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223 [3월 포트폴리오 전략] 이익 안정성이 높은 업종[1]

Page 1

퀀트전략 [3월 포트폴리오 전략] 이익 안정성이 높은 업종

2015.2.24

한국 2014년 2014년 기업 순이익( 순이익(잠정치 기준) 기준)은 81.6조원으로 81.6조원으로 2013년대비 2013년대비 증가했지만 2012년에 2012년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치

[퀀트] 김상호, CFA 02-768-4122 sangho.kim.j@dwsec.com

2015년 2015년 1분기 컨센서스 추이를 과거와 비교해보면 1분기 이익전망은 긍정적 3월엔 이익모멘텀 전략이 유효하지 않은 시기, 시기, 이익모멘텀이 좋은 업종보다 이익안정성이 높은 업종이 유리

기업이익, 턴어라운드로 보긴 이르지만 희망은 보인다 한국 기업들의 2014년 4분기 잠정실적이 90%(시가총액 기준) 발표되었다. 현재 까지 발표된 기업들을 기준으로 한국 기업의 실적을 계산해보면 2014년 한국 기 업의 순이익은 81.6조원이다. 전년대비 증가율은 18.2%로 기업이익이 턴어라운드 시점에 왔다고 생각할 수 있 다. 하지만 2013년엔 STX와 동양그룹의 대규모 적자가 있었고, 2012년 84.2조원 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치인 점을 감안하면 이익의 추세적 회복을 말하긴 아직 이 르다(그림1 참조). 분기별로 봐도 상황은 비슷하다. 매년 일상적인 현상이었던 4분기 실적 쇼크가 이 번 2014년엔 양호하게 넘어간 점은 긍정적이지만, 바로 직전분기인 3분기엔 순이 익이 전년대비 18.8% 감소하며 부진했다. 이처럼 한국시장 이익은 실적 부진과 회복이 반복되면서 2014년에 2개분기 연속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그림2 참조). 따라서 이익의 추세적 회복을 말하려면 이번 2015년 1분기 실적이 회복되는 것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림 1. 한국 기업 순이익 80조원대로 80조원대로 회복 (조원) 120

한국 기업 순이익

93.0

100

88.4

-18.1% +18.2%

84.2

80 60

그림 2. 2014년 2014년 3분기 어닝쇼크 이후, 이후, 4분기 4분기엔 분기엔 반등

81.6 69.0

(조원) 35 30 25

29.0

26.8

20

54.7

23.7

23.7

24.7

21.3 17.3

20.0

18.6

14.1

15 9.0

10

40

5.3 5

20

0 '12 '13 '14 '12 '13 '14 '12 '13 '14 '12 '13 '14P

0 '09

'10

'11

자료:WISEfn,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2

'13

'14P

1Q

2Q

자료: WISEfn,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3Q

4Q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