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석 중국 지준율 전격 인하, 다음 바통은 한국?
2015.2.5
[경제]
중국 인민은행, 인민은행, 지준율 19.5%로 19.5%로 50bp 인하 발표
서대일 02-768-3069 daeil.suh@dwsec.com
7%대 7%대 성장률 방어를 위한 정책적 의지 표명, 표명, 1분기 1분기 추가 완화 예상 주요국 금융 완화 자극, 자극, 경기 하강 위험 방어. 방어. 위험자산 가격에 긍정적 효과 확산될 듯 대외건전성 위험이 낮은 아시아 신흥국 자산에 자산에 재평가 요인으로 작용
허재환 02-768-3054 Jaehwan.huh@dwsec.com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 지속 예상, 예상, 원화 강세 기대 완화 필요
최홍매 02-768-3439 Hongmet.cui@dwsec.com
중국, 지준율 인하 단행 중국 인민은행이 지준율을 19.5%로 19.5%로 50bp 인하했다. 작년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이후 추
가로 단행된 조치다. 경기 하강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당국의 적극적 의지를 표명하는 동시에 경기 부양에 대한 정책 신뢰를 높이는 목적으로 해석된다. 중국 정책당국은 이미 12월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통화정책의 적절한 조정, 조정, 신축적 운용을 시사해 1 분기 중 추가 완화 기대를 높인바 있다. 중국 인민은행의 지준율 인하의 배경과 시사점
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 인민은행의 지준율 인하의 배경 1) 경기 하강위험 선제적 차단, 경기 부양 의지 표명: 표명: 중국 인민은행은 작년 11월 금리 인
하를 단행하고 선별적 금융완화 기조를 유지했지만 실물 경기 회복은 부진했다. 4 분기 성장률이 전년동기대비 7.3%로 200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단기적인 경기 활력을 보여주는 전기대비 성장률도 6%(연율화)로 둔화되어 경기 하강위험 이 커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1월 제조업 기업체감지수(PMI) 역시 49.8을 기록해 2011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 했다. 춘절을 앞두고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는 계절적 요인을 무색하게 하는 것이 다. 작년 금리 인하에도 내수 부양 효과가 제한적이었음을 보여준다. 그림 1. 중국 지준율 인하, 인하, 금융정책 완화 선회를 공식적 표명 (%)
그림 2. 중국 경기 둔화 압력 확대 (%)
중국 지준율_대형은행
25
중국 전년동기대비 성장률
16
중국 지준율_소형은행
중국 전기대비 성장률 (연율)
중국 대출금리
14
20
12 15 10
8
10
7% 6
5 4 0 00
01
02
03
04
05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2 06
07
08
09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