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112_005

Page 1

Special Issue

2017 한국 광고를 읽는 색다른 문법 -`Ⅲ. Technology & Art 이 다 혜│<씨네21> 기자│dahyeh@naver.com

“사람에게 쉬운 것이 인공지능에겐 어렵고, 인공지능에게 쉬운 것이 사람에겐 어렵다”

콘텐츠 업계에서 인공지능은 두 가지 면에서 생각해야 한다. 첫 번째는 내용

일본에서는 인공지능이 쓴 소설이 문학상 예심을 통과하는 일이 있었다. 소설에서 사용된 인공지능의 개발자로 알려진 사토 사토시 교수는 “인공지능이 소설다운 형태로 응모하는 데까지는 왔지만, 기여도를 말한다면 인공지능이 20%, 인간은 80%라고 볼 수 있다” 고 밝혔다. 결국 인간의 노력이 상당히 들어간 협업의 형태로 창작하고 있는 것이다.

자체가 인공지능에 대한 것인 경우, 두 번째는 콘텐츠의 생산 과정에 인공지능이 기여하는 경우다. 내용 자체가 인공지능에 대한 것인 경우 지금까지 수많은 작품이 제작돼 사랑받았고, 콘텐츠의 생산 과정에 인공지능이 기여하는 경우는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 전자는 상상력이, 후자는 기술력이 가장 중요한 힘이라는 점도 차이점이다. 반 고흐와 비슷한 듯 다른 듯, <별이 빛나는 밤>

우선 인공지능 자체가 이야기의 중요한 소재가 된 것에 대해 말해보자. SF 장르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소재는 역시 인공지능이 인간을 위협하는 날이 오리라는 공포다. 현재에 없는 높은 기술력을 상상으로 만들어 내고, 현재의 사회구조를 비추는 미래상을 세팅한다. 1956년,‘인공지능’ 이라는 용어가 태어났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작 반세기가 조금 넘은 이 시점에 우리는 상상 속 미래를 하나씩 현실로 맞닥뜨리고 있는 상황이다. 월리 피스터 감독이 연출한 <트렌센던스>는 그런 극한의 상상을 구현한 영화다. 인간의 지성이 디지털 신호화돼 컴퓨터 속으로 들어간다는 상상을 다루고 있다. 천재 과학자 윌(조니 뎁 분)의 두뇌가 슈퍼컴퓨터에 업로드돼 의식을 갖게 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테러 사건으로 목숨을 잃은 윌을 그의 연인이 컴퓨터상에서 되살린다. 윌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 윌의 의식인지, 아니면 윌의 기억을 가지고 윌을 흉내 내는지를 알 수 없다. 이전의 로봇에 관련된 서사와 최근의 인공지능 서사와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충분히 발달한 인공지능은 인간과 구분할 수 없다는 점이다. 아직 그런 기술은 우리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