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 (604)544-5155
COPYRIGHT 2020
제4573호 2020년 4월 1일 수요일 A
The Korea Daily
밴쿠버 한인 코로나19 인종혐오 폭행 피해 31일 오전 10시 현재 전국 사망자 95명...100명 돌파 코 앞 써리 센트럴역 인근 도로 상에서 발생 확진자 8467명, 주중 1만 명 돌파 전망 BC주 오후 3시 30분 일일 브리핑 예정 캐나다에서 하루 밤 사이에만 코로나10 확진자가 1000명이 나오고 사망자도 31일 중 100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이는 등 코로나 19 대유행이 점차 심화 되 는 조심을 보이고 있다. 31일 오전 10시 현재 각 주별로 발표된 확진자 수 만 8467명으로 나와 전날 7448명과 비교해 1000명 이상이 늘었다. 이는 아직 일일 브리핑도 하지 않은 BC주와 알버타 주가 포함되지 않은 숫자다. 빠르면 4월 1일 늦어도 2일이나 3일에 캐나다의 확진자 수가 1만 명을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사망자 수도 10시 현재 95명으로 나와 31일 중 100 명 이상 나올 가능성도 높다. 이처럼 캐나다의 확진자 수가 급증하는데에는 퀘 벡주가 또 하룻사이에 732명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로써 퀘벡주가 전국 확진자 수의 절반 정도를 차 지하고 있다. 인구 100만명 당 확진자 수에서 캐나다 전체로는 223.3명인데, 퀘벡주는 487.5명으로 평균의 두 배가 넘었다. 그 뒤로 뉴파운드랜드가 283.9명이며, BC주 가 189.8명으로 3번째로 높았다. 온타리오주는 133.6 명, 알버타주는 156.4명, 사스카추언주는 148.9명, 마 니토바주는 69.7명이었다. 대서양연해주 중에 PEI주 는 132.8명, 노바스코샤주는 150.4명, 뉴브런즈윅주 가 87.2명 등이었다.
남쪽 국경 너머 미국은 31일 오전 기준 17만 6518 명의 확진자가 나와 전날보다 1만 2730명이 늘었다. 이어 이탈리아가 10만 5792명, 스페인이 9만 4417명, 중국이 8만 1518명, 독일이 6만 8180명, 프랑스가 5만 2128명, 이란이 4만 4605명, 영국이 2만 5150명 스위 스가 1만 6186명, 터키가 1만 3531명, 베기에가 1만 2775명, 네덜란드가 1만 2595명, 오스트리아가 1만 109명으로 1만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온 국가가 됐다. 사망자에서는 이탈리아가 1만 2428명, 스페인이 8269명, 프랑스가 3523명, 미국이 3431명, 중국이 3305명, 이란이 2898명, 영국이 1789명, 네덜란드가 1039명으로 1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온 국가가 됐 다. 그 뒤를 이어 벨기에가 705명, 독일이 682명, 스 위스가 395명, 터키가 214명, 스웨덴이 180명, 한국이 162명, 포트투칼이 160명, 인도네시아가 136명, 오스 트리아가 128명 등으로 1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온 국가에 속했다. 그 뒤로 캐나다가 가장 100명에 근 접한 국가가 됐다. 표영태 기자
75% 임금보전 기준 최소 30% 수입 감소 모든 기업
비영리단체 포함 대기업도 자세한 내용 31일 중 발표 지난 27일 연방이 코로나19로 손해를 본 소규모 기 업의 임금을 75% 보전해 준다고 발표했는데, 최고 30% 이상의 수입이 감소라는 구체적인 기준이 나 왔다. 자택에서 자가격리 근무를 하고 있는 저스틴 트뤼
도 연방총리는 30일 일일 브리핑에서 75%의 임금을 보전해 줄 기업의 기준으로 비즈니스와 비영리 단 체로 총수입(revenue)이 최소 30% 이상 감소한 경 우라고 밝혔다. 또 소기업이라고 당초 발표했던 것과 달리 직원의 수가 아니라고 밝혀 대기업도 이에 해당된다. 트뤼도 총리는 고용주들이 나머지 25%에 대해서 도 월급을 줘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31일 빌 모뉘에 재경부 장관이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부인의 코로나19 확진으로 2주간 자가격리에 들어갔던 트뤼도 총리는 지난주 금요일 그 기간이 끝났지만 사회적으로 자가격리를 홍보하는 차원에서 스스로 자가격리를 연장했다. 표영태 기자
주밴쿠버총영사관은 지난 27일 저녁에 30대 한인 남성이 써리 센트럴스카이트레인역(Surrey Central Station) 인근 길거리에서 코로나19와 관련한 혐오범 죄로 보이는 폭행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밴쿠버영사관 재외국민안전 내용에 따르면, 피해 자는 거리에서 지인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누군가가 등 뒤에서 "Hey!"라고 부르기에 뒤돌아보는 순간, 순 식간에 얼굴에 곰 퇴치용으로 추정되는 스프레이를 뿌리고 도주했다. 이 일이 발생하기 직전에 피해자가 있던 길 건너 편에서 누군가가 "너희 나라 중국으로 돌아가라"라 며 소리쳤다는 점을 감안할 때, 피해를 입은 한인을 중국인으로 오인한 코로나19 관련 혐오범죄로 추정 된다. 밴쿠버영사관은 "캐나다는 물론 전 세계적으 로 코로나19 전염이 확산되는 가운데 이와 같은 길 거리 혐오범죄의 발생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 노숙자와 범죄가 많은 우범지역은 가급적 회피하고, 야간에 혼자 한 장소에 머물 경우 범죄 표적으로 더 쉽게 노출될 수 있으니 특히 주의하라"고 당부했다. 또 "의심스러운 상황에서는 신속하게 그 장소를 벗어
나고, 피해가 발생하거나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는 지체없이 911로 신고하라고"고 안내했다.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한국 교민이 괴한에게 피습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앞서 지난 10월 중순에도 몬트리올에서도 한 인이 코로나19 관련 인종혐오 범죄에 피해를 본 사 례가 있었다. 주몬트리올 총영사관은 지난 17일 홈 페이지에 “15일 오전 우리 국민이 시내를 걸어가는 도중 괴한의 칼에 찔리는 사건이 발생했다”며 “같은 날 저녁 7시쯤엔 다운타운에서 20대 남성이 칼에 맞 아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밝혔다. 총영사관에 따르면 피습당한 한국인은 인근 병원 응급실에서 신속하게 치료를 받아 현재 회복 중이다. 하지만 다른 20대 남성은 위독한 상태라고 했다. 외 교부에 따르면 피해 교민은 식료품을 사러 가던 중 갑자기 피습을 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피해 교민이 수술을 받고 의식 을 회복 중”이라며 “우선 정확한 사건 경위를 파악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날 피습당한 다른 20대 남성이 한국인은 아니어서 현재로썬 아시아인 혐오 범죄인지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표영태 기자
한인 행정명령 위반으로 벌금 처분 당해 밴쿠버총영사관은 캐나다 내 코로나19 확산으로 모 든 주가 비상사태 또는 보건비상사태를 선포하여 다 중시설 운영을 중단하고 일정 인원 이상의 모임을 금지하는 등의 행정명령을 시행하면서 위반 시 벌 금 또는 체포 등으로 강경 대응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이와 관련한 내용을 재외국민안전 페이지 에 올렸다. 특히 최근 일부 한인들이 코로나19 관련 행정명령 을 위반하여 벌금 처분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 어 동포 여러분들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는 말 도 덧붙였다. 주요 행정명령 내용을 보면 BC주는 캐 나다 입국 후14일간 자가격리 조치, 50인 이상 모임 금지 등이다. 알버타주도 캐나다 입국 후14일간 자 가격리 조치자가격리 조치, 15인 이상 모임 금지 등 이다. 사스카추완주는 캐나다 입국 후14일간 자가격 리 조치자가격리 조치, 10인 이상 모임 금지 등이다. 캐나다는 지방분권이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어, 연 방정부, 주정부 그리고 각 자치시가 코로나19 관련 각각의 행정명령을 내리고 있다. 우선 국경통과, 입 국, 국내외선 항공기나, 대륙을 횡단하는 여객 열차 등에 관한 명령은 연방에서 내리고 있다.
주정부는 주 내의 자가격리, 주공원 폐쇄여부, 의 료보험이나 ICBC 보험, 주 단위의 비즈니스 업종 영 업 여부 등이다. 각 자치시는 자시시 내에 허가된 영업장의 행정명 령 위반 단속, 자치시 관할 공원, 스포츠시설, 도서 관 등의 운영 여부 등이다. 이런 연방, 주, 그리고 각 자치시가 내린 행정명령 을 어긴 것에 대한 단속과 체포 등은 각 자치시와 자 치시에 소속된 경찰이나 RCMP가 시 당국과 공조해 집행을 하게 된다. 또 행정명령 어긴 것에 대한 벌금 등은 대부분 각 자치시 조례에 따라 부과되며, 해당 위반이 주정부나 연방정부 소관일 경우는 각 해당 정부가 부과나 처벌을 하게 된다. 그런데 같은 사안일 때는 상위정부의 명령이 우 선한다. 예로 버나비시가 50인 이상 모이는 것을 금 지했는데, 주정부가 5인으로 낮추면 주정부의 명령 에 따라야 한다. 연방 정부는 캐나다로 입국하는 모든 사람들을 대 상으로 의무격리를 시행하고 있어, 이를 위반할시 최 대 75만 달러의 벌금 또한 6개월 징역 처벌을 받을 수 있다. 표영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