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석
2014.11.4 [경제] 서대일 02-768-3069
daeil.suh@dwsec.com
BOJ, 서두른 양적완화의 시사점은? ECB 부양책 재촉, 궁극적으로 FED 유동성 만회를 기대 일본은행의 추가 양적완화로 엔화 약세가 가속화되고 아베노믹스에 대한 낙관론과 비 관론이 다시 팽팽한 대립을 하고 있다. 이번 일본은행의 조치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 은 단기적으로 ECB의 추가 정책 자극, 중기적으로 엔 캐리 확대에 따른 자산가격 부 양 효과이다.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1) 공급 측면의 디플레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ECB나 한국은행 등 공급 측면 물가 하락에 소극적인 대응을 하는 다른 중앙은행 역할을 제고시킬 단서가 생겼다. 2) 자산 가격 상승을 통한 경기 부양 기조를 강화했다. 유동성 함정 하에서 자산 효과 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3) 재정과 통화정책의 공조 중요성을 보여줬다. 재정지출 여력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중앙은행의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 4) 궁극적으로 ‘달러 캐리
엔 캐리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일본의 양적완화 확대가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 시점에 단행된 것도 흥미롭다. 일본은행의 10조엔 매입 확대를 월로 환산하면 약 8,500억엔, 85억 달러의 신규 유동성이 공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ECB의 유동성 확대를 감안하면 미국의 유동성 공급 축소 효과를 만회하는데 안전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엔화 약세로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가 연속적으로 이뤄지진 않을 듯 하다. 유럽의 정 책 속도, 경기 회복이 지연될 것인가가 연말 추가 인하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림 1. 엔화 약세, 약세, 장기 추세 예상
그림 2. 미국 연준의 유동성 축소, 축소, 다른 선진국 유동성이 보완할까? 보완할까? 엔화 약세
130
0.7
엔/달러(L)
(전월비, 십억$) 250 ECB 자산 FED 자산
200
BOJ자산/FED자산(R)
BOJ 자산
120
0.65
150 100
110 0.6 100
50 0
예상 흐름 0.55
90
-50 -100
0.5
80
-150 -200
70
0.45 10
11
12
자료: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3
14
15
16
-250 10
11
자료: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