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차이나 마켓 네비게이션
2014.5.23
경제 최홍매 02-768-3439
hongmei.cui@dwsec.com
별그대와 함께 온 하이토우族를 잡아라! 중국의 해외직접 구매를 일컫는 하이토우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 해외 화장품, 의류, 유아용품, 가전제품 등이 주 선호 품목이다. 중국의 해외직접 구매 증대의 배경은 인 터넷 이용자의 확대, 제품에 대한 신용 및 국내외 가격차이로 인한 메리트 등 이다. 향후 중국의 하이토우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에는 일본과 한국으로의 하이토우가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한국은 한류 열풍과 지리적인 이점이 작용하였다. 직접적인 수혜 주는 화장품, 액세서리, 의류, 홍삼, 가전 제품 등 중국인들이 전통적인 선호 품목 관련 주이다. 다음으로는 중국의 인터넷 결제시스템과 제휴관계가 있는 종목들이다. KG이니시스, 한국정보통신, 다날 등을 관련 수혜주로 꼽을 수 있다.
중국/홍콩 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주 대비 하락하였지만, 2,000pt를 지켰다. 항셍지수와 H지수는 모 두 2주 연속 상승세를 지속하였다. 상하이 종합지수의 하락에 영향 준 요인은 다음과 같다. ① 4월 중국 70대 도시 부동산 가격의 전월대비 상승률은 2012년 말 이후 최저수준이다. ② 중국 5월 HSBC 제조업 PMI 지수가 전월보다 상승하였지만 여전히 50pt를 하회하면서 경기둔화를 시사하였다. ③ 중앙은행이 상업은행에 대해 은행간 대출 단속을 시작하면서 은행주들이 하락하였다. ④ 고급주류인 우량예가 가격인하를 감행하면서 주류관련 주들이 부진하였다. ⑤ 증감위 가 차스닥 IPO 및 융자방안을 논의하면서 시장 수급에 대한 우려가 다시 증대되었다.
전망과 전략 중국 증시 하락은 제한될 것이다. 중국 경기둔화의 시그널이 재차 확인되었고 시장에 선 반영되었다고 판단된다. 부동산 경기 둔화 우려가 강화됨에 따라 지방정부에서의 대책들 도 증가되고 있고, 지방정부 재정지원에 대한 논의도 지속되고 있다. 부동산에 대한 우려 가 악화되지 않는 한 증시의 큰 폭의 조정은 없을 것이다. 표 1. 중화권 증시 동향 (5월 22일 22일 기준) 기준) 티커 상해종합지수 상해 A 상해 B 심천종합지수 심천 A 심천 B 홍콩항셍 홍콩 H 대만가권
SHCOMP Index SHASHR Index SHBSHR Index SZCOMP Index SZASHR Index SZBSHR Index HSI Index HSCEI Index TWSE Index
지수 (pt)
등락률 (%)
거래량 (백만주) 백만주)
거래대금 (백만달러) 백만달러)
2,021.29 2,116.05 227.07 1,028.69 1,073.99 811.74 22,953.76 10,109.57 8,969.63
-0.18 -0.19 0.70 0.60 0.61 -0.39 0.98 1.39 1.00
7,474 7,456 18 3,002 2,983 19 1,847 1,660 4,506
9,546 9,530 16 3,639 3,620 19 8,063 1,944 2,874
상승종목수 하락종목수 (개) (개) 280 256 24 582 565 17 35 33 635
주1: PE는 Trailing EPS 기준, 주2: 홍콩항셍, 홍콩H주의 상승 및 하락 종목 수는 지수편입 종목기준,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572 557 15 771 749 22 13 6 102
시가총액 (백만달러) 백만달러)
PE (x)
2,358,532 2,347,541 10,991 558,679 545,477 13,203 3,005,391 515,991 846,748
9.9 9.8 11.6 26.0 18.8 8.6 10.7 7.3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