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511 일본을 통해 본 next 아모레퍼시픽 globalization, diversification, focus[1]

Page 1

시황전망 2015.5.12

일본을 통해 본 Next 아모레퍼시픽 :Globalization, Diversification, Focus

[투자전략]

니케이, 니케이, 버블 대비 49.6% 하락. 하락. 그러나 제약, 제약, 운송장비 등 일부 업종은 버블 보다 상승

고승희 02-768-4071 seunghee.ko@dwsec.com

일본 주도주의 특징: 특징: Globalization, Diversification, Focus 이를 적용하여 Next 아모레퍼시픽이 될 수 있는 종목군 도출 Next 아모레퍼시픽 종목군은 모두 KOSPI 대비 높은 영업이익률을 보임 한편, 한편, 영업이익률의 변동성도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분산 투자’ 투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 KOSPI 박스권 장세 속 Next 아모레퍼시픽 종목군의 Buy&Hold 전략이 중장기적으로 시장 대비 초과 성과를 낼 것으로 판단 일본 증시 강세. 강세. 그러나 버블 대비 49.6% 49.6% 하락한 수준

2012년 12월 취임한 아베 신조 총리는 일본 경기 부활을 위해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하는 경기 부양책을 실시했다. 경기 부양을 위한 적극적인 재정, 통화 완화 정 책을 펼쳤다. 특히 일본 중앙은행은 2% 인플레이션을 달성할 때까지 무기한 양적 완화를 실시하기로 발표했고, 국채 매입 규모 확대 뿐만 아니라 ETF 등 위험자산 매입도 확대했다. 실제로 아베노믹스의 영향으로 일본 경제지표는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다. 특히 엔 화 약세가 진행되면서 일본 기업들의 수익성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동 시에 물가상승률이 ‘+’를 기록하며 디플레이션에서 탈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른 영향으로 일본 니케이 지수는 15년 만에 20,000엔을 돌파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케이 지수는 과거 버블 대비 49.6% 하락했다. 과거 일본 증 시는 저성장 국면이 지속되면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우리나라도 2012년 이후 저성장 국면이 이어지면서 KOSPI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일본 증시 사례를 통한 KOSPI 시사점 도출과 차기 아모레퍼시픽이 될 수 있는 주도주의 역 량을 갖춘 기업을 찾아보았다. 그림 1. 니케이 지수, 지수, 버블 대비 49.6% 49.6% 하락 (엔)

니케이 지수

45000 40000 35000

고점대비 49.6% 하락

30000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0 81

83

85

87

89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91

93

95

97

99

01

03

05

07

09

11

13

15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