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86] stl global weekly market report updated 160216

Page 1

February 2016 | STL GLOBAL Co., Ltd | Tel. +82-2-776-0840 | WWW.STLKOREA.COM

STL MARKET REPORT Weekly Focus No.86 Updated February 16, 2016

[Volume No.86]

Contents Market Overview

1

Issue & Trend

3

Bulk Carrier

9

- BC Sales Report Tankers

The STL Market Report covers major issues affecting the world S&P market and provides an outlook for the market developments. The report provides a detailed analysis of key developments impacting S&P market trends.

13

- Tanker & Container Sales Report Demolition

17

Key Indicators

21

Useful Information

23

Contact Information

24

** 본 자료는 각종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내, 외신 자료와 언론보도를 종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법적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Ⅰ. MARKET OVERVIEW 1. 신조선 시장동향 현대중공업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선박수주 계약에 성공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4 일 터키선사인 디타스쉬핑으로부터 158,000DWT 급 유조선 2 척을 수주하였으며, 수주선가는 척당 6,000~6,500 만 달러 수준으로 알려졌다. 현대중공업이 이번에 수주한 선박 건조는 현대삼호중공업이 맡아 2018 년 상반기에 인도할 계획이다. 업계 내에서는 디타스쉬핑이 이란에서 생산된 원유를 운반하기 위해 유조선을 발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란의 경제제재 해제가 조선업계에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이후에도 이란 선박 수주계약이 이어질 수 있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KYOEI TANKER CO.이 일본 JMU 조선소에 311,000DWT VLCC 1 척을 발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선박은 2018 년 상반기에 인도 예정이다. 한편 일본 MITSUBISHI 조선이 KINKAI YUSEN LOGISTICS 로부터 6,300 DWT RO-RO 선 2 척을 수주 받아 2018 년 상반기에 인도 예정이다. 컨테이너선 부문에서는 REEDEREI NORD 가 중국 AVIC WEIHAI 에 2,500TEU 컨테이너선 3 척 + 4 처(옵션)을 발주하였다. 이 건은 이미 작년 말에 계약되었으나 뒤늦게 알려진 것이다. 발주 확정 된 3 척은 2018 년 1/4 분기에 인도 예정이다.

2. 벌크선 시장동향

1 포인트 상승한 291P 로 마감하였고, 이번 주 들어서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춘절연휴가 끝나고

1

용선시장의 움직임이 살아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벌크선 시황의 개선 이라고 보기엔 너무

Ⅰ. MARKET OVERVIEW | PAGE No.

BDI 가 드디어 하락세를 멈추었다. 2016 년 들어서도 계속된 ‘최저치 갈아치우기’가 멈추고 2 월 12 일

낮은 수치이다.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상당수 극동국가에서 연휴를 보내는 동안 중고선 시장도 다소 둔화된 모습이 었다. 선가는 계속해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대형선의 경우 가파른 하락 곡선을 그리고 있다. "BULK SINGAPORE" (177,000 DWT 2005 NAMURA)가 1,000 만 달러에 매각되었다고 알려졌으나 선주측에서 최종적으로 선박매각을 철회하였다. 또한 캄사르막스 "EPSON TRADER" (82,000 DWT 2007 TSUNEISHI)의 경우 약 2 주간의 협상 끝에 매각이 결렬되었고 12MONTH T/C 를 내보낸 것으로 확인 되었다. 몇몇 바이어들이 자매선인 "EPSON TRADER II" (82,000 DWT 2009 TSUNEISHI)를 검선한 것으로 알려져 곧 매각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Ⅰ. MARKET OVERVIEW 3. 탱커선 시장동향 춘절연휴로 인해 성약소식은 많지 않지만 싱가폴의 ST SHIPPING 이 탱커선 4 척을 MAERSK TANKERS 에 일괄 매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프라막스 탱커선 부문에서 매각대상선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미 몇 건의 협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SELLER 와 BUYER 간이 선가차이가 큰 상황에서 과연 누가 먼저 고개를 숙이게 될지 알수 없다. "BM BONANZA" (105,000 DWT 2007 SUMITOMO) 및 "ISIS" (116,000 DWT 2007 UNIVERSAL)의 경우 매각 되었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최종 성약은 이루어 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4. 해체선 시장동향 연휴로 인해 해체선 매물의 공급이 줄어든 상태에서도 상당수의 선박들이 매각되었다. 올해 들어 벌써 21 척의 케이프, 39 척의 파나막스 벌크선이 매각되었다. 해체선 시장의 약세에도 불구하고 끝없는 해체선 공급으로 인해 해체거래량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매년 그래왔듯이 예산안 발표를 앞두고 불확실한 소문들이 무성하다. 해체선에 대해 수입관세가 5% 추가 인상 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만약 사실이라면 이는 해체선 시장에 큰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편, 수입철강재에 최저가격제를 도입한다는 소식도 있다. 우선 6 개월간 시행되는 이 제도를 통해 중국산 철강재의 유입이 제한된다면 내수시장이 안정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어찌되었든 지금으로선 섣부른 판단을 하기 보다는, 예산안 발표가 나올 때까지 조심스럽게 지켜보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

Ⅰ. MARKET OVERVIEW | PAGE No.

예산안 발표가 있는 2 월 29 일 이전인 선박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이다.

2

2 월 인도 해체선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중 하나는 정부의 예산안 발표이다. 선박인도 일정이


Ⅱ. ISSUE & TREND 1. 유가 폭락으로 유조선사들 현재 감속 운항중 육상에서 원유 공급 과잉이 계속 확대되는 가운데 세계 최대 석유 회사들이 유조선사에 원유 수송 속도를 늦춰줄 것을 요구했다고 유럽의 한 초대형 유조선사가 밝혔다. 2 백만 배럴의 원유를 수송하는 유조선들은 13 노트(최대 15 노트와 비교됨)로 운항 중이라고 벨기에 앤트워프에 있는 유로나브사의 CEO 패디 로저스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감속운항은 보통 40 일 걸리던 항해 기간을 48 일로 늘릴 수 있다. 육상 쪽 공급량이 너무 커져서 해상에서의 원유 저장에 대한 필요성이 곧 커질 거라고 로저스는 말했다. 사라지지 않을 석유 과잉으로 시장은 몸살을 앓고 있는데, 이는 OPEC 이 공급과잉을 유발하지 않았고 홀로

문제로

태클을

걸지

않겠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 백만 배럴의 원유를 수송하는 유조선들은 13 노트(최대 15 노트와 비교됨)로 운항 중이라고 벨기에 앤트워프에 있는 유로나브사 CEO 패디 로저스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로저스는 블룸버그 TV 와의 인터뷰에서 “원유 생산과 관련해서 이러한 공급 측면의 시장을 본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의 유로나브사 소속

초대형유조선들(VLCC)은

작년 일일

55,000 달러를

벌어들였으며 이는 2014 년의 두 배였다. 이는 원유와 더불어 곤두박질친 연료비에 부분적으로 기인하기도 한다.

Ⅱ . ISSUE & TREND | PAGE No.

3

OECD 국가들이 거의 30 억 배럴의 기록적인 석유 비축량을 갖고 있을 걸로 예상하고 있다.


Ⅱ. ISSUE & TREND 유로나브사의 주식은 브뤼셀에서 3.5% 상승해 10.74 유로에 이르렀다. 그러나 올해 들어 회사에 17 억 1 천만 유로(18 억 6 천만달러)가 시장 자본으로 환원되면서 주식은 15% 떨어졌다. 감속운항의 주요 이유는 원유의 공급량이 너무 많아 그것이 인도되는 장소에서 물류가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평균대기 시간이 거의 1 주일로 이전에는 지체되는 일이 없었다. 중동에서도 선박들이 대기해야만 하는데 이 또한 비정상적인 일이라고 로저스는 언급했다. 현재의 감속운항에 대한 필요는 운임이 낮고 연료비가 높을 때 보통 일어나는 것과 정반대되는 현상이다. 그 시나리오 하에서는 선사가 짐을 싣기 위해 적하항으로 돌아올 때 속도를 줄이려고 하지만 유로나브의 선박들은 적하항으로 돌아올 때 오히려 최대한 속도를 낸다. 낮은 유가 때문에 올해 일부 예측가들이 전망하는 것보다 수요가 빨리 오르는 반면 증가량은 해상에 저장된 원유를 막기에 충분치 않을 지도 모른다. 유로나브는 매월 원유 저장에 배럴당 약 75 센트를 부과할 걸로 보인다. 4 월에 사용될 브렌트유는 3 월용보다 80 센트 더 비싸다고 ‘ICE Futures Europe’의 데이터 자료는 밝히고 있다. 무역업자들은 운임 이상으로 추가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원유를 해상에 보관하는데 대한 인센티브는 더 커지고 있다. 다가올 3 월과 6 월 사이의 격차는 현재 2 불 50 센트로 원유를 해상에 저장하는 비용을 커버하기 위해 약 20 센트 더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고 오슬로에 있는 원유 브로커회사인 Fearnley Securities 의 애널리스트들이 전했다. 이 방면에 정통한 사람들에 의하면 Glencore Plc 사는 싱가폴과 말레이시아 해상에 떠 있는 선박에 적어도 4 백만 배럴을 보관하고 있다고

TV 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유가의 폭락은 국제에너지기구의 수요 성장에 대한 예측이 너무 낮았음을 의미할지 모른다고 그는 밝혔다. 중동에서 미국으로의 선적량은 올해 수출 제재가 해제돼 증가하는 듯이 보인다. 이런 조치는 서부 텍사스 중질의 가격을 국제 등급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올라가게 하고 페르시아만 생산업자들로부터의 원유를 구매하는 인센티브를 더 크게 만들고 있다고 로저스는 말했다.

Ⅱ . ISSUE & TREND | PAGE No.

얼마나 기름 값이 곤두박질 쳤는지를 고려할 때 그다지 불리한 점은 없다고 로저스는 블룸버그

4

한다.


Ⅱ. ISSUE & TREND 2. 머스크 "해운업황 금융위기보다 나빠" 글로벌 최대 컨테이너선사를 보유한 AP 묄러 머스크가 금융위기보다 악화된 업황을 경고했다. 국제 유가 하락과 전세계 교역량 부진 탓으로 지난해 4 분기 대규모 순손실을 발표한 직후다. 닐스 앤더슨 CEO 는 파이낸셜타임즈(FT)와 인터뷰에서 '심각한 업황 악화'라는 표현을 썼다. "국제 유가는 2008~2009 년 금융위기 최저점만큼 낮은 수준에서 오랜 기간 머물렀고 빠르게 반등할 가능성도 거의 없다. 운임은 더 낮다. 외부 여건은 2008 년보다 훨씬 더 나쁘다"고 평가했다. 원유 부문과 선사 부문을 거느린 머스크의 업황은 유가 하락과 운임 하락 모두에 영향을 받고 있다. 머스크의 주가는 지난 10 개월간 절반 가까이 하락한 상태다. 지난해 글로벌 교역량은 0~1% 증가하는 데 그쳐 제자리 걸음을 기록했다. 컨테이너 운임은 바닥을 모르고 하락하는 추세다. 머스크는 올해 글로벌 교역 성장률을 1~3%로 내다봤지만 이는 금융위기 이전 연 평균 두 자릿수 성장은 물론이고 금융위기 이후 예상치인 4~5%에도 훨씬 못 미친다. 앤더슨 CEO 는 "지난해 유럽과 브라질, 러시아, 서아프리카에서 수입이 감소했다"며 "글로벌 무역 여건이 비정상적"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컨테이너 해상 운송 캐파는 8% 증가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업계의 오버캐파가 최대 30%에 이를 수 있다고 분석한다. 머스크의 경우 지난해 신규 선박 발주가 27 척이나

정책에서 상당한 후퇴를 시사한다고 논평했다. 한편 머스크는 10 일(현지시간) 실적발표에서 지난해 4 분기 25 억 달러 순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카자흐스탄과 쿠르디스탄, 영국, 앙골라, 브라질에 보유한 원유 자산 가치를 상각한 영향으로 애널리스트들이 전망한 3 억 달러 순익을 크게 하회하는 성과를 냈다. 연간 순익은 31 억 달러로 전년도 45 억 달러에서 줄었다. 머스크는 올해 실적이 훨씬 더 좋지 않을 것이라는 경고도 잊지 않았다. 원유 부문인 머스크오일은 올해 손실을 기록할 전망이다. 손익분기점이 배럴당 45~55 달러인 것에 반해 현재 브렌트유가는 배럴당 30 달러 초반을 달리고 있다. 컨테이너선사 부문인 머스크라인은 지난해 연간 13 억 달러 순익보다 훨씬 더 낮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Ⅱ . ISSUE & TREND | PAGE No.

4,000 명을 감원한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당시 머스크가 추진해 온 컨테이너선단 확대

5

된다. 결국 머스크는 지난해 11 월 추가 발주 옵션을 포기하고 컨네이너해운부문의 지상직 인력


Ⅱ. ISSUE & TREND 정상적인 환경이라면 유가가 하락하면서 원유 부문에서는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연료 가격 역시 하락해 선사 부문의 수익성은 개선되는 것이 머스크의 전통적인 비즈니스 헤지 전략이다. 하지만 이 같은 자연 헤지 전략은 더 이상 먹혀 들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앤더슨 CEO 는 여전히 회사의 건실함을 강조했다. "금융위기 이후 비용 절감과 부채 감축 노력을 기울인 결과 업황 악화에 더 잘 준비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까지 원유와 선사, 항만터미널 비즈니스 관련 인수에는 조심스럽지만 블록버스터급 인수가 아니라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소규모 거래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3. 선박 계선 요청 쇄도...해운항만업계 전방위 한계 해운업황이 올들어 연초부터 더욱 휘청되고 있어 업계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해운불황의 심각성은 국내 해운사 뿐아니라 이제는 독야청정할 것으로 믿었던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사 머스크라인을 통해도 방증되고 있다. 머스크는 지난해 예상보다 훨씬 못미치는 적자전환하면서 해운업계를 곤혹스럽게 했다. 국내 해운업계는 현대상선의 최종 자구안 발표에 이은 자본잠식의 위기감이 보태지면서 향후 진로에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특히 신임 산업은행 회장의 “자구노력없는 한계기업에는 과감한 결단을 보여주겠다”는 일성은 더욱 궁금증을 더하고 있다. 해운불황이 언제 멈출지 불투명한 상황에서 국내외 언론들이 동반성장해 온 해운, 조선업을 서로

블룸버그에 따르면 경제불황기에 선박과 석유시추선의 선주들은 그들의 불필요한 선박을 보존할 장소를 필요로 하고 있다. Saravanan Krishna 씨는 단숨에 업계에서 가장 바쁜 경영자들 중 하나가 됐다. Krishna 씨는 말레이시아 기업 International Shipcare 사의 운영이사이다. 이 기업은 선박과 석유시추선들을 보존해 주고 있다. 그리고 최근 그는 과잉설비로 인해 궁지에 몰린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들을 받는 일이 많아졌다. International Shipcare 사의 정박지인 말레이시아령 라부안 섬에는 현재 102 척의 선박들이 계선중에 있는데 이는 1 년전에 비해 두 배 증가한 수치이다. 또 더 많은 고객들이 현재 대기 중이다. “최근들어 수요가 정말 많아졌다, 고객들은 한척이 아니라 15~20 척의 배를 계선해달라고 요청한다”

Ⅱ . ISSUE & TREND | PAGE No.

6

연계한 기획기사들이 내놓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Ⅱ. ISSUE & TREND 조선사, 컨테이너선사, 그리고 항만운영사들은 중국경제의 부상, 그리고 국제 원자재시장의 호황을 즐겨왔다. 지금, 그들은 중국경제의 불황, 그리고 유가폭락에 따른 석유굴착설비 및 다른 설비에 대한 수요 감소로 인한 최대의 피해자들이다. 중국의 2015 년 수출은 1.8% 하락했고, 수입은 13.2% 폭락했다. 석탄, 철광석, 곡물 그리고 그밖의 다른 비-석유 원자재들의 선적비용을 측정한 벌크선운임지수 BDI 는 작년 8 월 이래 76% 폭락했고 현재 사상최저치를 연일 갱신하고 있다. 아시아에서 시작되는 운송루트에 대한 운송료 또한 하락했다, 그리고 아시아지역 주요 항구들의 교역량도 줄어들고 있다. 세계 2 위 컨테이너항만인 싱가포르의 경우, 2015 년 컨테이너화물 처리량이 8.7% 감소했는데 이는 지난 6 년이래 첫 하락세다. 세계 4 위 컨테이너항만인 홍콩항은 2015 년 9.5%나 감소했다. 아시아뿐만 아니라, 네덜란드의 로테르담항 또한 지난 1 년간 컨테이너화물 처리량이 하락세를 보였다.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2015 년 신조선 주문량은 40% 폭락한 690 억달러를 기록했다. 잉여선박에 대한 폐선율은 15%나 뛰었다. 몇 년 전만해도 세계 경제가 회복되고 유가가 상승함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연료절약형 선박을 주문했다. 클락슨에 따르면 2013 년에만 해도 철광석, 석탄, 곡물 등을 운송하는 벌크선에 대한 주문만 1,200 척 이상에 달했다. 작년의 경우 250 척에 그쳤다. 홍콩을 근거지로 벌크선과 탱커를 보유하고 있는 Wah Kwong Maritime Transport Holdings 사의

중국은 특히나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조선국이다. 중국 공업 정보화부에 따르면 중국 조선소의 신조 주문량은 작년에 비해 절반가까이 급감했다. 지난해 12 월에는 저우샨 우저우 조선사가 지난 10 년내 파산한 첫 국영 조선사가 됐다. 위안화 가치는 지난 8 월 이래 6% 하락했다. 이는 수출 촉진에 도움이 됐지만, 중국 최고의 컨테이너 터미널들을 운영하고 있는 홍콩의 Hutchison Port Holdings Trust 의 경우 여전히 위안화 하락의 이득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Ⅱ . ISSUE & TREND | PAGE No.

과잉공급이다” 라고 말했다.

7

CEO 인 Tim Huxley 씨는 “ 주 문 된 선박들은 지금 건조 중이다. 그러나 이는 명백히 심각한


Ⅱ. ISSUE & TREND 이같은 불황은 중국 항만들에 큰 타격을 입히고 있다. 상하이 인터내셔널 포트의 지난해 3 분기 매출은 75 억위안(11 억달러)을 기록했는데, 전년동기에는 76 억위안의 매출을 기록했었다. 2015 년 3 분기 순이익은 18%나 감소한 14 억위안을 기록했다. 상하이항운거래소의 컨테이너정기선운임지수는 작년초와 비교해 27%나 하락했다. Bloomberg Intelligence 의 분석가 John Mathai 씨에 따르면 세계 최대 컨테이너항만인 상하이항의 컨테이너화물 처리량은 작년 한해 3.7% 증가했지만, 이는 전년 증가율 4.8%에 비하면 1.1%포인트 떨어진 수치이며, 그나마도 대부분 고비용의 홍콩항으로부터 시장점유율을 가져온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유가폭락은 특히 싱가포르에 큰 타격을 가져다 줬다. 싱가포르에는 해양석유굴착설비 제작의 세계적 양대산맥인 Keppel, Sembcorp Industries 사가 있다. 두 기업에 대한 지난해 발주량은 지난 6 년이래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들 기업의 대주주인 Temasek Holdings 사는 자금조달을 위한 부수적인 자산의 매각과 신 주식발행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업황이 나쁜 상황에서도 유망한 부문은 존재한다. 유조선을 운영하는 기업들은 고객들이 기록적인 원유가 폭락의 이점을 이용해 재고를 늘리고 있어 수요가 증가세다. 클락슨에 따르면 신조 유조선에 대한 발주량도 작년에 14% 늘었다. 말레이시아 선박관리업체인 International Shipcare 사의 경우 호황을 맞고 있다. Krishna 씨는 "고객들의 선박을 정박시킬 공간조차 없다"고 말했다. 작년 12 월 초 이래 수요는 약 30% 치솟았다.

Ⅱ . ISSUE & TREND | PAGE No.

8

그는 “전혀 예상치 못한 상황” 이라고 언급했다.


Ⅲ. BULK CARRIER (선령 5 년기준, Million USD, 증감율 : 전년도 대비,%)

연평균 선가 Capesize 180K Panamax 76K Supramax 56K Handysize 32K

2012

2013

2014

2015

2016

34.21 -21% 22.08 -29% 22.29 -19% 17.46 -24%

36.33 6% 21.54 -2% 21.33 -4% 17.79 2%

46.80 29% 24.40 13% 24.50 15% 19.40 9%

32.08 -31% 17.04 -30% 15.67 -36% 12.96 -33%

23.38 -27% 13.00 -24% 12.50 -20% 9.50 -27%

 BC 연평균 선가 - 선령 5 년 기준 (선령 5 년기준, Million USD) 50

45

40

30

9

25

20

15

10

5

CAPE PMAX SMAX HANDY

2012 34.21 22.08 22.29 17.46

2013 36.33 21.54 21.33 17.79

2014 46.80 24.40 24.50 19.40

2015 32.08 17.04 15.67 12.96

2016 23.38 13.00 12.50 9.50

Ⅲ . BULK CARRIER | PAGE No.

선가(Mill USD

35


Ⅲ. BULK CARRIER 구분

1월

2월

선가

23.00

23.75

23.4

전월대비

-11.5%

3.3%

-

전년대비

-36.1%

-28.0%

-27.1%

선가

13.00

13.00

13.0

전월대비

-7.1%

0.0%

-

전년대비

-31.6%

-27.8%

-23.7%

선가

13.00

12.00

12.5

전월대비

-3.7%

-7.7%

-

전년대비

-31.6%

-31.4%

-20.2%

선가

9.50

9.50

9.5

전월대비

-5.0%

0.0%

-

전년대비

-38.7%

-34.5%

-26.7%

CAPE

36.00

33.00

34.00

34.00

33.00

31.00

32.1

PMAX

19.00

18.00

17.00

16.50

17.50

17.00

17.0

SMAX

19.00

17.50

16.00

16.00

15.00

15.00

15.7

HANDY

15.50

14.50

13.50

13.50

13.50

13.00

13.0

CAPE 180K

PMAX 76k 2016 SMAX 56k

HANDY 32k

2015

3월

4월

5월

6월

평균

10

38 36 34 32 30 28 26 24 22 20

2016 2015 '15년 평균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Ⅲ . BULK CARRIER | PAGE No.

Mill USD

 Cape


Ⅲ. BULK CARRIER  Panamax 20 19

Mill USD

18 17

2016

16 15

2015

14

'15년 평균

13 12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Supramax 20 19

Mill USD

18

2016

17 2015

16 15

'15년 평균

14 13 12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1

2월

 Handy 16 15

Mill USD

14 2016

13 12

2015

11 10

'15년 평균

9 8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Ⅲ . BULK CARRIER | PAGE No.

1월


Ⅲ. BULK CARRIER

VESSEL

DWT

BUILT

YARD

M/E

BC

SPRING ZEPHYR

181,725

2010

JAPAN

BC

MARIA D

180,000

2015

BC

PAN UNO

75,955

BC

MEDI KOBE

BC

GEAR

PRICE

REMARKS

B&W

21.5

US buyer (Carval)

KOREA

B&W

34

Greek buyer

2001

JAPAN

B&W

3.8

Undisclosed buyer

75,924

2001

JAPAN

B&W

2.7

Undisclosed buyer

NEW PACIFIC

55,677

2005

JAPAN

B&W

C 4X30T

5.8

Indonesian buyer (Tanto Intim Line)

BC

ASTON TRADER I

55,496

2008

JAPAN

B&W

C 4x30t

6.8

Bangladeshi buyer

BC

FEDERAL BAFFIN

55,309

2007

JAPAN

B&W

C 4X30T

7.75

European buyer

BC

FALCON TRADER II

54,924

2009

JAPAN

B&W

C4X30T

7.8

Undisclosed buyer

BC

TRIPLE STAR

52,454

2005

JAPAN

B&W

C 4X30T

5.7

Undisclosed buyer

BC

BIANCO VENTURE

33,773

2004

JAPAN

MAN

C 4X30T

5.3

Vietnamese buyer

BC

APOLLON

30,855

1996

JAPAN

B&W

C 4X25T

2

Undisclosed buyer

MPP

GEJA C

10,618

2002

NETHERL AND

MAK

C 2X80T

4.7

German buyer (Reederei Schepers)

MPP

THORCO SERENITY (tweendecker)

10,037

2004

JAPAN

B&W

C 2x30T, D 1x30T

3.6

Undisclosed buyer

MPP

WILSON MALO

6,433

1978

SWEDEN

WART

0.75

Romanian buyer

Ⅲ . BULK CARRIER | PAGE No.

TYPE

12

Ⅲ-1. Bulk Carrier Sales Report


Ⅳ. TANKER (선령 5 년기준, Million USD, 증감율 : 전년도 대비,%)

구분 VLCC 310K Suezmax 160K Aframax 105K MR 47K Chemical Tanker IMO II 13K

2012

2013

2014

2015

2016

62.42 -18% 44.25 -18% 30.50 -21% 24.92 -14% 10.56 -20%

56.17 -10% 40.00 -10% 29.00 -5% 26.25 5% 11.94 13%

74.10 32% 50.80 27% 38.70 33% 26.90 2% 13.00 9%

80.80 9% 59.60 17% 45.10 17% 27.70 3.0% 12.60 -3.1%

80.00 -1.0% 59.00 -1.0% 44.00 -2.4% 28.75 3.8% 14.13 12.1%

 TANKER 연평균 선가 - 선령 5 년 기준 선령 5 년기준, Million USD, 증감율 : %)

90

80

60 50

13

40 30 20 10 VLCC SUEZ AFRA MR

2012 62.42 44.25 30.50 24.92

2013 56.17 40.00 29.00 26.25

2014 74.10 50.80 38.70 26.90

2015 80.80 59.60 45.10 27.70

2016 80.00 59.00 44.00 28.75

Ⅳ . TANKER | PAGE No.

선가(Mill USD

70


Ⅳ. TANKER 구분

VLCC 310K

SUEZ 160K

2016

AFRA 105K

MR 47K

CHEM IMO2 13K

2월

3월

4월

5월

평균

선가

81.00

79.00

80.0

전월대비

1.3%

-2.5%

-

전년대비

1.3%

-2.5%

-1.0%

선가

59.00

59.00

59.0

전월대비

-1.7%

0.0%

-

전년대비

-1.7%

-1.7%

-0.98%

선가

45.00

43.00

44.0

전월대비

-2.2%

-4.4%

-

전년대비

-2.2%

-6.5%

-2.4%

선가

30.00

27.50

28.8

전월대비

3.4%

-8.3%

-

전년대비

11.1%

1.9%

3.8%

선가

14.00

14.25

14.1

전월대비

5.7%

1.8%

-

전년대비

9.8%

14.0%

12.3%

80.00 60.00 46.00 27.00 12.75

81.00 60.00 46.00 27.00 12.50

VLCC SUEZ AFRA MR CHEM

2015

1월

81.00 57.50 45.00 27.00 12.50

81.00 57.50 45.00 27.00 12.25

80.00 59.00 45.00 26.00 12.25

80.8 59.6 45.1 27.7 12.6

90

Mill USD

85 80

2016

75 2015

70 65

'15년 평균

6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Ⅳ . TANKER | PAGE No.

14

 VLCC-310K


Ⅳ. TANKER  SUEZMAX-160K 65

Mill USD

60 2016

55 50

2015

45 '15년 평균

4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Mill USD

 AFRAMAX-105K 48 46 44 42 40 38 36 34 32 30

2016

2015

'15년 평균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5

31 30 29 28 27 26 25 24 23 22

2016

2015

'15년 평균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Ⅳ . TANKER | PAGE No.

Mill USD

 MR-47K


Ⅳ. TANKER Ⅳ-1. Tanker Sales Reported 1) TANKER TYPE

VESSEL

DWT

BUILT

YARD

M/E

TANKER

ALPINE AQUALINA

105,304

2011

KOREA

B&W

46

TANKER

ALPINE AMALIA

105,304

2010

KOREA

B&W

43

TANKER

ALPINE MARY

49,999

2014

KOREA

B&W

2&3

32

TANKER

ALPINE MARIA

49,999

2014

KOREA

B&W

2&3

32

TANKER

LORELEI

73,673

2007

KOREA

B&W

27

TANKER

LA BOHEME

73,672

2007

KOREA

B&W

27

TANKER

TRF BERGEN

49,126

2015

VIETNAM (KOR)

B&W

2&3

37.5

TANKER

MELIORA COGITO

37,620

2006

KOREA

MAN

2&3

18.25

TANKER

MORGANE

37,620

2006

KOREA

MAN

2&3

18.25

9,013

1989

JAPAN

MITS U

2&3

2.4

3,592

2001

KOREA

B&W

3

5

3,592

2001

KOREA

B&W

3

5

CHEM

REMARKS

Danish buyers (Maersk Tankers)

Greek buyer (Prime Marine) U.A.E. buyers (UACC) Greek buyer (Eletson) Chinese buyer Chinese buyer

16

CHEM

OSTROV MONERON (stst) SICHEM SPARROW (stst) SICHEM COLIBRI (stst)

PRICE

2) CONTAINER, REEFER, ETC TYPE

VESSEL

DWT

BUILT

YARD

M/E

CAPACITY

UNIT

PRICE

REMARKS

CONT

KOTA PERMATA

39,446

2008

KOREA

B&W

2824

TEU

10.5

undisclosed buyer

Ⅳ . TANKER | PAGE No.

TANKER

IMO


Ⅴ. DEMOLITION 1) 선가 해체선가

2014 평균

(US$/LDT)

2015 평균

2016 평균

2015 년

2016 년

2월

2월

증감율

증감율

증감율

증감율

증감율

(전년대비)

(전년대비)

(전년대비)

(전월대비)

(전년대비)

TANKER

474.79

12.5%

341.04

-28.2%

250.00

-26.7%

377.50

237.50

-9.5%

-37.1%

BC

468.96

14.4%

336.54

-28.2%

245.00

-27.2%

365.00

232.50

-9.7%

-36.3%

기준 :인도해체선시장(USD/LDT), 증감율 (전년대비)

BC

TANKER

500 450 400 350

200

Ⅴ. DEMOLITION| PAGE No.

250

17

300


Ⅴ. DEMOLITION 2) 해체선누적현황 해체선

2015 년

총량

누적율

Million DWT

No.

Million DWT

(전년대비)

TANKER

2.14

86

0.42

19.5%

BC

28.57

253

6.69

23.4%

3)

2015 년

2016 년 누적

2016 년 2 월

2월 누적율

증감율

증감율

(전년대비)

Million DWT

No.

Million DWT

(전년대비)

5

5.8%

0.81

2

0.30

-63.0%

1

-50.0%

77

30.4%

3.44

40

2.05

-40.4%

22

-45.0%

No.

No.

(전년대비)

해체선총량 (MILLION DWT) BULKER

TANKER

6.00 0.23 5.00

0.12

4.00

0.07

2.00 2.88 1.00 0.00

0.10

0.06

5.36 3.44 3.18

3.08

4.64 0.30

0.12 0.09

0.05 0.17 0.03

1.85 0.05 1.42 1.24 1.27 1.28 0.769

2.8

2.05

18

0.36

Ⅴ. DEMOLITION| PAGE No.

3.00

0.81


Ⅴ. DEMOLITION Ⅴ-1. Demolition Sales Report TYPE

VESSEL

DWT

LDT

BUILT

YARD

M/E

PRICE

REMARKS

BC

CAPE CARMEL

179,869

22,583

1996

JAPAN

B&W

243

PAKISTAN

BC

CAPE JUPITER

172,480

21,297

1997

JAPAN

B&W

232

BC

MONA LINDEN

170,473

20,669

2000

JAPAN

SULZ

225

BC

CHAMPEL

168,968

21,345

1998

KOREA

B&W

241.5

BANGLADESH

BC

ANANGEL AMBITION

161,590

19,215

1994

KOREA

B&W

247

‘AS IS’ Singapore

BC

ANANGEL LEGEND

161,100

19,992

1996

KOREA

B&W

247

BC

ANEMONE

151,439

18,491

1990

KOREA

B&W

237

BC

MARY

149,477

18,194

1993

CHINA

B&W

243

PAKISTAN

BC

AODABAO

73,137

9,598

1995

JAPAN

B&W

244

INDIA, Option Pakistan

BC

SAMJOHN SPIRIT

71,730

9,902

1994

JAPAN

B&W

245

PAKISTAN

BC

LONG YUAN

69,346

9,980

1989

JAPAN

B&W

245

INDIA

BC

AMOVITA

38,888

7,140

1986

JAPAN

SULZ

230

INDIA

BC

SARANYA NAREE

28,583

5,804

1991

JAPAN

B&W

251

BC

PANOS CREATION

27,383

7,207

1998

CHINA

SULZ

111

CONT

NETHERLANDS

67,958

24,225

1996

JAPAN

MITSU

270

INDIA

CONT

HANJIN MALTA

62,649

18,954

1993

KOREA

SULZ

265

INDIA

CONT

YM KAOHSIUNG

50,059

16,203

1998

KOREA

B&W

271

INDIA, Option Bangladesh

CONT

WESERWOLF

39,128

13,062

1999

POLAND

B&W

248

INDIA

CONT

ALBERT RICKMERS

31,000

11,463

1998

B&W

281

INDIA

CONT

EURASIA

12,327

4,050

1984

MAK

220

INDIA

MPP

KING GRACE

33,500

10,457

1986

SULZ

225

INDIA

FRANCE

INDIA, incl. ROB 250t BANGLADESH, Auction sale, Main engine damage

19

‘AS IS’ Singapore, incl. ROB to INDIA All Sub-conti option

Ⅴ. DEMOLITION| PAGE No.

TAIWAN (JPN) GERMA NY

‘AS IS’ Singapore, incl. ROB 850t INDIA, Green shipbreaking


Ⅴ. DEMOLITION 301,858

40,411

1995

DENMA RK

B&W

245

PAKISTAN

20

FARIDAH

Ⅴ. DEMOLITION| PAGE No.

TANKER


Ⅵ. KEY INDICATORS 1) Baltic Index 2016-02-12

2016-02-05

CHANGE

5 Year High

5 Year Low

BDI

291

297

-6

2784

290

BCI

199

212

-13

4461

185

BPI

324

295

29

2465

282

BSI

343

262

81

1858

243

BHSI

183

194

-11

994

183

BDI

BCI

BPI

BSI

BHSI

6000 5000 4000

2000 1000

Nov-15

Aug-15

May-15

Feb-15

Nov-14

Aug-14

May-14

Feb-14

Nov-13

Aug-13

May-13

Feb-13

Nov-12

Aug-12

May-12

Feb-12

Nov-11

Aug-11

May-11

Feb-11

Nov-10

0

Ⅵ . KEY INDICATORS| PAGE No.

21

3000


Ⅵ. KEY INDICATORS 2) Bunker Price (USD/TON, 전주대비증감) Singapore

(USD/Ton, Change)

Rotterdam

Houston

IFO380

151.00

-21.50

136.00

-16.50

128.00

-19.00

IFO180

157.00

-23.00

162.50

-14.00

196.00

-25.50

MDO

271.00

-29.00

MGO

288.00

-18.50

262.50

-30.00

323.00

-25.50

기준일 : 2 월 12 일 기준

3) Exchange Rate 구분

2016-02-12

2016-02-05

CHANGE

미국달러

1197.00

1202.70

-5.70

일본엔(100)

1063.95

1018.82

45.13

유로

1354.64

1333.40

21.24

중국위안

182.78

181.83

0.95

Ⅵ . KEY INDICATORS| PAGE No.

22

최초고시, 매매기준율기준


Ⅶ. USEFUL INFORMATION 구분

행사명

일시

장소

기타

(주최)

º 일본 최대 경제권인 간사이지역의 중심 오사카는 정부의 특구제도를 활용한 대규모 세미나

오사카

2.18 일

진출 세미나

(목)

포시즌 호텔 (광화문)

투자와 규제 완화를 통해 보다 국제 경쟁력을 갖춘 도시로 성장 중이며, º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와 오사카 진출 관련 지원프로그램 및 인센티브, 회사설립에 관한 정보제공 및 한국기업 진출사례 소개 º 해운, 항만, 해양, 수산, 해사안전 등

해양수산 세미나

빅데이터 국제세미나

2.18 일 (목)

해운대그랜 드호텔 (KMI)

해양수산분야에서의 빅데이터에 대한 수요와 활용 가능성 증가 º 해양수산분야 빅데이터 연구의 활성화 및 서비스개발 논의

및 장비전시회

º 전시품목 : 보안.안전설비, 엔지니어링,

3.29 일

Int’l

조선.보트, 해양.수산업

~31 일

Exhibition

º 개최규모 : 90000 sqm. 70,000 명 참관

Center

º 홈페이지 : www.chinamaritime.com.cn º 선상의 태양에너지 솔루션 및 환경

박람회

동경국제

4.13 일

해양박람회

~15 일

Tokyo Big Sight, East Halls

친화적인 코팅, 공기 윤활 시스템과 같은 최첨단 에너지 절약 장치와 기술을 전시 º 전시품목 : 조선, 선박, 선박설계, 해양연료 및 윤활유, 모니터링 및 제어계측기 º 홈페이지 : www.seajapan.ne.jp

23

전시회

북경해양기술

New China

Ⅶ . USEFUL INFORMATION| PAGE No.

해외

2016


Ⅷ. CONTACT INFORMATION Neal S.I. Kwon (권순일이사) Director Tel. 070-7771-6410 Mob. 010-9496-0523 snp@stlkorea.com neal@stlkorea.com (Personal)

Patima J.H. Lee (이지혜차장) Manager Tel. 070-7771-6417 Mob. 010-6455-1646 snp@stlkorea.com patima@stlkorea.com (Personal)

Ⅷ . CONTACT INFROMATION | PAGE No.

STL GLOBAL Co., Ltd. 101-14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Korea Tel: +82-2-776-0840 (Rep.) Fax: +82-2-776-0864 TLX: K35476 E-mail: seoul@stlkorea.com www.stlkorea.com

24

Claire C.W. Ji (지차욱과장) Manager Tel. 070-7771-6411 Mob.010-6625-9785 snp@stlkorea.com claire@stlkorea.com (Personal)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