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630 아시아 마케팅피드백 데일리[1][1]

Page 1

IT 아시아 마케팅 피드백

비중확대 (Maintain) Industry Report 2014.6.30

지난 주 홍콩/싱가포르 마케팅을 통해 30여개의 기관 투자자들을 만났다. IT 섹터에서 상반 기 투자 테마는 "Apple Supply Chain", "DRAM 구조적인 성장 스토리", "스마트폰 피하기" 였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의 방향성과 상반기 테마가 하반기에도 유효한지에 대한 투자 자들의 궁금증이 많았다. 당사에서 제시한 하반기 IT 전략은 1) DRAM 구조적 성장 스토리 지속(SK하이닉스), 2) 스마트 폰보다는 LED와 전기차 등 성장 산업에 집중(서울반도체, 삼성SDI), 3) 스마트폰 부품 중에서는

[IT]

바닥 찾기(삼성전기)였다.

박원재 02-768-3372 william.park@dwsec.com

[반도체]

황준호 02-768-4140 j.hwang@dwsec.com 조우형 02-768-4306 will.cho@dwsec.com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DRAM 산업의 구조적인 변화에 동의했다. 공급 증가가 제한적인 상황 에서 예상보다 강한 PC 수요와 모바일 제품 성수기 진입으로 SK하이닉스의 하반기 실적 호조에 대한 이견은 없었다. 다만 최근 주가 상승으로 단기 조정을 야기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질문이 많았다. 당사에서는 1) 프리미엄 스마트폰 비중 하락 시 대당 DRAM 용량 성 장 둔화, 2) 3분기 말 이후 PC 재고 조정, 3) 삼성전자 17라인(P2)의 DRAM 채택 가능성을 제시했다(단기 수급보다는 주가에 부정적인 심리로 작용). 삼성전자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시각이 많있다. 특히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경쟁 심화로 점유율 유지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투자자들은 최근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출하량 가이던스 상향에 주목하고 있었다. 우리의 예상과는 달리 그룹 지배구조 재편에 대한 질문은 거의 없었다. 단기적으로도 비영업적인 요소보다는 펀더멘털이 중요하 다는 시각이 많았다. 삼성전자를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의 기반은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이었 다. 가업 가치 대비 잉여현금흐름(FCF/EV)은 경쟁사 대비 높은 수준이고, 제한적인 투자로 순자산가치 증가가 가속화될 것을 감안하면 오히려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이 가능하다는 의 견이었다.

[스마트폰] 삼성전자의 최근 스마트폰 부진과 중국 업체들의 호조에 대한 시각은 동일했다. 다만 중국 업체들의 해외 시장 진출에 대한 의견은 다양했다. 중저가 위주의 해외 진출 성공과 비용증 가(특허 사용 등)에 따른 진출 지연 중 어느 방향일지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당사는 중국 시장 성숙으로 해외 진출은 증가하나 생산 비용 증가로 경쟁력 확보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국내 IT 대형주 연초 대비 현재 수익률 (%) 80

애플 서플라이 체인, LED 턴어라운드

"Apple 서플라이 체인 선호" "DRAM 구조적인 성장 스토리" "스마트폰 부품주 피하기"

타이트한 DRAM 수급, PC 수요 시장 예상 상회

60 40

애플 서플라이 체인, UHD TV 판매 시장 예상 상회

20

구조조정 진행

TV 판매 턴어라운드

0 EV 긍정적 전망

-20

LED

스마트폰 판매 시장 예상 하회

-40 LG이노텍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LG전자

삼성SDI

서울반도체

삼성전자

삼성테크윈

스마트폰 판매 시장 예상 하회 삼성전기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140630 아시아 마케팅피드백 데일리[1][1] by FNGENII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