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비중확대/Maintain)
6월 원외처방 증가율 소폭 증가 원외처방 금액 7,089억원 7,089억원(+1.1% 억원(+1.1% YoY), 일별 원외처방 금액 373억 373억 원(+1.1% YoY) Issue Comment 2014.7.16
국내 상위 10개사 10개사 점유율 전월비 소폭 감소, 감소, 2014년 2014년 들어 점유율 소폭 하락 주요 상위사 중 LG생명과학 LG생명과학, 생명과학, 유한양행 등의 원외처방 실적이 상대적으로 우수 종근당의 점유율 상승이 가장 높고, 높고, 연초대비로 대부분의 주요 상위사 점유율 하락
[헬스케어] 김현태 02-768-3251 hyuntae.kim@dwsec.com
원외처방 회복 추세 2014년 2014년 6월에 원외처방 금액은 전년 동월비 1.1% 증가한 7,089억 원을 기록했다. 이로써 2분기원
외처방 금액은 전년 동기대비 0.5% 감소한 22,506억 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반기 기준으로 전년 동기대비 1.7% 증가했다. 한편 6월의 영업일수는 19일이었고, 이를 반영한 영업일수 대비 원외처 방금액은 전년 동월비 1.1% 증가했다. 2분기 영업일수 대비 원외처방 금액은 전년 동기비 2.8% 증가
했고, 상반기 영업일수 대비 원외처방 금액은 전년 동기비 3.3% 증가했다. 원외처방 시장은 더디지만 2012년 대규모 약가 인하로부터 회복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원외처방
금액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및 영업일수 대비 원외처방 금액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등의 방향성이 우상향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에 건강보험 당기수지는 상당한 흑자를 기록 보인다.. 또한 다수의 자체 개발 신제품들이 출시되었고, 출 해, 대규모 약가 인하의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시될 예정이어서 원외처방 시장의 회복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4년 6월 국내 상위 10개사의 점유율은 전월 대비 0.2%pt 떨어진 26.2%, 외자 상위 10개사 의 점유율은 전월 대비 0.3%pt 오른 22.3%를 기록했다. 국내 상위 10개사 및 외자 상위 10개사 를 제외한 중소형사의 점유율은 전월 대비 0.1%pt 하락한 51.5%를 나타냈다. 2013년 12월 대비 국내 상위 10개사, 외자 상위 10개사, 중소형사 등의 점유율은 각각 -0.4%pt, +0.3%pt, +0.1%pt 변화해, 2014년 2014년 들어 국내 상위사의 점유율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회사별 원외처방 결과 2014년 6월에 국내 상위 제약사 중에서 LG생명과학 LG생명과학(+18.0% 생명과학(+18.0% YoY), 유한양행(+11.7% 유한양행(+11.7% YoY) 등은 원외처방 시장의 전년 동월대비 성장률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반면 종근당(-0.3% YoY), 녹십자(-3.8% YoY), 한미약품(-3.9% YoY), 동아에스티(-4.9% YoY), 대웅제약(-14.1% YoY) 등의 전년 동월대비 성장률(YoY)는 원외처방 시장의 전년 동월대비 성장률 보다 부진했다. 이 달에 주요 상위사 중 종근당의 점유율이 전월 대비 0.05%pt 증가해 가장 높이 상승했다. 2014년 6월 주요 상위 제약 5개사의 점유율은 한미약품 4.0%, 대웅제약 3.8%, 종근당 3.7%, 동아에스 티 3.1%, 유한양행 2.7% 등이다. 2013년 12월 대비로는 상위 5개사의 점유율이 모두 소폭 하락 했고, 동아에스티의 점유율이 가장 낮게 떨어졌다. 유한양행, CJ헬스케어 등을 제외한 주요 상위사들은 2014년 6월에 전년동월대비 역신장해서 품 목별 성장 기여도 분석을 할 수가 없었다. 유한양행, CJ헬스케어 등의 원외처방 금액 상위 5개 제 품 중 성장 기여도가 가장 높은 품목은 각각 비리어드(B 비리어드(B형 (B형 간염), 간염), 엑스원( 엑스원(고혈압) 고혈압) 등이다. 비리어드는 도입신약이고, 엑스원은 개량신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