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시장분석 2015.2.11
KOSPI는 되새김질하고, KOSDAQ은 한 번에 삼키다!
[기술적 분석]
KOSPI, 120일선의 120일선의 저항으로 조정 진행 중
김정환 02-768-2129 jeonghwan.kim@dwsec.com
KOSDAQ시장의 KOSDAQ시장의 상대적 강세흐름 이어질 것으로 판단 국내증시, 국내증시, 설 연휴를 앞두고 관망 심리 이어질 것으로 예상
주춤거리는 KOSPI, 거침없는 KOSDAQ 국내증시가 뚜렷한 모멘텀을 찾지 못하고 대외 악재에 대한 우려로 표류하고 있 다. 그렉시트(그리스의 유로존 탈퇴)에 대한 우려, 국제유가의 변동성 확대 등이 국내증시에도 반영되고 있다. 12일에 있을 EU 정상회의에서 이에 대한 해결책이 나올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근 국내증시를 보면서 ‘우작경탄(
鯨 : 소는 되새김질하고 고래는 한 번에
삼킨다)’이란 말을 떠올리게 된다. 우작은 소가 되새김질 한다는 말이다. 소는 여 물을 빨리 먹어 일단 배를 채운 뒤 여러 번 되새김질해서 완전히 소화시킨다. KOSPI는 60일선을 중심으로 되새김질을 하고 있다. 반면 KOSDAQ시장은 경탄, 즉 고래가 한입에 삼키듯이 급등한 모습이다.
KOSPI, 120일선 앞에서 좌절하다 KOSPI는 1월 중순 이후 거래량이 수반되면서 상승하더니 수급선인 60일을 돌파 하였다. 이후 120일선 마저 돌파할 기세였으나 2월 4일 돌파에서 실패하면서 거 래량 역시 감소하는 모습이다. 조정이 이어지면서 60일선에서의 지지마저 불투명 한 상황이 되었다. 방향성 지표인 ADVR은 단기 고점을 형성한 후 하락전환하고 있다. ‘2중 천정’형 으로 조정의 초기 단계로 볼 수 있기에 당분간 조정흐름이 예상된다<그림1>. 그림 1. KOSPI와 KOSPI와 ADVR (P)
(%) KOSPI(L)
2200
ADVR(R)
250
2100
200
2000
150
1900
100
1800
50
1700 13.10
0 14.2
자료: KRX,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4.6
14.10
15.2
KDB DAEWOO DAILY
기술적 시장분석
2015.2.11
글로벌 증시, 단기 방향성 찾는 과정에서 중소형주 강세현상 나타나 글로벌 증시는 강보합권에서 움직이고 있다. 단기 방향성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판 단된다. 미 증시는 단기 박스권에서 움직이고 있고, 유로존은 단기랠리를 마감한 모습이다. 일본증시와 중국증시는 각각 박스권과 2중 천정을 보인 후 상승세가 주 춤한 모습이다. 글로벌 증시가 단기 방향성을 놓고 고민하는 것은 여전히 위험이 높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위험도를 나타내주는 Citi Macro Risk Index는 계속 해서 고점에 머무르고 있다<그림2>. 이 지표가 고점에 있으면 그만큼 금융시장의 심리가 불안하다는 것이다. 세계 경기의 선행지표로 여겨져 Dr.Copper로 불리는 구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 고 있다. KOSPI와 추세적으로 동행하던 구리의 모습도 더 이상 아니다. 다만 저점 을 다지는 모습은 긍정적으로 판단된다. 최근 변동성이 커진 모습을 보인 WTI가 격은 최근 시티그룹에서 배럴당 20달러까지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가운데 50달러선에서 안정되는 모습이다. 구리와 원유가격 모두 점차 안정을 찾아갈 것으 그림 2. Citi Macro Risk Index
그림 3. 구리가격과 WTI 움직임
Citi Macro Risk Index
(P)
WTI가격(L)
1.2
(달러/배럴) 110
1.0
100
8,000
0.8
90
7,500
80
7,000
70
6,500
60
6,000
50
5,500
0.6
(달러/톤) 8,500
구리가격(R)
0.4 0.2 0.0 14.1
14.7
40 13.1
15.1
5,000 13.7
14.1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그림 4. 상해종합주가지수와 상해종합주가지수와 차스닥
그림 5. 니케이225 니케이225지수 225지수와 지수와 자스닥
차스닥(L) 상해종합지수(R)
(P) 2,000 1,800
(P) 3,600
(엔) 20,000
3,300
18,000
3,000
16,000
14.7
15.1
자스닥(L) 니케이지수(R )
(P) 120
1,600 1,400 1,200
2,700
100
14,000 80 12,000
1,000
2,400 10,000
800 2,100
600 400
1,800 10.6
11.6
12.6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3.6
14.6
60
8,000 6,000
40 10.1
11.1
12.1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3.1
14.1
15.1
KDB DAEWOO DAILY
기술적 시장분석
2015.2.11
로 기대된다<그림3>. 추가하락보다는 저점을 다지면서 상승할 수 있는 모습이다. 글로벌 증시가 단기적으로 제한적인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KOSDAQ과 같은 중국 의 차스닥, 일본의 자스닥의 움직임에 관심을 갖게 된다. 소형주로 구성된 이들 지 수의 공통점은 자국의 주요들과 비교해서 상대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그림4-5>. 당분간 중소형주의 상대적 강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KOSPI, 설 연휴에 가까워질수록 관망심리 나타날 것으로 예상 설 연휴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연휴엔 3거래일을 쉬게 된다. 주 후반으 로 갈수록 관망심리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증시가 단기 방향성을 놓 고 기로에 서 있는 가운데 국내증시도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 먼저 수급의 문제를 생각하게 된다. 외국인들의 순매도 약화 및 순매수 유입에 대 한 기대를 갖게 된다. 2월 들어 지속되고 있는 외국인들의 순매도 지속이 결국은 국내증시의 조정원인이 되고 있다<그림6>. 국내증시와는 대조적으로 최근 상승세 를 지속하고 있는 대만증시의 경우 외국인들이 적극적인 순매수에 나서고 있다. 그림 6. KOSPI와 KOSPI와 외국인 누적 순매수 추이 KOSPI(L)
(P)
그림 7. 글로벌 주요 화학업 주가 추이
외국인 누적순매수(R)
(조 원) 30
2,100
25 2,000
LG화학(L) 롯데케미칼(L) 다우케미칼( ,R)
(원) 400,000
(달러) 60
350,000
55
300,000
50
250,000
45
200,000
40
0
150,000
35
-5
100,000
20 15
1,900 10 5
1,800
1,700 13.6
13.10
14.2
14.6
14.10
15.2
30 13.6
13.12
자료: KRX,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그림 8. KOSPI 일간차트
그림 9. KOSDAQ지수 KOSDAQ지수 일간차트
자료: Qway NEO,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Qway NEO,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4.6
14.12
KDB DAEWOO DAILY
기술적 시장분석
2015.2.11
국내증시에서 대형주 가운데 올해 들어 놀라운 상승세를 선보이고 있는 것이 화학 업종이다. 대표주가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이다. 지난해 11월 이후의 차트를 보면 거의 V자형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글로벌 화학기업인 다우케미칼 역시 최근에 도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그림7>. 화학업종의 강세는 글로벌 현상이니만큼 상 승흐름이 좀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KOSPI는 아직까지 하락추세선 아래에 놓여 있다. 특히 최근 5일선, 20일선, 60일 선이 다시 한 곳으로 모이고 있어 조만간 방향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일 60일선을 살짝 하회하였는데, 이번 주 안에 회복하지 못한다면 조정이 비교적 오 래갈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적으로는 1,900 ~ 1,970p에서의 움직임이 예상된다<그림8>. 중소형주와 음 식료, 비금속광물, 철강, 전기전자업에 대한 단기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설 연휴 전까지 60일선을 중심으로 한 움직임이 예상된다. KOSDAQ시장에서는 심리적 저항선으로서의 라운드넘버를 체험할 수 있었다. 앞 자리가 바뀌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차익매물로 현실화되었다고 판단된다. 사상최 고치인 3조원에 달하는 개인투자자의 신용융자 물량이 시장의 장애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KOSDAQ시장의 상승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것은 지난 주까지 5일선을 중심으로 상승했다는 것과 장중 조정으로 조정이 마무리되고 있다는 점이다. 전일에도 장중 차익매물이 집중적으로 출회되었지만 저점 매수가 유입되며 약보합으로 마감하였 다. 단기적으로는 580 ~ 606p에서의 움직임이 예상된다<그림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