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215 시황전망 대외여건과 시장 내부의 변화[1]

Page 1

시황전망 2015.2.16

대외여건과 시장 내부의 변화

[투자전략]

대외여건 개선으로 위험자산 선호도 상승, 상승, KOSPI 경기민감주의 선전 가능

한요섭 02-768-4183 yoseop.han@dwsec.com

국내 증시 주도주로 부상한 바이오 KOSPI 중소형주 상승 확산 vs. KOSDAQ 상승종목 압축

높아지고 있는 위험자산 선호도 대외여건이 전반적으로 호전되고 있다. 유로존 경기가 유로화 하락으로 수출 호조 세가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기업대출도 증가세로 반전 했다. 3월부터는 ECB의 QE도 예정대로 진행된다. 우크라이나 휴전 발효 이후 우크라이나 동부 주요 도시에서 교전이 발생하긴 했지 만, 우크라이나 사태도 점차 수면 아래로 내려갈 공산이 크다. 유가 반등으로 러시 아도 숨통이 트이기 시작했다. 러시아 RTS 지수는 지난 해 12월 저점대비 58%나 올랐다. 러시아가 살아나면 러시아에 수출하는 유럽도 좋아진다. 미국도 고용확대로 인해 소비 증가세가 견조한 모습이다. 소매판매(Retail & food services)가 최근 2개월 연속 전월비 줄어들긴 했지만, 유가 하락의 직격탄을 받 은 주유소 판매를 제외하고 보면 12월과 올해 1월 소매판매는 전년동월비 각각 5.5%와 6.6%로 증가율이 높아졌다. 과도하게 하락했던 미국 국채금리가 정상화되는 가운데, 위험자산 선호도는 높아 지는 양상이다. Citi Macro Risk Index와 JPMorgan EMBI+ Sovereign Spread(이 머징마켓의 리스크 프리미엄을 의미)가 하락 반전했고, MSCI 이머징마켓 지수는 저점을 높이며 상승하고 있다. 그림 1. Brent 원유가격 vs. vs. 미국 10년물 10년물 국채 수익률

그림 2. MSCI 이머징마켓 지수 vs. vs. JPMorgan EMBI+ Sovereign Spread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20150215 시황전망 대외여건과 시장 내부의 변화[1] by FNGENII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