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608 시황전망 글로벌 금리 상승으로 인한 잠재 리스크[1]

Page 1

시황전망 글로벌 금리 상승으로 인한 잠재 리스크

2015.6.8

[투자전략]

글리벌 금리 상승으로 인한 리스크 높아지고 있어

한요섭 02-768-4183 yoseop.han@dwsec.com

1) 글로벌 자금경색 발생 및 위험자산 포지션 청산 압력 고조 가능성 2) 주가 부양책 차질 및 CAPEX Funding Cost 상승 우려 과거의 일반적인 리플레이션 잣대로 시장을 보기보다는 다양한 각도에서 금리 상승에 따른 여파를 생각하며 생각하며 준비해야 할 시기

글로벌 금리는 Fed 금리인상 전 선행하여 급등하는 모습 Fed의 금리인상 시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불안감 속에서, 글로벌 금리가 인플레 관련 지표들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주 글로 벌 금리 상승세를 이끈 주된 요인으로는 1) 유로존의 물가 상승과 소매판매 증가, 2) 미국의 임금 상승이다. ECB의 QE 효과가 유로존의 경기회복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가운데, 5월 유로존 CPI 상승률이 전년동월비 0.3% 상승하며 6개월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근원 CPI 상승률은 0.9% 상승했다. 유로존 경기회복을 이끌고 있는 독일의 CPI 상승률 은 전년동월비 0.7% 상승하기도 하였다. 이와 함께 4월 유로존 소매판매가 전년 동월비 2.2% 증가하며, 지난 3월의 1.7%보다 높게 나왔다. 5월 미국의 시간당 전체 및 생산직 평균 임금 상승률은 전년동월비 각각 2.3%와 2.0% 상승하며 상승세가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일자리 증가뿐만 아니라, 임금 상 승세까지 본격화됨에 따라 Fed의 금리인상 명분이 한층 강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그림 1. 美 임금 상승률 가속

그림 2. 유로존, 유로존, 6개월 6개월 만에 디플레 탈피

미국 시간당 평균 임금(생산/비감독직) 미국 시간당 평균 임금(전체)

(YoY,%) 4

(YoY,%) 5

Euro area: CPI Euro area: core CPI

4 3

3 2

2

1 0 -1

1 08

09

10

11

12

13

자료: Thomson Reuters Datastream,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4

15

08

09

10

11

12

13

자료: Thomson Reuters Datastream,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4

15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