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722 fx분석 환율 급등의 6가지 원인과 단기 대응[1]

Page 1

FX분석 환율 급등의 6가지 원인과 단기 대응

2015.7.22

[경제]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 급등, 달러 강세에 중국 및 국내 경기 둔화 위험을 반영

서대일 02-768-3069 daeil.suh@dwsec.com

환율 상승 과열 국면 진입. 진입. 1,160원을 1,160원을 넘어서면 상승세 둔화, 둔화, 1,200원 1,200원 넘기는 어려울 전망 미국 단기 금리 상승 진정, 진정, 한국 재정지출 확대 등이 상승세를 약화시킬 재료

환율 상승, 원인 진단 원/달러 환율이 5월 이후 상승세를 지속해 1,160원 1,160원 수준에 수준에 근접했다. 2013년 1,161.4원

(6/24)을 기록한 이후 최고치다. 원/100엔 환율은 연 중 저점 884.6원(6/5)에서 930원 수준으로 상승했고, 원/유로 환율은 1,157.9원(4/22)에서 1,250원대로 상 승해 횡보 중이다. [그림 14-16] 특히 최근 원화 약세는 주요국 통화 대비 두드러진 편이다. 7월 중 원화 가치는 달러화 대

비 3.7% 하락해 주요 29개국 통화 중 5번째로 큰 낙 폭을 나타냈다. 5월 이후로 보면 원화 가치 하락 폭은 약 7%로 29개국 통화 중 3번째로 하락 폭이 컸다. 그림 1. 원/달러 환율 2013년 2013년 이후 최고치

그림 2. 최근 3개월 달러 대비 주요 통화가치 상승률 (%)

(원) 1300

원/달러

4

5월 이후 통화가치 상승률

0

1250

-4

1200

-8

1150

-12

1100 1050 1000 950 10

11

12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3

14

15

달러 인덱스 영국 파운드 홍콩 달러 중국 위안 인도 루피 터키 리라 필리핀 페소 대만 달러 아르헨티나 페소 스위스 프랑 덴마크 크론 유로 인도네시아 루피아 싱가폴 달러 스웨덴 크로나 태국 바트 일본 엔 멕시코 페소 남아공 랜드 폴란드 즐로티 헝가리 포린트 브라질 레알 칠레 페소 말레이시아 링기트 호주 달러 캐나다 달러 한국 원 노르웨이 크론 뉴질랜드 달러

-16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먼저 원/달러 환율 상승, 원화 약세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미국의 금리 인상 기대에 따른 달러화 강세이다.

미국의 하반기 금리 인상 기대를 반영해 미국 2년물 국채 수익률은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0.6% 수준까지 상승했다. 미국 금리 상승으로 미국-일본, 미국-독일 간의 금리 차 확대가 달러화 강세를 이끌고 있다. 미국 옐런 연준 의장은 경기 회복 전망을 바탕으로 하반기 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 을 다시 강조했다. 금융시장은 미국 경기 회복 속도가 부진해 금리 인상이 미뤄질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지만 연준 의장은 속도 보다 회복 수준에 무게를 두고 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