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803 변곡점을 알릴 세 개의 지표[1]

Page 1

시황전망

2014. 8. 4 투자전략 박승영 02-768-4180

seungyoung.park@dwsec.com

변곡점을 알릴 세 개의 지표 글로벌 주식시장이 조정을 받는 가운데서도 국내 주식시장은 상대적으로 선전하고 있 다. 지난주 MSCI World지수는 2.6% 하락했지만 KOSPI는 1.9% 올랐다. 한국 주식시장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배경에는 국내 요인과 국외 요인이 섞여 있다. 국내 요인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사내유보금 과세 등으로 대표된다. 그런데 시장에는 이미 한은이 8월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가 충분히 반영돼 있고 통신주의 배당수익률은 국고 3년 금리를 하회하고 있다. 따라서 한은이 8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하하거나 25bp 인하한 뒤 추가 금리인하를 강력히 시사하지 않으면 배당과 관련한 시장의 기대는 점차 약해질 가능 성이 높다는 생각이다. 선진국 주식시장의 조정에도 불구하고 국내 주식시장이 동조하지 않는 이유는 밸류에 이션 매력 때문이다. 지난주 말 기준 선진시장대비 이머징시장의 PER은 73.4%를 기 록했다. 10년 평균이 80.6%임을 감안하면 앞으로 7%p 정도 격차가 좁혀질 여지가 남아있다. 밸류에이션 갭 좁히기가 계속되려면 주변 여건에 변화가 생겨서는 안 되는데, 다음의 세 가지 지표를 통해서 가늠할 수 있다. 첫째, FRB의 통화정책 변화 여부는 미 국채 금리에서 TIPS 금리를 차감한 breakeven rate에서 확인할 수 있다. 2.5%를 상단으로 근원 PCE 상승률에 선행해서 움직여왔기 때문에 이번에도 2.5%에 도달하면 긴축에 대한 우려가 커질 것이다. 둘째, 공급 물량이 증가하면 미국 주식시장이 하락 압력을 받을 것이다. 이는 블룸버 그 IPO지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지수는 주식이 상장한 이후의 등락을 나타내는데, 상장 물량이 많아지거나 비싸게 상장하면 유통시장의 매수자가 감소하면서 하락 압력 을 받는다. 셋째, 중국 경기의 반등이 예상을 웃도는 수준인지는 중국 경기서프라이즈지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기가 회복되면서 눈높이는 후행적으로 높아질 것이고 성장률 목표 를 달성한 중국 정부가 추가 정책을 내놓지 않으면 실제치는 높아진 예상치에 미달할 것이다. 아직 국내 주식시장의 모멘텀이 다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모멘텀이 최고조에 달하는 순간까지 주식의 비중확대 전략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20140803 변곡점을 알릴 세 개의 지표[1] by FNGENII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