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901 [투자전략] 소비 활성화 대책과 돌아온 외국인 관광객

Page 1

시황전망 소비 활성화 대책과 돌아온 외국인 관광객

2015.9.1

[투자전략]

내수 경기 부양을 위한 정부의 소비 활성화 정책

고승희 02-768-4071 seunghee.ko@dwsec.com

코리아 그랜드세일, 외국인과 내국인 소비 확대 기대

메르스 사태 이전 상태로 회복한 외국인 입국자

유통, 여행∙레져, 화장품 등 중국 소비 관련주, 자동차 및 부품에 주목

내수 경기 부양을 위한 정부의 소비 활성화 정책 8/26일 정부는 내수 경기 부양을 위한 개소세 인하 등 소비 활성화 정책을 발표했 다. 메르스 영향으로 국내 내수 지표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금번 정 책효과로 소매판매 등 내수 지표 개선이 기대된다. 정부의 소비 활성화 정책을 살펴보면 1) 승용차, 대용량 가전제품에 대한 개소세 를 연말까지 30% 인하, 2) 대규모 세일행사 개최 및 관광∙여가 활성화, 3) 주택연 금 활성화 및 소비재 수입 경쟁 제고 등이다. 표 1. 소비심리 조기 회복, 소비 촉진을 위한 정부 정책 항목

주요 내용

개별소비세 부담완화

- 연말까지 자동차, 대용량 가전제품 등 개소세 30% 인하(탄력세율 적용)

- 10 월 중 대규모 '유통업계 합동 프로모션' 추진 - 전통시장, 슈퍼마켓, 온라인 쇼핑몰, 병행수입 및 해외직구, 카드사 등 세일 가을 중 집중 실시 대규모 세일행사 개최 및 관광∙여가 활성화 - 가을 관광주간 개최 - 문화가 있는 날 등 여가활동 기회 확대 - 골프 대중화 확산 - 추석연휴 전후 공공부문 가을휴가 독려 - 중소기업 제품 공공구매 조기 실시 정부, 기업이 합심하여 선도적 소비제고 노력 - 금년 온누리 상품권 구매목표 500 억원 확대 - 지역농수산물 구매 캠페인 전개 - 주택연금 가입요건 완화(연령기준 및 대상 주택 등), 재산세 감면 일몰 연장 주택연금 활성화 및 소비재 수입 경쟁 제고 - 병행수입 적법통관 인증, 진품보증, AS 강화 - 해외직구 탁송화물 운임 인하 및 면세한도 상향 자료: 기획재정부,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그림 1. 2010년 이후, 국내 소매판매 증가율 둔화 지속 (조원) 34

그림 2. 2014년 이후, 국내 소비자심리지수 하락세

소매판매(L) 소매판매 전년비(R)

32

(%) 30

(p) 115

25

113

20

30

109 107

10

105

5

103

26 24

111

15 28

0

101 99

22

-5

97

20 10.1

-10

95 10.1

11.1

12.1

자료: 통계청,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3.1

14.1

15.1

소비자심리지수

11.1

12.1

자료: 통계청,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3.1

14.1

15.1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