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412 시황전망 유동성 장세에서 빛날 실적 호전주[1]

Page 1

시황전망 유동성 장세에서 빛날 실적 호전주

2015.4.13

유가 하락에 따른 전세계 저물가 상황과 경제 펀더멘탈의 저조한 회복세로 글로벌 유동성 팽창을 지속시킬 각국 정책효과 이어지며, 이어지며, 글로벌 유동성 장세 지속

[투자전략] 한요섭 02-768-4183 yoseop.han@dwsec.com

환율 및 경제 펀더멘탈의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가운데, 국내 증시도 대규모 외국인 순매수 유입 으로 2050선을 2050선을 뚫고 상승하는 강세 흐름 실적시즌을 맞이하여 실적결과에 따른 주가 차별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가운데, 가운데, 예상이익 이 상향 조정되며 올해 1분기 뿐만 아니라 올 한해 실적 호전이 호전이 예상되는 종목들 중심의 접근이 바람직

저유가로 인한 낮은 물가수준과 정책효과로 글로벌 유동성 장세 전개 ECB와 BOJ의 양적완화, 중국과 한국을 포함한 각국의 통화완화정책, 그리고 무엇 보다도 Fed의 금리인상 연기 가능성으로 인해 글로벌 유동성 팽창이 가속화되고 있다. 유동성이 넘쳐나면 일반적으로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도 커지게 되지만, 지 난해 하반기부터의 유가 급락으로 전세계 물가수준도 낮게 유지되고 있어 유동성 팽창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도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유동성 확대는 미국 과 유럽, 아시아 등 주요국 증시의 거침없는 상승세를 이끌고 있다. 펀더멘탈보다 유동성의 힘이 글로벌 증시의 상승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환율 및 경제 펀더멘탈의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국내 증시도 외국인 순매수 규 모 확대로 인해 탄력적인 주가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GEM 펀드로 최근 3주 연 속 자금이 순유입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 신흥 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한국의 외국 인 순매수 모멘텀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 외국인 순매수 규모의 증가 세뿐만 아니라 절대금액에서도 여타 증시 대비 월등한 모습이다. 지난 한 주간 외 국인은 국내증시에서 5,600억원을 순매수하며, 인도(2,179억원), 태국(915억원), 인도네시아(642억원), 대만(-735억원) 대비 가장 많은 금액을 순매수하였다. 그림 1. GEM Fund의 Fund의 자금 유출입 추이 (억 달러) 35 30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14.6

그림 2. 이머징 아시아의 주간 외국인 순매수 규모

GEM 펀드 주간 순유출입(L) MSCI 이머징지수(R)

14.8

14.10

14.12

(P) 1120

15.2

15.4

2015-03-27

(십억원)

1100

800

1080

600

1060

400

1040

200

1020

0

1000

-200

980

-400

960

-600

940

-800

920

-1,000

900

-1,200

2015-04-03 2015-04-10

-1,400 한국

자료: EPFR,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대만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