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석
2014.11.12 [경제] 서대일 02-7683069069
daeil.suh@dwsec.com
한국 외환정책, 수세에서 공세로 전환 ‘원-엔 동조화’ 시사, 환율 상승 용인 정부의 외환정책 방향이 원화 약세를 용인하는 쪽으로 변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1/6, 주형환 기획재정부 1차관이 “ 엔화 움직임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하고, 엔화와 원화가 동조화해서 움직이도록 하고 있다” 있다”고 밝혔다. 외환 정책의 미세한 변화를 시사한다. 엔/달러 환율이 상승( 상승(엔화 약세) 약세)하면 원/달러 환율도 상승( 상승(원화 약세) 약세)하도록 유도해 원/100엔 100엔 환율을 일정수준에서 관리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원/달러 환율 상승을 통해 엔/달러
환율의 부정적 효과를 상쇄하겠다는 것이다. 2000~2003년 상반기까지 원/100엔 환 율이 상수처럼 움직였던 경험을 감안하면 현실성 있는 대응이다. 정부가 생각하는 적정환율 수준과 개입 강도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최근 원 /100엔 /100엔 환율은 940원 940원~960원 ~960원 수준에서 변동을 보이고 있으며, 있으며, 이를 관리 수준으로 생각하면 원/달러 환율 변동 폭은 1,080~1, 080~1,100원 100원이다. 엔화 약세가 지속되어 엔/달러 환율이 120엔 120엔 까지 상승할 경우 원/달러 환율 상단은 1,150원까지 150원까지 열어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원-엔 동조화’ 동조화’가 강해질 경우, 경우, 수출 측면에서 엔화 약세 부담을 완화시켜 완화시켜 주고 엔저에 적응할 시간을 벌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기대된다. 내년 초까지 재정 정책의 실행 시차 공백을 메워주는 효과도 효과도 기대하는 부분이다. 부분이다. 주식시장 측면에서는 엔저 우려가 높았던 수출 기업에 대한 시각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원
화 약세에 따른 자금 유출 우려는 크지 않다. 환율 변동은 주가 변동 폭이 만회할 수 있는 수준에 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변화된 외환정책은 외환정책은 추가 기준금리 인하와 채권 강세 를 자극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정책과 동반될 때 효과가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원-엔 동조화로 전환되나? 전환되나? (엔)
(원) 1,800
원/100엔 (L) 원-엔 동조화
160
엔/달러 (R)
150
비동조화
1,600
140 130
1,400
120 1,200
110 100
1,000
90 80
800
70 600
60 98
99
00
01
02
03
자료: Bloomberg,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