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대 원
2
3
의
심
Doubt
양 대 원 Yang, Dae-Won
2008. 10. 22 - 11. 16 사비나미술관
Contents
인사말 Greetings
5
눈물의 숲에서 붉은 벽을 바라보다_황정인 Looking at a red wall from the forest of tears_Hwang, Jung-In
6
의 심 18 Doubt 약 력 46 Biography
양대원 개인전에 부쳐
언젠가 읽은 책에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 있었습니다. “예술적 재능, 불타는 열정, 예술가로서 성공하고 싶은 야심, 이 세 가지가 있으면 미 술사에 빛나는 작가가 될 수 있다.” 글을 읽으면서 참으로 옳은 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도록의 첫머리에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은 양대원 작가야말로 이 세 가지를 모두 갖춘 작가라는 판단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객관적이지 못하다고, 작가를 지나치게 편애한다고 분명 의구심을 가질 분들이 계시 겠지요. 어떠세요. 여러분들이 미술관에 오셔서 직접 확인해보시면.
2008년 10월 이명옥 사비나미술관장
5
눈물의 숲에서 붉은 벽을 바라보다 황 정 인 (사비나미술관 큐레이터)
강렬하게 대비되는 원색의 화면구성과 작가주의 성향이 강한 인물상(동글인)을 통해 세상을 살아가 는 인간의 모습을 간결하고 상징적으로 그려내는 화가 양대원. 지난 2년간 축적된 시간을 통해 이번 전 시에서 그가 보여주는 그림은 온통 붉은 색이다. 이전의 개인전까지 보여주었던 인물배치와는 달리 화 면의 구성방식도 전지전능한 위치인 관조적인 시각에서, 인물의 얼굴이 150호 정도의 화면에 가득 채워 져서 보는 이를 압도하는 구성으로 바뀌었다. 무엇보다도 가면을 쓰고 자신의 속내를 숨긴 채, 힘과 권 력으로 얼룩진 군복을 입고 상대방에게 경계심을 늦추지 않았던 동글인의 두 눈에 눈물이 고였다.‘의 심’이라는 주제로 열두 번째 개인전을 준비한 작가에게 이러한 변화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세상과의 유리, 세상으로의 외출, 세상에 대한 탐색, 그리고 세상에 대한 사유 양대원은 지난 1995년 개인전에서부터 지극히 개인적이면서 함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짤막한 단 어의 전시주제를 제시해왔다.《섬Ⅰ》(1995),《섬Ⅱ》(1998),《외출》(2000),《중독》(2001),《난Ⅰ》(2002), 《난Ⅱ》(2003),《푸른 섬》(2006), 그리고《의심》(2008)이 그것이다. 그동안 그가 십여 회 남짓한 전시를 거듭하면서 펼쳐온 이야기에 대해 간단하게나마 언급을 하려는 것은 이번 전시의 주제를 보다 잘 이해 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리라는 믿음과 그가 구사하는 일련의 독특한 그리기 방식(인두질, 다양한 재 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채색기법)에 비해, 작품의 주제가 상대적으로 다뤄지지 못했던 아쉬움을 조금 이나마 해소해보고자 함이다. 그에게‘그림’은 세상 속에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나서는 긴 여정을 비추는 거울과도 같다. 자신의 작 1. <섬-풍경 Ⅰ>, 1995
업실을 소재로 한 개인전《섬》은 세상으로부터 유리된 존재로서의 자신을 하나의 섬으로 상정하고, 그 안에 갇혀 있는 상황설정을 그려냄으로써 세상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이고 자의적으로 해석해나갔 다.(도판1) 이것은 세상, 구체적으로 미술계의 상황 속에‘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객관적인 성찰과 탐구 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이어서 열린 개인전《외출》에서 그는 세상으로부터 고립된 생활을 멈추고 다시 소통의 발로를 찾기 위해 작업실 밖으로 외출을 떠난다. 또한《외출》은 이와 같은 주제상의 변화뿐만 아니라 조형적인 측면 에서도 변화를 가져왔는데, 이전의 작업에서 보는 이의 이목을 끌었던 인두질 기법에서 탈피하여, 물감
2. <푸른 지붕 122199>, 1999
을 칠하면서 견고하고 밀도 높은 화면의 완성도를 유지해 내는 채색기법을 터득해내기도 했다. 이 시기 의 작품에서는 탈출구가 없는 섬의 이미지가 사라지고 공간과 공간 사이를 비집고 나오는 형체가 등장 하거나(도판2), 세상의 빛을 처음 본 신생아에서 영감을 얻은 도상들이(도판3) 그가 선택한‘세상으로 의 외출’을 암시했다. 세상으로부터의 고립에서 소통을 위한 외출에 이어서, 그는‘세상에 대한 탐색’을 시작한다.《중독》, 《난》,《푸른 섬》이라는 주제로 열렸던 개인전이 이와 같은 과정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세상으로의 외
3. <열매 Ⅰ 105000>, 2000
6
출을 통해 작가가 경험한 세상은 인간과 인간 사이에 이뤄지는 다양한 관계에의 중독으로 얼룩진 모습
을 하고 있었다. 일단 작가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사랑, 불신과 복수 등 인간 간의 미묘한 감정의 관계를 탐색해 나가는 과정을‘중독’이라는 주제 아래 보여주었고(도판4), 개개인 간의 사적인 감정관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심리적인 상황들을 보다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상황에서 탐색하는 과정의 일환으로서 수많은 익명의 인물들이 그림 속에 떼를 지어 등장하는 모습을《난》에서 표현했다면(도판 5),《푸른 섬》은 그가 바라본 세상의 모습을 결론짓는 단계와도 같다. 바로 그가 오랜 기간의 침묵과 탐 색을 통해 바라본 세상은‘독(毒, 전시제목의‘푸른’이 상징하는 의미 중 하나)’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 는 것이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철저한 관찰자의 입장을 취하며, 거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세상의 모 습을 운동회, 바다, 명화를 모티프로 하여 압축적으로 담아냈다. 이 시기의 작품들을 보면 적어도 양대 4. <중독-사랑 028000>, 2000
원의 눈에 비친 세상의 모습은 그리 호락호락해 보이지는 않은 것 같다. 모든 것이 경쟁으로 가득 찬 운 동회에서(도판6), 모든 것을 삼켜버릴 듯이 파도가 휘몰아치는 푸른 바다(도판7), 권력에 의해 자연스럽 게 구축되는 인간들의 연합체, 사람들의 무관심에 의해 잊혀져버린 개인의 죽음까지 일정한 거리를 두 고 바라본 세상의 모습들을 담았다. 이와 같은 일련의 주제의 심화과정을 거쳐 지금의 시기에 도달한 것이 바로《의심》이다.
탐색의 끝에서 사유를 그리다 의심. 양대원이 세상에 대한 탐색을 마치고 선택한 것은 바로 세상에 대한 의심이다. 세상을 관망하 5. <난-란(蘭) 012110>, 2001
는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는 한 인간으로서 세상을 끌어안고 그 안에서 적극 적으로 사유하기 시작한 것이다. 의심은 이러한 사유의 한 형태를 반영한다. 그러면《푸른 섬》에서‘세 상은 독과 같다’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 작가가 던지는 질문은 무엇일까? 바로 그러한 세상 속에서, 그 모습을 이미 깨달은 상황에서‘과연 나는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과연 내가 바라보고 있는 나의 모
6. <푸른 운동회Ⅰ 911130>, 2003 <푸른 운동회Ⅱ 031130>, 2003
습, 나를 둘러싼 사람들의 모습은 진실일까?’,‘내가 보고 있는 이 상황, 내 곁에 있는 모든 것이 과연 진 실일까?’에 대한 질문들을 던지며, 이른바‘세상에 대한 사유’를 화폭에 담아내기 시작한다. 사실 의심은 양대원의 초기 작품에서도 가장 기초적인 사유의 한 형태로 자리하고 있었다. 정체성을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도‘화가로서의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하여,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한 탐색을 펼쳐나간 과정의 근간에도 결국 이미 그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세상)에 대한 의심은 시작
7. <푸른 계단 101150>, 2005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나’를 알고‘사회’를 알아가는 단계를 거쳐,‘사회 속의 나’를 찾아가는 단계로 심화되고 구체화 되면서 정반합으로 이어지는 사유의 과정이야말로 진정한 시대의 초상을 그려 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은가.
의심의 상황들 이러한 맥락을 배경으로 양대원은 관찰자의 눈으로 거리를 두고 세상을 바라봤던 이전의 거시적인 관점에서‘사회 속의 나’로서 세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그려내기 위해 미시적인 관점으로의 전환을 모색한다. 이때‘의심’은 세상과의 거리를 좁혀 인간 본연의 심리와 속성에 대해 알아갈 수 있는 구체 적인 상황 설정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가 그려내는 의심의 상황은 대부분 사회 안에서 다수의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 이뤄지는 것들이다. 이러한 다양한 인간관계는 이것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관습 이나 도덕, 규범과 같은 사회 구조 속의 체계, 즉 제도를 만들어내게 되는데, 이것이 곧 의심의 대상이
7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작품 <의심-눈물Ⅷ(찬성) 205080>(도판8)은 대선투표에서 사람들이 일렬로 줄 을 서 있는 풍경을 모티프로 한 작품이다. 동그랗게 줄지어 서있는 인물의 모습은 찬성의 표시(○)를 나 타낸 것인데, 그 사이로 고개를 돌려 눈물을 흘리는 한 인물이 작가의 분신처럼 그려져 있다. 한 나라의 국민으로서 권리를 행사하는 투표의 순간에도 속내를 감추고 침묵하면서 그것에 어쩔 수 없이 응해야 만 하는 미묘한 인간심리가 반영되어 있는 상황을 표현한 것이다. 8. <의심-눈물Ⅷ(찬성) 205080>, 2008
한편 의심의 상황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이번 전시에서 발표된 작품들에서 공통된 모티프는 화면 속 에 공간구획의 큰 축을 형성하고 있는 푸른 벽과 붉은 벽이다. 이것은 사회가 요구하는 통념의 벽, 완벽 한 모습을 가장한 사회의 제도를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상징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의 <최후의 만찬>의 구도를 이용한 작품 <의심-붉은 벽Ⅵ 036080>(도판9)을 살펴보자. 익명의 사람이
9. <의심-붉은 벽Ⅵ 036080>, 2008
면서 동시에 작가 자신을 의미하는 동글인이 사회가 강요하는 제도와 시선들로 만들어진 높고 견고한 붉은 벽을 탈출하는 것처럼 묘사되어 있다. 하지만 달아나는 인물의 표정을 보면, 사회의 제도와 통념 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이를 철저하게 외면하지 못하고 아쉬움에 뒤돌아보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 다. 탈출을 시도했지만 앞으로 세상으로부터 고립될 상황과 또 다시 언젠가는 그곳으로 되돌아 가야할 상황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로 인해 완벽하게 벗어날 수 없는 인간의 모습을 담아낸 것이다. <의심-붉은 벽Ⅱ 425080>은 완고한 제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완벽한 순간을 맞이했으나, 이로부터 결국 벗어나지 못하고 붉은 벽의 경계에서 매달린 채 고민하고 있는 진퇴양난의 상황을 연출한 작품이다. 세로 구성의 화면을 선택하여 절박한 상황에 처한 인간의 심리를 긴장감 있게 표현해내고 있다.
10. <의심-숲Ⅰ 038070>, 2007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제도 역시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이기 때문에, 결국 의심의 대상은 사회에서 다 시 개인으로 귀결되며, 서로가 서로를 의심하는 상황, 심지어 가족을 비롯하여 끝에는 자신이 자신 스 스로를 의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치닫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은 자신과 아내, 아들의 모 습을 상징화하여 그려낸 작품 <의심-가족 620170>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본인 스스로를 의심하는 상 황을 자화상으로 담은 <의심-붉은 벽Ⅲ 016080>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또 하나의 모티프로 등장하는 것은 산세베리아의 형태를 연상시키는 녹색의 숲이다. 작가는 사회가 요구하는 제도가 그 스스로가 너무 견고해진 탓에, 대부분의 인간은 삶의 가치와 목적을 잊고 자신의 의지와 소신을 좀처럼 시원하게 펼쳐볼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해있다고 말한다. 여기서 숲은 작품 <의심숲Ⅰ 038070>(도판10)에서 보듯이 은신처와 은둔처로서의 의미를 지니는 중요한 장소다. 동글인은 진 실성의 위기에 직면한 사회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숲으로 몸을 숨겼고, 이것은 의심이라는 심리적인 상 황을 대변하고 있다. 과거에 작업실을 모티프로 한‘섬’이 작가 자신이면서, 세상과 고립된 지극히 개 인적인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지녔다면,‘숲’은 마치 자신의 속내를 감추는 가면처럼 세상의 부조리함 과 거짓으로부터 당당하지 못한 채 겨우 속내를 털어놓을 수 있는 심리적 안식처, 피난처 내지는 자기 정당화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의심의 메타포 의심의 상황 외에도 화면 곳곳에서 의심을 상징하는 다양한 표현들을 만나볼 수 있다. 먼저‘눈물’은 의심이라는 사유의 한 형태를 가장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감정 표현의 한 방식이다. 그것도 주룩주 룩 흘러내리는 눈물보다 두 볼로 금방이라도 흘러내릴 것 같이 눈가에 고여 있는 눈물방울로 묘사되어
8
있다. 이것은 슬픔의 의미를 보다 강하게 전달한다. 면실로 눈물을 표현했던 과거의 시도(도판11)가 이 제는 양대원식 조형언어로서 변화하여 동글동글한 조형표현(도판12)으로 자리하게 된 결과이다. 여기 서 눈물을 흘리고 있는 장면이 곧 의심하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 눈물은 의심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면서 파악한 인간의 속성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세상을 살다보면 때로는 우리가 알고 있는 사회의 모습이 거짓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세상과 타협할 때가 있다. 그 사실을 알면서도 자 11. <눈물Ⅰ401099>, 1999
신의 속내를 감춘 채, 고개를 돌려 어쩔 수 없이 눈물을 글썽이다가 억지로 삼켜야만 하는 인간의 모습 을 그려내고자 한 것이다. 이전까지는 진실을 감추고 속내를 남에게 들키지 않기 위한 위장의 도구로 가면을 그려왔다면, 가면을 쓰고 있지만 눈물을 흘리고 있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연출하여 감정을 표현 함으로써 내면의 심리에 대한 궁금증을 한층 더 강화시키고 있다. 세상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사유(의심)하기 위해 선택한 두 번째 방법은 인물에 대한 클로즈업이다. 마치 사진기의 줌인(Zoom-in)을 이용한 것처럼 의심을 하고 있는 인물의 표정을 화면에 꽉 들어차있게 표현한다. 무엇이 진실인지 알기 위해서는 보다 가까이에서 인물의 감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 러한 의미에서 택한 화면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의심-눈물Ⅴ 312080>, <의심-눈물Ⅵ 222080>, <의심눈물Ⅶ 013080>이 이와 같은 시도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지난 개인전에서 명화의 구도를
12. <의심-눈물Ⅴ 312080>, 2008
차용한 공간의 표현도 강해졌다. 작가는 <푸른 만찬(의심) 135060>(도판13)에서 선 원근법을 사용하면 서 공간감을 극대화시켜 그림 속의 상황을 연출하고 공간의 깊이를 연구한 작품을 선보였다. 이전까지 의 그림이 마치 건축의 평면도처럼 인물의 묘사와 색채의 배합에 중점을 두었다고 한다면, 이러한 시도 는 비록 미묘하지만 양대원만의 간결한 화면 구성 방식에 변화를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제한된 화 면 안의 공간을 확장하는 동시에 주제의 전달력을 한층 강화하는 요소가 된다. 그런 면에서 <의심-눈물 Ⅶ(푸른 벽) 623080>(도판14)은 벽의 크기와 인물의 앞뒤 배치를 통해 의심의 상황에 극적인 긴장감을 부여하기도 하며, 이것은 <의심-붉은 벽Ⅴ 036080>(도판15)에서 극에 달한다. 동글인들이 서로에 대해
13. <푸른 만찬(의심) 135060>, 2006
경계를 늦추지 않으면서 이리저리 피하거나 뛰어다니고 있는 모습을 앞과 뒤의 거리감을 주어 과감하게 표현함으로써 화면 안에 긴박한 상황을 최대한 이끌어내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시된 작품 모두 붉은 색의 배경이 대거 등장하고, 이와 함께 강렬한 색채 간의 대비가 두드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등장인물을 부각시키면서 의심의 상황과 인물의 행동에 더욱 집중 할 수 있는 극적인 상황 연출하며, 형식과 주제의 측면에 있어서 과거와 현재의 회화를 구분한다. 또한 세상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사유하고자 하는 작가적 의지의 표현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하는 동시에
14. <의심-눈물Ⅶ(푸른 벽) 623080>, 2008
주제의 통일성을 유지시켜준다. 이처럼 양대원은 진실성이 결여된 독과 같은 세상의 끝에서 세상과 타협하면서 자신의 진짜 모습을 숨기고 슬픔에 잠겨야 하는 인간의 속성을 네 가지 형태(‘의심-눈물’,‘의심-숲’,‘의심-푸른 벽’,‘의 심-붉은 벽’)의 의심으로 담았다. 그동안 그는 순수한 회화를 통해 자신의 주제의식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누구보다도 부단히 노력해왔다. 늘 자신의 주제의식과 조형성의 관계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작품을 그리는 것을 목표로 해왔다는 것이다. 작가 옆에서 작품의 변모과정을 지켜본 입장에서 보 자면, 오랜 시간 동안 그는 회화에 매진하면서 주제의 심화과정을 거쳐 결국 주제에 맞는 조형적 표현
15. <의심-붉은 벽Ⅴ 036080>, 2008
에의 자유로움을 얻은 것처럼 보인다. 그의 그림을 말할 때 항상 빼놓지 않고 다뤄지는 동글인에 대한
9
의미탐구, 빈틈없이 치밀한 구성력, 그림의 표면에서 느껴지는 밀도감보다는 앞으로 그가 풀어나갈 주 제들이 궁금해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양대원의 회화가 동시대 작가들의 그것과 차별화 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주제, 구성, 기법이라는 회 화적 요소가 적절하게 어우러져 있어서 작품의 뚜렷한 정체성을 형성한다는 점이다. 작가로서의 실존 적인 측면이 사회를 소재로 한 작품의 주제의식과 굉장히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서 작품에 대한 심리 학적, 사회학적 고찰을 가능하게 하는 점, 추상회화의 단순하고 상징적인 표현을 유지하면서도 개성강 한 인물상을 창조하여 형상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 회화의 평면성을 유지하면서도 물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독특한 기법을 구사해내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것은 곧 작품에 대한 다각적인 해석을 가 능하게 한다는 장점으로 이어진다. 즉 양대원의 회화는 동시대 미술에 대한 해석의 즐거움을 안겨준다. 그의 회화는 매너리즘에 빠진 기법위주의 회화로 전락하거나, 주체의식이 결여된 채 특정 국가의 회화 적 추세에 편승하여 나아갈 길을 찾지 못하는 위험에 빠져 있는 요즘의 회화적 동향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주제와 표현에 대한 철저한 인고의 과정을 거쳐 자신만의 어법을 확실하게 확립하여 구사하는 단 계에 올라, 이제는 여기에 시대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담아내는 여유가 생긴 것이다. 시대의 흐름을 철저한 작가적 시각을 유지하여 바라보고, 이것을 조형방식으로 담아내고 해석해내는 것이야 말로 시대정신이 살아있는 미술, 동시대 미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란 묵묵히 시간의 변화에 순응하면서 점차 두터워지는 경험의 층위를 통해 보이는 세상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담아내는 사람이라는 말에 동의한다면, 양대원이야말로 가장 부지런하고 성실하게 이 과정을 밟아 나가고 있는 작가 중의 한 사람일 것이다. 그는 그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하면서 언젠가는 개인전을 개최 했던 주제를 한 데 엮어 자신의 작품과 함께 책을 만들어보고 싶다고 이야기 한 적이 있다. 그 책이 완성 될 즈음엔 작가가 살아온 세월만큼의 세상 모습을 하나의 스펙트럼처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상상을 해 본다. 그 자체가 작가의 정체성과 존재감을 고스란히 담아낸 결과물이 아닐까. 끝으로‘의심’이라는 주제는 당분간 작가의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을 것 같다. 그에게는 조용히 숨을 죽인 채, 눈에 고인 눈물을 하는 수 없이 마음으로 삼키면서 살아갈 세상이 아직까지 길고도 멀게만 느 껴질 것이기 때문이다.
10
Looking at a red wall from the forest of tears Hwang, Jung-In (Curator, Savina Art Museum)
Yang, Dae-Won incorporates the features of people’s way of living in the world with his unique round man figures(called Dongulin) and an intense primary color contrast in the manner of simplicity and symbolism. In this exhibition all of the works, which he created over the last two year, have red. Different from the composition of the characters presented in previous solo exhibitions, in this exhibition his composition format also changed from his earlier style, which was omniscient and contemplative. Such omnipotent perspective has transformed into an overwhelming composition: now the large canvases are filled with human faces overwhelming the audience. Above all other changes, Dongulin, who used to wear a mask and military uniforms, a symbol of power and authority, hiding his true intention and keeping a bright lookout on strangers, is described as a teary figure. What brought all these changes to the artist’s twelfth solo exhibition? What does it mean to the artist?
Isolation from the world, going out to the world, quest for the world and speculation about the world Yang has been suggesting vey personal and implicit exhibition themes with brief words since his solo exhibition in 1995. The following are the exhibition titles:《Island I》(1995),《Island II》(1998),《Excursion》(2000),《Addiction》(2001), 《Nan I》(2002)(‘Nan’has multiple meanings as orchid, subject I, a disturbance and adjective form of flying),《Nan II》 (2003),《Blue Island》(2006), and《Doubt》(2008). The reason I am bringing up this brief story of his past exhibitions at this point is because I believe that it can suggest a crucial clue for reading this exhibition theme better. Plus when his unique drawing methods such as using ironing and mixed media coloring techniques have always been discussed by many people, the stories behind the images have been relatively overlooked, so by discussing it here, I think that we can finally put away such inconvenience caused by such one sided reading of his work. To him,‘painting’is like a mirror reflecting a long journey of his search for his identity in the world. In《Island》, a solo exhibition about his own studio, he considered himself an island isolated from the outside world, and depicted the isolated circumstances of the island. Further, he made his own very personal interpretation about the world on the canvas. This is indeed a very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the beginning of objective introspection, more precisely i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art world. And also, in the following solo exhibition,《Excursion》, he brought his isolation from the world to a stop and departed for the outside world. He finally began to search for a communication. This exhibition brought a change not only to the thematic approach but also to the formative aspect in his work. For instance, breaking from the ironing technique, which has drawn lots of attention from the audience, here he discovered a unique coloring technique that strengthened solidity and density in the picture. In his works around this time period, the images of the isolated island disappear. Instead there appear some images coming out of a gap between two spaces or icons that are inspired by new born babies who just saw light of the world for the first time in his pictures. All of these images imply his choice to come out to the world. From the isolation from the world to the outing for communication, he finally begins his search of the world. His past
11
solo exhibitions including《Addiction》,《Nan》,《Blue Island》stay in line with this process. The world the artist observed, after his time of isolation is one where people are poisoned by their obsessive or addictive relations to one another. At first, under the theme of addiction, the artist suggested the process of his study of delicate relationships of feelings between people such as love, disbelief and revenge from a neutral stance. Furthermore, as a part of the process of his study of psychological states in more objective and universal circumstances, he depicted scenes of a large number of anonymous crowds in《Nan》. And in that way,《Blue Island》is like a phase of conclusion of his view of the world. In other words, the world he has silently observed for a long time is described like a poison(the color blue is meant to signify poison). His works in this period employ a broad perspective, utilizing images from various motifs including athletic meets, the ocean, masterpiece paintings. When looking at the works in this period, the world represented by Yang at least does not look so easily manageable. From an athletic meeting filled with competitiveness or surging the blue ocean that seems like it is swallowing up everything to all different kinds of human alliance spontaneously constructed by power or the death of an individual forgotten by people’s apathy, Yang conveyed images of the world from a certain distance. And by that deepening process of themes, the《Doubt》series was born.
Drawing speculation at the end of the quest Doubt. What Yang, Dae-Won chose after his search for the world was indeed a doubt about the world. Escaping from passive stance, he started to embrace the world as an individual responding to various circumstances and to actively speculate in it. In this way, the《Doubt》series reflects a form of speculation. Then what is the question of the artist who reached a conclusion in《Blue Island》that the world is like poison? In such a world, according to his understanding of it, he throws questions such as“How have I been living?”,“Are the images of the people around me and myself true?”,“Are the circumstances and things around me also true?”, and begins to speculate about the world through his pictures. In fact, doubt appeared even in his earlier works as a fundamental part of their conceptual foundations. From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his own identity as an artist to the process of his recent examination of society that he is currently engaged in, after all his doubt toward society and the world around him seem to be there. Nevertheless, I would say that this speculative process depicts a real portrait in time by following the pattern of thesis-antithesissynthesis through the phases of seeking to know the self, then the society and finally entering a phase to question the position of the self in society.
Situations with doubts With such a context as a background, Yang gropes for conversion in his perspectives, from broad perspectives to microscopic perspectives, in order to incorporate his thoughts about the world as an individual in the society. And here a doubt works as a concrete condition to find out about human’s inborn psychology and attribute by narrowing the distance to the world. Most of doubtful situations he describes are made in the relationships with a lot of people in the society. Such diverse human relationships create systems of social structure such as customs, ethics and rules to sustain the relationships, and that becomes an interest of a doubt. For instance, in <Doubt-Tears VIII(Approval) 205080>, there
12
are people lining up at a presidential election vote, and amongst the crowd in‘○’shape line that implies the group’s approval of the candidate, one round man is turning his head toward back crying. This man is depicted as his alter ego: it is an expression of a situation reflecting subtle human psychology that one imperatively responds to the situation hiding his own thoughts. In the meantime, for expressing situations with doubts, blue and red walls that construct a major pivot for a space division of the pictures are chosen as common motifs in this exhibition. This is a symbolism of a social system in disguise of perfection, common ideas required by society in the very fundamental form. In <Doubt-Red Wall I 715080>, a work that borrowed the structure of Leonardo Da Vinci’s <Last Supper>, Dongulin, an anonymous individual and at the same time a figure signifying the artist himself, is escaping a high and solid red wall made of systems and gazes enforced by the society. However, the look of the escaping figure is depicted as a figure that is still not able to thoroughly turn away from the social systems and common ideas. It is an image of an individual who attempted an escape from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is afraid of total isolation from it, plus fear of a situation that might turn him back to the society someday: it is an image of a person who cannot be totally free from society. <Doubt-Red Wall II 425080> implicates a fix of a man in agony hanging a barrier in red wall. By choosing a vertical composition, the artist is describing a psychology of a human who is in an imminent situation of tension. An interesting thing is because such a system is also created by humans, the interest of doubt after all becomes an individual from the society, and that creates a situation to doubt each other, furthermore family members and eventually it becomes a situation where one doubts himself. This kind of content is represented in <Doubt-Family 620170>, where he painted the symbols of himself and his wife and son. And in <Doubt-Red Wall III 016080>, we can find a self portrait of Yang depicting a situation of doubting himself. Another motif appears in this exhibition is a forest image that reminds of Sansevieria leaves. The artist says that the system society requires has become too solid, most people are forgetting about the value and purpose of life and are facing a difficult situation that restrains them from realizing their purposes and beliefs. Here the forest becomes an important place as a hideaway as seen in <Doubt-Forest I 038070>. Dongulin hid himself in the forest in order to get away from a society that faces a crisis of truth, and that speaks for a psychological state called doubt. If the island that he made a work with is a motif of his studio it he himself and has a connotation as a very isolated personal space, the forest seems to signify a psychological resting place where he can barely become confidential with while still running away from irregularities, a mask that he wears to hide his real feelings. In a way, it is a self-justification.
Metaphors of doubt Not only from‘Situations with Doubts’, can we find lots of other connotations of doubt in his pictures. At first, a tear is the most intensive way of emotional expression to show a form of doubt. And here the tears are represented as teary eyes than falling tears on cheeks. This delivers the meaning of sadness much more firmly in a sense. In the past, Yang expressed tears with cotton threads on the canvas, and now that became a unique formative expression in round shapes of Yang’s art. Yet, the teary eyes don’t just indicate the doubtful state of the characters. It is rather a
13
metaphorical expression about people’s attributes, which he found through doubt. Sometimes there are times when we compromise with society, although we know that the exterior of society is actually falsity. That is what the artist is trying to portray: the image of a human who has to turn his head and swallow his tears while hiding his real mind. When the previous images were just wearing masks in order to hide their minds, here the images are represented with teary eyes in masks, which in the end fortify our curiosity about the inner psychological state of the person behind the mask. In addition to that, his figures are displayed as close-up images, which show the artist’s active intention to speculate the world in details. As if it was taken by zoom-in function of a camera, the doubting figure’s face is filled up in the picture. To speculate about the hidden truth, grasping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became very crucial, and for that reason, probably close-up composition must have been chosen. <Doubt-Tears V 312080>, <Doubt-Tears VI 222080>, <Doubt-Tears VII 013080> are the examples that display such an intention of the artist. On top of that, the special expression that he appropriated from the compositions of masterpiece paintings in his last solo exhibition became much stronger. In <Blue Last Supper(Doubt) 135060>, the artist applied linear perspectives. And the maximized special sense produced the situation in the picture, and by doing so he could achieve a special depth in the work. When previous pictures were focused on the depiction of the figures and composition of colors just like an architectural floor plan, this kind of attempt becomes a strengthening factor for the conveyance of theme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he space inside the picture. Moreover, although it is quite subtle, these works take an important role for bringing a change to the simple composition method of Yang. In that sense, <Doubt-Tears VII(Blue Wall) 623080> shows a dramatic tension by suggesting a diagonal blue wall with a figure facing back to back, and this kind of tension culminated in <Doubt-Red Wall V 036080>. In the picture, the Dongulins are hiding or running around while still not letting down their own guard. Such a scene is composed in a manner of linear perspectives: the bold express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the back figures draws the impending state inside the picture to the fullest. Lastly we can see that all the exhibited works have red backgrounds, and with this they render very strong contrast in color combination. This gives salience to the figures in the works, and gives theatricality to the actions of the figures. And when considering that from the formal and thematic aspects, it distinguished his current styles from that of the past. It also supports the artist’s intention to contemplate about the world more actively, and moreover maintains the unity of the exhibition theme. In this way, Yang tried to incorporate an image of a human attribute that he has to compromise with a poison like world, which lacks its truth. Here he depicted it as a doubt in four different forms such as‘Doubt-tears’,‘Doubtforest’,‘Doubt-blue wall’,‘Doubt-red wall’. The artist has been working so hard to transfer his themes to the audience through his genuine paintings. In other words, he has been focusing to make art work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his themes and formativeness. As a person who has witnessed the changes in his works, it seems as though he finally acquired a freedom of formative expression suited to his theme by pushing himself in painting and deepening his thematic approaches. That is probably why I get more interested in the themes that he will be dealing with next time, rather than the meaning of Dongulin, cautious composition, density of the surface of the pictures, which are most popularly discussed aspects about his works so far.
14
The distinguished difference between Yang and other artists of his time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his works form a clear identity with a pertinent combination of all the factors of paintings such as theme, composition and techniques. There are three points that support it: First, the artist’s existential aspect influenced the theme of a work on the society, which enables the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consideration about the work, and secondly by creating a figure with strong personality called Dongulin(round man), his work has formality, maintaining the simple and symbolic expression of abstract painting, and at last, he accomplished a unique technique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materials while maintaining the two dimensional aspect of painting. Such aspects continue to a merit that they enable multi perspective readings about the work. That is to say that Yang, Dae-Won’s painting gives a pleasure of reading about contemporary art. Certainly his painting is far from those who just fell into mannerism and become technical paintings, or those who just mimic certain countries’art trend without any sense of sovereignty, and in this way, his work should be seen as very distinct from the problematic tendencies in recent painting. After accomplishing his own firm artistic language through thorough endurance, he now acquired contemplative space to convey stories about the times. Indeed, true contemporary art that contains the spirit of the times can be born when the artist reflects his perspectives about the current of time and puts it into his work in formative method and define it. If you can agree with the definition of the artist as a person who silently goes with the changes of time, and naturally incorporates the images of the world as seen in the layers of his own experiences, Yang, Dae-Won is probably one of the most hardworking and sincere artists. Once he mentioned that someday he would like to make a book with his work about the themes that he has been dealing with in his solo exhibitions. When the book is about to be finished, we might be able to see the images of the world that reflects the full spectrum of the artist’s life. Wouldn’t the result be just something that reflects the artist’s identity and existence? In the end, the theme of‘Doubt’doesn’t look as though it is going to leave the artist’s mind for a while, because the world that he will continue to live with in silent tears will remain far from him.
15
눈물의 숲에서 붉은 벽을 바라보다 Looking at a red wall from the forest of tears
의심-붉은 벽 Ⅲ 016080/Doubt-Red Wall Ⅲ 016080 150×130cm 2008
18
19
의심-눈물 Ⅴ 312080/Doubt-Tears Ⅴ 312080 213×150cm 2008
20
21
22의심-눈물 Ⅵ 222080/Doubt-Tears Ⅵ 222080 171×150cm 2008
의심-눈물 Ⅶ 013080/Doubt-Tears Ⅶ 013080 171×150cm 200823
의심-눈물 Ⅲ 711080/Doubt-Tears Ⅲ 711080 150×150cm 2008
24
25
의심-눈물 Ⅱ 132170/Doubt-Tears Ⅱ 132170 150×106cm 2007
26
27
의심-숲 Ⅰ 038070/Doubt-Forest Ⅰ 038070 150×130cm 2007
28
29
의심-가족 620170/Doubt-Family 620170 200×150cm 2007
30
31
의심-푸른 벽 Ⅰ 111170/Doubt-Blue Wall Ⅰ 111170 180×150cm 2007
32
33
34의심-눈물 Ⅶ(푸른 벽) 623080/Doubt-Tears VII(Blue Wall) 623080 193×210cm 2008
의심-푸른 기둥 708070/Doubt-Blue Column 708070 205×193cm 200735
의심-붉은 벽 Ⅴ 036080/Doubt-Red Wall Ⅴ 036080 172×150cm 2008
36
37
의심-눈물 Ⅷ(찬성) 205080/Doubt-Tears VIII(Approval) 205080 192×192cm 2008
38
39
의심-붉은 벽 Ⅵ 036080/Doubt-Red Wall Ⅵ 036080 46×140cm 2008
40
41
의심-붉은 벽 Ⅰ 715080/Doubt-Red Wall Ⅰ 715080 63.5×191.5cm 2008
42
43
의심-붉은 벽 Ⅱ 425080/Doubt-Red Wall Ⅱ 425080 150×70cm 2008
44
45
양 대 원|梁 大 原 1966
경기도 양평 출생
학력 1996
세종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서양화전공) 졸업
1993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졸업
개인전 2008
제 12회 개인전‘의심’(사비나미술관, 서울)
2007
제 11회 개인전‘제 1회 인사미술제’(동산방 화랑, 서울)
2006
제 10회 개인전‘푸른 섬’(사비나미술관, 서울 / 가일미술관, 경기도 가평)
2004
제 9회 개인전‘양대원’(가갤러리, 서울)
2003
제 8회 개인전‘난 II’(사비나미술관, 서울)
2002
제 7회 개인전‘난I’(타이페이 국제예술촌, 대만)
2001
제 6회 개인전‘중독’(갤러리 사비나, 서울)
2000
제 5회 개인전‘외출’(금호미술관, 서울)
1998
제 4회 개인전‘섬II’(동아갤러리, 서울)
1995
제 3회 개인전‘섬I’(청남아트갤러리, 서울)
1993
제 2회 개인전‘그림일기’(제3갤러리, 서울)
1991
제 1회 개인전‘새’(세종대학교 과학관 106호, 서울)
그 외 다수의 기획전 참가. 수상 2005
제 24회 대한민국미술대전(비구상부문) 제 27회 중앙미술대전 선정작가
2004
제 4회 송은미술대상전 - 미술상(송은문화재단)
1996
제 3회 공산미술제 - 우수상(동아그룹)
레지던시 2002
경기문화재단 공모, 타이페이 국제예술촌 ‘Taipei Artist Village’Residence Program참가(2002. 6. 20 - 9. 20)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문화재단, 송은문화재단, 금호미술관, 사비나미술관, 동아갤러리, 동산방 화랑, 아라리오 갤러리, (주)림스코 김태식 등. 강의경력 2008 - 현재
46
성신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강사
2007 - 현재
성균관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강사
2005 - 현재
용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강사
2006 - 2007
성신여자 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강사 역임
2004
용인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강사 역임
2001 - 2003
세종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강사 역임
Yang, Dae-Won 1966
Born in Yangpyeong, Gyeonggi-do, Korea
Education 1996
M.F.A. Graduate School of Fine Arts(Painting), Sejong Univ.
1993
B.F.A. College of Natural Sciences(Chemistry), Sejong Univ.
Solo Exhibitions 2008
The 12th solo exhibition 'Doubt'(Savina Art Museum, Seoul)
2007
The 11th solo exhibition 'Insa Art Fair 2007'(Dongsanbang Gallery, Seoul)
2006
The 10th solo exhibition 'Blue Island'(Savina Art Museum, Seoul/ Gail Art Museum, Gapyeong, Gyeonggi-do)
2004
The 9th solo exhibition 'Yang, Dae-Won'(Ga Gallery. Seoul)
2003
The 8th solo exhibition 'Nan II'(Savina Art Museum, Seoul)
2002
The 7th solo exhibition 'Nan I'(Taipei Artist Village, Taiwan)
2001
The 6th solo exhibition 'Addiction'(Gallery Savina, Seoul)
2000
The 5th solo exhibition 'Excursion'(Kumho Art Museum, Seoul)
1998
The 4th solo exhibition 'Island II'(Dongah Gallery, Seoul)
1995
The 3rd solo exhibition 'Island I'(Cheongnam Art Gallery, Seoul)
1993
The 2nd solo exhibition 'Picture diary'(The 3rd Gallery, Seoul)
1991
The 1st solo exhibition 'Birds'(#106 Science Hall at Sejong Univ., Seoul)
and also participated in many group exhibitions. Awards 2005
Award in the 24th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Non-representational Part) Award in the 27th Joongang Fine Arts Prize
1996
Award in the 3rd Gongsan Art Fair(Dongah Group)
2004
Award in the 4th Songeun Fine Arts Prize(Songeun Arts & Cultural Foundation)
Residency 2002 ‘Taipei Artist Village’Residence Program(Gyeonggi Cultural Foundation) Collections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Songeun Arts & Cultural Foundation, Kumho Art Museum, Savina Art Museum, Dongah Gallery, Dongsanbang Gallery, Arario Gallery, Limsco Inc. Kim Taesik, etc. Lecture Career 2008 - the present
College of Fine Arts(Oriental Painting), Sungshin Women's Univ.
2007 - the present
College of Fine Arts(Western Painting), Sungkyunkwan Univ.
2005 - the present
College of Fine Arts(Painting), Yongin Univ.
2006 - 2007
College of Fine Arts(Sculpture), Sungshin Women's Univ.
2004
Graduate School of Fine Arts(Painting), Yongin Univ.
2001 - 2003
College of Fine Arts(Painting), Sejong Univ.
47
의 양
심 대
원
2008. 10. 22 - 11. 16 사비나미술관 Art Vitamin
사비나미술관 전시총괄|이명옥(관장) 진 행|황정인(책임큐레이터) 진행보조|우선미(큐레이터), 박노춘(테크니션), 박원표(인턴) 홍 보|박민영(홍보매니저) 교 육|윤희은(에듀케이터), 조영은(미술품 전문해설사) 도 록 발행처|사비나미술관 발행인|이명옥 편집인|황정인 촬 영|박홍순 번 역|임성연 디자인|KC Communications 등 록|1996. 1. 20 제 1-1971호 양대원의 작품은 광목천 위에 한지, 아교, 아크릴 물감, 토분, 커피, 올리브유로 제작되었습니다. ⓒ 2008 본 도록에 실린 글과 그림은 사비나미술관의 동의 없이 무단전재 및 복제할 수 없습니다.
Doubt Yang, Dae-Won 2008. 10. 22 - 11. 16
Savina Art Museum Art Vitamin
Savina Art Museum Directed by Savina Lee(Director of Savina Art Museum) Curated by Hwang, Jung-In(Chief Curator of Savina Art Museum) with assistance of Woo, Sun-Mi(Curator), Park, Noh-Choon(Technician), Park, Won-Pyo(Intern) Public relations by Park, Min-Young(PR Manager) Educations by Yoon, Hee-Eun(Educator), Cho, Young-Eun(Docent) Catalogue Publishing Office Savina Art Museum Published by Savina Lee Edited by Hwang, Jung-In Photographs by Park, Hong-Soon Translations by Lim, Sung-Youn Design by KC Communications Registration # 1-1971, 1996. 1. 20 Painting materials are korean paper, glue, acrylic, soil, coffee and olive oil on cotton. ⓒ No part of this catalogue may be reproduced or utilized in any means without the written permission from Savina Art Museum Printed by KC Communications
본 전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2008년도 문예진흥기금 후원으로 이뤄집니다. Sponsored by Art Council Korea
3
2008
110-2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 159 TEL.02-736-4371 FAX.02-736-4372 #159, Anguk-dong, Jongno-gu, Seoul, 110-240, Korea www.savinamuseum.com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