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설계 ISSUE POINT
제 71호 2014. 6. 10
승진은 늦더라도, 연금운용에서는 이겨라 입사동기라도 받는 퇴직금은 다를 수 있다 흔히 직장생활의 꽃이라고 말하는 ‘승진’. 모든 직장인들이 ‘승진’을 바라는 이유는 회사(조직)에서 능력을 인정받고 있 다는 성취감 뿐 아니라, 급여 상승으로 경제적으로 조금 더 여유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 승진이 어려워졌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실시한 「2011년 승진ㆍ승급관리 싵태조사」에 의하면, 2011년 전체직급의 평균승진율은 38.8% 로, 2005년의 지난 조사 결과 44.5%보다 5.7%p 하락했습니다. 매년 실시하는 조사가 아닌 만큼 최근에는 더욱 떨어 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승진률이 떨어진 원인은 많은 기업의 인력구조가 역피라미드형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인건비 부담을 줄 이는 방법 중에 하나로 신규채용을 줄이면서 인력 불균형 및 승진 정체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과장 차장’ 구간의 승진율이 다른 구간에 비해서 낮은데, 승진율이 가장 낮은 구간의 직급이 2005년 ‘차장 부장’에서 2011년 ‘과장 차장’으로 낮아진 것도 지속적인 승진 정체 때문으로 판단됩니다. 2005 년 차장 부장이 가장 어려워 (%)
2011 년 과장 차장이 가장 어려워
※승진율 = 실제승진자수/승진대상자수×100
80 60
(%)
80 57.4
※승진율 = 실제승진자수/승진대상자수×100
67.4
60
45.4 37.5
40
33.6
36.5
41.8
37.8
40
31.4
23.6 20
20
0
0
신입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
임원
신입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
임원
자료: 한국경영자총협회
■ 앞으로 승진경쟁은 더욱 치열해 질 것 2016년 이후 정년 60세가 의무화 될 경우, 승진경쟁은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년이 늘어날수록 기업 내에 고령ㆍ고직급 인력이 많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미래설계 ISSUE POINT]는 미래설계연구소가 언론이나 국내외 연구결과 중 이슈가 될 만한 내용들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고객과의 대화나 설명회 등에서 참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KDB대우증권 미래설계연구소 문의: 본사 3343, 3709, 334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