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비중확대/Maintain)
금리 바닥 = 은행주 바닥 2월 예대금리차 전월대비 개선: 개선: 정책금리 인하 영향에도 불구, 불구, 수신금리 하락 기여가 컸음 Issue Comment 2015.3.31
분기별 예대금리차 하락: 하락: 1Q NIM 하락 예상, 예상, 2Q 추가 정책금리 정책금리 인하로 저점은 3Q로 3Q로 이연 투자전략 1) 정책금리 인하 이전까지는 저점 매수에 입각한 박스권 대응이 대응이 필요 투자전략 2) 정책금리 인하를 계기로 적극적 대응 필요. 필요. Top picks는 picks는 KB금융 KB금융, 금융, 기업은행
[은행] 구용욱 02-768-4494 yonguk.ku@dwsec.com
예대금리차 잔액기준, 신규취급액기준 모두 전월대비 소폭 개선
김중한 02-768-4152 joonghan.kim@dwsec.com
기준으로도 1bp 개선된 1.82%를 기록하여 2개월 연속 개선되었다.
2월 은행 예대금리차는 잔액기준으로 2.30%를 기록하여 전월대비 1bp 개선되었다. 신규취급액
잔액기준 예대금리차가 전월대비 개선된 것은 대출금리가 -4bp 하락했지만 수신금리가 더 큰 폭 인 -5bp 하락했기 때문이다. 신규취급액기준 예대금리차 개선 원인도 동일하다. 결국 2014년 8월과 10월 25bp씩 정책금리가 인하된 영향이 지속되고 있지만 수신금리 하락에 더 큰 기여를 함에 따라 예대금리차가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정책금리 인하의 영향이 어떻게 은행 예대금리차에 반영될 것인가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림 1. 정책금리와 잔액기준 예대금리차 추이 (%) 3.2
예대금리차 (잔액,L)
(%) 3.5
정책금리 (R)
3.3 3.1
3.0
2.9 2.7
2.8
2.5 2.3
2.6
2.1 1.9
2.4
1.7 1.5
2.2 10
11
12
13
14
15
자료: 한국은행,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분기 순이자마진 전분기대비 하락 전망 2월 월간으로는 잔액기준 예대금리차가 개선되었지만 4분기 대비로는 하락한 것으로 보여 1분기 순이자마진도 전분기대비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통상 분기 마지막 월에는 순이자마진이 개선되는 경향이 있어 3월까지 추이를 봐야 하겠지만 현재까지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4 년 8월, 10월 정책금리 인하 영향이 지속되었고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높았기 때문이다. 다만 1분기 순이자마진 하락 정도는 2014년 4분기보다는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3월에 정책금리 인하가 있었고 2분기 중 추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순이자 마진 하락세가 멈추기 보다는 좀 더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따라서 순이자마진 저점 기록 시점을 2분기에서 3분기로 수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분기 중 정책금리가 인하될 경우 그 영 향이 1분기 정도 후행해서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주가의 선행성을 고려하면 순이자마진 저점 을 겨냥한 투자 시점은 2분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