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석 중국 지준율 전격 인하, 다음 바통은 한국?
2015.2.5
[경제]
중국 인민은행, 인민은행, 지준율 19.5%로 19.5%로 50bp 인하 발표
서대일 02-768-3069 daeil.suh@dwsec.com
7%대 7%대 성장률 방어를 위한 정책적 의지 표명, 표명, 1분기 1분기 추가 완화 예상 주요국 금융 완화 자극, 자극, 경기 하강 위험 방어. 방어. 위험자산 가격에 긍정적 효과 확산될 듯 대외건전성 위험이 낮은 아시아 신흥국 자산에 자산에 재평가 요인으로 작용
허재환 02-768-3054 Jaehwan.huh@dwsec.com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 지속 예상, 예상, 원화 강세 기대 완화 필요
최홍매 02-768-3439 Hongmet.cui@dwsec.com
중국, 지준율 인하 단행 중국 인민은행이 지준율을 19.5%로 19.5%로 50bp 인하했다. 작년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이후 추
가로 단행된 조치다. 경기 하강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당국의 적극적 의지를 표명하는 동시에 경기 부양에 대한 정책 신뢰를 높이는 목적으로 해석된다. 중국 정책당국은 이미 12월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통화정책의 적절한 조정, 조정, 신축적 운용을 시사해 1 분기 중 추가 완화 기대를 높인바 있다. 중국 인민은행의 지준율 인하의 배경과 시사점
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 인민은행의 지준율 인하의 배경 1) 경기 하강위험 선제적 차단, 경기 부양 의지 표명: 표명: 중국 인민은행은 작년 11월 금리 인
하를 단행하고 선별적 금융완화 기조를 유지했지만 실물 경기 회복은 부진했다. 4 분기 성장률이 전년동기대비 7.3%로 200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단기적인 경기 활력을 보여주는 전기대비 성장률도 6%(연율화)로 둔화되어 경기 하강위험 이 커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1월 제조업 기업체감지수(PMI) 역시 49.8을 기록해 2011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 했다. 춘절을 앞두고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는 계절적 요인을 무색하게 하는 것이 다. 작년 금리 인하에도 내수 부양 효과가 제한적이었음을 보여준다. 그림 1. 중국 지준율 인하, 인하, 금융정책 완화 선회를 공식적 표명 (%)
그림 2. 중국 경기 둔화 압력 확대 (%)
중국 지준율_대형은행
25
중국 전년동기대비 성장률
16
중국 지준율_소형은행
중국 전기대비 성장률 (연율)
중국 대출금리
14
20
12 15 10
8
10
7% 6
5 4 0 00
01
02
03
04
05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2 06
07
08
09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0
11
12
13
14
15
KDB DAEWOO DAILY
경제분석
2015.2.5
2) 특히 이번 조치로 경제 구조 개혁 과정에서 경기 하단을 7% 성장률로 방어: 중국 정책당국
의 연간 성장률 목표가 7.5%에서 7% 초반으로 소폭 하향 조정될 것으로 예상되 는 가운데 작년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경기 부양책에 대한 신뢰를 분명히 할 필요 가 있는 시점이다. 3) 핫머니를 포함한 자본 유출 우려를 억제: 억제: 신흥국 경제의 공통된 고민으로 볼 수 있는
데 결과적으로 선진국 대비 성장세가 약화되면서 투자자금 유출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 역시 국제수지 내역을 보면 단기 투자자금 유출이 은행 대외 차입금 상환과 무역신용 공여 위축(국제수지의 세부내역은 아직 작년 3분기까지 발표)으로 나타 나고 있다. 경상수지 흑자로 대외 건전성은 유지되고 있지만 불규칙한 자금 유출 이 성장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책 당국의 유동성 공급이 필요하다. 4) 위안화 강세 심리 조절을 통한 성장 동력 확보: 확보: 작년 상반기에 반복되었던 흐름 이다. 구조 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세계 수요 둔화는 경기 둔화 압력을 가중시 키고 있다. 최근의 위안화 약세는 자금 유출 이외에 정부의 개입이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림 3. 작년 금리 인하에도 중국 체감경기는 계절적 요인보다 부진
(십억$)
(국가통계국 PMI, P) 53
그림 4. 중국 투기적 자금 유출, 유출, 유동성 지원 필요 중국 경상수지
150
2014년 이후
중국 해외 차입금
최근 5년 평균 100 52 50 51 0
50 -50
49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0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금융시장에 미치는 시사점 1) 중국, 중국, 금융완화로 상반기 경기 하강 위험 통제 예상: 예상: 중국 인민은행의 지준율 인하 조치
는 경기 하강위험을 정책 당국이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동시에 추가 완화 정 책에 대한 기대를 높일 것이다. 당사는 1분기 중 중국의 추가 금리 인하와 지준율 인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수요 부진 이외에 작년 하반기 이후 급락한 유가 하락이 1분기 물가 상승 압력을 상당히 억제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2) 글로벌 통화 완화 기조 확산 자극: 자극: 인민은행의 지준율 인하는 유럽중앙은행(ECB)의
양적완화 조치 이후 주요국 통화정책이 확정적으로 선회하고 있는 상황과 무관치 않다. ECB의 조치가 세계 성장이 미미한 상황에서 국가별 내수 성장과 외환정책 (통화가치 하락)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KDB DAEWOO DAILY
경제분석
2015.2.5
3) 주요국 주식 등 위험자산에는 호재: 호재: 작년 하반기 금융시장의 우려는 미국의 통화 긴
축 이었지만 그에 상응하는 유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 신흥국의 통화가치 안 정이 그 같은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특히 우리는 아시아의 자산 가격이 다른 지 역 보다 매력적일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수요 증가에 중요한 중국의 경상수지가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고 자금유출 압박을 완화시켜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4) 중국 정책 당국의 경기 부양의지는 구리 등 산업재 가격의 가격의 단기 반등 요인: 요인: 최근 미국 경기
둔화로 인한 달러화 약세와 더불어 중국의 경기 부양 조치는 산업재 가격 상승을 이끌 것이다. 당사는 상품 가격 하락을 이끄는 수급 요인이 빠르게 해소되기 어렵 다고 보고 있지만 단기적인 모멘텀으로 주목할 만하다. 5) 한국 금융시장에는 금융시장에는 주식 및 채권 가격에 강세 재료로 작용할 것: 한국 시장에 미치는 영
향을 복잡하다. 채권 시장만 보면 주요 교역국들의 금융완화가 위험선호를 높이면 서 세계 수요를 자극해 시중 금리를 높일 수 있고 반대로 정책 공조에 동참할 가능성 을 높여 주식과 채권 가격에 모두 긍정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당사의 의견은 후자에 가까운데 금융완화와 통화가치 하락 시도가 작년에는 일본 에 그쳤던 것과 달리 미국을 제외한 세계 경제에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행의 추가 금리 인하와 유동성 확대에 대한 기대를 더 자극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원화가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며 중국의 금융완화로 위 안화 약세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원/달러 환율은 하락 요인 보다 상승 요인 에 대한 경계심을 유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 5. 중국 금융완화, 금융완화, 내수부양과 환율 방어 두 가지 효과 도모 (위안) 6.9
그림 6. 독보적 원화 강세, 강세, 한국은행의 금융완화 동참 의지를 자극할 듯 (%)
위안/달러 (L)
4
1600
원/달러 (L)
실질실효환율 (R)
40
중국 대출금리 (축반전, R) 6.8
1500
6.7
1400
60
6.6
5
80 1300
6.5 100
1200 6.4 1100 6.3
120
6 1000
6.2
140 900
6.1 6
7 10
11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2
13
14
15
800
16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