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전망
2014.12.22 투자전략 노아람 02-768-4153
aram.noh@dwsec.com
1998년 러시아 위기 vs 현재 상황 최근 국제유가 및 러시아 루블화 폭락으로 인한 증시 하락은 1998년 러시아 모라토 리엄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 1998년 러시아 모라토리엄 선언으로 혼란을 겪었던 글로 벌 증시가 V자형의 빠른 회복세로 전환할 수 있었던 이유는 1) 연준의 공격적인 금융완 화 정책, 정책, 2) 선진국의 선진국의 견조한 수요, 수요, 3) 통화가치 급락에 따른 수출 회복, 회복, 4)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 때문이었다. 때문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경제 및 정치적 환경은 당시와 다르기 때문에 위기의 조기 종결 및 증시의 급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상황이다. ① 연준의 통화 정책 차이: 차이: 1998년 9월 29일부터 연준이 세 차례의 금리 인하를 단행했
고 이에 따라 글로벌 증시는 상승 추세로 전환했다. 그러나 현재는 미국 연준이 추가 적인 금융 완화보다는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시점이다. ② 선진국 수요 환경 차이: 차이: 1998년 선진국 경제성장률은 3.6%였고 2015년에는 2.3%가
예상된다. 2015년에는 미국만 유의미한 성장률 증가가 예상되며 유로존 경기 회복 부 진으로 중국 및 한국의 수출 둔화가 예상되고 있다. 또한 현재 원자재 보유국 수출 비 중이 높다는 점도 한국 수출에 부정적이다. ③ 통화 가치 비교: 비교: 1997년부터 1998년 초 원화 가치의 급락은 시차를 두고 수출 회복
에 도움이 되었다. 최근에도 달러 강세 기조로 인해 원/달러 환율은 절하되었으나 절 대적인 레벨과 절하 강도가 1997~1998년 당시보다 크지 않다. 또한 일본의 엔화 가 치 하락이 더욱 크기 때문에 환율 상승에 따른 수출 회복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다. ④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 향상: 1999년에는 기술혁신 및 생산성 향상과 같은 증시의 성장
동력이 존재하였지만, 현재는 IT 기술혁신의 모멘텀이 둔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1998년 위기 당시 업종별로는 금융주(은행주)가 가장 많이 떨어졌는데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부실은행 구조조정이 더욱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위기에서는 시크리컬 업종의 하락폭이 크다. 크다. 과거와는 다른 환경으로 러시아 위기가 위기가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보여 단기적으로 시크리컬 업종의 업종의 상승세로의 전환은 어려워 보인다. 보인다. 연말 투자전략으로는 저성장 기조 속에서 매출 성장세가 나타나고 있는 틈새 종목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관심이 필요하다. 필요하다. 더불어 연말을 맞이하여 정부의 배당확대정책과 맞물린 배당정책 주, 업황 모멘텀이 지속 중인 반도체/ 반도체/반도체장비, 반도체장비, 이익모멘텀이 살아나고 있는 금융주, 금융주, 그리고 금융과 기술을 융합한 핀테크(fintech) 핀테크(fintech) 관련주에 대한 접근이 유효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