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전망 그리스발 노이즈 발생 가능하지만…
2015.2.9
[투자전략]
이번 주 유로그룹과 EU 정상회의, 정상회의, 다음 주 EU 재무장관회의에서 그리스 채무 관련 논의
한요섭 02-768-4183 yoseop.han@dwsec.com
각종 노이즈 발생 가능하지만, 가능하지만, 타결방안이 구체화될수록 글로벌 유동성은 리스크 자산으로 선별적인 경기민감주 비중확대 유지, 유지, 수출주와 해외수주 관련주에 대해서는 중립 유지
그렉시트(Grexit) 관련 불안감 증폭 vs 반전 가능성 그리스와 ECB 간의 냉전이 심상치 않은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그리스 측에서 긴 축 철회 및 재정지출 확대, 기존 채무의 명목성장률 연동 국채 스왑, ECB 보유분 의 영구채 전환, 브릿지 금융을 위해 단기 국채 발행한도 100억 유로 상향 요구 등의 카드를 내놓자마자 ECB는 즉각적인 강경 조치에 나섰다. 2월 4일, ECB는 MRO, LTRO, TLTRO 등에서 그 동안 예외적으로 인정해주던 그 리스 국채의 대출 담보물 인정을 2월 11일부터 중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로 인해 그리스 국채를 담보로 자금조달을 해 왔던 그리스 은행들의 자금경색이 심화 되게 되었다. 대안으로 그리스 중앙은행(BOG)의 긴급유동성지원(ELA: Emergency Liquidity Assistance)이 가능하지만, ECB 대출금리 0.05%보다 높은 1.55%로 조달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ECB는 ELA 한도를 595억 유로로 제한하고 있어 뱅크런 리 스크마저 높아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S&P는 2월 6일 그리스 신용등급을 ‘B’에서 ‘B-‘로 한 단계 낮추었고, 무디스는 ‘Caa1’을 유지하되 향후 등급 하향이 가능한 부정적 검토대상으로 변경 했다.
그림 1. 지난 주 부정적인 뉴스에도 견조한(?) 견조한(?) 그리스 금융시장 그리스 Athex Composite Share Price(L) 그리스 10년 국채금리(R)
(p)
그림 2.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12월까지 55억 55억 유로가 그리스 은행에서 유출 (%)
(EURbn)
1,400
12
1,300
11
230
10
220
1,200
240
210
1,100
9
1,000 8
900
7
800 700 600 14.1
그리스 은행 예금잔고(L)
250
14.3
14.5
14.7
자료: CEIC,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4.9 14.11 15.1
15.3
200 190 180 170
6
160
5
150 07
08
09
10
자료: CEIC,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