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전망 2015.9.22
딜레마에 빠진 증시, 소비재 업종으로 대응하자
[투자전략]
9월 FOMC이후 FOMC이후, 이후, 확대된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
고승희 02-768-4071 seunghee.ko@dwsec.com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는 해묵은 이슈 ‘서비스업’ 서비스업’ > 제조업, 제조업, ‘B2C’ > B2B 딜레마에 빠진 증시, 증시, TopTop-down 관점에서 소비재 업종을 중심으로 대응
9월 FOMC이후 FOMC이후, 이후, 확대된 글로벌 경기 둔화에 둔화에 대한 우려 9월 FOMC에서 기준금리는 동결되었다. 눈에 띄는 부분은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 장 상황을 언급했다는 점이다. 이는 통화정책을 결정함에 있어 자국 경기뿐만 아 니라 중국 등 신흥국 경기를 고려하겠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준의 결정으 로 10월, 12월 FOMC에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급격히 하락했다. FOMC 이후, 위험자산인 주식은 하락했고, 안전자산인 채권과 금은 상승했다. 특 히 브라질, 러시아 등 상품 비중이 높은 국가들의 통화는 약세를 지속하며 불안한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FOMC 이후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시장의 우려감은 더욱 확대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림 1. 연방기금 금리선물로 산출된 금리인상 가능성, 가능성, 9월 9월 FOMC 이후 급격히 하락 (%) 85.3
90 80
69.8
70
74.6 64.3
60 50
70.0
80.2 67.3
53.2 46.0 44.2
45.6
7월 말 9/16일
40 30
현재 20.0
20 10 0 15년 10월 FOMC
15년 12월 FOMC
16년 1월 FOMC
16년 3월 FOMC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는 해묵은 이슈 사실,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9월 FOMC 이전 부터 중국 등 신흥국 경제지표는 둔화세가 나타났고, 신흥국 통화 지수 역시 약세 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구글 트렌드를 통해 살펴보면 둔화(Slowdown)와 중국 경기(China economy)에 대한 검색 빈도는 정점을 찍고 하락하고 있는 모습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