주세요.
난 있다고 믿습니다. 절대적인 아름다움은 우리의 인간에 DNA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우리의 뿌리이고 다른 동물이나 생명체와 다른 우 리만이 가진 고유성은 인간 누구나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그래서 그런 것들이 절대적인 아름다움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아름다움이 우리의 DNA에 있는 뿌리라면, 개별성과 새로움은 그 뿌리가 있지만 자꾸 새롭게 나타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즉 메타포를 찾는 것입니다. 메타포는 우리의 보편성으로부터 새로운 개별성을 찾아가는 과정, 수단입니다.
교수님의 인생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던 책, 영화, 음악을 추천해 주세요.
내가 군대생활을 하면서 혼자 있고 명상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 인생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많았는데, 그때 클래식을 들으니까 같이 너무 어우러졌습니다. 요즘에도 클래식을 좋아하지만 나이가 드니까 특히 오페라 노래가 좋습니다. 이렇게 보면 나이에 따라 좋아하는 음악이 정해 있는 것 같습니다. 책은 여러 권 많이 읽는데, 최근에 감명 깊었던 책은 스티븐 잡스 전기입니다. 스티븐잡스는 발명가면서 혁신가면서 영웅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인간적인 부족한 약점은 있지만, 사람들에게 깊은 감명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찬가지로 나도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감동을 주는 것이 좋습니 다. ‘아 이런 것을 하면 매우 재밌을 수 있겠구나’ 하는 그런 동기부여에 대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많은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기보다 동기부여를 주
295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스티븐 잡스 전기가 좋았습니다.
교수님이 가진 고유한 취미나 활동에 관하여 이야기 해주세요. 혹은 현재 좋아하는 것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이야기해주세요.
내가 가진 취미활동 보다는 여러분들한테 두 가지를 꼭 했으면 좋겠습니다. 독서를 많이 하고 운동을 열심히 할 것. 나는 이십대 때부터 운동을 매우 열심히 했고, 요즘도 헬스클럽에 가서 달리기도 하고 근력운동도 하고 일주일에 네 번은 무조건 갑니다. 밥 먹듯이 안하면 큰일나는 것처럼 운 동은 정말 중요합니다. 운동만 열심히 하면 몸의 근육만 발달하지만 독서를 하면 뇌 속의 근육이 단단해지므로 이 두 가지를 꼭 같이 해야 합니다.
좋은 건축가의 덕목 혹은 우리 학생들이 가져야할 자세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세요.
간단하게 이야기 해줄 수 있습니다. 자기 자신이 무엇을 하던 상관없이 지금 사는 것은 매우 정상이다. 그리고 큰 목표도 좋지만 일단 작은 목표 를 세워라. 특히 건축과 학생들은 건축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모르는 것을 아는 척 하지 말고 모르면 모른다고 하고 자기가 아는 범위에서는 확실히 하라. 특히 언제나 새롭게 생각하자. 생각의 프레임을 계속 확장시켜야 합니다. 예를 들어 교수님이 이야기 하셨다고 외우려 하지 말고, 그것도 하나의 프레임이고 내가 그 프레임을 넓혀보겠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이렇게 확장을 하려면 독서를 해야합니다. 그리고 인생에 대해 매우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즐겁게 살아야 합니다.
296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Uk Kim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Uk Kim Professor of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Your career, as well as the text of your class, seems to deal with the integration between new technology and design. Is there any specific reason to be interested in such field? Was it the atmosphere of that time or your envisage of the future that inspired you?
In my opinion, Korea's education of architecture and practice is rather inclined to drawing. You all are educated in a way that emphasizes both structure and aesthetics of architecture; learning that architecture is a 'comprehensive' art. But if we take a close look, the educators are focusing on teaching the aesthetic design, following a little bit of philosophy, which was also the case for architects of last generation. Thus, Korean architecture has a long way to reach the world-level class, and the comprehensive integration between engineering and art will be necessary for its improve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perience technology and design originated from engineering. Great architect, actually, is a mirror of his days, reflecting the new technology of that time in his architecture. For example, Palladio took advantage of shipbuilding technology in order to make a curve-shaped roof. To put it in anther way, architect should be an inventor; presenting something new to people that is invented not by himself but by the mixture of various technology.
In 'digital presentation' class of last year, we went through a process from handling tools, designing, producing to presentation. We'd like to know its result. Was there anything that you liked, or that you regret?
It was satisfactory overall for the students, not to mention for myself. Such satisfactory was due to students' understanding of given problem, followed by a concrete result, which came out as a great accomplishment in their design. The important part, is that students produced themselves. Students of other countries are actually given time to deposit concrete and manufacture walls and stairs, experiencing the creation of details of actual architecture. Meanwhile, Korea's architecture education begins with paper models for the freshmen, ending also with them. Some parts of process at least, albeit a bit small, must be experienced, and the 'Digital Presentation' was the only chance for such experience. DP was also beneficial to students in a way that they could form a variety of forms. My only chagrin was time; one semester was not long enough for all the details and specification.
'Smart Technology' of this time has become the conversation topic. All the same, hardly has it been employed to architectural design, which keeps it unfamiliar to us. Could you explain ST, and how it is being applied to cities or architecture?
That's a good question. How will ST be applied to design? As we can see, ST covers various sectors. As a matter of fact, it can be applied to all subjects of life. Smart is also technology; it should be blended with design, once it could be employed in a way that fits the purpose of human and nature that we pursuit.
297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What do you think about the way that the improvement of technology is heading, and the resulting change of design? Also, what do you think about balancing generality and individuality?
Those words such as generality and individuality are about creating something new. Only by alone can invention take place. Any architect pursues novelty in their architecture or design, which keeps nothing immortal. That's the point maintaining the necessity of generality, which is favored by everyone, although the novelty called individuality is also important. That is, the architecture or design should implicit novelty, on top of keeping its generality. You should be aware of new technology and blend it with design. I hope you keep this in mind from now on.
Do you believe in the existence of absolute beauty? Could you give us a detail explanation of whether metaphor is a methodology or virtue of beauty?
I do believe in the existence of absolute beauty, and it is located in human's DNA. It is the basis of human, and we all have this originality that differentiates ourselves from other species. Thus, I believe these things are bound up with absolute beauty. While the beauty is the 'root' placed in our DNA, individuality and novelty need to keep showing up in a new way-and that is, searching for metaphor. Metaphor is a process, or a means with which we seek for new individuality from originality.
What was the book, film, or music that influenced you the most through your life?
When I was in the army, I had plenty of time meditating alone, in which I could ponder upon life. And listening to classical music had propped up such meditation. I still like to listen to classical music, but as I get older, opera touches me more. Thaught this way, preferred music may differ with age. I read a lot, and the book that impressed me these days was the autobiography of Steve Jobs-an inventor, innovator, and a hero. Despite of his humane deficit, it is important to impress people. I, just like him, like to impress my students while teaching. I put great store by motivating, like 'doing this could be very fun'. I consider motivating students more important than sending out a bunch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Tell us about your hobby, or how it has changed.
Rather than introducing my hobby, I'd like to emphasize two activities; reading and exercising. I've been exercising hard since I was in my 20's, and even on these days, I never forget visiting the fitness center four times a week-running and working out- no matter what. Exercising is as important as having a meal. For good measure, exercising should be combined with reading; reading works out the muscles inside the brain, just like exercising does to the body.
298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Uk Kim
What is your recommend to us about the virtue of great architect or our attitude?
It can be put simply. Whatever you are up to, you are having a very normal life. Plus, great goals are great, but begin from smaller ones. Students majoring architecture, in particular, need to focus on covering the part they know. They must not pretend to know something they don't, as the architecture is very difficult. And always think new. they need to keep expanding their frame of thaught. Rather than memorizing what the professor had mentioned, for example, they need to consider it as a frame, that needs to be enlarged by themselves. And in order for such expansion to occur, reading is compulsory. No need to worry about life. Always have fun.
299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교수님과의 대화
이영수 교수님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교수
2012년에 대한 건축학회 부회장이 되셨습니다. 대체로 무슨 활동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또 2013년의 계획은 무엇입니까?
대한건축학회가 60년이나 됐는데 지금까지 우리학교 친구들이 교육보다는 건축설계 쪽으로 많이 일을 하다보니까 주로 건축가협회 활동을 했 고 학회에선 한 번도 임원을 한 적이 없어요. 그러다 보니까 학교는 커지고 인증 같은 것도 계속 얘기되고 5년제 교육이 되면서 학교는 점점 평준화 가 되고 교육과정도 특색이 없어졌어요. 교수들도 학생들도 너무 안일해져있다는 느낌이 들어서 학회에 들어가서 좀 활동을 해서 교수들끼리도 경 쟁하는 구도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우리학교 출신들은 대부분 건축가협회 일을 하기 때문에 10년 전부터 이렇게 나뉘다보니까 전 학교에 있 으니 학회 쪽에 나가야겠다 했고 이게 선출직이기 때문에 많은 표를 얻어야 해서 꿈도 못 꾸던 일인데 동문들이 많이 도와줘서 이렇게 되었고 그동 안 우리 학교 위상으로는 충분히 회장도 할 수 있는데 안 하는 건 문제가 있다는 생각도 들고 그래서 그렇게 부회장이 됐어요. 그중에서도 제가 맡은 쪽은 학회연구위원회가 100여개 이상 되는데 제가 맡은 게 60개 정도 돼요. 위원회들을 총괄하는 위원장이 제가 맡은 일이죠. 주로 회장을 보조하 는 일인데 부회장이 할 수 있는 일은 가능하다면 위원회가 지금까지는 너무 설계 위주로 갔는데 보통 경기가 어렵고 사회가 침체되거나 하면 이론이 나 비평분야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요. 지금까지 10여년 동안 설계만 최고처럼 말해왔기 때문에 학회에서 해야 할 일이 있을 것 같아요. 이론 에 치중에서 보려 그러고 모든 사회부서에서 건축이 공학으로 들어가 있는데 가능하다면 건축학분야가 별도로 분리되어 나와 모든 일을 할 때 독립 적인 별개 학문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일이 제가 할 일이 아닐까 합니다. 일을 나눠볼 필요가 있는 게 우리나라 모든 조직에 들어가 보면 정부부서 등에서 뭔가 할 때 설계라고 치면 안 나와요. 상위 1그룹이 아니기 때문에 공학, 인문학부터 치고 들어가야 합니다. 설계가 상위 그룹으로 나와 있어 야 학적이 더 발달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학술진흥재단에 한번 들어가 보세요. 그리고 제가 하고자 하는 설계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보세요. 꽤 여러 단계를 거치게 돼있어요.
300
현재 홍익대 건축학과의 영향력과 사회적 위치는 어떻습니까? 어느 부분이 더 강조되어야 할 것 같습니까? 선배로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우리학교 좋은 점은 주어진 일을 창의적으로 맡은 바 열심히 합다는 겁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리더쉽의 부재라고 할 수도 있는데 거의 국 내에서는 두세 번째 안에 드는 역사적으로 이름 있고 빠지지 않는 학교인데 그만한 사회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하면 그렇지 않단 말이에요. 학생들 의 인성이 좀 내성적 소극적이었던 경우가 많았고 또 옛날에는 건축 미술과였기 때문에 지금 영향력 있어야할 위치의 사람들의 나이는 60,70대인 데 그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홍대건축의 위치를 정착시켜야하는데 거의 인테리어 쪽으로 빠졌단 말이에요. 지금도 그 영향으로 인테리어단체들은 왠 만하면 홍대건축과 출신이 하고 있어요. 그분들이 빠져나갔기 때문에 사회적 영향력이 덜 미칠 수도 있고 그런 이유 때문에 큰 조직을 가진 동문이 없고 작은 아틀리에를 운영하거나 공무원이거나 학교에 있거나 하고 건축가역할은 한다고는 하지만 그 조직이 작아서 사회적 파급효과가 크지 않아 요. 사회적으로 드러나는 모습에서 그 사무소는 홍대출신 누가 한다 그런 게 없으니까 사회적으로 대등한 위치에서 말을 할 때 쳐지는 거 에요. 그동 안 건설 쪽에도 많이 갔고 제 느낌에는 적어도 한 2020년 정도 되면 우선 우리가 미비했던 건설 쪽에 일을 많이 할 거에요. 비록 우리가 건축학이지 만 그동안 끊어졌던 인테리어분야도 생겼으니까 해왔던 자리를 확고히 하는 시기가 올 것이고. 어떻게 해야 할 것이냐 보면 학생들 가르치면서 몇 가 지 생각해봐요. 한 건축가가 되기 위해서 설계, 교수, 연구소, 공무원 상관은 없는데 건축도 마찬가지로 전공했다고 그것만 하는 게 아니고 인문, 사 회적 사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일도 할 수 있을 거라 봐요. 유럽에선 이미 보편적인 일입니다. 때문에 학생으로 해야 할 일은 첫 번째는 창의 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소통하는 방식이 부족하지 않나 고민하는 것입니다. 너무 일방적이기보다는 좀 더 소통하는 사고가 필요합니다. 사회가 더 어려워지고 정작 하고 싶은 일은 할 수 없는 사회가 올지도 모르는데 학교 다니면서 뭐가 필요할거냐 하면 난 다양한 경험이 필요한 것 같 아요. 본인이 정확하게 잘하는 게 뭐고 할 수 있는 게 뭔지를 잘 모르는 거 같아요. 깊고 좁은 시야도 필요한데 그렇지 못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자기 사고보다는 교수가 시키는 거에 끌려가듯 생각하다 보니까 자기가 어디로 가고는 있는데 정확한 꿈이 뭔지 생각할 기회가 또 자립심이 부족하지 않 나 생각이 듭니다. 자신감에 대한 거라든가 남과의 소통이 부족한거죠. 홍대만이 아니라 건축하는 사람이 그렇겠지만 좀 더 소통하는 정신을 갖고 다 양한 경험을 해서 뭘 하든 리더로서 일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는 게 홍대 건축과가 해야 할 일입니다. 우리가 사회적으로 증명된 건 일을 잘한다는 거 지만 그런 사람들을 끌어갈 사람이 누가 있냐고 하면 별로 없고 그게 우리의 한계이기 때문에 실무는 문제가 안 되는데 더 위 상류계급을 가보면 우 리 숫자가 적고 끼려 그러지 않아요. 가봐야 뻔하다고 생각하고 본인이 언더에 있다는 생각이 강합니다. 난 다르다 같은 아집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그게 하나하나 우리가 해나가야 할 부분입니다. 왜 홍대사람들은 그럴까? 그건 두 가진데 교내의 풍이 그렇지 않은가? 또 하나는 가르치는 교수들이 너무 순한가? 그래서 끊고 맺는 걸 분명히 하지 못했나 싶어요. 그랬다면 좀 더 자립심 강한 학생을 키웠을 텐데 하는 생각을 해요.
교수님께서는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에서 공부하시고 파리로 유학을 가셨습니다. 건축 풍토가 어떻게 다릅니까? 유학에 대해서 말해주고 싶은 점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제가 유학을 가게된 건 1981년도에요. 물론 미국등도 갈 수 있었는데 유럽이 희소가치가 좋았고 파리 가는 사람이 또 국내에 별로 없었어요. 그 래서 갔는데 풍토라 그럴까 지금도 마찬가지겠지만 자연스럽게 사고하고 읽고 정리하고 요약하고 자기생각을 드러내며 살아온 아이들이 있었는데, 조그만 스케치 하나로도 몇 시간씩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았어요. 딱히 기발하거나 창의적이 아닌데 그냥 자기생각을 얘기하는 거죠. 한편으론 말하 는 게 아니라 들을 줄도 아는 거죠. 그렇게 살아왔지 때문에, 내 것만이 다가 아니고 그걸 아니까 소통도 되고 그런 풍토가 좋았었어요. 지금 와서 보 니까 우리가 그런것 같더군요. 다들 설명은 잘하는데, 교육이 바뀌었으니 그럴지도 모르죠. 그게 내용적 표현적으로 드러나야 하는데 그렇지가 않잖 아요. 나라는 거랑 표현이랑 도면이 따라가야 하는데 말이 없으니까요. 그걸 가서보니까 방법은 똑같은데 관찰력, 판단력, 표현력이 우리보다 좋았 어요. 배울 점이 많았어요. 또 많은 학생이 나한테 유학을 고민하면서 오는데 좀 더 자기 세계를 갖고 싶으면 유럽으로 가고 틀 속에서 빠른 시간 내 에 발전하고 싶으면 영어권으로 가라고 합니다. 영어는 배우면 사회 나가도 쉽고 유럽은 가면 말도 배워야하고 시간도 걸리고 사회적으로 열리고 시 스템화 되어있는 곳도 아니라 자기를 끌어주는 그런 힘이 없는 거에요. 유럽을 가서 생활할 수 있는 자신감이 있거나 문화적으로 미국보다 많은 사회 적 영향을 느끼거나 인문, 사회를 느끼고 싶으면 유럽을 가라고 했고 그렇게 많이들 갔죠. 지금도 가있고. 유학가기 위해 필요한 것은 뭘 하든지 그건 자기의 마음이에요. 자신감이 있어서 혹은 남이 가니까, 돈이 있으니까, 한 번 더 해보고 싶으니까. 그런 건 아닌 거 같고 뭔가 분명하게 할 게 있을 때
301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고르는 거예요. 그런 생각들이 분명해 질려면 자기 자신에 대한 걸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어야 할 거 같아요.
설계 스튜디오에서 마라톤 수업을 하십니다. 2시부터 늦은 시간까지 왠만하면 자리에서 일어나시지도 않고 크리틱을 해주시는데요, 어떻게 그 런 집중력과 체력을 유지하시나요?
이걸 이야기하려면 내가 학생한테 원하는 걸 먼저 이야기해야하는데 내가 학생한테 제일 원하는 게 뭐냐면 학생들은 본인 자신에게 자신감을 갖고 있으면 무언가를 시키지 않아도 해요. 근데 자기가 뭘 잘하는지 알려면 짧은 시간을 들여서 순간적으로는 모르고 인내심이 필요하거든요. 그걸 가지려면 상당기간 자기시간을 투자해야하는데 그걸 안하면 자기 자신을 몰라요. 그래서 내 수업시간 동안 2시에서 10시까지 그 시간만은 어찌됐든 집중하게 되잖아요. 본인이 그 시간을 보내면서 습관도 되고 그 과정에서 자기가 어떤 사람인지 발견하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집에 가 면 휴대폰이나 컴퓨터 이것저것 다 있어서 산만하니까 비록 우리 학교가 열악한 환경이지만 그나마 다행인 것은 한 장소에서 모여서 평소보다 다른 것들 하지 않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러면서 후회하는 건 저도 소통의 사고가 부족한 사람이구나 싶었어요. 제 얘기를 너무 많이 하니까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줘야 하는데 제가 눈치가 빨라서 학생들이 말하려고 하는 걸 너무 빨리 알아차리고 말을 안 듣게 돼요. 그 다음은 잘할지도 모르는데. 그래서 요즘 말할 기회를 줄이려고 하고 좋은 점 이야기하려하는데 자꾸 틀린 걸 지적하게 돼요. 근데 그게 자라온 과정이겠지요. 저는 틀린 게 뭐냐 고 물어보는 세대였지, 이거 잘했다 하고 칭찬해주는 세대가 아니었으니까 그렇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저는 이제 수업하는 시간만큼은 제 시간을 줄여서 오래 같이 있고 싶어요. 그래야 개개인에 대해 잘 알 수 있으니까.
교수님의 고유한 취미나 활동에 관하여 이야기 해주세요. 혹은 좋아하는 것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이야기해주세요.(만년필, 자동차, 패션, 가 방, 여행, 우표 수집 등등)
전 취미는 영화를 보는 걸 좋아하고, 건축을 하는 눈이 패션을 하는 눈과 비슷하다고 생각을 많이 해요.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심리적인 것 이 필요한데 그게 바로 옷인 것 같아요. 색깔도 그렇고 어떻게 하면 본인들이 색의 매치를 잘 하고 어떻게 하면 더 좋을 지 늘 입는 옷에 대해서 관심 을 갖고 봐달라는 거죠. 맨날 까만 옷만 입으면 어쩔 수 없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관심가질 여지가 있어요. 물론 옷 같은 것에 신경 안 쓰는 사람도 있 고 스티브잡스처럼 청바지만 입는 사람도 있다고 말하면 할 말은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항상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런 패션쇼에 가진 않지만 비디 오를 보고 가끔 가서 들여다보기도 하고 올해는 어떤 색이나 디자인이 유행인지 보기도하고 직접 해보기도하고 제가 그런 게 있는 거 같구요. 또 하 나는 자동차를 좋아해요 만약에 '너한테 돈을 얼마 줄게 차를 사라' 그러면 똑같은 가격이라도 만약 1억이라고 치면 벤츠, 아우디, 포르쉐 등등 뭐 많 이 있겠지만 본인이 뭘 택할까가 중요해요. 지프차, 스포츠카, 위엄 있는 에쿠스 이런 차의 종류에서도 저는 이걸 고르는 기준도 자기 디자인의 영역 하고 어느 정도는 같다고 봐요. 디자인이 아니라 사고방식이더라도. 그 이유는 왜냐하면 저한테 사라고 한다면 스포츠카 살 거 같아요. 그래서 지금 저는 2인승 스포츠카를 타고 신경 안 쓰면서 나름 하고 싶은 데로 살고 있는데, 뭐 이렇게 자동차랑 패션에 저는 관심이 좀 많아요. 그런 것들이 설계 나 사고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또 좋은 거라고 비싼 거라고 다 좋다고 생각하진 않고 자기 여건이 되는 데로 그게 최선이라고 보고 자기가 고 른 거에 대한 판단력, 기준이 없으면 못사는 거잖아요. 비싼 거든 싼 거든 금액부터 디자인, 색깔 등등 자기기준이 있으면 여건에 맞게 되잖아요. 남 이 하는 거 사버리면 후회해요. 자기한테 안 맞으니까. 그게 설계랑 똑같죠. 귀가 얕고 믿음이 없으니까 그래서 막 바꾸고 그렇게 하다보면 진행이 안 되고 생각만큼 결과가 안 나오게 돼요. '10만원 있으니 10만원짜리 좋은 거 주세요' 하면 실패는 안하겠지만 결국 스스로 판단을 못하고 남의 의견을 묻게 되어 있어요. 그게 창의적 생각에는 좋은 게 아니죠. 자신만의 기준이 필요한데 그걸 학교 때 갖지 않으면 쉽지 않아요. 후엔 다른 여건이 많지 만 학교 땐 그게 용납되는 사회니까 생각의 기준을 정리할 필요가 있어요. 다양한 경험이 중요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소통의 사고가 필요 합니다.
302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Youngsoo Lee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Youngsoo Lee Professor of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You have become a vice president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in 2012. What activities do you mainly do? And what is your plan of 2013?
60 years have past since the found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However, since our school students work in design field rather than education, people usually participated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s, and none have worked as an executive. For that reason, with KAAB and 5-year system being adapted, our school have become standardized and uniqueness have faded out.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have become complacent. There was a need for an activity in the Institute to create some kind of rivalry even between professors. As I'm in education field, I decided to run for an Architectural Institute. I had never thought of being an executive since it is an elective office, but thanks to the alumni, I was elected as a vice-president. I‘m in charge of about 60 research committees. Until now, architecture field has been overly focused on architectural design. However, when economy is poor or going through recession, theory and criticism field get active. For the past ten years, architectural design field has been our only and most high priority. In every social department, architecture in contained as engineering. When you type architectural design in government department organization chart, there aren't such thing. You have to find it through engineering or humanities. I find my work here, to strive for an independence of architectural field. Visit the site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you will find out that architecture goes through several steps.
How is the social status of present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What part should be emphasized more? Give us an advice as an older alumnus.
Strength of our school is that people try their best with creativity. However, the weakest point is lack in leadership. Though historically our school had been superior, social influence doesn't go along with that fame. Many students were introvert and about the time when current alumni in their 60's, 70's studied in school, it was architecture art major, thus many people are working in interior field. Influential interior architecture fim of these days are run by Hongik School alumni. There aren't alumni with big group. Instead, many people run small atelier or work in government or school. Though many alumni work as architects, their group is small and aren't influential. As there aren't such thing as 'That firm is run by Hongik alumni', we don't get power in social status. Quite a lot of students go to construction field, and interior architecture is finding its place. Someday, we will be able to make our position firm. To be an architect, majoring in architecture isn't enough. Building knowledge on humanities, social studies are demanded. This is already spread in Europe. Thus, firstly, students should have creative thoughts, and secondly, strive for various communication method. Get away from one-sided mind and be more communicative. Through university life, you should experience various things. You seem to not even know what you are good at and what you can do. You don't even have the independence to think of your dream. It is a lack of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To be qualified for a leader with communicative mind and diverse experience is important. It is socially proved that we are a good worker, but a person to lead those people doesn't exist a lot among us, and that is our greatest limit. Upper class people don't let us in. They have a strong awareness that they are at the under. This is what we should get over. I personally figured out two reason. First is because of our school's tradition. Another assume is that
303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professors might be naive. I get to think, if the professors had been more clear and sharp, students might have been more independent.
You majored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in Hongik University and went over to Paris to study. How is a trend of architecture different from Korea? What would you like to say about studying abroad?
I went to Paris in 1981. At that time, there weren't many people going to Europe for study. There were students who natural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those people talked for hours with even a little sketch. It isn't that brilliant nor creative. They are just talking what they think. They also listens to other's word. I liked the atmosphere where people communicate freely. We explain well but it isn't expressed well. People of that country were better in observation, judgment and expression. When students come to me for an advice of going abroad, I recommend Europe if you want to find your own world and English-speaking country if you would like to grow up in a short time. You have to learn the language and it takes time and there aren't any strength that leads me since it isn't systemized well. I recommended Europe if you have a confidence to live in Europe, and if you would like to feel humanities and society. But above all, it is your endeavor needed to go abroad. You choose it because you have clear objective, not because others go, nor because you have money. To make your objective clear, you should know about yourself in advance.
You run a marathon critique i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You rarely leave your seat from 2pm till late time. How do you keep such concentration and strength?
Before talking about this, I need to talk about what I want for students. When students are confident, they do things before I request them. However, you need patience to find out what you are good at. You have to have great deal of selftime, and with out that, you don't know yourself. But at least during my class from 2 pm to 10 pm, they get to concentrate. At home, there are disturbances such as phone, computer but at studio, we could spend time doing relatively less things than usual. I hope that time to be an opportunity to find out about themselves. But at the same time, I realize that I also lack communication. As I talk much and have quick wits, I don't get to listen to students. So these days, I try to talk less and praise them, but still I get to point out wrong points. That is how I grow up. In my generation, we weren't praised for what we've done good. So, at least for my class time, I want to lessen my time and spend with them. That way they will get to know more of themselves.
Do your have your own hobby or personal activities? Or tell us about how your liking has changed. (e.g. fountain pen, car, fashion, bag, traveling, post stamps)
I enjoy movies. I think an eye for architecture and an eye for fashion is quite similar. Psychological thing to read people's mind is required and that is clothes. People want attention to themselves of how they dressed, what color match they tried. Unless you always wear black clothes, there's a need for an interest. Of course there are people who aren't interested in fashion and there are some people like Steve Jobs who always worn jeans. But personally, I watch videos once in a while and check fashion or color trends. I also like cars. Which car we choose is important, when we don't have to mind about the
304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Youngsoo Lee
money. Above many cars like Jeep, sports car and Equus, criteria for choosing one's own is somewhat a personal design taste. If I would get to choose, I would buy a sports car. Like this, I'm quite interested in cars and fashion. I don't think expensive one is unconditionally good. Choosing your own in the limit you could afford is the best. For that, you need your own criteria. If you buy what others buy, you regret. It is same for architecture design. If you don't have firm opinion, you get to be swayed by other's word. It interferes design process and outputs aren't produced. When you say 'I have one hundred thousand won. Give me the best.', you wouldn't fail, but you lose your judgement. It deters your creative thinking. You need your own criteria and it is hard to get unless you are in school. In society, there are many conditions. However, school is much more acceptable in that aspect. You should experience more and communicate with various people.
305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교수님과의 대화
이현호 교수님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실내건축학과장
자기소개 한번 부탁드립니다.
나는 이현호라고 하고 40대 초반의 건축가입니다. 그리고 건축가로서의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살고 있고 그리고 지난 5년간은 그중에서도 특히 3년간은 내가 선생님이다 라고 생각하고 살고 있습니다. 내가 어렸을 때는 그러니까 처음으로 건축가가 되기로 마음먹었을 때는 나중에 유명 한 건축가가 되어서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오래 남아야지 이런 생각들을 하고 살았었는데 요즘에는 정말 좋은 교수님으로 혹은 선생으로 내 제자들 에게 기억되는 것도 인생에서 중요하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두 가지입니다.
교수님 설계사무소 키아스무스의 뜻과 소개를 해주세요.
키아스무스는 내가 대학원 다닐 때 작업했던 스튜디오 프로젝트 제목이었어요. 우리가 인생을 살고는 있지만 사실 죽음이란 게 항상 같이 가잖 아요. 이렇게 삶과 죽음이 항상 같이 가는데, 특히 삶에서 누군가 가까운 사람이 죽었을 때 사람들이 죽음에 대해서 삶 속에서 강하게 생각하게 되는 과정이 있어요. 이와 같이 상반된 개념들이 이렇게 한번 뒤집어지는 과정과 병행하는 개념들이 교차하는 상황들을 키아스무스라고 합니다. 그 때 스 튜디오 주제가 공동묘지였어요. 살아있는 사람이 죽음을 경험하는 공간이죠. 그런 교차되는 상황들을 이야기하는 게 주제였어요. 그리고 키아스무 스는 그리스의 문법용어로 교차되었을 때 강조하는 어법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리고 John F. Kennedy가 국가가 국민을 위해서 뭘 할 수 있는지 묻 지 말고 국민이 국가를 위해서 뭘 할 수 있는지 물어 달라 라고 이야기하는 이런 문법을 키아스무스라고 합니다. 국가와 국민을 바꾸어 놓고 강조하 는 용법이죠. 그래서 되게 재밌게 다가왔고 이게 사물의 뒷면을 바라볼 수 있는 방법도 되겠다고 생각했죠. 우리 삶에서 죽음이란 같이 가는 개념인
306
데 간과해버리는 것 처럼,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을 보아야 하거나, 봐야 될 때 볼 수 있는 개념을 보자라는 마음으로 키아스무스라고 지었습니다. 그 래서 우리한테는 디자인을 할 때 키아스무스가 좋은 단초가 됩니다. 그러니까 예를 들어 인천아트센터에서도 그랬는데 그 건물을 짓지만 말고, 짓는 것 이전에 짓지 않아야 될 것들을 먼저 찾아본다거나 하는 것들을 찾게 합니다. 역설의 부분들이 엄청 많아요. 양면성의 부분들도 많고. 이러한 것들 을 바라볼 때 키아스무스가 우리에게 설계방법이 되는 것은 물론, 모든 프로젝트에 키아스무스적 사고를 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지요.
많은 학생들이 자신과 마음이 맞는 사람과 함께 일하고 싶어 합니다. 교수님의 경우 설계 사무소를 파트너와 함께 운영하십니다. 파트너쉽에 대 해서 알려주세요. 무엇이 중요한가요?
미국에서 대학원을 다닐 때 한 수업에서 교수님이 그러셨어요. 파트너쉽의 NO.1 룰은 파트너쉽을 하지 않는 것이라고 하셨어요. 파트너쉽을 하 는 것이 멍청한 짓이라는 이야기를 들었죠. 건축이라는 것 자체가 항상 보편적인 가치들을 가지고 이야기하게 됩니다. 역사나 사회적인 그런 가치들 이요. 집을 지어내고 만드는 과정을 보면 다른 대기업들과 다르게 우리와 같은 아뜰리에는 ‘나’라는 필터로 보편성의 가치들이 걸러져 나오는 거라 는 생각이 들어요. 그런 보편성들이 개별화되는 과정이 작가의 창작과정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내가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는지 그리고 해석 하는지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 과정 속에서 나라는 건축가의 Ego가 생깁니다. 세상 건축가들은 모두 Ego라는 게 있습니다. 건축가들은 이렇게 다 자신의 필터가 있는 거고 남의 집을 짓는다지만 자기가 바라보는 세상을 짓는 것이 아닐까요? 이렇다면 두 사람의 Ego라고 하는 것은 조금 위험한 일 일런지도 모르지요. 두 사람이니 다수결로 결정될 수도 없고 사실 디자인 사무소를 하면서 두 사람이 한다는 게 말이 안 되는 겁니다. 특히 제자들 에게 얘기할 때는 말이 안 되는 일이니 하지 말라고 이야기 합니다. 디자인에는 민주주의가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 파트너쉽은 좀 독특해요. 그 친구 랑 나랑은 10년간 친구였는데 그때는 프로젝트를 같이 한 적이 없었어요. 술만 먹고 그랬죠. 그 당시 미국에서 있었는데 거기서 둘이 유일한 아시안 이었어요. 그러다보니 놀고 이야기하고 친해졌죠. 그래서 둘 다 가진 게 없었으니까 같이하자 해서 만난 거에요. 우리를 보고 남들에게 파트너쉽이 좋은 것 같다는 말 많이 들어요. 파트너쉽을 굳이 한다면 중요한 게 두가지 있는데 한 가지는 서로를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에요. 이것은 굉장히 중요 한 것 같아요. 사람들 특히 디자이너들은 새로운 것들에 대해 마음이 열려 있어야 하는데 특히 어떤 인관관계든지 마찬가지이기는 하지만 파트너쉽 은 더더욱이 그 관계가 극대화되는 상황인데 섣불리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이다 하고 판단하면 안되는 것 같아요. 그건 그 사람의 한 단면을 극대화시 킨 거잖아요. 우리는 서로를 정말 존중해요. 저의 경우에는 신뢰와 존중이라고 하는 절대적인 믿음을 가진 정말 특별한 친구이자 파트너라고 생각합 니다. 또 한 가지는 오픈 마인드인데 뭐냐하면 이런 경우죠. 저는 제 파트너가 안 이쁘다 하면 그 자리에서 확 바꿔요. 서로 혹독하게 크리틱을 합니 다. 나를 앞세우는 것보다 더 좋은 디자인에 대해서 겸손하게 되요. 더 이쁜 걸 위해 남의 말을 듣는 건 중요합니다. 좋은 파트너쉽을 가지는 것은 어 려운 일이지만 생각해 보면 제대로 된 파트너쉽을 찾기만 한다면 참 좋다고 느껴요. 두 가지 측면에서 그런데 첫째는 운영하는 것에서도 느끼는 건데 요즘은 다 콜라보레이션이에요. 두 번째는 오픈 마인드, 존중입니다. 경청준비가 돼있을 때죠. 인간이 발전할 때는 이너 보이스가 굉장히 중요하잖아 요. 자신을 거스르는 소리를 듣는 거 말이에요. 그래서 파트너쉽은 제대로 된 사람을 만나는 조건 하에는 굉장히 좋다고 느껴요.
현재는 어떤 설계를 하고 계신가요? 교수님의 건축 언어는 무엇인가요?
옛날엔 Great Architecture를 만들고 싶은 욕망이 많았는데 요즘은 Good Architecture를 만들고 싶어요. 새로운 것을 찾기보다 나를 들여다보려 고 애를 많이 씁니다. 또 하나는 뭐냐면 너무 새로운 것들은 추구해 온 것 같아요. 이게 특히 실내 건축 가르치면서 나도 많이 바뀌고 느끼는 건데 현 대건축이 진행돼오면서 빠트리고 있던 게 발견되기 시작했어요. 예를 들면 실내건축은 디테일도 강조하고 색깔, 크래프트맨쉽, 가구와의 조화 등을 강조하는데 이게 건축이 아니냐면 건축이 맞아요. 원래 건축에 녹아 있던 것들입니다. 빠트리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사실은 작가로서 한 사람 이 건축을 하는 과정은 길어야 30년, 40년, 50년 이렇게 되는데 실제로 우리가 좋아하는 건축적 가치는 적어도 5만년 이상 쌓여온 것들입니다. 그런 인간 문명의 가치들이 한사람의 30년 가치에 다 녹아 들 수가 없어요. 그래서 우리가 사실 여러분들이 최근에 줌터같은 사람들의 건축에 감동 받는 것도 뭔가 새로운 것을 발견한 것이 아니라 잃어버린 분위기, 가치들을 다시 발견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거에요. 새로운 스타일의 이슈를 넘어서서 원래 그 공간의 감각들이 있잖아요. 놓쳤던 것들을 다시 찾아보고 새로운 건축언어를 추구한다기보다 원래 있어야 될 건축 언어들을 다시 복원하고 건축의 좋은 덕목들을 최대한 많이 반영하려고 하는 게 더 중요한 것 같아요.
307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실내 건축학과가 생긴지 7년이 되었습니다. 요즘 점점 실내 건축에 관련된 공모전이 많이 생겨나고 있고 우리 학교의 실내 건축학과 학생들이 공모전에서 많이 수상하고 있습니다. 실내건축학과의 강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소견을 말씀해 주세요.
실내건축학과가 우리 홍익대에 생긴 건 제 인생에서 가장 큰 프로젝트에요. 개인적으로는 세팅 자체에 대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왜 냐하면 사실은 우리나라 다른 명문대에는 실내건축학과가 만들어져 있지 않아요. 그래서 국내에서 가장 우수한 학생들이 들어오는 세팅을 가지고 홍익대의 오랜 건축 전통을 바탕으로 한 이런 좋은 조건을 가지고 뭔가 못해내면 난 정말 바보라는 생각을 했었어요. 홍익대학교라고 하는 그릇이 너 무 좋았기 때문에 정말 좋은 학과를 만들어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홍익대학교 실내건축과의 강점이 어디서 드러나면 사실상 한국의 건축교육이 못 담아내는 것들을 담아내는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실내건축이라는 건 근본적으로 상업건축의 발전과 관련이 있어요. 세상이 빨리 변하고 그런 것 들을 다 못 담아내는 것 같습니다. 디자인 분야가 너무 폭이 넓어지고 원래 가르쳐야 됐던 것들을 다 못 가르치는 것 같습니다. 잃어버린 가치 얘기 했었잖아요. 그런 것들을 완벽하게 보완해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으면 정말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홍익대 실내건축의 큰 강점은 여러분 실 제로 못 느낄 수도 있는데 미대의 전통이라는 게 있어요. 크나 큰 자산이에요. 개별화된 표현을 할 수 있고 영향을 받으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미대 를 우리 전통 속에 녹여내려고 애를 쓸 거에요. 세팅이 근본적으로 좋고 저는 아이텐티티의 문제에 있어서도 아직 코멘트 많이 할 거에요. 건축이든 실내건축이든 이게 테두리로 작용하면 안돼요. 디자이너는 근본적으로 테두리가 있으면 안돼요. 가장 작은 데까지 근본적으로 쭉 들어갔다가 가장 큰 데까지 늘어날 수 있어야합니다. 나도 작은 인테리어도 하고 큰 것도 하고 아트센터 마스터 플랜이나 대학교 마스터 플랜도 하지만 건축교육을 하 는 것이 되게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배운 사람은 스케일에 대해 굉장히 자유로워집니다. 규모에 대해서 많이 배운 사람일수록 그런 것 같아요. 실내 라는 것들이 울타리가 아니라 생각의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안에서부터 생각하자는 거죠. 실내라는 건 방향이지 울타리는 아니에요. 할 수 있는 게 너무 많고 사실은 우리나라 건축가들이 졸업하고 설계하는 비율이 줄고 있는데 외국들 특히 선진국들은 더 줄고 있어요. 이게 무엇을 시사하나면 건 축교육이 기술교육이 아니라 정말 교양교육이고 인문교육으로 가야한다는 거에요. 이렇게 갔을 때 상상력을 키워서 올바른 방향으로 갈수 있게 하 는 거죠. 좋아하는 걸 찾아내게 하는 거죠. 설계하는 20~30%를 위한 교육이 아닌거죠. 여러 학생이 나와야 합니다. 건축적인 이야기도 하고 그랬지 만 실내건축학과는 좀 더 다양해질 수 있을 겁니다. 좋아하는 걸 몰라서 못 찾는 경우가 많아서 다양성을 많이 줄 수 있도록 수업을 넣었어요. 우리 가 잘되고 안 되고는 15년 정도 앞으로 7,8년 후 졸업생을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지금 하는 걸로는 판단할 수 없어요. 졸업생들은 실제로 다양한 분 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광고, 홍보, 설계, 인테리어 다 있어요. 영화미술감독사무실에서 일하는 친구도 있고요.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것은 2020년 정도에 정말 더 다양한 분야에서 더 다양한 성과가 나왔을 때 드러날 것 같아요.
건축 및 건설 경기가 안좋아지고 있어서 학생들이 많은 불안감을 가지고 학교를 다니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재학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해주세요.
다른 말을 하는 것보다 낙관적이 되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그 근거를 경기가 좋아질 거다 라고 이야기하고 싶진 않습니다. 내가 경험한 바로는 긍정의 힘으로 버티는 친구 들 중에 성공한 친구들을 많이 봤어요. 주체가 버티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예를 들어서 미시간 대에 있을 때 한 후배는 그렇게 말했어요. 걱정을 왜 해야 되는지 모르겠다고요. 정말 훌륭한 자세에요. 걱정은 닥치면 해결하는 거 에요. 프로블럼은 풀어야 되는 문제에요. 닥치면 해결하면 되는 문제라서 미리 걱정하는 건 멍청한 짓 같아요. 닥치면 어떻게든 해결방법이 생깁니다. 우리는 해결하는 방법을 알잖아요. 미리 걱정 안하는 게 긍정적인 거에요. 좋아하는 걸 믿고 가는 게 중요해요. 계산해선 답이 안 나와요. 건설의 위기도 그런 게 우리들은 정말 위기소리 많 이 듣고 자랐잖아요. 신용의 위기도 있었고 자본의 위기, 건설의 위기, 북핵의 위기 등 각종 위기의 세대기 때문에 위기는 흘려들을 수 있어야 되요. 다른 얘기는 해주고 싶지 않고 그랬을 때 그 위기가 기회가 되는 거죠. 건설의 위기는 건축의 기회에요. 살아남는 사람이 승리자가 될 거에요. 여러분 들은 아직 어리기 때문에 시간이 있어요. 좋아하는 걸 할 때는 정말 좋아하는 사람이랑 결혼하는 거랑 똑같은 거 에요. 좋아하니까 버티잖아요. 그게 긍정이에요.
308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Hyunho Lee
교수님이 좋아하시거나 취미로 하시는 창의적 활동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인스파이어링을 만들어주는 특별한 취미활동은 없어요. 예전에 한 20년간은 담배를 멘탈 비타민이라고 생각하고 의지를 하며 살았었어요. 생 각이 안날 때는 잠깐 바람 쐬는 거잖아요. 하지만 저는 그러다 건강을 망쳤어요. 그래서 담배를 끊은 지 다섯 달이 되고. 하지만 사람이 크리에이티브 소스를 뽑아낼 때는 쉴 때가 필요하잖아요. 스탑할 때가 필요한데 그때 커피를 내리면 스탑이 되요. 생각의 시간이 되는 거지. 그걸 나는 뭐라고 생각 하나면 Outlet, Drain 이 있어야 되요. 정말 있어야 되요. Outlet으로 활용하고 있는 게 이런 거고 쉬는 게 아니라 정신을 쏟아 부울 데가 있어야 해요. 피아노도 배웠죠. 작년 1년간은 계속 이렇게 Drain을 찾았어요. 또 나는 자동차도 좋아하고 여행도 좋아하고 심지어 무언가를 모으는 걸 되게 좋아했 었어요. 여러 가지 냄비 같은 것도 모으고 그리고 세차를 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를 해서 삼일내내 세차한 적도 있어요. 금요일 퇴근하고 금토일을 내 리 계속이요. 그러면 혼이 빠져 차가 거울처럼 반작거리는데 한국 와선 그렇게 안하죠.
현재 건축대학 학생들이 꼭 읽었으면 하는 한권의 책이 있다면 어떤 것인가요?
저는 책보다는 중요한 게 있었어요. 건축가는 입하고 말보다는 손이 중요한 직업인 것 같아요. 손으로 뭔가 만든다는 인식이 중요한 것 같아요. 여러 가지 활동을 많이 했는데 시 나부랭이 소설 나부랭이 읽는 걸 뭐라고 했었어요. 그 시간에 발로 뛰어야 되고 뭐라도 하나 만들어야 된다고 생 각했어요. 책은 그렇다고 안 읽는건 아니고 읽긴 읽어야 되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나이가 35살 정도 됐을 때 다시 읽어야 될 책이 Ayn Rand의 The Fountainhead인데 Ayn Rand는 좀 독특한 작가긴 한데 이 책은 꼭 한번 읽어봤으면 좋겠어요. 건축가가 된 제자들에게 꼭 한권 선물해요. 영화로도 만들어졌죠. Ego의 문제라든지 이런 게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어요.
309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Hyunho Lee Interior Architecture Department Chair of Hongik University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introduce myself briefly, my name is Hyun Ho Lee, an architect in the early forties. I perceive my life as an architect very meaningful, and the last five years, particularly the last three years, I perceive myself as a professor as well. During my childhood, when I first decided I would become an architect, I simply wanted to be a famous architect that lives long in history. But these days, I also put value on being remembered as a professor as well. These are the two things I find important in my life.
Explain about your architecture firm "Chiasmus" and its meaning.
"Chiasmus" was the name of the studio during my graduate school years. As we live, we always have the concept of death beside us. Life and death is always together. we particularly think more about death when someone close to you pass away. "Chiasmus" is the situation when such two opposite concepts display inverted parallelism. At the time, the theme of the studio was the cemetery. That's the area where alive people experience death.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express the intersection of these concepts. On the other hand, "Chiasmus" is also a figure of speech, from Greek, in which two or more clauses are related to each other through a reversal of structure to emphasize a point. For example, John F. Kennedy left a famous quote using chiasmus" "Ask not what your country can do for you. Ask what you can do for your country". I found this word "chiasmus" very interesting and thought this could be an opportunity to take a look at the other side as well. In our lives, death is something we always carry along, and I wanted reflect on this fact when I actually could. This is why I named my firm "Chiasmus." Thus, chiasmus is a good starting point for our designs. It's always a good methodology. For example, when we were working on Incheon Art Center, we started by thinking about what we should not build, instead of what we should build. There are a lot of paradox and duality here. In every project, chiasmus is the methodology.
Many students want to work with a partner with similar thoughts. In your case, you manage your firm with a partner. What's important for a good partnership?
When I attended graduate school in the United States, one of the professors said in class "The No.1 rule in partnership is to not be in a partnership". He said partnership is the one of the stupidest thing. Architectural design by definition expresses itself based on certain principles and those are usually the most universal values, such as historical or social values. These values don't transform into a product in just one second, but in fact, we find something among these long existing values. Unlike big construction companies, when we make a house, we think these universal values go through a filter called "I". The process of individualizing these universal values is in other words the creative process of the artist. It is very important how I perceive and interpret the world. This is when an architect forms his ego. Every architect has his own ego. This way, each architect has his own filter and builds a house based on the world he perceives. Thus, two different egos of two different
310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Hyunho Lee
architect cannot be decided into one, according to the majority rule, and thus running an architecture firm by two people doesn't make sense, to be honest. I always tell my students to not run the firm with a partner. In design, there is no such thing as democracy. I do not recommend following that rule. But our partnership is a bit peculiar. He and I are friends for the past ten years, and we actually never did a project together. We did hang out together to drink, because we were the only Asians in school. We became closer as we spent time together. So we didn't start this relationship based on each other's ability, network, or design. When we start measuring the benefits, partnerships cannot work out. In those days, both of us were empty handed. That's why we were able to start together. Many people around us say we have a good partnership. If you insist on a partnership on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espect each other. People, especially designers, should be open to new things. In any form of human relationship, including a partnership, we should not judge a person based on one single side of that person. In our case, we really respect each other and try to look at the pros. Another important thing is open mindedness. For example, when my partner said he doesn't like it, I change it right at the spot. We critic each other very harshly. I become very modest with my design, instead of insisting on it. To make a better design, we have to open up our ears. If you have a good partnership, it is advantageous for the management and collaboration. When you are openminded, respectful, and ready to listen, you are ready. The inner voice is really important for men to improve. The voice that goes against yourself. That's why partnership could be very helpful, if you meet the right person.
What kind of design are you pursuing these days? What is your architectural language?
Before I had a strong desire to make "Great Architecture." But these days, I prefer working on "Good Architecture". I try to look into myself instead of looking for something new. I feel like I have been pursuing new things only. But as I started teaching interior design I myself changed a lot and started to find things we've been overlooking in modern architecture. For example, interior design emphasizes the details, color, craftsmanship, and harmony with the furniture. If someone asks if this is architecture or not, I would say yes. Before, these factors were part of the architecture itself. These days, we are missing these out. An architect works on architectural design for thirty to fifty years maximum. The architectural values we prefer, however, date back to 50,000 years ago. Such values of the civilization cannot be expressed in the thirty year value of one architect. Recently, the public have been interested in architect such as Zumthor, because we started to look back at the values we had forgotten for a while, and this is not because we search for totally new things. There are sense of spaces over issues of new style. It is more important to look back at the values we overlooked, restore the architectural language instead of searching for new ones, and to express these good architectural values.
It's been 7 years since interior architecture has been created. Recently, contests of interior architecture are increasing and students of our school are getting good results. What is the strength of interior architecture. Please give your opinion.
Forming interior architecture in Hongik university is the biggest project in my life. Personally, I thought its setting 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fact, there aren't any interior architecture major in other known university of Korea. I thought it would be foolish not to get the advantage of the Hongik university architecture's long tradition and with the premise that the most talented students get in to our school. Frankly, there are so many things architecture cannot handle. This is the
311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point interior architecture have the strength. World have become so complicated. Interior architecture is basically related to growth of commercial architecture, As world change rapidly, those changement aren't fully applied. Field of design has been even more wider and things students should be taught aren't fully done. I though it would be good to give a new start fully making up things like lost values I mentioned ahead. And, though you might not recognize, but Interior architecture of Hongik university gets the advantage in tradition of art school. Efforts to have our unique color and simultaneously to get influenced by them are being made. Fundamentally, the setting is in good condition, and I still have a lot to comment about matter if identity. This shouldn't act as a boundary, both to architecture and interior architecture. Designer should not have a boundary. Designer needs the ability to fall in to its deepest, most basic point, and then set back to its widest point. Though I handle from small interior design to art center master plan and university master plan, reason I put importance on architecture education is because those learned get free form scale. Interior is a way of thinking, not a border. I suggest to thinks from inner things. We have so many things to do, and those continue architecture after graduation are reducing, and even more in advanced countries. This phenomenon implies that architecture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of liberal arts, not a technique study. This way, students would improve their imagination and go forward the right path. It isn't an education for 20-30% of those who would be an architect. Various students should come out. Interior architecture would have more chance in this aspect. As students have difficulty finding what they like, lectures of various things has been made. Whether we are successful should be judged by graduates 7 or 8 years later. We can not judge yet. In fact, graduates are working in various areas. From advertisement, promotions, 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design to student working below supervisor of movie art, students are working in diverse field. If graduates work in more various fields with various outcomes in about 2020, we might evaluate our settlement as successful.
It is true that many students have worries since economy of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are getting bad. Would you give a word to students?
Being optimistic is important. I'm not saying that economy would be better. According to my experience, students who hold out with power of affirmation have a better chance to success. Junior in my Michigan university years once said he could not understand why we should worry. It's a great attitude. Worries could be solved when it is really given to us, problems are to be solved. Worrying before they even happen is a foolish thing. When it really happens, ways to solve those problems are always given. We know how to handle. Not worrying ahead is being optimistic, Trusting what one likes is important. Calculating and figuring it out doesn't help. Our generation heard of so many crises, from credit crisis, capital crisis, construction crisis to North Korea nuclear crisis. Don't be affected by those crises. That way, it will be a chance. Crisis of construction is a chance of architecture. One who lives is the winner. You people are young and have enough tume. Doing what you really like is just like marrying who you really love. You stand because you like it. That is optimism.
Do you have creative activity you enjoy?
I don't have special hobby that inspires me. For past 20 years, I though cigarette as a mental vitamin and relied on it. However, it ruined my health. It's now 5 month since I quitted smoking. Still, human needs resting to acquire creative
312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Hyunho Lee
source. I brew coffee to give a stop. It becomes a time for thoughts, for outlet and drain. Not just resting, but to focus deeply on something is needed. I learned piano. I found 'Drain' that way for the past 1 year. I also like cars and traveling. I even became interested in collecting something. I collect several kinds of pots, and once I researched methods of washing car and then spent whole three days washing my car, from Friday to Sunday. Then my soul drives out and car shines like mirror, but I don't do that in Korea.
If there would be one book you strongly recommend, what would it be?
I have more important things that books. Architect is a job that hand is important more than mouth and words. Perception that we make some things by hands is important. I gave words to those who read poem bits or novels. I thought going other places and making somethings in that time is more valuable. Of course, it doesn't mean that we don't need to read any books. Personally, I think a book to read once more in the age of 35 is 'The Fountainhead' of Ayn Rand. Ayn Rand is quite peculiar but I recommend to read it. It was made to a movie. Matter of ego is frankly expressed.
313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교수님과의 대화
장용순 교수님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조교수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홍익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역사 이론 분야를 담당하는 장용순이라고 합니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에서 10년 정도 있으면서 건축대학을 졸업하고 프랑스 국가 건축사 자격증을 따고 설계사무실에서 일하다가 건축과 연계된 철학 박사 학위 를 취득한 후, 한국에 와서 민현식 선생님의 설계 사무실 기오헌에서 일하다가 홍익대학교에서 임용되어서 여러분들과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건축, 역사, 철학, 영화 등에 대한 조예가 깊으십니다. 그 학문들 간에 공통점이 있습니까? 흥미를 가지시고 공부를 하게 된 계기가 있다면 무엇 입니까? 앞으로 또 개척하고 싶은 분야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어렸을 때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었어요. 고등학교 때 수학을 좋아하게 되어서, 수학과 그림 중 어느 것을 해야 할까 고민하다가 둘 다 할 수 있 는 건축을 하게 되었습니다. 영화는 대학교에 들어와서 보기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헐리우드 영화들을 보다가, 유학 가서 유럽 영화들과 제 3세계 영 화를 보면서 영화에 더 깊이 빠져들었던 것 같습니다. 유럽에 가서 여행을 하고 옛날 건물들과 도시들을 보게 되니까 그런 것들에 대한 호기심이 생 겨서 이것 저것 찾아보면서 역사를 조금씩 알게되었구요, 철학은 대학원 때 쯤에 서점에서 우연히 보게 된 책이 질 들뢰즈의 “철학이란 무엇인가”였 는데 철학, 과학, 예술을 가로지르는 내용이 너무나 박진감이 있고 재미있어서 점점 철학책을 보게 되었고, 유학가서 어학 연수 할 때 이해도 잘 안
314
되는 들뢰즈 책들을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과학이나 철학, 영화, 다른 예술, 건축이 서로 어떤 방식으로는 연결되어 있는 것은 확실하다고 생각합니다. 영화를 보다가 ‘이건 정말 건축에서 이런 것과 너무 유사하다’는 그런 느낌을 누구나 한번씩 받잖아요? 그런 거 같은 거 인데, 과학에서도 철학이 발견되고, 철학에서도 건축이 발견되고 하는 식이죠. 정확하게 어떤 종류의 관계인지 설명하기 어려워서, 멀리 있는 것이 서로 같이 울리는 ‘공명(resonance)’ 라는 용어를 써서 말할 수도 있겠죠. 앞으로 더 관심을 갖고 싶은 분야는 딱 정해져 있기보다 지금 관심을 가지고 있는 건축, 도시, 철학, 심리학, 물리학, 수학, 생물학, 영화, 기타 여 러 예술에 더 깊이 관심을 갖고 싶습니다.
교수님께서 건축과 결혼하셨다는 말이 있습니다. 어떤 점이 그렇게 매혹적인가요?
건축과 결혼했다는 말은 농담이죠? 건물에 들어갔을 때의 느낌이나, 도시를 걸을 때의 느낌, 광장이나 길 같은 도시의 어떤 장소에서 느끼지는 사람들의 움직임들, 아이들의 재잘거림들, 풍경을 볼 때 느껴지는 어떤 감동...이런 것들이 건축에 계속 관심을 갖게 만드는 것 같애요. 그러고 보면 누군가에게 반한다는 것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말을 불어로 번개가 친다라는 ‘쿠 드 푸드르(coup de foudre)’라고 하는데, 이런 것은 이성적인 성찰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기보다는 멍하니 있다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죠. 건축이나 도시, 장소, 풍경에서 그런 느낌들을 받을 때가 많은데, 그런 순 간의 감정은 두고 두고 다시 생각하게 되는 것 같애요. 그런 의미에서는 사랑에 빠지는 거라고도 볼 수 있기는 하죠. 사실 모든 건축을 좋아하는 사람 들은 다 이런 경험들이 있을 겁니다.
이름을 모르는 학생, 자신이 칠판에 적으신 수업 내용, 흥미로운 작품, 강의 등 사진을 늘, 항상 찍으십니다. 그것을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언제 다시 보시나요?
보통 학기 초에 학생들 사진을 찍는 것은 얼굴과 이름을 매치시켜서 외우려고 틈틈이 보구요, 칠판에 적은 수업 내용은 다음에 다시 수업을 할 때 어떤 내용을 가르쳤었나 하고 다시 보고, 흥미로운 작품 사진은 크리틱 할 때는 자세히 볼 시간이 없을 때도 있으니까 나중에 사진으로 다시 보면 서 이런 점은 이상했네, 이런 점은 참 좋았구나 하면서 봅니다. 학생들 사진은 길에서 마주치거나, 나중에 인사했을 때 얼굴을 기억하려고 틈틈이 보 죠. 컴퓨터에 저장을 해놓고, 틈틈이 보는데요, 기억력이 좋으면 한 번에 얼굴을 보고 기억할텐데 그게 쉽지가 않네요..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구축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아날로그 & 디지털(아날로그면 어떻게 철하시는지, 디지털이면 폴더의 트리가 궁금합니다.)
아마 거의 비슷할텐데요.. 아날로그 자료는 디지털 사진으로 찍어서 보관하고 버리는 경우도 많고, 귀중한 자료는 아날로그 형식으로 보관합니 다. 디지털 자료는 수업은 수업별로 분류하고, 여행 갔다 온 사진은 따로 모으고, 영화는 영화별로 분류해서 보관합니다. 핸드폰으로 찍은 사진은 그 냥 한꺼번에 모아두면, 사진에 찍은 날짜와 시간이 있기 때문에 나중에 찍은 날짜를 대략 생각해서 찾아봅니다. 사실 저도 잘 분류하는 건 아니죠..
많은 정보들과 지식들을 잘 정리하시고 알기 쉽게 설명해주십니다. 지식, 정보를 해석, 이해, 연결하는데 특별한 방법이 있으신가요? (ex. 이미지 로 상상, 머릿속에 엄청난 공간이 있는지)
특별한 방법이 있는 건 아니구요, 설명할 때 할머니나 어린 아기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했으면 좋겠다 하는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왠만하면 백 마디 말보다는 눈으로 그냥 보여주고 느끼게 하고 싶다는 욕심이 있습니다. 저희가 학교에 다닐 때는 교수님들이 수업 시간에 OHP라는 필름에 흑백
315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으로 복사한 사진이나 그림을 보여주면서 설명을 해주셨죠. 그렇게 봤던 건물들이나 도시들을 실제로 가보니까 정말 감동의 깊이가 다르더라구요. 그래서 열심히 설명하기보다는 보여주자라는 생각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설명의 순서나 흐름은 순서상 어떤 사진이 더 들어가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를 생각하면서 파워포인트를 이렇게 저렇게 바꿔보면서 정하구요.
수업시간에 항상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주시는데요, 그런 위트의 원천은 무엇인가요?
뭐 특별할 건 없는데.. 개그콘서트를 즐겨보구요.. 웃긴 퀴즈나 농담 시리즈들을 좋아합니다. 혼자 웃기 아까워서 학생들한테 얘기해주는 경우가 있는데 웃긴 얘기들은 금방 잊어버려서 제가 들은 걸 학생들에게 다 못해주는 게 아쉬워요. 정말 웃긴 얘기 많은데..
철학이 삶에 필요할까요? 고민을 해결해주는 실마리의 역할을 하나요? 건축, 삶에서 철학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그저 난해한 설명 이 아닌가 싶습니다.)
철학하면 플라톤, 데카르트, 헤겔, 니체, 들뢰즈, 공자, 노자 같은 철학자들이나 철학책들을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 철학은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부터 시작하는 것 같애요. 그런 의미에서 모든 사람들은 나름대로의 철학자이고 어떤 결정을 내리고 행동을 하는 것에는 이미 어떤 질문에 대한 대답 으로서의 철학이 들어있는 거죠. 그런 생각들이 모이고 모이고 해서 경험주의, 합리주의, 실존주의 같은 이름으로 정리되는 건데, 그런 이름들을 들 을 때는 뭔가 그 이름의 아우라에 짓눌려 버리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생활 속에서 친구와의 대화에서도 수많은 질문과 대답, 결정이 좋던 싫던 있게 되죠. 이런 것이 모두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삶 속에서의 철학의 역할인 것 같애요. 마치 우리가 알던 모르던 건축과 도시가 우리의 삶에 영향을 주듯 이. 그러고 보면 철학의 역할은 당신이 생각을 하고 있지만 생각하지 않는 것처럼 살고 있다는 걸 일깨워주는 것부터 시작해야할지도 모르겠다는 생 각이 드네요.
홍대 건축 학생들을 가르치신지 3년이 지났습니다. 세계건축사, 현대건축, 공간론, 1,4학년 스튜디오 등 다양한 수업을 가르쳤는데, 학생들의 분 위기가 어떤가요?
학년마다 분위기가 약간씩 다른 것 같은데요, 학년이 높아질수록 진지하면서도 동시에 근심에 찬 분위기가 되는 것 같애요. 저학년은 천진난만 하면서도 의욕이 넘쳐서 아주 사소한 것도 정말 열심히 하려고 하고, 학년이 올라가면 현실의 벽에 부딪히고 취업의 걱정에 시달리면서 일부 학생들 은 얼굴에 근심의 그림자가 많이 보이고, 일부 학생들은 건축에 점점 빠져들면서 진지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것 같애요.
수업 시작 전에 항상 학생들에게 자기소개서를 써오라고 하십니다. 그 중 자신이 좋아하는 도시, 건축가에 대한 카테고리도 있는데 교수님께서 좋아하는 도시는 어디고 건축가는 누구인가요? 항상 궁금했습니다.
사실 그게 저도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바뀌는데요. 아직까지 꾸준히 좋아하는 건축가는 르 꼬르뷔지에와 렘 콜하스 입니다. 이 두 명은 여러 측면에서 욕도 엄청 많이 먹긴 하지만, 엄청나게 많은 새로운 문제 의식들을 제기하고, 건축이라는 것이 어떤 것들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들을 열어 젖힌 건축가들인 것 같아요. 그리고 건축이라는 것이 동시대의 문제의식을 어떻게 받아들이면서, 다른 분야들과 호흡하면서, 그 시대의 사회, 도시 문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고민한 사람들인 것 같애서 존경합니다. 물론 그들이 제기한 해법들이 문제가 많은 것도 있기는 하지만, 문제를 제기 하는 힘, 가능성을 열어젖히려는 용기, 자유를 향한 열망 같은 것에 끌리게 됩니다. 좋아하는 도시는 파리, 시에나, 산 지미니아노, 산토리니 같은 곳을 좋아합니다. 옛날 도시의 느낌을 가지고 있고, 주변의 풍경과 잘 어울어지는
316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Yongsoon Chang
도시들이죠.
교수님께서 세상이 다르게 보이는 깨달음을 겪은 순간이 있었나요?
음.. 어려운 질문이네요.. 건물을 보거나, 전시회에서 작품을 보거나,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거나, 곰곰이 이런 저런 생각을 하다가 문득 ‘아, 이 게 이런 거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것이 세상이 완전히 다르게 보이는 깨달음이라고까지 얘기할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어요. 그런데 그런 일들이 겪으면 문득 문득 알고 있었던 것이 다 낮설게 보이죠. 그리고 흩어져 있는 것이 다 연결되서 보이고...
교수님께서 다녀오고, 공부하신 수많은 건축물 중에서 ‘여기서 살고 싶다!’ 고 생각한 곳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주택이나 집합주거는 실제로 내부를 방문할 수 있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방문한 건물 중에 ‘여기서 살고 싶다’라고 말할 수 있는 건축물은 많지 않은데요.. 루이스 칸의 주택 내부가 아늑하고 따뜻한 느낌이 나서 좋았었고, 스티븐 홀의 넥서스 월드 주택은 외부 정원까지만 들어가 봤지만, 내부가 굉장히 재미있어서 싫증나지 않게 살 수 있을 것 같애요. 살아보고 싶은 도시를 말해본다면 스코트랜드의 에딘버러 같은 도시나 토스카나의 작은 마을들, 산토리니 같은 그리스 섬에서 살아보고 싶어요. 그런 곳들에 가면 이 세상을 벗어난 어딘가에 와 있는 것 같은 생각이 들어요. 주변 풍 경이 정말 좋아서 마음이 안정이 되고 평화로운 느낌이 들것 같애요. 그런데 그런 곳도 한 달 이상 있게되면 다시 도시가 그리워질 수도 있겠네요. (웃음) 그러다가 다시 서울이나 파리 같은 대도시로 돌아올 것 같기도 해요.
2012년 건축과 학생들이 파리 퐁피두 센터에서 교수님을 목격하였고 인사를 드렸더니 사진을 찍고 유유히 사라지셨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 습니다. 여행을 하면서 재밌었던 에피소드가 있나요?
아, 그때 만난 두 명의 학생들이 아주 특이한 학생들이었어요. 자동차를 렌트해서 도시 외곽에 숙박을 하고, 시내를 스케이트 보드로 여행하는 학생들이었죠. 참 신기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옛날에는 다들 유레일 패스로 여행을 했었고, 그런 창의적인 방식의 여행은 생각할 수 없었죠 (웃음) 그 때 차라도 한 잔 사줬어야 하는데 경황이 없어서 그냥 자리를 떠난 것이 좀 미안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여행을 하면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그렇게 많지는 않은데, 아일랜드 갔을 때 이런 일이 있었어요. 아주 깊숙한 시골 마을에 버스를 타고 갔는데 도착한 시간이 밤 12시여서 마을의 집들에는 불이 다 꺼져있고, 조명도 거의 없었죠. 가이드북에 유스호스텔이 있다고 나왔는데, 마을에서 꽤 떨어 진 곳이었어요. 버스도 없어서 걸어서 가야겠다고 생각하고 시골길을 계속 걷는데 조명도 없고 어디인지는 모르겠어서 암담한 상태였는데, 옆에서 ‘메~에’하는 소리가 나는 거에요. 양 옆에서 양떼들이 잔뜩 있었습니다. 이러다가 양들이랑 자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때 뒤에서 자동차 불 빛이 다가와서 손을 흔들어서 차를 세웠습니다. 트럭이었는데 문을 여니까 뒷자리에는 나뭇가지와 도끼가 있고 운전하는 사람은 얼굴에 상처가 깊 게난 공포영화에 나올 듯한 무서운 인상의 남자였습니다. 그 사람이 유스호스텔을 찾냐고, 데려다주겠다고 하는데, 트럭을 타야되나 말아야되나 하 다가 결국 탔고, 다행이도 유스호스텔에 데려다주고 그 사람은 떠나갔죠. 긴장된 순간이었는데, 순박한 사람인데 내가 오해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 습니다.
교수님의 설계 프로젝트는 언제 시작하실 예정인가요? 만약 자신이 원하는 곳에 원하는 프로그램, 원하는 크기 등 모든 조건을 교수님께서 결정 하실 수 있다면 당장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으신가요?
지금 당장은 어떤 프로젝트라도 맡겨만 주신다면 감사한 마음으로 열심히 할 것 같애요.. 나중에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사회적이고 도시적인 프
317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로젝트를 하고 싶어요. 사람들에게 새로운 삶의 방식을 제안하고, 도시의 구조를 바꿀 수 있는 프로젝트를 언젠가는 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기존의 사회의 요구를 그대로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의 모습을 생각할 수 있는 어떤 것이었으면 하고 생각해요. 하지만 물론 처음 시작은 보통 작은 프로젝트로 시작하게 되겠죠.
항상 웃어주시고 학생들의 말을 경청해주십니다. 교수님의 학창시절, 유년기가 궁금합니다. 그 때도 그러셨나요?
학생 때는 선생님들의 말을 경청했던 거 같애요. (웃음) 생각해보니 말하는 거보다 듣는 거를 좋아했었네요. 그냥 얌전히 공부하는 평범한 학생 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렇게 말수가 많지 않았는데, 그때에 비하면 수업 시간에 3시간 동안에 계속 얘기를 한다는 것은 엄청난 변화죠. 어릴 때는 그 림이나 만화를 좋아했던 것 기억이 나요. 그리고 수학을 좋아해서 어떤 원리 같은 것을 찾으려고 했었던 것 같애요.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책, 영화, 음악을 알려주세요!
대학시절에 왕가위의 ‘중경삼림’을 재미있게 봤고, 유학시절에 워쇼스키 형제의 ‘매트릭스’를 봤는데 정말 재미있게 봤어요. 그 이후에도 많은 영화들을 보고 좋아하고 있지만 20대가 역시 감수성이 예민할 때라서 기억에 더 오래 남는 것 같애요. 대학시절에 무라카미 하루키의 ‘바람의 노래 를 들어라’를 재미있게 읽었었고, 그 사람의 단편 소설들을 재미있게 읽었었죠. 아까 얘기했던 들뢰즈의 ‘철학이란 무엇인가’도 빼놓을 수 없겠네요.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 한 말씀 해주신다면..
요즘 세상이 각박해지고 현실이 점점 힘들어지지만 꿈을 꾸기를 멈추지 않기를 권하고 싶어요. 기회가 된다면 여행을 많이 하고 눈 앞의 현실과 전혀 상관이 없을 것 같은 책이나 영화도 봤으면 해요. 사실 이런 기회는 사회에 나가면 거의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회에 아직 편입되지 않는 대학 시절에 누릴 수 있는 특권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318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Yongsoon Chang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Yongsoon Chang Professor of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Please introduce yourself.
Hi, I am Yongsoon Chang taking charge of history and theory part in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After achieving bachelor's degree and master's degree in architectur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I went over to France, where I stayed for ten years, graduating School of Architecture and working in an office. I achieved France Certificate of Architect and doctor's degree in architecture related philosophy. Coming back to Korea, I worked in architecture firm, 'kiohun' of Min Hyunsik. Afterwards, I came to Hongik University as a professor.
You have a profound knowledge of architecture, history, philosophy, movies and others. Do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Do you have other area you would like to learn?
I liked drawing when I was young. When I was in high school, I came to like math. Considering between math and drawing, I chose architecture, where I could do both. I started watching movies after coming to university. At first, I watched hollywood movies, then, after going to France, I got to enjoy movies of Europe and the third world and from that time, I fell into movies. Seeing old buildings and cities while traveling, I got interested in history of those places and gradually stacked it up. One day in graduate school, I happened to meet Gilles Deleuze's "What is philosophy". Text crossing philosophy, science and art impressed me much that I got attracted to philosophy. I am sure that science, philosophy, movie, architecture and other art are all related to each other in someway. You might have at least once felt 'This is so similar to architecture' while watching movie. It is like philosophy being found in science and architecture being found in philosophy. Since it is hard define their relations, I would call it a 'resonance', a simultaneous ringing of things far away.
Some people say you are married to architecture. What is so attractive about architecture?
You must kidding about getting married to architecture. Feeling that I get when entering a building, sense of walking a city, movement of people in square and roads, chattering of kids, impressed feeling of a scenery. All these things ceaselessly draw my attention. In French, you say 'coup de foudre' which means thundering for sudden occurrence of love at first sight. This thing happens in a second, not through rational introspection. Architecture, city, places and sceneries give me those sudden impressions, which I keep recalling for a long time. In that perspective, we might be able to express it as falling in love. Actually, those who like architecture would all have this experience.
You always take photos of students, notes on board, interesting pieces or lecture. How do you organize those photos? When do you take a close look?
Every new semester, I take photos of students to match their name with their faces. Taking photos of my lecture notes
319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on board is to see what I've taught on continuing class. And because I don't have enough time to take a look at every models during short time of critique, I take photos of interesting works to take a close look later. I usually go over student's photos to remember their face when I get across them. I save them on the computer and go through it from time to time. If I had a good memory, there would have been no need to do that work, but to say the truth, it isn't easy for me.
I wonder how you build your database. If digital, how is the tree of the folder, and if analog, how do you file them?
It may be same for all. I usually take photos of analog data to make it digital except for precious ones. Digital data are categorized as classes, trips, movies etc. Because photos taken by phone has the information of taken date and time, I just keep it as whole. Frankly, I don't organize it well.
You give us massive information in easily understandable way. Is there any special way of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the knowledge?
When I explain, I set potential listeners as elderly and kids. I also prefer showing than repeating words. When I was a students, professors showed us monochrome photos on OHP film. However, I realized that the depth of impression is totally different when you actually go there. That is why I prefer showing to talking.
You tell us entertaining stories during classes. What is the source of those wit?
There is nothing special. I enjoy watching 'GAG Concert' and I also like funny quizzes and jokes. I tell those jokes to make students laugh, but it is pitiful that I could not tell them all since my memory isn't that good.
Is philosophy necessary in our life? Does it become a clue for our worries? I wonder what the role of philosophy is in architecture and in our life.
When you say 'Philosophy', you might think of philosophers as Platon, Descartes, Hegel, Nietzsche, Deleuze. To say the truth, philosophy starts from posing a question. In that meaning, everyone is somewhat a philosopher. Every decision imposes an answer of a question. Thoughts gather and become isms such as empiricism, rationalism and existentialism. You are frightened by the aura coming from their name, but to tell the truth, you go through numerous of questions, answers and decisions in daily life regardless of your own will. I think that is the role of philosophy, as if architecture and city affects our life with nobody being aware. Maybe, philosophy starts from awakening that you live as if you don't think while you actually do think.
320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Yongsoon Chang
It's been 3 years since you have taught students in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From history of world architecture and modern architecture to studio of freshmen and junior, you have taught various classes. How is the atmosphere of students?
Atmosphere is bit different in each grades. As they become upper grades, they become serious but also anxious. Lower graders are naive and eager even at things very trivial. As they get older, they find the reality tough and some students worry about getting employed while some others fall more deeply in architecture.
You require self-introduction every semester. There is a category for favorite city and architect. What is your favorite city, and which architect do you like the most?
In fact, it changes as time goes. Though I consistently like Le Corbusier and Rem Koolhaas. These two architects, though they are criticized in many aspects, have posed many critical questions and extended the possibility of architecture. They were concerned about how an architecture will cope with the given problems of that time, with other area in harmony. Though their solutions have problems, strength of posing a problem, courage to open up its possibility and passion for freedom are what makes them attractive. My favorite cities are Paris, Siena, San Gimignano and Santorini. These cities have the sense of old cities and get along with the current surrounding view.
Have you experienced an enlightenment of this world?
It's a hard question. When I look at buildings, go to exhibitions, watch movies or read books, I sometimes realize the meaning of something I didn't realize before. But I can hardly say it as a realization of this world. Though those realization makes everything seems unfamiliar, and scattered thing seem connected.
Of many places you've visited, have you ever felt 'I would like to live here!'?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where we could not actually get inside, there aren't many that I have felt like that. House of Louis Kahn had a cozy feeling which I liked it very much. Nexus world housing of Steven Holl, though I couldn't go inside, has a very interesting plan, so I think I could live there not getting tired. To list cities that I would like to live, I'd like Edinburgh and Toscana of Scotland or Greece island like Santorini. They give a feeling of like being in other world. Surrounding sceneries make me peaceful. Though, one month there would probably make me miss the city. Then I would come back to big cities like Seoul or Paris.
There is a telling that our school students spotted you in Pompidou Center in 2012, and you took a picture of them and quietly walked away. Is there any interesting episodes while traveling?
321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Those two students I met were very peculiar. They rented a car and slept outside the city, and traveled around the city with skateboards. It was very interesting. In old days, everybody traveled with Eurail pass and nobody thought of other ingenious ways. I was sorry that I just left like that. I should have bought them a cup of te I don't have many episodes of traveling. There is one thing that happened in Ireland. I went to a small village on the countryside. It was nearly midnight when I arrived there and lights of all the houses were off. On the guide book, youth hostel was in that village, but it was a long walk from where I got off. I started to walk, but with no lights, I lost track of my location. And then I heard cries of sheep. There were a flock of sheep beside me. I was afraid I might have to sleep with the sheep. Then, I felt the beam of a car headlight. So I stopped the car. It was a truck and when I opened the door, there were branches and an ax on the backseat and the driver had a ferocious look. He asked me whether I was looking for the youth hostel and offered me a ride. For a second I was frightened but I got on the car and he took me safely to the hostel. I realized that I mistook a naive man for a fierce man.
When are you planning to start your own project? If you could choose every conditions like site and program, what would you like to build?
At the moment, I would do any project with gratitude. One day, when I get a chance, I would like to do a social and urban project. A project suggesting a new way of life and one that could change the organization of a city. It would be attractive to think of an image of a new society, not just following the present social requirement
You always listen closely to student's words. Could you tell us about your childhood and student days?
I remember myself as student listening closely to teacher's words. Now I come to think of it, I preferred listening to speaking. I was a normal student. I wasn't that talkative, so compared to that, 3 hours talk during class is a huge change, When I was young, I was fond of drawing and animations. And because I liked math, I tried to find some kind of principle.
What is the book, movie and music that greatly effected you in life?
While in university, Wong Karwai's 'Chungking Express' was impressive, and in Paris, I found Wachowski brother's 'Matix‘ amusing. I watched many interesting movies afterward as well, but as 20's are the most sensitive time, it is strongly embedded in my mind. I enjoyed reading Murakami Haruki's 'Here the wind sing' and his other short stories in my undergraduates. I could not leave out Deleuze's ’What is philosophy' as well.
322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 Yongsoon Chang
What would be your last word for students?
I would like to recommend not to stop dreaming. Though the world is getting more and more rough, I suggest to travel a lot, and to read books or watch movies that seems apart from the reality. In fact, these opportunities are rarely given when you go out to the society. It is a privilege that university students could enjoy.
323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교환학생 후기
황규현 École Spéciale d’Architecture
평소에도 학생 때에 누릴 수 있는 가장 갚진 기회는 넓은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정신적, 시간적 여유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방학 에도 여러 가지 학교 외 활동들을 시도하려고 노력해왔었는데, 이번 2012년 1학기에 교환학생이라는 기회로 빠리에서 한학기를 머무를 수 있었습 니다. 외국을 여행하는 것과 외국에서 살아보는 것은 분명 다른 느낌을 가져다줍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타 문화권, 타 학교의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 는 소중한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빠리에 소재한 ESA는 건축가이자 조경설계사인 오딜덱(Odile Decq)이 학장으로 재임하고 있는 프랑스 교육문화부 승인의 유일한 사립 건축학 교입니다. 홍익대학교 건축학과와 마찬가지로 설계수업이 주를 이루고, 나머지 수업들을 통해 구조, 역사, 이론, 도시 등의 영역을 공부합니다. 오리 엔테이션때 각 스튜디오의 교수님들이 한학기동안 진행할 스튜디오의 내용을 설명하고, 학생들이 고심해서 각 스튜디오에 수강신청을 하게 됩니다.
제가 선택한 반은 필립 바리에(Philippe Barriere) 교수님의 반으로, 주제는 밀도(Density) 였습니다. 이미 존재하는 사이트를 선택하여, 30%의 밀도를 증가시킨다는 개념으로 한학기동안 작업을 하였습니다. 학생들의 각각 다른 사이트를 선택하여, 그 규모나 밀도의 적용이 다양했습니다. 구 규모의 거대한 지역을 선택한 학생부터, 한 블록, 한 건물, 하나의 도로 등의 다양한 사이트를 선택했고, 밀도의 초점도 공간, 녹지, 교통, 상업시설, 동선, 주차시설 등 제각기 다른 개념으로 ‘밀도’라는 주제에 접근했습니다. 따라서 각자가 진행한 과제를 발표하는 수업시간에 다른 학생들의 발표 를 듣는 것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과정이었습니다.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온 학생들이 다른 사이트를 선정해서 진행하는 과정에서, 설계를 함에 있어서 문화적 배경의 차이나 공간과 건축을 바라보는 시선이 다르고, 그러한 차이가 설계에 그대로 드러난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기회였습 니다.
또한 학교의 설계수업 이외에도, 서울과는 다른 빠리라는 도시에서 생활을 한다는 것은 건축을 공부하는 학생이라는 입장에서 소중한 경험이었 습니다.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과 소통을 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문화적, 사회적 시선과 가치관이 어떠한 식으로 공간, 건축, 도시를 구성하는지를 몸 소 체험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서울과 빠리의 건축적, 도시적 차이점과, ‘왜 이러한 차이가 생겨나는가?’ 에 대해 생각해본다는 것은, 장기간 머무 르지 않고 단순히 여행을 왔었다면 절대 가질 수 없었던 소중한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이외에도, 빠리의 다양한 미술관, 박물관 그리고 각종 공연, 행사 등의 풍부한 문화적 인프라스트럭쳐를 누린다는 것은 건축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뿐만 아니라 한 명의 시민으로서도 많은 것을 성찰하고, 발 견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한 학기라는 시간은 다른 문화권의 생활을 경험한다는 측면에 있어서 다소 짧은 시간일지는 모르겠으나, 특히 건축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많 은 것을 발견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공간과 도시가 시민들의 가치관과 인식체계에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이러한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향후 건축을 지속적으로 공부할 학생 뿐만 아니라, 더욱더 폭넓은 사고가 요구될 세상을 살아갈 한 사람으로써, 한학기의 교환학생의 기회는 큰 도움이 되었고, 마찬가지로 다른 학생들도 이러한 기회가 주어진다면, 적극적으로 자신의 건축적, 문화 적 소양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24
Comment from abroad
Kyuhyun Hwang École Spéciale d’Architecture
I had a thought that the huge advantage of being a student is as physical, mental relaxation to experience a wider world. For that reason, I have tried to experience new stuff during vacation, and in spring of 2012, I got to stay in Paris as an exchange student. Staying in a foreign country is totally different from just visiting for a trip. Through this opportunity, I was able to interact with people of different culture and school.
Located in Paris, ESA is the only architecture school approved by France ministry of education. Odile Decq, architect and landscape architect is presently a dean. As it is in HSA, design studio is a main class, and there are rest of the classes like structure, history, theory etc. Students choose there studio after the orientation where professor introduce their each studio.
I chose Philippe Barriere's studio, whose project was 'Density'. After choosing a site, we progress with a concept that is density increases to 30 percent. Every single student chose different site, which brought up different application. Sites varied from the size of a street to a big district, and focus of its density were diverse, from green area, traffic, movement line, to parking facilities. So, even just by looking at other student's work, we were able to learn a lot. It was obviously shown that people from different background has different outputs, according to each cultural background and view of architecture.
Living in Paris, a city so different from Seoul, was also a precious experience for a student studying architecture. How human's cultural, social values affect when composing space, architecture, cities were shown in a course of communicating with various people. Thinking about the reasons of architectural difference between Seoul and Paris is something that I would have never thought of through a short trip. Also, enjoying abundant cultural infrastructure such as galleries, museums, performances and festivals as great experience not just as an student studying architecture but a just normal inhabitant.
Though one semester might seem slightly short to fully feel a different culture, it was a great value. We cannot ignore the fact that space and city is greatly influenced by people's paradigm. In an aspect that we can experience those facts, exchange student had been a great help. It would be an opportunity to eagerly broaden their knowledge of culture and architecture for students who get a chance to go abroad.
325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교환학생 후기
이진호 École Spéciale d’Architecture
학부 졸업 이후에 유학을 고민하거나, 새로운 환경에서의 공부를 원한다면 6개월간의 교환학생은 더할나위 없이 값진 기회입니다. 홍대 건축학과 교류관계를 갖고 있는 Ecole Speciale d’Architecture (ESA)는 프랑스 파리에 위치하고 있는 사립 건축대학입니다. 전세계 34개 대학의 학생들이 교환학생으로 참여하고, 유럽의 유명 건축가들을 초빙하여 스튜디오를 진행하여 다양함에 있어서는 엄청난 경험을 할 수 있습니 다. 각 스튜디오는 담당 건축가에 의해 커리큘럼에서 최종 결과물의 방향까지 다양하게 나뉘어 집니다. 학생들은 설명회를 통해 스튜디오의 특성에 맞춰 본인이 원하는 교수님의 수업을 듣습니다. 저는 Peter COOK 스튜디오를 선택했습니다. ‘Bring yourself to the Table’ 이라는 주제를 두고, 아무 런 제약없이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그것을 건축으로 가져오는 커리큘럼이었습니다. P.Cook의 성향에 맞게 결과물도 애니메이션, 그림, 소리 등 창의 적인 오브젝트들을 시도하게 됩니다. 특히 COOK 스튜디오는 교환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아서 정말 다양한 나라와 학교에서의 학생들이 각기 다른 과정과 생각을 가지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자신만의 색깔에 대해서도 고민해볼 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최종 마 감은 런던에서 유명한 교수와 건축가들을 초빙하여 크리틱을 받습니다. 다양한 의견과 제안들을 받으면서 각 학교와 나라의 특성도 어느정도 알수 있었습니다. 설계스튜디어 이외에도 다양한 세미나들을 통해서 이론적, 실험적 시도들을 배울 수 있습니다. 제가 들었던 Future City Lab에서는 재해 재난 지역의 어려움을 해결 할 수 있는 현실적 제안과 시스템을 디자인하는 수업을 들었습니다. 그외에도 유럽 여러 나라들을 여행하며 유명한 건축 물뿐만 아니라 도시 자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함을 경험하고, 또 전혀 다른 사고방식의 사람들과 섞이면서 새로운 자극들도 받을 수 있는 시간이었습 니다. 한학기가 끝나고도 유럽에 여러 아뜰리에에 인턴을 지원하는등 더 많은 경험으로 이어 나갈 수도 있습니다.
ESA에서의 교환학생은 홍대를 떠나 잠시 자기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더 다양한 가능성을 찾을 수 있는 좋은 계기인것 같습니다. 12년부터 불 어성적이 없어도 TOEFL로 지원가능하고 또 실제로 학교에서도 영어로 100% 소화가능하기에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기회를 누릴 수 있길 바랍니다.
326
Comment from abroad
Jinho Lee École Spéciale d’Architecture
If you are thinking of studying abroad after undergraduate, or studying in a new environment, exchange student of 6 months would be a great experience. Ecole Speciale d’Architecture (ESA) is an architecture school located in Paris, which is in exchangment relationship with HSA. With students from 34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studios invite famous architects of Europe. This studio is a place where students experience tremendous diversity. According to an architect, each studios have different curriculums and students get select their favorite after the briefing session. I chose Peter COOK's studio. This studio's project was 'Bring yourself to the table', revealing myself and bringing it to an architecture. Outputs were shown in various ways, like animations, drawings, sounds and other creative objects. As Cook's studio is especially popular among exchange students, we could see students from various countries progressing their projects with different process and different ideas. Being in this environment gives me chance to think deeply of my own color. Final critiques were done by famous architects from London. In the course of sharing opinions with them, it was possible to find out rough characters of each school and country. Through classes other than architectural design, students learn theoretical, experimental attempts. 'Future City Lab', a course that I took, was as class giving realistic offers of systems for disaster areas. Apart from school, experience in Europe, feeling the diversity of each cities, gathering with different people of worlds were an exciting stimuli.
Life at ESA is a great chance to found about myself and possibilities of diverse, being way from Hongik university. As it has become possible to apply exchange students without DELF, I hope more student to get this chance.
327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인턴 후기
조진경 Interned at Kohn Pedersen Fox Architects
2013년1월 저는 아직 뉴욕에 남아 후기를 적습니다. 내일은 스페인 마드리드에 있을 예정입니다. KPF인턴쉽에 지원하는 데, 여러가지 다른 이유가 있겠지만, 저는 뉴욕,서울이 아닌 다른 대도시에서 살아보는 것, 외국 설계 사무소에서 일해보 는 것 그리고 인턴쉽 후에 유럽여행이라는 동기를 가지고 KPF인턴쉽에 지원하였습니다. 그리고 인터뷰에서 인턴쉽을 마치기까지 거의 1년여의 시 간이 지났습니다. 2012년 한 해 동안, 경험을 통해서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KPF의 정식 이름은 Kohn Pederson Fox Associates로 처음에 3명의 건축가가 1976년 설립한 회사입니다. 한국에는 곧 완공 될 롯데타워로 이 름이 알려지게 되었는데, 그 밖에 다수의 한국 프로젝트가 있었습니다. 미국 내에서도 인정받는 건축 디자인 회사입니다. KPF에는 인테리어부터 마 스터 플랜까지 건축의 전 범위에 걸친 다양한 프로젝트가 있으며, 이 중 타워 디자인으로 유명합니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국제 프로젝트로 아시아, 유럽, 중동, 아메리카에 걸쳐 있습니다. 인턴쉽을 하며 저는 KPF만의 국제적 프로젝트에 대응하기 위한 디자인 철학과 탁월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디자인 은 ‘Simple Concept’을 추구합니다. 누구나 짧은 설명만으로도 수긍할 수 있을 만큼 아주 단순하지만 강력한 개념으로 클라이언트와 컨설턴트의 동 의를 얻어냅니다. 진행 과정에서는 디자인을 최우선으로 하며, 모든 결정은 컨설턴트, 클라이언트, 팀원의 대화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원활한 소통을 위해 KPF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해 놓았습니다. 뉴욕에는 다양한 인종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를 존중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KPF 뉴욕 오피스에도 마찮가지 입니다. 이 것은 국제 프로젝트에 있어서 가장 큰 장점이기도 합니다. 어느 나라이든지 그와 유사한 문화적 배경에서 자란 사람이 있어, 문화적 차이로 인한 오 해를 줄이고 컨텍스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오피스 내에서는 다양한 언어가 사용됩니다. 이렇게 다양함을 인정하고 받아들입니다. 일에 있어서도 동등한 기회가 주어집니다. 또한 위계질 서도 한국과 비교했을 때 매우 적은 편입니다. 저와 함께 일한 보스는 오랜 경력을 가진 건축가이지만, 언제나 일을 맡기며 내가 잘못한 게 있으면 꼭 알려줘야 한다고, 네가 더 잘 찾아낼 수록 자기는 기쁘다고 말해주었습니다. 언제나 디자인에 있어서는 가장 좋은 안을 내 놓는 사람의 것으로 결정 됩니다. 물론 경험이 많은 사람이 더 좋은 답을 가지는 경우가 더 많지만, 인턴도 동등한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기회를 가지기 위해서는 신뢰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차별이 적은 만큼, 개인에 대한 평가는 신뢰도에 달려있습니다. 작은 일부터 차근 차근 잘 해낼 때, 좀 더 크고 중요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을 느꼈습니다. 작고 단순한 일에도 책임감을 가지고 완벽히 마무리하며 좀 어려 운 일이 주어졌을 때에는 욕심을 내기 보다는 아주 솔직해져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 과정 속에서 팀의 구성원으로서 인정을 받게되었고, 팀원 들과도 가까워졌습니다. 지원하는 학생들은 영어능력과 프로그램 스킬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합니다. 그러나 두 가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영어로 말하는 데 어려움을 많이 느꼈습니다. 대신 오피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다루는 데 문제가 없었고, 말의 부족 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많이 보완해던 것 같습니다. 시간이 흐르고 나서는 영어로 말하는 데 점차 익숙해졌습니다. 그 반대도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 니다. KPF는 직원 간의 친목을 위한 많은 노력을 합니다. 함께 점심을 먹으며 세미나를 듣는 Lunch & Learn, 저녁 시간에 프로젝트를 발표하는 Evening Session, 외부 초청을 하는Show & Tell, 아침 시간의 Building Anatomy가 있습니다. 오피스 내 카페를 두어 자연스럽게 서로 대화할수 있습 니다. 저는 제 자리 주변의 사람들과, 함께 일했던 팀원들, 자주 마주치는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친해졌던 것 같습니다. 따듯하게 먼저 말걸어 주는 사 람이 많아서 참 고마웠습니다. 뉴욕에서의 생활은 TV에서 보는 만큼 화려하고 아름답지만은 않습니다. 뉴욕은 쾌적함과는 거리가 먼 도시입니다. 대신, 다양한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살기 때문에 끊임없이 다양한 이벤트가 일어납니다. 상상도 못했던 일들이 많이 벌어진 다는 것이 뉴욕의 가장 큰 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 고 서울과는 비슷한 듯 많이 다른 도시입니다. 저는 이번 인턴쉽으로 건축, 도시를 바라보는 시야가 더 넓어졌으며, 개인적으로 삶에 대한 가치관이 조금 달라졌고, 책으로는 배울 수 없는 값 진 경험을 하였습니다. 인턴쉽 기회가 주어진데 감사하며, 그동안 많은 도움을 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328
Comment from Intern
Jinkyung Cho Interned at Kohn Pedersen Fox Architects
I'm currently in New York while writing this epilogue. Tomorrow, I'm planning to be in Madrid of Spain. Of many reasons in applying the internship, I particularly had the motive of living in big city other than Seoul, working in foreign architecture office and traveling Europe. Nearly an year has passed since the internship interview. Through this one year, I learned a lot through experience. Full name of KPF is Kohn Pederson Fox Associate, founded in 1976 by 3 architects. There are several projects placed Korea, including ongoing project of Lotte Tower. Many of the projects are international projects, held in Asia, Europe, America etc. Throughout internship,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KPF has its own philosophy of design and outstanding communication method to cope with international projects. Its design seeks 'Simple Concept'. They draw approval of clients by simple concept that could be accepted by anyone by short explanation, though a strong concept. Design is a main priority throughout the process and every decision is made by conversation between consultant, client and team members. KPF had created a efficient network system possible for amicable communication. New York is a city of multi-culture, multi-racial living in harmony. It is same for KPF New York which is a huge merit when going on international projects. Which country it may be, there are people from similar cultural background, minishing misconceptions between different culture and raising understandings of the context. Variety of languages are used in the office. They accept this diversity as it is. Opportunities are given to all people. Hierarchical rules are much weaker than Korea. Though my boss was a long-experienced architect, he never forgot to remind me that I should point out his faults. When talking about design, the best alternatives are chosen. It means that, though there are higher chances that people with lot of experience come up with better idea, interns are also given the opportunity. To be given the opportunity, trus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discrimination is feeble, evaluation of people depends on its trust. When sorting out even the tiny simple things with responsibilities, higher tasks are given. Through this process, I got accepted as a member of the team. Many students applying to this internship worry about their English capability or skills handling various programs. However, those two aren't the factors that are definitely needed. In my case, I had trouble communicating in English. Instead, I had no problem in handling most of the programs used in the office which redeemed my lack of speech. I got used to communicating in English as time passed. It would also be possible the other way. KPF puts an effort to promote friendship between members. There are 'Lunch & Learn'; time for seminar enjoying lunch, 'Evening Session'; presenting projects during diner time, ''Show & Tell'; inviting guests, 'Building Anatomy'; morning time. With cafe where we can enjoy short talks with people, I became intimate with people around me, and team members, thanks to people to handed me a friendly word. Life in New York wasn't that glamourous as it was shown in TV. It is a city far from comfortability. Though, as various people are gathered, various event happen relentlessly. That things we never expected happen is the greatest appeal of New York. It is very different from Seoul as it seems similar. This internship has given me a wide view of architecture and city. Personally, values of life have changed, and experienced that couldn't be obtained through books.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everyone who had been a great hel throughout this year.
329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인턴 후기
고운님 Interned at Kohn Pedersen Fox Architects
이렇게 많은 학생들이 보는 작품집에 후기를 쓰려니, 글써본지도 오래됐는데 상당히 긴장이 되네요. 전체적인 KPF의 시스템과 일하는 방식 등 전반적인 설명은 저번 해의 작품집에서 소영이가 잘 써주었으니 그 쪽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은 학생들은 작년 작품집을 참고하길 추천하고, 저 는 좀 더 개인적으로 가졌던 생각과 감정들을 써보고자 합니다.
많이들 아시겠지만 우선 기본적으로, 지원시 필요한 것은 포트폴리오와 성적증명서, 그리고 면접 준비 정도가 되겠네요. 교수님께서 해당학생 의 포트폴리오를 보시면서 이야기를 나누고 전체적으로 앞으로의 계획 등을 물어보시는데요, 예상 질문을 영어로 꼼꼼히 작성할 수도 있겠지만 그 것에 앞서 우선 자기가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 미래 계획 등의 생각정리부터 하시는 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교수님께서 당장 눈에 보이는 포트폴 리오만 가지고 인터뷰를 진행하시지는 않으니까요. 일단 붙고 나서 숨을 돌릴 새도 없이, 비자를 받기위해 KPF와 Curtural Vistas 라는 단체와 계속 메일을 주고받으면서 필요한 서류를 보내고, 승 인을 받고 하는 과정이 끝없이 이루어집니다. 여기서 자세하게 들어가긴 그렇지만 계속 영어로 메일을 주고받고 서류를 준비하는 이 과정이 면접을 준비하는 과정보다 더 진땀났던 기억이 나네요.
처음엔 다 그렇듯, 힘듭니다! 언어도 완벽하지 않고, 사람들의 문화, 성장배경, 성향 등 어느 것 하나 익숙한 것이 없고, 낯선 것, 어려운 것 투성 이었는데요, 시간이 지나니까 그것도 다 익숙해지더라고요. 너무 당연한 말이지만요. 그렇게 어찌어찌 정신없이 적응을 하고 주위를 둘러보면 즐길 것들이 많아요. 사람들 왁자지껄하게 모여서 다들 커다란 맥주잔 들고 펍에 모이 기도하고, 회사 근처에 있는 공원에서 주변 건물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이 점심시간에 죄다 나와 점심식사를 하는 등 소소한 활동이나 다양한 주제 로 열리는 연극들이나 공연 전시도 있구요.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 그들이 들여온 문화, 높은 수준의 박물관, 미술관, 각종 공연, 예술, 패션 등 정말 없는게 없어요. 그런 것들을 직접 찾아서 즐기는 방법도 있고, 회사내에서도 영화전이나 유명 건축가의 세미나 등을 연결시켜주어서 할인된 가격으 로 혹은 무료로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기도 합니다. 이러한 수많은 방법들을 통해 세계 각 국의 다양한 문화들을 접하고 그 사람들과 직접 이 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것은, 뉴욕생활이 가진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침 일찍 모두가 출근해서 9시에는 칼같이 일을 시작하고, 점심은 12시에서 2시 정도 사이에 자유롭게 원하는 1시간 내에 자신이 원하는 때에 먹고(대부분 간단히 끼니를 해결하고 자리에 돌아오는 편), 6시에서 7시 사이에 일을 정리하고 퇴근하는데 아무래도 사뭇 다른 업무문화를 보며 신 선한 충격이었습니다. 서양 문화권 특유의 개인주의가 발달되어있어, 자신이 맡은 일은 끝까지 책임지고 하되, 그 일이 끝났을 때 즉 업무가 끝났을 때는, 다른 사람들을 개의치 않고 자기 시간을 갖는 것이 당연시되는 문화라 그렇겠지요. 이런 기업문화는 참 배울만 한 것 같아요. 또 하나, 신기했던 것은, 미국 사람들은 개인주의로 인해서 사람들이 남 일에 관여, 간섭하지 않고 오히려 철저히 무신경할 줄 알았는데 아니라 는 점! 누가 무슨 일을 하고 누구와 일을 하며, 잘하는지 못하는지, 누구와 친한지, 하다못해 지각을 하는지 안하는지 다 알더라고요. 자리가 멀고 가 까운 것 상관없이, 팀 사람들이 얼마나 많고 적고와 무관하게 말이에요. 뜨끔했던 것은, 그것들을 입 밖에 내거나 내색하지 않는 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지각을 하면 가볍게 지각하지 말라는 언질정도는 해주시잖아요? 그런 것도 없어요 그냥 다들 자기 일만 합니다. 그런데 속으로는 다 알고 있다는 거죠. 왜 우리가 잘못 했을 때 상대방 쪽에서 아무 말도 없으면 더 안절부절 못하게 되잖아요. 그런 점을 볼 때 더 잘해야겠 다. 정신이 바짝 들더라구요.
구조시간이나 설비시간에 건축은 설계란 분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설비, 구조, 시공, 감리 등 수많은 단계들 중 하나일 뿐이라고 배웠지만, 실 제로 경험해보지 못해 실감이 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인데요, KPF가 대형 설계 사무소이다 보니 수많은 협력업체, 관계된 사람들이 개입되어있고, 이 해관계가 얽혀있는 것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어 무척이나 새로웠습니다. 특정 문제에 관련된 사람들이 하루에 몇 차례씩 회의, 발표를 하고 프로젝 트를 진행하면서 논의와 협의 설득 결정을 하는 등 무수한 갈래로 세분화되는 점도 흥미롭구요. 제가 개인적으로 KPF에서 배운 것들 중에 특히 좋았던 점은 대형 설계 회사의 시스템을 경험해 볼 수 있었다는 점입니다. 왜, 우리는 학교에서
330
Comment from Intern
Unnim Koh Interned at Kohn Pedersen Fox Architects
Writing an epilogue for a workbook that so many people take a look at makes me quite nervous. As overall explanation of KPF is well-written in last year's workbook, I recommend people who hope to get information in that aspect, to look at last year's Kim So-young's epilogue. I'm about to write more personal thoughts and emotions.
As you may well know, portfolio, transcript, and preparation for an interview are needed. Professor asks about my schemes of my future and have a talk taking a look at portfolio prepared in advance. You might prepare by making expected questions and practice those. However, it would be better to organize your thought of what you would like to do, because professor doesn't just ask about what is shown in the portfolio. After the acceptance, issuing visa kept me busy, contacting with KPF and Curtural Vistas, sending needed documents. I remember having more trouble sending mails in English rather than preparing for an interview.
As it is always ar first, it's tough. Every single thing was unfamiliar from people's culture, backgrounds to tendency and a lot more. With imperfect language, many things were difficult. Though, naturally, as time passed, I got used to it. When I look around, after going through those hard time, there are so much thing to enjoy. From trivial things such as boisterously gathering at a pub with big bottle of beer or all the workers coming out to a nearby park to enjoy lunch. to every kinds of performance, art, fashion, gallery, museum etc, there aren't a things that's not in New York. You can enjoy these programs by finding out yourself, and from time to time, the office offers tickets of movie festival, seminars of an architects or others for free or at discounted price. Experiencing cultures of all around and getting a chance to talk with them is the biggest merit of life in New York.
Everyone turn up at 9, lunch is from 12 to 2, and you can take one hour off freely (however, many people have lunch briefly), and leave about 6 or 7. Their work atmosphere was quite shocking. Because of well-developed individualism of the west, when their own works are over, they take it for granted to have their private time. These are things that we could learn. One more fascinating thing was that contrast to my expectation (that everyone would be indifferent to each other) people knew of each other from what they are doing, who they are working with, to tiny little things like whether they are late or not. Difference is in that they don't talk about it aloud. For example, in Korea when you are late, people at least slightly mentions about it, but in the states, they know it and keep diong their work. This made me more tense.
It is true that I couldn't catch a sense of the fact that design is a single step among so many others such as systems, structure, construction, inspection etc. KPF, being a large size office, many other office, people are related, and seeing their connections was interesting. In certain matters, people related to it have meetings and presentations several times a day adjusting their opinions, and in this course, it is subdivided to many parts. What I especially like working ar KPF is that I could experience the system of big architecture office. At school, we usually think of concept in an assumed situation of just 'client and myself'. However, at KPF, as projects are run with so many people related, systems of each process and many relations going with it is shown. Interns are given various tasks from modifying plans, model making to drawing diagrams for final materials. It may be
331
1 2 3 4 g i year
year
year
year
raduate
nterview
‘클라이언트와 나’ 이렇게 1:1 상황을 가정하고 딱 전체적인 컨셉과 구상정도까지를 주로 심도 있게 다루잖아요. 그에 비해 KPF에서는 수많은 사람 들이 개입되어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다 보니, 단순하게는 파일정리 시스템에서부터 복잡하게는 설계의 다양한 단계들 - 또 그와 걸쳐져있 는 수많은 이해관계들이 맞물려 돌아가는 시스템을 경험해볼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인턴에게 주어지는 일의 경우는 자잘하게 신경이 많이 쓰이는 도면수정이나 모델 만들기부터, 바로 클라이언트에게 공개되거나 마감 자료로 올 라가는 다이어그램까지 꽤나 다양합니다. 여기서 어떤 일을 더 맡고 덜 맡고는 개인의 역량이겠지만, 인턴이라고 무작정 시간만 많이 걸리는 자잘한 일만 주는 것은 아니니 그것에 대해 미리 걱정하시지는 않아도 될 것 같아요. 아무래도 정직원분들의 경우는 자기가 일정하게 맡은 일을 주로 하는 편이지만 인턴 같은 경우는 이 사람, 저 사람 다양하게 팀 전체에서 돌아가면서 일을 돕기 때문에 여러 단계의 분야를 경험해 볼 수 있어서 오히려 좋 았습니다. 확실히 다양한 인턴 경험을 쌓는 것이 도움이 되겠구나 생각도 했구요.
면접날 생각보다 적은 인원의 학생들만이 해외 인턴에 지원해서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제가 면접을 봤을 때에도 항상 다 남학생 여학생 각각 5 명 내외정도의 적은 수의 학생들이 면접을 보았고요. 아무래도 유급 인턴일지라도 초기 정착(?) 비용 문제나 휴학을 해야 하는데 그만큼 가치가 있을 까? 하는 갈등 등 인턴 도전을 망설이게 하는 수많은 고민거리들이 존재할 텐데요, 저도 그런 고민을 했기에 이 글을 통해 학생들이 해외 인턴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해외 인턴의 기회는 우리학교가 가지고 있는 취약한 교환학생 제도를 보완해줄 만한, 어떤 면에선 더 좋은 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학교생활의 연장인 교환학생과 비교해보면 미리 실무를, 그것도 해외에 여러 지사를 두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대형 설계회사에서 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분명 메리트가 있으니까요. 또한 앞에서 언급했듯이 기업문화나 사람들, 혹은 건축의 여러 단계들을 간접적으로나 직접적으로 경험해볼 수 있는, 다양한 장점을 가진 해외 인턴의 기회인만큼 욕심내고 도전해보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기대와 달라 실망하거나 후회되 더라도 안하고 후회하는 것보다 해보고 후회하는 게 낫다고 생각하거든요! 좀 더 많은 학생들이 도전해보셨으면 하는 마음에 이렇게 재차 강조하며, 글을 마칠까 합니다. 급하게 쓰느라 부족하고 두서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구요, 끝으로 이 후기를 보고 궁금한 점이나, 평소에 알고 싶었던 부분 들 있으시면 사적으로 모르는 사이라도 주저 없이 연락해서 물어봐주세요!
332
different according to each ability, but they don't just give minor time-consuming work to the intern, so you may not worry about it. Rather, it was much more fun to be in various teams helping little things while employees work just what they are given, in one part. Intern is surely a chance to experience a lot.
I was surprised that few students applied for the internship on the day of interview. You might worry whether it would be worth spending money for settlement and one year leave of absence. I hope my epilogue loosens those worries. Internship of foreign country is a program that make up our school's weak exchange students program, or it might be even better. Different from being at school just of other culture, experiencing real works in advance, in big office with projects ongoing in many different country is in some way a huge merit. I hope students to eagerly achieve this precious chance to see and feel the diverse world. I personally think it is better to regret after doing it, rather than regret no doing it. Thank you for reading my lacking writings. It would be a pleasure to get questions or contacts just to get to friends with me.
333
1 2 3 4 g e year
year
year
year
raduate
pilogue
STUDENTS LIST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2
MAJOR IN ARCHITECTURE 1st year
2nd year
3rd year
권대영 금관호 김다비 김동현 김민영
강민식 강민욱 고낙기 김대년 김동현
강신영 강지현 강창웅 강현미 고대은
김민정 김민주 김요엘 김우영 김원정
김병준 김성준 김수빈 김영휘 김정민
김경제 김동규 김동욱 김동윤 김민규
김준우 김지석 김진성 김진욱 김진희
김진태 김청산 김태완 노룡민 노희광
김상규 김상수 김소연 김승욱 김승택
김태현 김혜원 김혜은 나윤주 남진슬
모기훈 박병호 박상근 박상운 박성호
김용현 김유현 김 은 김응찬 김재현
도운비 박광호 박상민 박상천 박상훈
박정은 박정호 박종호 박준서 박현준
김제호 김지태 김진우 김현수 김현이
박성민 박정호 박지훈 서재민 서휘림
서다은 서수지 송영욱 송지현 송혜수
김현재 김혜수 노현수 류다영 류덕호
손동락 송효준 신융수 심경용 양수훈
신동성 신병호 신찬문 엄기현 오구영
문경호 민정택 박경태 박근용 박보미
양재훈 엄현지 엄호준 오홍일 유하늬
유선영 윤승조 윤형석 이병탁 이유한
박영묵 박장현 박종영 박준혁 박진선
윤용기 윤이사야 윤혜민 윤희정 이권희
이주희 이지수 이진수 이환희 임제균
박진오 박현배 박희동 배영균 백지현
이유나 이윤선 이윤아 이종훈 이지은
임현우 전성훈 정경화 정요은 정준호
서일범 성민주 송보경 신장효 신형준
이호준 이후석 임지현 임형균 장 개
정항수 조경민 조문경 조병운 조승은
안해찬 양신욱 엄재준 여현동 오단룡
장 엽 정상용 정송아 조인태 주재우
조준우 지현배 최동원 최아영 최영한
오승무 유수미 유용호 유재승 윤성훈
지준영 지 환 차호준 최상훈 최원걸
최원식 한용환 홍승균
이기용 이범용 이상협 이세원 이수경
최유승 최재훈 홍나연 홍 덕 홍정모
이영진 이예나 이용희 이원희 이재호 이정원 이정환 이종훈 이혜림 장한솔 전병진 정우석 정윤기 정윤석 정현기 조규형 조다은 조상준 조승백 조효진 주수현 주형호 진태욱 최지숙 한기준 한준호 황성민 황일현 황정광 황정서
MAJOR IN INTERIOR ARCHITECTURE 1st year
2nd year
3rd year
강덕원 강지연 강한빛 고주휘 권혁주
강종우 곽서정 구재영 권민정 김다경
금찬미 김경범 김두희 김민준 김민호
김광래 김재유 김정은 명재섭 박건수
김명진 김미지 김민서 김병준 김유미
김선정 김슬비 김찬호 김현선 김현식
박건영 박세원 박종휘 방준현 백승호
김종기 김한빛 남 휘 문홍규 박혜원
나새별 류세희 박현오 신민경 유태욱
서민오 서유진 석홍지 손영우 안치완
신동해 양인환 양희구 유대근 윤진우
윤재민 윤태준 이동재 이세윤 이신우
양진혁 원예린 유신우 이준석 이현빈
이원우 이일재 이중한 이창욱 이현재
이용진 이중훈 이한나 이한별 정예현
장세진 장원일 정성욱 정 파 정현호
장용주 지대성 최슬건 한새롬 현홍은
최용현 한성진 An Taiyu Erdenekhuu Khongorzul
진영재 최낙준 최민희 최재형 최진석
황석연 황호선
허성호 황세희
334
4th year
5th year
강승진 강용석 강창성 강한솔 고덕현
강병진 강수진 강승주 강은성 강재원
이수연 이수정 이수지 이 슬 이연복
권하영 권혜원 김 관 김기욱 김민철
강주현 강학선 곽수찬 곽중원 구강모
이웅재 이유정 이유진 이윤재 이인엽
김성균 김소현 김유을 김잠언 김종화
구광본 구현모 국영근 권수영 권현철
이재용 이준우 이지영 이채형 이한준
김주희 김태환 김태훈 김한욱 김해종
김도연 김도현 김명신 김미소 김미영
이형민 이효진 장원석 전승철 전재형
김효석 남강우 남윤하 남지호 노동연
김민주 김민중 김상현 김선엽 김소영
정민주 정성윤 정소현 정수이 정의석
류공진 문예준 박세열 박종한 박주현
김송이 김수나 김수민 김수현 김신종
정재훈 조정필 조항식 조현섭 조현섭
박준용 박진한 박해성 박현배 서정윤
김언표 김영은 김영휘 김익곤 김인영
조희래 주지혜 지혁철 진용조 차승헌
송유섭 송창훈 신승호 양기란 양승겸
김정하 김정희 김종훈 김주영 김중근
차영훈 최성훈 최영두 최예규 최원태
엄재하 오기원 오상민 오지은 우종호
김지수 김해령 김현규 김혜진 김효은
한규영 한은주 허 성 홍승표 홍인석
유준하 윤은진 이기학 이문영 이병철
김희연 민경은 박남기 박민규 박민지
황우상
이성찬 이승현 이승환 이원규 이재상
박성욱 박유정 박인호 박정곤 박종현
이재설 이재훈 이준영 이지은 이진호
박진솔 박한글 배성민 배옥진 백승운
이창원 이한별 이현석 이호재 임재휘
백일홍 백지희 서세희 서재석 서종효
임하형 장우진 전종준 전진민 정미희
손동원 손성원 손제영 송경하 신예영
정연재 정준석 정진주 제정웅 조재영
신재호 안재현 안호송 양상훈 온건웅
지번희 진민우 진성열 최원석 최인녕
왕신민 유규상 유지은 이강현 이경민
최정로 최정환 최호준 한경원 허지선
이규정 이규철 이근복 이근복 이기백
현재훈 황규현 황남희
이보배 이선주 이선홍 이성진 이성필
4th year 강다래 김 근 김연지 김지훈 박혜지 방민지 성진산 신동아 윤정옥 이상아 이슬옹 이주해 이후곤 장건준 전수현 정창균 조현정 주재영 차혜민 한금전 홍인화
335
1 2 3 4 g e year
year
year
year
raduate
pilogue
EDITOR’S NOTE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2
송유섭
어느하나도 쉬운건 없습니다. 지난 작품집도, 이번 작품집도 그러했습니다. 수많은 좋은 작품들을 한정된 페이지로 소개한다는 점 때문에 싣지 못한 무수한 작품들이 안타깝습니다. 방학을 온통 쏟아부었던 모든 팀원들과 책의 출간을 기다려준 모든 사람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정승환
올해 처음으로 작품집에 참여했습니다. 학생회도 겸임하면서 일이 바빠져서 처음 마음 먹었던 것 보다 작업에 열중하지 못한점이 작품집 팀원에게 미안하고 또 인력난에 허덕이면서도 좋은 작품집을 완성시켜준 것에 감사합니다. 작품집을 하면서 여러분들의 밤새노력한 결과물을 보니 같은과에서 공부한다는 것에 자부심도 생기고 앞으로 여러분과 경쟁해서 밥벌이 하려면 더욱 열심히 해야겠다 생각이 들었습니다. 올해 작품집도 지난 작품집처럼 여러분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작품집이 나오기까지 도움주신 모든 분께 다시 감사의 인사 드립니다.
곽서정
벌써 두번째 출간하는 작품집이라 에디터노트를 쓰는 감회가 새롭습니다. 파이팅 넘쳤던 초반기에 비해 많이 늦어지고 지쳤지만 끝을 보니 더할 나위없이 뿌듯합니다. 후반기 작업에 많이 참여하지 못해 팀원들에게 너무 미안하고 유섭오빠 수고 많으셨어요!
김정민
작년에 이어서 2년째 작품집 제작에 참여하게 됐네요, 중간에 여행도 다녀오고 작년보다 조금 더 바쁜상황에서 작업을 하게 됐는데요, 그래도 이제 곧 나올 작품집을 생각하니 얼굴에 자연스레 미소가 지어지내요. 편집을 하면서 많은 작품들을 접하게 되는데, 정말 맘에 드는 작품인데, 제가 편집을 하며 작품을 잘 살리지 못한거 같아서 미안한 마음을 갖기도 하고, 어떤 작품들은 ' 아 내가 편집해서 더 나아졌다' 라는 생각도 갖게 되네요. 더 많은 작품을 넣고 싶었으나, 그러지 못한 점에서 많이 아쉽기도 하고요. 다음 작품집에도 참여를 하게 될 지는 모르겠으나, 참여하게 된다면 점점 더 나은 작품집을 만들고 싶습니다.
신동해
에스키모들에게는 '훌륭한' 이라는 단어가 없다고 해요. 모든 존재의 목표는 그냥 존재하는 것이지 훌륭하게 존재할 필요는 없습니다. 여기 작품집에 선정되건 안되건 우리의 작품과 프로젝트, 그리고 우리 모두 존재하는 것만으로 가치있어요. 남들과 경쟁하기 보다는 어제의 나보다 나아지기 위해 노력합시다! 2012 작품집 팀 수고하셨습니다.
이지수
많이 서툴고 부족했지만 즐겁고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팀장이었던 유섭오빠 고생 많이 하셨구요, 다른 팀원들도 모두 수고하셨어요!
조준우
항상 다사다난한 작품집. 제일 고생하는 팀장 유섭이형부터 홍보부 자봉단 영어번역 인터뷰팀들까지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에는 더욱 완성도있는 작품집을 기약하면서 작년과 올해 작품집이 하나의 가이드라인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336
박주현
한 해 동안 열심히 과제를 위해 노력해 준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학생분들. 그리고 열심히 좋은 결과물을 위해 성심성의껏 지도해주신 교수님들. 더 좋은 더 깔끔한 작품집을 위해 열심히 달려온 편집단. 모두의 값진 노력이 하나의 책으로 나오는데에 오랜시간이 걸렸지만 그만큼 좋은데에 쓰이고 많은 사람이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최인녕
교수님, 동문회장님을 인터뷰하면서 홍대건축에 대한 그들의 통찰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그 덕분에 재학생이라는 한정적인 시각을 넘어 지금 제가 몸담고 있는 이 곳에 대해 더 크게 생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가 느낀 것들이 이 책을 통해 잘 공유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어서 기쁩니다.
조경민
끝없는 작품집 발간 작업이 드디어 끝이 보여 갑니다. 작년에 옆에서 봤던 것보다 직접 참여를 하니 작품집을 만든다는 것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힘든 작업이라는 것을 끝없이 느꼈습니다. 미흡한 점도 많겠으나 우리들의 작품으로, 우리가 직접 만든 것이니만큼 홍대 건축인들 모두에게 소중한 작품집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석홍지
제가 홍대에 온지도 어느덧 1년이 지났네요! 갓 입학하고 작품집을 받았을 때는 작품집을 보는 것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읽어간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올해를 마무리하고 내년을 열어가는 시점에서 교수님들의 좋은 말씀들을 모으러 다녔었는데. 그 공간에서 제가 받은 감동들을 페이지 위에 전달하려고 애썼습니다. 작품집의 겨울은 춥고 길었는데. 모두 수고 하셨어요!
홍나연
일학년 입학하자마자 받았던 작품집을 펼쳐보고 감탄만 했었는데, 그로부터 1년 후인 지금 제가 인터뷰한 내용과 카메라 렌즈를 통해 교수님들의 모습을 담았던 사진들이 작품집의 한 켠에 실리게 된다니 너무너무 뿌듯합니다!!! 특히 직접 교수님의 개인적인 공간으로 찾아가서 진솔한 면모를 느낄 수 있어서 내내 흥미로웠습니다. 이렇게 제가 느껴왔던 설렘과 감동이 사진과 글로부터 마구 뿜어져 나왔으면 좋겠어요. 모든 작품집 팀원들 너무 수고하셨어요!
337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PROJECT REVIEW 2012
2013년 4월 19일 초판인쇄 2013년 4월 22일 초판발행
인쇄 : 상진문화인쇄사
Hongik University 72-1 Sangsoo-dong, Mapo-gu, Seoul, Korea 121-791
School of Architecture http://arch.hongik.ac.kr http://intarch.hongik.ac.kr http://www.facebook.com/hongikarchi arch1106@hongik.ac.kr tel. +82-2-320-1106 fax. +82-2-32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