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석 한국, 금리 인하 불가피. 미국과는 다른 길 갈 듯
2015.9.16
[경제]
하반기 한국 경제, 경제, 재정 지출 확대와 소비 회복으로 상반기 대비 일시적 개선 예상
서대일 02-768-3069 daeil.suh@dwsec.com
그러나 수출 감소와 제조업 침체 장기화 예상. 예상. 저성장 고착화될 위험은 위험은 오히려 증가 특히 내년 초 재정지출 축소와 가계 대출 양적 규제로 성장 동력 약화될 위험 있어 경기 부양 위한 추가 금리 인하는 불가피, 불가피, 미국 긴축과는 엇갈린 정책 기조가 이어질 듯
한국은행, 4분기 추가 금리 인하 불가피 4분기 한국은행의 추가적인 금리 인하를 예상한다. 내년까지 한국의 통화정책은 미국의
긴축과 달리 상당히 금융완화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의 금리 인상에 한국의 통화정책과 금리 추세가 동조화될 것이라는 견해가 있지만 그 가능성은 낮다고 본 다. 미국과 한국의 엇갈린 통화정책 사이클은 2004~05년에도 나타난 바 있어 새 로운 현상은 아니다. 한국의 금융완화 정책이 계속되는 이유는 한국 경제의 저성장 추세가 장기화될 것으로 보기 때문
이다. 당사는 7월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로 2.5%, 3.2%를 제시한 바 있지만 실 제 경제 성장과는 기존 예상을 하회할 위험이 높아졌다. 수출 부진이 지속되면서 제조업 침체가 길어질 전망이다. 금리를 충분히 낮추는 것이 경기 회복과 구조조 정의 필수 요인으로 보인다. 11일 한국은행 총재가 현재 한국 경제가 예상했던 성장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고 평가했지만 ‘통화정책방향’ 성명서는 계속해서 경기 하강 위험에 주목하 고 있다. 10월 10월 발표될 한국은행의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7월 발표했던 2.8%와 2.8%와 3.3%에서 3.3%에서 하향 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 한국 추가 금리 인하, 인하, 미국과 다른 길 갈 듯 (%) 7
2004.6 ~2005.9
6
그림 2. 저성장과 유효 수요에 대한 대응 필요 (%)
한국 기준금리
8
미국 기준금리
7
한국 경제성장률 재고 제외 성장률
6
5
예상
4
2000년대 평균 5 4
3
3
2
2
1
1
0
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자료: 한국은행,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0
11
12
자료: 한국은행,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