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210 헬스케어 (비중확대 maintain)[1]

Page 1

헬스케어 (비중확대/Maintain)

빅파마 화이자의 호스피라 인수 함의 화이자는 호스피라를 170억 170억 달러에 인수, 인수, 주사제와 바이오시밀러의 성장성 때문 Issue Comment 2015.2.10

호스피라 인수 함의 3가지 : 바이오시밀러의 상업적 포텐셜, 포텐셜, 선점의 중요성, 중요성, 과점화 국내 업체의 선전 전망, 전망, 특히 셀트리온, 셀트리온, 에이프로젠, 에이프로젠, 삼성바이오에피스 주목

[헬스케어]

화이자의 호스피라 인수 발표

김현태 02-768-3251 hyuntae.kim@dwsec.com

지난 2월 5일 미국의 화이자(Pfizer)는 호스피라(Hospira) 인수를 전격 발표했다. 인수금액은 170억 달러에 이르고, 인수는 2015년 하반기에 완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화이자는 2013년 의약 품 매출액 기준으로 글로벌 2위를 기록한 거대 제약사(빅파마)이다. 호스피라는 주사제 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에 있어 글로벌 선두권에 있는 업체다. 화이자는 호스피라의 사업이 전략적으로 상보적이어서 동사의 글로벌 의약품 사업부(Global Established Pharmaceutical business)에 성장 기반을 추가할 수 있을 것으로 언급했다. 주사제 와 바이오시밀러를 성장 범주로 분류했다. 글로벌 주사제 제네릭 시장은 2020년에 700억 달러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2020년에 약 2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본 인수는 호스피라의 가치를 15년 예상 EPS 기준으로 37배, EBITDA 기준으로 18배를 적용한 것이다. 화이자는 컨퍼런스 콜에서 자사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과 호스피라의 바이오시밀러 파 이프라인이 중복 되는 것에 대해 고려했고, 가치 반영이 본 인수에 포함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호 스피라는 셀트리온의 마케팅 파트너이고, 화이자와 중복되는 파이프라인은 셀트리온의 항체 바이 오시밀러를 의미한다.

화이자의 호스피라 인수 함의 우리는 본 화이자의 호스피라 인수는 다음의 의미를 주는 것으로 판단한다 첫째 항체 바이오시밀러의 상업적 포텐셜의 가시성이 높아졌다. 화이자는 주요 제품들이 브랜드 의약품 즉 오리지널 위주다. 따라서 호스피라 인수는 오리지널이 아닌 항체 바이오시밀러의 상업 적 포텐셜을 반증한 것이다. 또한 셀트리온과 호스피라의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류마티스 관 절염)가 2월부터 오리지널 특허 만료 이후 독일, 영국, 프랑스 등에 본격적으로 판매 개시될 예정 이다. 즉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의 서유럽 상업적 성공 가능성 및 가시성을 화이자가 고려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항체 바이오시밀러의 상업적 포텐셜 증대에 선점이 중요하다. 화이자는 자체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과 중복이 되는 데도 호스피라를 인수했다. 컨콜 Q&A를 통해, 화이자는 중복되는 셀 트리온 파이프라인에 대해 환자 필요 관점에서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고, 셀트리온과 대화를 고대한다고도 밝혔다. 우리는 화이자가 호스피라와 셀트리온과의 계약을 승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첫째, 화이자가 호스피라 인수에 상당히 관대한 금액을 지불했기 때문이다. 둘째 셀트리온의 레미케이 드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가 2월부터 서유럽 판매가 본격화되고, 올해 중반 즈음 미국 허가 여부 가 구체화될 것으로 보여, 글로벌 시장에서 선점이 가능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화이자의 레미케이 드 바이오시밀러는 2017년 9월에나 임상이 종료될 예정이다.


헬스케어 빅파마 화이자의 호스피라 인수 함의

셋째 항체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과점화될 전망이다. 개발사들은 벤처에서 빅파마로 다양하다. 하 지만 판매사들은 빅파마로 압축되고 있다. 미국의 머크는 외부 개발 항체 바이오시밀러를 판매하 기로 되어 있고, 미국의 화이자가 셀트리온의 항체 바이오시밀러를 판매할 가능성이 점증되었기 때문이다.

국내 업체의 선전 전망 국내 다수의 업체들이 항체 바이오시밀러를 개발 중에 있다. 특히 해외 마케팅 파트너를 확보한 업체에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 에이프로젠, DM바이오, 한화케미칼, LG생명과학 등이 있다. 우리는 국내 업체 중에서 셀트리온, 에이프로젠, 삼성바이오에피스 등에 주목한다. 이들은 해외 마케팅 파트너를 확보했고, 글로벌 임상 개발 단계가 종료 되었거나 후기 단계에 있어 상업적 성 과물 도출이 임박해 있기 때문이다.

그림 1. 호스피라의 시가총액 추이

그림 2. 2013년 2013년 의약품 매출액 기준, 기준, 화이자는 글로벌 2위 제약사 (US$bn)

(US$bn) 16

60 50 40

12

30 20 8

10

4 14.1

14.3

14.5

14.7

14.9

14.11

Novartis Pfizer Sanofi Merck Roche GSK JNJ AZ Teva Lilly Amgen Abbvie BI Bayer NN Takeda Actavis Mylan BMS Gilead

0

15.1

자료: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주: JNJ = Johnson&Johnson, AZ = Astrazeneca, BI = Boehringer Ingelheim, NN = Novo Nordisk 자료: IMS,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그림 3. 글로벌 주사제 제네릭 시장 전망

그림 4. 글로벌 항체 바이오시밀러 시장 전망

(US$bn)

RoW

EU5

80

(US$bn)

US $70B

10% CAGR

60

RoW

EU5

$20B

20

10 9

US

8

15

~$30B

40

10

7 6

6

51

20

5

$3B

25 <$1B

0

0 2013

자료: IMS,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2

KDB Daewoo Securities Research

2020F

2012

1 1 1

6

2015F

2020F

자료: Decision Resources,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헬스케어 빅파마 화이자의 호스피라 인수 함의

표 1. 호스피라의 실적 및 주요 투자지표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당기순이익 EPS

(백만달러, %, 달러)

2011A

2012A

2013A

2014F

2015F

2016F

4,057.1

4,092.1

4,002.8

4,455.0

4,569.2

4,903.0

56.8

58.8

16.6

632.8

612.6

766.4

1.4

1.4

0.4

14.2

13.4

15.6

-9.4

44.2

-8.3

422.0

412.8

516.0

-0.1

0.3

-0.1

2.5

2.4

2.9

312.9

306.4

274.1

831.0

809.3

949.7

P/E

-1,748.6

35.3

36.6

29.8

P/B

4.4

4.4

4.0

3.4

54.0

17.8

18.3

15.6

EBITDA

EV/EBITDA 주: 14년 이후 실적 추정은 Bloomberg 컨센서스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표 2. 화이자의 실적 및 주요 투자지표

(백만달러, %, 달러)

2011A

2012A

2013A

2014P

2015F

2016F

매출액

65,259.0

54,657.0

51,584.0

49,605.0

46,499.7

47,563.1

Biopharma Pharma

57,747.0 49,972.0

51,214.0 43,605.0

47,878.0 41,276.0

45,708.0 41,244.0

-

-

Vaccines

4,145.0

4,117.0

3,974.0

4,464.0

-

-

Alliance revenues

3,630.0

3,492.0

2,628.0

957.0

-

-

7,212.0

3,212.0

3,342.0

3,446.0

-

-

Consumer health

3,028.0

3,212.0

3,342.0

3,446.0

-

-

Animal health

4,184.0

-

-

Diversified

Pfizer CentreSource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순이익

-

-

300.0

231.0

364.0

451.0

14,803.0

15,264.0

15,184.0

13,249.0

16,842.8

18,071.3

22.7

27.9

29.4

26.7

36.2

38.0

10,009.0

14,570.0

22,003.0

9,136.0

12,703.4

13,513.3

EPS EBITDA

-

1.3

2.0

3.2

1.4

2.1

2.2

23,710.0

22,919.0

21,594.0

20,729.9

21,347.3

22,258.3

23.0

15.9

14.8

2.7 9.7

2.9 10.1

3.0 9.8

P/E P/B EV/EBITDA 주: 15년 이후 실적은 Bloomberg 컨센서스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그림 5.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지역별 마케팅 파트너 회사 현황

주: 14년 9월30일 호스피라가 셀트리온헬스케어 발행 CB 2억 달러 인수함으로써 미국 및 다른 주요 시장에서 램시마(류마티스 관절 염)와 허셉틴(유방암)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독점권 획득 자료: 셀트리온,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KDB Daewoo Securities Research

3


헬스케어 빅파마 화이자의 호스피라 인수 함의

표 3. 주요 항체 바이오시밀러 개발 현황(1) 현황(1) 성분( 성분(브랜드) 브랜드)

회사

시험약

Infliximab(Remicade)

셀트리온

CTCT-P13

삼성 SB2 바이오에피스

Rituximab (Mabthera/Rituxan)

개발단계 적응증 국내 시판, 시판, 유럽 일부 국가 시판, 시판, 일본 시판, 시판, 류마티스 관절염 등 미국 허가 신청

임상 기간

임상지

-

-

-

Phase 1

-

159

2013.7~2013.10

독일

Phase 3

류마티스 관절염

584

2013.8~2014.8

불가리아, 리투아니아

146 614

2013.5~2013.11 2014.8~2017.09

미국 -

화이자

PFPF-06438179

Phase 1 Phase 3

류마티스 관절염

니찌이꼬

NI-071

Phase 1

-

96

2013.8~2014.1

일본

Phase 3

류마티스 관절염

230

2013.7~2015.03

일본

Phase 1

류마티스 관절염

100

2011.7~2014.4

-

Phase 1

림프종

7

2011.8~2014.12

-

Phase 1

림프종

90

2013.9~2016.1

프랑스, 독일 등

Phase 3

류마티스 관절염 중등도 및 중증 류마티스 관절염

306

2012.9~2016.1

미국, 프랑스 등

250

2013.09~2016.12

미국, 벨기에 등

머크

베링거 인겔하임

MK-8808

BI 695500

Phase 3 셀트리온

CTCT-P10

화이자

PFPF-05280586

산도즈

GP2013

닥터 레디스 Trastuzumab(Herceptin) 셀트리온

화이자

Phase 1 Phase 3 Phase 3

림프종 림프종 림프종

10 250 104

2012.2~2012.10 2014.6~2020.6 201.10~2020.8

한국 스페인 -

Phase 1 Phase 1 Phase 3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147 102 300

2012.2~2015.12 2013.5~2015.12 2014.5~2017.7

한국 한국 오스트리아

Phase 1 & 2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222 157

2012.3~2014.05 2012.8~2015.8

미국, 미국, 호주 등 미국, 미국, 독일 등

Phase 3

림프종

394

2014.9~2017.5

미국

Phase 3

림프종

618

2011.12~2018.3

독일, 프랑스 등

Phase 1

림프종

6

2013.5~2015.3

Phase 1 & 2

류마티스 관절염

297

2011.1~2015.11

일본 아르헨티나, 프랑스 등

DRL_RI

Phase 1 & 2

류마티스 관절염

276

2014.11~2016.5

인도, 우크라이나

CTCT-P6

Phase 1 & 2 Phase 3

전이성 유방암 전이성 유방암

174 383

2010.1~2013.12 2010.6~2013.12

Phase 3

HER2 양성 유방암종

532

2014.6~2019.6

한국 루마니아 -

Phase 1 Phase 1 Phase 3 Phase 3

전이성 유방암 초기 유방암

105 162 690 220

2012.5~2012.12 2014.1~2014.4 2014.2~2016.10 2014.9~2016.12

미국 미국 미국,, 일본 등 미국 미국,, 헝가리 미국

Phase 1

-

109

2014.2~2014.4

독일

Phase 3

HER2 양성 초기 혹은 국소 진전 유방암

498

2014.4~2016.5

체코

PFPF-05280014

삼성 SB3 바이오에피스

자료: NIH,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4

피험자수

KDB Daewoo Securities Research


헬스케어 빅파마 화이자의 호스피라 인수 함의

표 4. 주요 항체 바이오시밀러 개발 현황(2) 현황(2) 성분( 성분(브랜드) 브랜드) Etanercept(Enbrel)

회사 시험약 삼성 SB4 바이오에피스 LG생명과학

Adalimumab(Humira)

LBEC0101

개발단계

적응증

피험자수

임상 기간

임상지

Phase 1

-

138

2013.5~2013.8

독일

Phase 3

류마티스 관절염

498

2013.6~2014.6

폴란드, 영국

Phase 1

-

36

2010.6~2011.1

한국

Phase 1

-

48

2012.11~2014.4

한국

대웅제약

DWP422

Phase 1

류마티스 관절염

38

2012.9~2013.6

한국

한화케미칼

HD203

Phase 1

-

48

2013.7~2015.2

한국

Phase 1

-

44

2011.8~2013.6

한국

Phase 1

-

42

2010.1~2010.8

한국

Phase 3

류마티스 관절염

294

2010.12~2012.5

한국

Phase 1 Phase 1

-

360 210

2014.9~2015.3 2013.5~2014.2

미국 미국

Phase 1

-

189

2014.5~2014.9

독일

Phase 1

-

250

2015.3~2015.8

벨기에, 뉴질랜드

Phase 3

류마티스 관절염

490

2014.5~2015.5

리투아니아, 폴랜드

화이자

PFPF-06410293

삼성 SB5 바이오에피스

GSK

GSK2800528

Phase 1

-

45

2013.7~2014.4

영국

베링거 인겔하임

BI 695501

Phase 1

-

-

2014.1~2014.6

벨기에, 뉴질랜드

Phase 1

-

193

2011.12~2012.7

뉴질랜드

Phase 3

류마티스 관절염

650

2015.1~2017.1

미국

자료: NIH,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표 5. 컨콜 중 셀트리온과 관련한 주요 질문과 답변 정리 원문 질문 1 So is there overlap in the biosimilar product pipeline here? At this stage, we've done some due diligence. We need to get in and sit down and look at the 답변 overall plans. We're satisfied at this stage that the complementary nature of the biosimilars business is a good fit, and we expect it to drive value for Pfizer shareholders. On biosimilars, when I look at the portfolio of the assets that Hospira is working on, you currently have in Phase 3 HERCEPTIN, RITUXAN, REMICADE. You also have AVASTIN and HUMIRA that 질문 2 are in Phase 1. That's a mirror image of what Hospira has partnered with Celltrion. So wouldn't it be logical to part way with the Celltrion assets, especially since internally developed ones would be better to maintain or keep? On the biosimilars overlap that you indicate, we will take new decisions that are best focused on patient needs and value and have a lot of conversations with the regulators on that issue. So rest 답변 assured that we've looked at this and we believe we will take the appropriate decisions to conserve value in the deal. In terms of the Celltrion portion of the Hospira relationship, can you just help us better understand 질문 3 if there are any considerations in the context of the contract with Celltrion and Hospira that would require any movement? I would say that clearly we're at the early stages. We haven't sat down with Celltrion yet. We've looked at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Hospira and Celltrion. We're satisfied that that will allow us to continue to maximize value and continue t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Celltrion and 답변 will enable us to have the appropriate discussions with regulators. And those discussions and the expectations of those discussions are factored into the value of the deal. And we look forward to a discussion with Celltrion on these issues. So I think you can feel satisfied that we don't think this is a major issue for the transaction. But at this stage, we really can't say any more on this.

번역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에 겹치는 부분이 있는 지? 현재 실사가 마무리 된 상태.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상보적인 면 이 잘 맞고, 주주 가치를 제고 시킬 것으로 기대 셀트리온과 파트너인 호스피라도 화이자와 동일한 허셉틴, 리툭 산, 레미케이드를 가지고 있음. 내부 개발 아이템들을 유지하고, 셀트리온 아이템을 내어 주는 게 타당한 게 아닌지? 중복되는 바이오시밀러 관련해서는 환자 필요 및 가치에 집중해 서 새로운 결정을 내릴 것임. 본 사안에 대해 검토했고, 본 딜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적합한 결정을 내릴 것임 셀트리온과 호스피라간 계약에 있어 어떤 움직임을 초래하는 고 려사항이 있는 지? 셀트리온과는 아직 논의 전임. 호스피라와 셀트리온간의 계약 관 계를 검토했음. 검토 결과,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고, 셀트리온 과 좋은 관계를 계속해서 가질 수 있으며, 규제 기관들과 적절한 논의를 할 수 있는 점에 만족함. 향후 논의 및 논의에 대한 기대 등이 본 딜의 가치에 포함되었음. 향후 셀트리온과 논의하기를 기대함. 하지만 현재로써 본 질문과 관련해 더 말할 내용이 없음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KDB Daewoo Securities Research

5


헬스케어 빅파마 화이자의 호스피라 인수 함의

그림 6. 레미케이드( 레미케이드(류마티스 관절염) 관절염) 매출액 추이 (US$mn)

US

Europe

Japan

그림 7. 레미케이드 매출액 대륙별 비중

RoW

12,000

53%

17%

US

9,000

7% Europe 6,000

Japan 24%

3,000

RoW

0 2011

2012

2013

2014

주: 국가별 판매사: 미국-JNJ, 유럽-Merck, 일본-Mitsubishi Tanabe, 기타- JNJ 자료: 각 사,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주: 2014년 매출액 기준 자료: 각 사,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그림 8. 허셉틴( 허셉틴(유방암) 유방암) 매출액 추이

그림 9. 허셉틴 매출액 대륙별 비중

(US$mn)

US

Europe

Japan

RoW 31%

8,000 29%

US

6,000

Europe

4,000 Japan

4%

2,000

RoW 36%

0 2011

2012

2013

2014

주: 달러 변환은 USDCHF 연평균 환율 적용 자료: Roche,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주: 2014년 매출액 기준 자료: Roche,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그림 10. 10. 엔브렐( 엔브렐(류마티스 관절염) 관절염) 매출액 추이

그림 11. 11. 엔브렐 매출액 대륙별 비중

(US$mn)

US

Europe

Japan

RoW 49%

10,000 18% 8,000

US 4%

6,000

Europe

4,000

Japan 28%

2,000 0 2011

2012

2013

2014

주: 국가별 판매사: 미국-Amgen, 유럽-Pfizer, 일본-Takeda, 기타- Pfizer 자료: 각 사,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6

KDB Daewoo Securities Research

주: 2014년 매출액 기준 자료: 각 사,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RoW


헬스케어 빅파마 화이자의 호스피라 인수 함의

그림 12. 12. 리툭산( 리툭산(림프종) 림프종) 매출액 추이 (US$mn)

US

Europe

그림 13. 13. 리툭산 매출액 대륙별 비중 Japan

RoW

8,000

48% 19% US

6,000 3%

Europe

4,000 Japan 2,000

RoW

29%

0 2011

2012

2013

2014

주: 달러 변환은 USDCHF 연평균환율 적용 자료: Roche,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주: 2014년 매출액 기준 자료: Roche,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그림 14. 14. 휴미라( 휴미라(류마티스 관절염) 관절염) 매출액 추이

그림 15. 15. 휴미라 매출액 대륙별 비중

US

(US$mn)

International

16,000 52% 12,000

US 48%

8,000 International 4,000

0 2011

2012

자료: Abbvie,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2013

2014

주: 2014년 매출액 기준 자료: Abbvie,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KDB Daewoo Securities Research

7


헬스케어 빅파마 화이자의 호스피라 인수 함의

Compliance Notice -

당사는 자료 작성일 현재 조사분석 대상법인과 관련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음을 확인합니다. 당사는 본 자료를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는 자료작성일 현재 조사분석 대상법인의 금융투자상품 및 권리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본 자료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애널리스트의 의견이 정확하게 반영되었음을 확인합니다.

본 조사분석자료는 당사의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조사분석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8

KDB Daewoo Securities Research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