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11 긍정적인 스토리를 찾아서[1]

Page 1

시황전망 2015.1.12

긍정적인 스토리를 찾아서

[투자전략]

금과 원유 간의 장기 교환가치 고려 시, 유가의 의미 있는 지지선은 배럴당 40 달러

한요섭 02-768-4183 yoseop.han@dwsec.com

유가 1분기 바닥이면, 바닥이면, 정유/ 정유/화학업종 숨통 트인다 경기방어주 위주의 포트폴리오 유지, 유지, 그러나 선별적인 경기민감 섹터 비중확대 필요

투자자들의 고민, 유가 지난 주 초반 유가 하락이 또다시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투자자들의 마음 속에 는 유가가 전저점(08/12/22, 31 달러)을 깨고 20 달러 대까지도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감이 있는 듯 하다. 펀더멘탈로는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다른 방법으로 유가의 바닥을 예상해 볼 필요 가 있어 보인다. 대표적 글로벌 안전자산인 금과 원유 간의 교환가치가 하나의 대 안이 되지 않을까 싶다. 금값과 유가에는 글로벌 정치, 사회, 경제, 전쟁, 기술발전 등 다양한 변수들이 투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달러화로 표시된 유가보다는 환율과 인플레 등 다양한 변수가 가격에 반영되어 있는 금값과 유가를 비교해 보자.

금과 원유 간의 장기 교환가치 고려 시, 유가의 의미 있는 지지선은 배럴당 40 달러 금 1온스로 살 수 있는 원유량 추이를 살펴보면, 역사적 고점은 ‘73년 6월 온스당 43.5배럴이었다. 최근 1년간 가장 낮은 금값 기준으로 보수적으로 계산해보면, 유 가는 배럴당 26 달러가 된다. 그렇다고 유가가 30 달러를 깨고 내려가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 시기는 ‘71년 8월,

닉슨 대통령의 달러와 금을 교환하는 금태

환 정지로 너도나도 금을 사 모으며 금값이 온스당 43 달러에서 ‘74년말 200 달 러까지 급등하던 비정상적인 시기였기 때문이다. 유가도 ‘73년 1차 오일쇼크로 급 등하긴 했지만, 동일 기간 배럴당 3.56 달러에서 11 달러로 금값 상승률보다 낮았 다. 그림 1. 글로벌 안전자산인 금과 원유의 역사적 교환가치 추이 (금 1 온스로 살 수 있는 원유 배럴량) 45 40

85~86년, 북해 유전 생산량 확대 + 영국 대처 총리, 원유가격 자유화 선언 + OPEC의 저생산 고유가 정책 포기로 증산경쟁 가열 시기

35 33배럴/온스

30

러시아

글로벌

모라토리움

복합위기

유가 35 달러 유가 41 달러

28배럴/온스

25 20 15 10 5 70

75

80

자료: BP, LBMA,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85

90

95

00

05

10

15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20150111 긍정적인 스토리를 찾아서[1] by FNGENII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