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석 2015.10.14
제한적인 위안화 절하 효과, 미온적인 정부
[중국경제]
9월 수출 증가율은 둔화되었지만 시장 예상치는 상회; 상회; 한국/ 한국/타이완에 비해 선방
최홍매 02-768-34393439 hongmei.cui@dwsec.com
위안화 절하 효과는 제한적; 제한적;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출이 반등한 것은 긍정적 원자재 수입양은 추세적인 상승 유지, 유지, 중국의 수요부진이 진정되고 있음을 의미 중소기업의 수출경기 부진, 부진,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인한 수출 증가기대 제한적 정책은 여전히 방어위주; 방어위주; 5중전회 5중전회 주제는 “소강사회” 소강사회”, 성장보다는 분배가 핵심이 될 것
중국 9월 수출증가율은 시장 예상치 상회 전일 중국 9월 무역지표가 발표되었다. 수출입 데이터를 시작으로 10월 19일 3분 기 GDP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6월 이후 실물지표들이 둔화된 점을 감안하면 중국 3분기 경제성장률은 7%를 하회할 가능성이 높다. 무역지표보다 먼저 발표된 9월 제조업 PMI지수도 여전히 기준치를 하회하고 있다. 9월 중국의 무역 증가율은 위안화 기준으로 전월대비 -1.1%를 기록, 시장 예상치 인 -6.0%, 전월치인 -6.1% 보다는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다. 반면 수입 증가율 은 전월대비 -17.7% 이다. 무역수지는 3,800억 위안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 지만 수출 증가보다는 수입축소에 인한 불황형 흑자이다. 달러 기준으로 계산하면 무역증가율의 하락폭은 더 커진다. 수출과 수입 증가율은 전월대비 각각 -3.8%, 20.5%를 기록하였다. 특히 수입증가율은 2008년 글로벌 복합위기 이후 가장 낮 은 수준이다. 전반적으로 위안화 절하의 효과가 생각보다 크지 않고, 수출 둔화세를 진정시키는 데 그치고 있다. 오히려 달러 강세로 수입이 위축되었다. 계절조정을 감안해도 중 국의 수입은 부진하다. 하지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일 것이라는 판단이다. 중국 경기 둔화는 이미 예상되었고 정책변화를 수반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이를 반영하듯 전일 중국 증시는 오히려 소폭 상승, 시장에 대한 영향이 제한적임을 의미한다. 표 1. 9월/2분기 /2분기 중국경제 지표 발표 일정 날짜
경제지표
예상
실제
전월
10 월 13 일
수출
9월
기간
전년비, %
단위
-6.0
-1.1
-5.5
10 월 13 일
수입
9월
전년비, %
-16.0
-17.7
13.8
60.3
10 월 13 일
무역수지
9월
십억 달러
48.2
10 월 13 일~15 일 10 월 13 일~15 일
신규대출 M2
9월 9월
십억 위안 전년비, %
900.0 13.1
10 월 14 일
CPI
9월
전년비, %
1.8
2.0
10 월 14 일
PPI
9월
전년비, %
-5.9
-5.9
10 월 19 일
GDP
3 분기
전년비, %
6.8
7.0
10 월 19 일
소매판매
9월
전년비, %, ytd
10.8
10.8
10 월 19 일 10 월 19 일
산업생산 고정자산투자
9월 9월
전년비, %, ytd 전년비, %
6.0 10.8
6.1 10.9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60.2 809.6 13.3