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바이오
(035810)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하반기 실적도 긍정적
Snapshot: 농축산업 수직계열화의 팔방미인 이지바이오는 1988년 사료첨가제 사업을 기반으로 설립됐다. 이지바이오 그룹은 농축산업
음식료
의 모든 Value Chain, 즉 곡물 경작부터 사료, 사료첨가제, 가축, 가금, 가축 진단 및 백신 등을 수직계열화한 국내 유일의 종합 농축산 기업이다. 사업부별 매출 비중은 2013년 연결
Company Report 2014.9.1
기준 사료부문(FB) 48%, 가축부문(LB) 18%, 가금부문(PB) 32%, 기타 2% 순이다. 주요 연 결대상 종속회사 및 매출 기여도는 2013년 기준 팜스토리 22%, 서울사료(비상장) 18%, 마
매수
(Maintain)
니커 14%, 이지바이오 5% 순이다. 이익 기여도는 매출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사료부문 이 가장 크고 다음이 가축부문, 가금부문 순이다.
10,000
목표주가(원,12M)
7,950
현재주가(14/08/29,원) 상승여력
2Q Review: 어닝 서프라이즈! 돈육시세 상승, 사료사업 개선으로 사상 최대실적 기록 2분기 실적은 매출액 3,808억원(YoY +8%), 영업이익 260억원(YoY +52%), 지배주주 순이
26%
익 191억원(YoY +503%)으로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시현했다. 특히 이익 면에서 당사 예상
83 81
가축부문 호조, 호조, 2) 곡물가 하락, 하락, 원화 강세 등에 따른 사료부문 호조, 호조, 3) 원달러 환율 하락에 따른
168.1 12.7 11.3 12.1 570.20
돈육 시세는 2분기말 기준 kg당 kg당 6,059원으로 6,059원으로 전분기대비 25.5% 상승했다. 올해 돈육 연평균 시
치를 크게 상회하여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실적 호조 배경은 1) 돈육 시세 상승에 따른 영업이익(14F,십억원) Consensus 영업이익(14F,십억원) EPS 성장률(14F,%) MKT EPS 성장률(14F,%) P/E(14F,x) MKT P/E(14F,x) KOSDAQ 시가총액(십억원) 발행주식수(백만주) 유동주식비율(%) 외국인 보유비중(%) 베타(12M) 일간수익률 52주 최저가(원) 52주 최고가(원) 주가상승률(%) 주가상승률(%) 절대주가 상대주가 230
373 47 67.4 7.3 1.20 3,910 8,350 1개월 13.7 8.1
6개월 52.9 41.8
이지바이오
12개월 12개월 98.8 81.4
KOSDAQ
외환관련이익 발생 등이다.
세도 kg당 5,032원으로 전년대비 30.6% 상승했다. 시세 상승 이유는 1) 돼지 질병(PED) 등에 따른 공급 차질, 2) 정부의 모돈 감축 영향, 3) 여름철 성수기 효과 및 캠핑족 증가 등 으로 파악된다. 돈육 시세는 추석 이후 비수기에 진입하겠지만 스포츠행사, 캠핑족 증가 등 으로 전년대비 견조할 전망이다. 생계 시세는 2분기말 중닭 기준 1,690원으로 1,690원으로 전분기대비 22.8% 하락했다. 올해 생계 연평균 시
세도 1,941원으로 전년대비 10.4% 하락해 2분기부터 부진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시세 하락 이유는 1) 세월호 사건 이후 수요 부진 지속, 2) 전년도 입식 증가에 따른 단기 공급 과잉, 3) 업계 가격 경쟁 심화 등이다. 3분기도 생계 시세가 업계 손익분기점(BEP) 이하로 형성되고 있는 점을 감안시, 자회사 마니커의 실적 턴어라운드는 3분기에도 어려울 전망이 다. 다만, 지난 2012년 하반기에 있었던 정부의 공급 조절 효과가 올해 하반기에 시작될 것 으로 예상되고 아시안게임 등 스포츠행사가 있어 점진적인 시세 회복이 기대된다.
Valuation: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만원으로 상향
180
이지바이오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만원으로 10% 상향한다. 2분기 실적 호조를 반영해 올해 이익 추정을 상향 조정했다. 현 주가는 올해 예상 기준 P/E 11.3
130
배 수준이며, 음식료 B2B 산업에 부여할 수 있는 Target P/E를 15배 정도로 판단하기에
80 13.8
13.12
14.4
[창조비즈니스] 박승현 02-768-4194 seunghyeon.park@dwsec.com
14.8
주가 상승 여력은 여전히 높다고 판단된다. 또한 러시아 등 해외 곡물경작, 자회사 옵티팜 을 통한 바이오 사업, 사료첨가제 수출 등 추가적인 성장 잠재력도 풍부하다. 결산기 (12월) 매출액 (십억원) 영업이익 (십억원) 영업이익률 (%) 순이익 (십억원) EPS (원) ROE (%) P/E (배) P/B (배)
12/11 1,070 47 4.4 10 224 5.9 17.9 1.0
12/12 1,545 27 1.7 17 367 9.0 8.5 0.7
12/13 1,504 39 2.6 12 263 6.0 18.8 1.1
12/14F 1,537 83 5.4 38 706 15.3 11.3 1.5
12/15F 1,591 95 6.0 44 810 14.4 9.8 1.3
주: K-IFRS 연결 기준, 순이익은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 전환사채(CB) 관련 희석 요인 100% 선반영 자료: 이지바이오,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2/16F 1,648 105 6.4 49 900 14.0 8.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