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산배분전략
2014.10.23
크로스에셋전략 이승우 02-768-3050
seungwoo.lee@dwsec.com
유럽, 반가우나 이전처럼 뜨겁지는 못할 듯 시장이 ECB의 회사채 매입 가능성에 환호했던 것도 정책과 유동성에 나올 수 있는 곳 압축됐기 때문이다. 내년 말까지 4대 중앙은행의 자산 규모는 유럽 이 유럽과 일본으로 압축 과 일본을 중심으로 지금보다 약 18%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철저히 유동성에 예상 의존했던 글로벌 자산시장에 긍정적인 부분이다. 또한 앞으로 글로벌 자산시장의 드 라이버가 이들 지역에 있을 가능성이 큰 이유이다. 유럽의 정책 기대로 인해 글로벌 자산시장에는 되돌림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예상 이는 위험자산 가격의 반등, 반등, 안전자산과 달러 가치의 진정으로 표출될 것으로 보인다. 이머징 증시와 상품시장도 되돌림의 수혜를 받을 수 있다. 단, 글로벌 복합위기 이후 계속됐던 큰 구도로 구도로의 완전한 완전한 복귀인 복귀인지 여부는 신중하게 살펴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최근 한 발 물러나고 있는 듯한 1)미국이 볼 필요 1)미국이 통화정책을 원래 의 예상 경로대로 시행할 가능성이 남아 있는데다가 2)유럽과 2)유럽과 관련해 우려할 부분 역시 여전하기 때문이다. 여전 최근 미국이 금리인상 시점을 지연시킬 제스처를 보이고 있으나 시점의 문제이거나 립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1)유럽의 서비스일 가능성 1)유럽의 정책이 미국과는 달리 가격 메리트가 높지 않은 시점에 나오고 있다는 것, 2)유럽의 2)유럽의 정치 역학이 정책의 발목을 잡을 수 있으며 3) 구조적인 개혁 없는 금융 부양책은 부양책은 한계를 한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4대 중앙은행의 자산 규모 (tln, USD)
14
BOE BOJ ECB FED
12 10 8 6 4 2 0 02
03
04
05
06
주: 향후 전망치는 Credit Suisse 자료: Bloomberg,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