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전략 ROE개선에서 답을 찾다
2015.6.23
[퀀트]
한국시장의 ROE는 ROE는 2010년을 2010년을 고점으로 하락 지속, 지속, ROE에 ROE에 대한 프리미엄 증가
유명간 02-768-4058 myounggan.yoo@dwsec.com
고ROE를 ROE를 유지하기 힘든 시장환경에선 ROE가 ROE가 개선 되는 것만으로도 대안이 될 수 있음 ROE의 ROE의 구성요소인 구성요소인 순이익마진율, 순이익마진율, 총자산회전율, 총자산회전율, 레버리지로 분해해 성과분석을 한 결과, 결과, 순이익마진율과 순이익마진율과 총자산회전율이 동시에 개선되는 기업이 유리할 전망
ROE에 대한 프리미엄이 증가 한국 시장의 ROE는 ‘10년 11.2%를 고점으로 ‘14년 6.5%까지 하락했다. 올해 1 분기에는 ROE(4개분기 누적 데이터 기준)가 6.6%로 소폭 반등했지만 아직까지 기업들의 이익창출능력이 회복되었다고 단정짓기엔 이르다. ROE의 하락 원인이었 던 기업들의 매출감소와 수익성 부진이 해결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ROE를 3가지 요소로 나누어 판단해보면, 우선 시장전체 순이익마진율이 ‘10년 6.3%에서 ‘14년 3.1%까지 하락했다. 또한 매출감소로 인해 총자산회전율은 ‘10년 0.92배에서 0.84배까지 하락했고, 레버리지는 ‘12년 2.62배에서 2.49배로 감소했 다(그림1,2 참조) 기업들은 자산 증대를 기피하며 효율성을 추구하고 있지만 저성장 국면에서 매출 이 크게 성장하지 못하면서 결국 총자산회전율이 회복되지 못했다. 한편 레버리지 도 감소했는데, 저금리라는 유리한 환경 속에서도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기 업들이 안정성을 택해 부채비율을 낮춘 결과로 생각된다(그림3, 4 참조). 그림 1. 수익성 악화와 유사한 추이를 보이는 ROE (%)
그림 2. 총자산회전율과 레버리지도 함께 감소 (%)
ROE(L)
12
7
순이익마진율(R)
11
(배) 0.95
총자산회전율(L)
(배) 3.0
레버리지(R)
6
10
5
0.90 2.5
9
4
8 3
7
0.85 2.0
2
6
0.80
주: 1) 순이익마진율과 총자산회전율, 레버리지 비교를 위해 기말자본총계로 ROE 계산 2) 금융업을 제외한 기말시점에 상장되어있는 전체기업 대상 자료: WISEfn,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0.75 2014
2013
2012
2011
2010
1.5 2009
2014
2013
2012
0 2011
4 2010
1 2009
5
주: 1) IFRS회계기준 도입으로 2011년이 레버리지(총자산/자기자본)비율이 크게 증가 2) 금융업을 제외한 기말시점에 상장되어있는 전체기업 대상 자료: WISEfn,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