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05 [1월 전략] ecb가 휘두를 무기 바주카포가 아니라 물총[1]

Page 1

1월 주식시장 전망 2015.1.5

ECB가 휘두를 무기 – 바주카포가 아니라 물총

[투자전략]

1월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국채 매입을 통한 양적완화 발표될 가능성 높아

김학균 02-768-41644164 hakkyun.kim@dwsec.com

양적완화가 시행되더라도 유로존 민간은행들의 대출 증대 효과 미미할 전망 KOSPI 1,880~1,980p 예상

1월 장세의 키드라이버는 ECB 양적완화 우리는 주요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이 자산 가격 결정에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점 을 줄곧 주장해왔다. 리먼브라더스 파산 이후의 글로벌복합불황 국면에서 주가 반 등을 이끌었던 동력은 연준과 ECB, BOJ 등 (준)기축 통화국 중앙은행들이 풀어낸 기록적인 통화 증발(

)이었다.

1월 증시의 핵심 변수는 ECB의 통화정책이다. ECB 드라기 총재가 공언해 온 국 채 매입을 통한 양적완화가 가시화될 수 있는 시기가 1월이다. 우리는 ECB의 양 적완화 정책이 큰 효과를 보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ECB 국채 매입의 위헌 논란, 국채를 매입한다고 하더라도 어느 나라의 국채를 매 입할 것인가라는 문제, 민간은행이 보유한 국채를 ECB가 산다고 하더라도 과연 민간은행들이 대출을 늘릴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문제 등이 상존하고 있다. ECB 통

화정책회의 전후 오히려 글로벌 금융시장이 크게 동요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상장사들의 2014년 4분기 실적도 우려된다. 상장사들의 분기 실적 발표가 실시된 2000년 이후 상장사들의 4분기 실적 발표는 대체로 극심한 어닝 쇼크로 귀결됐 다. 4분기 실적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가 많이 낮아졌지만, 아직도 실적 컨센서스는 과도하게 높은 수준이다. 1월이 한국 주식시장의 의미있는 터닝 포인트가 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그림 1. 글로벌 주가는 주요 중앙은행들의 자산 증가를 반영해 상승 (십억 달러) 12,000

(P) 3대 중앙은행 자산(L)

MSCI 세계지수(R)

500

10,000

400

8,000 300 6,000 200

4,000

100

2,000 03

04

05

06

07

08

09

10

주: 3대 중앙은행은 연준, ECB, BOJ /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1

12

13

14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