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Strategy 2015.9.10
미국 금리 인상 시기에 대안은 일본이다.
[투자전략]
미국 금리 인상 → 달러 강세 → 엔화 약세로 연결되는 구조 지속
송흥익 02-768-2122 hi.song@dwsec.com
2018년 2018년 9월까지 아베의 재집권이 확정된 상황이기 때문에 양적완화 정책 지속될 전망 엔화 약세로 약세로 Nikkei225 2015~16F 당기순이익 증가율은 각각 +15.2%, +8.5% 전망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로 글로벌 증시는 선제적으로 조정 8월에는 중국 인민은행의 기습적인 위안화 평가절하와 중국 경기 침체에 대한 우 려가 부각되었고, 최근에는 9월 FOMC에서 미국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글로벌 증시는 큰 폭으로 하락했다. 올해 고점대비 상해 종합지수는 -37.2%, 러시아 RTS지수 -25.5%, 대만 가권지 수 -16.9%, KOSDAQ -15.6%, 독일 DAX -15.4% 급락했고, 나스닥 -7.8%, S&P500 -7.6%로 상대적으로 미국 증시는 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림 1. 미국, 미국, 유럽, 유럽, 중국, 중국, 일본, 일본, 한국 등 글로벌 증시 올해 고점 대비 하락률 현황 S&P500 NASDAQ 일본 Nikkei225 프랑스 CAC40 KOSPI 태국 방콕지수 스페인 IBEX35 필리핀 SE 독일 DAX KOSDAQ 대만 가권지수 러시아 RTS지수 (%) 상해종합지수 -40
-35
-30
-25
-20
-15
-10
-5
자료: I/B/E/S,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그림 2. 나스닥 지수 고점 대비 하락률, 하락률, 저점 대비 상승률 현황
그림 3. Nikkei225 지수 고점 대비 하락률, 하락률, 저점 대비 상승률 현황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