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701 73호 웰다잉(well dying)의시대[1]

Page 1

미래설계 ISSUE POINT

제 73호 2014. 7. 01

웰다잉(Well-dying)의 시대 : 좋은 죽음 준비하기 웰다잉이란 준비된 죽음, 아름다운 죽음을 의미한다. 갑자기 맞이하는 죽음이 아니라, 죽음을 준비해 후회 없는 죽음을 맞도록 하자는 게 취지다.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출생)가 정년 을 맞이하면서 ‘인생2막’과 더불어 ‘아름다운 마무리’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녀들에게 짐이 되지 않도록 건강할 때 스스로의 죽음에 대해 고민하고, 유언장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장례나 납골당 준비, 상속 등을 마무리하려는 의지 가 커지고 있다.

1.

죽음의 의미

객관적 의미에서 죽음은 모든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회복될 수 없는 정지를 의미하며 이것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 는 사실이다. 그러나 죽음에는 객관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저마다 다르게 느껴지는 주관적 의미들이 존재한다. 개인의 성격, 자라온 환경, 개인적으로 경험한 죽음과 관련된 사건, 사물에 대한 인지적 해석방식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2. 죽음의 질 2010년 영국이코노미스트연구소(EIU)가 OECD 34개국을 포함한 전세계 40개국을 대상으로 ‘죽음의 질 지수(Quality of Death Index)'순위를 발표 하였다. 각국의 의료수준, 말기환자치료비용, 호스피스 병상 등 24개 항목을 조사한 결과 영국이 1위, 호주가 근소한 차로 2위, 한국은 32위를 차지하였다. 표1. 죽음의 질 지수 순위(10점 만점, 소수점 둘째 자리 반올림)

순위

국가

지수

1

영국

7.9

2

호주

7.9

3

뉴질랜드

7.7

4

아일랜드

6.8

5

벨기에

6.8

23

일본

4.7

32

한국

3.7

자료: EIU(2010), KDB대우증권 미래설계연구소

1위를 차지한 영국이 처음부터 죽음에 호의적인 나라는 아니었다. ‘신사의 나라’인 만큼 죽음에 대한 얘기를 꺼리는 문 화가 있었다. 사회분위기를 바꾼 건 정부였다. 2008년 영국정부는 고령화는 심각해지는데 죽음에 대한 사회적 준비가 부족함을 직시하고 전문가 집단을 구성해 보고서를 만들었다. ‘생애말기치료전략(The End of Life Care Strategy)' 보 고서였다. 이때 나온 개념이 ’좋은 죽음(Good Death)'이다. '익숙한 환경에서‘ ’존엄과 존경을 유지한 채‘ ’가족·친구와 함께‘ ’고통 없이‘ 죽어가는 것, 이 4가지로 좋은 죽음을 정의했다. 그리고 보고서를 기점으로 정부는 2009년 ’생애말 기치료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그 결과 ’죽음의 질‘ 1위국가가 되었다. [미래설계 ISSUE POINT]는 미래설계연구소가 언론이나 국내외 연구결과 중 이슈가 될 만한 내용들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고객과의 대화나 설명회 등에서 참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KDB대우증권 미래설계연구소 문의: 본사 3343, 3709, 3340

1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