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차이나 마켓 네비게이션
2014.8.1
경제 최홍매 02-768-3439
hongmei.cui@dwsec.com
중국의 증시 상승 랠리에서 얻은 힌트 2012년 이후 상하이종합지수는 3번의 단기상승 기간이 있었다. 3번의 공통점은 다음 과 같다. 1) 유동성이 증가했다. M2 증가율이 단기 저점에서 상승하거나, 큰 폭의 반 등세를 보였다. 2) 부동산 시장이 호황이거나, 가격하락으로 제한정책이 완화되었다. 3)수급개선, 예컨대 QFII 한도 확대, 대출금리 하한 폐지, 예대율 기준 완화 등이 시장 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4) 중소형 주보다 대형주들의 흐름이 양호하였다. 현재 상황에 대입하면 흐름이 유사하지만 연속성은 떨어진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단순 비교하면, 현재 흐름은 과거 평균 상승률에 못 미치고, 상승여력이 남아있다. 2)부동산 경기가 둔화되고 있고, 정부의 경기부양 의지가 점차 약화되고 있다. 3)부동 산 경기 하락으로 산업/소재 섹터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4) 금융개혁은 기 대되지만, 향후 유동성 축소가 예상되어 금융주들의 고른 상승은 예상하기 힘들다.
중국/홍콩 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주의 상승세를 지속, 3%넘게 상승하였다. 이는 최근 4개월간 기 록한 최대 상승률이다. 본토증시의 강세, 미국 경제지표 개선에 힘입어 항셍지수와 H지 수는 각각 2.4%, 1.0% 상승하였다. 상하이 종합지수의 상승에 영향 준 요인은 ① 중국 부동산 가격 상승률이 (-)폭 확대, 전 국적인 부동산 완화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부동산 주들이 상승하였다. ② 교통은행의 혼합소유제개혁 시범 가능성도 호재로 작용하였다. ③ 공상은행이 우선주 발행에 가담, 현재까지 6개 은행이 총 3,400억 위안의 우선주 발행 계획을 발표하였다. ④ 전기자동 차 관련하여 요금기준을 발표, 공업용 전기요금 기준을 적용하였다.
전망과 전략 다음주 중국 증시는 조정 예상한다. 급격한 상승에 따른 조정과 뚜렷한 호재가 없는 가 운데 증시의 상승세는 제한될 것이다. 하지만, 2012년 이후 단기 강세 랠리 중 증시 평 균상승률이 18%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향후 추가 상승 여력은 존재한다. 표 1. 중화권 증시 동향 (7월 30일 30일 기준) 기준) 지수 상해종합지수 상해 A 상해 B 심천종합지수 심천 A 심천 B 홍콩항셍 홍콩 H 대만가권
티커 SHCOMP Index SHASHR Index SHBSHR Index SZCOMP Index SZASHR Index SZBSHR Index HSI Index HSCEI Index TWSE Index
지수 (pt)
등락률 (%)
거래량 (백만 주)
거래대금 (백만 달러) 달러)
2,201.56 2,305.21 237.36 1,160.01 1,211.06 923.50 24,756.85 11,130.20 9,315.85
4.58 4.59 3.74 5.35 5.38 2.33 2.55 1.74 -2.22
18,522 18,480 42 7,506 7,463 42 1,944 2,649 6,037
24,263 24,231 32 10,205 10,171 34 10,840 2,142 3,526
상승종목 수 하락종목 수 (개) (개) 706 663 43 977 942 35 25 22 301
주1: PE는 Trailing EPS 기준, 주2: 홍콩항셍, 홍콩H주의 상승 및 하락 종목 수는 지수편입 종목기준,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73 172 1 381 374 7 24 15 419
시가총액 (백만 달러) 달러)
PE (x)
2,591,034 2,579,519 11,515 636,087 623,626 12,461 3,285,119 575,959 898,016
10.8 10.7 12.1 29.0 18.8 9.8 11.1 8.2 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