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전망 추석을 보내는 동안 글로벌 금융시장에 나타난 일
2015.9.30
[투자전략]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감 확대. 확대. 글로벌 위험 자산 하락
고승희 02-768-4071 seunghee.ko@dwsec.com
헬스케어, 헬스케어, 인터넷 업종을 중심으로 선진, 선진, 신흥국 증시 동반 하락 미국 등 선진국 금리 하락한 반면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 금리는 상승 지속 브라질을 중심으로 신흥국 통화 하락 지속, 지속, 국제유가 등 주요 상품 가격도 약세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감 확대. 확대. 글로벌 위험 자산 하락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글로벌 위험 자산은 약세를 보였다. 특히 나스닥 바이오지수 는 2거래일 동안 10.8% 급락하며 증시 하락을 주도했다.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감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지난 9/24일 옐런 의장은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했고, 9/28일 더들리 뉴욕 연 은 총재도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9월 FOMC이후, 연내 금 리 인상 가능성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연준 주요 인사들의 발언은 위험자 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에 따른 영향으로 글로벌 증시는 하락했고, JPM EMBI Spread가 상승하는 등 신흥국 리스크 역시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림 1. 나스닥 바이오 2거래일 간 10.8%하락 10.8%하락, 하락, 고점 대비 26.8%하락 26.8%하락 (p)
그림 2. JPM EMBI Spread, 미국 신용등급 강등 수준까지 상승 (bp)
4,500
500
나스닥 바이오지수 4,000
JPM EMBI Spread
450
3,500
400
3,000 350
2,500 300
2,000
250
1,500 1,000 12.1
13.1
14.1
15.1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6.1
200 10.1
11.1
12.1
13.1
14.1
15.1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표 1.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연준 주요 인사들의 발언 내용 일자 09 월 25 일
주요 내용 에스더 조지 캔자스 연은 총재, 제로금리에서 벗어날 상황이 됐다. 기준금리 인상을 위한 완벽한 환경이 조성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Fed 의 통화정책 정상화 점진적으로 정상화하는 것을 시작할 것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은 총재, 올 연말 금리 인상을 하게 될 것. 10 월에 금리 인상을 논의할 가능성
09 월 28 일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금리 인상 전에 물가가 오르기 시작한다는 자신감을 갖고 싶다. 근원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오르기 시작하는 시점은 내년 중순이 될 수 있다 대니얼 타룰로 Fed 이사, 현재 경제 회복 모멘텀이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위험성이 남아 있다
자료: 주요 언론사,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