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정보지원부
LCD 산업에 부는 한류 바람 중국 LCD산업 성장에 따른 수혜주
중국디스플레이 산업의 높은 성장성 주목할 시점 Industry Report 2015.6.17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은 대형 LCD 부문의 침체로 인하여 전체적인 성장세가 크게 둔화되 고 있다. LCD 패널의 최대 수요처는 TV 산업인데 TV 패널 수요가 정체되면서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률도 둔화되고 있다.
[스몰캡비즈니스]
그러나 중국 LCD 산업은 예외적인 성장을 지속하면서 글로벌 위상이 급상승 하고 있는 상
오탁근 02-768-3047 takkun.oh@dwsec.com
황이다. 중국은 2012년 처음으로 매출액 기준으로 일본을 추월하여 세계 3위 생산국으로
추연환 02-768-3002 yeonhwan.choo@dwsec.com
중국 LCD 산업이 급성장 할 수 있었던 이유는 1) 가전하향 정책(가전제품 구매 보조금 지
성현동 02-768-3066 hyundong.sung@dwsec.com
부상하였으며 2013년부터는 그 격차를 확대하고 있다.
원정책)으로 인해 거대한 내수시장을 확보했고, 2) 중국정부의 강력한 지원정책 수혜를 받았 기 때문이다. 중국은 LCD TV, 휴대폰, PC 등 디스플레이 주요 전방산업에서 세계 최대의 시장을 형성하 고 있어, 중국 Local 디스플레이업체들은 자국 시장을 기반으로 성장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10년 LCD를 신흥 전략산업 중 하나로 지정하고 국내 자급률 및 부품소재·설비 국산화율의 제고를 위해 기업들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또한, 패널공장 설 립시 지방정부들이 공동투자 방식으로 중국업체들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도 중국 패널기업 들이 막대한 적자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시설투자를 하고 있는 이유이다.
중국의 LCD 생산라인 확대는 부품·소재 기업 수출 증가의 기회 중국 LCD패널업체의 설비투자 확대가 가속화되면서 LCD 부품·소재·핵심장비의 수입 수요 가 대량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중국의 주요 부품·소재 자급률은 5~10% 수준인 것 으로 알려져 있어 국내 LCD 부품·소재·장비 업체들의 중국 향 수출이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이 과거 부품/소재 분야에서 일본에 의존했던 것처럼 향후에는 중국 내에서 한국의 IT 부품/소재 업체들의 지배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엔터테인먼트를 거쳐 화장품 산업에 불고 있는 한류바람이 이제는 디스플레이 부품·소재 산 업까지 확대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IT 산업에서의 주도국 변화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