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925 [중국경제] 알리바바가 가져온 소비패턴 변화

Page 1

주간차이나 마켓 네비게이션 2015.9.25

상하이 체류기:알리바바가 가져온 소비패턴 변화

[중국경제]

중국 고속철도 등 인프라 건설로 자유 여행 확대; 확대; 인터넷과 결합된 여행사 수혜

최홍매 02-768-3439 hongmei.cui@dwsec.com

중국인들의 Smart 소비 증가; 증가; 샤오미와 알리바바의 결과물 오프라인으로 확장 중인 알리페이; 알리페이; 중국은 이미 “인터넷+ 인터넷+”를 시작

상하이/우시 2박 3일 체류기 지난 주말 상하이에서 현지에서 거주하고 있는 친구들과 함께 시간을 보냈다. 금 번 일정을 통해 느낀 생각을 정리하고 자 한다.

고속철도로 여행 확대, 수혜는 인터넷과 결합된 서비스 업체들 중국 고속철도의 직접적인 수혜자는 여행자들이다. 주요 도시뿐만 아니라 관광지 까지의 연결이 수월해 졌다. 예컨대 상하이는 1~2 시간 내에 닿을 수 있는 주변 관광지가 많다. 그림 중 상하이를 중심으로 빨간서클은 1시간, 파란서클은 2시간 여정이다. 실제로 필자는 친구들과 40분 거리의 우시(

)로 여행을 다녀왔다.

다른 예로 베이징-상하이도 고속철도로 6시간이다. 중국은 2020년 이후에 고속철 도로 중국의 어떤 곳이든 하루만에 도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유여 행이 활발해 지면서 인터넷과 결합된 서비스 업체들이 수혜를 보고 있다. 이는 주가에도 반영된다. 연초 이후 여행 관련주들은 모두 상하이종합지수를 아웃 퍼폼 하였다. 그 중에서도 전통적인 여행사인 국제/청년 여행사보다는 인터넷 플 랫폼을 통해 티켓/숙박 등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Ctrip(CTRP.O, 미국상장)의 수익 율이 더 높다. 실제로 필자의 친구들은 Ctrip을 통해 숙박, 관광지 입장권 등을 구 입했다. 인프라의 확충은 자유여행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관련된 숙박, 음식료 등 관련 서비스 산업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 상하이 근처 1~2시간으로 1~2시간으로 도착 가능한 관광지들

그림 2. 전통적인 여행사보다는 인터넷 여행사 수익률이 높음 (2015년1월=100pt) 200 Ctrip 청년여행사 국제여행사 160

120

80 15.1

자료: 중국여행사이트,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5.4

자료: WIND,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5.7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