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A Timeline 2010/02/26 수원 화성행궁의 건축배치에 대하여, 최효식 Arrangement of Hwasung Castle, Suwon, Hyosik Choi 2010/03/23 - 24 ETH Zurich/홍익대 공동 워크샵 5개 서울도심조직에 대한 분석공동작업 ETH Zurich/ HSA Co-workshop Co-op work about 5 different fabrics of Seoul 2010/04/02 건축설계(7) 현장수업, 이문호 북촌 및 한옥관련 프로젝트 소개 4th year students field trip, Munho Lee Buk-chon area, and its traditional housing 2010/04/06 건축설계(3) 현장수업 파주 헤이리 문화단지 소개 2th year students field trip Youngsoo Lee, Hyunjoon Mihn Heyri, Paju 2010/04/09 실내건축학전공 특강, 안지용 Design Process and Recent Works of Ginseng Chicken Special Lecture, Jiyong Ahn Design Process and Recent Works of Ginseng Chicken 2010/04/12~24 노르웨이 현대건축 전시회 Norwegian Morden Architecture exhibition 2010/04/22 아모레 태평양 신갈연구소 답사 Architectural Tour of AP laboratory building, Singal 2010/04/22 5학년 실내디자인론 현장수업 대림미술관 답사 5th year students field trip Daelim Gallery
2010/05/07~08 건축대학 1학년 외부답사 특강, 최효식 시기별 / 지역벌 한국전통건축의 특징 1st year students field investigation lecture, Hyosik Choi Characteristics of tradition Korean architecture by era / location.
2010/05/08 건축조형론 현장수업 안중근 기념관 공사 현장 답사 Field trip Ahn Jung-Geun Memorial 2010/05/12 건축 시공 테크놀로지 현장 수업, 김성주 광화문 리모델링 현장 답사 Field trip, Seungjoo Kim Gwanghwamun Remodeling Site 2010/05/14 -15 실내건축학 전공 건축답사 여주 세계생활 도자관, 프리미엄아울렛 월 정사, 하슬라 아 트월드, 백남준 아트센터 Interior Design students field trip, Hyunho Lee Yeoju World Life Ceramic Ware Exhibition, Woljeong-sa, Haslla Art World, Paik Nam June Art Center 2010/06/07 Cubic Croquis Lecture 2010, 구승민 Special lecture, Koo Seungmin Cubic Croquis Lecture 2010 2010/06/10 실내디자인론 특강, 김민정 건축과 브랜딩 Special Lecture, Minjung Kim Interior Design Theory; Architecture and Branding 2010/06/11 건축설계(7) 특강, 김필수 파라메티를 이용한 건축설계 3rd year students special lecture, Pilsoo Kim Parametric Architecture Design
2010/04/26 건축설계(5) 현장수업, 황순우 인천 아트플랫폼 설치내용 관련 강의 5th year students field trip and lecture, Hwang Sunu The Establishment of Incheon Art Platform
2010/06/17 건축학전공 3학년 포트폴리오 설계, 최문경, 이종화 3rd year portfolio design Mungyung Choi, Jonghwa Lee
2010/04/26 실내건축학전공 특강, 김능현 미술관 건축 Special lecture,Neunghyun Kim Architecture of Art Galleries
2010/07/05~31 건축대학 여름 CG 워크샵, 조범기, 정택윤 Digital 건축의 최신동향 Summer CG workshop Cho Beomgi, Jeong Taekyun
2010/05/07~08 건축설계(1) 건축답사 소쇄원, 금산사, 의재미술관, 전주 전통한옥마을 1st year students field trip Soswaewon, Geumsansa, Uijae Art Museum, Jeonju Folk Village
2010/08/30~09/04 제 54회 홍익건축전 (건축학부 졸업전시회) 개최 54th HSA Graduation Exhibition 2010/09/08 1학년 미술실기 현장수업 (국립과천과학관 테오얀센전) 1st year students field trip Theo Jansen exhibition, Gwachon
2010/09/09,13,17, 10/04 건축학전공 3학년 설계스튜디오 특강, 염상훈 라이노 프로그램 특강 3rd year students special lecture, Yeom Sanghun 3D Modeling with Rhinoceros 2010/09/29 5학년 건설관리 특강, 최준규 5th year students special lecture, Choi Jungyu Architectural Management
2010/09/30 -10/01 건축학전공 1학년 현장답사 안중근 기념관, 과천국립과학관, 아름다운 자연학교 1st year students field trip Ahn Jung-Geun Memorial, Gwachon Science Museum, Nature School 2010/10/07 건축학전공 1학년 건축설계(2) 특강, 양원모 1st year students special secture, Yang Wonmo 2010/10/08 건축대학 건축답사, 워크샵, 체육대회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파주출판단지, 파주시 공설운동장 Field trip, Workshop, HSA olympic 2010 Heyri, Book City, Paju public stadium 2010/10/15 실내건축전공 4학년 현장수업 양구 박수근 미술관, 공수리 귀촌마을 답사 4th year students field trip Sookeun Park Museum, Gonsu-ri "Return Home" Village 2010/10/18 건축 재료와 구법 현장수업, 이인영 실제 설계 사례 연구를 통한 디자인 이해 능력 증진 Special lecture, Lee Inyeong Architectural Ingredients & Laws; Understanding design abilities through actual designing cases 2010/10/18 건축설계(6) 특강, 이호종 오피스 평면 계획에 관한 강의 3rd year students special lecture, Lee Hojong Office planning 2010/10/28 Harvard_MIT 2010 Spring Semester Design Studio Works, 유현준 Special lecture, Hyunjoon Yoo Harvard_MIT 2010 Spring Semester Design Studio Works 2010/11/08 건축대학 건축학전공 특강, 원형준, 김준성 Architect! Generalist or Specialist/ 건축과 도구 Special lecture, Won Hyeongjun, Kim Junseong Architect! Generalist or Specialist 2010/12/13~18 2010년 건축대학 과제전 개최 2010 HSA Exhibition 2010/12/16 건축인의 밤 HSA year-end party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nual Collection 2010 has been produced through the Dilettante.
Graduation year
Introduction Dean’s statement
005
Liminal / Becoming
124
Introduction : Director of architecture program
006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through the metaphor
130
Introduction : Director of interior architecture program
007
Generative conflict of urban
132
Faculty
008
Mega-city region
138
School life
010
Architecture of urban as a cells
144
Architectural linkage of interior and exterior Department of architecture
-
Sustainable architecture design
148 152
First year
021
Urban regeneration through waterfront
First year projects introduction
022
Studies
Proportion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nature
023
Art technic
158
Architectural form and shape
160
Proportion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man-made objects
026
Digital design
162
Space installation
030
Digital presentation
164
1:1 Pavilion
033
Urban design
166
Cubic House
038
Architectural space theory
167
Interior architecture program
Architecture program
Second year
Second year Second year projects introduction
046
Expansion of Human body
174
Pedestrian bridge
047
Investigation of small shelters
178
House
048
Secret Room
180
Public toilet
054
Third year
Neighborhood facility
055
Urban interior
186
Ashes are burning
188 190
Third year Third year projects introduction
068
Commercial space renovation
Cultural Gathering Facility (Art Museum / Memorial)
069
Graduation year
Program Extension Planning
069
Burned,burn
194
Creative process
074
Ahyeon-A’park
202
Eco-friendly Office Space
081
Voyage of discovery_blur of space
216
Culture Space as a Buffer of Gwanghwamun
228 230
Fourth year Fourth year projects introduction
092
For the better world
Group Residence of Naegok District
093
Studies
Sustainable Urban Restoration
095
Space and contemporary art
234
Eco-friendly Automobile Research Laboratory
097
Exhibition Design
235
Remedial Architecture (Children Hospital)
098
Landscape & environment Design
236
Public Pavilion Architecture
100
Lighting Design
238
The Architecture on extreme site
102
Competition work
239
Planning Sustainable villages
103
Smart Design Studio
105
Student groups I.C.F
246
Low Carbon Passive Urban Planning
107
Archi-Art
247
Sustainable Transformation Studio
109
W.H.A.T
248
Eco-friendly Tower design
111
NoonKal
249
Remedial Architecture (Rehabilitation Hospital)
113
Dilettante
250
Public Pavilion Architecture
115
The Architecture on extreme site & The Green space
117
Epilogue
Low Carbon Passive Urban Planning
119
Student list
258
12 Steps of Architecture Planning
120
Editorial department
259
-
HSA Designs
Hongik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004
005
introduction
Dean’s statement 건축을 흔히 인간의 삶을 담는다고 합니다. 인류의 시작과 같이 건축도 역사의
Architecture is usually referred as the container of human life.
흐름에 따라 함께 존재해왔습니다. 단지 생존을 위해 필수불가결 했던 건축은,
Since the beginning of humanity, it has always accompanied
정치, 경제, 문화, 종교와 같은 인류의 삶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것들을
people throughout history. Originally used for survival, archi-
반영하기 시작했습니다. 추위를 막던 동굴에서 벗어나 사회, 국가를 이루게
tecture now reflects various aspects such as politics, economy,
되면서 정치, 사회, 종교, 문화, 전쟁과 같이 다양한 요구들을 건축은 수용하기
culture and religion.
시작했습니다. 현재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 중에 한 가지는 환경보존과 발전을
The main task of today is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모두 이루는 것입니다. 이전까지는 겪어보지 못했던 지구 환경의 기상이변과
of nature. The global warming and its causes have become criti-
온실가스 증가와 같이 인류의 생존과 관련된 문제들이 대두되면서 인류는
cal to our survival; architecture now has a new goal of changing
자연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변화시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연과의 관계를
the world’s cognition toward nature, and therefore offering a
정립해나가야 하는 책임을 지게 되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new paradigm of having a new relation with ecology. In such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제정하여 친환경과 관련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cause, the Korean government initiated the Low-carbon, Green-
있습니다.
development Act.
건축도 물론 현재 우리의 이러한 삶을 반영을 하려고 있습니다. 에너지
Architecture as well is striving to conduct such changes to
소비에서 건축이 차지하는 높은 비율을 낮추기 위해서 친환경 인증 제도를
human lifestyle; to decrease the energy usage of buildings, an
도입하여 친환경 요소를 건축물에 도입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기술들을
eco-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is encouraging designers to use
이용하고 있습니다. 아직 이러한 건축에서의 노력이 이제 시작의 단계에
environmental materials and technology. Despite such policies
있지만 끊임없이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민하고 노력하는 것이 앞으로 건축의
are only on its embarkation, the designer’s task of pondering the
의무이자 숙명이라고 생각합니다.
relation with the environment is inevitable.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은 설계스튜디오를 통하여 학생들이 우리 주변 환경에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requires students to think much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이를 건축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습니다. 이렇게
about his surroundings, and apply them to their projects. The
진행된 결과는 학생들이 다양하고 깊은 고민과 노력을 했는지에 대한 충분한
results may fully represent the student’s pondering.
결과물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노력해주신 모든 분들의 수고가 앞으로 건축의 미래의 초석이 되길 기원하면서 항상 고민하고 노력하는 건축가로 발전할 수 있도록
I specially thank the staff of publishing this workbook, and wish their future of becoming great architects.
기원합니다.
2011년 1월
January 2011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학장
Dean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홍기섭
Gisuop Hong
006
HSA Designs
Director of architecture program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 전공 교육의 목표를 몇 자로 줄여 표현한다면 “Excellence
The motto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is “Excellence in Design.” This
in Design”입니다. 이는 단순히 아름다운 디자인을 하자는 말이 아닙니다. 이러한
not only refers to beauty, but also contains a humanitarian idea of training
교육목표는 사람과 사회를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어주는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인재를
students who could build a better world; it is an architectural reinterpreta-
양성하자는 취지에 있습니다. 이는 또한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한다.”는 홍익대학교의
tion of “Hongikingan”, the origin of Hongik University.
교육목표인 “홍익인간”을 건축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서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건축학전공은 1,2,3
To achieve such purpose, students learn basic design methods within
학년에서는 디자인의 기초를 다지기 위해서 공통의 커리큘럼을 가진 설계 스튜디오
the same curriculum for the first three years. Students from fourth grade
체제를 유지하고, 4학년에 진학해서는 학생들이 각기 다른 주제의 스튜디오
may choose their studio after a presentation of each studio’s theme. In the
프레젠테이션을 들은 후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스튜디오를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last year, students work on their graduation piece which finalizes one’s ar-
되어있습니다. 마지막으로 5학년에서는 지난 4년간의 배움을 토대로 자신만의 건축관을
chitectural philosophy. During these five years, the school assists students’
정립하도록 준비된 졸업설계가 진행됩니다. 이러한 5년의 과정을 통해서 학교는
independence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provides them the ability to
학생이 건축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졸업 후에도 스스로 배울 수 있는 능력을
learn more even after graduation.
배양시켜주고자 합니다.
이 작품집의 건축학 전공부분은 홍익대학교 건축학 전공 프로그램에서 진행
This annual workbook introduces the current works of students of
중인 스튜디오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소개된 작품들은 학생들과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Such pieces are pure representations of
지도교수님들의 땀과 노력의 흔적들과, 건축설계라는 매개체를 가지고 인생과 세상에
the students and professor’s pondering of life and world, as well as their
대한 학생들의 고민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결정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건축물을
endeavor. Architecture is a sequence of processes that ties and unties the
디자인한다는 것은 인간 내면에 대한 성찰,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 당대의 기술수준,
complexity between elements such as human study, relationship, technol-
경제적인 조건, 법규적인 규제 등 이루 헤아리기 힘든 복잡한 실타래를 때로는 풀어나가고
ogy, economy, and law etc. The infinite decisions during the numerous
때로는 이어주며, 때로는 잘라내야 하는 과정들의 연속입니다. 이 과정들 중에 있을
processes are what determine one’s architectural philosophy.
무수한 의사결정의 순간들에 설계자의 가치관이 반영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따라서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은 홍익대학교 건축교육에서 가장 근본입니다.
건축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한 사람의 성숙한 인격체로서 성장하는 과정은
Since the first year, students may start their development to a mature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1학년 때 시작하지만, 단지 5년의 기간 중에 될 일은 아닐 것이며
man, however after graduation they must go through a much difficult
졸업 후에 본격적인 과정이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 평생 하게 될 자아성숙의 노력의
course. The first steps of a life-long process of self-realization are within this
첫 걸음의 흔적이 이 책에 담겨있습니다. 보시면서 이들의 노력과 헌신을 마음속으로
book. Please cheer their endeavor and passion inwardly.
응원해주시기 바랍니다.
2011년 1월
January 201
홍익대학교 건축학과장
Director of architecture program
유현준
Hyunjoon Yoo
007
introduction
Director of interior architecture program 실내건축이 무엇인지 학생들이 많이 물어온다. 십수년째 명확한 대답을 찾고 못하지만,
Many students ask the definition of Interior Design. For more than a
항상 고마운 질문이다. 이 질문은 건축을 무엇이어야 하나를 먼저 생각하게 한다.
decade, I was unable to discover the answer. However, it is always a thankful question, which requires one to ponder of the core definition of Architecture.
론 러스킨은 '건축의 7등'이라는 책에서 건축의 램프는 희생이라고 했다. 작은 디자인으로 세상을 아름답게 바꿀 수 있다고 믿는 건축가들이 작아지지 않고, 자신들이
According to John Ruskin's "The Seven Lamps of Architecture," he
하는 희생과 노력의 가치가 이 세상을 더 낫게 만드는 엄청난 도구임을 깨달을 때, 건축은
described the lamps of architecture as sacrifice. When architects keeps their
상품으로 머무르지 않고, 희생을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pride that a small design will improve the world, and realize their devotion is the key of making a better place, Architecture is no longer a product but becomes a sacrifice itself.
나의 디자인을 이야기 하기 이전에, 그 공간에 살아야할 사람을 먼저 생각하고, 만들어지는 무언가의 기쁨 이전에, 그 무언가가 긴 시간과 공간속에 남길 영향을 먼저
Respecting and honoring values within people, small details of human
생각하는 사람. 사람으로부터, 안으로부터, 작은 디테일로부터, 우리가 간과하고 지나쳐
and architecture is what Interior Design of Hongik University strives to
왔던 많은 인간적(=건축적) 가치들을 지켜내는 것이 홍익에서의 실내건축의 의미가
achieve. For instance, considering the people using such spaces before
아닐까 한다.
one's design and acknowledging the influence of space and time before enjoying the satisfaction of designing, are such goals of ours.
사람의 주거 조차도 브랜드로 상품화하는 도시에서 살고 있지만, 포장보다는 실체를
I believe educating students, who mostly live in cities of branded apart-
이야기하고, 브랜드 속의 아이덴터티를 찾아낼 수 있고, 자신의 디자인의 근원을 자신이
ments, to look at the inside rather than the covering, the identity rather than
딛고 있는 대지의 역사과 사회적 의미에서 찾아 낼 수 있는 사람을 만들어 내는 일은,
the brand, and one's origin of design from history and societal values, is
태풍이 오는걸 알면서도 바람에 쓸려가지 않은 나무를 심는 것과 같은 생각이었다. 건물의
similar as growing trees in the middle of a hurricane. Just how a building's
가치가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일이 없듯,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쓸려가지
value is not proportional to its size, one must be able to criticize himself,
않을 나무를 만들기 위해, 홍익에 새롭게 시작된 실내건축은전공은 사람을 건축가로
similar to a tree that does not lean too far. In such terms, Interior Design
만드는 과정이 아니라, 건축가를 사람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라는 생각이 든다.
of Hongik University is course to make an architect into human, not vice versa.
디테일에서의 섬세함으로 공간에서 작가의 존재를 느낄 수 있게하고, 지나치는
Minor interior designers have just hatched into the world to show them-
건물의 아름다움과 함께, 머물러 내부 공간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새롭게 부시고 짓는
selves by minute details, inactive beauty instead of the dynamic exterior,
것 보다, 작은 노력으로, 적은 자원으로 큰 효과를 만들어내는 재생의 이론으로 부장되어,
and creating grand influences with small resources. I am considered that
환경과 역사를 안고가는 작은 디자이너들이 이제 막 부화되어 세상 밖으로 나가려 한다.
many stereotypes and expectations of society will shake those trees, but
많은 편견과 기대가 나무를 흔들 거라는 걱정이 앞서지만, 바람없는 날에 따뜻한 햇빛이
I also believe many affinities are present to become a warm sunlight for
되어줄 수많은 인연들이 이들의 성장을 지켜볼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them.
2011년 1월
January 2011
홍익대학교 실내건축학과장
Director of interior architecture program
이현호
Hyunho Lee
008
HSA Designs
Faculty
School of Architecture Dean Gisuop Hong
Eonkon Park
Younghwan Lim
History of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M.S. Waseda University
B.S. Hongik University
PhD. Waseda University
M.Arch. Univ. of Pennsylvania
Structural Engineering
Architect AIA
M.S. Seoul National Univ.
Professor Uk Kim
Kyuman Song
PhD. Seoul National Univ.
Architectural Planning/CAD
Digital Architecture / Architectural management
B.S. Seoul National Univ.
B.S. Hongik Univ.
M.Arch. Ohio State Univ.
M.Arch. Univ. of Pennsylvania
PhD. University of Michigan
M.Des. Harvard University
B.S. Seoul National Univ.
Director of architecture program Hyunjoon Yoo Architectural Design
Doctor of Design, Harvard University
B.S. Yonsei Univ.
Youngsoo Lee
M.Arch. MIT
Architectural Design/Planning
Jaehee Choi
M.Arch. with Distinction. Harvard Univ.
B.S. Hongik Univ.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 AIA
M.Arch. Paris La Villette
B.S. Columbia
PhD. Hongik Univ.
M.Arch. Harvard
Director of interior design program Hyunho Lee
Architect D.P.L.G.
Architect AIA
Interior Design
Juyeon Kim
Stephan C. Exsternbrink
B.S. Seoul National Univ.
Interior Design
Interior Design
M.Arch. University of Michigan
B.S. Hongik Univ.
B.S. Univ. Detmold
Architect AIA
M.Art Cornell Univ.
Dipl.-Ing. Int. Arch. Univ. DetmoldMSc. Arch. Technical
PhD. Kookmin Univ.
Univ. DelftArchitect SBA
Associate Professor Jaeyong Chung
Heakyung Yoon
Architectural Design M.S. Hongik Univ.
Architectural & Urban Design
B.S. Hongik Univ.
PhD. Hongik Univ.
B.Arch. Univ. of Liverpool
M.Arch. Michigan Univ.
Dip. TRP Univ. of Liverpool
PhD. Carnegie Mellon Unv.
Emeritus Professor Dokeun Yoon
Myunghyun Jeon
PhD. Univ. of Liverpool
Architectural Design
RIBA
M.S. Hongik Univ.
Architectural Environment
Kyungsun Lee Architectural Design
PhD. Hongik Univ.
Assistant Professor Hahn Joh
B.S. Hongik Univ.
Kunhee Kang
Architectural Design
Doctor of Design, Harvard University
Architectural Design
B.S Hongik Unv.
Architect AIA
M.S. Hongik Univ.
M.Arch. Yale University
H.PhD. Sukmeung W. U.
Architect AIA
M.Arch. U.C.L.A
Juwon Kim Architectural Design
Hyunjoon Mihn
B.S Hongik Unv.
Architectural Design
AA Dipl. AA School
B.S. Seoul National Univ.
Architect RIBA
M.S. Seoul National Univ. M.Arch. UC Berkeley Architect AIA
009
introduction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 Urban Design
Seunghyun Woo
Jongwook Park
Interior Design
Architectural Design
B.S. Hongik Univ.
B.S Hongik Univ.
M.Arch. University of Michigan
M.Arch. Hongik Univ.
Architect AIA
Architect KIRA
Yongsoon Chang
Yoojong Park
B.S. Yonsei University
Architectural Theory & History
Architectural Design
M.S. Yonsei University
B.S. Seoul National Univ.
B.S. Hongik Univ.
M.Arch. UC Berkeley
M.S. Seoul National Univ.
M.S. Hanyang Univ.
M.Arch. Ecole d'architecture Versailles, France
Architect KIRA
Associate Professor Jungki Kim Interior Design
Hokyeon Park Architectural Design
PhD. St. Denis University, Paris 8
Haecheon Seo
B.S. Seoul National Univ.
Architectural Design
M.Arch. UC Berkeley
Sungik Cho
B.S. Keimyung Univ.
Architect AIA
Architectural/Interior Design
M.S. Hongik Univ.
B.S. Seoul National Univ.
Architect KIRA
Architect D.P.L.G.
Chulhee Kang Architectural Design
M.S. Seoul National Univ. M.Arch. Yale University
Youngkeun Han
B.S. Hongik Univ.
Architect AIA/KIRA
Architectural Design
M.S. Hongik Univ.
B.S. Hongik Univ.
Architect KIRA
Adjunct Professor Sanggil Kim
M.Arch. ENSA PARIS(3eme Cycle) Architect D.P.L.G. France
Youngkeon Park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al Design B.S. Univ. of Seoul
Hyunchul Han
B.S. Seoul National Univ.
M.Arch.Hongik. Univ.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 KIRA
Architect KIRA
B.S. Hongik Univ.
Seonchang Kim
M.Arch. SUNY at Buffalo
Donghoon Kim
Architect AIA/KIRA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al Design
B.S. Hongik Univ.
B.S. Hongik University
M.S. Hongik Univ.
M.Arch. Miami University
PhD. Hongik Univ.
Architect KIRA
Architect KIRA
Soonkoo Kong
Joonhoe Kim Architectural Design B.S. Hongik Univ. M.Arch. ENDB Nancy Architect D.P.L.G
STAFF Saerom Park Sungeun Choi Osun Kwon
Architectural Design B.S Hongik Univ. M.Arch.Hongik. Univ. PhD. Hongik Univ.
HSA Designs
Hongik University
010
011
0 01 |
School life
Freshman seminar at HSA Freshman orientation HSA habitat New arrival architecture sale HSA OLYMPIC 2010 HSA year-end party
HSA Designs
Freshman seminar at HSA FEB. 17. 2010
012
school life
Freshman Orientation FEB. 26. 2010 - FEB. 28. 2010
013
HSA Designs
HSA habitat JUL. 10. 2010.
014
school life
New arrival architecture sale_Graduation exhibition AUG. 30. 2010 - SEP. 4 . 2010
015
HSA Designs
HSA OLYMPIC 2010 OCT. 8. 2010
016
school life
HSA year-end party DEC. 16. 2010
017
DEPARTMENT OF ARCHITECTURE
HSA Designs
1:1 pavilion working at Hongmunkwan
020
0 02 |
First year
First year projects introduction Proportion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nature Proportion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man-made objects Space installation 1:1 Pavilion Cubic house
022
Department of architecture : first yaer
First year projects 일학년 설계 과정
1학년 설계는 학습범위 설정에 있어 단순한 기술숙련에서 벗어나 건축적
In the first year, all the projects were preconceived in sequence
사고능력 향상을 목표로 각 과제 별 연계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 주제어,
to build-up the architectural thinking process. To achieve that,
“재창조(re-creation)”를 설정하였다. “재창조(re-creation)”는 건축가의
we put a study title as “Re-creation”.The title implies that all
창작행위가 세상에 이미 존재하는 무언가에 대한 관찰과 영감에서 비롯된다라는
the creation architects achieve stems from his/her studies and
점에서 착안하였으며 표본으로 이태리 르네상스시대의 예술가 레오나르도
inspirations of things already exist in this world and we referred
다빈치를 삼았다. 그는 자연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 예술, 기술
to the practice of the great Renaissance master, Leonardo da
각 분야의 지식을 수립, 창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건축이라는
Vinci of Italy. Da Vinci established immense knowledge of sci-
종합예술을 지향하였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학생들은 예를 들어 1학기 첫
ence, art and engineering via examination and analysis, which
과제를 맞아 기존 교육에서 주입된 간접지식에 의존하지 않고 다빈치와 같이
were combined all in one in his works of architecture. Students
스스로의 관찰력과 분석력에 의존, 자연에 존재하는 기하학적 형태를 “재발견”
of today, for example, “re-discovered” the geometric forms
하였다. 이 후 치수 및 황금비율에 입각한 기하형태로 추상화된 결과물을
of nature through the direct examination and analysis as Da
다시 관찰, 나름대로의 건축개념에 적합하도록 “재조합”하였는데 이 후반부
Vinci did not relying on the pre-established knowledge found
과정은 표현범위나 형식의 자유로움에 있어 실용성이나 미학적 완성도를
in media. Students also “re-configured” their re-discoveries to
목표하였던 다빈치의 작업보다 과학적 방법이나 도구를 사용하였으나 자신의
“re-create” objects to their individual concept, the process of
창작욕망에 보다 충실하였던 중세의 연금술사 또는 프랑켄슈타인박사와 같은
which resembles more of mad-scientists or alchemists who were
근대 초 영화나 소설 속의 ‘mad scientist’에 더 가까웠다. 이러한 “재창조”
after their own desire in its width of methods and the freedom
작업은 1학기 중 세차례 반복과정을 거치며 방법론적으로 심화되었으며 2
of expression than Da Vinci who were after the practicality or the
학기에 들어서는 보다 실질적인 용도(예: 비를 막는 지붕외피, 자중을 지지하는
artistic perfection. During the first term, there were 3 projects
목구조체, 1인 주거/작업을 위한 건물)와 공간설계를 목표로 전문화되었다.
which were escalated in methodology. During the second term, we focused on more functional aspects (e.g. rain-screening ma-
정규과제 외 학기별로 이루어진 답사를 통해 학생들은 엄선된 전통건축 및 현대
terials, timber structure, 1-person live/work unit) and the spatial
건축물들을 경험하였다. 1학기 답사엔 소쇄원, 의재미술관, 금산사, 조계종
design skills.
전통불교문화원을 다녀왔고 2학기 답사엔 탄허기념박물관, 테오얀센전, 연정태 선생님의 아름다운자연학교를 다녀왔다.
There were 2-day study trip in each academic term. The first destinations included Sosoewon, Ui-jae Art Gallery, Gumsansa and Traditional Buddhist Culture Centre. The second destinations included Tan-huh Memoreial Hall, Theo Yansen exhibition, Recycle Artist Yeon’s Work
1반 김주원 김경희
Studio 1 Juwon Kim / Kyunghee Kim
2반 조한 양원모
Studio 2 Hahn Joh / Wonmo Yang
3반 송규만 백원화
Studio 3 Kyuman Song / Wonhwa Baek
4반 윤혜경 현상민
Studio 4 Heakyung Yoon / Sangmin Hyun
5반 박호견 빈혜진
Studio 5 Hokyeon Park / Hyejin Bin
6반 황근욱 길기홍
Studio 6 Keunwook Hwang / Kihong Gil
7반 이영문 전병헌
Studio 7 Youngmoon Lee / Byunghun Jeon
8반 장정제 노지연
Studio 8 Jungjae Chang / Jiyeon No
9반 이상훈 최봉열
Studio 9 Sanghoon Lee / Bongyeol Choi
구조 홍기섭
Structure tutor Gisuop Hong
023
Proportion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nature
Proportion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nature 자연의 비례분석과 재조합
동식물 등에 대한 실측 도면 작도를 통해 함축된 기하형태와 비례를 재발견하고 작가적 해석을 더해 이를 건축오브제로 재조합 한다. 건축작도의 기본이 되는 평입단면도의 원리를 이해하고, 기초적인 제도 용구 사용법, 선의 종류, 기하작도, 레터링을 익힌다. 또한 복합재료를 사용해 모형을 제작한다.
Through detailed drawing of various fauna, this project is to discover the hidden geometry and proportions. Utilizing and combining such elements, one will create a completely different architectural
B
object. Students will learn the concepts of basic architectural drawing, the usage of
C
drawing tools, lines, geometry, lettering, and construction of models with various ingredients.
A
D
F
A Seunghwan Jeong
C/D Hongcheol Bae
B Jiyeong Yun
E/F Jisuk Choi
E
024
Department of architecture : first year
A
B
C D
A Jihyeon Gang
C Junho Noh
B Changwon Jeong
D Suhong Kim
025
Proportion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nature
A B
D
A Jongyeong Park
C Daeun Cho
B Yeseon Son
D Jeongseo Hwang
C
026
Department of architecture : first year
Proportion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man-made objects 인공물의 비례분석과 재조합
1단계 작업에선 10개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된
A
인공물을 선택, 해체 및 절개를 통해 분석하고 평입단면도 및 액소노매트릭 도면으로 표현한다. 2단계 작업에선 해체된 오브제의 부품과 원리를 이용, 다른 부품들을 추가하여 자신의 건축개념에 맞도록 제2의 오브제를 재조합한다. 입체적 형태를 표현하는 액소노매트릭의 원리를 이해하고 자신의 의도에 적합하도록 작도할 줄 안다.
Firstly, one must choose an artificial object that consists more than 10 components. By disassembling and reconstructing such components, one will analyze the object and express it in plane, section, and axonometric drawings. Secondly, utilizing the dismantled components, one will recreate a new object by differently combining the components while using their mechanism. Through this process, one will understand the concept of axonometric drawing, and draw such drawings according to his idea.
B
D
C
E
A Yena Lee
C Jongyeong Park
B Seungyeop Song
D Seongbin Hwang
F
E/F Wonjung Lee
027
Proportion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man-made objects
A
B
C
D
E
F
G
A Mijin Jeon
C Jino Park
E Sujeong Yoon
B Hyeondong Kim
D Soyeon Kim
F Byeonguk Oh G Jiyeong Yoon
028
Department of architecture : first year
A B
C D
F
E
A Mijin Jeon
C/D Yeseon Son
B Juhyeong Lee
E Changwon Chung
F Jisuk Choi
029
Proportion analysis and reconfiguration of man-made objects
A
B
C D
A Seongbin Hwang
C Dayeong Ryu
B Hongcheol Bae
D Jongyeong Park
030
Department of architecture : first year
Space installation 오브제 공간설치
A
오브제를 설치할 공간은 자신이 속한 반이나 인접한 공용공간 중 다른 팀과 중복되지 않도록 선정하고 1:10 실측도면과 1:4 공간 모형을 만들어 스터디 한다. 평입단면도 및 투시도의 작도를 통해 실내 공간에 대한 이해와 분석능력을 키우고 선정된 개념오브제의 스케일과 재료를 변형, 치환하여 공간설치가 가능하도록 재조합한다. 일소점, 다소점 투시도의 원리를 이해하고 작도할 줄 안다.
This project will be constructed by the corresponding team. The chosen object should not trespass another’s space, and should be studied in advance by drawing and modeling in a scale of 1:10 and 1:4, respectively. This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pace through plane and section drawings. Additionally, a literal construction of the object will be beneficial for spacial analysis. Lastly,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d draw perspective drawings. B
C
D
A studio 4
D studio 5
B/C studio 8
E studio 1
E
031
Space installation
A
B
C
D
F
E
A/B studio 2
D studio 5
C studio 1
E studio 8
F studio 2
032
Department of architecture : first year
A
B
C
D
F
G
E
H
I
K
J
A studio 9
F studio 6
I studio 5
B/C/D/E studio 3
G studio 7
J studio 1
H studio 7
K studio 2
033
1:1 Pavilion
1:1 Pavilion 1:1 파빌리온
목조 결구를 이해하며 목구조체를 만들고 그 위에 약소한 빗물을 받아낼 수 있는 재활용소재 지불외피를 고안해 부착하는 작업으로 처음 3.5 주간 학생 1인당 1작품을 1:10 스케일의 도면, 모형으로 발전시켜 중간평가를 하고 이 후 1 개 안을 반별로 선정, 나머지 4.5주간 지붕외피 mock-up, 1:5 제작도면, 1:2 상세도면 및 스터디모형작업을 거쳐 학교 교정에 1:1로 설치하는 작업이다. 파빌리온의 크기는 2.4*3.6 미터 평면에 2.4미터 이하 높이로 한정되었다.
This project is designing a wood structure covered in reusable skin with a device that could contain rain water. For the first 3.5 weeks, students will design their individual works on a 1:10 scale. After evaluation, each studio will choose a single project, and draw its drawings on a 1:5, 1:2 scale. Lastly, the studio will literally construct the structure on school campus. The pavilion size is 2.4x3.6 meters, with a height no taller than 2.4 meters.
A
B
D
A/B/D studio 6 C/E studio 8
C
E
034
Department of architecture : first year
A
C
D
F
H
B
E
G
A/C/D studio 4
F studio 2
B/E studio 3
G studio 7
H studio 1
035
1:1 Pavilion
A
B
C
A studio 8 B/C/F studio 5
D
E
G
H
D/E/G/H studio 1
F
036
Department of architecture : first year
A
C
D
E F
A/E/F studio 1
C studio 3
B studio 4
D studio 7
B
037
1:1 Pavilion
A
B
C
D I
E
F
G
H
A studio 4
D studio 6
G studio 8
B studio 5
E studio 3
H studio 7
C studio 1
F studio 9
I studio 2
038
Department of architecture : first year
Cubic House 입방체주거
A
B
C
건축각론치수, 구조, 설비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사람이 거주, 업무가 가능한 건물을 설계, 평입단면도 및 투시도, 액소노매트릭 도면으로 표현한다. 건물크기는 6x6x6 입방미터 내로 한정된다. 건축 각론치수의 암기를 위해 33문제 객관식 필기 시험을 치뤘으며 기술표현에 있어 단면재질, 평입단면 기호표시, 해체액소노메트릭을 활용한 부재간 결합방식, 건물의 실내외부투시도를 습득하였다.
According to the basic acknowledgment of architectural measurements, structure, and facilities, one will design and express a single residence where the resident can possibly work and live; this structure will be expressed in plane, section, axonometric, and perspective drawing. To memorize the measurements a 33 question quiz was held, and students learned the skills to technically express drawing details such as ingredients, symbols, technological attachment, interior and exterior perspectives. D
A /B Cheoleon Park
D Yeseon Son
C Chanmi Geum
E Bogyeong Song
E
039
Cubic house
E
A
B
C
D
G
F
A Yeongchan Cho
C Geuni Park
E Wonjung Lee
B Yeseon Son
D Jiyeong Yoon
F/G Mijin Jeon
040
Department of architecture : first year
A
B
C
D
A/B Cheoleon Park C Geuni Park
D Hyeonsu Kim
041
Cubic house
A B
D
C
E
A Mingyu Son
C Jaeho Lee
B Seonjeong Kim
D Sehui Ryu
E Mijin Jeon
ARCHITECTURE PROGRAM
sophomore studio critic in class
0 03 |
Second year
Pedestrian bridge House Other selected works Public toilet Neighborhood facility
2학년 설계스튜디오부터는 대지와 주변 환경을 이해하고 적용하기 시작한다.
The curriculum of the 2nd year starts from understanding the land mass and its environment.
주택 및 근린생활시설 등 코아 프로젝트를 포함한 일련의 프로젝트들은 소규모의 건축형식 학습을 바탕으로 주변의 물리적 및 문화적 환경들을
Minor projects of residences, parks, etc. requires the basic ability
이해하고 배열하는 연습을 한다. 건축설계1에서부터 시작된 단위공간의
of understanding and formation of the surrounding land mass.
학습은 점점 복잡해지며 물리적인 크기에 국한하지 않고 오감을 고려한 감성적
Since Architectural Design 1, the learning of basic spaces gradu-
경험으로 확장한다.
ally became more complicated and expands not only physically but emotionally as well.
건축설계3은 2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In Architectural Design 3, two projects exist.
Project 1
연결 공간 계획
Project 1
Pedestrian bridge
첫 번째 프로젝트는 건축대학 L동과 j동 사이의 연결공간에 대한 제안으로
The first is proposing a joint space that connects building L and
연결공간의 기능적 역할 뿐 아니라 사회적 및 감성적 역할의 이해와 적용을
J of the campus; one must consider the functionality of a joint
목표로 한다.
space as well as the societal and emotional elements of it.
Project 2
한강변 주거 계획
Project 2
House
상상력의 배양을 위하여 현재는 건축 가능한 대지는 아니지만 한강변
The second project is a single resident on the lakeshore of Han
고수부지에 물에 인접된 수상형 주거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서는 이웃의
river. To encourage the students' imagination, despite such site
사회적 성격보다는 물리적인 자연적 특성에 대한 반영을 집중적으로 고려할
does not exist, this project pretends to have a site contacting
것이다. 수상의 환경과 고수부지의 환경 및 태양, 바람, 물 등 요소를 주택의
directly with the river. Concentration on environmenta l charac-
요소로 끌어들이고 발전시키는 고민을 하게 된다. 현실적인 주거의 문제와
teristics is required more than the societal connection. Students
수변에 대한 상상력의 적절한 반영을 요구하고 홍수 등 물리적인 재해는
must consider the surrounding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
고려하지 않기로 한다.
riverside, the sun, wind, etc. An appropriate result of balancing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is required, and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may be disregarded.
건축설계4는 홍대앞 문화를 기본 텍스트로 하고 공중화장실과 소규모
Architectural Design 4 places its site as Hong-dae, and consists
근린생활시설을 계획한다.
of two projects of a public bathroom and a minor park.
Project 3
공공 화장실
Project 3
Public toilet
첫 번째 프로젝트는 홍대 정문 건너 놀이터의 낙후된 화장실을 철거하고 새
The first project is to remove the present public bathroom
화장실을 신축하는 프로젝트이다. 대변기 및 소면기 등 기본적인 치수와 거리
in Hong-dae's playground, and construct a new one. Basic
그리고 세면대등 위생시설에 대한 학습은 의무사항이며 놀이터 전체의 사회적
measurements of bathroom elements such as water faucets,
기능에 대한 이해와 나아가 홍익대 주변 문화를 이해하고 공간에 적용하는
and toilets are mandatory. Additionally, acknowledgment of
훈련을 한다.
the functionality of Hong-dae's playground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should be applied to the bathroom.
Project 4
근린 생활 시설
두 번째 프로젝트는 홍익대 주변에 400m2 규모의 대지에 근린생활시설을 계획한다. 근린생활시설은 가장 기본적인 생활단위의 건물이다. 먼저 근린생활시설의 법적 실제적 사용을 이해하고 상업적 의미가 아닌 문화적 의미의 근린생활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건축물을 계획한다.
Project 4
Neighborhood facility
The second project is planning a park around Hongik University of a size approximately 400 square meters.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legal definitions and applications. Additionally, students must ponder their cultural definition of a park and propose a structure according to it.
047
Pedestrian bridge
Pedestrian bridge 와우관 7층과 J동의 사이를 연결하는 보행자 전용다리 디자인
B
A
C
현재 와우관과 J동은 설계실 및 건축관련 용도로 쓰이는 건축대학 건물이다.그러나 와우관과 J동은 배치상
F
분리되어 있으며 동선들이 길고 위상차가 커서 많은 사람들이 불편함을 느낀다. 또한 J동 층간의 이동이 매우 불편하여 같은 건물 내에서도 이용에 불편함을 느낀다. 보행자 다리란 사람이 직접 도달할 수 없는 떨어진 두 장소를 잇는 관계의 매개체이며 동시에 전이적 공간이다.
Building L and J are utilized for school of architecture. Since two buildings are separately arranged, users complain of inconvenience. Plus, the building J lacks in vertical circulation convenience. Pedestrian bridge between L and J will make better access to both buildings. D
E
A Junyeong Lee
D Hyeonseok Lee
B/C Hangsu Jeong
E Yuhwan Cho
F Jeongsu Seon
048
Architecture : second year
Divided Box house
House
Giwon Oh
Yunju Choi
prof. Hyunjoon Mihn, Gyuhwan Bae
prof. Hyeonjun Min, Gyuhwan Bae
사이트에서 발견한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매스를 배치하여 한강변이라는
한강변이라는 대지조건하에 강가의 자연환경을 적극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사이트를 주택 내부에서 다양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매스들을 겹치고
환경인 요트의 공간을 적용하여, 2층에 강으로 길게 뻗어나가는 발코니(Deck)를
나누는 과정에서 생기는 틈이나 엇갈림들이 자연스럽게 창, 테라스, 지붕 등이
마련하여 수공간을 감각적으로 체험하게 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아래쪽에는
되도록 디자인하였다. 내부 공간구성은 부모와 자녀간의 Privacy를 지키면서
사적인 생활공간 위는 활동공간으로 분리하였다.
주방을 중심으로 한 동선을 통하여 가족들이 자주 마주칠 수 있도록 하였다.
Placing the mass on two axis I discovered on the site, the riv-
Utilization of a yacht enables an active experience of the envi-
erside of Han river can be experienced in various perspectives
ronment of the riverside. The long outer deck of the second floor
within the house. The natural crevices from the mass formation
provides sensational experience of the water, and according to
became architectural factors such as windows, roofs, etc. The
this the private and activity space is divided.
program separates the parents and children for their privacy, but leads frequent collision through the central pass.
A
B
C
D
A/C Giwon Oh
A front view
B/D Yunju Choi
B/C/D perspective
049
house
Together
Refresh from nature
Byeonghun Kim
Seonghyeon Lee
prof. Youngsoo Lee, Kyungsuh Park
prof. Youngsoo Lee, Kyungsuh Park
사회와 가치관이 변하면서 대가족 형태에서 핵가족 형태로 변화한 지 오래다.
빠르게 돌아가는 삭막한 회색빛 도시 속에서 여유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은 많지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가정이란 무엇인지 생각해보았다. 일상생활을 “함께”
않다. 이 주택은 현대인에게 여유를 제공해준다.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시간적, 공간적 의미
여유를 가져다주는 요소는 굉장히 많지만 그중에서 자연을 통한 여유를 제안한다. 계단, 화장실, 테라스, 어찌보면 사소한 공간에서 느낄 수 있는
The family structure has changed as the social values did. I tried
여유는 현대인들에게 큰 선물이 될 것이다.
to figure what is the appropriate change of a family in such situation; in conclusion, one’s daily life starts and ends “together”,
There are not many spaces to have a breath in the fast city. This
while having their individual lives.
residence is to provide composure for modern people. Numerous elements exist for this, however I decided to utilize nature. Minute composures from small spaces such as stairs, bathrooms, etc., will be beneficial for the modern users.
A
B
C
D
A/D Byeonghun Kim
A top view
C front view
B/C Seonghyeon Lee
B birdeye view
D perspective
050
Architecture : second year
Deep yard house Siman Jang prof. Haecheon Seo, Junghun Lee
A
소설 마당깊은 집에서는 마당을 중심으로 정신적, 육체적으로 다친 피란민가족들이 등장한다. 더이상 피란민 가족은 없지만 현대사회에 지친 가족은 존재한다. 그들이 편히 쉴 수 있는 집을 제안하고 싶었다.주어진 대지는 홍대 앞 상수동의 주택과 상업시설이 혼재 되어 있는 지역이었다. 채광, 소음, 안전, 프라이버시 측면에서의 불리함을 보충하고 벽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와 분리시키기 위해 대지를 전체적으로 1m 땅 아래로 밀어넣었다. 그리고 ㄷ자 형태의 매스를 만들어서 외부와 분리된 중정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수공간을 두었다. 효율적이기만 한 동선은 되도록 지양하고 전체적인 동선과 프로그램의 배치를 중정을 중심으로 두어서 활동의 중심으로서 중정을 강조했다.
In the novel “the house with a deep courtyard”, the physically, mentally injured refugees from the korean war appear. Now there are no more family refugees, however tired families do exist. I planned a house that could provide a resting space for them. The given site is where residence and commercial facilities of Sangsu-dong are mixed. To fulfill the disadvantages of sunlight, noise, safety, and privacy, and also to form a barrier without using physical walls, the site was pushed underground for about a meter. Additionally, the U shaped mass distinguished the exterior and courtyard, where water is present. I avoided utilizing an only efficient pass way, and emphasized the courtyard as an activity space according to the program.
B
A/C perspective B birdeye view
C
051
house
Orchestra House Jonguk Go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A
각기 다른 악기를 연주하는 가족구성원의 성격을 고려하여 조닝을 하였으며 특히 작업환경을 중요시하여 아버지의 작업실로 가는 동선을 만들었다. 캔틸레버로 나와있는 소강당에서 가족들을 오케스트라처럼 엮어주고 조화시켜줌으로 주변지역에서 음악을 향유하는 대표적인 공간으로 탄생시켰다.
Considering the family member’s profession of different musical instruments, I planned the zoning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father’s workspace. A small auditorium with exterior cantilevers will orchestrate the family and become a representing musical space.
B
C
D
A front view
D top view
B/C perspective
E birdeye view
E
052
Architecture : second year
The Four Seasons
Embracing Nature
Nakgi Go
Hyeonseok Lee
prof. Hangu Hwang ,Sunyong Choi
prof. Hangu Hwang ,Sunyong Choi
음악이라는 청각적 요소를 삶의 공간인 주택에 입혀보고자 비발디의 사계의
EMBRACING NATURE는 자연을 파노라마의 중첩에 의해 실내로 들인다.
각 악장의 주요 패턴들을 일정한 프로세스로 시각화시켜 주택내부에 그패턴의
사람, 자연, 공간이 혼재되어 하나의 구조를 형성한다.
빛을 끌어들임으로써 음악이 표현되도록 하였다.
I visualized each of Vivaldi’s movement’s of Four Seasons to
My project, Embracing Nature, receives nature within by over-
apply the auditory elements to the residence. As light enters the
lapping panoramas.
space, such patterns will represent the music.
Huma, nature, and space forms a structure through combination.
B
A
C
D
A/D Hyeonseok Lee
A front view
C top view
B/C Nakgi Koh
B perspective from street
D diagram
053
house
House
Axis House
Jeongyun Suh
JeongSu Sun
prof. Yongu Park, Il Cho
prof. Yongu Park, Il Cho
사이트에서 발견한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매스를 배치하여 한강변이라는 사이트를 주택 내부에서 다양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매스들을 겹치고 나누는 과정에서 생기는 틈이나 엇갈림들이 자연스럽게 창, 테라스, 지붕 등이 되도록 디자인하였다. 내부 공간구성은 부모와 자녀간의 Privacy를 지키면서 주방을 중심으로 한 동선을 통하여 가족들이 자주 마주칠 수 있도록 하였다.
Placing the mass on two axis I discovered on the site, the riverside of Han river can be experienced in various perspectives within the house. The natural crevices from the mass formation became architectural factors such as windows, roofs, etc. The program separates the parents and children for their privacy, but leads frequent collision through the central pass.
A
B
C
E
D
A/B Jeongsu Seon
A birdeye view
D study model
C/D/E Jeongyun Seo
B perspective from street
E birdeye view
C site plan sketch
054
Architecture : second year
Public toilet 홍대 정문 건너 놀이터의 공공화장실 디자인
첫 번째 프로젝트는 홍대 정문 건너 놀이터의 낙후된 화장실을 철거하고 새 화장실을 신축하는 프로젝트이다. 대변기 및 소면기 등 기본적인 치수와 거리 그리고 세면대등 위생시설에 대한 학습은 의무사항이며 놀이터 전체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이해와 나아가 홍익대 주변 문화를 이해하고 공간에 적용하는 훈련을 한다.
The first project is to remove the present public bathroom in Hong-dae’s playground, and construct a new one. Basic measurements of bathroom elements such as water faucets, and toilets are mandatory.
Additionally,
acknowledgment
of the functionality of Hong-dae’s playground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should be applied to the bathroom.
A
B
C
E F
D
A Hyeonseok Lee
C Jameon Kim
E Yuhwan Cho
B Jeongsu Seon
D Seonggeun Jeon
F Giwon Oh
F
055
public toilet / neighbourhood facility
Focus over Flow Geewon Oh prof. Hyunjoon Mihn, Sunyong Choi
빠르게 이동하는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홍대만의 문화복합시설이 필요했다. 역피라미드 매스들의 조합을 통해 저층부에서는 사람들의 유동성을 극대화 시키고, 건물 내부에선 내부집중효과를 극대화 시키도록 디자인 하였다. 홍대거리의 빠른 흐름이 방해되지 않고 건물로 진입하게 되며 건물 내부에선 그와 대비되는 정적인 공간을 느끼게 된다.
A facility that could bring in the fast moving people of Hongdae was necessary. Utilizing an upside-down pyramid mass, the lower level maximized the crowd’s movement, and the interior maximized concentration. While not barricading the fast flow of Hongdae, one is able to access the building easily, and experience a completely silent atmosphere inside.
A B
D
C
E
F
A final model
C study model
B site plan
D mass diagram
E section
056
Architecture : second year
Interacting Neighbor Hyunsuk Lee prof. Hyunjoon Mihn, Sunyong Choi
A
홍대의 거리는 개성 있는 사람들로 차있다. 홍대앞 사람들에 대해 생각을 해보자. 그들은 미술 작품 주변을
B
거닌다. 그 작품은 디자인 서적 일수도, 갤러리 일 수도 있다. 이웃들은 서로 반응하여 사람들이 미술과 개인성에 더 친근해져야 한다. ‘Interacting Neighbour’의 주제는 공간이 상호작용을 위해 극복하는 것이다
Hongdae streets have crowds of individuality. The neighbours have to interact so that people can get along with arts and individuality. Concept of ‘interacting neighbour’ is to make spaces overcoming theirselves in way of interacting.
C
D
A/E perspective (rendering)
C diagram
B final model
D detail
E
057
neighbourhood facility
Media Castle Yuhwan Cho prof. Hyunjoon Mihn, Sunyong Choi
C
A/B/C/E final model D elevation
A
B
E
F
D
F sketch
058
Architecture : second year
Metamorphosis
관계의 회복
Shinjong Kim prof. Youngsoo Lee, Kyungsuh Park
A
초창기 홍대 주변의 실험적이고 때론 철학적이고, 진취적인 예술문화 대신, 오늘날 홍대 주변은 상업적이고 마냥 즐기기만 하는 자유분방한 소비문화가 아무런 계획 없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이 사이트를 통해 홍대 주변 초창기 예술문화의 잃어버린 모습을 되찾아주고, 계획되지 않은 자유분방한 건물(사람, 또는 프로그램)을 이어주는 ‘관계를 회복시키는’ 공간이 들어섰으면 하는 바람이 생겨났다. 그리고 관계를 회복시키는 주체는 건물 자체가 아닌 건물이 내포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사람을 통해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Today, a free but nonproductive consumption activity is present rather than the philosophical, cultural activities in the past. By this proposal I attempted to rediscover the cultural past of Hongdae, and constructed a recovering space that bonds the present unplanned programs and people of Hongdae. B
C
The main agent for such bonding will not only be the building, but also the inner program and the people using it.
D
A perspective rendering (night)
C final model
B plan
D section & elevation
059
neighbourhood facility
Messaging Axis Jinhyuk Lee prof. Youngsoo Lee, Kyungsuh Park
A
건축물로 접근하는 동선을 기준으로 축을 정해서 매스를 형성하고 상업자본으로 인해 거리의 특성이 흐려지는 SITE안에 극장과 입주자스튜디오를 넣어 홍대 앞의 희미해지는 예술 극 문화를 지속시키기를 꾀했다.
Based on the entrance pass axis, the mass is formed. Within the site that is clouded from commercial context, I placed a resident’s studio to maintain Hongdae’s theatric culture. C
D
E
A/B final model
D section
C diagram (section)
E diagram (mass)
B
060
Architecture : second year
Make Intersection by Linking Jameon Kim prof. Haecheon Seo, Junghun Lee
A
홍대 앞 거리는 여러문화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B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중심지이다. 건물은 홍대문화를 대표하는 프로그램들이 구성되고, 각 공간들은 서로 관입함으로서 여러 문화를 동시에 체험하는 공간이 되며,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는 창조의 공간이 된다.
Hongdae streets is a unique area where various cultures react and create new ones. The structure contains programs that represent the individual cultures, and such spaces collide with each other for a multi-experience atmosphere; in result becoming a completely different space.
A final model
B elevation
061
neighbourhood facility
Mosaic Jaehoon Lee prof. Haecheon Seo, Junghun Lee
E
A B
C
D
A final model
C diagram (program & path)
B diagram (site)
D section detail
E sketch (process)
062
Architecture : second year
Associer Junyeong Lee prof. Hyeongjun Kim, Hanseong Kang
A
B
C
Site에는 Main Axis와 Sub Axis가 존재한다 각각의 Axis에 따른 Mass들이 결합하여 건물의 외부를 형성하고, 그것이 건물의 내부까지 이어져 이용자가 건물의 내부에서도 Axis가 다른 Mass 들의 결합을 느끼게 하였다
A main and sub axis is placed within the site. The axis are combined with the masses to form the outer structure, which is expanded to the interior so that the users may experience it. D
A perspective rendering B/C final model
D elevation
063
neighbourhood facility
Turning point of hongik culture Eunjin Yun prof. Yongu Park, Il Cho
사이트 주변에 인디문화 전파의 시작점이 되고자 하는 의미의 turning point는 인디의 “영역 속의 영역”이라는 의미에 착안하여 작은 중정을 프로그램 공간으로 둘러싼 건물이다.
The Turning Point has its purpose to act as a starting point of spreading influence for the surrounding indie culture of the site. Based on the concept of “Area within an area”, the program surrounds the small courtyard.
A
B
C
D
E
A/B perspective rendering
D concept drawing
C section
E final model
064
Architecture : second year
Back to the basic Youngdong Cho prof. Yongu Park, Il Cho
80년대 홍대 앞이라는 장소를 부흥시켜 준 예술과 그 뿌리였던 작업실 문화는 그 이후 상업이라는 자본에 의해 모두 다 밀려났다. ‘홍대 앞 놀이터’와 ‘상상마당’ 이라는 문화적인 요소에 의해 나름대로의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제시된 장소에는 그 특색을 찾아볼 수 없다. 현재의 홍대는 그 뿌리를 잃어가는 한그루의 나무와 같으며 나는 제시된 장소에 홍대의 뿌리인 작업실 문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접목시켜 사람들이 예술에 흥미를 갖고 직접 체험해보며 느껴볼 수 있도록 하였다.
A
The art culture and its root of workshops during the 80’s have been pushed away due to
B
commercial reasons. The playground and Sangsang Madang of Hongdae has its unique atmosphere, however the site has no such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m. The present Hongdae is a tree losing its roots, and my proposal is to actively combine the workshop culture with the site so that people will regain their interest in art.
C D
E F
A/B concept images
D/E final model
C space diagram
F section
065
neighbourhood facility
Elements Conservation Jungsoo Sun prof. Soonsup Choi, Jaehyun Cho
A
B
C
D
E
A concept diagram (noise) B site plan
C/D/E perspective rendering
Junior special lecture for office design
0 04 |
Third year
Cultural Gathering Facility (Art Museum / Memorial) Program Extension Planning Creative process Eco-friendly Office Space
068
Architecture : third year
3학년 설계 스튜디오는 기본적인 설계수업의 마지막 과정으로 지역적 사회적
Architecture studio of the third year is the last course of basic
문화적 요구와 제약에 적합한 구체적인 건축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architecture, requiring the ability to propose detailed architec-
공공성을 가진 건축 기능을 다루기 시작하며 일반적인 분석 및 실현 작업을
tural solutions appropriate for the social, cultural limitations. The
넘어 콘텍스트와 프로그램간의 관계를 설계에 응용할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projects will be focused on publicity, and the relation of context
디지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빌딩 시스템, 구조체계, 법규, 재료와 디테일
and program must be applied as well as basic analysis and
등을 이해하고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realization. Additionally, building system, structure, architectural
지속가능한 건축 환경 조성을 위한 기본적인 이해와 테크놀로지를 습득하며
law, material, and detail, etc. should be acknowledged and pre-
친환경 디자인의 궁극적인 사회 문화적인 역할과 의미를 되새겨 본다.
sented with communiation skills. Students will acquire the basic understanding of sustainable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technology, and learn the ultimate social, cultural function of it.
Project 1
문화집회시설(미술관/ 기념관)
Project 1
Cultural Gathering Facility (Art Museum/Memorial)
공공성을 띄는 미술관 혹은 기념관을 홍대앞이라는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띄는
Students will plan structures with public characteristics in
대지에 구축함으로써 지역적 콘텍스트와 문화시설 프로그램의 관계를 고려한
Hongdae, considering the cultural uniqueness and the relation
대안을 제시한다.
between local context and program.
Project 2
프로그램 증축 계획안
Project 2
Program Extension Planning
Project1에서 제시한 문화집회시설과 인접한 대지에 단순한 물리적 증축이
Students will build an extension near their previous project,
아닌 관계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적 하이브리드 Renovation을 제안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ogram relation not physical.
Project 3
Creative process
Project 3
Creative process
“If you want to change your outcome, you must change your
“If you want to change your outcome, you must change your
process” 지금까지의 과정이 체계적인 기본 과정이었다면 짧은 기간이지만
process” If the system till this was basic, project 3 concentrates
기존의 틀을 벗어난 창의적인 계획을 지향하며 사고의 전환과 과정의 참신함을
on creativity. Each studio will have a different subject for archi-
우선한다. 개인별 스튜디오별로 다른 주제와 키워드를 가지고 설계에 접근하며
tectural development.
다양한 결과물을 기대한다. Project 4
친환경 오피스 계획안
도시적 성격이 강한 전문적인 기능군을 설계할 수 있는 기회이며, 친환경 오피스란 단어의 본질적인 정의에서부터 계획을 시작한다. 테크놀로지만을 이용한 계획안이 아니라 실질적인 저탄소 녹색성장을 이룰 오피스 계획안을 제안해야 하며 커튼월 디자인과 주차장 모듈 같은 디테일한 계획과 실무적인 계획 작업을 요구한다.
Project 4
Eco-friendly Office Space
This project is a good chance for planning professional urban space. The development will not be limited in technological terms, but will also include efficient low carbon planning as well. Practical details such as curtain wall designs and parking lots will be required.
069
Cultural gathering facility / program extension planning
Stacking media masses Junghee Kim prof. Changhoon Shin, Sungwook Cho
A
C
B
E
D
F
G
A perspective view
C site plan
E/F plan
B diagram
D program diagram
G elevation & section
070
Architecture : third year
The Lighting Gallery Youngdoo Choi prof. Sangmin Ha, Sunkyung Lee
E
A
밤에 주로 이용하는 빛을 이용해 영상전시 갤러리로 이용한다. 기존 화이트 큐브와는 다르게 유리의 반사를 이용한 미술관을 디자인했다. 또한 낮에도 이용가능하도록 빛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의도했다. 레이어 개념의 스크린은 평면과 입면에 입체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Light devices for night time are used for film galley. Unlike B
general white cube I’ve designed a gallery utilizing reflection of glass. In daytime light could be entered into the gallery. Screens effect on plans and elevations as if they were layers.
C D
J
F
G
H
A perspective view
E plan
B/C/D interior perspective
F/G/H/I study model
I
J final model
071
Cultural gathering facility / program extension planning
Focus on SeungHoon Song prof. Changhoon Shin, Sungwook Cho
B
C
E A
D
홍대는 특이한 곳이다. 여러 문화가 혼용되어 있으면서도, 서로의 자리를 지켜가며 자신들만의 분위기를 뿜어내고 있다. 그러나 7개의 문화의 강이 흘러가는 변두리에 옹벽을 친 홍익대는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있다. 이런
F
문화의 흐름과 홍익대라는 예술의 집합체가 하나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찾던 끝에, 스탠드의 끝부분이 대지경계선 때문에 돌처럼 쪼개진 것 같은 틈을 발견, 문화의 흐름이 그곳을 통해 홍익대에 문화와 사람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
G
Diverse cultures coexist, emitting their own atmosphere in
H
Hong-dae. However Hongik Univ. is barricading itself from the seven major flows of culture. While searching how to combine such flow of culture and art compound of Hongik Univ., I discovered a small crack caused by the edge of the stand. I believe the flow of culture can be recieved within Hongik Univ. through this crack. I
A/B/C/D perspective view
F diagram
H plan
E section
G study model
I elevation
072
Architecture : third year
Culture museum Kiran Yangi prof. Changhoon Shin, Sungwook Cho
A B
특정 전시 목적을 띈 미술관건축의 경우 전시작품의 유동성이 한계를 가지며 건축과 전시작품이 충돌을 일으키게된다. 빠르게 변화하고 유동적인 홍대지역에, 미술관 안에 전시된
C
작품에만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아닌 미술관 밖의 특성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여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새로운 문화를 이식하기 보다다 기존의 홍대가 가지고 있던 문화의 확장과 가치의 가능성가진 미술관을 제안하려 한다.
In case of an art gallery, the exhibition pieces have limitations in transportation, causing a collision between the architecture and the works. Instead of imbuing values only within the exhibition works,
D
E
I strove to plan an exterior that could represent the outer cultural values of Hongdae. Thus, my proposal is an art gallery that attempts to spread the present cultural values of Hongdae, rather than creating a new one.
F
G
A/B interior perspective
D diagram
C/E final model
F perspective view
G section
073
Cultural gathering facility / program extension planning
Other selected works_renovation
A
B
C
D
E
F
A Minho Lee
B Jeonghui Kim
C Seungmoo Oh
D Yugyeong Yang
E Mingi Kim
F Sohyeon Jeong
074
Architecture : third year
Totes flagship store Eungyu Choi prof. Hyungho Woo, Yunchul Ryu
B
A D
C
totes는 우산 브랜드이다. 명동에 위치한 totes 의 플래그십스토어는 사이트의 특성과 우산의 특징이 직접적으로 나타내어진 건물이다. 상점들과 사람들이 가득한 명동에 상점을 드러내고 사람들을 끌어 모으기 위한 틈과 비오는 날 거리 가득히 채워진 우산의 모습을 위에서 본 모양에 주목해 다양한 우산들이 건물 입면에 집적적으로 표현되게 하였다. 또한 우산이 비로부터의 보호막이 되듯이 건물 전체를 더블스킨으로 감싸 내부와 외부 모두에 다양한 시선의 흐름이 생기도록 하였다.
Totes is an umbrella brand. The flagship E F
store located in Myongdong directly expresses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nd of an umbrella. To visualize itself in the busy streets of Myongdong, I concentrated on the figure of opened umbrellas of the numerous people of Myongdong on a rainy day, which is the design bsis for the facade. Additionally, following the covering function of an umbrella, the double skin of the building leads to various visual experience interiorly and exteriorly.
A perspective view
D elevation
B/C final modelv
E concept diagram
F site plan
075
creative process / eco-frieandly office program
Samik flagship store Jisun Huh prof. Hyungho Woo, Yunchul Ryu
C D
A B
빽빽한 빌딩 숲 속에서는 수직적 힘이 지배적이다. 이 높게 높게 줄지은 빌딩들 사이로 청계천이 흐른다. 이러한 곳에 삼익 피아노 Flagship Store가 놓여진다. 음악은 분주하게 돌아가는 빌딩들도 잠시 쉬어가게 하고, 흐르는 청계천의 물소리와도 멋스럽게 어우러지고, 곳곳을 걷는 사람들의 마음도 두드린다. 피아노 소리는 빌딩 사이로, 청계천의 물이 흐르는 곳으로, 사람들의 마음 하나하나로 퍼져나가고, 나누어진다.
A forest of high-rises are very vertical. Among these tall buildings Chenggye stream flows. These are description of the site Samik Piano Flagship store would be placed. Music makes buildings take a rest. It also makes beautiful harmony with the sound of running water which would attract people. Fascinating sounds of piano and water run E
through buildings and people around them.
F
A/D perspective view
C site plan
B program diagram
E plan
F elevation & section
076
Architecture : third year
Bon voyage - Hyundai yacht flagship store Gwangbon Koo prof. Taegwon Yoon, Seungmo Seo
A D
C
B
여의도의 마리나시설 옆에 위치한 현대요트의 플 래그쉽 스토어이다. 한강의 수위는 하루 중에도 0.5M ~ 1.5M씩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러한 수변 환경적 요인은 여러 Deck들의 Landscape를 끊임 없이 변화시킨다. 또한 이러한 데크들은 수상과 지 상을 수평-수직적으로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한강변
E
의 사람들을 물위의 공간으로 이끈다. 물 위에서 체 험하는 다양한 경험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물과 더 친해지도록 만든다. 전체적인 조형과 프로그램 구
F
성은 요트의 특성을 반영하여 진행하였다.
This is the Hyundai Yacht flagship store located next to the Marina facility of Yeoui-do. The water level of Han-river differs from 0.5 to 1.5 meters a day. Such vertical changes constantly change the decks’ landscape. Additionally, such decks connects the water and lan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t leads people of the riverside on the water. The various experience on the water enables people to become friendly with water. The entire form and programming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yacht.
H
A/D perspective view
E concept model
B site plan
F program study
C plan
G concept diagram
H elevation
077
creative process / eco-frieandly office program
Fixate - Kogendo flagship store Seunghoon Song prof. Taegwon Yoon, Seungmo Seo
A
B
D
C
코겐도라는 일본화장품을 대중에게 어필하기 위해 화장품거리가 활성화된 명동을 선택했다. 플래그쉽 스토어를 setback 시킴으로써 길에서 사람들의 시 야에서 보이지 않다가 나타나게 하여 일차적인 관 심을 끌어내고 setback하며 생긴 옆 건물들의 옆면 또한 광고면으로 이용하여 세 면의 광고면으로 이 차, 삼차적인 부가효과를 창출해낸다. 기업특유의 컬러인 빨간색과 검은색을 사용했고 이 두 가지 면 이 접혀서 하나의구조체가 된다.
To advertise Kogendo in Korea, I chose G
H
the site in Myongdong, where cosmetic shopping is most active. By setting back the flagship store, people will gain interest due to the dependent visuality of
E
one’s position. Additionally, the surfaces of the bordering buildings, which are
F
visible when applying the setback, can I
be utilized as advertisements, providing optional effects. The company’s character of red and black is mainly used, and the structure is a combination of two folded surfaces.
A mass study
E site plan
G concept diagram
B/C/D perspective view
F site analasys
H/I final model
078
Architecture : third year
Biclo Junyoung Shin prof. Taegwon Yoon, Seungmo Seo
A
flagship store에서는 판매보다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해 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 나는 브랜드 BICLO의 핵심사업 중 하나인 ‘문화 만들기’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에 임했다. 반포공원의 달빛광장과 한강을 배경으로, 언덕 위 bmx묘기가 보이며 그 주위로 사람들이 자전거를 타고 지나간다. 그러나 맥주를 마시거나 책을 읽는 사람은 방해 받지 않는다. fixing, parking, shopping, water bar, shower 등의 프로그램에 따라 매스를 분절시켰고, 공원 방문객의 동선처럼 가구를 배치했다. Letting visitors experience unusual events is more important than selling products in flagship stores. I’ve focused on ‘producing culture’, one of the core businesses of Biclo. Along Banpo Park, square of moonlight and Han river are seen. BMX riders do acrobatic movements on the hill surrounded by people walking and riding bicycles. However, riders do not interrupt those who read or drink beer in the park. I’ve split the mass into pieces according to their programs; fixing, parking, shopping, water bar and shower. Furniture form certain flow of visitors in the park.
C
B D
E
F
A/E/F perspective view
D plan
B/C program study
G 3D rendering
G
079
creative process / eco-frieandly office program
Lego flagship store Jungyun Wee prof. Jongdae Kim, Sungwook Cho
A
D
B G C
우리는 레고의 도시에 살고 있다. 어렸을 때 우리는 레고로 도시를 창조하고는 했다. E
우리는 레고블럭으로 마을도 만들었다. 작 은 척도에서 보면 밖의 형태만을 감지할 수
F
있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가 거주하는 곳처 럼 보이지 않는다. 사람들이 레고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레고모델의 공간감을 느길 수 있길 바란다. We are in a city made of Lego. when we were kids, we stacked Lego blocks to create a city. We made our town out of Lego blocks as well. In small scale we could only see the unreal shape of the outer surface. In Lego flagship store, People would experience the real-size space of Lego model inside this building.
H
A site plan
C concept diagram
G plan
B program study
D/E/F final model
H elevation
080
Architecture : third year
Muji flagship store Hanbyul Lee prof. Hyungho Woo, Yunchul Ryu
A
B C
D
무지는 거의 모든 생필품을 판매한다. 일본의 무지와 달리 서울의 무지 플래그쉽 스토어는 다양한 상품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대신에 가구의 종류와 양이 적다. 이 플 래그쉽 스토어는 내부에는 총연출된 생활공간을 보여주는 작은 집이 있다. 가구를 강조하기 위해서는 층고를 무시할 수 있는 작은 집이 무지 플래그쉽 스토어에 적합하다. 그러면 볼륨 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Muji carries almost all kinds of living goods. The typical diversity of kinds and goods enables Muji flagship store as an ‘experienceable’. In Seoul, compared to Japan original, furniture lack in their sorts and amount. This flagship store contains a small house in it, to show its furniture and living identity as a whole setting. SInce I put emphasis on the furniture, the Muji flavored small house ignores floor gaps, maximizing its volume identity.
E
A site plan
C plan
B concept diagram
D program study
E elevation
081
creative process / eco-frieandly office program
Lego Office Jungyun Wee prof. Jongdae Kim, Sungwook Cho
A
F
B
레고 모델의 공간감을 느껴보자. 대지는 성큰공간을 만드는 레고블럭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람들은 그 앞에서 굉장히 작아짐을 느끼게 된다.
C
성큰공간과 외부 사이의 입구는 동굴처럼 보이며 역시 작아지게 하는 동일한 느낌을 일으키게 한다.
Feel the spaciousness of the inside Lego model. The land is comprised of a part of D
Lego that makes a hole like sunken area. People will feel themselves very small
E
when confronted. The entrance between sunken area and outside looks like cave and given the surroundings evoke the same feelings.
G
A perspective view
D elevation study
B detail model
E program diagram
C light diagram
F interior perspective
G elevation
082
Architecture : third year
Kowon office Joongkeun Kim prof. Younghwan Lim, Changhoon Shin
B
C
D
A
건물이 들어설 대지는 세 면이 도로와 접해있고, 양화로와 홍대정문으로 향하는 두 갈래의 길, 그리고 후면의 원앙로가 있다. Mapping에 따른 결과로, 사이트의 콘텍스트를 새로 부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건물의
E
거의 모든 면을 곡면으로 디자인하였는데, 이는 보는 곳에 따라 그 외형이 보는 이로 하여금 조형미를 느낄수 있게 하고자 함이며,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는,
F
향과 전망에 따라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면을 구성하기 위함이다. 가운데가 움푹 파여, 양 옆으로 매스가 뻗어 나온 것은, 크게는 코원의 마케팅 본질이라 분석한 유저 커뮤니티와의 소통을 상징하고, 작게는 내부 공간 구성에 있어 한쪽은 고층으로 올라갈수록 업무시설에 많은 공간을 부여, 반대쪽은 접근성이 좋은 저층부로 향할수록 소비자들을 위한 공간을 넓히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site is bordering with three roads, which lead to Yanghwa-ro, Hongdae’s main entrance, and the rear Wonang-ro. In result of mapping, I decided to imbue a new context within the site. Most surfaces of the building are curved; this is to provide the passing people with various visuals, and to be ecologically friendly by form a moving surface according to direction and sunlight.
H
The two masses projecting from the sides represents Cowon’s marketing goal of user communication, and also provides more
J
offices and workspace according to their elevation.
I
A perspective view
F design process diagram
I elevation
B/C/D final model
G concept diagram
J section
E detail section
H plan
G
083
creative process / eco-frieandly office program
Nikon office Jaehyun Ahn prof. Hyungho Woo, Yunchul Ryu
A
B
C
D
걷거나 산책하는 이들이 목적지를 가지든 그렇지 않든, 그들의 발걸음을 바쁘게 만드는 것은 일정장소로 향하는 방법 즉, 길에 대한 인지다. 사람들은 습관적으로 1층 입구를 찾는다. 로비역할을 하는 무엇인가에 대한 인지가 없으면 불안해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찌되었건 할아버지도 아이들도 대학생도 주부들, 회사원들 모두가 하나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이고 그 길 위에서는 다른 곳에 시선을 두기가 힘들다. 걷다보니 어느덧 한 층이 높아지고 낮아지고 지하가 되기도 하는 수직적이며 산발적인 진입으로 산책길의 연장이 된다. 그것은 또 다른 일상이고 보기 좋은 사진이 나올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People who are heading somewhere and who just take a walk in the park are aware of the road they take. They always look for entrance on the first floor. They feel anxiety without lobby. So E
old men, children, students and businessmen are walking on the same road for searching for something. Levels go up and down. The road extends its level from base to high level. We could call that a daily life you could take a good picture.
A final model
C plan
B design sketch
D mass process
E section & elevation
084
Architecture : third year
Krop office Seungjoon Kim prof. Taegwon Yoon, Seungmo Seo
B
A
친환경을 생각하는 기업인 Krop.
C D
기업이념인 ‘Believe Recycle’ 을 최대한 반영하여 건물의 코어와 유리를 제외한 구조체와 입면을 재사용이 가능한 철골로 설계하였다. 철골 트러스 구조를 이용하여 작고 좁은 발코니나 테라스가 아닌 하나의 마당같은 공원을 매스덩어리마다 가질수 있게하였다. 각 매스별로 다른 부서, 다른 프로그램들이 쌓여있는 것이 밖에서도 그대로 보여지길 원했고, 입면 및 창틀도 매스나, 프로그램별로 필요한 일조량을 계산하여 H
차이를 주었다. E
an eco-friendly company Krop. ‘Believe Recycle’ is Krop’s motto. For this
F
office to follow the slogan I’ve chosen steel frames which are recyclable for structure and elevation. With steel truss structure I planed a park for every mass. I J
each mass carries different programs. I intended these honest system to be showed directly. elevation detail and window frames are also carefully designed regarding appropriate amount of sunshine.
G
A perspective view
D Wonang-1ro view
H site plan
B bird eye view
E/F interior perspective view
I concept diagram
C Yanghwa-ro view
G elevation & section
J elevation design
085
creative process / eco-frieandly office program
Starck Office Hyewon Kwon prof. Daesung Woo, Sunkyung Lee
C
A
B D
F
산업디자이너 필립스탁의 제품은 2달러 우유병에서 2억 달러의 요트까지 분야가 다양하다. 여러 브랜드들과의 협력을 통해 한국에 많은 팬을 보유 하고 있는 필립 스탁이 한국에 샵을 연다. 그의 샵은 홍대 일대의 신진디자이너들을 후원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할 것이다. 필립 스탁의 자유롭고,
E
우아하며, 위트 있는 역설은 건축적으로 표현될 것이다. 건축적 언어의 역설; 무거움과 가벼움, 채움과 비움, 그리고 빛과 침묵.
With Phillipe Starck’s products, there is a G
wide variety of fields from a 2 dollar milk bottle to 2 hundred million dollar yacht. With collaboration with other brands Starck sold many products in Korea as well. Now he is opening a shop in Korea. His shop would support up-and-coming designers in Hongdae. Free, elegant and witty paradox will be expressed with the building. Paradox in the language of architecture: heaviness and lightness, void and solid, light and silence.
A/B view from street
D concept diagram
F plan
C perspective view
E detail section
G section
086
Architecture : third year
See your real dream Wanki Kim prof. Kyungsun Lee, Dongwoo Woo
A
B
대지의 주변정황상 프로이트가 얘기했던 꿈이 실현되는 공간이 적합함을 알
C
수 있다. 즉, 의식과 무의식의 사이, 전의식 공간과 같다. 사옥 설계인 만큼 이용하는 사람들이 사무에만 집중하기 보다 그들의 꿈을 볼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지길 바란다. 그래서 프로이트가 말했던 꿈의 발현 과정을 통해 그런 상상이 이루어지길 바랬다.
The site is fitted to the space where dream comes true according to Freud’s theory. It’s preconscious space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Since this is an office I wanted workers to see their dreams not only concentrating on their work merely. Therefore I’ve designed this office where people’s dream could come true.
D
A perspective view
C detail section
B program diagram
D elevation & section
087
creative process / eco-frieandly office program
Alton office Sehee Suh prof. Daesung Woo, Sunkyung Lee
B
A
D
C
대지 전면과 후면의 높이 차가 2800인 점을 고려하여 cafe매스를 1층 레벨보다 약간 낮추고 공원 및 외부에서 cafe와 지하 1층인 flagship store에 바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형을 조정했다. 또한 후면에서 cafe지붕을 통로로 하는 주차장을 구성하되 양화로에서 인식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타워를 택했다. 업무공간의 다양한 공간과 휴식을 위한 외부 데크는 주변 건물들에 의한 조망을 고려하여 저층부에서는 공원을 향한 북동방향으로, 고층부에서는 남서방향으로 계획하였다.
Considering the gap between front façade and back façade is 2800mm, I put café mass lower than 1st floor. The topology is adjusted so people could
E
approach to a café and a flagship store in basement. I set a parking tower on café’s
F
mass on the back façade. This parking tower could be seen from Yanghwa-ro since it is transparent. Work space and a deck for rest are designed concerning the context of the street. On lower level they head to northeastern park and on higher level they head to southeast.
A perspective view
C concept diagram
B site plan
D/E program diagram
F section & elevation
088
Architecture : third year
Bangbang office Jaeman Lee prof. Jongdae Kim, Sungwook Cho
B
C
C
A
D
뱅뱅의 키워드 ‘젊음’을 해석해 설계를 진행했다. 상호작용에서 ‘젊음’은 능동적이다. 일단 나는 이 건물이 사람들의 시각을 깎아내는 벽이 되지않게 했다. 이 건물에는 뱅뱅 이외의 업체도 입주한다. 각 회사 내 부서간의 유연한 연계를 의도했다. 한 업체는 2개층을 임대하며 2개층의 높이의 쉼터를 갖게 했다. 저층부에는 뱅뱅의 플래그쉽 스토어와 카페를 배치했고 지하1층의 선큰을 통해 일반 이용자를 끌어들인다.
I tried to analyze Bangbang’s keyword ‘youth’ and adapt that concept to its office. ‘youth’ is active in interaction. First I avoided this building to be a wall that interrupts people’s view. There are other companies in the building too. I planned each company to be well-linked among divisions. A company would take 2 floors and a rest area with the ceiling height of 2 floors. On the 1st floor I placed flagship store and cafe. With sunken E
F
area on the ground level people would come and go.
F
A perspective view
D section
F plan
B/C program diagram
E concept diagram
G elevation
089
creative process / eco-frieandly office program
Lomo office Jinkyung Cho prof. Kyungsun Lee, Dongwoo Woo
B
A
D F
C
E
내부의 점은 로모그래피의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된다. 호텔, 오피스, 로비, 홀 등의 프로그램은 그 필요에 따라 외부를 끌어 당기는 어트랙터가 된다. 어트랙터와의 거리에 따라 매스는 내부로 수렴하게 된다. 그에 따라, 건물은 다양한 평면과 변화하는 공간을 가지게 된다. 생산하는 자와 소비 하는자로 구분 되지 않는다. 그들은 공유를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창조해낸다. 나는 이처럼 경계가 모호한 로모그래피의 특징을 내/ 외부가 서로 영향을 끼쳐 끊임없이 변화하는 매스를 통해 표현하였다.
Inner spots are set according to the programs of Lomography. Hotel, office, lobby and hall are attractors that bring outer space into the building. Depends on the length to attractors mass converges. Thus the building will have various plans and changeable space. Producers and consumers are not separated. But they share to create something. I’ve suggested a mass that continuously changes and active interaction between outer and inner space is occurring.
A perspective view
C structure
E program diagram
B terrace
D elevation study
F section
Senior field trip at Bukchon hanok town
0 05 |
Fourth year Group Residence of Naegok District Sustainable Urban Restoration Eco-friendly Automobile Research Laboratory Remedial Architecture (Children Hospital) Public Pavilion Architecture The Architecture on extreme site Planning Sustainable villages Smart Design Studio Low Carbon Passive Urban Planning Sustainable Transformation Studio Eco-friendly Tower design Remedial Architecture (Rehabilitation Hospital) Public Pavilion Architecture The Architecture on extreme site & the Green space Low Carbon Passive Urban Planning 12 Steps of Architecture Planning
First semester
Studio1
Group Residence of Naegok District
Second semester
Studio1
Low Carbon Passive Urban Planning
현재 주거지 개발은 아파트 단지계획으로 인하여 도시가 와해되고, 주거단지는
현재 주거지 개발은 아파트 단지계획으로 인하여 도시가 와해되고, 주거단지는
도시내에 섬 같이 단절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시가로는 황폐해 가고 있다. 본
도시내에 섬 같이 단절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시가로는 황폐해지고 있다. 본
스튜디오는 기존도시 및 가로의 활성화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주거를 개발할 수
스튜디오는 기존도시 및 가로의 활성화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주거를 개발할 수
있는 도시 재생형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일반적인 주거단지 개발이
있는 도시재생형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일반적인 주거단지 개발이
아니라 도시적 차원의 주거지 계획을 하고자 한다.
아니라 도시적 차원의 주거지계획을 하고자 한다.
Studio 2
Sustainable Urban Restoration
Studio 2
Sustainable Transformation Design
현재 홍대앞은 종래의 문화지구에서 점점 무질서한 개발과 상업시설들의 난립
이 시대의 화두인 친환경 건축이라는 주제를 반영하고, 컴퓨터의 성능과
등으로 홍대앞은 본래의 기능이 와해되고, 소비만이 판을 치는 지대로 점점
프로그램의 발전으로 패러매트릭 건축을 도구로 이용하여 근대건축 거장의
변화해 간다. 근본적인 의문과 함께 홍대앞 문화지구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건물을 하나 선택한 후, 이를 친환경적인 요인을 찾아내고 이 요인을
해결점을 찾아 진정한 의미의 도시재생을 설계에 반영하도록 하고자 한다.
그래스하퍼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빌딩을 변형시키는 것이다.
Studio 3
Eco-friendly Automobile Research Laboratory
Studio 3
Eco-friendly Tower Design
환경을 파괴하는 요소 중에 자동차 배기가스가 주요 요소로 작용을 하는 데
본 스튜디오는 고층 타워가 환경과 도시에 기여하는 공공적인 기능을 연구하여,
그래서 배기가스가 배출되지 않는 전기차라든가 하이브리드차가 차세대의
이를 설게에 반영한다. 이를 위한 설계방법으로 자연의 현상, 프로세스,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를 연구하는 연구소와 충전소 등을
시스템의 연구를 통해 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얻는 바이오 미미크리Biomimicry
복합시설로 설계해봄으로 건축을 설계할 때 실질적인 친환경 건축의 기술과
를 도입한다.
디자인을 이용하여 설계하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Studio 4 Studio 4
Architecture for healing
Architecture for healing
설계과제를 사회를 이해하고 사회를 반영하는 구체적인 건축을 추구하며,
설계과제를 사회를 이해하고 사회를 반영하는 구체적인 건축을 추구하며,
사회적 약자에 속하는 장애자를 위한 치유환경을 조성하는 설계를
사회적 약자에 속하는 어린이를 위한 치유환경을 조성하는 설계를 수행함으로써
수행함으로써 약자를 배려하고 약자의 기준에서 건축을 다시 생각해본다.
약자를 배려하고 약자의 기준에서 건축을 다시 생각해본다. Studio 5 Studio 5
Public Pavilion Architecture
Pavilion Architecture
유료양로시설로서 주거복지와 의료복지시설이 결합된 복합시설계획으로서
특정한 목적에 의항 한시적으로 사용되며, 공공성을 갖는 파빌리온을 계획하는
우리사회의 초고령화사회를 대비하는 실천적 시도로 심리적 신체적 약자인
것으로, 개인별로 각기 다른 주제를 갖고 접근해 볼 수 있다. 개인별 상황,
노인을 위한 주거와 치유환경을 계획한다.
기능설정 및 프로그래밍을 하고 개념을 전개해 나가는데 있어서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서 개념을 전개하여 최종결과물의 형태, 기능, 활용방법, 그 이후 사후처리 등의 문제까지의 과정을 계획하는 과정을 습득한다.
Studio 6
Architecture on extreme site & the Green space
studio의 목적은 활용되지 않거나, 평범하지 않은 부지를 찾아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건물 설계가 아닌 특별한 공간연출을 제안함으로서
Studio 6
Architecture on extreme site
부지의 환경을 전이, 진화 및 발전시켜 부지역할을 환경 속에서 재생, 극대화
활용되지 않거나, 평범하지 않은 부지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시키는데 있다. "지속가능한 환경에 대한 고려"와 "architecture"과 "green"의
건물설계가 아닌 특별한 공간연출을 제안함으로서 부지의 환경을 전이, 진화
창의적이고 건축계획적인 결합방법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및 발전시켜 부지역할을 환경 속에서 재생, 극대화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Studio 7 Studio 7
Planning Sustainable villages
Low Carbon Passive Urban Planning
현재 주거지 개발은 아파트 단지계획으로 인하여 도시가 와해되고, 주거단지는
본 스튜디오는 이번학기에 정릉3동(정릉골) 일대에 타운하우스 주택단지를
도시내에 섬 같이 단절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시가로는 황폐해 가고 있다. 본
계획하고자 한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학생들은
스튜디오는 기존도시 및 가로의 활성화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주거를 개발할 수
도심의 재개발로 인하여 경제적인 가치 이면에서 상실되어 가고 있는 지속성의
있는 도시재생형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일반적인 주거단지 개발이
의미에 대해서 고민하게 될 것이다
아니라 도시적 차원의 주거지계획을 하고자 한다.
Studio 8
Smart Design Studio
Studio 8
12 steps of Architecture Planning
스마트 디자인 스튜디오는 최신의 테크놀러지를 응용하여 건축에의 새로운
스튜디오는 최신의 테크놀리지를 응용하여 건축의 체계적인 접근방식을
접근방식을 시도하고, 결과적으로 좀 더 최적화 된 기능과 구조적 통합성,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좀 더 최적화된 기능과 구조적 통합성,
재료의 감성적 배려를 통해 유기적인 결과물에 대한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재료의 감성적 배려를 함에 있어 유기적인 결과를 만들어 내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적극적으로 탐구한다.
093
group residence of naegok district
Come across on the road Miyoung Kim, Hangul Park prof. Jaeyong Chung, Nohyun Park
B
C
A
전통 마을을 형성하는 길의 체계를 재해석하고, 커뮤니티가 발생하는 방식에 대해 제안하였다. 길이라는 것은 끝지점 즉 목표가 있고 그 목표에 프로그램을 넣어 주면 사람들은 프로그램으로 목적을 가지고 향하는 과정을 겪게 되고, 그 과정 속에 커뮤니티가 발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면 자연스럽게 다양한 커뮤니티가 일어난다고 생각하여, 단지의 중심에 마을과 마을, 체육공원을 연결하면서 필요로 하는 시설들을 그 주변 공간에 배치하고 길이 교차되도록 디자인하였다.
By reanalyzing the road system of traditional villages, we propose a method of forming a community. A road with a destination, and a program within a destination causes people to travel through the road. By providing opportunities of forming communities during such processes of transportation, various communities will form naturally. Thus, we designed the area so that village to village, village to parks and other facilities are D
connected in a way the roads would intersect.
E
A/B/C perspective D site plan
E bird’s eye view
094
Architecture : fourth year
Naegok new rental housing Sukwan Ahn, Inseok Hong prof. Jaeyong Chung, Nohyun Park
서울 강남지역을 가로지르는 경부고속도로. 고속도로에 의한 도시, 환경, 공동체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지금까지 디자인의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았던 고속도로, 방음벽, 완충녹지를 건축적인 측면에서 새롭게 접근하여 공공디자인과 도시경관, 에너지 효율의 개선, 지속가능한 건축을 실현시킨다. 단일 건물로서의 독립적인 건축이 아니라, 건물과 도시시설물 그리고 인접지역이 하나로 엮이는 복합체로서의 건축을 지향한다. 또한 이 계획에만 국한되지 않고 점진적으로 고속도로를 따라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고속도로에 대한 디자인적인 새로운 접근유형으로 발전 가능할 것이다.
I decided to consider the city, environmental, community problems of the Kyongbuhighway which penetrates Seoul. Highways were not considered as structures to be designed, however I designed attempted to design its soundproof walls, buffering green, and the highway itself to fulfill public design, urban landscape, energy savings, and sustainability. A highway should not be approached as an individual building; however as a comprehensive architecture that combines numerous facilities and buildings of the city. This methodology will discover a new possibility of designing highways. A
B
D
C
E
A model photo
C site plan
B process diagram
D sketch
E perspective
095
sustainable urban restoration
Transform point Jonghyun Park prof. Dongho Lee, Heeryeong Park
A
도로의 위계에 따라 mass의 크기와 용도, progran이 결정된다. 홍대의 모습은 주거, 상업, 문화가 혼재되어 불균형의 모습을 이룬다. 처음 신촌에서 홍대로 밀려온 젊은 예술가들을 위한 작업실, 외부 market등을 제시하여 다양한 외부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변화 가능한 공간을 유도한다.
B
C
According to the ranks of the roads, the mass’s size and program are distinguished. The formation of Hong-dae is a unbalanced mixture of residence, commerce, and culture. We propose a system that provides work space for young artists, and flexible exterior markets. D
E
A/E/F/G perspective B/D concept diagram
F
C unit diagram
G
096
Architecture : fourth year
Float interaction music complex Geun Lee prof. Dongho Lee, Heeryeong Park
B
A
C
홍대앞에는 여러 음악문화가 공존하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다양성을 통합하며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공간이나 프로그램은 부재한 상태이며 이는 대중들에게 무인식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실에 반응하여 음악 문화시설의 복합적인 성격을 가진 공간을 제안하여 기존의 이질적으로 흩어져있던 음악문화간에 상포작용이 가능하게 하여 홍대지역 음악문화 기반에 힘을 가져오도록 한다.
Numerous musical culture coexists in Hong-dae. However, spaces where such variety may combine and interact is insufficient, which results in lack-of-recognition to the
D
public. As a solution for this reality, I propose a combinational space that enables th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musics; eventually strengthening the musical culture of the Hong-dae area.
E
G
A/B/C/D/E/F perspective G circulation diagram
H
H program diagram
F
097
eco-friendly automobile research laboratory
Enteraction Siyoung Park prof. Heeryeong Park, Yoonha Lee
전기자동차 충전소가 가지는 사회적인 의미와 인식적인 측면에서 ‘친환경’을 함축하는 건축물을 제안하는 것이 목표였고, 그것의 실현을 위해 바람과 일조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배치 및 매스의 기본형상을 추출하고, 이후 자동차가 가지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직선적이고 역동적인 형태로서 재 조정하는 작업을 하였다.이를 A
통해 결정된 매스를 바탕으로 각 기능의 맞도록 도입될 수 있는 친 환경적 시스템들을 분류하고 적용시켰고, 특히 사거리에 입지한 특성상 외관에서 ‘친환경’이라는 상징성을 부각하기 위한 외피 디자인을 계획했다.
My goal was to create a structure that may imply the social and cognitive values of an electrical motor station, ecologically friendly. I placed the basic masses according to the wind and sun. Then I replaced them according to the motor images of straightness and dynamic. For each masses, a corresponding ecologically friendly facility is placed, especially I designed a outer skin since its location on a large intersection.
B
C
A mass study B passive design diagram
C perspective
098
Architecture : fourth year
Hug mountain Sul Lee prof. Sanggil Kim, Jonghoon Lee
성미산에 위치한 사이트는 현재 주위에 병원이나 약국 등의 의료 시설이 매우 부족한 현황이였다. 그리고
A
이 자연은 도시 속 자연임에도 불구하고 가꾸어 지지 않아있었다. 또한 성미산 옆에는 성산 초등학교가 자리 잡고 있다. 이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아이들이 더욱 밀집되어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들을 가진 성산동에 어린이 병원이 들어 서는 것이다. 병원이라는 것은 치유의 공간이다. 성미산은 이 치유의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도와 줄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가 근교에 있어 이 사이트는 어린이 환자와 외부 어린이의 교류가 이루어 질것이고 그 결과 칙칙한 병원이 아닌 지역적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활기찬 병원이 되는 것이다.
The site, which is located on Sung-mi Mt., lacks medical facilities such as hospitals, pharmacies, etc. Additionally, despite the mid-urban location the environment is not tamed at all. Due to the Sung-san Elementary School right next to the site, the number of children exceeds the general population. A hospital is a remedial space. The environment of Sung-mi Mt.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remedial effect. Additionally, due to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atients and children students will be able to interact. Thus, resulting in a bright, energetic hospital that encourages community interaction.
B
D
A/D/E model photo B floor plan
C
E
C concept diagram
099
remedial architecture (children hospital)
Transparent hospital Soohyun Kim prof. Sanggil Kim, Jonghoon Lee
A
’어린이, 성산동 그리고 병원’ 이 세가지를 모두 만족해야하는 프로젝트이다. 성미산에 병원을 지음으로써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자연환경을 주어서 보다 좋은 치유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병원이 도시 속에서 성미산과 주민들간의 소통을 단절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성미산을 최대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열어둔다. 어린이들에게는 병원같지 않은 병원을, 주민들과 성미산을 방해하지 않는 병원 즉, 투명한 병원을 짓는 것이다.
B
This project must satisfy the three elements of ‘Children, Sungsan-dong, and Hospital.’ A hospital on Sung-mi Mt. will provide various remedial environments for children. Additionally, the hospital should not become a barrier that blocks the interaction of the locals and Sung-mi Mt., thus an opening must be at its maximum for the locals to access the mountain freely. Thus, this project will be a hospital that does not seem like a hospital to children, and a building that does not barriers the mountain; an invisible hospital.
C D
F
E
A section & elevation
C bird’s eye view rendering
E diagram
B concept collage
D sketch
F final model (1/100)
100
Architecture : fourth year
Fire in the flowers 火中之花 Tae won Kim prof. Jonguk Park, Seonghan Kim
숭례문이 방화로 소실된 사건은 사람들의 무관심에 의한 결과이자 한국 문화사의 오점으로 남을 것이다. 숭례문은 복원이 될 것이지만 단순히 복제된 문화재는 의미가 없다. 따라서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사라진 숭례문의 가치와 의미를 되살리기 위해 숭례문만의 역사와 의미를 지닌 파빌리온을 만들어 사람들이 공간을 유영하면서 숭례문의 가치와 의미를 되새길 수 있도록 5가지 주된 역사 전시공간으로 구성하였는데 이곳을 사람들이 지나치면서 사람들이 숭례문을 바라보거나 또는 사라지게 하여 공간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arson of Sungnyemun is a result from indifference of people, and became a stain on the Korean history. The Sungnyemun will be reconstructed, however a reconstructed cultural asset is meaningless. Thus, rather than rebuilding the Sungnyemun, a pavilion that could remind people the value of Sungnyemun seems more beneficial. This pavilion is formed by five demonstrative spaces, where people may pass by and experience A
the lost existence of Sungnyemun.
B
A site plan
C plan diagram
B structure diagram
D/E perspective
C
101
public pavilion architecture
Pavilion is working Sumin Kim prof. Jonguk Park, Seonghan Kim
범문화권의 확장은 이해 관계에 대한 우선 순위로 인해 기존의 조직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 비주류성을 태생적 특성으로 하는 홍대앞 문화권의 경우도 이러한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그 결과 중심권의 경우 초기의 자생적 성격이 희미해지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홍대 문화권의 편입 초기 단계에 있는 site 를 설명해 기존 조직과의 관계 맺기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실험할 수 있는 pavilion을 만들고 나름의 방식으로의 확장을 통해 ‘작동하는 공간’을 만드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expansion of cultural influences are being neglected from general public due to their individual priorities. Hong-dae, which consists numerous non-popular culture, also suffers from the same situation. In result, the central area of Hong-dae is losing its original character. This project is to study the site located on the edge of Hongdae’s cultural influence, and to experiment new perspectives to interact with a present culture in a A
pavilion; a pavilion that has its own mechanism to form a working space for expansion.
B C
D
E
F
A perspective
C floor plan
E structure diagram
B site plan
D program diagram
F elevation
102
Architecture : fourth year
Threshold in city Minkyu Park prof. Youngkeun Han, Bumsik Nah
이 지역이 Extreme site가 될 수 있는 요소는 자연과 도시와 전통이 한데 섞여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요소들을 분석하여 보자면 도시의 난개발과 현대성의 요소가 각각 자연과 전통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대치되어 있는 부분을 해결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향교란 것이 주민들을 위한 것이기에 단순히 경계에서의 큰 차이나 큰 action들은 독이 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 진행하였다.
The causes for this site to become extreme is because nature, city, and tradition are all mixed. Through analysis, the modern elements of sudden development and nature with tradition are bordering with each other. I progressed this project while considering that the Hyanggyo, a confucianism temple and school, is for the locals, and large differences or actions on the border lines may be detrimental.
A
B
C D
E
A model photo
C/D perspective
B site plan
E process diagram
G path
103
planning sustainable villages
Jeongneung-3dong town house Sungjin Lee prof. Beomseop Um, Jonghwan An
기존 마을의 모습을 간직하면서 개발하기 위해 마을을 분석하여 마이너스 요소를 찾았다. 이러한 요소들이 “잉크가 따뜻한 물에 퍼지듯이” 마을의 촉매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치환된다. 시간, 사람, 공간, 자연 등을 이어주면서 연속적인 마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While analyzing the former village, I discovered a detrimental element. Such components are displaced into spacial catalysts, functioning like an ink spreading through water. Through this mechanism, time, people, space, and nature can form a sequential village.
A
B
D
C
E
A unit diagram
C/F model photo
B site plan
D process diagram
F
E site plan study
104
Architecture : fourth year
Memory lane Hanjoon Lee prof. Beomseop Um, Jonghwan An
재개발은 마을을 크게 변화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아이들이 뛰놀던 골목길은 사라지고 차 위주의 도로체계로 변화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지속가능한 공공개발을 위해 마을 주민들이 느꼈던 공간의 추억과 풍경을 담는다. 결과적으로 기존 공간의 추억과 풍경이 담긴 memory lane을 제시한다.
Redevlopment differs a village greatly; the alleys where children would run around are destructed and new roads are
A
constructed. In this process, I propose a sustainable public development plan that contains the spacial and environmental memories of the locals. In result, a ‘Memory Lane’ is formed for such purposes.
B
C
D E
A model photo
C floor plan
B consept diagram
D/E detail model photo
105
smart design studio
Floating compound Chaehyung Lee prof. Hui Noh, Yongman Kim
A
해수면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것에 반응하는 메커니즘의 제안은 이 반응체 안에서, 그 반응이 일어나는 것과 동시에 공간의 변화를 만들어 낸다. 이 변화는 빛, 채광, 동선의 변화를 이끌어내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이곳을 방문한 방문객으로 하여금, 한 공간내에서 변화하는 다양한 공간적 경험을 이끌어 낸다.
This mechanism, which interacts with the rise and fall of the sea level, simultaneously creates spacial change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Such changes drives changes of B
A/C/D/E/F perspective B site plan
light, and passage, enabling the users to have various experiences in a single space.
C
D
E
F
G concept diagram
G
106
Architecture : fourth year
The organic contact Daehee Cho prof. Hui Noh, Yongman Kim
사이트에서 발견된 첫 번째 문제는 여수시와 바다 사이의 거리였다. 그 거리를 줄여야만 했다. 첫 번째 과정은 두 요소들이 마치 살아있는 생물처럼 항상 공존 하는 듯이 구성하는 것이었다. 두 번째 과정은 이 둘을 서로 반응 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마지막 과정은 이 건축물이 자연과 조화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The first issue found in the site was the gap between Yeosu City and the ocean. So is had to charge the gap between two. So the first act was to make the site to look like an organic structure of that seems to be there all the time. The two things that was made in this place, and first thing was to make it look like organic structure. And the final purpose was to make the structure to work with nature.
A
B
C
A/C/D perspective rendering
B mass diagram
D
107
low carbon passive urban planning
Sustainable townhouse Siyoung Park prof. Jaeyong Chung, Nohyun Park
과제의 목표였던 지속가능한 타운하우스에서의 지속 가능성이란 ‘주거지’로서의 지속가능성이라고 생각했고 그에 대한 고민을 하였다. 주거지로서 가치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건축물 자체의 지속가능성도 중요하지만 유니트들이 만들어 내는 조화와 사람간의 커뮤니티가 지속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보다 중점적으로 생각했고, 사이트 선정에서 부터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염두하며 진행했다. 그래서 외부에 위치한 ‘예술’ 이라는 컨텍스트를 사이트 내부로 끌어들이고 그것을 다양한 건축적요소(매스의 형태 및 조합, 배치, 가로와의 관계, 성격)들로서 배열시킴으로서 지속가능한 타운하우스를 제안 하고자 했다.
First of all, I pondered upon the definition of ‘sustainability’ of sustainable town houses. For a residence to be sustainable not only the architecture itself should be sustainable but also by the combination of units and the community of people within it must be sustainable as well. I have been considering such elements since picking the site. Thus, the exterior context of art is placed inside, and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masses, A
B
forming a sustainable town house.
C
D
A site plan
C/E perspective
B mass process
D concept diagram
E
108
Architecture : fourth year
Sustainably communicated townhouse Keonwoo Kim prof. Jaeyong Chung, Nohyun Park
현재 주거유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를 대신하여 커뮤니티 활성화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타운하우스라는 새로운 주거 유형의 특징이다. 이러한 점을 살려, 사이트인 삼선마을 내에서 주요하고 건축적으로 발전가능성들이 있는 요소들을 도출해내 주거단지에 접목을 시키면서, 동시에 타운하우스의 장점인 커뮤니티를 더욱더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유닛 - 블록 - 단지 - 마을로 이어지는 커뮤니티의 흐름(Communicable)에 이 사이트를 면모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골목길을 건축적 요소로 유지 발전(thematic bystreets)시켜 배치, 구성 그리고 유닛 디자인에 적용(Urban tissues)함과 동시에 중요한 이슈인 지속가능한 타운하우스 설계를 위해 패시브적 디자인(Sustainable)을 고민하였다.
A townhouse is a new form of residence which is capable of replacing the current apartments and forming communities. I developed the architectural possibilities of the site of Samsun village, and simultaneously attempted to emphasize the community influence of townhouses. The thematic bystreets, which directly displays the communicable flow of unit-block-complex-village, are placed and developed as an architectural element. Additionally, its planning is applied as urban tissues which comprehensively considered the entire planning, unit design, sustainability, and eco-friendliness of the entire village.
A
B
C
D
E
A concept diagram
C perspective
B/F sketch
D model photo
F
G facade design
109
sustainable transformation studio
L - town Jaeyong Yi prof. Hyunjoon Yoo, Yoonha Lee
이 작품의 시발점은 매우 간단했다. 나는 미스 반 데 로어의 호수 변 아파트를 보면서 그 아름다움을 만끽하고 있었다. 하지만 50%정도의 유닛들은 호수의 경관을 갖질 못했는데, 이것이 이 프로젝트의 시작점이 되었다. 나는 매스모델을 통해서 근거를 제시했다. 그 근거란, 호수의 경관을 최대한 느끼게 하는 것과, 테라스 공간을 최대화 시키고, 구조적 안정성을 찾는 것이었다. 개인들의 성향과 요구에 충족하기 위해서 나는 백개 또는 이백개 형식들의 유닛을 개발했다.
The beginning of this project was very simple. I was looking at the lake shore apartments designed by Mies van de Rohe, when I thought, they’re so beautiful. But some units, almost 50% of the condominiums, don’t have any lake view. That is one of the focuses of this project. I tried optimizing the mass model with what formed the basis. The basis is maximizing lake view, maximizing terrace space, and structural stability. To accommodate the taste and desires of individuals, I want to make one hundred or two hundred types for residents.
A
B
D
E
A model photo
D mass study
B/C perspective
E detail model
C
110
Architecture : fourth year
Linking Sequence Euiseak Chung prof. Hyunjoon Yoo, Yoonha Lee
독일 데사우에 있는 BAUHAUS 공예학교를 친환경적 키워드를 가지고 재해석한 건물이다. 기존건물의 프로그램인 상업학교, 공예학교, 아뜰리에를 이용자 타입에 따라 재배치 하였으며, 주민의 문화적체험이 가능토록 하기위해 새로운 동선을 각각의 공간적 필드 속으로 관입시켰다. 이를 통해 각각의 시설들은 서로 얽히기도 하며,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유지 되기도 한다. 다양한 수직적 볼륨을 정돈해주기 위해 남쪽에서 북쪽을 가로지르는 축방향 아뜨리움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매개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용자 간 동선을 간접적으로 구분한다.
This building is a reconstruction of BAUHAUS, Germany by considering ecofriendly topics. The program is arranged to the previous program of industrial school, craftwork school, and atelier. For the local’s capability for cultural experience, a new passage is entered in the
A
space field. From this, the facilities are sometimes enlaced, and independent depending on their needs. An atelier is planned by the axis from south to north in order to organize the various vertical masses, which functions as a mediator and an indirect passage.
A
B
A bird’s eye view
B section perspective
111
eco-friendly tower design
Transition Tower Geun Lee prof. Sungik Cho, Heeryeong Park
주변의 색, 온도, 분위기에 따라 변화하는 카멜레온의 속성을 건물에 적용하여 사계절과 주변상황에 따라 건물이 변하도록 계획하여 유기적이며 친환경적인 건축을 하였다. 검은색과 흰색 줄무늬의 색에따른 빛의 흡수량 차이를 이용한 얼룩말의 조직을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cooling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통해 tower의 냉난방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시키고자 하였다.
This architecture is designed as a chameleon that it changes itself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color, temperature, and atmosphere, resulting in a flexible and ecologically friendly building. Additionally, I utilized the zebra’s pattern to control the absorbance of sunlight, leading to a natural cooling system. Through such organic appliance, the building can A
minimize its energy consumption.
D
E
B
C
A/E perspective
C mass process
B facade diagram
D site analysis
112
Architecture : fourth year
Twist tower Okjin Bae prof. Sungik Cho, Heeryeong Park
서울 강남에 위치한 twist tower는 주변 맥락을 고려하여 다방면으로 열린 타워이다. 여러각도의 조망과 방향에 따른 배치 등의 사이트 조건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twist 형태의 디자인은 소통과 확장을 의미하며, 고층건물군이 운집한 강남권내에서 수직성이 느껴지는 시각적 자극을 통하여 랜드마크적인 역할을 하고자 한다.
The Twist Tower located in Gangnam is a multi-opening structure that considered the surrounding texture. Such openings were deducted naturally according to sunlight, directionr, and planning. The twist designs represent communication and expansion, which claims a itself to be a landmark by visual stimulation.
A
B
C
D
E
A floor plan
C mass process
B/E perspective
D structure diagram
F
F model photo
113
remedial architecture (rehabilitation hospital)
Flow 人[in] Jinsol Park prof. Sanggil Kim, Dongho Lee
재활병원의 특성상 신체적인 재활이 주된 활동이지만 사회적인 재활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재활활동이 병원의 내부에서만 폐쇄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도 일어날 가능성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사이트 주변의 환경이 프로그램과 만나 새로운 acting을 일으켜 환자들에게 재활의지를 일으키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았다.공원-병원광장-중정-재활 로 자연스럽게 공간이 변화함으로써 서서히 public한 공간에서 private한 공간으로의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사이트의 뒤쪽으로 위치한 산으로의 시야를 가리지 않고 사람들을 사이트로 많이 끌어들이기 위해서 사람들의 주된 동선이 되는 사이트 남쪽 부분을 비워 대중에게 오픈 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a rehabilitation facility is physical remedy, however its remedial factors is also in effect socially. I believe providing possibilities for such exterior rehabilitation activities is important. Therefore, the main idea of this project is to encourage the patient’s will by interacting the program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the space gradually changes as park - hospital - hospital square - courtyard - remedial area, I planned the site to have an accessibility starting from public to private space. AdditionA
ally, I emptied the back area where presently is used as a main pass for the locals.
C
B
D
E
A/D model photo
C concept diagram
B zoning / floor plan
E section
114
Architecture : fourth year
Rehabilitation hospital Dongjoo Lee prof. Sanggil Kim, Dongho Lee
재활병원이 들어설 사이트는 앞으로는 도시를 마주하고 있고 뒤로는 산과 접하고 있다. 혐오시설로 여겨질 수도 있는 재활병원을 환자와 주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도록 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과 보이드 공간을 제공한다. 내부 공간 형성에 있어서 거동이 불편한 재활병원 환자들을 위해 사이 공간을 이용해 내부가로와 치유환경을 조성하고 병동 실내공간의 질을 높여준다.
The location for the rehabilitation hospital is facing the city with a mountain on its back.
A
I provided a program which satisfies both the patients and the locals in order to avoid the negative reputation of a rehabilitation facility. A remedial space was planned using the in-between spaces for the handicapped patients, which will also enhance the interior quality.
B
C
F
D
E
A/G perspective
D/E concept diagram
B/C process diagram
F plan
G
115
public pavilion architecture
Animals observation pavilion Soohyun Kim prof. Jonguk Park, Seonghan Kim
A
B
파빌리온이 다른건축물과 다른점이 무엇일까. 이번 과제를 진행해 나가면서 파빌리온의 자유로운 프로그램 수용과 메세지 전달 능력에 주목하였다. 그러한 파빌리온에서 담아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무엇이 있을까 고민하던 중 서울대공원의 2009년 공모전을 접하게 되었다. 공모전 당선작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동물원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한 변화하는 동물원에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는 파빌리온을 계획하는 것, 그래서 사람들에게 새로운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 이번 파빌리온의 적합한 주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What are the differences of a pavilion and a general building? I concentrated on the flexibility of programming and deliverance ability of a pavilion. However, while pondering of a program appropriate for a pavilion, I was able to view a project from the 2009 Seoul Park’s Zoo competition, which proposed a completely different concept of a zoo. My purpose was to apply a new idea on a changeable zoo pavilion, and as well express C
such changes to people.
D
E
F
A bird’s eye view sketch
C/D interior perspective
B diagram (area for people & animals)
E concept sketch
F diagram (Various levels of animals)
116
Architecture : fourth year
Sculpitecture Taewon Kim prof. Jonguk Park, Seonghan Kim
올림픽 조각공원은 초반 설립 의도와는 달리 우리나라의 기후와 올림픽공원의 입지 조건을 충분히 검토되지
A
않은 조각작품들은 부식과 손상으로 인하여 조각무덤으로 변질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조각공원에 sculpture as architecture 라는 컨셉으로 잃어버린 조각공원의 장소성을 되찾고자 하였다.
Differing from the initial purpose of the Olympic Sculpture Park, the sculpture park has become a sculpture graveyard due to the indifference of Korean climate and the park’s characteristics. For such consequences, I’ve decided my concept as ‘Sculpture as ArchiB
tecture’ to re-discover the value of the sculpture park.
C
D
E
F
A concept diagram
C/D interior perspective
B bird’s eye view
E mass diagram
F detail (structure)
117
the architecture on extreme site & the green space
Finding lost something in the city Yongsung Lee prof. Youngkeun Han, Bumsik Nah
A
사이트는 개발에서 고립되어 외로운 모습을 하고있지만 사이트의 정취를 그리워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점에서 어떤 면에서는 긍정적인 가치를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도시속에 살고 있는 우리들이 잃어버린 기억일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그 기억을 계승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The site seems isolated. However since many people recognizes it, in different terms, such characteristic may be a positive factor. I am considered that our lives in cities may erase our previous memories, and believe passing down such memories are very important.
B
C
D
A bird’s eye view
C concept diagram
B elevation
E sketch
118
Architecture : fourth year
Linear SEQUENCE Sukwan Ahn prof. Youngkeun Han, Bumsik Nah
반포IC와 서초IC 사이에 위치하는 서초구 일대로 고속도로 양측 35m의 폭을 갖는 완충녹지이다. 대부분 주거지역이며 대로를 중심으로 상업시설이 위치하고 있다. 고속도로 서쪽은 저층고밀이며, 동쪽은 고층저밀이다. 녹지는 공원이나 도시경관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지형은 전체적으로 완만하지만 남쪽으로 갈수록
C
높아지며, 대지의 경사형태에 따라 각각 다른 지형 이용방법이 필요하다.
The site is a green buffer area located between Banpo IC and Seocho IC with a 35 meter width. Most facilities are residence and along the main road commercial facilities are located. The left of the highway has a low elevation and the east has a high elevation; the green area is not functioning as a park or visual comfort. A different usage of the land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various slopes.
D
E
A
B
F
A site plan
C/D diagram sketch
B/E sustainable design diagram
F section
119
low carbon passive urban planning
Walking along the library Hangul Park prof. Beomseop Um, Jonghwan An
A
C
B
도시 재생을 위한 작은 커뮤니티 시설로, 지역에 도서관이라는 프로그램을 넣었다. 항상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고 접근성이 좋은 곳을 사이트로 잡아 공공의 거실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도서관의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공간을 디자인하였다. 사람의 흐름을 고려하여 도서관을 막힌 곳이 아닌, 열린 공간으로 해석하여 마치 길을 가는데 도서관이 있어서 책을 본다는 느낌으로 디자인 하였고, 외부에서 내부로 자연스럽게 흘러 들어 오도록 계획하였다.
As a public community facility of small area for urban regeneration, I inserted a library into the area. I selected site having everyday activities and approachness factors as a PUBLIC LIVINGROOM and arranged library space and programs according to it. There are many people in existing path and this space is for people of many apartments moving in and out. So it is easy to approach and a good everyday space. Path flow is continuous to library space and people meet book and source, walking along the path.
D
A perspective
C passive design diagram
B interior perspective
D section / elevation
120
Architecture : fourth year
The lifted village Minji Choi prof. Sunggyun Lee, Yongman Kim
상암 DMC 내 D2-2부지는 DMC의 거대한 스케일과 계획에서 이탈되어 과거의 레이어를 갖고 있는 휴먼 스케일의 마을의 경계에 존재한다. 이 과도기적 공간에 기존 규범을 탈피를 규범으로 삼는 Google의 대지와 유사한 과도기적 사옥을 제공하려고 한다. 이는 제한된 공간에 마을의 형식을 갖는 수직적인 마을, 즉 땅으로부터 들어올려진 마을The lifted village로서 상식적 오피스를 거부한 오피스를 제안할 수있다. 여기서 광장에서부터 공공기관, 모퉁이에 존재하는 소규모 카페까지 마을을 구성하는 개개의 속성은 오피스 내의 기능적 실의 요소와 결부 된다.
The D2-2 site located within the DMC area of Sangam has maintained its past layer and human scale despite the grand scale and planning. I attempted to provide a past residence that shares a similar idea of Google’s liberation from rules and laws in such
A
space. C
A vertical village, The Lifted Village, is capable to be planned in such limitations, denying the previous form of an office.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quare, public facilities, corners, cafes, etc. links with the functional areas of the office.
D
A final model
C mass process diagram
B section
D interior perspective
B
121
12 steps of architecture planning
Overlap 2scales in DMC Jungeun Lee prof. Sunggyun Lee, Yongman Kim
A
B
C
DMC단지 내의 거대한 가로, 매스, 녹지에 의해 나타나는 big scale과 미개발 지역의 small scale을 사이트 내에 동시에 담아내고자 하였다. 그 방법으로 닌텐도의 기술에서 나타나는 overlap을 키워드로 잡고 small Scale의 Ground는 Void가 되고, Figure는 주택에서 업무지원시설로 그 기능이 변하고, 각 Figure들의 높이차이는 수직적 동선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I attempted to contain the small scale from the undeveloped area, and the big scale from the nature of the DMC district. To achieve this, I gained my concept as overlapping from Nintendo; the ground from small scales became voids, figures of residences became assisting work spaces, and the height differences of the figures were connected by a vertical pass.
D
E
A/B/D analysis
E design process diagram
C perspective
F plan
F
Architecture graduation exhibition
0 06 |
Graduation year Liminal / Becoming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through the metaphor Generative conflict of urban Mega-city region Architecture of urban as a cells Architectural linkage of interior and exterior Sustainable architecture design Urban regeneration through waterfront
124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Topographic map of cognition Hyeonjin Cho prof. Hahn Joh, Kyungran Kim, Kanghyuck Son
건축 프로젝트에 있어서 우리는 물리적인 연결과 주변 건물들의 밀도 등에만 시선을 집중하기 마련이지만 사실 이에 못지않게 인식적인 흐름의 강도와 방향성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를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건축가의 주관적인 판단이 많이 들어가게 되면서 객관성을 잃기 마련이고 이를 포장하기 위해서 이런저런 어려운 말로 덮는 경향이 있다. 이런 점을 보완하고 논리성을 유지하기 위해 대지를 중심으로 가상의 지형도를 만들어 보고 이를 이용한다면 이런점을 보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였다.
I believe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people’s cognition is as important as the physical connection of a building and its surroundings. However, an architect’s subjectivity is unavoidable when attempting to express such aspects; it loses objectivity and is often wrapped up in difficult, unnecessary explanation. To avoid such defects and to maintain the logics, I drew a virtual topographic according to the landmass. A B A
A site B model photo
125
liminal / becoming
F
C D
E
C plan drawing
E process diagram
D study model
F perspective photo
126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City of media Hyuna Jeon prof. Hahn Joh, Kyungran Kim, Kanghyuck Son
사회 미디어 학자 이니스에 의하면 정신뿐만 아니라 시대의 기술도 한 사회의 문화를 역사적으로 형성시키는 요인이고, 특히 커뮤니케이션과 교통의 미디어 기술이 그러하다. 그는 연구를 통해 교통과 물품운송의 역사가 사회를 형성시키는 요소의 본질적 부분이라고 보았다. 또한 한 지역의 원료경제의 주 자원은 결과적으로 그 지역의 문화/ 경제 생활의 특성을 만들어 낸다. 부산 중구 남포동과 부평동 일대는 일본과 가까운 지리적 요건으로 일찍이 부산항이 발달하여 왜관이 들어와 조선시대 때 부터 격자의 도시 구획 체계가 만들어졌다. 그리고 항구와 도시를 잇는 대로가 일찍이 있었는데 그곳이 바로 지금의 국제상가가 있는 대지이다. 항구와 외래문화, 상거래가 발달해 왔던 오래된 도심은 지금도 그 틀을 간직한 채로 다소 정체되어 있다.
According to Harold Innis, a professor of political economy, not only the mind but also the technology of a generation forms the culture of a society, especially in fields of communication and transportation media. His study concludes that transportation and delivery history is the origin of forming a society. Additionally, the main economical source of an area eventually creates the cultural, economical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Nampo-dong and Bupyong-dong, Busan have developed early as a harbor due to its close location with Japan; since the Chosun era (1500’s A.D.) a grid urban planning was constructed. Additionally, large roads that connected the harbor with the city was present, which are now the international commercial district of Busan. Having a long history of ports, foreign culture, and commerce, the city of Busan still contains those frames today. A
A site plan
127
liminal / becoming
B
C
D
E
B perspective image
D concept sketch
C model photo
E site analysis
128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Remodeling, an apartment complex for co-existence Joohui Han prof. Hahn Joh, Kyungran Kim, Kanghyuck Son
A
1960,70년대 권위주의적 군사정권의 정치적 선전물로서 전면에 등장한 아파트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도시문제 해결의 대안으로서 거대기업들을 양산하며 서울 곳곳에 들어서기 시작했고,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미 너무나 많은 대규모 단지들이 산재해 있으며 그것은 다시 지워져야하는 대상이 아니라 시간의 흔적을 긍정하는 인식 위에서 아파트는 21세기 지금에 기념비적인 주거로서 재고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현대 한국인들의 삶이 놓여지고 살아지는 장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고민하는 것은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도시 서울에서 또하나의 거대 지형으로 군림하는 아파트 단지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다시 바꿀 수 있을 것이며, 계층화된 사회적 구조를 타파하고, 삶의 다양성을 담기 위해 필요한 공동 주거는 어떤 모습일지 고민해 본다.
Apartments were the solution for the dramatic economic, urban growth in the 1960’s and 70’s. Since then major construction companies are continuing building apartments. Presently, too many group housings exist. However upon the idea of respecting the past, apartments still has their symbolic values. I pondered about a residence formation fit for today, and how it should change the public’s cognition upon apartments.
A 3D modeling + rendering image
129
liminal / becoming
B
C
E
D
B site analysis diagram D program diagram
C/E 3D modeling image
130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Column of lights Donghyuk Kim prof. Uk Kim, Jisun Kang, Teahyung Lee
A
옛 지역 사회에서는 죽음의 공간과 삶의 공간이 공존했다. 조상의 묘는 마을 뒷산이나 근처 선산에 모셔져 그 자손과 함께 했다. 산업화와 도시화로 삶의 공간은 도시로 이동하였고 땅의 부족으로 조상은 납골당에 모셔진다. 개인화된 사회에서 납골당은 혐오시설로 치부되었고 기능만을 위한 남골당은 조상의 정신이 배제된 체 채워져있다. 상암동 난지도는 서울의 쓰레기 장으로 땅으로서는 죽음의 장소이다. 하지만 난지공원으로 조성되면서 땅은 새롭게 재생되었다. 재생의 메타포를 안고 있는 이 땅은 납골당의 혐오성을 지울 수 있는 유일한 장소이다. 공원과 함꼐 하는 납골당은 죽음이 우리 삶의 일부임을 말해주며 공원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사회적 재새으이 공간이며, 망자와 산자를 잇는 개인적 재생의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Life and death coexisted within the local communities of the past; ancestors’ graves were held in the neighboring mountains.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most of these graves were removed to charnel houses. Such charnel houses are one of the hated facilities of the public; they are biased towards functionality disregarding the aspects of ancestors. Nanjido of Sangam is a so-called death land of Seoul since it was the dumping ground of Seoul. However, it was remodeled as a park, which has a great symbolism of rebirth; the symbolic value may cancel out the hatred upon a charnel house. A park containing a charnel house may tell the public death is part of life, provide a chance to people look back to themselves, and connect the life and dead.
A model photo
131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through the metaphor
B
A
C
D
F
E
A plan drawing
D perspective 3D image
B/C concept sketch
E section model
F inner 3D image
132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100 Mechanic compound Yoogon Kim prof. Youngsoo Lee, Minseock Jo, Younggil Ahn
A
공공성과 개별성을 동시에 충족하면서도 변화하는 도시인구의 형태에 함께 대응할 수 있는 광장형 집합주거를 제안해보았다. 3,4 인용 33개 / 2-3 인용 33개 / 1-2 인용 34개, 즉 합계 100의 상징적인 숫자로 이루어진 주거의 군집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서서히 공간화 될 것이다. 그리고 이는 곧 다가올 주거형태의 변화를 가늠하는 실험적 표본으로서 사용될 것이다.광장이 광장으로서 기능하지 못함은 시대와 장소가 엮어내는 배경에 소홀함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나갈 예비건축가로서의 고민이 이 시대를 고민하는 건축세계에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I propose a square-based residence that may respond to the change of urban population, and satisfy both individuality and publicity. 33 for 3, 4 people/ 33 for 2, 3 people/ 34 for 1, 2 people, a sum of 100 residences are gathered to eventually construct spaces according their generation. This will be an experimental attempt of presuming the future residential formation. I believe a square that does not satisfy its function is because it lacks support from its time and surrounding. I hope my concern as a future architect may be an assistance for the field of architecture.
A model photo
0133
generative conflict of urban
C
B
D
E
B/C/D process diagram E section drawing
134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Space in space Suyeon Park prof. Youngsoo Lee, Minseock Jo, Younggil Ahn
A
오늘날 현대 도시는 지속 가능한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들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다양한 시각 차이로 인해 단순히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건축물을 계획하거나 혹은 건물에 녹지를 부여하는 개념만으로 남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속 가능한 도시를 구축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건축물 단위의 지속 가능성이 아닌 도시적 관점에서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제안이 필요하다. 본 프로젝트에서 의미하는 도시적 관점에서의 지속가능성이란 ‘현재 건조된 환경을 지속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 일상 속의 비 일상성, 일상 속에서 지속적인 새로움을 부여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커뮤니티 시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Presently, numerous attempts to construct a sustainable city are being held. However, due to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definition of ‘sustainability’, the actual results of such attempts are only building that use less energy or structures with a bit of grass. Thus, rather than trying to find sustainability in buildings, it need to be searched in an urban scale. This project defines urban sustainability as ‘the ability of maintaining the functioning as it is originally planned.’ To achieve this, I’ve planned a community facility that constantly provides different experiences.
A model photo
135
generative conflict of urban
B
C
D
E
F
B concept diagram
D perspective 3D image
C shadow studies
E inner 3D image
F section 3D modeling image
136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Fill the emptiness Soona Lee prof. Youngsoo Lee, Minseock Jo, Younggil Ahn
A
인천광역시 동구 창영동. 그들이 사는 곳에는 이미 그들이 만들어 놓은 의미로 가득하다. 보이지 않는 그들 사이에 형성된 그 끈이 그 공간을 의미 있게 만드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 그러한 연결고리의 깊은 고찰없이 진행된 개발 속에서 그들은 처참하게 부숴졌다. ‘개발’이 항상 무식해지는 이유는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곳에 살 사람들 또는 방문하게 될 사람들을 위한 장소를 만들려고 하는 것은 그 곳의 정체성을 무시하는 처사이며 동시에 그 곳의 장소성을 파괴하는 일이다. 우리는 현재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만들어 가고 있는 삶의 터전 그 자체에서 가장 큰 가치를 느껴야 한다. 지하공간은 방문객들과 주민들의 매개체로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이 삽입되면서 그들의 활력으로 가득 찬 공간이 될 것이며 비워진 대지레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채워지는 물리적인 공간에 의해 네트워크가 형성이 되며 다시금 삶의 터전으로서 가득 차게 될 것이다.
The site is in Changyeong-dong, Incheon. The area is already filled with the local’s values; the relations between them are the major factors of the spatial values. However, the indifferent development destructed such aspects. The reason why development is indifferent is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the locals. An attempt to construct a space for the locals visitors is neglecting their existence, and also destroying the original spatial values. The underground serves as a connection between the locals and visitors, becoming an active program. The empty land surface will become a network that is formed through time by physical space, returning to its form as a livelihood.
A model photo
137
generative conflict of urban
B
C
D E
B site analysis
D plan diagram
C section model
E model
138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Open the new street, in Dongdeamoon Seowon Park prof. Hyunjoon Mihn, Ho Lee, Wontaek Jo
동대문 쇼핑센터는 단절되어 있다. 동대문을 대표하는 쇼핑센터는 각각의 건물들로만 존재하여 물건 하나를 더 팔기위한 각축장이 되어버렸다. 이곳의 쇼핑센터들은 서로 등을 돌린채로 한 쪽 구석에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위한 무대를 마련해놓고, 입구부터 옷가게들이 닭장처럼 빽빽하게 들어서 있다. 이러한 동대문 쇼핑센터의 환경은 열악하다. 사람들이 물건을 사러 돌아다니기에 길은 좁고 불편하며, 상가들은 저층부분만 활성화되어있다. 또한 주변의 훌륭한 컨텍스트들과 연계되지 못하고 있어서 동대문을 관광하고 즐기기에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동대문은 사람들이 쇼핑하고 관광하기에 쾌적하고 다양한 공간들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동대문 쇼핑센터를 하나로 연결하는 새로운 ‘길’을 통한 쾌적한 쇼핑공간을 제안한다.
The representing shopping centers of Dongdaemun exist as isolated buildings, as if it were a shopping arena. Each building have its back to each other, stages for gathering attention up front, and clothing stands inside similar to chicken cages. Due to such environment, people must pass by narrow aisles, and only the lower sectors are active. Additionally, it is difficult to experience the entire Dongdaemun area since the shopping centers has no connection with its great surrounding contexts. I propose a new shopping space that connects the shopping center through a new ‘road.’
A
A model photo
139
mega-city region
B
C
D
E F
B site analysis diagram C/E street diagram
D/F model
140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Urban canvas Bomyi Min prof. Hyunjoon Mihn, Ho Lee, Wontaek Jo
A
철공소와 예술공단의 공생은 낙후된 물리적 환경과 주변 도시조직과의 이질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인근의 고층 아파트와 빌딩의 거주민들에게 기피대상이 되고 있는 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URBAN CANVAS’를 제안한다. 문래동이 가지는 장소성과 그 가치를 프로그램으로 담아가며, 기존의 물리적 환경 또한 그 시간의 흔적을 담아가는 계획이다. 현재의 많은 제약으로 인해 소극적인 문화 예술활동을 철공소와 공생하는 이곳의 장소적 가치를 부각시켜 도시속의 새로운 도화지를 제안한다. 지역주민과 철공소 상인, 예술가들이 함께 그려가는 그림을 기대해 본다.
The symbiosis of ironworks and art workshops is confronting a poor physical environment and isolation with the surrounding urban texture. I propose ‘The Urban Canvas’ to solve the current issues that cause the local residents to deny such symbiosis. The Urban Canvas will emphasize the spatial value by utilizing the present passive cultural activities. I expect a positive collaboration of the locals, iron workers, and artists.
A 3D modeling + rendering image
0141
mega-city region
C
B
D
E
F
B concept model
D section model
C perspective sketch
E plan drawing
F model
142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Wayfinding Seojin Na prof. Hyunjoon Mihn, Ho Lee, Wontaek Jo
강남고속버스터미널 사이트는 터미널 프로그램만의 문제가 아니라 너무나 많은 기능들이 한 곳에 모여 거대해 졌다. 이 곳은 혼잡 ‘congestion space’ 한 장소이다. 사람들은 길찾기의 어려움을 겪는다. 새로운 것을 집어넣는 해결방법이 아닌 가장 혼잡하고 밀도가 높은 곳에 하나의 거대한(void) open space 를 제안함으로 ‘혼잡’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open space의 생성으로 생겨난 광장을 통해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도시조직, 혼란스럽게 얽혀 있는 많은 프로그램, 인프라스트럭쳐(지하철)이 드러나며 터미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문제들이 해결된다. 길찾기가 쉬워진다.
The (Seoul Express Bus Terminal) site problem is due to the fact that too many functional programmes have complicatedly come together in this narrow site in addition to the only terminal programme. From this aspect of it, we consider that Seoul Express Bus Terminal is ‘Conjestion Space’. In this space, people are struggling to find ways. So I propose one void ‘Open Space’ to solve problems. Through the open space, existing programmes, infrastructures such as subway or terminal can be directly connected. Therefore people can can put their less effort to find the directions which they want to head. Eventually you can experiece more convenient and easier way finding than before.
A
A model photo
143
mega-city region
B C
D
E
B plan drawing
D program diagram
C process diagram
E section drawing
144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Continuity Piljoon Kim prof. Juwon Kim, Sun Heo, Yang Lee
A
신흥시장은 각 시대에 필요로 하는 주민의 요구에 순응하며 증, 개축을 통해 지금의 형태를 이뤘다. 전체적 계획안이 없었던 탓에 주거, 상업시설의 불편이 생겼지만, 해방촌이라는 역사적 사건의 발생으로 생겨난 마을, 그리고 그 사람들이 모이는 시장, 으로서의 큰 의미를 가지는 건물이라 할 수 있다. 주민 생활환경, 상업시설 개선의 목적으로 재개발 재건축이 이뤄지고 있지만. 이처럼 역사적 사건과, 시대의 흐름을 보여주는 건물의 경우 단순 교채의 개발방식으로는 도시의 흔적을 모두 지워버리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기존 생활환경과, 주민의 요구를 철저히 분석하고, 이에 맞는 단계적 개발 계획을 통해, 도시의 흔적을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계획을 제시한다.
The Shinheung market satisfies the local’s needs, and exists in the present form through redevelopment. Despite its lack of planning and inconvenience of commercial facilities, it has great values because of its gathering of people and the neighboring Haebangchon area. Currently a new development plan is being practiced. Howev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simply replacing a building will erase the historical, urban values of the market. Thus, I propose a planning that will maintain and constantly develop the urban texture by a thorough analysis of the local’s lifestyle and necessities.
A 3D modeling + rendering image
0145
architecture of urban as a cells
B
C
D
E
F
G
B bird-eyes view image
D section detail 3D modeling image
F section layer diagram
C section drawing
E concept diagram
G elevation image collage
146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First impression with road Youngsik Kim prof. Juwon Kim, Sun Heo, Yang Lee
A
본 연구는 서울시 구릉지 중 하나인 한남동 일대에 형성된 주거지역의 특성 및 가치를 도출해내어 새로운 도심주거 계획안을 만드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사람들의 타의가 아닌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구릉지 주거를 찾아 현제의 주거상태를 분석하여 새롭게 주거형태 유형을 제안하여 각각의 유형이 세포가 되어 도시가 세포변화를 이루어 그 지역에 가장 적합한 도심주거 계획을 할 수 있는 곳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이에 그 대상지를 서울시에 위치한 한남동 도깨비시장 일대를 대지로 선정하였다. 한남동 도깨비시장 일대로 한정이 되었지만 이 연구방법은 동일한 다른 구릉지 주거에서도 같이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특성에 맞는 대안을 제시하는 본 연구는 도심지역의 특성을 살릴 뿐 아니라 서로 다른 지역 문화를 보존하여 뉴타운이라는 새로운 도심을 만드는 것이 아닌 각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가진 도심주거를 계획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new urban residence planning by dedu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one of Seoul’s hill, Hannam-dong. I propose a new residential formation that is based on analysis of natural hillside residences. I chose Hannamdong’s Dokkaebi-market district since it has the possibility of a natural development of my new residential formation. For now this project is limited within an area; however it may be applied to any hillside areas. The proposal of an area analysis and its alternative will enhance the urban context and preserve the local culture; rather than constructing a ‘New Town’, urban residences will contain their local characteristics.
A 3D modeling + rendering image
147
architecture of urban as a cells
B
C
D
G
F
B plan drawing C/D/E unit 3D modeling image
E
F/G section 3D modeling image
148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Again, the glory Huisoo Jeon prof. Uiman Hwang, Segu Kim, Namgu Kim
A
정부의 ‘다이나믹 코리아’라는 타이틀과 달리 서울의 건축은 단조로운 모던 빌딩과 시인으로 구성되어있다. 독특한 문화와 한국의 역사를 담고 있는 건물들은 인공물과 파편으로 변했으며 서서히 사람들의 마음 속 존재감을 잃어가고 있다. 나는 과거의 특성을 강조하고 싶다; 고통스러운 공간을 변화시켜 과거와 현재가 공존할 수 있는 영감을 창조하는 것
The architectural text of Seoul consists only of monotonous modern buildings and signs despite the government’s entitlement of “Dynamic Korea”. Buildings that contain the unique culture and history of Korea are turning into artifacts and debris,slowly losing its existence within the people’s mind. I am willing to emphasize the traits of our past; creating an inspiration where past and present coexits by transforming the distressing space.
A 3D modeling + rendering image
149
sustainable architecture design
C
D
B
B program diagram C/D/E perspective images
E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150
Second wind Youngjoong Song prof. Uiman Hwang, Segu Kim, Namgu Kim
오늘의 재개발은 폭발하는 도시 인구를 직접적으로 해결하려고만 한다. 아파트와 같이 높은 건물들은 주된 재개발의 결과들이었고 도시의 물리적 환경을 조성한다. 기술이 발전 할수록 건물들은 높아지고, 소비하는 에너지의 양도 점점 많아진다. 이 작품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 할 수 있는 고층 건물이다. 친환경적 기술, 인간에 맞는 설계, 그리고 실용적인 외부 공간을 통해 이루려고 한다. 건물을 통과하는 외부 공간들은 바람과 비를 받아들인다. 친환경적이며, 효과적이고, 주민들에게 매력적인 활동 공간을 제공한다.
today’s urban development has been focused on this very particular field of area, a solution to the extreme growth of urban population, and how to directly face it, by simply allowing it. It is very clear that,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co-ops and tall office buildings have been the most dominant characteristics which which shape the styl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our city. Everyday, technologies are getting more complicated, and the more they do, the higher the buildings get. And now we are facing serious dilemma’s, including extravagant amount of energy in need, and ironically some people are just stuck in the sky all the time where it is not exactly the ‘heaven’. So-called ‘vertical city’ is now demanded to excelled into the next level, not just another ‘vertical’ construction of our life. Therefore, this project is to build a high-rise building which could be a solution to previous issues, by sugges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ology, human-scaled plans, and practical open-spaces along the building. It is very significant that this project speaks itself as the possibilities open-spaces bestow, not the visual shape of it. Each open space of every unit which pierce in and out of the building has the visual shape of it. Each open space of every unit which pierce in and out of the building has the story of the wind and the rain.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fficient, provide its users with attractive community space. Here, every assets of the nature:the wind and air, the light will always be ours, but as a gift.
A
A 3D modeling + rendering image
151
sustainable architecture design
C
B
D
F
E
B 3D modeling image
D structure
C plan
E 3D modeling image
F section diagram
152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Breakthrough in Hanriver Hyunjung Noh prof. Jongcheon Choi, Kidon Ahn, Junghyun Park
A
서울은 1970년대 이후로 급속한 성장을 하였지만 그로 인해 많은 몸살을 앓고 있는 중이다. 한국 산업사회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서울은 더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게 되어 도시의 영역을 강북에서 강남까지 확장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한강은 서울의 외곽에서 중심부로 위치하게 되었다. 자연스럽게 두 곳을 잇는 많은 교각들이 설치되었고 강의 범람을 막고자 하는 사업이 80년대 중반에부터 한강 종합개발 계획이 시작되었다. 이때 서울이 한강을 대하는 자세는 강의 기본적인 기능인 치수(治水)와 이수(利水) 중에서 치수만을 고려하여 강을 사용하는 대상이 아닌 단절하고 차단할 대상으로 받아들였다. 그 결과 강남과 강북은 물리적으로 뿐만이 아니라 인문적인 단절까지 이어져서 서울의 양극화를 촉진시켰다. 강이라는 요소는 세계의 여러 유명 도시에 항상 함께 존재되는 요소이다. 이 프로젝트는 강남 강북의 벽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한강을 단절의 대상의 원인이 아닌 연결고리역할로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그 해결책을 찾고 서울의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Seoul has dramatically been developed since the 1970’s, and is currently experiencing defects from it toda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Seoul required more land, which is the Gangnam district of today, the Han River is no longer on the southern part of Seoul. Eventually, many bridges were placed, and a comprehensive development to stop flooding was held during the 1980’s. The development considered the river as something that must be controlled, thus not only physically but logically the North and South of Seoul was divided.
A model photo
153
urban regeneration through waterfront
C D
B
E
B site plan
D perspective image
C mass study
E program diagram
154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Connectionoflow Kwangbyeong Oh prof. Jongcheon Choi, Kidon Ahn, Junghyun Park
최근 몇 년간 한강은 한강르네상스라는 이름으로 시민들을 위한 공간 마련에 힘써왔다. 그 결과 지금의 한강은 서울 시민에게 있어서 불가분의 관계로 자리잡게 되었다. 적당한 위치와 장소에 시민들을 위한 공간을 마련한 것이다. 하지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을 발견하였다. 서울시 내부적으로는 녹지 공간 창출에 관심을 쏟고 있지만 그 녹지와 한강과의 연계를 찾아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 계획은 반포대교 북단에 버려진 작은 대지를 이용하여 위에서 언급하였던 도시 속의 녹지와 한강의 수변공간을 연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대지의 북쪽으로는 용산 가족공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그 주위로 미군 부대가 자리잡고 있다. 향후 미군 부대가 이전하게 되면 그 곳을 녹지 공간으로서 시민들에게 제공한다는 계획이 있다. 이 점을 생각해본다면 선정된 대지가 수변공간과 녹지공간의 연결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반포대교 남단에는 현재 플로팅 아일랜드 계획이 진행 중에 있는데 반포대교와 잠수교를 통해 많은 시민들의 흐름이 예상된다. 이러한 흐름이 남단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북단에서 받아주는 무언가가 있다면 흐름이 연장될 것이고 그 흐름은 도시 속 녹지 공간까지 이어질 것이다.
This project is located on the northern edge of the Banpo Bridge, to provide a connection between the riverside area and the urban green area. Currently, of the north of the park the Yong-san family park and an American military camp are present. When the camp is removed, this area can be utilized as a green area for the locals, and as well become an appropriate connection to the river. In addition, the Floating Island is in construction at the southern part of the Banpo Bridge, which will gather people from the southern side of Seoul. This project can also function as an extension of such attraction, leading it all the way to the urban green areas.
A
A 3D modeling + rendering images
155
urban regeneration through waterfront
B
C
E
B perspective image
D statistic data
C program diagram
E water variation diagram
F
A
Project in memory of Hyuksoo Son
0 07 |
Studies Art technic Architectural form and shape Digital design Digital presentation Urban design Architectural space theory
158
studies
Art technic 미술실기
건축은 종합적이고 고차원적인 창조로서 미술의 개념적이고 조형적인 미적 감수성을 필요로 한다. 본 건축미술실기 강의에서는 새로운 사고의 전개와 창조적 실기과정을 통해 형태, 색채, 공간 등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며, 감성적이고 자유로운 드로잉 작업과 다양한 표현방법을 모색함으로써 개인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건축 드로잉에 응용할 수 있는 창의적 소양과 실기 능력을 배양하는 것에 이 수업의 목표를 둔다.
Architecture is a total, high-level creation that requires notions and seniblities of art. This class strengthens one’s understanding of form, color, and space though creative thinking and practical progress. Additionally, it seeks various techniques of sensible drawing expression; developing one’s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Finally, the ultimate goal is to apply such capacity on architectural drawing.
A
A Kyungho Lee
159
art technic
B
C
B Somin Park C Cheolun Park
160
studies
Architectural form and shape 건축조형론 prof. Younghwan Lim, Beomgi Park
A
복합적이고 다원화된 현대 건축에서 더 이상 형태는 기능을 따르지 않는다. 하지만, 건축이 인간의 삶과 떨어질 수 없는 한 ‘조형 언어’를 찾기 위한 건축가의 노력은 동시대의 사회, 과학, 그리고 예술과 늘 함께 할 것이다. 이 수업은 이 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습을 통한 자신의 건축 조형 언어의 첫 단추를 끼우는데 그 목표가 있다. 고찰의 방법은 통시적 관점에서 역사적 조형 언어의 변천사를 그리고 공시적 관점에서 최근 현대 건축 조형 언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실습은 drawing과 modeling으로 이루어지며 도구는 손과 컴퓨터 모두 사용된다. 실습과정은 이전의 답습보다는 창의적인 사고의 제안에 무게를 둔다.
The complex and multi-elemental modern architecture no more abides by the rule: “Form follows funtion.” However, the effort of architects searching figureative communication will always accompany with the contemporary studies of science, society, and art. This class has its purpose to become a starting point for students to discover their own figurative communication practically. It will cover the change of figurative communication through time, and understanding that of Korean architecture. The practical work will concerntrate more on creativity.
A Jeahoon Lee
161
architectural form and shape
B
C D
B Joonsoo Park
C Joongkeun Kim
D Hyungmin Lee
studies
Digital design 디지털 디자인 prof. Kyuman Song
건축설계에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이용목적은 Design Computerization과 Design Computation으로 정의될 수 있다. 건축 설계도서를 디지털화함으로써 설계업무를 효율적으로 할수 있는 Tool로써의 Design Computerization이 있고, 인간 두뇌의 한계를 넘어서 건축설계의 창의적 도구로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발전시킬 수 있는 Design Computation이 있다. 본 수업은 Design Computation에 촛점을 맞추어, 현대 디지털 건축의 특징과 기법을 이해하고 건축 설계의 항의적 도구로서 다양한 디지털 툴 (2D/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영상편집, 등)을 이용하여 설계 개념과 형태를 발전시키는 기법을 습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Digital design’s purpose in architecture is computerization and computation. Computerization promotes efficiency in working. This class focuses on computation; developing and processing concepts and formations through diverse digital tools.
Seyol Park, Joohui Kim (From the Earth)
0162
digital design
Kipum Kim / Mingi Kim (Hichcock’s tower)
0163
164
studies
Digital presentation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prof. Kyuman Song, Seokwon Kim
1.Digital Presentation 건축설계 단계별로 프레젠테이션의 목적과 대상 (Audience)에 따른 정보의 표현기법을 연구하고 디지털디자인/멀티미디어 툴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을 능력을 습득한다. 2.Digital Fabrication CAD/3D modeling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제작 기법(Digital Fabrication)을 습득하고 구현가능한 새로운 건축재료를 통해 디지털적 표현과 물리적인 건축 mock-up으로 제작해 본다.
1.Digital Presentation Students will acquire various architectural presentation skills depending on the audience and the objective, utilizing digital/multimedia tools for efficiency. 2.Digital Fabrication Based on the CAD/3D modeling, students will acquire digital fabrication skills and apply them to existing new architecture materials in a mock-up.
A
A Eunnim Ko (spinnig egg lighting)
165
digital presentation
B
C
D
E
B Yoojeong Park
D Jamun Kim
C Yookyung Yang
E Sohyun Jeong
166
studies
Urban design 도시계획 prof. Jaeyong Chung, Hoon Park, Heajung Kim
도시의 기능, 역할, 발전사 등 인간의 경제, 사회, 정치적 활동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이해 및 지역적 특성을 이해한다. 그리고 도시계획 및 설계의 필요성, 관련 이론과 제도를 학습하며, 기본원리와 기법을 학습하여 적용할 수 있는 이해력을 증진시킨다.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functions, position, development history of urban environment and its relation with economy, society, politics, and physical surrounding. Additionally, students will learn the policies and theories of urban planning, and enabling their ability to apply such ideas. A
B
C
D
Deasik Moon, Jeahoon Lee
B/D design process
( Jamsil Waterfront Urban Design )
C master plan
A bird-eyes view
E perspective
E
167
urban design / architectural space theory
Architectural space theory 건축공간론 prof. Heakyung Yoon
건축공간은 물리적 실제로서 건축의 중요한 부분이다. 이 과정은 건축공간의 안팎이 결합해나가는 기초이론을 이해하는 능력과 현상황이 적용된 다양한 공간 컨셉을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본 과정의 목적은 시간과 기술, 문화의 변화에 따라 사람과 공간사이의 관계를 세밀히 조사하여 더 나은 환경을 만드는데 있다.
Architecture space is the very main component of architecture, and physical reality. This course studies the fundamental theories of architectural space
A
to understand the composing theories
E
on space and inside/outside space, and analyzes various space concepts applied to existing buildings. The purpose of the course is to make better environments scrutinizing inter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spac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culture, technology, and time.
B C
D
A detail model
C structure
B/E/F sketch
D skin model photo
G path
169
fourth year studio 5
INTERIOR ARCHITECTURE PROGRAM
A detail model
C structure
B/E/F sketch
D skin model photo
G path
Interior architecture
Student work exhibition 2010
170
interior architecture : student work exhibition 2010
171
Student Work Exhibition 2010
chief student Taeho Lim
실내건축학전공의 이번 전시는 학생들이 진 행해온 작업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인체의 단면을 도면화하고 그것을 콘크 리트의 물성을 이용해 공간으로 통합하는 ‘Expansion of Human body. 사적인 공간에 더욱 사적인 공간을 만들어 초 기능 적인 공간을 제안하는 ‘SECRET ROOM’ 현존하는 상업공간의 컨텍스트를 파악하고 실내건축학적 관점에서 공간 디자인을 제 시하는 리모델링 프로젝트 등 개별 스튜디 오에 따라 다양한 주제의 작업을 진행한다. 독립된 작품을 수집하고 전시함에 있어서, 개인의 공간적 해석에 따른 익명의 작업이 포함되고 그것이 모여 전체를 이루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exhibition is that suggest future direction through exhibitiong students’ works of interior architecture department in 2010. This exhibition includes anonymous works of each stuent’s spatial interpretation by collecting and displaying indepentent works, and the works are gathered to consist whole exhibition.
I
Student exhibition coordinator
Songhe Lee, Woori Nam, Yeonji Kim, Jisu Kim, MinjiBang
HSA Designs
Sophomore field trip
172
0 08 |
Second year
Expansion of Human body Investigation of small shelters Secret room
I
174
Interior architecture : second year
Expansion of Human body 신체의 확장 prof. S. Exsternbrink, Seungeun Oh
인체의 단면을 도면화하고 그것을 콘크리트
Drawing sections of the human body into
의 물성을 이용해 공간으로 통합한다.
blueprints, and applying to space utilizing concrete.
B C
A
Geumjeon Hahn
B zoom in body section
A body section drawing
C overlay body section shape
175
expansion of human body
D F
E
G
I
H
D/G/H/I concrete model photo E zoom in body section
F overlay body section shape
176
Interior architecture : second year
A
B C
B
C
D
Keun Kim A/B/C Concrete model
D body section drawing
A
177
expansion of human body
A
G
B C
I
H
Hyemin Cha A/B concrete model
D
C/D zoom in body section
178
Interior architecture : second year
Investigation of small shelters 작은집에 대한 탐구 prof. Seungyoon Lee, Jungwoo Choi
작은집에 대한 탐구의 목표는 ‘지속가능 한 삶과 건축에 있어서의 가능성’을 탐구하 는 데 있다. 따라서 실험적이고 창의적이면 서도 최소의 재료, 최소의 시공, 최소의 허 물기 등을 통해 지역주거 건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안이 성공적인 프로젝트 가 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io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in sustainable living and architecture. Thus a successful project would be one that clearly presents an innovative and experimental exploration in architecture and design, suggesting sustainability through minimal ways of living, minimal ways of building,
A
minimal use of materials, minimal construction methods, and minimal ways of dismantling. The shelter ought to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site and surroundings while leaving the least impact upon removal.
C
B
E
D
Taewook Kang / Jihoon Oh
D section model
A/B/C exterior model
E/F study model
F
179
investigation of small shelters
B
A
C
D
E
F
H
I H
G
Taewook Yoo
B/C/D/E detail view
A exterior model
F study model
G/H plan, elevation
180
Interior architecture : second year
Secret room 비밀의 방 prof. Sungik Cho, Rune Madsen
A
우리는 사적인 공간이 집에서도 더욱 사적인 공간을 꿈꾼다. 본 스튜디오의 목표는 자신의 집 내부에 비밀의 방 하나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 비밀의 방에 들어갈 프로그램, 공간의 형태, 숨기는 방법및 진입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기존 주거 공간의 특징을 이해하여 효과적인 도면으로 바꾸고, 여기에 첨가되는 공간을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Dreaming a secret room in the existing private space. The goal of the studio is to design a secret space within the existing space your own house or room. Program, space, way of hiding and access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concept of the secret room and relationship to the existing space. You also have to B
find an effective and unique way to represent your hidden space as per the story and concept of the space.
C
D
Jeayuong Park
B section 3D modeling
A detail model photo
C/D section diagram
181
secret room
A
B
C
D
Jihoon Oh
C 3D modeling
A inner 3D modeling
D plan drawing
B inner perspective modeling
182
Interior architecture : second year
A
B A
B
C
Taehook Yoo
Jaeho Cho
A Model
B/C interior perspective
C D
183
secret room
D
E
F
C
D
Jihoon Oh
Soo-ok Im
Byungsoo Lim
D Model
E Exterior perspective
F
Exterior perspective
Interior architecture : third year
Junior studio critic in class
184
0 09 |
Third year
Urban interior Ashes are burning Commercial space renovation
H
I
186
Interior architecture : third year
Urban interior 도시 속에서의 실내공간 prof. S. Exsternbrink, Seungeun Oh
이 과정은 기존에 존재하던 것에 대한 재해석과 재결합에 관한 방향을 갖는다. 현대적 해석, 연장, 그리고 도시적 내용에 관련하여 건축적 해석을 하는 것이 목표이다.
The studio is about the re-inerpretation and reorganization of existing. Aim of this design class a carefully considered architectural intervention in terms of a contemporary interpretation, extension and parallel a detailed understanding of its urban context.
A
B
D
C
Juhae Lee
C model photo
A concept sketch
D program diagram
B diagram sketch
187
urban interior
B
A
C
D
Joonyeong Jang
C model photo
A/B concept sketch
D site analysis
188
Interior architecture : third year
Ashes are burning prof. Hyunho Lee, Inger M. Skorstad This is the third undergraduate design studio. In the world of diminishing resources, architects should be able to see the importance of their role to make this world better without spending resources excessively. In this studio, students will not focus on only energy and cost issues, but also try to explore the possibilies tp impose minimum impact on social meanings. And they have to alter existing buildings into cultural community space. Only one condition applies, no demolition allowed. And the course of this studio introduces a full range of architectural ideas and issues through drawing exercises,analyes of precendents, and explored dsign methods, Students will deveplop design skills by concept tualizing and representing architectural ideas and naking aestheitic judgments about buiding design, Discussions regrarding architecture’s role in mediating culture, nature and technology will help develop the students’ architecA
tural vocabulary.
B
Songhee Lee
A Concept Sketch B Whole model
189
ashes are burning
A
B
C
D
Songhee Lee A
Rendering Image
Woori Nam B/C
Model/ Collage
Iksung Shim D
Section
190
Interior architecture : third year
Commercial Space Renovation Design 상업공간 리노베이션 prof. Seunghyun Woo, Hyosik Choi, Jihyun Lee, Kyungdoo Ahn
프로젝트의 위치는 홍익대학교 홍문관의 지하2층, 홍대 정문 앞의 꽃집, 그리고 체육관 옆의 빵집 (Levain)이고 이 포로젝트에서 학생들은 떨어진 세 공간을 실내건축학적 접근을 통해 연결시키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 사이트 외에도 개별 학생들이 선정한 장소에 따라 프로젝트를 진행시키게 되며 이 프로젝터에서 디자인을 통한 공간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낙후된 상업공간을 활성화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건축에 관련한 발전과 실내 공간에 대한 접근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실내건축의 전반적인 프로세스와 상업 공간의 리모델링에 대해 배우게 된다.
Warm-up studio project is a design competition that is due on the first week of October. It would be a good practice to learn how to manage a project from creating concept to submitting deliverables. The project site includes basement level(B2) of Hongmun Guan, the existing flower shop in front of the main gate, and bakery(Levain) next to gym builing. The first five weeks will be focused on architecture and the second five weeks will be focused on interiors.
A
B
Joonyuong Jang A/B 3D perspective modeling
191
commercial space renovation design
A
C
B
D
Teaho Lim
Iksung Sim
A/B 3D modeling
C/D 3D modeling
HSA workbook
Interior architecture graduation exhibition
192
010 |
Graduation year
Burned,burn Ahyeon-A’park Voyage of discovery_blur of space Culture Space as a Buffer of Gwanghwamun For the better world
194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Burned,burn _ 양양 산불지역의 건축적 재생 Soohyun Park prof. Seunghyun Woo, Hyosik Choi
2005.04.05 이날 산불로 임야 180헥타르, 낙산사 원통보전 등 건물 232동과 부속사 3곳이 소실됐고 진화중이던 소방차 1대가 전소되는 등 3대가 피해를 입었다. 우리가 강원도라는 땅에 기대하는 모습은 벌거숭이 산이 아니라 나무들이 많은 곳이다 삶과 죽음의 순환고리에서 나무들도 살고 죽었다. 하지만 인간의 개입으로 인한 산불로 의도치 않게 많은 나무들이 타버렸으며 양양이라는 지역이 가진 특수한 낙산사라는 배경 또한 타버렸다. 건축으로서의 정신을 대변하며 삶을 살던 낙산사가 타버리면서 그 곳에 의미를 두던 많은 이들도 낙산사의 죽음에 슬퍼했다. 2010년 현재, 낙산사는 이미 완전히 복구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산불이 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원형복구가 가능하다며 바로 착수에 들어갔으며 타버린 동종은 갓지어진 낙산사 내의 박물관으로 들어갔다. A
이미 인간들의 건물은 다 복구가 되었다. 이제 남은 것은 다 타버린 자연의 재생에 있다. 나무들의 자연스러운 삶과 죽음의 순환고리에 끼어든 것은 인간이니 인간들은 이것에 책임이 있다. 이 책임을 지기 위해 인간들은 자연의 일부로 다시 한번 개입해야 할 것이다. 인간과 자연이 둘 다 재생의 의미를 기억할 수 있도록 건축적 제안을 한다.
B
A Site Plan
B Site Location map
195
Burned,burn
C
D
180 Hectare of forest, 232 buildings including Naksan temple and Wontongbojeon were destroyed. Additionally, 1 fire truck was completely burned and 3 trucks were damaged. The typical expectation of Gangwon-do is a forest, not barrens. However, the human intervention caused mountain fires, destroying uncountable trees and even local temples such as Naksansa, which was a symbol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Today, Naksansa is completely restored. The restoration started as soon as the fire was extinguished, and the burnt bronze bell is resting in the Naksansa museum. The artificial structures are now all restored, however the nature is not. Since human was the cause of the destruction, they have the responsibility as well. For this, once again another intervention must be practiced, and I propose a planning that remembers both the restoration of human and nature.
E
C/D
Detail model
F
E/F/G
Model
G
196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A detail model
D skin model photo
B/E/F sketch
G path
C structure
197
Burned,burn
A detail model
C structure
B/E/F sketch
D skin model photo
G path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A Side view section B Plan
198
199
Burned,burn
C A
B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A/B Plan
200
Burned,burn
201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Ahyeon-A’park Sanghui Yoo prof. Seunghyun Woo, Hyosik Choi
2011년 철거예정인 아현고가도로를 재생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며 이동의 수단으로써가 아닌 커뮤니티 기능을 가진 주체적 공간으로 전환시킨다.
The studio is about the re-inerpretation and reorganization of existing. Aim of this design class a carefully considered architectural intervention in terms of a contemporary interpretation, extension and parallel a detailed understanding of its urban context.
202
Ahyeon-A’park
203
A
B
A north elevation B south elevation
204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A
A/B Interior Perepective
Ahyeon-A’park
205
B
206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upper
A-hyeon highway -
.
Desi g n process step 1.
Regional Economy Activation Green space creation Bottom space improvement furniture complex
step 2.
residential district subway station
step 3.
step 4. commercial area
school zone redevelopment
step 5.
per
i g n process
1.
2.
3.
4.
5.
207
Ahyeon-A’park
bot tom
Concept connection + gathering space culture + community space lighter space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208
pass out part.
roof type 2.
roof type 1.
pass out part. roof type 2.
roof type 1.
A
opening part. Ahyeon-A’park
roof type 3.
roof type 4.
209
roof type 2.
opening part. roof type 3.
roof type 4.
roof type 2.
A
B
A Plan B Study Model
210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step 1.
step 1. step 2.
step 2.
step 3. A Concept diagram
step 3.
A
Ahyeon-A’park
211
B
B Perspective
212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A
A/B Interior Perepective
213
Ahyeon-A’park
B
A detail model
C structure
B/E/F sketch
D skin model photo
G path
214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Night view
A
A Night view
Ahyeon-A’park
215
B
216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Voyage of discovery_blur of space Jiyuong Sim prof. Seunghyun Woo, Hyosik Choi
A
Thresold는 건축 조합법의 도구이다. 이용자가 건축물에 들어 설 때 속도를 낮춘다. 이것 이외에도 입구의 계단과 계단참, 경사, 그리고 재료의 바뀜으로도 성취된다. 안과 밖은 매우 정교하게 분리 되어 있으면서도 연결 되어있다.
Thresold의 디테일은 건축의 가장 예민하면서도 뚜렷한 언어이다. Thresolds are tools of architectural cho reography. They give form to the various gestures of slowing one’s tempo when discovering an architectural space : the doors and the thresholds, the steps and the landings betore entering a pass ageway, the narrowing or gradient slope, as well as a material change of the pavement at an entrance-g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both sides being elaborately separated as well as connected ny means of form and material. Threshold details being part of the most sensitive as well as the most eloquent repertoure of the architectural language.
B
Voyage of discovery_blur of space
A concept image B perspective rendering
217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사이트는 양화대교 북단과 당산철교 북단 사이의 한강에 위치한 곳으로, 주변 에는 절두산 성지와 양화진 공원 및 외국인 선교사 묘지공원 등이 있으며 연간 100만명 이상이 방문하는 명소이다. 1층에는 휴게실과 유람선 승선 대기장, 커 피숍, 패스트푸드 점 등이 위치하고 2층에는 레스토랑이 자리잡는다.
The site is located in Han-river between north side of Yang-hwa bridge and Dangsan bridge. There are rest space, cruise ship riding area, coffee shop and cafeteria at first floor and restraurant at second floor.
218
Voyage of discovery_blur of space
219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220
Voyage of discovery_blur of space
221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222
Voyage of discovery_blur of space
223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224
Voyage of discovery_blur of space
225
A
A perspective rendering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226
Voyage of discovery_blur of space
227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228
Culture Space as a Buffer of Gwanghwamun Kyungwoo Han prof. Seunghyun Woo, Hyosik Choi GwangHwamun intersection area has been thought as a very important space in Seoul city for a long time historically and culturally. There are lots of cultural spaces around this site. So it is easy to get people who love to visit those spaces gather. Current GwangHwamun square cannot carry out the function that square should have. As changed functions of square, squares are visited for rest mainly. The defect the square has gets visitors not come to the space again and again. I expect my proposal can support the square. To compensate this defect of Gwanghwamun square, and to return the space to citizen,Visitors who escape from the complicated environment can relax in the center of the city in the nature physically, emotionally visitors could recognize this place like a refuge not a complex downtown by visiting cafe’, small concert and unserious exhibition.
A
B
A Site B Interior perepective
Culture Space as a Buffer of Gwanghwamun
229
C
D
E
C Interior perspective D/E Section
230
Interior architecture : graduation year
For the better world Yujin Park prof. Seunghyun Woo, Hyosik Choi
A
도시는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캔버스다. 인간의 욕구들이 끊임없이 반영되어 공간은 형성된다. 그러나 현대 사회의 도시는 거대화, 확일화된 도시화 되면서 도시민의 삶을 외면한듯 하다. 특히, 밀도 높은 도시내에 생명을 불어넣고자 만들어진 공공의 공간은 그 본래의 목적이 의심스럽다.
City is “canvas”. People’s desire formulates space. but while present city becomes bigger and bigger, each person’s desire is ignored. especially, essential purpose of public space in the city lose effect. Playground of hong-dae, familiar for everyone, is well-known for various concerts and cultural activities. However, unique identity of this place is not expressed enough. Do you think this is ideal reality of this place?
B
231
For the better world
C
D
E
A section sketch
C/D site analysis diagram
B interior randering
E building site diagram
HSA workbook
Senior field trip
232
011 |
Studies/ Competition Works Space and contemporary art Exhibition design Landscape & environment design Lighting Design Complexity of Color The Reflection of Subjective History Traces of Memory
H
I
Interior architecture : Studies
Space and contemporary art 공간과 현대미술 prof. Hongpil Park
현대 미술사의 주요 사조, 운동, 작가들을 통하여 현대 미술에 있어서 ‘공간’의 개념 변화를 알아본다. 그리고 현대 미술에서 중요한 요수중 하나인 다양한 ‘재료’를 실험 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The course’s goal is to learn the concept of ‘space’ by reviewing modern artists. Additionally, students will conduct experiments utilizing various ingredients,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of modern art.
A
Youkyuong Oh A model photo
234
235
Space and contemporary art / Exhibition design
Exhibition design 전시 디자인 prof. S. Exsternbrink
A
This class explores the transient realm of design : temporary architecture. Temporary architecture with its subgroups exhibition dsign, stage design, and trade fair design can be cinsidered as one of art and architecture, with the only difference that the live span of temporary design is fixed and it will therefore never be mattaer of historic preservation. Especially this short live-span makes the task so unique; freed from building regulations, weather conditions or other restictions the designer can work with more experimental materials, constructions or shapes to create a unique and memorable event. The content of this class will be basically divided into two parts: A theoretical lecture series named ‘temporary architecture’ on one side accomplished with a practical design task and a set of excursionsions on the other side. Lectures as well as excursions will be accompanied by open discussions in order to maximize the individual output for each participant.
Jeayoung Joo A concept montage
Interior architecture : Studies
Landscape & environment design 조경 및 환경 디자인 prof. Hongsun Lee
이 수업은 실제적인 스튜디오 방식을 통해 조경 및 환경 디자인을 이해하고 체험하며, 학생들이 좀 더 폭넓은 사고와 창의성을 배양하고자 하는데에 있다.
This studio tends to increase the student’s acknowledgement and creativity by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lighting and environmental design.
236
Landscape & environment design
237
A
A model photo
238
Interior architecture : Studies
Lighting Design 조명 디자인 prof. Misun Lee 이 수업의 기본 목표는 빛과 조명에 대한 기초적인
The fundamental goal of this class is
지식을 습득하고, 건축과 인테리어 공간과의
learning basic knowledge of lighting and
연계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램프를 사용하여 직접 조명기구와 오브제를
architecture and interior space. Through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hands-on 경험을 갖게
the process of making lighting object by
된다.
using lamp, students will learn hands-on experience.
A
Taewook yoo, Jinhwa sun, Sueok Lim A model photo
239
Competition Works
Complexity of Color Jaehyun Park, Taewook Kang
오늘날 사회 시스템에서 색은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 여겨진다. 하지만 1차원적 요소인 색이 마찬가지로 다른 1차원적 요소인 숫자나 길이와 함께 쓰여지면 색깔은 2차원적 요소로써 복합적인 정보를 전달 할 수있다. 지하철역은 우리가 집중을 해야하는 특별한 장소이다. 하지만 좌석의 붐빔 정도나 소음, 온도의 영향을 전달하는 방법이 없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색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지하철역의 효과적인 사용을 이끌어내는 복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하는 것이다.
Until today in the social system, color has been seen only as a medium that con-
A
B
veys information. A particular space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e subway station. At the moment there are no
C
methods of information that is conveyed that influence the mass crowd such as in seats, sounds and temperature. The main aim of this project is to provide complex information that can lead to more efficient usage of the subway just by complexity of color.
D
A/B/C Concept Image D Rendering Image
240
Interior architecture : Competition Works
The Reflection of Subjective History Jaeyoung Joo, Narae Yang prof. Seunghyun Woo, Hyosik Choi
중명전을 주관적 역사의 반영 및 반사라는 이중적 의미를 통해 접근해보았다. 다양한 시각을 이용해 과거의 역사를 다시 보는 방법으로 거울이라는 재료의 물성을 이용해 중명전을 ‘기억의 박스 (box)’로 재구성했다. 나의 모습이 거울에 비치면 나는 타자가 됨으로써 스스로를, 우리가 지나온 역사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매개가 된다. 타자가 바라보는 역사는 상대적인 것이며, 역사에 대한 재인식과 스스로 되돌아보는 과정을 통해 우리 문화유산들을 왜곡 없이 후손들에게 보전하고자 한다.
The attempt was made to approach Jungmyeongjeon through the dual meanings of subjective reflection and
A
B
historical interpretation. I reconstructed Jungmyeongjeon as ‘a memory box’, us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mirror to review history in various visual angles. When the sight of me is reflected in a mirror, various eyes encompass the surrounding. I go through self reflection and soul searching through the distorted and transformed sight of myself. I become someone else and transform myself into a medium to remind others of what we have collectively gone through in history. Through a new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self reflection process through which one realizes that historical perspectives can be different, I hope to pass down to our future generations cultural heritages without any distortion.
C
D
A Design Process
C Concept Image
B Plan
D Model
241
The Reflection of Subjective History / Traces of Memory
Traces of Memory Taeho Lim prof. Seunghyun Woo, Hyosik Choi 중명전의 역사적 배경에서 컨텍스트를 파악하고 키워드를 끌어내어 컨셉을 구성하며, 이를 통해 실내 공간에 대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방문객이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얻고 시간이 지날수록 그 공간을 채우게 되는 외부 공간은 길이 되고 휴식이 되는 공간이다.
A
사용자가 자신의 편의에 맞게 벤치를 돌릴 수 있고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길이 만들어지고 편안한 동선이 생기도록 유도한다. 내부 공간은 장소에 대한 기억과 메시지를 담는 공간으로 흔적을 통해 과거와 현재가 만나게 된다. 이곳에 오게 되면 다른 방문자가 남긴 흔적의 이미지를 보고 장소의 기억을 공유할 수 있다. 방문자는 그렇게 얻게 된 정보를 가지고 주변 지역을 방문하게 되며 그 후에 Social Network를 통해 이미지로 전송하여 다른 방문자와 그것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
B
C
D
A/B Concept diagram C/D/E/F Interior perspective
E
F
I.C.F. ’s champion trophy
012 |
Student groups
I.C.F. Archi-Art W.H.A.T. NoonKal Dilettante - Unregistered group R.E.D.O. Studio A
246
student groups
I.C.F.
I Can Fly
2010.1 - 2010. 12 since 1999
chef. Seonghun Bae
I.C.F는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대표 축구 소모임으로 1999년 창단되어
수상실적
현재 홍익대 건축대학 소모임 중 가장 오래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습니다.
2002년 공대리그 우승 2002년 새내기 축구 대회 우승
매주 토요일 자체 연습 및 타 축구 소모임들과 친선 경기등을 갖고 있으며,
2004년 새내기 축구 대회 준우승
연습과 훈련 등을 통해 홍익대학교 대표 축구 대회인 와우컵 과 공대리그 등
2009년 홍익대학교 총장배 축구 대회 우승
각종 대회에서
2009년 제 1회 건축과 축구 대회 준우승
순위권에 입상하고 대회 우승 등을 차지하는 등 발군의 실력을 발휘 하고
2010년 공대리그 준우승
있습니다.
이 외 각 대회 순위권 입상 현재 소모임 등록 회원 약 30여명 활동 중입니다.
247
I.C.F / Archi-Art
Archi-Art
2010.1 - 2010. 12 since 2004
chef. Jeongok Yoon prof. Heakyung Yoon
안녕하세요? 저희는 건축 답사 및 스케치를 하는 학회인 아키아트입니다. 2004 년에 처음 모습을 들어내었는데요. 저희는 후배들을 위해 매학기 Workshop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년 홍대앞에서 개최되는 거리미술전 작품전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밖에도 답사도 꾸준히 하여 선후배간의 우애를 돈독히 다지고 있습니다. 현재는 활동하는 인원수가 약 30명정도 되고 있는 중규모 소모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48
student groups
W.H.A.T.
Workshop of Hongik ArchitecTure
2010.1 - 2010. 12 since 2005
chef. Hangul Park prof. Hahn Joh
안녕하세요. 저희 소모임 WHAT은 건축학부에 소속된 학회입니다. 2005
진행했습니다. 그 외 활동들로는 예를들면, 오감을 주제로하여 답사를 하고
년부터 시작된 모임으로, 조한교수님을 지도교수님으로 모시고 학생들끼리
작품을 만들어 거미전에 제출하여 전시하기도 하였고, 8인의 현대건축가 책을
모여 건축에 대해 토론하고 공부하는 모임입니다. 사실, 학회라고 하면
중심으로 그들에 대해 분석하고 조사한 후 그에 대한 해석과 비판을 하였습니다.
다들 딱딱한 분위기에서 건축이론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공부만 하는 그런
건축학부를 입학했는데, 도무지 뭐가 뭔지 모르겠다 하시는 신입생분들,
이미지를 떠올리실텐데... 언제든지 저희 학회 모임에 한번 들러보세요. 요즘
학교 입학한지 몇 년이 되었는데 진로나 미래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 하시는
학교에서 선후배가 한자리에 모여앉아 이런저런 이야기도 나누고 고민도
재학생분들, 건축에 대해서 진지하게 토론도 해보고싶고 공부도 해보고 싶으신
서로 들어주는 기회가 잘 없는데, 저희 학회의 가장 큰 장점이라면 선후배가
학우분들 등 학회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만나서 건축이야기며 인생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곳이라는 점입니다. 1학년 후배분들은 대학의 즐거움(?)을 만끽해야한다고 생각하기에 부담 없이 오셔서 선배들이 하는 이야기라든지 궁금했던 것들을 물어볼 수 있는 곳이고, 2학년 후배분들부터는 학회에서 하는 모임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시게 되는데, 이 때 2~5학년 학생들이 어우러져서 함께 건축과 관련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는 점이 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희 학회의 활동이나 주제는 매학기별로 멤버들의 의견을 수용해서 결정하게 됩니다. 지난학기에는 현재 활동하는 유명건축가를 정하고 그들의 건축을
W.H.A.T. 싸이월드 클럽
바탕으로 그들의 사상에 대해 분석하고 우리의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프로젝트를
http://club.cyworld.com/architecturestudy
249
W.H.A.T / NoonKal
NoonKal
2010.1 - 2010. 12 since 2006
chef. Haerang Jeong
소모임 ‘눈깔’은 2006년 만들어진 사진 찍기를 좋아하는 건축대생들의 모임입니다. 저희 ‘눈깔’은 그냥 사진에 관심있는 정도의 학생들 부터 아마추어급 실력을 지닌 선배들까지 다 같이 어울려 스터디하고, 출사를 나가며 선후배, 동기들 간의 친목을 도모합니다. 새내기에서 졸업반까지 ‘사진’이란 것만으로 하나가 되는 ‘눈깔’입니다. 출사의 구성은 주로 1, 2학년이며 현재 2 학년 게으른 임원단이 포진하고 있습다. 출사 나갔을 때의 친목에 소모임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하겠습니다.
눈깔 싸이월드 클럽 http://club.cyworld.com/clubV1/Home.cy/51798212
250
student groups
HSA online magazine Dilettante
2010.1 - 2010. 12 since 2009
chef editor. Minkyu Park prof. Kyuman Song
no.4
no.5
홍대 앞 제대로 걸어보기/
Media를 알아본다/
Spatial trip : 스페이스 루프, 서교365, 로보, 그라빠, 해냄 출판사 사옥,
Magazine : SPACE, C3, 건축세계, 건축문화, 외국잡지(Domus,The
상상마당, AA뮤지엄, 두킴사옥
Architectural Review, ETC.)
Work group : Albatross, Jonathan, Archi-Hong, Axis, Neo, Arche,
Book : 미디어의 이해
Cubic, 터
Lecture : BIG 강연 Exhibition : 노르웨이 건축전
인터뷰/
Internet : Architecture office site, Blog, Twitter
문훈 – 문훈건축발전소
Video : archiecture in movie/drama, My architect, architect
박창현, 이진오, 임태병 - 사이건축 인터뷰/ Photo Story/
도서출판 DAMDI : 서경원 편집장
벤쿠버 여행기 학교소식/ 학교소식/
ETH Workshop
건축학과 작품집 작업후기
알바로 시자 - 아모레 퍼시픽 답사
네팔 해외 봉사
작업실 데이
10학번 예비대학 신입생오리엔테이션
251
dilettante - http://arch.hongik.ac.kr/dilettante
HSA online magazine Dilettante http://arch.hongik.ac.kr/dilettante/
no.6
no.7
학교를 이용해보자!/
Tradition & Hanok/
Curriculum 들춰보기
한옥을 이야기 하다
모형 제작실 집중해부
5人5色
컴퓨터실 이용하기
한옥은 무엇인가?
도서관의 건축학 코너 알아보기
한옥의 용어
사진실 이용 방법 Trip to find/ Study group/
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
W.H.A.T.
전주 한옥마을
눈깔
전통 건축 실측 답사기
인터뷰/
인터뷰/
송규만 교수님
건축가 황두진
윤혜경 교수님
건축가 이문호 학교소식/ AA Workshop 후쿠오카 건축답사 졸업작품전
252
student groups
Architecture + Blog
HSA online magazine Dilettante no.5 Architecture & Mediation
written by Hojea Lee
인터넷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블로그”의 개념으로 개인들이 정보를 창작하거나
landscape/
직접 구성하기 시작했다. 이미 만들어지거나 두세 번의 검토를 거쳐진 시장의
컨셉 발전에 인용했던 자료들에서부터 만들어낸 이미지들까지 자료가 굉장히
상품들과 달리, 우리는 이제 블로그를 통해서 신선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많다. 특히 기존 블로그들과 달리 이미지가 크고 선명해서 더욱 자세히 볼 수가
시대가 온 것이다. 건축도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새로운 작품들과 생각들이
있다.
만들어지고 있는데, 블로그가 이런 소식들을 전하는데 가장 활발한 매체가 아닐까 싶다. 우선 블로그는 개인이 운영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기존의 “
나는 물밖에 나온 물고기 - 김세진 (aahuman.com)
공식사이트”들보다 정보가 훨씬 가깝게 느껴지고 개인의 색이 짙다. 이런
여태 소개한 블로그들 중에 가장 개인적인 블로그가 아닐까 싶다. 한 페이지마다
의미에서 골라보는 재미도 있겠지만, 그만큼 다양한 생각들이 있다는 점에서
사진은 많진 않지만, 아주 예전부터 찍어왔던 사진들 속에 이 사람의 생각이
두루두루 챙겨보는것이 건축공부하는 학생에게 아주 이롭지 않을까라고
전달되는 듯해서 어느새 나도 모르게 계속 클릭을 하고 있었다.
생각해본다. 블로그들이 담는 건축작품들의 사진은 직접 들어가 보라는 취지로 최대한 배제 하였다.
Archiholic - 정용한 (http://archiholic.egloos.com/) 블로그가 굉장히 심플하지만 어느 블로그들 보다도 모델의 사진이 가장 많다.
건축가의 작업실 - 김희준 (http://blog.naver.com/taosanm)
컨셉이나 그것의 발전도 좋지만 모델사진이 아주 많다는것에서 일단 학생들이
국내에서 개인 아뜰리에를 운영하시는 분으로써, 주택 활동이 활발하다.
즉시 배울 수 있는것이 아주 많다.
작품의 완성된 사진과 더불어, 공사하는 단계별로 사진이 기재되어있다. arfibez - 배은정 (http://www.arfibez.com/ ) 공구리 공방 - “공구리” (http://gongury.egloos.com/) 정확히 소속을 알 수가 없지만 블로그의 내용이 사무소의 작품에서부터 일반
사이트가 간결해서 아무것도 없는듯 싶지만, 이 분의 포트폴리오와 솔직한 상담이 오가는 게시파까지 없는 것이 없다.
개인 취미활동까지 다양하다. RYU~ 넌 스페인! - 메보이 (http://blog.naver.com/ryumina1) NAKAMURA HIGH SCHOOL - 파파누이 (http://kr.blog.yahoo.com/
스페인에서 유학중인 학생의 블로그이다. 건축작품 자체보다는 스페인 자체의
papanui724/)
분위기가 묻어나는 멋진 사진들이 많다.
일본 건축 작품들의 소개가 돋보인다. 개인의 작품 공사현장과 우리들에게 힌트가 될 수 있는 상세한 디테일에 관한 글들도 있다. Jaminahyo - 게으른새의부러진날개 (http://kr.blog.yahoo.com/ lazybirdc) 국내, 해외를 답사하면서 직접 찍은 사진들이 매우 많다. 일반적인 사진들도 많지만 특히나 건축적인 디테일에 집중한 사진들과 설명이 많아서 유용한 정보가 많다. BAU Architects - http://www.bauarchitects.com/ 건축관련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들끼리 모여 바우 아키텍트라는 이름으로 협업하는데, 이 사무소의 작품들이 소개되어 있는데, 방대한 프레젠테이션 자료가 있다.
아래의 사이트들은 대학생들이 자신을 소개하는 홈페이지들인데 설명이 대체로 없지만 강력한 이미지들이 많아서 한번쯤 볼만하다.
Nuno의 블로그 - Nuno (http://kr.blog.yahoo.com/nuno1129)
하지만 각각의 포트폴리오가 잘 기재되어있어서 정리되는 기분이다.
바우 아키텍트중 한 멤버이며, 블로그에서는 타 작품의 설명이 잘 게재되어 있다.
http://www.yangsunggoo.com/
도 심 산 책 - 지정우 (http://kr.blog.yahoo.com/jungwooji)
http://kyuseonhong.com/
개인의 포트폴리오와 더불어, 독자가 장고하도록 만드는 깊은글들이 많다.
http://www.parksangwook.com/ http://ohhyunil.com/
인터페이스 랜드스케이프 - http://www.cyworld.com/interface_
http://www.leeseungteak.com/
253
dilettante - http://arch.hongik.ac.kr/dilettante
ETH + HSA Worksop
HSA online magazine Dilettante no.5 Architecture & Mediation
written by Inwha Peak
스위스취리히연방공대(ETH) 공동 워크샵
자신들이 원하는 사이트를 선정하여 팀이 분류되었다. 물론 팀은 스위스 학생들과 한국 학생들이 섞여 있었으며 우리는 영어로 의사소통을 해야 했다.
‘3.23~3.24’ 이틀 간 홍대건축학과 학생들과 취리히공대 건축학과 학생들
하루 만에 사이트 답사를 하고, 그 다음날 와우관 3층에서 모여서 답사 내용을
간의 공동 워크샵이 있었다. ETH는 ‘스위스’의 대표 건축가 헤르조그 드 뫼롱이
정리하고, 발표를 준비했다. 학년도 학교도 국적도 제각각인 학생들이 모여서
학위를 받은 학교이며, 현재 이들은 이 ETH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생들 말에
머리를 맞대고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은 분명히 근사했다. 각 팀의
의하면 헤르조그 드 뫼롱은 주로 석사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 urban planning
발표는 파편적으로나마 낯선 이방인들이 바라본 한국의 건축물들의 형태와
수업을 가르친다.
한국인들의 삶을 다시금 생각할 수 있는 기회였다. 종묘 근처에 있는 다양한
ETH 학생들은 매 학기 전 세계의 건축학교로 이와 같은 공동 워크샵을
재료를 사용하여 지은 건물들, 무엇보다 이 팀은 식당 아주머니들이 점심을
일주일간 갖는다고 한다. 학생들은 서울뿐만이 아닌 유럽의 건축학교들 혹은
머리에 이고, 배달하는 방식을 매우 특이하게 생각했다. 신흥시장의 건물들은
미국, 아시아 등에 있는 연결된 특정 도시 중 자신들이 원하는 도시를 선택하여,
사람들의 필요에 의해서 적층되어 그 나름의 독특한 건축적 공간을 형성하고
도시를 답사하며 특정 사이트를 그 학교 학생들과 함께 분석하여 결과물들을
있었다.
서로 발표하며, 생각을 교류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스위스 취리히 공대에서 오신 독특한 이력을 소유한 흰 머리
함께 작업을 하는 기간은 단 이틀 뿐 이지만, 학생들은 작업을 하기 전
신사분의 서울 교통시스템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학생들의 말에 의하면 이분은
전반적인 도시를 이해하며, 유명 건축가들의 작품과 그 도시의 전통건축들을
과학자이고, 금융가이며, 피아노를 치기도 하며, 무엇보다 건축학과 학생들과
압축적으로 답사한다. 서울을 찾아 온 ETH 학생들은 첫날 북촌한옥마을을
놀기를 좋아하는 괴짜 같은 천재다. 그 분의 발표는 간략한 한국에 대한 소개와
시작으로 경복궁, 종묘, 창덕궁, 쇳대 박물관을 답사했으며, 둘째 날은 Butique
함께(엄청난 속도의 경제성장은 그들이 가장 놀라워하는 부분이다), 버스번호가
Monaco, Urban Hive, Ann Demeulemeester shop, Hermes, Ye
어떻게 매겨지는지, 서울 지하철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람들을 이동시키는지,
gallery, Tehis를 답사했다. 워크샵이 끝나고 진행된 답사 세 번째 날에는
그리고 서울의 공기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에 대해서도 이야기 했다. 서울에서
국립중앙박물관, 리움, 이화여자대학교, Sun Tower를 다녀왔다. (혹시
한 시간 동안 걸어 다니는 것은 담배 한 갑을 피운 것과 동일하다고 한다!
이곳에 가보지 못 한 홍대 학생들이 만약 있다면, 이들의 일정을 따라서 서울을
짧은 만남은 강렬했지만 역시나 아쉬웠다. 마지막 날 함께한 저녁식사에서
답사해보기를 추천한다)
우리는 못 다한 이야기들을 토해냈지만, 서로를 전부 이해하기에는 시간이
홍대 학생들과 함께한 워크샵의 주제는 서울에 분포되어 있는 특정 장소의
너무 부족했다. 워크샵이 단순히 도시 혹은 건물들을 분석한 것 뿐 만이
건물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하며 그 장소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의 행태를
아니라 설계까지 함께할 수 있을 만큼 조금 더 길었더라면 더 좋은 경험이 되지
건축적으로 혹은 그 이상으로 파악하는 것이었다. 선정된 다섯 개의 사이트는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문래예술마을, 신흥시장, 홍대 마켓, 종묘주변, 대치동’이었으며, 학생들은
254
student groups
Library manual
HSA online magazine Dilettante no.6 Manual for Using school
written by Soohyun Kim
도서관 이용하기
5층
참고자료, 대출불가
건축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찾고자 하는 학생은 5층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을 우리는 과제를 수행해 나가면서 많은 정보와 자료를 찾아보곤 한다. 그러나
것이다. 건축가, 프로그램, 국가 등으로 분류된 다양한 서적이 소장되어있어
인터넷을 이용해서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서적을 구입해서
평소 보기 힘든 책들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참고열람실은 도서 대출이 불가능
보기에는 금전적인 부담이 따르기 마련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므로 자료 소장을 위해서는 같은 층 복사실을 이용하거나 사진을 찍어야 한다.
최고의 방법은 학교 도서관을 이용하는 것이다. 지금부터 도서관 구석구석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정기간행물실
정기간행물, 대출불가
마지막으로 쉽게 눈에 띄지 않아서 발견하기 쉽지 않지만 유용한 정보가 많은 정기간행물실이 있다. 5층 문을 열고 나와 오른쪽으로 쭉 가면 정기간행물실로 1. 이용 시간
가는 경사가 있다. 이 곳에는 국내 잡지인 SPACE, 건축문화, 건축사 등과 해외 잡지인 Domus, Architectural Record, El croquis 등도 소장하고 있어
구분
학기중
방학중
평일
토요일
대출,반납
19:30
14:30
대출실
20:00
15:00
평일
자세한 건축 정보가 수시로 업데이트 된다. 토요일
공휴일
16:30
14:30
휴실
17:00
15:00
4. 희망 도서 신청하기 도서관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좌측 중앙에 ‘희망도서신청’ 이라는 항목이 뜬다.
참고자료실
이 곳에서 업데이트 되지 않는 책들이나 도서관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책들을
정기간행물실
신청하면 조건이 맞는 한도 내에서는 책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학위논문실
건축대학 학생들이 함께 꾸준히 필요한 책들을 신청하면 학교 도서관의 양과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 홈페이지 : http://honors.hongik.ac.kr/
2. 대출 권수 대학생 : 7권 3주 대학원생 : 20권 4주 전임강사 이상 : 40권 6개월
3. 이용 가능 서적 2층
서양서, 대출가능
도서관 입구인 3층에서 한층 내려가면 양서들이 소장되어있다. 이 곳을 이용하는 학생들이 많지 않은 듯 하다. 그러나 2층에서도 여러 이론서에서부터 작품 이미지를 볼 수 있는 책들이 많은데다가 대출까지 가능하니 잘 활용하면 도움이 될 것 이다. 4층
국내도서, 대출가능
건축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역이 아닐까 싶다. 건축 이론, 사상 관련 서적부터 도면 집, 작품집까지 다양하게 소장되어 있고 건축적 능력을 기르는 건축 스케치 방법, 컴퓨터 툴 다루는 방법을 설명하는 책도 찾아 볼 수 있다.
255
dilettante - http://arch.hongik.ac.kr/dilettante
2010 HSA Graduation Exhibition Review
HSA online magazine Dilettante no.7 Hanok
written by Soona Lee
일하기 때문에 설움이 많았던 사람들이어서 이렇게 저에게 글을 쓸 수 있게 기회 를 주신 김에 야심차게 제일 먼저 이름들을 나열해 봅니다. 먼저 저희가 기획조를 만들고 난 후 제일 먼저 했던 일은 컨셉을 잡는 일이었습니다. 물론 우리가 하나의 공통된 주제로 전시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작품의 이야기에 대해 하나의 목소리를 내기는 어렵지만 졸업을 앞둔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학생들의 입장은 하나의 목소리로 대변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아래 보이는 문구가 그에 대한 결과물이었습니다. ‘우리를 팝니다’ 졸업을 앞둔 저희가 하는 말입니다. 솔직한 표현이기도 슬픈 표현이기도 당돌한 표현이기도 하지요. 어떻게 말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십니까.
안녕하세요 저는 2010 졸업준비위원장을 맡게 된 이수나입니다.
이처럼 저희는 졸업을 앞 둔 오학년들의 솔직한 심정을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먼저 저희 졸업전시 준비 위원회 사람들을 소개합니다.
‘우리를 판다’라는 표현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셔도 틀린 건 아니지만 꼭 그렇게만 들리도록 하고 싶었던 건 아닙니다. 어떤 학생들은 사회를 부정하며
위원장 : 이수나,
나를 진심으로 잘 포장해서 팔아보겠다는 심정을 가지고 있기도 하구요. 또
과대 : 송민섭(건축), 한경우(실내)
어떤 학생들은 이왕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라면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나
회계 : 백문정
자체를 판다는 것에 대한 수치심보다는 오히려 당당하게 ‘나’를 이야기하기도
포스터 및 현수막 : 이수나, 윤진영
하구요. 또 다른 학생들은 꿈과 이상 사이에서 그 어떤 경계도 만들지 못한
리플렛 : 이진아
채 슬퍼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게 다는 아닐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다른
메인월 : 노현정
표현에 또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겠지요. 하지만 이러한 저희의
메인홀 : 김보경
심정을 가장 적나라하게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포스터, 리플렛, 현수막,
영상 : 박성수, 김영식
메인월, 메인홀, 영상 등 다른 모든 부분들도 이러한 컨셉에 맞추어 나가려고
각 반 부스 : 김우상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이러한 전시 기획을 다들 처음 해 보는데다 실제로 만들어졌을
이 외 실내건축학과 회장 한준겸님 부회장 장준영님 그리고 5학년 각반
때 어떤 느낌을 자아낼지 짐작할 수가 없어서 하는 내내 고민도 많고 탈도
반장님들( 한상우, 문정욱, 김은주, 박세원, 김필준, 김홍기, 이혜준, 정성용)
많았습니다. 덕분에 저희 기획조 사람들은 너무 많이 고생 했구요. 리플렛을
위는 이번 졸업 전시를 위해 자신의 작품 외에 전체를 위해 애써주셨던
담당했던 진아언니는 하루에도 몇 번씩 그 두꺼운 종이에 인쇄를 해서
256
student groups
접어댔는지 모릅니다. 오타라는 것이 한 번에 발견되는 것도 아닌 데다
졸업전시는 물론 개개인의 전시로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개인의 작품 외적인
추가해야 할 사항은 매일매일 늘어나서 끝날 것 같다가도 안 끝나는 것이 리플렛
일에 그 어느 누구도 신경 쓰지 않았다면 전시는 이루어질 수 없었을 것입니다.
이었으니까요. 또 우리가 컨셉에 맞춰 가장 야심차게 준비했던 메인 월의 간판
이 점을 모두가 이해하고 위의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감사하는 마음을
같은 경우도 간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바탕이 되는 그 벽을 어떻게 처리해야
가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래서 제 나름대로의 이번 전시를 준비하면서의
될까 고심이 많았기 때문에 그 때 당시 (아마 지금도.) 다리가 아팠던 현정이는
목표는 모두가 하나쯤은 작지만 힘을 보태서 우리의 전시라는 느낌이 들었으면
셀 수 없는 업체들을 돌아다니며 견적 뽑고 구조체 구상하는 일을 반복해야
하는 것이었습니다. 많이들 귀찮으셨겠지만 직접 페인트를 칠하고 사다리를
했습니다. 영상 같은 경우는 성수오빠와 영식오빠가 오학년 전체의 이미지를
들고 다니면서 배너를 달고 포스터를 붙이고 리플렛을 외부에 부치는 일들을
따야 했기 때문에 수업시간에도 하루 종일 자리를 지키며 학생들 사진을 찍고
하면서 좀 더 이번 졸업전시가 단순히 작품을 전시하는 느낌의 그것이 아니라
편집 작업을 해야 했구요. 각 반 부스같은 경우에는 디자인이 계속해서 바뀌는
함께 졸업하면서 목소리를 내는 그것에 가까웠기를 바랍니다.
바람에 우상오빠가 다른 대안들을 계속 만들어 내야 했구요. 보경언니는 영상실에 들어가는 자질구레한 부품들을 구입하느라 인터넷 쇼핑몰을 수도 없이 뒤지고 계속해서 같은 색깔인 것 같으면서 다른 것들의 가장 좋은 조합을 만들기 위해 밤늦게까지 항상 저와 고민했습니다. 외국에서 돌아오자마자 기획조 일에 참여해서 포스터와 현수막을 떠맡듯이 맡아버린 진영이도 계속되는 수정과 업체선정이라는 제일 귀찮은 일들의 마무리를 해야 했고 문정이는 쉽지만은 않은 아니 너무나 복잡하고 어려운 회계 문제를 진행시키느라 업체와 학교 사이에서 계속 힘들어해야 했습니다.사실 이번 기회를 통해 우리 기획조 사람들의 고생을 이렇게 좀 생색내고 싶었습니다.
모두들 수고하셨습니다.
dilettante - http://arch.hongik.ac.kr/dilettante
HSA Annual Collection Book made by Dilettante
257
258
HSA Designs
Student List
건축학부
건축학 전공
1학년
2학년
강민구 권현수 금찬미 김선정 김소연 김수홍 김연준
황규현 엄재하 제정웅 박준수 이병철 이재호 이재훈
이근복 이 근 이선주 이재용 이정은 이형민 정의석
김연태 김용태 김용하 김우현 김욱재 김유경 김윤수
강승진 김내한 김종화 박현배 배문영 서정윤 양신욱
조대희 지혁철 차승헌 최석우 최성훈 황인찬 박석범
김지은 이현석 김현동 김현수 김현선 김호영 김활기
이영진 이재상 이재설 임하형 오기원 윤성훈 조남희
이기백 김광주 김수나 김희연 문지훈 박슬기 안병선
나경원 남현우 노준호 노현수 두정화 류다영 류세희
이현석 문재영 윤은진 이수경 이주호 정대영 강현미
염지영 이민지 이세희 이유진 이준수 전채은 정연달
문창민 민정택 박상혁 박영우 박용범 박종영 박진오
최인녕 강선환 강재욱 고종욱 기연석 김동윤 김문찬
최민지 최은주 주지혜 이성진 곽중원 김명신 김미영
박철언 박현오 백지현 손민규 손예선 송보경 송승엽
김병훈 김성곤 김승혜 김용엽 김준련 김현숙 김혜경
김송이 김수민 김수현 김영휘 김우진 박관호 박진솔
신기태 신민경 신세열 양형길 오승민 우주성 위성문
류공진 박보미 박해성 선정수 송유현 신찬희 양승환
박한글 배성민 손동석 유민재 이기현 이동주 이수지
유수미 유지성 윤 솔 윤수정 윤지영 윤지영 이경호
여환호 오소희 이성현 이승진 이승준 이영동 이원우
정성윤 조한민 홍윤형 정수이 김형균 배옥진 백지희
이경연 이광훈 이대권 이세윤 이예나 이용희 이원중
이종훈 이준영 이진혁 임미르 장시만 전성근 조아영
이만희 이유정 변아영 홍정희
이재호 이정환 이정호 이정연 이종학 이주형 이한나
조영동 조유환 최윤주 최호준 최효은 한찬희 홍찬의
이해수 이혜림 이호윤 임하은 전미진 정성웅 정예현
김잠언 장윤정 최서윤 OCHIRPUR
5학년 고용준 박대혁 서늠름 신성욱 신재호 이원섭 이상민
정창원 정해랑 조규형 조다은 조동운 조명준 조영찬 조효진 차준수 채준병 최명제 최선웅 최원식 최지숙
3학년
이재문 이광배 이인엽 이영준 조용원 조현진 홍훈민
한진모 황성빈 황정서 An Taiyu Erdenekhu 오단룡
허 성 이규철 김상현 김정하 김종훈 김중근 김지수
김세현 신준규 강민성 강순용 권현철 김영식 김유곤
김현규 안재현 이강현 전승철 김민주 하상락 허재원
김필준 김홍기 김주영 김동혁 김무현 김홍재 문정욱
강수진 곽수찬 구광본 김영준 김완기 김태광 민경은
문대식 박성수 서우승 설기석 섭유성 송영중 신방원
오화성 이민호 이성찬 이은도 이재만 장원석 정희섭
안영민 양영진 양시찬 원은경 이주호 이제훈 장진호
조현섭 최영두 최원태 양상훈 고운님 박세열 서대범
장원세 장원종 정희준 조윤기 최경범 최지훈 한주희
서세희 위정연 이윤재 이지영 한규영 권수영 권혜원
한상우 한은주 현영훈 황현진 김신종 김창선 유화선
김민기 김소현 김승준 김정희 박윤정 송승훈 신준영
이보배 이재호 김 민 김용준 김기훈 김아름 담문승
양유경 윤은지 이한별 정소현 진솔비 허지선 김현아
박세원 박수연 송동현 오진영 오광병 오준명 원정현
김도현 이연복 조진경 최은규
유규상 이웅재 조동완 조항식 차영훈 황지원 박지혜 이한준 이지열 정홍은 공선주 김보경 김혜림 김효진
4학년
노현정 민봄이 백문정 송현주 윤지선 이수나 이승희
국영근 강승주 강병진 강학선 송창근 강은성 고수현
이 원 이형희 임상규 전현아 전희수 조선오 김은주
김대진 김도연 김태원 이채형 이용성 정재훈 조정필
오현진 이진아 나세진 김근희 김우상 김유진 박서녕
조영진 최지안 홍승표 이의범 이한승 구강모 김건우
박준희 서유준 송민섭 신예영 윤진영 이혜진 이효정
김대근 김민중 김병철 김언표 김택환 김혜진 김혜림
정성용 한중훈
도일석 박기진 박민규 박시영 박종현 서재석 손제영 안광일 안호송 양세영 오경민 오수하 유지은 이규정
실내건축학 전공 2학년
3학년
조재호 강다래 강태욱 김 근 김민석 김슬비 마혜영
임태호 장준영 주재영 한준겸 허택수 김주영 남우리
박재현 오유경 오지훈 유태욱 이지은 이후곤 임병수
김연지 김지수 김태환 방민지 방석걸 심익성 윤정옥
임수옥 정경호 차혜민 한금전
이주해 조승규 표준하 이송희 조현정 전소연 4학년 한경우 박수연 박유진 유상희 심지영
259
epilogue
Editorial department : Dilettante
Advisor
prof. Kyuman Song
Parts of Editors
Chief editor
Minkyu Park
Architecture program
Main disigner
Soohyun Kim
First year
Soohyun Kim
Second year
Woojin Jang
송규만 교수 2009년 건축대학 학생기자단 '딜레땅뜨'가 발족한 이후, 2번째 작품집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여기 실린 작품들은 지난 1년간 홍익대 건축대학 교수님들과 학생들의 노력과 도전의 결과물들입니다. 본 작품집은 홍익건축의 한 해 동안의 작업을 기록하고 정리하여 우리 자신을 뒤돌아보게 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알려 줄 뿐 아니라, 외부와 소통할 수 효과적인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의미 있는 출판작업에 순수한 열정으로 참여해 준 딜레땅뜨와 학생회 여러분, 그리고 홍기섭 건축대학 학장님, 유현준 건축학전공 학부장님, 그리고 담당교수님들께 감사드립니다. 박민규 이제 5학년을 목전에 둔 지금 우리 학교 학우들을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사실 우리는 학기중에 우리의 옆에 있는 학우들이 어떤 작품을 만들어가는지 관심없이 오로지 자신의 작품에만 관심을 쏟을 때가 많아 보였습니다. 다른 학우들과 자신의 작품을 가지고 이야기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관심을 보내며 같이 성장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가는 시점에서 있었지에 그런 현상들이 매우 안타까웠습니다. 그래서 작품집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작품집 작업은 쉬운 작업이 아니었음에도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학우들의 훌륭한 성장을 기록하는데에 성취감을 느끼면서 혹은 다른 학우들의 작품에 자극 받으며 작업을 했습니다. 마지막으 로 작품집 작업을 같이 해준 딜레땅뜨 여러분 그리고 담당 교수이신 송규만 교수님과 그 옆에서 도와준 많은 친구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전하며 이제 작품집을 마무리 할까합니다.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Interior architecture program All years
Teaho Lim & Minkyu Park
Third year
Kyujeong Lee
etc.
Minkyu Park
Fourth year
Jinsol Park
Translator
Hojae Lee
Fifth year
Minkyu Park
김수현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작품집 작업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인 만큼 작업이 더욱 수월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더 나은 작품집을 만들겠다는 욕심을 부려서인지 더욱 많이 노력했습니다. 많은 학우들의 좋은 작품들을 보면서 학교에 대한 자부심이 생겼고, 또한 개인적으로는 자극을 받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러한 느낌들을 작품집을 보는 분들도 느꼈으면 좋겠고, 더불어 이러한 작품집을 만들기 위해 저희가 많이 노력했다는 것도 조금은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그렇다면 고생한 만큼 뿌듯함도 느낄 수 있겠죠. 귀중한 방학에 추운 학교에서 함께 작업한 작품집 멤버들 수고하셨습니다! 이규정 한 해동안 홍익대 건축대학 학생들의 모델, 판넬은 이제 이미지와 텍스트로 남았습니다. 작품집은 지난 한해를 기록하는 일입니다. 저희는 각 작품의 고유한 특징을 한정된 지면 안에 효과적으로 넣기 위해 고심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우들의 작품을 꼼꼼하게 읽어내야했습니다. 언제 이렇게 다른 학우들과 그들의 작품에 진지한 관심을 가진 적이 있었는지요. 훌륭하다싶은 작품들은 그 자체의 질이 훌륭했습니다만 대부분이 정리가 매우 잘 되어 있었습니다. 그런 작품을 대할 때는 설계자의 애정이 진하게 느껴져서 더욱 주의해서 봤습니다. 작품이 훌륭해서 애정이 가는 것인지 애정이 많아서 작품이 훌륭해지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순서는 별 상관이 없을 것입니다. 작품집을 만들면서 저희들이 경험한 것을 독자분들과 공유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끝으로 이 혹한기에 함께 고생한 딜레땅뜨 친구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보냅니다.
이호재 비록 2년밖에 건축 공부를 하진 않았지만, 가장 제 기억에 남고 저에게 영향을 준 것은 다른 학생들의 작품을 보고 의견을 토론하며 나누던 경험이었습니다. “건축 공부의 반은 교수 반은 학생”이라는 말에 깊이 동감하며, 제가 작은 도움으로 출판하게 된 올해의 작품집도 이런 의미에서 제 선후배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박진솔 작품집에 실린 설계 방법, 표현 등을 많이 참고했던 저에게 이번 작품집 참여는 매우 뜻깊은 일이었습니다. 학기중에 제 과제에 급급해서 미처 제대로 보지 못했던 친구들의 작품을 꼼꼼히 살펴보면서 많이 배우고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저에게 그랬던것처럼 여러분에게도 이 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장우진 신입생 때 선배님 들의 작품집을 보고 "아 내가 이런것들을 하게 되는구나"라며 가슴 설레던 일이 어제 일 같은데, 어느새 제가 잡품집을 만들었다는 사실이 믿기지가 않네요. 경험이 부족하여 고민도 많이하고, 고생도 많이 했습니다만 많은 것들을 배우고 끝마침 합니다. 함께 작품집을 만들었던 형님, 누님분들 정말 즐거웠습니다.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파이팅입니다! 임태호 작품집을 편집하면서 단 하나 느낀 게 있다면 결국 이 책의 퀄리티는 개별 작업의 완성도에 있다는 걸, 이제는 알 때가 되었습니다. 홍익대학교에 들어온 지 6년여 만에 건축대학의 한 해를 정리하고 기록하는 작업에 참여할 수 있어서 좋았고 이 기록이 건축대학이 앞으로 나아가는 데 조금이나마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기대하며 내년에는 더 좋은 작품이 이 지면을 장식하기를 기대해 봅니다. 2011년의 작품집에는 더 좋은 내용으로 꾸며지기를 제 자신부터 노력하겠습니다.
HSA Designs : HSA Annual Collection 2010 2011년 2월 23일 1쇄 발행 펴낸이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과 편집부 Dilettante 펴낸곳 홍익대학교 출판부 등록 1974년 6월 15일 주소 서울시 마포구 상수동 72-1 전화 02)320-1351 인쇄 상진문화인쇄사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