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전망
2014.9.15 투자전략 김학균 02-768-4164
hakkyun.kim@dwsec.com
반전의 조짐–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 강세장의 가장 큰 동력이었던 저금리 기조에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미국과 독일 장기 금리는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양적완화가 종결될 10월 이후 미국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금리 상승으로 귀결되고 있다. 재차 연준과 시장의 소통이 중요해지고 있는데, 통화정책과 관련된 불확실성은 과거 보다 높아졌다. 옐런 연준 의장은 지난 8월 잭슨홀 연설에서 미국의 고용 회복이 가시화되지 않더라도 긴 축으로 돌아설 수 있는 명분을 만들었다. 고용시장의 더딘 회복이 연준의 통화정책으로 풀 수 없는 ‘구조적 Slack(부진)’에 기인한다면, 고용의 충분한 회복이 없더라도 긴축을 선택 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미국의 CPI 상승률은 연준의 인플레 목표치인 2%에 3 개월째 도달해 있다. 미국 금리 상승은 달러 강세로 이어져 비달러 자산에 대한 선호를 저하시킬 수 있다. 7~8 월의 달러 강세가 엄밀히는 유로화와 엔화 약세의 반작용이었다면, 최근의 달러 강세는 미 국 금리 상승에 기반한 명실상부한 달러 강세이다. 신흥시장에 대한 외국인 매수 강도는 약화되거나, 지난주 후반처럼 순매도로 반전될 수도 있다. 연말까지의 시장 흐름에서 KOSPI가 중기 박스권을 상향 돌파하기보다 재차 박스권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림 1. 신흥시장에서의 외국인 매수 강도 약화 – 미국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 여파? 여파? ($ mn) 1,200 한국
대만 950.5
1,000 800
940.9
669.4 571.7
515.8
600
401.3 400
343.6
258.4
200
74.3
0 -123.6
-200
-235.8
-400 -600
-469.1 8월 첫째주
8월 둘째주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8월 셋째주
8월 네째주
9월 첫째주
9월 둘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